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0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고무·플라스틱) 6. 공작기계 작업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장갑 착용은 원칙적으로 금지하나 꼭 필요한 경우 손가락 부분을 1/2 절단하여 사용한다.


② 보안경 및 작업복은 작업환경에 따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1. 방진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경우는?
③ 가공을 막 끝낸 공작물이나 칩은 매우 뜨거우므로 장갑을 끼고 작업한다.
④ 작업의 속도를 늦추거나 멈추려 할 때는 반드시 기계스위치를 이용한다.
① 유기 증기가 발생하는 화학 공장
② 인체에 유해한 분진발생 작업장
③ 암모니아 가스를 사용하는 작업장
7. 화재발생시 대처 요령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④ 벤젠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작업장

① 화재발생시 “불이야”하고 주위에 화재 사실을 알리고 119에 신고한다.


2. 화학물질이 튀는 것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호구는? ② 피난 시 가장 가까운 통로나 계단을 통해 신속히 대피한다.
③ 초기 소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신속히 소화기 등으로 진화한다.
① 보안경 ④ 바람이 없는 실내에서 소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편한 위치에서 진화한다.
② 밀폐형 고글
③ 도수안경
④ 선글라스 8. 소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소화기는 화재 초기에 중요한 소화기구이다.


3. 청력보호구의 올바른 착용 방법은?
② 소화기는 고온다습한 곳과 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한다.
③ 소화기는 캐비넷 등에 보관하고, 시건장치를 해놓는 것이 좋다.
① 소음이 발생하는 시간동안 90%만 착용하고 10%는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④ 소화기는 수시로 노즐 및 압력게이지를 확인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새 것으로 교체한다.
② 청력보호구의 착용이 불편하다면 착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③ 소음발생시 50%만 착용하고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을 때는 착용하지 않는다.
④ 소음이 발생하는 시간동안 100% 착용한다.
9. 화재시 피난 및 대피요령을 설명한 것으로 맞지 않는 것은?

4. 보호 장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피난시 외부로 나가는 통로를 이용한다.


② 화재시 지체 없이 피난한다.
① 장갑을 사용 시에는 손상된 부위가 있는지 확인한 후 사용한다. ③ 연기가 많을 때에는 최대한 자세를 낮춰 이동한다.
② 가격이 높을수록 많은 보호가 되므로 비싼 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④ 중요한 물건이 있을 경우 신속히 들어가서 가지고 나온다.
③ 장갑을 착용한 채 컴퓨터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④ 장갑 사용 시에는 장신구를 제거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10. 위험물 경고표지입니다 연결이 틀린 것은?

5. 작업장 안전수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 인화성물질 경고 ② - 폭발성물질 경고
①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반드시 적합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② 최소한의 화학약품 사용하여 사고의 가능성을 줄이고, 작업시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 한다.
③ 가스 사용시 사용 후에 중간밸브 및 주 밸브는 항상 틀어 놓는다. ③ - 부식성물질 경고 ④ - 급성독성물질 경고
④ 유독성이나 물질을 다루는 작업시, 피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보호 장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11. 고무에 혼합하여 가열 또는 기타의 처리를 함으로써 고무분자간에 연결을 통해 탄성체의 16. 노화방지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고무로 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폴리머안정제
① 가소제 ② 금속해방지제
② 가황제 ③ 오존방지제
③ 가교제 ④ 연화제
④ 난연제

17. 고무의 상용성 및 내한성, 비오염성, 색안정성이 좋고 내산화가 양호하여 모든 목적의


12. 배합고무에 가하여 가황고무 장기사용 중의 산화에 의한 노화를 방지, 사용수명을
고무제조에 사용이 가능한 가소제는?
연장하기 위하여 넣는 첨가제는?

① 폴리머안정제 ① 방향족유
② 노화(산화)방지제 ② 파라핀계유
③ 가황촉진제 ③ 나프텐계유
④ 연화제 ④ 지방족계유

13. 유황가황에 있어서 공존하는 지방산을 만들어 가황촉진재의 활성을 높이는 배합제로 18. 배합고무의 표면 점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배합제는?
고무 배합상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① 가소제
① 유황 ② 발포제
② 폴리아민
③ 점착부여제(Tackifiers)
③ 산화마그네슘
④ 가화지연제
④ 산화아연

19. 점착부여제로서 요구사항이 아닌 것은?


14. 가황제와 함께 작용하여 소량의 사용으로 가황속도를 증진시키는 첨가제는?

① 노화방지제 ① 사용하는 고무소재와 잘 섞여야 한다.


② 착색제 ② 점착부여제 자체의 점착성은 고려사항이 아니다.
③ 가황촉진제 ③ 고무배합물에 부여된 점착성 효력의 물성변화가 작은 것이어야 한다.
④ 발포제 ④ 점착부여제가 강한 점착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15. 고무제조시 소량을 첨가한 것만으로 가황의 속도를 늦춰, 가황시기가 너무 빨리 20. 고무용 안료로써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되는 것을 지연 시켜주는 물질은?

① 내열성이 있어야 한다.


① 가황지연제
② 유황, 황화수소에 대하여 안정하여야 한다.
② 가황촉진제
③ 노화방지제 등의 배합에 변화를 일으켜야 한다.
③ 연화제
④ 내수성이어야 한다.
④ 가소제
21. 단위 공정별 주요설비의 약액제조 공정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26. 건조된 고무 입자(crumb)를 직육면체의 고무 덩어리로 성형하는 설비로써, 직육면체
① 탱크류 몰드에 25kg, 35kg의 고무를 고압으로 압착하여 베일(bale)이라는 최종 고무제품을
② 교반류 생산한다. 이것은 어떤 공정에 대한 설명인가?
③ 펌프류
④ 탈수기 ① 응고 및 탈수공정
② 반응공정
③ 건조 및 성형공정
④ 회수공정
22. 중합반응을 위한 반응기, 교반기로 구성되어 있는 공정은?

① 반응공정
27. 석유화학 원료를 중합시켜 고분자 물질로 합성한 공산품에 해당되는 것은?
② 약액제조공정
③ 회수공정 ① 합성고무
④ 저장 및 혼합공정 ② 천연고무
③ 친환경고무
④ 재활용고무
23. 기타 대형설비는?
28. 합성고무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용접기
② 암모니아 냉동기 ① NR
③ 컴퓨터 ② EPDM
④ 압출기 ③ SER
④ BMW

24. 건조를 위한 대형 건조기(apron dryer, expander)와 성형을 위한 성형기(baler)로 구성


29. 합성고무의 생산 공정이 아닌 것은?
되어 있는 공정은?

① 중합공정
① 응고 및 탈수공정 ② 제품공정
② 반응공정 ③ 품질검사 및 포장공정
③ 건조 및 성형공정 ④ 세척공정
④ 회수공정

30. 성형된 합성고무제품의 외관과 이물 혼입여부를 검사하여 포장 필름으로 밀봉한 후,


25. 증류탑(column)의 종류가 아닌 것은? 약 1톤 정도를 담을 수 있는 대형 박스에 적재하여 보관 창고로 이송하는 공정은?

① 흡수탑 ① 중합공정
② 저장 및 혼합공정
② 스트리핑 칼럼
③ 품질검사 및 포장공정
③ 추출탑
④ 제품공정
④ 압출탑
31. 중간 제품인 라텍스를 제품의 종류, 무니(mooney) 수준, 결합 모노머 함량 등의 품질 36. 냉동기의 가동 절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특성에 따라 구분 저장하고 저장된 라텍스를 원하는 품질특성으로 혼합하는 공정은?
① 윤활유와 오일을 보충하고 냉각수의 주 밸브를 연다.
② 흡입부 밸브를 약간 열고 토출구 밸브를 모두 열어야 한다.
① 응고 및 탈수공정
③ 냉동기의 압축기 부분에 있는 모든 내부 밸브를 열어야 한다.
② 저장 및 혼합공정
④ 현장 조작반의 부하 조절기를 최대 위치로 설정한다.
③ 품질검사 및 포장공정
④ 건조 및 성형공정
37. 펌프류 가동 절차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2. 점착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고무로, 보강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물성치가 우수하여 ① 현장 조작반의 스위치가 자동으로 전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② 현장 조작반의 가동 스위치(start button)를 눌러서 펌프를 가동시킨다.
전체 고무 사용량의 40~45%를 점유하고 있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③ 정상 작동이 확인되면 조정실과 연락을 취하여 운전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한다.
④ 필요시, 자동모드에서 원격 가동정지 및 재가동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① SER ② NR
③ 천연고무 ④ EPDM
38. 저장 중인 중간품의 혼합을 통해 정확한 물성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지시서이다.
주로 혼합 비율과 첨가제 투입량, 혼합 시간, 제품 생산 시간 등이 기록된다. 무엇
33. 합성고무의 핵심적인 품질을 결정하는 공정으로, 약품의 저장부터 약액의 제조, 약액의 에 대한 설명인가?
투입, 중합반응, 미반응 모노머의 회수공정까지를 일컫는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① 중간품 혼합 처방(blend order)
② 시험지시서
① 저장 및 혼합공정 ③ 반응기 투입처방(charge order)
② 응고 및 탈수공정 ④ 약액제조처방(make-up order)
③ 중합공정
④ 건조 및 성형공정
39. 단위 시간당 반응기에 투입되는 약액이나 약품들의 단위 시간당 투입량, 목표
전환율, 반응시간, 반응 온도 등이 기록된 지시서로, 기본적인 사항은 제품 품종별
처방에 따른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34. 진공펌프(vaccum pump) 가동 절차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간품 혼합 처방(blend order)


① 모든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하고 윤활 장치를 가동한다. ② 기타 지시서
② 회전 부위들을 손으로 돌려서 부드럽게 회전이 되는지를 체크한다. ③ 반응기 투입처방(charge order)
③ 윤활 장치, 케이스의 오일 수위계 등을 체크한다. ④ 약액제조처방(make-up order)
④ 냉각수 밸브를 잠그고 실린더를 보온시킨다.

40. 단기적으로 운전 조건을 조정하거나 보정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발행되는 지시서로


변경하고자 하는 내용, 유효 기간, 주의 사항 등이 기록된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35. 압축기(compressor) 가동 절차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일 수위를 확인하여 부족 시 수위계의 표시선까지 오일을 보충한다. ① 중간품 혼합 처방(blend order)


② 냉각수를 공급하고 냉각장치가 작동하는지를 점검한다. ② 기타 지시서
③ 압축기 가동을 멈추고 이음, 진동, 마찰 등의 특이 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③ 반응기 투입처방(charge order)
④ 윤활설비의 오일 저장조에 윤활유를 채우고 압축기가 무부하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④ 제품 품종별 처방(basic recipe)
41. 유기약품, 인화성 자재에 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안전사고 발생시 신고 및 조사에 대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화성의 용제는 모두 철제의 용기에 담고 이것을 사용하는 작업장에는 반드시 ① 모든 사고는 예외 없이 사고조사를 실시한다.
화학소화기를 비치한다. ② 밝혀진 근본원인에 대한 적절한 조치 및 재발방지 대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② 고무액이 든 통이 동요 또는 전도(전락)하지 않게 완전히 고정시킨다. ③ 사고조사는 사고 발생 후 지정된 시간 안에 착수되어야 한다.
③ 고무풀을 바른 반제품의 건조에 대해서는 건조실을 특설하여야 한다. ④ 사고조사 수행 기간은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④ 가솔린 사용 현장에서의 전기 난로사용을 허용한다.

47. 정전기(대전의 제거)에 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 화학공장의 사고 대응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전 제거기의 증설설비, 정기점검을 이행한다.


① 위험물질 분출대비를 위해 안전거리확보 및 방유제 구멍을 개방한다.
② 스프레더의 독터나이프, 가이드로울, 기타의 접지를 재인식하고 또한 작은 구멍에서
② 가열된 탱크 및 탱크주변에 집중 냉각을 실시한다.
수증기를 발생시켜 습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한다.
③ 파이어볼 형성을 대비하여 폭발을 방지한다
③ 습도계에 주의하고 건조계절에는 바닥에 살수하는 것을 금지한다.
④ 저장탱크 주변 화재를 신속히 제거한다.
④ 연속가황실의 헝겊 넣는 입구 등의 청소를 하여 섬유조각이 쌓이지 않게 한다.

43. 액체 누출 물질의 대응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48. 여러 시설의 안전 개선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량 유출 시는 건조사, 유처리제 등으로 회수한다.


① 소각로를 완전한 것으로 폐장한다.
② 대량 유출 시는 토사 등으로 유출확대 방지대책을 세워 회수한다.
② 방화문을 신설 또는 지붕 위에 파티션(분리대)을 설치한다.
③ 산, 알칼리 등이 유출되었을 때는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시키고 토양이나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③ 프로판가스의 봄베사용을 폐지하고 탱크로 대체한다.
④ 증기가 발생할 경우에는 분무 주수시켜 증기발생을 억제한다. ④ 컴프레서실의 냉각용수파이프 접속부 점검을 하고 단열재를 적시에 교체한다.

44. 고체 누출 물질의 대응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49. 전기 설비에 대한 안전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수시트 등으로 덮어 비산확대를 방지한다. ① 스위치의 주변부에는 인화물을 놓지 않도록 지도를 철저히 한다.
② 용기에 회수하여 마개를 한 뒤 물 또는 세제를 함유한 물로 세척한다. ② 방폭형 스위치를 채용하여 스위치에 의한 스파크를 유도한다.
③ 산성 물질은 회수 후 소석회, 소가회 등으로 처리한 다음 다량의 물로 세척한다. ③ 형광등 내부의 안정기불량에 의한 누전방지를 위해 차단시설을 완전하게 한다.
④ 비산한 분말 등은 가능한 난연성이고 습기가 있는 용기로 회수한다. ④ 접속 코드를 적시에 점검하고 항상 완전한 상태로 유지한다.

45.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대응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50. 중요사고인 경우 상위부서의 사고관리부서에서 조사를 실시하는데, 다음 중 사고
조사 실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설비의 가동 조건을 수시로 확인하고 점검과 보수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② 각종 안전장치는 비상시 작동될 수 있도록 폐쇄되거나 막힘이 없이 관리되어야 한다. ① 중상해 이상 상해사고
③ 각종 안전장치는 재료 선정과 설치 장소별 비상배출조건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② 불가항력적인 천재지변
④ 작업자들은 비상조치 계획 등을 충분히 습득하여 작업자의 실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③ 화재 등 중대 산업 사고
철저한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④ 폭발, 누출 등 중대 산업 사고
51. 플라스틱 제품의 주재료는? 56.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

① 금속 ① 폴리염화비닐 수지
② 세라믹 ② 폴리에틸렌 수지
③ 고분자 ③ 폴리프로필렌 수지
④ 광물 ④ 에폭시 수지

52. 범용 플라스틱이 아닌 것은? 57. 열경화성 수지인 것은?

① 페놀 수지
① 폴리에틸렌(PE)
② 폴리스티렌 수지
② 천연고무
③ ABS 수지
③ 폴리프로필렌(PP)
④ 폴리이미드 수지
④ 폴리염화비닐(PVC)

58. 주로 필름으로 된 포장용 용도 및 병 모양의 여러 가지 용기로 사용되며, 밀도에 따라


53. 플라스틱의 장점이 아닌 것은?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의 3 종류로 분류되는 합성수지는?

① 가볍다.
① 폴리프로필렌
②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다.
② 폴리에틸렌
③ 부식에 강하다.
③ 폴리스타이렌
④ 자성을 가지고 있다. ④ 폴리염화비닐

54. 플라스틱의 성형법이 아닌 것은? 59. 흔히 비닐로 불리며, 연질의 포장용부터 튜브, 호수 전선의 피복, 경질의 파이프, 홈통
등에 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① 압축성형
② 압출성형 ① 폴리프로필렌
③ 사출성형 ② 폴리에틸렌
④ 압연성형 ③ 폴리스타이렌
④ 폴리염화비닐

55. 플라스틱인 것은?


