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대외비 / Confidential

2018 ASEAN Intelligence Report Volume 10 혁신상품 고객경험 디지털화

ASEAN (싱가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1. 시장/유통환경
 [아세안] 격화되는 미·중 무역갈등에 아세안 주가지수 지속 하락, 싱가폴 0.4% 하락하며 1년반만에 최하치
 태국도 -1.1%, 필리핀은 -1% 기록하며 지난 5회의 세션 동안 약 5%↓

 [아세안] 맥킨지의 최근 아웃퍼포머 보고서에서 성장우위 18 개국 중 8 개국이 아세안으로 나타남


 멕킨지글로벌연구소가 발표한 ‘아웃퍼포머: 고성장 신흥국과 성장을 주도한 기업들 보고서’에 따르면
성장우위국 18 개국 중 8 개국이 아세안 회원국임
 ‘장기 아웃퍼포머’(지난 50 년간 연평균 3.5%씩 1 인당 GDP 성장):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폴,
태국 / ‘최근 아웃퍼포머’(지난 20 년간 연평균 5% 성장):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 아세안 지역 성장 요인 일자리 창출, 최저임금상승 등 경제 활성화 정책 및 대기업 활약
 성장세 유지 위해선 무역패턴과 인구구조의 변화, 자동화 기술과 인공지능의 발전, 소득불평등 증가에
대응 필요 ①디지털 전환 기반 생산성 향상, ②노동시장의 현대화, ③적극적 인프라 개발 등의 방안 제시

 [아세안] 아세안 경제장관 회의(AEM)에서 두가지 협약 체결로 역내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장벽 제거


 체결사항: ①서비스 분야 상호개방을 위한 ‘아세안 역내 서비스에 관한 기본협정(AFAS)’ 10 번째
패키지, ②아세안자기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아세안무역협정(ATIGA)에 관한 첫 번째 개정 의정서’
 본 협정 체결을 통해 국가 간 접근이 제한되었던 물류, 항공 운송, 해상 운송, 컴퓨터, 통신, 관광, 건설
서비스 및 전문 서비스를 포함한 역내 서비스 시장의 접근성 확대될 전망

 [태국] 태국 수출, 관광업, 농작물 가격 상승하며 성장률 4.6%로 호조, 소비자 신뢰 지수, 5 년만에 최고치
 올해 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4.5% 4.6%로 상향조정, 수출은 +8.7%, 수입은 +12.6% 전망
 ‘19 년 총선거로 경제 활성화 지속 예상; 미중 무역갈등, 이자율 ↑, 신흥국 통화 약세 등 위협도 존재

 [인도네시아] 8월 소비자신뢰지수 2개월 연속 하락


 인도네시아 8월 소비자 신뢰 종합지수 121.6, 아직 100을 넘지만 전월 대비 3.2p↓
 월평균 소득 410만~500만 루피아대 소비자와 51~60세 하락폭이 각각 9.5p, 5.5p로 가장 큼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정부, 1,000여개 제품의 수입 관세 인상하며 화장품 시장에 타격 예고


시장 및  20 년만에 최저치로 추락한 루피아화 가치에 대응하고자 1,147 개 제품 수입 관세 인상하기로 결정
유통환경  화장품, 개인 생활용품은 국내에서 생산될 수 있다는 이유로 가장 크게 인상(2.5%10%)

 [인도네시아] 발리-롬복-반유왕이 잇는 ‘투어리즘 트라이앵글’ 완성 위해 반유왕이 공항 확장 中


 반유왕이의 관광객 및 공항 이용객이 급증하자 정부가 반유왕이-발리-롬복을 잇는 삼각지대를
‘투어리즘 트라이앵글’로 육성, 관광산업 시너지 구상 中
 반유왕이 공항을 저가항공 전용으로 전환, 말레이시아, 호주 등과 루트 개방으로 관광객 최대 유치 위해 노력

 [태국] 7 층 규모 다카시마야 백화점 방콕에 11 월 오픈 예정


 총 36,000m2 규모로, 500 여개 브랜드 입점 예정 (일본 브랜드 180 개, 태국 첫 런칭 브랜드 80 개)

 [필리핀] 외식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가 급증하며 온라인 기반의 음식 배달 서비스 인기 급상승 中
 최근 5년간 필리핀 매장 내 식사 비중 70.9% 68.4%, 배달 및 포장 드라이브 스루 비중은 ↑
 열악한 인터넷 인프라에도 불구, 높은 인터넷/스마트폰 사용률로 온라인 음식 배달 서비스가 도입됨;
저렴한 인건비에 의한 신속한 서비스와 SNS 마케팅으로 인기↑, 점차 수도권에서 타 지역들로 확대 中
 대표적인 온라인 배달 서비스로 Foodpanda 와 Honestbee, GrabFood 등이 있음

