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7

 개요 및 프로그램

 연사소개
 발표자료

 개회사
 기조연설
 세션1
 세션2
 세션3
² 개요
²프로그램 사회: 자본시장연구원 노희진 박사
프로그램 시 간 내용
등 록 08:30-09:00 등록 & Coffee Break
09:00-09:05 [개회사] 김영수/조선경제 i 대표
개회식 09:05-09:10 [축사] 한승수/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이사회 의장
09:10-09:15 [환영사] 양수길/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지속가능한 개발과 녹색금융
09:15-09:40 우르술라 섀이퍼-프로스(Ursula Schaefer-Preuss)/
기조연설 아시아 개발은행 (ADB) 부총재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발전과 투자기회
09:40-10:05
셰수장(解树江)/중국에너지연구원 원장
Coffee Break 10:05-10:15 Coffee Break
녹색성장과 연기금의 역할
10:15-10:35
전광우/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세션 1 미국 클린테크의 투자와 혁신
10:35-10:55
페리 하(Perry Ha)/DFJ Athena 대표
10:55-11:05 질의 응답
Break 11:05~11:15 Break
녹색성장 시대 금융의 역할과 과제
김석동/금융위원회 위원장(발표)
오찬 세션 11:15-12:55
김종창/금융감독원 원장
오찬 및 참가자 네트워킹
녹색성장 국가 전략
12:55-13:15
김상협/녹색성장환경 비서관
세션 2 정책금융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13:15-13:35
유재한/한국정책금융공사 사장
13:35-13:45 질의 응답
Coffee Break 13:45-13:55 Coffee Break
녹색성장과 벤처캐피탈의 역할
13:55-14:15
양태수/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대표
신성장 녹색펀드의 운용 전략
14:15-14:35
세션 3 오광희/옥토스인베스트먼트 대표
녹색금융 투자 흐름
14:35-14:55
양정규/아주IB투자 대표
14:55-15:05 질의 응답

약도: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202번지 신라호텔 다이너스티 홀


발표자 프로필
 연사소개
,
환영사 한승수,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이사회 의장

축사 양수길,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기조연설 Ursula Schaefer-Preuss, 아시아개발은행(ADB)부총재


SPEECH

기조연설 셰수장(解树江), 중국에너지연구원 집행원장


SPEECH
세션1 전광우,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세션1 페리 하(Perry Ha), DFJ Athena 대표

Perry Ha is the founder of DFJ Athena, a venture capital firm


focused on investments in Korea and the US. He has been an
active venture investor since 1997 when he founded Athena
Technology Ventures, a Silicon Valley based venture capital fund
with a focus on early-stage startups. He has invested in and/or
served on the board of many successful companies including
Ipivot (INTC), Demandtec (DMAN), Imparto Software (PKS),
ProfitLogic (ORCL), and Zantaz (AUTNF).

오찬세션 김석동, 금융위원회 위원장

- 2004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


- 2005 同금융정보분석원장
- 2005 同차관보
- 2006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 2007 재정경제부 제 1 차관
- 2008 ㈜농협경제연구소 대표이사
- 2011 금융위원회 위원장

세션2 김상협, 녹색성장환경 비서관

- 매일경제신문, SBS 저널리스트


- 현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비상근이사
- 현 세계경제포럼(WEF)의 글로벌 어젠다카운슬러위원
- 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실 녹색성장환경 비서관
- 현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공동단장, 미래기획위원회
공동단장 겸임
세션2 유재한, 한국정책금융공사 사장

- 2004. 재정경제부 국고부장


同정책조정국장
- 2005. 금융정보분석원장,
同정책홍보관리실장
- 2007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
- 2009 한국정책금융공사 사장

세션3 양태수,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대표

- 1989 동양인베스트먼트 창립멤버


- 2007~현 삼호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 현 한국부품소재토자기관협의회 감사
- 현 한국환경협회 이사
- 현 한국벤처협회 이사
- 현 LES Korea Member

세션3 오광희, 옥토스인베스트먼트 대표

- 2001~2004 Henderson-IIC Private Equity, 공동대표


- 2005~2009 Global Star Korea Fund Advisors, 공동대표
- 2006~현 LG패션, 사외이사
- 2008~현 AUCTUS, 대표
- 2010~현 알티반도체㈜, 사외이사
- 2010~현 넥솔론㈜, 사외이사

세션3 양정규, 아주 IB 투자 대표

- 1999.6 KTB Networks 국제담당 상무


- 2000. 1 美 알카텔벤처펀드 한국사무소 대표
- 2003. 5 한국기술투자 한국 대표이사
- 2004. 6 美 스카이모바일미디어 한국사무소 대표
- 현 아주 IB 투자 대표
사회자 노희진,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한국 금융학회이사 및 한국 증권학회이사
- 대우증권, 엘지 생활건강, 신용보증기금, 미래에셋증권
사외이사
- 금융위원회자금세탁방지정책 자문위원 및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
- 자본시장발전공로상 및 표창수상(증권협회, 아주경제신문,
재정경제부)
- 아시아 헤지펀드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25 인에 선정
(아시아 인베스터)
-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중국사회과학원 방문교수
축사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이사회 의장
한승수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이사회의장
한승수

‚The Future of Asian Economy and Green Finance‛

Excellencies,
Distinguished participants,
Ladies and gentlemen,

It is my great pleasure to have this opportunity to speak to you on ‘green growth and
green finance’ at this auspicious opening ceremony of the Green Finance International
Forum. I am very grateful to Chosun Ilbo for their kind invitation. I would like to welcome
all the distinguished participants, particularly those from abroad who have made a very
long journey to Korea.

Ladies and Gentlemen,

Climate change and the resulting impacts of global warming are posing a serious threat to
humankind. And it is clear that the main cause behind global warming has been the
massive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derived from the heavy use of fossil fuels to achieve
economic growth since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ult is that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world is under threat from the challenges posed by climate change. In other
words, the quantity-oriented, expansionary growth paradigm of the past that has
brought about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has started to show its limits.

The world desperately needs a new growth paradigm that can address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and resource depletion. The answer to this is green growth. Green growth
is a new paradigm that can sustain economic growth while at the same time, enhancing
climat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f the major factors behind the quantity-oriented growth paradigm that we have relied on
for the past 200 years since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were labor and capital, new
ideas, transformational innovations, and the state-of-art technology would be the main
factors of growth in the new paradigm. In the future, green technologies and green
industries would become the new engines of growth.

Recognizing this new reality, various countries across the world including those in Europe,
US, UK and Japan are on a fierce ‚green‛ race.

In the case of Korea, President Lee Myung-bak proclaimed low carbon green growth as the
new national vision on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on
August 15th, 2008. Thereafter, the government has formulated various policies to put this
vision into policy action and announced the Green New Deal in January 2009. It has also
formulated and is in the process of executing its Five Year Green Growth Plan (2009-13).
Furthermore, it has legislated and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world.

In November 2009, Korea announced that it would reduce 30% of GHG emissions by
2020 relative to BAU. Although Korea is a non-Annex I country, it has voluntarily
committed to the highest level of emissions reduction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such ways, Korea has been a pioneer in identifying and pursuing green growth as a
national policy. Moreover, in his capacity as the Chairman of the 2009 OECD Ministerial
Council Meeting, I, then Korean Prime Minister, was instrumental in unanimously adopting
the OECD Declaration on Green Growth in June 2009, which has provided the basis for
OECD’s active research on green growth. Furthermore, Korea is playing an active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green growth ideas in the UN Secretary-General’s High-Level Panel
on Global Sustainability (GSP) where the Working Group 2 deals with paradigm shift, i.e.
green growth. Last June, Korea established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which has
been working to share green growth theories and policies with developing nations.

Adopting green growth policie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developing countries given
that the vast majority is highly vulnerable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most lack
the financial and technical capacity to adapt and to develop green technologies and
industries that are key to addressing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while at the same
time advancing economic growth.

Distinguished participants,

The role of the financial sector is essential to promoting investment towards the
development of green technologies and industries. However, as market mechanisms are
inadequate in dealing with the externality of global scale such as that of climate change,
the public sector should play a leading role in financing investment in the beginning. In
particular, given the risks and uncertainties arising from fledgling markets in green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itial public investment will play a crucial role in promoting
and instilling private sector confidence in such markets. In the mid- to long-term, however,
voluntary private investment needs to replace public finance as the major source of
financing and the proper role of market fully restored.

Additionally, the efforts towards promoting green growth will bring about the additional
benefit of creating new green finance sectors. We will need to reform the regulatory
measures such that decisions on lending and investment. New product development
schemes need to fully take into account the resulting environmental impacts, while also
disseminating knowledge and raising awareness of green financing. We will need to
develop new financial markets such as carbon markets, carbon funds, carbon accounting
and carbon emissions brokerage firms or permits intermediaries by providing incentives
such as priority funds, preferential lending rates, increased credit limits, reduced
transaction costs, preferential tax schemes and priority acquisition of green stocks and
bonds.

Furthermore, it is highly important to provide diverse financial products that can aid the
transition towards green growth and induce people to lead a lower carbon-emitting life.
The role of the financial sector is important in providing green housing, cars, food,
clothing and more that can encourage citizens to enjoy a lower carbon, green lifestyle.

I sincerely hope that this Chosun Biz’s Green Finance International Forum will serve as a
platform on which we can reach mutual understanding and agreement on the importance
of green finance in combating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and in promoting green
growth as a new global paradigm of growth.

I am also hopeful that this forum will provide us with the firm belief that green growth
paradigm is the only alternative if we are to address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and
to hand over a more sustainable and cleaner earth to our children and children’s children.

On closing, I sincerely hope that this Forum will provide us with the precious opportunity
to share our opinions and thoughts towards addressing the greatest challenge of our time
on how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o enhance the low carbon green growth
in the world in general and across Asia in particular.

Thank you.
축사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양수길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양수길

녹색성장위원회의 위원장으로서 ‚아시아 경제의 미래와 녹색 금융‛을 주제로 하는


녹색금융 국제포럼 행사에서 말씀을 드릴 기회를 갖게 되어 크나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녹색성장‛은 19 세기 산업혁명, 20 세기 IT 혁명과 같은 차원의 혁명으로 규정지을 수


있습니다. 증기기관의 발명, IT 혁명이 그랬던 것처럼 녹색기술도 50~60 년에 한번 오는
대규모 경기 순환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녹색산업은 전세계적으로 투자가 가장 집중되는 분야여서 기업인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으며 선진국들 또한 녹색산업을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려는 의지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지원 정책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먼저, 녹색산업의 기본축을 담당할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정책입니다. 녹색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중소기업이 앞장서서 산업을 발전시키는 구도가 되어야 합니다.
산업의 기초가 되는 부품ㆍ소재를 공급할 수 있는 실력 있는 중소기업이 없다면
녹색성장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2013 년까지 녹색중소기업 1,000 개 육성을 목표로 정책금융공사 중심의
500 억원 규모의 ‘녹색투자 전용 펀드’를 설립하였습니다. 또한, 1,000 억원 규모의
상생펀드로 중소기업 지원에 나서고, 신용보증기금 등을 통해 녹색산업 분야에 1 조
6,000 억원 규모의 보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녹색산업 발전기반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도 확대하겠습니다. 올해


연구개발(R&D) 투자를 지난해 투자 규모 2 조 3,000 억원보다 2,000 억원 증가한 2 조
5,000 억원까지 확대하고 이 중 30% 이상을 기초 및 원천 연구 개발에 투자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세제 혜택이 있는 녹색금융상품
활성화 제도를 마련하고, 녹색 기업의 코스닥 상장 촉진 방안을 검토하겠습니다.

오늘 ‚아시아 경제의 미래와 녹색 금융‛을 주제로 개최되는 국제포럼을 통해


녹색산업이 지구촌 경제를 견인하고 삶의 가치를 고양시킬 미래 핵심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소중한 의견들이 많이 오가는 열린 장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조연설
지속가능한 개발과 녹색금융
우르술라 섀이퍼-프로스
(UrsulaSchaeferPreuss)/
아시아 개발은행 (ADB) 부총재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아시아 개발은행 (ADB) 부총재
우르슬라 섀이퍼-프로스(Ursula Schaefer-Preus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ural Finance‛

1. We are now facing the most far-reaching challenge to ever confront the human race:
climate change.

2. With the most populous and dynamic economies in the world, the Asia and the
Pacific region is at the center of the glob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 Asia’s contributions to the climate change dilemma are growing by the day.

 Worsening the situation, Asia’s cities are growing too quickly and unsustainably.

 Access to affordable and sustainable energy is a must to reduce poverty.

3. As Asia goes, so goes the world when it comes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itiatives.

4. The crisis of the 3Fs – finance, food, and fuel – met with climate change to spur
the emergence of the idea of green growth, which is essentially about embarking on a
development path that will securely and sustainably promote human well being.

5. Most of Asia is coming out of the 3F crisis. But this should not give us reason for
complacency. In fact, Asia should be doing much more to achieve green growth.

6. A key aspect in achieving green growth is green finance. ADB has been practicing
green finance for many years by establishing environmental and social safeguards for its
investments. What is new is that ADB is now financing green growth on a more massive
scale. For instance, ADB’s clean energy investment reached over $ 1.7 billion in 2010. This
reflects the huge demand from developing Asia – much more than the public sector could
every possibly address alone.

7. Overall, the needs for green financing in the region are staggering. Among others,
up to $5 trillion is required for new infrastructure alone. Massive investment in clean and
renewable energy is also needed, as well as in wastewater treatment and sanitation, and
sustainable transport.

8. Concerted action and partnership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absolutely critical to meet these massive financing needs. ADB’s key role in green finance
is to use its limited public sector funds to leverage private capital. What needs to be
urgently resolved is how to best use these limited public sector funds.
9. As a key leader in the green growth revolution, the Republic of Korea could make
use of the vast opportunity that green growth presents to generate new, win-win situations
for addressing climate change, gaining economic benefits, and reducing poverty.

10. The Republic of Korea and ADB could explore partnerships in green finance. One
option could be to encourage private capital flows in clean energy and sustainable
transport.
기조연설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발전과 투자기회
셰수장(解树江)/
중국에너지연구원 집행원장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중국에너지연구원 집행원장
셰수장(解树江)

<중국 신에너지산업의 발전과정과 투자기회>

2010년 7월 UN환경계획(UNEP)과 신재생에너지정책네트워크(REN21)는 상호 연관성


이 있는 보고서- ‘전세계 지속가능한 에너지투자경향2010 ’과 ‘전세계신재생에너지 현황
보고 2010’-를 발표함.
블룸버그 뉴스에너지파이낸스(BNEF)의 최신 통계에 의하면, 2010년 중국의 청정에너
지 투자액은 515억 달러로 세계 최대의 녹색에너지 투자국이 됨.

1. 고속 성장 중인 중국의 신에너지산업

2010년 중국의 비석유화학 부문 에너지 건설투자는 전체 전력건설 투자의 63.5%에


달함. 이는 전년 대비 4.8%p 증가한 것임.
2010년 기준 전국 수력발전 설비용량은 2억 1천 kw로 세계 최대 규모를 기록함.
원자력 부문은 28기가 건설 중이며, 용량은 3097만 kw로 역시 건설 중인 원자력 규
모 면에서도 세계 1위임.
신규 풍력 설비용량은 1600만 kw, 누적 설비용량은 4182만 7천 kw로 세계 1위의 규
모임.
2010년 태양열 발전 신규 설비용량은 40만kw, 누적 설비용량은 70만kw에 달함. 태
양전지 연간 생산량은 8Gw로 전세계 생산량의 50%로 세계 최대 규모임.
중국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09년 중국 500대 에너지그룹 순위’에서 신에너
지기업 71개가 순위에 진입함. 이들 기업의 영업수익은 2923억 위안에 달함. 2011년 2
월 9일 기준, 중국내 상장한 신에너지기업은 90개로,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은 1조 306
억 위안임.(약 1700억 달러)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중국의 신에너지 투자규모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인 이유는 풍력, 태양열, 수자력 등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임.
2010년 말 기준 중국의 에너지 대외 의존도는 10%에 육박했고, 2015년에는 15%를
넘어설 것으로 보임. 중국의 2010년 원유 대외의존도는 53.7%임. 높은 에너지 대외의존
도는 중국에게 있어서 신에너지 자원 개발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 외에도 환경 오염, 경제발전으로 인한 막대한 에너지 수요, 세계 각국의 신에너지
개발을 위한 지원정책의 시범 효과, 국제시장의 수요, 금융시장의 지원 등으로 중국의
신에너지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중국은 1995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발전요강’, 2001년 개정된 ‘신에너지 및 재생


에너지산업발전 10차 5개년 계획’, 2003년의 ‘재생에너지 중장기 발전계획’, 2006년의
‘11차 5개년 계획 재생에너지 발전계획’ 등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에 관한 정책 및 계
획을 잇달아 내놓고 있음.
본문에서는 ‘ 재생에너지법 ’ 개정안과 전략적 신흥산업계획, 풍력발전 기준가격 공시,
태양열 지붕계획, 소득세 정책, 증치세 정책, 재생에너지발전특별기금, 청정발전메커니즘
기금, 국가첨단기술산업기지 등 정책을 집중 살펴볼 것임.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2011년 재생에너지 발전 ‘12차 5개년 계획’과 7개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계획이 본격


실행되면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산업은 새로운 발전기에 들어서게 됨.
2020년 중국의 신에너지시장 규모는 1조 5천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됨. 높은
출력의 풍력 설비, 풍력발전소 건설과 운영, 컨설팅 서비스, 메인베어링, 전력통제시스템,
변류시스템 등 핵심부품 제조 분야에 투자 기회가 상당함.
중국 신에너지산업의 발전과정과 투자기회
셰수장

2010년 7월 UN환경계획(UNEP)과 신재생에너지정책네트워크(REN21)는 상호 연관


성이 있는 보고서-‘전세계 지속가능한 에너지투자경향2010’과 ‘전세계신재생에
너지 현황 보고 2010’-를 발표함.
블룸버그 뉴스에너지파이낸스(BNEF)의 최신 통계에 의하면, 2010년 중국의 청정
에너지 투자액은 515억 달러로 세계 최대의 녹색에너지 투자국이 됨.