60. 플라스틱 성형 시, 소성을 높여 성형 가공성을 높이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은?
① 섬유
② 고무 ① 난연제
③ 접착제 ② 가소제
④ 셀룰로이드 ③ 발포제
④ 가교제
61.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가공방법으로 수지를 용융시킨 후, 압출을 통하여 성형하는 방법은? 66. 열경화성수지로 가장 오래된 플라스틱 중의 하나이며, 베이클라이트 또는 베이크
라고도 한다. 주로 높은 온도에 견디는 것이 특징인 합성수지는?
① 압축성형
② 압출성형 ① 폴리우레탄
③ 사출성형 ② 페놀수지
④ 블로우성형 ③ 에폭시수지
④ 멜라민수지

62. 폴리에틸렌분자 사슬 탄소에 하나씩 걸러 메틸기(CH3)가 붙은 구조이며, 비중이


가장 낮은 특징을 가지는 합성수지는? 67.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갖는 열경화성 수지로 내열성, 접착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는?
① 폴리프로필렌
② 폴리에틸렌 ① 폴리우레탄
③ 폴리스타이렌 ② 페놀수지
④ 폴리염화비닐 ③ 에폭시수지
④ 멜라민수지

63. 취성이 있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다른 중합체와 혼합하여 장난감, 68. 폴리에틸렌은 밀도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달라진다. 밀도가 0.941~0.965의 폴리에틸렌을
텔레비전 케이스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어떤 폴리에틸렌이라 하는가?

① 폴리프로필렌 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② 폴리에틸렌 ②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③ 폴리스타이렌 ③ 중저밀도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MLDPE)
④ 폴리염화비닐 ④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64. 대표적인 것이 나일론이며, 아미드결합(-CONH-)을 가지는 합성수지는? 69. 플라스틱의 성질을 정하는 것으로 금속이나 저분자량 유기물에 비하여, 고분자의
긴 사슬모양을 가짐으로써 수만에서 수십만까지의 큰 값을 나타내는 것은?
① 폴리프로필렌
② 폴리에틸렌 ① 분자량
③ 폴리아미드 ② 원자량
④ 폴리염화비닐 ③ 화학식량
④ 구조식량

65. 시중에 유통되는 플라스틱 음료수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페트병의 주원료는?


70. 플라스틱이란 고분자물질을 주원료로 해서 유용한 형상을 인공적으로 만든 ( )이다.
① 폴리프로필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② 폴리에틸렌
③ 폴리스타이렌 ① 고체 ② 액체
④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③ 기체 ④ 무기물
71. 가열하면 녹아서 점도 높은 액체로 되고 냉각하면 고체가 되는 플라스틱은? 76. 그림과 같은 플라스틱 성형가공 방법은?

① 열경화성수지 ① 압출성형
② 열가소성수지 ② 압축성형
③ 결정성고분자 ③ 사출성형
④ 비결정성고분자 ④ 공기 취입 성형

72. 플라스틱 성형가공 공정 중 중합체와 첨가제의 혼합, 혼련, 건조, 분쇄 등의 공정을


77. 가열로 화학반응이 일어나 한번 굳어진 후에는 다시 가열해도 부드러워지거나 녹지
포함하는 단계는?
않는 합성수지는?

① 전처리공정
① 폴리에틸렌
② 1차 성형가공
② 폴리프로필렌
③ 2차 성형가공
④ 후공정 ③ 폴리스티렌
④ 에폭시 수지

73. 합성고분자가 아닌 것은?


78. 열경화성 플라스틱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나일론
② 합성고무 ① 폐품을 활용할 수 있다.
③ 비닐 ② 아크릴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이 있다.
④ 종이 ③ 한번 열에 의해 굳으면 다시 열을 가해도 녹지 않는다.
④ 분자구조가 선 모양이다.

74. 플라스틱 제조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79. 플라스틱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석탄
② 금속
① 전기나 열을 잘 전달한다.
③ 석유
④ 천연가스 ② 유리나 금속에 비해 무겁다
③ 쉽게 착색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색깔을 낼 수 있다.
④ 모든 플라스틱은 빛을 잘 통과시키지 못한다.
75. 그림과 같은 플라스틱 성형 가공법은?

① 압출성형 80. 플라스틱 폐기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플라스틱의 종류는?
② 사출성형
③ 압축성형 ① 열가소성 수지
④ 블로잉성형 ② 비결정성 수지
③ 생분해성 수지
④ 열경화성 수지
81. 중요한 3대 산업용 소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86. 플라스틱 재료의 성형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금속 ① 압출성형
② 고무 ② 사출성형
③ 플라스틱 ③ 카렌다 성형
④ 세라믹 ④ 주물 성형

82. 플라스틱 압출 시, 고려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87. 열가소성 수지를 열롤에서 일정한 두께로 연속 압연하여 필름, 시트, 레자, 벽지,
바닥재 등을 만드는 성형 방법은?
① 압출기의 온도
② 압출기 스크류의 회전수 ① 진공 성형
③ 최종 제품의 형태 ② 중공 성형
④ 사출 금형 ③ 카렌다 성형
④ 압축 성형

83. 폴리에틸렌의 성형 온도에 해당하는 것은?


88. 다음 플라스틱 보조재료 중 플라스틱 가공 시, 수지의 흐름을 좋게 하고, 모양 내기
① 50 ~ 100 ℃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② 190 ~ 280 ℃
③ 100 ~ 150 ℃ ① 가소제
④ 온도와 무관하게 성형가능하다. ② 활제
③ 보강제
④ 난연제
84.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성형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녹은 플라스틱 재료를 담아 제품의
틀을 만들어 주는 것은?
89. 플라스틱 보조재료 중 플라스틱 제품이 불에 타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① 사출금형
② 실린더 ① 가소제
③ 스크루 ② 활제
④ 호퍼 ③ 보강제
④ 난연제

85. 압출기를 베이스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법이 아닌 것은?


90. 다음 플라스틱 보조재료 중 플라스틱 제품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① 인플레이션 압출
② T다이 압출 ① 가소제 ② 활제
③ 발포성형 압출 ③ 보강제 ④ 난연제
④ 금형을 이용한 성형
91. 플라스틱 보조재료 중 스티로폼 등의 거품 플라스틱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96. 고분자 재료가 인장 하중에 의해 파단할 때의 최대 응력을 말하는 것은?

① 가소제 ① 인장강도
② 압축강도
② 발포제
③ 굴곡강도
③ 보강제
④ 신률
④ 난연제

97. 아래와 같은 단량체를 가지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써 가볍고 유연하며,


92. 플라스틱 수지가 일반 유기물에 비하여 독특한 물성을 갖는 가장 주요한 이유는? 병, 포장재, 전기 절연체로 사용되는 것은?
① 폴리에틸렌
① 분자량 ② 폴리프로필렌
② 제조 방법 ③ 폴리염화비닐
④ 폴리스타이렌
③ 성형 방법
④ 첨가제

98. 다음과 같은 단량체를 가지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색을 내기 쉽고, 잘 마모


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인조 가죽, 레코드판, 포장재, 파이프, 바닥재 등에 사용
93. 고분자의 기본 골격을 구성하는 물질로, 고분자의 물성을 결정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 되는 것은?
아닌 것은?
① 폴리에틸렌
② 폴리프로필렌
① 모노머(monomer)
③ 폴리염화비닐
② 단량체 ④ 폴리스타이렌
③ 반복구조
④ 원자

99. 다음에서 설명하는 합성수지는?

94. 세계 최초의 플라스틱은?


“아미드결합(-CONH-)으로 연결된 중합체의 총칭이며, 디아민과 2가산의 축합 중합으로
만들 수 있으며, 스타킹의 대표적인 원료인 나일론이 여기에 속한다.”
① 셀롤로이드
② 페놀 ① 폴리에틸렌
③ 폴리에틸렌 ② 폴리프로필렌
④ 폴리프로필렌 ③ 폴리염화비닐
④ 폴리아미드

95. 고분자 재료가 인장 하중에 의해 파단될 때, 최대 늘어난 거리를 말하는 것은? 100. 열가소성 수지로 페트(PET)라고도 불리우며, 시중에 유통되는 플라스틱 음료수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합성수지는?
① 인장강도
② 압축강도 ① 폴리에틸렌
③ 굴곡강도 ②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③ 폴리염화비닐
④ 신율
④ 폴리스타이렌
101. 천연고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06. 말레이시아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기존의 기술 규격을 정정,
명명된 고무는?
① 현재 고무나무는 주로 남아메리카에서 재배된다.
② 고무나무의 줄기를 잘라 가열하면 천연고무가 생산된다. ① 우레탄고무 (urethane rubber)
③ 고분자 물질이다. ② 가황고무
④ 고무나무에서 생산한 고무는 가공 없이 공업적으로 이용한다. ③ 천연고무
④ 표준 말레이시아고무 (standard Malaysian rubber)

102. 생고무는 천연고무 등급품의 국제품질 포장 기준(international standards of quality


and packing for natural rubber grades)에 따라 몇 품종으로 나뉘는가?
107. 생고무를 염화고무로 만드는 데 꼭 필요한 가스는?

① 5 품종
② 8 품종 ① 산소(O2)
③ 10 품종 ② 이산화탄소(CO2)
④ 12 품종 ③ 질소(N2)
④ 염소가스(Cl2)

103. 리브드 스모크드 시이트(Ribbed Smoked Sheet, RSS)를 만들 때 원료 라텍스가 응고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넣는 응고방지제는? 108. 천연고무와 비교했을 때 스틸렌-부타디엔고무(styrene-butadine rubber)의 단점은?

① 암모니아(NH4OH) ① 품질이 균일하다.


② 염산(HCl) ② 가격이 싸다.
③ 질산(HNO3)
③ 열에 비교적 강하다
④ 가성소다(NaOH)
④ 탄성이 적다

104. 가공하기 좋은 생고무의 일종으로 가공 중에 변형이 적어서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109.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butadine rubber)의 장점은?
좋은 고무는?

① SP고무(superior processing rubber) ① 가공하기 어렵다.


② 에어 드라이브 시이트air dried sheet) ② 기름에 강하다.
③ 페일 크레이프(pale crepe) ③ 탄성이 나쁘다.
④ 리브드 스모크드 시이트(ribbed smoked sheet) ④ 접착성이 나쁘다.

105. 천연고무 생산량의 80%를 점유하며,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110. 네오프렌 고무(neoprene rubbe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① 탄성이 조금 약하다.


② 부타디엔고무(butadine rubber)
② 클로로프렌 고무라고도 한다.
③ 리브드 스모크드 시이트(ribbed smoked sheet)
③ 약품에 잘 견딘다.
④ 아크릴고무(acryl rubber)
④ 열에 비교적 약하다.
111. 부타디엔 고무(butadine rubber)가 주로 쓰이는 곳이 아닌 것은? 116. 고무제품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안경 ① 상온에서 힘을 가하면 늘어난다.


② 자동차타이어 ② 압축하면 반발한다.
③ 신발 ③ 힘을 가해 늘어난 고무는 힘을 제거하면 다시 줄어든다.
④ 골프공 ④ 금속만큼 고온에 잘 견딘다.

112. 고무에 들어가는 배합제 중 고무의 강도와 탄성 등을 강화하기 사용하는 것은? 117. 플루오르고무(fluoropropylene monomer)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파라핀 왁스(parattin wax) ① 불소고무라고도 한다.


② 충진제(filler) ② 바이톤고무(Viton rubber)라고도 한다.
③ 고무배합유 ③ 국방병기, 인공위성 등에 사용된다.
④ 노화방지제 ④ 가격이 싸다.

113.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18. 재생고무의 단점은?

① 전기를 잘 통한다. ① 탄성이 뒤떨어진다.


② 화학약품에 약하다. ② 기름에 잘 견딘다.
③ 열에 아주 약하다. ③ 가격이 싸다
④ 충격을 잘 흡수한다. ④ 원료 고무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

114.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의 성질이 아닌 것은? 119. 1840년 미국의 과학자가 천연고무에 이 물질을 넣어서 성질을 개량한 결과, 산업
에서 많이 쓰이게 되었다. 이 물질은 무엇인가?
① 기름에 잘 견딘다.
② 추위를 잘 견딘다. ① 황(S)
③ 햇빛을 쪼이면 색이 변한다. ② 염소(Cl)
④ 잡아 당기면 쉽게 끊어진다. ③ 탄소(C)
④ 산소(O)

115. 350℃까지 사용할 수 있는 내열고무 원료로써 특수한 용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무는? 120. 다음 합성고무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은?

①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① 네오프렌고무(neoprene rubber)


②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② 불소고무
③ 아크릴고무(acryl rubber) ③ EPR고무(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④ 하이파론고무(hypalon rubber) ④ SP고무(superior processing rubber)
121. 천연고무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위 물질은? 126. 고무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고무의 원료 배합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벤젠 ① 수요자의 요구
② 알코올 ② 작업자의 경력
③ 라텍스 ③ 산업용 용도
④ 이소프렌 ④ KS규격

122. 전체 합성고무 중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고무는? 127. 원료 고무에 다량의 약품을 골고루 혼합하기 위해 준비하는 작업공정은?

①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ne rubber)) ① 내림(mastication)


②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② 절단
③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③ 정리
④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 ④ 보관

123. 합성 고무는 어떤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하는가? 128. 혼련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가열 ① 원료의 불량을 검사하는 작업이다.


② 연소 ② 내림(mastication)된 고무에 배합약품을 균등하게 섞어서 분해시키는 작업이다.
③ 분해 ③ 각종 고무를 적당한 비율로 섞는 작업이다.
④ 중합 ④ 원료고무를 적당한 크기로 자르는 작업이다.

124. 고무와 유사한 천연물로 껌을 만드는 데 쓰이는 것은? 129. 천연고무의 배합 공정에서 가장 먼저 집어넣는 첨가제는?

① 발라타(balata) ① 가황 촉진제
② 사탕수수 ② 산화아연
③ 치클(chicle) ③ 연화제
④ 젤루통(jelutong) ④ 황

125. 고무의 재생방법 중 고무분말과 기름을 혼합하는 유법재생 공정에서 가장 먼저 130. 금형을 사용하여 산업용 고무를 생산할 때 가장 많이 생산되는 제품은?
하는 일은?
① 프레스 금형 고무제품
① 조쇄(cracking) ② 카렌다 가공 고무제품
② 세쇄(grinding) ③ 압출 성형 고무제품
③ 초벌혼합(rough refinding) ④ 발포성형 고무제품
④ 스트레이닝(straining)
131. 고무제품을 금형(mold)에서 쉽게 떼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는? 136. 고무의 물성 시험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이형제 ① 공정관리
② 산화제 ② 제품규격 평가
③ 착색제 ③ 연구개발
④ 난연제 ④ 재고처리

132. 고무제품을 가공할 때 첨가제로 난연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137. 고무의 물성 중 딱딱한 정도를 말하는 것은?

① 색깔을 내기 위해 ① 탄성(elastic)
② 불에 잘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해 ② 경도(hardness)
③ 기름에 잘 견디도록 하기 위해 ③ 박리(delamination)
④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④ 접착(adhesion)

133. 고무 스폰지를 제조할 때 기포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는? 138. 고무제품을 잡아당겨 찢어질 때의 인장강도, 신장률 및 인장응력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은?
①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② 충진제(filler) ① 접착시험
③ 발포제(blowig agent) ② 반발탄성시험
④ 카본블랙(carbon black) ③ 인장강도시험
④ 인열시험

134. 일반적인 고무 가공공정의 순서로 맞는 것은?


