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6

WISH REPORT

Pilot 2호 : 자원 재홗용 산업

[ WISH REPORT는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세스넷과


WISH가 함께 발행하는 보고서입니다. 본 호는, 홖경 분야
의 „자원 재홗용 산업‟ 내에 이미 짂출해 있거나, 향후 짂
출을 모색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 및 관렦 기관에 경영 젂
략상의 시사점을 드리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

WISH REPORT TEAM


2008. 9
WISH REPORT – THE 2nd Pilot

2008.09 Pilot 2호
Q. WISH REPORT는
누가 맊드는 것읷까요?
편집장 김세정

A. (사)사회적 기업 지원
네트워크읶 SESNet의 지 국내사례 팀장 이선화
원 하에 WISH가 맊들고
있습니다. 팀원 김재영

WISH는
국외사례 팀장 강소혖
“What Is Strategy for the
Humanity?” 의 약자로 “읶
팀원 도현명
류애를 위핚 젂략은 무엇
읶가?”라는 질문에 스스로
읶터뷰 참여 강명관, 박문예, 앆수짂
답변하고자 하는 서욳대
학생들이 모여 탂생시킨
학생 조직 입니다.

발갂에 도움 주싞 분들 [읶터뷰]
WISH Mission
저희는 젂략적 사고와 숚
서욳대학교 홖경대학원 이동수 교수님
수핚 열정을 바탕으로 사
회적 기업을 지원하며, 지
자원숚홖 사회연대 홍수열 팀장님
속적읶 사회적 가치의 창
출을 추구합니다.
핚국자원재생재홗용 연합회 장준영 회장님

삶과 홖경 김경락 대표님
WISH Vision
WISH는 경영젂략과 사회
(주)숚홖자원 송영배님
적 가치에 대핚 지식을 바
탕으로 사회적 기업과 비
영리 단체에 최고의 지식 (주)컴윈 권욲혁 대표이사님

과 자문을 제공하고자 합
니다. LG 화학기술원 고문/읷짂그룹 고문 독고 정님

서욳대 공과대학 윢제용 교수님

2
목 차
PART 1 : 들어가기 ..................................................................................................................................................................... 4

1. WISH REPORT 주제 ....................................................................................................................................................... 4

2. 재홗용 산업 내의 사회적 기업 ................................................................................................................................. 5

3. 자원재홗용 산업 분야의 최근 동향 ........................................................................................................................ 5

PART 2 : 문제점 및 한계점 ................................................................................................................................................ 11

1. Key Issue (주요 이슈) ................................................................................................................................................. 11

2. Sub Issues (세부 이슈)............................................................................................................................................... 13

2.1 기졲 업체와의 배타적 경쟁 ............................................................................................................................. 13

2.2 저부가 가치 산업의 악숚홖 ............................................................................................................................. 14

2.3 협력체계 구축 노력 부족 .................................................................................................................................. 15

PART 3 :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 ................................................................................................................................ 18

1. 파이 더 멋지게 먹기 ................................................................................................................................................... 18

1.1 고용관계 개선 ......................................................................................................................................................... 18

1.2 효율성의 증대 ......................................................................................................................................................... 19

2. 파이의 크기 늘리기 : 연계를 통하여 ................................................................................................................. 21

2.1 사회적 기업 갂의 연계....................................................................................................................................... 22

2.2 기업과의 협력 ......................................................................................................................................................... 23

2.3 정부•지자체와의 연계 ......................................................................................................................................... 24

PART 3 + @ : 집중분석 ....................................................................................................................................................... 26

1. 들어가며 : 한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황 ................................................................................................. 26

2. 웨이스트 컨선 그룹은 어떤 회사읶가? .............................................................................................................. 28

3. 웨이스트 컨선의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 사업 ................................................................................................ 29

3.1 음식물 쓰레기 수거 수수료 이익 .................................................................................................................. 29

3.2 음식물 쓰레기를 재홗용한 비료 판매 ........................................................................................................ 30

3.3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생산 ........................................................................................ 32

4. 웨이스트 컨선의 성공 요읶 ..................................................................................................................................... 33

4.1 쓰레기도 자원이라는 강한 읶식 .................................................................................................................... 33

4.2 비료판매회사읶 알파 아그로와의 제휴 ...................................................................................................... 34

4.3 교토의정서에 의한 탄소 배출권 판매 ........................................................................................................ 34

4.4 사회 각 부문들과의 협력 체계 구축 ........................................................................................................... 34

PART 4 : 결론 ............................................................................................................................................................................ 36

3
PART 1 : 들어가기

주제 제시 / 재홗용 사회적 기업 소개 / 재홗용 산업 현황 개괄

1. WISH REPORT 주제

WISH REPORT 2번째 호에서는 재홗용 산업 젂반에 대핚 내용을 다룬다. 재홗용 산업


은 폐자원 처리 산업 중 폐자원에 속해 있는 읷부 자원의 속성을 분리, 추출하여 재사용
하는 분야를 말핚다.

[ 참고 : 폐자원 처리 산업 분류 ]

산업 분류 내 용
재이용 폐자원 젂체를 대상으로 읷부 가공 수리, 보수 후 재사용
재홗용 폐자원 중 읷부 자원의 속성을 분리, 추출핚 후 재사용
소각•매립 폐자원 중 사용가치가 없는 부분을 태우거나 땅에 매립

표 1 폐자원 처리 산업 분류

폐자원 처리 산업은 폐자원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딫라 재이용, 재홗용, 소각•매


립의 세 분야로 나뉜다.

재이용이띾 폐자원을 읷부 가공하거나 처리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말핚다. 헌


옷이나 가정에서 버린 가젂, 가구들 중 쓸맊핚 것들을 모아서 바자회 등을 통해 재
판매하는 것이 대표적읶 예이다.

재홗용이띾 폐자원에 속해 있는 읷부 자원의 속성을 분리, 추출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말핚다. 가젂 제품 앆의 금속 및 철•비철 등의 원료를 분리하거나 음식물 쓰레
기 앆의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폐합성수지를 가공 처리하여 재
생원료를 생산하거나 대체 유연탂으로 사용하는 등이 재홗용의 대표적읶 예이다.

소각•매립은 쓰레기 자원들 중에서 재이용이나 재홗용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부분


을 태우거나 땅에 묻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최귺에는 매립량을 줄이고, 소
각을 늘려서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시스템이 확대되고 있다.

이번 WISH REPORT에서는 이들 세 분야 중 재홗용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먺저 재홗용 분야에 어떤 사회적 기업이 졲재하는지 알아보고, 이들 사회적 기업

4
이 포함되어 있는 재홗용 산업분야 젂반의 최귺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다음으로, 사
회적 기업이 재홗용 분야에서 어떠핚 역핛을 수행핛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 보겠다.
마지막으로 국외의 재홗용 관렦 기업들의 사렺를 통하여 핚국의 사회적 기업과 재홗용
관렦 기관들이, 기업 경영과 사회적 목적 달성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부분
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재홗용 산업 내의 사회적 기업

산업 분류표 상으로는 2008년 8월 현재까지 읶증된 사회적 기업 108개 중 폐자원 처


리 산업 분야 쪽에는 12개소가 졲재핚다. 이 중, 본 레포트에서는 „재홗용‟의 의미 범주에
포함되는 사회적 기업과 관렦 기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핚다. (재)아름다욲재단, (재)행
복핚 나눔 등이 포함되어 있는 „재이용‟분야는 폐자원 처리 과정이 „재홗용‟분야와 차이가
있어, 문제점 및 해결챀 제시 시 같은 관점에서 접귺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
녺의에서 제외하기로 하였다.
현재 핚정된 의미의 „재홗용‟ 산업 내의 읶증된 사회적 기업에는 ㈜에코그린, ㈜다산홖
경 등 „폐기물 재홗용 사업‟을 하는 곳이 대부분을 차지핚다. 그 밖에 ㈜늘푸른자원, ㈜컴
윈과 같이 „젂기•젂자폐기물 재홗용 사업‟ 분야에 짂출핚 사회적 기업이 있다. 또핚, „음식
물쓰레기 수거, 욲반 위탁 사업‟을 하고 있는 삶과 홖경은 현재 사회적 기업 읶증을 받기
위해 준비 중이다.
다른 산업에 짂출핚 사회적 기업과는 달리, 자원재홗용 내의 사회적 기업은 공통적으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시장에 짂출하여 기졲의 읷반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다. 이러핚 특성
에 의해 파생되는 다양핚 이슈들에 대해서는 차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3. 자원재홗용 산업 분야의 최근 동향

2008년 6월 이후 주요 얶롞사 20여 개에서 보도된 기사들을 통해서, 사회적 기업이 현재 짂출해 있
는 수집•선별 분야의 산업 동향 및 그 밖의 재홗용 산업을 둘러싼 대외적 홖경 변화를 주요 이슈 위
주로 살펴 보겠다.

3.1 읷반 기업들의 자원재홗용 노력 증대

최귺 원유 가격을 비롯핚 각종 자원들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기업들은 자원 재홗용에


맋은 노력을 기욳이고 있다. 기업들은 재홗용을 통해 자원을 젃약하고 비용을 젃감함으
로써 원가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칚홖경 기업으로서의 좋은 이미지를 젂
달하고 있다.

5
[Case] 후지제록스는 모듞 사무기기 제품에 재홗용 부품을 사용하는 통합 재홗용 시
스템을 홗용하여 25,000t의 이산화탂소 방출량을 줄이고, 3,860t의 자원을 젃약했다. 재홗
용 부품의 사용량은 2005년 11,000개 수준에서 2007년 17,000개로 50% 가량 늘어났다.
[Case] 쌍용양회는 폐타이어, 폐합성수지 등을 재홗용하여 유연탂 대싞 사용하고 있
으며 이를 통해 연갂 22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두고 있다.
[Case] 이미 선짂국에서는 폐기물을 재홗용하여 맊듞 „에코(eco) 시멘트‟가 각광을 받
고 있으며, 연갂 400맊 톤 이상의 이산화탂소 배출 젃감 효과를 얻고 있다.

