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9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석사학위논문

K-pop의 현 주소와
미래 발전성에 대한 연구
- 일본, 중국의 K-pop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한
미국, 유럽 시장의 K-pop 진출 전략 -

지도교수 이우창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학과

조 규 현

2016년 2월
석사학위논문

K-pop의 현 주소와
미래 발전성에 대한 연구
- 일본, 중국의 K-pop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한
미국, 유럽 시장의 K-pop 진출 전략 -

지도교수 이우창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학과

조 규 현

2016년 2월
K-pop의 현 주소와
미래 발전성에 대한 연구
- 일본, 중국의 K-pop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한
미국, 유럽 시장의 K-pop 진출 전략 -

지도교수 이우창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학과

조 규 현

2016년 2월
조규현의 음악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심교수 임 달 균 ○

부심교수 이 우 창 ○

부심교수 미 하 엘 ○

부심교수 한 경 훈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년 2월
<목 차>

ABSTRACT ······························ ⅵ

Ⅰ. 서 론 ······························ 1
1.1. 연구의 배경 ··························· 2
1.2. 문제 제기 ···························· 2
1.3. 연구 목적 ···························· 2
1.4. 연구 범위 ···························· 2
1.5. 연구의 흐름도 ·························· 3

Ⅱ. 이 론 적 배 경 ··························· 4
2.1. 한류와 K-POP 의 개념 ······················ 4
2.1.1. 한류의 개념 ·························· 4
2.1.2. K-POP 의 정의 ························ 5
2.1.3. 한류와 K-POP 의 역사 ···················· 6

2.2. 한류 속 K-POP ························· 8


2.2.1. 한류 속 K-POP 의 비중과 경제적 효과 ············· 8

Ⅲ. 조 사 내 용 ···························· 11
3.1. 중국에서의 K-POP ······················· 11
3.1.1. 중국 음악 시장 추이와 전망 ················· 11
3.1.2. K-POP 의 중국 시장 진출 현황················ 12
3.1.3. 중국 음악 시장 성공 전략 ·················· 15

I
3.2. 일본에서의 K-POP ······················· 17
3.1.1. 중국 음악 시장 추이와 전망 ················· 17
3.2.2. K-POP 의 일본 시장 진출 현황················ 18
3.2.3. 일본 음악 시장 성공 전략 ·················· 21

3.3. K-POP 의 아시아 진출 성공 전략 ················ 24


3.3.1. 분석 개요 ·························· 24
3.3.2. 생산자 ··························· 25
3.3.3. 전달 방식 ·························· 28
3.3.4. 콘텐츠 ··························· 32
3.3.5. 소비자 ··························· 33

3.4. 미국과 유럽에서의 K-POP ··················· 34


3.4.1. 미국에서의 K-POP 진출 사례 ················ 34
3.4.2. K-POP 의 미국 진출 성공과 실패 요인 ············ 38
3.4.3 유럽에서의 K-POP 진출 사례 ················ 40
3.4.4. K-POP 의 유럽 진출 성공과 실패 요인 ············ 42

Ⅳ. 연 구 결 과 ···························· 44
4.1. 미국, 유럽 시장에서 K-POP 의 한계점. ·············· 44
4.1.1. 획일화된 음악 ························ 44
4.1.2. K-POP 의 특색 부족····················· 45
4.1.3. 짙은 상업성과 체계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부족 ········· 46

4.2. 중국, 일본의 성공 사례에서 보는 시사점 ············· 47


4.2.1 소셜 미디어의 적극적인 활용 ················· 48
4.2.2. 음악성과 퍼포먼스 ······················ 49

II
4.2.3. 현지 문화에의 이해와 철저한 준비 ·············· 50

4.3. 미국, 유럽 진출 전략을 위한 제언 ················ 51


4.3.1. K-POP 콘텐츠의 개성 수립 ················· 51
4.3.2 체계적인 현지화 전략 수립 ·················· 53

Ⅴ. 결 론 ····························· 54
5.1 결론 요약 ··························· 54
5.2 한계점 ····························· 55

Ⅵ. 참 고 문 헌 ···························· 56

III
<표 차 례>

<표 1> 한류의 발전 단계 ························· 6


<표 2> 2010 년 분야 별 한류 지수 ···················· 9
<표 3> 한국 콘텐츠 산업 규모 ····················· 10
<표 4> 한국 콘텐츠 산업 수출 추이 ··················· 11
<표 5> 중국 음악 시장 규모 및 전망 ·················· 12
<표 6> 주요 한류 콘텐츠의 중국 수출액 추이 ·············· 12
<표 7> 국내 가수의 주요 중국 공연 현황 ················ 14
<표 8> K-POP 아이돌의 일본 진출 역사 ················ 20
<표 9> K-POP 과 J-POP 아이돌 비교 ················· 23
<표 10> 다국적 창작 작업의 예시 ···················· 27
<표 11> 한류 패러다임의 변화 ····················· 28
<표 12> 유튜브를 통해 살펴본 전 세계 K-POP 소비자의 인구학적 특성 34
<표 13> 다중 회귀 분석과 ISA 비교를 통한 K-POP 의 국가별 중요도-만족도 50

IV
<그 림 차 례>

<그림 1> 흐 름 도···························· 3


<그림 2> K-POP 한류 지수 추이···················· 10
<그림 3> 한국 연예인의 바이두 회원 수 현황 ·············· 16
<그림 4> 음반 비중이 절대적인 일본 음악 시장 ············· 18
<그림 5> 일본 음악 시장 전망 ····················· 19
<그림 6> 아라시와 EXILE ······················· 22
<그림 7> K-POP 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 24
<그림 8> 아티스트 제작의 4 단계 ···················· 25
<그림 9> 아티스트 트레이닝의 과정··················· 26
<그림 10> 전 세계 K-POP 유튜브 동영상 조회 수 ··········· 30
<그림 11> K-POP 콘텐츠의 경쟁력 ·················· 32
<그림 12> 복고 콘셉트의 음악과 의상을 바탕으로 미국에 진출한 원더걸스 35
<그림 13> 미국과 유럽에서 싸이 ‘강남 스타일’의 성공 ·········· 37
<그림 14> 프랑스에서 공연 연장을 요구하는 K-POP 팬 ········· 41
<그림 15> K-POP 열풍을 소개하는 프랑스 일간지 ··········· 42

V
<ABSTRACT>

K-pop 의 현 주소와
미래 발전성에 대한 연구
일본, 중국의 K-pop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한
미국, 유럽 시장의 K-pop 진출 전략

조규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학과
지도교수: 이우창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K-POP 의 열풍에 힘입어,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 미국으로 지평을 넓여가고 있는 K-POP 의 세계화 전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에 K-POP 이 중국,
일본에서 성공적으로 진출했던 전략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K-
POP 이 향후 미국과 유럽으로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효과적인 전략을 분석하였다.
중국, 일본에서 K-POP 의 성공 요인은 생산자(기획사의 체계적인 제작시스템),
전달방식(소셜 미디어의 적극 활용), 소비자(IT 에 친숙한 능동적 소비자), 콘텐츠(노래,
안무, 비주얼 완비)로 분석된다. 반면, 현재 K-POP 이 기반을 넓혀가고 있는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는 획일화 된음악과 K-POP 의 특색 부족, 짙은 상업성과 체계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중국, 일본의 성공 사례에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중국, 일본 시장의 성공 사례를 보았을 때, K-POP 은 1) 소셜 미디어의 적극적 활용과
2)음악성, 퍼포먼스, 3 현지 문화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통해 미국 시장과 유럽 시장에
진출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K-
POP 컨텐츠 자체에 개성을 수립하는 것과, 체계적인 민, 관의 현지화 전략이 뒷받침
되어야 하겠다.

VI
Ⅰ. 서 론

1.1. 연구의 배경

현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 대중음악은 1990년대부터K-POP


으로 불리며 한류 콘텐츠의 핵심이 되고 있다. 중국을 시작으로 일본, 대만 등 동남
아시아로부터 시작한 K-POP과 한류 열풍은 한국 아이돌 그룹들의 진출이 지속적으
로 확산되면서 더욱 그 위상을 높이고 있다.
이제 다수의 동남아시아의 청소년은 한국 음악을 들으며, 한국의 연예인의 팬이 되
는 것에 익숙하다. 특히 2000년 대 이후 최근에는 K-POP의 인기가 아시아를 넘어
미국, 남미, 유럽 등 문화 콘텐츠의 주요 국가에 퍼지고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의 경
제적, 사회적으로도 다양한 잠재성과 어마어마한 파급력을 지닌 기회로 인식되고 있
다.
K-POP이 지닌 초국가적 파급력은 문화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이며, 정부와 기업에서도 많은 투자와 지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실제로 동남아시아에서 꾸준한 인기를 구축한 K-POP과 한류효과는 문화 콘텐츠
의 수출로 산업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수출 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
개선, 관광 산업, 관련 부가 산업 등 한국의 대중문화를 하나의 대외 상품으로 자리
잡게 한 원동력이 되었다. 정부 역시도 문화 산업을 21세기의 핵심 육성 산업으로 지
정할 만큼 여러 정책적 지원을 통해 K-POP의 열풍의 파급력을 더욱 확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0년대 이후부터 K-POP열풍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 미국, 중남미로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므로, 새로운 시장에서 도래한 K-POP의 기회를 통해, 문화 콘텐츠가 가
진 잠재력을 다양한 산업 분야에 파급할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
었다고 볼 수 있다.

-1-
1.2. 문제 제기

아시아 국가를 넘어, 최근 유럽과 미국 등에 확산되기 시작한 K-POP의 인기는 그


실체와 정량적 효과에 대한 의문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과연 K-POP의
인기가 비 아시아 국가에서 잠재력과 파급력을 가질 수 있을 만큼 정말로 유의미한 내
용인지에 대한 논란도 많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 사례로 꼽히는 중국,
일본 아시아 국가에서의 K-POP 인기와 그 원인을 분석하고, 근래 K-POP이 확산되
기 시작한 유럽과 미국의 K-POP 인기의 현황을 실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3. 연구 목적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각 국가에서의 K-POP 현황 파악을 바탕으로, 기존 성


공 사례에서의 벤치마킹을 통해 이제 성장 단계에 있는 비 아시아 국가에서의 K-POP
열풍을 보다 더 성공적인 효과로 이끌 수 있는 전략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1.4. 연구 범위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부터 K-POP 열풍이 시작되어, 이제 그 파급효과가 가시적


으로 나타나고 있는 아시아 국가 중 중국과 일본을 성공 사례로 분석하였으며, 그와는
다르게 K-POP 열풍이 새로이 일고 있는 국가 중 유럽의 일부 국가와 미국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여러 갈래의 선행연구 결과 및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를 분석
하였으며, K-POP과 한류에 대한 각 공공 및 통계조사 기관의 분석 자료와 기존의 논
문과 보고서 및 신문기사와 잡지를 주요 자료원으로 삼았다.

-2-
1.5. 연구의 흐름도

그림 1. 흐름도

-3-
Ⅱ. 이론적 배경

2.1. 한류와 K-POP의 개념

2.1.1. 한류의 개념

한류(韓流, Korean Wave)는 아시아 여러 국가들에서 시작된 한국 문화에 대한 열


풍을 의미한다. 1996년 드라마를 시작으로 중국에 수출되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는
1998년부터 가요 쪽으로까지 수출되어 그 범위가 확대 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대중
문화 상품을 접한 외국인들이 한국의 대중문화에 열광하고 동경하며 배우려는 문화현상
인 ‘한류’1는 이제 중국과 대만, 베트남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가요, TV드라마,
영화 등에 대한 관심과 선호가 증가하는 사회 문화적 현상으로 정의되고 있다. 특히
2000년 이후에는 TV드라마, 대중가요, 영화 등의 한국 대중문화와 더불어 김치, 고추
장, 라면, 가전제품 등 한국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까지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을 포괄하는 의미를 ‘한류’라고 정의하고 있다.2
현재 한류는 일시적인 대중문화의 유행에서 벗어나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 그리고
일본에서 문화의 한 장르로 구분되어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현상은 직
접, 간접적인 가시적 성과뿐만 아니라 한국이라는 국가 브랜드의 이미지 상승에 기여하
여 민간외교의 역할로도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한류의 확산은 주요 대상국
인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서 한국이미지 및 한국상품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효과를 거
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관광수입의 증가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 및 문화
파생상품 수출 증대에 따른 한국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함으로써, 한국 상품 수출
증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즉, 한류는 드라마와 영화 등 한국대중문화 선호

1
김성섭․김미주(2009),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 방문의
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4),101-125.
2
조성아(2010), “한류가 한국의 수출과 FDI에 끼치는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4-
현상에 그치지 않고, 관광부분의 수입증가, 드라마나 영화의 OST, DVD, 서적 등과 탤
런트들의 CF출연, 각종 이벤트에 따른 부가 수입의 증가와 함께 한국 및 한국기업 이
미지 제고에 따른 한국 상품 구매 증가와 한국의 일반상품 수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
을 주고 있는 것이다.