139. 고무제품이 추위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측정하는 시험은 ?
① 반죽공정 → 성형공정→ 가황공정
② 성형공정 → 가황공정→ 반죽공정 ① 내후 시험
③ 가황공정 → 반죽공정→ 성형공정 ② 내한 시험
④ 가황공정 → 성형공정→ 반죽공정 ③ 내수증기 시험
④ 내산 시험

135. 두 물체를 붙이기 위해 사용하는 고무 제품은?


140. 우리나라에서 고무제품의 각종 시험시 사용되는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규격은?
① 타이어
② V벨트 ① KS
③ 고무롤러 ② ISO
④ 접착제 ③ JIS
④ DIN
141. 가황고무를 가열했을 때 노화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은 ? 146. 가황고무의 물리적 성질 시험시 적당한 실험실 온도는?

① 내유 시험 ① 20℃ 이하
② 내알칼리 시험 ② 20℃ ~ 30℃
③ 오존 균열 시험 ③ 30℃ 이상
④ 노화시험 ④ 10℃ 이하

142. 고무와 섬유가 밀착된 제품의 밀착력을 측정하는 시험은? 147. 고무를 가공할 때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무배합약품은?

① 박리시험 ① 착색제 (coloring agent)


② 인열시험 ② 난연제 (flame retardant)
③ 내수시험 ③ 점착제 (takifies)
④ 바닷물시험 ④ 사브 (factice, rubber sustitude)

143. 가황고무의 내유성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기름은? 148. 고무의 경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시험편의 기본두께는?

① 벤젠 ① 4mm 이상
② 이소옥탄 ② 12mm 이상
③ 휘발유 ③ 16mm 이상
④ 경유 ④ 20mm 이상

144. 가황고무의 물성 시험 중 시료를 파괴하지 않는 시험은? 149. 고무를 늘였다가 줄일 때, 원래 길이보다 약간 늘어나는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신장영구늘음률을 측정한다. 측정 전에 표시한 선간의 길이가 50mm였고 측정 후
① 인장시험 표시한 선간의 길이가 100mm였다면 아 때의 신장영구늘음률은?
② 경도시험
③ 인열시험 ① 20 ② 50
④ 박리시험 ③ 100 ④ 150

145. 합성고무 중 내마모성과 인열강도가 가장 우수한 것은? 150. 1m2의 고무판에 2N의 힘이 작용하고 있을 때 고무판에 가해진 압력은 몇 파스칼(Pa)인가?

①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① 0.5


②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② 1
③ 아크릴고무(acryl rubber) ③ 1.5
④ 부타디엔고무(butadine rubber) ④ 2
156. 공기 중 산소에 의해 산화열화를 받아 제품 제조 혹은 사용시에 품질 저하를
151.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의 가공 용이 및 최종제품의 성능 개량 등을 위해 가공이나 일으키는 것을 억제,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산화방지제가 아닌 것은?
중합과정에서 첨가되는 화학물질로 플라스틱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특성을 살리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재료는? ① 페놀계
② 알콜계
① 플라스틱 활성제 ③ 아민계
② 플라스틱 보조제 ④ 유황계
③ 플라스틱 첨가제
④ 플라스틱 산화제
157. 플라스틱 첨가제는 보조재료로 첨가되므로 용도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해당하지 않는 것은?
152. 플라스틱 첨가제가 아닌 것은?

① 수지가공을 위한 가공첨가제
① 가소제
② 성형 압축을 위한 압축가공제
② 열안정제
③ 공기, 열, 빛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최소화하는 안정제
③ 적외선안정제
④ 최종 제품 성형시 들어가는 성능첨가제
④ 자외선안정제

153. 플라스틱 첨가제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58. 플라스틱 충진제는 다른 첨가제에 비해 대량으로 배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많을
경우는 어느 정도의 배합 비율을 사용하는가?
① 플라스틱의 품질 개량
② 성형품의 가공성 ① 70~80%
③ 장기적 안정성 유지 ② 60~50%
④ 플라스틱의 환경안전 ③ 50~40%
④ 40~30%

154. 플라스틱의 혼합 및 제조 등의 조작은 고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첨가제의


보호 없이는 심하게 분해된다. 이에 제품의 사용기간 중 수지의 물리적, 화학적 159.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착색제와 배합에 의해 착색되는데,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성질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화합물은? 착색제는?

① 플라스틱 열안정제 ① 물감과 안료


② 플라스틱 혼합제 ② 염료와 도료
③ 플라스틱 산화방지제 ③ 안료와 염료
④ 플라스틱 충격보강제 ④ 안료와 색소료

155. 플라스틱 제품 본래의 분열, 인장, 압축, 휨, 충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플라스틱에 160. 플라스틱 성형품에 기능과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2종 이상의 소재를 혼합하는
첨가하는 섬유상 불용성 물질로써 치수안정성과 열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
공정으로써 최적의 배합과 공정설계를 통한 사전, 사후작업을 하는 것은?
시키는 이 첨가제는?

① 압출성형
① 플라스틱 열안정제
② 코팅성형
② 플라스틱 자외선안정제
③ 컴파운딩
③ 플라스틱 산화방지제
④ 중공 진공 성형
④ 플라스틱 충격보강제
161. 다음 중 플라스틱 원료 고분자의 특성 물성 평가를 위해서 인장강도, 압축강도, 166. 플라스틱 제품의 물성 평가 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굴곡강도, 신율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는?
① 플라스틱 전기적 특성시험
① 전자현미경 ② 플라스틱 환경적 특성시험
② 3차원측정기 ③ 플라스틱 열적 특성시험
③ 만능재료시험기 ④ 플라스틱 기계적 특성시험
④ 광학현미경

167. 플라스틱 고분자 열적 물성의 적용 활용 방법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62. 플라스틱 원료 고분자의 기계적 물성 평가를 위해서 충격시험기를 사용한다. 이 장비를
가지고 파악할 수 없는 것은? ① 열적 물성 적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전자현미경을 활용 할 수 있다.
② 유리전이온도, 용융온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사시차열량계를 활용 할 수 있다.
③ 난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UL-94, OI 시험기를 활용 할 수 있다.
① 충격강도
④ 열분해온도와 잔존무기물 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중량 분석기를 활용 할 수 있다.
② 아이죠드
③ 접착
④ 굴곡강도
168.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인 MC계열 나일론(NYLON)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고분자량과 결정화도가 낮다
163. 플라스틱의 고분자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② 금속보다 긴 수명을 갖고 있다
③ 놀라운 충격 흡수성을 갖고 있다.
① 내안성 ② 내열성
④ 탁월한 유연성을 갖고 있다.
③ 내구성 ④ 내한성

169. 플라스틱 제조시 사용되는 원료 중에 고온에서의 내구성이 가장 좋은 물질은?


164. 플라스틱 제품 물성의 물리적 평가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고밀도 폴리에틴렐 HDPE
① 유동성시험 ② 나일론 MC-901
② 수축성시험 ③ 탄소섬유강화 PEEK
③ 화합성시험 ④ 경질염화비닐 PVC-6
④ 비중시험

170. 플라스틱 제조에 사용되는 MC계열 나일론(Nylon) 중 인장강도(잡아 당기는 힘) 물성평가


165. 플라스틱 코팅 재료 물성을 평가하기 위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시험에서 가장 강도가 좋은 원료는?

① 플라스틱 제품의 수학적 물성에 관련된 이론을 파악하여 측정된 물성을 평가 할 수 있다. ① 나일론 MC-901
② 플라스틱 제품의 기계적 물성 종류를 파악하여 필요한 물성을 선택할 수 있다. ② 나일론 MC-801
③ 플라스틱 제품의 건조 및 열적 경화거동 특성을 파악하여 관련된 물성을 평가 할 수 있다. ③ 나이론 MC-907
④ 플라스틱 점탄성적인 유변학 특성을 파악하여 액상 코팅작업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다. ④ 나이론 MC-701SL
171. 다음 중에 플라스틱 컴파운딩 물성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76. 산업현장의 플라스틱제품 제조시설 분야 업무는 크게 4가지로 (ㄱ), 중공·진공성형,
(ㄴ), 압·사출성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ㄱ), (ㄴ)에 들어갈 것은?
①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평가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② 선정된 평가항목과 시험방법에 상관없이 검사 기준서를 작성할 수 있다. ① 팅성형, 도출형
③ 생산된 컴파운딩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시험 성적서를 작성하고 조치할 ② 입사형, 컴파운딩
③ 코팅성형, 컴파운팅
수 있다.
④ 입사형, 도출형
④ 평가항목에 따라 시험기기와 시험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177. 플라스틱 물질을 얻기 위해 플라스틱제품 제조 생산기를 이용해서 화합물을


172. 플라스틱 제품의 물성평가 시험방법 중 전기적 특성 시험이 아닌 것은? 혼합 ․ 합성하여 플라스틱 구성부품 및 제품 제조기기를 조작하는 직업은?

① 저항율 시험 ① 플라스틱제품 생산기 운영원


② 유전율 시험 ② 플라스틱제품 생산기 조작원
③ 수축율 시험 ③ 플라스틱제품 생산기 제조원
④ 내아크성 시험 ④ 플라스틱제품 생산기 감상원

173. UL746B RTI(Relative Temperature Index)는 플라스틱의 장기내열 온도를 평가하는 178. 플라스틱 제조시설 중에 원재료인 플라스틱을 제조시설 장비로 용융, 가압하여
방법이다. 플라스틱 제품에 “RTI가 UL Card에 150”라는 설명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높은 압력을 발생시킨 다음 일정 형상을 가진 압출다이(Die)를 통해 연속적으로
토출시켜 성형품을 제조하는 과정은?

① 제품을 150ºC의 온도에서 연속 6만시간 사용후, 강도를 측정하면 최소 50%의 초기 물성을 유지한다.
① 제본성형
② 제품을 150ºC의 온도에서 연속 6만시간 사용후, 강도를 측정하면 최소 60%의 초기 물성을 유지한다.
② 사출성형
③ 제품을 150ºC의 온도에서 연속 6만시간 사용후, 강도를 측정하면 최소 70%의 초기 물성을 유지한다.
③ 가공성형
④ 제품을 150ºC의 온도에서 연속 6만시간 사용후, 강도를 측정하면 최소 80%의 초기 물성을 유지한다. ④ 압출성형

174. 다음은 플라스틱 제품의 물성평가 시험방법 중 물리적 특성 시험식이다. (ㄱ)에 179. 플라스틱 제조시설 중에 열경화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성형품에 대한 사출 성형
알맞은 것은? 해석으로 틀린 것은?
( ㄱ ) = 침적 후 무게-표준무게/표준무게×100
① 성형반응해석
① 화합율 ② 유동
② 흡수율 ③ 경화반응해석
③ 이동율 ④ 휨해석
④ 수축율

180. 시험성형품의 성능 평가를 위해 사용할 원재료를 건조하고, 금형을 사출기에 장착


175. 플라스틱 시제품 물성을 평가하기 위한 설명이 아닌 것은? 하며, 주변 설비를 설치하여 최적의 성형조건을 설정하는 작업과정은?

① 성형사출
① 제품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편을 제작할 수 있다.
② 시험사출
② 제작된 시편에 대하여 시편을 전처리 할 수 있다.
③ 압축사출
③ 준비되지 않는 시편으로도 기계적, 열적, 전기적 물성을 시험 할 수 있다.
④ 설비사출
④ 시험결과를 근거로 물성 보고서를 작성 할 수 있다.
181. 플라스틱 성형품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하여 작업 표준서에 따라 주변설비를 설치하고 186. 플라스틱 제조 설비인 중공·진공 성형 중에 필요한 안전 작업 사항을 파악하여
외관품질, 주변설비, 성형조건을 관리하여 성형품을 생산하는 과정은? 작업자에게 전달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① 압축성형생산 ① 원료의 해체
② 사출성형생산 ② 금형의 이동
③ 가압성형생산 ③ 금형의 설치
④ 도형성형생산 ④ 원료의 이송

182. 플라스틱 제조 과정 순서를 맞게 설명한 것은? 187. 다음 중에 플라스틱 제품 제조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직무는?

① 압 ․ 사출성형 – 코팅성형 – 중공 ․ 진공성형 – 컴파운팅


① 사출금형
② 코팅성형 – 중공 ․ 진공성형 – 컴파운팅 – 압 ․ 사출성형
② 금형제작
③ 중공 ․ 진공성형 – 컴파운팅 – 압 ․ 사출성형 – 코팅성형
③ 위험물 관리
④ 컴파운팅 – 압 ․ 사출성형 – 코팅성형 – 중공 ․ 진공성형
④ 건축관리

183. 플라스틱 중공·진공성형 제조 설비를 이용한 성형품 설계업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88. 플라스틱 제품 생산의 조건 최적화를 위한 컴파운딩 조건 선정에 맞지 않는 것은?

① 성형품 형상 파악하기
① 컴파운딩 방법 선정 ② 앞 공정 선정
② 성형품 모델링하기
③ 혼합기 최적화 ④ 성형 압축 선정
③ 성형품 형상 설계하기
④ 성형품 설비 조정하기

189. 플라스틱 제조 과정 중에 컴파운딩 불량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으로 맞지


184. 플라스틱 제조 시설물 중 압출사출형기의 사출성형 제반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않는 것은?

① 금형온도 ① 불량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분류된 부적합품의 불량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② 냉각시간 ② 컴파운딩 제품의 불량 내용을 조사하지 않고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③ 실린더온도 ③ 수립된 불량대책을 사양서와 작업지시서를 비교하여 반영할 수 있다.
④ 형개폐 시간 ④ 불량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분류된 부적합품의 불량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185. 플라스틱 제조 과정 중 중공·진공성형기를 이용하여 고객이 요구한 성형품 형상에 190. 플라스틱 컴파운딩 제품 생산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따라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컴파운딩 제품 검사결과와 상관없이 생산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① 표면가공 ② 요구되는 컴파운딩 제품 생산을 위하여 압출기 내부를 퍼징할 수 있다.
② 치수 ③ 초기생산을 통해 컴파운딩 제품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③ 도장 ④ 최적의 생산조건으로 컴파운딩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④ 절단가동
191. 플라스틱 컴파운딩 방법을 선정하는 것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96. 플라스틱 제조과정 중 플라스틱 성형품에 심미성과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하는
코팅성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선정된 재료에 따라 혼합 방법을 결정할 수 없다.
② 컴파운딩 제품의 종류에 따라 공정을 설계할 수 없다. ① 코팅공정
③ 필요하지 않는 생산량에 따라 혼합기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② 품질관리
④ 원활한 제품 생산을 위하여 세부 공정도를 작성할 수 있다. ③ 코팅설계
④ 생산작업

192. 플라스틱 중공·진공성형의 제조 설비 유지보수 매뉴얼에 따라 성형기의 성능을


점검 ․ 유지 보수하는 능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97. 플라스틱 중공 진공 성형의 성형품 제조를 위하여 하는 직무가 아닌 것은?

① 절단가공
① 중공·진공성형기
② 성형품 설계
② 주변설비
③ 성형
③ 가공설비
④ 품질관리
④ 부대설비

198. 플라스틱 제조 중공·진공성형기 시험 생산 원부재료 준비하는 진단 과정이 아닌 것은?


193. 플라스틱 중공·진공성형 제조 설비 중에 주변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눈으로 직접 시험생산에 사용할 원부재료의 수분 상태를 확인한다.


① 호퍼드라이어
② 시험생산에 사용할 원재료의 건조여부를 파악하여 건조할 수 있다.
② 금형온도조절기
③ 시험생산에 사용할 원부재료를 확인하고 마스터배치, 첨가제 등의 필요한 양을 준비한다.
③ 온도계 ④ 수분측정기를 사용하여 시험생산에 사용할 원재료의 수분 상태를 확인한다.
④ 분쇄기

199. 플라스틱 제조 업무 중 컴파운딩 분야의 세세분류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94. 플라스틱 제조 설비에서 중공·진공성형기와 관련한 준비 작업이 아닌 것은?
① 플라스틱 필름
① 중공·진공 성형품 생산을 위하여 온도 설정과 냉각수 흐름을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② 플라스틱 커버
② 생산을 위하여 원재료의 상태를 확인하고 건조 할 수 있다. ③ 플라스틱 시트
③ 작업표준에 의해 중공·진공 성형품 혼합비율대로 색상을 배합해야 한다. ④ 플라스틱 판
④ 중공 성형품 생산을 위하여 금형과 원재료 압출에 따라 다이 규격을 준비한다.