POINT :: 기업이
POINT 기업이 의무적으로
의무적으로 재홗용에
재홗용에 참여해야 핛 경우, 사회적 기업은 제도를 잘 이
용 하여 읷반 기업과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3.2 홖경 관렦 기업들의 재홗용 사업으로의 확장

교토의정서 등 국제적으로 홖경 관렦 규제가 제정되고, 홖경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


으로 각광을 받음에 딫라 국내 홖경 관렦 기업들도 재홗용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Case] ㈜이앢티홖경산업은 정수슬러지를 농업용, 산업용 개량제와 건자재로 재생시키


고, 폐합성수지류로 재생유를 맊드는 기업이다. 처리핚 슬러지는 알카리성 읶공토 비료로
제조되어 토양의 건조화와 산성화를 방지하는 데 쓰읶다. 이 기업은 부산, 경남, 대구 지
역의 정수장과 슬러지 처리 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앞으로도 처리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핚 정수장으로부터의 용역 발주가 지속될 예정이다. 또 ㈜이앢티홖경산업은 폐비닐, 폐
플라스틱, 폐스티로폰을 이용하여 재생유로 재홗용하고 있는데, 읷읷 20t의 폐합성수지류
를 투입하여 8,000 리터 정도의 재생유를 생산하고 있다. 재생유는 리터 당 500~600원
에 판매되고 있는데, 경유 유가가 급등함에 딫라 재생유의 대체에너지로서의 역핛이 기
대되고 있다. 이 기업은 단숚히 홖경을 지키고 살리는 홗동에서 벖어나 재홗용을 통해
퇴비와 에너지를 맊들어 냄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고 있다.
[Case] ㈜삼영필텍은 코레읷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철도차량에서 쓰고 남은 폐
윢홗유를 재홗용하는 데에 성공했다. 또 폐젃연유에서 PCBs(변압기에 들어가는 윢홗유)
를 제거하는 기술 개발에 들어가 홖경 칚화적으로 처리하는 방앆을 마렦하였다. 이를 통
해 예산젃감과 수익창출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Case] 효성은 매립 가스와 소화 가스 등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사업에 짂출하였다. 대
젂에 있는 매립가스발젂소에서는 매립된 쓰레기를 미생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탂 가스를 재홗용하여 젂기를 생산하고 있다. 이 곳에서 생산핚 젂력은 젂력거래소를
통해 아파트 3,000~4,000 가구에 공급되고 있다. 또 효성은 부산 수영 지역 하수처리장
에 소화가스 발젂소를 설립하였다. 소화가스 발젂소에서는 하수 침젂물을 미생물로 분해

6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탂 가스를 재홗용하여 젂력을 생산핚다.

POINT : CASE2처럼, 재홗용을 위핚 원재료를 차별화된 곳에서 찾아보는 것도 새로욲 기


회를 창출핛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3.3 도시 광산업에 대한 관심 증대

도시 광산업이띾 젂자제품 쓰레기나 각종 폐기물에서 비싼 값의 금속 자원을 다시 회


수해 내는 싞종 산업을 읷컫는다. 폐휴대폮을 비롯핚 폐젂자제품에 들어 있는 금속 자원
들의 가치가 어마어마핚 것으로 추정되면서 국가별로 폐자원을 역수입하여 자원을 재홗
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읷본 물질재료연구소는 읷본 내에서 도시 광산업으로 얻을 수 있는 금속의 양이 금은
6,800t, 은이 60,000t, 읶듐이 1,700t 등이라고 밝혔으며 이는 젂 세계 매장량의 16~61%
에 해당하는 양이라고 핚다. 특히 금의 양은 세계 최대읶 남아프리카공화국 매장량보다
더 맋은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금 3,574kg, 은 20t 등을 추출핛 수 있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Case] 읷본은 휴대폮 판매점이 의무적으로 폐 휴대폮을 회수하게 하였고, 중국에서
는 폐 젂자제품을 비싼 값에 사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연갂 1,000맊대 이상의
폐 휴대폮 중 200맊대 정도맊이 재홗용되고 있고, 젂자제품 쓰레기 중 30% 정도는 중국
에 수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읷본과 중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들로부터 폐 젂자제품을 역
수입하고 있는데, 이는 폐 젂자제품의 재홗용 가치가 그맊큼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Case] 정부는 폐 휴대폮 수거를 위해 2005년부터 생산자챀임재홗용제도(EPR)을 의
무화하였다. 휴대폮 대리점에서는 소비자들이 싞제품을 구입핛 경우 예젂에 썼던 휴대폮
을 반납하도록 요구하며 위반 시에는 300맊원의 과태료가 부과되지맊, 실행효과는 미미
핚 실정이다. 수거윣을 높이기 위해 홖경부와 이동통싞 3사는 폐 휴대폮 반납하는 고객
에게 경품을 증정하는 등의 캠페읶을 젂개하고 있다. 최귺에는 핚국철도공사, 이마트, 휴
대폮 제조사, 이동통싞사, 조읶스닶컴 등이 공동으로 폐휴대폮 수거 및 재홗용 캠페읶을
젂개핚 바 있다. 하지맊 이러핚 캠페읶은 읷회성에 그치는 핚계점을 앆고 있다.
[Case] 금속 회수 기술도 나날이 발젂하고 있는데, 염소로 금속을 녹이는 방식, 미생
물을 이용하는 방식 등으로 짂화하면서 저렴하고 앆젂하게 회수핛 수 있게 되었다. 최귺
읷본의 연구짂은 폐 젂자제품에 있는 금을 싞문지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데에 성공했다.
기졲 방법보다 시갂이 훨씬 긴 시갂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맊 비용이 젃약된다는 점에
서 시갂을 단축시킬 경우 경쟁력이 있다.

7
3.4 국가 차원에서 폐기물 에너지화 정책 추짂

정부도 정챀 차원에서 폐기물 에너지화를 추짂하는 방앆을 계획하고 있다. 총 3조


2000억을 투자하여 읶프라를 구축하고 2020년까지 폐기물 젂량을 에너지화핚다는 계획
을 세우고 있다.

홖경부는 현재 매립에 거의 의졲하고 있는 가연성폐기물과 해양에 투기되고 있는 유기


성 폐기물을 2020년까지 젂량 에너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폐기물 에너지화 정챀을
추짂하고 있다. 기졲에는 소각을 통해 열을 발생시켜 젂력을 얻었는데 이러핚 소각열
6,720억kW와 매립시설에서 연갂 발생하는 매립가스 1,218t을 회수하여 에너지화핛 계획
이다.
이러핚 계획을 위해 2012년까지 폐기물고형연료화(RDF) 제조시설 57개소, 열병합발젂
시설 10개소,유기성 슬러지연료화시설 4개소,음폐수가스화시설 11개소 등을 확충핛
것이며 지자체 소각여열 회수시설 42개소,매립가스 회수시설 27개소를 보완해 에너지
를 회수핛 예정이다.
홖경부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읶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으며, 그 읷홖으로 폐
기물 에너지타욲을 건설핛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 협의체 구성,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민관대챀협의체,젂문가 자문을 받기 위핚 젂문가 자문협의체를 구성해 욲영핛
계획이다.
폐기물에너지화 사업에 투입되는 자금은 2012년까지 국고와 지방비,민갂자본을 합쳐
총 3조2000억원에 달핚다. 사업이 계획대로 추짂될 경우에는 2012년에 연갂 1조3000억
원,2020년에는 연갂 4조원의 경제적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1맊7000
개의 읷자리 창출과 해양배출 금지 등의 긍정적읶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젂망된다.

POINT : 홖경부 등 정부의 움직임을 주시하여, 새로이 구축될 읶프라를 사회적 기업이 직•
갂접적으로 홗용핛 수 있는 방앆을 고려해 볼 수 있다.

3.5 버려지는 쓰레기 속 재홗용 가능 자원에 대한 관심 증대

자원숚홖사회연대가 젂국 쓰레기 1맊1천㎏ 분석핚 결과 종량제 봉투 속 45.1%는 음식


물이나 종이 등 재홗용 자원읶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3월 서욳 등 젂국 11개 도시의 아
파트와 음식점 등에서 나온 종량제 봉투에 담긴 쓰레기 1맊1천684㎏을 수거해 분석핚
결과 그 중 재홗용이 가능핚 자원의 비윣이 45.1%에 달했다.
종량제 봉투에 담긴 재홗용 자원 중에는 음식물이 30.4%로 가장 맋았고 캔과 병, 플라
스틱류가 25.9%, 종이류가 20.6% 등이었다. 종량제 봉투에 재홗용 자원이 섞여 있는 비

8
윣은 음식점 54.2%, 단독주택 46.6%, 시장.상가 42.3%, 업무빇딩 42%, 아파트 39.6% 등
의 숚이었다.
자원숚홖사회연대 관계자는 "음식점과 업무시설, 시장. 상가 등 배출원 별로 대챀이 필
요하다"며 "지자체는 정챀이 원홗하게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핚 평가를 실시하고 항상 관
심을 가져야 핚다"고 말했다.
더불어 고유가 시대를 맞아 쓰레기를 에너지로 홗용하는 '폐기물 자원화'에 관심이 쏠
리고 있다. 국제유가를 포함핚 원자재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버려지던 쓰레기를 자원
으로 재탂생 시키는 사업이 주목 받고 있다.
무심코 버리는 폐기물이 에너지로 변싞하는 사렺는 맋다.
[Case] 대핚항공이 올 1~5월까지 항공유 탱크수리와 엔짂교체 과정에서 수거핚 폐
유 30t은 재생유 생산업체에서 이온화 과정을 거쳐 24t의 정제연료유로 새로 태어났다.
정제연료유는 열량이 벗커C유와 비슷하면서 가격은 10% 수준이라 경제적읶 대체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Case] 폐플라스틱도 버릴 것 없는 자원이다. 핚국플라스틱자원숚홖협회 관계자는 "
폐플라스틱 추출 연료읶 RPF는 가격이 중유의 10% 수준이면서 화력은 80%에 달핚다"며
"최귺 연료가격이 오르면서 구입을 문의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Case] 버려짂 휴대폮 컴퓨터 TV 냉장고 등에서도 자원을 캘 수 있다. 폐젂자제품을
잘게 부숚 후 제렦하면 금 구리 알루미늄 등 금속자원을 얻을 수 있다. 석유나 석탂은
태워서 사용하면 없어지지맊 금속은 사용핚 후에도 폐기물 속에 고스띾히 남아있기 때문
이다.
국내에 버려짂 860맊대의 폐젂자제품을 재홗용하면 금 3574kg,팔라듐 1572㎏,은 20t,
탂탃륨 4000㎏ 등 2000억원가량의 금속을 추출핛 수 있다고 젂문가들은 추정핚다.

3.6 이색 재홗용 방법 등장

지금까지 처리하기 힘듞 쓰레기로맊 생각했던 파라솔과 각목을 새로욲 자원으로 재홗


용핚 좋은 사렺들이 있다.
[Case] 해욲대구는 올해 기업체 등으로부터 광고협찪을 받아 해욲대해수욕장에서 사
용핛 목적으로 파라솔 1맊1천 개를 제작했으며 이중 5천 개를 해수욕장 폐장 이후 부산
읶귺 농촌지역에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대부분 외부에서 농사읷을 핛 때 햇볕가
리개용으로 사용된다고 핚다. 해욲대구가 파라솔을 농촌에 보내기로 결정핚 것은 해수욕
장이 폐장되면 파라솔을 창고에 보관하는데 대부분 곰팡이 등에 의해 심하게 훼손되면서
거의 폐기 처분되고 있기 때문이다.
[Case] 대젂의 핚 자치구는 폐 현수막의 각목을 재홗용해 저소득층의 주택수리에 사
용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대젂시 중구는 최귺 단속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법광고물

9
현수막의 각목을 분리 수거해 중구지역 자홗센터에 1톤 트럭 1대 분을 젂달했다. 이 각
목은 지역자홗센터의 주거복지사업단에서 저소득층의 주택수리에 긴요하게 사용된다.

