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2주차-과학이란?

2. 과학이란?
철학 →과학 →응용과학 →공학 →기술 →기예

과학
과학

옛날 옛적 현대문명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역사
2주차-과학이란?

최초의 문명
4대 문명
(나일강, 유프라테스-티그리스, 인더스
강, 황화강)
2주차-과학이란?

고대문명의 특징

1. 실용적 지식: 기록 보존, 정치적 행정, 경제적 교역,


정확한 달력, 건축과 토목 사업, 농업 관리, 의약품과
치료법, 종교, 천문학적 예언

2. 익명의 과학: 지식은 국가기관에 소속된 전문가들의 몫,


개인적인 발견보다는 사회 유지에 기여하는 것에 관심

3. 신화적 우주론

4. 목록의 과학: 정해진 결과/목록만 있다, 의식, 절차,


기술→ 중앙집중적 관리
문명의 지탱→과학?
2주차-과학이란?

고도의 종교적, 신화적 이론과 고도의 지식과 기술,


고도의 통치 관리 기술 없이는 문명 지탱 불가능

기자의 쿠푸 피라미드(기원전 2789-2767)


-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석조 건축물(부피: 2만9천
㎦, 높이 148m)
- 평균 무게 2.5톤에 달하는 230만 개의 돌로 구성
- 상당한 수준의 수학적, 공학적 지식 필요
- 정확한 방향 설정을 위해서도 전문적 기술 필요
- 엄청난 노동력의 산물: 약 10만 명의 기술자가
20년간 동원되어 완성
피라미드들은 농한기에 군중을 동원하여
국가가 존재한다는 생각을 강화하기 위해
벌인 거대 건축사업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에서


헬레니즘 문명은 기원전 323년에서
146년 사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헬레니즘 시대전 그리스
전쟁이 끝난 시점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146년 로마가 그리스를 병합) (H, 600-300 B.C.)
‘자연철학’의 발명

지식 자체를 위한 지식 탐구
(vs. 원초문명의 실용적 지식)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와 객관화 (vs.
신화적 우주론)
보편적 현상에 대한 일반적 해명 (vs.
목록의 과학)

사적 탐구 (vs. 익명의 과학)


실용적 욕심 없는 자연에 대한 추상적인
사변. 생산, 기술 활동과 동떨어진 놀이,
유희, 성찰.
절대 권위 없음. 지적인 논쟁도 권위에
호소하지 않음.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에서


탈레스 (Thales)
Miletus, 624?-548/545? B.C.
“말을 잘 안듣는 노새에 관한 일화”

최초의 자연철학자?, 최초의 과학자?

1. 지식 자체를 위한 지식 탐구
- 세상에 무관심, 별만 바라보고 걷던 나머지 우물에 빠졌다는 일화
의 주인공
2.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된 설명
- 지구는 물 위에 나무토막이나 배처럼 떠 있으며, 지진은 물
의 움직임 때문에 발생한다.
3. 새로운 과학적 질문
- 세계는 무엇으로 이루어졌는가? 물(water)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에서


탈레스 (Thales)
Miletus, 624?-548/545? B.C.
“말을 잘 안듣는 노새에 관한 일화”
최초의 과학자? 최초의 자연철학자?

탈레스 - 물(water)
아낙시만드로스 - 무한자(apeiron), 온-냉/건-습(이원성)
아낙시메네스 - 공기(pneuma): 응축화/희박화
엠페도클레스 - 네 뿌리(물, 불, 흙, 공기)→2천년동안 영
향력 발휘 (인력과 척력 존재)
합리적 비판과 논쟁 → 밀레토스 학파 형성
(C.f. 피타고라스: 수, 데모크리토스: 원자)
2주차-과학이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에서


플라톤(Plato)
Athene, 428-327 B.C.

소크라테스의 愛 제자
소크라테스 사후 이탈리아/이집트 여행
아테네로 돌아온 후, 아카데메이아(Academeia) 설립

“기하학을 모르는 자 들어오지 말라”


(아카데메이아 정문 위의 경구)

기하학적 원소가 다섯 개인 이유는?