200. 플라스틱 제품 제조 관련 사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95.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기 전에 시험사출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기계장비 조립용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① 원재료 건조하기 ② 1차 플라스틱 제품제조업
② 금형 장착하기, ③ 건축용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③ 주변설비 설치하기 ④ 플라스틱 가축성형품 제조업
④ 압축 성형하기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종이 목재)

1. 산업재해에서 생산설비 등으로부터 2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재해로 맞지 않은 것은?

① 충돌
② 소음
③ 유해가스
④ 먼지

2. 작업장은 인위적인 환경이므로 생산 시설 장치 등으로부터 유해가스, 증기, 분진 등이


새어나와서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음 중 유해물질이 허용치 이하가 되게 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환기 위주의 국소배기방식
② 농도치의 기준치 상향방식
③ 공기를 불어넣는 송기방식
④ 먼지를 잡기위한 집진방식

3. 작업장 통행과 운반에 관한 안전사항이다. 다음 중 알맞지 않은 것은?

① 통로는 질서 정연하게 설치한다.


② 통로 안에서는 물건을 놓거나 작업을 하지 않는다.
③ 통로의 교차는 좌우의 전망이 나쁜 곳에 설치한다.
④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앞이 보이지 않도록 높이 쌓지 않는다.

4. 다음은 취급운반 재해의 원인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작업장 바닥이나 디딤 바닥이 불량하다.


② 정리 정돈이 불충분하다.
③ 적절하지 않은 도구나 기구를 사용한다.
④ 취급하는 물질의 위험성, 유행성에 대한 지식이 충분했다.

5. 근로자가 업무 수행 중 그 업무로 말미암아 부상, 또는 질병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산업재해 ② 산업사고
③ 산업사망 ④ 산업상해
6. 다음은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나열한 것이다. 맞는 것은?

① 근로자에게는 작업에 대한 불안을 제거해 주는 것이다.


② 안전관리는 생산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만을 보호하는 것으로 한정되어있다.
③ 기업가에게는 생산 능률의 저해 내지는 재산의 피해를 제거해주는 것이다.
④ 안전관리의 중요성은 선진국은 물론 각 국의 산업분야에도 더욱 강조되고 있다.

7. 다음 산업재해의 원인 중 직접적인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불완전한 동력 설비 및 시공기계설비
② 불완전한 채광 및 조명설비
③ 공사 급 진행에 의한 작업강행
④ 작업장의 정비 불 충분

8. 다음 중 목재의 결이 아닌 것은?

① 엇결면
② 곧은결면
③ 마구리면
④ 무늬결면

9. 다음 중 목재의 흠 중에서 갈라짐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목구할
② 옹이
③ 윤상할
④ 수심할

10. 목재의 흠 중에서 옹이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산옹이
② 죽은옹이
③ 썩정이
④ 숨은 옹이
11. 목재의 광택은 광선이 반사할 때 얻어지는 시각적 감각을 의미하는데 광택도가 가장
큰 반사는 어느 것인가?

① 절대반사
② 선택반사
③ 난반사
④ 정반사

12. 다음 보기에서 침엽수의 구조가 아닌 것은?

① 목섬유
② 가도관(헛물관)
③ 목부 유세포
④ 수지구

13. 다음 중 목재의 주 성분중 화학적 주성분이 아닌 것은?

① 셀룰로오스(cellulose)
② 송진(pine resin)
③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④ 리그닌(lignin)

14. 수목을 벌채하여 생재를 대기 중에 두었을 때 중량의 감소 후 수축이 일어나게 되는데


수축이 일어나게 되는 함수율 상태를 일컫는 말은?

① 섬유 한계점
② 섬유 팽창점
③ 섬유 포화점
④ 섬유 수축점

15. 다음 중 수축 팽창률의 방향성에 대한 비율이 맞는 것은?

① 원둘레방향(무늬결방향) 20 : 반지름방향(곧은결방향) 1 : 섬유방향 10


② 원둘레방향(무늬결방향) 1 : 반지름방향(곧은결방향) 10 : 섬유방향 20
③ 원둘레방향(무늬결방향) 10 : 반지름방향(곧은결방향) 20 : 섬유방향 1
④ 원둘레방향(무늬결방향) 20 : 반지름방향(곧은결방향) 10 : 섬유방향 1
16. 목재를 잡아끄는 힘이 작용하면 그 물체내의 응집력에 의하며 저항하게 되는 강도는?

① 인장강도
② 전단강도
③ 압축강도
④ 휨강도

17. 다음은 목재의 옹이와 강도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압축강도는 옹이가 많을수록 감소한다.


② 죽은옹이보다 산옹이의 감소율이 크다.
③ 인장강도는 옹이가 많을수록 감소한다.
④ 옹이의 면적이 클수록 감소한다.

18. 다음 보기 중 목재의 재적단위 재(才)를 구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

① 1인치×1인치×12피트, 12인치×12인치×1인치
② 1자×1자×10자(10입방자) 단위는 모두 자로 환산
③ 단면적(1치×1치)×12자 = 단면은 치, 길이는 자
④ 단면적(가로×세로) 단위는 모두 M로 환산

19. 단변이 3치, 장변이 2자, 길이가 6자인 경우 목재의 재적은 얼마인가?

① 42(재, 才)
② 40(재, 才)
③ 36(재, 才)
④ 30(재, 才)

20. 다음중 목재의 제재방법 또는 제재법이 아닌 것은?

① 평할제재
② 단판제재
③ 캔트제재
④ 돌림제재
21. 다음은 띠톱제재기의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① 지름이 같은 상부 거차와 하부 거차가 있다.


② 거차의 위치에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 종형(또는 입형)이 있다.
③ 거차의 지름은 띠톱 기계의 두께(깊이)를 나타낸다.
④ 거차의 위치에 따라 수평으로 배치된 횡형(또는 수평형)이 있다.

22. 제재기계는 목재를 켜는데 사용하는 기계의 종류를 모두 말하는 것이다. 제재기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띠톱기계
② 둥근톱기계
③ 갱톱기계
④ 실톱기계

23. 다음은 제재나 제재품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는 것은?

① 원목이나 조각재 등을 의미한다.


② 원목에서 판재나 각재 등의 제재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③ 원칙적으로 럼버는 두께가 5인치 이하의 제재목을 의미한다.
④ 원칙적으로 팀버는 두께가 5인치 이상의 제재목을 의미한다.

24. 다음은 제재에 대한 용어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제재능률 : 제재시간당 제재량, 면적 또는 재적으로 나타낸다.


② 제재등급 : 제재목의 크기, 수종 등을 등급으로 구분한다.
③ 제재수율 : 제재 생산에 있어서 투입재료에 대한 제재목의 수율
④ 제재용 원목 : 제재목 생산에 적당한 크기와 질은 갖는 원목

25. 곧은결 제재목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맞는 것은?

① 널결제재목을 말한다.
② 수심을 벗어나서 제재한 제품을 말한다.
③ 연륜에 직각방향 방사단면 제재법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④ 변재에 가까운 널결제재목을 말한다.
26. 다음 중 널결 제재법, 제재목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재면이 접선단면을 가진 제재목


② 원목을 연륜의 접선단면으로 제재하는 방법
③ 널결 제재법에 의해 생산된 제재목
④ 재면이 방사단면을 가진 제재목

27. 다음 중 목재 건조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강도 감소
② 접착성 증대
③ 중량감소
④ 수축 변형방지

28. 다음 중 건조에 의한 손상이 아닌 것은?

① 내부균열(갈라짐)
② 세포이상으로 옹이생성
③ 마구리면 균열
④ 골형의 요철현상

29. 목재의 건조속도를 지배하는 원인 중 맞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비중이 크고 두께가 두꺼우면 건조시간이 오래 걸린다.


② 기온이 높을수록 건조속도는 증가한다.
③ 공기 중 관계습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증가한다.
④ 일반적으로 풍속이 빠를수록 건조속도가 증가한다.

30. 다음 중 목재의 건조전 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수침법
② 자비법
③ 증기법
④ 살균법
31. 다음은 자연건조의 장점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건조소요 시간이 많이 걸린다.


② 일시에 많은 목재를 건조할 수 있다.
③ 열에너지가 절약된다.
④ 시설과 작업비용이 적게 든다.

32. 다음은 자연건조의 단점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기건 함수율 이하로 건조할 수 없다.


② 특수한 건조기술이 덜 요구된다.
③ 자연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④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

33. 목재의 자연건조장의 입지조건으로서 맞지 않은 것은?

① 통풍이 잘되고 햇볕이 잘 드는 장소


② 배수가 잘 되는 장소
③ 완만한 경사지 또는 급경사지
④ 화재의 위험이 없는 장소

34. 다음 중 목재의 인공건조 장치로 맞지 않은 것은?

① 가열장치
② 조습장치
③ 순환장치
④ 증기장치

35. 다음은 목재 인공건조법의 종류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온돌건조
② 증기건조
③ 고주파건조
④ 전열건조
36. 다음 중 목재 부패의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온도
② 약품
③ 습도
④ 공기

37. 다음 보기에서 부패균에 의한 목재의 화학적 변화가 아닌 것은?

① 붉은색부패
② 백색부패
③ 갈라짐
④ 청색부패

38. 목재 보존을 위한 방부제 선택을 위한 주의사항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목재 속으로 잘 침투되고 그 효과가 영구적일 것.


② 접속되는 금속류를 부식 시키지 않을 것.
③ 목재의 강도, 색깔을 손상시키지 않을 것.
④ 사람이나 짐승에 해가없고 가격이 비싸고 구하기 어려울 것.

39. 다음 목재의 방부제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유기용 방부제
② 크레오소트유(Creosote oil)
③ 펜타클로로페놀(Penta chloro phenol)
④ 황산구리

40. 다음 중에서 목재의 방부제 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도포법
② 밀폐법
③ 침지법
④ 압입법
41. 목재의 방부제 처리 방법 중 목재를 밀폐된 가마 안에 넣고 방부제를 주입하는 방법은?

① 도포법
② 침지법
③ 압입법
④ 밀폐법

42. 목재에 침투하여 화기에 안전하고 마무리 도장이 가능하나 응축하기 쉬운 결점이 있는
방부제는가?

① 유기용 방부제
② 크레오소트유(Creosote oil)
③ 펜타클로로페놀(Penta chloro phenol)
④ 수용성 방부제

43. 접착제에 따른 합판의 종류이다. 그 연결이 맞지 않은 것은?

① 3류합판(비내수성합판) -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


② 1류합판(완전내수성합판) - 레조르시놀수지(Resorcinol resin)
③ 2류합판(보통내수성합판) - 요소수지접착제
④ 3류합판(비내수성합판) - 카제인수지(Casein resin)

44. 합판 제조 시 단판을 생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로우터리 베니어(Rotary Veneer)


② 라운드 베니어(Round Veneer)
③ 슬라이스드 베니어(Sliced Veneer)
④ 소오드베니어(Sawed Veneer)

45. 합판 제조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① 단판을 1장마다 섬유방향과 직교되게 붙인다.


② 최소 3매의 단판으로 홀수 겹으로 접착한다.
③ 단판을 1장마다 섬유방향과 직교되게 짝수 겹으로 붙인다.
④ 1장의 얇은 판을 단판이라 한다.
46. 합판의 심재료에 의한 분류가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럼버코어(Lumber core) 합판
② 허니코어(Honey core) 합판
③ 보드류코어(Board core) 합판
④ 화장합판

47. 목재의 작은 조각에 결합제를 더하여 성형열압한 판 모양의 제품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파아티클 보오드(Particle board)


② 럼버 코어(Lumber core)
③ 허니 코어(Honey core)
④ 보드류 코어(Board core)

48. 각종 식물성 섬유를 펄프화 하여 접착제, 중량제를 첨가하여 열압성형한 판 형태의


재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파아티클 보오드(Particle board)


② 섬유판(Fiber board)
③ 집성재(Glue-Laminated Timber)
④ 럼버코어(Lumber core)

49. 집성목을 적층하는 이음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결 이음
② 맞댄이음
③ 메뚜기장이음
④ 엇걸이이음

50. 다음 중 집성목의 장점 중 맞지 않은 것은?

① 균등한 대단면을 가진 장척재를 만들 수 있다.


②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으로 성형할 수 있다.
③ 건조된 목재를 사용함으로 집성 시 건조가 빠르고 보전처리에 의한 내구성을 증진할 수 있다.
④ 나뭇결을 맞추어 접착을 해야 한다.
51. 화선부가 볼록하게 나와 있어 잉크가 이곳에만 묻게 되고, 여기에 종이를 놓고 압력을
가하여 인쇄하는 방식은?

① 볼록판인쇄
② 평판인쇄
③ 오목판인쇄
④ 스크린인쇄

52. 화선부와 비화선부가 같은 평면 위에 있고, 물과 기름의 반발 작용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방식은?

① 볼록판인쇄
② 평판인쇄
③ 오목판인쇄
④ 스크린인쇄

53. 판면의 화선부가 오목하게 패여 있어, 그 곳에 채워진 잉크가 피인쇄체로 옮겨져


인쇄가 되는 방식은?

① 볼록판인쇄
② 평판인쇄
③ 오목판인쇄
④ 스크린인쇄

54. 잉크가 화선부를 통과하여 피인쇄체에 묻게 하고, 비화선부는 통과하지 않도록 하여


인쇄하는 방식은?

① 볼록판인쇄
② 평판인쇄
③ 오목판인쇄
④ 스크린인쇄

55. 판반 위에 인쇄판을 올려놓고 고정시킨 다음, 피인쇄체를 판 위에 놓은 후, 압반으로


압력을 가하여 인쇄하는 인쇄기는?

① 평압식인쇄기
② 원압식인쇄기
③ 윤전식인쇄기
④ 디지털인쇄기
56. 판반에 판을 걸고 실린더로 되어 있는 압통 밑을 통과시켜 피인쇄체에 인쇄하는 인쇄기는?

① 평압식인쇄기
② 원압식인쇄기
③ 윤전식인쇄기
④ 디지털인쇄기

57. 판통과 압통이 전부 실린더로 되어 있으며, 판통에 인쇄판을 붙이고, 판통과 압통


사이로 낱장 종이나 두루마리 종이를 통과시켜 인쇄하는 인쇄기는?

① 평압식인쇄기
② 원압식인쇄기
③ 윤전식인쇄기
④ 디지털인쇄기

58. 속장과 표지를 따로 가공하여 제책하는 방식으로, 실로 멘 속장을 다듬 재단한 다음,


표지를 싸서 만드는 제책 방식은?

① 양장제책
② 반양장제책
③ 호부장제책
④ 중철제책

59. 속장을 먼저 철사로 꿰매고, 등에 풀칠을 하여 눌러 말린 다음, 표지를 씌우고 표지와


속장을 함께 다듬어 재단하는 제책방식은?

① 양장제책
② 반양장제책
③ 호부장제책
④ 무선철제책

60. 책의 속장을 실이나 철사로 매지 않고 등부분을 강력한 접착제로 강압 접착하여


굳히고, 표지를 싼 다음, 속장과 표지를 함께 다듬어 제책하는 방식은?

① 양장제책
② 반양장제책
③ 중철제책
④ 무선철제책
61. 책이나 잡지의 양장제책 공정에서 한책분의 페이지가 이어지도록 한 묶음씩 합치는
공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나눔 절단
② 접기
③ 쪽 맞추기
④ 고르기

62. 다음 중에서 인쇄물의 표면 가공을 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인쇄지면의 광택내기
② 잉크퇴색의 방지
③ 인쇄면이나 지면의 강도를 작게 한다.
④ 약품에 견디는 힘을 크게 한다.