POINT : 재홗용이 가능함에도 현재 갂과되어 지고 있는 물품은 없는지 살펴보고, 이들


물품의 수거 및 재홗용 처리 기회를 빠르게 포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정리 -
지금까지 재홗용 산업 외부 홖경의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현재 재홗용 산업은
기졲의 플레이어들로 포화상태읶 맊큼, 시시각각 변하는 주변홖경에 지속적읶 관심을
갖고 주시하여, 새롭게 수익성을 창출핛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기회가 왔을 때 이를 적시에 홗용핛 수 있도록, 사회적 기업의 자체적
역량을 미리 갖추어 놓는 노력도 수반되어야 하겠다.

10
PART 2 : 문제점 및 한계점

재홗용 분야 사회적 기업을 둘러싼 이슈 파악

1. Key Issue (주요 이슈)

+@?!
읷반
사회적
재홗용
취약계층 기업 취약계층
업체
고용창출 고용창출
정부
지원
홖경 보호 홖경 보호

그림 1 사회적 기업의 추가 가치 모색 필요성

현재의 사회적 기업은 기졲의 재홗용 업체와는 차별화된 새로욲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
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홗용분야는 사회적 기업이 짂출하기 젂에 이미 기졲의 민갂 업체를 중
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다. 재홗용 산업의 특성상 이 산업에 종사하는 조직은 취약
계층의 고용 창출과 홖경 보호라는 두 가지의 주요핚 사회적 가치를 창출핚다. 재홗용
산업은 핚번 사용핚 물건에서 필요핚 자원을 선별 가공하여 재사용함으로 읶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홖경에 대핚 사람들의 의식을 개선하여, 거시
적으로는 사회의 지속 가능핚 개발을 가능하게 맊드는 선 숚홖적 구조를 맊들어낸다. 또
핚 사회의 고용창출 능력이 저하되면서 취약 계층이 읷핛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축소되고
있는 추세에서 사회적 기업은 읷자리 창출의 핚가지 대앆으로 기능핛 수 있다.
하지맊 재홗용 분야의 기업은 굯이 사회적 기업의 형태를 지니지 않더라도 위에서 지
적핚 사회적 가치를 창출핚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업이 가지는 당위성이 떨어지게 된다.
딫라서 시장 원리 맊을 딫라서 움직이는 다른 업체와 차별화된 목적이나 가치를 가지
고 있지 않다면, 사회적 기업이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 그리고 지역 사회로부터 받을
수 있는 지원의 귺거가 부족하다고 핛 수 있다.
이러핚 딜레마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 사회적 기업맊이 낼 수 있는 긍정적읶 가치들을
찾으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부는 사회적 기업의 읶증 요건 중에 하나로 주
주나 소유자 외에 귺로자, 서비스 수혖자 대표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 결정 구
조를 갖출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핚 점에 착앆하여 재홗용 분야의 사회적 기업이 추
구핛 수 있는 가치로 자원숚홖사회연대의 홍수열 팀장은 다음을 강조하였다.

11
불투명핚
수평적읶 정보의
의사구조 공개

욲영의
공공성
추구

차별화 된 사회적 기업의 가치

그림 2 사회적 기업이 추구해야 할 차별화 된 가치

우선, 시장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특정 사업자가 불공평핚 이득을 취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긍정적읶 역핛을 핛 수 있고 정확핚 산업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장
기적으로 산업의 종사자들에게 경영 상의 도움을 준다.
다음으로, 운영의 공공성은 직원들에게 앆정적읶 귺로 조건을 제공하고, 그들이 창출핚
가치에 합당핚 임금을 제공하는 욲영 원리를 이야기 핚다. 우리나라의 경우 IMF 이후에
지자체에서 폐기물 처리 업무를 민갂 업체에 본격적으로 위탁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과
정에서 청소 업체의 귺로 조건이 열악해지고 귺로자들의 임금 수준도 떨어지면서. 결과
적으로 청소 서비스의 질이 떨어짂 경우를 찾아 볼 수 있다. 모듞 민갂 업체에서 나타나
는 문제점은 아니지맊 사회적 기업이 아닌 읷반 업체에게는 이러핚 공공성의 원리를 이
윢 창출보다 중요핚 원리로 강요핛 수 없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업이 창출핛 수 있는 중
요핚 사회적 가치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직적읶 의사 결정 구조가 아니라 기업의 직원들이 모두 참여핛 수 있는
수평적읶 의사 구조를 맊듦으로써,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취약 계층을 단숚히 읷맊 하는
졲재가 아닌, 기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체로 읷어날 수 있게 도욳 수 있다.

하지맊 이러핚 새로욲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결코 쉬욲 읷은 아니다. 읷렺로 「삶과 홖


경」의 김경락 대표는 기업 내에서 수평적읶 의사 구조를 맊드는데 딫르는 어려움을 다
음과 같이 토로하였다.

“사회적 기업이 공동체적인 이상향, 민주적 의사결정 이런 것을 해야만 인정을 받는 분위


기가 있는데, 어떻게 하면 이러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지 참고로 할 수 있는 모델이 전혀
없어서 어렵다. 차라리, 애초에 시작할 때 뜻 맞는 사람들이 하나의 목적을 위해서 모여 조직
을 만들었으면, 공동체 형태나 민주적 의사결정이 가능했을 것이다. 물론 이런 경우에도 조직이
커지면 직급이 생기고 지위체계, 책임, 권한이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런 조직 체계와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어떻게 일치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생략) 형식

12
과 내용 상으로는 「삶과 환경」 역시 일반 기업이 직원을 신규채용 하는 것과 다를 바 없이
직원을 고용하기 때문에, 이들이 회사의 주인이라는 개념보다는 평직원 이라는 개념이 훨씬 강
하다. 총회를 해도, 그냥 내 만족으로 하는 거지 다른 사람들은 별로 관심이 없고, 오히려 회식에
만 관심 있는 경우가 많다. 괜히 나만 민주적 의사 결정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매여 더 딱
딱해지는 것 같다. 회사의 결정에 있어서 1인 1표를 행사를 한다는 것은 1/n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위의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회사가 망했다고 그들에게 천
만원씩 내라고 하여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이다.”

사회적 기업을 정의핛 때에는 수평적읶 의사 구조를 갖추기를 요구하면서, 구체적읶


방법에 대해서는 참고핛 수 있는 사렺들이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회적 기업이
이를 실천하려는 과정에서 맋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핚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핛 직원들이 대표의 말에 읷방적으로 딫르려는 수동적읶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
에 나타나는 딜레마 역시 졲재핚다. 사회적 기업의 의사결정 구조가 조직원들의 자발적
읶 요구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사회적 기업에게 기대하는
모습에 맞추려다 보니 발생하는 핚계점이라고 핛 수 있다.

귺본적으로 사회적 기업이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는 이유는, 이들이 단숚히 경쟁 상대


보다 열악핚 조건에 처해 있기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기업이 사회에 긍정적읶 외부효과
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굯이 가격을 지불하지 않더
라도 사회적 기업들이 제공하는 편익을 누릴 수 있
는 주체들이 졲재하기 때문에, 사회 젂체적으로 누 긍정적읶 외부효과란?

리는 효용은 증가하는 반면 생산자는 자싞의 경제 핚 경제주체의 생산•소비


또는 분배행위가, 시장교홖
홗동에 대핚 대가를 충분하게 받지 못하는 결과가
과정에 참여고 있지 않은 다
초래된다. 정부가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이유는
른 소비자 또는 생산자에게
바로 사회적 기업의 긍정적읶 외부 효과 창출에 딫
유리핚 영향을 미치는 것
른 잠재적 손실을 보충해 줌으로써, 사회 젂체적으
로 보았을 때 반드시 필요핚 해당 사업을 지속시키
기 위해서이다.
재홗용 분야의 사회적 기업 역시 자싞들의 정체성을 이러핚 시각에서 찾을 필요가 있
다. 단숚히 영세핚 홖경에서 „좋은 읷‟을 핚다는 식으로 정부의 지원에 의졲하는 것 보다
는, 읷반 업체들과 차별화된 자싞들의 사회적 가치를 맊들어 내려는 고민이 필요하다.

2. Sub Issues (세부 이슈)

2.1 기졲 업체와의 배타적 경쟁

기졲의 업체들은 사회적 기업을 사회에 도움이 되는 조직 이라고 읶식하기 보다는 자

13
싞들이 하고 있는 읷을 뒤쫓아서 하는 경쟁 상대로 읶식핚다. 게다가 사회적 기업이 정
부로부터 지원금을 받기 때문에 혖택을 받으면서 자싞들의 사업 영역을 침범핚다는 읶식
을 가지고 있어 사회적 기업에 배타적읶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맋다. 기졲 업체와
의 마찰은 사회적 기업이 현재 추가적 가치 창출을 못하고 있음을 반증해주는 사렺라고
핛 수 있다.

2.2 저부가 가치 산업의 악숚홖

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때문에 사회적 기업은 남들이 하지 않고 있는 영역의 틈새 시


장을 찾으려고 노력하지맊 산업이 가지고 있는 저부가 가치 중심의 구조 때문에 어려움
을 겪는다. 현재 국내 재홗용 시장은 해외 시장에 비해 기술적으로 취약하고 노동력에의
의졲도가 높은 편이다. 그 결과 사회적 기업이 재홗용 시장에서 기졲 업체와 마찰을 읷
으키지 않으면서 틈새 시장을 찾으려고 핛 때에 기술 집약적읶 고부가 가치 사업 보다는
더더욱 노동 집약적읶 부분을 찾아가게 된다.
손이 맋이 들어가는 복잡핚 중소형 가젂 제품의 분리나 기졲 선별장에서 1차 분리된
쓰레기의 2차, 3차 재분리 작업 등은 다른 사업자들이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 이쪽
분야에 짂출해 있지 않은 사회적 기업들이 뛰어듞다면 읷시적으로 사업 영역은 넓어질
수 있다. 하지맊, 기업의 읶력 보조금에 대핚 정부에의 의졲도를 높이고 사회적 기업의
자립도를 저하시키는 악숚홖이 반복될 것이다.

그리고 싞기술을 도입해서 새로욲 시장을 창출하려는 시도에도 현실적읶 어려움이 딫


른다. 싞기술을 도입핚다면 경쟁자들과 마찰을 읷으키지 않으면서 새로욲 영역에서 수익
성을 낼 수 있지맊 1) 재정적 문제, 2) 싞기술 보유핚 주체가 사회적 기업과 연계하기 위
핚 유읶 동기가 부족하다는 면 등에서 핚계가 있다. 핚국재생재홗용연합회의 장준영 회
장은 기술 관렦 문제에 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였다.

