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이상기체

1) 기체의 상태
- 압력
- 온도
2) 기체 법칙
- 각 기체에 적용되는 법칙(보일, 샤를)
- 이상기체에 적용되는 법칙(이상기체 방정식)
- 기체의 혼합물
- 분압

실제기체
1) 분자간 상호작용
- the compression factor
- virial coefficients
- condensation
- critical constants
2) The van der waals 방정식
3) The principle of corresponding state
nRT
P=
V
Exercises
1.1(a) 이상기체 방정식을 어떻게 유도했는가?
-boyle’s law
P * V = constant (at constant temperature)
특정 온도에서 압력과 부피는 서로 반비례한다.
[단 낮은 압력에서만 보일의 법칙이 성립한다. 각 기체마다 갖고 있는 화학적 특성은 다르지만,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기체 분자간에 서로 영향력을 거의 미치지 않기 때문에 기체에 상관없이
성립하게 된다.]
-샤를의 법칙
V = constant * T (at constant pressure)
부피는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alternative version of charle’s law
P = constant * T (at constant volume)
-아보가드로의 법칙
V = constant * n (at constant pressure and temperature)
그래서 위에서 얻은 식들을 종합해서 하나의 표현으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PV = constant*nT
여기에서 실험적으로 얻은 상수를 기체 상수라 하여 R 로 사용한다.
PV = nRT

1.1(b) partial pressure – 한 종류의 기체분자가 하나의 container 에 있을 때, 그 기체의 압력을


말한다. 공기 같은 여러 기체분자가 혼합되어 container 에 있을 때, 이 공간에 만약 질소만
남게되었을 경우의 압력, 산소만 있을 때의 압력을 partial pressure 라고 한다. Dalton’s law 는 기체
혼합물이 가하는 압력은 각 기체들의 partial pressure 의 총합과 같다는 것인데, 실제 기체들은
이상기체와 같이 행동하지 않는다. 특히, 압력이 높을 때, 그리고 온도가 낮을 때,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기체 분자간에 거리가 가까워지면 분자끼리 서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dalton’s law
는 limiting law 가 될 수 밖에 없다.

1.2(a) the compression factor 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실제기체에서 분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보여주는가?
The compression factor 는 이상기체의 molar volume 에 대한 기체의 molar volume 의 비율이다.
Vm
Z= 그래서 compression factor 를 사용해서 이상기체 방정식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V mo
P V m=RTZ 이렇게 표현된 식을 p 에 대한 Z 의 그래프를 그려봄으로써 거리에 의존적인 분자간
힘을 살펴볼 수 있다. 이상기체의 Z 값은 항상 1 이다. 모든 조건에서 1 이기 때문에, Z 값이 1
에서부터 멀어지는 것은 이상기체의 행동에서 그만큼 벗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를 볼 때, 압력이 작을수록 compression factor 가 1 에 가까워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압력이 작을수록 기체가 거의 이상기체처럼 행동한다는 의미이다.
반대로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 모든 기체들은 Z 값이 1 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 이는 같은
압력에서 이상기체의 부피보다 더 큰 부피를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압력이 커질수록 기체
분자간에 반발력이 크게 작용하여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 같다. 그래프에서 중간 정도의 위치를
보면 압력이 약간 클 때는 대부분의 기체들의 compression factor 가 1 보다 작은데, 이는 기체
분자간에 인력이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상기체에 비해 더 작은 부피를 갖게 된다.

Compression factor 는 virial coefficient 의 power series 를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virial
coefficient 는 온도에 의존적이다. 그래서 식을 통해서 봤을 때 기체가 압력이 감소한다고 해서 항상
이상기체와 같이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압력이 낮거나 molar volume 이 큰 경우에
이상기체와 같이 행동하는, 즉, compression factor 가 1 이 되는 온도를 boyle temperature 라고 한다.
압력에 대한 compression factor 그래프를 보면 이상기체는 기울기가 0 임을 볼 수 있다. 기울기 값은
온도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boyle temperature 에서 가장 이상기체와 비슷하게 행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온도가 높을수록 Z 값이 빠르게 증가하는데, 이는 기체분자의 에너지가 증가해서 부피가 더
커지기 때문일 것이다. 온도가 낮으면 Z 값이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기체분자의 에너지가
작아서 그 만큼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일 것이다.

