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Welcome to

a new movement
한국기독교를 새롭게 하는 지성운동의 산실이자 인재발전소 청어람아카데미입니다.
하나님 나라는 교회보다 큽니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를…
(Your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이제 영혼구원과 사회의 회복이란 건강하지 않은 이분법을 뛰어넘어
청어람아카데미
02

제1단계_ 한국기독교를 새롭게 하는 100개의 대중강좌

청어람아카데미는 2005년 가을 출범이래 약 60여 개를 넘는 강좌와 행사를 기획하여 선을 보이면서 그간 한


국기독교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경계를 개척해왔다. 인문학, 신학, 문화예술, 정치사회 등의 주제로
종횡무진 그 영역을 넓혀왔고, 새로운 생각을 자극하고, 새로운 방향을 가늠하는 시대의 방향감각을 형성하는
장이 되고 있다. 지금도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만나는 장은 펼쳐지고 있다. 우리는 앞으로 100개의 강좌가
1000개의 영역으로 10,000명의 사람들로 전환되어 한국기독교를 새로운 상상력으로 빚어내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제2단계_ 한국기독교의 지형을 바꾸어 놓을 100개의 행동그룹

가장 확실한 배움은 스스로 행하는 데에 있다. 배움의 절대량이 쌓이고 농축되면 이는 실천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말씀이 육신이 되는 일’은 오늘날에도 일상다반사로 일어나야 한다. 지난 20년간 한국기독교
가 해외선교의 대대적인 확장을 지향하며 양적 측면의 선교를 경험하였다면, 적어도 앞으로 한 세대는 삶의
각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 가치를 실천하고 사는 삶이 어떤 것인지 증거하는 질적 측면에서 ‘회심’과 ‘선
교’를 추구하게 될 것이다. 청어람아카데미는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이런 근거지를 마련하고자 시도하는
다양하고도 과감한 노력을 지원하고, 소개하는 장을 대대적으로 마련할 것이다.
청어람아카데미
03
제3단계_ 아카데미아와 씽크탱크

한 시대를 감당하고, 다음 세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지식이 전수되고, 축적되는 공간이 필요하다. 기존의 제
도권 교육기관이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기 위해서라도 대안적 교육과 연구의 장은 필요하다. 한국기독교가
배출한 최고 수준의 학자들이 다음 세대를 책임질 이들을 만나는 ‘아카데미아’를 설립하는 것은 이 운동의
수준을 한 단계 격상시키는 일이 될 것이며, 동시에 이 운동이 지속적인 지식생산과 전수의 근거를 사회적으
로 확보하는 일이 된다. 과거의 모든 운동은 그 정신을 심화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아카데미아’를 형성하
는 것으로 정점에 도달하였다. 또한 ‘아카데미아’가 상아탑의 이상에 머물지 않기 위해 사회에 몸을 부대
끼며 개입하는 한 양상을 ‘씽크탱크’에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이 전문영역에서 대안을 창출하여 발언하는
장을 마련하는 것 없이는 비전문가들이, 기본 소양도 없이, 맥락을 모른 채 발언하는 현실을 바꿀 수 없다.

한국 기독교는 지금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하나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보고 있다.


만나지 못했던 도전과 듣지 못했던 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씀처럼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생명력 왕성한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너끈히 담아낼
새 부대를 준비하는 일이다. 청어람아카데미는 바로 이 일을 위해 달려가는 새로운 시대의 주자
들에게 기꺼이 이 일에 뛰어들도록 초청하고자 한다.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청어람아카데미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등등등
청어람 소개
연혁
04

등등등

섬기는 사람들

양희송 [대표기획자]
서울대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했고, 영국 Trinity College, Bristol에서
신학 BA를, London Bible College(LBC)에서 신학 MA를 마쳤다.
월간 <복음과상황>의 편집장 및 편집위원장을 지냈고,
2005년부터 청어람아카데미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박준용 [문예아카데미 프로그래머]


