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x6y 불기2550년 6월5일 (월요일) x제 194 호y

아시아불교의 어제와 오늘

세계 최대의 불교국가
1782-1819)왕이 미얀마의 상좌부를 편단파로 통 하여 점령하고 불교교단은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
일하고 종교 정화위원회의를 설치하였다. 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우누 수상의 주도하
승단의 조직 체제 정비는 19세기 후반 민돈 에 1954년부터 3년 동안 만달레이에 남방불교 국
(Mindon, 1852-1877)왕에 의해 더욱 강화되어 종 가의 뛰어난 학승들이 모여서 제6차 결집회의를 열
교 회의소를 두고 상좌부 승려와 사원의 감독 및 지 고 팔리어성전과 주석서를 미얀마 문자로 써서 출
도를 하였다. 1980년에는 전 종파 합동 회의가 개최 판하였다.
되어 전 종파를 통괄하는 조직의 설치, 종교적 분규 이것은 부처님 탄생 2500년을 기념하고 남방불교
의 해결, 출가 등록제 및 신분규정의 확립이라는 세 국가들의 전후(戰後)독립을 기념하기 위해서 이루
가지 사항을 입법화하였다. 어졌다. 미얀마는 국민성이 강하고 불교신앙이 돈
독했으며 불교 교단이 민심을 지배하고 있었기 때
경전의 결집 문에 제5차, 제6차 결집이 가능했다.
파간의 불탑
16세기 무렵 서양인이 인도 방면으로 진출하면서
미얀마의 불교는 기원전 3세기 무렵에 아쇼카 부터 근대에 이르기 까지 450년 동안 남부지역은 서 불교의 교학
(Asoka)왕의 전도사 파견에서 기원한다. 5세기에는 양인에게 점령당했으며 기독교의 박해를 받았고, 미얀마 불교의 교학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국가시
미얀마에 스리랑카의 상좌부 불교가 전해졌다가 그 불교의 수난이 계속되었다. 이런 위기에 불교의 경 험과 사설시험 두 가지의 팔리 경전시험이 있다. 팔
후 대승불교의 밀교로 바뀌었다. 전을 영원히 보존하기 위해 1868년부터 4년 동안 리 국가시험인 파타마비양(pathamabyan)시험은 17
민돈 왕은 제5차 결집을 개최했다. 2,400명의 승려 세기부터 시작되어 보도파야왕과 민돈왕 시대에 더
상좌부 불교의 확립 가 만달레이에 모여 팔리삼장과 주석서를 정비, 편 욱 성행하였으며, 영국 식민지 시대에도 1895년부
스리랑카 대사파(大寺派, Mahavihara)상좌부 불 찬하여 대리석 729매에 새겨서 만달레이의 쿠토도 터 46년간 계속되었다.
교가 확실하게 수립된 것은 11세기 중엽 파간 (Kuthodaw)탑에 세워 놓았다. 1962년 네윈이 무혈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후, 정
(Pagan)왕조의 아나우라타(Anawratha, 1044-1077) 서구열강은 19세기(1886년)에 미얀마에도 침입 교(政敎)분리 정책을 취하지만 팔리 국가시험의 실
쉐지곤 파고다
왕 때이다. 파간왕조는 미얀마 최초의 통일국가를 시, 불탑의 보수 등의 불교 진흥을 위한 사업은 계속
이루어 불교가 번영하였고, 13세기 말(1287년)까지 되어 왔다. 불교기술학교를 설립하고, 2005년에는 혜성스님이
5천여 불탑과 사원을 건설하면서 상좌부 불교를 발 불탑의 나라 미얀마 양곤 인근에 위빠사나 체험 수행센터‘담마마마까
교육기관과 수행센터
전시켰다. 수도 양곤을 중심으로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 마하시센터’ 를 설립 운영하며 무료 의료시설과 지
미얀마의 승려 교육 기관은 양곤과 만달레이의 으로 지정한 미얀마는 전역 어디를 가든지 화려하 역 주민들의 복지 향상에도 기여하며 해외포교에
미얀마의 승단 두 도시에 국립 불교대학과 전국의 주요 도시에 사 게 치장되어진 파고다(불탑)를 볼 수 있다. 미얀마는 힘쓰고 있다.
15세기 후반에 페구왕조를 일으킨 담마체디 설 전문 강원이 설치되어 있다. 전 인구의 70%이상이 불교를 믿는 불교국가이면서 〈지인〉 lingba@hanmail.net
(Dhammacedi, 1472-1492 재위)왕은 1475년에 스 미얀마는 위빠사나 수행법을 체계적으로 지도하 불교 종주국(宗主國)이다. 동남아에서 가장 큰 면적
리랑카로 대규모의 사절단을 보내 대사파 상좌부 고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많은 수행센터를 보유하 을 자랑하는 대국임에도 군사정부의 폐쇄정책에 〈자료참조〉
불교의 계맥을 다시 도입하였다. 귀국 후 이들은 카 고 있어 사부대중에 의해서 수행이 활발하게 이뤄 ‘은둔의 나라’ 로 남아있던 미얀마는 이제 세계에 활 1.d동남아시아의 불교수용과 전개e
라야니 계단을 설립하여 라만냐파를 세우고 당시 지고 있다. 1949년 개원한 미얀마 마하시 수행센터 짝 빗장을 열었다. 탑의 나라 미얀마는 세계 최대의 불교시대사, 2001.
상가의 통일과 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이후 17-18 는 현재 미얀마 국내 분원이 300여 개에 이르고 있 불교국가로 성지순례 코스로도 각광받고 있다. 2.d태국과 미얀마 불교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e
세기에 승단의 정통성 문제로 분열한 편단파(偏袒 으며, 세계 각 국에도 많은 분원을 두고 있는 대표적 한편 한국과 관련해서는 2004년에 한·미얀마 친 김재성
派)와 통견파(通肩派)를 보도파야(Bodawpaya, 미얀마 동자승 인 수행센터이다. 선협회(공동회장 홍파·혜은스님)가 양곤 시내에 3. 기타 인터넷 자료