2
1. 고속 성장 중인 중국의 신에너지 산업
2010년 중국의 비석유화학 부문 에너지 건설투자는 전체 전력건설투자의 63.5%에 달함. 이는 전
년 대비 4.8%p 증가한 것임. 2010년 기준 전국 수력발전 설비용량은 2억 1천 kW로 세계 최대 규
모를 기록함. 원자력 부문은 28기가 건설 중이며, 용량은 3097만 kW로 역시 건설 중인 원자력 규
모 면에서도 세계 1위임. 신규 풍력 설비용량은 1600만 kW, 누적 설비용량은 4182만 7천 kW로
세계 1위의 규모임.

상하이 둥하이(东海)대교 10만kw급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 유럽 이외의 지역으로서는 처음으로 진행 중인 해상풍력 통


합 프로젝트이자, 중국 최초의 해상풍력 시범프로젝트임. 둥하이대교 동쪽의 상하이시 해역에서 진행 중이며, 육로와의
거리는 8~13km, 평균 수심은 10m, 총 설비용량은 102조w임. 풍력설비는 화루이(华锐)풍력에서 자체 개발한 34기의 3
조w급 해상풍력설비를 채택함. 향후 연간 발전량은 2억 6천만kw로 전망됨. 3

1. 고속 성장 중인 중국의 신에너지산업
2010년 태양열 발전 신규 설비용량은 40만kw, 누적 설비용량은 70만kw에 달함.
태양전지 연간 생산량은 8Gw로 전세계 생산량의 50%로 세계 최대 규모임.

중국 최초의 태양열 발전 특허권 프로젝트- 중국 광둥원자력그룹 둔황 10MW 프로젝트

4
1. 고속 성장 중인 중국의 신에너지산업
중국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09년 중국 500대 에너지그룹 순위’에서 신에너지기업
71개가 순위에 진입함. 이들 기업의 영업수익은 2923억 위안에 달함. 2011년 2월 9일 기준,
중국 내 상장한 신에너지기업은 90개로,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은 1조 306억 위안임.(약
1700억 달러)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1.중국의 자원 경쟁력
중국은 세계 최대의 풍력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 육상 풍력에너지
자원의 잠재규모는 23억kw, 해상 풍력에너지 자원은 약 2억kw임. 현재
누적 통합 설비용량은 3107만 kw로 향후 상당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6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1.중국의 자원 경쟁력
중국의 태양열 자원은 상당히 풍부하며, 태양열 산업 발전에 필요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 동일한 위도에 있는 다른 국가와 비교해 보면, 중국 내 대다수 지역이 상당히 풍부한
태양열 자원을 갖추고 있음. 이는 미국과 비슷하고, 일본, 유럽 국가 보다는 월등한 수준임.
특히 칭짱(青藏)고원 서부와 동부지역의 태양열 자원 규모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하라 사
막에 근접하는 수준임.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1.중국의 자원 경쟁력
수자력 자원 역시 비교적 풍부한 수준으로, 중국의 중요한 에너지 자원임.
개발 가능한 설비용량은 4억kw 이상임. 연간 발전량 역시 1조 7천억kw 이상이 가능함.

8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2. 중국의 에너지 안보: 대외 의존도가 상당히 높음.
2010년 말 기준, 중국의 에너지 대외의존도는 10%에 육박하였으며, 2015년에는 15%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됨. 그 가운데 자원별 순수입량을 살펴보면, 석탄 2억 4천만 톤, 석유 3억 톤, 천연가스 950억 입방미
터로, 세계 최대의 석탄 순수입국이자 2위의 석유순수입국, 4위 또는 5위의 천연가스 순수입국이 될 가능
성이 매우 큼. 2010년 원유 대외의존도는 53.7%로,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는 등 원유의 대외의존도
압력이 상당히 큼. 높은 대외의존도는 중국의 신에너지 개발에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3.중국의 환경 문제
중국의 석탄소비량은 세계 평균수준 보다 40% 이상 높음. 2009년에는 30억 2천만 톤으로 세계 총소비량
의 40%를 기록함. 이 같은 에너지 소비구조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있어서 어려움을 증대시키고 있음.
2010년 초, 국가에너지위원회가 출범함. 원자바오 국무원 총리가 위원장을, 리커창 부총리가 부주임을
역임하였으며, 외교부, 발전개혁위원회, 재정부, 국토자원부, 공신부 등 21개 부처 책임자들이 위원으로
임명됨. 동 위원회는 제1차 전체회의를 통해 두 가지 목표를 제시함.
▲ 에너지 구조 조정과 신에너지산업 개발에 중점을 두고, 2010년 비석유화학 에너지 소비 비중을 15% 까
지 끌어올릴 것을 목표로 제시함. 또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의 개발과 보급을 확대하고, 농촌지역, 국
가 변경지역 등에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함.
▲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이용 감축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함.2010년 단위당 GDP의 CO2
배출량 40~45% 감축 목표를 국민경제사회발전의 중장기 계획에 포함시키고, 저탄소 공업, 교통, 건축
체계 구축에 주력함.
9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4. 경제성장으로 에너지 수요 급증

톤tce 억 위안
350000 400000

300000 350000
300000
250000
250000
200000
200000
150000
150000
100000
100000
50000 50000
0 0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연도

에너지 소비총량 석탄 소비총량 GDP

국가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까지 경제성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중국의 에너지소비
총량은 약 46억 표준석탄, 중간 수준을 유지할 경우 49억 표준석탄,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지속할 경우 51억 표준석탄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의 현 에너지 이용효율이나 소비구조, 경제구조를 볼 때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해서 에너지의 대량
소모가 불가피함. 이로 인해 중국은 에너지 수급 불균형에 직면하게 되어 경제성장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더욱 높아
질 것이고 에너지 안보 문제도 더욱 심각해 질 것임. 따라서 신에너지 개발은 중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함.
10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5.세계 각국의 신에너지산업 지원 정책의 시범효과
• 에너지 부문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나 정책을 세운 국가는 2005년 초 55개에서 2010년 100여 개 국
으로 증가함. 대다수 국가가 다양한 장려정책을 펴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육성정책을 내놓은 국
가는 83개국임. 이 외에도 보조금, 특별출연, 세금 면제 등 부대 지원조치가 함께 사용되고 있음.
• 재생에너지 난방공급(태양열 온수기) 분야에서 최소 20개 국가가 투자장려 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음.
• 최근의 경향을 보면, 신재생에너지 확대에서 개도국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음.
• 신에너지 개발에서 채택되고 있는 각국의 정책들이 중국과 여타 국가 간에 상호 자극제로 작용하고 있
음.

11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6. 국제시장 수요의 증가
2010년 태양전지 생산량은 8Gw로 세계 전체 생산량의 50%(세계 1위)를 차지함. (2009년
에는 40% 수준) 중국의 태양전지는 수출 위주로, 국내 생산된 태양전지의 90% 이상이 해
외로 수출되고 있음. 주요 수출국은 독일과 스페인임.

7.금융시장의 지원
은행:
일례로, 2010년 9월 20일 국가개발은행과 화루이(华锐)풍력은 ‘개발성 금융계획발전 및
전력협력협정’을 체결하고, 화루이풍력에 65억 달러 규모의 융자한도를 제공키로 함. 이는
화루이풍력이 국제시장 개척과 국제화 전략을 이행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12
2. 중국 신에너지 부문 투자규모
7.금융시장의 지원
자본시장: 2011년 2월 9일 기준, 중국내 상장한 신에너지기업은 총 90개, 시가총액은 1700억 달러임.

13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재생에너지법》개정안
■ 2010년 4월 1일자로 발효.
■ 국무원 에너지 주무 부처와 국무원 유관부서가 국가 재생에너지 개발이
용 중장기 목표와 재생에너지기술 발전 상황에 근거하여 국가 재생에너
지 이용개발계획을 구축하기로 함.
■ 개정 후 법안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재생에너지 보장성 수매제도를 실시
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보장성 수매제도는 일종의 쿼터제로, 전력회사가
구매하는 전력 가운데 재생에너지가 일정 비율 이상 이상, 또는 전력기
업의 발전량 가운데 재생에너지가 일정 비율 이상을 유지하도록 규정함.

14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재생에너지발전특별기금
■ 재정부는 2006년 5월 발표한 ‘재생에너지발전 특별자금관리 잠정 방법’
을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 특별자금을 국무원 재정부가 법에 의거 설립하
며, 중앙정부의 재정 예산을 통해 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 지원에 투자
하기로 함.
■ 풍력, 태양열, 해양에너지 등의 재생에너지의 개발, 보급시 재생에너지
발전 특별자금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음.
■ 발전 특별자금은 무상지원과 우대대출(대출할인)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지
급됨. 대출할인방식은 국가재생에너지산업 발전사업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신용대출 요건에 부합하는 재생에너지 개발이용 사업에 지원됨.

15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재생에너지발전특별기금
■ 독립형 풍력발전, 통합형 풍력발전, 풍력자원 평가분석 소프
트웨어, 풍력시장 설계 및 최적화 소프트웨어, 풍력발전소
집중원거리 제어시스템, 풍력발전소 건설 및 유지보수 전문
장비;
■ 독립형 태양열 발전시스템, 통합형 태양열 발전시스템, 태양
열 광열 발전시스템, 실리콘 태양전지, 박막태양전지, 건축
용 태양전지 부품, 태양전지 및 부품 제조 장비;
■지열 보존시스템 등 국가재생에너지 발전리스트에 포함된 사
업.
16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전략적 신흥산업
■ 2010년 10월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전략에 관한 국무원의 결정’이 발표됨.
■ ‘12차 5개년 계획’ 기간 중국은 에너지절약, 신에너지, 신에너지 자동차 등 7대
산업을 집중 육성, 개발하고, 2015년까지 전략적 신흥산업의 부가가치의 GDP
대비 비중을 8% 수준으로, 2020년까지 15%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임. 그 후
10여 년간 전략적 신흥산업의 혁신능력과 산업 수준을 세계 일류 수준으로 제고
하기로 함.
■ 이 외에도 환경보호 및 에너지 절약, 차세대 IT기술, 바이오, 첨단장비 제조사업
을 국민경제의 기간산업으로, 신에너지, 신자재, 신에너지자동차를 국민경제의
선도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함. 이들 가운데 환경보호 및 에너지 절약, 신에너지,
신에너지자동차 산업이 에너지업종과 직접 관련이 있음.
■ 세수 및 금융 지원시스템을 개선하고, 사회적 자금의 투자 유발과 금융기관의
신용대출 지원확대를 이끌어 내어 자본시장의 융자기능을 다차원적으로 활성화
함.
17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재생에너지발전 특별기금
■ 독립형 풍력발전, 통합형 풍력발전, 풍력자원 평가분석 소
프트웨어, 풍력시장 설계 및 최적화 소프트웨어, 풍력발전소
집중원거리 제어시스템, 풍력발전소 건설 및 유지보수 전문
장비;
■ 독립형 태양열 발전시스템, 통합형 태양열 발전시스템, 태양
열 광열 발전시스템, 실리콘 태양전지, 박막태양전지, 건축
용 태양전지 부품, 태양전지 및 부품 제조 장비;
■지열 보존시스템 등 국가재생에너지 발전리스트에 포함된 사
업.
18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풍력발전 기준가격 공시
■ 전국을 4대 풍력자원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 풍력발전 기준 공시가격
을 제정함. 공시 가격은 각각 0.51위안/kw시, 0.54위안/kw시, 0.58위안
/kw시, 0.61위안/kw시임.
■ 풍력발전 가격 메커니즘을 통합하고 체계적인 관리에 유리.
■ 공시가격을 통해 보다 정확한 가격 전망이 가능하며 발전 잠재력과 비용
절감을 통해 투자자들이 우수한 시장을 우선 개발할 수 있도록 선도.
■ 과거 프로젝트 또는 사업별 심사하던 방식을 변경하여 행정심사 단계를
대폭 축소함.

19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태양열 지붕 프로젝트
■ 중앙정부의 재정으로 태양열 응용사업에 보조금 지급. 2009년 보조금
기준은 20위안/Wp로 상향 조절됨. 이 같은 보조 수준은 전국 관련 기업
의 생산비용 30~50%를 커버할 수 있는 수준임.
■ 광전기 건축 응용 시범사업에 자금 보조, 기술혁신 장려, 지방정부의 관
련 지원정책 장려, 건설 분야의 지원정책 확대.
■ 태양열 지붕, 태양열 벽 등 태양전기 건축을 통해 단기간 내에 국민들에
게 태양열의 다양한 장점을 알릴 수 있어 이후 본격적인 보급과 산업 투
자자금 유치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임.

20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소득세 정책
■ 소득세 관련,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 재생에너지 신규 건설 프로젝트가 인프라
사업 소득세 우대 대상 리스트에 포함됨.
■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 재생에너지 기술을 국가 중점 지원 첨단기술 분야에 포
함.
■ 자격 요건에 부합하는 재생에너지기업은 관련 법에 의거, 기업소득세 감면우대 혜
택을 누릴 수 있음.

21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자원 종합이용 증치세 정책
■ 2008년 12월 재정부, 국가세무총국은 ‘자원의 종합 이용 및 기타 상품
의 증치세 정책에 관한 통지’를 발표함.
■ ‘풍력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 판매에 대한 증치세에 대해 징수 후 즉각
50%를 환급하기로 함.
■ 상기 정책을 통해 풍력 발전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관련 기업의 적극성을
고취, 풍력사업의 발전을 유도.

22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청정발전메커니즘기금
■ 2010년 재정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외교부, 과기부, 환경보호부, 농업부 및 기상국이
‘중국 청정발전메커니즘기금 관리방법’을 발표함.
■ 이는 중국의 청정발전메커니즘 기금의 운영 틀과 자금의 출처, 이용 방법 등을 규정한 것으
로, 중국의 청정기금 관리 운용의 기본 지침임.
■ 청정기금의 출처는 ▲청정발전메커니즘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량을 양도하여 확보한
수익 중 국가가 소유하는 자금 ▲기금 운용 수입 ▲국내외 기관, 단체 및 개인 기부 등으로
이루어짐.
■ 청정기금의 유상 사용방식에는 지분투자, 위탁대출, 융자성 담보 및 국가에서 승인한 여타
방식 등이 있음.
■ 중국 청정발전기금관리센터는 2012년 중국의 청정기금 규모가 100억 위안에 달할 수 있
을 것으로 전망함.

23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국가첨단기술산업기지
■ 산업구조 선진화에 있어 신에너지 등 첨단기술의 촉진제 역할을 십분 발휘함으로써 혁신능력과 산업사
슬을 갖춘 첨단기술산업기지 육성에 박차를 가하여 혁신형 국가를 건설.
■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국가첨단기술산업기지의 혁신능력 인프라 구축, 공공서비스, 산업화 등 관련 사
업에 일정 수준의 자금 지원.
■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재정부의 산업기술 R&D자금 창업투자 시범사업으로 요건에 부합하는 국가첨단
기술기지 기업을 집중 지원. 특히 정부가 리드하고 사회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 국가첨단기술
산업기지의 업종별 창업투자기금 설립을 지원하고, 첨단기술기업의 발전을 위한 민간자본의 투자를 유
도.
■ 국가첨단기술산업기지 내에 요건에 부합하는 기업을 우선 대상으로 하여 국내 메인보드, 중소기업판 및
창업판 등 증시의 상장과 융자 또는 회사채 발행을 지원함. 이 외에도 국가첨단기술산업기지 내에 요건
에 부합하는 기업이 증권사의 대리시스템을 통해 지분양도 시범사업 실시.
■ 금융기관의 국가첨단기술산업기지 대상으로의 금융혁신 시범사업을 지원하고 첨단기술 중소기업의 융
자담보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국가 첨단기술산업기지 건설을 위한 금융기관의 지원 역할을 이끌어 냄.

24
3. 신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정부의 주요 정책
시범사업
■ 12월 2일 재정부, 과기부, 주택건설부 및 국가에너지국 등 4개 부처는 두이진(对金) 태양
열 시범공정 및 태양광 발전 건축응용 시범공정에 대해 중앙 재정을 통해 핵심설비의 낙찰
협의가격의 50%의 보조를 제공하기로 함. 기타 비용 역시 사업 유형에 따라 w당 4위안, 6
위안의 정액 보조를 지원함. 또한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 13개 개발구를 제1차 ‘태양발전
집중응용 시범구’로 지정함.
■ 보조 범위의 확대를 통해 시범구를 늘리고, 프로젝트의 통합운용을 위한 조치를 취하여 태
양발전 사업의 규모화를 촉진, 2012년 이후 연간 국내 응용사업 규모를 1000조w 이상으
로 유지. 이는 중국이 국내시장 육성을 통해 전체 에너지공급 가운데 태양광 발전의 비중
을 대폭 늘리겠다는 강력한 신호임.
■ 중앙정부는 신장 투루판(吐鲁番) 지역에 국가신에너지 시범타운 건설을 승인하였음. 이
지역의 풍부한 태양 에너지 자원을 이용하여 신에너지개발 이용과 도시건설을 공동 모색
하고자 함.