총신대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한양대에서 연극영화학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마쳤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양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한양대 ‘최우수 강의상’을 받기도 했다.
청어람아카데미의 문화예술 분과를 기획하고, 매 학기 강좌를 맡아 열띤 강의를 선보이고 있다.
최근 저서 <씨어터홀릭>(한양대출판부, 2009)을 출간했다.
“호랑이가 놀 수 있게 백두산을 만들고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남강 이승훈 장로님을 존경합니다. 남강께서 하신 일 중에 오산
학교를 세우신 일을 제일 부러워합니다. 남강께서 일제강점기에 오산을 세우
신 까닭은 해방이 되었을 때 나라를 이끌어 갈 지도자를 키우기 위함이었습니
다. 오산에는 오산가라는 노래가 있었습니다. “백두산서 자란 범을 백두호
라고 범중에 범으로 불리느니라. 너희들은 오산에서 자라났으니 어디를 가든
지 오산이로다.” 저는 오산 출신이 아니지만 그 노래를 생각하면 제 가슴에
도 피가 끓습니다. 부족하지만 늘 하나님을 사랑하고, 사람을 사랑하고, 교회
를 사랑하고, 나라와 민족을 사랑할 줄 아는 젊은이를 키우고 싶었습니다. 백두산 호랑이 같은 사
람을 키우고 싶었습니다. 그 단순하지만 분명한 꿈을 가지고 청어람 아카데미를 열었습니다. 하나
님이 그것을 아십니다. 그래서 저는 하나님께서 반드시 우리 청어람아카데미를 꼭 그렇게 축복해
주실 줄을 믿습니다.

저는 시편 87편을 좋아합니다. 특히 시온에 대하여 말하기를 “이 사람 저 사람이 거기서 났다고


말하리니 지존자가 친히 시온을 세우리라” (시편87:5) 말씀 중 이 사람 저사람이 거기서 났나니
라는 말씀이 좋습니다. 저는 청어람에서 이 사람도 나오고 저 사람도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말 그
대로 청출어람 청어람 (靑出於藍 靑於藍) 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새로 마련한 건물에 청어람(靑

청어람아카데미
於藍)이라는 간판을 세우면서 그 앞에 <푸른 의의 나무가 가득한 세상 우리 함께 보리라>는 글을
써 넣었습니다. 저는 우리 청어람에 하나님을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이 시대의 스승과 제자들
이 모여왔으면 좋겠습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세상과 사람을 사랑하는 일에 백두산 호랑이처럼 자
신을 헌신하기를 원하는 젊은이들이 우리 아카데미에 많이 몰려 왔으면 좋겠습니다. 정치, 경제,

05
문화, 예술, 교육, 사회 전 분야의 인재들이 모여들고 길러지는 요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김동호_ 높은뜻교회 대표, 청어람아카데미 원장

전성민 [신학아카데미 프로그래머]


서울대에서 수학을 전공했고, 캐나다 Regent College에서 석사과정을 마쳤고,
영국 Oxford대학에서 구약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도킨스의 망상>(살림, 2008)을 번역했다.

장진호 [정치아카데미 프로그래머]


서울대 사회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Illinois 주립대(Urbana-Champaign)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으로 있고, 신장섭-장하준 교수의 저서 <주식회사 한국의 구조조정>
(창비, 2004)를 번역했고, 국제 정치와 경제를 다룬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정수현 [청어람아카데미 간사]


한동대에서 언론정보문화학과 국제정치학을 전공했고, 2008년 봄부터 청어람아카데미 간사로 활동하고 있다.
청어람아카데미
06 Knowledge

청어람강좌 _ Lectures
세상이 단순한 흑백 논리로 구성된 것이 아니고, 진실은 껍질 아래 깊이 숨어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을 위한 도전,<청어람 강좌>. 인문학, 사회운동, 예술 등 각 영역에서 꼭 만나볼 만한 분들을
대중과 연결시키는 청어람아카데미의 간판 프로그램.

2006 레비나스 읽기: 타인의 얼굴을 들여다보라 (강영안 교수)

2007 기독교와 다섯 개의 궁극적 질문: 사도신경 첫 줄 강해 (강영안 교수)


2007 신과 인간의 경계: 교회사의 잊혀진 이름들, 다시 살아오다 (김상근 교수)
2007 아프가니스탄의 길을 걷고 있는 예수: 문명충돌 선교나, 문명융합 선교냐? (김상근 교수)
2007 세계를 정복하려거든 지도를 사라: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 세계관 (양희송 기획자)

2008 영화야 조용해라, 감독님 말씀하신다. (김명준, 정윤철, 김영남, 민병훈, 신동주 감독)
2008 나의 노래는 어디에 있는가? 자유의 시, 저항의 노래 (김근, 김회권, 황병구, 홍순관, 김성한, 민호기)
2008 복음주의의 재구성 (Reconstructing Evangelicalism) (양희송 기획자)

2009 십계명의 귀환, 아직 이야기가 끝나지 않았다 (강영안 교수)


문예아카데미 _ Art & Culture
“세상을 바라보는 감수성의 변화 없이 세상의 변화는 없다”
문화예술을 읽어내는 안목을 기본부터 키워주고, 평소 묻고 싶었던 것들을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도록
찬찬히 안내해주는 친절한 강좌들. 듣고, 보고, 체험하는 오감만족의 선택.