2.1.2. K-POP의 정의

K-POP은 한류 중에서도 한국의 대중 음악을 중심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한류의 확산을 주도하고 있는 장르로서, 특정 지역에 머물러 있었던 한류


를 전 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문화로 발전시키는 매개체가 되기도
하였다.
K-POP은 Korean Popular Music을 뜻하며 영미권의 대중음악을 팝음악, 즉
‘popular music’ 또는 ‘pop song’으로 부르는 데 기인하여, J-Pop, 중국은 C-
Pop, 태국은 T-Pop 등으로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가 이니셜을 붙이는 것에서 발
생했다.
그러나 아직 K-POP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의는 없다. 한국어로 만들어진 음악, 한국
인이 부르거나 연주하는 음악, 한국인이 작사, 작곡한 음악, 한국의 기업이 투자, 제작
한 음악 등의 요건을 내세워서 케이팝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기에는 애매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2PM의 닉쿤, 씨스타의 지아와 페이, 에프엑스의 빅토리아 등은 한국
에서 한국 기획사 소속으로 한국어로 노래하며 활동 중이며, 최근 소녀시대의 앨범에는
린디 로빈스(Lindy Robbins), 브렌트 패슈키(Brent Paschke), 켄지(Kenzie) 등 해외
뮤지션들이 참여했다. 또한 한국의 기획사에 해외자본이 유입된 경우도 많고, 해외 음
악회사의 국내지사 또는 제휴로 소개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K-POP이란 외국에서 한국의 대중음악을 구분하기 위해 산업적으로 생산된
단어이지만, 현재 한국의 음악산업을 통하여 생산, 소비되는 문화를 총칭하고,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화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국제적 고유명사로 정의되고 있다.3

3
신현준(2005), “케이팝의 문화정치학: 월경하는 대중음악에 관한 하나의 사례연구”, 언론과 사회,
-5-
2.1.3. 한류와 K-POP의 역사

2009년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1997년부터 중국에서 시작된 한류를 시기별로 3단계
로 구분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수 있으며4, 각 단계별 특징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1. 한류의 발전 단계5

1997년부터 2000년대 초까지는 한류 1기로 한류 콘텐츠가 해외 소비자들에게 처


음 그 이름과 파급력을 전달하고, 해외 인들에게 한국의 문화가 처음으로 접해지는 시
기로 볼 수 있다. 이 당시 드라마인 <사랑이 뭐길래>라는 드라마를 통해 전파된 한국
문화는 중국에서 보지 못했던 자유스러운 생활 환경과 표현방식 등으로 중국 시청자들
에게 신선한 충격과 동경의 효과를 주었다. 이는 드라마뿐만 아니라 한국 가요와 댄스
음악까지 이어졌다. 음악에서는 훨씬 이전인 1987년 발매된 소방차의 1집 ‘어젯밤 이
야기’가 일본에서 큰 히트를 쳤지만 한류라고 부르기에는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였다.
인기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한국가요의 수출 및 배급이 이뤄지지 않았고 K-pop이라

제13권, 제8호, pp.7-36, 2005.


4
고정민(2009),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09, p.30.
5
고정민(2009),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09, p.30.

-6-
는 단어 역시도 사용되지 않았다.
1990년대 말에는 한국 가요가 댄스음악을 중심으로 중국, 대만 등지에서 드라마의
인기를 이어갔으며, 2000년 2월 유명 댄스 그룹 H.O.T.의 베이징 공연은 중국 언론이
‘한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한국 가수의 콘서트에 많은
청소년들이 몰리고, 한국 가요를 소개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는
1990년대 한국의 거대 음반에이전시(Music Agency)의 설립으로부터 그 기인을 찾을
수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바탕으로 K-POP은 본격적으로 세계 시장으로 성장
을 시작하였다.6 뿐만 아니라, NRG, 베이비복스 등과 같은 아이돌 그룹들이 중국과 대
만 등 동남아시아에서 K-POP 열기를 이끌기 시작하면서, 이후 이정현, 신화 등 아이
돌 2세대들이 꾸준히 중화권에서 팬덤을 형성하고 한국 대중 음악은 아시아를 중심으
로 인지도를 넓혀가기 시작하였다.
2000년 초기부터 2000년대 중반은 한류 2기로서, 한류 드라마가 크게 부각되는 시
기였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동남아시아, 중국 등에서 한국 드라마와 가요가 인기
를 끌었으며, 일본에서는 드라마 <겨울연가>를 통해 일본에서 큰 히트를 하면서 한류
붐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드라마 <겨울연가>는 일본의 평범한 중년 여성층에
게 향수를 불러 일으키며, 출연진인 배용준, 최지우의 신드롬을 형성하였으며, 일본에게
한국과 한국인의 이미지를 세련되고 로맨틱한 국가로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겨울연가> 이후에 <대장금>은 중국, 홍콩, 동남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동유럽 등
으로 퍼지면서 한류 붐을 글로벌에 확산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한 이들 국가에 드라
마 자체 뿐만 아니라, 한국 음식의 세계화, 한복의 우수성 등을 부가적인 파급 효과로
전달하여, 하나의 외교 사절로서의 역할을 하는 우수한 콘텐츠가 되었다.
한류 2기는 드라마 전성기라 할 수 있으나 음악 등 여타 콘텐츠의 성과도 높아, K-
POP이 본격적으로 부흥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시기였다. 보아가 일본의 오리콘 차
트에서 여러 차례 1위를 기록했고, 이어서 동방신기는 일본, 중국 등에서 인기를 몰아
갔으며, 비는 해외 공연을 통해 세계적인 스타임을 입증하였다.
이때부터 국내외의 언론에서 Korean Pop의 약자 K-Pop이라는 한국대중가요를 뜻

6
정윤경, 이기태, “이질 문화권 수용자의 한국 영상물 이용과 문화적 근접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경
제와 문화, 제9권, 제4호, pp.141-181, 2011.
-7-
하는 문화용어가 생기었으며 해외에서도 K-POP음악을 소개하는 코너가 MTV등의 유
명 음악 채널에서 등장하였다. 특히 한국 가요에 큰 관심이 없고 현지 진출 전략을 통
해 성공적으로 일본 음악 시장에 진출한 보아를 중심으로 한국 대중음악이 큰 성공 거
둠으로써 한류 중에서도 K-POP의 인지도를 급상승하는 시기가 되었다. 보아의 일본
성공을 계기로 일본은 중국과 함께 케이팝 콘텐츠 소비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로 떠오르
게 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유튜브 등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사이트 등을 통해 아시아를 비
롯하여 K-POP이 유럽과 남미, 중동 지역까지 퍼져나가 전 세계로 한류 열풍을 이어나
갔다.7 동방신기, 빅뱅,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슈퍼주니어, 샤이니 등 아이돌을 중심
으로 전 세계 10~20대 젊은 층의 사람들 사이에서 K-POP의 영향력과 개념이 급속도
로 확장되었고 기존, 영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가 K-POP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시간과 공간의 물리적 제약을 벗어난 인터넷, 모바일 중심의 채널을 통해 2012년 싸
이의 ‘강남스타일’은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의 최대 클릭 수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2.2. 한류 속 K-POP

2.2.1. 한류 속 K-POP의 비중과 경제적 효과

2010년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별 한류지수 8 에서는 음악한류의 지수가 가장 높아


K-POP이 한류 문화를 이끌어 나가는 트렌드라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7
김학선, KPOP세계를 흘리다, 을유문화사, 2012.
8
고정민(2010), “한류지수의 산정 및 경제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8-
표 2. 2010년 분야 별 한류 지수9

해당 연구에 따르면 음악이 107로 가장 높고 게임은 101, 방송은 100으로 현상유지,


영화는 94로 저조하여 2010년부터 이어지고 있는 한류 3기에서는 음악이 한류를 주도
한다고 명명하였다.
2012년 이루어진 또 다른 연구에서 한류의 인기를 계량화한 'K-POP 한류 지수 10 '
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K-POP은 해외에 본격적으로 진출한지 10년 만에 전성기에
도달하였다. 초창기 한류의 정점이던 2004년을 100으로 했을 때, 2011년 'K-POP 한
류지수'는 262로 7년만에 2.6배나 급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열풍은 2015년 현재까
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이제 한류의 주요 콘텐츠가 K-POP일 뿐만 아니라, K-
POP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한국 문화 콘텐츠의 교두보를 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
닐 것이다.

9
고정민(2010), “한류지수의 산정 및 경제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문화교류재단
10
삼성 경제 연구소(2012),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9-
그림 2. K-POP 한류지수 추이

실제로 한국 콘텐츠 규모 자체도 2005년 13억 달러에서 2009년에는 26억 달러로


4년 사이에 두 배로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해 왔으며, 그 속에서도 음악산업
의 수출이 급부상하는 추세이다. 2009년의 경우에는 전년 대비 90%의 성장을 기록하
였으며, 이는 동남아시아와 일본에서 형성되고 있는 신한류의 주역인 아이돌 그룹의 인
기에 힘입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후 2010년 상반기부터 시작된 소녀시대와 카라로
대표되는 걸 그룹의 일본 시장 진출이 2011년에도 지속되었으므로, K-POP팝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크게 하였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표 3. 한국 콘텐츠 산업 규모11

11
문화체육관광부(2010), “2010 콘텐츠산업통계”
- 10 -
표 4. 한국 콘텐츠 산업의 수출 추이12

Ⅲ. 조사 내용

3. 1. 중국에서의 K-POP

3.1.1. 중국 음악 시장 추이와 전망

중국 음악시장은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3 , 2013년 총 음악시장


규모는 7억 1,5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2% 증가하였다. 향후 중국 음악시장은 오프라
인 음반의 감소, 디지털 음원과 공연음악의 높은 성장으로 2018년까지 연평균 8.6%의
성장세를 나타내며 10억 7,8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2
문화체육관광부(2010), “2010 콘텐츠산업통계”, 지식통계부(2010) “연간수출입동향”, 한국콘텐츠
진흥원(2010), “방송콘텐츠 수출입 현황”
13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 11 -
표 5. 중국 음악 시장 규모 및 전망14

한국 콘텐츠의 중국 수출은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K-POP이 붐을 나타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2010년까지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약 35%에 이르고 있다.

표 6. 주요 한류 콘텐츠의 중국 수출액 추이15

3.1.2. K-POP의 중국 시장 진출 현황

중국의 경우, 시장 개방과 경제성장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진 중국인들의 문화적 욕구


에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가 상대적으로 거부감 없이 적시에 공급되면서 사회적, 경제

14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15
한국 콘텐츠 진흥원(2012), “2011 콘텐츠 산업 통계”
- 12 -
적 변화에 맞는 박진감과 감각적 경향이 정서적 측면에 호응을 얻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6 중국에서 한국의 대중 음악에 특히 열광적인 계층을 합한족(哈韓族)이라고 부
르는 데, 주로 중국의 10대∼20대 젊은이들로 한국의 대중 가요를 선호하고 인기 연예
인을 추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그 역사는 1990년 말~2000년대 초 아이돌 그룹 HOT, 클론, 안재욱, 베이비복스 등
이 중국 현지 활동을 통해 큰 인기를 얻은 것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이 당시 국내 기획
사들은 중국 시장의 높은 진입장벽으로 한류의 높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수익 모델을 정
립하지 못해 직접적인 수익 창출은 성공하지 못하였다.
2000년대 이후 중국 시장의 문화 규제가 완화되고 문화 서비스 개방이 시도되면서
한국의 K-POP도 본격적으로 중국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중국내 K-
POP에 대한 선호도는 특정 노래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한류스타들의 노래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한 예로 슈퍼주니어, 비, 소녀시대, 빅뱅 등의 경우, 한 장의
앨범에 수록된 여러 곡들이 포털 사이트 인기가요 순위에 동시에 올라오고 있다. 한국
의 아이돌 가수들이 중국 시장에서 각광받는 가장 큰 이유는 ‘질 높은 음악과 우수한
노래 실력, 화려한 퍼포먼스 때문’으로 평가되는데, 이제 한국의 아이돌그룹이 선풍적
인 인기를 끌자 중국에서 이들을 모방하는 그룹들이 비슷한 이름, 컨셉, 안무를 가지고
등장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중국 시장은 투명한 음반 시장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로 공연이나
행사를 통해 수익 창출을 하는 편이며, 업계에서는 중국 시장에 비교적 확실한 파트너
를 지닌 SM 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하여, 한국 엔터테인먼트사의 현지 에이전트와의 협력
관계가 점차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2014년이 K-POP 한류의 본류가 일본에서 중국으
로 넘어가는 원년이라고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18 예를 들어, 그 동안 중국에서 공연하
기 위해서는 행정상 과정이 까다로워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던 점이 있
었으나, 믿을만한 합작 파트너와 에이전트 제도를 통해 향후 중국 내 한국 가수들의 공
연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증가폭은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16
고정민(2010), “한류지수의 선정 및 경제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문화산업재단
17
삼성경제연구소, 한류문화, 2005.
18
텐아시아(2014.12.19.) 아듀! 2014, 대중음악 결산 ③ ‘케이팝 한류’중국으로 진로를 돌리다
- 13 -
표 7. 국내 가수의 주요 중국 공연19

19
중국 언론의 기사를 종합하였으며, 2012년 한국 콘텐츠 진흥원의 정리된 자료를 참고하였다.

