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보 도 자 료

2018년 7월 24일 10:00 이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보도일시
바랍니다.
환경부 서흥원 과장 / 강부영 사무관
기후전략과 044-201-6640 / 6647
담당부서
환경부 김정환 과장 / 박재완 사무관
기후경제과 044-201-6580 / 6585
배포일시 2018. 7. 24. / 총 13매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및


2018∼2020년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
◇ 2030년 배출량을 5억 3,600만 톤으로 낮추기 위한 BAU 대비
37% 감축목표 중 국내 감축량을 25.7%에서 32.5%로 상향 조정
◇ 배출권거래제 적용 업체들의 2018∼2020년 배출허용총량을
17억 7,713만 톤으로 확정

□ 환경부 장관 김은경 는 미세먼지 관리강화와 에너지전환 등 정부의


( )

국정과제를 반영하고, 국제사회에 약속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력을 높이기 위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로드맵 수정안’과 ‘제2차 계획기간 국가배출권 할당계획 2단계
계획’이 7월 24일 국무회의에서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 2030년 목표배출량 5억 3,600만 톤 달성 (BAU 대비 37% 감축)
※ 온실가스배출 전망치(BAU) : 현행 정책 이외에 추가적인 온실가스 감축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 미래 배출량 전망치
□ 정부는 로드맵 수정을 위해 지난해 민 관 연으로 공동 9월부터 ․ ․
작업단을 구성하여 올해 6월 정부의 수정초안을 마련했다.
○ 그간 3차례 공개토론회를 비롯하여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전용
누리집(www.2030ghg.or.kr)를 통한 의견수렴 등 온/오프라인을
활용하여 국민의견을 반영했다.

- 1 -
○ 이번에 확정된 감축 로드맵 수정안은 2015년에 발표한 국가 온실
가스 감축목표는 그대로 유지하되,

- 국내 부문별 감축량을 늘려, 감축목표의 30%, 즉 약 9,600만 톤에


달하는 국외감축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제2차 계획기간 배출권 할당계획은 이번 감축 로드맵 수정안에


근거하여 배출권거래제 적용대상 업체*들에게 2018 2020년까지 ∼
3년간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총량(배출허용총량)을 정하는 한편,

이를 개별업체에 나누어 주기 위한 기준을 세우는 계획이다.


* 2014∼2016년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12만 5천톤 이상인 업체 또는
2만 5천톤 이상인 사업장을 보유한 업체
○ 이번 계획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 ․
산업계 시민사회 전문가 등과
지속적인 의견수렴을 거치고, 배출권 할당위원회(위원장 경제부총리)
등의 심의 과정을 통해 마련되었다.

○ 이번 계획은 지난해 수립한 1단계 계획을 보완하여 2018 ∼ 2020년간

배출권거래제를 운영하기 위한 전체적인 틀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 로드맵 >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로드맵 수정안’의


기본방향은 우리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이행가능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었다.

□ 먼저 , 국내 각 부문별로 에너지 수요관리 강화, 에너지 효율화 추진,


저탄소 산업 육성 등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량을 이전 로드맵보다 약
5,800만 톤을 더 줄여 약 2억 7,700만 톤을 줄이는 것(기존: BAU

대비 25.7% → 수정: BAU 대비 32.5% 감축)으로 보완했다.

- 2 -
○ 전환 발전 ( , 집단에너지) 부문에서는 미세먼지 저감과 친환경에너지로
전환정책을 반영하여 약 2,400만 톤 감축을 확정하고, 약 3,400만 톤은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및 에너지세제 개편, 환경급전 강화
등과 연계하여 2020년 유엔에 수정된 국가감축기여(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제출하기 전까지 구체화하기로 했다.

○ 산업부문에서는 산업공정 개선과 , 에너지 절감, 우수감축기술 확산


등으로 약 9,900만 톤을 감축한다.

○ 건물부문에서는 신축 건축물 에너지기준 강화 , 기존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활성화 등을 통해 약 6,500만 톤을 줄인다.

○ 수송부문에서는 2030년까지 전기차 300만 대를 보급하고 친환경


대중교통 확충 등의 방법으로 약 3,100만 톤을 줄인다.

○ 그 외 폐기물 감량화와 재활용 활성화 ,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


목표관리제 강화 등의 조치로 약 1,100만 톤을,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 ·
활용기술(CCUS)을 활용하여 약 1,000만 톤을 줄일 계획이다.

□ 그리고, 국내감축 수단으로 줄이기 어려운 약 3,830만 톤(4.5%)은


산림 흡수원과 국외감축 등을 활용하여 해소하되, 구체적인 계획은
파리협정 후속협상 결과를 반영하여 마련하기로 했다.

