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공개특허 10-2013-0122639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13-0122639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13년11월0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F01D 23/00 (2006.01) F03B 13/12 (2006.01) 내셔날 리서치 카운실 오브 캐나다
F03B 13/22 (2006.01) F03D 5/06 (2006.01) 캐나다 온타리오 케이1에이 0알6 오타와 몬트리올
(21) 출원번호 10-2013-7014186 로드 1200
(22) 출원일자(국제) 2011년11월02일 (72) 발명자
심사청구일자 없음 리우, 펑페이
(85) 번역문제출일자 2013년06월03일 캐나다 뉴펀들랜드 에이1에이 3티5 에스티 존스
(86) 국제출원번호 PCT/CA2011/001224 베이커 스트리트 40
(87) 국제공개번호 WO 2012/058761 (74) 대리인
국제공개일자 2012년05월10일 고광옥, 김해중
(30) 우선권주장
61/409,639 2010년11월03일 미국(US)

전체 청구항 수 : 총 20 항
(54) 발명의 명칭 요동형 포일 터빈

(57) 요 약
요동형 포일 터빈은 유체 유동 내에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유체 역학면을 갖는 포일, 포일을 위한 서포트,
제2 유체 역학면을 구비하며, 서포트는 서로에 대해 제1 유체 역학면 및 제2 유체 역학면의 주기적 운동을 허용
한다. 종동 부재는 포일의 히브 운동으로부터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제공된다. 주기 병진운동의 적어도 일부분 내
내, 제1 유체 역학면 및 제2 유체 역학면이 충분히 평행하고, 실질적인 위그 효과를 달성하도록 충분히 작은 거
리 만큼 분리되어 있다.
대 표 도 - 도1c

-1-
공개특허 10-2013-0122639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유동에서 유체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요동형 포일 터빈으로서,

양력을 생성시키도록 설계된 제1 유체 역학면과 코드 길이(lc)를 가지며, 히브 방향으로 실질적인 운동을 갖는


상기 유동 내의 주기적 요동에 대한 서포트에 장착되는 제1 포일과,

유입 방향 및 히브 방향에 대해 수직한 유효 지면을 생성시키도록 상기 유동 내에서 작용하는 제2 유체 역학면


과, 그리고

일을 수행하기 위해 히브 운동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1 포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주기의 일부분 동안 내내 상기 제1 유체 역학면은 코드 길이(lc)의 약 20% 미만 만큼 상기 유효 지면과 분


리되고, 상기 유효 지면은 상기 제1 포일의 적어도 80%가 상기 히브 방향에서 상기 유효 지면 상으로 돌출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은 해양 유동 또는 반대의 해양 유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은 바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역학면은 상기 지면을 형성하는 벽이고, 상기 벽은 제1 포일의 적어도 90%, 보다 바람직하게 95-


295%, 보다 바람직하게 100-150%,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5-125%가 상기 히브 방향으로 상기 유효 지면 상에 돌
출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은 캠버형 포일이며, 상기 제1 유체 역학면은 상기 제1 포일의 평면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형 포일 터빈.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은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에서 동등하게 작동가능한 가역적 포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2-
공개특허 10-2013-0122639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포일의 강체 돌출부가 통과하는 가이드웨이를 포함하여, 프레임에 상기 포일을 연결하기 위


한 병진운동 조인트를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웨이는 실질적으로 히브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
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 포일의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포일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강체


돌출부가 통과하는 한 쌍의 슬릿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 및 강체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슬
릿에 상기 제1 포일을 연결시키기 위한 병진운동 조인트를 제공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 포일이 실질적으
로 롤링, 스웨잉, 또는 요잉 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 포일의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포일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강체


돌출부가 통과하는 한 쌍의 슬릿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 및 강체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슬
릿에 상기 제1 포일을 연결시키기 위한 회전 병진운동 조인트를 제공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 포일이 실질
적으로 롤링, 스웨잉, 또는 요잉 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역학면은 상기 유효 지면에 상기 제1 포일을 작동가능하게 제공하도록 이동되는 제2 포일 상에


있으며, 상기 제1 유체 역학면 및 상기 제2 유체 역학면은 모두 흡입면이거나, 또는 모두 상기 제1 포일 및 제2
포일의 가압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은 크기와 외형이 유사하고 상기 주기의 부분 내내 동일한 비율로 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의 부분 내내,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은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 사이에 거울 대칭


을 제공하기 위해 유사한 영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3

-3-
공개특허 10-2013-012263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은 상기 주기 동안 상기 포일의 영각의 제어된 변화를 위해 모두 프레임에 연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은 상기 주기 동안 상기 포일의 영각의 변화를 제어하는 기계식 제어기에 의해


프레임에 모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 각각은 상기 주기 동안 상기 포일의 영악의 제어된 변화를 위해 상기 포일 내


에 매설된 회전 모터의 차축을 통해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차축은 상기 포일의 피칭을 그라운딩하기 위해 드
라이브 체인의 또는 상기 프레임의 회전가능한 베어링면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 각각은 상기 주기 동안 상기 포일의 영악의 제어된 변화를 위해 상기 포일 내


에 매설된 회전 모터의 차축을 통해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차축은 상기 포일의 피칭을 그라운딩하기 위해 드
라이브 체인의 또는 상기 프레임의 회전가능한 베어링면과 만나며, 잠금 메카니즘이 각각의 스트로크의 개시에
고정된 영각으로 설정되고 각각의 스트로크의 종료시에 해제되어, 상기 회전 모터가 오로지 스트로크 사이의 피
칭 간격 동안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에 연결된 부재는 제1 포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히브 방향으로 연장하는 왕복 푸시로드이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연속적인 회전을 위해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일은 상기 크
랭크샤프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일에 연결된 부재는 제1 포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히브 방향으로 연장하는 왕복 푸시로드이며,