63. 종이컵, 쥬스컵, 식료품의 포장 가공에 많이 이용되는 표면가공 방법은?

① 광택니스칠
② 왁스칠
③ 비닐필름입히기
④ 셀룰로이드입히기

64. 접는 상자를 만들 때, 종이를 접은 후 바탕에 풀을 칠해서 필요한 모양으로 만드는


기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제함기
② 초지기
③ 제판기
④ 확대기

65. 인쇄물을 한층 아름답게 하는 방법으로 표지 또는 표지의 등에 금글자나 은글자를


넣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원형내기
② 풀칠하기
③ 비닐필름입히기
④ 눌러박기
66. 다음 중에서 빛의 3원색이 아닌 것은?

① B(blue)
② G(green)
③ R(red)
④ Bk(black)

67. 인쇄잉크인 Y(yellow), M(magenta), C(cyan) 3색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면 어떤 색이 되는가?

① 청색
② 주황색
③ 흰색
④ 검정색

68. 명도나 채도에 관계없이 어떤 색이 빨강, 주황 또는 파랑색에 가까운지 등으로 구별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색상
② 농도
③ 감광도
④ 색입체

69. 색의 선명도 즉 색채의 강하고 약한 정도를 말하는 것은?

① 명도
② 채도
③ 색상
④ 색입체

70. 표면색의 3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를 감각적으로 등간격의 척도로 배열한 표색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먼셀표색계
② CIE표색계
③ 흑백표색계
④ 컬러표색계
71. 다음 중에서 인쇄잉크의 주요 성분이 아닌 것은?

① 색료
② 비이클
③ 보조제
④ 세정액

72. 다음 중에서 인쇄 잉크의 주요 성분인 비이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기름
② 수지
③ 용제
④ 왁스

73. 인쇄잉크의 주요 성분인 보조제 중에서, 젤리나 버터 상태와 같은 형태로 점착성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① 콤파운드
② 리듀서
③ 정착제
④ 현상제

74. 오프셋인쇄기에서 필수적인 3통이 아닌 것은?

① 판통
② 고무통
③ 압통
④ 습수통

75. 오프셋인쇄기에서 잉크가 전이되는 순서가 맞는 것은?

① 판 → 블랭킷 → 종이
② 판 → 종이 → 블랭킷
③ 블랭킷 → 판 → 종이
④ 블랭킷 → 종이 → 판
76. 다음 중 스크린인쇄에서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인쇄판
② 스퀴지
③ 잉크
④ 조각기

77.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크린인쇄의 제판법인 직접법의 일부 공정 중


순서가 맞는 것은?

① 감광액도포 → 감광액건조 → 빛쬠
② 감광액도포 → 빛쬠 → 감광액건조
③ 감광액건조 → 감광액도포 → 빛쬠
④ 감광액건조 → 빛쬠 → 감광액도포

78. 다음 중에서 평면스크린인쇄기가 아닌 것은?

① 수동진공스크린인쇄기
② 반자동스크린인쇄기
③ 전자동스크린인쇄기
④ 곡면스크린인쇄기

79. 광택이 있는 용지로서 볼록판의 사진판이나 평판인쇄에 사용하는 종이이며, 원지는


화학펄프를 주로 사용하는 인쇄용지는?

① 아트지
② 갱지
③ 골판지
④ 글라신지

80. 주로 지폐, 유가증권과 같은 정밀도가 높은 고품질의 인쇄 제품에 이용되는 제판재료는?

① 조각오목판
② PS판
③ 스크린판
④ 볼록판
81. 다음 재해원인 요소 중 자연재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강풍에 의한 피해
② 폭우에 의한 홍수
③ 지진에 의한 피해
④ 산업재해에 의한 피해

82. ‘안전제일’이라는 표어를 처음 제창한 사람은?

① 미국, 게리
② 영국, 처칠
③ 한국, 박정희
④ 프랑스, 드골

83. 각 산업체에서는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점검이 필요하다. 다음 중


안전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일상 점검
② 정기 점검
③ 작업중 점검
④ 수시 점검

84. 둥근톱기계를 사용할시 톱날높이를 가공되는 부재의 높이보다 얼마를 높게 조정


하여야 하는가?

① 3mm
② 10mm
③ 20mm
④ 30mm

85. 손밀이 대패기계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소매가 긴 옷은 걷어 올린다.
② 앞 정반을 너무 많이 내려 무리하게 깍지 않는다.
③ 목재에 상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목장갑을 착용하여 사용한다.
④ 300mm 이하의 짧은 부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86. 장부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가공물을 정반면과 기준자 사이에 밀착되도록 수평바이스와 수직바이스로 단단히 고정한다.


② 송재할 때는 빨리 밀고 당길 때는 절삭면이 그대로 나오므로 천천히 당긴다.
③ 장부를 만들고 잘릴 부분이 크면 잘라내고 해야 한다.
④ 장부 크기를 맞출 때는 전원을 끄고 완전히 멈춘 후에 조정한다.

87. 가구를 제조하려면 수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수공구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구의 성능을 충분히 익혀야 한다.


② 날이 있는 공구는 날이 너무 예리하면 날에 베일 수 있다.
③ 공구의 맞는 사용법을 충분히 익혀야 한다.
④ 공구가 작업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한다

88. 수공구 사용상 유의 사항이 아닌 것은 ?

① 결함이 있는 공구는 절대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본래의 용도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사용 후에는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 갖다 두어야 한다.
④ 사용 중인 공구라 하더라도 흩어지지 않도록 정리 상자에 넣어 시건하여야 한다.

89. 다음은 톱 사용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설명은?

① 톱니의 용도에 맞는 작업을 한다.


② 멀리 있는 가공재료는 톱날로 끌어 당겨 작업한다.
③ 사용 후에는 톱니가 다른 쇠붙이 공구에 닿지 않도록 보관한다.
④ 가공물은 단단히 고정한 후 톱질 한다.

90. 가구설계제도에서 디자인 요소가 아닌 것은?

① 형태와 구조
② 희귀성과 신속성
③ 재료와 가공
④ 기능과 미
91. 우리나라의 건축제도 통칙에 속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KS A 0005
② KS B 0001
③ KS F 1501
④ KS G 1011

92. 가구의 표시법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스케치(sketch)
② 랜더링(rendering)
③ 모형의 제작
④ 가구의 재료

93. 제도에서 선의 종류와 용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① 일점쇄선 - 물체의 중심이나 대칭축을 나타내는 선


② 이점쇄선 - 물체의 절단한 부분을 나타내는 선
③ 실선 - 물체가 보이지 않는 부분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
④ 파선 - 물체가 보이는 부분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

94. 제도에서 치수선에 치수기입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중복을 피한다.
② 계산하지 않아도 알 수 있게 한다.
③ 치수선에 직각되게 한다.
④ 도면의 아래로부터 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게 한다.

95. 가구도면의 구체적 계획의 표시로 사용되는 도면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투시도
② 공작도
③ 조립도
④ 부품도
96. 도면에는 치수 이외에도 어떤 글자나 기호로써 제품의 모양이나 크기를 나타낸다.
다음에서 두께를 나타내는 기호는?

① R
② t
③ L
④ W

97. 투상도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정 투상도
② 등각 투상도
③ 사면 투상도
④ 경사 투상도

98. 투시도는 실제로 우리 눈에 비치는 모양과 같게 물체를 그리는 방법이다. 다음에서


투시도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평행 투시도
② 유각 투시도
③ 사각 투시도
④ 정면 투시도

99. 가구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민하고 검정하여야 하는 것이 사람의 인체치수와


맞추어야 된다. 우리나라 보편적인 인체치수로 의자의 높이는 얼마가 적당한가?

① 20~25cm
② 30~35cm
③ 40~45cm
④ 50~55cm

100. 우리나라 중 ․ 고등학교의 학생용 책상규격(폭 × 길이 × 높이)으로 적당한 것은?


(1인용 기준)

① 900 × 1,500 × 850mm


② 670 × 1,000 × 730mm
③ 550 × 800 × 600mm
④ 420 × 600 × 450mm
101. 둥근톱 기계의 주요구조부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진동 누름 장치
② 테이블 승강 장치
③ 톱축
④ 안내자

102. 목공기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둥근톱 기계로 경사 켜기 및 연귀 자르기 작업을 할 수 있다.


② 수압(손밀이) 대팻날 축의 회전수는 20,000~25,000 rpm이다.
③ 긴 홈파기는 루우터 기계로 할 수 있다.
④ 반턱 바탕을 만들 때 수압대패 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103. 자동대패기계에 관한 기술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자동으로 부재를 이동하여 목재를 깎는 기계이다.


② 자동대패는 날 길이에 의하여 규격이 결정된다.
③ 자동대패기계의 날 수는 2~4개로 되어 있다.
④ 수압대패기계와 같이 부재의 1면의 밑면이 깎인다.

104. 수압대패기계 테이블 조정 방법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뒤 테이블과 날 끝과 앞 테이블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한다.


② 날 끝은 깎이는 두께만큼 높게 하고 앞뒤 테이블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한다.
③ 뒤 테이블은 날 끝과 일직선상에 있고, 앞 테이블은 깎이는 양만큼 낮게 조정한다.
④ 앞 테이블과 날 끝은 일직선상에 있고, 뒤 테이블은 깎이는 양만큼 낮게 조정한다.

105. 각 끌기계에서 장부 깊이를 조정하는 장치는?

① 좌우 이동 핸들
② 상하 이동 핸들
③ 전후 이동 핸들
④ 각 끌기계 날
106. 휴대용 루터기의 사용에 관한 기술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깎기의 춤은 사용할 바이트의 길이와 모터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② 일반적으로 통맞춤, 주먹장맞춤, 홈파기, 면따기 등 맞춤을 할 때 사용한다.
③ 루터기의 회전축 rpm은 20,000정도이다.
④ 루터기의 작동 이동속도기 느리면 나무가 타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107. 건축현장에서 창문의 홈을 팔 때 사용하는 휴대용 전동공구는?

① 휴대용 전동 둥근톱
② 휴대용 전동 대패
③ 휴대용 전동 루터
④ 휴대용 전동 홈대패

108. 목재의 각재나 판재를 직선으로 자르거나 켤 때 사용하는 휴대용 전동공구는?

① 휴대용 전기 드릴
② 휴대용 전동 사포기
③ 휴대용 전동 둥근톱
④ 휴대용 공압식 타카

109. 휴대용 전동 사포기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휴대용 전동 사포기에는 정반과 축의 편심 좌우 원형으로 움직이는 것과 벨트 사포지를


회전하여 사포질하는 것이 있다.
② 휴대용 전동 벨트 사포기는 규격이 일정하여 단일 벨트 사포지를 사용한다.
③ 휴대용 전동 사포기는 평면으로 된 바닥만 사포질이 가능하다.
④ 휴대용 전동 사포기는 집진이 않되어 분진의 처리가 곤란하다.

110. 곱자의 사용 용도가 아닌 것은?

① 근사 곡선을 그을 때 사용 된다.
② 길이를 측정하거나 직선을 긋는다.
③ 장부구멍의 깊이를 측정한다.
④ 15mm 나비의 평행선을 긋는데 사용한다.
111. 조합자로 부재를 측정하거나 작업을 점검할 수 없는 것은?

① 평면 및 직선 상태
② 수직 및 수평 상태
③ 직각이나 연귀 긋기
④ 임의의 각 측정이나 긋기

112. 망치의 크기는 무엇으로 나타내는가?

① 망치 머리의 무게
② 망치 머리의 둘레
③ 망치 자루의 길이
④ 망치 자루의 지름

113. 곡면을 깎을 때 사용하는 대패는?

① 평 대패
② 남경 대패
③ 옆 대패
④ 홈 대패

114. 톱을 보면 톱날의 날어김이 있는데 이는 톱몸 두께의 몇 배인가?

① 1.3~1.8배
② 2.0~2.5배
③ 2.5~3.0배
④ 3.0배 이상

115. 대패집으로 많이 사용되는 나무는?

① 은행나무
② 소나무
③ 오동나무
④ 느티나무
116. 합판을 이용하여 토이박스(toy box)를 제작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① 포장
② 조립
③ 부속철물 부착
④ 재단

117. 다음 가구 제조 공정은 어느 것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인가?

가재단→심재조립→합판접착→정재단→에지(edge)접착→세공

① 의자다리 제작
② 패널(panel)제작
③ 서랍제작
④ 식탁기둥 제작

118. 가구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CNC기계로 할 수 없는 작업은?

① 재단
② 조각
③ 절단
④ 도장

119. 각 부재 두께의 1/2 따내어 맞추었을 때 상부부재와 하부 재가 평평하게 된 맞춤 형태는?

① 홈맞춤
② 연귀맞춤
③ 반턱맞춤
④ 장부맞춤

120. 넓은 판재를 제작하기 위한 쪽매로, 가장 일반적이며 가공이 쉬운 방법은?

① 오늬쪽매 ② 틈막이쪽매
③ 딴혀쪽매 ④ 맞댄쪽매
121. 계단의 난간두겁 이음 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① 턱솔이음
② 은장이음
③ 엇걸이 산지이음
④ 턱걸이 주먹장이음

122. 다음 중 코너록킹 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서랍의 옆널과 뒷널 등에 주로 사용 되는


맞춤은?

① 사개맞춤
② 주먹장 맞춤
③ 쪽매 맞춤
④ 장부 맞춤

123. 나사못에 의한 접합 기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전동 드라이버 사용이 가능하다.


② 예비 구멍은 나사못 굵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③ 나사못은 망치로 박아서는 안 된다.
④ 섬유질이 약한 목재에는 부적당하다.

124. 서랍 앞널과 옆널의 주먹장 맞춤시 경사각은 보통 몇 °(도) 인가?

① 5° ② 18°
③ 45° ④ 68°

125. 다음 중 가구 마무리 도장 작업에 필요한 사포로 사용 될 수 있는 것은?

① #80
② #100
③ #150
④ #320
126. 다음 중 플러시 패널 합판 접착 후 에지를 붙이기 위한 정재단 장비는?

① 라운드 테노나(round tenoner)


② 갱립쇼(gang rip saw)
③ 더블 엔드 테노나(double end tenoner)
④ 크로스 커팅 쇼(cross cutter saw)

127. 가구 제조 공정 중 보통 가장 나중에 이루어지는 공정은?

① 도장
② 장부 가공
③ HPM 접착
④ 장식물 부착

128. 다음 중 목재의 장점을 기술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비중에 비하여 강도가 크다


② 건조 수축 변형이 크다.
③ 열전도율이 낮다.
④ 산과 알칼리에 대한 저항이 크다.

129. 목재의 분류 중 다른 한 종류는?

① 느티나무
② 벗나무
③ 너도밤나무
④ 소나무

130. 다음 중 합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판재에 비하여 균질이다.


② 방향에 따른 강도의 차가 크다.
③ 곡면판을 만들 수 있다.
④ 규격은 3×6자(915×1830mm), 4×8자(1220×2440mm)가 주로 사용된다.
131. 파아티클보드(Particle Board)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강도와 섬유 방향에 따른 방향성이 크다.


② 방부, 방화제의 첨가에 따라 방부, 방화성을 높일 수 있다.
③ 흡음성과 열의 차단성도 좋다.
④ 강도가 크므로 구조용으로도 적합하며 선박, 마룻널, 칸막이, 가구 등에 쓰인다.

132. 목재를 일정한 크기의 각재로 켠 다음 섬유방향을 서로 평행 시켜 못 등을 이용


하지 않고 접착한 것으로 세로방향으로 강한 소재의 특성을 강조시킨 재료는?

