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2

디지털 방송을 위한

오디오 Loudness Processing Plan

2013. 7
(주)미디어큐브
www.mediacube.co.kr
라우드니스 (Loudness) 란?

라우드니스란 레벨과는 다른 개념이다 !


라우드니스란 실제로 인간이 느끼는 음량의 크기
를 의미하며, 인간의 귀는 낮은 음압에서 중음보다
저음과 고음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반응하며 음압
에 따라 주파수 반응이 틀려집니다. 따라서 라우드
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간의 귀의 반
응 특성을 보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ITU(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라우드니스를 측정하
기 위해 ITU-R BS.1770이라는 ITU 표준규격을 설
정하여 dB LKFS 또는 dB LU 단위로 라우드니스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디오 레벨에 관한 패러다임의 변화
“ PPM(Peak Program) , VU 미터링” 에서
“라우드니스(Loudness) 측정” 으로
전세계 라우드니스(Loudness) 관련 표준안
- ITU-R BS.1770 (2006)
오디오 프로그램의 라우드니스(Loudnsss)와 트루피크(True-Peak)를 측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ITU-R BS.1770-1 (2007)


ITU-R BS.1770-2 (2011)
ITU-R BS.1770-3 (2012)

- EBU R 128 (2010)


ITU-R BS.1770-2 에 기반하고 이를 확장. 라우드니스 레인지와 타겟레벨(-23 LUFS +/- 1 )
트루피크(-1dB TP이하)

- ATSC A/85:2009 (2009)


ITU-R BS.1770 에 기반하고 이를 확장. 라우드니스 레인지와 타겟레벨(-24 LKFS +/- 2), 트
루피크(-2dB TP이하)
전세계적 오디오 라우드니스
(Loudness) 규제 현황

ITU-R BS.1770 에 기반한 타겟 라우드니스 레벨과 허용 최


대 트루피크 값을 설정하고, 라우드니스 레인지(LRA) 콘트롤
을 통하여 시청자가 프로그램 내/ 채널간에 오디오 볼륨조절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배급, 송출기준
설정하고 준수

* 유럽 - EBU 128 : 타겟레벨(-23 LUFS +/- 1 )


트루피크(-1dB TP이하)

* 북미 – ATSC A/85 : 타겟레벨(-24 LKFS +/- 2)


트루피크(-2dB TP이하)
북미 기준 - ATSC Document A/85:2009
- 디지털 TV를 위한 오디오 라우드니스를 정의
하고 유지하기 위한 기술

라우드니스 측정, 제작모니터링, 메타데이터 사용, 현대적인 다이나믹 레인지 훈련 , 등


의 숙달이 콘텐츠 공급업체, 방송국, 시청자, 감독기구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수
적이라는 것을 방송업계에서는 인식하였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TV시청자들을 위한 최
고품질의 오디오 사운드 트랙을 제공하기 위한 제작 배급, 송출 기술에 대한 교본을 제
안합니다.

아래와 같은 기술적인 정보와 권장사항

- ITU-R BS.1770 에 따른 라우드니스 측정 recommendation.


- 메타데이터 없이 콘텐츠 호환을 위한 타겟 라우드니스와 트루 피크 레벨
- 가정에서의 다양한 청취환경을 고려한 레퍼런스 모니터링 환경의 셋업
- Provides methods to effectively control program-to-interstitial loudness .
-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배급, 송출을 위한 오디오 메타데이터의 효율적 사용
- 프로그램내와 프로그램 사이의 라우드니스와 다이나믹 다이나믹 레인지 관리에
대한 권장사항을 포함한 추가적 또는 선택적인 AC-3 오디오내의 다이나믹
레인지 콘트롤과 동시에 기존의 다이나믹 레인지 콘트롤
타겟 라우드니스(Target Loudness)와
LRA 라우드니스 콘트롤

“컴포트 존(Comfort “볼륨 미조정 존


Zone)”은 시청자가 받 (Volume Unchanged
Target ( EBU : -23 dB LKFS ;
아들일 수 있는 정도 ATSC : -24 dB LKFS ) Zone)”은 시청자가
의 프로그램간 또는 프로그램간 또는 프로
프로그램 내의 라우드 그램 내의 라우드니스
니스 변화에 대한 라 Volume 변화에 대해 볼륨조절
Unchanged
우드니스 범위입니다. Zone 없이 들을 수 있는 라
우드니스 범위입니다.