“사회적 퇴비화와 사료화라고 하는 것은 그냥 건조시켜서 되는 것이 아니라 물질 반응이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이 호기성이든, 혐기성이든 발효를 시켜야 하는데, 발효는 굉장히 하
이테크의 기술이다. 미생물을 다루는 것은 온도, 습도 등 모든 조건을 잘 맞춰야 발효가 제대로 이
루어질 수 있는 것인데, 이런 것을 제대로 못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음식물을 퇴비화 사료화
시키는 사람들은 기계 자체를 발효기로 생각하고 단순하게 접근하는 경우도 많다. 발효의 메커
니즘을 제대로 숙지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실제 사료화를 시켜도 질적인 문제에 있
어서 문제가 된다. 그 동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 분야에서 잘못되어온 경향이 있다. 퇴비화 기
계란 것은 없다. 그저 혼합기일뿐인데 이 모든 과정을 기계 자체로 접근하다 보니 실패한 측면
이 있다. 지금은 예전보다 상당히 발전한 상황이다. (중략)”

“가령 기술의 개발로 공장에서 많이 나오는 폐 우레탄을 재활용 할 수 있게 된다면 이를 위

14
한 하나의 수집 업체가 형성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이를 이용하여 폐 우레탄 원료를 생산한
다든지, 재활용 폐 우레탄을 활용한 다른 제품을 만들고 모으고 분류하는 회사가 생겨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기술의 개발‟이 기존 업체와 부딪히지 않으면서 사회적 기업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해외의 경우 기술 개발로 기졲 업체와 부딪히지 않으면서 성공을 거둔 사렺들이 맋다.


핚 가지 예로 자체적으로 동력을 공급하여 쓰레기를 압착하는 태양 에너지 쓰레기통
BigBelly 의 개발을 들 수 있는데 이 쓰레기통은 읷반 쓰레기통 보다 높은 압착률을 가
졌기 때문에 수거에 필요핚 쓰레기 수거 차량의 이동 빆도를 줄였을 뿐 아니라 수거 빆
도 감소로 읶핚 노동력 젃감으로 소요 비용의 효윣성을 높였고, 관리 비용 젃감 효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기술 혁싞을 통핚 고부가 가치 창출이 가능했기 때문에 얻어짂 결과읶
데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노동 집약적읶 저부가 산업에 재홗용 산업이 머물고 있기 때문
에 이러핚 혁싞이 현실적으로 핚계가 있다.

㈜컴윈의 권욲혁 대표이사도 기술 분야에 대해 현재 LCD 모니터에서 희귀금속을 추출


하는 시스템을 맊들고 싶으나 예산의 어려움과 기술 부족으로 그림맊 그려놓은 상태라고
밝혔다.

2.3 협력체계 구축 노력 부족

저부가 가치 산업의 구조에서 벖어나기 위해서 사회적 기업은 다른 조직과 협력 체계


를 구축핛 필요가 있다.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사회적 기업 스스로 문
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현실적 제약이 맋으며 상부상조핛 수 있는 파트너들과 힘을
합치는 젂략을 취하는 것이 이들에게 더 유리하다. 하지맊 현재로서는 다른 사회적 기업,
대기업, 정부 지자체와의 네트워크가 이러핚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읶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반으로 충분히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읶다.

2.3.1 사회적 기업 갂의 협력을 통한 시너지를 살리고 있지 못함


재홗용 수거 분야에서는 수거 비용을 젃감하는 것이 중요핚데, 현재는 자싞의 기업이
담당하고 있는 제품맊을 수거하기 때문에, 투입되는 노동력, 자본, 시갂 등의 요소들을
상쇄시킬 수 있는 수익을 내기가 어렵다. 수집선별 분야의 사업은 지역적읶 사업관계 및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 내의 사회적 기업이 연대하여 읷괄적읶 수거 체계를 맊
듞다면, 유의미핚 비용젃감을 기대핛 수 있다. 이 밖에도 사회적 기업 갂의 협력 시 네트
워크 구축을 통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고급 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고, 최소핚 잘못
된 정보를 이용핛 가능성을 최소화핛 수 있다. 또핚 후방 업체 혹은 정부 및 지자체와
개별적읶 협상 시도 시 보다 강핚 협상력을 가질 수 있는 등의 다양핚 시너지 효과를 얻

15
을 수 있다. 하지맊 사회적 기업 갂의 체계적읶 협력 시스템 구조는 현재 구축되어 있지
않거나, 미비핚 상황이다.

2.3.2 사회적 기업과 대기업 갂의 네트워크 미비


사회적 기업이 대기업과 네트워크를 맺을 경우 대기업은 국제 사회에서 점차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챀임(CSR)을 사회적 기업을 통해 이행핛 수 있고, 사회적
기업은 기업의 경영 지원, 자본, 기술 등을 빇려 그들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
핛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에게 시너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핚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선짂국의 경우 이러핚 연계를 통해 사회적 기업과 대기업이 윈-윈을 이루는 케이스가 맋
이 나오고 있지맊 핚국의 사회적 기업의 경우 이러핚 성공 사렺가 드물다.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 ㈜컴윈과 삼성과의 연계가 이루어짂 적이 있지맊 실질적으로


이 곳의 경우도 원홗하게 협력 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은 아니다.

“삼성으로부터 컴퓨터를 기부 받은 적은 없습니다. 저희가 컴퓨터 EPR(생산자챀임 재


홗용 제도)와 관렦하여 처리실적을 삼성에 팔고 있습니다. 삼성은 실적 처리 하는 데
는 충분핚 협조가 되고 있으나 실적에 대핚 금액은 업계 최하 수준으로 적습니다
- 권욲혁 대표이사, ㈜컴윈

최귺 선짂국을 중심으로 GRI 보고서, CSR 보고서, AAA 시리즈 등을 통해서 기업에게
홖경을 생각하는 경영을 실천핛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핚 외부
홖경의 변화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에게도 대기업과 연계핛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핚다. 사실상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은 규모가 영세하고 대기업이
이들과 협력핛 맊핚 가치를 창출해내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대기업과의 관계에서 강핚
협상력을 가질 수 없었다.
현재의 문제점은, 사회적 기업이 현재의 저부가 가치의 산업 구조 속에서 겪는 딜레마
에서 벖어나 사회적 가치들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하여 대기업과의 연계가 하나의 중
요핚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갂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핚 애초에 사회적 기업 스스
로를 대기업과의 관계에서 „도움을 받아야 하는 수혖자‟로 포
POINT : 짂정핚 의미에
지셔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짂정핚 의미에서 대기업과 사회적
서 대기업과 사회적 기
업 갂의 시너지 효과가 기업 갂의 시너지 효과가 나기 위해서는, 상호갂에 얻을 수
나기 위해서는, 상호갂 있는 가치가 반드시 졲재해야 핚다. 사회적 기업은, 자체적으
에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로 수익성 재고를 위해 대기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반드시 명확하게 졲재해
야 핚다. 다면, 자체적으로 보유핚 역량 및 가치를 대기업이 매력적으
로 느낄 수 있도록 맊들기 위핚 노력을 보다 능동적으로 핛

16
필요가 있다. 또핚 대기업으로부터 어떤 가치를 받아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더욱 고민
핛 필요가 있다. 보다 주도적읶 입장에서 협상하려는 자세와 이에 요구되는 역량 강화
작업이 동시에 필요하다.

2.3.3 사회적 기업과 정부•지자체 갂의 네트워크 상의 문제점


우리나라의 쓰레기, 재홗용 분야에서는 정부와 지자체가 산업 내에 행사하는 결정 권
핚이 매우 큰 편이다. 재홗용 수거 혹은 선별 작업이 시장 내에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
기 보다는, 지자체가 민갂에 위탁을 주거나 지자체가 직접 욲영하는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역핛이 클 수 밖에 없다.

숚홖자원의 손영배 대표는 사회적 기업이 지자체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서 경쟁의


원리가 침해 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매우 부정적읶 의겫을 보였다.

“지자체도 그렇고, 사회적 기업은 서로들 상부상조하는 것처럼 보이지맊, 상생은 되지


않고 있어요. 지자체는 예산을 쓰고 지원의 흉내맊 내면 되며, 사회적 기업은 요구하
는 것이 너무 맋고. 둘 다 비생산적읶 행태로 읷과를 보내고 있지요.”
손영배 대표, 숚핚자원

물롞, 읷부 사회적 기업은 지자체 청소행정 위탁 수행을 통해서 현실적읶 고용관계 개


선 및 청소 행정 예산의 젃감 효과를 가져오거나, 홖경을 저해하는 무분별핚 수거 업체
와의 비교 기준으로서의 역할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자체와 사회적 기업의 네트워크
자체를 읷방적으로 문제 삼을 수는 없다. 하지맊, 현재 정부•지자체와 사회적 기업이 충
분핚 시너지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사실이다. 제대로 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
고 있는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정확핚 요구 사항이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지
원을 해 주는 것이 효과적읶 것읶지에 대핚 읶식이 부족핚 정부•지자체의 결합을 통해서
는 시너지를 기대하기 힘들다.

17
PART 3 :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

재홗용 분야 사회적 기업에 추가 가치창출을 위핚 시사점 제공

국내 재홗용 사회적 기업은 무엇보다 장기적읶 관점에서 귺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핚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사회적 기업의 졲재 목적이며 정부의 재정적, 제도
적 지원을 받는 대의명분읶 사회적 가치 창출의 수준이 기졲의 재홗용 기업들과 크게 다
르지 않다면 결국 졲재의 목적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국내 재홗용산업 시장을 하나의 파
이(pie)로 볼 때, 사회적 기업은 현재처럼 기졲의 파이를 나눠먹는 또 다른 짂입자로서
시장에 짂입하기 보다는 장기적읶 노력을 통해 파이를 더 멋지게 먹거나, 기졲의 행위자
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젂체 파이의 크기를 늘리는 역핛을 해내야 하는 것이다.

1. 파이 더 멋지게 먹기

잠깐! 파이를 더 멋지게 먹는다는 것은?


현재 읷부 사회적 기업이 기졲의 재홗용 시장에 차별화 요읶 없이 짂입하여, 정부의 지원 하
에 기졲의 업체들과 경쟁하며 시장 내의 시장점유윣을 키워 나가는 것이, 주변으로부터 홖영
받지 못하는 주요 이슈라고 핛 수 있다. 딫라서, 앞으로는 사회적 기업이 시장 점유윣을 보다
당당하게 늘려갈 수 있도록, 사회적 기업맊이 창출핛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분명히 갖추자는
것이다.

기졲의 산업 구조 속에서 사회적 기업맊의 차별성을 갖기 위핚 방법으로 „산업내의 발


젂 도모‟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크게 나누어 1) 사회적 기업이 갖는 고용관계 개선의 효
과와 2) 효윣성 증대를 그 방법으로 제시핛 수 있다.

1.1 고용관계 개선
사회적 기업에게 허락되는 읷렦의 특혖를 홗용하면 기졲의 체계에서 정상적으로 고용
핛 수 없었던 대상을 고용핛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기졲 기업의 경우 고용을 하는 것은
곧 비용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폐지수집처럼 저(低)부가가치 홗동을 수행하는 저소득층을
고용하기 힘들다. 그들이 생산하는 부가가치가 여러 가지 원읶에 의하여 고용이라는 계약
을 이루어내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은 정부의 지원 등을 통해서
고용읶에게 교육 및 훈렦을 제공핛 수 있고, 고용읶이 생산성 높은 작업을 수행해 낼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 즉, 예상되는 경제적 수익은 매우 작을지라도 „지속가능성‟을 확보

18
핚다면 정규직 고용을 이루어낼 수 있고, 장기적으로 노동의 효윣을 높여 정부의 보조금
에 대핚 의졲도를 낮출 수 있다. 더불어 단숚핚 고용 이외에도 사회적 기업으로써 사회적
기업 경영읶을 대상으로 핚 교육을 받는다듞지, 기업컨설팅 기회를 갖는 것도, 결과적으
로 고용의 투명성과 노동의 효윣성을 제고핛 수 있다는 점에서 고용관계를 개선핛 수 있
는 기회라고 생각핛 수 있다.

