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라오스 비엔티안시 메콩강 홍수방어 사업

Mekong River Integrated Management Project in Vientiane, Laos

저자 정태정, 장정호
(Authors) Tae-Jung Jung, Jeong-Ho Jang

출처 대한토목학회지 64(7), 2016.7, 26-29(4 pages)


(Source) JOURAN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4(7), 2016.7, 26-29(4 pages)

대한토목학회
발행처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ublisher)

URL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704377

APA Style 정태정, 장정호 (2016). 라오스 비엔티안시 메콩강 홍수방어 사업. 대한토목학회지, 64(7), 26-29

이용정보 서울시립대학교
203.249.***.25
(Accessed) 2019/06/04 11:15 (KST)

저작권 안내
DBpia에서 제공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누리미디어는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은
DBpia와 구독계약을 체결한 기관소속 이용자 혹은 해당 저작물의 개별 구매자가 비영리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에 위반하여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을 복제,
전송 등의 방법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Information
Copyright of all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elongs to the copyright holder(s)and Nurimedia does not guarantee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or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sam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may only be used by the users affiliated to the institutions which executed a
subscription agreement with DBpia or the individual purchasers of the literary work(s)for non-commercial purposes. Therefore, any person who illegally uses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y means of reproduction or transmission shall assume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26 Global Project 글로벌 프로젝트

라오스 비엔티안시 메콩강 홍수방어 사업


Mekong River Integrated Management Project
in Vientiane, Laos

정태정 | Tae-Jung Jung | ㈜이산 이사, 장정호 | Jeong-Ho Jang | ㈜이산 전무

그림 1. 사업계획 평면도

1 개요 2 라오스

본 기고문은 2006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라오스는 인도차이나 반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


무상원조 사업으로 시작된 라오스 비엔티안시 메 으며 북쪽으로는 중국, 서쪽으로는 태국, 동쪽과
콩강 홍수방어 사업에 대한 내용으로 주식회사 남쪽으로는 베트남과 캄보디아에 둘러 쌓여있는
이산이 주관사로 타당성 조사(KOICA 무상원조) 내륙국가이다. 정치는 1당 독재체제의 사회주의
에서부터 설계 및 감리(EDCF 양허성 차관)를 수 국가이며 국토면적은 236,800㎢, 인구는 약 700
행한 사업이다. 2006년 타당성 조사를 KOICA의 만 명이고 열대몬순 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29℃
지원으로 완료하고 한국수출입은행의 차관 지원 로 매우 더우며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다. 연평균
으로 2008년에 실시설계를 완료한 후 2009년에 강수량은 2,100mm로 다우지역에 해당하며 우
착공하여 2013년 12월에 공사가 완료되었다. 기(5월~10월)에는 스콜성 강우가 매일 반복되는
사업위치는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시의 메콩강 고온 다습한 기후를 보인다.
변이며 다우지역인 인도차이나 반도를 관류하
는 메콩강에 대한 홍수방어와 강변도로 및 공원 3 메콩강
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사업목적은 라오스 국민
그림 2. 메콩강
의 홍수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메콩강 유수에 의 메콩강은 중국, 태국 등 총 6개국에 이르는 유
한 국토유실을 방지하고 수도 비엔티안시의 경 역으로 아시아에서 양쯔강 다음으로 큰 유역면
제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약 4,000 적을 가지고 있고 유량면에서는 세계에서 10번 4,800km를 남하하여 남지나해에 이른다. 메콩
만 US$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메콩강변 12.3km 째로 큰 국제적인 하천이다. 메콩강의 유역면적 강 전체 유역면적 중에서 라오스에 해당되는 유
에 제방과 호안을 축조하고, 강변공원 14.5ha, 강 은 795,000㎢이고, 티벳 지방(EL. 4,500m)의 역면적은 약 25%(면적 202,000㎢)로 6개국 중
변도로 3.0km를 조성하여 비엔티안 시민의 삶의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가장 크며, 메콩강 하구를 기준으로 연평균 유출
질 향상과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캄보디아 그리고 베트남 6개국을 관류하며 약 량의 약 35%가 라오스에서 발생된다.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서울시립대학교 | IP:203.249.***.25 | Accessed 2019/06/04 11:15(KST)


Global Project 글로벌 프로젝트
27
4 메콩강 종합개발사업

1 사업배경
2005년 라오스 정부관료의 한국 방문 이후, 라오
스 정부는 한국 경제 성장의 초석이 된 한강개발
사업에 매우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수도인 비엔
티안시 메콩강변의 홍수저감을 위한 제방축조와
국민의 여가와 관광기반 시설 확충을 위한 강변
도로 및 공원을 조성하고자 한국정부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6년 ‘라오스 비엔티안시 메
그림 3. 1966년 9월 비엔티안시 대홍수
콩강변 제방보수 및 공원조성 타당성조사’ 사업
을 시작으로 한국수출입은행의 EDCF 차관지원
을 받아 2009년에 공사를 착공하게 되었다.