<중요한 라우드니스 레벨> ATSC Document A/85:2009

이 범위및 다른 라우드니스 허용범위 를 정의하기 위해 주관적인 청취 테스


트 실험이 행해졌으며, 이 결과로 위와 같은 기준점이 도출 되었습니다.
유럽기준 -EBU R 128
- EBU loudness recommendation
“라우드니스 노멀라이제이션은 진정한
오디오 레벨링 혁명 이다”

EBU(European Broadcasting Union)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배급, 송출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레벨의 필요를 연구해 왔습니다. 오디오 레벨링 패러다임이
라우드니스의 측정에 기반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에 의해서 였습니다.
EBU에서는 프로그램의 평균 라우드니스( '프로그램 라우드니스') 와 함께 ‘라우드
니스 레인지’ 와 ‘최대 트루 피크 레벨(True Peak Level)’을 측정하여 오디오 신호의
노말라이즈에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각 프로그램 /방송국에서 전체 신호 체인에
대한 기술적 제한을 준수하도록 하고 장르와 타겟 시청자에 따라 미학적인 요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권장 합니다.
EBU R 128
- EBU loudness recommendation
‘EBU Mode’ 라우드니스 미터 에서는
0LU 는 -23 LUFS 를 의미합니다.

0 LU(EBU mode)

0LU =
“EBU Mode”

- Momentary loudness (M) : 0.4초의 사각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를 사용(sliding


rectangular time window). 게이트가 적용되지 않음

- Short-term loudness(S) : 3초의 사각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를 사용(sliding


rectangular time window). 게이트가 적용되지 않음

- Integrated loudness(I) : ITU-R BS.1770-2에서 기술된 게이팅 적용.

EBU Measurement gate( ITU-R BS.1770-2에 기반): Integrated Loudness(I) 측정에만 적용


- -70 LUFS 를 절대값 사일런스 게이팅 threshold로 사용하여 절대값 게이트된(absolute-gated)
라우드니스 레벨을 계산
- 절대값 게이트된(absolute-gated) 라우드니스 레벨의 10 LU아래를 상대 게이트
threshold로 사용
- 게이팅 threshold가 적용되는 측정입력은 75% 의 연속적인 게이팅 블록 사이의 지속적인 교차
가 일어나는 400 ms 라우드니스 블록
True Peak :Sample Peak vs True Peak
현대적인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의 처리와 분배를 매우 단순
화시켰습니다. 이러한 신호의 피크 미터링은 일반적으로 측정기간 동안의
최대 샘플 값을 표시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피크 샘플 값에 대한 좁은
관점은 연속적인 파형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이는 예기치 못한 오디오의 오버로드, 부정확한 피크 리딩(peak reading)
및 다른 드러나지 않은 문제 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트루 피크(True-peak)
레벨 측정은 이러한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보다 정확한 오디오
신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트루 피크(True-peak)
+ 1.2 dBTP
샘플 피크(sample-peak)
0 dBFS

< 연속적인 신호의 피크 레벨 vs. 샘플 피크(sample-peak) >


피크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vs. 라우드니스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 Peak level normalization vs. Loudness level normalization)

<연속된 프로그램의 피크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vs. 라우드니스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피크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vs. 라우드니스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 Peak level normalization vs. Loudness level normalization)

<EBU R 128>

<유사-피크(Quasi-Peak)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vs. 라우드니스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피크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vs. 라우드니스 레벨 노멀라이제이션
( Peak level normalization vs. Loudness level normalization)

<배급단계에서의 라우드니스 노멀라이제이션의 효과>


Loudness Range(LRA):
라우드니스 레인지 (‘LRA’)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라우드니스 측정에서 변화량을
의미합니다. 라우드니스 레인지 (‘LRA’)는 다이나믹 레인지나 크레스트 펙터(crest
factor) 와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 재생 환경에 따른 라우드니스 레인지의 다른 사례>


Loudness Ranges: “Comfort Zone”
( ATSC Document A/85:2009 - 디지털 TV를 위한 오디오 라우드니스
를 정의하고 유지하기 위한 기술, Annex E : 라우드니스 레인지 )

“컴포트 존(Comfort Zone)”은 시청자가 받


아들일 수 있는 정도의 프로그램간 또는 프
로그램 내의 라우드니스 변화에 대한 라우
드니스 범위입니다. 이 범위및 다른 라우
Target ( EBU : -23 dB LKFS ; 드니스 허용범위 를 정의하기 위해 주관적
ATSC : -24 dB LKFS ) 인 청취 테스트 실험이 행해졌으며, 이 결
과로 왼쪽과 같은 기준점이 도출 되었습니
다.

<중요한 라우드니스 레벨>


ITU-R BS.1770 0 dB LKFS
Scale
-10 dB LKFS

-20 dB LKFS
프로그램 평균 라우드니스
-30 dB LKFS (Integrated Loudness )

-40 dB LKFS
라우드니스 레인지(LRA)
-50 dB LKFS (Short-term Loudness)
Loudness Peaks
Integrated
over Integrated Loudness
Loudness
(Infinite )
Loudness Control
• 방송에서 라우드니스와 관련된 문제점:
– 프로그램간의 라우드니스 편차
– 프로그램과 광고간의 라우드니스 편차
– 프로그램내의 다이나믹 레인지

• Dolby’s Plan: Loudness managed by metadata


– 모든 콘텐츠를 측정하여 메타데이터를 제대로 설정
하여 디코딩시 라우드니스 와 다이나믹을 일정하게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 후반작업이 100% 이루어지지 않는 한 국내 방송제작
환경에서 불가능
Dolby Digital(AC-3) 주요 메타데이터

• 3 Dirty “D”s

– Dialnorm (Dialogue Level)

– DRC (Dynamic Range Control)

– Downmixing
Dialnorm (Dialogue Level)

< DP569 Dolby Digital AC-3 Encoder Remote S/W의 Dialnorm 설정


- Factory Default : -27 >
“Dialnorm” 값이란?