 [베트남] 베트남 정부, 현금 없는 사회 표방, 삼성페이 등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 진출로 치열한 경쟁 예상
 베트남 정부가 ‘20년까지 현금 거래 비율을 10%대로 ↓, 은행 계좌 보유 비중을 70%대로 높이겠다함
 현재 베트남에서 전자지갑을 통한 'OO페이'를 제공하는 베트남 업체만 20여 곳 향후 베트남 핀테
크 시장은 삼성페이(현재 50만 고객 확보)와 운송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Grab 페이가 리드할 전망
 중국 업체의 투자도 공격적  알리페이는 베트남 은행·카드 연합회인 나파스와 업무협약을 작년 체
결, 중국 관광객 대상 서비스 제공, 위챗페이는 베트남 업체 Vimo와 비슷한 서비스 진행 계획 발표

 [베트남] 인니 고젝, 9 월 12 일 ‘고-비에트’ 런칭 해 베트남으로 사업 확대


 고-비에트는 모바일 앱 기반 주문형 서비스로, 여객 운송, 물류, 음식 배달, 모바일 결제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
 고젝은 현지 파트너와 손잡는 형태로 동남아 시장 공략 中지난해 베트남 핀테크 업체 3 개 인수,
대외비 / Confidential
2018 ASEAN Intelligence Report Volume 10 혁신상품 고객경험 디지털화
기술과 노하우, 투자를 지원해 베트남 현지팀이 사업을 주도하게 함
 [베트남] 호치민, 2030년까지 오토바이 없는 도시 추진
 호치민시 교통국이 2030년까지 목표한 ‘오토바이 없는 도시’ 관련 제안서를 제출 ‘18년 3월 기준 총
730만 대의 오토바이가 등록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3단계로 나뉜 미래 교통 시스템을 제안함

 [태국] 센트럴그룹, 푸껫에 센트럴 푸껫 오픈하며 런칭 기념행사 개최


 약 200억 바트 투자로 쇼핑몰, 수족관, 테마파크, 호텔 등으로 구성, 센트럴 페스티벌 푸껫 인근 위치
 오픈 기념 캐나다 유명 공연 Catcher 쇼, 인기 드라마 부페싼니왓 주인공 팬미팅 등 행사 개최

 [인도네시아] 아태지역 디지털 전환 가속화 보고서 8개 조사 대상 국 중 인도네시아가 인공지능 도입 1위


 인도네시아 응답자 65%가 이미 인공지능을 도입했거나 그 범위를 확장/업그레이드 中 2위는 중국
(63%), 3위 인도(62%). 이들 3개국이 한국(57%), 싱가폴(50%), 일본(47%), 대만(44%) 순
 조사 대상 기업 중 71%가 인공지능 도입 효과로 비즈니스 효율성 ↑, 62%는 제품/서비스 개선을 언급

 [필리핀] Shopee 필리핀, 9.9 쇼핑 페스티벌을 통해 100만명 이상의 신규 고객 확보


 8월 30일~9월 9일까지 99필리핀 페소의 제품부터 99% 할인 상품 등 다양한 프로모션 행사 진행
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1년 전에 비해 고객/merchant가 3배 ↑, 800개 이상의 대규모 브랜드도 확보

 [베트남] 원산지증명서 발급 간소화되며 한국 기업 수출 확대 및 물류비용 절감 기대


 그동안 베트남은 원산지증명서 발급 시 예외적인 경우에만 제출하는 원자재 세금계산서, 자재명세서
등을 모든 신청 건에 요구 관세청은 통관애로가 잦은 아세안 지역과의 세관협력회의 등을 통해
관계망을 구축하는 한편 한국 기업들이 현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2. 고객/소비자
 [베트남] 정기적인 메이크업 소비자 증가세 지속, 온라인 채널의 구매자수 77% 증가
 소비자 조사 전문업체 큐앤미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메이크업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작년 대비 5%↑, 정
기적으로 사용하는 소비자는 ‘17년 35%‘18년 40% (매월 메이크업 제품 구매 비용 평균 26만동(12,500원)
 온라인 채널의 구매자 수가 전년도 54%77%. 12%는 주로 이커머스 채널을, 10%는 페이스북을 자주
사용 22%가 온라인 채널을 선호, 1년전의 9%에 비해 크게 ↑
 정보 채널로 유투브 영향력 급성장. 메이크업 사용자 91%가 메이크업 관련 동영상을 유투브로 시청
전문 메이크업 매장이나 컨설팅을 해주는 백화점/FSS 매장이 한정적, 메이크업 니즈가 늘어날수록 유투브 의존도는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
고객
소비자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여성 총 월 소비 20% 이상 패션과 뷰티 제품에 지출, 밀레니얼 세대는 최대 월 22
만원까지 지출할 의향 밝히며 X세대보다 더 높은 소비 의향 보여
 17,889명의 인도네시아 여성을 조사한 결과(by 뷰티 클리닉 업체 ZAP clinic & 현지 마케팅 컨설팅 업체 MarkPlus),
평균 월 지출 20% 이상은 패션/뷰티 제품이 차지 밀레니얼 세대(22-37세)는 약76,000원-220,000원까지 뷰티 클리
닉에 투자할 의향 有 vs. 반면 비교적 안정된 수입을 가진 X세대(38-53세)는 22만원 이상 지출하지 않겠다 함
 18세 이하 여성은 뷰티보다 패션 제품에 소비할 의향 ↑, 18세 이상은 총 월 소비의 40%까지 패션 및
뷰티 제품에 지출 이 중 생활용품 비용은 약 76,000원 이하