① 집성목(Glue-Laminated Timber)
② 파아티클 보드(Particle Board)
③ MDF섬유판 (Medium Density Fiber Board)
④ OSB(Oriented Strand Board)

133. 그림과 같이 제재를 하면 목재의 판재 결은?

① 무늬결
② 사결
③ 이다메결
④ 곧은결

134. 목재 가루를 압축한 바탕재(HDF) 위에 고압력으로 강화시킨 여러 층의 표면판을


적층하여 접착시킨 복합마루재는?

① 원목마루(strip flooring)
② 온돌마루(plywood flooring)
③ 강화마루(laminated flooring)
④ 래핑마루(wrapping flooring)

135. 그림과 같이 합판의 단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① 반 rotary veneer
② sliced veneer
③ sawed veneer
④ rotary veneer
136. 목재의 건조 목적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수축이나 변형을 방지한다.


② 건조시키면 강도는 감소한다.
③ 방부제나 합성수지의 주입이 용이해진다.
④ 중량이 감소된다.

137. 철강을 만드는 기본공정은 제선 → □ → 연주 → 압연을 거친다. □속에 적당한 것은?

① 전로
② 평로
③ 제강
④ 도가니

138. 금속재의 기계적 성질 중 재료가 외력을 받아도 변형되지 않거나, 극히 미비한 변형을
수반하고 파괴 되는 성질은?

① 취성
② 소성
③ 강성
④ 탄성

139. 금속 제품으로 목재의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은?

① 볼트
② 나사못
③ 리벳
④ 듀벨

140. 다음중 주로 장식 가공품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① 박강판
② 아연철판
③ 황동판
④ 구리판
141. 오늘날 각종 필름재, 바닥재, 각종 몰딩재, 가구의 표면재, 아크릴판, 부엌가구
상판재로 많이 쓰이는 인조석재, FRP 제품 각종 창호재 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은?

① 합성수지 ② 유리
③ 알루미늄 ④ 시멘트

142. 다음 합성수지 중 다른 한 종류는?

① 페놀수지, 요소수지
②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③ 염화비닐수지, 아크릴수지
④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143. 다음 중 가구 소파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는 인조 피혁재(인조가죽 artificial leather)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가죽 대용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레자”라고 불려진다.


② 천연 피혁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만들 수 없다.
③ 염화비닐(pvc)수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재에 약한 단점이 있다.
④ 주로 가구를 제작할 때 사용되며, 실내건축의 마감재료로도 적용된다.

144. 다음그림의 경첩 명칭은?

① 숨은경첩
② 우아미경첩
③ 씽크경첩
④ 그라운드 경첩

145. 접착성, 내열성, 내수성이 우수하여 주로 목재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① 페놀 수지 접착제
② 에폭시 수지 접착제
③ 멜라민 수지 접착제
④ 요소 수지 접착제
146. 도료를 도장하기에 알맞은 점성과 농도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은?

① 안료(pigment)
② 전색제(vehicle)
③ 용제(solvent)
④ 보조제

147. 다음 중 천연도료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카슈
② 옷칠
③ 합성수지 바니쉬
④ 에나멜

148. 식탁테이블 상판 크기가 600×1200mm, 두께30mm로 제작 할 경우 목재의 재적은?

① 3.30재
② 6.67재
③ 21.60재
④ 25.44재

149. 벽체의 한면 크기가 폭 3.6m×높이 2.4m의 벽면을 4×8 합판으로 마감할 경우


소요되는 수량은? (단, 단층마감이다)

① 1장
② 2장
③ 3장
④ 4장

150. 각재의 크기가 길이 3.6m 폭과 두께가 60mm인 부재가 10개 소요될 경우 재당 가격이
1,000원인 경우 총비용은?

① 2만원 ② 4만원
③ 6만원 ④ 8만원
151. 침엽수 섬유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섬유 길이는 3∼7mm정도이다.
② 섬유 폭은 15∼30㎛정도이다.
③ 섬유 두께는 3∼5㎛정도이다.
④ 주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이다.

152. 다음 중 종이의 기원이 된 재료는?

① 동물의 뼈
② 거북의 등껍질
③ 목간
④ 파피루스

153. 목재를 펄프화에 적당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조목 공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박피
② 칩 제조
③ 칩 정선
④ 표백

154. 지료의 조성 공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펄퍼 -> 고해 -> 배합 -> 정선


② 펄퍼 -> 고해 -> 정선 -> 배합
③ 고해 -> 배합 -> 펄퍼 -> 정선
④ 배합 -> 정선 -> 펄퍼 -> 고해

155. 다음 중 기계펄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쇄목펄프
② 열기계펄프
③ 고지펄프
④ 리파이너펄프
156. 화학 약품을 사용해 리그닌을 녹여 펄프만 분리하여 만든 펄프 종류는?

① 쇄목펄프
② 고지펄프
③ 화학펄프
④ 리파이너펄프

157. 화학펄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기계펄프보다 수율이 적다.


② 리그닌을 제거한 펄프이다.
③ 섬유상의 형태는 셀룰로오스로 구성한다.
④ 섬유 길이가 짧고 미세분의 함량이 높다.

158. 목재를 작은 칩으로 만들어 회전하는 원판 사이에 투입하여 파쇄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만드는 펄프는?

① 쇄목펄프
② 리파이너펄프
③ 반화학펄프
④ 열기계펄프

159. 펄프의 착색물질을 제거하여 종이의 백색도를 증가시키는 작업은?

① 고해
② 도공
③ 사이징
④ 표백

160. 제지 공정에서 섬유의 표면 및 내부에 기계적 충격으로 상처를 내어 섬유 간


결합 확률을 높이고 섬유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작업은?

① 초지
② 사이징
③ 고해
④ 진료
161. 섬유의 표면 및 내부에 기계적 충격으로 상처를 내어 섬유간 결합 확률을 높이고
결합점을 늘림과 동시에 섬유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하는 것은?

① 건조공정
② 습수공정
③ 도공공정
④ 고해공정

162. 종이의 제조 공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펄프 -> 고해 -> 사이징 -> 진료 -> 착색


② 고해 -> 조합 -> 초지 -> 코팅 -> 윤내기
③ 조합 -> 초지 -> 고해 -> 코팅 -> 윤내기
④ 초지 -> 고해 -> 조합 -> 착색 -> 코팅

163. 제지 공정에서 해리 및 고해한 펄프를 전료, 사이즈제, 안료 등과 혼합하는 작업은?

① 비팅
② 조합
③ 초지
④ 탈피

164. 제지 공정에서 사이징을 하는 가장 큰 목적은?

① 내약품성
② 내마찰성
③ 내수성
④ 내유성

165. 초지기에서 생산된 종이의 인쇄적성이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도포하는 도공액에
포함되지 않는 물질은?

① 클레이
② 라텍스
③ 분산제
④ 사이즈제
166. 종이에 적당한 내수성을 주기 위해 소수성 콜로이드 물질을 혼합하는 공정은?

① 비팅
② 사이징
③ 전충
④ 윤내기

167. 화학펄프 70%이상과 나머지 쇄목펄프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종이는?

① 백상지
② 아트지
③ 중질지
④ 갱지

168. 화학펄프 100%로 제조된 종이의 종류는?

① 백상지
② 중질지
③ 갱지
④ 신문 용지

169. 인쇄적성을 향상시키고 종이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이의 표면에 안료를
코팅하는 것을 도공이라 한다. 다음 중 도공 물질의 세 가지 성분이 아닌 것은?

① 바인더
② 안료
③ 가소제
④ 첨가제

170. 종이의 코팅방법 중 블레이드 도공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고속 코팅에도 도공 적성이 우수하다.


② 코팅 량의 조절 범위가 넓다.
③ 도공면의 평활성이 우수하다.
④ 폭 방향의 도공 균일성을 얻기 쉽다.
171. 종이의 도공 방법 중 에어나이프 코팅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균일한 도공 피막을 얻을 수 있다.


② 도공량의 조절 범위가 넓다.
③ 도공량이 많은 코팅이 가능하다.
④ 고점도 도료의 도공이 가능하다.

172. m2당 도공 도포량이 5g 전후이고 평량이 80g/m2 이하인 용지는?

① 경량코팅 용지
② 중량코팅 용지
③ 광택 용지
④ 무광택 용지

173. 비코팅지 중에서 주로 교과서, 일반서적, 문고본 등에 사용하는 중급용지는 화학


펄프를 몇 % 이상 사용하는가?

① 20%
② 40%
③ 60%
④ 80%

174. 종이의 시즈닝은 무엇을 조절하는 것인가?

① 종이의 산값
② 종이의 상대습도
③ 종이의 내절강도
④ 종이의 표면강도

175. 펄프의 착색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백 약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염소
② 차아염소산염
③ 과산화물
④ 질소
176. 종이가 물에 젖었을 때 잘 찢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첨가하는 습윤 지력 증감제
약품이 아닌 것은?

①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②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③ 에폭시화 폴리아미드 수지
④ 폴리비닐알코올

177. 다음 중 한지의 원료로 맞는 것은?

① 소나무
② 오리나무
③ 닥나무
④ 뽕나무

178. 전통 한지의 특징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① 인쇄용지보다 투기도(공기가 투과하는 정도)가 낮다.


② 충전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③ 종이의 인장 강도가 높다.
④ 대량 생산이 어렵다.

179. 공산품 포장용 재료이며 골심지로 골을 만들고 판지를 접착하여 판지의 강도를
개선한 종이는?

① 백판지
② 골판지
③ 아트지
④ 크라프트지

180. 강도가 큰 종이로 봉지와 자루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종이는?

① 마닐라지
② 아트지
③ 크라프트지
④ 백판지
181. 크라프트 펄프화의 회수 공정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물질은?

① 미분진
② 납
③ 질소 산화물
④ 환원 황가스

182. 제지 공장에서 종이를 출고할 때, 일반적으로 상대습도는 몇 %RH에 맞도록 함수율을


조절하는가?

① 20∼30%RH
② 30∼40%RH
③ 40∼50%RH
④ 50∼60%RH

183. 최초로 종이를 발명한 사람은?

① 독일의 쿠텐베르크
② 미국의 루벨
③ 중국의 채륜
④ 독일의 제네벨더

184. 종이의 주요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① 종이는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② 종이는 결이 있다.
③ 종이는 앞면과 뒷면이 동일하다.
④ 종이는 친수성이다.

185. 종이 내 모세관의 크기와 분포에 의해 지배되는 성질은?

① 종이결
② 백색도
③ 흡유도
④ 평량
186. 종이의 물리적 성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인장강도
② 백색도
③ 평량
④ 파열강도

187. 종이의 휨강도를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굴리(Gurley)법
② 타버(Taber)법
③ 클라크(Clark)법
④ 데니슨(Dennison)법

188. 종이의 수분인 함수율은 종이 무게에 대한 함유된 물의 무게를 %로 표시하는데


일반적으로 종이의 수분은 몇 %인가?

① 1∼3
② 3∼5
③ 5∼7
④ 7∼9

189. 흡유도는 기름이 종이에 침투하는 정도라면 물이 종이에 침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① 표면강도
② 인열강도
③ 인장강도
④ 사이즈도

190. 용지의 표면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은?

① 베크 시험기
② 쇼어 시험기
③ MIT 시험기
④ 데니슨 왁스법
191. 종이의 무게와 관련된 평량의 단위가 맞는 것은?

① g/cm
② g/m
③ g/m2
④ g/cm2

192. 종이의 평량이 64g/㎡이고, 종이의 두께가 80μ일 때, 종이의 밀도(g/cc)는 얼마인가?

① 0.08
② 0.8
③ 8
④ 80

193. 소퍼형이나 MIT형 시험기를 이용하여 종이의 접힘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는


물리적 성질은?

① 내절강도
② 인장강도
③ 파열강도
④ 표면강도

194. 다음 중 종이의 광학적 성질이 아닌 것은?

① 백색도
② 색상
③ 평활도
④ 광택

195. 종이의 불투명도와 관계없는 것은?

① 펄프의 종류
② 고해의 정도
③ 지료의 혼합량
④ 초지의 방향
196. CIE(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한 측색방법에 따라 얻게 되는 3자극치를 이용하여
수식으로 구하는 종이의 광학적 성질은?

① 백감도
② 백색도
③ 불투명도
④ 투명도

197. 종이의 색을 특정한 표준색에 맞추기 위하여 종이의 색을 맞추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는 방법
② 불투명도를 이용하는 방법
③ 색 조견표와 시편을 맞추는 방법
④ 육안으로 측정하는 방법

198. 종이의 주원료인 목재를 화학적으로 분석할 때 주성분이 아닌 것은?

① 니트로글리세린
② 리그닌
③ 셀룰로오스
④ 헤미셀룰로오스

199. 목재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다.
② 친유성이다.
③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④ 유연성을 가진다.

200. 목재의 리그닌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목재를 화학적으로 분석할 때 주성분에 속한다.


② 목재의 세포와 세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③ 섬유에 리그린 함량이 많으면 유연성이 높아진다.
④ 섬유에 높은 리그린 함량은 종이의 강도를 저하시킨다.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전기⦁전자제품제조업)
1. 300/500 V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의 약호는?

① NRF
② CV
③ NRI
④ FTC

2. 줄(Joule)의 법칙에 의하여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한다. 줄의 법칙을 칼로리(cal)로


표현한 공식은?

①       
②     
③     
④    

3. 전하의 이동을 전류라고 한다. 전류의 단위는 무엇인가?

① V
② A
③ W
④ Ω

4. 전력케이블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케이블은?

① NR
② NF
③ EV
④ CV

5. 어느 두 점 사이를 5 c의 전하가 이동하여 외부에 대해 100 J의 일을 했다면,


두 점 사이의 전위차는 몇 V 인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6. 100 V의 전압을 인가할 때 10 A의 전류가 흐르는 전열기가 있다. 이 전열기의 전력
P(kW)은 얼마인가?

① 1
② 2
③ 3
④ 4

7. 100 V의 전압을 인가할 때 10 A의 전류가 흐르는 전열기가 있다. 이 전열기를 하루에


2시간씩 30일간 사용한다면, 이 전열기의 전력 P(kW) 및 30일간의 전력량(kWh)은 얼마인가?

① 4, 30
② 3, 40
③ 2, 50
④ 1, 60

8. 옴(Ohm’s)의 법칙은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인가된 전압에 반비례한다.” 이때의


비례상수를 저항이라 하고 R로 표시한다. 수식과 저항의 단위는?

①     

②   

③   

④   

9. 220V인 선로에서 전선의 저항이 22Ω이면 이 전로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① 1 ② 5
③ 10 ④ 15

10. 전선 재료로서 구비하여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① 도전율이 클 것
② 접속이 쉬울 것
③ 가요성이 풍부할 것
④ 인장강도가 비교적 적을 것
11. 케이블의 약호 표시 중 CV가 뜻하는 것은?

① 폴리에틸렌절연 부틸고무시스 케이블


② 비닐절연 가교폴리에틸렌시스 케이블
③ 클로로플렌고무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④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12. 전선을 자르거나 직각으로 구부릴 때 사용하며, 모든 작업시 항상 갖추고 있어야


하는 필수적인 기본공구가 아닌 것은?

① 펜치
② 니퍼
③ 스트리퍼
④ 롱노우즈

13. 작업을 완료한 후 회로를 정상적으로 결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하는 공구는?

① 벨테스터
② 스트리퍼
③ 니퍼
④ 롱노우즈

14. 전선의 피복을 수직으로 벗기는데 편리한 공구는?

① 펜치
② 오리스트리퍼
③ 니퍼
④ 롱노우즈

15. 형상에 따른 전선의 접속방법이 아닌 것은?

① 직선접속
② 분기접속
③ 종단접속
④ 박스접속
16. 전선을 직선 접속할 때 2.6 mm 이하의 단선에 적용하는 접속방법은?

