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263

중앙아시아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 비교연구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를 중심으로-

김보라(한양대)

현재 중앙아시아의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 가운데 공식적으로 키릴문자로 표기되는 언어


는 카자흐어와 키르기스어이다. 우즈벡어는 1940년~1992년까지 키릴문자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라틴문자 표기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여전히 키릴문자가 라틴문자 표기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많은 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다(정경택 2011, Landau &
Kellner-Heinkele 2012, Kim 2015 등).1) 본 논문에서는 현재 중앙아시아에서 사용되고 있는
키릴문자 표기체계가 언어마다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려 한다.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는 같은 투르크어계에 속하며, 문법구조나 어휘적인 공통점이 많은
언어이다. 하지만 이들 언어의 키릴문자 표기 체계는 언어마다 조금씩 차이점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이 무엇인지 명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첫 번째 목표이다.
두 번째 목표는 표기 체계의 차이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문자라는 것은 한
언어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기호이며 의사소통의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이 기호가 키릴문자라
는 음소문자로 구현되면서 한 언어의 음성/음운체계가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되어 표기되는지
살펴보는 것은 언어 내적 측면이라고 생각된다.2) 예를 들어 러시아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는
러시아에서는 독립된 음소(音素)인 경자음과 연자음이 각기 다른 자소(字素)로 구현되지 않으
며, 대신 뒤따르는 경자음 표시 자소 (а, э, ы, о, у, ъ)가 선행 자음의 경음성을 나타내고,
연자음 표시 자소(я, е, и, ё, ю, ь)가 선행 자음의 연음성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경/연음
쌍을 가진 24개의 자음음소가 개별적인 자소로 구현되는 대신에, 12개의 자음문자와 경자음&
연자음 표시자소를 사용하여 음소 당 자소가 일대일 대응될 때 필요한 자음 자소의 반을 줄이
는 경제성을 보여주고 있다(Hamilton 1980). 이와 같은 음소와 자소간의 상관관계가 우즈벡,

1)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 외에 중앙아시아 내 투르크어계 언어로 투르크멘어가 있다. 중앙아시


아 국가 중 가장언어적 국영화가 잘 되어있는 투르크멘어(Fierman 2009)는 현재 라틴문자표기를
쓰고 있어 키릴문자표기가 우즈베키스탄에서처럼 활발히 쓰이지 않는다고 판단되어 본 논문에서는
투르크멘어를 제외한다.
2) 음소문자는 표음(表音)문자의 한 종류로서 하나의 문자로 음소(音素)를 나타내는 문자체계를 뜻한
다.
264 중앙아시아의 세계화 : 발전과 전망

카자흐, 키르기스어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세 번째 목표는 음소와 자소 간 상관관계 이외의 요소를 살피는 것이다. 문자체계는 언어학적
인 현상뿐만 아니라 다분히 정치적인 성격을 띨 수 있다. 피셔(2010), Wellisch(1978) 등은 문
자체계란 경제, 정치, 종교, 문화적인 선택이라고 말한다. 특히 소비에트 정권의 지배하에 있던
중앙아시아는 독립 이후에도 여전히 러시아의 정치 경제적인 영향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정부의 언어정책 또한 러시아어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이들 언어의 문자체계에 나타
난 러시아어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언어 외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핀 언어 내적, 언어 외적인 요소를 종합하여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
를 비교하는 것으로 본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1.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와 러시아어 키릴문자 비교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의 키릴문자 표기는 소비에트 시기에 도입되었기에 러시아어 키릴


문자 체계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맥락에서 러시아어의 키릴문자와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의 키릴문자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표 1. 러시아어, 우즈벡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키릴문자 비교>3)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러시아어
[a] [b] [v] [g] [d] [(j)e] [(j)o] [Ʒ] [z] [i] [j] [k]
А Б В Г Ғ Д Е Ё Ж З И Й К Қ
우즈벡어
[æ] [b] [w] [g] [ɣ] [d] [(j)e] [jo] [dƷ] [z] [ɪ] [j] [k] [q]
А Ə Б В Г Ғ Д Е Ё Ж З И Й К Қ
카자흐어
[a] [æ] [b] [v] [g] [ʁ] [d] [je] [jo] [dƷ] [z] [ɪj] [j] [k] [q]
К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키르기스어 [k/
[a] [b] [v] [g/G] [d] [(j)e] [jo] [dƷ] [z] [i] [j]
q]