○ 또한 , 북한 산림복구 등 남북협력사업이나 수소경제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을 활용하는 등의 다양한 감축방안도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간다.

□ 이번 로드맵은 기존 로드맵이 2030년 단일 목표만을 제시한데 반하여


3년 단위로 감축경로를 제시했다.

○ 아울러 계속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

이후는 선진국처럼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은 오히려


줄이는 탈동조화(De-coupling) 추구의 정책적 의지도 각각 담고 있다.

- 3 -
< 제2차 계획기간('18~'20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 2단계 계획 >

□ 제 차 배출권 할당계획에서는 수정 로드맵을 반영하여 배출권거래제


2

적용대상 개 업체들의 ∼ 년 배출허용총량을 총 억


591 2018 2020 17

7,713만 톤으로 정했다.

○ 2기에는 1기 대비 적용 대상 시설의 확대 및 배출계수 상향조정으로


인한 증가분이 7천여 만 톤이 포함되었다.

○ 국가배출량 중 배출권거래제 업체의 비중(직접배출 기준)도 1기

68.0%에서 2기 70.2%로 증가했다.

○ 이에 따라 526개 업체를 대상으로 시작한 제1차 계획기간(’15 ∼ ‘17년)의

허용총량인 16억 8,986만 톤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 부문별로는 발전사 등이 포함된 전환부문에 억 7 6,253만 톤, 산업


부문에 억 만 톤 건물․수송․폐기물 등
9 4,251 , 기타 부문에
7,209만 톤을 배분했다.

□ 제 차 계획기간 배출허용총량 중 업체들에게 사전에 할당된 양은


2

16억 4,298만 톤으로, 이는 업체들이 과거에 배출한 양보다 5.6%를

줄여나가야 하는 수치다.

○ 아울러 , ·
제2차 계획기간 중 신 증설될 시설 등에 대해 배출권을
추가할당하기 위해 1억 3,415만 톤의 예비분을 마련했다.

○ 배출권 거래시장의 유동성 확보와 가격급등 등 긴급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배출허용총량 외에 1,900만 톤의 물량도 준비했다.

□ 이번 제2차 할당계획에서는 처음으로 유상할당제를 도입했는데,


전체 63개 업종 중 발전사 등 26개 업종에 대해 97%는 무상으로
할당하고, 나머지 3% 물량은 경매 등을 통해 유상으로 할당한다.

- 4 -
○ 다만 , 유상할당시 국제무역이나 생산비용 증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37개 업종*은 이전과 같이 100%를 무상으로 할당한다.
* ① 무역집약도 30% 이상, ② 생산비용발생도 30% 이상, ③ 무역집약도
10% 이상 & 생산비용발생도 5% 이상 (배출권거래제법 시행령 제14조)
< 향후 조치 및 지원 계획 >

□ 향후 정부는 이번 로드맵 수정안 이행계획과 유상할당 수입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 등의 감축설비 설치를 지원하는 산업계 지원방안
등을 포함한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수정안을 올 12월까지

마련한다.

○ 또한 , 할당계획을 바탕으로 8월 중 개별 업체들의 배출권 할당


신청을 받아 10월 말까지 배출권을 할당할 계획이다.

□ 김영훈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이번 감축 로드맵 수정과 할당 “

계획은 지난해 월부터 산업계․시민사회․전문가 등과 지속적인


9

의견수렴을 거쳐 마련됐다”라며,

○ “기업과 국민들이 단기적으로는 부담이 느끼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우리 경제와 사회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가져올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저탄소경제 구축의 기회”라며, 온실가스 감축을 향한 정부 노력에
적극적인 지지와 참여를 요청했다.

붙임 1.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 로드맵 수정안 주요 내용.


2.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 2단계 계획 주요내용. 끝.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환경부 기후전략과


강부영 사무관(044-201-6647), 기후경제과 박재완사무관(044-201-6585)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5 -
붙임 1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안 주요 내용

(감축목표) 2030년 온실가스 감축후 배출량 536백만톤(BAU 대비 37%)

□ (계획기간) 2018 ∼ 2030년

□ (배출전망) 기존 감축로드맵 배출전망치인 2030년 850.8백만톤 적용


* 다만, 최근 배출추세, GDP 전망 등을 고려하여 부문별로 일부 배출전망 조정

□ (목표) 감축후 배출량을 536.0백만톤 이내로 유지(BAU 대비 37%,

‘15년 대비 22.3% 감축 )
ㅇ 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관리 강화, 우수감축 기술 확산 등을 통해
276.5백만톤 감축
*

