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포스트 -2007 시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 세계관
양희송 ( 청어람아카데미 기획자 )
yangheesong@hotmail.com
2007 년 대부흥을 기다렸나 ?
1. ‘ 평양대부흥 100 주년’으로서의 2007 년
1) 추억하고 , 기념하자 ?
2) 이대로 쭉 - 가는 거야 ?

2. 87 년 체제의 전환 ?
1) 한국사회 전체가 ‘ 87 년 체제’로부터 전환하는 시점
1) 87 년 헌법 개정 논의
2) IMF, WTO, FTA 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로의 진입
2) 개신교계의 ‘ 87 년 체제’도 전환하는가 ?
랜드마크 (Landmark) 가 붕괴한다
1. 랜드마크
2. 와해의 조짐들
1) 사회적 존재감의 축소 : 2005 년 인구센서스
2) ‘ 이해관계의 초월자’가 아니라 ‘이해 당사자’로 격하 : 사학법 논란
3) 이랜드 사태 : 기독교 기업은 반노동적이다 ?
4) 아프가니스탄 사태 : 모범적 해외선교 사례의 종착점 ?
5) 대망 , 장로 대통령 : 교계의 올인과 그 후폭풍
6) 신정아의 복수 : 학력위조 시한폭탄 돌리기의 최종 피해자는 교계 ?
세계관은 왜 환영 받고 , 왜 외면 당했나
?
80 년대 환영 받은 이유 90 년대 외면 당한 이유

현실변혁의 대응논리 필요 현실변혁력 발휘하지 못함


1) 변혁의 필요성은 전적 동감 1) 자생적 기반 없는 수입이론의 한계
2) 다른 변혁론은 전적 동의하지 반복 : 한국사회 해석력 빈약
못함 2) 실용주의자들의 오남용으로 개념과
논의 공허화
세속의 언어로 구사된 신학적 사유 세속 포기하고 신학의 성채로 귀환
1) ‘ 세계관’ 개념의 유연성과 1) 두언어 구사자의 퇴진과 목회자의
인문사회학과의 접목 가능성 전면포진
2) 일상의 신학화 가능성 제시 : 2) 세속영역의 인적자원 확보 실패 :
평신도의 동력화 목회적 관심이 모든 영역을 압도
P- 세대 리포트
의식증가 의식층 핵심층
15% 10%
추종층 행동층
50% 25%

행동증가

1. 2003 년 제일기획이 진행한 한국사회 20-30 대의 행동방식 조사 ( 약 2000 명 조사 )


2. 한국사회는 매우 역동적 사회이다
1) 변혁적 행동은 핵심층 - 의식층 - 행동층 - 추종층으로 전달
2) 한국교회의 행동양식과 비교해 보자
3) 한국교회에서 가장 주변화 되어 있는 이들은 누구인가 ?
4) 전략적으로 운동을 해야 한다면 누구에게 투자할 것인가 ?
5)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 ?
우리에게 아직 12 척의 배가 남아있나
?
1. ‘ 교계’에서 ‘기독교사회’로
1) 교계 (church society)
2) 기독교 사회 (Christian society)
3) 패러다임 전환의 의미
1) 목회자의 과잉대표를 해소한다
2) 평신도 동력을 전면에 포진한다
2. 지성운동의 정비
1) 지적 자원을 흐르게 하라
1) ‘ 재야 신학교’가 필요하다
2) 모든 영역의 신진 기독 학자를 이끌어내라
2) 네트워크를 만들라
1) 운동은 조직 아니면 , 매체이다
2) 다원적 운동을 실험하라
3) 대중적 저변을 확대하라
1) 한국대중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2) 지식과 문화의 향유를 위한 환경을 만들어내라
세계관 운동과 역사 만들기
1. 역사는 시행착오의 축적물
1) 실험과 실패를 두려워 말고 시도하자
1) Emerging church (USA)
2) Post-evangelical (UK)
2) 랜드마크의 붕괴는 동시에 새로운 설계의 기회이다
2. 몇 가지 가능성의 영역들
1) 연구집단의 활성화
1 ) ‘ 수유 + 너머’ 등의 성과
2 ) 대학을 넘어선 연구공간 만들자 : KIATS
2) 대중교육의 활성화
1 ) 아카데미운동의 허와 실
2 ) 온 / 오프라인 매체는 꼭 필요하다
3) 대중운동의 저변확대
1 ) 영국의 수련회 운동들 : Spring Harvest, Greenbelt Festival
2 ) 시민운동과의 결합 : 평화운동 , 인권운동 등 진출
세계관은 세계형성적 (world-formative) 이다
세계관은 그를 통해 세계를 보고 , 세계를 보는 것을 통해 그것이
형성되는 그리드 (grid) 와 같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