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2007.

본2 1학기 중간고사 전 한방병리학 수시고사

1. 한방병리학의 정의 중에서 한의학적 해석의 체계에 대하여 설명을 하시오

2. 한방병리학은 관찰방법과 특징에 근거하여 세 가지로 나누어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을 설명하시오

3. 동서양의 서로 다른 질병관의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4. 이동원과 섭천사의 비위분치의 내용을 구별하여 설명하시오.

5. 주단계 상화론의 내용을 상과 변의 관계로 나누어서 설명하시오.

6. 을계동원론의 병리학적 의의를 설명하시오.

7. 병인의 개념을 원인, 소인, 유인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8. 수토불복의 병리학적 내용을 설명하시오.

9. 병인간의 상호관계를 설명하시오

10. 병인의 종류를 발병근거와 발병조건에 의거하여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11. 인과석인의 인식과정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시오.

12. 이동원의 병리변화 중에서 승강상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장상使閱의 병리학적 의의를 성명하시오.

14. 담어동원의 병리학적 의의를 설명하시오.

15. 광조원이 분류한 병인의 종류를 기술하시오.

16. 주단계와 장경악의 음기와 양기의 유여부족 차이점을 구별하여 설명하시오.

17. 육음병인의 일반적 특성을 기술하시오.

18. 육기의 생리(상), 병리적(변)인 의의를 설명하시오.

19. 한방병리학의 술어인 변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임상소견을 포함한 환자의 각종 증거를 종합,귀납,분석하여 진단치료를 하는 것이다.
②인체의 병리공능태를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개괄적인 인식이라 할 수 있다.
③각종 발병인자에 의해 일어난 비특이적인 반응, 즉 질병의 공성을 반영한다.
④병인이나 부위, 사정성쇠 등의 여러 병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20. 증의 특성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定型性
②時宜性
③整體性
④整系性
⑤表象性
21. 다음의 병기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心火上炎則盜汗遺精
②肝氣憤逆克犯脾土則吐瀉
③木火刑金則胸痛喀血
④膽火上逆則口苦咽乾
⑤肝氣鬱滯則脘腹協助乳房脹痛

22. 소문의 지진요대론에 나타난 19병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風
②寒
③暑
④濕
⑤燥
⑥火

23. 다음의 병기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肺氣失于宣降 - 上逆而喘
②肺氣壅塞, 肅降失司 - 水道不利, 小便不利, 水腫,
③脾氣不升 - 自利, 水腫, 便秘, 崩漏, 滑胎
④胃失和降 - 噯氣, 呃逆, 惡心, 脫肛, 脫腸
⑤心火下降 以暖腎水 - 腎水不寒

24. 다음의 승강실상의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脾能升淸, 必賴胃能降濁
②腎水上騰, 心火方能潛降
③膽之通泄下降, 須達肝氣升發疎泄正常
④肺肅降와 肝藏血과의 關係
⑤肺의 肅降과 大腸의 傳導作用關係
⑥肺의 主氣와 腎의 納氣

25. 하간의 학설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主火論인 六氣皆從火化, 五志過極化火를 주장하였다
②火熱을 人火와 龍火로 구분하여 병기를 설명하였다.
③主火파, 寒冷파이다.
④황련해독탕, 방풍통성산을 다용하였다.
⑤풍한조습이 변화하여 火化生熱하거나 火熱이 風寒燥濕을 발생케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