상기 왕복 푸시로드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일은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청구항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해진 일은 전력 발생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4-
공개특허 10-2013-0122639

청구항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들의 피치 축선에 법선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

명 세 서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대체로 유체 유동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요동형 포일 터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유동에서 터빈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에너지 획득의 파워 성능을 최대화하고 효과적으로 향상시키
기 위해 위그 효과(wing-in-ground effect)의 영향을 받도록 구성되는 요동형 포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조력 또는 풍력으로부터 이용되는 재생 에너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되었다. 여러 하이드로포일/에어포일 터
빈 구성이 발전기로서 디자인되었고 개발되었다. 이들 터빈의 대부분은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발전기에 연결
되며, 대부분 유동으로부터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로터 블레이드를 갖는 수평 또는 수직축을 이용하는데, 이
는 비교적 높은 임계 유입 속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장치는 주기 내내 가장 균일한 드라이브를 제공하며 이
에 따라 안정된 발전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장치의 에너지 밀도는 원하는 무언가가 남으며, 이들이 차지하는 체
적이 너무 크고 다루기 불편하다. 수평 또는 수직 구성으로 컴팩트하게 회전 블레이트 터빈을 배치하는 것이 어
렵고, 따라서 넓은 영역에 걸쳐 에너지를 충분히 획득하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회전 터빈 블레이드
의 표면에 대한 유체력은 블레이드의 스팬을 가로질러 불균일한 속도 분포로 인해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효율
손실에 추가로, 팁 영역에서의 매우 무거운 하중의 블레이드 표면은 조류 터빈 블레이드에 대한 캐비테이션으로
인해 그리고 풍력 터빈 블레이드에 대한 압축성 효과로 인해 추가의 효율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캐비테이션은
소음과 진동의 공급원이며 조류 터빈 블레이드를 균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03] 수중 실시예에서, 높은 속도는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을 한정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균일한 유동은 빈
번하게 깊이로 한정되지만 폭 및 길이로는 자주 고비용인 영역 내에 제공된다. 더욱이, 표면 차량 운항에 대해
많은 물의 바디가 필요로 하며, 그래서 물 간극의 최소 깊이가 유지되어야 한다. 요동형 포일 터빈은 보다 적은
깊이를 점유하며 따라서 주어진 스팬에 대해 보다 많은 물 간극을 제공하여 보다 적은 물 깊이를 필요로
하므로, 방대한 양의 위치에서 전개될 수 있다. 심해 작동은 디자인, 터빈 제조, 및 설치, 유지보수 및 작동에
있어 상당히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요동형 포일 터빈은 해양 생물체에 보다 친화적이고 그물망과 해초를 잡
기가 보다 쉽지 않다. 따라서 실행가능한 요동형 포일 터빈을 구하고자 하는 여러 이유가 존재한다.

[0004] 요동형 포일 터빈의 아이디어는 수년 동안 있어왔다. 회전 블레이드 터빈의 스핀회전 블레이드 대신에, 포일을
요동시키고, 통상 유동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포일을 병진이동시킨다. 다른 운동이 추가로 서지 변위를 수
반하는 운동들과 같이 공지되어 있지만, 대부분 종종 요동형 포일 터빈은 히브 및 피치 방향으로만 변위한다.
포일들은 유효 영각(피치)에 좌우되며 유동의 방향에 대해 요동 포일의 순간 운동의 결과로서 알려져 있는 양력
의 상이한 양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1 스트로크(통상 "업" 스트로크라고 하며, 배향과 무관함) 동안
최대 가능한 양의 양력과 제2 ("다운") 스트로크 동안 거의 동일한 음의 양력을 제공하도록 피치각을 제어함으
로써, 주기 실질적인 순수 파워가 요동 포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0005] 이들 제너레이터는 극도의 큰 발전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고립된 연안 공동체 내에, 섬 내 물길, 그리고 오프쇼
어 설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너레이터는 댐과 비교해서 작은 환경 충격, 비교적 낮은 설비 및 작동 비
용을 가지며, 매우 특수한 연안 지형 또는 해양 흐름 역학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이들을 상당히 매력적으로 만
든다.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발전 분야에서 수용되지 않고 있고 기술은 실질적으로 미개발로 남아 있다.

[0006] 펄스 타이달(UK)은 단일형 반잠수식 데크 상에 2쌍의 요동 하이드로포일을 나타내는 웹사이트를 갖는다. 이 2쌍


의 하이드로포일은 수평으로 분리되며, 병렬로 유동과 조우하고, 2쌍의 포일들은 탠덤(하나가 전방에 하나가 후
방에)으로 배치된다. 이들 쌍의 포일은 180° 어긋난 위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여져서, 하나의 포일이 파워
스트로크에 있는 동안 다른 하나의 포일이 복귀 스트로크에 있으며, 그 반대로 가능하다. 더욱이, 제2의 쌍이
제1의 쌍에 대해 90° 어긋난 위상이며, 제1 쌍의 포일들은 파워와 복귀 스트로크 사이의 변화에 가깝고, 제2

-5-
공개특허 10-2013-0122639

쌍은 파워와 복귀 스트로크의 중심에 있다. 관절형 엘보우 조인트를 갖는 피봇형 아암 구조물에 포일이 연결된
것으르 명확히 도시되었음에도, 본 문서는 포일 운동이 전기로 어떻게 변환되는지를 설명하지 않는다. 결국, 포
일의 운동은 아치형의 운동으로 인해 히브, 피치 및 서지의 복합적이다. 포일의 서지 운동은 아치형 운동의 결
과이며, 이러한 운동은 추기의 일부 동안 추가된 유입 속도를 발생시키며 주기의 반대 동안 동일한 값으로 유입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유효 유속에서의 변화는 파워 발생의 효율을 감소시킴에 따라 대체로 바람직하지 않
다.