3) 표1 에서 문자는 모두 대문자 표기이며, [ ] 안의 음성기호는 국제음성기호 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를 따른다. 각각의 모음과 자음의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은 아래와 같다.
(https://www.internationalphoneticassociation.org/content/ipa-chart)
중앙아시아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 비교연구 265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러시아어
[l] [m] [n] [o] [p] [r] [s] [t] [u] [f]

Л М Н О П Р С Т У Ў Ф
우즈벡어
[l] [m] [n] [ɔ] [p] [r] [s] [t] [u] [o] [f]

Л М Н Ң О Ɵ П Р С Т У Ұ Ү Ф
카자흐어
[l] [m] [n] [ŋ] [u̯ʊ] [y̯ʉ] [p] [r] [s] [t] [w] [ʊ] [ʉ] [f]

Л М Н Ң О Ɵ П Р С Т У Ү Ф
키르기스어
[l] [m] [n] [ŋ] [o] [ø] [p] [r] [s] [t] [u] [y] [f]

Х Ц Ч Ш Щ Ы Э Ю Я
러시아어 Ъ Ь
[x] [ts] [tʃ] [ʃ] [ʃʃ] [ɨ] [e] [(j)u] [(j)a]

Х Ҳ Ц Ч Ш Э Ю Я
우즈벡어 Ъ Ь
[x] [h] [ts] [tʃ] [ʃ] [e] [ju] [ja]

Ы
Х Һ Ц Ч Ш Щ I Э Ю Я
카자흐어 Ъ [ə/ Ь
[x] [h] [ts] [tʃ] [ʃ] [ʃʃ] [ɘ] [e] [ju] [ja]
ɯ]

Х Ц Ч Ш Щ Ы Э Ю Я
키르기스어 Ъ Ь
[x] [ts] [tʃ] [ʃ] [ʃʃ] [ɯ] [e] [ju] [ja]

표 1에서 괄호 안 표기는 각 키릴문자가 상징하는 대표 음가이며, 이는 음성환경에 따라 조


금씩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학자마다 각 언어의 음성표기가 조금씩 차이가 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우즈벡어 Ғ 의 경우 유승만(2009:105), Бектурова & Бектуров(2004:7)
은 연구개음인 [ɣ] 로 Omniglot 에서는 구개수음인 [ʁ] 로 음성표기가 다르다.4) 음향음성학적
으로 보자면 이 두 음성은 큰 차이를 보이겠지만, 사실 연구개음과 구개수음의 조음위치는 인접
해 있기에 조음음성학적인 관점에서 표 1에서 [ɣ] 과 [ʁ] 의 차이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연구
개음인 [ɣ] 를 사용했음을 밝혀둔다. 그러므로 아래에서 비교할 러시아어와 우즈벡, 카자흐, 키
르기스어의 키릴문자와 음가의 상관관계는 조음기관과 조음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만을
언급하도록 하겠다.

1) 우즈벡어 키릴문자체계

러시아어와 우즈벡어 키릴문자체계를 비교해보면, 우선 자소의 총 갯수는 33개인 러시아어에


비해 2개가 더 많은 35개이다. 이중에서 러시아어에는 없는 Ғ [ɣ], Қ [q], Ў [o], Ҳ [h] 가 추
가되었고, 대신 러시아어에 존재하는 Щ [ʃʃ], Ы [ɨ] 가 우즈벡 문자체계에서 빠졌다. 또한 후설
중고모음인 러시아어의 О [o] 와 달리 우즈벡어에서 자소 О는 후설 중저모음인 [ɔ] 의 음가를
가지며, 음가 [o] 는 우즈벡어에서 자소 Ў 가 대표하고 있다.

