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 18, No. 4, pp 383~391(2011) 제 18 권 제 4 호 2011년

기존 가로등과 LED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및 성능 분석


유민정*·김유신*·최안섭*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Analysis of the Design Trend and Performance of Conventional Roadway


Lighting and LED Roadway Lighting
Min-Jeong Yoo*, Yu-Sin Kim* and An-Seop Choi*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 Roadway lighting offer the safe visual environment to drivers so that they can have a clear view, resulting
in decrease of traffic accidents. Roadway lighting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 urban landscape fie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ign trend of roadway lighting in Seoul, and analyze a new design for roadway
lighting in the future. Moreover, as LED lamp is applied in roadway lighting, this study investigated how LED is
applied in design aspect. Finally, to find out about the problem, such as excessive glare, low luminous flux, and narrow
distribution of light, analysis of performance is performed through a computer simulation.

Key words : Roadway lighting, LED Roadway lighting, Design Trend of Roadway lighting

1. 서 론 프로 각광 받고 있는 LED를 가로등에 접목하고 있다.

1.1. 연구 배경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가로등의 설치목적은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나 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가로등의 디자인
행자에게 신속, 정확하고 편안한 시각 환경을 제공할 경향 분석과 기존 가로등과 LED 가로등의 성능분석
뿐만 아니라 편리한 교통의 이용, 안전성 개선, 야간의 을 하였다. 우선 기존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을 알아보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적인 기 위해 사용 램프와 가로등주(pole)의 재질, 암(arm)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도 가로등은 거리가 등 항목별로 나누어 시대별로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구(street furniture)의 일환으로 주변거리와 건물 파사 이를 통해 가로등 디자인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경
드(facade)와의 조화가 중요하다(장은석, 2008). 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기존 램프에서 LED 램프가
초기의 가로등은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기능적인 측 가로등으로 쓰이게 되면서 기존 가로등과 디자인적 측
면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설치되었다. 반면, 최근에 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시뮬레이션
는 가로등의 기능적 요소와 더불어 디자인적인 요소까 을 통해 LED 가로등의 성능적인 측면까지 살펴보았
지 고려하기 시작하여 도시미관을 개선하고, 나아가 다. 이를 위해 현재 쓰이고 있는 가로등의 램프 중 성
지역의 브랜드 역할을 하며 지역특산물을 상징화하기 능이 가장 좋은 세라믹 메탈핼라이드(Ceramic Metal
도 한다. 또한 디자인적 요소가 고려된 가로등은 다양 Halide ; CMH) 가로등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새로운 조명용 램 Fig. 1은 본 연구의 방법 및 절차를 도식화한 것이다.

교신저자: 최안섭 (우143-747)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2.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분석


98번지,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전화번호: 02-3408-3761
E-mail: aschoi@sejong.ac.kr
본 연구에서는 가로등 디자인의 경향 파악을 위해

