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남가주 한국학원 4 학년 2 학기 기말고사

(2019-2020 학년도)

* 뜻이 같은 낱말을 찾으세요. (1-5) (Choose each word with the correct definition.)

1. 관광객 (A) neighbor (B) vacation (C) teacher (D) tourist

2. 소설 (A) newspaper (B) essay (C) novel (D) diary

3. 이듬해 (A) last year (B) this year (C) next year (D) the year after next

4. boil (A) 튀기다 (B) 삶다 (C) 굽다 (D) 볶다

5. complaint (A) 불평 (B) 차별 (C) 용기 (D) 만족

* 빈 칸에 들어갈 가장 맞는 말을 고르세요. (6-8) (Choose the right word for the blank.)

6. 사람들은 서점에 잘 가지 않아요. _________ 나는 잘 가요.

(A) 그리고 (B) 결국 (C) 하지만 (D) 그러면

7. 폭포에서 _________ 많은 물이 한꺼번에 떨어졌다.

(A) 높은 (B) 엄청나게 (C) 통해서 (D) 흠뻑

8. 할아버지 ________ 우리 집에 오셨어요.

(A) 가 (B) 는 (C) 께서 (D) 께


* 알맞은 낱말을 보기에서 찾아 ( ) 속에 넣으세요. (9-12)
(Choose the correct word from the box)

(A) 켤레 (B) 대 (C) 장 (D) 층

9. 쇼핑몰 주차장 안에는 자동차 여러 ____가 주차되어 있었습니다.

10. 옷 가게에서 아버지 양복 한 벌과 양말 세 ______를 샀습니다.

11. 할머니께 드릴 장미꽃 한 다발과 생일 카드 한 _____을 샀습니다.

12. 다음 문장을 바꿀 때 ( )안에 가장 어울리는 말은 무엇입니까?

달팽이가 느리다  _______ 달팽이가 기어갔다.

(A) 느리다 (B) 느리고 (C) 느릴 (D) 느린

-1-
13. 같은 뜻끼리 바르게 연결된 것은 어느 것인가요? (Which are the same meanings?)

(A) 1 일 – 초하루 (B) 2 일 – 나흘 (C) 4 일 – 사흘 (D) 10 일 – 이레

14. ‘Mend the barn after the horse is stolen’라는 뜻의 한국 속담은 무엇입니까?

(A) 등잔 밑이 어둡다. (B)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C)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D) 낮 말은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다.

* 보기에서 ____에 넣을 알맞은 말을 찾으세요. (15-18)


(Find the right words to put in the blank)

(A) 가까운 (B) 점점 (C) 단단한 (D) 맞이하여

15. 누에나방은 입에서 액체를 뱉어 ____________ 고치에 구멍을 냅니다.

16. 애벌레의 몸이 _______ 커지려면 더 큰 껍질로 바꾸어야 합니다.

17. 봄을 _____________ 백화점 정기 할인행사가 열렸다.

18. 집에서 _____________ 백화점에 갔다.

* 다음 글을 읽고 맞는 답을 찾으세요. (19-21) (Read the article and find the right answers)

신발가게 (ㄱ)오른쪽에 아동복을 파는 옷 가게가 있었다. 우리는 (ㄴ) 그곳에서 동생에게


딱 맞는 옷 한 벌을 샀다. 진열장에 걸린 밝고 화사한 색깔의 봄옷들을 보니 기분이
좋았다. 우리는 서점에도 갔다. 서점에는 어린이들이 책을 볼 수 있는 곳이 따로 있어서
내가 좋아한다. 어머니께서는 서점에 가시면 항상 미술서적을 즐겨 보신다. 요즈음은
전자책의 발달로 사람들이 서점에 잘 가지 않는다고 한다.

19. (ㄱ)오른쪽의 반대말은 무엇입니까?

(A) 양쪽 (B) 왼쪽 (C) 한쪽 (D) 반쪽

20. (ㄴ) 그곳은 어디를 가리킵니까?

(A) 신발 가게 (B) 옷 가게 (C) 애완동물 가게 (D) 가구점

-2–
21. 요즈음은 사람들이 왜 서점에 잘 가지 않습니까?

(A) 읽을 책이 없어서 (B) 잡지를 보는 곳이 따로 없어서

(C) 전자책의 발달로 (D)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 다음 글을 읽고 맞는 답을 찾으세요. (22-25)

(Read the article and choose the right answer.)

광개토대왕은 열여덟 살이 되던 391 년에 고구려의 19(ㄱ)___왕이 되었습니다. 그때


한반도에서는 고구려, 백제, (ㄴ)_____ 세 나라가 서로 많은 땅은 차지하려고
끊임없이 전쟁을 하고 있었습니다. 고구려는 춥고 (ㄷ)땅이 거칠어서 농사를 짓기
어려웠습니다. 백제는 땅이 비옥해서 곡식과 과일이 잘 자랐습니다.

22. 위 글의 (ㄱ)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입니까?

(A) 대 (B) 연도 (C) 째 (D) 년

23. (ㄴ)에 들어갈 나라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A) 고조선 (B) 후연 (C) 신라 (D) 중국

24. 한반도에서는 왜 세 나라가 끊임없이 전쟁을 하고 있었습니까?

(A) 많은 땅을 차지하려고 (B) 신라의 날씨가 추워서

(C) 백제는 농사 짓기가 어려워서 (D) 고구려의 땅이 비옥해서

25. (ㄷ)의 땅이 거칠어서의 반대의 뜻을 고르세요.

(A) 땅이 어려워서 (B) 땅이 비옥해서 (C) 땅이 넓어서 (D) 땅이 많아서

-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