Digital
0 dBFS
Full Scale
DIALNORM
-10 dBFS
VALUE -20
0VU Reference DIALOG
-20 dBFS
Level LOUDNESS
-30 dBFS

-40 dBFS

-50 dBFS

AVERAGE DIALOG SIGNAL PEAKS


Dialnorm (Dialogue Level)

MOVIE TV DRAMA SPORTS SYMPHONY ROCK NEWS


LD MOVIE VHS HI-FI DSS PPV CLASSICAL POP CD TV AUDIO
0 dBFS

-10 dBFS 10
-20 dBFS 21 20 20
24
27
-30 dBFS

-40 dBFS

AVERAGE DIALOG SIGNAL PEAKS


(Dialnorm 값)
After Dialnorm Normalized

MOVIE TV DRAMA SPORTS SYMPHONY ROCK NEWS


LD MOVIE VHS HI-FI DSS PPV CLASSICAL POP CD TV AUDIO
0 dBFS
Dynamic Range Unchanged
-10 dBFS

-20 dBFS

-30 dBFS
-31 dBFS
-40 dBFS

AVERAGE DIALOG SIGNAL PEAKS


Dynamic Range Control (DRC)

< DP569 Dolby Digital AC-3 Encoder Remote S/W의


Dynamic Range Control(DRC) 설정
- Factory Default : Film Standard>
Dynamic Range Control (DRC)
ORIGINAL LINE RF
dBFS
SIGNAL MODE MODE
0

-10

-20 (Dialnorm 값을 -31


로 설정한 경우)
-30

-40 DIALOG
LOUDNESS
-50
-60
-70
-80
Dialnorm 값이 DRC의 threshold 값으로 사용됨
“Dialnorm 값이 DRC의 threshold 값으로 사용되므로 입력한 Dialnorm 값이
오디오의 실제 대사 라우드니스 평균값과 다른 경우 디코딩시 오디오가 왜곡됨”
Dynamic Range Control(DRC) :

< AC-3 시스템의 기본 다이나믹 레인지 컴프레션 커브>


Dynamic Range Control(DRC) :

(Dialnorm 값)
국내 방송사의 Dolby Digital(AC-3)
주요 메타데이터 설정현황
– Dialnorm (Dialogue Level)
-> -31 (Factory Default: -27)
사유: 디코딩시 레벨저하를 막기위해
“ 디코딩에서 Dialogue Normalization 동작시 설정된 Dialnorm 값과 -31의 차이
만큼 오디오 gain down 발생 : 입력된 Dialnorm 값이 -27인 경우 -4dB(-31 –(-27))
만큼 오디오 게인이 낮아짐”

– DRC (Dynamic Range Control)


-> None (Factory Default: Film Standard)
사유: 디코딩시 비정상적인 오디오 다이나믹 프로세싱
(Compress/Expend)을 막기위해
“디코딩에서 Dynamic Range Control(DRC) 동작시 설정된 Dialnorm 값이 DRC
의 threshold 값으로 사용되므로 입력한 Dialnorm 값이 오디오의 실제 대사 라
우드니스 평균값과 다른 경우 디코딩시 오디오가 비정상적으로 다이나믹 프로세
싱되어 의도하지않게 왜곡됨”
국내 오디오 라우드니스
(Loudness) 규제 계획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연월일 : 2012. 11. 16
(권은희의원 대표발의) 발 의 자 : 권은희․조경태․남경필

변재일․홍지만․주호영

김세연․이철우․심학봉

조원진․정수성․정희수 의원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12인)

