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7

2018년 1월호

<신남방·신북방정책의 나라 : 라오스, 러시아 시장 탐색>


아세안의 숨겨진 보고(寶庫), 라오스에도 주목하자
러시아 바이어로부터 듣는 2018년 현지 소비시장 정보

2018년 1월 10일  발행


<브라질> 2017년 11월 산업생산 4.7% 증가
<러시아> 소비시장 회복세 지속
발 행 처 | 한국무역협회
발 행 인 | 김영주 <인 도> 11월 수출입 두 자릿수 증가
주 소 |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511 트레이드타워 48층 전략시장연구실
<중 국> 11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7.2%
전 화 | 02) 6000-5499
팩 스 | 02) 6000-6198 <베트남> 2017년 경제성장률 당초 목표(6.7%) 상회한 6.8% 예상
등록일자 | 1960년 5월 26일
등록번호 | 2-97호  [특별부록] 2018년 세계 주요 정치·경제 일정
편 집 | (주) 보성인쇄기획

ⓒ 한국무역협회 2018 Printed in Korea “융복합 시대, 미래무역의 글로벌 리더 한국무역협회”


본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무단 전재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금지하고 있습니다
- KITA, Smart BRIDGE to the Future Trade -
contents iit.kita.net

EM INSIDE 1 <신남방·신북방정책의 나라 : 라오스, 러시아 시장 탐색> 03

현지 아세안의 숨겨진 보고(寶庫), 라오스에도 주목하자


김용태 한국무역협회 전략시장연구실장
리포트
러시아 바이어로부터 듣는 2018년 현지 소비시장 정보 11
이근화 한국무역협회 유라시아실 대리

EM INSIDE 2 2017년 11월 산업생산 4.7% 증가 18


브라질
11월 수출 증가율 2.9%로 크게 둔화
EM Watch
소비시장 회복세 지속 21
러시아
10월 대외무역 증가율 두 자릿 수 지속

11월 수출입 두 자릿수 증가 23


인도
온라인 쇼핑시장의 확대세 지속

11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7.2% 26


중국
11월 수출 6.2%, 수입 16.8% 증가

2017년 경제성장률 당초 목표(6.7%) 상회한 6.8% 예상 29


베트남
2018년 경제성장률 목표 6.7%

한-신흥국 수출입 동향 33
EM INSIDE 3
EM 주요 경제통계 35
EM 주요 경제통계

2018년 세계 주요 정치·경제 일정 40
특별부록
<안내> EM INSIDE는 2017년 1월호부터 온라인으로 발간되고 있으니 양지하여 주십시오.

집필진
김용태 실장 (☎02-6000-5260, dragon@kita.net)
이은미 수석연구원 (☎02-6000-5179, eunmilee@kita.net)
박진우 수석연구원 (☎02-6000-5188, jinwoo84@kita.net)
박승혁 연구원 (☎02-6000-5178, shpark0929@kita.net)
유승진 연구원 (☎02-6000-5455, esjay@kita.net)
조의윤 연구원 (☎02-6000-5263, jjoy1227@kita.net)
장새롬 연구조원 (☎02-6000-5499, roma912@kita.net)
iit.kita.net
iit.kita.net

1
2018. 1

현지리포트

<신남방·신북방정책의 나라 : 라오스, 러시아 시장 탐색>


- 아세안의 숨겨진 보고(寶庫), 라오스에도 주목하자
김용태 한국무역협회 전략시장연구실장
- 러시아 바이어로부터 듣는 2018년 현지 소비시장 정보
이근화 한국무역협회 유라시아실 대리

2
EM INSIDE 1 _ 현지리포트

<신남방·신북방정책의 나라 : 라오스, 러시아 시장 탐색>

아세안의 숨겨진 보고(寶庫), 라오스에도 주목하자


김용태
한국무역협회 전략시장연구실장

지난해 10월 29일과 30일, 라오스로 가는 하 출대상국으로 대(對)아세안 수출에서 브루나


늘길이 연달아 열렸다. 기존 국적기로는 진에 이(122위) 다음으로 규모가 작다. 우리 기업의
어, 티웨이항공에 이어 제주항공과 에어부산 라오스 투자 역시 3억8,700만 달러로 아세안
이 신규로 주 5회 취항을 시작한 것이다. 2017
년에 라오스를 방문한 우리나라 사람은 17만
3,260명으로 전년 대비 4.8% 늘었다. 국내 한
TV 방송에 루앙프라방, 방비엥 등 라오스의 유
명 관광지가 소개되면서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이른바 ‘핫 플레이스(Hot Place)’가 된 것이
다. 라오스에 불교 유적지가 많은 것도 하나의
흡인요인이다. 필자가 출장차 묵었던 비엔티안
의 호텔에도 유적을 방문하려는 우리나라 불교
신자가 많았다. 라오스 관광청의 캐치 프레이즈
는 ‘Laos, Jewel of Mekong(라오스, 메콩의
보석)’이고 라오스 정부는 2018년을 ‘라오스
방문의 해’로 지정했다. 라오스는 중국, 베트남,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인도차이나 반도의 내륙국이다.
이처럼 서서히 우리의 관심 국가로 떠오르고 있
는 라오스이지만 아직 무역과 투자의 측면에서 10개 국 가운데 브루나이를 제외하고는 가장
보면 다른 아세안 국가에 비해 존재감이 약하 적다(1980~2016년 누계, 투자금액 기준).
다. 우리나라가 2016년에 라오스로 수출한 실 라오스의 개략적인 개요를 살펴보면 한반도와
적은 1억2,640만 달러, 라오스는 104번째 수 비슷한 23만7천㎢의 면적에 650만 명이 살

3
iit.kita.net

고 있으며, 전 인구의 90%가 불교를 믿고 있 정도로 높다. 라오스는 바다가 없는 내륙국이지


다. 1949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고, 정치체제 만 국토를 관통하는 메콩강의 풍부한 수량을 활
는 인민민주공화제로 유일한 정당인 라오인민 용해 생산된 전력을 베트남, 태국 등에 수출해
혁명당이 40년 이상 장기집권 중이다. 1986년 인도차이나 반도의 에너지 보고(寶庫)로도 불
부터 중국의 ‘개혁·개방’, 베트남의 ‘도이머이 린다. 관광업도 발달해 대표적인 관광도시인 루
(Doi Moi, 혁신)’와 유사한 ‘친타나칸 마이(新 앙프라방은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
思考)’라는 개혁노선을 채택하며 국제사회에 산에 등재돼 있으며 비엔티안, 참파삭 등 많은
데뷔했다. 문화유적지를 보유하고 있다.

라오스, 경제규모 작지만 많은 걸림돌에도 불구


연평균 7% 이상의 경제성장세 유지 중국, 일본 등의 라오스 진출 활발

라오스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016 적지 않은 재정적자(2016년 기준 GDP의


년 기준으로 137억 달러, 1인당 명목 GDP는 6.8%), 과도한 물류비, 미비한 사회간접자본
1,911달러, 교역액은 125억 달러(수출 48 (SOC), 취약한 제조업 기반, 양질의 노동력 부
억 달러, 수입 77억 달러)를 기록했다. 비록 경 족 등 각종 걸림돌에도 불구하고 중국, 일본 등
제규모는 작지만 2010년 이후 평균 7% 이상
의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
(IMF)에 따르면 라오스는 2020년까지 매년
7% 수준의 경제성장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라
오스 정부는 2020년까지 최빈국(LDC) 탈피
및 2030년 중위소득국가 진입을 위해 단기, 중
기, 장기계획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또한 경
제성장에 효과적인 외국인투자 확대를 위해 투
자진흥감독위원회 신설, 외국인 투자자의 최소
자본금 규제 철폐 등을 담은 개정 투자촉진법을
2017년 4월부터 적용 중이다.
인접한 태국, 중국, 베트남 3개국에 대한 경제
적 의존도가 수출입 모두 85% 이상을 차지할
아시아개발은행(ADB)의 대메콩권(GMS) 경제회랑 구상

4
EM INSIDE 1 _ 현지리포트

경쟁국은 적극적으로 라오스에 진출하고 있 에 이른다. 라오스 GDP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


다. 계산기를 두드려본 결과, 진출에 따른 이득 는 금액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2021
이 더 크게 나왔기 때문이다. 우선, 내륙국이 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라는 한계가 2015년 12월 아세안경제공동체 분냥 보라치트 라오스 대통령은 지난 5월 베이
(AEC) 출범 이후 역내 물류허브 기대감으로 역 징에서 개최된 일대일로 국제협력 고위급 포럼
전됐다. 현재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진행 중인 에 참석해 “라오스는 ‘일로일로’ 전략을 중요시
일본의 동서 경제회랑과 중국의 남북 경제회랑 하며, 동시에 주변국과의 프로젝트 실현에 협력
개발의 중심축으로서 라오스의 성장이 기대되 하겠다”고 밝혔다. 라오스는 주변국과의 철도,
고 있는 것이다. 도로, 공항, 하천운송 등의 SOC 정비에 의한 연
또한 경제성장단계의 라오스에서 대부분의 산 결성(Connectivity) 향상이 최우선 과제이기
업이 과점 형태로 먼저 진입해 입지를 다지면 때문이다. 라오스 정부는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쉽게 시장을 장악할 수 있다는 점도 진출을 부 과 관련된 대규모 투자가 자국 경제성장의 기폭
르는 요인이다. 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라
라오스의 최대 투자국인 중국은 일대일로(육 오스 내에서 중국의 진출에 대한 경계심이 생
상·해상 실크로드) 전략의 하나로 SOC 투자 겨나고 있다. 지난 2009년 중국의 동남아시안
에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비엔티안- 게임 경기장 무상 건설 당시 5만 명 거주 규모
쿤밍 간 고속철도 건설사업이다. 지난 2015년 의 차이나타운 부지를 보장받는 등 대가성 원조
12월 첫 삽을 뜬 이 사업은 라오스의 수도 비엔 라는 부정적 인식이 생성된 이후 최근에는 중국
티안과 중국 윈난성의 쿤밍(昆明)을 연결하는 사업자들의 불법 광산 개발, 벌목 등이 문제로
것으로 총거리 427㎞, 총투자액은 60억 달러 제기됐다. 이와 함께 중국이 메콩강 상류에 7개의 대

비엔티안공항의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화웨이 광고판


독일 BMW의 비엔티안 자동차 판매장 모습
(2017년 10월 김용태 촬영, 이하 동일)