4) http://www.omniglot.com/writing/uzbek.htm 참조
266 중앙아시아의 세계화 : 발전과 전망

<표2. 러시아어와 비교한 우즈벡어 키릴문자체계>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러시아어 키릴문자와)
Л, М, Н, П, Р, С, Т, У, Ф, Х, Ц, Ч,
같은 자소 & 같은 발음
Ш, Э, Ю, Я

같은 자소 & 다른 발음 О

다른 자소 Ғ, Қ, Ў, Ҳ

2) 카자흐어 키릴문자체계

카자흐어는 총 자소의 수가 45개로 러시아어 자소에 비해 9개나 많으며 특히 카자흐어에 고


유한 5개의모음 자소(Ə, Ɵ, Ұ, Ү, I) 가 보충되었다. 러시아어 키릴문자 체계에서 어떤 자소도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차용한 뒤 <표3>에서 보듯 다른 자소 9개가 추가되었다. 이것은 문자체
계에서 Щ [ʃʃ], Ы [ɨ] 를 제외한 우즈벡어와 대조되는 사항이다. 덧붙여, 모음 자소 И, О, У
가 대표하는 음성은 러시아어와 달리 각각 [ɪj], [u̯ʊ], [w] 로 복합모음 혹은 반모음의 성격을
띈다.

<표3. 러시아어와 비교한 카자흐어 키릴문자체계>

А, Б, В, Г, Д, Е, Ё, Ж, З, Й, К, Л,
(러시아어 키릴문자와)
М, Н, П, Р, С, Т, Ф, Х, Ц, Ч, Ш, Щ,
같은 자소 & 같은 발음
Ы, Э, Ю, Я

같은 자소 & 다른 발음 И, О, У

다른 자소 Ə, Ғ, Қ, Ң, Ɵ, Ұ, Ү, Һ, I

3) 키르기스어 키릴문자체계

키르기스어의 자소는 총 36개로 러시아어 키릴자모 33자에 Ң [ŋ], Ɵ [ø], Ү [y] 라는 3개


의 자소만 덧붙여졌다. 이는 우즈벡어에 4개의 자소, 카자흐어에 9개의 자소가 추가된 것과 비
교해 볼 때 가장 적은 수이다. 또한 우즈벡어와 카자흐어와는 달리, 러시아어 키릴자모와 다른
음가를 가지는 자소도 없다. 문자의 구성이나 음가만 놓고 봤을 때, 키르기스어 문자체계가 우
즈벡, 카자흐어와 비교하면 러시아어 키릴문자체계에서 변형이 가장 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중앙아시아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 비교연구 267

<표4. 러시아어와 비교한 키르기스어 키릴문자체계>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러시아어 키릴문자와)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같은 자소 & 같은 발음
Ч, Ш, Щ, Ы, Э, Ю, Я

같은 자소 & 다른 발음 없음

다른 자소 Ң, Ɵ, Ү

마지막으로 문자의 배열순서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카자흐어와 키르기스어의 문자배열 순서


는 러시아어와 동일하되 추가된 자소의 위치는 음성적으로 유사한 자소와 나란히 위치되어 있
다. 예를 들어 카자흐어에서 자소 Ғ는 조음방법이 같고 조음위치가 인접한 자소 Г 다음에 나
온다. 하지만 우즈벡어에서 자소 Ғ 는 문자배열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Э, Ю, Я 가 모두 끝난 다음에 Ў, Қ, Ғ,
Ҳ 순으로 등장하면서 문자배열이 완료된다.5) 이 문자배열은 사전의 어휘배열 및 문자와 관련된
그 사회의 모든 순서를 결정한다. 왜 우즈벡어에서만 우즈벡어에 고유한 자소를 따로 모아 위치
시켰을까?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한지 얼마 되지 않아 라틴문자로 표기법을 전환했기에, 키릴문자
체계는 우즈벡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던 것이므로 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
아어의 키릴 문자 배열방식이 일반적으로 그러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비슷한 시기
에 라틴문자로 표기법을 전환한 투르크메니스탄의 키릴문자 배열 순서는 어떠했을까? Omniglot
(http://www.omniglot.com/writing/turkmen.htm)을 보면,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에서 사용하던 투르크멘어 키릴문자 배열도 현대 카자흐어나 키르기스어의 배열과 동일한 방식
을 썼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중앙아시아 내 투르크 언어 가운데에서 독특한 문자배열
방식을 사용하고, 러시아어 키릴문자체계에서 그 나라 언어에 필요 없는 자소를 (과감히!) 삭제
한 국가는 우즈베키스탄이 유일하다. 이러한 사실의 이유를 찾으려면 언어학적인 탐색보다는 역
사, 사회, 정치적인 배경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2.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의 음운체계와 문자표기