3. 화장품 시장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밀레니얼 세대 영향으로 전년대비 20% 성장 기록
 인도네시아 화장품 시장 성장률이 경제 성장률의 4배나 기록, 화장품 기업 수도 ‘17년 153개760개
 이같은 급성장하게 된 이유로 밀레니얼 세대가 어린 나이에서부터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제품을 사용
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현지 화장품의 인기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됨 현재 매트 립스틱 브랜드들이 인기 高
 [싱가폴, 인도네시아] DFS 매장 22곳에 AR 기반 가상 메이크업 체험 서비스 ‘메이투(Meitu) 매직 미러’ 제공
 AR 기반 가상 테스팅 및 개인화된 추천으로 매장 체류시간 ↑, 위생 문제 등 해결
 [아세안] Lancer Skincare, 싱가폴 유통 회사 Luxasia와 파트너십 맺어 아시아 태평양 진출 나서
화장품
 두바이, 쿠웨이트 및 사우디아라비아에서 Apotheca Beauty와 손잡고 Lancer Skincare를 성공적으로
시장 동향 출시한 Lancer Skincare가 최근 Luxasia 그룹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AP 시장 진출
 [말레이시아] UAE 천연 할랄 인증 브랜드 Al-Hur Beauty, 말레이시아에 공식 런칭
 내년까지 싱가폴, 태국,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등 아시아 태평양 전 지역에 확장할 계획
 [말레이시아] 세포라,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의 수리아 사바 쇼핑몰에 20번째 매장 오픈
 [말레이시아] 질 스튜어트, 세포라 KLCC에 단독 입점하며 말레이시아 진출
 [말레이시아] 캔메이크 말레이시아, 신제품 런칭과 드럭스토어 가디언 확장 기념 Canmake Fun Fair 진행
 메이크업 데모, 자판기, 뽑기기계, 테스팅존 등 마련; 현재 55곳 가디언 매장 입점, 올해 80곳 목표
대외비 / Confidential
2018 ASEAN Intelligence Report Volume 10 혁신상품 고객경험 디지털화
 [태국] 세포라 태국, 세포라 센트럴 플라자 방나점 오픈 기념 파티 개최
 [태국] 왓슨스, 태국 셀럽과 Mask Festival 런칭해 40개 브랜드의 100여개 마스크팩 제품 홍보에 나서
 [말레이시아] 헤어케어 전문 브랜드 클로랑, 왓슨스 말레이시아에 단독 런칭
 [말레이시아] 왓슨스 말레이시아, 왓슨스 카드 8주년 기념 프로모션 이벤트 및 홍콩 배우 초대 행사 개최
 왓슨스의 퓨어 뷰티 브랜드가 스폰서 하는 뷰티 정보 프로그램 ‘All Things Girl’ 출연자 팬미팅, 자동차
증정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모션 진행
 [태국] 로레알, 로레알 태국 총괄 사장에 인네스 칼데이라(Ines Caldeira) 선임
 칼데이라는 로레알 태국의 핵심 성장 요소로 4가지 가치에 주력하겠다고 함: 소비자 중심, 디지털 전
환 가속화, 뛰어난 인재 개발을 위한 우수한 고용주 및 시민으로서의 역할, 자회사 성장