① 브리타니어 직선접속
② 권선 직선접속
③ 트위스트 직선접속
④ 단권 직선접속

17.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 )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접속하여야 하며,


전선의 세기를 ( ) % 이상 감소시키지 않아야 한다.”에서 ( ) 안에 들어갈 적합한 말은?

① 전류, 20
② 저항, 20
③ 전압, 10
④ 전력, 10

18.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외피는 자기소화성 난연 재질이다.


② 커넥터의 색상에는 황색, 적색, 청색, 회색이 있으며, 색상 별로 규격이 정해져 있다.
③ 커넥터 접속을 위하여 박스 내에서 전선의 여유는 5 ㎝ 정도 되도록 한다.
④ 접속하려는 전선의 심선이 2∼3 가닥인 경우, 전선의 피복을 10 mm 정도 벗기고
심선을 나란히 합쳐 소형 커넥터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19. 전선과 스터드 단자의 접속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① 전선을 고리형으로 만들고 나사를 죄어 접속한다.


② 전선을 직접 밀어 넣고 나사를 죄어 접속한다.
③ 누름 금구가 있으면 전선에는 납땜을 하지 않아도 된다.
④ 압축 또는 납땜에 의해 전선과 접속한다.

20. 아우트렛 박스에서 전등 전로를 연결하고 있다. 접속 재료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비닐 테이블
② 압칙단자
③ 와이어 커넥터
④ 레이진
21. 전선 및 케이블의 중간 접속재로 사용되는 것은?

① 링 슬리브
② 압착 터미널
③ 와이어 커넥터
④ 칼 브럭

22. 전선의 직선단자로 사용되는 금속 단자는?

① 링 슬리브
② 스터드 단자
③ 와이어 커넥터
④ 고리형 단자

23. 분전함 내에 설치하는 수지제 덕트에 수납하기에 적합한 전선은?

① 와이어
② 코드
③ 케이블
④ 캡타이어 케이블

24. 합성수지관 공사에 적합한 전선은?

① 나전선
② 절연전선
③ 코드
④ 케이블

25. 합성수지관 공사에서 배관의 지지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① 0.5
② 1.0
③ 1.5
④ 2.0
26. 합성수지관 및 금속관 공사에서 16 mm 라고 표기되어 있다.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두께 중심과 두께 중심의 사이
② 외경
③ 내경
④ 나사 피치와 피치 사이

27. 금속관을 사용할 때 케이블 피복 손상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① 로크너트
② 커플링
③ 엘보
④ 부싱

28. 금속관 공사의 인입구관 끝에 사용하는 재료는?

① 엔트런스 캡
② 링 리듀서
③ 엘보
④ 부싱

29. 전선관 공사를 할 경우 경간이 너무 길거나 구부러지는 개소가 많아 배관 입선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전선의 접속이 아닌 입선 목적에만 사용하는 중간박스는?

① 조인트박스
② 풀박스
③ 엘보
④ 부싱

30. 전선관 공사를 할 경우 경간이 너무 길거나 구부러지는 개소가 많아 배관 입선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전선의 접속점을 만들어도 문제가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박스는?

① 엘보
② 풀박스
③ 조인트박스
④ 부싱
31. 금속재 사다리형 전선 관로로서 천장으로부터 달대볼트로 행거를 설치, 행거 위에
고정시키거나 벽면에 가대를 하여 브라켓을 설치 ․ 사용하는 관로공사는?

① 플로어덕트 공사
② 금속덕트 공사
③ 버스덕트 공사
④ 케이블트레이 공사

32. 케이블트레이 공사에 사용할 수 없는 전선은?

① HFIX
② FR-8
③ FR-3
④ F-CV

33. 주로 전기실, 발전기실 등의 일반인의 출입이 적은 실내에 사용되며, 바닥에 홈을 파고


홈에 덮개를 덮어 사용하는 관로공사는?

① 플로어덕트 공사
② 배선용피트 공사
③ 버스덕트 공사
④ 금속덕트 공사

34. 실내의 변압기와 배전반 사이의 간선에서 분기접점이 없는 전선로에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덕트는?

① 트롤리 버스덕트
② 플러그인 버스덕트
③ 피더 버스덕트
④ 와이어덕트

35. 연질합성수지관으로서 가로등 배관 등 주로 지중 배관에 사용하는 전선관은?

① 금속 전선관
②플렉시블 전선관
③ PVC 전선관
④ 폴리에틸렌(PE) 전선관
36. 지중전선관로의 허용전류를 결정할 때 기준온도는?

① 20 ℃
② 30 ℃
③ 40 ℃
④ 50 ℃

37. 금속덕트 공사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① 1.5
② 3.0
③ 4.0
④ 5.0

38. 플로어덕트 공사의 시설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전선은 연선을 사용할 것.


② 전선은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
③ 전선은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
④ 플로어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39. 과전류차단기로서 배선용차단기(MCCB)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① 정격전류에 1.25배의 전류로 자동적으로 즉시 동작할 것


② 정격전류에 2배의 전류로 융단 될 것
③ 정격전류에 1.1배의 전류에 견딜 것
④ 정격전류에 1배의 전류로 자동적으로 동작하지 아니할 것

40. 누전차단기(ELB)의 내부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동작부
② 검출부
③ 영상변류기
④ 차단부
41. 교류 또는 직류 전동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자석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접촉부를 동작시키는 개폐기는?

① 배선용차단기(MCCB)
② 전자접촉기(MC)
③ 누전차단기(ELB)
④ 과전류계전기(OCR)

42. 고압에 사용하는 퓨즈 중에서 포장퓨즈는?

① 실 퓨즈
② 훅 퓨즈
③ 통형 퓨즈
④ 판형 퓨즈

43. 3로 스위치 1개에는 몇 가닥의 전선이 필요한가?

① 6
② 5
③ 4
④ 3

44. 단극 스위치인 경우 3구 스위치의 전선 가닥수는?

① 4
② 5
③ 6
④ 7

45. 변압기 2차 측에는 어떤 접지를 하여야 하는가?

① 제1종 접지공사
② 제2종 접지공사
③ 제3종 접지공사
④ 특별 제3종 접지공사
46.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몇 오옴 이하이어야 하는가?

① 5 Ω
② 10 Ω
③ 30 Ω
④ 100 Ω

47.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몇 오옴 이하이어야 하는가?

① 5 Ω
② 10 Ω
③ 30 Ω
④ 100 Ω

48. 피뢰설비에서 서지보호장치는 무엇인가?

① CB
② TR
③ SPD
④ L.A

49. 접지공사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감전 방지
② 이상전압의 억제
③ 전로의 대지전압 상승
④ 보호계전기의 동작확보

50. 접지공사에 적용하는 접지선의 약호는?

① GV
② HIV
③ CV
④ EV
51. 1개의 전자가 가지고 있는 전기량[C]은?

① 1.602×10  
② 9.109×10  
③ 1.602×10 
④ 9.109×10 

52. 2[㎌]과 3[㎌]의 콘덴서 2개를 병렬로 연결하였다. 합성 정전 용량[㎌]은?

① 1.2 ② 2
③ 3 ④ 5

53. 3[Ω]과 6[Ω]의 저항 2개를 병렬로 연결하였다. 합성 저항[Ω]은?

① 1.2
② 2
③ 3
④ 9

54. 10   은 μ(micro)이다. 10  의 기호는?

① k(kilo)
② T(tera)
③ M(mega)
④ P(peta)

55. 다음 그림은 회로 시험기(Tester)로 저항을 측정하였더니 측정된 눈금이 다 .


측정 단자를 ×10 단자에 선택을 하고 측정하였다면 저항값[Ω]은 얼마인가?

① 40
② 50
③ 400
④ 500
56. 저항의 색상이 순서대로 노랑, 보라, 빨강 순으로 되어 있다면 이 저항의 저항값[Ω]은?

① 47
② 470
③ 4700
④ 47000

57. 콘덴서(condenser)의 종류 중 극성이 있는 것은?

① 세라믹 콘덴서
② 마일러 콘덴서
③ 전해 콘덴서
④ 종이 콘덴서

58. 다음 회로에서 R  =5[Ω], R  =5[Ω], R  =10[Ω]이다. 합성 저항[Ω]은?

① 10
② 12.5
③ 20
④ 250

59. 그림에서 C  =4[㎌], C  =6[㎌]이다. 합성 정전 용량[㎌]은?

① 2.4
② 4
③ 6
④ 10

60. 옥내 배선, 스위치 및 콘센트 등의 절연 저항을 측정할 경우는 모든 스위치를 열어


( ㉠ )상태로 한 다음 ( ㉡ )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에서 ㉠, ㉡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① ㉠ - 부하, ㉡ - 접지 저항계
② ㉠ - 부하, ㉡ - 절연 저항계
③ ㉠ - 무부하, ㉡ - 접지 저항계
④ ㉠ - 무부하, ㉡ - 절연 저항계
61. 그림의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직류 전원
② 교류 전원
③ 접속
④ 접지

62. 그림의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배선용 차단기
② 누전 차단기
③ 분전반
④ 배전반

63. 그림에서 R =2[Ω], R =5[Ω]이며, V=10[V]이다. R 에 흐르는 전류 I 은 몇 [A]인가?

① 2
② 3
③ 5
④ 7

64. 교류의 1회 변화를 1사이클이라 하며, 1사이클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주기라 한다.
또한 1초 동안에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를 주파수라 하는데, 이 주파수의 단위는?

① [Hz]
② [A]
③ [V]
④ [Ω]

65. 다음 중 고유 저항이 10   ~ 10  [Ω․m]인 재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도체
② 절연체
③ 반도체
④ 초전도체
66. 전기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자 전압계와 전류계를 연결하였다. 이 때,
전압계와 전류계의 연결 방법이 옳게 된 것은?

① 전압계-직렬, 전류계-병렬
② 전압계-병렬, 전류계-직렬
③ 전압계-병렬, 전류계-병렬
④ 전압계-직렬, 전류계-직렬

67. 2전력계법에 의해 평형 3상 전력을 측정하였더니 전력계가 500[W], 1000[W]를


지시하였다. 이 때 소비전력[W]은?

① 500
② 1000
③ 1500
④ 2000

68. 전기 도면에서 그림과 같은 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① 천장 은폐 배선
② 바닥 은폐 배선
③ 노출 배선
④ 바닥 노출 배선

69. 전류가 1초 동안에 한 일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전압
② 저항
③ 임피던스
④ 전력

70. 전기 회로에서 저항의 양단에 전압을 가했을 때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저항에
반비례하고 가해진 전압에 비례한다는 것은 어느 법칙인가?

① 주울의 법칙
② 오옴의 법칙
③ 키르히호프의 법칙
④ 패러데이의 법칙
7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양단에 100[V]를 공급하였다. 회로에 흐르는 전류[A]는 얼마인가?

① 1
② 2
③ 4
④ 10

72. 3[Ω]과 6[Ω]를 병렬로 연결하고 20[V]의 전압을 가하였다. 이 때, 합성 저항과


전체 흐르는 전류[A]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합성저항 : 2[Ω], 전류 : 10[A]


② 합성저항 : 3[Ω], 전류 : 6.6[A]
③ 합성저항 : 6[Ω], 전류 : 3.3[A]
④ 합성저항 : 9[Ω], 전류 : 2.2[A]

73. 콘덴서의 용량이 10[㎌], 15[㎌] 두 개가 있다. 이 두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 정전 용량[㎌]은?

① 6
② 10
③ 15
④ 20

74. 다음 콘덴서 중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은?

① 전해 콘덴서
② 세라믹 콘덴서
③ 마일러 콘덴서
④ 바리콘(varicon)

75. 콘덴서의 용량이 4[㎌], 6[㎌] 두 개가 있다. 이 두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 정전


용량[㎌]은?

① 2.4
② 4
③ 6
④ 10
76. 그림과 같은 기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다이오드(diode)
②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
③ 트랜지스터(transister)
④ 다이액(diac)

77. 그림과 같은 기호는 어떤 게이트(Gate)를 의미하는가?

① AND
② NOT
③ OR
④ NAND

78. 콘덴서의 용량이 C이고 공급 전압이 V일 때 저장되는 정전 에너지(W)는 얼마인가?


① CV[J] ②   [J]

  
③    [J] ④    [J]
 

79. 같은 종류의 도선이라도 도선의 단면적이( ㉠ ) 단위 시간에 그 단면을 지나는


자유 전자의 수가 많아지므로 저항이 작아 전류가 잘 흐르고, 도선의 길이가
( ㉡ ) 자유 전자가 원자들과 충돌하는 횟수가 많아지므로 저항이 커서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한다. ( )안에 들어갈 말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 - 넓을수록, ㉡ - 길수록
② ㉠ - 넓을수록, ㉡ - 짫을수록
③ ㉠ - 작을수록, ㉡ - 길수록
④ ㉠ - 작을수록, ㉡ - 짫을수록

80. 그림에서  = 10[㎌],  =20[㎌],  =30[㎌]일 때 합성 정전 용량[㎌]은?

 
①  ② 
 

③ 11 ④ 60
81. 콘센트에 회로 시험기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실효값 200[V]를
지시하였다. 이 때, 최대값 [V]은 약 얼마인가?

① 110
② 200
③ 283
④ 380

82. 그림에서  =20[Ω],  =30[Ω]이고, 전압 V=120[V]를 가하였다면 회로에 흐르는


전체 전류 I[A]는 얼마인가?

① 1
② 2
③ 5
④ 10

83. 내부 저항이 0.1[Ω], 전압이 1.5[V]인 건전지 10개를 직렬로 연결한 후, 2[Ω]의
저항과 연결하였다. 흐르는 전류[A]는?

① 1
② 3
③ 5
④ 7

84. 그림에서 3[Ω]에 흐르는 전류[A]는 얼마인가?

① 2
② 4
③ 6
④ 8

85. 그림은 계측기 눈금판의 기호이다. 다음 중에서 해당되는 것은?

① 유도형
② 전류력계형
③ 가동 코일형
④ 가동 철편형
86. 어느 콘덴서에 그림과 같이 적혀 있었다. 이 콘덴서의 용량[㎌]은?

① 10[㎌]
② 1[㎌]
③ 0.1[㎌]
④ 0.01[㎌]

87. 10[Ω]의 저항 5개를 병렬로 연결하였다. 합성 저항[Ω]은?

① 2
② 5
③ 10
④ 50

88. 10[Ω]의 저항에 2.5[A]의 전류를 흐르게 하려면 몇[V]의 전압이 필요한가?

① 10
② 20
③ 25
④ 30

89. 회 로 시 험 기 (T ester)를 이 용 하 여 여 러 가 지 사 항 들 을 측 정 하 였 다 . 다음 중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① 전압
② 전류
③ 전력
④ 저항

90. 3[Ω] 저항이 5개, 5[Ω] 저항이 5개, 10[Ω] 저항 2개를 전부 직렬로 연결하였다.
합성 저항[Ω]은?

① 20
② 40
③ 50
④ 60
91. 다음 그림에서 R =20[Ω], R =30[Ω], R =50[Ω], R =100[Ω]이고 전압을 200[V] 인가하였다.
R  에 걸리는 전압 V  [V]는?

① 20
② 30
③ 50
④ 100

92. 전력량의 단위로 옳은 것은?

① [Wh]
② [V]
③ [A]
④ [W]

93. 0.1[A]는 몇[㎃]인가?

① 10
② 100
③ 1000
④ 10000

94. C  과 C  의 직렬 회로에 V[V]의 전압을 가할 때 C  , C 에 걸리는 전압으로 옳은 것은?

   
① V  =  ×V, V  =  ×V ② V  =  ×V, V  =  ×V
  +   +   +   +

  +  +  +   +


③ V  =  ×V, V  =  ×V ④ V  =  ×V, V  =  ×V
   

95. 그림은 트랜지스터의 기호이다. 다음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캐소드(cathode)
② 이미터(emitter)
③ 베이스(base)
④ 컬렉터(collector)
96. 일반적으로 교류 회로의 전력은 평균 전력 P=VIcosθ[W]로 나타낸다. 여기서
cosθ가 의미하는 것은?