25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2011년 ’12차 5개년 계획’ 내 재생에너지 발전 계획이 본격 실시되면서 7개 전략적 신흥
산업 발전 계획이 가동됨. 이에 따라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산업은 새로운 발전기를 맞
이하게 됨.
수력발전 중점유역의 개발이 강화되면서 이후 가동규모는 2000만kw 이상, 총 설비용량은
2억 2천kw에 달할 것임.
원자력 건설도 한층 빨라져 링아오(岭澳) 원자력 2기 2호기가 생산에 돌입하였고, 원자력
총 설비용량은 1174만kw에 달할 것임.
신장 하미(哈密), 네이멍구 카이루(开鲁), 지린 퉁위(通榆), 간쑤 쥬취안(酒泉), 장쑤의 해
상풍력 등 사업이 진행되면서 올 한해 신규 풍력설비 용량은 1400만kw를 넘을 것으로 보
임.
서부지역의 태양광 발전소 특허권 입찰공고가 잇달아 진행되면서2011년 신규 설비용량은
50만kw로 전망됨.
바이오에너지산업도 다원화 되면서 산업혁신 모델과 산업사슬 형성으로 바이오에너지의
종하 이용 수준이 한층 더 높아질 것임.

26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1.시장규모: 2020년 1조 5천억 위안 넘어설 듯
■ 2020년까지 비석유화학 에너지 소비 비중을 15%로 제고한다는 목표가
이행되면, 에너지 구조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현재 7%에서 8%로 높
아질 것임.
■ 국가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까지 경제성장 속도가 상대적
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중국의 에너지 총 수요량은 약 46억 표준
석탄, 중간 수준을 유지할 경우 49억 표준석탄,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51억 표준석탄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2020년까지
50억 톤X15%X1200위안=9000억 위안이라는 계산이 나옴. 가격 상승요
인과 환율 요인을 고려하면 시장 규모는 1조 5천억 위안을 넘어설 것임.

27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2.자원의 이용 가능성
■선진국의 수자원의 개발 이용수준의 평균 60~70%과 달리, 중국의 수자원 개발 이용률은
개발 가능한 기술의 25% 수준에 불과해, 발전 잠재력이 상당히 큼.
■향후 수력발전 투자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생태환경 복구나 보상에서의 투자도 증가할 전망.
■이론적으로 전국 풍력자원은 26억kw인데, 현재 풍력 총 설비용량이 2200만kw에 불과해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큼.

28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3. 풍력발전 플랜트 설비 수요
■ 국가에너지국은 7개의 1천만kw급 풍력발전기지 건설계획을 확정(표5-1)함. 이
계획에 따라 1천만kw급 풍력발전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면 2020년 총 설비용량
이 1억kw에 달하게 됨.

■ 이 외에도, 국가에너지국은 해상풍력을 중점 육성하기로 하고 1기가w의 해상풍


력 프로젝트 입찰을 진행할 계획임. 이에 따라 중국의 풍력 총 설비용량은 향후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며, 이는 풍력설비 수요도 급증할 것을 의미함.

■ 2020년 중국의 풍력 총 설비용량이 1억 5천만kw에 달하게 되면, 2009년 누적


총 설비용량 2580만kw로 계산시, 향후 11년 내 동안 연간 신규 설비용량은
1129만kw에 달할 것임. 1kw당 생산원가 8천 위안, 국산 설비 비율 70%로 계산
하면 2020년 풍력설비 수요는 약 7천억 위안으로 추산되며, 풍력설비 제조업종
이 최대 수혜를 입을 것임.

29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현재 시장의 경쟁 구도에서, 투자자들이 중소형 풍력기 시장에 진입할 경우 혼탁한 가격전으로


인해 이윤창출 기회가 거의 없음. 하지만 높은 출력의 대규모 첨단 기술 시장에 진입하여 수조w급
풍력기에 투자한다면 업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고, 여타 풍력발전 기업과의 경쟁을
피하게 되어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임. 또한 플래트 업종에 투자할 시 정부와 관련이 있고
비교적 안정된 산업사슬을 갖춘 제조기업에 투자할 것을 제안함.
현재 시장 대부분에서 중국 시장에서 1.5MW가 적절하다고 보고 있음. 하지만 향후 발전 추이를 볼
때 이후 설비용량은 크게 증가할 것임. 따라서 미래지향적인 기술 계획이 필요함.
이렇게 볼 때 육상 풍력발전 주동력기는 3MW, 해상의 경우 5MW 이상이어야 함.
또한 10MW기술 연구에도 박차를 가해야 할 것임.
30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4. 풍력발전소 투자
■ 현재 풍력발전소 투자 시 운영비용은 0.5~0.6위안/1kw시이며,특허권입찰 가격은 0.47~0.55위안임.
여기에 CDM프로젝트로 인해 0.07~0.1위안/kw시의 수익 창출이 가능함에 따라 풍력발전소 운영업체
의 기본적인 이윤창출이 가능함. 비특허권 풍력발전소 사업은 대부분 0.5~0.6위안/kw시의 전력 공시
가격과 CDM 수익으로 기본 수익창출이 가능함.
■ 세계풍력이사회는 2009년 풍력발전 비용 추가 절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음. 풍력발전 비용 절감
은 60% 이상이 규모화 발전, 40%가 기술 진보에 의해 이루어질 것임. 풍력기 수급 상황이 개선되면서
풍력발전소의 가격협상 능력이 커질 것이고, 풍력기 가격이 인하되면서 풍력발전소의 수익은 안정적으
로 증가할 것임.

31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 2010년 1월 22일 국가에너지국과 국가해양국은 ‘해상 풍력발전개발 건설 잠정
방법’의 정의와 관련하여, 연해 지역의 다년간 평균 사리가 고조선(高潮線) 이하
의 해역에서 진행되는 풍력발전사업이라는 정의를 내렸으며, 이에 상응하는 해
역 내 무인도에서의 풍력발전사업도 포함됨. 해상 풍력발전은 풍속, 풍력의 안정
성, 발전량 등에 있어서 육상 풍력발전보다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
후 발전 가능성이 상당히 큼.
■ 중국의 경우, 풍력발전사업이 상당 수준 발전했지만, 해상 풍력발전 산업은 여전
히 초기 발전단계임. ‘해상 풍력발전 등록관리 잠정방법’이 발표된 후 중국의 첫
번째 해상풍력발전 입찰 프로젝트가 가동되었기 때문에 2010년을 중국 해상풍
력 발전의 원년으로 평가하기도 함.
■ 상기 ‘방법’은 해상풍력 개발사업을 체계화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의 해상풍력발
전의 안정적인 개발과 동부 연해안 지역의 경제발전에 힘을 실어주고 있음. 또한
전력기업과 풍력설비제조기업에게도 발전 기회로 작용할 것임. 때문에 국내외
투자자들이 관심이 육상에서 해상 분야로 옮겨지고 있음.

32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5. 핵심 부품 제조
■ 플랜트 설비 수요가 급증하면서 풍력기 부품제조 분야의 잠재력도 커지고 있음.
특히 중국 국내 풍력발전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풍력기 부품설비 능력은
이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임.
■ 메인베어링, 전력통제시스템, 변류시스템, 기어박스, 발전기 등 핵심 부품분야에
좋은 투자 기회가 많음.

33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6.컨설팅 서비스
■ 중국 풍력발전기업들은 복잡하고 경쟁이 치열한 국제시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
끼고 있지만, 이런 어려움을 해소해줄 수 있는 해외 풍력발전 컨설팅업체들과의
협력은 어렵기만 함. 따라서 전문적인 컨설팅업체가 각국의 풍력자원 현황과 풍
력발전 우대 정책, 잠재적 협력 파트너, 프로젝트 목록, 법률자문, 금융서비스,
풍력발전소 개발 과정, 풍력개발 관련 기업 명단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시장의
상황에 맞추어 국내 풍력발전 기업에게 맞춤형 해외투자 솔루션을 제공한다면
기업들의 해외 투자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임.

34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7.투자지역 선택
■ 기존의 에너지산업과 달리 신에너지 산업은 자원 자체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작음. 특히 신에너
지 관련 제조업이나 R&D는 대부분이 현지 정부의 신에너지산업 발전 우대정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기술이나 인재 관련한 우대정책도 누릴 수 있음. 따라서 신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 지역 선택은 보다 선
택적이고 융통적임.
■ “중국 신에너지단지 Top100”은 투자자의 투자 결정에 중요한 참고서임. 산업 클러스터, 인프라, 경영 서
비스, 브랜드 홍보, 우대정책 등의 지표를 근거로 중국 500여 개의 개발구 가운데 신에너지 기업의 발전
에 가장 적합한 100여 개의 개발구를 선정하였음.예를 들어 시난항공항경제개발구, 창저우첨단기술산
업개발구, 양저우경제개발구, 싱타이경제개발구, 시난신위첨단기술산업단지, 바오딩국가첨단기술개발
구 등이 있음.

35

4. 중국 신에너지 산업의 투자 기회
■중국: 13억 인구의 에너지 수요
■중국: 세계 2위의 최대 경제대국
■중국: 빠른 경제성장 속도
■중국: 시장화, 도시와, 산업화 과정

36
2010년 한국정부는 2015년까지 태양열,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산업에 40조 원을 투자하여
한국을 세계 5대 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만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음.
우리는 한국정부의 신에너지 개발을 위한 결심을 환영함.
한중 양국 정부의 지원과 기업의 노력, 신에너지 개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통해
양국의 신에너지 공동 개발을 위한 협력 루트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신에너지는 양국 국민의 행복 증진에 기여할 것임.
함께 협력하고 함께 발전하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7
세션 1
녹색성장과 연기금의 역할
전광우/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국민연금 금융공단 이사장
전광우

<녹색성장과 연기금의 역할>

1. 녹색성장과 투자기회

ㅇ 지난 100년간 세계 평균기온은 약 0.74도 상승, 금세기말 최대 6.4도 추가 상승


가능성 (제4차 UN IPCC 보고서)
ㅇ UN PRI는 환경비용이 전 세계 상장사 이익의 50% 이상 추정
ㅇ SRI, 신재생에너지 등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투자기회가 증가, 위기가 아닌 기회로
인식

2. 녹색투자와 연기금

ㅇ 녹색투자는 장기적 효과, 글로벌 스케일, 확장된 외부효과, 시장의 한계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자생적 발전 어려움
ㅇ 대규모 자금의 운용, 장기투자, 공익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공적연기금은
녹색투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적합한 주체임

3. 연기금의 그린 리더십

ㅇ 연기금의 그린 리더십은 기후변화 논의의 후원자, 녹색성장을 위한 투자자,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모니터링 하는 그린모니터 등의 세가지 역할을 통해 구현

4. 국민연금(NPS)의 녹색투자

ㅇ 국민연금은 2006년 책임투자(SRI)펀드 설정, ‘10년말 현재 약 2.4조원이며,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사회간접자본 등 녹색산업에 대한 장기투자를 늘여왔음
ㅇ 투자의사결정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고려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 투자여건을
고려한 단계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할 계획
녹색성장과 연기금의 역할
[ G
Green
ee Leadership
eade s p ]

목차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1. 녹색성장과 투자기회

2. 녹색투자와 연기금

3. 연기금의 Green Leadership

4 국민연금(NPS)의 녹색투자
4.

2
2
1. 녹색성장과 투자기회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Risk and Opportunity


–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비용이 전세계 주요 상장사 이익의 50% 이상
(UN PRI 전망)
• 지난 100년간(1906~2005년) 전 세계 평균기온 0.74°C 상승,
금세기 말 최고 6.4
6 4°C
C 상승 예상,
예상 한반도는 1.7
1 7°C
C 상승 (1912~2008)
• 이로 인한 환경비용은 전세계 GDP 의 약 11% 수준

– 한국의 경우에도, KOSPI 200 기업의 환경비용이 매출액의 약 5%에


달할 것으로 예상
• 2009년 KOSPI 200의 매출액대비 영업이익률은 6.9%

3
3

1. 녹색성장과 투자기회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Risk and Opportunity


– 기후변화로 인하여 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신재생에너지 등의
새로운 투자수
새 투자수요 발생

Global SRI 펀드 규모 신재생에너지 세계 시장전망


(단위 : 억$) (단위 : 억
억$))
10,000
8,000
6,781
US CA EU
6,000
7,000

3,625
4,000
3,069
2,711 4,000
2,164 2,290
2,000 1 405
1,405
457 506 612
52 66 1,000
0
2009 2015 2020
2003 2005 2007 2009

자료 : Eurosif “SRI Studies 2009” 자료 : 지식경제부, 신재생에너지협회


4
4
1. 녹색성장과 투자기회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Risk and Opportunity


– 기후변화 : 위기 Vs. 기회?

위기이자 동시에 기회
19%
32%
기후변화는 기회

25% 기후변화는 위기
24%
영향 없음

McKinsey Quarterly Survey, How Companies think about climate change, 2007.9

5
5

2. 녹색투자와 연기금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녹색투자는 연기금의 투자성향과 부합

• 장기간의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


장기투자
• 일반적 투자보다 장기의 손익분기점

Global • 기후변화의 원인은 특정 지역의 국한되지 않음


• 국제적 공조와 국가간 자원활용 프로젝트 필요 연기금의
Scale
투자성향과

공공성 • 투자의 이익을 전 세계가 공유 부합

일반투자자의
• 높은 초기비용으로 인한 단기간의 수익 불가
한계

6
6
2. 녹색투자와 연기금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해외 연기금의 투자 사례

• WWF(세계자연보호기금)
자회사 LPF(Living Planet Fund)를 통해 환경 지수 Living Planet Green Tech Index
런칭
• 네덜란드 연금(PGGM)
€250Mil 규모의
규 의 탄소
탄 펀드
펀 운용
€16Mil 규모의 바이오가스 및 태양광 투자
• APG
APG, PGGM
PGGM, USS
글로벌 그린 부동산 지수 개발. “Environmental Real Estate Index”(2010.1)
• 노르웨이
웨이 연기금
€2.5Bn 규모의 환경산업 투자 계획 발표(2010~2014)

7
7

3. Green Leadership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녹색성장을 위한 연기금의 역할 : Green Leadership

Green Leadership

후원자 투자자 그린모니터

녹색기술에 대한
녹색성장에 대한 기업의 친환경활동
투자를 확대하여
사회적 논의를 주도 모니터링
녹색성장을 활성화

8
8
3. Green Leadership (후원자)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Global 경제, 사회적 활동을 후원


– UN PRI 가입(2009.6월)

–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 등 Global Initiative 가입 검토

• 컨퍼런스를 통한 기후변화와 녹색투자의 사회적 관심도 제고


– 2010년 P80 컨퍼런스 주최

• P80 Member : CalPERS, APG, CIC, GIC, ADB 등 전세계 연기금

• 토론주제 : Opportunities & Investments in “Global Green Growth”

– 2010년 찰스 왕세자 주재 Climate Finance 컨퍼런스 참석

• UN의 Advisory Group on Climate Finance (“AGF”)의 기후변화금융에 대한 주요 제안들에 대해 세계적인

공적기관 대표 및 민간섹터를 대표하는 CEO들이 모여 다양한 아이디어와 의견을 제시

• 토론주제 : 탄소시장 발전 및 관련 민간투자의 활성화 방안 등

• 기관투자자들의 녹색투자 활동 후원 및 활동 경험 공유
9
9

3. Green Leadership (투자자)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녹색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
– SRI 펀드 및 녹색산업의 SOCᆞ사모투자를 확대하여 자산운용
사의 투자를 장려

• 장기투자 활성화
– 녹색투자를 위한 장기펀드 설정을 검토하고 장기투자 활성화

• 선제적인 투자집행
– 녹색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수혜 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 검토
(ex. 바이오에너지, 에너지 절감기술 등)

10
10
3. Green Leadership (그린모니터)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환경관련 기업정보의 자발적 공개 유도


– 지속가능보고서 : 기업활동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과
와 사회적 책임의 실천 수준을 공시

–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 기업이 주요 온실가스배출에 대한 정보와 환


경문제에 대한 경영 전략을 비영리기관에 자발적으로 제공

• 기업의 친환경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 주요주주로서 기업의 친환경적 의사결정을 지원


국민연금기금 의결권 행사지침 4조 2항
“기금은 환경, 사회, 기업지배구조 등 사회책임투자 요소를 고려하여 의결권을 행사한다”

11
11

4. 국민연금의 녹색투자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환경을 고려하는 기업과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

SRI투자 현황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

(단위:조원)
20% 2.4 2.5 투자대상개요 투자시점

15 5%
15.5% 2.0 경전철 Project
j 2006
15%
1.3 1.5 탄소나노튜브 2006
10% 10.0%
1.0 태양광 발전사업 2007
0.6
5% 0.4 5.4%
0.5 폐기물 소각시설 2007
1.5%
0% - 지역 수처리시설 2007
2007 2008 2009 2010 풍력발전 2009

투자금액 KOSPI대비 수익률(연평균 +6.5%) 녹색차량 / 연료전지 2010

12
12
4. 국민연금의 녹색투자 G r e e n L e a d e r s h i p

• 투자 의사결정시 환경 리스크를 반영
– Low Carbon Portfolio 구축
• 온실가스 감축 규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폴리 구성
– 부동산 투자시 에너지 효율성 검토
– 기업에 대한 투자의사 결정시 ESG(Environmental,
ESG(E i t l SSocial,
i l GGovernance))
요소를 고려
– 지속가능 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

• 중장기 녹색투자 체계 정비
– ESG리서치 업무를 신설

– 녹색투자 여건을 고려한 단계적 실행방안 마련

13
13

"국민연금은 Green Leadership으로

녹색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

14
14
세션 1
미국 클린테크의 투자와 혁신
페리 하(Perry Ha)/DFJ Athena 대표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DFJ Athena 대표
페리 하(Perry Ha)

<innovations and CleanTech Investments in the US>

Cleantech industr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nd investments in recent years.
Cleantech investment is not new. It surfaced a few times in the last few decades; yet, it is
not till the past decade that it began attracting sizable investments. Several forces came
together to ignite such CleanTech investments in the US: rising fuel cost, awareness in
environment, emergence of developing world, national security, and government stimulus.
We believe CleanTech industry is a broad field with huge markets attached to each sector.
Innovation if Silicon Valley just began knocking on the doors of CleanTech industry. The
combination of large markets and inefficiency is a good formula to attract capital and
talent. We seek innovative technology backed by world-class entrepreneurs. We have
been active investors in CleanTech for almost 10 years and have invested in broad areas of
CleanTech including solar, wind, smart grid, lighting, water, energy storage, and synthetic
biology. Early successes include Enernoc and Tesla Motors. We remain bullish in this
sector and are committed for investing in this area for a long term.
INNOVATION AND CLEANTECH VENTURE CAPITAL
Perry Ha
Managing Director
DFJ Athena

High fuel prices in the 70s got us thinking green


«WHPSRUDULO\«DVPDOOcleantech boomlet followed

Courtesy: Jimmy Carter Library


Cogeneration lost its glow as oil prices dropped in
the 80s

International Power Technology (1983)

Smart grids started and stalled in the 90s with the


8WLOLWLHV¶LQGLIIHUHQFH

Metricom (1993)
,VWRGD\¶Vcleantech innovation and
green customer demand just
another investment fad?