현행법은 지상파방송, 종합유선방송 등의 방송프로그램 및 광고의 음량 기준에 대한 특별한 규정이 없어


제작자의 성향이나 채널 간 경쟁 등에 의해 방송프로그램 음량을 높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방
송채널 간 음량의 급격한 변화로 시정자로 하여금 수시로 음량을 조정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고 있음.
국제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지난 2010년 3월, 디지털 방송의 음량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제
디지털 방송프로그램 교환 시 음량 기준값을 -24LKFS로 할 것을 권고(ITU-R Rec. BS.1864)한 바 있으며,
유럽 방송 연합(EBU)에서도 2011년 2월, 오디오 프로그램의 음량 레벨을 -23LKFS(오차범위 ±1)로 설정할
것을 권고(EBU Recommendation R128)하였음.
이에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ITU의 권고안에 따라 상업광고의 음량 규제에 대한 법안(Commercial
Advertisement Loudness Mitigation Act)을 제정(2010.12)하고 시행(2012.12)을 앞두고 있으며, 캐나다의
경우도 방송법 개정(2011.12)을 통해 일반 프로그램과 상업광고가 동등한 수준의 음량을 가지도록 하는
규제를 시행(2012.9)하고 있음.
따라서, 방송프로그램의 표준 음량기준을 마련하여 시청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프로그램공급자간 불
필요한 경쟁을 줄이는 등 방송프로그램의 긍정적인 발전을 도모하고자 함(안 제70조의2 신설).
국내 오디오 라우드니스
(Loudness) 기준
현재 북미 ATSC 기준을 기반으로 설계

방송프로그램 음량 기준 실무반(WG8034)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음량 레벨 운용 기준
4.4. 음량 및 트루 피크 기준

4.4.1 목표 음량

(의 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음량을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공


급, 전송 과정에서 준수해야 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평균 음량을 의미한다.
(요구 사항) 방송사업자의 시설을 통해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평균 음량
은 -24LKFS의 값으로 제작, 공급, 전송 되어야 하며, 운용상의 허용오차는 ±2dB로 한다.

4.4.2. 최대 허용 트루 피크

(의 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오디오 신호의 트루 피크 레벨의 최대 허용치를 의미한다.


(요구 사항) 방송사업자의 시설을 통해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오디오 신호
의 트루 피크 레벨의 최대값은 -1dB TP로 해야 한다.
최대 허용 트루 피크 레벨의 설정은 음성 신호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수 있는 클리핑(Clipping) 현상
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룸(Headroom)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2009년 11월 방송분
공중파 TV 4ch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KBS 1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6

KBS

6
TV

TV
인 아 여 동 세
KBS

무 시

간 침 엇 동 성 람 유 물 상 청
-8 뉴 극 마 뉴 이 화 공 의 의 은 내 자
치 고
스 장 당 스 든 감 나 세 넓 컬
-10 행 원 향
광 지 라 계 다 럼
복 파
장 물 우
-12 한 니
어 세 파 리
-14 보 상 니 사
세 는
-16 요 세

-18
Integrated Loudness : -19.5 dB LKFS
-20 Volume
Comfort
-22 Unchanged
Zone
Zone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dB LKFS) Infinite All Short-Term All KBS1 : 2009.11.24/27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KBS2 : 2009.11.20/25/266
[LKFS] Range [LKFS]
(Integrated Loudness) 편차 MBC : 2009.11.24/25
: 11dB (+4.5 ~ -6.5dB) -19.5 -63.5 -9.1 SBS : 2009.11..25/26
KBS 2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6 미 후 리 추 생

KBS 8
상 뮤 스 여 지 아 영 생 생

KBS

녀 토 상 빙 직 포 유 구 이 적 방 밤 상 방 방
-8 들 스 쇼 뱅 츠 만 촌 리 송 의 앨 송 송 아

60

의 크 뉴 만 스 범 침
-10 러 당 타 뉴 분 세 문 오 오

수 스 신 임 스 계 화 산 늘 늘 뉴

-12 다 의 는 산 스

2
(

재 임 부 부
지 책 타
(


)

재 임
-14 섯 금
)


-16

-18 Integrated Loudness : -19.1 dB LKFS


-20 Volume
Comfort
Unchanged
-22 Zone
Zone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dB LKFS) Infinite All Short-Term All KBS1 : 2009.11.24/27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KBS2 : 2009.11.20/25/266
[LKFS] Range [LKFS]
(Integrated Loudness) 편차 MBC : 2009.11.24/25
: 7dB (+2 ~ -5 dB) -19.1 -42.5 -8.4 SBS : 2009.11..25/26
MBC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6

MBC
TV
고 고

PD
연 특

MBC
무 스 선 생

MBC

MBC
한 예 특 양 양 포 덕 별 방
-8 정 세 세 츠 여 수 기 송
플 뉴 종 뉴 첩 뉴 뉴
미 러 스 계 계 스 뉴 왕 스 획 스 오
-10 놀 역 역

<
소 데 스 투 늘

24
라 도 도 가
-12 천 운 스 데 아
사 선 선 크 곡 이
세 수 수 의 침
-14 상 권 권 밤

>
-16 대 대
회 회
-18 1

2
부 부 Integrated Loudness : -19 dB LKFS
-20 Volume
Comfort
Unchanged
-22 Zone
Zone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dB LKFS) Infinite All Short-Term All KBS1 : 2009.11.24/27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KBS2 : 2009.11.20/25/266
[LKFS] Range [LKFS]
(Integrated Loudness) 편차 MBC : 2009.11.24/25
: 2dB (+1 ~ -1 dB) -19 -53.6 -11.9 SBS : 2009.11..25/26
SBS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6 목 괜 천 신