[0007] 유동의 방향으로 쌍으로 된 포일의 분리가 제공된다면, 작동 중에 포일들 사이에 동적 위그 효과가 생성되지 않
는다. 아암이 장착되는 경사진 상승 구조물이 주어지면, 그리고 포일이 지면에 근접하면서 가장 큰 서지 변위를
제공하는 포일의 아치형 코스가 제공되면, 정적 위그 효과가 생성되지 않는다. 작동 중에, 이들 포일은 포일 상
의 정상 하이드로다이내믹 힘에 대해 양력을 발생시킨다.

[0008] 패이쉬(Paish)의 국제특허공개(WO) 제 2009/068850호는 포일이 반대 위상으로 연장하고 회전적으로 대칭적으로


크랭크샤프트 상에 지지하는 쌍으로 된 요동 하이드로포일 터빈을 개시한다. 이 포일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피치 제어는 피봇 아암에 부착된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공된다. 크랭크샤프트에 포일을 연결하는
푸시로드는 또한 피봇 아암에 연결된다.

[0009] 국제특허공개(WO) 제 2009/068850호의 도 2에 도시된 터빈은 터빈의 유입 및 유출 경로 내에 다수의 프레임을


가지며, 이것은 포일을 부분적으로 막고 유동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푸시로드가 길어질 수록 유동의 속도에서의
감소가 더욱 적게 발표되었지만, 푸시로드가 길어질 수록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보
다 강하고 보다 무거워지며 터빈의 관성이 보다 커진다.

[0010] 국제특허공개(WO) 제 2009/068850호은 위그 효과의 영향을 개시하거나 제안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순간에
서, 포일은 다소 평행한 것으로 보인다(크랭크핀의 위치가 주어진다면, 하나의 포일이 다른 포일의 경미하게 업
스트림임). 이들이 크랭크샤프트를 구동시키고 그래서 하나의 포일이 중간 다운 스트로크에 있고 다른 포일이
중앙 업 스트로크에 있는 경우에만 포일들이 유동과 정렬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의 운동 방향이 반대이
므로, 이들이 근접하는 경우 포일들의 영각은 동일한 방향으로 피칭되어 인접하는 측면들이 하나의 흡입과 하나
의 가압이라면(양의 양력에 대해 하나, 음의 양력에 대해 다른 하나,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 피벗됨). 포일들이
실질적인 동적 위그 효과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히 근접했었다면, 이것은 결합부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위그
효과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임의의 경우에, 포일들의 분리는 포일들의 코드의 20% 보다 더 크게 되는 듯 하지
만, 의미있는 위그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0011] 예컨대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6,877,692호에 개시되어 있듯이, 잠수식 및 표면 워터크래프트에 대한 추진 시


스템으로 위그 효과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추진기는 정상 유동에서 에너지를 이용하는 패시
브 포일로부터 실질적으로 실질적으로 여러 특성들을 가진다. 이 포일들은 추진기 포일과 비교해서 낮은 부하를
가지며, 위그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포일의 최적화는 전력 발생에서 실험되지는 않았다. 실제 추진기는 제너
레이터에 대한 터빈으로서 사용된다면 매우 형편없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예상한다. 배경 기술에 공지된 터빈은
위그 효과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았다. 실질적인 간극이 작동 안정성에 대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
에, 그리고 유입류 속도가 플로어 상의 큰 경계층 부근에서 가장 느리기 때문에, 물의 바디의 플로어는 위그 효
과 요동형 포일 터빈에 대한 지면으로서 거의 사용될 수 없다. 생선된 파워는 유입 솔도의 큐브에 따라 대체로
변화한다.

[0012] 비교적 낮은 유동에서의 전개에 적합한 보다 높은 효율의 보다 높은 파워 성능 요동형 포일 터빈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13] 본 출원인은 유체 유동에서 양력을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며 주어진 길이의 코드를 갖는 포일을 이용하여 요동형
포일 터빈의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위그 효과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발견하였다. 적어도 포일의 80%(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90%, 보다 바람직하게 95%, 또는 100%)가 유입류에 수직한 방향으로 지면 상에 돌출하도록,
이 포일은 유효 지면에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된다(20% 코드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 15% 코드 길이, 보다 바람직
하게 10% 또는 미만의 코드 길이와 같이). 이로써 중요한 위그 효과가 양력을 증대시키게 한다. 유효 지면은 동
적 위그 효과를 생성시키며 2개의 포일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유체-동역학적 벽에 의해 또는 정적 위그

-6-
공개특허 10-2013-0122639

효과를 생성시키는 벽(바람직한 수평 포일에 대해 천정 또는 플로어)에 의해 제공된다. 위그 효과는 1)포일이


유효 지면을 향해 이동한다면; 2)보다 평편하고 형상화된 표면을 각자 갖는 비대칭형 포일에 대해 보다 평면한
표면이 유효 지면에 보다 근접한다면, 그리고 동적 위그 효과에 대해, 3) 인접하는 표면이 모두 흡입면이라면,
또는 모두 가압면이라면, 대체로 향상된다. 본 출원인은 포일이 유사하고, 이들이 포일들 사이에 거울 대칭을
제공하도록 유사한 영각으로 적어도 근접하는 경우 균일한 비율로 수렴 또는 확산하는 것을 원한다. 실질적인
위그 효과는 요동 포일의 전체 사이클 내내 존재할 필요가 없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4]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유동에서 유체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요동형 포일 터빈이 제공된다. 상기
요동형 포일 터빈은 양력을 생성시키도록 설계된 제1 유체 역학면과 코드 길이(lc)를 가지며, 히브 방향으로 실
질적인 운동을 갖는 상기 유동 내의 주기적 요동에 대한 서포트에 장착되는 제1 포일과, 유입 방향 및 히브 방
향에 대해 수직한 유효 지면을 생성시키도록 상기 유동 내에서 작용하는 제2 유체 역학면과, 그리고 일을 수행
하기 위해 히브 운동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1 포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부재를 포함하
며, 상기 주기의 일부분 동안 내내 상기 제1 유체 역학면은 코드 길이(lc)의 약 20% 미만 만큼 상기 유효 지면
과 분리되고, 상기 유효 지면은 상기 제1 포일의 적어도 80%가 상기 히브 방향에서 상기 유효 지면 상으로 돌출
하는 크기를 갖는다.