1R«WKHUHDUHSRZHUIXOIRUFHVQRZ
at work

Force #1: ECONOMICS


Fuel and electric prices are changing our behavior
Force #2: ENVIRONMENTAL AWARENESS
The public and corporate world are reacting

Force #3: EMERGENCE OF DEVELOPING WORLD


Global demand for renewable energy is huge
Force #4: NATIONAL SECURITY
We finally recognize political costs of oil dependency

Force #5: GOVERNMENT STIMULUS


%LQJUHHQVWLPXOXVJOREDOO\«DQG536DQG),76

9
Venture is fueling the cleantech UHYROXWLRQ«
venture-backed companies
100.0

90.0

80.0

70.0

60.0

50.0

Cleantech
40.0

30.0
Total $Bs
20.0

10.0

Source: NVCA 2009 Yearbook


0.0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9&VORRNIRUGLVUXSWLRQVLQJLDQWPDUNHWV«

The $60B shift of global ad revenue to


the web created $300B market value
The trillion dollar shift from carbon fuel to renewable
energy will create massive market value

$1.7B Mkt Cap $571M Mkt Cap $968M Mkt Cap $12.6B Mkt Cap

$1.6B Mkt Cap $1.98B Mkt Cap ¼486M Mkt Cap


*Values as of 1/21/11

These are ten investment themes DFJ is backing

BUSINESS
SOLAR SMART GRID WIND EFFICIENCY
MODELS

SYNTHETIC COAL
LIGHTING STORAGE WATER
BIOLOGY GASIFICATION
THEME: SOLAR
Soon to reach grid parity

THEME: SOLAR
Soon to reach grid parity

ƒ Today 20GW installed (0.2% of total electricity generated)


ƒ 2,000GW forecast for 2030 (9% of total)
THEME: NEW BUSINESS MODELS
Finance consumer energy efficiency

THEME: NEW BUSINESS MODELS


Finance consumer energy efficiency

Solar City
ƒ $0 down financing of residential solar through leasing

Renewable Funding
ƒHomeowner loan underwritten by a tax property lien and
PACE bonds
THEME: SMART GRID
Lowering capacity requirements and energy demand
Where does all the water go?

THEME: SMART GRID


Lowering capacity requirements and energy demand
Where does all the water go?
ƒ Smart grids will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and control to
save energy and lower peak demand
ƒ 43M digital meters are now under contract for install
ƒ EnerNOC demand management can shed 3.250GW with
FXVWRPHUV«HTXLYDOHQWWRODUJHFRDOSODQWV
THEME: WIND
Fastest growing renewable source
Where does all the water go?

THEME: WIND
Fastest growing renewable source
Where does all the water go?

ƒ Most affordable form of zero-emission energy


ƒ 120GW installed globally; 1.3% of all energy
ƒ Forecast to grow to 8% by 2020

ƒ Tang will ship $400M+ of turbine blades this year (4GW)


ƒ China is installing one wind turbine per hour
THEME: EFFICIENCY
Efficiency
Electric cars are 45% efficient; internal combustion 15%

THEME: EFFICIENCY
Efficiency
Electric cars are 45% efficient; internal combustion 15%

ƒ Electric cars can save 50% on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
ƒ 100M electric cars would save 500M tons of CO2 per year
ƒ China and India will purchase 150M+ new cars by 2020

ƒ Tesla is paving the way for broad scale electric car adoption
ƒ $465M government loan; $50M investment from Daimler
ƒ IPO in June 2010
ƒ Current Market Cap (as of 01/21/11): $2.15B
ƒ Venture Dollars raised: $783M
THEME: LIGHTING
LEDs 1/10th the power; 50x the life

THEME: LIGHTING
LEDs 1/10th the power; 50x the life

ƒ Lighting consumes 24% of all electricity


ƒ A total conversion to LEDs could save 20% of all electric
consumption and 1B tons of CO2 per year

ƒ Intematix has designed innovative phosphors for bright


efficient tunable wavelength lighting
THEME: SYNTHETIC BIOLOGY
Growing fuels and chemicals

THEME: SYNTHETIC BIOLOGY


Growing fuels and chemicals

ƒ Most hydrocarbon fuels originated from algae


ƒ ~50 years of oil left

ƒ Synthetic Genomics creates custom life forms (ATCGs):


ƒ Microbes for converting coal to gas in situ
ƒ Algae strains that continuously secrete lipids for fuel/food
THEME: COAL GASIFICATION/CARBON CAPTURE
Coal power will be here for 100+ yrs ± deal with it

THEME: COAL GASIFICATION/CARBON CAPTURE


Coal power will be here for 100+ yrs ± deal with it

ƒ Coal: Cheapest form of generating electricity (ex. hydro)


ƒ 400 years of coal reserves

ƒ GreatPoint Energy converts coal to gas and sequesters CO2


THEME: STORAGE
Batteries can lower peak capacity and power vehicles

THEME: STORAGE
Batteries can lower peak capacity and power vehicles

ƒ Current generation batteries are inadequate for growing


markets
ƒ Power density and life may increase 3x with new technologies

ƒ Deeya Energy and Prudent make novel flow cell batteries for
lowering peak generation needs and backup power
ƒ Ultracapacitors may become next-gen auto batteries
THEME: WATER
Energy is the #1 cost driver of clean water

THEME: WATER
Energy is the #1 cost driver of clean water

ƒ 1.4B people do not have access to clean water


ƒ One-KDOIWKHZRUOG¶VKRVSLWDOEHGVDUHILOOHGZLWKSDWLHQWVZLWK
water-borne diseases

ƒ Oasys substitutes waste heat for electricity in making clean


H20
ƒ Forward osmosis can also be used for energy storage and
generation
DFJ Network Cleantech Investments Lead the Industry
FUELS AND RESOURCE
GENERATION DISTRIBUTION STORAGE EFFICIENCY
CHEMICALS MANAGEMENT
‡ Solar ‡ Smart Grid ‡ Battery ‡ Lighting ‡ Biochemical ‡ Water
‡ Wind ‡ Meter ‡ Ultracapacitor ‡ HVAC ‡ Thermochemical ‡ Agriculture
‡ BioMass ‡ Transmission ‡ Fuel Cell ‡ Transportation ‡ Pesticides
‡ Hydro ‡ Bldg Materials ‡ Waste
‡ Geothermal ‡ Data Management ‡ Emissions
‡ Nuclear

CMI

Cleantech ventures face challenges

ƒ Capital intensive
ƒ Long road to commercialization
ƒ Subject to regulatory timing
ƒ Need more breakthrough innovation from young
entrepreneurs and universities
Thank you
세션 2
녹색성장 국가 전략
김상협/녹색성장환경 비서관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녹색성장환경 비서관
김상협

녹색기술, 녹색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확실한


금융 지원 정책으로 (녹색산업의) 비상을 준비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분야의 지난
3 년간 매출은 7 배 증가(1.2 조→8.1 조), 고용은 3 배 이상 증가(3,527 명 →11,715 명)했고
고속전기차를 개발하는 등 가시적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조선비즈와
녹색성장위원회가 전문가 100 명을 대상으로 공동 조사한 ‘이명박 정부 정책에 관한
인식 실태’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명박 정부 이후에도 지속되어야 할 정책으로
녹색성장을 압도적인 1 순위(54%)로 꼽았다.

녹색 성장 드라이브를 위해서는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규제와 과감한 녹색 산업


지원이 둘다 중요하다. 탄소 배출권을 사고 팔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입법은 바로 시장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녹색’으로 재편하는 것이다. 금융감독위원회
등 금융 정책 라인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녹색 인증 기업의 코스닥 상장 특례 조건도
마련했다.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은 △ 녹색인증제 활성화, △ 코스닥 상장 촉진


등을 통한 녹색 자본 활성화, △녹색 산업 심사 능력 강화를 골자로 한 ‘녹색 금융 인력
양성’ 등 3 가지이다.

최근 진통 끝에 배출권 거래제 입법의 초석이 만들어졌다. 이제 전기요금의 현실화에


주목하고 있다. 에너지 과소비를 부추기는 현행 에너지의 가격 구조로는 녹색 성장을
위한 시장 메커니즘이 작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 1 월 스위스 현지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는 중국의 부상, 유로존의 위기, 유가


인상 등 각종 경제 관련 이슈가 범람하는 가운데서도 녹색 성장에 대한 세계 리더들이
공감대가 커지고 있었다. 녹색성장이 단순 환경 정책이 아니라 기후변화 시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보는 ‘새로운 경제학(New Economics)’이 부상하고 있다.
2
1. 왜 녹색성장인가? – 절박한 한국
세계 평균보다 2배 이상 빠른 기후변화
지난 100년 평균기온 상승 : 세계 0.74℃, 우리나라 6대도시 1.5℃
물부족과 홍수의 교차(수도권 습도 기상청 설립이래 최저, 최저 물부족 전망)
연평균 해수면 상승 : 세계 1.8mm, 제주 5.1mm (40년간 22cm)
연평균 기상재해 피해액
: 70년대 2천억원 80년대 5천억원 90년대 7천억원 2천년대 2조 6천억원
* 2100년까지 향후 90년간 최대 800조원(GDP 1%) 경제적 피해(환경정책평가연구원)

높은 에너지 대외 의존도
10대 에너지소비국 : 총에너지원의 96%를 수입에 의존
’09년도 에너지수입액은 912억불로 수입액의 28% 점유
1인당 에너지소비 OECD국가중 13위, 세계25위

에너지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급증


총에너지원 83%가
가 화석연
화석연료 ((’07년)
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9위, 누적배출량 22위, 증가율 2.8%

지난 10년 성장동력 잃은 경제 – 일자리 없는 성장


경제성장률(%) : (’85-’90) 9.2 (’91-’97) 6.5 (’00-’05) 4.6 (’08) 2.3 (’09) 0.2

2. 주요 성과(1)

글로벌 금융위기의
대한민국
돌파구,
新 국가비전 선포 제1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녹색 뉴딜 발표
(‘08.8.15 경축사) (‘09.1.6)
(‘08.8.27)
화석연료 자원의 고갈, 기후변화 등에 대비,
미래지향적 에너지정책 방향 제시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의 모멘텀 마련


4
2. 주요 성과(2)

국가전략 및
녹색성장위원회 및
기획단 출범(‘09.1) 조직 계획 5개년 계획 수립
(’09.7)

저탄소 녹색성장 감축 국가온실가스


기본법(’09.12)
기본법( 09.12) 법 중기 감축목표 설정
시행령(’10.4) 제정 목표 (‘09.11)

2. 주요 성과(3)

시장 녹색성장 재정(GDP 2%) 투자, 시장 신규 참여기업 증가,


형성 녹색 R&D 투자규
투자규모 확대 등 활성화 민간투자 확대

향후 3년간 총 투자 금액은 녹색산업지수의


약 22 4조원
22.4 초과수익 시현(
시현(’09
09.1
1~’10
10.12)
12)
1,210.06
전 동기 대비 48.2% 증가 녹색산업지수

22 4조원
22.4 128 5%
128.5

529.64
2 051 00
2,051.00
15.1조원
종합주가지수
77.2%
1 157 40
1,157.40
’08~’10 ’11~’13 ‘09.1 ‘10.12

6
2. 주요 성과(4)

신재생에너지 분야 한국형 원전 수출
’07년
07년 대비 ’10년에
10년에 한-UAE
한 UAE 원전사업 협정 서명
고용인원 3.3배(3,527명 11,715명), (’09.12.27)
수출 6배(7.7억 불 46억불) 증가

세계 2번째로 양산형
스마트 그리드 선도국 지정
고속 전기자동차 개발(’10.9월)
주요경제국포럼(MEF, ’09.7월),
’15년까지
15년까지 국내 소형차 10% 전기차 보급,
보급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조성
’17년까지 전기차 세계 4대 강국

2. 주요 성과(5)

G20, UN, OECD, 기후변화협상에서


녹색성장 선도자 역할 수행
G8 정상회의((’11 5 프랑스 도빌) 주요 의제로 채택
11.5,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GGI) 동아시아기후파트너십 사업 등


설립('10.6월) 개도국 녹색성장 정책 지원

8
3. 아쉬운 점

온실가스 감축,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 절약 등을 위한

언론보도(’10년, 만건) : 녹색성장 2.7, 경제성장률(’10년, 6.1%)보다 높은


G20 1.5, 4대강 1.1, 친서민ㆍ중도실용 0.3 에너지 소비 증가율(6.7%)
- 산업(7.9%),
산업(7.9%) 가정
가정ㆍ상업(7.2%))
상업(7.2%))

녹색성장 추진체계의
* 녹색성장을 위한 제도설계, 정책수단 등에 대해 부처간 협조 미흡
* 녹색성장 지방 확산을 위한 지원체계 미흡

녹색경영, 녹색생활로의 체질 전환, 에너지 다소비 패턴의


탈피를 가져올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의 확립 필요
9

녹색성장 정책 국민 인식 조사 결과
일반 국민 FTA 녹색성장 G20 4대강 살리기 전문가

다음 세대와 후대에
치적으로 남을 정책

미래 국제 사회에서
기억 할 정책

국제 사회에서
주목하는 정책

다음 정부에서도
추진되어야 할 정책

잘 했다고
평가 받을 정책

임기 후
기억에 남을 정책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정책
80 70 60 50 40 30 20 10 10 20 30 40 50 60 70 80

※현 정부의 정책(4대강 살리기, G20, 녹색성장, FTA, 친서민, 공정사회) 대상 1+2순위 복수 응답 결과, 2011년 1월 24일 – 25일 시행
10
11

1. 중점 추진 방향

기후변화 적응 및 삶의 질 개선과
신성장동력 창출
에너지 자립 국가위상 강화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녹색국토·교통의 조성


탈석유·에너지 자립 강화 녹색
색 일자리 창출 생활의 녹색혁명
색혁명
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세계적인 녹색성장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산업구조 고도화 및 선도국가 구현
녹색경제 기반 조성 (Smart Mover)

녹색성장 분야 매년 GDP의 2% 투자
12
2. ’11년도 분야별 핵심 추진과제

1 배출권거래제 도입 및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전략 추진


2 에너지가격 기능 활성화 및 친환경 세제 개편
3 녹색건물·교통 체계 실현
4 녹색생활의 확산

1 녹색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2 녹색금융 활성화

1 국제사회 기후 논의 선도
2 COP에서의 선도적 역할 강화

13

1) 녹색 경제ㆍ사회 구조로의 전환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도입 추진

유연한 제도 설계를 통한 산업계의 수용성 제고


- 기존 제도와 중복 방지, 기존 인프라 최대한 활용 준비 부담 최소화
- 산업계 의견을 반영한 유연성 장치를 활용 충분한 적응기간 부여

우리 경제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도 설계


- 부문ㆍ업종의 특수성 반영, 글로벌 경쟁환경 변화에 탄력적 대응 도모
- 경제부처ㆍ환경부처가 동시에 참여하는 추진체계 구축
온실가스 감축과 경제성장의 상호 촉진관계 확보

조속한 법률 제정을 통해 저탄소ㆍ녹색성장 추진의지를 재확인


- 효과적 제도운영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기후변화 관련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유연한 능동적 대처 기반 구축