2005 영화의 관찰과 해석법 워크숍 (유재희 영화평론가)


2005 연극, 기독교 미학과의 조우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6 영화독본-Eye Wide Open (최은 강사)


2006 영상제작 워크숍 Can You Speak I.M.A.G.E.? (박웅진 연구원, 한병선 대표, 추철수 간사, 장승규 간사)
2006 현대문화, 미학으로 읽고 세계관으로 푼다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6 대중문화 속 시각예술, 꼭꼭 숨어도 보인다 (백기영 강사)
2006 대중문화이론: 타인의 시선을 읽다 (정종은 강사, 송태현 문화평론가)
2006 영상제작워크숍: Can You Speak I.M.A.G.E.? (박웅진 연구원, 한병선 대표, 추철수 간사, 장승규 간사)
2006 기독교 문화관과 미학 그리고 내러티브의 만남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6 영화독본: 영화, 그 진실 혹은 거짓 (최은 강사)
2006 서양미술: 신과 미술의 죽음을 파헤치다 (전한호 강사)

2007 영상제작워크숍: 내가 만든 UCC (박웅진 연구원 한병선 대표, 추철수 간사, 라인경 간사)
2007 기독교 미학과 내러티브의 만남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7 기독교문학과 6인의 작가들 (송태현 문화평론가)
2007 좋은 영화 찾아보기, 나쁜 영화 골라 보기 (최은 강사)
2007 서양미술: 신과 미술의 죽음을 파헤치다 (전한호 강사)
2007 키워드로 찾아가는 현대미술 (유승덕 교수)

청어람아카데미
2007 크리스천, 세상 속 내러티브와 만나다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7 월드 뮤직, 세상을 향해 창을 열어라 (심영보 PD)
2007 영상제작워크숍: 내가 만든 UCC, 세상을 바꾼다 (박웅진 연구원, 양희송 기획자, 한병선 대표, 추철수 간사, 전샘 간사)

2008 소통과 만남을 위한 기독교 문화관 (박준용 문예기획자)

07
2008 영화는 작가가 새긴 암호, 작가-작가주의 영화의 이해 (최은 강사)
2008 신과 미술의 죽음을 파헤치다 (서양미술사) (전한호 강사)
2008 인간의 이야기, 신의 음성 (human narrative, divine voice)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8 친애하는 장르 영화 새겨보기 (최은 강사)
2008 성화(聖畵) 속에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 (전한호 강사)
2008 추향완보(秋香緩步) 가을향기 맡으며 느릿하게 걷네, 한낮의 문화강좌 (박준용, 전한호, 최은, 고제숙 강사)
2008 영상제작워크숍 : 내가 만들고 싶은 영상 (한병선의 영상만들기 팀)

2009 소통과 만남을 위한 기독교 문화관 (입문/심화)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9 작가를 알면 영화가 보인다 (최은 강사)
2009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 그림읽기의 즐거움 (전한호 강사)
2009 숨어있는 소리를 음악의 대양에서 만나다 (강은구 강사)
2009 영화 해석공동체 워크숍 (step1, 2, 3) (박준용 문예기획자)
2009 문예방중세미나 : 영화비평워크숍 (이창우 평론가)
2009 화요독서모임, 리차드 마우의 <왜곡된 진리> (박준용 문예기획자)
정치아카데미 _ Society & Politics
대한민국만큼 정치의 ‘사회적 결정력’이 큰 나라가 없는 반면,
반면에 각종 정치현안에 대해 나름의 가치관에 비추어 깊이와 균형을 갖춘 이해를 찾기는 쉽지 않다.
기독교적 정신의 바탕 위에 정치철학에서 구체적 정책까지 아우르는 의욕적인 아카데미.

2005 법과 정책을 통한 기독교적 가치의 구현 (백종국 교수, 양희송 기획자, 김두식 교수, 원재천 교수)
2005 통일과 한반도 평화체제를 향하여 (김병로 교수, 정욱식 대표, 허문영 대표, 스티브 린튼 대표)

2006 한반도 평화와 국제정치 (윤영관 교수, 배기찬 교수, 이희옥 교수, 박영준 교수)
2006 헌법, 대한민국 게임의 법칙 (이영록 교수, 서경석 교수, 김두식 교수, 정승일 교수, 한상희 교수, 이국운 교수)