⊙ 기본적 관찰 대상 보여진 풍경, 들은 소리, 맡은 냄새, 맛본 음식 등


여기서 가장 중요한 기본 대상인 배의 움직임을 이다. 그 다음으로는 좋아함, 죄지음, 나태, 무기력,
스님과 함께하는 수행법 - 위빠사나 ② 챙겨보자.
수행자의 인식이 그 대상의 관찰과 동시에 일어
혼침, 산만, 불안, 의심, 기억, 바른 이해, 주의 집중,
만족, 환희, 평안, 고요, 정적, 수행의 쉬움 등등의
났는가, 이 두 작용이 동시에 일어났다면 그때 무 정신적 현상이 주시되고 인지되어야 한다.
여래 10대 명호는 1. 타다가토(여래) 2. 아라항 다 집중력이 생기며 망상이 그렇게 심하지 않게 되 엇을 인지했는가, 즉 배 그 자체인가, 형태인가, 긴 「비구들이여,
위빠사나의 예비수행 (아라한) 3. 삼마 삼붇도(정각자) 4. 위짜짜라낭 삼 며 수식관을 할 때 보다 쉬워짐을 알게 될 것이다. 장감인가, 움직임인가 등을 보았는지에 대해 보고 마음을 챙기는 수행자라면 몸[身]의 현상을 관
위빠싸나 수행을 하기전에 먼 빤노(명행족) 5. 수카또(선서) 6. 로카위뚜(세간해)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자비관법이다. 특히 자비 해야 한다. 찰하며 몸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욕망과 혐오감을
저 집중력을 강하게 갖춰야 한다. 7. 아눗따로 뿌리사담마 사라티(무상사 조어장부) 관법에는 삼단계가 있다. ⊙ 관찰되고 인지된 모든 생각을 보고해야 한다 극복하고, 느낌[受]의 현상을 관찰하며 느낌의 세
그 첫단계로 수식관을 권한 8. 삿따 데와 마누싸낭(천인사) 9. 붇도(부처님) 10. 첫 번째의 것은 자신을 위한 자비관이며, 두 번 수행을 처음 시작한 사람은 기본 대상에 주의를 계에서 일어나는 욕망과 혐오감을 극복하고, 마음
다. 수식관은 어떻게 할 것인가? 바와와(세존) 등이다. 즉-타다가토, 아라항, 삼마 째의 것은 이 지구상의 일체 다른 존재들을 위한 집중하고 있는 동안 아직 아무런 느낌이 일어나지 [心]의 현상을 관찰하며 마음의 세계에서 일어나
우선 숫자의 홀수는 들이쉼으 삼붇도, 위짜짜라낭 삼빤노, 수카또, 로카위뚜, 아 자비관이며, 세 번째의 것은 자신과 다른 존재들을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생각은 일어나기 쉽다. 그 는 욕망과 혐오감을 극복하고, 정신적 대상[法]을
로 그리고 짝수는 내어쉼으로 눗따로 뿌리사담마 사라티, 삿따 데와 마누싸낭, 위한 자비관이다. 럴지라도 초보자는 일어나는 모든 생각을 주시할 관찰하며 정신적 대상의 세계에서 일어나는욕망
기억한 뒤 숫자를 자연스러운 호흡에 맞춰서 염송 붇도, 바와와, 붇도, 삿따데와 마누싸낭, 아눗따로 수는 없다. 이렇게 흩어지는 생각을 최소화하기 위 과 혐오감을 극복하느니라.」- 중아함부 대념처경
해야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뿌리사담마 사라티, 로카위뚜, 수카도, 위짜짜라낭
수행 점검 요령
해서 초보자는 주의력을 기본 대상에 최대한 밀착 중에서 위빠사나 끝
두 번째 단계는 염불관법 즉 여래십대 명호 염송 삼빤노, 삼마 삼붇도, 아라항, 삼마 삼붇도.... 이와 수행 중에 무엇을 관찰했는가! 무엇을 체험했는 시켜 면밀하게 집중해야 한다. 자료 참조 : 여래선원 홈페이지
법이다. 같은 방법으로 7 일 동안 2 ~ 3 시간씩 정진하면 보 가! 어떻게 보고해야 할 것인가! ⊙ 주시되고 인지되어야 할 다른 현상 〈법당〉bolisoo07@naver.com

