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신질환의 병리1

2 체내의 항상성 유지기전: 산염기


3 수체내의 항상성 유지기전: 전해질
4 요세관 장애
5 신장질환의 임상적 접근방법
6 신질환의 영상 진단
7 신질환의 핵의학적 검사
8 요검사 강의 및 실습
9 요의 배설기전
10 요석과 폐쇄성 요로질환
11 하부요로의 질환
12 신종양
13 신장과 고혈압
14 일차성 사구체신염
15 이차성 사구체신염
16 신질환의 병리2
17 신질환의 병리3
18 당뇨병성 신병증
19 요로감염 및 임신과 신장
20 신장병리실습 1
21 신장병리실습 2
22 급성 신손상
23 요세관 적응기전
24 소아의 특성
25 소아의 사구체질환
26 유전성 신질환
27 영상의학 연습
28 산염기 대사장애 연습
29 전해질 수분 장애 연습
30 만성 콩팥병의 병인
31 만성 콩팥병의 치료
32 신대체 요법
가장 많이 갈리는 범위라고 다른 교수님이 경고? 시험문제 어렵고 변별됨…

그래프, 그림 등 좀 더 꼼꼼하게 보기.

범위 많이 줄여주심. 필요시 필기 받거나 다시 강의 들어보던지…


B반 필기로 보기

예고 출제…? 뭔가 작년 필기-족보를 대조해보고 찝어준데서 내는지 확인 ㄱ.

찝어준듯~ 개굳
약간 어려움… 잘 보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