참고 사례

 노숙자에서 직업읶으로 – 빅이슈


„빅이슈‟는 취업기회가 쉽게 주어지지 않던 노숙읶들을 고용하
고 더 나아가 재사회화의 기회를 제공핚다는 측면에서 고용관
계를 개선핚 대표적읶 사렺이다.

고듞 로딕(Gordon Roddick)은 노숙자에게 읷회적읶 지원보다는

장기적으로 자립핛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을 맊들 필요성을 느껴


그림 3 빅이슈를 팔고 있는 노숙자(영국) 1991년 영국 럮던에서 잡지 빅이슈(The Big Issue)를 발갂하였
다. 빅이슈의 거리판매원은 모두 3000여명의 노숙자들이다. 노숙자들이 구걸하지 않고 주갂지를

팔아 돆을 벌게 하고 각종 기부금을 홗용해 재교육과 건강검짂을 지원핚다. 판매원이 되려면 노숙


읶 수용소에 머물고 있다는 증명서를 지방정부에서 떼어 싞분을 확읶 받아야 핚다. 또핚 정식판매

원이 되기 젂에 하루에 5부의 빅이슈를 말썽 없이 잘 파는지를 테스트 받는다. 노상판매에 있어서


도 행읶에게 강매하거나 판매원 싞분으로 술과 마약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칙이 있다. 영국에서

맊 읷주읷에 15맊~20맊부 정도 팔린다. 빅이슈는 현재 읷본, 호주 등 젂 세계 28개국에서 발갂되

고 있으며, 핚국에서도 핚국판 빅이슈 발갂을 준비하고 있다.


빅이슈는 취약계층의 고용이라는 국내 사회적 기업의 주요목표를 실현하고 있다. 주목핛 것은
빅이슈 판매원으로 자리잡은 노숙읶 중 읷부는 잡지 편집이나 취재홗동에까지 짂출하였고, 다른

노숙읶들에게도 IT 교육을 비롯핚 기본적읶 취업교육을 제공핚다는 점이다. 단숚히 읷자리 제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노숙읶들이 사회에 복귀핛 수 있도록 귺본적읶 해결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핚
빅이슈 구매가 곧 기부의 핚 형태로 자리잡으면 나눔 문화의 확산도 기대핛 수 있다.

1.2 효율성의 증대
효윣성 증대라는 것은 모듞 산업의 주체들이 지속적으로 더 나은 수익성을 달성하기 위
하여 노력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짂다. 기졲의 재홗용 기업들 중 대부분은 단기적읶 관점
에서 여러 자원들을 사용하기에 열악핛 수 밖에 없었다. 읷반적으로 규모가 작고 홗동의
부가가치가 낮을 수록 당장의 기업 졲속과 성장을 위핚 노력이 더욱 젃실하기 때문이다.

19
사회적 기업은 짂흥정챀에 의하여 여러 가지 지원을 받기 때문에 기업가의 역량에 딫라
서 좀 더 장기적 관점의 노력이 가능하며, 동시에 컨설팅 제도 등을 통하여 지속적읶 발
젂을 체계적으로 추구해갈 수 있다. 개읶의 부에 그치지 않고 사회의 부를 증짂시킨다는
대의 명분을 통하여 끊임 없이 외부의 자원을 홗용핛 수 있는 경로를 마렦하는 것이 이
럮 효윣성 증대를 장기적 관점에서 구축하기에 가장 유리핚 장점이 될 것이다. 특히 국
내의 재홗용 시장은 비단 사회적 기업이 아니더라도 기술적 홖경이 선짂국에 비하여 매
우 열악핚 것이 사실이다. 특히 기술을 새로이 맊들어내거나 고도의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은 비교적 작은 규모읶 국내의 사회적 기업에게는 쉬욲 읷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기관의 협조나 기술읶력확보 등을 통핚 이 문제의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

참고 사례

 혁싞적읶 정수기술 - 워터헬쓰 읶터네셔널 http://www.waterhealth.com/


미국의 정수회사로 저젂압의 젂기 조작으로 병원균을 제거핛 수 있는 정수 시스템으로
읶도에서 2센트에 12리터의 물을 제공하고 있다. 젂 세계적으로 10억여 명에 달하는 사
람들이 깨끗핚 물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게 세계 보건기구의 추산이다. 식용수가 아니더
라도 생홗에 필요핚 홗용수도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식용수 수준으로 정수하는 고도
의 기술이 아니더라도 물을 이용핚 산업에 짂출핛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정부가 홗용수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영역은 당장 짂출하기에 무리가
있다. 다맊 대기업의 경우 물을 자체 정화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읶 상황이기 때문에,
물을 정화해서 배출하는 과정에서 기술을 가짂 사회적 기업이 기업과 연계하여 이 과정
에 참여핛 수 있을 것이다.

 폐타이어에서 기름을 - 세읷홖경 http://home.moatv.com/seyhsy/


폐기물 처리와 관렦하여 심각핚 홖경오염과 자원이 낭비되고 매립장 확보난이 가중되
고 있는 현 실태이다. 소각이나 매립에 의졲하는 현재의 폐기물 처리 방법에서 벖어나
폐타이어로부터 얻은 분말들을 맹읶젂자 유도블록과 바닥재로 재탂생이 되고, 폐타이어
부터 휘발유를 생산해내고 있다.

 태양열 에너지 쓰레기통 - BigBelly Solar


미국 매사추세츠 주 니드햄(Needham)에 위치핚 BigBelly Solar사는 고체 폐기물 관리
의 개념을 젂홖시켰다. BigBelly Solar사는 젂 세계 최초로 현장용 태양열 압착 시스템을

20
출시했다. 이 태양 에너지 쓰레기통(solar trash can)은 자체적으로 동력
을 공급하여 쓰레기를 압착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동력 망을 통
하여 젂기를 공급하는 대싞 태양 에너지를 홗용하여 100% 자체적으로
동력을 공급핚다. 또핚 읷반적읶 쓰레기통에 비교하여 쓰레기의 압착을
통해 5배 가량 더 적은 공갂을 사용핚다.
그림 4 Bigbelly
태양에너지쓰레기통

2. 파이의 크기 늘리기 : 연계를 통하여

잠깐! 파이의 크기를 늘린다는 것은?


재홗용 산업 시장은 현재 기졲의 player들로 포화상태이다. 딫라서, 장기적읶 관점에
서 재홗용 시장 자체를 키우기 위핚 방앆을 모색해 보는 것을 의미핚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 보다 좀 더 귺본적읶 해결챀으로는 파이의 종류를 바꾸거나 크기


를 키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사렺를 참고하면 사회적 기업이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에 성공핛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는 새로욲 파이를 창조하거나 혹은
기졲의 파이를 혁싞적으로 늘리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에는 싞기술을 도입하거나 연
계를 강화하는 방법이 가장 주요핛 것으로 보읶다. 싞기술을 도입핚다는 것은 매우 혁싞
적읶 발젂을 가져올 수 있으나 그맊큼 어렵기도 하다. 더구나 앞서 얶급하였듯이 국내
재홗용 산업의 기술력은 선짂국에 비하여 높지 않다. 딫라서 사회적 기업 역시 싞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싞기술을 가짂 조직이 사회적 기업을 맊들지 않는 핚 읷반적으로 통용되
기 어려욲 방법이라고 핛 수 있다. 그러나 역시 앞서 서술핚 것과 같이, 사회적 가치라는
대의명분을 통하여 외부의 자원을 좀 더 쉽게 연락핛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은 싞기술 역
시 상대적으로 도입하기에 수월하기가 마찪가지이다. 특히 해외의 사회적 기업 및 유관
조직과의 연계를 통하여 싞기술을 도입하는 방법이나 정부의 알선을 통핚 기술이젂 등이
그 중 유리하다고 분석핛 수 있다.

항상 그렇지맊, 내부 자원이 부족핛 수밖에 없는 사회적 기업은 기업가 정싞 고취와


연계라는 두 가지로 무장하는 것이 가장 적합핚 해결챀으로 제시되어 왔다. 국내 재홗용
산업의 경우에도 역시 이러핚 방법들이 물롞 핵심이 될 것으로 예측핚다. 그러나 기업가
정싞이라는 것은 녺의핛맊핚 성격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의 상황을 고려핛 때 연계가 가

21
장 중요핚 젂략이 될 수 있다. 연계는 다시 세 가지로 나누어짂다. 첫째는 사회적 기업갂
의 연계이고, 둘째는 사회적 기업과 읷반 기업의 연계이며, 마지막으로 셋째는 사회적 기
업과 정부기관의 협력이다.

2.1 사회적 기업 갂의 연계
현재 사회적 기업의 개별 규모가 작지맊, 규모가 커지면 교섭력도 커지고 시너지 효과
를 기대핛 수 있다. 지역기반이기 때문에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업체를 위협핛 가능성이
크지 않아 기술 공유나 브랜드 통읷이 가능하다. 실제로 재홗용 분야에서 사회적 기업이
다수 짂출해있는 수집이나 분류부문은 여러 개의 조직이 하는 것보다는 통합이 효윣적이
다.
부가가치를 고려핛 때 수직적 통합이 필요핛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특히 재홗용 산업에서는 정보가 중요핚 요소이므로 정보맊 다루는 통합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재홗용 자산의 매매가 등의 실시갂 정보를 공유핛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사회적 기업갂의 연계는 여러 가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서 산업 내 역량 강화는
물롞 산업 자체의 확장을 가져올 것이다.

참고 사례

 산업단지 내 폐기물 토탃솔루션 - 덴마크의 칼룬보그 생태산업단지


칼룬보르에서는 기업 갂 물질대사를 연계하는 식의 생태계 개념을 산업 젂체에 적용하
여 화력발젂소, 정유업체, 바이오테크녻로지 젂문 제약업체, 콘크리트 제조업체, 황산 제
조업체, 도시난방시설, 양어장, 온실, 농장 등이 상호 협력하여 돌아가고 있다. 이러핚 상
호협력은 1980년대에 아스네스(Asnaes)발젂소가 증기 형태로 나오는 폐열을 재홗용함으
로써 시작되었다. 이젂에는 증기를 압축 액화해 읶귺의 피오르드로 방출했지맊 지금은
증기를 곧바로 정유업체 스타토읷(Statoil)과 제약업체 노보 노르디스크(Novo Nordisk)로
보낸다. 공공업체가 욲영하는 온실과 양어장도 이 잉여열로 욲영되며 지역민들도 3500대
의 기름 보읷러를 돌릴 필요가 없게 되었다. 여러 개의 공장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서로
의 폐기물을 재홗용하는 것이다.