383
384 유민정·김유신·최안섭

써 사물의 식별이 용이한 점 때문에 도로조명에 적합


한 램프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기존 램프보다 고효율로써 소비전력이 기존
400 W보다 낮은 140~250 W로 전기료 감소는 물론 이
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고효율 친환경 램프
이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서울시를 비롯한 많은
지자체들이 기존 나트륨 램프를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램프로 교체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LED 램프는 저탄소 녹색
Fig. 1. Study method and procedure. 성장 정책 기조에 발맞춰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
이다. 가로등의 램프를 LED로 교체할 경우, 소비전력
서울시를 중심으로 기존 가로등과 LED 가로등으로 를 파격적으로 줄일 수 있고, 반영구적인 수명도 장점
나누어서 조사·분석하였다. 먼저 디자인의 변화 추세 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내구성 및 유
를 분석하기 위해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기존 가 지·보수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로등의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각 구청 도로과, 도로 시설팀을 방문하거나 전화문의 2.1.2. 가로등주의 재질 변화
를 통해 가로등 설치사례 자료 수집을 하였고 를 토대 1970년대 초기의 가로등은 스틸 재질의 등주로 설
로 가로등 디자인의 경향을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그 치되었다. 그 뒤 1980년대에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리고 가로등의 사용된 램프와 등주의 재질, 암의 형태 바뀌는 추세였지만, 빛 반사로 인하여 운전자가 눈부
등으로 구분하여 가로등 디자인 변화 경향을 비교· 분 심 등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최근 다시
석하였다. 또한 기존 가로등에 LED 램프가 접목되면 스틸 재질로 바뀌고 있다. 이 재질들은 일반 스틸에 비
서 LED 가로등의 디자인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해 상대적으로 내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미관을 중요시
하는 장식재로 많이 사용된다. 최근 서울시 디자인 총
2.1. 기존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괄 본부에서 발표한 ‘서울 도로조명 가이드라인’에서
2.1.1. 사용 램프의 변화 는 도로조명기구의 적용 시 알루미늄, 철재, 목재 등
1960년대에 가로등의 형태가 처음으로 생겼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경제적인 재질로 제작하도록 권장하
200W의 수은 램프가 최초로 설치되었다. 그리고 1980 고 있다(서울시 디자인 총괄본부, 2008).
년에 접어들면서 에너지 파동 이후, ‘88 서울올림픽’
개최결정과 ‘86 아시아 경기대회’ 개최결정, 통행금지 2.1.3. 암 디자인의 변화
해제 등의 계기로 가로등의 설치가 본격적으로 활발해 가로등에서 암은 등주에서 램프까지 도로 또는 보행
졌으며, 그 개수도 증가하였다. 1980년대에 원효대교 로로 뻗어나가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암 디자인의
와 올림픽대교에 각각 고압나트륨 가로등이 설치되었 경우, 가로등이 처음 설치되었던 1970년대 초반에는
고, 그 이후 메탈핼라이드 가로등이 뒤이어 설치되었 등주부터 암과 등기구까지 일치되는 단순한 형태였지
다. 그리고 기존의 고압 수은 램프에 메탈핼라이드 화 만, 점차 각 구청에서 노선별로 구청의 고유이미지를
합물을 첨가한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램프가 등장하면 부각시킬 수 있는 가로등을 디자인함에 따라 관할구별
서 가로등 램프의 교체가 시작되었다(광진구청, 2010). 로 가지각색의 가로등 디자인이 나타나게 되었다. 다
2000년대 이후, 고효율 메탈핼라이드 램프나 세라믹 음 Table 1은 현재 관할구별로 다양한 디자인의 가로
메탈핼라이드 램프와 같은 작은 램프가 사용되면서 광 등이 설치된 사례이고, Table 2는 그 중 대표적인 사례
학적으로 발광부의 표면적이 작아져 작고 효율적인 반 로 대로별로 각기 다른 디자인의 가로등이 설치되어
사갓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원하는 곳에만 빛 있는 사례이다.
을 보낼 수 있게 되어 기존의 가로등보다 산란광의 발 이처럼 각 관할구마다 노선별로 다른 디자인의 가로
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김훈, 2004). 그리고 세라 등이 설치되면서 같은 서울시 안에서 디자인이 통일되
믹 메탈핼라이드 램프는 자연광에 가까운 백색광을 나 지 못하여 미관상 복잡하고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타내어 야간에도 물체의 고유색을 잘 드러나게 함으로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에 따라 서울시 디자인 총괄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기존 가로등과 LED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및 성능 분석 385

Table 1. Case of roadway lighting in each main district 다. 또한 친경관성을 위해 암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
office
거나, 암이 없는 폴헤드(pole head) 형식을 권장하고
광진구 종로구 강동구 있다(서울시 디자인 총괄본부, 2008).
서울시의 ‘도로조명 가이드라인’ 발표와 LED 가로
등의 등장으로 인하여 향후 가로등 디자인에 이러한
요소들이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앞으로
는 장식적인 요소는 배제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
루는 색채와 형태의 가로등 디자인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Table 3은 서울시 가로등 디자인의 경
중구 강남구 동대문구 향을 요약한 것이며, Table 4는 서울시 가로등 디자인
의 현재와 향후 미래 디자인의 전반적인 경향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Table 3. Trend investigation of roadway lighting design in


Seoul
연대 1970 1980 1990 2000
서울시선정
무역의
Table 2. Case of roadway lighting sorted of line 등기구 세종로형 가양대교형 우수공공
거리형
테헤란로(1996) 압구정로(1997) 봉은사로(1997) 형태 (1970)
(1980)
(1990) 디자인
(2009)