5
iit.kita.net

형 댐을 완공한데 이어 추가로 댐 21개를 건설 계 중소기업 전용 경제특구로 태국 국경과의 거


키로 하면서 하류의 수위가 급격히 낮아져 라오 리가 약 45km에 불과해 ‘태국+1’형 기업, 즉
스를 비롯한 주변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2010 라오스를 보조 생산기지로 활용하는 일본 기업
년과 2016년 메콩강 유역의 국가들은 최악의 들이 많다. 한편 쓰무라제약은 라오스 현지에서
가뭄으로 쌀 생산량 급감 등의 피해를 입었다. 생약을 생산 중이며, 오지제지는 기존 식목사업
일본은 과거 공적개발원조(ODA)를 중심으 외에 2016년 수산업, 수경재배 등에 5,800만
로 라오스와 협력해 왔으나 지난 1980~90년 달러를 투자하기도 했다.
대 태국에 진출했던 기존 일본 기업들의 생산공 일본 정부는 자국 기업 진출의 포석을 깔기
장 이전, 농업 등 1차 산업에 대한 투자 등에도 위해 지난 20년간 라오스 도로 구축사업에
활발히 나서고 있다. 2011년 태국 대홍수 경 2,200만 달러, 2015년에 비엔티안 근교 제
험 이후 2013년 토요타 계열사로 자동차 시트 2 국제공항 건설에 1억 달러를 지원했으며, 전
커버 생산업체인 토요타방직과 카메라 제조기 기·의료·교육 분야에도 매년 1억 달러 이상 지
업 니콘이 남부 사반나켓의 사반-세노경제특 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구(SEZ : Special Economic Zone)에 공장을
지어 진출했다. 2015년에는 미쓰비시 핵심 계
열사인 미쓰비시 머트리얼 코퍼레이션(MMC)
자동차, 금융, 식품 등 우리 기업들의
공장이 비엔티안 경제특구(VITA : Vientiane
진출 움직임도 빨라져
Industrial and Trade Area)에 준공되어 에
어컨, 냉장고, 밥솥에 사용되는 자동온도조절 라오스 사람들의 한국에 대한 인상은 매우 좋다.
장치를 생산해 유럽과 아시아 등으로 수출 중이 우리나라가 대외협력기금(EDCF) 3,700만 달
다. 같은 해 8월 인가된 팍세-저팬SEZ는 일본 러를 들여 조성한 메콩강 범람방지용 제방공사

일본 혼다의 라오스 현지 판촉활동 모습 일본의 비엔티안 공항 확장 지원 안내판

6
EM INSIDE 1 _ 현지리포트

현지 백화점 안내 표지판에 한글이 영어, 한자와 함께 ‘카페 망고’의 빙수, 떡볶이 메뉴판에 ‘망고눈꽃빙수’ 등
쓰여 있다 한글도 병기되어 있다

로 탄생한 짜오 아누웡(Chao Anouvong) 공 부터 중고차로 수입돼 인기를 끌고 있는 포터는


원은 비엔티안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사랑받고 라오스 최고의 교통수단으로 평가된다. 도로 사
있다. 지난해 8월 방한했던 살름싸이 꼼마싯 라 정이 열악한 라오스에서 차체가 튼튼해 고장이
오스 외교부 장관은 양국 외교장관 회담에서 그 적고 적재함 크기도 현지의 운송 물량에 딱 맞
동안 한국 정부의 ‘메콩강변 종합관리사업’ 등 을뿐 아니라 뒤에 사람들을 태우기도 좋아 도심
라오스의 경제, 사회 발전을 위한 적극적 지원 에서는 승객수송용 택시(송테우)로 맹활약 중
에 감사를 표하고, 라오스측 관심 분야인 농촌 이다. 승합차 스타렉스는 열명 이상 탈 수 있어
개발, 물관리 등을 중심으로 한 협력 확대를 희 대가족제인 라오스에 안성맞춤형이고 최근 관
망했다. 광객 증가에 따라 투어용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필자가 시장 조사차 방문했던 수도 비엔티안 라오스의 자동차화(自動車化) 확산에 1등 공
의 유일한 백화점인 ‘비엔티안센터’에는 각층 신 역할을 한 것은 한국계 기업이다. ‘라오스의
의 매장을 안내하는 표지판에 한글이 영어, 중 삼성’으로 불리는 현지 최대기업 코라오그룹
국 한자와 함께 쓰여 있다(라오스의 우리 교민 (대표 오세영)은 1997년에 일본 등 경쟁국 보
이 2천명 정도로 추산되는 상황에서 대단한 배 다 앞서 라오스에 진출해 블루오션 시장을 개척
려라고 생각된다). 현지의 카페체인 ‘카페 망 했다. 중고 오토바이 및 자동차 수입 판매로 출
고’에서는 각종 빙수와 떡볶이, 볶음밥 등 한국 발해 현재 자동차 판매(현대차, 기아차, 미쓰비
음식이 인기 메뉴로 팔리고 있다. 라오스 현지 시차) 및 조립생산(‘대한’ 브랜드의 소형 픽업
에서는 현대자동차의 1톤 트럭 ‘포터’를 비롯 트럭), 오토바이 제조(KR Motors), 농기계 판
해 스타렉스, 싼타페, 모닝 등 현대와 기아의 차 매, 가전제품 유통(K-plaza), 금융(인도차이
량을 손쉽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20여 년 전 나뱅크), 건설, 물류, 골프리조트 등 12개 계열

7
iit.kita.net

사를 운영 중이다. 라오스 국민이 필요로 하는 의 제조식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전체 인


사업들을 펼치는 철저한 현지화를 통해 연간 매 구가 약 650만 명으로 내수 시장의 규모가 작
출 약 4,500억 원의 회사로 성장했고, 2010년 고 내륙국으로 물류비용이 너무 높아 식품 제조
한상(韓商)기업 최초로 한국 증시(코스피)에 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부진한 실정이다. 종
상장했다. 자금 사정이 넉넉치 않은 라오스 사 전까지 언어와 식습관이 유사한 태국산 식품류
람을 위해 할부금융을 통해 초기에 적은 돈으로 가 시장을 장악했으나 최근 중국산과 베트남산
차를 살 수 있는 판매기법으로 시장점유율을 확 수입이 늘고 있다. 라오스는 가공식품 외에도
대했다. 포장지, 박스 등 포장 관련 원부자재도 전량 수
라오스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42만7,151대 입에 의존하고 있다.
(2016년 기준)로 도로 사정이 열악해 화물 운 한국산 식품류는 수도 비엔티안의 상류층(2~3
반과 승용 목적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픽업 만 명 추산)과 청소년층에서 반응이 좋다. 특
트럭의 비율이 53%(22만5,060대)로 15%인 히 매운 맛을 선호하는 라오스 사람들에게 불
승용차, 7%의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SUV)을 닭볶음면, 신라면 등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한
압도한다. 코라오그룹은 한국의 원동기 등 비교 인 무역업체로서 슈퍼마켓 ‘K-Mart’ 4개 점포
우위에 있는 해외 부품을 조달해 2013년부터 를 운영 중인 인도코(INDOKO, 대표 한규석)
‘대한(DAEHAN)’ 브랜드로 픽업트럭을 조립 는 지난해부터 불닭볶음면을 매월 3천 상자 정
생산하고 있으며, 2016년 토요타에 이어 라오 도 판매하고 있다. 한규석 대표는 “매운맛이 강
스 시장 최초로 1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차 한 일명 ‘쥐똥고추’를 즐겨 먹는 라오스인의 입
지했다. 맛을 한국산 라면이 사로잡아 매출이 크게 늘어
라오스 가공식품 시장도 우리 기업들이 눈여겨 나고 있다”며 “소주, 아이스크림, 김 등 다른 식
볼 만하다. 라오스는 신선식품을 제외한 대부분 품류의 판매도 호조세”라고 밝혔다.

코라오그룹 계열사인 인도차이나뱅크 영업점 비엔티안 시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기아차, 현대차

8
EM INSIDE 1 _ 현지리포트

현지 백화점에서 판매 중인 한국산 라면류 현지 대형 마트에 진열된 한국산 빙과류

라면, 과자 등 한국산 식품류는 K-Mart 이외에 공급되는 양도 상당할 것으로 추정).


도 비엔티안 내 백화점 ‘비엔티안센터’와 태국 금융 분야에서는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대구
계 대형 마트 ‘림핑(Limping)’ 등에서도 인기 은행, BNK, 웰컴저축은행 등이 진출해 영업하
리에 판매되고 있다. 고 있다.
한류 영향으로 흰 피부의 한국 연예인을 동경하 우리나라와 라오스의 교역 규모는 1996년
는 분위기 속에서 백화점 비엔티안센터에 ‘에뛰 990만 달러에서 2016년 1억5천만 달러로 20
드 하우스’, ‘네이처 리퍼블릭’ 등 한국 화장품 년 동안 약 16배 확대됐다. 한국은 2011년부
브랜드 매장이 기라로슈, 시세이도 등 외국 브 터 매년 1억 달러 이상의 무역수지 흑자를 유지
랜드와 경쟁하며 성업 중이다. 한국산 화장품의 하고 있으나, 2016년 라오스 정부의 재정적자
대라오스 수출은 2015년 6만3천 달러에 불과 가 과다해지면서 프로젝트 중단 등으로 수출입
했으나 2016년 26만3천 달러, 지난해(1~11 모두 20%대의 감소세를 보였다.
월) 55만 달러로 급증했다(이웃한 태국을 통해 우리나라의 대라오스 수출 주요품목은 승용차, 화

백화점 비엔티안센터의 에뛰드 하우스 매장 비엔티안센터의 네이처 리퍼블릭 매장 모습

9
iit.kita.net

물자동차, 원동기, 자동차부품 등으로 2016년에는 통해 사업을 추진해야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자동차 관련 수출이 전체의 80.3%를 차지했다. 우리 기업들은 라오스 정부의 경제개발정책과
라오스 시장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매력적인 라오스의 산업적 우위, 한국의 개발 경험을 토
성장가능성을 갖고 있다. 반면에 부족한 시장 대로 ‘친환경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중심에
정보, 세계 최하위 수준의 SOC 및 사업여건, 만 두고 ▶ 농업 ▶ 농산물 가공 ▶ 관광업에 투자
성적인 부정부패 등 경영을 위협하는 리스크 요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라오스 정부는 향
인도 안고 있다. ‘시간이 강물처럼 넘치는 나라’ 후 경제개발정책에서 환경 보전과 활용을 중시
라는 표현처럼 만사를 느긋하게 생각하는 라오 하고 있어 엄격한 요구 기준에 맞는 진출과 현
스의 국민성을 감안해 긴 호흡으로 면밀한 준비를 지 경영이 중요하다.

대라오스 품목별 수출실적


(단위 : 천 달러, %)

2015년 2016년 2017년 1-11월


순번 품목명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170,369 9.2 126,414 -25.8 84,948 -26.0
1 승용차 68,095 0.1 39,338 -42.2 27,347 -16.9
2 화물자동차 35,987 -15.6 33,053 -8.2 17,961 -45.1
3 철구조물 320 -88.4 1,491 366.1 8,220 458.3
4 자동차부품 15,484 18.8 12,274 -20.7 5,268 -54.5
5 알루미늄케이블 0 0.0 0 0.0 3,741 -
6 제어용 케이블 1 -95.7 16 1,034.5 1,307 8,243.2
7 윤활유 1,485 201.2 711 -52.1 1,129 79.1
8 원동기 20,475 716.8 15,393 -24.8 1,116 -91.2
9 건설중장비 4,428 -22.9 3,510 -20.7 1,034 -68.5
10 비누 246 240.8 408 66.0 824 133.1
11 평판디스플레이 0 0.0 0 0.0 784 -
12 펌프 575 -52.4 254 -55.4 764 203.9
13 자동화기기 0 0.0 0 0.0 749 -
14 VCR 0 0.0 218 0.0 728 548.6
15 기타 사무기기 0 0.0 684 50,972.2 705 3.0
16 신발 123 92.1 389 215.5 685 77.4
17 면류 379 -43.3 262 -31.0 676 181.1
18 기타 정밀화학원료 0 0.0 0 0.0 587 -
19 화장품 63 -72.6 263 316.3 550 109.6
20 축전지 2,334 1599.6 91 -96.1 488 445.9
주 : MTI 4단위 기준, 수출품목 순위는 2017년 금액 기준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10
EM INSIDE 1 _ 현지리포트