* 전환부문의 추가감축 잠재량(34.1백만톤)을 포함한 양으로, 최종 배출 규모는


2020년 UN에 수정된 국가결정기여(NDC) 제출 전까지 확정

ㅇ 산림흡수원 활용과 국외감축 등으로 38.3백만톤을 추가로 감축하되,


파리협정 후속협상 동향 등을 고려하여 추진

< 기존 감축로드맵과 수정안의 국가 감축목표 비교 >

- 6 -
(부문별 감축수단) 친환경 에너지전환, 에너지 수요관리 강화, 신기술 육성
‧보급, 친환경차 보급 등으로 감축후 배출량을 574.3백만톤으로 조정

부문 감축 목표량 주요 감축수단

합계 276.5백만톤

o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17.9), 제8차 전력수급기본


계획(‘17.12) 및 RE 3020 이행계획 등 현 정부
전환 57.8백만톤 기후·대기·에너지정책 반영(23.7백만톤)
o 에너지세제 개편 및 환경급전 강화 등을 통해
34.1백만톤 추가감축 추진(’20년까지 확정)

o 스마트공장 확대 등 에너지 효율화, 우수감축기술


산업 98.5백만톤
확산 등 생산공정 개선, 제품 고부가 가치화 등

o 신축 건축물 에너지 기준 강화, 기존 건축물


건물 64.5백만톤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등

o 전기차 보급 확대(100만대 → 300만대), 친환경


수송 30.8백만톤 대중교통 확충, 자동차‧선박‧항공기 연료효율
개선 등

o 폐기물발생 全부문에서 감량화와 재활용 강화,


폐기물 4.5백만톤
매립 최소화, 메탄가스 포집‧자원화 등

o 공공기관 목표관리제 강화, LED 조명‧가로등


공공 5.3백만톤
보급 확대, 재생에너지 시설 확충 등

o 논물관리 감축기술, 양질사료 및 저메탄사료


농축산 1.6백만톤
보급 등

o 기존 로드맵 감축량 10.3백만톤을 반영하되, 관계


CCUS 10.3백만톤
부처 합동용역 결과를 토대로 구체화

기타 3.1백만톤 o 탈루부문 배출량 감소 반영

- 7 -
참고 1 감축로드맵 비교 및 감축경로

□ 2030 로드맵상의 배출전망치와 감축후 배출량, 감축률 비교


(단위 : 백만톤, %)
배출 2016년 로드맵 2018년 로드맵
부문 전망 감축후 배출량 BAU 대비 감축후 배출량 BAU 대비
(BAU) (감축량) 감축률 (감축량) 감축률
산업 481.0 424.6 11.7% 382.4 20.5%
배 건물 197.2 161.4 18.1% 132.7 32.7%
출 수송 105.2 79.3 24.6% 74.4 29.3%
원 폐기물 15.5 11.9 23.0% 11.0 28.9%
감 공공(기타) 21.0 17.4 17.3% 15.7 25.3%
축 농축산 20.7 19.7 4.8% 19.0 7.9%
탈루 등 10.3 10.3 0.0% 7.2 30.5%
감 (확정 감축량) -23.7
전환 (333.2)1 - 64.5 - 2 -
축 (추가감축잠재량) -34.1
수 E신산업/CCUS - - 28.2 - - 10.3 -

활 산림흡수원 - - -
용 - 38.3 4.5%
국외감축 등 - - 95.9 11.3%
기존 국내감축 631.9 25.7% 574.3 32.5%
합계 850.8 536.0 37.0% 536.0 37.0%
비고 : 1. 전환부문 배출량(333.2백만톤)은 부문별 전기/열 사용에 할당, 전체 합계에서 제외
2. 전환부문 감축량 23.7백만톤 확정, 추가감축 잠재량은 ‘20년 NDC 제출전까지 확정

□ 로드맵 감축경로

- 8 -
붙임 2 제2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 2단계 계획 주요 내용

□ 부문․업종의 분류
ㅇ (부 문) 로드맵과의 정합성을 위해 기존 5개 → 6개로 변경*
* 전환, 산업, 건물, 수송, 공공․폐기물 → 폐기물 / 공공․기타로 분리
ㅇ (업 종) 유상할당 시행에 따른 100% 무상할당 업종 선정과 연계,
경제적 특성의 객관적 반영을 위해 기존 26개 → 63개로 세분화*
*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소분류․세분류 기준
□ 100% 무상할당 업종 : 총 63개 중 37개