2 라오스 비엔티안시 문제점


비엔티안시는 라오스의 정치, 경제의 핵심지역인
수도로 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고 메콩강이 흐
르는 지리적 여건을 가지고 있으나 빈번한 홍수
와 메콩강 유수에 의한 국토의 유실과 같은 자연
그림 4. 2008년 8월 비엔티안시 대홍수(약 70년 빈도)
적인 영향으로 경제발전이 더디고 메콩강변이 정
비되어 있지 않아 무분별한 개발과 하수 및 쓰레
기 투기에 따른 악취 등 경제 및 사회·환경적으
로 매우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업대
상지의 문제점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빈번한 홍수피해 발생과 홍수방어능력 부재


비엔티안시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메콩강의 홍
수로 심각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
에 따른 사회기반시설의 피해는 라오스의 경제성
장과 비엔티안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저해하는 그림 5. 메콩강변 제방침식 현황

매우 큰 위해 요소이다.
비엔티안시의 과거 홍수피해 기록은 1929년,
1945년, 1966년, 1996년과 최근인 2002년, 식이 가속되거나 과거에는 발생하지 않았던 지역 그리고 비엔티안시의 교통상황은 도로가 부족하
2008년에 매우 심각한 홍수피해를 입었다. 아 에서 침식이 발생하게 된다. 현지 탐문 조사결과, 고 포장상태가 불량하여 매년 증가하는 물류 등
래 사진은 1966년 9월과 2008년 8월 비엔티안 대부분의 지역에서 침식이 내륙쪽으로 10m에서 교통수요를 감당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2륜차(오
시 대홍수 당시 촬영한 사진으로 <그림 3>의 좌 많게는 100m 정도 진행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토바이) 증가에 따른 교통사고율 증가에 대한 대
측 사진은 대통령궁 앞 비엔티안시 중심가를 촬 비엔티안시 메콩강의 평균 하폭이 800m 정도인 책과 버스 등 대중 교통망 시설확충이 매우 절실
영한 것이고, 우측 사진은 비엔티안시 중앙로에 점을 감안하면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 수 있다. 하다.
위치하고 있는 빠투사이를 배경으로 한 사진으
로 1.0m 이상의 홍수심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3 관광자원 부족과 교통문제 3 홍수위험 분석 및 계획홍수량 산정
<그림 4>의 사진은 필자가 현지에 상주하고 있을 라오스는 인접국인 태국과 같이 풍부한 관광자 기왕 홍수사상(1913년~2005년)을 통계학적
당시에 발생한 2008년 대홍수를 기록한 사진으 원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아시아와 유럽에서 많 으로 분석한 결과, 첨두홍수량(Flood Peak, ㎥/
로 당시의 홍수가 얼마나 심각하고 위험한 상황 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해마다 증가세를 유지하 sec)과 총홍수량(Flood Volume, ㎦) 사이의 연
인지를 알 수 있다. 고 있다. 라오스 정부는 관광 활성화를 최우선 과 관성은 ‘Multivariate Extreme Value’ 분포에
제로 삼고 있으나 재정적인 문제로 추진에 어려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eter Adamson,
2 침식으로 인한 국토의 유실 움을 겪고 있다. 비엔티안시의 주요 관광명소는 Mekong River Commission, 1999)
메콩강 유수에 의한 내륙의 침식은 자연적인 현 사찰과 소규모의 문화재뿐으로 대부분의 외국인 다음 [그림 6]의 좌측 차트는 메콩강 비엔티안시
상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메콩강 건너편 태국 영 관광객은 메콩강변을 방문하여 자연의 경치와 함 지점의 기왕 첨두홍수량과 총홍수량의 연관성을
토와 같이 인공적으로 제방과 호안이 잘 정비되 께 노천 Cafe에서 음료를 즐기는 정도로 관광자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학적으로 분포시킨 것으로
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약한 라오스 영토의 침 원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연평균 첨두홍수량(Mean Flood Peak) 16,750

제64권 제7호 2016년 7월

서울시립대학교 | IP:203.249.***.25 | Accessed 2019/06/04 11:15(KST)


28 Global Project 글로벌 프로젝트

그림 6. 기왕 홍수사상의 상관분포 및 확률

㎥/sec에 해당되는 연평균 총홍수량(Mean 재현기간(년)


구분
Flood Volume)은 102㎦이다. 평균에 대한 표 2 5 10 20 50 100 200

준편차를 표시한 BOX 2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계획홍수량


16,000 18,500 20,500 22,500 25,000 26,500 28,500
(㎥/sec)
1924년, 1938년, 1966년, 2002년의 기왕 홍수사
계획홍수위
상은 극한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169.1 170.0 170.7 171.3 172.1 172.4 173.1
(El.m)
다. <그림 6>의 우측 그림은 첨두홍수량과 총홍수 표 1.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 및 홍수위