2007 한국 민주주의의 전진을 위한 선택 (김선욱 교수, 김선혁 교수, 박병옥 사무총장, 임원혁 연구원, 오재식 원장)
2007 2007년 대통령 선거: 분석, 진단, 선택 (이국운 교수, 백찬홍 상임위원, 이대근 기자, 임상렬 대표, 금민 대표)

2008 대한민국 권력이동 : 쟁점과 과제 (이국운 교수, 박상훈 대표, 장화식 대표, 남문희 기자, 이정환 기자)
2008 다시 쓰는 기독교정치 (Rewriting Christian Politics)
(이국운 교수, 박득훈 목사, 장진호 연구원, 김두식 교수, 박종운, 김종철 변호사, 윤환철, 김성학 코디)

2009 포스트-민주주의 시대, 대한민국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 (양희송 기획자, 이대근 기자, 하승우 교수, 장진호 연구원)

신학아카데미 _ Theology
청어람아카데미

“신학은 목회자만의 전유물일까?” 종교개혁의 ‘만인 제사장론’이 모든 직업을 성직으로 이해하는


길을 열었다면, 이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신학적 이해를 적절히 갖출 수 있을 때라야
비로소 완성될 것이다. 신학대학원 수준의 강의를 누구나 들을 수 있도록 열어놓는다.
08

2009 신약과 구약이 입맞출 때 : 성경해석의 다양성과 일관성 (권연경 / 전성민 교수)

기획포럼 / 세미나
ffffffffffffffffffffffffff방 프로그램. 정치아카데미 수강생 중심으로 3주간에 걸쳐 시카고-워싱턴 DC
지역의 여러 기관을 방문하고, 학자와 운동가를 만났던 미국 연수(2006 여름), 문예아카데미 강사진 중심
으로 3주간 영국의 에딘버러-런던-칠튼햄을 거쳐가며 에딘버러 페스티벌, 그린벨트 페스티벌 등을 돌아
보았던 영국 연수(2007

2008 제 1회 기독소장연구자 컨퍼런스 : Wondering Christian Thought


2008 이슬람포비아(Islamophobia)의 실체를 진단한다 (김동문 선교사, 이현수 선교사, 김상근 교수, 한국일 교수)
2008 민주주의를 다시 생각하는 긴급 토론회
2008 ISR(국제화해전략연구소) 전영일 소장 강연 <대북지원의 현황과 의의>
2008 바울과 제국 : 성서학과 정치철학의 만남 (정정훈 연구원, 양희송 기획자)
2008 독서클럽 : 그리스도와 문화, 꼼꼼히 읽기 (김형욱)

2009 <20세기 신학> 강독세미나


2009 수요미학 <미학과 비평철학> 강독 세미나
2009 동시대문화 예술특강 (이승훈, 강은구, 윤성은, 송용구)
2009 <크리스천문화, 예술인 네트워크>를 위한 모임
2009 대한민국, 살아있는 헌법을 노래하라 (이국운 교수)
2009 카이로스(CAIROS) 포럼, 현대철학과 성서의 낯선 조우
2009 카이로스 여름강좌 지원, 조르지오 아감벤의 <남겨진 시간 : 로마서 강의> 강독 모임
2009 카이로스 colloguia 지원, 현대철학과 개혁신학
2009 근대정치철학의 탄생 : 퀜틴 스키너의 근대 정치철학의 토대 강독 세미나 (이국운 교수)
2009 신구약 성서윤리 강독세미나 <현대를 위한 구약윤리> <신약의 윤리적 비전> (전성민 교수)
청어람 study tour
글로벌시대의 인재양성을 위한 연수탐방 프로그램. 정치아카데미 수강생 중심으로 3주간에 걸쳐 시카
고-워싱턴 DC 지역의 여러 기관을 방문하고, 학자와 운동가를 만났던 미국 연수(2006 여름), 문예아카
데미 강사진 중심으로 3주간 영국의 에딘버러-런던-칠튼햄을 거쳐가며 에딘버러 페스티벌, 그린벨트
페스티벌 등을 돌아보았던 영국 연수(2007 여름)가 있었다. 2008년 여름에는 협력단체인 <바른교회
아카데미>를 통해 시카고-뉴욕-보스톤-워싱턴DC-LA 등지를 돌아보는 신학생 미국연수를 다녀왔다.

2006 미국연수 “변화의 바람(Wind of Change)”


2007 영국연수 “삶을 바꾸는 예술(Life Changing Art)
2008 신학생 미국연수 “기독교 사회를 위한 상상력”

청어람아카데미
09
공개강좌 / 초청강연
d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 종교개혁의 ‘만인 제사장론’이 모든 직업을 성직으로 이해하는 길을 열
었다면, 이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신학적 이해를 적절히 갖출 수 있을 때라야 비로소
완성될 것이다. 신학대학원 수준의 강의를 누구나 들을 수 있도록 열어놓는다.

