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제목: 아이의 사생활 저자(역자): EBS제작팀(2009)

이 책에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


1. 교육 전문가들의 찬사를 받은 요소가 뭘까?
2. 풍부한 Reference를 발견할 수 있으면 좋겠다.
읽 3. 딸고 나에게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는?

주제: 내 아이의 운명을 결정짓는 혁명적인 책

미리 짐작한 핵심단어 (목차 활용) – 주요 Frame
전두엽, 뇌의 진화, 경험, 남/여 차이, 17%의 비밀, 다중지능, 감정지능, 자기이해지능, 호기심, 도덕성(정서/인지/행동),
도덕성이 경쟁력, 자아존중감, 성공과 칭찬의 경험,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단어

읽 망상활성계, 전두엽, 자기이해지능, 관찰이기, 칭찬-도덕성의 관계, 자존감의 영향력


은 아이디어 및 성찰

후 관찰일기라는 아이디어를 얻었다. 자존감을 높이고, 도전하려는 마음을 익히게 하는 방법을 더 고민하
게 되었다. 자존감>공감능력>의사소통능력>리더십의 연계고리가 인상깊다.

Page 인용하게 될 내용/기억하고 싶은 내용


22
심장은 하루에 1만 번, 호흡은 2만 3천 번
24 동일한 부모가 같은 유전자를 가진 아이를 낳을 확률, 1,000조 분의 1
26 사람이 지을 수 있는 표정의 수 7,000여가지
27 1,000억 개의 뉴런neuron, 뉴런의 연결부위 시냅스 Synapse
23 갑자기 나타난 뱀을 보고 인지하는 속도는 시속 400km (KTX는 시속 300km)
28 만 3세의 뇌는 어른 뇌의 70~80%까지 따라잡을 만큼 성장
32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뇌: 전두엽(창의성 담당)
42- 뇌가 좋아하는 것: 의미 – 소리(시연) – Story(장소법) – 기분 좋은 것
46
단기기억 용량: 친숙하지 않은 정보는 7±2 – 조지 밀러(George Miller)
50 망상활성계 : 맑은 정신 -> 집중, 감정이 복잡하면 기능 저하됨
51 긍정적인 생각은 신경회로를 활짝 열고 새로운 회로를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부정적인 생각은 회로
간 흐름을 방해하거나 억제한다.
56
애착은 뇌 속 사회성과 관련된 호르몬(옥시토신) 분비를 촉진시킨다. 세스 폴락Seth Pollak연구팀
62 1964 벤저민 블룸Benjamin Bloom연구, 17세 지능 기준: 50%-임신~4세/ 30%-4~8세/ 20%-8~17세
69 인지발달: 7~11세: 구체적 조작기 / 11~: 형식적 조작기 스위스 심리학자 장 피아제 Jean Piaget
70 12~17세: 전두엽 발달이 가장 왕성한 시기(전두엽의 재 탄생)
7~12세까지의 학령기 동안 별로 쓸모가 없었던 신경회로나 신경세포들은 12세 때, 즉 전두엽이 가
장 왕성성하게 발달되고 변화하는 이 시기에 다 솎아져 나가고 잘려 나가게 된다.
70 초등학교 시기에 갖는 몇 가지 경험은 청소년기 때 겪는 변화의 혼란을 어느 정도 정리해 주는 역할
을 함.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에 대한 것, 즉 사회적 규약을 익히는 것이다.(걸스카우트!)
72 뇌는 경험에 의해 유용성이 입증된 연결만 보존(전문성으로 발전), 그렇지 않은 것은 가차없이 버림
72 사춘기(12~17세) 후두엽이 급격히 발달 (시가기능) – 따라서 연예인에게 열광하는 것은 당연
74 사춘기 때부터 정보 취사선택은 전적으로 아이가 하려고 한다. 어른은 긍정적, 편안한 분위기 연출만
75
감정표출의 중요성: 감정을 억제한 무표정일 땐 소수의 신경세포만 기억과정에 참여해서 집중력 저하
76 명랑한 감정은 학습과 기억능력을 향상시킨다.
77 허벅지 근육(신체 중 가장 큰 근육) -> 신경과 뇌관에 연결되어서 뇌를 많이 자극시킨다. 걷게 하라.
117 신은 공평하게 남자에게는 높은 체계화 능력을 여자에게는 높은 공감능력을 주었다.
120
17%의 비밀: 테스토스테론(남) vs. 에스트로겐(여) 17%의 소수는 반대 호르몬이 많다. 군계일학이 됨