러시아 바이어로부터 듣는 2018년 현지 소비시장 정보


이근화
한국무역협회 유라시아실 대리

올해 러시아 소비심리 개선이 기대되면서 현지 2018 FIFA 월드컵 개최국인데다 최대 수출품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기업들의 더욱 많은 관심 목인 원유의 상향안정화가 예상되는 등 잇따라
이 필요하다. 경제조사기관 비즈니스 모니터 인 호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터내셔널(BMI)에 따르면 우리기업이 러시아
소비재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는 식음료,
의류, 미용제품 등은 작년에 이어 소비자 지출
러시아 소비재 수요 회복세에 따라
이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가구류(11.5%),
한-러 간 교역도 급증 추세
가전(12.7%), 컴퓨터 및 모니터(29.7%) 등
은 두 자릿수의 큰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 러시아의 소비심리 개선에 따라 한국의 對러시아
인다. 러시아 소비시장이 활황세로 돌아선 것은 무역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주요 소비재 부문별 지출동향 및 전망

(단위 : 십억 루블, %)

구분 2016 2017 2018 2019

식음료(알코올음료 제외) 13,563 (4.6) 14,449 (6.5) 14,888 (3.0) 15,816 (6.2)

의류 및 신발 4,188 (0.3) 4,459 (6.4) 4,840 (8.5) 5,121 (5.8)

화장품, 이미용제품 1,784 (5.4) 1,972 (10.5) 2,081 (5.5) 2,262 (8.6)

가구 및 인테리어 1,043 (0.0) 1,058 (1.4) 1,180 (11.5) 1,241 (5.1)

가전제품 617 (-2.2) 588 (-4.7) 663 (12.7) 701 (5.7)

PC, TV, 오디오, 카메라 627 (-7.7) 558 (-11.0) 724 (29.7) 762 (5.2)

주 : 2017~19년은 추정치, 괄호 안은 전년 대비 증감률


자료 : BMI, Russia Consumer&Retail Report Q1 2018

11
iit.kita.net

연도별 한-러 교역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1-11월)


수출 11,149 10,129 4,686 4,769 6,405
(증가율) (0.5) (-9.1) (-53.7) (1.8) (47.4)
수입 11,495 15,669 11,308 8,641 10,737
(증가율) (1.2) (36.3) (-27.8) (-23.6) (38.7)
총교역 22,644 25,798 15,994 13,410 17,142
수지 -346 -5,540 -6,622 -3,872 -4,333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지난해 1~11월 수출 및 수입은 각각 전년 동기 초청해 회원사의 對러시아 진출을 지원하고 있


대비 47.4%, 38.7% 증가하면서 러시아와의 다. 지난해 11월말 코엑스에서 개최된 해외마
총 교역액은 171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서 케팅종합대전(Korea Grand Sourcing Fair)
방의 경제제재 이전인 2014년의 무역규모에 에도 한국의 화장품, 미용기기, 의류, 식품, 사
는 아직 미치지 못하지만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 무용 가구 제품을 서부지역의 모스크바부터 극
일 것으로 기대된다. 동의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유통하고 있는 다수
의 빅바이어가 참가했다.
이를 계기로, 우리기업의 러시아 진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빅바이어들과 현지 시장
현지 빅바이어에게 직접 듣는
상황과 2018년 전망, 한국 제품의 러시아 소비
러시아 진출 노하우
자 반응에 대해 질의 및 응답을 진행했다.
한국무역협회 유라시아실은 지속적으로 러시
아의 주요 유통기업 바이어를 발굴하고 이들을

‘해외마케팅종합대전 2017’에서 러시아의 Prisma LLC를


‘해외마케팅종합대전 2017’ 개막식 모습
빅바이어 클럽 회원사로 위촉하는 모습

12
EM INSIDE 1 _ 현지리포트

간을 두고 서서히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환율


Q&A 1) 러시아의 현재 시장 상황과 변동에 대해서도 러시아 시장이 적응을 통해 어
2018년 전망은 ? 느 정도 내성이 생겼기 때문에 충격이 크지 않
을 것으로 생각된다.
① 시장 상황 현재 서부 러시아를 중심으로 소비심리 개선 추

예전만큼 뚜렷하게 좋아지고 있다고 확실히 말 세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극동지역은 소득수

하기는 어렵겠지만, 아주 어려운 시기는 지나간 준이 서부 러시아에 비해 낮고 소비자들의 구매

것으로 느껴진다. 서방제재(Sanction)로 인 력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회복을 위한 시간이 더

해 러시아의 경기침제가 시작됐고 대부분의 고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즉, 우선적으로 서부 러

객들이 하향 구매추세로 시장 수요가 불안정했 시아 지역을 위주로 경기회복이 이루어질 것이

었다. 특히, 완전히 직수입하는 제품들을 중심 며, 다음으로 극동 시베리아 지역으로 확산되며

으로 침체현상이 뚜렷했는데, 그 이유를 들자면 러시아가 전반적인 경기침제를 벗어날 수 있을

환율의 영향으로 판매가격이 인상됨에 따라 소 것으로 보인다.

비자들의 관심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반면, 중국산 등 저가제품을 찾는 고객들이 증
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러시아 자국산을 구매하
Q&A 2) 한국산 제품의 러시아 시장
는 고객들도 늘어났다. 러시아 소비자들이 품질
반응과 인지도
에서 조금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불황으로 인
해 하향구매하는 현상이 두드러진 것이다. 러시아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은 품질 대비 가격
경쟁력이 좋은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일반적이
② 시장 전망 다. 포지셔닝에 있어서는 유럽산과 중국산 사이
의 중간 정도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모스크바,
과거와 같이 급격히 회복하기는 어렵겠지만, 시

‘해외마케팅종합대전 2017’ 상담장 전경 Stimul Company의 상담 장면

13
iit.kita.net

상트페테르부르크 등의 대도시에는 많은 글로벌 즉, 제품 공급회사들이 현지에 자체 물류창고를


브랜드가 있어 실제로 한국산 제품이 눈에 띌 두고 판매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런 방식
정도로 지명도가 높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은 러시아 도매업자들이 루블로 구매해 환리스
이에 반해 극동러시아 시장의 상황은 조금 다르 크의 부담을 덜 수 있고, 필요한 수량만큼을 필
다. 한국산 제품은 시장에서 유력 제품군으로 요한 시기에 구매할 수 있어 편리하기 때문이다.
자리잡아 지명도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이마저
경기침체 국면으로 접어들며 한국산 제품 포지
② 러시아 시장과 소비자 중심 마케팅

셔닝의 의미가 상실된 것 같다. 한국산 제품을 (Anton Rassokhin, Company Stimul Ltd., 대표)
구매하는 고객들이 중국산 등 저가제품을 구매
러시아는 더 이상 공급자 중심의 시장이 아니
하는 쪽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다. 경쟁이 치열해지며 확실히 소비자 우위시
장으로 재편됐다. 이에 따라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한 마케팅 방식도 재고해야 한다. 최근 대형
Q&A 3) 러시아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마트에 신제품을 입점할 때 납품조건으로 마케
기업에 대한 조언 및 바라는 점 팅 버짓(Marketing Budget)에 대한 협의는
필수적이다. 진출 제품에 대해 명확한 마케팅
①물
 류창고 활용 등 현지화에 대한 고려 필요 계획을 제시해야 하는 것이다. 러시아 유통업체

(Marina Maksakova, Prisma LLC 구매담당) 들의 입장에서 제품 공급사가 마케팅을 지원한


다는 것은 함께 시장을 개발·확대하자는 의미
완전한 수출중심의 사업보다는 현지화를 고려
이고, 지원이 없다는 것은 공급에만 관심 있고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러시아 시장의 유
개발의지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통시스템이 직판체제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현재까지는 한국 기업이 한국적 방식을 고집하

Pacific Korean Group Co., Ltd. 상담 모습 RosOfice LLC와 한국 기업의 상담 모습

14
EM INSIDE 1 _ 현지리포트

다보니 마케팅 효과가 크지 않았던 것 같다. 음 어진 상태이다. 반면 사무용 의자는 상대적으로


식료품의 경우, 한국에서처럼 시식행사를 진행 경쟁력이 있다. 사용자의 신체구조 등을 고려해
하는 경우가 있으나 러시아 소비자는 대중장소 서 과학적 요소들이 제조과정에서 많이 반영되
에서 서있는 상태로 시식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 기 때문에 한국산 제품의 선호도가 높고 경쟁력
는다. 반면에 최근 러시아 대형마트에서 실시 도 있다.
중인 옥션(할인행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 또한, 사무용 가구는 최종 소비자들이 기업이기
트 단골고객들이 해당 마트에서 구매할 때마다 때문에 외상신용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한
적립한 마일리지로 추가할인을 받거나 옥션품 국 업체들이 러시아 파트너에게 어느 정도 신용
목을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소비자들에게 (Credit Line)을 부여해 판매한다면 시장 진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장기적인 관
점에서는 극동러시아에 생산 및 물류기지를 구
③파
 트너십 체결 기업을 위한 시장관리 개선 축해 서부 러시아로 판매체제를 확대하는 방안

(Pak Mikhail, Pacific Korean Group LLC 대표) 도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의자 등 고품질 제
품들은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현재처럼 직수입
파트너십을 맺었으면 믿음을 갖고 지켜봐 주면
을 진행하고, 책상과 책장은 현지 조립으로 가
좋겠다. 한국 업체와 독점계약을 체결했음에도
격경쟁력을 확보해 러시아 내에서 유통하는 체
다른 도매채널을 통해 같은 제품이 러시아 시장
제를 갖추면 좋을 것 같다.
에 버젓이 유통되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 더 저
렴한 가격으로 유통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화장품(Brusinenko Irina, Oracle Beauty
같이 덤핑 제품이 계속 나돌게 되면 현지 마케 and Health LLC 구매담당)>
팅을 펼치는 파트너로서 의미가 퇴색된다. 한국
한국산 화장품은 가격 대비 품질이 뛰어나 러시
기업들이 파트너십을 체결하면 시장관리를 좀
아 소비자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제품군으로 꼽
더 엄격하게 해주면 좋겠다.
힌다. 특히 블라디보스토크는 한국 화장품 수요

④ 품목별 시장 현황과 진출방안 가 많은데 다른 이유도 많겠지만, 한국과 지리


적으로 가깝고 기후환경도 유사해 제품이 더 잘
<가구(Sergei Nesterenko, RosOfice LLC 대표)> 들어맞는 것 같다.
초기 러시아 시장에서 한국산 사무용 책상, 책 화장품 수요의 경우 러시아 시장에서 계절적 요
장은 가격 대비 높은 품질력으로 각광받았지만, 인에 따른 영향이 다른 시장보다 더 큰 것에 유
시간이 흘러 자구노력을 했던 러시아산이 선두 념할 필요가 있다. 7~8월 여름은 대다수가 휴
위치를 꿰차 현재는 한국산의 경쟁력이 많이 떨 가를 떠나 화장품 판매에 있어서는 비수기라고

15
iit.kita.net

할 수 있다. 반면, 11~12월에는 가정이나 기업


등에서 사교파티 행사 참여와 새해맞이 선물 등 [주목해야 할 러시아 유통기업 정보]

으로 화장품 소비량이 가장 많다.


1. Stimul Company Ltd.
사업장 :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업종 : 유통
품목 : 담배 및 식품
Q&A 4) 러시아 비즈니스의 바람직한 대표자 : Mr. Anton Rassokhin
중장기 관리 전략은? Contact Point : +7 (423) 260 01 80
E mail : rassohin.anton@stml.ru
(Oksana Anoshina, Terra Nova LLC 구매담당) 홈페이지 : www.stml.ru

러시아는 유통 품목별로 좁은 시장이기 때문에, 2. Aktual Expert Ltd.