이번에는 자소 구성의 외형적인 비교가 아닌 각 언어의 음운체계, 즉 음소목록과 이 음소가


어떤 자소로 구현되는지 살펴보려 한다. 음소는 단어의 의미를 구별할 수 있는 최소단위이다.
가장 쉽고 효과적인 의미변별을 위해서는 음소와 자소의 일대일 대응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일대일 대응이 아니더라도 한정된 자소로 의미변별을 위해 정자법 규칙을 만들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텍스트의 맥락으로 의미파악을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번 장에서는 언어학적
측면에서 우즈벡, 카자흐, 키르기스어의 음소와 자소간 연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5) Исматыллаев (1991), http://www.omniglot.com/writing/uzbek.htm 등을 참조.


268 중앙아시아의 세계화 : 발전과 전망

1) 우즈벡어의 음운체계

<표5, 6>에서 보면 우즈벡어의 모음음소는 6개, 자음음소는 24개로 제시되어있다. 음소표기 /


/의 우측 괄호 안에는 해당 음소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자소가 제시되어 있다. 해당 음소와 해
당 자소가 음성/음운/형태적인 환경에 따라 대응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음소목록 또한 학자
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굳이 본 논문에서 음소와 자소를 대응시키는 이유는 어떠한 자
소가 한 언어의 음소체계에서 배제되어 그 언어체계에 이질적인 자소로 간주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표5. 우즈벡어 모음음소>

전설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i/ (И) /u/ (У)

/e/ (Е, Э) /o/ (Ў)


중저모음
/æ/ (А) /ɔ/ (О)

<표5>의 우즈벡어 모음음소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다른 투르크어계 중앙아시아어들과 달리


전설 원순,후설 비원순 모음음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리하여 모음음소의 개수가 카
자흐어(9개), 키르기스어(16개)에 비해 적다. 또한 학자에 따라 중저모음의 /æ/, /ɔ/ 를 저모음
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구분은 모음음소의 개수에 변화를 주는 것은 아니므로 본 논문
에서는 중모음과 저모음의 구분을 굳이 하지 않았다.
표5의 모음음소 목록과 자소를 대응해보면 자소 Ё, Ю, Я 는 [jo], [ju], [ja] 라는 반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우즈벡어의 모음음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Исматыллаев(1991:23)은
자소 Ё, Ю, Я 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우즈벡어에서 각각 ЙО, ЙУ, ЙА 대신에
쓰인다고 밝히고 있다.6) 자소 Е 도 자음 사이에서는 음소 /e/ 이나, 이외의 환경에서는 ЙЭ
의 조합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беш '다섯' 의 모음은 음소 /e/ 인 /beš/ 로 표기되지만,
елка '어깨' 는 /jelka/ 가 된다. 마지막으로 모음의 장단은 의미에 변별을 주지 않으므로 음
소체계에서 제외되었는데, 만일 어떤 모음이 음성적으로 장음이면 우즈벡어에서는 장음표시로
Ъ 를 사용한다. 우즈벡어에서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어휘에서는 Ъ 가 자음 뒤에서 경자음 표시
부호로 사용되지만, 우즈벡 고유 어휘에서는 Ъ 가 모음 뒤에서 баъан [ba:zan] '가끔', а
ъло [a:lo] '뛰어난' 의 예에서처럼 장음표시부호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는 러시아어에서 차용
된 부호에 우즈벡어식 용법을 첨가하였고, 그 부호의 분포도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어휘는 자음
뒤, 우즈벡 고유어휘에서는 모음 뒤로 상보적 분포를 이루어 기호 사용법이 정착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반면에 연음부호 Ь 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어휘에서만 등장한다. 정리하자면, 우즈벡

6) 자소 Ё, Ю, Я 가 사용된 단어는 우즈벡어에서 예를 들어 ёмон (=йомон) '나쁜', юрак (=йурак) '심


장', ягона(=йагона) '단일한' 등 이 있다.
중앙아시아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 비교연구 269

어 모음음소 목록과 자소 간 연결을 바탕으로 자소 Ё, Ю, Я 는 우즈벡어에서 이질적인 것이


다. 또한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기호인 Ь 와 Ъ 중에서 Ъ 는 장음표시부호로 러시아어에서는
없던 우즈벡어적인 특성이 추가되었다.