[0015] 상기 유체 유동은 반대의 해양 유동과 같은 해양 유동 또는 바림일 수 있다.

[0016] 상기 제2 유체 역학면은 상기 지면을 형성하는 벽일 수 있고, 상기 벽은 제1 포일의 적어도 90%, 보다 바람직하


게 95-295%, 보다 바람직하게 100-150%, 보다 바람직하게 약 105-125%가 상기 히브 방향으로 상기 유효 지면 상
에 돌출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0017]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의 부분 내내, 상기 제1 포일은 유효 지면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제1 포일은 캠버형 포


일이며, 상기 제1 유체 역학면은 상기 제1 포일의 평면측일 수 있다. 상기 제1 포일은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유
동 중에 동등하게 작동가능한 가역 포일일 수 있다.

[0018] 상기 제2 유체 역학면은 상기 유효 지면에 상기 제1 포일을 작동가능하게 제공하도록 이동되는 제2 포일 상에


있으며, 상기 제1 유체 역학면 및 상기 제2 유체 역학면은 모두 흡입면이거나, 또는 모두 상기 제1 포일 및 제2
포일의 가압면일 수 있거나;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은 크기와 외형이 유사하거나; 상기 주기의 부분
내내 동일한 비율로 수렴 및 확산할 수 있거나;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은 상기 주기의 부분 내내 균일
한 비율로 수렴 및 확산하고, 제1 포일과 제2 포일 사이에 거울 대칭을 제공하기 위해 유사한 영각을 가지거나;
제1 포일과 제2 포일은 대칭이고; 또는 제1 포일 및 제2 포일은 캠버형이며 유사한 표면들이 마주하면서 서프토
에 장착된다.

[0019] 상기 서포트는 프레임에 포일을 연결시키기 위한 병진운동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프레임에 상기 포일을
연결하기 위한 병진운동 조인트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일의 강체 돌출부가 통과하는 가이드웨이를 포함할 수 있
거나; 상기 제1 포일의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포일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강체 돌출부가
통과하는 한 쌍의 슬릿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 및 강체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슬릿에 상기
제1 포일을 연결시키기 위한 병진운동 조인트를 제공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 포일이 실질적으로 롤링, 스
웨잉, 또는 요잉 운동하는 것을 막거나; 제1 포일의 축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포일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강체 돌출부가 통과하는 한 쌍의 슬릿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 및 강체 돌출부는 상
기 한 쌍의 슬릿에 상기 제1 포일을 연결시키기 위한 회전 병진운동 조인트를 제공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
1 포일이 실질적으로 롤링, 스웨잉, 또는 요잉 운동하는 것을 막거나; 또는 제1 포일의 축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포일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강체 돌출부가 통과하며 히브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정렬되는 한
쌍의 슬릿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 포일이 실질적으로 롤링, 스웨잉, 또는 요잉
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0020]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은 상기 주기 동안 상기 포일의 영각의 제어된 변화를 위해 예컨대 기계적 제어


기에 의해 모두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일 및 상기 제2 포일 각각은 상기 주기 동안 상기 포일의
영악의 제어된 변화를 위해 상기 포일 내에 매설된 회전 모터의 차축을 통해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차축은
상기 포일의 피칭을 그라운딩하기 위해 드라이브 체인의 또는 상기 프레임의 회전가능한 베어링면과 만나며, 각
각의 스트로크의 개시에 고정된 영각으로 설정되고 각각의 스트로크의 종료시에 해제되는 잠금 메카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모터가 오로지 스트로크 사이의 피칭 간격 동안 작동할 수 있다.

-7-
공개특허 10-2013-0122639

[0021] 상기 제1 포일에 연결된 부재는 제1 포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히브 방향으로 연장하는 왕복 푸시로드이며,


상기 일은 예컨대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왕복 푸시로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대안으로, 푸시로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연속적인 회전을 위해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일은 예컨대 발전기를 구동시
키기 위해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는 샤프트의 회전을 변경시키기 위한
기어와 맞물리는 랙과 연결될 수도 있다.

[0022] 요동형 포일 터빈은 포일의 피치 축선에 법선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일의 대향측면
에 상기 포일의 피치 축선에 법선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측벽은 4 방향으로 포일
챔버를 집합적으로 둘러싸는 히브 방향에 법선으로 연장한다.

[0023] 멀티-스테이지 위그 요동형 포일 터빈에는 향상된 파워 연속성이 제공되며; 요동 파워를 회전 에너지를 전환시
키는효과적인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위그 요동형 포일 터빈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포일은 포일의 서지 운동
이 없이 히브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타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가격적인 포일이 사용된다면 완전하게 양
방향 작동이 가능하다. 포일은 실질적인 기계없이 유입 또는 유출을 막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주기 진폭 및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피치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노즐/벽 설계는 (양방향 터빈을 사
용한다면 조류 유입의 상류 및 하류 모든 방향에 대해) 포일의 팁에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윙렛 효과를 생성
시키는 측벽들을 구비하여 포일 위치에서 유입 속도의 가속화를 생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24]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5] 아래에,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례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
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지표 효과(WIG effect) 영향을 받는 요동형 포일 터빈의 3개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구동 시스템에 포일을 연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메커니즘을 갖는 2 스테이지 요동형 포일 터빈의 개략도


이다.