안주하면 하루아침에 경쟁사에 점유율을 빼앗 사업장 :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기는 특성을 갖고 있다. 지속적으로 긴장감을 업종 : 수입유통
품목 : 피부과 미용제품류
늦추지 말고 기존 고객들을 밀착 관리하는 것뿐
대표자 : Mr. Natalia Yuldasheva
만 아니라, 쉼없이 연관 사업들을 계속 확대해
Contact Point : +8 (423) 209 58 30
고객기반을 넓혀야 한다. 그래야만 시장에서 전 E mail : support@aktualexpert.ru
문성을 인정받고 시장점유율을 계속 유지할 수 홈페이지 : www.aktualexpert.ru

있다. 결국 시장에서 오랫동안 살아남는 기본


3. Rosofis Ltd.
생존력이야말로 현지에서 사업을 유지할 수 있
사업장 :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는 가장 중요한 역량임을 유념해야 한다. 업종 : 유통
품목 : 사무용 가구
대표자 : Mr. Evgeny Kuznechov
Contact Pointv+7 (423) 251 44 49
E mail : kuznetcov@rosofis.ru
홈페이지 : www.rosofis.ru

16
iit.kita.net
EM INSIDE 2 _ EM Watch

2
2018. 1

EM Watch

<브라질> 2017년 11월 산업생산 4.7% 증가


<러시아> 소
‌ 비시장 회복세 지속
<인 도> 11월 수출입 두 자릿수 증가
<중 국> 11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7.2%
<베트남> 2017년 경제성장률 당초 목표(6.7%) 상회한 6.8% 예상

17
iit.kita.net

브라질

▶ ‌11월 산업생산은 4.7% 증가


● 11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4.7%로 지난 10월(5.5%)에 비해 소폭 둔화

-7
 개월 연속으로 증가세 유지

● 내구소비재와 자본재가 각각 15.2%, 8.1%의 생산 증가율을 기록하며 전체 산업생산 증가율을 상회

-중
 간재의 생산은 4.2%, 비내구소비재의 생산은 3.0% 증가

● 전월 대비 산업생산 증가율은 0.2%로 3개월 연속 증가세 유지

-내
 구소비재의 생산은 2.5% 증가했으나 비내구소비재 생산은 1.6% 감소

▶ ‌11월 수출 증가율은 2.9%로 크게 둔화


● 1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9% 증가한 166.9억 달러 기록

-이
 는 2016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출 증가율로, 10월(37.6%)에 비해 34.7%p 둔화

-對
 중국 수출은 40.7%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미국(9.6%)과 EU(3.7%)로의 수출은
한 자릿수 증가에 그침

● 수입액은 131.4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4.7% 증가

-디
 젤, 석탄, 원유 등을 포함한 연료/윤활유의 수입이 특히 69.2%의 큰 폭으로 증가

● 무역수지는 35.5억 달러 흑자 기록

산업생산 증가율 수출입 증가율


% % 무역수지(우) 수출증가율 수입증가율 억 달러
10 50 80

60
5 30
40

0 10
20

0
-5 -10
-20

-40
-10 -30
-60

-15 -50 -80


2014-1 2014-7 2015-1 2015-7 2016-1 2016-7 2017-1 2017-7 2016-01 2016-07 2017-01 2017-07

자료 : 브라질 국립통계원(IBGE), 브라질 통상산업개발부, CEIC

18
EM INSIDE 2 _ EM Watch

▶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0% 기록


● 1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80% 상승하며 시장 전망치인 2.88%를 하회

-소
 비자물가는 지난 8월, 1999년 이후 최저치인 2.46% 상승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
폭이 확대되는 추세

-세
 부적으로는 주거(6.05%)와 교통(3.98%)이 특히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식음료 물가는 2.3% 하락

● 전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28%로 10월(0.42%)에 비해 상승세 완화

●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5.07%로 10월(4.42%)에 비해 상승폭 소폭 확대

▶ ‌10월 소매판매 증가율 2.5%로 둔화


● 10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해 9월(6.2%)에 비해 둔화

-8
 개월 연속으로 소매판매 증가세 유지

-가
 구/가전(10.1%), 식음료(1.5%), 의약/화장품(6.2%) 등이 전체 소매판매 증가를 견인

● 자동차와 건자재가 포함된 확장 소매판매 증가율은 7.5% 기록

- 자동차(13.6%)와 건자재(18.6%) 모두 판매 호조를 이어가며 9월(각각 10.7%, 15.5%)에


비해 증가폭 확대

소비자물가 상승률 소매판매 증가율


% % %
전년동월 대비 전월대비 (우) 15
1.5 소매판매 증가율
10
10 확장 소매판매 증가율

8 1.0
5

6 0
0.5
-5
4
0.0 -10
2
-15

0 -0.5
-20
2015-01 2015-07 2016-01 2016-07 2017-01 2017-07 2016-01 2016-07 2017-01 2017-07

자료 : 브라질 국립통계원(IBGE), CEIC

19
iit.kita.net

▶ ‌브라질 크리스마스 쇼핑 시즌 판매량 3년 만에 증가세로 반등


● 지난 12월 18~24일, 크리스마스를 앞둔 쇼핑 시즌의 소매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4.72% 증가

- 완만한 경기회복과 함께 소비자 심리 개선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이어진 감소


세로부터 탈출
* 2014년 –0.7%, 2015년 –15.84%, 2016년 -1.46%

-1
 인당 평균 지출액은 약 461.9헤알(약 143달러), 전체 지출액은 510억 헤알(약 158억
달러)로 추정됨

● 크리스마스 시즌의 쇼핑몰 매출도 지난 2년의 부진에서 벗어나며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

-2
 016년에는 12월 쇼핑몰 매출이 3%, 2015년에는 2% 감소했음

20
EM INSIDE 2 _ EM Watch

러시아

▶ ‌소비시장 회복세 지속
● 1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을 기록했고,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7%
늘어나 소비시장 회복세 지속

소비자물가 증감률 소매판매 증감률


전년동월대비 전월대비 %
소매판매 증감률
% 4.0
18
2.7
16 2.0
14
12 0.0
10
8 -2.0
6
4 -4.0

2 2.50
-6.0
0 0.20
2015-01 2015-07 2016-01 2016-07 2017-01 2017-07 -8.0

자료 : CEIC

● 2018년에도 금리인하는 지속될 전망이며 국제유가 상승추세까지 더해져 러시아 경기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러시아 기준금리 추이 국제유가 추이


배럴당 평균 원유가격(USD)
% 65 61.97
12
60
11.00
11
55
10
50
9

7.75
45
8

40
7

6
35
2017-12
2017-09
2017-10
2017-11
2017-06
2017-07
2017-08
2017-03
2017-04
2017-05
2016-12
2017-01
2017-02
2016-09
2016-10
2016-11
2016-06
2016-07
2016-08
2016-01
2016-02
2016-03
2016-04
2016-05

30
2017-01 2017-04 2017-07 2017-10

자료 : CEIC

21
iit.kita.net

▶ ‌10월 대외무역 증가율 두 자릿 수 지속


● 2017년 10월 대외무역 실적은 수출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7.1%, 수입은 18.8% 증가를 기
록해 지난달에 이어 두 자릿 수 증가율 지속

-1
 0월 수출액은 314억4,700만 달러, 수입액은 216억1,500만 달러를 기록

수출 증감률 수입 증감률
% %
60.0 50.0

40.0
40.0
27.1 30.0
20.0 18.8
20.0

0.0 10.0
2017-9
2017-10
2017-5
2017-6
2017-7
2017-8
2017-2
2017-3
2017-4
2016-8
2016-9
2016-10
2016-11
2016-12
2017-1
2016-6
2016-7
2016-1
2016-2
2016-3
2016-4
2016-5

0.0
-20.0

2017-9
2017-10
2017-5
2017-6
2017-7
2017-8
2017-2
2017-3
2017-4
2016-10
2016-11
2016-12
2017-1
2016-7
2016-8
2016-9
2016-1
2016-2
2016-3
2016-4
2016-5
2016-6
-10.0
-40.0
-20.0

-60.0 -30.0

자료 : 러시아 중앙은행

▶ ‌11월 산업생산 증가율 소폭 하락


● 11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3.6% 감소를 기록

-O
 PEC과의 원유 감산 합의 이행에 따른 석유 생산 감소가 전체 산업생산 증가율 하락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됨

● 산업별로는 식품(8.4%), 섬유(5.6%), 임업(1.2%), 기계장비(5.7%) 산업 생산이 전년 대비


증가했고 화학(-1.6%), 석유 및 가스(-2.2%) 산업 생산은 소폭 감소를 기록

산업생산 증감률 산업별 증감률


%
% 산업생산 증감률 식품 섬유 화학
30.0
기계장비 임업 석유 및 가스
8.0

20.0
6.0

4.0 10.0

2.0
0.0
2016-01 2016-04 2016-07 2016-10 2017-01 2017-04 2017-07 2017-10
0.0
-10.0
-2.0

-4.0 -3.6 -20.0

-6.0 -30.0

자료 : CEIC

22
EM INSIDE 2 _ EM Watch

인도

▶ ‌2017년 10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2.2% 증가


● 산업생산 증가율은 2.2%를 기록해 지난 9월(4.1%)에 비해 하락

-제
 조업의 생산증가율은 2.5%로 3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

-내
 구성 소비재(-6.9%)의 생산은 줄어들었으나 비내구성 소비재(7.7%)의 생산이 늘어
남에 따라 전체 소비재 생산은 5.2% 증가

● 8개 주요 인프라 관련 산업의 평균 생산 증가율은 5.0%를 기록

-석
 탄(4.5%), 천연가스(2.0%), 철강(11.4%), 전력(4.7%), 석유제품(9.2%) 관련 산업의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

-원
 유(-0.4%), 시멘트(-1.7%)는 감소세 전환

● 전월 대비 산업생산 증가율은 –0.1%를 기록

산업생산 증가율 주요 산업별 산업생산 증가율


(%) (%)
9
8.0
8
7.0
7
6.0
6

5 5.0

4 4.0
3 3.0
2
2.0
1
1.0
0
0.0
-1
11-2015 04-2016 09-2016 02-2017 07-2017 광업 제조업 전력 원자재 자본재 중간재 소비재

자료 : CEIC 자료 : CEIC

▶ ‌2017년 11월 수출과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동반 증가


● 11월 수출은 증가세 전환

-수
 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30.5% 늘어난 262억 달러를 기록

23
iit.kita.net

● 수입액은 400억 달러로 4개월 연속 전월 대비 증가

-전
 년 동월 대비 19.6% 늘어나 전월(7.6%)에 비해 증가폭 확대

● 무역수지는 138억 달러 적자를 기록

-전
 월(140억 달러 적자) 대비 무역수지 적자 감소

▶ ‌2017년 11월 도매물가 상승률(WPI) 3.9%, 소비자물가 상승률(CPI) 4.9%


● 도매물가 상승률은 3.9%를 기록해 10월(3.6%)보다 0.3% 포인트 상승

-3
 월 이후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 기록

-식
 료품(4.0%→6.0%)의 물가는 상승

-연
 료 및 조명(10.5%→8.8%)의 물가 상승폭은 축소

●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월보다 1.3% 포인트 높은 4.9% 기록

-식
 료품(2.3% → 4.4%), 연료 및 조명(6.4% → 7.9%), 주택(6.7% → 7.4%)의 물가 상승폭
확대

-농
 촌지역과 도시지역은 각각 4.8%, 4.9%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록