등기구
이미지
학동로(2000) 삼성로(2007) 남부순환로(2009)
사용방식 Semi-Cutoff Full Cutoff
고압 고압 메탈
나트륨 나트륨 램프 핼라이드
램프 형광 램프
풍납로(2000) 강동대로(2005) 선사로(2009) 사용
수은 램프 수은 램프
램프 메탈 세라믹 메탈
핼라이드 메탈 핼라이드
램프 핼라이드 램프
램프
램프색 Blurish→Yellow→White
부는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공공시설물을 개선하기 위
암 다양한 기능적
한 디자인 기본방향과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불필요한 단순일체
디자인 디자인 통일적
장식보다는 기능성을 중시하며 단순하고 매끄러운 형
등주 재질
태로 변화하고 있다. 알루미늄→스테인레스 스틸 →스틸
변화

2.1.4. 서울시 가로등 디자인의 향후 경향 Table 4. Overall trend of roadway lighting design
본 연구는 가로등 디자인 트렌드를 살피고 앞으로의
가로등 디자인의 가로등 디자인의 가로등 디자인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대별로 조명방식, 현재 변화 요소 미래경향
사용방식, 램프, 컬러, 재질, 그리고 암의 디자인별로
- LED 램프와
나누어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2007년 서울시 디자 - 구청별·노선별 - 주변 환경과 조
+ 같은 새로운 ⇒
인 총괄본부는 도로환경 개선을 위해 ‘도로조명 가이 로 다양한 디자인 화되는 색채와
램프 개발
- 디자인에 일관성 형태의 디자인
드라인’을 발표하였다. 그 중 도로조명기구의 적용 기 - 서울시 도로 조
이 없어, 도시 경 - 장식적인 요소
준으로 등기구의 외함은 주변 환경과 조화롭도록 단순 명 가이드 라인
관의 연속성 저해 배제
제시
하면서도 미려하게 제작하여 설치하도록 제시하고 있

제 18 권 제 4 호 2011년
386 유민정·김유신·최안섭

2.2. LED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일반적으로 평평한 형태의 LED 가로등은 전력이
2010년 1월 서울시는 ‘서울시 광원의 LED 교체 기 75~100 W 정도이며, 왕복 2차선과 같은 좁은 도로의
본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오는 2020년까지 공공기관 보안등으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입체적
조명의 100%를 LED 조명으로 교체하고, 2030년까지 인 형태인 LED 가로등의 소비전력은 100~250 W이며,
민간부문 조명의 80%를 LED 조명으로 교체하겠다는 넓은 배광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왕복 4~6차선 도로의
내용이다(김창수, 2010). 그에 따라 LED 램프를 접목 가로등으로 쓰인다. 그러나 LED 가로등의 등기구는
시킨 가로등이 등장하고 있으며, 국내·외에 다양한 LED 소자의 설치 개수의 증가에 따라 무게와 소비전
LED 가로등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기 력의 증가와 더불어 그에 따라 LED 램프의 발열문제
존 램프에서 LED 램프의 적용 시 가로등 등기구의 디 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기구부분에
자인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방열과 방습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그로인해 LED 가
로등의 등기구 형상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
2.2.1. LED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한 LED 가로등 등기구 무게의 증가로 인한 안전의 위
기존 가로등에서 LED 가로등으로 바뀌면서 가로등 험을 감안해 그 무게를 20 kg 이하로 강제하는 방안이
디자인 변화 양상은 가로등주의 디자인이 그대로 유지 추진되고 있다(전자신문, 2010). Table 5는 LED 가로
되면서 등기구부분의 디자인이 기존의 디자인과 다른 등의 경향을 개략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LED 램프의 방열, 방습 처 Table 6은 수도권에 설치되어 있는 LED 가로등의
리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써 LED 가로등의 등기 제원 및 설치기구와 설치사례이다. LED 가로등의 디
구 디자인은 크게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진다. 자인경향 파악을 위하여 현재 수도권에 설치되어 있는
첫 번째는 Fig. 2와 같이 기존 가로등의 디자인을 유 LED 가로등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아직 국내에
지하면서 LED 램프를 접목시킨 형태이다. 이러한 형 LED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는 곳이 많지 않으나 경향
태는 LED 가로등의 등기구부분이 기존 가로등의 등 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LED 가로등은 왕복 4~6차선에
기구 형태에 비해 비교적 얇고 평평한 형태를 취하면 설치되어 있고, 소비전력은 150 W가 보편적이었다.
서도 가로등의 전체적 형태는 기존의 디자인에서 크게 그리고 디자인의 경우 주변경관을 해치지 않으며 단순
벗어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고 등주부터 암까지 단순 일체화되는 디자인의 경향
두 번째는 LED 램프의 광특성을 고려해 디자인에 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로등 헤드의 경우 입체적인 형
반영한 형태의 경우이다. 이는 LED 램프의 크기가 기 태보다 넓고 평평한 형태가 설치된 곳이 많았으며 소
존 램프에 비해 작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로운 디자인 비전력이 큰 가로등의 경우에는 입체적인 형태를 취하
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입체적 고 있었다.
인 형태를 띠게 됨으로써 평평한 형태에 비하여 배광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의 배광구현이 가능하다.
Table 5. Trend investigation of LED roadway lighting
Fig. 3은 입체적인 형태의 LED 가로등 사례이다.
평평함 입체적
구분 (Flat) (Stereoscopic)
소비 전력 75~100 W 100~250 W
용도 보안등 가로등
설치 도로 왕복 2차선 왕복 4~6차선
색온도 5,000~6,000 K
Fig. 2. LED roadway lighting of flat form.
연색성 Ra > 70
수명 약 50,000시간 이상
전원 공급 AC 110~240 V/ DC 30~60 V
무게 약 12 kg 약 14 kg
소자 1 W (Power LED) 1 W, 3 W
소자 개수 60~78개 70~90개
Fig. 3. LED roadway lighting of stereoscopic form. 대체 램프 나트륨 램프, 메탈핼라이드 램프