도 3은 각각의 포일이 정적 지표 효과 영향을 받는 2-포일 구조물을 갖는 단일 스테이지의 요동형 포일 터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포일이 동적 지표 효과를 발생시키는 2-포일 구조물을 갖는 단일 스테이지의 요동형 포일 터빈의 개략도


이다.

도 5는 노즐을 형성하도록 둘러싸인 2-포일 구조물을 구비하며 양방향 유동에 적합한 외형을 갖는 포일을 구비
하는 단일 스테이지의 요동형 포일 터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제너레이터 하우징의 양측 상에서 서지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복수 쌍의 포일을 갖는 실시예의 개략도이


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6]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 유동에서 양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1 유체 역학면, 제2 유체 역학면, 서로에 대해
표면의 주기적 운동을 허용하는 포일과 제2 유체 역학면에 대한 서포트, 포일의 히브 운동으로부터 에너지를 이
용하도록 구성된 종동 부재를 구비하는 요동형 포일 터빈이 제공되며, 여기서 주기적 병진운동의 적어도 일부
동안 내내 유체 역학면들은, 포일 단면과 물질의 최대 두께에 따라 2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1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 10% 미만의 코드와 같이, 실질적인 지표(위그)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히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며
충분히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 포일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수직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수평으로 유동에 대해 수
직한 방향으로의 실질적인 운동을 포함하는 써킷(circuit)을 따르는 운동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0027] 위그 효과는 압력들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포일의 압력측 상의) 압축된 또는 (포일의 흡입측 상의) 희박한 유
체가 주변 유체로 확산되거나 끌어당겨질 수 있는 유량을 한정함으로써 포일 상의 양력을 증가시킨다. 유효 접
지는 한 방향으로 균등한 유동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며, 포일은 다른 방향으로 균등한 유동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하여, 오로지 균등한 유동에 대한 주변 표면 영역을 떠난다. 이러한 주변 표면 영역은 유동과 운동 매개변
수 뿐만 아니라 종횡비, 면적 및 거리(d)에 좌우된다. 코드 길이의 약 10%의 거리(d)에 대해, 양력의 실질적인
증가율은 20% 만큼의 향상된 효율(50-70%)로서 생성된다.

-8-
공개특허 10-2013-0122639

[0028] 도 1a, 도 1b 및 도 1c는 2가지 작동 상태에서 본 발명의 요동형 포일 터빈의 3가지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요동
형 포일 터빈과 호환가능한 다양한 구동 메카니즘과 지지 구조물은 이들 요동형 포일 터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는 것을 어렵게 만들지만, 2개의 시간 단계에서 포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운동 표시계와 변위로 표현된다.

[0029] 도 1a는 하나의 포일(1), 하나의 벽(2)의 요동형 포일 터빈을 나타낸다. 써킷 화살표(5)는 포일(1)(다른 도면들
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측면도로 도시되어 특수한 포일의 프로파일을 보여줌)이 한 방향 (즉, 수평, 수직 또는
다른) 유동(6)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속된다. 써킷 화살표(5)는 선형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지
만, 이 써킷은 유동의 방향에서 여러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써킷은 예컨대 루프/트랙일 수 있다. 포일
(1)의 양력을 변화시키기 위해 피치 제어를 사용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실속 영각(stall angle of attack)
이전의) 증가하는 각도에 대해 양력이 상승한다. 음의 영각을 갖도록 포일(1)을 젖힘으로써, 역전된 포일이 보
여지며, 음의 방향으로 약간의 양력이 얻어질 수 있다. 포일(1)의 단면이 (비대칭으로) 캠버곡선(camber)을 갖
는다고 가정한다면, 업 스트로크 동안 작은 피치 변위에 의해 원하는 양력이 용이하게 달성된다. 다운 스트로크
동안 양력에 동일한 음(negative)을 발생시키기 위해 보다 실질적인 피치가 요구되지만, 양 스트로크 동안 내내
실질적으로 균일한 파워를 생성시키기 위해 그렇게 하는 것이 현재로는 바람직하며, 이들 스트로크 사이의 피칭
간격 동안 오로지 낮은 파워 발생 간격들을 남긴다. 피칭 간격은 다음 스트로크를 시작하기 전에 포일의 재배향
으로 포일의 영각을 변경시키게 한다. 유리하게 포일은 스트림과 관성의 힘에 의해 실질적으로 재배향된다. 이
것은 또한 양 스트로크에 대해 동일한 피칭각이 사용되는 추가된 형상을 갖는 대칭 포일을 사용하는 경우 자동
피치 제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0030] 공칭 사이클 동안 인가되는 순수 힘은 유동에서 파워가 이용된다면 제공되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것은 양 스트


로크 사이에서 유체 역학적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동에 대한 외부 제어는 강력한
장비를 필요로 한다. 영각을 변경하기 위해 양력 제어 화살표(8)가 포일(1)의 피봇이동으로서 도시되었지만,
포일(1)이 포일(1)을 통과하는 축 둘레로 피봇이동가능한 연결을 위해 장착된다면, 다른 대안예가 고려된다. 오
로지 양력이 써킷을 통해 포일을 구동시킨다면, 양력 제어 사이클(정상 유동으로 가정)이 써킷 운동을
제어한다. 이렇게 한다면, 최적 길이를 초과한 보다 빠른 양력 제어 주파수가 보다 작은 써킷을 획득하고, 보
다 낮은 양력 제어 주파수가 주기의 말미들에서 체류 시간에 이른다.

