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무선전력 전송기술

조덕창 |중앙전파관리소 기술과장

Ⅰ. 서론

전세계적으로 석유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는 약 63%이고, 석탄이 27%에 달해 전체 적으로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는 90%에 이른다. 그러나 화석 연료는 연소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여러 가지 대체에너지 중 하나인 우주태양광발전 (Solar Power Satelites) 시스템이 부상되고 있다.

우주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우주공간에 설치된 태양전지판에 의해 생성된 DC 전압을 지구로 송전하기 위해 RF 전력으로 변환하고, 지구에서는 다시 RF 전력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1968 년 미국의 Peter Glaser 박사가 제안한 이래 세계 각국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있고, 현재 일부 기술은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응용분야는 저궤도 위성체 전력공급(위성수명연장), 정지비행체 전력공급(도시감시, 무선중계 등), 우주태양광발전 전력전송, 원격지 무선 전력전송(낙도, 무인등대 등) 등 응용분야는 무한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무선전력전송 원리와 구성기술 및 외국의 동향을 소개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기술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Ⅱ. 무선전력전송원리와 구성 기술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mission)은 전력 에너지를 무선 전송에 유리한 마이크로파로 변환 시켜 에너지를 전달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전송 방식으로 전선 없이 전기에너지를 공간을 통해 보낼 수 있는 전파전송의 원리로서 라디오나 무선 전화등과 같이 무선 통신방식에서 이용하는 신호의 개념이 아닌, 전기 에너지를 보내는 것으로 보통의 통신이 반송파 신호에 신호를 실어 보내 것이라면 무선전력전송은 반송파만을 보내는 것이다. 전기적 에너지는 진폭과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데 주파수가 높을수록 자유공간 사이에 무선으로 전송 할 수 있는 전파(Radio Frequency)의 성질을 갖는다.

주파수가 높으면 파장이 짧기 때문에 빛과 같이 직진성을 가지게 되어 한곳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모아 보낼 수가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 무선전력전송 이라 하며 본고에서는 사용주파수와 시스템 구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사용주파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사용 주파수의 선정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의 공간전송특성은 주파수에 비례하여 손실이 커지며 또한 지구 반사에 의한 대기(大氣) 잡음 손실도 존재하므로 가장 안정적인 주파수대의 선정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사항이다. 대기상태에서

전자파의 공간전송 특성 중 가장 손실이 심한 주파수대는 10~300 ㎒와 20~60 ㎓ 대역 이므로 무선전력전송에 사용되는 RF 주파수는 1~10 ㎓의 저잡음 주파수대를 사용하고 있다.

일정한 지점간의 공간에너지 전송을 위해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이유는 마이크로파를 사용함으로써 송수전 회로 구성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직진성이 우수하므로 RF 에너지 전달이 우수하지만 높은 주파수 특성에 의한 많은 감쇠와 잡음레벨을 감수해야만 한다. 2.45 ㎓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대역으로 대기중의 잡음과 손실이 비교적 적으며 분포소자를 이용해 회로를 구성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어 장거리 무선전력전송 기술에 일차적으로 선정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2.45 ㎓ 고조파에 의한 다른 통신 및 고주파 응용 기기에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재방사를 억제하기 위한 필터가 필요하다.

2.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구성성분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며, 먼저 송전단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진장치, 전원장치 및 송전용 안테나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송전용 시스템의 주요 구성원은 AC/DC 인버터, 마그네트론, DC/RF 변환장치, 송전용 고이득 안테나 등이다.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송전안테나 수전안테나 사이의 전송효율(Collection Efficiency)은 송전 마이크로파 전력에 대한 수전 마이크로파 전력의 비를 나타낸다. 송수전 전력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송전단에는 지향성과 이득이 좋은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고 수전단에는 고 이득의 안테나를 사용해야 한다.

마이크로파 전력에서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부분으로 고효율 정류안테나, 집전장치 및 부하로 구성이 이루어 진다. 설계 파라미터로서는 RF/DC 의 변환효율(Con-version Efficiency)로서 입사된 마이크로파 전력과 DC 출력 전압의 비를 나타낸다. 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류 다이오드를 잘 선택해야 하는데 과거에는 실리콘이나 게르마늄 다이오드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초고주파 특성이 양호한 GaAs 다이오드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류안테나에 사용되는 정류 다이오드의 선택 기준은 큰 순방향 전류와 역내압을 가지는 다이오드를 선택해야 한다. 입력필터에서는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다시 안테나에서 재 방사되어 다른 통신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한 것으로 임피던스 정합회로와 함께 구성해 준다. 출력회로는 전원회로의 평활회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커패시터와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구성해 준다. 정류안테나에서의 손실은 다이오드에서 약 20% 정도이고 그 이외에서 약 4~5% 정도 발생한다.