한국생활환경학회지
기존 가로등과 LED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및 성능 분석 387

Table 6. Case study of LED roadway lighting 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로등의 발광효율
설치 과 배광형태 등의 성능적인 측면이 뒷받침되어야 한
테헤란로 북68길 남부 순환로
장소 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LED 가로등의 경우
도로차선 일방통행 2차선 왕복 6차선 LED 램프의 직진성으로 인해 빛이 도로면을 바로 비
소비전력 93 W 140 W (2등) 추어 빛의 손실이 적어 효율이 높다는 장점에 비해 지
나친 눈부심, 낮은 광속, 좁은 배광 등이 문제점으로
기구 지적되고 있다. 그 중 좁은 배광으로 인한 문제점은 균
이미지 제도가 나빠지고, 가로등의 밝고 어두운 구간의 반복
으로 노면에 드리워질수록 운전자는 착각을 일으킬 가
능성이 커져 교통사고 유발의 원인이 된다고 지적받고
설치 있다.
사례
이미지
3.1. 조명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요
본 연구에서는 향후 설치가 증대될 것으로 사료되는
설치 인천국제공항 인천광역시
장소 청사 진입로 계양구 LED 가로등과 기존 가로등 중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도로차선 왕복 4차선 왕복 4차선
가로등의 성능 비교·분석을 위해 Relux Pro를 이용하
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소비전력 100 W 150 W
Relux는 1994년에 스위스 Relux사에서 개발한 상용
프로그램으로 조명에 대한 배광을 가지고 빛이 어떻게
기구
표현되는지 수치 및 그래픽으로 표현해주는 소프트웨
이미지
어이다. Relux는 공개된 인터페이스의 소프트웨어로,
실내·외 공간 뿐만 아니라 도로설계를 위한 인공조
명, 주광 시뮬레이션 등이 가능하다. 그리도 조도 계산
설치
사례 이 및 분석에는 광속전달법을 기반으로 하는 독자적인 계
미지 산 알고리즘(point-to-Point)을 사용한다. 이는 조도계
산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이며
설치 장 하나의 유한요소로부터 받은 광속을 다른 유한요소로
원주시 가현교 남태령 고개
소 재반사 할 때, 그 차이가 일정한 값 이하가 되면 계산
도로차선 왕복 6차선 왕복 4차선 을 끝내는 방식이다. 이 때 일정한 값은 Relux의 계산
소비전력 150 W 180 W 알고리즘에 의한 것으로 광속전달법의 직접성분이 가
장 밝은 유한요소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기준 벡터값이
기구 다(Relux User's Guide, 2006).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
이미지 하여 LED 가로등과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가로등의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설치 3.2. 시뮬레이션의 조건 및 방법
사례 본 시뮬레이션은 차세대 LED 가로등의 개발에 필
이미지
요한 광학적 특성 및 성능 분석을 위한 것으로, 기존의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가로등과 LED 가로등을 비교하
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가로등의 배열방식은 마
3. LED 가로등의 성능 분석 주보기 방식과 지그재그 방식으로 나누어서 실행하였
다. 그러나 마주보기 방식으로 가로등을 배치하게 되
도로조명의 주요 목적은 주·야간에 도로이용자의 면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가로등과 LED 가로등의 결
시각 환경을 개선하여 쾌적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 과 값이 KS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만족하지 못하는