[0031] 포일(1)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특수한 포일의 프로파일을 보여주지만 다른 것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포
일(1)은 유동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예컨대 수평으로 배향된다면 수직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배향된다면 수평
으로) 이동하도록 구속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포일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지만 이것은 결코 필수
적이지 않다. 포일(1)의 양력을 변화시키도록 주기적으로 피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실속 피
치에 부합될 때까지 영(제로)부터 영각을 증가시켜서 양력이 증가한다. 포일(1)이 음의 영각을 갖도록 포일(1)
을 기울임으로써, 역전된 포일이 생성되며, 음의 방향으로 약간의 양력이 얻어질 수 있다.

[0032] 벽(2)은 지지 구조물이 장착되는 매끄러운 구조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벽은 포일(1) 둘레로 유동을 가속시
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유동을 방해하는 해양 바디(marine body)의 플로어로부터 상승될 수도 있다. 포일(1)의
반대측 상에 대칭적인 벽이 제공될 수 있어서 포일(1)이 벽(2)과 떨어져 있는 주기의 부분 동안 양력을 향상시
킨다. 4개 측면에 대해 엔클로저(enclosure)를 갖는 포일(1)을 제공한다면, 효과적으로 노즐을 형성한다면, 팁
보텍스(tip vortex)로 인한 손실을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측벽들이 추가될 수 있다.

[0033] 유동으로부터의 파워가 서플라이에 연결되도록 주기(5)가 구동샤프트에 연결된다. 이 파워는 왕복 운동으로 제
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펌프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왕복 운동은 연속
적인 또는 역전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된다. 높은 신뢰도와 단단한 머신을 제공하기 위해, 단순한 머신을 구성
함으로써 왕복 운동(또는 다른 주기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다양한 선택사항들이 존재한다. 이
메카니즘은 예컨대 오로지 업 스트로크(up stroke)의 일부 동안 드라이브에 간헐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간헐적
연결이 메카니즘을 복잡할 수 있어서 마모에 보다 민감하기 쉽게 하고 보다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게 하며 더욱
이 파워 스트로크에 포일을 복귀시키기 위한 어떤 메카니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가속된 복귀 스트로크와 연결 메카니즘의 단순성과 신뢰성 모두는 육상 차량의 대부분의 트랜스미션과 유
사한 크랭크샤프트/푸쉬로드 메카니즘의 형태로 연속적인 커플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0034]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을 위해 모두 지지되며 하나의 포일이 처음으로 미러 이미지로서 작동하
는, 2개의 포일(1a, 1b)로 이루어진 요동형 포일 터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부호
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이들 주기(5)에서 포일들을 구동하
기 위한 메카니즘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축을 가질 수 있거나, 사이에 포일(1a, 1b)을 가지면서 마주하는 측

-9-
공개특허 10-2013-0122639

면에 개별의 메카니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작동식으로 형성된 지면(2a)이 반사면에 생성
된다. 포일(1a, 1b) 모두의 양력은 위그 효과에 의해 증대되며, 이는 효과적으로 증가한다. 2개의 포일의 파워
스트로크는 동시적이며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0035] 도 1c는 2개의 벽(2a, 2b), 선택적으로 형성된 지면(12c),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을 위해 모두 지지
되는 2개의 포일(1a, 1b)로 이루어지는 요동형 포일 터빈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하나의 포일이
먼저 거울 상으로서 작동한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며, 이들의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
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그 효과는 주기의 각각의 부분에서 2개의 포일 사이에, 그리고 각각의 포
일과 그와 가까운 벽 사이에 제공된다. 주기(5)에서 포일을 구동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
축을 가질 수 있거나, 사이에 포일(1a, 1b)을 가지면서 또는 2개의 포일(1a, 1b) 둘레로 모든 3개의 공간에 약
간의 구조적 부품을 가지면서 마주하는 측면에 개별의 메카니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0036] 전술한 주기들은 주기 내에 위치에 의해 구동력이 변화되며 일부의 경우에 이것이 고려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위
치 파워 불균형을 갖는다. 포일이 대칭 프로파일을 갖거나 일정한 규칙에 부응하고 스트로크의 말미에 이들 프
로파일을 역전할지라도, 피치 역전 동안, 실질적으로 드라이브에 인가되는 파워는 없다. 파워의 파열(burst) 동
안 회전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어된 플라이 휠과 같이, 거버너(governor)를 이용하여 종동 부재에 전력을 고루게
공급하고, 낮은 회전 에너지 기간 동안 저장된 에너지를 추가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복수의 요동형 포일
터빈이 다중-피스톤 엔진에 유사한 스테이지에 배열될 수 있다.

[0037] 스테이지들은 다양한 장치들 내에 전개될 수도 있다. 이 스테이지들은 병렬로(피치축의 방향으로 오프셋), 적층
식으로(히브 방향으로 오프셋), 또는 탠덤 배치로(서지 방향, 전방 및 후방으로 오프셋) 배치될 수 있다. 탠덤
배치는 전방 제너레이터(fore generator)가 후방 포일에 전달되는 유체의 속도를 늦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
러한 상황에서, 보다 큰 피치 또는 히브 진폭 또는 이들 모두가 후방 스테이지에 주어지지 않는다면, 주기 마다
동일한 힘이 2단 스테이지에 의해 달성되며, 각각의 후속하는 전방-후방 스테이지가 점차적으로 줄어든 복귀들
을 제공한다. 전방 및 후방 포일 사이의 간격은 속도의 실질적인 저장을 허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간격
을 선택함으로써 후방 스테이지(들)의 파워가 선택될 수 있다. 병렬 배치는, 임의의 개수의 스테이지를 통해 단
일 축이 형성되게 하고, 커플러의 가격이 보다 높아지고 복잡해 지며 손실적이고 보다 높은 유지보수를 하게 하
는 것을 방지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적층식 배치의 장점은 (특히 낮은 진폭 요동과 낮은 프로파일 포일에 의해)
스테이지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축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손실을 감소시킨다.