SBS 10

SBS 12
잘 내 렛 아

SBS 8
SBS

좋 우

SBS
농 망
먹 마 비 츠 은 요 찮 리 내 사 동 설
-8 뉴 어 고 아 생 아 가 의 엽 이
고 음 컬 아 시
스 의 천 침 뉴 활 뉴 쳐 의 지

U
이 유

MBA
-10 잘 돌 뉴
가 스 경 스 마

300
크 클 가 아 스 혹
사 제 왔
-12 는 레 럽 달
파 라 다
-14 법 스 졌

-16 요

-18
Integrated Loudness : -19.4 dB LKFS
-20 Volume
Comfort
Unchanged
-22 Zone
Zone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dB LKFS) Infinite All Short-Term All KBS1 : 2009.11.24/27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KBS2 : 2009.11.20/25/266
[LKFS] Range [LKFS]
(Integrated Loudness) 편차 MBC : 2009.11.24/25
: 5dB (+1.5 ~ -3.5 dB) -19.4 -54.4 -12.8 SBS : 2009.11..25/26
2011년 8월 방송분
공중파 TV 4ch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공중파 TV 4ch 시간에 따른 ITU-R BS.1770 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비교

17:00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24:00 01:00 02:00 03:00
(dB LKFS)
-10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32401 36001 (Sec)
-11

-12

-13

-14

-15 -15.6 dB LKFS

-16 -18 dB LKFS


-16.7 dB LKFS KBS1
-15.6 dB LKFS
-17 KBS2
-18 dB LKFS
MBC -18.3 dB LKFS
-18
-18.3 dB LKFS SBS -16.7 dB LKFS
-19

-20 측정 기준 일자
KBS1 : 2011.8.25
-21 KBS2 : 2011.8.26
MBC : 2011.8.29
-22 SBS : 2011.8.27

-23

-24

-25
(dB LKFS)
KBS 1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17:00 03:00
(dB LKFS)

-6 낭
KBS1

광 광 6 광 광 뉴 광 한 광 광 뉴 광 광 아 광 광 현 광 광 광

KBS
시 우 역 뉴
시 스 스 독 고
고 고 고 청 고 고 국 고 리 고 고 사 고 름 고 스 고 장 고 고
-8 내 뉴

,
자 인 집 스 다 라 르 의

9
세 고 애
칼 의 여 페 운 인 포 스 발
-10 상 향 국
은 럼 밥 자 셜 사 동 견
들 가
-12 우 상 람 행

리 들

-14 사

-16 세
상 Integrated Loudness : -18dB LKFS
-18
Volume
Comfort
-20 Unchanged
Zone
Zone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dB LKFS)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KBS1 : 2011.8.25
(Integrated Loudness) 편차 [LKFS] [dBTP] Range [LKFS] KBS2 : 2011.8.26
: 8dB (+4 ~ -4dB) -18 +2.2 -40.3 -11.1 MBC : 2011.8.29
SBS : 2011.8.27
KBS 2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18:00 02:00
(dB LKFS)

-6 뉴 광 뮤 광 광 광 뉴 광 광 광 광 문

VJ
생 대 휴 유 광
스 고 직 고 생 고 구 고 스 고 특 고 먼 고 희 고 화 고
-8 타 뱅 타 공 서 탐

,
정 육 열
임 크 보 상 임 대 바 의 험 애
-10 통 선 이 국
스 세 가
수 벌 케 계
-12 권 도 치 의
대 전 북
-14 회 Loudness : -15.6 dB LKFS 유
Integrated 자 산
-16 전
Volume
야 Comfort
-18 제 Unchanged
Zone
음 Zone
-20 악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KBS1 : 2011.8.25
[LKFS] [dBTP] Range [LKFS] KBS2 : 2011.8.26
(Integrated Loudness) 편차
MBC : 2011.8.29
: 9dB (+4 ~ -5dB) -15.6 +0.6 -34.1 -7.4
SBS : 2011.8.27
MBC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19:00 01:00
(dB LKFS)
-6 당 광 몽 광 불 광 뉴 광 계 광 놀 광 뉴 광 스 광
신 고 땅 고 굴 고 스 고 백 고 러 고 스 고 포 고
-8 의 와 츠

,
이 데

24
11
내 애
국 며 스 회 특
-10 사 크 국
가 랑 느 선 가
대 리

CJ
-12

입 슈
-14 퍼

다 레
-16 이
Integrated Loudness : -18.3 dB LKFS 스
-18

5
-20 Comfort 전 Volume
Zone Unchanged
-22
Zone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KBS1 : 2011.8.25
[LKFS] [dBTP] Range [LKFS]
(Integrated Loudness) 편차 KBS2 : 2011.8.26
-18.3 +0.1 -47.7 -7.6 MBC : 2011.8.29
: 4dB (+2 ~ -2dB)
SBS : 2011.8.27
SBS ITU-R BS.1770 Short-term/Infinite Mode 라우드니스 분석