2006 한국사회와 기독교, 적인가 친구인가? (진중권 시사평론가)


2006 요한 호의징가: 노는 인간, 혹은 호모 루덴스 (강영안 교수)
2006 살인의 충동과 성스러움의 추구, 카라바조 (김상근 교수)

2007 황우석 사태를 통해 본 한국사회: 언론, 과학, 정치계의 역할 찾기 (한학수 PD)


2007 인권, 평화 그리고 기독교: 박경서 인권대사와의 대화 (박경서 초대인권대사)
2007 엘 그레코, 예술은 결국 신학이다 (김상근 교수)
2007 한국 영화가 불러낸 기독교: 낯설거나 혹은 친숙하거나 (진중권 시사평론가)
2007 문학은 심장을 관통한다: 문학, 심리학, 그리고 신학 (조성기 소설가)
2007 청년아,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 부르지 않던가? (오재식 원장)

2008 신과 같은 미켈란젤로, 르네상스를 하늘에서 내려다보다 (김상근 교수)


2008 대한민국 입시는 대국민 인질극이다.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
2008 네 읽는 것을 깨닫느뇨? 주자(朱子)의 독서법과 렉티오 디비나 (강영안 교수)
2008 맑히면 뚫어라, 프란체스코 하비에르(Francis Xavier)의 기독교 (김상근 교수)

2009 한완상 박사 초청강연 <예수없는 예수교회 : 기독교 신앙의 역설>


2009 신미식의 여행과 사진, 카메라를 뚫고 본 세상 참 아름다웠다 (신미식 사진작가)
2009 인디고서원 아람쌤과의 만남 :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책이 있다 (허아람 인디고서원 대표)
2009 오바마의 미국과 한반도, 그리고 2012년 체제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한완상 (전 적십자총재)
초청강연 <예수없는 예수교회 : 기독교 신앙의 역설> (2009)
김상근
윤영관
윤영관 (한반도평화연구원)
(한반도평화연구원)
_살인의
- 살인의충동과
충동과성스러움의
성스러움의추구,
추구,카라바조
카라바조(2006)
(2006
한반도 평화와
한반도 평화와 국제정치
국제정치 (2006)
(2006)
_엘
- 엘그레코,
그레코,예술은
예술은결국
결국신학이다(2007)
신학이다(2007)
_신과
- 신과같은
같은미켈란젤로,
미켈란젤로,르네상스를
르네상스를하늘에서
하늘에서내려다보다(2008)
내려다보다(2008

강영안
_요한 호의징가: 노는 인간, 혹은 호모 루덴스(2006)
_레비나스 읽기: 타인의 얼굴을 들여다보라 (2006)
청어람아카데미

_기독교와 다섯 개의 궁극적 질문: 사도신경 첫 줄 강해 (2007)


_네 읽는 것을 깨닫느뇨? 주자(朱子)의 독서법과 렉티오 디비나(2008)
_십계명의 귀환, 아직 이야기가 끝나지 않았다 (2009)
10

진중권 영화감독초청강연
_한국사회와 기독교, 적인가 친구인가 (2006) 영화야 조용해라, 감독님 말씀하신다.
_한국 영화가 불러낸 기독교: 낯설거나 혹은 친숙하거나 (2007) (김명준, 정윤철, 김영남, 민병훈, 신동주 감독) (2008)

신미식 (사진작가)
카메라를 뚫고 본 세상 참 아름다웠다(2009)

박준용 (기독교 문화관)


허아람 (인디고서원 대표) 문예아카데미 기획 강사
인디고서원 아람쌤과의 만남 :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책이 있다(2009)
천정배 (국회의원)
한국정치의 미래를 말하다, 초청 간담회 (2006)
박경서 초대인권대사
인권, 평화 그리고 기독교: 박경서 인권대사와의 (2007)

청어람 세미콘서트 - (코드셋, 뜨인돌, 홍순관, 이대귀)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
나의 노래는 어디에 있는가? 자유의 시, 저항의 노래(2008)
대한민국 입시는 대국민 인질극이다..