<표6. 우즈벡어 자음음소>


양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p/, /b/ /t/, /d/ /k/, /g/ /q/
파열음
(П, Б) (Т, Д) (К, Г) (Қ)
/č/, /dž/
파찰음
(Ч, Ж)
/f/ /s/, /z/ /š/ /ž/ /x/, / ɣ/ /h/
마찰음
(Ф) (С, З) (Ш, Ж) (Х, Ғ) (Ҳ)
/m/ /n/ /ŋ/
비음
(М) (Н) (НГ)
/l/, /r/
유음
(Л, Р)
/w/ /j/
활음
(В) (Й)

표6의 우즈벡어 자음음소에 일반적으로 대응되는 자음 목록을 살펴보면 자소 Ц 가 누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Исматыллаев(1991:24) 도 Ц 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어휘에서
만 쓰이며 심지어 우즈벡어 구어체에서는 예를 들어 процент, центнер 의 Ц 의
발음도 [ts] 가 아닌 [s] 로 대체하여 [prosent], [sentner] 로 발음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는
우즈벡 화자들이 [ts]가 우즈벡어의 고유한 음운체계에 속하지 않음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
고 생각한다. 그리고 자소 Ж는 우즈벡어 고유어휘에서는 음소 /dž/ 로, 러시아어 차용어휘에서
는 음소 /ž/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어휘인 журнал 의 Ж 는
[Ʒurnal], 즉 /žurnal/ 로 우즈벡어 고유어휘인 жадал '빠른'의 Ж 는 [dƷadal], 즉 /džadal/
로 표기된다. 마지막으로 키릴문자 두개로 하나의 음소를 나타내는 НГ /ŋ/ 이 있는데, 자소
와 음소의 일대일 대응을 위해 음소 /ŋ/ 을 위한 자소를 따로 만드는 것이 아닌, 이미 존재하
는 자소를 결합시켜 새로운 음소표기를 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덧붙여 카자흐어, 키르기스어와는 달리 우즈벡어는 /f/ 나 /χ/ 가 우즈벡어 고유의 음소로
간주되며, 투르크어계 언어의 일반적인 특성인 모음조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대해
Pereltsvaig(2012:104)은 우즈벡어가 다른 투르크계 언어와는 달리 일찍이 이란어의 영향을 많
이 받아 많은 아랍어휘들이 우즈벡어에 차용되었고 이란어 음소들이 우즈벡어에 자연스럽게 동
화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란어 어휘나 음소들은 우즈벡어 언어체계에 이질적인 것이 아
니지만, 러시아어에 고유한 음소들은 아직도 우즈벡어 언어체계에 속하지 못하고 있다. 우즈벡
어 음소 목록 변화 추이는 러시아어에 대한 우즈벡어 언어정책, 우즈벡인들의 언어태도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270 중앙아시아의 세계화 : 발전과 전망

2) 카자흐어의 음운체계

카자흐어 모음음소의 수는 총 9개, 자음음소의 수는 총 21개로 우즈벡어의 모음음소보다는


많고, 자음음소보다는 적다. 카자흐어의 모음음소는 우즈벡어에는 없는 원순, 비원순의 쌍이 존
재하며, 카자흐어에 고유한 음소 표기를 위해 모음자소를 5개(Ə, Ɵ, Ұ, Ү, I) 더 추가했다. 그
결과 원래 러시아어 모음 자소인 И, У, Ё, Э, Ю, Я 는 카자흐어의 모음 음소를 표기하기
보다는 각각 И [ɪj], Ё [jo], Ю [ju], Я [ja] 로 반자음과 모음의 복합된 음가를 나타내고, 자
소 У 는 반자음 [w] 의 음가를 가진다.