17:00 04:00
(dB LKFS)

-6 광 스 광 놀 광 광 로 광 드 광 드 광 광 광 광

2011,2012

2011,2012
그 힐 광
고 타 고 라 고 뉴 고 또 고 라 고 라 고 것 고 링 고 고 고
-8 쥬 운 스 마 마

,
이 캠
니 대 프 애
-10 내 여 알 국
어 회 사 인 고 기
쇼 프 프 가
-12 스 랑 의 싶 쁘 리 리
붕 타 내 향 다 지 미 미
-14 어 킹 곁 기 아 어 어
빵 에 니 리 리

11
-16 Integrated Loudness : -16.7 dB LKFS 한 그 그

33

회 가 생 생 Volume
-18 중 Comfort
중 Unchanged
계 Zone 계
-20 Zone
전 후
-22 반 반
전 전
-24

-26

-28

-30

-32

-34

-36

-38

-40
측정 기준 일자
프로그램간 평균 라우드니스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KBS1 : 2011.8.25
[LKFS] [dBTP] Range [LKFS] KBS2 : 2011.8.26
(Integrated Loudness) 편차
MBC : 2011.8.29
: 5dB (+3 ~ -2dB) -16.7 +1.9 -46.4 -10.0
SBS : 2011.8.27
2009년 11월 vs 2011년 8월
라우드니스 비교
2009년 11월
- 같은 방송채널에서의 프로그램간의 Integrated 라우드니스의 편차가 큰
경우가 존재(시청자가 같은 방송채널을 시청할 때 프로그램간의 볼륨차이가
발생)
(EBU128 권장 2dB(+/- 1dB)이내 , ATSC A/85 권장 4dB(+/- 2dB)이내)
* KBS1 : 8dB (+4 ~ -4dB)
* KBS2 : 7dB (+2 ~-5 dB)
* MBC : 2dB (+1 ~ -1 dB)
* SBS : 5dB (+1.5 ~ -3.5 dB

- 방송채널간의 평균 Integrated 라우드니스의 편차는 0.5dB(-19.5~-19 dB


LKFS) 이내로 매우 작음

- 방송채널의 평균 Integrated 라우드니스는 -19.5 ~ -19dB LKFS 로 유럽이


나 북미와 비교할 때 3.5~ 5 dB 정도 높음
(EBU128 권장 -23LUFS, ATSC A/85 권장 -24LKFS )
2009년 11월 vs 2011년 8월
라우드니스 비교
2011년 8월
- 같은 방송채널에서의 프로그램간의 Integrated 라우드니스의 편차가 큰
경우가 존재(시청자가 같은 방송채널을 시청할 때 프로그램간의 볼륨차이가
발생)
(EBU128 권장 2dB(+/- 1dB)이내 , ATSC A/85 권장 4dB(+/- 2dB)이내)
* KBS1 : 11dB (+4.5 ~ -6.5dB)
* KBS2 : 9dB (+4 ~ -5dB)
* MBC : 4dB (+2 ~ -2dB)
* SBS : 5dB (+3 ~ -2dB)

- 방송채널간의 평균 Integrated 라우드니스의 편차는 2.7dB(-18.3 ~ -


15.6dB LKFS) 이내로 매우 큼

- 방송채널의 평균 Integrated 라우드니스는 -18.3 ~ -15.6dB LKFS 로 유럽


이나 북미와 비교할 때 4.7~ 8.4 dB 정도 높음
(EBU128 권장 -23LUFS, ATSC A/85 권장 -24LKFS )
2012년 Lodon Olympic 전후
공중파 4 ch
오디오 라우드니스 비교
공중파 4ch Integration Loudness Graph (ITU-R BS.1770) 비교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32401 36001
-8

-10
SBS: -12.9dB LKFS
-12
MBC : -13.1dB LKFS
-14
KBS2: -15.9dB LKFS
-16

-18
KBS1 :-17.4dB LKFS
-20
MBC
-22
SBS
-24
KBS1
-26 KBS2
-28

-30

-32

-34 측정 기준 일자
MBC : 2012.08.06~07
-36 KBS2 : 2012.08.07~08
KBS1 : 2012.08.09~10
-38 SBS : 2012.08.10~11
-40
공중파 4ch Integration Loudness Graph (ITU-R BS.1770) 비교
17:00 02:20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32401


-8

-10

-12

-14

-16

-18
KBS1 -16
-20

-22 KBS2-16.1
MBC -13.5
-24
SBS -14.1
-26

-28

-30

-32

-34 측정 기준 일자
KBS1: 2012.08.30
-36 KBS2 : 2012.08.30
MBC : 2012.08.30
-38 SBS : 2012.08.30
-40
2013년 7월
공중파 4 ch
오디오 라우드니스 현황
공중파 4ch Integration Loudness Graph (ITU-R BS.1770) 비교
(2013.07.16~25)
PM 06:00 AM 03:30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8

