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양기인 (02-768-4162) kiyang@bestez.

com
이슈코멘트 - 2008. 5. 16. 금 전승훈 (02-768-2222) shjeon@bestez.com

POSCO [005490/매수]
런던 컨퍼런스 요약: 외국인 관심은 3가지에 집중

z 2008년 5월 12일 런던 Andaz Hotel에서 해외 투자가를 대상으로 POSCO 등 15개 업체들의 IR 실시


z 외국인의 3가지 관심: 내수가격 정책의 변화, 중장기 성장 전략, 원료 확보 계획 등
z 결론: 내수가격 추가 인상 예상, 인도와 베트남 프로젝트 정상 진행, 자사주 3분기 중 매입 계획 시사 등
z 투자의견 매수와 12개월 목표주가 600,000원 유지

■ Q1. 내수가격 정책의 변화: 내수 가격은 추가 인상할 계획이 있나? 인상 계획이 있다.

POSCO의 열연코일 내수 가격은 톤당 700,000원이고, 수출 가격은 톤당 900달러에 형성되고 있다. 국제 가격에 비해 내수


가격이 턱없이 낮다. 국내 열연코일 부족분은 대부분 고급재로 주로 일본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이 가격은 POSCO 내수 가
격의 기준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산 열연코일의 3분기 수입 가격을 본 후 내수 가격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초 판매가격 정책은 2008년 영업이익 4.8조원을 시현하기 위한 수준에서 이뤄진다고 밝혔는데 입장이 바뀐 것이다. 즉 일
본산 열연코일, 후판의 수입 가격이 크게 상승할 전망이어서 내수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일본산 열연코
일의 3분기 수입 가격은 710달러이고, 후판의 상반기(4~9월 선적분) 수입가격은 톤당 850달러여서 인상률이 높을 전망이
다. 그리고 국내 열연코일의 2008년 수입량은 793만톤, 후판은 488만톤으로 협회는 추정하고 있다.

국제 가격과 국내 동종 업체의 내수 가격을 비교할 때 POSCO의 추가 인상 가능성은 절대적이다. 여기에 일본산 열연코일,
후판의 수입 가격이 대폭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기와 인상 폭의 문제일 뿐이다. 국내 열연코일 가
격은 POSCO 700,000만원, 현대제철 920,000원이다. 선급(조선용) 후판은 POSCO 785,000원, 동국제강 1,010,000원이다.
비선급(일반용) 후판은 POSCO 840,000원, 동국제강 1,040,000원이다.

■ Q2. 중장기 성장 전략: 인도, 베트남의 투자 계획은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나? 10월경 구체화 예상된다.

인도 프로젝트는 광업권 확보와 토지 매입 문제가 다소 난항 중이나, 10월경에는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특히 인
도가 철강 수입국으로 전환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예상된다. 베트남도 수요 시장 선점과 성장 전략을 위해 반드시 필요
하다. 회사 측은 채산성이 확인된 FINEX를 활용해 반드시 진출하겠다는 입장이다.

목표주가(원,12M) 600,000 시가총액(십억원) 48,302


현재주가(//,원) 583,000 발행주식수(백만주) 87
상승여력(%) 2.9 60D 일평균 거래량(천주) 380
소속업종 철강 60D 일평균 거래대금(십억원) 186
EPS 성장률(08F,%) 2.6 52주 최저/최고가(원) 408,000/765,000
MKT EPS 성장률(F,%) 26.4 베타(12M,일간수익률) 1.3
P/E(x) 12.5 주가변동성(12M daily,%,SD) 3.0
MKT P/E(F//,x) 11.9 외국인 보유비중(%) 46.7
결산기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순이익 EPS EBITDA FCF ROE P/E P/B EV/EBITDA
(십억원) (십억원) (%) (십억원) (원) (십억원) (십억원) (%) (x) (x) (x)
12/06 20,043 3,892 19.4 3,207 36,779 5,449 829 15.5 8.4 1.3 4.8
12/07 22,207 4,308 19.4 3,679 42,202 6,029 2,662 15.9 13.6 2.1 8.2
12/08F 27,988 4,772 17.1 3,875 44,443 6,553 -1,957 14.9 12.5 1.8 7.7
12/09F 29,391 4,789 16.3 3,976 45,608 6,571 827 13.6 12.1 1.6 7.7
12/10F 29,001 4,512 15.6 3,818 43,788 6,362 1,742 11.8 12.7 1.4 7.8
POSCO

■ Q3. 원료 확보 전략: 인도 프로젝트가 절실한 것은 원료(철광석) 확보 때문이다.

인도 프로젝트는 수요 시장도 고려된 투자이지만 무엇보다 원료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란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동사는 지
분이 투자된 해외 광산에서 원료를 조달하는 비중은 2008년의 경우 철광석과 원료탄이 각각 15%, 26%를 차지할 전망이다.
그리고 2012년에는 각각 30%, 34%까지 상향한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의 시현에는 인도 프로젝트가 중심에 있다.