- 14 -
최근에는 인기 있는 한국 음악 콘텐츠의 포맷과 제작 인력을 활용하여 중국 현지화
하는 시스템을 통해 중국 음악 콘텐츠 시장에서 한국 음악 프로그램이 큰 영향을 미치
고 있다.20 예를 들어 중국 버전으로 제작된 <나는 가수다>, <불후의 명곡>, <슈퍼스타
K>등과 같은 작품들은 매회 TV 전국 시청률 상위권에 머무르고 있으며, 온라인상에서
의 시청 횟수도 매회 10만회 이상을 기록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에서는 한국의 인기 콘텐츠들을 현재 중국의 핵심 미디어 채널인


유쿠(youku), 투떠우(tudou) 등과 같은 동영상 사이트에서 손쉽게 시청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각 엔터테인먼트 사는 효율적인 중국 진출을 위해 중국의 유력 매
체들과 제휴에 적극적이다. 현재 SM엔터테인먼트가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 Baidu와
업무 제휴협약(MOU)을 맺었으며, YG엔터테인먼트는 중국 최대 동영상 사이트 Youku
와 협력하였고, JYP도 Baidu 음원과 계약을 맺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중국 시장에 진
출 중이다.21

3.1.3. 중국 음악 시장 성공 전략

그 동안의 중국 진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에 진출하는 국내 기획사들은 중국


시장에서 음악을 향유하는 대중이 가진 파급력을 1990년 대부터 체득하였다. 정식으로
진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아티스트에 열광하고 그들의 음악과 패션 음악
을 향유하고 모방하는 중국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여, 중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시장에서 한국 음악과 아티스트에 열광하는 요인은 많겠지만, 그 중에서도 중국
음악 시장에서 K-POP 열풍을 전폭적으로 확산 할 수 있었던 전략은 다음과 같이 크
게 두 가지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20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대응 전략(음악) 2014 -11호(통권 88호)

21
한국경제(2014.12.25.) 빗장 풀리는 中 서비스 시장 K-POP, 중국 공연 내년 2배로…SM·YG 등
기획사 수혜
- 15 -
먼저, 중국 현지 SNS를 활용한 적극적인 파급 전략이다. 국내 유력 기획사에서는 파
급력이 높은 Weibo, Youku, Baidu 등 중국의 주요 현지 매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현지
채널을 십분 활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는 글로벌 SNS에 덧붙여, 중국 내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SNS를 별도로 개설하여 이를 통해 중국 팬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진행하고 있다.

그림 3. 한국 연예인의 바이두 회원수 현황22

이를 통해 중국의 팬들도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시,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이 좋아하


는 아이돌의 활동 정보를 언제든지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아티스트와 팬 사이의 소통
도 친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기획사도 중국 시장 마케팅 활동에 다양한 중국 온
라인 매체를 적극 활용하고 있어, 중국 내 K-POP과 아티스트의 열기는 계속 뜨거워지
고 있다.
두 번째 성공 비결로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꼽을 수 있다. 현지 채널을 통해 한국의
아티스트들에 친밀감을 가질 수 있었지만, 중국은 다른 시장에 비해 현지 고유의 색깔
과 문화가 강하며, 자국 연예인에 대한 선호와 전폭적인 지지가 강하다. 한국의 아이돌
의 음악과 패션을 그대로 모방한 중국 현지의 아이돌이 더욱 크게 성공하는 사례가 나
올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22
한국경제(2014.12.25.) 빗장 풀리는 中 서비스 시장 K-POP, 중국 공연 내년 2배로…SM·YG 등
기획사 수혜
- 16 -
이에 따라 2000년 대 이후부터, 국내 기획사들은 그룹 내 중국인 멤버를 활용해 현지
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슈퍼주니어 M(헨리, 조미)을 비롯해 에프엑스(빅
토리아), 미쓰에이(지아, 페이), 엑소(타오, 크리스, 루한, 레이), 갓세븐(마크, 잭슨) 등
대형 기획사를 중심으로 아이돌 그룹에 중국인 멤버를 영입하고 있다. 중국인 멤버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언어 및 문화적인 차이를 극복하고 음반 및 공연 활동 이외에도 드
라마, 영화, 광고 출연 등 활동을 다변화 하고 있다.23
특히, 기획 단계에서부터 중국 시장을 고려하여, 한국과 중국 활동을 동시에 진행하
는 엑소의 경우 한국과 중국에서 별도의 앨범을 발매할 뿐만 아니라, 양국에서 시차 없
이 동시에 활동하여 한국과 중국 팬덤을 동시에 흡수하고 있다.

3.2 일본에서의 K-POP

3.2.1. 일본 음악 시장 추이와 전망

미국에 이어 세계 음악 콘텐츠 시장에서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은 현재 명실


상부한 K-POP의 최대 시장이다. IFPI에 따르면 일본의 음반시장 규모는 압도적 1위
이고 음반, 음원 등을 합한 전체 음악시장에서는 2위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이처럼
일본의 음악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음반 시장을 정점으로 다양한 부가 비즈니스 시장
이 형성되어 있는 형식이라는 점이다.
일본은 글로벌시장과 다르게 음원시장보다 음반시장이 큰 유일한 국가 이며,
RIAJ(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일본 레코드 협회) 에 따르면 14년
기준 일본 음악시장에서 음반이 차지하는 비중은 85.3%로 절대적이다. 이는
IFPI(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국제음반산업협회)의
조사에서 글로벌 전체 시장에서 음반과 음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14년 기준 각 46%로
24
동일한 것에 비하면 압도적인 수치이다.

23
키움증권(2014), “한류의 시작은 중국이다”, 산업분석
24
동부증권(2015), 엔터테인먼트 산업 동향
- 17 -
그림 4. 음반 비중이 절대적인 일본 음악시장

그러나 거대 시장이었던 일본의 음악 시장도 아날로그의 음반 환경이 디지털로 전환


되는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음반이 디지털로 전환되어 있는 현재 과
도기에서 기존 음반 시장의 수익을 대체할 만한 규모로 디지털 음원 시장이 아직 성장
하지 못하고 있어, 시장축소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저는 앞으로
도 크게 개선되지 않아, 일본 음악 시장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다.

- 18 -
그림 5. 일본 음악 시장 전망25

3.2.2. K-POP의 일본 시장 진출 현황

일본에서 한국가수가 활동을 한 사례는 계은숙, 김연자 등 꽤 오랜 과거로 거슬러 올


라갈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가요의 히트는 매우 산발적이었으며, 그 경우에도 대부분
일본 엔카 풍의 악곡 위주이므로 K-POP의 진출로 보기 어려웠다. 비즈니스 적으로 성
공은 하지 못했지만 많은 시도를 통해 일본 진출의 가능성을 본 1세대 아이돌 S.E.S.
부터, 이를 바탕으로 2001년부터 진출한 보아의 일본시장에서의 성공부터가 K-POP의
진정한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한국보다 한 단계 높고, 진출하기 어려운 시장
으로 인지 되었던 일본이라는 시장에, 철저한 기획과 탄탄한 진출 전략으로 성공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본 시작이 되었다.
이에 이어 2003년 겨울연가, 천국의 계단 등의 연이은 한국드라마의 성공으로 드라

25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교보증권 리서치 센터

- 19 -
마뿐만 아니라 OST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한국 대중 음악이 일본 시장에 파고들 수
있었으며, 이는 가수 본연의 스타성보다 노래가 사랑을 받는 일본 음악시장의 특성으로

제1세대 K-POP 붐이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표 8. K-POP 아이돌의 일본 진출 역사26

그 이후에 동방신기와, 빅뱅 등의 남성댄스 그룹들이 안정적으로 일본시장에 진출을


하였으며 2010년 이후 소녀시대, 카라를 비롯한 여성그룹 역시도 일본시장에 성공적인

연착륙을 하였다. 1970년 대부터 일본은 아이돌이라는 시스템이 존재하였고, 한국은

이를 모방하여 성장해 왔지만 이제는 반대로 일본의 소속사들이 한국의 아이돌들의 특


징들을 모방하는 가수가 등장하고 있다. 특히 일본 걸그룹 전략에서 K-POP 스타일의
컨셉이나 안무 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K-POP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은 2000년대 이후이며,
현재까지도 한국 아이돌의 컨셉과 음악을 선호하는 일본 내 팬덤은 늘어나고 있다. 지
상파 방송과 디지털 위성방송의 음악 프로그램, 버라이어티 등에서 K-POP을 소개하는

26
오리콘 차트와 국내 보도자료를 정리한 내용을 2012년 한국 콘텐츠 진흥원의 정리된 자료에서 인
용하였다.
- 20 -
가 하면, K-POP과 관련된 단독 프로그램 제작도 크게 증가하였다. NHK 뉴스에서 소
녀시대 공연실황을 헤드뉴스로 보도(’10.8.25)하고, 유료방송인 후지TV TWO(CS 디
지털방송)에서 다수의 K-POP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방송 27 하는 것도 이러한 분위기
추세를 반영한 결과이다.

3.2.3. 일본 음악 시장 성공 전략

한국보다 선진 음악 시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아이돌 시스템의 원조라고


불리는 일본 음악 시장에서, 한국의 아이돌이 견고한 팬덤을 형성하며 사세를 확장해
나가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이렇게 한국 아티스트가 성공하기 어려워 보였던 일본 시장에 K-POP이 성공적 연
착륙을 할 수 있던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는, 현재 일본의 아이돌 시장 상황과 한국형 아이돌 시스템의 특징이다.
현재 일본은 아라시와 EXILE(EXILE의 경우 EXILE TRIBE와 EXILE ATSUSHI 등의
솔로프로젝트, 三代目 J Soul Brothers와 같은 유닛을 총칭)로 대표되는 아이돌이 일본
음악 시장을 견인하는 각종 차트를 점령하고 있다. 아라시는 지난해 콘서트 DVD 와
정규 앨범으로 음반 매출순위 1~3위를 휩쓸었고 EXILE은 EXILE TRIBE, EXILE
ATSUSHI, 三代目 J Soul Brothers가 각각 활동하며 합산 77.5억엔의 음반 매출을 기
록했다.28 그러나 이들은 모두 데뷔 10년을 넘긴 노장 아이돌이며, 일본 아이돌 시장에
세대 교체가 잘 이루어 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27
한국콘텐츠진흥원(2010), 일본 콘텐츠산업동향 2010년 39호
28
동부증권(2015), 엔터테인먼트 산업 동향
- 21 -
그림 6. 아라시와 EXILE29

이처럼 세대교체가 필요한 일본 아이돌 시장에서 우리나라 아이돌 들이 그 틈새를 충


분히 공략한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꼽을 수 있다.
한국 아이돌은 일본보다도 훨씬 오랜시간 혹독한 트레이닝을 거쳐, 기본 실력이 탄탄
한 ‘완성형 아이돌’이다. 전문적인 트레이닝을 통해 데뷔한 한국 아이돌은 춤·노래
· 스타일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어·일본어 등 외국어 교육까지 받은 완벽한 모습으로
데뷔한 후 일본에 진출 30 하기 때문에, 유사한 컨셉의 아이돌에게 식상해 있던 일본 시
장에 신선한 충격이 된다.

29
http://prcm.jp/album/cindy1love/pic/16405204
30
시사IN(2010.11.17)
- 22 -
표 9. K-POP과 J-POP 아이돌 비교

실제로 상당한 실력을 뽐내고 있는 현재 한국의 아이돌은 모든 분야에 완벽한 준비가


되어 있는 완성형 아이돌이기에, 가수 뿐만 아니라 종합 엔터테이너로서의 경쟁력이 뒤
지지 않는다. 슈퍼주니어의 시원과 EXO의 디오, 빅뱅의 탑, 씨엔 블루의 정용화와 FT
아일랜드의 이홍기, 2PM의 닉쿤과 준호, JYJ의 박유천, 제국의 아이들의 임시완과 박형
식 등은 배우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슈퍼 주니어의 희철과 규현, 제국
의 아이들의 황광희 등은 예능으로 f(x)의 루나, 샤이 니의 키, EXO의 백현, JYJ의 김
준수 등은 뮤지컬로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두 번째 성공 전략은, 일본 음악 시장의 이해에 기반한 기획사의 진출 전략이다. 연
예기획사 사에서 소속 아티스트의 모든 활동을 관리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은 방송
출연, 음반 프로모션을 기획사가 아닌 유통사가 담당하기 때문에 초기 홍보를 위해선
메이저 레이블의 영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신인이 조금이라도 노출 빈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현지 메이저 레이블과 계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형 기획사에서는 메이저 레이블과의 계약을 우선적으로 진행하여 일본을
진출하였다. SM엔터테인먼트는 일본의 메이저 레이블인 AVEX와 계약을 체결해 활동
하고 있으며 YG엔터테인먼트의 아예 AVEX와 공동으로 YGEX라는 별도의 합작 레이
블을 설립했다. AVEX는 두 회사의 일본 내 매니지먼트, 음반 프로모션 등을 담당하는
대신 현지에서 발생하는 매출을 정산, 그 중 일부를 수취하고 있다.31 이렇게 대형 기획
사의 기획과 메이저 레이블의 홍보, 파급 효과를 업은 신인 아티스트들은, 일본 시장에

31
동부증권(2015), 엔터테인먼트 산업 동향
- 23 -
서 더욱 좋은 결과와 효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3.3. K-POP의 아시아 진출 성공 전략

3.3.1. 분석 개요

예술사회학 분야에서 문화 현상 요인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문화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차용 하여 생산과 소비, 분배의 관점에서 K-POP 의 성공요인을 분석한
32 33
연구가 있다. 아래 표 를 통해 '4 개 꼭지점'과 '연결선'으로 이어진 문화의
다이아몬드에 K-POP 을 대응시켜 4 大 성공 요인을 도출한 내용을 볼 수 있다.