-10

-12
SBS, KBS1 Integrated Loudness : -15.7dB LKFS
-14

-16

-18 KBS2 Integrated Loudness : -15.9dB LKFS


MBC Integrated Loudness : -16.8dB LKFS
-20

-22

-24

-26

-28

-30

-32
2013.07.17 SBS
-34
2013.07.16 MBC
-36
2013.07.24 KBS 1
-38
2013.07.25 KBS 2
-40
공중파 4ch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2013.07.16~25)
PM 06:00 AM 03:30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8

-10

-12

-14
SBS, KBS1 Integrated Loudness : -15.7dB LKFS
-16 KBS2 Integrated Loudness : -15.9dB LKFS
MBC Integrated Loudness : -16.8dB LKFS
-18

-20

-22

-24

-26

-28

-30

-32

-34 2013.07.17 SBS


2013.07.16 MBC
-36
2013.07.24 KBS 1
-38
2013.07.25 KBS 2
-40
KBS1 프로그램 별(2013.07.24)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7:30 AM 03:30
(dB LKFS) (Sec)

-6

-8

-10

-12

-14

-16
KBS1 Integrated Loudness : -15.7dB LKFS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KBS1 : 2013.07.24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5.7 0.4 -43.2 -7.3
KBS1(2013.07.24)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7:30 AM 03:30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8

-10

-12

-14

-16
KBS1 Integrated Loudness : -15.7dB LKFS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KBS1 : 2013.07.24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5.7 0.4 -43.2 -7.3
KBS2 프로그램 별(2013.07.25)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6:00 AM 12:30
(dB LKFS) (Sec)

-6

-8

-10

-12

-14

-16
KBS2 Integrated Loudness : -15.9dB LKFS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KBS2 : 2013.07.25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5.9 1.0 -55.9 -7.6
KBS2(2013.07.25)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6:00 AM 12:30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8

-10

-12

-14

-16
KBS2 Integrated Loudness : -15.9dB LKFS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KBS2 : 2013.07.25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5.9 1.0 -55.9 -7.6
MBC 프로그램 별(2013.07.16)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7:15 AM 03:00
(dB LKFS) (Sec)

-6

-8

-10

-12

-14

-16

-18 MBC Integrated Loudness : -16.8dB LKFS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MBC : 2013.07.16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6.8 0.2 -45 -8.2
MBC(2013.07.16)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7:15 AM 03:00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8

-10

-12

-14

-16

-18 MBC Integrated Loudness : -16.8dB LKFS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MBC : 2013.07.16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6.8 0.2 -45 -8.2
SBS 프로그램 별(2013.07.17)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7:20 AM 03:30
(dB LKFS) (Sec)

-6

-8

-10

-12

-14

-16
SBS Integrated Loudness : -15.7dB LKFS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SBS : 2013.07.17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5.7 0.5 -44.3 -10.1
SBS(2013.07.17)
ITU-R BS.1770 Short-term Mode 라우드니스 비교분석
PM 07:20 AM 03:30
(dB LKFS) (Sec)

-6 1 3601 7201 10801 14401 18001 21601 25201 28801


-8

-10

-12

-14

-16
SBS Integrated Loudness : -15.7dB LKFS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측정 기준 일자
-38
SBS : 2013.07.17
-40

Infinite All True Peak Short-Term All


[LKFS] [dBTP] Range [LKFS]
-15.7 0.5 -44.3 -10.1
디지털 방송의 라우드니스 프로세싱의
필요성

- 같은 방송채널에서의 프로그램간의 Integrated 라우드니스의 편차가 큰


경우가 존재(시청자가 같은 방송채널을 시청할 때 프로그램간의 볼륨차이가
발생)
(EBU128 권장 2dB(+/- 1dB)이내 , ATSC A/85 권장 4dB(+/- 2dB)이내)

- 방송채널의 평균 Integrated 라우드니스가 유럽(EBU128)이나 북미(ATSC


/A85)와 비교할 때 약 6-8 dB 정도 높음
(EBU128 권장 -23LUFS, ATSC A/85 권장 -24LKFS )
결론 및 해결방안

ITU-R BS.1770 에 기반한 타겟 라우드니스 레벨과 허용 최


대 트루피크 값을 설정하고, 라우드니스 레인지(LRA) 콘트롤
을 통하여 시청자가 프로그램 내/ 채널간에 오디오 볼륨조절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배급, 송출기준
설정하고 준수

국내 기준 : 타겟레벨(-24 LKFS +/- 2)


트루피크(-1dB TP이하)
디지털 방송용 콘텐츠 제작및 송출을 위한
라우드니스 모니터링 장비
Digital Audio and Metadata Monitor