■ Q4. 수출 마진이 내수에 비해 좋은데 수출 비중을 확대할 계획은 없나? 내수 우선 정책에 변함이 없다.

1분기 수출 비중은 29.3%였고, 수출 가격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현재 열연코일 내수 가격은 톤당 700,000원, 수출은 900
달러에 달한다. 수출 마진이 좋은 것은 사실이나, 비중을 늘릴 계획은 없다. 내수 가격의 저가 정책은 국내 장기 수요가에 대
한 배려와 그들의 경쟁력 확보이다. 향후 내수 가격은 일본산 수입 가격을 고려해 결정하겠다.

■ Q5. 원/달러 환율의 상승이 부정적인데? 그렇다. 2008년 사업 계획을 950원에 세웠다.

원료(철광석, 원료탄)의 수입 비중이 절대적이고, 수출 비중은 27~29% 내외에 불과해 부정적이다. 2008년 사업 계획의 원/
달러 환율은 950원에 세운 것이다. 현재 1,050원에 근접해 영업외수지(외화 관련 손실 관련)가 문제이다. 그러나 Hedge는
없다. 참고로 원/달러 환율이 10원 상승하면 영업이익은 414억원, 영업외수지는 447억원이 각각 감소한다.

■ Q6. 국내 철강사들의 M&A 계획은 있나? 없다.

현재 시황이 좋아 단압밀의 수익성도 호전되고 있다. M&A와 구조조정을 논할 상황이 아니다. 그리고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등도 독자 생존을 모색 중이다. 정황에 맞지 않는 질문이다.

■ Q7.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것인가? 해양에 관심이 많으며, 8월경 구체화 예상된다.

이미 정상화된 기업이고, 향후 전망이 밝아 성장 전략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 우리는 조선 보다 해양에 관심이 많다. 고유
가 시대에 걸맞는 사업을 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너지 효과에 대한 질문이 많다. 이 또한 우리가 어떤 사업을 펼칠 것인
가와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인수가 결정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 시너지를 논한다는 것은 시기적으로 적절치 않다.

■ Q8. 향후 원료 가격의 전망은? 2009년까지 상승한 후 하락이 예상된다.

2008년 원료 가격은 철광석 72~85%, 원료탄 210% 인상에서 마무리가 될 것 같다. 2009년에도 달러화 약세, 자원의 고가
격 시대 도래, 광산 업체들의 높은 시장점유율(수출 M/S 79%) 등으로 인해 두 자리수 인상이 예상된다. 그러나 2010년에는
생산능력 증대로 하락 추세로의 전환이 예상된다. 따라서 국제 철강 가격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전망이나, 지금처럼 계속
오르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

■ Q9. 자사주 매입 계획은? 당초 약속대로 3분기 중 실시하겠다.

연초 CEO 포럼에서 약속한 바와 같이 3분기 중 실시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규모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 내부적으로 결정
되면 공시하겠다.

상기 내용은 컨퍼런스에서 진행된 Q&A를 정리한 것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당사 애널리스트가 구체화 시키는 방식으로 완성했다.
특히 통역 상의 문제로 인해 오해가 생길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사전에 밝힌다. 기본적인 설명회 자료는 지난 1분기 IR 내용과 동일하다.

2
POSCO

■ Compliance Notice
- 당사는 2008년 5월 15일 현재 POSCO(으)로부터 자사주 금전신탁을 위탁받아 업무를 수행 하고 있습니다.
- 본 자료는 2008년 5월 15일 당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로, 기관투자가 등 제 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는 2008년 5월 15일 현재 해당 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동 자료를 작성함에 있어 게재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 투자의견 분류 및 적용기준(2008년 3월 31일부터 변경, 기간은 12개월, 상대수익 기준)
매수(시장대비 20% 이상의 초과 수익 예상), Trading Buy(시장대비 10% 이상의 초과 수익이 예상되나 주가에 영향을 주는 변수의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중립(시장대비 -10~10% 이내의 등락이 예상), 비중축소(시장대비 10% 이상의 주가하락 예상)
- 투자의견 및 목표가 등 추이(투자의견 제시일이 비영업일인 경우 익일 영업일로 표시함)

주가(---), 목표주가( - - - ), Not covered(■), 매수(▲), Trading Buy (■), 중립(●), 비중축소(◆)

(원) POSCO[매수/600,000원]
900,000
800,000
700,000
600,000
500,000
400,000
300,000
200,000
100,000
0
06.5 06.8 06.11 07.2 07.5 07.8 07.11 08.2 08.5

이 조사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조사자료는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종목 선택이나 투자시기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이 조사자료는 어떠한 경우
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 조사자료의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 할 수 없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