무선전력전송에 사용되는 소자인 정류안테나는 안테나와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정류형 안테나로서 2.45 ㎓에서 동작하는 정류안테나는 1960 년대에 처음 설계되었고 그후 높은 입력 전력에 대한 다이오드 제작 기술 향상과 변환 회로의 개선으로 인해 전력 변환효율은 38%에서 85%까지 개선되어

왔다. 기본적인 정류안테나의 동작은 전송된 마이크로파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한 정류안테나 소자의 개발은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가장 기본이며 핵심이 되는 기술중 하나이다.

기본적인 정류안테나의 구조는 2.45 ㎓의 마이크로파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와 임피던스 정합회로, 필터회로, 정류회로 등으로 이루어진다.

송신측에서는 DC Power 를 Microwave 로 con-version 해서 channel 을 통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반대로 이러한 microwave 를 다시 DC POWER 로 되돌리는 내용이 핵심이다. 에너지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beam forming 이 필요하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기술은 인공 위성을 이용하면 그 장점 을 더 잘 살릴 수 있다. 우주에서, 대기에 의한 손실 없이 태양광을 그대로 받아 발전을 한 후 이것을 다시 지구에 송신 하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3.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모듈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모듈에는 크게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어진다. 먼저 송신부는 큰 마이크로파 출력을 얻기 위해 Microwave Oven 용 마그네트론을 사용하고, 기타 부가적으로 아이솔레이터, 방향성 결합기, 3-Stub Tunner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큰 출력의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이득이 20dB, 방향성 결합기의 결합도가 30dB 인 혼 안테나와 3-Stub Tunner 를 사용하여 부하와 source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킨다.

4.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구성 소자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기본 소자들은 송전부와 수전부 소자들로 크게 분류 할 수 있다. 송전부에는 발진회로와 송전 안테나로 구성되고, 수전부는 수전 안테나와 정류회로로 크게 나뉘어진다. 각 부분은 설계시 최적화 되어야 하며 전체 시스템을 구성할 때 반드시 개별 소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스템 구성소자로서 선정되어야 한다.

가. 마이크로파 발진부

마이크로파 발진회로는 크게 진공관형과 반도체형으로 구분되어진다. 진공관형은 1 ㎾급을 취급할 수 있고, 사용가능 온도가 높으며, 기술이 보편화되어 있어 사용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크기나 무게 그리고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반도체를 이용한 발진회로는 진공관형에 비해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나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발진 회로는 출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저전력의 반도체 발진부 뒷단에 큰 출력을 내는 진공관 형태의 전력증폭기를 연결하여 큰 발진 출력을 얻는다.

구분 출력전력 가격 수명 시용온도 대표적인소자

진공관 크다 싸다 짧다 높다 마그네트론 클라이스트론

반도체 작다 비싸다 길다 낮다 IMPATT,Gunn,GaAs-FET

표 1.발진소자의 종류와 특성비교

나. 빔 방사용 송전 안테나

무선전력전송에 사용되는 비 방사용 송전 안테나는 안테나의 빔 패턴을 집속(Beam Forming)하여야 하며, 가급적이면 빔 패턴의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안테나는 크게 서브 어레이 구성은 Active Phased Array 방식과 Passive Phased Aarray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제어 방법도 Retro Directive 안테나 방식이 유효하다. 위상제어를 위해 이상기(移相器)를 설치함으로써 서브 어레이간의 위상 보정 및 능동적인 빔 주사(走査)가 가능해지고 보다 유연한 빔 제어가 가능해 진다.

안테나 방사면에서의 전계분포는 안테나단(선단)에서 1/10 레벨이 되는 가우스 분포를 이용한다. Side Beam 을 억제하여 Main Beam 에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전계 분포로서 가우스 분포 이외에 테일러 분포 및 변형 베셀 분포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결국 모든 분포는 사이드로브를 억제하기 위하여 거의 동일 분포로 되어 어느 분포에서도 거의 변하지 않는다고 하는 계산 결과를 얻는다. 레트로 디렉티브 방식은 정류안테나의 중심에서 송전단으로 파일럿 신호를 송전한다.

송전 안테나에서 이 파일럿 신호를 수전하여 이 파일럿 신호의 공역위상으로 마이크로파를 송전하면 모든 마이크로파는 파일럿 신호를 송전한 지점으로 집중된다.