- ITU-R BS 1770 기반의 라우드니스 모니터


- 16 ch 까지 오디오/메타데이터 디스플레이 와 재생
- Loudness Measurement standard
- AES, HD SDI I/O
- 자동 감지 Dolby Digital (AC-3), Dolby E decoding 옵션
- Solo, Downmix, Preset 을 위한 퀵 버튼
- 송출 전에 메터데이터 효과를 모니터 가능
- 고품질의 2-way 디지털 스피커 시스템 과 서브우퍼를 위한 출력
디지털 방송 송출을 위한
라우드니스 모니터링 및 로그기록 장비
Loudness Quality Monitor

- ITU-R BS 1770 / EBU R128 라우드니스 측정지원


- ITU bargraph 와 트루피크 표시(true peak indication)
- 5.1 / 2ch 오실로스코프, RTA(Real Time Analyzer)
- AES, HD SDI I/O, 외장 모니터를 위한 VGA 출력
- Start/ Stop /Reset 콘트롤 및 GPI 콘트롤
- 자동 감지 Dolby Digital (AC-3), Dolby E decoding 옵션
- 주간 라우드니스 Log 데이터를 Excel같은 스프레드 시트에서 편집 가능한 CSV로
저장기능

< 풀 스크린 ITU mode 디스플레이> < 풀 스크린 EBU mode 디스플레이>
TS(Transport Stream)을 위한
라우드니스 모니터링 및 로그기록 장비
Spotcheck

- ITU-R BS 1770 / EBU R128 라우드니스 측정지원


- ITU bargraph 와 트루피크 표시(true peak indication)
- GigE 지원
- ASI 입출력 지원
- 24/7 라우드니스 Log 데이터를 프로그램별로 기록 및 저장

< 풀 스크린 ITU mode 디스플레이> < 풀 스크린 EBU mode 디스플레이>
디지털 방송 송출을 위한 오디오 퀄리티
모니터링및 라우드니스 로그기록 장비
Surround Sound Audio Monitor

- ITU-R BS 1770 / EBU R128 라우드니스 측정지원


- Channel meters, Channel balance, Downmix compatibility, Loudness,
Digital and Dolby metadata, Timeline display, Histogram display,
Logging, 등의 기능 제공
디지털 방송 송출을 위한
라우드니스 콘트롤 장비
Transmission Audio Loudness Manager

- ITU-R BS 1770 / EBU R128 기반의 5.1ch/2ch 라우드니스 콘트롤 프로세싱


- 오디오 16ch 프로세싱 지원 (5.1+2+Local plus 2+2+Local)
- AES, HD SDI I/O, GPI/O, 외장 모니터를 위한 VGA 출력
- Dolby Digital (AC-3) and Dolby Digital Plus (HE-AAC) encoding 옵션
- 자동 감지 Dolby Digital (AC-3), Dolby E decoding및 보상 비디오 딜레이 옵션
- 2ch -> 5.1ch UPMAX® 5.1 자동 업믹싱 기능
- Lt/Rt, Lo/Ro 다운믹싱 출력
- CrowdControl™ 대사 보호 알고리즘 기능
TS(Transport Stream)용
라우드니스 프로세싱 장비
Transmission Audio Loudness Manager

- ITU-R BS 1770 / EBU R128 기반의 5.1ch/2ch 라우드니스 콘트롤 프로세싱


- GigE 지원
- ASI 입출력 지원
- Dolby Digital (AC-3) and Dolby Digital Plus (HE-AAC) encoding 옵션
- 자동 감지 Dolby Digital (AC-3), Dolby E decoding및 보상 비디오 딜레이 옵션
DMB,등의 모바일 디지털 방송 송출을 위한
라우드니스 콘트롤 장비
Audio Loudness Manager for Mobile DTV

- Mobilizer™ 테크놀로지
- 주변소음 환경에서도 모바일기기의 작은 스
피커나 이어폰에서도 편안한 청취가 가능하도
록 오디오 의 다이나믹을 조절하고 대사를 보
호 청각심리학적 라우드니스 프로세싱 기능
- AES, HD SDI I/O, GPI/O
VOD를 위한 파일 기반의
라우드니스 프로세싱 장비
File-Based Loudness Manager

- 파일 기반의 인제스트( ingest) : 비디오 트랜스코딩 과


미디어 플로우 소프트웨어 솔루션
- 파일베이스의 multiband 라우드니스 콘트롤 프로세싱,
UPMAX™ upmixing, downmixing 지원
- WAV, PCM, Dolby Digital (AC-3), WMA, AAC, MP3, AIFF, MPEG 1 Layer II,
ACELP, AMR 오디오 프로세싱과 트랜스코딩(transcoding), 트랜스 랩핑
(transwrapping) 지원
Aero.2000
Linear Acoustic Aero.2000
Audio Processing Structure
Linear Acoustic Aero.2000
Audio Processing Structure
Linear Acoustic Aero.2000
Audio Processing Structure
Linear Acoustic Aero.2000
Audio Processing Structur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