You are on page 1of 45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

20043052 김웅석
1.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의
정책적 배경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의 필요성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국민에게 인간다운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절대적 빈곤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입법.

생활보호제도 : 외환위기에 따른 대량 실업을 맞이.


2차적 사회 안전망 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

사회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극빈층과 저소득층의


생존이 위기에 처해있는 현실
생활보호법은 보호 대상을 인구통계학적으로 특정
범주의 사람들만 제한적으로 편협하게 규정

기존의 생활보호법을 폐지

순수기초생활보장

최저생계비 이하 기초생활보장

근로연계복지

최저생계비 이상 고용대책
국민기초생활보장법안 심의과정

국민기초생활보장법안

1998년 10월 9일
새정치국민회의의 199회 임시국회
당안으로 입안 에서 논의

1999년 7월 6일
2000년 10월 1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안’으로
부터 본격 시행
명명한 법안을 제출
2.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의
의의와 특징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의 의의

사회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복지권
생존권

사회보장수급권

공공부조수급권을 구체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제도
헌법 제 34조에 근거

국가, 지방자치단체

빈곤의 정도에
따라 필요한
급여를 행함

법으로 정한 최저생계비 수준 이상의 생활을 보장


자활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소극적
제도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적극적 제도
자활급여를 제공

빈곤에 처한 사람들 – 스스로 자립자활 할 있도록


국가가 주도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

급여를 행하여
이들의 최저생계를
보장해 줌 공공부조제도 가운데
핵심적인 지위

주체 : 국가 & 지방자치단체
(공공 부조)

최종목적 : 인간다운 최저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장
자립자활 하도록 조성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의 특징
1

생활보호법을 ‘국민기초
전면 개정 생활보장법’
2

급여를 받는 사람들의 권리를 인정~!!


수급자, 수급권자 라는 용어를 사용
3 범주적 일반적
공공부조제도 공공부조제도

수급 요건을 ‘빈곤’으로 단순화


4

긴급 구호제도의 신설~!!

생활보장의 여부가 결정되기 전

긴급한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


~!!
급여의 일부를 행할 수 있다고 명시
5 적극적 자활정책 실시

근로 능력이 있는 수급권자에
대하여는 근로조건부로 급여를
제공

구직활동, 직업훈련 등
자활능력을 연계시키는
방안을 둠

수급권자의 자립자활능력을 함양
6 최저생계비
이하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생계급여를 기본으로 하고 나머지는


수급자의 필요에 따라 급여를 함께 병합
7

생활보장기관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배치
8 재정공동주의 택함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재정은 기초자치단체가


공통으로 일정한 비율로 재정을 분담
3. 국민기초
생활보장
급여종류
생계급여

생활보장 급여 가운데 모든
대상자에게 행해지는 기본급여

빈곤의 정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급여를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거급여

새로이 신설된 급여

주거급여는 수급자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수급품을 지급함으로써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소한의 주거를 실현하려는 것
교육급여

생활보장 대상자 또는 그 자녀

사회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교육기회를 제공

빈곤이 세대간에 전승되어 세습되는


빈곤의 악순환을 방지

저소득층의 자립자활 기반을 조성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가운데 하나인
평등성을 실현하는 공공부조제도

빈곤이 세대간에 전승 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공공부조 대안으로 선호
해산급여
수급자에게 조산, 분만전과 분만 후의 필요한
조치와 보호를 행하는 것

보장기관이 지정하는 의료기관에 위탁하여 행할 수 있다


.

출생신고만으로도 해산급여를 받을 수 있다.

사산의 경우에도 해산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자활급여
수급자의 자활을 조성하기 위하여 행하는 급여

생산적 복지와 밀접한 관계

자활에 필요한 기능습득지원이나 취업정보제공은


보장기관이 수급자를 위해 비용을 부담함으로써,
직업훈련이나 취업알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에
위탁하여 이를 행할 수 있다.
- 2008년 표준가구 최저생계비 비목별 구성
(’07년 계측조사 기준)
비목 금액 원  비율
     