ㅇ (법적 기준) ① 무역집약도 * 30% 이상, ② 생산비용발생도 ** 30%

이상, ③ 무역집약도 10% 이상 & 생산비용발생도 5% 이상


* 해당 업종의 ’13∼’15년 (연평균 수출액 + 연평균 수입액) / 해당 업종의
’13∼’15년 (연평균 매출액 + 연평균 수입액)
** (해당 업종의 ’13∼’15년 연평균 배출량 × ’15∼’16년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
/ 해당 업종의 ’13∼’15년 연평균 부가가치 생산액
ㅇ (분 류) 붙임 2 참조

□ 배출권 총수량 : 붙임 3 참조
배출허용총량 外
배출권 총수량 배출허용총량
= + 예비분
17억9,613만톤 17억7,713만톤 1,900만톤
∥ ∥
사전할당량
(계획기간 전 할당)
시장안정화 용도 예비분
(필요시 활용)
16억4,298만톤 1,400만톤
+ +
기타 용도 예비분
(계획기간 중 추가할당)
시장조성 용도 예비분
(필요시 활용)
1억3,415만톤 500만톤
- 9 -
□ 예비분의 종류 및 운용방식
ㅇ (시장안정화조치) 1차 계획기간 수준의 수량으로서, 거래가격의
안정적 형성 등을 위해 필요시 할당위원회 심의 후 경매 등
방식으로 배분

ㅇ (시장조성 용도) ∼
’15 ’17년 배출권거래소 장내 배출권 거래량의
30% 수준으로서, 시장조성자(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가 거래
유동성 확보에 활용

ㅇ (기타 용도) 계획기간 중 신규진입자 할당, 신설 ․증설 시설


등 추가할당, 이의신청 처리 등에 활용

- (전환 부문) 8차 전력수급계획 등을 고려, 배출허용량의 10.5%

- (전환 외 부문) 제1차 계획기간 실적 등을 고려, 배출허용량의 5.5%

※ 당초 전환 부문 12%, 전환 외 부문 6%로 설정하였으나, 발전․산업계


의견수렴을 통해 하향조정
□ 업체별 배출권 할당방식
◦ 할당 해당 시설별 과거 배출량을 기준으로 할당
(G F ) (BM 할당
방식 적용시설 外 부분에 적용 )

◦ (BM 할당) 해당 시설별 설비효율(배출량/활동자료량(생산량 등))을


고려하여 할당
업종(약칭) BM 대상시설
석탄기력 발전시설
발전 LNG 복합 발전시설
중유 기력 발전 시설
LNG 복합 열병합 발전시설
집단에너지 LNG 복합 열병합 발전시설
산업단지 석탄 기력 열병합 발전시설
정유 석유정제시설
시멘트 회색클링커 소성시설
항공 민간항공기 국내 운항시설 중 제주 노선
민간항공기 국내 운항시설 중 내륙 노선
폐기물 하수처리시설
- 10 -
□ 업체별 할당량 산정식 : 각 업체의 이행연도별 할당신청량 중
인정량 × 이행연도별 조정계수 (부문별 ․업종별로 계산 )

◦ 각 업체의 할당신청량 중 인정량


이행연도별① GF 할당시설 ② BM 할당시설 ③ 목표관리제
적용시
할당신청량 중

인정량
예상 배출량 + 예상 배출량 + 초과감축량
④ 목표관리제 ⑤ 1기 적용시 ⑥ 1기 → 2기
- 적용시
초과배출량 + 감축실적
(GF 할당시설) - 과다 이월량 *

* 과다 이월량 : 해당 업체의 제1차 계획기간 연평균 할당량의 10% + 2만


KAU를 초과하여 제2차 계획기간으로 이월한 배출권 수량
◦ 조정계수 : 부문별 또는 업종별 할당량 / 각 업체의 부문별 또는
업종별 할당신청량 중 인정량의 합

□ 유상할당분 배출권의 차감
◦ 유상할당 업종에 속한 업체에 대해서는 계획기간 전 사전할당량 ,

계획기간 중 추가할당량의 3% 씩을 유상할당분으로 차감

□ 계획기간 중 유상할당 방식
◦ 유상할당 업종에 속한 업체를 대상으로 원칙적 월 회 경매 1

□ 이월 승인 기준
◦ 계획기간 내 수량과 관계없이 승인
( )

◦ 계획기간 간 다음 기준 중 큰 값의 범위 내에서만 승인
( )

