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LeChatelier’s Principle ; Buffers

이름 JIN ZHIXIONG

dade 2015 11 27

파트너 한마로

1. Introduction
Most chemical reactions do not produce a 100% yield of product,

not because of the experimental technique or design, but rather because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action. The reactants initially

produce the expected products, but after a period of time the

concentrations of the reactants and products stop changing.

This apparent cessation of the reaction before a 100% yield is

obtained implies that the chemical system has reached a state where the

reactants combine to form the products at a rate equal to that of the

products re-forming the reactants. This condition is a state of dynamic

equilibrium and is characteristic of all reversible reactions.

A general statement governing all systems in a state a of dynamic

equilibrium follows ;
If an external stress (change in concentration, tempereature,etc.) is

applied to a system in a state of dynamic equilibrium, the equilibrium

shifts in the direction that minimizes the effect of that stress.

This is LeChatelier’s principle, proposed by Henri Louis LeChatelier

in 1888.

2. Procedure
A Material
1. 0.1MCuSo4
2. Nh3
3. 0.1M NiCL2
4. 1M HCL
5. 0.01M AgNO3
6. 0.1M Na2CO3
7. 6M HNO3
8. 0.1M HCL
9. 0.1M KI
10.0.1M Na2S
11.distilled water
12.0.1M CH3COOH
13.0.1M Na2CH3COOH
14.0.10 M HCL ,NaOH

15.pH 계

16.1.0M CoCl2

17.boiling water

18.튜브
19.비커

B 밑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 result and analyse

part A

이번실험은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먼제 15 방울의 0.1M CuSO4 (or

NICL2)를 작은 튜브에 넣는다 . 그리고 NH3 를 넣어서 색갈변화를

관찰한다 . 다음 1M HCL 를 넣어서 변화되는 현상을 관찷한다 .

수치는 다음과 같다

CuSO4 + NH3 NiCl2 + NH3


Original color NH3 HCL
CuSO4 Light blue Dark blue Ligh blue
NiCL2 Light green
백색침전이 침전이

생성되고 소실되다

용액은 purple 용액이 색갈은

로 변함 계속

purple 이다

Part B

이번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먼저 0.1ml of 0.1M Na2CO3 를 넣는다 다음 0.5ml 0.01M

AgNO3 넣고 현상을 관찰한다 다음 6 M HNO3 방울방울 떨구어

화학변화가 생길때까지 관찰한다. 이부분을 관찰하였을때 다음과

같다.
Na2CO3 + AgNO3

반응을 관찰하였을떄 무색의 AgNO3 에

무색의 Na2CO3 용액을 추가하였을떄 색갈은

brown 으로 변하였다 방정식을 적어보면

2AgNO3(aq) + Na2CO3(aq) ↔ Ag2CO3(s) + 2NaNO3(aq)

다음 0.1M HCL 를 추가하였다. 그러면

브라운 색갈을 띤것이 색갈이 변하고 최종적으로 분층현상을

관찰할수있는데 밑층에 침전이 생성된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윗층에느 혼탁상태인것도 관찰할수있다.

Ag2CO3(s) + 2HCL(aq) <-> 2AgCl(s) + H2O(l) + CO2(g)

다음 6M HNO3 를 넣었지만 선명한 현상은 나오지 않다 그러므로

AgCl 은 HNO3 에 용해하지 않는다. 실제 이것은 실제상황에 부합덴다.

2. 위에서 얻은 용액에 5 방울의 0.1M HCL 를 넣는다 다음 NH3 를

방울방울떨구어 현상을 관찰한다. 6M HNO3 를 다시 넣어본다 당므

NH3 를 넣고 현상을 관찰한다 현상관찰결과는 다음과 같다 .


먼저 HCL 를 넣었을때는 현상의 없엇다 다음

NH3 룰 넣었을때 샘플은 colorless 로 변하다

방적식을 적어보면
AgCl(aq)+NH3(aq) ↔ [Ag(NH3)2]+(aq) + Cl-(aq)

다음 HNO3 를 다시넣었을때 샘플은 다시 밀키색으로 변하고

시험관은 열량을 방출하였다 방적식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2Cl- (aq)+ [Ag(NH3)2]+(aq) + 2HNO3(aq) ↔ 2Agcl(s)) + 2NH4+(aq) + 2NO3-(aq)

즉 이과정에서 다시 염화은이 생성되였다는 것을 알수있다

다시 NH3 를 넣으면 같은 결과를 얻는다

3 0.1M KI 를 넣었을대 현상을 관찰해보면 혼탁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방적식으로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Ag(NH3)2]+(aq) + KI(Aq)  AgI(s) + NH3(aq) + K+(aq)

4. 0.1M Na2S 를 방울방울떨굴때

혼탁되였던 용액이 흑색으로

변화된것을 관찰하였다 .