142 남자아이는 여자에 비해 1년~6년이 늦을 수밖에 없다 ⇒ 단성single-sex 교육의 필요성 부각
150 남자아이 키우는 법: 아빠(롤모델)가 감정표현을 솔직하게 해야 함 , 스킨십, 부정적 감정을 받아주고
-
153
말로 표현하는 연습하기(말하기 힘들면 ‘화가 났구나’, ‘슬프구나’ 등 먼저 말해주기), 공부 못한다고 혼
내지 않기, 체험학습에 노출시키기, 승부욕 자극시키기, 애완동물/식물키우기, 운동에너지 발산
154
딸 키우는 방법: 다양한 장난감, 스스로 도전/실패/성공기회 경험시키기, 많이 뛰어 놀게 하기, 주체적
-
159
사고 심어주기, 여성적인 것 강요 않기, 아빠가 시간 많이 내 주기,
177 IQ검사 1883년 프랑스에서 의무교육제도를 실시하면서 지적장애아, 학습부진아를 선별 위해 개발
181
다중지능: 언어지능, 논리수학, 공간, 인간친화, 자기이해, 음악, 신체, 자연친화,
194 서번트 신드롬savant syndrome 1995년생, 말레이시아 소년 핑 리안 Ping Lian IQ 70이하
195 킴 픽Kim Peak <레인맨> 주인공, 인간 기억능력의 98.7% 사용
207 다중지능전문가 윤옥인(서일초, 다중지능교육학회 부회장), 황순희(아주초, 이사), 김영자(드림초교장,
회장), 윤옥균(드림초, 연구원)
210 (강)신체운동 (약) 공간 : 사진촬영 / (강)공간 (약)인간친화: 퍼즐, 꾸미기
-
214
(강)음악,자연친화 (약)언어: 강아지를 주인공으로 소설쓰기 /(강)인간친화 (약)자기이해: 가족회의 주도
214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분모: 자기이해지능
217 임동창은 초등학교 6학년이 되어서야 음악에 눈을 떴다.
222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Mihaly Csikszentmihalyi: 호기심을 갖는 분야에 몰입하면 창의적인 사람이 된다
225 강요도 포기도 금물, 동기는 아이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하버드를 가장 많이 포기한 외국인? 한국인!
235 관찰일기! 세계적인 리더가 될 xxx의 관찰일기
262
문용린교수: 초등학교때는 칭찬받는 행동이 도덕적인 것으로 여긴다..
264 예일대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실험(1961), 92% vs. 65%, 권위,제복,4달러의 대가에 도덕성 맡김
266 도덕성은 권위와 만났을 대 위협받는다. 의지와 용기가 필요
272
도덕성의 3요소 – 정서(양심,공감,이타성), 인지(자제력,책임감,분별력,공정성), 행동
280 Daniel Goleman [정서지능](1996); 정서인식능력, 감정조절능력, 자기 동기화, 감정이입, 대인관계기술
286 콜버그의 [하인즈 딜레마]; 죽을 병 걸린 아내, 비싼 약, 결국 약을 훔침 – 하인즈의 정당성/도덕성은?
314 결과보다 의도와 과정을 칭찬하라; 칭찬은 도덕적 행동을 더욱 탄탄하게 만든다. (질문: 왜?<어떻게?)
346 자아존중감:긍정적인 자아상,하버드 조세핀 킴Josephine Kim 인생을 성공하는데 꼭 필요한 핵심 요소
364 자존감의 거대한 영향력: 자존감->공감능력->의사소통능력 -> 리더십으로 연결됨
378 존중감을 느끼게 하는 대화법: 사소한 이야기/ 솔직, 자세히/ 잘못에 대해서는 짧고,단순하게/ 아이의
말실수는 무시/ 아이를 보고 말하기/ 아이 이름을 불러주기
382 자존감은 변화할 수 있다.
391 실패는 없다. (에디슨,오스월드 에이버리 사례)- 성공과 실패보다 중요한 것은 도전
394 실패극복을 위해: 능력보다 높은 과제(실패유도) – 성공할 때까지 최선을 다하라고 말하지 않는다(스
스로 선택하게 함) – 실패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 실패/실수를 용인하게 한다 – 실패한 상
태로 내버려두지 않는다
414 칭찬과 성공은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같다
End of pag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