(2006년 5월26일마감)
그간 본교의 홈페이지가 학교 안내 및 공지 중심으로 운영되는 형식이라서 부족함이 많았습니다. 기존의
학교 각종 안내 외에 학문과 수행, 포교에 참고되는 자료와 학교 행사사진, 영상을 쉽게 축적하여 학교의 역
- 종범스님(본교총장) : 2006 한국불교학결집대회 논집 등 3권 사 사진, 영상실로 발전되게 하고 누구나 쉽게 사진을 복사해 갈 수 있는 사진은행 역할도 하며, 승가학풍에
- 월우스님(본교총무처장) : 인도성지 순례기 등 3권 맞는 승가문화 광장을 만들어 여가 선용의 장으로서 학인스님들과 학교구성원 모두가 자유롭게 자료를 축
- 미산스님(본교교수) : 일상에서의 호흡명상 숨 2권 적하며 자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신 환경으로 개편을 준비하였습니다.
- 최종남(본교교수) : 玄 및 카세트테이프 등 16점 119권 교수님, 대학원생스님, 학부학인스님, 동문스님, 직원, 김포불교대학 불자 모두가 우선 회원등록을 꼭 하신
-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의 전개 등 33권 후에 좋은 자료를 각방에 맞게 저장도 많이 하시고 평소 학문과 수행, 포교에 자주 활용 하셔서, 中央僧伽大
- 국립민속박물관 : 한민족역사문화도감 등 2권 人 모두의 사랑받는 [지대방]으로 발전 되도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국가보훈처 : 동방전우 등 2권 홈 페이지 주소는 기존의 sangha.ac.kr입니다. 회원 등록 및 사용 안내문은 첫화면 공지사항 맨 윗줄에 있
- 봉은사 : 한국불교 근ㆍ현대사의 산증인 석주 큰 스님 5권 습니다.
- 보현사 : 심리학개론 등 30권
* 학교구성원 외 누구든지 본교 홈페이지 자료를 많이 활용하시고, 홈페이지에 공지나 각 방에 맞는 자료
- 국립문화재연구소 : 광주칠석고싸움놀이 등 33권
를 입력하시려면 회원 등록 후 하시면 됩니다.
- 민족사 : 한국불교학관계학위논문집(v.1 ∼ v.17) 17권
* 대한불교조계종단의 종지나 승가학풍에 맞지 않는 자료나 공지사항은 올리지 마시기 바라며, 발견 시는
- 국립국어원 : 북한 국어 연구 논저 목록 2 등 9권
사전 동의 없이 삭제가 됨을 알려 드립니다.
- 열림원 : 인도에 가면 누구나 붓다가 된다 1권

아 래
본교 2학년 : 일백만원
06) 6월 7일(수) 13:00
▶신홈페이지 개편 가동일시 : 불기2550년(’
※ @ 홈페이지 관리담당 전화 (031) 980-7719
▲ 외환은행 328-22-01308-1 ▲ 우 체 국 100529-01-003421 (예금주 : 중앙승가대학교)

중앙승가대학교 총무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