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메콩강의 기왕 홍수사상의


확률을 분석한 것으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및 호안설치 약 12.3km, 강변공원 14.5ha, 강변도 제방 및 호안설치와 강변공원, 도로 등의 건설에
로 3.0km를 조성하였다. 본 사업에 따른 효과는 투입된 주요 공사현황은 다음과 같다.
특징 다음과 같다.
•1966년에 발생한 첨두홍수량
25,900㎥/sec와 총홍수량 155 ㎦는 1%의 공사현황
확률을 가지므로 100년 빈도 홍수사상으로 효과 •메콩강 하상모래 준설 : 136만㎥, 성토용 토사
분석됨.
: 44만㎥
•비엔티안시의 홍수피해 및 국토유실에 대한
•첨두홍수량 7,500㎥/sec, 총홍수량 38㎦인
안전성 확보 •RIP-RAP(호안기초 및 호안 일부구간) :
1992년의 경우는 최저홍수량으로 가뭄
(홍수방어면적 : 450ha, 침식으로 인한 56만㎥
재현기간 100년 빈도에 해당됨.
국토유실 방지 : 1.0ha/년) •콘크리트 호안블럭 : 7만㎡
•메콩강변 제방의 강변도로 활용으로 시내 •강변공원 : A=14.5ha(RIVERFRONT
중심지 교통량 분산 TERRACE, 산책로, 초화류 등)
상기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사업의 계획홍수량은 •메콩강변 환경개선 및 강변공원과의 •강변도로 : L=3.0km(아스콘 포장, BOX 교,
26,500㎥/sec(100년 빈도)을 채택하였으며 이 시너지(synergy) 효과 발생 안전시설 등)
메콩강에 100년 빈도 홍수가 발생할
를 토대로 표준축차 계산법을 이용한 홍수위를 •사회 및 환경영향평가 : 이주계획(RP),
경우에도 비엔티안시의 홍수범람에 대한
산정하였다. 각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과 계획홍 환경영향평가(EIA) 협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방고는
수위는 다음 <표 1>과 같다. •이주/보상 : 토지 11만㎡(279 필지), 가옥 211동
EL. 172.0~173.0M, 둑마루 폭 7.0M,
비탈경사 1:2로 단면을 계획하였으며, 높은
제방 축조고를 고려하여 중간에 소단을
4 비엔티안시 메콩강 종합관리사업
설치하였다. 성토재료는 메콩강의 하상모래를
메콩강 종합관리사업은 비엔티안시에 주기적으 준설하여 이용하였고 제내지보다 높은 구간은
로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저감하고 관광지 여건 양질의 토사를 이용하여 성토하였다. 호안은
개선을 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중심가의 교통 주변에서 쉽게 취득할 수 있고 메콩강의
수리적인 특성에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량 분산을 통한 교통문제 해소를 위한 것으로 당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과 RIP-RAP을
초 사업목적에 대한 충족도, 효율성, 사업의 실현 이용하였다.
가능성,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제방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서울시립대학교 | IP:203.249.***.25 | Accessed 2019/06/04 11:15(KST)


Global Project 글로벌 프로젝트
29

그림 7. 주요 공종에 대한 공사 중·후 사진

WRITER INTRODUCTION
정태정 이사는 충북대학교 토
목공학과를 졸업한 후 강원
대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5 맺음말 2011년에 수자원개발기술사를
취득하였다. 시공현장을 시작
으로 현재는 ㈜이산의 수자원
라오스 메콩강 종합개발 사업은 다우지역인 라오 또한, 라오스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은 세계
개발 분야 엔지니어로써 국내와 라오스, 태국, 베트남,
스의 홍수조절 능력 향상과 수자원의 효율적인 최빈국이면서 수자원이 풍부한 국가들로 이루어 필리핀 등에서 홍수방어 및 수자원 개발 분야에 타당
성 조사와 설계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활용을 통한 경제발전에 기여한 바가 큰 사업일 져 있다. 본 사업은 이러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홍
ellan1@naver.com
뿐만 아니라, 외교부 산하기관인 KOICA에서 무 수조절 및 수자원 개발 사업에 국내 엔지니어링
상원조 방식으로 타당성 조사를 2006년에 완료 업체가 진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사업으로 장정호 전무는 충북대학교 토
목공학과, 경희대학교 수공학
하고 한국수출입은행이 EDCF를 통하여 본 구매 평가할 수 있으며 ㈜이산은 라오스를 중심으로
석사로, 1999년 수자원개발기
를 수행한 사업으로 국내 부처간 ODA 협업사업 태국과 베트남, 미얀마 등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술사를 취득하고 한국종합기술
과 ㈜이산에서 수자원설계업무
의 성공적인 사례이다. 감사원은 「공적개발원조 지역의 홍수조절과 수자원개발 관련 사업에 적극
를 담당하여 왔으며, 2006년
(ODA) 추진실태 감사결과(2015.03.03)」에서 본 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향후 보다 많은 사업 기회 ~2013년 라오스 비엔티안시 메콩강 종합개발사업을
수행하였다.
사업을 국내 ODA의 모범사례로 선정하였으며 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jh0808@isg.kr
한국과 라오스의 경제협력 증진에 기여한 바가
큰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기획│김동주 djkim75@sejong.ac.kr

제64권 제7호 2016년 7월

서울시립대학교 | IP:203.249.***.25 | Accessed 2019/06/04 11:15(KS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