제 18 권 제 4 호 2011년
388 유민정·김유신·최안섭

점이 많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Table 7과 같이 지 는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그리고 선정한 가


그재그 배열만 기준으로 하였다. 로등은 현재 KS 제품 인증을 받은 LED 150 W 가로등
그리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의 도로 조건 과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150 W 가로등이다. 선정된
은 상하행선이 분리되고, 출입이 완전히 제한되어 있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램프와 LED 램프의 제원 비교는
Table 8과 같다. Table 8의 가로등의 제원 항목 중 시스
Table 7. Road situation for simulation 템소비전력은 SMPS(Switching-Mode Power Supplies:
항목 기준 항목 기준 전원 공급 장치)로 인해 소모되는 전력도 포함한 것이
등주높이(h) 10 m 조명기구 배열 지그재그 배열 다. 그리고 도로기준과 도로노면 타입은 KS 도로조명
오버행(u) 2m 경사각도() 5° 기준을 준수하여 현재 서울시의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
용도로의 환경에 맞는 항목을 선정하였다.
도로 폭(b) 21 m 차선 중앙 폭 0.5 m
LED 가로등은 두 제품 모두 왕복 4~6차선 도로에
도로기준 M2 도로노면 Type R2
설치할 목적으로 출시되었고, 등기구는 입체적인 형태
조명기구 간격 30 m, 25 m, 20 m, 15 m, 10 m
인 것이다. 그리고 제원 비교 항목 중 램프와 기구의
효율이 제시되어 있는데, 램프(소자)의 효율 측면에서
h : 조명기구의 설치 높이(m)
는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램프와 LED 램프가 비슷하
δ : 경사각도(°)
u : 오버행(m) 지만, 등기구 효율측면에서는 LED 램프가 더 우수하
b : 도로 폭(m)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3. 시뮬레이션 결과
시뮬레이션 도로의 조건
조명기구 설치간격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하기 쉽도록 Fig. 4에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각 가로등의 성능평가에 척도가 되는
지표들인 조명기구의 간격, 종합 휘도 균제도, 차선축
휘도균제도, 평균 노면휘도를 비교·분석하였다.

3.3.1. 조명기구의 간격(m)


Table 8. Specification of selected roadway lighting 시뮬레이션에서의 가로등 간격은 KS 도로조명 기
시뮬레이션 선정 가로등의 이미지 준 항목 만족을 목표로 했을 때, 각 가로등 사이의 거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가로등 LED 가로등 리를 말한다. 따라서 가로등의 간격이 좁다는 것은 동
A사 B사 C사 D사 일배치간격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가로등의 설치대수가
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에너지 소비의 증가를
미 의미한다.

3.3.2. 종합 휘도균제도(Lmin/Lavg)
배광
종합 휘도균제도는 노면의 균일한 휘도분포를 나타
형태
내는 지표로서 이 지수가 높을수록 좋은 조명환경이라
시뮬레이션 가로등의 제원
고 말할 수 있다. Fig. 4에서 A사 가로등을 제외한 모
CMH 150 W LED 150 W
항목 든 가로등이 전체적으로 0.4이상의 비교적 우수한 균
A사 B사 C사 D사 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D사의 LED 가로등의 종합
기구 광속(lm) 14,500 13,500 12,712 11,600
휘도균제도가 0.6~0.9로 KS기준인 0.4보다 상대적으
램프 효율(lm/W) 75.5 79.4 84.7 78.4
로 높은 편이다. 이는 D사의 배광형태가 다른 가로등
기구 효율(%) 85.3 85.7 92.2 97.7 에 비하여 넓고 고르게 퍼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높은
시스템 소비전력(W) 170 170 150 148 균제도 값이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생활환경학회지
기존 가로등과 LED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및 성능 분석 389

Fig. 6. Results of simulation (average luminance).