<표7. 카자흐어 모음음소>

전설모음 후설모음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고모음 /i/ (I) /ü/ (Ү) /ɨ/ (Ы) /u/ (Ұ)

중모음 /e/(Е) /ö/ (Ɵ) /o/(О)

저모음 /ä/ (Ə) /a/ (А)

<표8>의 카자흐어 자음음소 목록을 보면, 우즈벡어, 키르기스어와는 달리 파찰음이 없다. 러


시아어에서 파찰음을 나타내는 자소 Ч, 그리고 Ц, Щ, 순치음 В, Ф 는 카자흐어 자음음소 목
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카자흐어 문자체계에서 경, 연음부호 Ъ 과 Ь 는 러시아어에서 차용
된 외래어에서만 사용된다.

<표8. 카자흐어 자음음소>

양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p/, /b/ /t/, /d/ /k/, /g/ (/q/, /G/)


파열음
(П, Б) (Т, Д) (К, Г) (Ғ, Қ)

/s/, /z/ /š/,/ž/ (/χ/) (/h/)


마찰음
(С, З) (Ш, Ж) (Х) (Һ)

/m/ /n/ /ŋ/


비음
(М) (Н) (Ң)

/l/, /r/
유음
(Л, Р)

/w/ /j/
활음
(У) (Й)
중앙아시아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 비교연구 271

하지만 카자흐어의 모음, 자음음소 목록에 대한 학자 사이의 이견이 큰 것도 사실이다. Ша


рипбаев & Бекманова (2008:42)에 따르면 카자흐어는 모음음소 9개(<표 7>과
동일한 목록), 자음음소 17개로 <표8>에 있는 구개수음과 성문음 내의 4개의 음소가 모두 목록
에서 제외되어 있다. 심지어 Radlov 는 카자흐어의모음음소는 /a/, /o/, /ы/, /е/, /ұ/ 로 총
5개뿐이라고 주장한다(Badanwekkyzy & Yeshimbetova 2014:96). 그리하여 모음음소의 갯수는
학자마다 5개에서 반자음+모음도 포함하여 12개로 그 주장이 다양하다. 카자흐어의 자음음소
목록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여, 그 수도 17개에서 구개수음, 성문음, /v/, /f/ 등을 포함하여
26개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Badanwekkyzy & Yeshimbetova 2014). 즉 어느 범위까지 카
자흐어의 어휘라고 간주하고 어디서부터 외래어, 외국어 어휘라고 간주하느냐에 따라 음소목록
이 변하는 것이다. 언어체계라는 것도 단순히 언어 내적인 분석으로만 성립되는 것이 아닐 수
도 있으며 언어 외적인 영향을 차단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3) 키르기스어의 음운체계

키르기스어의 모음음소는 14개에서 16개로 다른 투르크어에 비해 월등히 많다. 모음이 발달


한 대신 자음음소의 개수는 우즈벡, 카자흐어에 비해 17개에서 20개로 가장 적은 편이다. <표
9>에서 보듯 키르기스어는 모음의 장단이 어휘 의미를 변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전설
성], [±원순성], [±고모음] [±저모음] 에 따른 대립쌍이 존재하므로 키르기스어의 모음음소는
/a/, /i/, /u/, /e/, /o/로 5개에 불과한 러시아어 모음음소의 3배 이상이 된다.

<표9. 키르기스어 모음음소>

전설모음 후설모음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i/, /ii/ /ü/, /üü/ /ɨ/, /ɨ ɨ/ /u/, /uu/


고모음
(И),(ИИ) (Ү), (ҮҮ) (Ы), (ЫЫ) (У), (УУ)

/e/, /ee/ /ö/, /öö/ /o/, /oo/


중모음
(Е, Э),(ЕЕ, ЭЭ) (Ɵ), (ƟƟ) (О), (ОО)

/a/, /aa/
저모음
(А), (АА)

키르기스어의 모음체계에서 모음음소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자소는 Ё, Ю, Я 이며 이들은


[jo], [ju], [ja] 로 해당 반자음+모음이 결합할 경우 ЙО, ЙУ, ИА 대신 사용한다. 또한 어두
에 나오는 /e/ 는 Э 로 나머지 위치에서는 Е 로 쓴다. 즉 키르기스어 고유 어휘에서는 Э 와
Е 가 정자법 상의 위치 구별 역할만 할 뿐이다. 그리고 카자흐어에서처럼 경, 연음부호 Ъ 과
Ь 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서만 사용된다.
272 중앙아시아의 세계화 : 발전과 전망