그림 7. K-POP 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34

32
Griswold. W. (1994) "Cultures and Societies in a Chaging World, Pine forge Press, ; Alxander,
V. (2003), "Sociology of the Arts: Exploring Fine and Popular Forms, Blackwell
33
서민수(2012),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34
서민수(2012),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 24 -
3.3.2. 생산자

아시아에 진출한 K-POP 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기획사에서 시스템으로 정립한


규격화된 아티스트 양성 프로세스와, 치밀한 기획을 통해 배출된 스타 아티스트이다.
기업화된 대형 연예 기획사는 음악 트렌드와 시장에 대한 빠른 이해와, 누적된
노하우로 규격화된 시스템을 갖추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콘텐츠를 대량으로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었다. 이를 통해 실력은
물론 우수한 외모를 갖춘 콘텐츠 생산자들을 배출하였고 이들이 K-POP 열풍을
주도하고 계속 이어나가는 아티스트가 되었다. 또한 이 같은 시스템과 스타들로
무장하여 해외에서 성공을 거둔 경험이 이미 1990 년대 후반 이후 10 년 이상
누적되면서 중국, 일본 등 해외 시장을 준비하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하면

경험에서도 높은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K-POP 에서 아티스트, 즉 스타는 회사에 소속된 자원이자 콘텐츠이며 계획성 있는


투자를 통해 K-POP 을 주도할 만한 역량을 지닌 핵심이다. 이에 따라, K-POP 에
중점을 둔 기획사는 모두 신인 발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획 단계부터 목표한
시장과 포지셔닝을 위해 장기적 안목에서 치밀하게 각 단계를 준비한다. 성공 사례를
가지고 있는 상당 수 기획사 내부의 아티스트 양성 프로그램은 크게 Casting, Training,
Producing, Management 의 4 단계로 구성된다.

그림 8. 아티스트 제작의 4 단계35

35
삼성 경제 연구소(2012),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 25 -
신인은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자체 오디션이나, 캐스팅 매니저를 통한 종래의 길거리
캐스팅, 인터넷을 통한 공개 콘테스트나 지인의 추천 등 여러 경로를 통해 발굴된다.
최근에는 홍보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공중파나 케이블의 방송의 공개 오디션을 통한
캐스팅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추세이며, 기획 단계에서부터 글로벌 진출을 염두에
두어 해외에서 원석을 발굴하기 위한 글로벌 오디션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발굴 된 연습생은 회사의 체계적인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시스템을 통해
아티스트로 거듭나게 된다. 기획사에서는 발굴한 신인이 초기의 기획의도에 부응,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데뷔 전까지 끊임없는 훈련과 연습을 반복한다. 교육
프로그램에는 노래, 댄스, 연기, 외국어뿐만 아니라 인성교육 까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이 연습생들을 혹독하게 교육하고 평가하여 최고만을 아이돌
스타로 육성한다.

그림 9, 아티스트 트레이닝의 과정

기획사의 경우 연습생들을 교육시키는 대에 오랜 기간 많은 비용과 투자를 감수해야

하는데 연습생 기간은 보통 5 년 이상이 소요된다. 연습 기간에 필요한 교육 및 생활


모든 제반 비용은 기획사가 부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획사는 최고의 K-POP
스타라는 희소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을 투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외시장 진출을 기획 단계부터 추진하고 있어 트레이닝 비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프로듀싱은 캐스팅과 트레이닝 과정을 통해 양성된 아티스트를 통해 상품(음반/음원,

뮤직비디오 등)을 제작, 생산하는 단계이다. 음원의 제작은 작사, 작곡, 노래, 편곡,

믹싱 등의 과정 반복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렇게 만들어진 음원은 디지털 음원, 음반

- 26 -
및 뮤직비디오 형태로 대중에게 공개된다. 음악 산업에서의 성공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음원은 작곡가, 작사가, 가수, 프로듀서 등의 인적자원이 총 동원되어야
가능하며, 이와 같은 전문 인력의 구성과 활용에는 막대한 자본력이 수반된다. 이러한
제약 조건으로 인해 최근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소수의 대형 기획사 들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K-POP 의 해외 진출이 늘어나면서, 창작 단계에서부터
세계 최고 전문가를 참여시켜 완성도를 높이고, 곡 아이디어 발굴 및 제작에 있어서도
해외 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글로벌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도록 진행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철저한 기획에 맞춘 결과물로 K-POP 이 초국적인 인기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표 10. 다국적 창작 작업의 예시 (소녀시대 ‘소원을 말해봐’)36

매니지먼트와 프로모션 단계에서는, 캐스팅, 트레이닝, 프로듀싱 과정을 통해 양성된


아티스트가 최대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과, 글로벌
프로모션과 마케팅을 통해 아티스트의 부가가치를 최대로 창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부가가치 창출에는 K-POP 아티스트 본연의 음악뿐만 아니라 연기, 광고,

출판, 캐릭터, 게임 등 One-source multi use 전략이 포함된다. 최근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는 우수한 인적 자원과 자본의 확충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확보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반과 능력을 갖추었는지의 여부이며, 이와 같은 역량의
확보가 K-POP 이 외국에 진출하는 데에 있어 큰 성공의 중심점이 된다.
최근의 대형 기획사는 기획 초기부터 해외시장에 대한 진출을 생각해 두고 현지의
회사들과의 협약 등을 통해 해외 진출의 성공의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최소화
한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해외에서의 전반적인 콘셉트는 국내 기획사가

36
삼성 경제 연구소(2012),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 27 -
디자인하고, 구체적인 현지 프로모션과 유통망 확보 등은 협약한 회사가 현지 시장을
고려하여 추진하는 경우도 K-POP 이 해외에 진출하는 데에 있어 빈번한 전략이 되고
있다. 동일한 아티스트가 한 개의 음반을 각 국의 언어로 발매하여 다수의 국가에
동시에 진출하는 경우도 있으며, 뮤직비디오, 패션 등 현지 시장에 특화된 특정 앨범을
현지 드라마, 영화, CF 등에 폭넓게 활용하는 사례도 있다.

3.3.3. 전달 방식

앞서, 중국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2000 년 대 이후부터는 인터넷과 모바일


SNS 의 발달로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활용한 K-POP 전략이 해외 진출에
있어 일차적 유통 기반이 되고 있는 동시에, 가장 주요한 매체가 되었다.

표 11. 한류 패러다임의 변화37

실제로 입소문이 빠르게 확산되는 소셜미디어의 특성에 힘입어 한국 가수들의 해외


진출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절감 되고 있다. 한가지 예로, 일본시장 진출 후
일정한 수준까지 오르는데 보아는 5 년, 동방신기 4 년 이었던 것이 소녀시대는 첫
정규 앨범 발매와 동시에 오리콘 차트 1 위를 한 결과가 있다. 그동안 K-POP
뮤직비디오를 홈페이지가 아닌 유튜브에 공개하는 등 디지털 미디어를 잘 활용한 결과,
소녀시대의 음악과 이미지는 이미 해외 팬들에게 익숙해져 현지화를 위한 새로운
콘셉트를 갖출 필요가 없었던 셈으로 풀이된다.

37
문효진(2011), “한류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를 위한 과제” 국회세미나 발표 자료집, p.11, ,
- 28 -
K-POP 이 기존의 한류와는 달리 전 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인 소비가 가능한 것은
이렇게 SNS 와 온라인 미디어의 힘이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했기 때문인데, 특히
유튜브로 대표되는 소셜 미디어의 확산은 별다른 프로모션 없이도 K-POP 의
확산이라는 쾌거를 이루었다38
SNS 를 통해 ‘강제 해외 진출’을 이룩한 싸이의 경우에는 한국 시장을 위해
제작한 ‘강남 스타일’ 뮤직비디오 한 편으로 세계적 유튜브 스타로 등극하였으며,
해외에서 먼저 그를 초청하는 등 SNS 로만으로도 놀랄만한 결과를 얻기도 하였다.
SNS 에서 시작한 열풍으로 인해‘강남스타일’은 영국 싱글차트 1 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7 주 연속 2 위, 독일 MTV 유럽 뮤직어워드 베스트 비디오상, 제 40 회
아메리칸 뮤직어워즈 뉴미디어 상 수상 기록도 세웠다. ‘강남스타일’은 현재까지
유튜브 최다 조회 신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숫자의 의미를 넘어 세계적
문화코드로 정의될 수 있다.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춤동작과 중독성 있는 멜로디,
현란한 뮤직비디오 등 세계인이 사랑할 수 있는 요소를 SNS 를 통해 폭발적으로
이끌어 내었고, 이는 K-POP 신드롬으로 이어졌다.

38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p.46,
- 29 -
그림 10. 전 세계 K-POP 유튜브 동영상 조회 수(2011 년)39

이제 K-POP 을 주도하는 국내 기획사들도 글로벌 플랫폼을 염두에 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주요 기획사들은 유튜브에 공식
채널을 개설하고 뮤직 비디오를 비롯해 다양한 퍼포먼스 영상을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홍보를 위한 신곡 발표나 쇼케이스를 열기까지 한다. 40 실제 2NE1,빅뱅,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2PM, 원더걸스 등 국내 대표 아이돌 가수들의 뮤직비디오는
음원 시장보다도 앞서 유튜브를 통해 소개되며 전 세계 사용자 사이에서는 이들의
음악뿐만 아니라 패션, 컨셉 등 이 화제가 되고 있다.
소녀시대와 카라 등 걸그룹은 일본에 진출하기 전부터 이미 유튜브 조회 건수가
수백만 건을 넘어 탄탄한 일본 진출 기반을 형성하였으며, 실제로 유튜브에서 각국의
한류 팬들이 소녀시대, 2NE1, 티아라 등 국내 걸그룹의 노래와 춤을 따라하여 화제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41 온라인을 통한 음악 홍보가 음반시장에서 일반화되면서, 그
중에서도 SNS 가 가장 민첩한 도구로써 적극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42

39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2012, 삼성 경제 연구소
40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p.38, 2012
41
위클리공감, <소셜미디어의 잠재력-문화콘텐츠 성장, SNS에 물어봐!>, 2010
42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p.46, 2012
- 30 -
이는 소녀시대가 이미 일본에 진출하기도 전에 일본에서 공식적으로 데뷔하거나
별도의 현지화 전략을 구사하지 않고도 수만 명의 팬이 일본 내에 결성되고 일본 진출
쇼케이스에만 2 만 2000 명이 몰려든 데에서 단적으로 입증한다. 43 지금 현재에도
해외에 정식으로 진출하지 않은 수많은 K-POP 아티스트들에 대한 관심이 계속
몰려들고 있으며, 특정 국가에는 팬덤이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K-POP 아티스트들은 자신들의 활동소식과
근황을 해외 팬들에게 직접 전해주면서 소통하며 감성적 교류를 확대해 나아가고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웨이보 등을 통해 아티스트가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쓰고,
이야기들은 빠른 속도로 전 세계 네티즌과 공유된다. 기사나 기획사 보도 자료와 같은
중간 매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스타들이 팬들과 소통하게 됐다는 것은 K-POP
시장에서도 엄청난 사건으로, 인터넷이 있는 곳이라면 이제 누구든 어디서 든 한류
스타와 대화하고 친구가 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44
현재 트위터 등에서 가장 많은 팔로어를 자랑하는 연예인 대부분은 아이돌 스타로서,
트위터를 통해 근황을 비롯한 다양한 이야기를 실시간으로 전하며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전 세계 팬들과 가깝게 소통하고 있다. K-POP 진출의 시작이 아이돌
스타에서 기인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국내에선 슈퍼주니어의 최시원이 한국
연예인 최초로 트위트 팔로워 100 만명을 돌파했으며, 특히 슈퍼주니어는 미국 IT 전문
매체 매셔블이 2011 년 한해 전 세계 트위터 상에 서 가장 화제를 모은 키워드를
발표한 ‘2011 TopTrending Topics' 음악 아티스트 부문에서 해외 인기 스타 저스틴
비버, 레이디 가가, 조나스 브라더스에 이어 아시아 아티스트로는 유일하게 4 위를
차지한 경험도 있다.45
이러한 전달 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기획사들은 소셜 미디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며 팬들의 반응을 살피는 전담 직원들을 두어 자사 가수에 대한 인기와 여론을
파악하고 있으며 앨범 발매 전 새로운 뮤직비디오의 티저 영상을 먼저 공개하여 이슈를
생산한다. 또한 새롭게 진출하고자 하는 아티스트에 대해서는 사전에 고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서도 SNS 를 통해 현지의 반응, 팬덤을 형성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43
<K-POP 인베이전 ④ 한류, 디지털 날개를 달다>, 중앙일보, 2011.01.21.
44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p.49, 2012
45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p.48, 2012.
- 31 -
이를 통해 K-POP 의 해외 초기 진출과 정착을 안정적으로 꾀하는 동시에 팬들의
관심을 유도하기도 한다.