Fig. 4. Results of simulation (uniformity factor).
Table 9. The result of simulation
휘도 조도
종합 차선축
종합 차선축 평균 평균
구분 균제도 균제도 조도 조도
노면 노면
균제도 균제도
(Uo) (U1) 휘도 조도 (UE0) (UE1)
Lmin/Lavg Lmin/Lmax (cd/) (lx)
Emin/Eavg Emin/Emax
기준 0.4 0.7 1.5 14 0.4 0.5
A사(CMH)
30m 0.2(X) 0.6(X) 0.8(X) 13(X) 0.5 0.3(X)
25m 0.7 0.9 1.0(X) 16 0.6 0.4(X)
20m 0.7 0.9 1.3 20.8 0.7 0.5
Fig. 5. Results of simulation (longitudinal uniformity).
15m 0.7 1.0 1.7 27.7 0.8 0.7
10m 0.7 1.0 2.6 41.6 0.8 0.7
3.3.3. 차선축 휘도균제도(Lmin/Lmax) B사(CMH)
차선축 휘도균제도는 전방 노면의 눈에 보이는 밝기 30m 0.4 0.8 1.2(X) 18 0.4 0.1(X)
분포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는 휘도의 비로써 차로 25m 0.4 0.8 1.4(X) 22 0.4 0.2(X)
중심선상에서의 최소휘도와 동일한 차로 중심선상에 20m 0.4 0.9 1.8 27.9 0.5 0.5
서의 최대 휘도의 비를 의미한다. 본 시뮬레이션의 도 15m 0.4 1.0 2.4 37 0.5 0.5
로상황에 맞는 KS 기준 차선축 휘도균제도는 0.7이다. 10m 0.4 1.0 3.6 55.7 0.5 0.5
그림 5에서 B사와 C사는 설치간격이 10~30 m일 때 차
C사(LED)
선축 휘도균제도가 모두 만족하는 우수한 결과가 나왔 30m 0.6 0.7 1.0(X) 12(X) 0.7 0.4(X)
다. 반면 A사 가로등의 설치간격이 20 m일 때, D사 가 25m 0.6 0.7 1.2(X) 21.6 0.8 0.5
로등은 15 m일 때 비로소 기준에 만족하는 결과가 나
20m 0.6 0.8 1.5 27 0.8 0.6
왔다.
15m 0.6 0.9 2.0 36 0.8 0.6
10m 0.6 1.0 3.0 54 0.8 0.7
3.3.4. 평균 노면휘도(cd/m2)
D사(LED)
도로조명 KS 도로조명 기준에서는 도로조명등급이
30m 0.6 0.5(X) 0.5(X) 13(X) 0.5 0.3(X)
M2(고속도로 전용도로)일 때 1.5[cd/m2]로 규정해놓고
25m 0.6 0.6(X) 0.6(X) 16 0.6 0.3(X)
있다. Fig. 6에서 A사와 B사, 그리고 C사의 가로등이
20m 0.7 0.7 0.8(X) 20 0.6 0.4(X)
설치간격이 20 m일 때부터 평균 노면휘도 기준을 만
15m 0.8 0.8 1.0(X) 27.3 0.7 0.6
족하고 있다. 그러나 D사 가로등은 10 m일 때부터 평
10m 0.9 1.0 1.5 40.9 1.0 0.8
균 노면휘도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18 권 제 4 호 2011년
390 유민정·김유신·최안섭