<표10. 키르기스어 자음음소>


양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파열음 /p/, /b/ /t/, /d/ /k/, /g/ (/q/, /G/)
(П, Б) (Т, Д) (К, Г) (К, Г)
/č/, /dž/
파찰음 (Ч, Ж)
/s/, /z/ /š/ (/χ/)
마찰음 (С, З) (Ш) (Х)
/m/ /n/ /ŋ/
비음
(М) (Н) (Ң)
/l/, /r/
유음
(Л, Р)
활음 /j/
(Й)

<표10>에서 자소 В, Ф, Ц, Ч, Щ 가 빠져 있다. 그리고 구개수음 음소인 К /q/ 와 Г


/G/ 는 전설모음 앞에서만, 연구개음 음소인 К /k/ 와 Г /g/ 는 후설모음 앞에서만 실현되어
상보적 분포를 이루므로 이 구개수음과 연구개음은 각각 독립된 음소가 아닌 변이음 관계에 있
는 것으로 보는 것이 알맞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카자흐어, 우즈벡어와 달리 구개수음 /q/ 을
위한 자소(예를 들어 Қ)가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본다.
한편, 카라(Kara 2004:11)는 키르기스의 자음음소 개수는 구개수음과 순치음 등을 제외한 17
개라고 주장하면서 그 이유로 /f/, /v/, /ts/, /χ/ 등은 오직 아라비아, 페르시아, 러시아어 등에
서 차용된 어휘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taryx '역사'는 아랍어에서 차용된
어휘이므로 음소 /χ/가 쓰인 것이지 키르기스 고유 어휘에서는 그 음소가 쓰이지 않는다는 것
이다. 그러나 현재 키르기스어에서 ‘역사’라는 단어는 taryx 이지 키르기스 고유의 어휘가 따로
쓰이고 있지 않다. 그렇다면 음소 /χ/는 현대 키르기스어 자음음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아닌가? 여기에서도 언어학자들의 언어 외적인 역사, 문화, 정치적인 이해관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3. 문자표기와 정치, 사회적 상황과의 관계

피셔(2010:14)에 따르면 문자체계는 자연적인 경로를 거치면서 저절로 변하지 않고 대신에


일정한 수의 구체적인 목표를 이루려는 인간에 의해 의도적으로 더욱 정교해지거나 변화를 겪
는다고 한다. 그런데 피셔가 언급한 '구체적인 목표'가 언어적 효율성을 위한 목표인지 정치, 종
교, 문화 등의 언어 외적 효율성을 위한 목표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다. 달리 생각하면 언어내
적, 외적 효율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우즈벡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키릴문자 표기체계에서 언어 내적인 효율성
이 발견된다. 우즈벡어의 경우 우즈벡어에서 이질적인 자소 Щ [ʃʃ], Ы [ɨ] 가 우즈벡 문자체계
에서 빠졌으며, 경음부호 Ъ 를 장음표시 기호로 사용하는 경제성도 나타난다. 키르기스어에서
도 상보적 분포를 보이는 연구개음 /k/와 구개수음 /q/ 가 하나의 자소를 공유하도록 하는 경
제성이 보인다. 우즈벡어, 키르기스어, 카자흐어 중에서 카자흐어가 음소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자소의 수가 가장 많다. 사실 지금까지도 카자흐스탄 내에서 키릴문자에서 라틴문자로 표기전환
중앙아시아어의 키릴문자 표기체계 비교연구 273