3.3.4. 콘텐츠

아무리 좋은 기획과 준비가 있더라도, 결국 해외에서 특정 POP 영역이 성공할 수


있는 핵심은 콘텐츠이다. K-POP 아티스트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완성형
아이돌’로서 탄탄한 가창력과 안무, 비주얼이 결합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변신하며 전 세계 소비자를 매료한다.

그림 11. K-POP 콘텐츠의 경쟁력

구체적으로는 서구의 팝 스타일과 동양적 정서에 맞는 쉬운 멜로디를 융합하여


국적을 초월해 인기를 얻을 수 있는 보편적인 대중성을 확보한 사례가 있다. 실제로
2005 년 이후부터는 원더걸스의 '노바디', 티아라의 '보핍보핍'처럼 감각적 리듬과 쉬운
멜로디가 반복되는 후크송을 전략적으로 선곡하여 많은 인기를 누렸다.
음악 뿐만 아니라, K-POP 아티스트들은 매 앨범과 음악을 준비하면서 나름의
컨셉을 통해 시, 청각적으로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을 만한 많은 고민을 진행한다.
대중이 식상하고 일반적인 모습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매번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감각적 패션과 스타일 연출로 끊임없이 변신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녀시대의
제기차기춤, 카라의 엉덩이춤 등 일사불란한 군무(群舞)와 포인트 춤을 삽입해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 32 -
이는 주류 음악 시장으로 평가 받는 미국의 POP 이나 일본의 K-POP 과도 확연하게
차별되는 요소이다. 팝의 주류인 R&B 나 힙합 장르에서 흔히 나타나는 선정적·폭력적
요소를 배제하고 풋풋한 모습으로 순수와 열정이라는 차별화된 메시지를 부각하는 K-
POP 의 모습은 미국의 POP 과 대비하여 신선하게 K-POP 을 서구에 어필한다.
또한 일본의 J-POP 과 같은 경우에는 음악을 중시하는 아티스트와 이미지를
중시하는 아이돌의 경계가 확연한데, 한국형 아이돌은 귀여운 이미지를 강조하는
일본의 J-POP 아이돌에 비하여 춤과 노래 실력이 월등히 뛰어나다. 한 가지 사례로
일본에 진출했던 보아가 일본 열도를 석권할 수 있던 이유 중 가장 큰 요소는, 한국의
어리고 예쁜 소녀가 격렬한 춤과 놀라운 라이브 실력을 가지고 있던 점이라고 꼽히기도
한다.
이렇게, 중독성 있는 후크송, 다양한 멜로디, 사랑과 우정을 노래한 가사, 따라 하기
쉬우면서도 멋있는 군무, 아이돌들의 비주얼은 세계 팬들에게 색다른 매력으로
다가갔다. 실제로 해외 팬들이 뽑은 K-POP 가수들의 매력은 1 위가 노래, 2 위가 춤,
3 위가 패션, 외모 등의 비주얼적 면모였으며46, 이는 POP 과 J-POP 대비 K-POP 이
가진 또 하나의 경쟁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3.3.5. 소비자

전 세계적으로 K-POP 의 주 소비자층은 소셜 미디어를 많이 접하고 IT 기기들에


익숙한 젊은 층에 분포 되어 있다.

46
KBS WORLD의 유튜브 페이지를 통해 설문조사결과 총 78개국, 12000명의 팬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1위는 노래, 2위 춤, 3위 비쥬얼 순이었다.
- 33 -
표 12. 유튜브를 통해 살펴본 전 세계 K-POP 소비자의 인구학적 특성47

K-POP 의 주요 소비자는 10~20 대의 젊은 여성층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젊은


층들은 주로 음반을 구입하기 보다는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해서 K-POP 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적극적이다. 이들은 적극적으로 문화를 즐기고 자유롭게
자신들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동적인 소비자이다. 48 단순히 K-POP 을 듣고 수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K-POP 을 소재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놀이 문화를 창출하고
있는데, 그 예로 ‘K-POP 커버댄스’ 동영상이 퍼진 사례라든가, 별도의
프로모션이나 현지 진출이 없었던 아티스트에 대해서도 유럽과 남미의 일부 국가에서
자생적으로 온라인 팬클럽의 결성된 사례를 들 수 있다.

3. 4. 미국과 유럽에서의 K-POP

3.4.1. 미국에서의 K-POP 진출 사례

POP의 본거지인 미국에서는 K-POP의 진출이 이제 시작되고 있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정도의 한류’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영화, 음악, 게임

47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2012, 삼성 경제 연구소
48
K-POP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2012, 삼성 경제 연구소
- 34 -
등을 중심으로 한국 콘텐츠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고, 그를 속에서 자주 접하는
K-POP을 중심으로 매니아층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K-POP은 그동안 세계 최대 콘텐츠 시장인 미국에 발을 딛기 위해 많은 시도를 거
쳐왔다. 미국에서의 활동을 위해 소녀시대, 카라, 비, 원더걸스, 보아, 2NE1, 빅뱅 등이
본격적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역사가 있다.
원더걸스는 <노바디>로 2009년 빌보드 싱글 차트인 ‘핫 100’에 76위 차지하였다.
2009년 9월, 에픽하이의 6집 <[e]>는 동양인 최초로 미국 아이튠즈 Hip-Hop/Rap 차
트 톱100에 진입하였다. 2010년 9월, 미국 L.A. 스테이플센터 ‘SM타운 라이브’ 공
연을 통해 K-POP이 미국 공연 진출을 위한 탄탄한 교두보가 마련 되었다.

그림 12. 복고 콘셉트의 음악과 의상을 바탕으로 미국에 진출한 원더걸스49

지난 8월에는 미국 빌보드차트에 K-POP차트가 신설되면서 K-POP의 위력을 여실


히 입증했다. 빌보드닷컴은 “블루오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K-POP의 성장가능성을
높이 사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빌보드 K-POP 차트’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팝의 본고장인 미국에서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높은 수준과 세계적인 영향력
을 인정한 셈이다.50

49
http://jamja.tistory.com/3718
50
한국관광공사(2011), K-POP “제2의 한류 관광 이끌까?”, Exciting Korea 매거진
- 35 -
그러나 이런 가시적인 성과 외에, 2010년도 이전까지는 K-POP의 미국 진출은 성공
적이라고 볼 수 없었다. 2008년 한국에서 얻은 엄청난 인기를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원더걸스의 경우, 동양에서 복고 컨셉을 들고 온 소녀들로서, 미국 현지에서의
관심을 얻는 데에는 성공 하였으나, 비즈니스 적으로는 사실상 실패한 결과를 낳았다.
JYP가 약 45억원을 투자해 2006년 미국에 설립한 ‘ JYP Entertainment
Incorporation’는 완전 자본 잠실 끝에 미국 법인을 출범 1년 만에 청산하였으며, 약
17억원의 손실을 냈다. 51 이후 K-POP 아티스트는 지속적으로 미국 시장을 노크 하
였지만, 원더걸스와 같이 적극적이고 대규모 투자를 수반하는 사례는 아니었으며, SNS
등 온라인/모바일 매체를 통한 시장 분석 정도의 수준이었다.
이렇게 난공 불락으로 여겨지던 미국 시장에, 2012년 하반기 K-POP계 최대의 이변
이 일어나는데, 그것은 가수 싸이가 한국을 넘어 세계적으로 강남스타일 열풍 을 불러
일으킨 것이었다. 2012년 7월 15일 처음 유튜브에 올려진 강남스타일의 뮤직비디오는
공개 18일 만인 8월 2일 조회 수 1,000만 건을 넘어섰고, 1주일 후인 8월 9일에는 조
회 수 2,000만건을 돌파했다. 공개 40일 만인 8월 24일에는 다시 조회 수 5,000만 건
을 넘어섰고, 9월 2일에는 8,760만 건을 넘어서 그 때까지 소녀시대의 [Gee] 뮤직비
디오가 가지고 있던 국내 가수 최다 조회 수 8,380만 건의 기록을 넘어섰다.52 강남스
타일은 이틀 후인 9월 4일 마침내 한국가수로서는 최초로 조회 수 1억 건을 돌파했고
14일 후인 9월 18일에는 2억 건, 다시 열흘 후인 9월 28일에는 3억 건을 넘어섰다.53
공개 76일 만에 3억 뷰를 돌파한 것은 현재까지 최단기간 세계신기록이다. 이후 강남
스타일은 여세를 몰아 10월 20일 5억 뷰, 11월 12일 7억 뷰를 넘어선 후 11월 24일
에 는 8억 369만 건의 조회 수를 기록해 저스틴 비버의 [Baby](8억365만 건)를 누르
고 유튜브 역대조회 수 1위를 기록했다. 54 세계적인 팝스타 브리트니 스피어스를 비롯
해 케이티 페리, 로비 윌리암스, 넬리 퍼타도 등 해외 유명가수들이 강남스타일과 ‘말
춤’에 앞 다투어 높은 관심을 드러낸 가운데 싸이는 9월 미국 LA 스테이플스 센터에
서 열린 2012 MTV 비디오뮤직어워드에 초대받았고, NBC 방송국의 인기프로그램인 <

51
비즈니스워치(2013), JYP, 뉴욕 본사 건물 390만불에 팔았다
52
스포츠 조선, 2012.10.18
53
싸이 강남스타일, 빌보드 메인차트 2위에 , (경향신문:2012년9월28일)
54
싸이 <강남스타일>, 유튜브 조회수 1위 올라 , (조선일보:2012년11월26일)
- 36 -
엘런 디제너러스 쇼>와 <투데이 쇼>,<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 등에 잇달아 출
연해 성과를 높였다.

그림 13. 미국과 유럽에서의 싸이 ‘강남스타일’의 성공55

이후 본격적으로 미국 현지 기획사와 손을 잡고 미국 진출을 시작한 싸이는 ‘강남


스타일’에 이어 ‘젠틀맨’, ‘행오버’ 등을 성공적으로 발표하였고, 스눕독 등 현지
의 유명 아티스트와 함께 작업을 하며 지속적인 미국 시장에서의 활동을 예정하고 있다.
그러나 싸이 본인 조차도 예상하지 못한 계기로 촉발된 ‘강남스타일’의 미국 진출
이외에는 아직 K-POP의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한 성공적인 사례는 발굴되지 않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싸이와 같은 소속사에 있는 YG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인 2NE1이, 매

55
www.youtube.com
- 37 -
니저 스쿠터 브라운과 손을 잡고 미국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56
현재 언론과 여러 매체가 K-POP에 대해 연일 보도하면서 과장되리만치,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로 미국에서 K-POP의 위상은 인지도도 미미할 뿐만 아
니라 주변부 팝음악에 불과하며, 그 주요 소비주체들도 10~20대 위주의 아시아계 미
국인들이라는 평가가 있다. 또한 케이팝은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의 정체성이 담긴 문화
라기보다는 급하게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서양 문화를 받아들여 응용한 것에 가깝기 때
문에 일시적으로 서양인들에게 인기를 끌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57

3.4.2. K-POP의 미국 진출 성공과 실패 요인

기존의 가수들은 미국 시장에서 성공을 이루기 위해 음악을 영어가사로 바꾸고 퍼포


먼스와 의상을 바꾸는 등의 노력과 함께, 대대적인 홍보를 진행하였다. 동남아시아에서
성공의 밑거름이 된 것 처럼 미국에서도 철저한 기획과 진출 계획 하에서 움직였으며,
원더걸스, 비, 소녀시대, 세븐과 같은 가수들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싸이는 ‘강남스타일’이라는 곡을 제작할 당시만 하더라도 해외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시장만을 고려하여 발표한 음악이 우연한 기회에 그것
이 세계적으로 어마어마한 열풍을 불러일으켰으며, 그리고 소위 말춤으로 대변되는 강
남스타일은 말춤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인기몰이를 하였다.. 이러한 싸이의 성공은
분명 해외시장을 주 타겟으로 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기존 가수들과 그 방식과 방법에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해외에서 K-POP 아티스트가 어필이 되거나, 되지 못하는 이유를 '문화할
인율'에서 찾아서 분석한 결과가 있다. 문화할인율은 문화권 간 대중문화의 교류 가능
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문화할인율이 낮다는 것은 한 나라의 문화상품이 다른 나
라에 수용되기 쉽다는 의미이다.
"싸이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었어요. 인간이면 누구나 갖고 있는 재미와 유희, 그리고
성적인 본능을 '강남스타일'의 노래나 뮤직비디오 등을 통해서 어필했죠. 이것은 각 나