4(5)원소론
세 가지는 상호 변환,
그러나 흙, 에테르 (빛나는
공기)는 불변,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Athene, 384-322 B.C.
플라톤의 愛 제자
플라톤 사후 에게해/소아시아 여행
아테네로 돌아온 후, 리케이움(Lykeion) 설립

형상(form)
이데아(idea)

물질(matter)
플라톤
(모든 개는 이데아의 불완전한 복제)
아리스토텔레스
(모든 개는 형상과 물질을 가짐)
2주차-과학이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실재 이데아의 세계 현실 세계

감각 불신(경험<관념) 신뢰

방법 수학적/추상적 추론 경험 → 분류 → 질서
2주차-과학이란?

아리스토텔레스 체계의 통일성


이론과 경험의 통일 - 상식적이면서 탁월한 설명력
고도로 일관되면서 동시에 매우 포괄적인 이론 체계

1 2 3

우주론 물질론 운동론


---------- ---------- ----------
잠재적인 것이
천상계 제5원소 자연스런 운동 현실화되는 과정
vs vs vs
지상계 흙,물,공기,불 강제된 운동 본성이 실현되지
못하는 운동

→ 모든 문제를 잘 체계적으로 설명한다고 생각하면 오산.


e.g., 투사체의 운동 잘 설명 못함.
2주차-과학이란?

과학이란?
1. 좋은 과학이란?
• 객관성은 올바른 과학, 좋은 과학의 척도
•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험과 관찰은 편견(bias)이나 성향이
들어가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2. 과학의 인식적 우월성


• 과학은 명제가 참 아니면 거짓인 주장의 진위를 판별하는데
비과학보다 훨씬 우월하다.
• 이유: 과학적 방법론의 우월한 예측 능력
-재현 가능한 관찰과 실험
-예측 평가와 결과 수렴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에서 진짜?


⚫ 과학적 방법(科學的方法, 프랑스어: méthode scientifique,
영어: scientific method))

현상을 연구하고 새로운 지식을 구축하거나 이전의 지식들을 모아 통합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경험과 측정에 근거한 증거를 사용하여 현상의 원리를 밝히는
과정

• 옥스퍼드 사전,
“17세기 이후 자연과학에 의해 정형화된 계획적인 관찰, 측
정, 실험, 일반화, 시험 및 가설의 변경 등의 과정으로 이루
어진 방법
2주차-과학이란?

과학적 방법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5가지 특징
• 시험 가능성
• 재현성
• 논리적 설명적
• 예측 가능성
• 한시적

1. 문제의 해결은 상식적 접근보다 논리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진다.


2. 이론이나 가설은 체계적이고 경험적으로 검증된다.
3.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관찰이나 실험은 통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4.사상(事象)들의 체계나 상호관계가 객관성있고 타당성있게 설명된다.
5.연구자들의 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에 따라 과학적 방법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2주차-과학이란?

연금술은 과학인가?
• 아리스토텔레스 5대 근본원소

– 근본원소의 비율을 바꾸면 물질도 바뀔 것으로 기대

– 납을 금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

– 여러 물질의 융해, 증류, 재결정, 여과 시도

• 지구(소우주)에 있는 것과 천체(대우주) 현상과의 대응 관계


2주차-과학이란?

연금술의 흔적
2주차-과학이란?
연금술사(alchemist)
현자의 돌을 찾는 연금술사

by Joseph Wright of Derby, 1771

1669년 독일의 연금술사 Hennig


Brandt(1630?-1692)는 소변을 증
발시켜 현자의 돌을 얻으려고 하
다가 어둠 속에서 빛을 내고 잘 타
는 흰 물질(인) 발견

선배과학자?, 과학?
2주차-과학이란?

연금술은 과학이 아니다


❖ 상징과 비유를 써서 기록

• 신비한 연금술 지식은 일반인과 나눌 수 없다

• 실험 방법과 결과를 비밀에 부침

❖ 주관적, 신비적 작업 vs. 객관성, 재현성

• 과학보다는 기예(art)에 가까움

•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 삼단논법 등의 논리를


관찰보다 중시
과학의 시작은?
2주차-과학이란?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


(1543년)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갈릴레이 갈릴레오 관측
2주차-과학이란?

과학의 시작 : 관성의 법칙
“일정한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면 일정한 힘을 계속
줘야 한다.” – 아리스토텔레스

정말 그런가?

힘 (Force, F)

계속 멈추어 있게 하려면?

수업자료: KLAS (http://klas.khu.ac.kr)


다음시간에는 “과학의 시작”

똑같이 계속 운동하게 하려면? 또는 멈추게 하려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