14
1) 녹색 경제ㆍ사회 구조로의 전환

국가 목표달성을 위한 부문별·업종별 목표설정

산업·발전,
산업 발전 건물·교통,
건물 교통 농·축산,
농 축산 폐기물 부문 및 부문별 세부 업종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11.6월)
- 녹색위ㆍ총리실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설정안을 마련(
마련(’09년
09년 국가 감축목표 기준)하고,
기준)하고
관계부처 협의, 산업계 등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추진
* 경제정책조정회의, 녹색위 심의 등을 거쳐 국무회의 의결

온실가스 다배출 업체(468개) 감축목표 설정(‘11.9월) 및


업체별 이행계획(‘11.12월) 을 통해 감축 목표 달성 추진

15

2) 녹색산업 발전기반 강화

현 황

신재생에너지, LED 등을 중심으로 “녹색산업 성장기” 도래


- 신재생에너지산업 연도별 생산액(조원) : (‘08)4 (‘12)20 (‘15)50
기술역량 현장 전문인력 등 녹색산업의 기초체력은 취약
핵심 기술역량,
- 기술수준은 선진국대비 50-80%에 불과하나, 우리 기업은 단기 상용화 기술개발 집중
* 인력부족률(’10년) : 태양광산업 31.2%, 풍력산업 41.5%

장기적 선순환 구조를 위한 중견, 중소기업 기반이 취약


- 녹색벤처기업은 약 1,800여개에 달하나, 주로 단순조립 등 저부가가치 분야에 집중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망
’15년까지 민.관합동으로 40조원(민간 33, 정부 7) 투자
생산 수출 고용 민간투자
(단위 : 조원) (단위 : 억불) (단위 : 만명, 누적) (단위 : 조원)
362 11 8.6
50 5.7
20 107 27
2.7 3.1
4 20 0.9
’09 ‘12 ’15 ’09 ’12 ’15 ’09 ’12 ’15 ’09 ’12 ’15

16
2) 녹색산업 발전기반 강화

정책과제

녹색 R&D 투자 확대 및 효율성 제고
- 정부 R&D 예산 중 녹색분야 비중을 지속 확대(’09년 15%, 2조원 ’13년 20%, 3.5조원)
- 녹색 R&D 사업 우선순위 등 예산배분방향 수립

녹색 전문인력 양성 및 현장교육 강화
- 녹색사다리 프로그램 : 유망 중소기업 청년재직자 선발 후 전문교육
- 특성화 대학원/전문대학원 확대, 녹색서비스 산업 전문인력 양성 등

녹색분야 청년창업 촉진, 녹색 중소기업·벤처 활성화


- ‘13년까지 녹색전문 중소기업 1천개 육성 및 녹색신기술 창업 집적지역 조성(7개)

녹색일자리창출
(‘08) 61만개 (’13년) 81만개(5년간 약 20만개 증가)

17

2) 녹색산업 발전기반 강화

정책과제

미래 녹색시장 선점 본격화
- 신재생에너지ㆍ물ㆍ이차전지ㆍCCS 분야 등 추진
※ 10대 핵심 녹색기술을 대상으로 범부처 공동 공동ㆍ연계
연계 프로그램 기획
기획ㆍ운영
운영
(’10년 : 원자력ㆍ고도 수처리 / ’11년 : 연료전지ㆍLED 등)

핵심 녹색기술 성장동력화
World Class Green Technology

차세대 이차전지 미래 원자력 고도 수처리


부품‧소재 등 취약기반 개선, 친환경 고속로 기술, 상수 관리 선진화 기술개발,
기초‧원천기술 개발 강화 원자력 수소생산 시스템 기술 하‧폐수처리수 재이용 기술
중장기 경쟁력 강화 미래원자력 경쟁력 확보 수처리산업 본격 육성

CCS 스마트 그리드


CCS 마스터 액션 플랜 수립 제주 실증단지 인프라 구축, 특별법 제정
온실가스 감축 비용의 획기적 저감 조기 상용화를 통한 국제선도

18
2) 녹색산업 발전기반 강화

현 황

은행권 녹색기업 여신 현황
민간금융회사는 정책금융기관에 (단위 : 10억) 민간은행
비해 녹색기업 대출, 투자 저조 국책은행
9,000
*전체 은행권의 녹색기업여신 중
민간은행 비중은 24%에 불과 8,000 7.0조원
5 4조원
5.4 76%
7,000 70%
① 민간자금 유입을 위한 녹색인증제, 5,000
비과세 녹색금융상품 도입(‘10.4월) 3.3조원
투자대상 제약, 엄격한 비과세 4,000 65%
요건으로 상품 출시여부 불투명 3,000

② 금융회사와 녹색기업간 상호 정보 2,000

부족으로 원활한 자금공급에 제약 2.3조원 2.2조원


- 정부 출자 녹색ㆍ신성장 펀드 투자집행율
1,000 1.7조원 30% 24%
35%
: 20% 미만 수준 0

09.12월 10.6월 10.12월

19

2) 녹색산업 발전기반 강화

정책과제

녹색기업을 위한 자본시장 활성화


: 코스닥상장 촉진, M&A와 기술거래 등 중간 회수시장 활성화,
기 녹색기업 투자 펀
초기 펀드 확대를 위한 벤처캐피탈 활성화, 연기금 역할 강화 등

담보대출 관행의 획기적 개선과 프로젝트 파이낸싱 활성화


: 금융지원 결정시 기술력ㆍ성장잠재력
기술력 성장잠재력 분석 등을 활용,
활용
원자력 발전소 건설, 미래형 녹색도시 등 대규모 사업에 대한 파이낸싱 활성화

민간자금 유입확대를 위해 비과세 금융상품 활성화


: 녹색인증제 개선을 통한 투자 대상 확대(ex. 그린 리모델링), 세제지원방식 개선 등

녹색금융 인프라 확충을 통한 녹색기업-금융회사 네트워크 강화


: 녹색기업 합동 투자설명회(
투자설명회(IR)) 상시화, 금융권 녹색산업 심사능력 배양,
녹색금융 종합포털을 통한 금융컨설팅 서비스 제공

20
3) 녹색성장 국제 리더십 강화

“행동에 근거한 Post 2012 기후변화체계” 구축 주도

NAMA Registry, Me First 운동 확산 등을 통해


Post-2012 감축목표 설정에 선·개도국간 새로운 연결고리 제공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기술이전센터 및 적응센터 등 설립에 기여
GGGI의 외연 확대 등을 통해 우리의 녹생성장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
녹색성장을 국제사회 기후변화 패러다임으로 확산

COP18을 한국에 유치,


유치 국제사회 기후변화 논의에 기여

우리나라 개최 지지세 확보를 위한 외교 역량 결집

21

2020년
2013~15년
BAU대비 30% 온실가스 감축 달성
배출권거래제 도입 입 에너지 자립도 50%
신재생에너지 산업 5대 강국 녹색기술 세계시장 점유율 10%
그린카 4대 강국 철도 여객수송 분담율 26%
녹색성장 중소기업 1,000개
1 000개 육성 녹색 ODA비중
비중 30%
GGGI 국제기구화

22
세션 2
정책금융공사의 추진전략
유재한/한국정책금융공사 사장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한국정책금융공사 사장
유재한

○ (1조원 자금공급) 공사는 자금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국내 녹색금융 현실을 감안하여


2011년도 녹색금융 목표를 1조원으로 대폭 확대하였으며, 특히 자금조달에 애로가 많은 녹색
중소∙중견 기업에 대한 지원강화를 위해 온렌딩 목표금액을 3천억으로 전년대비 6배로 상향

○ (녹색산업의 신성장동력화) 전년도에 조성한 3조원 이상 펀드*와 금년에 조성할 신규펀드


를 통해 미래가치와 성장성이 높은 녹색기업의 발굴과 육성을 추진하는 한편, 글로벌 Green
펀드 조성 및 해외진출 프로젝트금융 등을 통해 녹색기업의 해외사업 지원을 강화
*신성장동력산업육성펀드, 녹색산업투자회사, 중소·벤처출자조합 등

○ (녹색중소기업 지원 강화) 녹색중소기업에 대한 한도 확대 (200억원 → 300억원), 신용위험


분담 비중 확대(50%→60%), 전용한도 별도배정(2,000억원) 등의 특별온렌딩 내용 강화와 저
리자금의KfW 차관 도입(3억불 예정) 등을 통하여 경쟁력 있는 녹색 중소기업을 육성함으로써
녹색산업의 저변 확대를 도모

○ (정부 공조사업 추진) 에너지관리공단을 통해 ESCO 사업에 대한 저리 지원을 추진하고


환경관리공단과 상수도사업 관련한 녹색뉴딜펀드를 조성하는 등 한정된 정부재원 보완을
통한 정부의 주요 녹색사업 적극 지원

공사는 미흡한 녹색금융환경 개선을 위하여 녹색산업 육성에 꼭 필요한 자금을 공급함으로
써 대한민국의 녹색성장을 이끌어갈 녹색기업을 발굴 육성하여 명실상부한 녹색금융 선도기
관으로서 자리매김 하고자 함
정책금융공사의
정책 융공사의 녹색
녹색금융
융추추진전략

2011 2
2011. 2. 15

발표자 : 정책금융공사 사장 유재한

목 차

Ⅰ 공사 소개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Ⅳ 맺음말

-1-
I . 공사 소개
1. 정책금융공사 개관

• 녹색·
녹색·신성장동력산업 육성
일자리창출을
설립목적 동반한
•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 지원
[한국정책금융공사법] ‘국민경제
• 사회기반시설 확충 및 지역개발 사업 지원 발전’

설립일 2009 10.


2009. 10 28 (정부 100% 출자)

자본금 15조-납입자본금 기준 국내최대 금융기관

“녹색산업
녹색산업 육성은 공사의 중추적 업무
업무”
-2-

I . 공사 소개
2. 공사의 자금지원 성격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자금공급원 (Capital Pump)


- 국가 신용등급의 신용도를
신용 를 바탕으로
바탕 저리자금을 조달,
조달 저리자금의 공급
- 향후, 공사의 양질자금 수혜분야를 국민경제 전반 곳곳으로 확대할 계획

수익성보다 국민경제 발전이라는 공적 효과(Public Impact)를 우선 고려


- 중소기업육성,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등 필요 분야에 자금지원시 민간과 달리 수익성
보다는 국민경제 발전이라는 설립목적을 우선 고려

국가 재정부담 없는 순수자립형(Self
순수자립형(Self-Sustainable)
Sustainable) 정책금융기관
- 자체 조달력으로 국민경제 발전상 필요 분야에 자금공급
- 리스크를 부담하되 전문성을 높여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는 운용이 중요

-3-
I . 공사 소개
3. 공사의 자금공급 분야
1. 미래의 먹거리를 위한 선택 · 집중 지원
¾ 신성장동력 산업 지원
- 저탄소 녹색성장을 주도하는 녹색산업
- IT, BT, 첨단 부품소재사업 등 미래전략산업
-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원자력발전 등 해외 플랜트 사업

2. 성장과 일자리 창출
¾ 벤처기업 창업 지원
¾ 중소 ∙ 중견기업 지원

3.
3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장기포석
¾ 사회기반시설, 지역개발사업
- SOC(도로
(도로 ∙ 철도, 발전소 등) 및 하수관거, 학
학교 등 사회기반시설
-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조성 등을 통한 지역개발
-4-

I . 공사 소개
4. 공사 비전

“2015년까지 정책금융 100조원 공급”


(조원)
원)
30
30

24
녹색·신성장동력산업
‘10 12월말 기준 : 약 8조 2천억원
‘10.12월말
20 18
(당초목표대비 약 140% 달성)
중소·중견기업 ·
13

10 9
6 SOC·지역개발, ·
해외자원개발

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00조원
100조원 중 42조원을 녹색∙신성장동력
녹색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에 집중 공급
공급”

-5-
I . 공사 소개

100조
100조 비전 달성의 두가지 축

저리 자금조달 저리 자금공급
※국가 신용등급과 동일 ※민간 전문성 활용

¾국내 최저리 조달금융기관 ¾소규모 공사 특징을 최대한 활용한 선진화된 정책금융 방식


- 공사는 우수한 신용도로 저리자금을 조달하고 민간은 전문
(대한민국 대표차주)
성을 활용하여 저리자금 공급
- 신용등급 : A1(Moody’s)
A1(Moody s), - 산은과 비교시 조직규모는 줄되 자금공급 기능은 대폭 강화

A(S&P), A+(Fitch) ¾ 간접금융의 수단 : 온렌딩대출, 펀드


- 온렌딩대출* : 오랜 업력을 지닌 은행권의 대출 전문성 활용
* 공사의 저리자금을 중개금융기관을 통해 공급하는 간접대출로서
민간금융기관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는 시장친화적인 정책금융방식
- 펀드 : 국내 유수 자산운용기관들의 전문역량 적극 활용

각분야 전문성을 활용, 선별된 기업에 대한 저리자금 공급으로 기업


경쟁력 도모를 통한 국민경제발전에 기여라는 공사 목적 수행

-6-

목 차

Ⅰ 공사 소개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Ⅳ 맺음말

-7-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1. 녹색산업 육성의 필요성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로 상징되는 ‘환경’ 위기와 고유가로 대표되는


‘자원’ 위기에 동시에 직면

이에 각국은 저탄소, 친환경이 새로운 성장을 이끌 전략산업이라는


인식하에 녹색산업의 초기 시장선점을 위한 green race를
race를 진행
진행중

⇒ 우리나라도 현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하여
녹색성장을 적극 추진중

※ ,그러나, 녹색산업은 급속한 시장확대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회임기간이 길고 리스크가 높은 특성으로 인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금융이 전제되지 않는 한 기업들의 투자가 여의치 않음
☞ 주요 녹색산업 세계시장 전망
새로운 60년 창조를 위한 비전 제시
- 태양광 6.9GW(’10)→56GW(’20), 풍력 180GW(’10)→576GW(’20) (건국 60주년 연설, 2008.8.15)

-8-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2.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 국외
세계 각국은 녹색산업의 육성 필요성과 특성을 감안하면서 자국의 실정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녹색금융을 추진 중에 있음

네덜란드 독일

‹ 정부가 인정하는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를 ‹ 정부가 주는 보조금과 정책금융기관인


위해 조성된 자금에 세제혜택 부여 KfW의 저리조달력을 결합하여 녹색
산업에 장기저리자금을 공급
‹ 동 세제혜택을 리스크를 부담하는 은행과 간접금융 (정부보조가 추가된 저리자금)
고위험 산업을 영위하는 녹색기업에게 돌 ƒ 신재생에너지
아가게 하여 녹색산업에 자금유입 유도 ƒ 친환경 기업
ƒ ESCO
ƒ 태양광설치 가구 9

-9-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2.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 국외

Green Bank 설립추진


- 영국, 미국은 녹색산업에 필요한 자금지원을 위하여 금융공기업의 성격을 지닌 그린뱅크
설립을 추진중이나, 자금조달 방안의 비현실성, 복잡한 이해관계로 현재 답보상태

(영국) 정부의 Green Investment Bank 추진 발표


- 재무부 장관이 의회에서 예산안과 함께 발표 (‘10. 3. 24)
- 총 20억 파운드(정부와 민간 각각 10억 파운드 매칭)
- 2010년 가을 세부 설립 방안 발표후 2011년 출범을 목표
- 주요 지원 대상은 풍력터빈업체 등

(미국) "Green
Green Bank Act
Act" 법안 제출
- 2009년3월, Chris van Hollen 하원의원 법안 제출
- 100억 달러 규모 Green 채권 발행 통한 자금조달
- 청정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화
율화 프로젝트
젝 금융지원
- 제출 이후 현재 답보상태

- 10 -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2.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 국내

(정부주도) 정부는 녹색인증사업 또는 녹색전문기업 등에 투자하는 금융상품에 대하여


세제지원(비과세)의 혜택이 있는 녹색금융 상품을 도입하였으나, 높은 수준의 인증조건
등으로 대상기업 및 사업이 부족하여 현재까지 실제로 출시된 금융상품은 없음
* (상품개요) 녹색 인증기업 및 사업에 조달자금의 60%이상을 투자하는 녹색 채권∙ 예금 ∙ 펀드에서 발생
하는 이자 및 배당 소득에 대해 비과세

금융회사
-녹색예금 녹색인증
투자자 투자 60%이상
이상
-녹색채권 투자 업, 사업
기업,
기업 업
-녹색펀드

(민간금융기관) 이와는 별도로 국내 개별 금융기관은 녹색성장 지원을 위한 ‘금리우대,


여신기간 우대, 대출한도 우대’ 시행 등을 통하여 녹색금융을 추진 중에 있으나, 고위험
장기 녹색산업을 육성하기에는 미흡한 형편임

- 11 -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정책금융공사를 녹색금융 선도기관으로 지정


- 2010. 7. 13. 제 8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

부족한 국내 녹색금융을 보완하여 세계 각국이 벌이는 Green Race


를 주도하기 위해 정부는 2010.7월 제8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
에서 정책금융공사를 녹색금융 선도기관으로 지정함

⇒ 그린뱅크 설립이 여의치 않은 해외 사례를 비추어 볼 때 정책금융공사


를 설립하고 녹색금융 선도기관으로 지정한 것은 시의 적절한 결정

⇒ 이에,
이에 공사는
사 정부정책에
정 정책에 부응하여
응하여 녹색산업
색산업 육성에 꼭 필요한
필 한 자금을
자 을
공급함으로써 미흡한 녹색금융환경을 개선하고 대한민국의 녹색성장
을 선도해 나가겠음

