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protecting music performer's neighboring rights

Federation of Korean Music Performers

Fe rote
de ct
p
FKMP

ra ing
Main Business

tio m
n us
음실련 주요사업

of ic
Ko p
re erf
an or
M me
징수 및 분배 ■ Collection and Distribution

us r'
ic s n
Pe ei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rfo gh
rm bor
er ing
Federation of Korean Music Performers

s
●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복제권, 전송권 등 신탁관리업 허가(2000.11)
신탁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를 통해

rig
● 인터넷 음악서비스, 유무선정보서비스, CF, 영화음악 등에서 징수 및 분배

ht
사용료 음실련의 다양한 정보와 소식을 전합니다.

s
● 온라인 음악시장의 유료화 및 합법화를 유도, 시장질서 확립 등
친구신청하고 '좋아요' 꾹 눌러주세요.
●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방송보상금 관리단체 지정(1988.08)
방송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이하‘음실련’이라함)는 저작인접권집중관리
● 판매용음반의 방송보상금 징수 및 분배
보상금 blog.naver.com/fkmp88 facebook.com/fkmp88 twitter.com/@snsemswk25
● 보상금 요율 협상, 음악사용내역 등 분배자료 확보 단체로서 음악실연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음악실연자의 상호 교류와
디지털 협력을 통하여 음악실연 활동의 증진을 기하며, 음악실연자의 활동
음성송신
여건을 개선함으로써 그 지위향상을 도모하여 우리나라 문화발전에
보상금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입니다.
●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디지털음성송신보상금 관리단체 지정(2008.03)
● 디지털음성송신보상금 징수 및 분배 음실련은 1986년 12월 31일 개정된 저작권법(법률 제3916호)에
● 보상금 요율 협상, 음악사용내역 등 분배자료 확보 의해 실연자의 저작인접권이 보호받게 되면서 그 저작인접권의
공연 FKMP 보호 및 관리를 위해 1988년 8월 문화체육관광부의 법인설립
보상금 Federation of Korean 허가를 받게 되었으며, 동년 10월 판매용음반 방송보상금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공연보상금 관리단체 지정(2009.09)
Music Performers

수령단체로 지정되면서 저작인접권의 보호를 위한
● 판매용음반의 공연보상금 징수 및 분배
첫발을 내딛기 시작하였습니다.
● 보상금 요율 협상, 음악사용내역 등 분배자료 확보

수입실적(사용료+보상금) 증가 추이
음악실연자의 이후 2000년 11월 신탁관리업 허가를 받아 복제권,
방송권, 전송권 등을 행사하게 되었으며, 2008년 3월에는
디지털음성송신보상금 수령단체로, 2009년 9월에는
07532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 202-17 4th Floor FKMP bldg. 202-17, Heojun-ro Gangseo-

저작인접권
250
음실련회관, 4층 gu, Seoul 07532 Korea
판매용음반 공연보상금 수령단체로 지정되면서 명실
단위 억
Tel 02-745-8286 Fax 02-766-1034 Tel +82-2-745-8286 Fax +82-2-766-1034 www.fkmp.kr 자주묻는질문 상부한 국내 유일의 음악실연자를 대표하는

FAQ
200
저작인접권관리단체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150
이 외에도 음실련은 국내외 여러 단체들과의 교류에

대교 →
100 힘쓰고 문화향상 발전에 기여한 단체와 개인에
가양
가양6단지아파트 가양7단지아파트 가양테크노타운

대한 시상 및 공연활동 지원 등 실연자의 활동여건


50 가양도시개발
보상금 서울가양초등학교 9단지아파트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경서국민