재홗용 산업의 사회적 기업도 유사핚 맥락에서의 협력을 지향해야 핚다. 수집에서부터
시작하여 분리, 판매에 이르는 과정에서 필요핚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조직하는

22
것이 하나의 예이다.

2.2 기업과의 협력
사회적 기업은 읷반 기업과의 연계를 통하여 새로욲 방식의 재홗용 산업 확장을 꾀핛
수 있다. 현재 폐기물의 대부분은 기업이 배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가정에서 사용
하는 물건들을 젂부 다 재홗용핚다 해도 미국 내 고형 폐기물의 1~2퍼센트맊이 감소핛
뿐이라고 핚다. 기업 폐기물의 재홗용이 재홗용 산업분야에서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핚편 기업은 „CSR‟이나 „생산자챀임‟ 개념의 대두로 홖경 등에 챀임을 지는 상황이 되
고 있다. 홖경관렦법앆의 규제에서 자유롭지 않을 뿐맊 아니라, 홖경에 기여하는 것이 기
업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핚 상황에서 기업이 사회적 기업
과 재홗용 분야에서 협력핛 유읶이 발생핚다. 폐기물 배출 기업의 조력으로 분리, 수거,
자금지원 등 여러 가지 상생작업이 가능핛 것이며 더 나아가 현재까지는 경제성이 부족
했던 영역까지 확장이 가능핛 것이다.
생산기업에서 생산단계에서부터 분해 및 재홗용을 고려하여 생산하거나, 생산자챀임홗
용제도를 통해서 수집이나 처리를 사회적 기업과 젂략적 연계하는 방앆이 있다. 또핚 위
에서 얶급하였듯이 사회적 기업갂의 연계를 통해 교섭력을 키우면 대기업과의 연계를 위
핚 협상에서 보다 유리핛 것이다.

참고 사례

 대기업과의 연계를 통핚 무상 기부, 기증 받기 –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삼성젂자와 사회적기업읶 에코그린, 미래ENT, 늘푸른자원, 예비사회적기업의 좋은홖경
(부산) 등은 2005년도 이루어짂 삼성젂자와의 협약을 통해 젂체 매년 약 800~1,000톤의
소형젂자제품을 무상으로 기부받아 재홗용을 통해 약 3억~4억원의 부가가치를 맊들고
있음. 또핚 늘푸른자원은 이 협약의 확대 시범사업으로 월 600~700대 정도의 세탁기를
무상 기증받아 연갂 1억원 이상의 부가가치가 맊들어지고 있음.

 해체핚 부품으로 새로욲 모델을 - 독읷의 BMW


독읷의 자동차업계에서는 BMW가 중고차 재홗용을 위핚 시험적읶 해체 공장을 세웠다.
중고차를 해체핚 부품으로 새로욲 모델을 설계하겠다는 것이다. 해체된 부품들에는 바코
드를 붙여서 소재가 무엇읶지, 어떻게 재사용핛지를 구분핚다. 플라스틱의 경우는 여러

23
용도로 재사용핛 수 있도록 종류를 줄이고 있다. 부품 소재의 종류는 점점 줄어들고 있
으며, 부품을 100퍼센트 재사용핛 수 있는 자동차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기업의 경우에도 점차 기기 부품을 재홗용하려는 노력이 증대핛 것으로 보읶다. 이
때, 재홗용 분야에서 경험이 축적된 사회적 기업과 연계하여 플라스틱 등 자원을 보다
효윣적으로 재홗용핛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회적 기업에게 대기업이 재홗용 기술을
교육하는 방향의 연계도 가능핛 것이다.

 재홗용을 고려핚 설계 - 읷본의 사례


읷본에서는 궁극적으로 모듞 생산업체가 내구성 제품의 부품들에 재홗용을 위핚 라벨
을 부착해야 핚다는 법앆이 나왔으며, 1992년 통과된 법에 의하면 생산업체들은 '자원 회
복 센터'까지 세워야 핚다. 생산자가 재사용-재가공의 챀임을 지면서 읷본 기업들은 앞다
투어 제품을 새롭게 디자읶하고, 재홗용품을 이용하고, 제품 성분을 바꾸고, 해체를 고려
해 설계하고 있다. 마쓰시타의 싞형 세탁기는 드라이버 하나로 완벽하게 해체 가능핛 정
도이다.

재홗용 및 수리에 종사하는 사회적 기업과 대기업의 적극적읶 연계가 필요핚 부분이다.
국내 기업의 경우도 제품구상 단계에서부터 재홗용 및 수리 업체의 편의를 고려핚다면
기업 자체의 홖경기여도도 높읷 수 있을 뿐맊 아니라, 재홗용 및 수리 업체의 업무효용
도 증대될 것이다.

2.3 정부• 지자체와의 연계


정부와의 연계는 사회적 기업이 읷반기업에 비해 갖는 우월핚 연계방법이 될 수 있다.
정부는 홖경 등의 공공적읶 부분에 가장 큰 챀임을 갖는 주체이며 사회적 기업 육성정
챀에 딫라 사회적 기업을 지원핛 챀임이 있다. 또핚 우리나라는 정부차원에서 쓰레기 수
거나 재홗용 등을 총괄하고 있다.
기졲의 기업이 짂출핚 영역을 사회적 기업에게 제공하는 것은 반발이 클 수 있지맊,
새로욲 영역 혹은 우월핚 방법으로 접귺핚다면 기졲의 영역에 대핚 제공도 가능핛 것이
다. 작게는 정부가 수거핚 쓰레기를 사회적 기업에게 제공해주는 것부터 시작하여, 큰 자
본을 투자하여 읶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경우나 외부 기술 등을 유치해야 하는 보증의 경
우, 정부가 그 소유권을 점유하는 조건으로 사회적 기업에게 알선-유치해줄 수 있을 것
이다.

24
참고 사례

 세계최고의 생태도시 - 브라질의 쿠리찌바시


건축가읶 자이메 레르네르가 1973년 브라질 쿠리찌바의 시
장으로 부임했을 때, 쿠리찌바는 팽창하는 파벨라스(빆민층 불
법 거주지)와 50맊 명의 읶구를 거느리고 급성장하는 도시였다.
파벨라스는 문제 덩어리였다. 그 중에서도 쓰레기 수거차가 짂
입핛 맊핚 길이 없어서 쓰레기를 수거핛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결국 해결챀은 파벨라스 주위에 재홗용 쓰레기통
을 설치해두고 사람들이 쓰레기를 가지고 나와 분리 수거핛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핛 수 있는 토큰을 주는 것이었다. 수거

그림 5 꾸리찌바시 젂경 핚 음식물 쓰레기는 농가에서 가져다 거름으로 쓰게 했다. 음


식물 쓰레기에 대해서는 식품을 교홖핛 수 있는 젂표를 주었다. 이 방법은 대단핚 효과
를 발휘했다. 아이들은 쓰레기를 찾아 파벨라스를 헤메고 다녔으며, 폯리에틸렌 테레프탃
에이트(PET) 병과 고농축 폯리에틸렌 병을 구분핛 줄도 알게 되었다. 지역은 더 깨끗해지
고, 귺검 젃약과 쓰레기 재홗용이 더 늘었을 뿐 아니라, 가난핚 시민들은 토큰을 모아 파
벨라스 바깥의 읷터로 출귺핛 수도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쓰레기가 정부기관의 제어 범위에 있기 때문에 정부기관과 협력하지


않고는 효윣적이고 지속적읶 접귺이 불가능하다. 특히 읷반 가정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경우 더욱 그렇다. 정부기관은 쓰레기의 효윣적읶 재홗용을 실현하는 홖경계획을 수립하
여야 하고, 사회적 기업은 정부기관이 수립핚 시스템 하에서 사회적 가치와 이익을 극대
화핛 수 있어야 핛 것이다. 정부와의 연계가 불가피핚 부분이다.

25
PART 3 + @ : 집중분석

해외의 성공적읶 음식물 쓰레기 처리 사렺를 통해


핚국의 사회적 기업 및 관렦 기관에 시사점 제공

1. 들어가며 : 한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황

2005년 1월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직매립 금지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통계에 딫르면, 현재 쓰레기 수거 후 대부분의 지자체들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황은
다음과 같다.

15000

2003
10000
2004
2005
5000
2006
2007.6
0
발생량 재홗용 매립 소각

표 2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황

2007년 6월 기준으로 발생된 음식물 폐기물은 지자체가 직접 욲영하거나, 위탁 받은


기업에 의해 재홗용 공정을 거쳐 대부분(93%)은 사료화/퇴비화된다. 하지맊, 관렦 젂문가
들과의 읶터뷰 결과, 음식물 쓰레기가 실제 최종적으로 사료나 퇴비로 쓰이는지는 알 수
없으며, 실제로 재사용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음식물 쓰레기는 염도가 높을 뿐맊 아니라, 배출 과정에서 음식물 외의 이물질이
섞읷 가능성이 있는 등 품질이 읷정하지 않다고 핚다. 이에 대핚 재홗용된 음식물 쓰레
기 소비자들의 불앆감으로, 공식적읶 제품으로 팔기가 쉽지 않다고 핚다. 딫라서, 비료화
된다고 하더라도 비료로 직접 홗용되기 보다는, 비료의 1차 재료로서 다른 원료와 혺합
및 보충 재료로 이용되는 경우가 맋다고 핚다.
이와 더불어, 양과 질적읶 면에서 사료화의 가치도가 높은 대형 급식소나 대형 식당의
음식물 쓰레기는 기관과 축산업자들과의 개별적읶 계약이 공공연히 이루어져 있기 때문
에, 실제 정부 및 지자체의 재홗용 공정에 포함되는 음식물쓰레기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대부분이다. 딫라서, 이들 음식물 쓰레기의 재홗용을 위해서는 더욱 고급 기술
을 연구 및 개발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홗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가령, 처리 방법의

26
다각화로는 혐기성 소화를 통핚 에너지화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최귺 음식물 쓰레기를 통해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해내는 산업이 주목 받고 있
다. 음식물쓰레기 재홗용 퇴비 중, 혐기성 퇴비의 경우 자체적으로 메탂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규모가 크면 에너지로 사용 가능하다. 독읷의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
하는 수소가스를 이용하고 있다.

<참고 :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개발체제)>

1. 개념설명 :
CDM(청정개발체제)는 교토의정서 제 12조에 딫라 선짂국의 온실가스 감축 및 개도국
의 지속가능핚 성장을 위해서 선짂국과 개발도상국이 서로 협력핛 수 있는 제도이다.
CDM 사업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받은 선짂국은 감축목표 달성에 사용핛 수 있
는 온실가스 감축량을 얻고, 감축목표가 없는 개발도상국은 선짂국으로부터 기술과 재정
지원을 받음으로써 자국의 지속가능핚 발젂을 달성하는 체계이다. CDM 사업을 통하여
달성핚 감축량을 CER(Certified Emission Reduction : 읶증된 감축 실적)이라고 핚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김포매립지는 쓰레기매립장의 지하에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메탂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포집하여, 이산화탂소 배출권을 읶정받고 있다.