수출입 증가율 및 무역수지 도매 및 소비자물가 상승률


무역수지(우) 수출증가율 수입증가율
(%) (억 달러) (%) 도매물가 상승률 소비자물가 상승률
60 0 7
5.8
6
50 -2,000
5 3.9
40
-4,000 3.4
4
30
-6,000 3
20 1.5 3.2
-8,000
2
10 1
-10,000
0 0 0.6
-12,000
-10 -1

-20 -14,000 -2
-3
-30 -16,000
2015-12 2016-05 2016-10 2017-03 2017-08 2015-12 2016-05 2016-10 2017-03 2017-08

자료 : CEIC 자료 : CEIC

▶ ‌2017년 10월 외국인 직접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62.3% 감소


● 외국인 직접투자는 16억 달러 기록

-전
 월(-82.4%)에 비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폭은 축소

-2
 개월 연속 전월 대비 감소세를 보임

24
EM INSIDE 2 _ EM Watch

▶ ‌10월 서비스 산업의 수입은 3개월 연속 증가세


● 서비스 산업의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3.3% 증가한 87억 달러 기록

-전
 월 대비 2억 달러 증가

● 서비스 산업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9% 증가

외국인 직접투자 서비스 산업 수출입 증가율


(백만 달러) (%) 서비스 산업 수출 증가율 서비스 산업 수입 증가율
9,000
50
8,000
40
7,000
6,000 30
5,000
20
4,000
3,000 10

2,000 0
1,000
-10
0
-1,000 -20
2015-11 2016-03 2016-07 2016-11 2017-03 2017-07 2015-11 2016-04 2016-09 2017-02 2017-07

자료 : CEIC 자료 : CEIC

▶ ‌온라인 쇼핑 시장의 확대세 지속


● 온라인 쇼핑 매출은 최근 5년간 연평균 67.2% 증가

- 2016년 온라인 쇼핑 매출 규모는 1조4,495억 루피로 전년(7,603억 루피) 대비 90.6% 증가

● 모바일 쇼핑 매출이 전체 온라인 쇼핑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증가

-2
 013년 9.4%에서 2016년 17.0%로 확대

● 상위 3개 쇼핑몰이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의 81.8%를 점유

-F
 lipkart Online Service(39.5%)는 5년 연속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 세부 상품별 온라인 시장 매출액 중 의류 및 신발의 매출액이 가장 높음

-2
 016년 의류 및 신발 매출액은 3,529억 루피로 전체 온라인 시장의 24.3%를 차지

- 전자제품(2,534억 루피), 액세서리 및 안경(615억 루피), 침구 및 가구(204억 루피),


식료품(90억 루피) 등이 뒤를 이음

25
iit.kita.net

중국

▶ ‌2017년 11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7.2%


● 11월 중국의 고정자산투자 규모는 5조 7,240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했으며
3월(9.2%) 이후 지속적인 둔화세를 보이고 있음

-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전년 동월 대비 –23.1%를 기록하며 가파른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보건업과 정보산업에 대한 투자는 각각 14.0%, 14.1%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주요 산업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10억 위안) (%) (%) 제조업 건설업 정보산업
고정투자액 고정투자 증가율
60.0 도소매업 보건업
9,000 9.2 10.0
8.9 8.9 8.9
8.6 8.6
8,000 7,689 7.8 9.0
7.5
8.3 7.3 7.2 8.0 40.0
7,000 6,433
5,939
5,680 5,674 5,934 5,724 7.0
6,000 5,240 5,055
6.0 20.0
5,000
5.0
4,000
4.0 0.0
3,000
3.0
2,000 1,466 1,466
2.0
-20.0
1,000 1.0
0 0.0
2017-01 2017-03 2017-05 2017-07 2017-09 2017-11 -40.0

자료 : CEIC

▶ ‌11월 외국인직접투자(FDI) 증가율은 5.4%


● 중국의 11월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1조19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하며 올해
처음 마이너스 증가세에서 벗어났음. 다만 제조업에 대한 FDI는 9월 2.4% 증가한 후 11월
다시 –4.1%로 마이너스 증가세로 전환

- 11월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28.9%를 기록하며 여전히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사드 보복이 가장 심했던 3월(-56.8%)에 비해서는 다소 완화된 모습을 보임

26
EM INSIDE 2 _ EM Watch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 추이 한국·대만·일본 대중국 투자 추이


(%) (%)
10.0 전체 제조업 60.0 한국 대만 일본

5.0 40.0

0.0 20.0
2015-11 2016-05 2016-11 2017-05 2017-11
-5.0 0.0
2015-11 2016-05 2016-11 2017-05 2017-11
-10.0 -20.0

-15.0 -40.0

-20.0 -60.0

자료 : CEIC 자료 : CEIC

▶ ‌11월 수출은 6.2% 증가, 수입은 16.8% 증가


● 11월 중국의 대세계 수출은 2,174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2.3% 늘어났으며, 수입은 1,772
억 달러를 기록하며 18.7% 증가

- 무역형태별 수입에서 일반수입은 25.9%로 높은 증가율을 이어갔으며, 가공수입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유상가공수입은 17.2%로 늘어난 반면 단순
가공임 수취를 목적으로 한 무상가공수입은 –13.7%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임

중국 수출입 실적

2017년 10월 2017년 11월


구분
금액(백만 달러) 증감률(%) 금액(백만 달러) 증감률(%)
수출액 188,980 6.2 217,382 12.3
일반수출 101,443 12.9 117,271 17.6
유상가공수출 60,411 3.0 67,368 7.6
무상가공수출 6,302 -6.4 7,189 -1.0
수입액 150,795 16.8 177,168 18.7
일반수입 86,156 25.5 103,401 25.9
유상가공수입 31,113 6.0 35,261 17.2
무상가공수입 6,156 -17.8 7,073 -13.7

자료: 해관총서, CEIC

27
iit.kita.net

● 11월 중국의 대주요국 수입이 일제히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중국의 대한국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9.9% 늘어난 178억 달러를 기록

- 주요국 중에서는 EU로부터의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24.7%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


갔으며, 대대만 수입은 22.0%로 그 뒤를 이음

-품
 목별로는 석유화학과 철강제품의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0.6% 20.8%를 기록
하며, 2016년 과잉생산산업으로 분류되어 큰 하락세를 보여 왔던 수입이 2017년에는
뚜렷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음

국가별 대중국 수출증가율 변화 품목별 중국 수입증가율 변화


(%) (%) 석유화학 철강제품 자동화설비
EU 일본 한국 대만 미국
50.0
60.0 반도체 자동차 LCD패널

40.0 50.0

40.0
30.0
30.0
20.0
20.0

10.0 10.0

0.0
0.0
2017-02 2017-06 2017-10
2016-10 2017-02 2017-06 2017-10 -10.0
-10.0
-20.0

-20.0 -30.0

자료 : 해관총서, CEIC

28
EM INSIDE 2 _ EM Watch

베트남

▶ ‌2017년 베트남 경제성장률은 대외경제 회복 영향으로 당초 목표(6.7%)보다 높은


6.8% 달성 기대
● 중국, 미국, 일본, 한국, EU 등 세계 주요 지역 경제 회복 영향으로 베트남 경제성장률은 1분기
에만 전년 동기 대비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이후 매분기마다 전년도를 웃도는 수준의 성장을 지속
* 분기별 경제성장률 비교(2016→2017) : (Q1)5.6→5.1, (Q2)5.6→6.4, (Q3)6.6→7.5, (Q4)6.8→7.5

경제성장률 산업생산
12.0 300 산업생산지수(IPI)(2010=100)(좌) 산업생산증가율(YoY,%)(우) 산업생산증가율(MoM,%)(우) 30.0

전체 농업 산업/건설 서비스 17.2

10.0
250 20.0

11.2
8.0 8.0
7.4 200 10.0

6.8
2.8
6.0
2.0
150 0.0

4.0

2.9 100 -10.0

2.0

50 -20.0

0.0

0 -30.0
-2.0 15.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16.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17.1월 3월 5월 7월 9월 12월

자료 : CEIC 자료 : CEIC

▶ ‌12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11.2%, 전월 대비 2.0% 증가했으며 2017년 연간


누적 기준으로는 9.4% 증가
● 12월의 경우 광업 생산 부진으로 증가세가 전월 대비 소폭 둔화

● 그러나 연간 기준으로는 제조업 부문 생산이 광업 부문의 생산 부진을 만회할 정도로 크게 증가해


2016년 7.4% 보다 2.0%p 확대된 9.4%를 기록

-2
 017년 광업 부문 생산증가율은 –7.1%, 제조업 부문 생산증가율은 6년래 가장 높은
14.5% 기록. 제조업 중에서는 전기기기 및 컴퓨터 부품 생산 증가율이 33%로 가장 크게
증가

29
iit.kita.net

▶ ‌2017년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10.9% 증가한 3,934조VND(약1,753억 달러)


● 상품거래 및 호텔/요식업 부문 증가가 전체 소매판매 확대를 견인
* 소매판매(금액, 전년 대비 증감율) : 상품거래(2,937조 동, 10.9%), 호텔/요식업(495조 동, 11.8%),
서비스(466조 동, 9.7%), 관광(36조 동, 10.4%)

소매판매 소비자물가
4,500 18.0 6.0
소비자물가 상승률(YoY,%)
소매판매액(조 VND) 소매판매 증가율(%)
4,000 16.0 소비자물가 상승률(MoM,%)
5.0

3,500 14.0

4.0
3,000 12.0

2,500 10.0 3.0 2.6


2.6
2,000 8.0
2.0

1,500 6.0

1.0
1,000 4.0

500 2.0 0.2


0.0
0.1
16.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17. 1월 3월 5월 7월 9월 12월
0 0.0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1.0

자료 : CEIC 자료 : CEIC

▶ ‌2017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3.5%로 관리 목표치(4%) 하회


● 연초 4~5%대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던 소비자물가는 3분기 이후 정부 관리 효과가 가시화됨에
따라 관리 목표로 제시한 4%를 밑도는 수준에서 마감

-특
 히 12월 당월 기준으로도 전년 동기 대비 대비 2.6%, 전월 대비 0.2% 상승에 그침

▶ ‌2017년 베트남 무역은 전년 대비 21.1% 증가해 역대 최고치인 4,254억 달러 기록


● 수출은 전년 대비 21.1% 증가한 2,140억 달러, 수입은 20.8% 늘어난 2,114억 달러

● 외국인 투자기업 주도의 전자부품 수입과 휴대폰, 컴퓨터 등 전자기기 수출 확대가 전체 교역


증가에 기여

수출입 외국인투자
2,500 40.0
외국인투자액(억달러)(좌) 외국인투자증가율(%)(우)
수출금액(억달러)(좌) 수입금액(억달러)(좌)
250 100.0
수출증가율(YoY,%)(우) 수입증가율(YoY,%)(우) 35.0

2,000 80.0
30.0 200

60.0
25.0
1,500
150
40.0
20.0

1,000 20.0
15.0 100

0.0
10.0
500 50
-20.0
5.0

0 -40.0
0 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자료 : 자료 : CEIC

30
EM INSIDE 2 _ EM Watch

▶ ‌2017년 對베트남 외국인투자는 전년 대비 40.1% 증가한 213억 달러, 최대투자국은


일본, 최대 투자분야는 전력부문이 차지
● 2016년 대베트남 최대 투자국은 55억 달러(36.3%)를 투자한 한국이었으나 2017년 77억
달러(36.4%)를 투자한 일본에 이어 2위로 하락

● 2016년에는 제조업 부분 투자가 64.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2017년에는 전력