0
신탁사용료 체육센터 실연자의 복지향상, 저작권법 개정 등 실연자의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강서구청 지위향상을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별관
앞장서고 있습니다.
경서중학교
분배 프로세스 ■ Distribution Process
강나루현대아파트
한화비즈메트로 1차
이마트 대중음악, 국악, 순수음악 등 여러
음실련은 신뢰할 수 있는 분배자료를 통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분배를 지향하며 실연정보 DB를
단체들이 모여 음악실연자의
활용한 분배금 산정 등 분배업무의 전산화를 구축하였습니다. ← 마곡지구방면 5 번 출구 우방아파트 1 번 출구 시내방면 →
저작인접권을 보호하는 음실련을
9호선 가양역 9호선 증미역
상징화하기 위해 음을 고정하는 음반을
외부 용역을 통한
강서
← 구청

>> 중심에 두고 손에 손을 모아 음악을


사용내역 확보 분배기준에 개별
사용내역과
분배대상 보호하기 위해 둘러선 모습을 표현함.
>> 음실련 실연정보 >> 따른 곡당 >> 실연자에게
금액확정
이용자 및 DB 매칭 분배금 산출 분배
저작권위원회를 통한 >>
사용내역 확보
Federation of Korean Music Performers
음악실연자의
Q1 저작권자와 저작인접권자는
Q5 음악실연자의
Q8 음악실연자가 신탁만하고 본인이 참여한 실연정보(앨범명, 제목, 참여분야)를
Q13 편집(컴필레이션)음반을 제작하는 사람이 실연자로부터 이용허락을

FAQ
무엇이 다른가요? 저작인접권료가 무엇인가요? 음실련에 신고하지 않았는데 저작인접권료를 받을 수 있나요? 받지 않고 편집음반을 제작해도 괜찮은가요?
저작인접권
A A A A
저작권법상 저작권자는 저작물을 창작하는 음악실연자의 저작인접권료는 저작권법에서 음악실연자에게 부여한 권리를 이용하기 위해 이용자가 지불하는 신탁한 회원은 본인의 실연이 음반 등에 수록되어 발매된 경우, 이를 지속적으로 음실련에 실연정보 등록신청을 해야 편집음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제가 수반되므로 가수, 연주자인 음악실연자에게도 이용허락을 받아야
사람을, 저작인접권자는 저작물을 전달하는 전송사용료, 복제사용료 등 사용료와 법에서 정한 요건에 해당하면 징수하게 되는 방송보상금, 합니다(음실련에서 자체적으로 실연정보를 조사하여 등록하고 있지만 제한적임). 만일 실연정보 등록신청을 하지 않아 합니다. 다만 편집음반에 사용하려는 음악이 수록된 음반의 음반제작자가 가수, 연주자의 몫까지 포괄하여
자 주 묻 는 질 문 사람을 의미합니다. 음악을 작사, 작곡, 편곡 디지털음성송신보상금, 공연보상금 등 보상금으로 구분됩니다. 해당 실연에 대한 실연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사용료의 징수와 분배가 불가능하며, 보상금은 징수는 가능해도 원활한 이용을 허락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사안별(양도, 구두계약, 친분관계 등)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하는 사람은 저작권자, 음악을 노래, 연주, 분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보가 발매되면 지속적으로 증빙자료와 함께 실연정보 등록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확인해야 음악실연자의 권리유무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지휘하는 실연자와 음악을 만드는 음반제작자

Q9
는 저작인접권자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이들에게
구분 내용 특이사항 비고
A가수의 음반에 건반만 제가 연주했는데

Q14
저작권법상 부여된 권리를 저작권과 저작인접권 전송 음악이 전송에 사용될 경우 전송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이라 합니다. 따라서 음악을 적법하게 이용하기 사
사용료 발생되는 사용료 음실련에 본인의 다운로드, 배경음악 등 저도 저작인접권료가 발생되나요? 신탁단체인 음실련과
권리를 신탁해야만
위해서는 저작권자뿐만 아니라 저작인접권자인 용
음실련에서 징수, 편집음반, 광고음악, 영화음악 등 대리중개업체는 무엇이 다른가요?
료 복제 음악이 복제에 사용되는 경우 A
실연자와 음반제작자에게도 이용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분배가 가능함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복제
사용료 발생되는 사용료
(전송과정에 일어나는 복제는 제외) 저작권법에서 실연은 저작물을 연기, 무용, 연주, 가창, 구연, 낭독 그 밖의 예능적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하며, A