56
조선일보(2014), 씨엘, 싸이 외국 매니저와 손잡고 미국 진출
57
오세정(2012), “K-POP의 선호 요인: 미주 지역의 K-POP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성연구
- 38 -
라의 언어와 문화를 초월한 본질입니다. 이 부분으로 접근을 해서 해외에서도 익숙하면
서도 재미있게 어필을 했어요. (동아방송대 엔터테인먼트 경영학과 심희철 학과장 인터
뷰)58”
미국에서도 익숙한 문화는 질리고, 초기에 큰 반향을 얻지 못하는 반면, 싸이는 아시
아적인 것들을 인정하고 들어가 단점을 인정하였다. 이 부분이 아시아적인 개성으로 드
러나 신선함을 미국에 어필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그동안 미국에 진출하고자 하였던 한국 아티스트는 아시아적인 자연스러운
문화를 미국에 직접 들고가기 보다는, 이러한 점을 단점으로 인식하여 보편성을 강조하
며 미국 현지의 문화로 커버하려고 했던 것이 싸이에 비해 큰 성공을 얻지 못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반면 그동안 K-POP 아티스트들은 음악과 콘텐츠에서는 현지의 것과 유사하도록 준
비를 하였으나, 정작 진출 전략에 있어서는 가장 한국적인 방식을 택하였다. 현지 음악
의‘메인 스트림’을 공략하기 보다는 현지에 있는 교민 혹은 아시아권 교민들에 의지
하면서 이미 검증된 팬들을 기대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또한 유명한 현지 아티스트와
의 인맥을 과시하며, 홍보용으로 낼 수 있는 빠른 가시적인 효과만을 얻고자 하였다.
싸이와 기존 가수들의 또 하나의 큰 차이는 언어적인 문제도 있는데, 미국에 진출하기
위한 K-POP 아티스트들이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가 어렵고,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현지 인터뷰나 팬 미팅 등에서 긴장된 모습을 보이는 사례는 너무나도 많아왔
다. 당연히 이러한 사례에서 K-POP의 성공적인 진출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싸이의 성공 비결로 여러 가지를 꼽는다. 재미있고 신나는 음악과 춤, 그리고 유튜브
라는 새로운 매체의 힘 등이다. 미국에 가자마자 'Dress classy, dance cheesy(옷은
제대로, 춤은 멋대로)'라는 유행어를 만들어 낸 그의 영어 실력도 한몫 단단히 했다. 그
러나 가장 중요한 요인이 간과되고 있다. 그것은 싸이가 이전의 '한류 가수'들과는 달리,
연예인이기 이전에 자신만의 음악을 개척해 온 뮤지션이라는 점이다. 그는 기획자가 원
하는 음악이 아니라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해왔다.59

58
오마이스타(2014), 싸이는 성공했는데, 왜 원더걸스는 실패?
59
조선일보(2012), 비와 원더걸스가 실패한 미국에서 싸이가 성공한 까닭
- 39 -
3.4.3. 유럽에서의 K-POP 진출 사례

유럽에서의 K-POP은 현지 프로모션 없이 유튜브 등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된


것이 특징이다. 프랑스 국영방송 프랑스2TV(2011.1.3)의 <세계를 향한 시선>8) 이라
는 프로그램에서 한류열풍과 한국의 대표 아이돌 스타들이 아시아 음악시장에서 차지하
고 있는 위상 소개하는가 하면, 2011년 1월, 동방신기의 신보 <왜(Keep Your Head
Down)>가 전 세계 앨범 판매량을 집계하는 독일 사이트 ‘미디어 트래픽(media
traffic)’의 유나이티드 월드 차드 4위에 올랐다.60
유럽 중에서도 특히 프랑스 파리는 K-POP의 팬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이다., 유럽
은 교통편이 아주 편리하게 잘 짜여져 있을 뿐만 아니라 파리는 유럽의 중앙에 있으며
수많은 이동 인구를 흡수 할 수 있는 관광 대도시이다. 따라서 케이팝 라이브 공연에
목말라 했던 수 십개국의 유럽팬들은 K-POP 공연이 있는 경우 파리로 몰려들게 된다.
따라서 유럽 내에서 K-POP의 위상을 보기 위해서는 프랑스 파리라는 지역을 중심으
로 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2011년 6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공연장 ‘르 제니스 드 파리(Le Zenith
de Paris)’에서는 놀라운 풍경이 펼쳐졌다. 유럽의 젊은이들이 우리나라 가수들의 노
래를 한국어로 따라 부르며 열광하였으며,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등이 출연한
‘SM타운 파리 콘서트’의 입장권은 예매 시작 15분 만에 매진되었다. 입장권을 구하
지 못한 프랑스의 열성팬들은 루브르박물관 앞에서 공연 연장을 호소하며 시위를 벌이
기까지 했다.

60
한국콘텐츠 진흥원(2011), K-POP이 주도하는 신한류: 현황과 과제
- 40 -
그림 14. 프랑스에서 공연 연장을 요구하는 K-POP 팬61

프랑스의 유력 월간지인 르 몽드는 이에 대해 문화면의 절반 정도를 할애해 '한류,


유럽을 접수하다'라는 제목으로 K-POP의 유럽 공략을 다뤘다. 르 몽드는 K-POP에
대한 광고가 전혀 없었는데도, 먼 나라의 음악을 감상하고 그 매력에 빠지는 팬들이 느
는 것은 ‘페이스북’과 ‘유튜브’ 덕분이라고 보도하였다. 르피가로도 그룹 샤이니의
공연 장면과 함께 '한류, 파리 제니스 공연장 강타' 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의 K-

61
www.soompi.com
- 41 -
POP 전사들이 아시아를 평정하고 유럽공략에 나섰다고 보도하였다.62

그림 15. K-POP열풍을 소개하는 프랑스 일간지63

그러나 한국의 매스 미디어와 연예 기획사들은 이러한 현상이 전세계적인 한국 대중


문화 상품의 붐이라고 홍보하지만, 막상 프랑스의 라디오나 케이블의 음악전문 방송에
서 단 한 번도 한국 아티스트의 음악을 소개한 적도 없고, 시내 주요 음반 전문점에서
도 K-pop 음반을 전혀 구입할 수 없다. 64 따라서 근래에 K-POP열풍에 대하여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3.4.4. K-POP의 유럽 진출 성공과 실패 요인

아직 유럽 시장에서는 K-POP의 진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성공과 실

62
손승혜 (2011).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Korean Connection
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 2.0시대의 진단과 분석 학술대회..
63
서울신문(2011), 프랑스 젊은이들 매료시킨 ‘K-POP 그룹’ 파리공연
64
손승혜 (2011).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Korean Connection
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 2.0시대의 진단과 분석 학술대회
- 42 -
패를 논하기에는 이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K-POP을 바라보는 프랑스에서의 상반된
시각을 다루고자 한다.
2010년 이전엔 프랑스에서 유일하게 관심을 보였던 한국 영화를 통해, 프랑스 언론
은 한국을 멀고 먼 동양의 신비로운 나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K-
POP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프랑스 언론들은 K-POP의 이상 열기에 대해
부정적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산업적이고 비인간적 트레이닝 방식, 어린 연예인의
성형과 과잉 트레이닝, 과잉 매니징 등이 집중적으로 보도되었고, 알록달록해서 우스꽝
스러운 K-POP 스타들, 개인 정체성도 그룹정체성도 안 보이는 고만고만한 그룹들과
이들의 ‘귀여운(kawaï)’ 코드에 대한 이질감이 그동안 프랑스의 주류 계층에서 직·
간접적으로 표현되어 왔다.65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유럽에서 급속도로 커지고 있는 K-POP의 인기를 프랑스
주류 언론도 주목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명백하게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최대한
중립적인 시각에서 그 원인을 다루고자 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프랑스가 K-POP과 아티스트에 열광하는 이유는 세 가지가 있
다.
첫째, 상대적으로 청소년을 겨냥하는 미디어 산물이 전반적으로 부족한 환경에서 케
이팝이 대규모의 토털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이다66. K-POP 아티스트들은 앞에서 언
급하였듯이 끊임없는 변화와 도전을 바탕으로 항상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실
제로 프랑스의 팬들은 K-pop이 그동안 들어왔던 프랑스의 팝, 락, 힙합과 달랐을 뿐
아니라, 비교적 그들이 친숙한 미국과 영국의 영어권 대중음악, 한동안 관심을 가졌던
J-pop과도 도 다른, 새로운 음악이라는 점에서 처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답했다.
특히, 군무를 추는 보이그룹, 걸그룹은 유럽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유형의 아티
스트들이다.67

65
홍석경(2012), “콘서트에서 열광하는 10대 한국 드라마 다운받아 보는 30대- 프랑스를 중심으
로 본 유럽의 한류”, 2012.06 신문과 방송
66
홍석경(2012), “콘서트에서 열광하는 10대 한국 드라마 다운받아 보는 30대- 프랑스를 중심으
로 본 유럽의 한류”, 2012.06 신문과 방송

67
손승혜 (2011).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Korean Connection
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 2.0시대의 진단과 분석 학술대회
- 43 -
음악 뿐만 아니라 영화, 드라마, 광고 등 다양한 쇼 비즈니스 세계에서 K-POP아티
스트는 광범위한 매력을 십분 발산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성을 향한 관심이 개방적
이고, 고조되어 있는 청소년기의 유럽팬에게 동양의 얼굴과 패션 또한 이국적 매력으로
가득하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바뀌고 변화되어가는 K-POP의 문화는 중독성을 일으키
고, 이에 집중하고 관심을 가져가는 유럽 10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케이팝의 두번째 매력은 문화적 특성이다. 따라하기 쉬운 군무와 후렴구를 담은 댄스
음악이라는 K-POP의 특성과 더불어, K-POP은 유럽에서 청정한 문화의 이미지와 팬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인지된다. 이는 앞에서 살펴본 일본, 미국에서의 K-POP의 인기
요인과도 비슷한데, 술, 마약, 자유로운 성관계 스캔들이 회자되는 서구의 그룹들과 대
비하여, 철저하게 사생활이 관리되는 K-POP 아티스트는 매우 순수하고 밝은 이미지를
제공한다. K-pop의 가사는 폭력과 욕설이 등장하지 않고 가사의 내용이나 안무의 구성
은 비교적 밝고 경쾌해서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K-POP스타들은 팬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친절한 팬서비스 문화
를 발전시키고 있다. 팬이 애정을 표시하는 만큼 아이돌 또한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
해 팬과의 지속적 소통을 중시하고, 팬미팅을 위한 아시아 일주를 마다하지 않는다. 팬
과 스타의 뜨거운 관계는 유럽의 팬 문화에서 보기 힘든 것으로, 유럽의 팬들은 이러한
문화 자체를 매력으로 느끼고 있는 것이다.68

Ⅳ. 연구 결과

4.1. 미국, 유럽 시장에서 K-POP의 한계점

4.1.1. 획일화된 음악
.

68
홍석경(2012), “콘서트에서 열광하는 10대 한국 드라마 다운받아 보는 30대- 프랑스를 중심으
로 본 유럽의 한류”, 2012.06 신문과 방송
- 44 -
유럽에서 K-POP 이란 현재, 일부 극소수 10 대의 매니아층이 선호하는 소수 문화
정도로 인지되고 있다. K-POP 이라는 용어가 한국의 대중 음악을 통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인식 속에서 K-POP 이라는 용어를 떠올렸을 때는 잘 기획된 어린
연령의 아이돌과 군무가 떠오를 것이다.
실제로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카라, 원더걸스, 동방신기, 빅뱅 등 유럽에서 K-
POP 을 이끌고 있는 가수들의 공통점은 아이돌 그룹이자 댄스음악 그룹이라는 것이다.
댄스 아이돌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가수들은 K-POP 을 주체적으로 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들의 노래 또한 거의 해외에 알려지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K-POP 을
처음 접하거나 관심이 없는 외국인들에게 K-POP 이란 한국 아이돌이 부르는 댄스
음악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POP 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아이돌의 댄스 장르에 국한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는 것이다. 아이돌을 선호하는 국내 음악시장의 특성상, 댄스
음악을 주된 장르로 하는 아이돌을 육성하여 계속해서 내보내는 것이 기획사의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K-POP 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장르를 개척하고 그에 걸맞은 가수를 키워나가는 것은 아이돌을 육성하고 댄스 음악을
만드는 것에 비하여 큰 위험부담이 따를 수밖에 없다. 또한 다양한 장르의 가수를 키워
해외시장을 새롭게 개척해 나가는 것은 더욱 더 긴 시간이 걸릴 것이고, 그런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다른 장르를 개척할 만한 기획사는 현실적으로 존재하기 힘들 것이다.