부문 투자가 39.3%로 가장 많고 그 다음 제조업(32.2%)이 차지

▶ ‌12월 달러당 베트남 동(VND) 평균 환율은 전월 2만2,451동에서 2만2,438동으로 하락


● 수출입 및 외국인투자 증가로 환율은 우려와 달리 큰 변동없는 안정적 수준 유지

▶ ‌2018년 주목해야 할 베트남 경제 성장 방향


● 올해 베트남 목표 경제성장률은 6.7%, 물가상승률 4% 이하로 2017년과 비슷하나 세부
적으로 보면 건설 부분 성장이 두드러질 전망

- 2017년 산업별 경제성장률이 농업 2.9%, 산업 7.9%, 건설업 8.7%, 서비스업 7.4%이


었으나 2018년 목표가 농업 3%, 산업 7.3%, 서비스업 7.4%로 유사하거나 다소 낮은
반면 건설업은 9.2%로 높게 설정

•정책 기조상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공급, 병원 증설 등이 활발할 전망

● 수출입 부문은 전년 대비 8~10% 확대를 목표하되 수출은 늘리고 무역적자는 3% 이하 수준을


유지해야 함을 강조해 자국 기업 육성 및 부품 수입선 전환 등에 대한 요구가 커질 수 있음에
대비 필요

● 이밖에 4차 산업혁명 시대 대비 정부 차원의 인프라 구축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임

-특
 히 디지털경제에 필요한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창업 환경 조성, 기술 이전, 기업지원
제도 강화가 예상되며 국가 차원에서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도 발표될 전망

31
iit.kita.net
iit.kita.net

3
2018. 1

EM 주요 경제통계

한-신흥국 수출입 동향
EM 주요 경제통계

32
EM INSIDE 3 _ EM 주요 경제통계

1. 한-신흥국 수출입 동향
(단위 : 억 달러, %)

2017
국가 구분 2015 2016 2017.9 2017.10 2017.11
(1~11)
금액 55.1 44.6 50.7 5.0 4.2 4.4
수출
증가율 -38.4 -18.9 23.8 34.2 14.3 6.7

라 금액 40.6 34.5 33.0 3.7 3.0 3.9
질 수입
증가율 -17.3 -15.1 4.6 50.4 17.0 35.1
무역수지 14.4 10.1 17.7 1.3 1.2 0.5

금액 46.9 47.7 64.1 5.7 4.3 5.4


수출
증가율 -54.0 1.8 47.4 48.8 -0.4 24.1

시 금액 113.1 86.4 107.4 12.1 11.0 9.4
아 수입
증가율 -28.0 -23.6 38.7 67.9 32.0 2.8
무역수지 -66.2 -38.7 -43.3 -6.5 -6.7 -4.0

금액 120.3 116.0 139.1 11.7 9.0 11.1


수출
증가율 -6.0 -3.6 32.3 22.3 -5.7 6.0

금액 42.4 41.9 45.3 4.4 3.8 4.2
도 수입
증가율 -20.0 -1.2 18.7 17.8 9.5 4.0
무역수지 77.9 74.1 93.9 7.2 5.2 6.9

금액 1371.2 1244.3 1,282.6 135.2 125.8 139.9


수출
증가율 -5.8 -9.3 14.1 23.4 13.5 20.3

금액 902.5 870.0 892.5 84.4 79.3 92.5
국 수입
증가율 0.2 -3.6 12.9 16.7 2.9 14.1
무역수지 468.7 374.5 390.1 50.8 46.5 47.4

금액 278.0 326.3 436.9 47.4 38.6 44.0


수출
증가율 24.3 17.5 48.4 69.4 33.7 46.1

트 금액 98.1 125.0 148.2 17.2 15.3 14.9
남 수입
증가율 22.7 27.4 29.2 36.2 25.0 34.2
무역수지 179.7 201.4 288.7 30.2 23.3 29.2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33
iit.kita.net

2017
국가 구분 2015 2016 2017.9 2017.10 2017.11
(1~11)
금액 78.7 66.1 77.0 7.2 6.3 7.1
인 수출
증가율 -30.7 -16.1 28.0 39.1 31.4 21.8

네 금액 88.5 82.9 88.0 8.0 8.9 7.4
시 수입
증가율 -27.8 -6.4 17.8 8.2 27.9 6.5

무역수지 -10.1 -16.8 -10.9 -0.8 -2.6 -0.2

금액 6.6 7.6 5.3 0.5 0.4 0.5


수출
증가율 -17.5 15.3 -25.2 -0.8 -33.3 -72.8

얀 금액 5.1 4.6 4.2 0.6 0.5 0.4
마 수입
증가율 -12.8 -9.3 -1.1 6.6 -13.0 22.0
무역수지 1.5 3.0 1.0 -1.1 -1.3 0.3

금액 62.5 53.9 56.9 6.6 5.1 4.8


수출
증가율 -6.2 -13.8 14.5 71.5 28.9 25.2

금액 7.9 7.4 6.9 0.6 1.0 0.8
키 수입
증가율 20.5 -6.0 0.6 -3.9 74.2 46.7
무역수지 54.6 46.4 49.9 6.1 4.1 4.0

금액 37.3 37.2 37.0 3.9 2.7 3.3


수출
증가율 -10.4 -0.4 11.3 12.5 -38.2 3.1

금액 23.7 46.5 74.6 7.8 7.3 6.2
란 수입
증가율 -48.3 96.3 83.6 45.0 129.4 -11.6
무역수지 13.6 -9.3 -37.6 -3.9 -4.7 -2.9

금액 108.9 97.2 101.2 10.7 7.4 7.8


수출
증가율 0.4 -10.8 14.3 21.1 -18.3 -4.3

시 금액 34.6 37.0 39.8 5.0 3.5 4.5
코 수입
증가율 6.2 6.7 22.4 48.9 17.8 33.6
무역수지 74.3 60.3 61.4 5.7 4.0 3.4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34
EM INSIDE 3 _ EM 주요 경제통계

2. EM 주요 경제통계

▶ 브라질
산업 고정 소매 소비자 생산자 헤알/
GDP 수출 수입 무역 M2
연월 생산 자본 판매 물가 물가 달러
성장률 증가율 증가율 수지 증가율
증가율 형성률 증가율 상승률 상승률 환율
단위 % % % % % % 억 달러 % % 헤알 %
2001년 1.3 1.6 -15.7 -1.6 5.7 -0.4 27 6.8 12.6 2.353 13.3
2002년 2.7 2.7 -36.4 -0.7 3.7 -15.0 131 8.5 16.7 2.923 23.6
2003년 1.1 0.1 38.2 -3.7 21.1 2.2 248 14.7 27.6 3.079 3.9
2004년 5.7 8.3 34.4 9.2 32.0 30.1 336 6.6 10.5 2.927 19.5
2005년 3.2 3.1 22.7 4.8 22.6 17.1 447 6.9 5.6 2.434 18.0
2006년 4.0 2.8 18.2 6.2 16.5 24.1 465 4.2 0.8 2.174 13.6
2007년 6.1 6.0 13.6 9.7 16.6 32.0 400 3.6 5.6 1.947 18.1
2008년 5.2 3.1 9.1 9.1 23.2 43.5 248 5.7 13.7 1.835 37.3
2009년 -0.3 -7.4 -10.2 5.9 -22.7 -26.2 253 4.9 -0.2 1.999 8.8
2010년 7.5 10.5 21.2 10.9 32.0 42.3 202 5.0 5.7 1.760 16.7
2011년 2.7 0.4 16.6 6.7 26.8 24.5 298 6.6 9.4 1.674 18.7
2012년 1.0 -2.7 -4.0 8.4 -5.3 -1.4 194 5.8 7.2 1.953 9.0
2013년 2.3 1.2 10.4 4.3 -1.0 6.5 25 5.9 5.8 2.157 9.3
2014년 0.1 -3.2 -4.4 2.2 -7.0 -4.4 -39 6.3 4.6 2.354 11.6
2015년 -3.8 -8.3 -14.1 -4.3 -15.1 -25.2 197 10.7 8.8 3.338 6.6
2016년 -3.6 -6.6 -10.2 -6.2 -3.1 -19.8 476.9 6.3 1.7 3.465 3.7
1월 - -13.8 - -10.3 -17.9 -38.8 9.2 10.7 9.9 4.056 5.8
2월 - -9.8 - -4.2 10.4 -31.0 30.4 10.4 8.6 3.964 5.5
3월 -5.4 -11.4 -17.5 -5.7 -5.8 -30.0 43.3 9.4 5.3 3.698 5.6
4월 - -7.2 - -6.7 1.4 -28.3 48.6 9.3 4.7 3.563 4.9
5월 - -7.8 - -9.0 4.8 -20.5 64.4 9.3 5.6 3.540 4.7
6월 -3.6 -5.8 -8.6 -4.8 -14.7 -15.4 39.7 8.8 5.7 3.423 5.2
7월 - -6.6 - -5.3 -11.9 -27.4 45.8 8.7 5.7 3.278 5.1
8월 - -5.2 - -5.5 9.7 0.4 41.4 9.0 3.0 3.209 5.4
9월 -2.9 -4.8 -8.4 -5.9 -2.2 -9.2 38.0 8.5 3.0 3.253 5.2
10월 - -7.3 - -8.2 -14.5 -19.1 23.4 7.9 1.8 3.185 3.8
11월 - -.1.1 - -3.5 17.5 -9.7 47.6 7.0 0.1 3.337 4.2
12월 -2.5 -0.1 -5.4 -4.9 -5.0 9.3 44.1 6.3 1.7 3.354 3.7
2017년 - - - - - - - - - - -
1월 - 1.4 - -1.2 32.6 18.0 27.2 5.4 1.3 3.190 2.9
2월 - -0.8 - -3.7 15..9 5.9 45.6 4.8 1.5 3.106 3.3
3월 -0.4 1.1 -3.7 -3.2 25.6 11.9 71.5 4.6 2.9 3.128 3.7
4월 - -4.5 - 1.9 27.8 13.3 69.7 4.1 3.5 3.139 4.5
5월 - 4.5 - 2.6 12.6 9.0 76.6 3.6 2.3 3.204 5.4
6월 0.3 0.9 -6.5 2.9 23.9 3.3 72.0 3.0 1.5 3.295 6.2
7월 - 2.9 - 3.1 14.9 6.1 63.0 2.7 1.1 3.199 5.7
8월 - 4.0 - 3.6 14.7 8.0 56.0 2.5 1.7 3.148 5.9
9월 1.4 2.6 -0.5 6.4 18.1 12.5 51.8 2.5 2.7 3.133 6.5
10월 - 5.5 - 2.5 37.6 20.2 52.0 2.7 4.4 3.192 5.7
11월 - 4.7 - - 2.9 14.7 35.5 2.8 5.1 3.263 5.5
자료 : CEIC, 브라질 중앙은행(BCB), 브라질 국립통계원(IBGE), 브라질 통상산업개발부

