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무인 공영 자전거 임대 시스템

PBS (Public Bike System)

공영자전거 임대 시스템이란 ?
공영임대자전거 시스템의 진화
목 공영임대자전거 시스템의 도입효과 및 활용방안
저 탄소 녹색 성장과 자전거
국내외 사례
차 시스템 구성
이용방법
기타 접목이 가능한 서비스 분야와 운영 방식

㈜ 유진시스템
공영 임대 자전거 시스템이란 ?

프랑스 파리에서 2007 년 7 월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공공자전거의 브랜드인 벨리브


(Velib : Velo + Liberte) 의 시스템을 기초로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하게 개발된 공영 자전
거 임대 시스템 (PBS - Public Bike System) 으로

Ubiquitous ( 유비쿼터스 ) 환경 하에 누구나 , 어디에서나 , 언제든지 자유롭게 자


전거를 사용할 수 있도록 ,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무인 공영 자전거 임대 시스템을 칭함

Every Body
ALWAY
AnyWhere
S
AnyTime
공영 임대 자전거 시스템의 진화

자전거
혁명

실패

첨단 IT 기술과 융합 ,
관리소홀 , 도난 , 시민의식 성장
주인의식 결여로 다양한 관련 서비스 개발
운영 실패 ( 문화 , 관광 , 지역 현황
에 맞는 콘텐츠 )
공영 임대 자전거 시스템 도입 효과 및 활용 방안

주민편의 제공
유휴 부지 활용화 방안
재래 시장 활성화
대중 교통 수단과 연계하여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에 선도
국민 건강 증진 효과
문화관광의 전도사 역할
정부의 정책에 호응
저탄소 녹색 성장 정책 , 자전거 타기 운동 장려의 일환

자전거
무인 임대
클린환경 녹색도시 공영 고유가대응
서비스
주차장

자동차
관광 이동홍보
무공해 주차난 임대수익
활성화 ( 자전거광고 ))
해결
저 탄소 녹색 성장과 자전거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 에너지 위기와 환경 문제


• 고밀 개발의 보편화로 교통 혼잡 대처 못함 •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 + 에너지 가격 급등
• 대응 수단 : 대중 교통도 석유에너지 이용 • 대기 오염 물질 , 온실 가스 감소 요구 증가
• 교통 혼잡 , 국민 건강 위협

생체 에너지를 이용한 대체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역할 부각

국가와 지자체가 자전거 이용 활성화 주도

녹색성장 전략
( 친환경 = 성장동
력)
외국 운영 사례

적용도시 브랜드 도입시기 주요내용

스페인 바이싱 07.03 - 거치대 100 개와 자전거 1,500 대로 첫 시범 사업


[ 바르셀로나 ] [Bicing] - 시행 2 개월만에 3 만명 온라인 등록해 참여

프랑스 밸리브 07.09 -공공자전거 대여시스템 세계적인 모델로 손 꼽힘


[ 파리 ] [Velib] -- 대여소 1,450 개 , 자전거 2 만대 운영 중

미국 스마트 바이크 08.05 - 연간회원 [40 달러 ] 대상으로 3 시간 까지 무료


[ 워싱턴 DC] [SmartBike]

영국 오바이크 - - 등록비 10~20 파운드를 내고 사용시 차감


[ 런던 ] [Oy-Bike] - 2010 년 6 만대 규모의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 계획

캐나다 PBS 08.06 - 최상의 공공자전거 개발모델로 평가됨


[ 몬트리올 ] - 타임지가 선정한 2008 년 최고의 발명품 지칭

독일 Call Bike - - 철도역 대여자전거 휴대폰 인증방식으로 사용


- 대중교통수단과 자전거 타기를 효율적으로 접목
국내 시범 사업 사례

적용도시 주요내용

- 자전거 40 대 규모의 무인자전거대여시스템 시범서비스개시


서울 송파구 - RFID 인식 기능이 부착된 스마트카드를 발급해 중앙에서 무인관리
- 금년 민간투자 유치 보관대 300 곳 , 자전거 3,600 대 규모로 설치 예정
- 거치대 20 개 , 자전거 430 대 규모로 무인대여시스템 ( 누비자 ) 시범 운영 후
경남 창원시 - 2009 년 3 월 자전거 1,200 대 , 거치대 800 대 증설 [ 지자체 공공 자전거 표준모델
로 지정 ]

- 휴대폰 인증방식 자전거 대여 시스템 ( 자전거 60 대 규모 )


서울 마포구
- 금년 말 까지 유사 시스템 16 군데 추가 설치 계획

서울 중랑구 , 강동구 - 자전거 20 대 , 거치대 30 개 규모로 무인대여 시스템 시범 구축

서울 서대문구 - 자전거 75 대 , 거치대 75 대 규모로 무인대여시스템 시범 구축

경기도 고양시 - SPC 설립을 통해 3,000 대 규모의 공공 자전거시스템 운영 예정

- 순천만 갈대밭을 테마로 “ 유비쿼터스 친환경 관리시스템”일환으로 도입


전남 순천시
- UM-PC 를 활용하여 적용키 위한 용역 진행 중 (100 대 규모 )