Q2
실연을 지휘, 연출 또는 감독하는 자도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음반을 제작하는 과정에 연주자로 참여한 음실련은 신탁관리단체로서 신탁관리는 저작재산권의 관리 및 처분을 수탁자에게 위탁하는 것으로 수탁자는
판매용음반을 방송에 사용하는
음실련에 가입하면 방송
방송사업자가 음악실연자에게
판매용음반 경우에도 저작인접권이 발생되고 이러한 음반이 전송 및 방송 등에 사용되는 경우, 저작인접권료가 발생됩니다. 위탁받은 재산을 늘리거나 수익을 벌어들이며, 재산권 침해 발생시 적극적으로 법률행위도 대리 할 수 있어
보상금 개인이 가정에서 청취할 목적으로 만든 음반
어떤 혜택이 있나요? 지급하는 보상금 그 관리 범위가 포괄적입니다. 그러나 대리중개는 부동산 중개인과 마찬가지로 권리자의 재산권 이용에 대한

Q10
알선만 할 수 있어 둘의 관리범위가 서로 다릅니다. 음실련은 대리중개를 원하는 음악실연자를 위해 관련
A 판매용음반을 공연에 사용하는 자가 신탁여부와 무관하게
시행령이 정한 곳 제 노래가 노래방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음악감상실, 경마·경륜·경정장, 골프장, 업무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 공연 음악실연자에게 지급하는 보상금 대한민국 전체 왜 저작인접권료가 분배되지 않나요?
음실련은 음악실연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스키장, 에어로빅, 비행기, 선박, 기차,
상 보상금 단, 시행령에서 정한 곳만 음악실연자의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정부로부터 저작권 신탁관리업 허가 및 호텔, 콘도,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센터 등
금 징수가 가능함 보상금을 음실련에서 A

Q15
보상금관리단체 지정을 받은 단체입니다. 징수, 분배함
음악실연자는 음실련에 저작인접권 신탁을 통해 본인의 권리 음반을 인터넷망에서 공중이 동시에 음반
노래방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는 공연에 해당하며, 음악실연자는 판매용음반이 아닌 노래방기기에 고정된 음악에 한국 음악실연자가 외국에서 활동해도 저작인접권료가
디지털 대해서는 공연권이 없기 때문에 노래방에서는 저작인접권료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다만 노래방 기계를 제작하는
에 대한 이용허락 및 침해구제 등을 음실련이 행사하고 그에 음성송신
청취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자가 음이 유형물(CD, 레코드, USB 등)에 발생되나요?
음악실연자에게 지급하는 보상금 고정된 것으로 영상은 제외함 과정에 본인의 연주, 코러스가 이용허락 없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복제권이 발생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권리를 행사할
따른 신탁사용료를 직접 분배받게 됩니다. 보상금
(전송은 제외) 수 있습니다.(노래방기기 회사에 보수를 받고 연주 및 코러스한 경우에도 노래방기기 회사와 계약한 범위를 A

Q3
초과한 사용에 대해서는 그 사용을 중지 또는 이용허락 할 수 있음)
한국은 2008년 저작인접권자 보호를 위한 로마협약 및 WPPT(세계지적소유권기구
음실련에 가입하지 않으면

