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대한기계학회 2018년도 학술대회 KSME18-Fr01B001

표면 구조에 따른 탄성 실린더의 저주파수 대역 음향 성능

마평식†․ 이성현*․ 서윤호*․ 김현실*

Low-frequency Acoustic Performances of Elastic Hollow Cylinders


with Attached Sub-wavelength Rods

Pyung-Sik Ma, Seong-Hyun Lee, Yun-Ho Seo and Hyun-Sil Kim

Key Words: Elastic hollow cylinders(탄성 실린더), Transmission loss(투과 손실), Absorption
coefficient(흡음 계수)

Abstract

In this study, the acoustic performances of elastic hollow cylind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low-frequency range. Depending on its geometric and material properties, an elastic cylinder exhibits a
resonant peak in the transmission loss and absorption coefficient. Here, it is shown that the resonant
frequency can be controlled by introducing sub-wavelength rods to the surface of the elastic cylinders.
When the sub-wavelength structures are attached to the hollow cylinders, the effective elastic properties
can be manipulated due to the abnormal dispersion, leading to a change in its resonant frequency. The
acoustic performances of elastic hollow cylinders with surface rods were evaluated for normal
incidence and confirmed by impedance tube measurement.

1. 서 론 2. 음향성능 해석 및 측정

본 연구에서는 점탄성 매질로 이루어진 중공 2.1 표면 구조에 따른 음향성능 해석


실린더의 음파 투과 및 흡음 특성에 대하여 연구 탄성 실린더의 공진 주파수는 실린더의 직경,
하였다. 실린더의 공진 모드를 이용하여 저주파 두께와 같은 기하학적 변수와 함께 탄성 계수,
수 대역의 음파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 밀도 등의 물성치에 따라 결정된다. 직경과 두께
1,2
능하며 ,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고자 실린더 표면 를 증가시키는 경우 실린더의 면 질량이 증가하
에 미소 구조를 배치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 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감소하게 된다.3 본
표면 구조를 변경할 경우 실린더를 이루는 탄성 연구에서 제안하는 탄성 실린더의 경우 Fig.1(a)
매질의 전파 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 과 같이 표면에 미소 구조를 단방향 혹은 양방향
며, 이에 따라 탄성 실린더의 공진 주파수를 조 으로 부착하여 탄성파의 전파 속도를 제어함으로
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표면 구조에 써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고자 하였다.
따른 음파의 투과 손실(Transmission loss) 및 흡음 실리콘 고무(E = 593 kPa, ρ = 1080 kg/m3)로 이
계수(Absorption coefficient)를 수치 해석을 통해 루어진 탄성 실린더(de = 40 mm, te = 2 mm)의 수
확인하였으며, 임피던스 튜브에서 측정된 음향 직 방향으로 음파(250 ~ 600 Hz)가 입사되는 경
성능을 제시하였다. 우의 투과 손실을 해석하였다. 실린더 형태의 미

†회원, 한국기계연구원,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소 구조(dr = 3 mm)에 따른 해석 결과를 Fig. 1(b)


E-mail : psma@kimm.re.kr 에 나타내었으며, 부착한 미소 구조와 동일한 부
TEL : (042)868-7828 FAX : (042)868-7440 피를 갖도록 중공 실린더 두께를 전체적으로 증
* 한국기계연구원, 기계시스템안전연구본부

62
Fig. 1 (a) Unit structures of elastic hollow
cylinders with one-sided and both sided surface
rods, (b) Transmission loss of elastic hollow
cylinders Fig. 2 (a) Transmission loss and (b) absorption
coefficient of elastic hollow cylinders with
가시킨 경우와 비교할 때, 표면에 미소 구조를 one-sided surface rods
부착한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공진 주파수를 갖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착된 미소 구조의
높이 hr에 따른 투과 손실 및 흡음 계수를 Fig. 2
제시하였으며, 구조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탄성
실린더의 공진 주파수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2 음향성능 측정 결과
해석을 수행한 탄성 실린더 중 hr = 4 mm의 미
소 구조가 단방향으로 부착된 경우에 대하여 시
험품을 제작하였다. 직사각형 단면(260⨯210 mm)
을 갖는 덕트를 이용하여 투과 손실을 측정하였
Fig. 3 (a) Photograph of fabricated elastic
으며, 표면 구조의 유무에 따른 투과 손실을 비
cylinders with and without surface rods, (b)
교하였다. 단일 실린더를 Fig. 2(a)와 같이 덕트
Transmission loss measured in the impedance
중앙에 설치한 측정 결과를 Fig. 2(b)에 나타내었
tube (260⨯210 mm)
는데, 탄성 실린더의 공진 주파수는 부착된 미소
구조로 인하여 12.8 % (68 Hz) 감소하는 것으로
3. 결 론
확인되었다. 해석 결과에서 예측된 공진 주파수
감소량은 14.98 % (74 Hz)이며, 해석에 사용된 물
본 연구에서는 중공 실린더 표면에 부착된 미
성치 및 제작 오차에서 오차가 비롯된 것으로 생
소 구조를 변경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
각된다.
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
로 단일 공진 주파수를 갖는 탄성 실린더의 작동
주파수를 넓혀 광대역에서 공기 중 음파를 제어
할 수 있는 구조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63
후 기

본 연구는 한국기계연구원의 연구과제 “저주파


흡/차음용 극한 물성 시스템 융합기술 개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Vasseur, J. O., Deymier, P. A,, Khelif, A.,


Lambin, Ph., Djafari-Rouhani, B., Akjouj, A.,
Dobrzynski, L., Fettouhi, N. and Zemmouri, J.,
2004, "Phononic crystal with low filling fraction
and absolute acoustic band gap in the audible
frequency range," Physical Review E, Vol. 65,
056608.
(2) Jing, X., Meng, Y. and Sun, X., 2015, "Soft
resonator of omnidirectional resonance for acoustic
metamaterials with a negative bulk modulus,"
Scientific Reports, Vol. 5, 16110.
(3) Krynkin, A., Umnova, O., Taherzadeh, S. and
Attenborough, K., 2013, "Analytical approximations
for low frequency band gaps in periodic arrays of
elastic shells," The Journal of the Acoust. Soc. of
Amer., Vol. 133, 781.

6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