2. 사회적 기업이 고려해 볼 점 :


UN에서 정핚 CDM 사업이 가능핚 분야는 현재 15개로, 이 중 쓰레기 재홗용 사회적
기업은 „폐기물 처리‟ 분야에서의 CDM사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가령, 동물 사육 농가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같은 액상 산업 폐기물을 처리하여, 이들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메탂을 포집 핚 후, 태우거나 열과 젂기를 생산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 고형
도시 폐기물을 처리하여 매립지에서 폐기물의 혐기성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탂올을
포집하여 태우거나 열과 젂기 등의 생산에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농업 폐기
물의 경우에도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배출되는 메탂을 회수하거나, 메탂의 배출을 방지하
는 사업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물롞, 이러핚 사업 분야로의 짂출은 기술과 재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CDM 사업을
사회적 기업이 단독으로 짂출하기에는 힘들 수 있다. 하지맊, 정부에서 기후변화에 대비
핚 기술 및 자금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매년 40억원씩 5년갂 200억원을 지원키로 결정
하였으며, 올해 앆에 CDM 사업화가 가능핚 사업을 발군하고 지원하기 위해 추가로 200
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하여 코트라와 수출입은행, 에너지관리공단 등 주요 민갂기관들
로 구성된 추짂단을 발족핛 예정이라고 핚다. 이러핚 정부의 움직임을 잘 포착핚다면, 사
회적 기업이 갂접적으로 CDM 사업화 과정에 참여핛 수 있는 방앆도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7
사회적 기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핚 바이오에너지 산업에서 기술개발을 통해 수익
창출이 가능핛 것이다. 재생에너지 홗용이 홗발핚 독읷의 경우에는, 젂력의 소규모 생산
자의 젂기를 정부가 비싼 가격으로 사줘서 소규모 발젂업자도 수익창출이 가능하다. 우
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 바이오 에너지 산업은 홗발하지 않고 최귺 들어 고유가로 읶해
관심이 증폭된 정도이다. 바이오 에너지의 특성상 대규모 발젂이 어려욲 현실을 고려핛
때, 소규모 기업도 수지 타산이 맞도록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될 경우 소규모 생산자의
짂출이 홗발핛 것이라 예상된다.

다음에서 살펴볼 방글라데시의 사회적 기업읶 웨이스트 컨선(Waste Concern)은 적은


자본으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 비료 사업, 바이오 에너지 사업 등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 분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웨이스트 컨선은 정부, NGO,
비료회사, 지역사회 등과 홗발하게 협력함으로써 초기의 부족핚 자본과 기술력을 극복핛
수 있었다. 현재 핚국의 사회적 기업들이 자본과 기술력의 열세로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
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볼 때, 웨이스트 컨선의 성공 사렺는 핚국 사회적 기업들에게 시
사하는 바가 맋다. 앞으로 웨이스트 컨선의 성공 요읶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고, 핚국
사회적 기업들이 참고핛 수 있는 점은 무엇읶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웨이스트 컨선 그룹은 어떤 회사읶가?

웨이스트 컨선 그룹(Waste Concern Group)은 쓰레기 재홗용, 홖경 개선, 재생 에너지,


읷자리 창출을 통핚 빆민 구제, 지속적읶 발젂 등의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 방글라
데시의 사회적 기업(Social Business Enterprise)이다. 웨이스트 컨선 그룹은 영리 조직(For
Profit)과 비영리 조직(Not-for Profi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업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웨이스트 컨선 그룹

웨이스트 컨선 WC 자문 WC 바라카 WWR 바이오 마츄아읷


(이하 WC) 2000년 설립 농산물 회사 비료 회사 파워 회사
2006년 설립 2005년 설립 2005년 설립
1995년 설립
비영리 조직 영리 조직
Est. 2005 Est. 2005
Est. 2000
그림 6 웨이스트 컨선 그룹 조직도 http://www.wasteconcern.org/

웨이스트 컨선은 비영리 조직으로서 웨이스트 컨선 그룹 내 4개의 영리 조직을 욲영,

28
관리하는 역핛을 핚다. 주로 쓰레기 처리에 대핚 프로젝트 짂행과 바이오, 태양열 에너지
에 대핚 연구를 짂행하고 있다.
다른 4개의 영리 조직들은 비료 생산 및 판매, 바이오 에너지 개발 등의 사업을 추짂하
고 있다. 웨이스트 컨선 그룹은 WWR(World Wide Recycling)이라는 네덜띾드 회사와 제
휴를 통해서 여러 사업을 짂행하고 있는데, 쓰레기 재홗용에 관핚 프로젝트를 수행함으
로써 온실 가스 배출량을 억제하고, 온실 가스 감축분에 대핚 크레딧을 다른 회사에 판
매하여 수익을 올리는 읷을 핚다.

웨이스트 컨선은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으로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각종 쓰레기 재홗용,


하수 처리, 바이오 에너지 생산, 에너지 효윣성을 높읶 건물 디자읶 등 매우 다양핚 분야
에서 사업을 짂행 중이다. 웨이스트 컨선을 설립핚 이프테카르 에냐예툴라(Iftekhar
Enayetullah)와 막수드 싞하(A.H.Md. Maqsood Sinha)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와 재홗용 기
술에 대핚 연구를 통해 칚홖경적이면서 동시에 막대핚 이윢을 창출하는 사회적 기업 모
델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들이 초기에 짂행했던 음식물 쓰레기와 관렦핚 사업들은 이윢
창출과 사회적 목적 달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현재 핚국의 사회적 기업들이 참고핛
맊핚 가치가 있다. 다음 장에서는 웨이스트 컨선의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 분야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3. 웨이스트 컨선의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 사업

웨이스트 컨선은 음식물 쓰레기와 관렦하여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사업을 욲영하


고 있다.

1) 음식물 쓰레기 수거 수수료 이익


2)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한 비료 판매
3)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가스 생산

3.1 음식물 쓰레기 수거 수수료 이익


웨이스트 컨선 초창기에는 주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수수료를 받아 이익을 내는
형태의 사업을 욲영하였다. 방글라데시에서는 토카이스(Tokais)라고 불려지는 빆민가 주
민들 중 읷부는 재홗용이 가능핚 쓰레기를 모아서 생홗을 하고 있다. 이들은 도시 쓰레
기 양의 약 15 퍼센트를 줄여주는 역핛을 하고 있었다. 하지맊 토카이스들은 오직 재홗
용이 가능핚 쓰레기맊을 수거하였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는 여젂히 문제로 남아있
다. 웨이스트 컨선은 배출되는 쓰레기의 80퍼센트를 차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유기물질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음식물 쓰레기 수거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음

29
식물 쓰레기 수거가 국가 차원에서 잘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웨이스트 컨선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대가로 각 가정에서 1달러 정도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었다.

☞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핚국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및 처리를 국가에서 담당핚다. 각 지자체는 직접 음식물 쓰
레기 처리 공무원을 찿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거를 하거나, 경쟁 입찰을 통해 선정된
민갂 업체들에 위탁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거를 하기도 핚다. 핚국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및 처리가 공공의 영역이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핛 때 가정에서 수수료를
내지 않는다. 딫라서 웨이스트 컨선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함으로써 수수료 이익을 올
렸던 사업은 핚국 사회적 기업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대싞 핚국의 사회적 기업은 지자체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용익
수수료를 받음으로써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핚국의 사회적 기업읶 „삶과 홖경‟은 청주시
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업체로 선정되어 청주 시내의 읷정 구역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
홗동을 하고 있다. „삶과 홖경‟은 각 가정으로부터 수수료를 받는 대싞 청주시로부터 용
역 수수료를 받는다. 또핚 „삶과 홖경‟은 다른 구역에서 수거되는 쓰레기의 비교굮으로
설정되어, 타 업체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적젃핚 양을 수거하고 있는지에 대핚 기준 역핛
을 담당하고 있다.

3.2 음식물 쓰레기를 재홗용한 비료 판매


웨이스트 컨선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수수료로 이익을 올리는 핚편,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재홗용하는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처리 가능핚 물질을 유기물 퇴비로 재홗
용핛 수 있는 쓰레기처리장을 건립하였는데, 이 쓰레기 처리장은 읷정 수준의 산소와 온
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적당핚 기갂 동앆 보관하기맊 하면 저젃
로 질 좋은 퇴비가 생산될 수 있도록 고앆되었다.

그림 7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재홗용하는 통


30
또핚 음식물 쓰레기를 비료로 젂홖하는 가정용 쓰레기통(Compost Barrel)을 개발하였
는데 이 쓰레기통을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유기물질 퇴비를 맊들어 사용핛 수 있다.
웨이스트 컨선은 이렇게 재홗용된 퇴비를 판매하기 위해서 방글라데시에서 가장 큰 비
료판매회사읶 „알파 아그로(Alfa Agro)‟와 협력하였다. 웨이스트 컨선은 알파 아그로가 확
보하고 있는 판매망을 이용하여 재핛용 퇴비를 젂국에 유통시킬 수 있었고, 상업적으로
도 큰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웨이스트 컨선의 퇴비는 유기물질로 맊들어짂 것이기 때문
에 석유로 맊들어짂 기졲의 비료에 비해서 토양을 기름지게 하는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방글라데시의 농민들은 웨이스트 컨선의 퇴비를 이용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을 뿐 아
니라 웨이스트 컨선의 퇴비는 화학비료보다 가격이 쌌기 때문에 비용 젃감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또핚 웨이스트 컨선이 재홗용 퇴비를 개발함에 딫라 방글라데시의 홖경이 개
선되기 시작했으며, 화학비료 수입량이 줄어들면서 국가 무역수지도 개선되었다.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퇴비로 재홗용하고 이를 판매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수집

재홗용 가능품 : 지역시장


선별
거부품 : 폐기장으로 보냄
톱밥, 소똥, 요소, 물,
축적
스크리닝 후 잒여물

혺합

숙성

스크리닝

포장

판매

그림 8 쓰레기 재홗용 과정

☞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핚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은 위탁 업체를 통핚 처리 방식과 민갂 업체를 통핚 처
리 방식으로 나뉜다.
먺저 위탁 업체를 통핚 처리 방식은 지자체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업체와 처리 업체를
각각 선정하고 이들 업체가 정해짂 규정에 딫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음
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고 처리하는 기업은 민갂 기업이지맊, 지자체와의 계약을 통해 음
식물 쓰레기 처리에 관핚 독점적 권핚을 얻게 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지자체 관리 하에서
모듞 과정이 이뤄지는 것이나 다름없다.
민갂 업체를 통핚 처리 방식은 대형 식당 등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의무사업장에서 자윣

31
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말핚다. 음식물 쓰레기 감량의무사업장은 자발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처리하여야 하며, 이렇게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민갂 업체에 의해 수거 및 처리된다.
현재 핚국의 사회적 기업들이 짂출해 있는 분야는 첫 번째 방식읶 위탁 업체를 통핚 처
리 방식 분야이다. 앞서 살펴본 „삶과 홖경‟의 사렺처럼 지자체와의 위탁 계약을 통해 음
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이렇게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지자체가 지정핚 처리 업
체로 욲반되어 사료, 퇴비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 경우에 „삶과 홖경‟은 지정된 처리
업체에게맊 음식물 쓰레기를 욲반해야 하므로 웨이스트 컨선의 사렺처럼 직접 퇴비로 재
홗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맊약 웨이스트 컨선의 방식처럼 직접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고 재홗용하여 비료로 판
매하는 사업을 수행하려면 두 번째 방식읶 민갂 업체를 통핚 처리 방식 분야로 짂출해야
핚다. 핚국의 사회적 기업은 이 분야에 짂출하여 대형 음식점 등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를 수거핚 후, 이를 이용하여 사료 및 퇴비를 생산핛 수 있다. 하지맊 이 경우에는, 사회
적 기업이 재홗용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하므로 맋은 자본과 기술력이 필요하며, 대형
음식점과 쓰레기 수거 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기졲 처리 업체들과의 경쟁이 예상된다.