- 12 -

목 차

Ⅰ 공사 소개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Ⅳ 맺음말

- 13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1. 녹색분야 “1조원” 자금공급 추진

2. 녹색산업의 신성장 동력화 추진

녹색금융 선도기관 3. 녹색 중소기업 지원 강화


역할 수행
4. 정부 공조사업 본격 추진

5. 수요자 금융 확대

- 14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참 고> 2010년도 녹색분야 자금공급 실적
1. 2011년 녹색분야“1조원”자금공급 추진

공사는 자금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국내 녹색금융 현실을 감안하여


2011년도 녹색금융 목표를 1조원으로 대폭 확대
- 특히, 자금조달에 애로가 많은 녹색 중소∙중견 기업에 대한 지원강화를
위해 온렌딩 목표금액을 3천억으로 전년목표 대비 6배로 상향

대출 투자 온렌딩 계

2010년 3,500 2,500 500 6,500

2011년 4,500 2,500 3,000 10,000

- 15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참 고> 2010년도 녹색분야 자금공급 실적
<참 고> 2010
2010년년 녹색금융 지원분야별 공급 실적
(단위 : 개, 억원)

분류명 업체수 지원금액


신재생에너지 16 3,177
그린IT 7 3,159
탄소저감 4 277
환경보호 및 보존 18 127
그린차량 4 43
첨단수자원 2 12
신소재 1 11
친환경 안전 농식품 지원·공급사업 1 70
기타 163
합 계 53 7,039

※ 저탄소녹색성장의 핵심인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역점


- 16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2. 녹색산업의 신성장동력화 추진

(대규모 펀드를 활용한 투자 확충) “3조원” 이상의 기조성 펀드외에 신규 펀드


조성으로 우수 녹색기술의 사업화에 필요한 창업자본을 지원하고 기존 기업에
게는 자본확충을 통한 녹색사업의 기업역량을 UP-GRADE하도록 지원

- 상기펀드는 시장 최고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미래가치와 성장성이 높은 유망


녹색기업을 발굴 육성

기조성 펀드명 주요내용

- 총규모 : 500억원(공사출자 : 470억원)


녹색산업투자회사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의한 국내 최초 「녹색산업투자회사」

- 총규모 : 약 3조원(공사출자 : 약 1조 5천억원)


신성장동력산업육성펀드 * 국내 최대 규모
* 14개 운용사와 펀드결성 완료, 금년부터 본격적인 자금공급 예정

중소·벤처투자조합 - 총규모 : 6,023억원[녹색관련 3,250억원 (공사출자 : 1,690억원)]


- 17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2. 녹색산업의 신성장동력화 추진
(녹색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글로벌 녹색성장 기여 및 국내 녹색산업의 수출
전략산업화를 위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해외 플랜트 수주 등 녹색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

글로벌 Green 펀드 추진 프로젝트금융(PF) 지원

(의의)
의의 글로벌
글 벌 경쟁력을 키워나갈 수 국내 녹색사업자가 녹색기술 및 기자재
있도록 녹색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수출 등을 목적으로 참여하는 해외시장
정책금융 지원방안 마련 진출 프로젝트 금융 지원
*(現) 태양광 유망 중소기업과 한전 발전 자회사의
(대상) 녹색기업의 해외 사업 관련 불가리아 태양광 발전사업 진출을 지원 예정

ⅰ)) 매출액 중 수출의 비중이 높은 녹색기업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부응
ⅱ) 해외법인설립을 통한 해외사업 영위 기업 등
하여 신재생에너지 및 CDM* 관련사업
(진행) 1억불 규모로 아시아개발은행과 등을 발굴 및 지원 추진
공동 추진 방안을 모색중 * Clean Development Mechanism

- 18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3. 녹색 중소기업 지원 강화
(특별온렌딩) 녹색산업에 대하여 일반 온렌딩 대비 공사의 위험분담을 강화
하고 한도를 대폭 증액한 특별온렌딩을 통해 경쟁력 있는 녹색 중소기업을
육성함으로써 녹색산업의 저변 확대를 도모

신용위험분담비율 강화(50%->60%)
개별기업별 한도확대(200억원->300억원)
녹색기업에 대한 특별온렌딩 목표금액 확대(500억원->3,000억원)
중개금융기관 앞 녹색중소기업 온렌딩 한도(2,000억원) 별도 배정

※ 온렌딩 개념도

중개금융기관 녹색중소··중견기업
녹색중소
저리자금 대출
정책금융공사 산은, 기은, 지방은행
태양광, LED 등 관련기업
시중은행*

* 금융권의 선호속에 점차 취급은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제2금융권 등으로 확대 추진 중

- 19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3. 녹색 중소기업 지원 강화
(KfW 저리자금 활용) 대표 정책금융기관의 입지를 활용, 초저금리 자금을
도입하여 국내 또는 글로벌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녹색중소기업 등 지원

① 업무협약을 통한 저리 외자 도입 <추진계획>
• 지원 대상
- 국내 녹색중소기업 등

• 자금 용도
②온렌딩 - 지역 또는 글로벌 환경 개선을 주목적
으로 하는 투자자금으로 독일 설비의
도입 등 양국 상호 호혜적 용도 등
녹색 중소기업 중개은행 •금액 및 기타 조건
- 약 USD3억, 기타조건 협의중
③ 자금공급

- 20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3. 녹색 중소기업 지원 강화
(상생모델 활용) 녹색기업과 납품관계가 있는 중소기업에 대하여 해당
핵심기업과 공조를 통한 저금리 자금지원으로 대기업 및 협력기업의
동반성장 도모
- 핵심녹색기업에 납품관계가 있으나 은행권에서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은 납품기업에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자금지원 추진
- 2011년중 그린카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여타
녹색산업군으로 점진적 확대 추진

금융사 녹색기업
KoFC 온렌딩 자금지원
협력업체

추천, 보증

핵심 녹색기업

- 21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4. 정부 공조사업 본격 추진

공공목적 수행을 위해 필요하나 한정된 정부재정으로 사업 추진이 곤란한 정부


등 공공기관의 녹색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ESCO* 사업 지원) 에특융자 예산 외에 공사 자금을 추가하여 금년부터 본격 성


장이 예상되는 ESCO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조기 정착 도모

구분 재정자금 융자기금 (ESCO 펀드


펀드))
지원방식 에특 융자예산 정책금융공사자금(5%대) + 시중은행마진(1.5%) + 이차보전(-2%)

지원규모 3,900억원 1,500억원

지원조건 2.75% 약 5% (예상) / 10년 고정

* ESCO(Energy Service Company; 에너지절약기업) : 기술과 자금이 부족한 기업의 에너지 절감시설을 대신 설치하고
절감된 에너지 비용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기업으로 현재 국내에 166개(’10년 11월 기준) 기업 등록

※ 공공기관 LED 보급 사업 :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지침」에 따라 공공기관은 2012년


까지 해당기관의 조명기기중 30% 이상을 LED 제품으로 교체해야 하는 바,
바 동 사업의 원활한
추진 지원을 위해 관련 정부 부처와의 협의를 진행할 계획임

- 22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4. 정부 공조사업 본격 추진
(녹색뉴딜펀드) 환경부와 공조를 통해 열악한 지방자치단체의 숙원 사업이었던
상수도 시설 개량 및 선진화 사업에 펀드를 조성하여 지원
- 정부의 부족한 재정을 지원하여 환경 인프라 사업에 투자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프로젝트 펀드
- 총 펀드규모 1.8조원, 정책금융공사 투자 예상액 4,500억원

<사 업 개 요>

사업명 • 지방 상수도 통합 운영 사업

사업대상 • 강원남부, 강원동부 등 전국 13개 권역

사업형태 • BTO (Build-Transfer-Operate) (소유 – 지자체, 관리운영 - 한국환경공단)

사업내용 • 노후 시설개량, 관로교체 및 신설, 시스템구축 및 운영관리

기간, 투자비 • 20년 (건설기간 포함), 약 2조 5천억원


* 전체 29개 권역 중 사업성이 높지 않은 13개 권역 대상

- 23 -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5. 수요자금융 확대

공급자 위주의 금융지원에서 벗어나 녹색산업 육성을 위해 꼭 필요한 녹색


수요 시장에 대한 자금공급을 통하여 녹색성장 도모

2010년에는 시범적으로 친환경버스(녹색설비)를 사용하는 운수사업자


(수요자)에 대하여 온렌딩방식의 자금지원
향후 본격적인 수요자 금융을 위하여 카드사,
카드사 캐피탈사 등 소매 금융기관과
연계한 녹색제품* 수요자 금융상품 개발 추진
*그린카, 태양광설비, 정부가 인증한 에너지 고효율 제품 등

금융기관 수요자
∙ 은행 <녹색제품>
상대적 -그린차량
그린차량
∙ 리스사 금리 혜택 이전
저리 자금 지원 - LED제품
∙ 캐피탈사 - 태양광설비
∙ 카드사 - 대중교통
(철도 등)

- 24 -

목 차

Ⅰ 공사 소개

Ⅱ 국내외 녹색금융 현황

Ⅲ 공사의 녹색금융 추진전략

Ⅳ 맺음말

- 25 -
Ⅳ. 맺음말

1. 정책금융공사는 대한민국의 귀중한 자산


정부출자 자본금 15조원의 정책금융기관은 만들고 싶다고 만들 수
있는 조직이 아닌 귀중한 국가자산임
※ 미국, 영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 녹색산업 육성을 위하여 정책금융기관 설립을
추진중이나 막대한 자금소요, 이해관계자의 입장차이 등으로 설립이 순탄치
않음

정책금융공사는 대한민국 최고 신용등급, 최고의 인력, 선진화된


금융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있는 녹색산업의 신성장동력화를 위해 준비된
정책금융기관임
- 공사는 2015년까지 정책금융 100조원 달성을 통해 대한민국의 녹색성장을
이끌어갈 녹색기업을 발굴 육성함은 물론 부족한 정부재정을 보완하여 지원이
필요한 녹색분야에 자금을 공급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녹색금융 선도기관으로서
자리매김 하고자 함

- 26 -

Ⅳ. 맺음말

2. 공사의 양질자금을 녹색성장에 적극 활용


공사의 양질자금 공급 확산이 곧 녹색성장의 잠재력 확충인 바,
중개금융기관, 자산운용사, 기업 등에 공사의 양질자금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희망

공사는 상환의무가 있는 자금임에도 위험분담을 강화한 특별온렌딩,


국내 최대의 펀드인 신성장동력산업육성펀드 등을 운용중인 바, 공사
의 이러한 상품들이 녹색성장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

정부 등 공공기관 추진사업의 경우, ESCO사업에서와 같이 정부의


이차보전과 공사의 저리자금을 혼합한 금융방식은 재정부족의 한계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자금공급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임

- 27 -
배는 항구에 있을 때 가장 안전하나
안전하나,,
이는 배의 존재 의의가 아니다 (John A. Shedd
Shedd))

감사합니다
세션 3
녹색성장과 벤쳐캐피탈의 역할
양태수/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대표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요약]
삼호인베스트먼트 대표
양태수

Green growth means ‚globally sustainable growth‛ and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SCP)‛, in practical terms. Since almost all businesses/industries have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s both in efficiency and resource use, thus spurring greate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le reducing costs and maximizing profits, green growth
implies business opportunities rather than additional costs.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has a marked cyclical character: fund raising, investment,
adding value and exit. One of the key roles of venture capital is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VC investments and development of emerging industries, such as for green growth. For
a VC eco-system to thrive, each of the following preconditions is essential.
 Best in class venture funds to bridge the start-up financing gap,
 Ambitious, highly qualified entrepreneurs who are incentivized to take the career risks
associated with managing a start-up,
 Attrac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 A stable, innovation-friendly stock market to which we can bring our successful
companies, and
 A supportive regulatory and fiscal environment.

In addition, since green growth implies global & long-term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the globalization of VC funds is essential, based o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green sector, with regard to technology convergence, for example.

In these senses, ADB’s Asia Cleantech Venture Fund Initiative and Climate PPP Fund of
Funds and active regional government supports for VC funds focusing on green growth,
such as KoFC’s (Korea Financial Company) recent leadership in green sector will play a
leading role in green growth.

Asia is the key to green growth and the Korean government’s leadership in green growth
looks promising in this region, with a strong and well-positioned economic and industrial
base for greentech industries. It is our ambition that Korean VCs also take a leadership
position in this area.
V t
Venture C
Capital’s
it l’ Key
K Role
R l in
i Green
G Growth
G th

Feb 15,
15 2011

Taesoo Yang
g
CEO, Samho Green Investment, Inc.

Executive Summary
Green growth means “globally sustainable growth” and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SCP)”, in practical terms. Since almost all businesses/industries have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s both in efficiency and resource use, thus spurring greate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le reducing costs and maximizing profits, green growth
implies business opportunities rather than additional costs.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has a marked cyclical character: fund raising,
investment, adding value and exit. One of the key roles of venture capital is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VC investments and development of emerging industries
industries, such as for
green growth. For a VC eco-system to thrive, each of the following preconditions is
essential.

• Best in class venture funds to bridge the start-up financing gap,


• Ambitious, highly qualified entrepreneurs who are incentivized to take the career
risks associated with managing a start-up,
• Attractive
Att ti investment
i t t opportunities,
t iti
• A stable, innovation-friendly stock market to which we can bring our successful
companies, and
• A suppo
supportive
t e regulatory
egu ato y and
a d fiscal
sca eenvironment.
o e t

01
Executive Summary

I addition
In dditi , since
i green growth
th iimplies
li global
l b l & llong-term
t efficiency
ffi i off resource
allocation, the globalization of VC funds is essential, based o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green sector, with regard to technology convergence, for example.

In these senses, ADB’s Asia Cleantech Venture Fund Initiative and Climate PPP Fund
of Funds and active regional
g government supports
g pp for VC funds focusingg on ggreen
growth, such as KoFC’s (Korea Financial Company) recent leadership in green sector will
play a leading role in green growth.

Asia is the key to green growth and the Korean government’s leadership in green
growth looks promising in this region, with a strong and well-positioned economic and
i d ti lb
industrial base ffor greentech
t h iindustries.
d ti It iis our ambition
biti ththatt K
Korean VC
VCs also
l ttake
k a
leadership position in this area.

02

Green Growth Means

E i
Environmentally
t ll Sustainable
S t i bl Economic
E i Growth
G th for
f the
th Well
W ll Being
B i off All
• Globally Sustainable Growth (adding the concept of global to sustainable)
• Global and Long-term Efficiency/Optimization in the allocation of Resources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SCP),


(SCP) in practical terms
• Getting more from less
• More efficient and profitable production
production, using less raw materials
materials, yielding
competitive advantages
• More value added to products, with less pollution and waste in the process
• More consumer needs fulfilled, with less energy, water or waste.

03
Green Growth Means

Therefore, Green Growth implies business opportunities rather than


additional costs.
costs
• Almost all businesses/industries have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s both in efficiency and
resource use, spurring greate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le reducing costs and
maximizing
i i i profits.
fit
• In this time of resource scarcity, environmental stewardship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re business opportunities rather than additional costs.
• Huge potential exists for firms across the region, to develop new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ies and climate-friendly goods and services.

Def. of Green Growth by the Korean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Green growth
G th is
i something
thi that
th t maximizes
i i th synergy off both
the b th the
th environment
i t and
d
growth through their circular structure. Namely, green growth is the concept of securing
new growth opportunity by making economic growth patterns eco-friendly.

04

The Venture Capital Cycle

Venture capital industry has a marked cyclical character: fund raising,


investment adding value and exit
investment, exit.
• Attrac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with best in class venture funds and a stable, innovation-
friendly stock market to which VCs bring their successful companies create a virtuous circle of
VC iinvestments
t t and
dddevelopment
l t off emerging
i iindustries,
d ti suchh as ffor green growth.
th
• However, as is the case with the dot com boom in 2000, too much money chasing too few
viable deals result in falling returns, and over-investment, thus weakening mechanisms such as
stagedd fifinancing
i andd syndication
di i thath serve to reduce
d risk
i k and
d result
l iin the
h eventuall collapse
ll off
fund-raising: a vicious circle.

• VC Fund investments in Green Growth: Bubble or not?


• What should be done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VC and green growth?

05
The Venture Capital Cycle

▶ Fund Raising

• Venture capital fund managers raise money from investors, mostly institutional investors
including pension funds, since VC investments are illiquid, long-term assets that are suited for
those investors.
• Therefore, nationa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a funded pension system, the degree of
freedom in portfolio allocation and regulations on institutional investors are important influences
y of venture capital
on the ability p firms to raise financing.
g

• Influences of cyclical character of VC industry in fund raising, especially in the


Green Sector.
• Influences of conflicts of interests among institutional investors in global fund raising
raising.

06

The Venture Capital Cycle

▶ Investing
• Venture capital fund then evaluates hundreds of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makes
investments along a particular strategy in about 1% of these companies.
• The main incentive for venture capital investments in innovative enterprises is to be able to
realize a significant capital gain when selling stakes in the company. Clear exit options through
well organized public exchanges therefor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of suitable
incentives for venture capital fund.

• IInfluences
fl off governmental
t l supports
t and
d regulations
l ti in
i creating
ti attractive
tt ti
investment opportunities in green sector.
• Influences of clear exit options in VC investments decisions.

07
The Venture Capital Cycle

▶ Value-Add and Exit


• VCs not only provide start ups with financing but also extensive support to build value over a 4-
7 year period, after which the investment is monetized and the capital is returned to the fund
investors.
• The existence of competing buyers (both well organized public exchanges and trade sales to
an existing company or another investors, though they are less lucrative) is critical for a
successful exit.