4.1.2. K-POP의 특색 부족

해외에 진출한 K-POP 아티스트와 K-POP 음악을 한국을 대표하는 음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그 속에 과연 K-POP 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이 있는지 의문이
든다. 영어로 바꾼 가사에 서양의 팝을 가미한 멜로디, 퍼포먼스에 치우친 음악 등
대부분 한국의 독창적인 문화와 전혀 관련이 없다. 한국에서도 후크송 열풍으로 K-
POP 의 음악적 특성이 점점 획일화 되어 있는데, 외국인에게도 K-POP 만이 갖고
있는 특성을 어필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 45 -
빠르고 중독적인 비트로 서구의 음악과 가장 친숙하게 접근하고자 하는 노력은
세계화의 흐름에 편승하고자 하는 K-POP 의 일시적인 생존전략일 뿐이며 장기적인
세계 시장에서의 K-POP 의 성장을 담보할 수는 없다.
한국에서 B 급 문화로 포지셔닝 된 싸이를 월드 스타로 부상시킨 요인은 개성과
열정이다. 잘나가는 연예인의 전형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외모와 스타일이지만
싸이는 자기 고유의 장점을 부각시켜 글로벌 스타가 되었다. 싸이는 한 토크쇼에서
아시아 가수들을 겨냥하여 “왜 사람들에게 미국인처럼 보이려고 하는지
모르겠다.”라고 이야기 하면서, 자신은 가장 자신답게, 한국인답게 보이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덧붙여서 말했다.69
현재처럼 유사한 형태의 K-POP 을 계속 수출하면 외국 언론의 ‘찍어내기 식
공장상품’이라는 비난에 변명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 K-POP 이 일부 변방에서
신드롬을 일으키고 끝나는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주류 시장에
편입되기 위한 K-POP 고유의 콘텐츠 특색을 발굴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우리의
문화성을 드러내지 못하는 기존의 모습들이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K-POP 은 흔하고
유사한 다른 서구의 음악에 덮여 단순히 먼 나라에서 온 음악으로 전락할 것이다.

4.1.3. 짙은 상업성과 체계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부족

현재의 K-POP 이 아시아 시장에서 확실한 콘텐츠를 지니고 있고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밖의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은 위의 두
가지 문제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의 부재라는 점도 한 몫 했다.
K-POP 의 주요 수익 창출수단을 보면, 해외 유통사를 통해 음원 및 음반을
판매하는 것이 가장 비중이 높은 방법임을 알 수 있다. 해외 공연과 콘서트 역시 높은
수익 창출방법의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낮은 인지도로 인하여 해외 유통사를 통한
음원 및 음반판매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퍼포먼스를 중시하고 싱글앨범 위주인

69
강남스타일 한류의 글로벌전략 방정식을 다시 쓰다 (KT 경제경영연구소, 송민정, 2012/9/12)
- 46 -
K-POP 의 특성상 음원 및 음반 판매가 취약하다. 해외 공연과 콘서트 역시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는 거리상의 제약과 홍보비용으로 인해 수익률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유튜브와 인터넷을 비롯한 SNS 를 통해 촉발된 효과를 수익으로
전환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부족하여, 그 효과를 수익으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한류를 통해 대형기획사들이 막대한 수익을 거둬들이자, 많은 사람들은 ‘한류가
얼마를 벌어 들었는가’에 집중할 뿐 해당 국가에 맞춘 체계적인 비즈니스 모델에는
집중하지 않는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의 SNS 를 통해 K-POP 를 인기를 얻자, 단편적인 수익에
집중하여 행사를 기획하는 사례가 많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K-POP 열기의
찬물을 끼얹은 결과도 촉발되었다. 2012 년 7 월 6 일 미국 LA 에 위치한 Home depot
center 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2012 SBS K-POP Festival in LA’는 당초 인피니트,
소녀시대, 샤이니, 카라, 2PM, 포미닛, 비스트, 씨스타, 시크릿 등 화려한 출연진으로
화제를 모았으나, 일방적으로 공연을 유보하면서 팬들에게 아쉬움을 주었다.
소속사에서 주최하는 단독 공연이 아닌 방송사 주최 공연의 경우, 인기 최정상의 여러
가수들을 한꺼번에 섭외해 기대감만 높여 놓고 기획력 부족이나 현지 사정으로 인해
공연을 취소하거나 유보하는 경우가 종종 이루어 졌었다.70 같은 해, KBS ‘뮤직뱅크’가
주최한 파리 공연은 K-POP 주소비층이 학생임을 감안하지 않고 비싼 가격으로
티켓을 팔았다가 좌석이 남아도는 사태가 발생, 부득이하게 둘째 날 공연을 취소하는
망신스러운 사태를 맞기도 했다.
현재 K-POP 을 소비하는 주요 계층은 어느 국가에서나 대부분 10~20 대 위주의
학생들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현지 상황이나 정서를 고려하지 않고 상업적 관점으로
접근하면 K-POP 의 인기를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4.2 중국, 일본의 성공 사례에서 보는 시사점

70
International BNT news(2012), 소녀시대·샤이니 출연 예정 美 K-POP 페스티벌 돌연 연기…
왜?
- 47 -
4.2.1. 소셜 미디어의 적극적인 활용

SNS의 등장으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서로가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으며, 어디를 가든지 시시각각 핸드폰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확

인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검색량 기준으로 세계 2위의 검색엔진인 ‘유튜브’

역시 무료로 동영상을 배포하면서 그 영향력을 넓혀 왔다. 중국과 일본 시장에서 K-

POP이 넓은 저변을 가지고 진출할 수 있었던 계기는 유튜브와 같은 비디오 SNS였다.


유튜브에 뮤직비디오나 무대영상을 올리면 그것이 SNS로 급속히 전파되면서 단기간에
많은 K-POP의 음악뿐만 아니라 아티스트, 비주얼, 패션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다. 정식으로 진출하지 않은 신인 아티스트의 경우에도, K-POP 쇼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중국과 일본 등에 인지도를 넓혔으며, 어느정도의 팬덤이 형성
된 후에 해당 국가에 진출하는 전략으로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해외 시장에 안착할 수
있었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현재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외국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K-POP을 접할 수 있게 한 요인도 SNS이다. 따라서 중국과 일본 시장에서 SNS를 활
용한 방법을 다른 국가에도 확산할 수 있다. 특히 시, 공간의 제약이 있었던 과거와 대
비하여 현재 SNS라는 전략은 훨씬 더 강력하고 효율적인 무기가 될 수 있다.
1990년과 2000년대 초 미국과 유럽 시장에 진출하고자 했던 K-POP 관계자들은
고비용 저효율 홍보정책을 펼쳐왔다. 하지만 이제 시대의 흐름은 SNS를 통한 빠른 정
보공유이고, 그에 발맞추어 적극적으로 SNS를 활용함으로써 K-POP을 알려야 한다.
또한 SNS와 유튜브 모두 영상을 올리고 공유하는 것이 무료라는 점에서, 신인 가수
나 처음 진출하는 아티스트도 부담 없이 시장을 파악하고 접근 할 수 있는 비용 대비
홍보효율이 클 것이라고 분석된다. 이와 더불어 비용적 이슈로 다양한 가수들의 홍보에
소극적이었던 K-POP시장도 SNS를 통해 아이돌 가수 이외의 가수들을 세계 시장에
알림으로써 K-POP의 다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 48 -
4.2.2. 음악성과 퍼포먼스

K-POP 의 경우 아이돌 댄스음악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오랫동안 훈련되고,


철저한 환경에서 교육받은 완성형 아이돌은 지금도 K-POP 을 이끄는 핵심이 되고
있다. 퍼포먼스 또한 통일성을 강조한 군무를 완성하고 있다.
기존 중국과 일본의 대중이 K-POP 에 기대하는 부분은 음악성 보다는 아이돌로서
가지고 있는 컨셉과 퍼포먼스였다. K-POP 은 음악성을 강조하는 아티스트보다는 만능
엔터테이너로서의 역량이 대중들에게 기대 되었기 때문에, 만능 엔터네이너로서의
역량을 지니고, 일정 수준 이상의 음악성까지 지닌 한국의 K-POP 스타는 중국과
일본에서 큰 인기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음악 시장에서 아티스트와 아이돌의 구분이 확실하게 나뉘어
있는 것에 반해 유럽과 미국 음악 시장에서 음악성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특출난
퍼포먼스를 지닌 아티스트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이는 중국과 일본의 성공 사례에서 보는 다른 시사점이며, 기존의 미국, 유럽
시장에서 우리가 간과했었던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하루에도 수 백, 수 천건의 음악이
유입되는 주류 서구 음악 시장에서, 최종적으로 대중의 이목을 끌 수 있는 것은 K-
POP 만이 가지고 있는 퍼포먼스 뿐만 아니라 그 기반이 되는 음악성이다. 패션, 컨셉
등으로 잠시의 화제를 얻을 수는 있겠지만 결국 이러한 모습이 거대한 미국, 유럽 음악
시장에서 주류 시장에 편입 될 수 있는 것을 담보하지는 못할 것이다.
음악 시장의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음악상품의 특성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SA)을 실시하여 시장의 국가별 이질성을 확인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K-POP 음악의 독창성에 대한 만족도가, 일본에서는 안무에 대한 만족도,
서양에서는 가창력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71

71
한사람(2012), “ISA를 활용한 K-POP의 국가별 중요도-만족도 비교”, 대학원생 우수논문집
- 49 -
표 13. 다중회귀분석과 ISA 비교를 통한 K-POP 의 국가별 중요도-만족도72

이렇게 국가 별로 가지고 있는 중요도에 기반하여, 미국, 유럽 등 서구 권에 K-


POP 이 진출하기 위해서는 가창력, 즉 음악성이 당연한 기반이며 만족도를 주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될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4.2.3. 현지 문화에의 이해와 철저한 준비

유럽과 미국 음악 시장은 그야말로 서구 문화의 중심이며, K-POP 관계자라면 관심이


있을 만큼 거대하고 많은 잠재력을 지닌 시장이다. 하지만 현재의 열풍에 기인하여
국내 매체들이 성급하게 K-pop 이 유럽을 휩쓸었다”거나 “점령했다”거나 “유럽이
K-pop 에 열광하고 있다”고 설명하는 것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주관적인 관점에서
성급하게 일반화 하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실제로 이러한 관심이 철저히
호기심에 바탕을 두고 있어 이 새로움에 대한 관심이 끝나면 곧 사라질 것이며
보이밴드나 걸그룹 들을 내세운 상업적인 문화의 상품화는 오히려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것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72
한사람(2012), “ISA를 활용한 K-POP의 국가별 중요도-만족도 비교”, 대학원생 우수논문집
- 50 -
아시아적 정서로 이해할 수 있었던, 중국, 일본에 진출하기 위해서도 국내 K-POP
관계자들은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체계적인 현지 진출 전략과 현지화 멤버를 통한
기획 단계를 거치고 나서야, K-POP 은 본격적인 일본 진출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는
미국, 유럽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과도 무관하지 않다. 특히나 아시아와 이질감이 있는
미국 유럽의 경우는 더욱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유럽과 미국 진출을 이야기
하면서 기본적인 의사 소통이 불가능한 상태로 진출을 논한다거나, 현지의 진출 전략
수립에 있어 한국적인 비즈니스 정서로 현지의 정서와 문화를 무시한다면 장기적인
K-POP 의 인기와 진출은 어려울 것이다.

4.3 미국, 유럽 진출 전략을 위한 제언

4.3.1. K-POP의 콘텐츠의 개성 수립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말은 패션이나 건축과 같은 분야는 물론

K-POP에도 해당한다. 중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모두 K-POP에 대한 인

기 비결로 ‘신선함’, ‘새로움’을 꼽았다. 한국의 K-POP은 기존 시장에서 노출되던 식상

하고 일반적인 문화에서 벗어나, 현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는 또 다른


새로운 문화라는 것이다. 이 말은 양날의 검과 같다는 점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후크
송과 세련된 컨셉으로 중독성이 강하고, SNS를 통한 노출이 강한 K-POP의 특성 상,
현재 주류 문화에서는 K-POP이라는 생소한 문화를 처음 접했을 때, 그 매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자극에 미국, 유럽의 대중이 익숙해 지는 순간
K-POP은 식상해 질 것이며, 유사한 스타일을 지닌 한국 K-POP 아티스트들에 대한
관심도 또한 떨어지게 될 것이다.
현재 해외에 진출하는 한국 가수들의 대부분은 외국어로 번역된 가사와 외국스타일의
멜로디를 강조하며 K-POP의 특성을 특색있게 드러내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패션이나

- 51 -
컨셉 등에서도 타 국가의 그것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미국, 유럽에서 K-POP의 성공을 거둔 싸이의 경우도 실제로 K-POP을 알리기 위
해 본인에게 익숙한 한국적 정서를 버리거나, 타국의 문화와 자세를 반드시 차용하겠다
는 자세를 갖지 않았다.