35
iit.kita.net

▶ 러시아
산업 고정자산 소매 소비자 생산자
GDP 수출 수입 무역 루블/ M2
연월 생산 투자 판매 물가 물가
성장률 증가율 증가율 수지 달러환율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상승률 상승률
단위 % % % % % % 억 달러 % % 루블 %
2004년 7.2 8.0 16.8 13.3 37.8 28.7 858 11.7 28.8 27.75 35.8
2005년 6.4 5.1 10.2 12.8 35.0 31.4 1,162 10.9 13.4 28.78 38.5
2006년 8.2 6.3 17.8 14.1 23.9 31.8 1,343 9.0 10.4 26.33 48.7
2007년 8.5 6.8 23.8 16.1 16.5 36.7 1,234 11.9 25.1 24.55 43.5
2008년 5.2 0.6 9.5 13.7 34.6 29.4 1,776 13.3 -7.0 29.38 0.8
2009년 -7.8 -10.7 -13.5 -5.1 -36.3 -36.3 1,132 8.8 13.9 30.24 17.7
2010년 4.3 7.3 6.3 6.5 32.1 33.6 1,470 8.8 16.7 30.48 31.1
2011년 4.3 5.0 10.8 7.1 31.3 29.7 1,969 6.1 12.0 32.20 22.3
2012년 3.5 3.4 6.8 6.3 2.3 5.4 1,917 6.6 5.1 30.37 11.9
2013년 1.3 0.4 0.8 3.9 -1.1 1.6 1,819 6.5 3.7 32.73 14.6
2014년 0.7 1.7 -1.5 2.7 -4.8 -9.8 1,887 11.4 5.9 56.26 2.2
2015년 -2.8 -0.8 -10.1 -10.0 -31.3 -37.3 1,485 12.9 10.7 72.88 11.5
2016년 -0.3 1.3 -0.9 -4.6 -17.5 -0.7 902 5.4 7.4 67.06 -
1월 - -0.8 - -6.4 -38.8 -19.0 72 9.8 7.3 76.25 9.5
2월 - 3.8 - -4.7 -31.8 -16.6 72 8.1 3.5 77.22 9.9
3월 -1.2 0.3 -4.8 -6.2 -29.6 -10.1 78 7.2 0.8 70.47 10.7
4월 - 1.0 - -5.1 -29.2 -6.1 66 7.3 0.9 66.68 12.0
5월 - 1.5 - -6.3 -28.1 -5.3 75 7.3 3.2 65.66 12.2
6월 -0.9 2.0 -3.9 -6.2 -20.1 -1.3 80 7.5 5.1 65.31 12.3
7월 - 1.4 - -5.1 -17.7 -3.6 63 7.2 4.5 64.33 11.8
8월 - 1.5 - -5.0 -7.6 13.5 47 6.9 3.1 64.92 12.7
9월 -0.7 0.1 0.3 -3.4 -3.5 6.9 74 6.4 5.1 64.60 12.1
10월 - 1.6 - -4.2 -7.6 8.2 66 6.1 3.1 62.68 11.2
11월 - 3.4 - -4.1 4.9 6.4 91 5.8 4.3 64.36 9.2
12월 -0.2 0.2 -1.3 -5.9 8.3 10.6 118 5.4 7.4 62.18 11.9
2017년 - - - - - - - - - - -
1월 - 2.3 - -2.1 48.2 39.5 117 5.0 12.8 59.96 12.1
2월 - -2.7 - -2.6 28.1 21.2 102 4.6 15.0 58.39 11.1
3월 0.5 0.8 2.3 -0.2 35.1 21.6 125 4.3 11.3 58.10 10.1
4월 - 2.3 - 0.4 19.4 19.6 80 4.1 7.6 56.43 10.0
5월 1.3 5.6 - 1.0 27.6 35.5 85 4.1 5.9 57.17 10.5
6월 1.7 3.5 6.3 1.5 22.4 29.7 87 4.4 2.9 57.82 9.0
7월 - 1.1 - 1.3 10.2 28.1 40 3.9 1.8 59.67 9.0
8월 1.7 1.5 - 1.9 25.3 21.0 66 3.3 4.7 59.65 9.5
9월 1.8 0.9 3.1 3.2 20.7 13.9 102 3.0 6.8 57.69 10.0
10월 - 0.0 - 3.1 27.1 18.8 98 2.7 7.6 57.73 10.1
11월 - -3.6 - 2.7 - - - 2.5 8.0 58.92 -
자료 : 러시아 중앙은행, CEIC

36
EM INSIDE 3 _ EM 주요 경제통계

▶ 인도
산업 고정 도매
GDP repo 수출 수입 무역 루피/ M3
연월 생산 자본형성 물가
성장률 금리 증가율 증가율 수지 달러환율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상승률
단위 % % % % % % 억 달러 % 루피 %
2014년 7.3 2.7 7.3 8.00 2.4 -0.5 -1,404 6.0 63.332 12.7
2015년 7.2 2.7 7.9 6.75 -17.4 -15.4 -1,250 3.4 64.152 11.1
1월 - 2.6 - 7.75 -11.2 -11.4 -83 -0.4 61.758 11.2
2월 - 5.0 - 7.75 -15.0 -15.7 -69 -2.1 61.791 11.5
3월 7.5 2.1 5.7 7.50 -21.1 -13.4 -118 -2.3 62.591 11.3
4월 - 4.1 - 7.50 -14.0 -7.5 -110 -2.7 63.578 11.7
5월 - 2.7 - 7.50 -20.2 -16.5 -104 -2.4 63.762 11.0
6월 7.6 3.8 6.8 7.25 -15.8 -13.4 -108 -2.4 63.755 11.0
7월 - 4.2 - 7.25 -10.3 -10.3 -128 -4.1 64.005 11.5
8월 - 6.4 - 7.25 -20.7 -10.0 -125 -4.9 66.306 11.3
9월 7.0 3.6 7.5 6.75 -24.3 -25.4 -105 -4.5 65.742 11.1
10월 - 9.8 - 6.75 -17.5 -21.2 -98 -3.8 65.223 11.0
11월 - -3.2 - 6.75 -24.4 -30.3 -98 -2.0 66.815 11.2
12월 7.3 -1.3 0.8 6.75 -14.4 -4.0 -115 -0.7 66.326 11.0
2016년 - - - - - - - - - -
1월 - -1.5 - 6.75 -13.2 -10.5 -77 -0.9 67.876 10.9
2월 - 2.0 - 6.75 -5.3 -4.5 -66 -0.9 68.616 11.1
3월 7.9 0.1 -1.5 6.75 -4.7 -22.9 -44 -0.9 66.333 10.1
4월 - -0.8 - 6.50 -5.7 -23.1 -49 0.3 66.518 10.8
5월 - 1.2 - 6.50 -0.6 -13.7 -60 0.8 67.203 9.9
6월 7.1 2.1 -1.1 6.50 2.0 -7.4 -83 1.6 67.617 10.3
7월 - -2.4 - 6.50 -7.0 -18.9 -78 3.5 67.034 10.0
8월 - -0.7 - 6.50 0.0 -14.2 -76 3.7 66.981 10.4
9월 7.3 0.7 -3.2 6.50 4.8 -2.5 -83 3.6 66.660 14.0
10월 - -1.9 - 6.25 8.2 8.0 -104 3.4 66.857 10.9
11월 - 5.7 - 6.25 2.3 10.4 -130 3.2 67.955 8.5
12월 7.0 -0.4 5.8 6.25 5.7 0.5 -103 3.4 67.954 6.5
2017년 - - - - - - - - - -
1월 - 3.8 - 6.25 4.3 10.7 -98 5.2 67.812 6.4
2월 - 1.9 - 6.25 17.5 21.8 -90 6.5 66.737 6.5
3월 6.1 2.7 0.6 6.25 27.6 45.3 -104 5.7 64.838 10.6
4월 - 3.1 - 6.25 17.9 46.8 -132 3.9 64.217 7.1
5월 - 1.7 - 6.25 8.3 33.1 -138 2.2 64.546 7.0
6월 5.7 -0.1 3.1 6.25 4.4 19.0 -130 0.9 64.737 7.4
7월 - 1.2 - 6.25 3.9 15.4 -114 1.9 64.077 7.1
8월 - 4.3 - 6.00 10.3 21.0 -116 3.2 64.015 7.0
9월 6.3 3.8 6.3 6.00 25.7 18.1 -90 2.6 65.355 5.9
10월 - 2.2 - 6.00 -1.1 7.6 -140 3.6 64.774 6.5
11월 - - - 6.00 30.5 19.6 -138 3.9 64.433 8.8
  주1 : 연도별 데이터는 그해 4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의 회계연도 기준 자료임. 예를 들어 2012년 자료는 2012년 4월-2013년 3월까지의 통계
  주2 : 2015년 2월 9일 인도중앙은행은 경제성장률 집계방식을 2011-12회계연도 기준으로 변경
  주3 : 2015년 5월 29일 인도 정부가 발표한 분기별 경제성장률은 2014-15회계연도 4-6월부터 수정됨
자료 : 인도중앙은행, 인도재정부, 인도상공부, CEIC

37
iit.kita.net

▶ 중국
산업 고정자산 소매 소비자 생산자 위안/
GDP 수출 수입 무역 M2
연월 생산 투자 판매 물가 물가 달러
성장률 증가율 증가율 수지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상승율 상승율 환율
단위 % % % % % % 억 달러 % % 위안 %
2010년 10.4 15.3 24.4 18.4 31.3 38.9 1,815 4.0 5.5 6.767 19.7
2011년 9.3 13.7 25.1 17.1 20.3 24.9 1,549 5.5 6.0 6.445 13.6
2012년 7.8 10.0 20.8 14.3 7.9 4.4 2,311 2.6 -1.7 6.311 13.8
2013년 7.7 9.7 19.7 13.1 7.8 7.3 2,598 2.6 -1.9 6.190 13.6
2014년 7.4 8.3 15.0 12.0 6.0 0.7 3,825 2.0 -1.9 6.145 12.2
2015년 6.9 6.0 9.9 10.6 -2.6 -14.4 6,017 1.4 -5.2 6.240 13.3
2016년 6.7 6.0 8.1 10.4 -6.4 -5.4 5,471 2.0 -1.4 6.653 -
1월 - 5.4 10.2 11.1 -11.2 -18.8 632.9 1.8 -5.3 6.552 14.0
2월 - 5.4 10.2 - -25.4 -13.8 325.9 2.3 -4.9 6.545 13.3
3월 6.7 6.8 10.7 10.5 11.5 -7.6 298.6 2.3 -4.3 6.461 13.4
4월 - 6.0 10.5 10.1 -1.8 -10.9 455.0 2.4 -3.4 6.459 12.8
5월 - 6.0 9.6 10.0 -4.7 -0.1 499.8 2.0 -2.8 6.579 11.8
6월 6.7 6.2 9.0 10.6 -6.0 -9.0 479.1 1.9 -2.6 6.631 11.8
7월 - 6.0 8.1 10.2 -5.3 -12.9 502.3 1.8 -1.7 6.651 10.2
8월 - 6.3 8.1 10.6 -3.2 1.4 520.5 1.3 -0.8 6.691 11.4
9월 6.7 6.1 8.2 10.7 -10.2 -1.9 419.8 1.9 0.1 6.678 11.5
10월 - 6.1 8.3 10.0 -7.6 -1.3 487.6 2.1 1.2 6.764 11.6
11월 - 6.2 8.3 10.8 -1.5 4.6 442.3 2.3 3.3 6.887 11.4
12월 6.8 6.0 8.1 10.9 -6.4 2.6 407.1 2.1 5.5 6.937 11.3
2017년 - - - - - - - - - - -
1월 - 6.3 8.9 10.9 3.1 15.4 513.4 2.5 6.9 6.859 11.3
2월 - 6.3 8.9 10.9 -4.8 38.1 -91.5 0.8 7.8 6.875 11.1
3월 6.9 7.6 9.2 10.9 12.3 19.6 239.2 0.9 7.6 6.899 10.6
4월 - 6.5 8.9 10.7 4.2 11.6 380.3 1.2 6.4 6.893 10.5
5월 - 6.5 8.6 10.7 5.5 14.6 407.9 1.5 5.5 6.863 9.6
6월 6.9 7.6 8.6 11.0 9.1 16.3 427.5 1.5 5.5 6.774 9.5
7월 - 6.4 8.3 10.4 6.0 10.9 467.3 1.4 5.5 6.728 9.2
8월 - 6.0 7.8 10.1 4.6 13.6 419.2 1.8 6.3 6.601 8.9
9월 6.8 6.6 7.5 10.3 7.4 19.0 286.1 1.6 6.9 6.637 9.2
10월 - 6.2 7.3 10.0 6.2 16.8 381.9 1.9 6.9 6.640 8.8
11월 - 6.1 7.2 10.2 12.3 18.7 402.1 1.7 5.8 6.603 9.1