을 하자는 주장이 많이 나온다. 라틴문자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로 정치, 경제적인 점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언어 내적인 필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Исхан & Даутова (2014:139)
에 따르면, 현재 키릴문자는 카자흐어 표기에 필요 없는 자소가 너무 많은데, 모음의 경우 카자
흐어에 고유한 모음조화 현상에 예외적인 모음 자소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불
필요한 자소 때문에 카자흐어 정자법 규칙이 복잡해졌다라고 비판하고 있다. 카자흐 언론에서도
새로운 문자체계는 카자흐어 음소에 자소가 일대일 대응되어야 하고 쓰기에 간편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7)
라틴문자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카자흐스탄이 독립된 후부터 계속되어 왔고 현재에도 논란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카자흐어가 라틴문자로 전환이 되지 않는 이유는 정치, 경제적인 이유
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카자흐스탄은 유라시아 경제연합(EEU) 가입국으로 러시아와 정치, 경
제적으로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키르기스스탄도 역시 EEU 가입국으로 러시아에 경제적
인 의존을 할 수 밖에 없는 약소국이다. 공교롭게도 이 두 나라의 키릴문자 체계에는 러시아어
키릴문자 체계가 그대로 보존되어 러시아어 표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되어 있으며, 일찍이
라틴문자로 전환한 우즈벡어의 키릴문자 체계는 문자 배열 및 목록 구성에 있어 우즈벡어만의
독자성이 나타난다. 즉, 한 언어의 문자체계는 언어 내적, 외적 상황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앞으로 중앙아시아어의 음성, 음운학적인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
의 역사, 정치, 경제적인 상황의 이해가 동반되어야 우즈벡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문자체계가
어떻게 개량되고 변화하며 경제, 정치, 종교, 문화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될 것인지 예측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다음 연구를 위한 야심찬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보라(2015). “키르기스어 표기체계 및 외래어에 나타나는 러시아어적 요소와 언어정체


성”. 슬라브학보 30:2, 49-66.
유승만(2009). “우즈벡어의 언어위상 변화와 우즈베키스탄 내 소수 민족어 문제”. 러시아
연구 12:1, 93-118.
정경택(2011). “중앙아시아 5개국의 정체성모색: 역사적 기원과 문자 전환을 중심으로”.
슬라브연구 27:4, 217-244.
피셔, 스티븐(2010). 문자의 역사. 박수철 역. 21세기북스.

Bakytbek Tokubek uulu (2009). Learn the Kyrgyz Language. Bishkek.


Fierman, W. 2009. “Identity, Symbolism, and the Politics of Language in Central Asia”,
Europe-Asia Studies. 61: 1207-1228. DOI: 10.1080/09668130903068731
Hamilton, William (1980). Introduction to Russian Phonology and Word Structure. Slavica.
Kara, David Somfai (2003). Kyrgyz. Lincom Europa.
Kim, Sang-cheol (2015). The gap between social requirements of language ability and official
language policy in 'Republic of Uzbekistan' and 'Kyrgyz Republic'.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Unpublished.

7) http://www.centrasia.ru/newsA.php?st=1360818540 , http://azh.kz/en/news/view/1246 등 참조.


274 중앙아시아의 세계화 : 발전과 전망

Landau, Jacob & Kellner-Heinkele, Barbara (2012). Language Politics in Contemporary Central
Asia: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and the Soviet Legacy London. I.B. Tauris.
Pereltsvaig, Asya (2012).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llisch, H. H. (1978). The conversion of scripts: its nature, history and utilization. New
York: Wiley.
Badanwekkyzy, Zaure & Yeshimbetova, Zabira (2014). INVENTORY OF PHONEMES IN
KAZAKH LANGUAG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Humanities, Arts and Literature 2:
95-102.

Бектурова, А. Ш. & Бектуров, Ш. К. (2004). Казахский язык для всех. Алматы:Атамұра.


Исматыллаев, Х. Х. (1991). Самоучитель Узбекского языка. Тошкент: Ўкитувчи.
Исхан Б.Ж., Даутова С.Б., Оспанова Б.Р (2014). Языковая политика и казахский алфа
вит. Advances in Current Nautral Sciences 9:136-140.
Шарипбаев, А. А. & Бекманова, Г. Т. (2008). Формализация фонологических законо
мерностей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а. Вестник НАН РК 6:42-49.

https://www.internationalphoneticassociation.org/content/ipa-chart (검색일 2015. 12. 08)


http://www.languagesgulper.com/eng/Kazakh.html (검색일 2015. 12. 07)
http://www.languagesgulper.com/eng/Uzbek.html (검색일 2015. 12. 07)
http://www.omniglot.com/writing/uzbek.htm (검색일 2015. 12. 08)
http://www.omniglot.com/writing/turkmen.htm (검색일 2015. 12. 08)
http://www.centrasia.ru/newsA.php?st=1360818540 (검색일 2015. 12. 10)
http://azh.kz/en/news/view/1246 (검색일 2015. 12. 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