청어람아카데미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오바마의 미국과 한반도, 그리고 2012년 체제(2009)

오재식 (아시아교육원 원장)

11
청년아,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 부르지 않던가? (2007)

한학수 pd
황우석 사태를 통해 본 한국사회:
언론, 과학, 정치계의 역할 찾기 (2007)

이국운 (교수)
대한민국, 살아있는 헌법을 노래하라 (2009)
제 1회 기독소장연구자 컨퍼런스 :
Wondering Christian Thought (2008)
Action Group 101 Project
그간 고급 대중강좌를 기획하여 교육적 활동을 주로 해 온 청어람이, 2005년 이래 초기 3년간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방향성 모색의 일환으로 기독교 행동그룹을 육성지원하는 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직은 작은시작이지만, 지난 3년간 우리가 예상한 것보다 더 크게 성과를 얻을 수 있었던
하나님의 특별하신 인도와 개입이 이번 일에도 함께 할 것을 믿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일차적으로는 자발적인 운동 그룹들의 등장을 격려하고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청어람과
AG101이 직접 나서서 모임을 조직하기 보다는 자생적 관심과 자기주도적 의욕을 가진 이들의 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들을 지지(support)하고, 돕고(consulting), 성장시키는(incubating) 일을 하기를 원합니다.
청어람아카데미

일정 기간, 혹은 특정한 과제를 놓고 서로 협약을 맺어 하나의 운동이 잘 탄생하여 자생력을 갖추도록 돕습니다. 저희들을
통해 향후 5년간 100개의 액션그룹이 생겨나는 것을 기대합니다. 물론 이 일을 섬기는 저희들도 액션 그룹 중 하나에 속하기
때문에, 101개의 액션그룹 프로젝트가 된 것입니다.

분야는 제한이 없습니다. 평화, 인권, 복지 등등에서 문화예술, 학술운동에 이르기까지 나름의 구체적인 목적이 있는
12

모임이라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등장으로 한국 기독교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기를 기대합니다.

저희들의 일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첫째, 이런 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독교가 더이상 ‘교회성장’이나 ‘전도지상주의’로는


이땅의 존재 의의를 제대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깨닫고,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실천하는 더욱 다양하고 전향적인
노력에 나서야함을 강력하게 제안할 것입니다. 교회가 해외선교단체를 후원하듯, 이런 새로운 운동들의 지지자가 되도록
인식의 전환을 촉구할 것입니다. 그리고 청어람과 관련 네트워크가 새로운 풀뿌리 운동의 배경이 되어줌으로써 이들의
선의가 오해받지 않도록 할 예정입니다.

둘째, 협력하는 액션그룹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도움의 내용은 오피스 운영 노하우, 재정 투명성 가이드라인
확보, 회원관리의 전략 등을 망라하고, 장기적으로는 펀드를 마련해 재정지원도 가능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많은 활동가들이
유사한 시행착오를 반복하고 있는데, 그 시간을 최소화하고 최적화함으로써 본연의 운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셋째, 한국사회에 의미있는 변화를 몰고오는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아이러니하게도 기독교의 존재가치가 가장
드높았던 시기는 예외없이 기독교가 당대의 시대적 과제와 씨름하던 때였습니다. 중세의 종교개혁은 단순히 교회 내의
주도권 다툼이 아니라, 중세사회 전체의 정치-경제-종교-사회적 질서 자체를 새롭게 구성하는 싸움이었습니다. 단순히
‘교회 비즈니스’ 차원의 변화가 아닌,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변화를 추동하는 공적 신앙(public faith)이야말로
기독교가 사회의 비판자에 머물지 않고 선지자적 사명을 감당하는 첩경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일에는 청어람아카데미를 넘어 다양한 분들이 함께 힘을 모아주고 계십니다.


한국 기독교를 새롭게 하고, 한국 사회를 새롭게 하는 이 일에 기쁜 마음으로 함께해 주시기를 기대합니다.
액션 그룹 소개
첫째, 이런 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독교가 더이상 ‘교회성장’이나 ‘전도지상주의’로는
이땅의 존재의의를 제대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깨닫고,

_공정무역 cafe.daum.net/fairchristian

첫째, 이런 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독교가 더이상 ‘교회성


장’이나 ‘전도지상주의’로는 이땅의 존재의의를 제대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깨닫
고,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실천하는 더욱 다양하고 전향적인 노력에 나서야 함을 강력하게
제안할 것입니다.

_나름 naarm.net

첫째, 이런 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독

청어람아카데미
교가 더이상 ‘교회성장’이나 ‘전도지상주의’로는 이땅의 존재
의의를 제대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깨닫고, 하나님 나라의 가
치를 실천하는 더욱 다양하고 전향적인 노력에 나서야 함을 강력하게
제안할 것입니다. 교회가 해외선교단체를 후원하듯, 이런 새로운 운
동들의 지지자가 되도록 인식의 전환을 촉구할 것입니다.