자료 : 중국통계국, CEIC, Global Insight

38
EM INSIDE 3 _ EM 주요 경제통계

▶ 베트남
소비자 외국인
GDP 산업생산 소매판매 수출 수입 무역 베트남동/
연월 물가 투자
성장률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증가율 수지 달러환율
상승률 증가율
단위 % % % % % 억 달러 % 동 %
2011년 6.2 - 28.4 34.2 25.8 -98.4 18.7 20,511 -32.9
2012년 5.3 - 16.0 18.2 6.6 7.5 9.1 20,828 -32.0
2013년 5.4 5.9 12.6 15.3 16.0 0.0 6.6 20,933 81.7
2014년 6.0 7.6 12.5 13.8 12.0 23.7 4.1 21,148 9.6
2015년 6.7 9.8 10.1 7.9 12.0 -35.5 0.9 21,677 -0.4
1월 - 16.4 16.0 14.9 42.8 -6.1 0.9 21,437 85.8
2월 - 9.6 13.0 0.7 3.4 -7.8 0.3 21,458 -48.4
3월 6.12 9.3 9.2 9.7 17.5 -12.1 0.9 21,458 -58.5
4월 - 9.6 5.6 2.7 7.6 4.3 1.0 21,458 23.5
5월 - 9.4 9.5 10.2 16.7 -12.2 1.0 21,641 -36.3
6월 6.47 9.7 3.0 15.5 17.3 -0.3 1.0 21,673 -25.8
7월 - 10.0 26.7 9.2 14.7 -4.9 0.9 21,673 54.4
8월 - 9.8 10.3 8.7 14.8 2.7 0.6 21,766 145.5
9월 6.81 9.8 5.2 9.3 5.7 0.1 0.0 21,890 706.7
10월 - 9.8 13.0 2.0 -0.6 4.6 0.0 21,890 -40.1
11월 - 9.9 5.0 4.7 8.0 1.8 0.3 21,890 -67.3
12월 - 8.1 8.0 6.4 3.3 -5.6 0.6 21,890 -9.4
2016년 6.21 7.4 8.8 9.0 5.6 17.8 3.2 21,932 -2.5
1월 - 5.7 8.1 0.7 -9.6 8.3 0.8 21,905 157.9
2월 - 6.4 8.2 6.1 -0.3 -1.6 1.3 21,885 179.2
3월 5.48 7.2 9.9 12.8 -1.0 6.6 1.7 21,876 65.6
4월 - 7.4 10.8 6.8 8.3 2.7 1.9 21,853 60.5
5월 - 7.5 10.3 5.1 -2.1 -2.2 2.3 21,892 339.9
6월 5.78 7.2 10.9 3.9 4.2 -0.8 2.4 21,882 33.7
7월 - 6.8 7.0 3.8 -2.5 4.4 2.4 21,873 -61.2
8월 - 7.3 7.4 11.8 10.1 5.5 2.6 21,862 15.7
9월 6.56 7.2 15.6 11.6 6.2 7.6 3.3 21,942 -56.7
10월 - 7.4 1.3 7.4 14.6 -4.9 4.1 22,004 -20.7
11월 - 7.4 7.1 16.1 19.9 -3.1 4.5 22,078 -32.4
12월 6.68 8.3 9.8 21.0 19.3 -4.5 4.7 22,138 6.5
2017년 6.8 9.4 10.9 21.1 20.8 - 3.5 22,370 40.1
1월 - -6.8 11.1 5.0 2.5 11.9 5.2 22,171 23.0
2월 - 16.3 -3.9 29.5 47.5 -20.6 5.0 22,222 -12.2
3월 5.1 5.9 25.4 13.7 27.7 -12.7 4.7 22,254 6.3
4월 - 7.4 17.3 21.5 22.4 1.9 4.3 22,321 -16.1
5월 - 7.5 10.8 24.5 26.0 -4.9 3.2 22,373 -42.2
6월 6.4 8.9 9.0 20.6 21.7 -2.6 2.5 22,416 429.0
7월 - 8.1 12.3 19.0 20.8 2.7 2.5 22,438 -9.1
8월 - 8.4 13.7 22.8 16.9 15.9 3.4 22,442 -52.0
9월 7.5 13.2 12.8 25.9 24.8 11.0 3.4 22,445 -19.3
10월 - 17.0 16.5 32.0 14.2 21.8 3.0 22,465 58.1
11월 - 17.2 13.1 24.1 18.2 6.0 2.6 22,451 358.4
12월 7.5 11.2 8.1 16.6 16.5 -5.0 2.6 22,438 -31.4
주 : 증가율 전년 동기대비 표기
자료 : CEIC, 베트남 통계청

39
iit.kita.net

2018년 세계 주요 정치·경제 일정

<1월>
일자 국가 내용

IMF 세계 경제전망 발표

1월 중 세계은행 세계 경제전망 발표

중국 공산당 제19기 중앙위원회 2차 전체회의

대만 해외 온라인쇼핑 면세기준 축소

말레이시아 4차 산업혁명으로 전환을 위한 세제 혜택

베트남 대외무역관리법 발효, 중소기업지원법 시행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 통관 세관법 발효


러시아
EAEU 의장국 취임
1. 1
아제르바이잔 관세법 개정

환경보호세법 발효, 반부당경쟁법(개정) 발효, 배기량 1.6L 이하 차량구매


중국
세 혜택 철폐, 수질오염방지법 개정, 온라인요식업 신 규정 발효

프랑스 세제 재편

타지키스탄 독립국가공동체(CIS) 의장국 취임

1. 5. 한국 한·미 FTA 개정협상 개시

1. 12. ~ 27. 체코 대통령 선거(1차 1. 12. ~ 13, 2차 1. 26. ~ 27.)

1. 13. 독일 EU 내 카드 및 송금 수수료 폐지

1. 22. ~ 31. 에티오피아 제30회 아프리카연합 정상회담

1. 23.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

1. 25. 러시아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 정상회담

1. 25. ~ 26. 인도 아세안-인도 25주년 특별기념 정상회담

1. 28. 핀란드 대통령 선거

1. 30. 미국 대통령 일반교서연설

40
특별부록

<2월>
일자 국가 내용

쿠바 의회 총선
2월 중
중국 한·중 경제장관회담

2. 3. 미국 재닛 엘런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 임기 만료

2. 8. ~ 5. 8. 이집트 대통령 선거

2. 9. ~ 25. 한국 평창 동계올림픽

2. 14. ~ 17. 뉴질랜드 국제철강회의(STESSA)

2. 15. ~ 16. 스리랑카 기후변화회의

<3월>
일자 국가 내용

리비아 대통령 선거

3월 중 중국 보아오 포럼

미국 미국통상대표부(USTR) 외국무역장벽보고서발표

전국인민대표위원회 국가지도자 선거
3. 3. ~ 15. 중국
양회(정치협상회의·전국인민대표회의)

3. 4. 이탈리아 총선

3. 11. 콜롬비아 국회의원 선거

3. 18. 러시아 대통령 선거

<4월>
일자 국가 내용

4월 중 대만 대기오염료 징수

4. 8. 헝가리 총선

4. 22. 파라과이 총선

4. 25. ~ 28. 싱가포르 제32회 아세안 정상회의

41
iit.kita.net

<5월>
일자 국가 내용

5월 중 오스트리아 174회 석유수출국기구(OPEC) 정기총회

5. 12. ~ 15. 이라크 총선

5. 14. ~ 16. 폴란드 유럽경제회의(EEC)

5. 24. ~26.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

5. 27. 콜롬비아 대통령 1차 선거(2차 6. 17.)

<6월>
일자 국가 내용

6월 중 인도 아시아인프라개발은행(AIIB) 정상회담

6. 8. 캐나다 G7 정상회의

6. 14. ~ 7. 15. 러시아 FIFA 월드컵축구대회

6. 22. 호주 OPEC 정례총회

6. 24. 사우디 여성운전 허용

6. 28. ~ 29. 벨기에 제 2회 유럽연합(EU) 정상회의

6. 28. 홍콩 일대일로 포럼

2015년 무역촉진권한(TPA)법에 의한 대통령 통상권한기한(의회 승인에


6. 30. 미국
따라 2021년까지 연장)

<7월>
일자 국가 내용

멕시코 대통령 선거, 총선

7. 1. 호주 EU 의장국 취임

중국 수입 의료기기 등록

7. 11. ~ 12. 벨기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7. 29. 캄보디아 총선

42
특별부록

<8월>
일자 국가 내용

말레이시아 총선
8월 중
파키스탄 총선

8. 18. ~ 9. 2. 인도네시아 아시안게임

<9월>
일자 국가 내용

베트남 아세안 세계경제포럼(WEF ASEAN 2018)


9월 중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

9. 1. 독일 자동차세(KfZ-Steuer) 부과 기준 변경

9. 6. ~ 7. 러시아 동방경제포럼

9. 9. 스웨덴 총선

9. 18. ~ 25. 미국 제 73회 국제연합(UN) 총회

<10월>
일자 국가 내용

10월 중 영국 영국-EU, 브렉시트 협상 종료

10. 7. 브라질 대통령 선거(10. 28. 결선투표), 총선

10. 12. ~ 14. 인도네시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10. 17.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선거

<11월>
일자 국가 내용

11월 중 태국 총선

11. 6. 미국 연방 상·하원, 주지사(16개 주) 선거

11. 11. ~ 15. 싱가포르 제33회 아세안 정상회의

11. 12. ~ 18. 파푸아 뉴기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11. 30. ~ 12. 1. 아르헨티나 G20 정상회담

43
iit.kita.net

<12월>
일자 국가 내용

12. 5. 스위스 대통령 선거

12. 9. 베네수엘라 대통령 선거

12. 13. ~ 14. 벨기에 제 4회 유럽연합(EU) 정상회의

12. 23.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 선거

12. 31. 미국 유네스코(UNESCO) 공식 탈퇴

자료: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언론 기사 등 종합

44
2018년 1월호

<신남방·신북방정책의 나라 : 라오스, 러시아 시장 탐색>


아세안의 숨겨진 보고(寶庫), 라오스에도 주목하자
러시아 바이어로부터 듣는 2018년 현지 소비시장 정보

2018년 1월 10일  발행


<브라질> 2017년 11월 산업생산 4.7% 증가
<러시아> 소비시장 회복세 지속
발 행 처 | 한국무역협회
발 행 인 | 김영주 <인 도> 11월 수출입 두 자릿수 증가
주 소 |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511 트레이드타워 48층 전략시장연구실
<중 국> 11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7.2%
전 화 | 02) 6000-5499
팩 스 | 02) 6000-6198 <베트남> 2017년 경제성장률 당초 목표(6.7%) 상회한 6.8% 예상
등록일자 | 1960년 5월 26일
등록번호 | 2-97호  [특별부록] 2018년 세계 주요 정치·경제 일정
편 집 | (주) 보성인쇄기획

ⓒ 한국무역협회 2018 Printed in Korea “융복합 시대, 미래무역의 글로벌 리더 한국무역협회”


본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무단 전재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금지하고 있습니다
- KITA, Smart BRIDGE to the Future Trade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