Q6
실연·음반조약) 등 국제조약에 가입하면서 국가를 초월해 음악실연자를 보호할 수 있는

Q11
저작인접권료를 받을 수 없나요? 음실련에 오늘 신탁가입 했는데
TV출연, 행사 등 열심히 활동하는데 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음실련 역시 최근 일본, 스웨덴 등 외국 보상금관리단체와 상호관리
신탁 이전에 발생된 저작인접권료는 어떻게 되나요? 계약을 체결해 양국 실연자들의 보상금 교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그 범위를 유럽 전역,
A
왜 저작인접권료가 발생하지 않나요?
아시아, 미국 등으로 넓혀갈 예정으로 향후에는 한국에 발매된 음악이 외국 방송이나
A
음실련에 가입하지 않으면 신탁사용료는 분배되지 않지만 보상금은 분배 A 공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상금을 징수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사용료의 경우에는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분배를 위해서는 본인이 참여한 앨범명, 곡제목, 사용료는 신탁계약의 체결로 회원과 음실련 간 저작재산권의 신탁관계가 완성되므로 신탁계약 체결 이후부터
음악실연자는 저작권법상 복제권, 전송권, 배포권, 대여권 등 여러 가지 권리를 인정받지만 음악시장에서 실제 다양한 매체의 출현 및 통합 그리고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 등으로 아직까지는 외국과
참여분야, 입금계좌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회원의 경우, 정상적인 분배를 사용료가 발생되며, 보상금은 신탁가입(분배신청)이전에 자신의 실연에서 발생한 미분배금이 있는 경우 소급하여
저작인접권료가 발생되는 이용형태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활동량과 무관하게 저작인접권료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호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위해서는 반드시 음실련에 내방해 본인의 실연정보(앨범명, 곡제목,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저작권법에는 3년이 경과한 미분배금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공익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공익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보상금에 대해서는 3년이 경과된 보상금도 소급하여 (음악실연자에게 저작인접권료가 발생하는 이용형태 : 본인이 참여한 음악이 방송, 공연, 인터넷방송 등에 사용되는 경우,
참여분야) 신고 및 분배 신청을 해야만 합니다.
분배하고 있음) 유무선 인터넷상에서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에 사용되는 경우, 본인이 참여한 음악이 콘텐츠 제작과정에 이용되는 경우)

Q16
다만 음악 실연이 재방, 삼방되는 경우 이에 대한 사용료가 지상파방송사를 시작으로 2016년부터 징수될 예정입니다.

Q4
작품조회/분배내역 등을 조회하고자 홈페이지
음실련에 가입하려면

Q7
로그인을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Q12
어떻게 해야되나요? 음실련은 저작인접권료를 저는 기획사와 전속계약시 저의 권리를 기획사에 양도했는데
언제 어떻게 분배하나요? 저작인접권료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A
A
A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에 따라 로그인 방식이
음실련을 직접 방문하여 담당자로부터 입회 및 신탁계약 약관에 대한 설명을 A
주민등록번호 입력방식에서 공인인증서 사용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들으신 후, 입회관련 서류를 작성 하시고 신분증 사본, 통장 사본, 증명사진 1매, 분배금은 징수시 확보된 음악사용내역(앨범명, 곡제목, 이용횟수)과 회원 본인이 신고하는 실연정보(앨범명, 제목, 참여 기획사와 권리양도 계약을 체결했다 하더라도 계약내용이 불법적이거나, 불공정한 경우, 계약을 무효화할 수 있으므
진행절차는 ①이메일 인증(최초 1회) -> ②공인인증서 등록 순으로
실연참여 사실에 대한 증빙서류(앨범 등)를 함께 제출합니다. 음실련은 실연자의 분야)를 매칭해 산출하며, 분배는 분기 1회 실시하는데 신탁사용료는 2월, 5월, 8월, 11월에 보상금은 3월, 6월, 9월, 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겠지만 사안에 따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제하기 어려우므로 기획사와 전속계약을 체결해
하시면 되며, 자세한 방법은 홈페이지 우측상단 [로그인 안내]를 참고
방문 접수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방문이 부득이하게 어려운 경우 실연자의 편의를 12월에 분배합니다. 만약 징수과정에 음악사용내역이 누락되는 경우에는 유사사업자의 사용내역을 이용해 분배하며, 야 하는 경우에는 공정거래위원회 표준 전속계약서를 활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변호사 등 법률대리인을 통해
하시면 됩니다.
위하여 우편 및 온라인 접수도 가능합니다.(음실련 홈페이지 입회신청 메뉴 참고) 징수했으나 실연정보가 없어 분배할 수 없는 경우에는 미분배금으로 처리한 후 실연정보가 확보되면 분배하게 됩니다. 계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