13
_난민인권센터 nancen.org

첫째, 이런 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독교가 더이


상 ‘교회성장’이나 ‘전도지상주의’로는 이땅의 존재의의를 제대로 확보
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깨닫고,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실천하는 더욱 다양하
고 전향적인 노력에 나서야 함을 강력하게 제안할 것입니다. 교회가 해외선

_카이로스 club.cyworld.com/cairos

첫째, 이런 일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독교


가 더이상 ‘교회성장’이나 ‘전도지상주의’로는 이땅의 존재의의
를 제대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깨닫고,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실천하는 더욱 다양하고 전향적인 노력에 나서야 함을 강력하게 제안
할 것입니다. 교회가 해외선교단체를 후원하듯, 이런 새로운 운동들
의 지지자가 되도록 인식의 전환을 촉구할 것입니다.
14 청어람아카데미
15 청어람아카데미
청어람 일년 Schedule

겨울. 1~2월 봄. 3~6월

_기행프로그램 _봄학기 정규강좌


_동시대문화예술특강
_기획세미나 및 컨퍼런스
_협력단체 활동참여

서포터즈
청어람아카데미

“청어람아카데미와 친해지기 쉬운 가장 좋은 방법, 청어람 서포터즈!”

_대상
청어람아카데미에 남 다른 애정을 가지신 분이라면 누구나 웰컴
16

청어람의 컨텐츠에 관심을 갖고, 함께 활동하면서 열정을 아끼지 않을 분들

_청어람서포터즈 활동분야 및 강좌 할인 혜택
1. 수업 지원 서포터즈
수업시간 전후 강의실 셋팅, 수업 중 강사 지원, 사진 촬영, 수강관리
수강료 50% 할인(언론서포터즈까지 활동시 수강비 무료)
2. 언론 서포터즈
강좌 수업 내용 노트필기 정리, 간단하게 수업에 대한 감평 기록
언론서포터즈의 글은 청어람아카데미 공식홈페이지와 뉴스레터, 네트워크에 게재됩니다.
수강료 50%할인 (수업지원 서포터즈까지 홛동시 수강비 무료)
3. 프로모션 서포터즈
비정기적으로 청어람아카데미의 행사, 대외활동 지원, 온/오프 홍보활동을 도와주실 분
수강료 일부 할인 및 대외지원시 소정의 활동비 지원 (식사 및 교통비)

* 서포터즈는 학기초마다, 행사 때마다 신청 받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참조)


여름. 7~8월 가을. 9~12월

_기독소장학자 컨퍼런스 _가을학기 정규강좌


_협력단체 프로그램 참가 _평화활동가 워크샵
_문예 일주일 _송년회
_성서한국

홈페이지 www.bluelog.kr

청어람아카데미
“청어람 돌아가는 사정을 한 눈에!”

청어람아카데미의 수강 신청 및 강좌 자료 구입은
모두 공식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http://www.bluelog.kr )
수강정보나 노트필기, 후기는 홈페이지의 커뮤니티에서 보실 수 있으며

17
청어람 매거진과 프로젝트 메뉴를 통해 청어람에서 돌아가는
역동적인 보이스, 네트워크, 액션들을 한 눈에 읽어낼 수 있습니다.

* 수강생 분들간의 정보교류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싸이월드 클럽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http://navyblue.cyworld.com )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2가 19-8번지 청어람


TEL. 02-319-5600 / FAX. 02-319-1103 / Mail. blueog@bluelog.kr

_지하철안내
지하철4호선 명동역 3번출구로 나오면 정면에 퍼시픽호텔이 보입니다.
퍼시픽 호텔 왼쪽편 골목으로 100m정도 걸어 오시면 오른편에는 편의점이 보이고,
바로 왼편에 위치한 보라색 철골 건물이 청어람입니다.

_버스안내
간선 : 104, 263, 507, 604,
지선 : 0013, 0211, 7011

* 주차가 어려우니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규강좌 DVD 세트
청어람아카데미 홈페이지에서 그 동안 청어람의 강좌들을 DVD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_ DVD 1장 당 10,000원, 세트 구입시 20~30% 할인

1_ 강영안 교수의 사도신경 첫줄 강해 : 기독교와 다섯개의 궁극적 질문 (1~5장)


제1강. 신앙 고백이 도대체 무엇인가? - Credo
제2강. 신을 모르는 시대의 하나님 - Atheism vs Theism
제3강. 페미니즘은 틀렸는가 - Names of God
제4강. 전능한 하나님의 딜레마 - Theodicy & the problem of Evil
제5강. 자연, 스스로 그러한 것인가 - Creation, good questions & wrong answers