[0038] 도 2는 2-스테이지 요동형 포일 터빈(수평 포일 배치)의 변경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샤프트(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샤프트(10)에 주기적 선형 왕복(요동의 한 형태)을 커플링하기 위한 크랭크샤프트/푸시로드를
보여준다. 변경된 측면도는 양 스테이지의 측면도를 제공하며 제2 스테이지가 우측으로 병진운동한다. 포일 및
지지 프레임은 조류 해양 바디(tidal marine body)에 완전히 침지되며, 베드(bed)로부터 안정된 상승으로 유지
되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앵커 또는 부유 지지 구조물, 베드 안으로 안착되거나 천공된 강체 프레임, 또는 표
면으로부터 지지되는 강체 프레임을 예컨대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바람-기반 요동형
포일 터빈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선택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 범위에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0039] 각 스테이지는 동일한 구조이며, 동일 피치 및 진폭 제어을 갖는 동일 유동 체적을 커버하는 해양 흐름에 동일


하게 위치된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파워 주기를 제공해야 한다. 각 스테이지는 구조적 지지 구조물(15)의 각각
의 가이드웨이(14)에 의해 선형 왕복을 위해 지지되는 2개의 포일(12)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테이지는 또한 대
칭이며 동일한 구조인 2개의 상부 및 바닥 절반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절반부는 선형 왕복을 위해 포일(12)의
운동을 구속하는 가이드웨이(14) 내에 수용된 강체 돌출부(16)를 갖는 포일(12)을 포함한다. 이 강체 돌출부
(16)는 포일(12)의 축선 상에 있으며, 샤프트(10)의 토크 베어링면(22)에 연결된 푸시로드(20)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드라이버, 피치 제어를 허용하는 동종 회전 커플러(1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및 상부 포일
푸시로드(20)는 수평으로 분리된 회전상으로 대칭인 토크 베어링면(22)에 대해 지지하며, 도시되지 않은 바와
같이, 샤프트(10)는 2개 스테이지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2는 서로에 대해 90°어긋난 위상(out of
phase)인 2개 스테이지(S1 및 S2)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다른 스테이지들이 드라이브에 역시 연결된 것을 제안
한다. 사실상 임의 개수의 스테이지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적화는 많은 매개변수에 좌우될 것이다.

[0040] 작동에 있어서, 일단부에서 피치 제어 회전 커플러(18)에 연결되며 그리고 토크 베어링면(22)에서 회전 조인트


에 연결되는 푸시로드(20)는 샤프트(10)의 운동에 의해 왕복 운동을 기계식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푸시로드(2
0)에 의해 포일(12)에 연결된 크랭크샤프트는 포일의 히브 운동을 샤프트(10)의 회전으로 전환시킨다. 포일의
피치각이 주어진다면, 크랭크샤프트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자연적으로 조류 머신은 반복된 주기를 통

- 10 -
공개특허 10-2013-0122639

과하는 연속 작동을 위해 설계되며, 각각의 주기는 각각의 위상 사이의 2개의 포일이 이들 포일 사이에 작동적
지면(operational ground)을 생성하는 것을 보장하는 거울 대칭으로 작동한다. 포일에 대한 크랭크 아암의 연결
은 크랭크샤프트가 포일의 사이클링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보장한다.

[0041] 각각의 포일(12)은 (요동형 포일 터빈을 90°회전시킴으로써 동일한 요동형 포일 터빈 디자인이 수직 배치로 사
용될 수 있고 포일들이 유동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지라도) 유동에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웨이
(14)에서 왕복하도록 구속된다. 피치 제어 회전 커플러(18)는 포일(12)의 양력을 변화시키도록 구동된다.

[0042] 2-포일 스테이지가 도시되었지만, 기계의 절반을 제거함으로써 단일 포일 스테이지가 증명될 수 있고 이러한 단
일 포일 장치가 일부 적용분야에서 바람직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동일한 위그 효과는 보다 낮은 프로파일을 갖
는 단일 포일 스테이지 장치에 의해 제공되며, 그리고 포일(12)의 스팬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푸시로드(20) 사
이의 양 측면 상에 상부 및 바닥 벽을 구비할 수도 있다.

[0043] 도 3은 조류 해양 바디 내에 완전히 침지되도록 설계된 위그 효과 요동형 포일 터빈의 스테이지의 개략적인 정


면도이다. 동일 참조부호는 유사 구성요소를 가리키며,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포일(12)
의 스팬은 지면 안으로의 방향으로 지향되는 유동과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측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된다. 포일을
통과하는 것은 구조적 지지 구조물(15) 내에 가이드웨이(14)를 통해 연장하는 강체 돌출부(16)를 제공하는 차축
(axle; 30)이다. 이 차축(30)은 포일(12)의 내부에 유지되는 하나(또는 그 이상의)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
한 커플링은 제어된 피치 이동 뿐만 아니라 제한된 수직 병진운동을 제공한다. 이 피치 제어 모터는 따라서 고
립되며 주변으로부터 보호된다. 포일(12)의 차축(30)은 항상 평행하며, 그리고 최소거리와 최대거리 사이에서
변화하는 거리 만큼 분리된다.

[0044] 스테이지는 최대 거리에 포일(1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포일들이 가장 근접하는 곳인, 스트로크의 (근칭)
부분에 2개의 포일 사이의 가능한 최소 간극이 크랭크샤프트의 외경이므로, 2개의 포일 사이의 가능한 최소 거
리는 통상적으로 서로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에 너무 크게 되어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강한 위그 효과를 형
성한다. 포일 위와 아래의 벽(25)은 포일(12)에 원하는 만큼 가까이 위치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위그 효과가
가능하게 한다. 벽(25)은 이들이 작동 동안 여기에 인가되는 실질적인 압력에 의해 최소로 편향되도록 강성이며
비탄성이다.