4. 경쟁사 동향
 [LVMH 그룹] 디올, Joy by Dior 런칭하며 신라 면세점과 협업하여 싱가폴 창이 공항에 팝업 스토어 오픈
 “The beginning of a new era of fragrance at the House of Dior”이라는 컨셉 아래, 인터랙티브 포토 부
스와 Joy Olfactive Cabin, VR, 메이크업 컨설팅 서비스 등으로 색다른 체험 공간 마련
 [LVMH 그룹] DKNY, DKNY Stories 향수 홍보 위해 AR 앱 BeautyPlus와 리테일테인먼트 캠페인 런칭
 [로레알 그룹] 로레알 프로페셔널 인도네시아, Oleo Shaping 토크쇼 개최해 펌 신제품 사용법 선보여
 [에스티로더 그룹] 코타키나발루국제공항 3층에 조 말론, 라 메르, 맥, 톰 포드 4개 브랜드 매장 런칭
 말레이시아공항(Niaga)와 이라만과 협업해 4개 브랜드 단독 공간 마련(총 67m2), 중국 관광객 공략
 [시세이도 그룹] 로라 메르시에, Translucent Loose Setting Power- Glow 라인 태국에 출시하며 브랜드 앰버
서더 Sara Legge(배우이자 모델)과 함께 런칭 행사 진행
 로고 교체로 모던 메이크업 브랜드로서의 입지 강화, 스테디셀러의 Glow 버전으로 Glow 트렌드 공략
경쟁사  [시세이도 그룹] 시세이도 태국, 브랜드 앰버서더 Treechada Petcharat와 신규 메이크업 라인 런칭 이벤트 개최
동향  8월 31일 Visible feels Invisible 컨셉 아래 밀레니얼을 타깃한 18가지 제품, 122개 쉐이드를 선보임
 [시세이도 그룹] 시세이도, 베트남 라자다 콜라보 메이크업 신제품 런칭
 글로벌 레벨로 리뉴얼된 22개 라인, 132개 컬러톤의 메이크업라인(Inks, Powders, Dews, Gels)을 베트
남에 선보이기 위해 라자다와 독점 판매, 8월 17일 라자다 ‘슈퍼 브랜드 데이에 맞춰 런칭
 [클리오] 클럽 클리오, 8월 4일 베트남 하노이에 첫 매장 오픈
 [엘앤피코스메틱] 메디힐, 인도네시아에 9월 5일 본격 진출
 [로레알 그룹] 메이블린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와의 페이스북 라이브 이벤트로 제품 홍보
 [로레알 그룹] 슈에무라 말레이시아, 미드 벨리 메가몰 팝업에 메이크업 워크샵 등 열어 신제품 3종 홍보
 [로레알 그룹] 입생로랑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YSL Beauty Hotel 팝업 스튜디오 9월 22일 오픈
 뉴욕, 밀라노, 홍콩, 서울 등에 진행된 글로벌 프로젝트; 3층 규모로 층마다 다른 테마/즐길거리 마련
 [클라란스 그룹] 클라란스 태국, 자연에게 돌려주는 사회 공헌 활동 Seeds of Beauty 2018 캠페인 진행

5. 신제품 동향
 [태국] 맥, 룩 인 어 박스: 저스트 칠린’ 립스틱 키트 태국에 세포라 단독 런칭 (8월 24일)
 [태국] 헤어리추얼 바이 시슬리, 스트레이트닝 샴푸 및 볼류마이징 스프레이 신제품 2종 선보여 (9월)
 [태국] 디올, 태국에 루즈 디올 울트라 루즈 컬렉션 출시 (9월)
 [태국] 디올, 세포라 태국에 ‘조이 바이 디올’ 향수 런칭 (9월 4일)
 [말레이시아] 키엘 말레이시아, 버터마스크 포 립 출시 (9월 5일)
 [인도네시아] 더 바디샵 인도네시아, 비타민E 젤 모이스처 크림 출시 (9월 6일)
 [싱가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Fenty Beauty, 세포라에 다이아몬드 컬렉션 단독 런칭 (9월 7일)
 [태국] THREE, 태국 진출 5주년 기념 태국 한정 The Siam Journey 컬렉션 출시 (9월 10일)
신제품
 [말레이시아] 메이크업포에버 매트 벨벳 스킨 파우더 파운데이션 출시 (9월 13일)
동향  [베트남] 바비 브라운 베트남, ‘럭스 매트 립’ 립스틱 출시 (9월 14일)
 [싱가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세포라 컬렉션, 크림 립 샤인 라인 출시(9월)
 [싱가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Huda Beauty, 새롭게 리뉴얼된 아이섀도우 팔레트 3종 세포라 출시(9월)
 [싱가폴,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Huda Beauty, 3D 하이라이터 팔레트 출시(9월 13일)
 [싱가폴, 말레이시아, 필리핀] Huda Beauty, 이지 베이크 루즈 파우더 출시 (9월 13일)
 [싱가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Huda Beauty, #Faux Filter 파운데이션 출시 (9월 13일)
 [싱가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Huda Beauty, 데미 매트 크림 립스틱 출시 (9월 19일)
 [싱가폴, 말레이시아] Tarte, 아마존 클레이 12시간 풀 커버리지 파운데이션 40가지 색상 출시 (9월 16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