• Preconditions of VC industry to support portfolio companies and create a virtuous


circle of VC and development of emerging industry
• Importance of spe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VC fund in green sector to build
values of portfolio companies
- Global convergence of technology in green sector
- Example> Global Production Network (GPN) of Philips
• KRX Green Sector ETF

08

The Venture Capital Cycle


Traditional Cycle of Venture Capital Industry

09
Key Role of Venture Capital in General

Due to changes in the geography of innovation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conomic activities, the specialization of venture capital with intensive local and
global networks are essential to support innovative portfolio companies.

VC provides equity financing at a stage when the risks are far too high for banks or
the public markets; financing a bridge across the “Valley of Death”.
• Innovation is a risky but potentially highly rewarding business.
• Providing adequate financing through the various stages of an innovative company is central
for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 This is unlikely to be provided by conventional financial intermediaries, such as banks, because
of uncertainty and information gaps
• C
Cash-flows
h fl are uncertain
t i andd unpredictable.
di t bl IIntangible
t ibl assets,
t suchh as iintellectual
t ll t l property,
t are
at the core of early-stage high-tech companies, but not easily accepted as collateral.

10

Preconditions of VCs to Support Green Growth

Due to changes
g in the geography
g g p y of innovation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conomic activities, the specialization of venture capital with intensive local and
global networks are essential to support innovative portfolio companies.

For a VC eco-system to thrive, each of the following preconditions is essential.


• Best in class venture funds to bridge the start-up
start up financing gap
gap,
• Ambitious, highly qualified entrepreneurs who are incentivized to take the career risks
associated with managing a start-up,
• Attrac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 A stable, innovation-friendly stock market to which we can bring our successful companies, and
• A supportive
ti regulatory
l t and
d fifiscall environment.
i t

11
Preconditions of VCs to Support Green Growth

First. Best in class venture funds to bridge the start-up financing gap

• Venture capital funds provide equity financing at a stage when the risks are far too high for
banks or the public markets: that is to say at a stage of “Valley of Death”
• Without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amount of venture funds available, technological
innovations will not deliver the economic growth.
• An investment of 0
0.1%
1% of GDP raises real economic growth by 1% point if done at the early
stage. (Deutsche Bank)
• If we want green growth, venture capital offers a substantial lever.

ADB’s Asia Cleantech Venture Fund Initiative and Climate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Fund of
Funds and active regional government supports for VC funds focusing on green growth
growth, such as
KoFC’s (Korea Financial Company) recent leadership in green sector will play a leading role in green
growth.

12

Preconditions of VCs to Support Green Growth

Asia Cleantech Venture Fund Initiative


: Cleantech Call For Proposals
p ((CFP)) in 2010

ADB’s
Contribution Other LPs
Up to 25%

VC 1 VC 2 VC 3

Target Companies

ADB’s Role
: Dedicate USD 100mil. to invest in multiple VC funds
: USD 15mil
15mil. or 20mil
20mil. for each ffund
nd

13
Preconditions of VCs to Support Green Growth

Climate PPP Fund of Funds


: Fund Concept

• MDBs : Risk Mitigator


Cli t PPP F
Climate Fund
d • SWFs & P8 : Sizable Commitments
USD 2~5 billion • Large Institutional Investors

• Private Investors
• Strategic Investors
$0.5-~1 bil. $0.5-~1 bil. $0.5-~1 bil. • Endowments
• Small Pensions
• Local Investors

Fund 1 Fund 2 Fund 3

14

Preconditions of VCs to Support Green Growth

KoFC’s Green Growth Funds

Fund Overview

• The first Korea Green Industry Investment Company based on


Green Industry
G I d t th E
the Enforcement
f t Decree
D off the
th Framework
F k Act
A t on Low
L Carbon,
C b
Investment Company Green Growth
• Total Size : USD 45mil. (KoFC’s contribution USD 42.5mil.)

• The biggest size Fund in Korea


New Growth Engine
• Total Size : USD 2,173mil. (KoFC’s contribution USD 1,358mil.)
Investment Funds
• Operated by 15 professional GPs with 15 funds

Venture Capital Funds • Total Size : USD 545 mil. (KoFC’s contribution USD 294 mil.)

• KoFC’s total contribution to Green Growth Funds is over USD 2,716 mil.
• From 2011, all Funds start to invest in green growth potential companies.

15
Preconditions of VCs to Support Green Growth

Second. Attrac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 In cleantech, most high profile start-ups are going through 3 phases 1) secure
government backing, 2) raise large VC rounds, and 3) list on the stock market. Patents
are clearly not enough – capital is what counts and it is government backing which is
catalyzing private capital.
• Governmental incentive programs and regulations stimulate demand for cleantech
products thereby create sufficient economies of scale to push technologies along the
learning curve and drive down costs, naturally make green sector more profitable - just
as we saw in wind and more recently in solar

• Korean government’s leadership in green growth


• Wind
Wi d energy iindustry
d t iin E
Europe: V
Vestas
t

16

Preconditions of VCs to Support Green Growth

Third. A supportive regulatory and fiscal environment

• Restrictions and regulations on institutional investors could dry up the already thin pool
of capital for VC funds and also severely restrict international fund raising and investing.

• Many of the potentially damaging regulatory and fiscal policies were not designed to
target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Yet, the damage could be a severe blow to VC funds,
p y in g
especially green sector.

Incentive systems for ambitious, highly qualified entrepreneurs who are to take the career risks
associated with managing a start-up is essential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VC investments and
development of emerging industries, such as for green growth.

17
Conclusions

Innovation and green growth are key to global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Venture capital has the potential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 Long
g term approach
pp
• In-depth understanding of young companies
• Active engagement to build companies and generate superior growth.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VC investments in green growth,


• Attrac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pp with best in class venture funds and a stable,, innovation-
friendly stock market are essential
• Spe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VC are needed to build values of portfolio

Asia is the key to green growth.


Korean government’s leadership in green growth looks promising in this region, with the strong
and well-positioned economic and industrial base for greentech industries
industries. It is our ambition that
Korean VCs also take a leadership position in this area.
18

The End of Presentation


세션 3
신성장 녹색펀드의 운용 전략
오광희/옥토스인베스트먼트 대표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옥토스인베스트먼트 대표
오광희
<녹색펀드의 운용전략>

전 세계적인 화석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기후변화, 환경오염 등에 따른 위기감으로 느끼


게 된 새로운 기술개발의 필요성은 녹색기술 혁명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미국, EU, 중국, 일본 등 전 세계 각국 정부는 이러한 녹색산업에 투자규모를 대폭 증액
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자원의 다양화, 에너지의 효율적 소비, 환경정책들을 도입하면
서 녹색산업의 수요기반이 확충 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녹색정책에 대한 Global 흐름에 적극동참하고 있습니다. 특히
2009년 리먼 사태 이후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운용측면에서 우리나라 정부는 녹색산업
을 가장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국가로 분류되어 녹색산업의 성장기를 맞이하고 있
습니다.
우리나라 녹색산업은 EU국가 등 다른 녹색 선진국과 비교하여 그 출발은 다소 늦었습
니다. 그러나 녹색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기술은 Global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
다. 국제경쟁력을 보유한 반도체기술은 태양광, LED부문에서 핵심기술로 응용될 수 있으
며, 자동차산업기반과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기계공업 기반기술은 각각 연료전지와 풍
력산업에서 활용되는 기반기술로서 국제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녹색산업의 성장성과 녹색기술의 Global 경쟁력은 금융시장에서도 매력적인 투
자대상입니다. 미국의 IT산업발전이 실리콘밸리 중소기업 중심의 기술혁신을 통해 이루
어졌듯이, 녹색산업도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한 혁신적 핵심기술기업이 중심이 될 것
이라 생각합니다.
저희 Auctus Investment Partners 에서는 핵심기술보유여부, 시장매력도, 해외진출가능성
을 투자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투자한 핵심기술 중소/중견기업을 글로벌
녹색기업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녹색기
업이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자금지원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따라서 저희는 운용전략으로서 기술, 경영, 금융, 글로벌네트워크 등 각 영역별 기업의
니즈에 맞는 지원전략을 구현하여 투자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녹색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제공하는 4pillar strategy를 수립하였습니다.
4pillar strategy는 신규기술도입과 해외기술동향정보 제공을 통한 기술역량지원, 경영관
리 system등의 지원을 통한 경영역량지원, 성장단계별 자금 확보를 위한 맞춤화된 금융
역량지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글로벌마케팅 지원 등을 통한 해외진출역량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기업지원전략인 4pillar strategy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해외녹색전
문투자기관과의 제휴는 물론 녹색 대기업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한 지원전략은 국내 중소/중견 기술기업을 글로벌녹색기업으로 성장시키
는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AUCTUS Investment Partners 녹색성장펀드의 운용전략

2010 2
2010. 2. 8

Ⅰ. 녹색성장펀드 결성배경

녹색성장펀드 결성배경

1. 녹색기술혁명 시대의 도래

2. 국내외 정부의 성장 Drive

3. 급속한 투자증대

4. 폭넓은 투자기회 존재

5. 국제경쟁력 있는 국내 산업기반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1 . 1 결성배경 녹색기술 혁명 시대의 도래

녹색성장 시대는 2000년대 이후 화석에너지자원의 고갈, 기후변화 등 환경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면서


도래하였습니다.

화석에너지자원의 고갈 기후변화

Source: Campbel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eak Oil

새로운
새로운기술혁명시대의 도래
기술혁명시대의 도래

20세기
20 세기 후반 21세기
21 세기

산업혁명시대 IT 혁명시대 녹색기술혁명시대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1 . 2 결성배경 국내외 정부의 성장 Drive

각국 정부의 녹색성장산업에 대한 대규모 정책적 지원으로 시장은 급속히 확대될 전망입니다.

2020년까지 주요 국가들의 대체에너지 전환 정책


(%)

Source: REN21, Renewables 2007 Global Status Report


Source : REM21, Reneables 2007 Global Status Report

경기부양책 중 녹색성장 지원 금액 경기부양책 중 녹색성장 비중


(USD bn)
ƒ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예산 중 녹색부문 투
자예정 규모 세계 3위

ƒ 총 경기부양예산 중 녹색부문 비중 세계 1위

Source: HSBC estimates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1 . 3 결성배경 급속한 투자 증대

Clean Tech Private Equity 시장의 성장

• 최근 금융위기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 PE 투자는 감소 추세


• 반면, Clean Tech 산업에 PE 투자는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증가 추세

Total PE investments as % of GDP Total PE investments in billion USD

0.70% 200

0.60% 175
150
0.50%
125
0.40%
100
0.30%
75
0.20%
50
0.10% 25
0.0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Cleantech PE Investments as percent of total PE


10.00%

8.00%

6.00%

4.00%

2.00%

0.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Source: Thomson One, IMF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1 . 4 결성배경 폭넓은 투자기회 존재

ƒ 대체에너지부문
• 세계 신재생에너지(수력발전 제외) 시장 2009년 이후 연평균 15% 이상 성장, 2019년 $3,434억 규모 예상
• 화석연료발전
화석연 발전 대비 경쟁력이 증대되고
증대되 있는 태양광과 풍력발전이 핵심
• 풍력은 천연가스/석탄 수준의 경쟁력 확보로 2020년까지 전력수요의 12% 점유 예상
• 수소, 연료전지와 하이브리드 기술 발전 잠재력 큼

자료: New Enterprise Associates

ƒ 에너지 효율 제고 부문
• 일반 가정 현재 기술수준으로 에너지 소비 1/5로 감축 가능, 산업계는 에너지 생산/처리/소비 과정의 개선만으로 20% 감축 가능:
녹색전력IT와 LED가 핵심
• 전세계 전기소비의 20%를 조명이 점유함에 따라 LED의 신규 및 대체 수요잠재력 막대한 것으로 평가
• 에너지 효율 제고는 총체적인 에너지 수요의 감소가 아닌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시장규모 확대에 기여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1 . 5 결성배경 국제경쟁력 있는 국내산업기반

ƒ 녹색산업은 국제적 경쟁력이 있는 국내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단기간 내에 선진국의 수준에 도달할 것이며, 향후
반도체, 조선, LCD의 뒤를 잇는 유망 수출산업으로 성장할 것임

반도체 산업 LCD산업 자동차산업 조선업 원자력산업

ƒ 세계 1위 기술 보유 ƒ 세계 1위 기술 보유 ƒ 세계 5위 기술 보유 ƒ 세계 1위 기술 보유 ƒ 세계적인 기술 보유
ƒ 삼성전자
삼성전자, LG전자 ƒ 삼성전자,
삼성전자 LG전자 ƒ 현대/기아자동차 ƒ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두산중
두산중 ƒ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 두산
공업, STX 중공업

태양광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풍력 원전기술

ƒ 태양전지 2~3세대 ƒ 광효율 80ml/W 이 ƒ 2세대 기술은 선진 ƒ 육상풍력과 해상풍 ƒ 최신의 설계·제작·
기술은 선진국 대비 하와 100ml/W 이상 국 대비 62~70% 력 기술력 선진국 건설 능력 보유
각각 88%와 61% 기술력 선진국 대비 수준이나 3세대 대비 각각 79%와 ƒ 원전기술 자립화
수준 각각 80%와 50% 기술은 선진국 68% 수준 조기완료(2012년)
수준 수준에 근접
ƒ 반도체 기술을 바탕 ƒ 원재료 조달, 조립 ƒ 고유의 신형원전
으로 태양광 관련 ƒ 2012년 세계 3위 ƒ R&D투자가 확대되 (조선업), 가공 (단 개발 추진중
공정기술 개선 목표 면서 중소기업 중심 조) 등의 기반측면
에서 대기업들의 본 에서 세계최고 수준
ƒ 소재/부품/장비 조
달 등에 있어 경쟁 격적인 진출 가시화
국 대비 유리한 고
지 점유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Ⅱ. 투자전략

1 투자 대상
1.

2 투자목표/투자기준
2.

3 4 Pillar Strategy
3.

4 컨소시움 구성
4.

5 기업 가치제고 전략
5.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2 . 1 투자전략 투자대상

녹색성장 분야 세부 투자분야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해양에너지(조력), 지열, 태양열, 바이오에너지(바이오디젤,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에탄올, 바이오가스 등), 소수력, 석탄가스화복합발전, 폐기물에너지 등

차세대 신형원전, 원자로 냉각재, 원전제어계측, CO2회수, CO2재자원화, CO2고부가가치화, 무

탄소저감에너지 공해 석탄에너지 등

LED 핵심기술(칩,
핵심기술(칩 패키지,
패키지 모듈 등),
등) LED 융합분야(자동차,
융합분야(자동차 선박,
선박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의료 등),
등) 일반조명

LED 응용 (형광등, 백열등 대체 등) 등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EURO-6 및 CO2 규제 대응 클린디젤 기술, 해양 플랜트, 친환경

그린수송시스템 선박, 그린카-친환경선박 공통 핵심 원천부품, 차세대 친환경 수송시스템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2 . 2 투자전략 투자목표 / 기준

투자목표

글로벌 녹색기업

투자기준

시장 핵심기술 해외진출
매력도 보유 가능성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2 . 3 투자전략 4Pillar Strategy

글로벌
녹색성장기업 육성

Technology Management Customized Global


Enhancement Enhancement Financing Expansion

기술도입을 통한 글로벌 마케팅 지원


경영관리 system의 도입 시설/운영자금 지원
경쟁력 강화
글로벌 기술기업
Process know-how 지원 글로벌 진출 자금지원
•연구개발 인력 확보지원 M&A/제휴지원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2 . 4 투자전략 컨소시움 구성

기술자문단
부문별 녹색기술 Rabobank 계열 200조
전문가 Group 글로벌 녹색 자산운용사

국내 전력공급 국내 유일의 녹색산업


독점 기업 국내
전문 컨설팅사
전략적투자자

글로벌
Deal Sourcing Value Add Globalization Exit 녹색기업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2 . 5 투자전략 기업가치 제고전략

Value-Add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

추가 기업가치 향상


기업 효율 향상
비효율 제거
가치

기존 기업가치 기업최대가치

Value-
9 조직구조 개선 9 경영 전략 검토 및 9 핵심 역량 활용한 영
Add전략 9 현황 진단 및 개선안 개선 역 (신제품 출시 등)
시행
9 이사회를 통한 경영 확대
9 관리 시스템 정비 관리 등 9 Globalization 등
9 Refinancing 등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Ⅲ. 투자사례

1 XX기업
1.
(태양광 잉곳/웨이퍼)

2. YY기업
(LED패키지)

3. ZZ기업
(원전관련부품)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1 투자사례 XX 회사

XX㈜ 회사 개요

• 자본금 : 29,388 백만원 • 상장여부 : 비상장 중소기업


• 산업분류코드 : (D32111)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제조업 • 종업원수 : 690명
• 주요 사업 : 태양광 발전용 Mono/Multi Wafer, Ingot, Brick • 설립일 : 2007년 7월 18일
• 투자규모 : 20,000 백만원
• 투자자금의 용도 :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설비증설 (세계 5위권 이내 진입 목표)

동사는 국내 최대 Wafer 생산 Capa를 보유하였으며, Mono 및 Multi ingot과 Wafer를 모두 대규모로 생산하는
국내 유일한 회사임

구분 YY㈜ A B C D E F G

Mono/Multi
/ All Mono Mono Mono All Mono All Multi

Ingot/Wafer All Ingot Ingot Ingot Wafer Ingot All Ingot

폴리실리콘 장기계약 O X O X X X O O

판매 장기계약 O X X X X X X X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1 투자사례 투자 기준