3.3.5. 조도기준 분석 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서울시 디자인 총괄본부


조도기준을 분석한 결과, 평균 노면조도는 기구 배 가 출범한 뒤, 구청에서 관리하던 가로등을 서울시 디
치 간격이 약 25 m일 때부터 기준값을 만족하는 결과 자인 총괄본부가 직접하게 되면서 생긴 가로등의 디자
가 나타났다. 그리고 A사를 제외한 3가지의 가로등의 인 변화이다. 그리고 LED 가로등은 등기구 디자인에
종합 조도균제도는 기준인 0.4보다 높게 나왔다. 특히 기존 가로등과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는데 크게 평평
C사 가로등이 0.7~0.8로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 한 형태와 입체적인 형태로 나뉘며, 향후 정부의 친
러나 차선축 조도균제도에 있어서 C사 가로등은 25 m 환경 녹색성장 정책으로 인해 설치가 증대될 것으로
에서 기준인 0.5를 만족하였으며, 이를 제외한 모든 가 사료된다.
로등은 기구 배치 간격이 20 m가 되어서야 기준을 만 본 연구에서는 LED 가로등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
족하였다. Table 9은 시뮬레이션의 결과값을 나타낸 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LED 가로등과 기존
것이다. 의 세라믹 메탈핼라이드 가로등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LED 가로등의 경우 종합 휘도균제도는 세라
3.4. 소결 믹 메탈 핼라이드보다 더 우수한 값이 나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은 최근 새로운 램프 노면휘도와 차선축 조도균제도가 기존의 세라믹 메탈
로 주목받고 있는 LED 가로등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 핼라이드 가로등에 비해 취약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
한 것이며, 이를 위해 LED 가로등과 세라믹 메탈핼라 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실제 외부의 환경조
이드 가로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라믹 메탈핼라 건이나 상태를 배제한 값이기 때문에 실측값과는 다소
이드 가로등의 경우 평균적으로 설치간격이 20 m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때부터 KS 도로조명 기준 휘도와 조도를 모두 만족하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배광성능과 반사판
였다. 그리고 LED 가로등의 경우 C사는 세라믹 메탈 등 광학적인 부분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
핼라이드 가로등과 동일하게 20 m일 때부터 모든 조 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 효율을 향상시
건을 만족하였으나, D사의 가로등은 평균 노면휘도가 킬 수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해야 하고 초기 비용에 대
기준보다 낮게 나와 배치간격이 10 m가 되었을 때 모 한 부담이 큰 만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든 기준에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다.
이와 같이 LED 가로등의 경우 광속이 비슷할지라 후 기
도 기구의 효율은 높지만 램프의 광속이 낮은 경우, 또
는 배광기술이 취약한 경우 가로등으로서의 낮은 성능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IT
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기술적인 취 융합 스마트조명 고급인력양성사업의 연구결과로 수
약점을 보완하면 앞으로 LED 가로등의 상용화에 기 행되었음(NIPA-2011-C6150-1101-0002).
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용문헌
4. 결 론
강남구청. 도시교통본부.
본 연구는 국내 가로등의 디자인 트렌드를 알아보기 강동구청. 가로등유지관리과.
위해 서울시를 중심으로 가로등의 램프, 암, 재질별 변 광진구청. 가로등관리과.
천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사용이 증대될 것으 김창수. (2010). “LED 가로등, 어디까지 왔나”. LED J.,
3(42).
로 보이는 LED 가로등에 나타나는 디자인 경향을 분
김훈. (2004). 가로등기구와 터널등기구 : 도로와 터널조
석하였다. 더불어 LED 가로등과 기존 램프 중 메탈핼
명.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 18(5).
라이드 가로등의 성능을 비교하여 현재 도로에 설치하 동아일보. www.donga.com
였을 때 KS 기준에 만족하는지 살펴보았다. 매경 ECONOMY. economy.mk.co.kr
우선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은 과거에는 다양한 디자 변광석. (2010. 5). 가로조명의 배광분포 및 개선방안. 한
인이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장식적인 요소가 사라진 단 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순한 형태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향후 주변 서울시 디자인 총괄본부. 도로조명 가이드라인.
여인선. (1998). 도로조명의 설계. 한국조명·전기설비학
환경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디자인의 가로등이 등

한국생활환경학회지
기존 가로등과 LED 가로등의 디자인 경향 및 성능 분석 391

회 논문집, 12(1). 한국표준협회. 도로조명기준 KS A 3701.


이민욱. (2009. 10). 조명기구 종류에 따른 도로조명 실태 한국표준협회. 도로조명기준 KS C 7658.
조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Relux User's Guide, 2006.
장은석. (2008). 가로등주 디자인에 관한 연구-알루미늄 제 Relux, www.relux.biz
품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정보디자인학회 학술논문.
전자신문. www.etnews.co.kr 투 고 일: 2011. 5. 31
중구청. 토목과. 수정접수일: 2011. 7. 8
한국조명신문. www.koreanlighting.com 게재승인일: 2011. 8. 29

제 18 권 제 4 호 2011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