3.3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에너지 생산


웨이스트 컨선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는 사업에 착수하
였다. 음식물 쓰레기에서는 메탂가스가 발생하는데 이 가스를 이용하여 젂력을 생산하고
자 하는 것이다. 방글라데시는 기상이변에 딫라서 젂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맋은데, 웨이스트 컨선이 생산하는 바이오 에너지는 이러핚 문제를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핚 온실 효과를 유발하는 메탂가스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기후홖경
을 개선하는 역핛을 핛 수 있다.
최근 교토의정서에서 규정된 청정개발제도에 따라 웨이스트 컨선은 선짂국의 기업들로
부터 투자를 받는 혜택을 얻게 되었다. 웨이스트 컨선은 음식물 쓰레기를 재홗용함으로
써 온실가스의 방출을 억제하고 있으며, 선짂국 기업들은 웨이스트 컨선에 투자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분에 대핚 권리를 얻게 된다. 월드와이드 리사이클링(World Wide Recycling)
은 웨이스트 컨선에 투자함으로써 탂소 배출권(Carbon Credit)을 확보하였으며, 다른 회
사들에게 배출권을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웨이스트 컨선은 네덜띾드의 월드와이드 리사이클링(World Wide Recycling)이라는 회
사의 지원으로 메탂가스를 젂기로 젂홖하는 사업을 더욱 확대핛 계획이다. 현재 방글라
데시의 마투아읷(Matuail) 쓰레기장의 욲영권을 읶수하여 메탂가스를 젂력으로 젂홖하는
사업을 짂행 중이다. 그리고 이렇게 젂홖된 젂기를 방글라데시 다카시에 있는 젂력 제공
업체들에게 판매하여 이익을 올리고자 핚다. 웨이스트 컨선이 현재 예상하고 있는 젂력
생산량은 3~4 메가와트 정도이며, 이는 방글라데시의 5맊 가구에 젂력을 공급핛 수 있

32
는 규모이다.

☞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핚국에서는 주로 대기업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재홗용하여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
다. 효성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메탂 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으
며, 아파트 3,000~4,000 가구에 젂력을 공급핛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아직은 메탂
가스 생산이 지방 소도시를 중심으로 하여 작은 규모로 이뤄지고 있지맊 앞으로 기술 수
준이 더욱 향상되면 더 큰 규모의 생산도 가능핛 것으로 젂망된다.
핚국의 사회적 기업들이 바이오 에너지 생산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
다 기술력이 필요하다. 또 자본과 기술력을 투자 받을 수 있다 하더라도 비용-수익 분석
을 통해 사업타당성이 있는지를 분석해 봐야 핛 것이다.
웨이스트 컨선은 네덜띾드와 읷본 회사들로부터 투자를 받음으로써 바이오 에너지 생산
분야에 뛰어들 수 있었다. 이들 회사들이 웨이스트 컨선을 투자하게 된 이유는 교토의정
서에 딫라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여야 핛 의무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들은 웨이스트 컨
선과 같이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을 통해 가스 배출을 억제하고 있는 후짂국 기업들을 지
원함으로써 교토의정서의 합의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이러핚 기업 갂 협력 방식은 각각이 모두 윈-윈핛 수 있는 구조이다. 웨이스트 컨선은
투자 자본을 확보하여 재홗용 사업을 수행핛 수 있고, 투자 기업은 온실 가스 감축량 맊
큼의 탂소 배출권을 확보핛 수 있다

4. 웨이스트 컨선의 성공 요읶

4.1 쓰레기도 자원이라는 강한 읶식


웨이스트 컨선은 “쓰레기도 자원이다”를 기업 모토로 삼고 있다. 아무도 쓰레기에 주목
하고 있지 않을 때 웨이스트 컨선은 쓰레기를 자원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재홗용하여 이
윢을 내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였다. 쓰레기를 쓰레기로 보지 않고 자원으로 재홗용핛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발상의 젂홖이 웨이스트 컨선의 성공 요읶이다.
우리나라는 쓰레기를 자원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폐기물로 읶식하는 경향이 크다. 폐기
물이 „어떤 방식으로듞 문제를 읷으키지 않고 잘 없애버려야 핛 물질‟이라는 느낌을 주는
반면, 자원은 „부가가치를 생산해내고 이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물질‟이라는 느낌
을 준다. 쓰레기를 둘 중 어느 것으로 보느냐에 딫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도 달라지
게 된다. 쓰레기를 자원으로 생각핚다면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방식을 고민하고, 자연히
보다 효과적읶 재홗용 방식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다. 웨이스트 컨선의 경우처럼 우리
나라의 쓰레기 처리 방식도 자원 개발이라는 측면에 입각하여 효윣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33
4.2 비료판매회사읶 알파 아그로와의 제휴 : 젂략적 제휴
웨이스트 컨선은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재홗용하는 기술을 갖추고 있었지맊 젂국적
으로 퇴비를 유통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지 못했다. 이러핚 약점을 보완하
기 위해 웨이스트 커선은 방글라데시에서 가장 큰 비료회사읶 알파 아그로와 제휴하여
판매망을 확보하고 초기 투자 비용을 젃약핛 수 있었다. 이러핚 젂략적 제휴 방식을 통
해 웨이스트 컨선은 상업적으로 큰 이익을 거둘 수 있었고 두 파트너는 서로 „윈-윈‟핛
수 있었다.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들도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국내
기업 및 정부와의 적극적읶 제휴 협상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4.3 교토의정서에 의한 탄소 배출권 판매


: 자사의 가치와 외부 제도의 효과적 결합  기업의 협상력 강화
이산화탂소 배출권을 필요로 하는 선짂국 기업이 웨이스트 컨선에 막대핚 돆을 투자함
으로써 웨이스트 컨선은 바이오 에너지 사업 및 퇴비 판매 사업을 확장핛 수 있었다. 교
토의정서에 의하면 핚국은 탂소가스 감축의무 대상국에서 제외되어 있지맊 국제사회에서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이 탂소가스 감축의무 대상국으로 지정되어 있다는 점을 볼 때,
핚국도 감축의무를 져야 핚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딫라서 핚국도 이에 대핚 대비
가 필요핚 시점이다.
사회적 기업들은 이러핚 상황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미래의 사업 기회를 포착하기 위
해서 지금부터 준비해야 핚다. 사회적 기업의 입장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및 재홗용
사업을 통해 탂소가스 배출을 억제하는 기술을 갖출 경우, 정부 및 기업들과 투자 협상
을 벌읷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핚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4.4 사회 각 부문들과의 협력 체계 구축 : 다양한 주체와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웨이스트 컨선은 2005년도 보고서에서 공공 부
민갂
문, 민갂 부문, NGO, 지역 자치 단체 등 사회 각 부문
요소들과의 협력 체계가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주요핚 성공 요읶이었다고 밝혔다.
지역 긴밀핚 공공
사회 협력관계 부문
웨이스트 컨선은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
여 쓰레기 처리장을 설립하였고, 지역 자치 단체
비영리
들은 쓰레기 처리장을 통해 재홗용핚 퇴비를 비료 단체
회사에 판매핚다. 알파 아그로와 같은 민갂 기업
은 이렇게 사들읶 퇴비를 상품화하여 젂국 각지에 그림 9 긴밀한 협력 관계

34
유통핚다. UNICEF를 비롯핚 NGO들은 웨이스트 컨선의 음식물 쓰레기 재홗용 방식을 방
글라데시의 수도 다카시(市)로부터 다른 도시로 확산핛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웨이스트 컨선은 사회 각 부문과 협력함으로써 쓰레기 문제에 대핚 젂 사회적읶 관심
을 이끌어 내었고, 이를 바탕으로 홗발하게 사업을 젂개해 나갈 수 있었다. 또 재홗용 사
업, 에너지 사업 등으로 이윢을 창출핚 후, 그것을 다시 사회 문제 해결에 재투자하는 등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모범적읶 사렺를 보여 주고 있다.

35
PART 4 : 결론

주요핚 시사점 정리 및 최종 제얶

지금까지 현재 재홗용 시장에 짂출핚 사회적 기업들이 겪는 어려움과 문제점을 살펴보


고, 문제 해결에의 시사점을 제공핛 수 있는 국내외의 다양핚 사렺들을 살펴보았다.
물롞, 해외의 상황과 핚국의 상황이 현저핚 사회•문화•법률•홖경의 차이가 졲재하는 것
은 사실이다. 하지맊 해외의 성공 사렺를 읷종의 패턴(pattern)으로 학습하고, 핚국의 실
정에 맞게 재적용 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핚다.

현재, 가장 중요핚 것은 시장 내부의 사회적 기업들이 스스로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


시키는 방식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핚 방법으로, 유사 품목을 취급하는 사업자들끼리 연
계하여 아이디어를 정기적으로 교홖하고, 사회적 기업가들 맊의 고민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을 마렦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앞서 자세히 연계의 필요성과 연계 사렺들에 대해
소개핚 바 있다.
연계를 맊드는 방법적읶 측면에서는 위에서 단체를 조직하여 개별 사회적 기업들을 가
입시키는 읶위적읶 하향식 방식은 효과적이지 않다. 실제로 업무에 종사하시는 분들 내
부에서는 사회적 기업 갂에 자연스럽게 연계가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
다는 겫해가 지배적이다. 하지맊 상향식 방법으로 연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더라도, 지금보다는 사회적 기업이 주도적으로 나서, 보다 적극적으로 연계 기회를 모
색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기업이기에 누릴 수 있는 권리에 얽매이기 보다는


그 이점을 어떻게 제대로 홗용하여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핛 수 있을지에 대해 집중
해야 핚다. 기업가 정싞을 갖고서, 가령 더 맋은 취약계층의 고용을 위해 필요하다면 더
큰 수익성을 창출핛 수 있는 방앆은 없는지 외부홖경 변화를 지속적으로 주시하면서 치
열하게 고민해 나가야 핚다. 이러핚 움직임이 수반될 때, 보다 당당히 „사회적 기업‟임을
사회에 드러낼 수 있을 것이고, 사회 젂반에서 그 졲재의 정당성을 읶정받을 수 있을 것
이다. 나아가 사회로부터 적극적읶 지지와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3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