2_ 김상근 교수의 교회사의 잊혀진 이름들, 다시 살아오다. 신과 인간의 경계


제1강. 그리스도교와 이집트 문명: 오리게누스와 안토니우스
제2강. 동서문명의 만남: 프란체스코 하비에르와 마테오 리치
제3강. 그리스도교와 반유대주의의 역사: 크리소스톰에서 미르틴 루터까지
제4강. 세계지도의 역사와 한반도의 지리적 발견
제5강. 한국 그리스도교의 기원: 삼국시대인가, 고려시대인가
청어람아카데미

3_ 양희송의 기독교세계관, 세계를 정복하려거든 지도를 사라


제1강. 세계를 정복하려거든 지도를 사라 (세계관의 개념)
18

제2강. 이야기가 세상을 바꾼다 (세계관과 내러티브)


제3강. 세상을 전복하는 창세기 읽기 (구약 신앙의 세계관)
제4강. 예수라면 어떻게 했을 것인가? (역사적 예수, 연구와 세계관)
제5강. 예수가 답이면 질문은 무엇인가? (포스트모던 시대의 세계관)
제6강. 그들이 말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세계관 (포럼/ 양희송, 신국원, 김기현, 박준용)
제7강. 다시 읽어야 할 그리스도와 문화 (니버의 재평가)
제8강. 포스트 2007 시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의 조건

4_ 김상근 교수의 아프가니스탄의 길을 걷고 있는 예수, 문명충돌 선교냐, 문명융합 선교냐?


제1강. 인도(India)라는 나라
제2강. 기독교와 힌두교의 만남 (로베르토 데노빌리의 인도 선교)
제3강. 19세기 인도의 개신교 선교
제4강. 스탠리 존스의 선교를 통해 본 한국 기독교의 선교 운동

5_ 강영안 교수의 십계명의 귀환


제1강 서언: 십계명에 대해 묻(지 않)는 질문들
제2강 하나님의 존재: 다시 묻는다, 너의 하나님은 누구인가?
제3강 하나님의 비존재: 만들 수 없는 형상, 부를 수 없는 이름
제4강 안식: 노동과 안식, 그리고 거룩의 자리
제5강 윤리: 죽이지도, 속이지도, 탐내지도 않는…
6_ 신학아카데미 : 신약편
제1강 복음의 두 목소리? - 통합적 복음 이해를 위하여
제2강 성찬에 대한 바울의 가르침
제3강 율법의 행위”와 바울의 칭의론
제4강 부르심(소명)으로서의 구원 - 데살로니가전서
제5강 의의 소망을 향한 성령의 달음질 ? 갈라디아서
제6강 복음, 구원의 능력 ? 로마서
제7강 믿음과 부활의 하나님
제8강 은혜와 하나님의 다스림

7_ 신학아카데미 : 구약편
제1강 성경의 두 성격? ? 성육신적 성경 이해를 위하여
제2강 연자 맷돌을 돌리는 삼손: 역사적 맥락
제3강 하나님이 기대하신 좋은 포도: 문학적 맥락
제4강 삼손이 블레셋 여인을 좋아한 이유: 문법적 분석
제5강 기브온 위에 머무른 태양: 단어 연구
제6강 구약, 예수의 성경(성경적/신학적해석)
제7강 여호수아서의 민족주의적 함정
제8강 사사기의 영웅주의적 함정

* 신학아카데미 (신/구약편) 전체를 구입하시는 분들에게는 30% 할인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청어람아카데미
단일강좌 DVD

1_ 청어람강좌 on 음악 : 나의 노래는 어디있는가? 자유의 시, 저항의 노래


(김근 교수, 김회권 교수, 뜨인돌과 코드셋, 가수 홍순관, 소망의 바다 민호기, 이대귀 )

19
2_ 청어람강좌 on 영화감독 : 영화야 조용히 해라, 감독님 말씀하신다.
(김명준, 김영남, 정윤철, 민병훈, 신동주 감독)

3_ 박경서 인권대사와의 대화 평화, 인권 그리고 기독교


4_ 김상근 교수의 신과 같은 미켈란젤로 르네상스를 하늘에서 내려다보다


5_ “네 읽는 것을 깨닫느뇨?” 강영안 교수의 주자의 독서법과 렉티오 디비나

6_ “막히면 뚫어라!” 김상근 교수의 프란체스코 하비에르의 기독교

* 신청 및 안내

청어람아카데미의 DVD는 홈페이지에서 신청 및 결재를 하실 수 있습니다. / www.bluelog.kr


DVD 관련 문의 / 02. 319. 5600 _ bluelog@bluelog.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