안테나의 면이 틀어져 있어도 틀어진 만큼 파일럿 신호의 위상도 이동하여 정확히 수전점으로 빔을 집중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좌표계에서 검토된 레트로 디렉티브 안테나 방식은 송전용 마이크로파 주파수와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가 일치한 후 비로소 성립된다. 그런데 양자의 주파수가 같은면 파일럿 신호를 불러낼 수 없다.

그래서 좌표계에서는 송전 주파수에서 상하가 동일한 만큼 이동한 2 주파의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는 방식이 되기도 한다. 이 방법에는 분기(Divide) 회로가 들어 있으므로 2 개의 제어요소가 존재하며

하나의 제어요소는 마이크로파 빔을 수전점으로 집중시키고 다른 요소는 상호 제거하여 빔이 다른 방향을 향하게 한다.

위상제어 방법으로 레트로 디렉티브 안테나 방식과 아울러 디지털 이상기를 각 서브 어레이 별로 접속하면 레트로 디렉티브 안테나 방식의 오차나 서브 어레이별 위상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다.

수전안테나무선전력전송의 수전단을 구성하는 정류안테나는 크게 Dipole Antenna 와 Microstrip Patch Antenna 로 구분된다. 다이폴 안테나의 경우 제작이 간단하여 다양한 구성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편파가 단일편파(수직 또는 수평)를 가지기 때문에 이중편파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작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득은 다이폴이 약 2-3 ㏈ 정도이고 패치가 4-5 ㏈정도이기 때문에 패치가 2 배정도 이득이 높다. 따라서 실제 RF-DC 변환효율을 측정해보면 다이폴에 비해 약 5%가량 더 높은 변환효율을 가진다. 물론 변환효율 측정시에 정류회로는 동일한 구성 조건이다.

구분 크기 무게 편파특성 이득 제작의 편의성

다이플 크다 가볍다 선형편파 작다 좋다

패치 작다 무겁다 선형,원형,타원편파 크다 나쁘다

비고

표 2.대표적인 안테나의 종류와 특성비교

최근에는 패치와 다이폴 형태 이외에도 야기나 혼 형태의 정류안테나에 대한 연구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제작상의 문제라든가 비용면에서 아직까지는 패치와 다이폴이 훨씬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용화까지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라. 정류회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수전부에서 RF-DC 변환을 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정류회로의 정류효율(변환효율)은 교류입력전력에 대한 직류출력전력으로 정류안테나에 적용되는 정류회로는 대부분 반파정류회로 이며 이는 환경기준에 따라 전자파의 세기를 조절했을 때 전파정류회로에 비해 가격대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정류회로에 사용되는 통신용 다이오드는 신호의 감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 역방향 바이어스 값이

작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무선전력전송에 사용되는 정류용 다이오드는 큰 역방향 전압과 스위칭 속도가 빠른 것을 사용해야 한다. 최근에는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 대역에서 동작되는 정류용 다이오드가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스위칭 속도를 고려할 때 쇼트키(GaAs Schottky-Barrier Diode) 다이오드가 가장 적절하다.

Ⅲ. 외국의 동향

지금까지의 실험으로는 미국이 스카이세트 커뮤니케이션사의 20Km 상공에서의 37m 길이의 무선전력 수전용 날개판으로 6 개월간 자유비행에 성공했고, 일본은 1995 년 40m 고도에 50KW 의 전력을 송전하는 ETHER(Energy Transmission to a High Alrirude Long Endurance Airship Experiment) 계획의 시험을 마쳤다.

향후 계획으로 1997.10.26 NASA 에서 썬 타워(Sun Tower) 프로젝트로 12,000Km 상공에서 200~400MW 공급하는 것과 보다 높은 위치에서 5GW 급의 전력을 보낼 수 있는 솔라디스크(Solar Disk)를 보내려는 우주발전 프로젝트를 20 년내에 실용화 하겠다는 기술개발 계획을 보고하였으며, 일본도 SPS2000 프로젝트를 2010 년까지 미국의 썬 타워와 같은 개념의 300KW 급의 상용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이외에도 유럽연합 등에서도 연구 개발중에 있다.

Ⅳ. 결론

요즘과 같이 환경오염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정 전력의 생산 및 공급을 위하여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대체에너지의 공급방식은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으로써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있다. 따라서 향후 이 시스템이 실용화 되면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낙도나 산골지역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되고, 구조 현장이나 조난을 당했을 때와 같이 긴급히 전력을 공급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그밖에 캠핑, 낚시, 등산과 같은 레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언제 어디에서나 전선 없이 모든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