[0045] 단부들에서 포일을 지지하는 것은 유입류 및/또는 유출류를 방해하는 지지 구조물과 연관된 손실을 향상시키며,
캔틸레버 거리를 감소시키고, 피치 모터 및 지지 프레임 상에 로드를 분포시킨다. 도시된 스테이지는 일단부 상
에서 다른 스테이지와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제너레이터에 연결된다.

[0046] 포일(12)의 대부분 전체에 걸쳐 포일에 대해 실질적인 정적 위그 효과를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 포일들(상부 및
하부) 사이로 그리고 크랭크핀 사이에 샤프트(10) 둘레로 부분 중간벽이 연장될 수 있고, 이 중간벽은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크랭크핀과 푸시로드(20)에 대해 충분한 개구를 가질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포일(12)의 코드
길이의 적어도 20% 내에서) 근접한 벽을 제공하며 공간을 충진한다. 크랭크핀 및 푸시로드(20)는 또한 도시된
것이 아닌 구조적 지지 구조물(15)의 다른 측 상에 또한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위치되므로써 포일이 상당히
보다 근접하며, 이는 크랭크핀(22)이 아니고 오로지 샤프트(10)의 외부 치수에 대해서만 간극이 요구되기 때문
이다.

[0047] 도 4는 포일(12) 사이에 끼이는 단일 크랭크샤프트에 대한 대안의 장치를 도시한다. 동일 참조부호는 유사 구성


요소를 가리키며,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양 포일 위와 아래에 제공되는 2개의 크랭크샤
프트가 기어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스테이지에 연결된다. 그러나 예컨대 벨트 또는 체인 드라이브를 이용하
여 또는 인접 스테이지와 직접적이고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제1 및 제2 스테이
지는 바람직하게 예컨대 유사한 시스템에 의해 제너레이터를 구동하도록 연결된다.

[0048] 출원인은 상부 및 바닥벽 없는 도 4의 요동형 포일 터빈 구성에 대해 시뮬레이션 작업으로 결정하였으며, 사다


리꼴 피칭 기능으로 구동되는 연속 드라이브 피치 모터를 구비하고, 2.5 ~ 5.0의 종횡비를 갖는 포일을 구비하
며, 2 포일 스테이지는 예컨대 베이(Bay) 또는 펀디(Fundy)에 제공되는 것과 유사한 유동 내 상당한 파워를 생
성시킨다. 주기 마다 모터에 의해 소비되는 파워는 생산된 파워의 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그리
고 바람직게로는 1% 미만이다.

[0049] 유체 역학에서, 벽들은 감금(confinement)을 제공하고 유동을 가속 및 제어할 수 있다. 상부 및/또는 바닥벽들
은 또한 위그 효과를 통해 양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들 벽은 또한 위그 효과없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평으로 배향된 래이아웃에서 측벽과 수직으로 배향된 단부벽들이 제공되어, 손실을 야

- 11 -
공개특허 10-2013-0122639

기하는 팁 보텍스를 감소시킨다. 도 5는 정적 위그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벽(25)과 손실을 야기하는 팁 보텍


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측벽(35)을 포함하는 노즐 기반 위그 요동형 포일 터빈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작동적으로 생성된 지면 평면도 또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측벽(35) 및 벽(25)은 4개의 측
면 상에서 폐쇄된 포일에 대해 챔버를 형성한다. 도시된 포일은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동안 역전되는 유동
내에 정확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터빈이 작동하게 하는 반대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대안으로 벽(25)은 예컨대 피
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동의 역전에 대해 준비 중에 포일 90°를 회전시키기 위해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요동형 포일 터빈은 역류에서 양 유동 조건 동안 작동할 수 있으며 예컨대 높은 조류 및 낮은
조류에서 전환한다.

[0050] 도 6은 대칭(타원형) 포일을 사용하며 역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
는 하우징(33)의 각 측면 상에 2쌍의 위그 효과 포일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33)은 4개의 크랭크샤프트를 포함
하는데, 동일선상 차축을 구비하며 하우징(33)의 좌우측 상에 배치되는 2개 포일의 각 세트에 대해 하나이며,
하나의 크랭크샤프트가 상부 전방 포일, 상부 후방 포일, 바닥 전방 포일 및 바닥 후방 포일에 직접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공통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는 포일들은 이들의 중앙에서 지지되는 하나의 포
일이 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하우징(33)은 측벽(35)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자인의 한가지 장점은 유동이 완전
히 역전되고 양 스테이지가 병치될 수 있어서 방수 및 기계적 부분 통합에 대해 양호하다는 것이다. 후방 포일
을 가로지르는 유속이 후방에서 보다 약해진다는 점에서 전방-후방 배치가 약간의 단점을 제공함을 상술하였지
만, 피치 및 히브 진폭 양쪽에 동등한 파워를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양의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후방 포일에 대
해 보다 큰 피치 또는 히브 진폭 또는 피치 및 히브 진폭 모두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았다.

[0051] 구조물에 고유한 다른 장점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이들 실시예는 여기에 도해적으로 설명되었으며 청구범위
에 기재된 바 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변경예는 당업자에게 명확하
며 다음의 청구범위에 속하도록 본 발명자에 의해 의도된 것이다.

도면

도면1a

도면1b

- 12 -
공개특허 10-2013-0122639

도면1c

도면2

- 13 -
공개특허 10-2013-0122639

도면3

도면4

- 14 -
공개특허 10-2013-0122639

도면5

도면6

- 1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