1.2(b) critical constant 가 의미하는 바는?


이산화탄소를 강하게 압축시키면 기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은 항상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온도아래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온도를 critical
temperature 라고 한다. Ciritical temperature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산화탄소를 압축하면 어느
순간에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부피가 갑자기 줄어들게 된다. 이는 기체가 액화되기 때문인데,
이 순간을 isotherm 에서는 수평선으로 표시한다. 그런데, critical temperature 과 같은 온도, 혹은 더
높은 온도에서 같은 일을 반복하면, 기체는 액화되지 않고 supercritical fluid 로 존재하는데, 보통
기체보다 기체분자들이 더 밀집되어 있는 기체이다. Critical temperature 보다 높은 온도에서 기체를
압축시키는 경우 isotherm 에서 수평선으로 표시되던 부분이 서로 만나 하나의 점으로 표현되는데,
이 지점을 critical point 라고 하고, 이 때의 온도, 압력, molar volume 을 critical constant 라고 한다.
산소를 액화시키고 싶으면 반드시 산소의 critical temperature 보다 낮은 온도에서 압축을 시키면
액화시킬 수 있다.

1.3(a) van der waals equation 을 설명


Van der waals equation 은 이상기체와 실제기체간의 차이점을 이용해서 이상기체방정식을 약간
수정한 식이다. 실제기체가 이상기체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repulsive interaction 과 attractive
interaction 이다. 먼저 분자간 repulsive interaction 이 기체분자들을 작고 투과할 수 없는 구 처럼
행동하게 만드는 것으로 가정을 한다. 부피가 0 이 아닌 기체분자들이 부피 V 에서 움직임을
보이는데, 기체 분자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데신 각 기체 분자의 부피를 V-nb 로 대체한다. Nb 값은
분자들이 차지하고 있는 총 부피의 4 배가량 되는 값이다. 그래서 식은 다음과 같은 모양이 된다.
nRT
p=
V −nb
압력은 벽에 부딪히는 횟수와 각 부딪힐 때의 힘에 의해 결정된다. 부딪히는 횟수와 부딪힐 때
가해지는 힘은 attractive force 에 의해서 감소하게 된다. Attractive force 는 부피당 존재하는 분자수(
n
)에 비례한다. 충돌하는 힘과 충돌하는 횟수 2 가지 모두 attractive force 에 의해서 감소되기
V
n 2
때문에 압력은 ( ) 에 비례해서 감소한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이 완성된다.
V
nRT n 2
p= −a ( )
V −nb V

van der waals equation 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높은 온도에서, 그리고 molar volume 이 클 때, 이상기체의 isotherm 이 얻어진다.
-온도가 높게 되면, RT 값이 매우 크게 증가한다. 매우 높게 증가하면 van der waals equation
의 2 번째 항이 무시된다. 게다가, molar volume 이 커져서, Vm 값이 b 보다 더 큰 값을 갖게
되면, Vm-b 값이 Vm 값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방정식이 이상기체 방정식과
같은 모양으로 정리된다.
2) 응집하려는 힘과 흩어지려는 힘이 평형을 이룰 때, 기체와 액체가 공존한다.
-van der waals loop 은 van der waals equation 의 2 항이 비슷한 값을 가질 때 나타난다.
첫번째 항은 분자의 kinetic energy 와 repulsive force 에 의해 증가하고, 두번째 항은
attractive interaction 에 의해 증가한다.
3) Critical constant 는 van der waals coefficient 와의 관계를 갖고 있다.

1.3(b) van der waals equation 이 critical behaviour 에 대해서 뭐라고 설명하고 있는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