- 도시 공공디자인 사업 일환으로 공모한 제주도 자전거 도입사업으로 진행


제주시
- 2012 년 까지 5,000 대 규모의 자전거 도입 ( 자전거 일주도로 개설 )
시스템 구성도
회원카드 인증 및 발급 통합관제 상황실

운영프로그램
. 이용자 인증관리
. 이용 현황정보관리
.. 긴급상황 대응 SMS 전송 ( 대여 , 반납시 )
. Web Sevice 지원
( 회원별 UCC 가능 )
온라인 발급신청
OO 시청
진도군청
진도군청 개인별 UCC UP-Load
( 관광 Map)
회원인증
회원카드발급 관리
발급처
사용자
반납정보 및 개인이동경로 전송
오프라인 발급신청 승인관리
통합관제서버

무인자전거 - 대여 무인대여소 - 반납

자전거 보관대 자전거 보관대

GPS signal CDMA 등 자전거용 대시보드 보관대


거치
사용자인증

웹 키오스크
-관광안내
OO 시청 웹 키오스크
-위치안내
-. 위치 정보 속도계
GPS 이동경로 전송
인증회원 RFID 인식 잠금장치 해제 및 대여 반납 RFID 인식
PBS 이용 방법
전용카드 발급 ( 회원 ) 자전거대여 ( 회원 ) 자전거대여 ( 회원 / 비회원 )

OO 시청
온라인 발급신청 자전거 대여 , 반납

RFID 인증 잠금장치 해제 자전거 대여 , 출고

발급처 직접방문
반납 완료

GPS 데이터 전송
( 이동거리 )

대체인증 ( 신용 , 교통 , 핸드폰 )
자전거대여 ( 준회원 , 비회원 ) SMS 통보 통합관제센터 ( 웹서버 )
- 준회원 ( 관광객 , 외국인등 )

신용카드

. Web Sevice 지원
카드온라인 교통카드
- 회원별 관광 UCC 업로드
인증 / 등록 ( 개인 사진 , 동영상 )
=> 지자체 관광 데이터 누적
핸드폰 인증
웹 키오스크 인증 대여 - 사용횟수 관리 ( 포인트적립 )
- SMS 인증 및 통보
보관소현장
웹 서버
웹키오스크 RFID
핸드폰회원 카드
등록 / 인증

RFID 카드 인증 잠금장치 해제 자전거 대여 , 출고


성공적인 공공 무인 자전거 대여 시스템 운영 방안과 접목되는 서비스들

•IT 기술이 접목된 무인 자전거 대


여 시스템 구축

•CT(contents technology) 분야 활
성화
•부분적인 유료화 검토 •내외국인 등 사용자별 안내 컨텐츠
•키오스크와 자전거에 광고 유치 를 구성하여 서비스
방안 모색 •특정 장소 및 인물에 대한 홍보 멘트
제작 서비스

•이용자의 경로를 위성지도에서 구


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 발전
•이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을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사이트 발

•관련 행사 신설 ( 디카 콘테스트 등
)
•사용자 참여가 가능한 mashup 사
이트 제공

•이용자 보험 가입 서비스 ( 대민홍


보) •자전거 라이딩 코스 개발
•긴급 상황 발생시 입력된 통합관 •체험형 , 관광형 , 웰빙형 등 다양한
제센터나 119 등으로 연결 관광 테마 개발 가능
공공 무인 자전거 대여 시스템의 기본 운영 방식

•전반적인 상담업무 수행
•시설물 이상 접수
•민원 및 콜센터 업무

상담 및 민원 연계
접수 내용 전달

•통합 시스템 운영
•시설물 이상 점검 •시스템 상태 체크
•장애 해결 •웹페이지 관리

이상 내용 전달 체크 내용 전달

•시설물 AS
•보관대 , 키오스크 등의 전자
장비 관리
상기 내용 정리

공공 무인 자전거 대여시스템 도입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서비스 및 활용 분야

1. RFID : 이용자 DB 관리
성별 , 연령별 , 거주지별로 이용자 관리가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한 맞춤형 홍보 마케팅이 가능함

2. GPS : 위치 정보를 가지고 새로운 서비스 창출 (LBS)


위성지도나 인터넷 지도상에 자신이 자전거로 이동한 경로를 확인 가능
매쉬업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게시 가능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이용한 콘테스트 개최
재미와 흥미를 제공하고 더 많은 사용자 참여 유도

3. 위 1,2 항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서 특정 이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


무인 관광 안내 시스템에 적용
다국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서비스 제공 가능

4.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관광 상품을 개발


화성 주변 도로 라이딩 코스 개발
체험형 코스 , 관광형 코스 , 웰빙 코스 등 다양한 관광 상품 개발

5. 최신 기술 접목 및 그린 IT, 녹색 성장 등의 정부 주요 정책에 부합되므로 도입하는 지자체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것임

6. 추후 점차적으로 유료화가 가능 ( 현재 유럽은 부분적으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에게 유료화 되는 추세임 )

7. 자전거 , 보관소 , 키오스크 등에 공공 디자인을 접목하여 지자체의 통일화된 이미지를 이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음

8. 7 항의 시설물 등에 광고 유치 , 홍보 문구 삽입 등을 통한 새로운 홍보 방식 도입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