투자목표

글로벌 녹색기업

시장 핵심기술 해외진출
매력도 보유 가능성

• 전세계적인 정부지원, 경기회 • Mono 및 Multi Ingot 및 • 폴리실리콘 장기공급계약


복으로 향후 시장규모는 매년 Wafer 생산수율 최고업체 확보 (2014)
약 20~30%씩 증가 예상
• 현재 국내 최초 Wafer 생산 • 그 외 해외 5개 모듈업체에
• 특히 독일의 FIT 삭감에 대비 선도기업
선 기업 향후 2.9GW,
2 9GW 총 43억불에 달
한 사전수요 폭발로 인해 2010 하는 장기공급계약 체결
년에는 2009년 대비 약 100%
의 성장률을 보임 • 필리핀 현지법인 설립 추진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1 투자사례 투자효과와 향후전망

08' 09' 10‘F 11‘F 12‘F

매출액(백만원) 75,854
, 205,507
, 451,337
, ,
947,000 1,360,500
, ,

매출액 증가율(%) 171 60 115 44

종업원(명) 245 290 690 1,187 1,233

종업원 증가율(%) 18 37 72 3

ROI (%) 4.2 2.0 2.7 2.9 4.6

1,360,500
1,400,000 1400 1,233
1,187
1200
1,100,000 947,000
1000

800,000
800 000 800 690

매출액(백만원)  600 종업원(명)  


440,000
500,000
400 290
245
205,507
200,000 75 854
75,854 200

0
‐100,000 08'  09'  10‘F  11‘F  12‘F  08'  09'  10‘F  11‘F  12‘F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2 투자사례 YY 회사

YY 회사 개요

• 자본금 : 14,500 백만원 • 상장여부 : 비상장 중소기업


• 산업분류코드 : (D32111)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제조업 • 종업원수 : 308명 (10년 4월 말 기준)
• 주요 사업 : LED 패키지 • 설립일 : 2008년 8월 4일
• 투자규
투자규모 : 30,000
, 백만원
• 투자자금의 용도 : 설비증설 및 차입금 상환

동사는 국내외 LED패키지관련 406개의디자인, 특허 PKG 원천기술과 모듈화 기술 확보 및


`
및 실용신안을 등록 및 출원하였거나, 현재 등록 및 모바일, 중∙대형 BLU, 조명 등에 대한
출원 중임 다양한 Application 기술 확보

국내 해외
구분 PKG설계 응용기술
등록 출원 등록 출원

디자인 104 5 116 52


Module
특허 52 24 2 45

실용신안 - 2 - 4 형광체 열해석

합계 156 31 118 101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2 투자사례 투자 기준

투자목표

글로벌 녹색기업

시장 핵심기술 해외진출
매력도 보유 가능성

• 응용분야의 확대로 본격적인 • 국내외 LED 패키지 관련 406 • 세계적인 LED칩 업체인 TG
성장기에 진입하고 있음 개의 디자인, 특허 및 실용신안 와 전략적 제휴로 협력관계 구
을 등록 및 출원 축
• 향후 자동차용 LED전조등,
LED조명
LED 명 등 제품의 확대로 매 • Mobile,
bil 중/대형
중 대형 BLU, 조명
명 • 대만 G사와의 장기공급계약
년 약 34% 이상 성장할 것으로 등 다양한 Application 기술을 추진
예상됨 확보
• 국내 대표 LED패키지 업체로
• PKG 원천기술 및 Module화 서 양산 경험
기술 확보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2 투자사례 투자효과와 향후전망

09' 10' 11‘F 12‘F 13‘F

매출액(백만원) 88,753 135,801 340,311 436,553 490,675

매출액 증가율(%) 32(2) 53 150 28 12

종업원(명) 270 500 667 811 897

종업원 증가율(%) 85 34 21 11

ROI (%) 5 10 15 15 14

600,000 1000 897


490,675 811
500,000 436,553 800
667

400,000 340,311
600 500
300,000
매출액(백만원) 종업원(명)
400
270
200,000 135,801
88,753
200
100,000

0 0
09' 10' 11' 12' 13' 09' 10' 11' 12' 13'
(1) 8월 설립된 회사로 8월부터 12월까지의 매출임
(2) 1년 기준으로 환산한 매출을 적용함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3 투자사례 ZZ 회사

ZZ㈜ 회사 개요

• 자본금 : 6,112 백만원 • 상장여부 : 비상장 중소기업


• 산업분류코드 : (C29176) 증류기, 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 제조업 • 종업원수 : 405명
• 주요 사업 : 플랜트 기자재 제조, 플랜트 건설 및 유지보수 사업 • 설립일 : 1984년 1월
• 투자규모 : 30,000 백만원
• 투자자금의 용도 : 설비 증설 및 운전자금에 활용

동사는 플랜트 기자재 고도의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기술명 보유기술

유체탱크용 노즐의 접합구조(특허권) 열교환기, 압력용기, 반응기, 탑조류, 저장탱크, 보일러


및 압력배관시스템 대한 설계, 제작, 설치 및 서비스
관체 내부의 부식성 부재 접합구조 및 방법(특허권)
원자력 품질보증자격( KIPIC-MN)
KIPIC MN)
원자력 공사용 압력용기, 배관시스템, 저장용기 등 제작
, 공장조립, 원자력 기기 및 부품제작, 금속(비금속) 재
관체의 수직 모따기장치 (실용신안등록) 료의 공급, 원자력 지지대의 제작
R (Field Repair)
모따기용 샤프트 (의장등록) Boiler and Pressure Vessel 제작인증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3 투자사례 투자 기준

투자목표

글로벌 녹색기업

시장 핵심기술 해외진출
매력도 보유 가능성

• 플랜트 시장은 ’11년 이후 중 • ’07년 이래 국내 상위 6개사 • Chiyoda, CB&I, 대림산업,


동, 동남아, 중남미 발전 플랜 (매출액 기준)에 포함되는 국내 SK건설, 현대건설 등 국내외
트 증가로 매년 약 7% 이상의 대표적인 플랜트 기자재업체임 플랜트(EPC)업체에 다양한 제
성장이 예상됨 품을 납품한 경험 보유
• ‘08~’09년
‘08 ’09년 영업이익률 20%
• 국내 플랜트 기자재업체는 정 를 달성하는 등 차별화된 기술
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을 통해 력과 수익성 보유
시장 확대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으로 추가적인 성장이 예
상됨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3 . 3 투자사례 투자효과와 향후전망

09' 10‘F 11‘F 12‘F 13‘F

매출액(백만원) 226,541 206,462 335,314 432,717 454,400

매출액 증가율(%) 5 (9) 62 29 5

종업원(명) 343 405 446 491 540

종업원 증가율(%) 6.5 18.1 10.1 10.1 10.0

ROI (%)
( ) 0.7 2.2 8.9 13.8 13.8

600,000 1000

500,000 454,400
432,717 800

400,000 335,314 540


600 491
446
300,000 405
226,541
206 462
206,462 매출액(백만원) 343 종업원(명)
400
200,000

100,000
200

0 0
09' 10‘F 11‘F 12‘F 13‘F 09' 10‘F 11‘F 12‘F 13‘F

Copyright 2011 AUCTUS Investment Partners All right Reserved


세션 3
녹색금융 투자 흐름
양정규/아주 IB 투자 대표
[녹색금융 국제포럼_발표 요약]
아주 IB 투자 대표
양정규

<녹색 성장과 함께하는 녹색 금융>

녹색성장이란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과 에너지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로 인해 향후 인


류의 발전을 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종래의 화석 연료 에너지원에의 의존도
를 줄여나가기 위하여 새로운 에너지원을 만들어내고, 또한 절약을 해나가면서도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도모하자는 것임.
이를 위해서 각국 정부는 정책적인 장단기 계획을 수립하고 적극적으로 관련 산업을 육
성하고 있음. 이러한 정책의 효율적인 집행과 결과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지원 대상 분
야도 집중육성 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재정적 지원 정책도 마련되어야 함. 이를 위한 여
러 정책적이고도 재정적인 지원들이 고안되어 집행 되고 있음.
지원 금융제도는 간접 지원 금융으로서 은행 민간 금융기구에 의한 지원이 있고, 직접
적인 지원으로 투자펀드조성에 의한 벤쳐케피탈이나 PE펀드의 직접 투자를 이욯 할 수
있음. 그러나 녹색산업의 특징은 장기간의 투자 회임 기간, 불확실한 투자 수익 전망등
으로 해서 자발적인 민간 금융 시장에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어려움. 따라서 정부의 공
공 부문의 투자와 각종 보조제도, 그리고 세제상의 지원등의 incentive등을 제공하여, 민
간부문이 참여할 수 있는 유인책을 제공함과 동시에 정부의 주도적인 육성책이 효과적
일 것임.
실제로 녹색산업 분야는 매우 그 범위가 넓어, 조금만 정부의 유인책이 제공되고, 녹색
기술 관련 시장이 넓어지게 되면 자발적이고도 많은 민간부문에서의 투자가 이루어 질
수 있음. 미국, 중국, 유럽등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제상의 지원과 재정적인 유
인책이 민간부문에서의 벤쳐케피탈투자를 유인하였음 (예: 2008년도의 경우 미국 VC의
green tech분야 투자는 전체 VC투자의 15%선인 40억불투자를 일으켰고, 2010년도 10%
선인 20억불의 투자를 유도하였음) 한국의 경우도 2010년에 신규로 조성된 녹색금융투
자를 위한 VC/PE 펀드도 적극적인 정부지원책으로 약 4조규모의 녹색 산업 투자 펀드
가 조성 되었음. 이중 정부의 matching규모는 35%선인 1.6조 규모로 약 3배정도의 지렛
대 효과가 있었음. 또한 기술신용 보증기금이나 신용 보증기금에서의 녹색 관련 기업에
대한 우선 보증제도나, KOSDAQ에의 상장 우대등의 정책이 효과를 발휘할것으로 기대
되고있음.
녹색금융은 그 소요 투자 규모나 특성이 정부나, 민간부문의 단독적인 투자로 육성하여
나가기에는 너무 버거운 관계로 결국 양측의 적극적인 협력관계에서 육성 발전 시켜 나
가야 됨.
아주 IB는 녹색 금융 분야에 VC/PE투자 펀드를 4000억 가량을 운영하고 있어, 초기
단계의 벤쳐벤쳐회부터 성숙단계의 녹색 산업 회사까지 광범위하게 투자 하고 있어, 정
부의 정책에 적극적인 호응과 함께 관련 기술 발전에 기여 하고 있음.
아주 IB 투자
양 정 규 대표

2010. 2. 15.

순 서

I. 녹색 성장과 녹색 금융
II. 녹색 산업 성장 분야
III. 녹색 금융
IV. 우리나라의 녹색 금융 제도
V. 녹색 금융 확대를 위한 만간 부문 투자 유인 정책
VI. 우리나라의 녹색 성장정책과 금융
VII. 녹색 산업 기술개발 단계와 PE/VC의 투자 영역
VIII. 아주 IB 투자의 중점 녹색 성장 산업 기술 분야
I. 녹색 성장과 녹색 금융

녹색 성장

자원과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해 환경 개선을 위한 제품, 서비


스의 성장을 의미 함(경제성장에서 환경적 의미의 강조)

녹색 금융
금융기능을 통한 촉진 지원

저 탄소 녹색 성장:
전 세계의 환경관심에 의한 각국의 주도
의 녹색 성장 지원을 위한 정책 지원
-1-

II. 녹색 산업 성장 분야

“녹색 산업 분야는 의외로 매우 광범위한 산업분야를 포함”

• 녹색 Energy (태양에너지, 풍력, 바이오, 수력, 해양, 연료 전지 발전,


저장, 인프라, 효율증대 )
• 녹색 운송 분야 (전기/하이브리드, 연료 전지차)
• 재생 에너지
• 수 처리(수자원 절약, 담수화)
• 대기 및 환경 분야
• Smart Grid
• Materials
• Recycling과 폐기물 처리
• 친환경 농업
• 기타(예: 탄소 저장 기술)

-2-
III. 녹색 금융
“환경을 보호하는 동시에 성장동력을 발전시켜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재정적 지원 방법”
• 녹색금융의 특징:
 선 비용과 투자소요
 투자 회수기간의 장기간 소요
 투자 위험은 높으나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음
 비용과 투자 규모의 대형

• 녹색 금융 대상과 방법:
• 녹색 산업 성장을 위한 금융 지원
• 환경파괴를 막기 위한 금융 지원

• 간접금융 지원: 금융기구(예: 은행 등)를 통한 금융


• 직접 금융 지원: 투자 지원 (Green Fund, Green 금융,
탄소 배출 거래제도 등)
• Green Fund: 펀드를 조성하여 Green산업분야에 집중 투자
• Green 금융: Green관련 기업과 민간 활동에 우대 지원
-3-

IV. 우리나라의 녹색 금융 제도
“녹색 성장 기본법을 근간으로 하는 정책적 지원 의지.
그러나 아직은 초기 단계임”

저 탄소 녹색 성장 기본
법(2010년 제정)
• 재원의 조성과 자금 지원
• 신 금융상풍의 개발과 민간 투자의 활성화
• 녹색 경영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
• 온실 가스 배출권 거래 제도 운영

• 정책 금융 지원: KoFC,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신용


보증기금 등 국책금융기관을 통한 지원 시작
• 민간 금융기관: 저금리 지원용 예금, 적금 유인구조의 부족으
로 한계 있음. -4-
V. 녹색 금융 확대를 위한 민간 부문 투자 유인 정책
“ 장기적인 투자 회임 기간과 수익에 대한 높은 불확실성으로
정책적, 재정적인 유인책이 필요함”

정책적, 재정적 지원 제도
•정책적 육성 제도:
 중국의 5개년 계획:
2020년 까지 15%까지 대체 에너지 사용, 40% 탄소가스저감계획, 20%
에너지 절약 정책 등
 미국 정책:
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에 의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미화 830억불 투자 계획
• 보조금 제도:
•미국 Program:
 효율성 증대목적으로 정부청사, 다가구 주택에 120억불 보조금, 주택 개
량에 50억불 보조금, 대체에너지에 융자보증 60억불 보조금, 수
처리 씨스템에 72억불 보조, 스마트 그리드에 110억불 보조, 전
기 자동차 개발에 20억불 융자 보증 및 보조.
 세제 지원: 상업용 빌딩과 주택의 태양광 투자에 30% Tax credit. 여타
대체에너지 투자에 대한 보조금과 Tax Credit제공등

효과적인 육성방안:공공 금융기관 및 민간 금융 기관과의 공동 육성


-5-

효과적인 육성방안:공공 금융기관 및 민간 금융 기관과의 공동 육성

• 미국 VC의 Green투자 유인:


2008년 tax credit 연
장정책에 의해 동년도
42억불의 투자 유인(최
•정부 정책 대 투자 부문)
 2010년 도 약 22억불
투자 (전체 VC투자의 약
10~15%)
• Netherland 은행:
•재정 지원제도 1990년 정부 주도의
Green Fund조성 – 민간
투자자에게는 세금 감면
혜택, 회사에는 낮은 금
리의 융자 수혜. 약
63,000여 명으로 부터
20억불의 투자금 유치.

-6-
VI. 우리나라의 녹색 성장 정책과 금융

장기 계획

• 에너지 자립도 확대: 2030년까지 40%까지


• 신 재생에너지로의 대체: 2030년 까지 11%
• 석유 의존도 축소: 현재 40% 수준에서 30% 수준까지

2011년 금융관련 계획

• 녹색 R&D투자 계획: 2.5조원 투자


• 녹색 금융의 활성화:
 민간 자본 시장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녹색 관련 벤쳐의
KOSDAQ상장 우대
 VC투자의 활성화
 민간금융기관의 녹색기업여진 확대 유도(현재 관련여신 규모
9.2조 중 24%인 2.2조가 민간 은행에서 조달 되고 있음.) - 7 -

VII. 녹색산업 기술 개발 단계와 PE/VC의 투자 영역

R&D 기술 개발 상업생산 대량생산 성숙 단계

VC 투자 단계
• 정부 지원

•국공립 연
구소
PE 투자 단계
•대학 등

아 주 IB 투자의 투자 영역
(PE / VC 펀드 운영)

-8-
VIII. 아주 IB 투자의 중점 녹색 성장 산업 기술 분야
• 에너지 분야:
 Solar (폴리 실리콘, 잉곳, Cell, 박막 태양 전지 등)
 연료 전지 (씨스템, 부품, 소재 등)

• 에너지 Infrastructure: 스마트 그리드, 전기 전송관련

• 에너지 효율성: LED, 빌딩 에너지 절약, 공조 장비

• 운송 분야: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자동차, 연료 전지 자동차,


스마트 traffic 분야

• 수자원: 수처리, 수질 관리, 수자원 절약

• 대기 환경: 배기 가스 처리, 정화

• 재료: 나노, 바이오, 정밀 화학

• 농축산: 친환경 농업, 축산, 수산 기술


-9-
• 폐기물 관리/재생

감사 합니다
100-756
서울시 중구 태평로 1가 61번지
TEL: 02-724-6075
FAX: 02-724-6099
E-mail : help@chosunbiz.com
값 220,000원

100-756
서울시 중구 태평로 1가 61번지
TEL: 02-724-6075
FAX: 02-724-6099
E-mail : help@chosunbiz.com
값 220,000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