AgI(s) + Na2S(aq) 
Ag2S(s) + NaI(s)

Part c
먼저 A1 A2 라는 50 ml 비커에 각각 CH3CooH 를 넣는다 다음 Ph 계로

측정한다 다음 10ml NaCH3CO2 를 각각 비커에넣는다 다음 PH

측정한다. 이러면 buffer 용액의 완성덴다 다음 b1,b2 라는 50ml 비커에

20ml 증류수를 넣는다 그리고 ph 를 측정한다. 다음 5ml 의 0.10M HCL

를 A1 B1 에 각각 넣고 Ph 를 측정한다 그리고 변화를 측정한다. 다음

5ml 0.10M NaOH 를 A2 B2 에 넣고 갗은 조작을 진행한다 수치를 보면

다음과 같다

A1 A2 B1 B2

Ph before 4.62 4.62 6.10 6.10

Ph after 4.03 4.94 1.96 12.47

change 0.59 0.32 4.14 6.37

여기서 보면 초산은 약전해질이기에 완전히 전리가 안된다 그래서

ph 가 전리할때 보다 더 작다 그리고 보면 초산 소듐을 넣엇다 이것은

가수분해하기에 염기성을 띠기에 산성을 약화시켰다고 본다 방적식으로

표현하면

CH3COOH(l)  CH3COO –(aq) + H +(aq)

CH3COO-(aq) + H2O(l)  CH3COOH(l) + OH –(aq)

Part D

0.1M CoCL2 를 10 방울으 75mm 튜브에 넣는다 그리고 HCL 를

방울방울 떨구어 색갈 변화나타날때까지 넣는다 다음 물을 넣어


천천히 저어준다.

실험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CL2 + HCL +H2O

Color Red Purple Back to red

결과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HCL 를

넣었을때

현상이적색으로

부터 퍼를로

변했는데 그

이유를 방적식으로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Co(H2O)6]2+(aq) + 4Cl-(aq) ↔ [CoCl4]2-(aq) + 6H2O(l)

다음 과정에서 증류수를 넣었는데 색갈이 다시 적색으로 변하였다

왜냐하면 위에 방적식에서 알다싶이 르샤틀레예 원리에 의하면 물을 더

넣었을때 이온이 몰농도가 작아지기에 이온이 농도가 높아지는 쪽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러므로 화학 평형은 왼쪽으로 움직여야 하고 그 결과

용액은 적색으로 다시 변하게 덴다.

5. Discussion

이번 실험은 르샤텔리예 원리를 검증하는 실험이다. 이번실험에서 많은

시약들로 이 원리를 증명하였다. 실험은 큰 오차없이 성공적으로

끝낫다 실험 자체가 성질을 검증하는 실험이기에 큰 계산 결과가

필요되지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험과정에서 오차가 존재하기는


하였는다 그 원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첫번째 실험에서 볼때 NiCL2 를 넣고 NH3 를 넣은다음 HCL 를

넣었는데 고체가 용해되지 않았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고체덩어리를 교반하여야 데는데 교반하지않은것으로 나왔다. 실제

교반하면 고체가 용해하기에 실험현상은 맞는 수치였다 .

2. C 실험을 진행할때 pH 계 사용할때 정확하게 씻지않으면 수치가

정확한 수치를 나타날수없었다. 그래서 중복실험을 하는것이 옳바른

원칙인것으로 생각한다.

3. 이번실험은 색갈을 관찰하는 실험만큼 만약에 사용되는 유리의기가

깨끗하지 못하면 실험결과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였다.

5. Conclusion
이번 실험을 통하여 르샤텔리에 원리에 대하여 다시하번 생각하게

공고히 알게 되고 실험은 성공적으로 끝낫다고 생각한다.

6 Reference

Laboratory Manual for Principle of General Chemistry 9th


edition p.201-212, J.A. Beran
7. lab question’

1. cu(oh)2

3 만약에 바꾸면 먼저 AgOH 라는 은백색 침전이 생성데는데 인차 브라운

색갈은 Ag2O 로 변한다

5 왜냐하면 염산을 넣었을때 초산소둠중 초산이온과 수소이온이 결합하여

새로운 초산 분자가 생성된다. pH 리는 용액중에 있는 수소 이온의 농도와

관계된다. 그러므로 수소이온의 농도가 완충용액에 넣었을때 크게

변화되지않는다.

7 정확하게 말하면 수소이온이 농도가 아주 높을때 즉 모든 초산이온이

수소이온과 모두 결합되였다고 여길때 이물질은 완충용액의 작용을

잃었다고 여긴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