식료품비 475,669 37.6%
주거비 218,314 17.2%
광열수도 84,574 6.7%
 
가구집기 37,719 3.0%
피복신발 50,090 4.0%
보건의료 55,349 4.4%
교육 56,795 4.5%
  교양오락 24,712 2.0%
  교통통신 132,765 10.5%
  기타소비 77,292 6.1%
  비소비지출 52,569 4.2%
계 계 1,265,848 100%
최저생계비의 변화

비목 1 인가구 2 인가구 3 인가구 4 인가구 5 인가구 6 인가구 인상률


324,01 1,055,5 1,191,1
2000년 536,614 738,076 928,398 3.0%
1 88 34
333,73 1,087,2 1,226,8
2001년 552,712 760,218 956,250 3.0%
1 56 68
345,41 1,125,3 1,269,8
2002년 572,058 786,827 989,719 3.5%
2 11 09
355,77 1,019,4 1,159,0 1,307,9
2003년 589,219 810,431 3.0%
4 11 70 04
368,22 1,055,0 1,199,6 1,353,6
2004년 609,842 838,797 3.5%
6 90 37 80
401,46 1,136,3 1,302,9 1,477,8 7.15
2005년 668,504 907,929
6 32 18 00 %
418,30 1,170,4 1,353,2 1,542,3
2006년 700,489 939,314 3.0%
9 22 42 82
435,92 1,205,5 1,405,4 1,609,6
2007년 734,412 972,866 3.0%
1 35 12 30
463,04 1,026,6 1,265,8 1,487,8 1,712,1
2008년 784,319 5.0%
7 03 48 78 86
* 인상률 : 4인가구 기준
4.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1) 소득불평등과 빈곤

우리사회에서 공공부조제도의 역할이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사


회보험 등 기존의 복지제도로 보호하기 힘든 빈곤층이 증가

최근에 이들 근로빈곤층이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냄

2003년 이후 빈곤율이 1990년대 중반에 비해 높은 수준


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점점 많은 집단이 빈곤층으로 하향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


나고 있으며, 공공부조제도가 이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을 의미
[그림 2]는 최근 빈곤층 중 반복적으로 빈곤을 경험하는 계층, 즉 근
로빈곤층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계속 빈곤층 노인이나 장애인 등 생활능력이 없는 사람


들로 구성
위험의 정도가 심해 안정적인 소득보장이 필
요한 집단

반복 빈곤층 생활능력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

안정적인 취업기회의 제공을 통해 빈곤에서 탈출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집단

공공부조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기초보장제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2002년 135만명까지 감소하는 추세

2004년 이후 다시 증가세
문제점

문제점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


다.

소득보장과 자립자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쉽게 합의할


수 있는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째, 빈곤층의 규모변화에 둔감
지난 10년간 빈곤율의 변화와
기초보장제도의 수급자 규모 변화를 비교한 것
점선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초보장제도가 지원하는 빈곤층의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

빈곤층 규모증가와 기초보장제도의 보장규모가 유연하게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

이러한 문제는 기초보장의 사각지대 문제를 쟁점화 하는


역할을 하게 됨

향후 과제는 경향적으로 증감하는 빈곤층 규모에


신축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공공부조제도를 개편하는
것이다.
둘째, 기초보장제도에 대한 빈곤층의 의존성이 심화될
위험성이 있다
file:///F:/그림9.bmp
자활사업 참여자 중 많은 사람이 취업 후에도 기초보장제도에서 벗어나지
않고 잔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앙의 가는 실선은 취업 및 창업자의 비율변화를 보여준다.

이 수치는 자활사업의 취업성과가 경향적으로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상단의 굵은 선은 취업 및 창업 후에도 기초보장제도 수급자로


남아있는 참여자의 비율

많은 참여자가 취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초보장제도에서 벗어나지 않으


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1. 취업 후에도 근로 소득이 매우 낮아 탈수급이 힘든 경우

2. 취업수급자에 대한 관리체계가 취약하여 제도에 안주하는 경우

이 두 가지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로소득의 불안정을 경험하는
근로빈곤층에 대한 소득보장제도를
도입하고, 이어 취업수급자에 대한
관리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과잉급여와 과소급여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형평성의 원칙을 지키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

3인 가구 이하에서는 과소급여를 4인 가구 이상에서는


과잉급여를 하고 있음

4인 가구를 표준가구로 설정
5. 향후 정책
추진 방향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