싸이가 아시아 가수들에게 일침을 가했다. 유튜브 8억 뷰를 돌파하며 팝스타 저스


틴 비버를 제치고 역대 최다 클릭 신기록을 세운 싸이가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아시아
가수들에게 아쉬움의 쓴소리를 했다. 싸이는 QTV가 12월 1일 오후 9시 30분 방송하
는 인터뷰 프로그램 '토크아시아(Talk Asia)'에 출연해 "많은 동양 가수들이 이유는 모
르겠지만 미국인처럼 행동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난 미국인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인처럼 행동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단호히 말한 싸이는 "난 내 신분과 직
업, 국적을 그대로 유지하고 싶다"고 당당히 밝혔다. 이와 더불어 싸이는 자신의 생각과
일맥상통하는 세계 진출 공략법도 공개했다. "미국 스케쥴로 비행기에 탔을 때 세계에
나를 소개하는 전략을 구상해 봤다"는 싸이는 "어떤 자세로 나가야 하나에 대한 생각이
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고민 끝에 기본적인 원칙이 나왔다. 그건 '한국인답게

가자'였다”며 “미국의 인기 토크쇼 ‘앨런 쇼’에서 춤추기 전 자기소개를 먼저 했던 것도

그런 이유였다”고 밝혔다.(후략)73

싸이는 기존의 가수들과 차별화되어 한국인으로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하였으며, 가장 자연스러운 한국적 사고의 기반 속에서 해외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고
자 노력하였다.
이처럼 K-POP에 한국적 요소와 개성을 담는 것은 한국 고유의 전통 문화만을 표현
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역동성, 발랄함,
순수함 등 현재 미국, 유럽에서 K-POP의 인기 요인으로 꼽고 있는 요소들을 한국적
가치로 승화시켜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73
2012.11, 뉴스엔 기사 일부
- 52 -
4.3.2. 체계적인 현지화 전략 수립

K-POP 콘텐츠에 있어 한국적인 K-POP만의 개성을 보여 주어야 한다면, 그 진출


전략에 있어서는 각 국가에 맞는 체계적인 현지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
기적인 규모의 확산보다는 장기적으로 해당 국가의 대중의 수요에서 비롯한 진정한 문
화의 교류가 필요하다.
일부 매니아 층의 한정된 문화라는 등 K-POP에 대한 여러 가지 비판에도 불구하고
SM 타운 파리 콘서트는 성공적이었고, 루브르 박물관에서의 플래시몹은 인상적이었다.
이렇게 프랑스, 유럽, 더 나아가 글로벌 한류 팬덤의 사회적 의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지 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다양한 프로젝트의 추진과 기회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관점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해외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단기적인 이익을 좇는 단체들의 난립으로 당장 지금의 미국, 유럽의 K-POP
이 위협 받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 정책과 일부 이익 집단의 수익 창출 목적에 의한 인위적인 문화 교류가 아니라
상대방의 필요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라야 해당 국가의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중심
적인 문화가 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문화상품 교류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간접 지원도 필요하다. ‘정서적 침략’과 같은 느낌을 주

는 과도한 성과 홍보와 비약을 지양하고, 미국, 유럽에서 실질적으로 K-POP 진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각국 문화시장 현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
는 정보를 수시로 제공하거나, 중국의 불법 복제에 대한 저작권 확보나 외국 영상물 방
영 쿼터 제한 완화와 같이 현지의 각종 규제와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외교적 노력을 기
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유럽 현지 수용자들의 한국 대중문화와 K-pop 팬덤을 구축하
게 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제대로 이해 하고 본격적인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 53 -
Ⅴ. 결론

5.1. 결론 요약

한류라는 단어가 생기고, 우리나라의 문화산업이 세계에 이름을 알린지도 어느덧


10 년이 지나가고 있다. 최초에 드라마를 통해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 시작된 한류는
이제 K-POP 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과 미국, 남미 등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K-POP 의 성공요인으로는 생산과
소비, 분배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예술사회학 분야에서 문화 현상 요인을 분석 할 때
사용하는 ‘문화의 다이아몬드 모델’에 기반 하여 보았을 때 생산자(기획사의 체계적인
제작시스템), 전달방식(소셜 미디어의 적극 활용), 소비자(IT 에 친숙한 능동적 소비자),
콘텐츠(노래, 안무, 비주얼 완비)로 분류해서 알아볼 수 있었다.

K-POP 은 한국의 대중가요로서 우리나라와 외국시장에서의 성공을 통해 한류의


중심으로 우뚝 섰다. 현재 태동기에 있는 미국, 유럽의 K-POP 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중국과 일본에서 성공했던 것처럼 체계화 된 현지화된 전략을 수립하여 준비된 만능
엔터테인먼트로 완성된 한국형 아이돌을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탄탄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K-POP 콘텐츠 속에서 한국적인 정서를
세련된 트렌드로 승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댄스음악으로 대변되는 K-POP 의
획일적인 특성에서 탈피하여 한국적인 느낌과 문화를 담을 수 있는 K-POP 이 되어
하며, K-POP 가수들도 자신만의 스타일과 개성을 강화함으로써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정보사회인 만큼 그 중심에 있는 IT 를
적극 활용하여 대중들이 K-POP 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이와
동시에 대중들에게 강력하게 어필할 수 있는 통로로서 유튜브나 SNS 를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K-POP 은 좀 더 발전된 음악으로서 나아갈 수 있으며 하나의


문화로서 세계인들에게 각인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이제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 54 -
있는 K-POP 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우리나라를 벗어나 세계인의 마음속에서 울려
퍼지는 날이 오기를 희망한다.

5.2.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중국, 일본 시장에서는 성공했지만 서구권 시장에서 이제 태동기에 있는


K-POP 현황을 조사하고, 그 전략을 찾아내면서 K-POP 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현재까지의 현황과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하였지만, K-POP 에 대한 선행 연구를 위해 기존 문헌 연구에 그친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아시아 이외의 서구권 시장을 보기 위한 목적에도 불구하고, 연구 범위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가 미국과 유럽, 유럽 중에서도 프랑스에서 위주로 국한 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만약 유럽 여러 국가의 현지 반응을 분석하고, 해당
내용을 심층적으로 비교할 수 있었더라면 조금 더 풍부하고 실증적인 연구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 55 -
<참고문헌>

고정민(2009),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09, p.30.


채지영(2011)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민수(2012) K 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삼성경제연구소
박승룡(2011) 新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풀어야 할 숙제. 한국무역보험공사
조형근, 김휘정(2011) 신한류 현상의 특징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문화체육관광부(2012)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변미영(2011) K-POP 이 주도하는 신한류. 한국콘텐츠진흥원
허원재(2011)2011 한류의 동향과 발전방향
채지영(2011)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신현준(2005), “케이팝의 문화정치학: 월경하는 대중음악에 관한 하나의 사례연구”,
언론 과 사회, 제 13 권, 제 8 호, pp.7-36, 2005.
이원희(2011)신한류를 활용한 인바운드 관광정책방향:대중문화 K-pop 를 중심으로
이동열(2010) 한국 방송․연예 매니지먼트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김학선, KPOP 세계를 흘리다, 을유문화사, 2012. 8 고정민(2010), “한류지수의 산정
및 경제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주호일(2012)신한류의 현황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정윤경, 이기태, “이질 문화권 수용자의 한국 영상물 이용과 문화적 근접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경제와 문화, 제 9 권, 제 4 호, pp.141-181, 2011.
서민수(2012), “K 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김영덕(2011) 케이팝(K-POP)의 일본 진출 현황과 활성화 전략
김성섭․김미주(2009),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 국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4),101-125. 2 조성아(2010),
“한류가 한국의 수출과 FDI 에 끼치는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 교
대학원.
Griswold. W. (1994) "Cultures and Societies in a Chaging World, Pine forge
Press, ; Alxander, V. (2003), "Sociology of the Arts: Exploring Fine and Popular
Forms, Blackwell 33
중국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대응 전략(음악) 2014 -11 호(통권 88 호)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월간)이슈브리핑. 제 1 호 (통권 1 호)
한국콘텐츠진흥원(2010), 일본 콘텐츠산업동향 2010 년 39 호
KOTRA(2011) 글로벌 한류 동향 및 활용 전략
KOTRA(2011) K-POP 의 유럽진출과 한국 국가브랜드
KOTRA(2011) 호주 K-POP 열풍, 시드니 착륙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2011) 해외한류동향. 2010
문화체육관광부(2010), “2010 콘텐츠산업통계”
지식통계부(2010) “연간수출입동향”
한국콘텐츠 진흥원(2010), “방송콘텐츠 수출입 현황”
삼성경제연구소, 한류문화, 2005.

- 56 -
현대경제연구원(2011) 신한류, 지속가능한가?
삼성 경제 연구소(2012), "K 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 전략"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p.38, 2012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p.49, 2012
정해승(2011) 킬러 콘텐츠 승부사들. 다산북스, 서울
유상철(2005)한류의 비밀. 생각의나무, 서울
문효진(2011), “한류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를 위한 과제” 국회세미나 발표 자료집,
p.11, , 38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p.46,
키움증권(2014), “한류의 시작은 중국이다”, 산업분석
동부증권(2015), 엔터테인먼트 산업 동향
매일경제(2012.3.22.일자)
OSEN(2012. 2.28 일자)
서울경제(2012,11,24 일자)
시사 IN(2010.11.17)
중앙일보(2010. 9. 2 일자)
한겨레(2012. 2.14 일자)
조선일보(2012. 11..24 일자),(2011. 7.11 일자)
시사코리아(2011. 1.17 일자)
텐아시아(2014.12.19.) 아듀! 2014, 대중음악 결산 ③ ‘케이팝 한류’중국으로
진로를 돌 리다
한국경제(2014.12.25.) 빗장 풀리는 中 서비스 시장 K 팝, 중국 공연 내년 2 배로
…SM·YG 등 기획사 수혜
위클리공감, <소셜미디어의 잠재력-문화콘텐츠 성장, SNS 에 물어봐!>, 2010
문화예술 트랜드 분석 및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p.46, 2012
<K-POP 인베이전 ④ 한류, 디지털 날개를 달다>, 중앙일보, 2011.01.21.
한국관광공사(2011), K-POP “제2의 한류 관광 이끌까?”, Exciting Korea 매거진
비즈니스워치(2013), JYP, 뉴욕 본사 건물 390만불에 팔았다
스포츠 조선, 2012.10.18 53 싸이 강남스타일, 빌보드 메인차트 2위에 , (경향신
문:2012년9월28일)
싸이 <강남스타일>, 유튜브 조회수 1위 올라 , (조선일보:2012년11월26일)
조선일보(2014), 씨엘, 싸이 외국 매니저와 손잡고 미국 진출
오마이스타(2014), 싸이는 성공했는데, 왜 원더걸스는 실패?
조선일보(2012), 비와 원더걸스가 실패한 미국에서 싸이가 성공한 까닭
손승혜 (2011).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Korean Connection 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 2.0시대의 진단과 분석 학술대회.. 서울신문(2011), 프
랑스 젊은이들 매료시킨 ‘K팝 그룹’ 파리공연
오세정(2012), “K-POP의 선호 요인: 미주 지역의 K-POP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
관 성연구
홍석경(2012), “콘서트에서 열광하는 10대 한국 드라마 다운받아 보는 30대- 프랑
스 를 중심으로 본 유럽의 한류”, 2012.06 신문과 방송

- 57 -
International BNT news(2012), 소녀시대·샤이니 출연 예정 美 K-POP 페스티벌
돌 연 연기…왜?
한사람(2012), “ISA를 활용한 K-POP의 국가별 중요도-만족도 비교”, 대학원생 우
수논문집
김주현․안경모,「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 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컨텐츠학술논문지, 제 12 권, 제 1 호, 2012.
김진아, 「아이돌 중심 대중음악시장의 한계에 관한 연구 : 아이돌 가수 탄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1.
김현회, 「DICON 2012 전문가가 바라보는 K-POP 의 현황과 그 매력, K-POP 은
잠재력이 있다!」, 한국콘텐츠 진흥원 2012. 9. 13.
변미영, 「K-pop 이 주도하는 신한류 : 현황과 과제, KOCCA 포커스」,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03. 15.
서민수, 「“K 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12.
송민정, 「‘강남스타일’, 한류의 글로벌전략 방정식을 다시 쓰다」, kt
경제경영연구소, 2012.
오세정, 「K-pop 의 선호요인 : 미주지역의 K-pop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성 연구,
제 24 권 205 호, 2012. p8~13.
원용진·김지만, 「연성국가주의에 편승한 연예기획사와 한류의 미래, 한류 2.0 시대의
진단과 분석」, 한국언론학회, 2011.
장규수, 「한국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글로벌문화컨텐츠학회 제 2 호,
2009.6.
채지영,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p 25.
강준만, “강남스타일은 한국사회를 어떻게 풍자하는가?”, 뉴스트렌드리포트,
2012.08.19.
남승원, 「“인디디가수 리본, 독일서 인기몰이 '인디도 한류다'”」,
tvReport,2011.7.7.
서정민, 「“케이팝 아직은 일회용, 진정성 있는 메시지 전달해야”」, 남궁연-로버트
스티븐슨 케이팝 대담, 한겨레, 2012.6.
이재훈, 「[종합]싸이 '강남스타일' 유튜브에서 비버 추월…1 위」, 뉴시스, 2012.11.
정명화, 「성룡 "韓 아이돌 그룹, 비슷해 구분 안 간다"」, 조이뉴스, 2012.11.30.
최신애, 「싸이 "왜 미국인처럼 행동해?" 아시아 가수들에 일침」, 뉴스엔, 2012.11.

- 5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