- 해당 업체의 제2차 계획기간 연평균 배출권 + 상쇄배출권


순매도량

- 연평균 배출량 12.5만톤 이상인 업체로서 지정된 경우 2.5만톤,

2.5만톤 이상의 사업장 보유 업체로서 지정된 경우 5천톤

- 11 -
참고 1 100% 및 97% 무상할당 업종 분류 (업체 기준)
※ 업종명은 약칭으로 기재(부문, KSIC코드 順)
업 종 무역 생산비용 업 종 무역 생산비용
집약도(%) 발생도(%) 집약도(%) 발생도(%)
100% 무상할당 (37개 업종) 자동차(엔진) 제조 61.7 0.2
가스 제조․공급 36.6 0.4 자동차부품 제조 36.1 0.1
집단에너지 * 1.1 35.4 조선 65.0 0.3
산업단지 * 1.1 35.4 기타운송 서비스 31.9 0.1
석탄 광업 97.7 8.8 폐기물 처리 14.1 27.3
동식물성 유지 제조 59.8 0.4 97% 무상할당 (26개 업종)
곡물가공 전분 제조 32.7 0.8 전기업(발전) 9.8 21.3
담배 제조 31.4 0.1 도축, 육류 가공 24.0 0.1
방적․가공사 제조 81.1 0.8 낙농제품․식용빙과 제조 11.6 0.2
화학섬유 제조 30.2 4.0 기타식품 제조 22.3 0.2
펄프․종이 제조 46.7 4.1 알콜음료 제조 22.6 0.2
정유 60.0 2.6 비알콜음료 제조 9.4 0.1
기초화학물질 제조 53.5 4.3 섬유제품 염색․가공 26.4 0.1
비료 제조 37.4 0.5 나무제품 제조(목재) 28.2 0.5
합성고무․플라스틱 제조 72.6 1.0 플라스틱제품 제조 28.0 0.1
기초화학제품 제조 48.3 0.1 콘크리트 제품 제조 1.0 0.0
기초의약물질 제조 58.3 0.3 금속 주조 22.9 0.5
의약제품 제조 37.0 0.0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 29.9 0.1
고무제품 제조 48.2 0.3 전기통신업 0.2 0.4
유리제품 제조 35.6 1.3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5.7 0.1
요업 47.8 3.6 인터넷정보서비스업 0.5 0.0
시멘트 제조업 9.4 37.8 종합소매업 1.6 0.3
철강 41.5 9.1 숙박시설 운영업 1.1 0.3
비철금속 53.1 2.3 보험업 0.0 2.3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 37.2 0.0 부동산 임대․공급업 2.5 0.0
일반목적 기계 제조 63.9 0.0 사회/산업/정책 행정 3.9 0.2
특수목적 기계 제조 67.0 0.0 고등교육기관(대학) 5.9 5.1
항공기․부품 제조 75.3 0.0 병원 0.1 0.1
반도체 제조 93.9 0.5 유원지․오락 서비스업 0.1 0.3
전자부품(디스플레이) 41.7 0.6 항공운송업(국내선) 20.1 0.4
전지 제조 67.7 0.6 하폐수․분뇨처리업 0.2 3.8
절연선․케이블 제조 39.1 0.2 수도사업 0.0 5.5
가정용 전기전자 제조 45.0 0.2 - - -
* 집단에너지와 산업단지는 ‘증기․냉온수 공급업’ 통계치 일괄 적용
- 12 -
참고 2 제2차 계획기간 배출권 총수량
(단위 : 천톤)
이행연도별 할당량
구분 합계
2018년도 2019년도 2020년도

배출권 총수량 - 1,796,133

시장안정화조치 - 14,000
예 시장조성 - 5,000

전환 - 78,349

기타
전환 외 - 55,803
사전할당량 547,660 547,660 547,660 1,642,981
전환부문 일반 199,903 199,903 199,903 599,708
집단에너지 10,813 10,813 10,813 32,440
전기업의 부생가스 발전 17,071 17,071 17,071 51,213
가스 제조․공급의 탈루배출 274 274 274 821
산업부문 일반 274,418 274,418 274,418 823,254
산업단지 13,323 13,323 13,323 39,969
석탄광업의 탈루배출 398 398 398 1,194
석회생산에 따른 공정배출 2,938 2,938 2,938 8,815
마그네슘 생산 F가스 공정배출 113 113 113 338
반도체, 광전지 생산 관련 F가스 공정배출 3,233 3,233 3,233 9,700
디스플레이 생산 관련 F가스 공정배출 2,467 2,467 2,467 7,402
건물부문 4,033 4,033 4,033 12,098
수송부문 2,009 2,009 2,009 6,028
폐기물부문 15,989 15,989 15,989 47,968
공공․기타부문 678 678 678 2,033
※ 업종별 할당량 구분명은 약칭으로 기재
- 1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