① 전압(voltage)
② 전류(electric current)
③ 역률(power factor)
④ 주파수(frequency)


97. 호도법으로  [rad]를 도수법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

① 30°
② 45°
③ 60°
④ 90°

98. 그림의 회로에서 양단에 20[V]를 가하였다. 틀린 것은?

① 합성 저항 R  = 5[Ω]이다.
② 회로에 흐르는 전체 전류는 4[A]이다.
③ 10[Ω]에 흐르는 전류는 0.8[A]이다.
④ 2.5[Ω]에 흐르는 전류는 2.2[A]이다.

99. 그림의 기호는 전기 회로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직류 전원
② 교류 전원
③ 전동기
④ 발전기

100. 다음 중 저항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탄소 피막 저항기
② 솔리드 저항기
③ 금속 피막 저항기
④ 마일러 저항기
101. 다음 중 원자의 기본구조가 아닌 것은?

① 분자
② 핵
③ 양자
④ 중성자

102. 다음 중 단일 소자 반도체가 아닌 것은?

① 실리콘(silicon)
② 게르마늄(germanium)
③ 카본(carbon)
④ 동(copper)

103. 다음 중 n형 반도체에서 5가 불순물 원자를 첨가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① 비소(As)
② 인(P)
③ 안티몬(Sb)
④ 알미늄(Al)

104. 다음 중 n형 반도체에 다수 캐리어(carrier)는 무엇인가?

① 전도전자
② 양자
③ 가전자
④ 정공

105. 다음 중 LED(light emitting diode)의 역할은?

① 역방향 바이어스(bias)일 때 광을 방출한다.


② 역방향 바이어스(bias)일 때 광을 감지한다.
③ 순방향 바이어스(bias)일 때 광을 방출한다.
④ 순방향 바이어스(bias)일 때 광을 감지한다.
106. 다음 중 고주파에서와 고속 스위칭 응용에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①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②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③ 터널 다이오드(tunnel diode)
④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

107. 다음 중 부성저항 특성을 가진 다이오드는 어느 것인가?

① 터널 다이오드(tunnel diode)
②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③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④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108. 다음 중 전압 안정화에서 제너다이오드의 음극은 정상적으로?

① 양극보다 더 양이 된다.
② 양극보다 더 음이 된다.
③ +0.7V이다.
④ 정지된다.

109. 다음 중 역방향 전압에 따른 가변 정전용량 다이오드는?

① 버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


②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③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④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110. 다음 중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의 3단자는?

① npn
② pnp
③ 입력, 출력, 접지
④ 이미터(emitter), 컬랙터(collector), 베이스(base)
111. 다음 중 차단과 포화에서 동작될 때 트랜지스터(transistor)는 무엇처럼 동작하는가?

① 선형증폭기
② 가변용량
③ 가변저항
④ 스위치(switch)

112. 다음 중 실리콘(silicon) BJT(bipolar transistor)의 순방향 바이어스(bias)된 베이스(base)-


이미터(emitter) 접합 양단 전압은?

① 0V
② 0.5V
③ 0.7V
④ 1.0V

113. 다음 중 트랜지스터(transistor)가 도통하지 않은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차단(cut off)
② 포화(saturation)
③ 이득(gain)
④ 선형(linear)

114. 다음 중 트랜지스터(transistor) 베이스 바이어스(base bias)의 결점은?

① 매우 복잡하다.
② 이득을 낮게 만든다.
③ 큰 누설전류를 만든다.
④ 아주 β에 의존한다.

115. 다음 중 공통 베이스(base)증폭기의 입력저항은?

① 매우 높다.
② 매우 낮다.
③ 같다.
④ 무한대
116. 다음 중 다이리스터(thyristor)는 몇 개의 pn접합을 갖는가?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117. 다음 중 SCR(silicon-controlled rectifier)이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① 강제적 전환
② 게이트(gate) 단자를 가짐
③ 4층 구조를 갖지 않음
④ 다이리스터(thyristor)가 아님

118. 다음 중 광 SCR(silicon-controlled rectifier)은 무엇에 대해 반응하는가?

① 전류
② 전압
③ 습기
④ 빛

119. 다음 중 SCR(silicon-controlled rectifier)은 무엇인가?

① 저전력 소자
② 4층 다이오드(diode)
③ 고전류 소자
④ 양방향성

120. 다음 중 트라이액(triac)은 어떠한 소자인가?

① 양방향성 SCR(silicon-controlled rectifier)과 유사함


② 4단자 소자
③ 고전류 소자
④ 2층 다이오드(diode)
121. 다음 중 트라이액(triac)에서 게이트(gate) 단자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① 1개의 게이트만 있다.


② 3개의 게이트 단자가 있다.
③ 4개의 게이트 단자가 있다.
④ 공통게이트 단자가 있다.

122. 다음 중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에서 베이스(base)전류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① 바이어스(bias)전압에 의하여 유지
② 빛과 직접 비례하여 유지
③ 빛에 반비례하여 유지
④ 해당사항 없음

123. 다음 중 UJT(unijunction transistor)의 특성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부저항성
② 첨두점 전압
③ 양방향성 도통
④ 진성이탈비

124. 다음 중 직접 회로(integrated circuit)의 특징으로 옳지 못한 것은?

① 소형이다.
② 경제적이다.
③ 신뢰성이 높다.
④ 모든 수동 소자의 직접이 가능하다.

125. 다음 중 대규모 직접 회로(LSI : Large-Scale Intergrated)로 분류되는 것은?

① 직렬/병렬 입 ․ 출력 레지스터
② 십진 계수기
③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④ 2진/16진 계수기
126. 다음 중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OP Amp)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옳지 못한 것은?

① 전압 이득이 무한대(Av= ∞)일 것


② 대역폭아 무한대(Bw = ∞)일 것
③ 오프 셋(off set) 전압이 1이어야 할 것
④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일 것(R1 = ∞)

127. 다음 중 연산 증폭기(OP Amp)의 입출력 단자가 옳은 것은?

① 2개의 입력과 1개의 출력


② 1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
③ 1개의 입력과 1개의 출력
④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

128. 다음 중 NAND게이트의 논리식은?

① A+B
② 
 + B
③ A + 

④ 
 + 

129. 다음 중 기본 논리식이 A○
×B인 게이트(gate)는 무엇인가?

① AND
② EX-OR
③ NOR
④ OR

130. 다음 중 Bool 대수가 틀린 것은?

① A + 1 = 1
② A▪0 = 0
③ A + A = A
④ A + 
 = 0
131. 외부 전원이 반드시 필요한 마이크(Microphone)는?

① 다이나믹 마이크(Dynamic Microphone)


② 리본 마이크(Ribbon Microphone)
③ 콘덴서 마이크(Conderser Microphone)
④ 일렉트레이트 마이크(Electret Microphone)

132. 다음 마이크(Microphone)중에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야외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마이크(Microphone)는?

① 리본 마이크(Ribbon Microphone)
② 다이나믹 마이크(Dynamic Microphone)
③ 일렉트레이트 마이크(Electret Microphone)
④ 콘덴서 마이크(Conderser Microphone)

133. 학교 강당에서 강연회를 확성할 경우에 어떠한 마이크(Microphone)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가?

① 헤미스페리칼(Hemispherical)
② 단일 지향 마이크(Uni-directional Microphone)
③ 무지향 마이크(Omni-directional Microphone)
④ 양지향 마이크(Bi-directional Microphone)

134. 스피커(Speaker) 품질에 영향을 주는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재생 주파수 대역
② 최대 출력 레벨
③ 임피던스(Impedance)
④ 진폭

135. 스피커(Speaker)에 100W를 입력했을 때, 10m 지점에서 음압 레벨이 100dB이며


스피커(Speaker)의 감도는 얼마인가?

①80dB
②97dB
③100dB
④120dB
136. 스피커(Speaker) 진동판에 의한 구분이 아닌 것은?

① 콘 스피커(Cone Speaker)
② 돔 스피커(Dome Speaker)
③ 리본 스피커(Ribbon Speaker)
④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

137. 앰프(AMP) 회로 중에서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① A급
② AB급
③ B급
④ C급

138. 파워(POWER) 앰프(AMP) 모드 중에서 상대적으로 소비 전력이 가장 많은 것은?

① A급
② B급
③ AB급
④ C급

139.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가 0.5Ω이고, 스피커 임피던스가 10Ω이면 댐핑(damping


factor, DF)은 얼마인가?

① 20
② 30
③ 40
④ 60

140.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의 단위는 무엇인가?

① W
② dB
③ phon
④ W
141. 다음 중 파장(λ), 주파수(f)와 음속(c)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은?

① λ = c/f
② λ = f/c
③ λ = c/  
④ λ =  /c

142. 다음 중 1초 동안에 반복되는 사이클(cycle)의 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음속(sound speed)
② 파장(wave length)
③ 주파수(frequncy)
④ 음파(sound wave)

143. 다음 중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구성의 4대 원칙으로 정의할 때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촬영부
② 감시부
③ 전송부
④ 기록부

144. 다음 중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의 전송방식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① 무지향 신호전송
② 불평형 신호전송
③ 디지털(digital) 신호전송
④ 평형 신호전송

145. 다음 중 불평형 통신기법으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유선 케이블(cable)은 어느 것인가?

① 근거리 통신망
② 전화망
③ 동축케이블
④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twisted pair cable)
146. 다음 중 고발포 케이블(cable)과 비교하여 ECX계열 동축케이블의 차이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중심도선의 재질에 따른 저항에 많은 차이가 있다.


② 실드(shield)의 저항이 높다.
③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
④ 절연 저항이 낮다.

147. 다음 중 RS-232 EIA의 표준규격 통신에서 표준통신거리는 얼마인가?

① 15M
② 100M
③ 500M
④ 1200M

148. 다음 중 통신방식에서 보내고 받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방식은?

① 일방통신
② 반이중통신
③ 전이중통신
④ 무선통신

149. 다음 중 순간 정전이 되거나 전력이 끊어지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는?

① 무정전 전원 공급기
② 자동 전압 조절기
③ 전연형 복권 트랜스
④ 전용 파워(POWER)

150. 다음 중 TCP/IP를 이용한 CCTV 시스템 구현에서 필요 없는 장비는?

①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② 라우터(router)
③ 네트워크 카메라(network cameras)
④ 분배기(distributor)
151. 버스닥트의 종류에서 도중에 이동 부하를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은?

① 피더(Feeder)버스닥트
② 프러그인(Plug-in)버스닥트
③ 트롤리(Trolley)버스닥트
④ 프러그(Plug)버스닥트

152.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부속자재가 아닌 것은?

① 레듀서(Reducer)
② 엘보(Elbow)
③ 라이자(Riser)
④ 커넥터(Connector)

153.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CD)의 시공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을 고려한다.


② 콘크리트에 매입될 때 건물의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게 바닥 두께의 2/3 이상은
배관하면 안 된다.
③ 합성수지관은 지지점의 거리를 1.5[m] 이하로 한다.
④ 합성수지제 가요관의 상호간 접속은 직접 접속한다.

154. 금속제 전선관(Conduit)의 시공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콘크리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배관을 2개 이하로 겹치게 한다.


② 전선관의 최소 곡률 반경은 관의 반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한다.
③ 전선관을 직각으로 굴곡하는 장소를 5개소 이하로 한다.
④ 관의 길이가 30[m]을 넘을 때 박스를 사용한다.

155. 분기회로 산정 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전등과 콘센트 회로는 분리한다.


② 분기회로 전선의 길이는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20[m] 이하로 한다.
③ 같은 스위치로 점멸 되는 전등은 같은 회로로 한다.
④ 분기회로는 별도의 분기 차단기를 설치한다.
156. 감전 위험 요소가 아닌 것은?

① 통전전류의 크기
② 통전시간
③ 통전경로
④ 통전장소

157. 감전 현상이 아닌 것은?

① 호흡정지
② 심장마비
③ 근육이완
④ 추락

158. 전기감전에서 통전경로별 위험도가 가장 큰 것은?

① 왼손-가슴
② 오른손-가슴
③ 양손-양발
④ 왼손-오른손

159. 우리나라는 몇[V]를 안전전압으로 규정하는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160.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감전보호
② 누전화재 보호
③ 전기설비 및 전기기 보호
④ 절연보호
161. 케이블을 나선형으로 꼬아 놓은 형태이며, 전자기 간섭을 막기 위한 별도의 피복이
없는 전선은?

① UTP(unshielded twisted pair)


② FTP(foiled twisted pair)
③ STP(shielded twisted pair)
④ FSTP(foiled shielded twisted pair)

162. 전체 케이블에 피복을 씌운 케이블의 명칭은?

① UTP(unshielded twisted pair)


② FTP(foiled twisted pair)
③ STP(shielded twisted pair)
④ FSTP(foiled shielded twisted pair)

163. 전체 케이블에 피복을 씌우고 각각의 나선형 케이블 쌍에도 피복을 씌운 케이블의
명칭은?

① UTP(unshielded twisted pair)


② FTP(foiled twisted pair)
③ STP(shielded twisted pair)
④ FSTP(foiled shielded twisted pair)

164. 카테고리 4의 통신용량은?

① 4Mbps
② 10Mbps
③ 16Mbps
④ 100Mbps

165. 카테고리 5의 통신용량은?

① 4Mbps
② 10Mbps
③ 16Mbps
④ 100Mbps
166. 광대역 동축 케이블(broadband coaxial cable)의 저항 값[Ω]은 얼마인가?

① 35
② 45
③ 55
④ 75

167. 기저 대역 동축 케이블(baseband coaxial cable)의 저항 값[Ω]은 얼마인가?

① 30
② 40
③ 50
④ 70

168.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대역폭이 넓다.
② 전송 속도가 빠르다.
③ 전기적 간섭이 적다.
④ 이중 나선 케이블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고 설치가 쉽다.

169. 동축 케이블의 용도가 아닌 것은?

① 광대역 전송로로 사용된다.


② 장거리 전화 및 TV전송
③ TV 신호 분배
④ 장거리 시스템 링크

170.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대역폭이 넓다.(3.3[GHz])
② 외부 간섭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③ 네트워크 보안성이 크다.
④ 데이터 전송속도는 100[Gbps]정도이다.
171.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설치 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② 고속데이터 전송과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③ 싱글모드는 2[km]까지 전송할 수 있다.
④ 멀티모드는 20[km]까지 전송할 수 있다.

172. 정보 전송방식이 아닌 것은?

① 단방향(simplex)통신 방식
② 반이중(half duplex)통신 방식
③ 전이중(full duplex)통신 방식
④ 장 방향(long)통신 방식

173. 정보전송에서 직렬 전송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전송속도가 느리다.
② 전송로 비용이 저렴하다.
③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④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 없다.

174. 정보전송에서 병렬 전송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전송속도가 빠르다.
② 전송로 비용이 비싸다.
③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④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 없다.

175. 네트워크 사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네트워크 관리자가 분산된 시스템을 한 위치에서 중앙 제어할 수 있다.


② 원하는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
③ 원격지에 있는 자원을 사용할 수 없다.
④ 프린터나 스캐너 같은 고가의 장비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176. 사무실, 학교 등의 일정 지역 내에 분산 되어 있는 주변기기, 워크스테이션 등의
자원을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전송, 저장, 처리하는 통신망으로 약 10[km]거리 내
에서 10[Mbps]정도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통신방식은?

① LAN
② WAN
③ MAN
④ VAN

177. 정보의 전송교환 방식이 아닌 것은?

①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②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③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④ 다중교환(multiple switching)

178. 주로 전화선이나 근거리 통신망에 사용되는 전선은?

① UTP(unshielded twisted pair)


② Coaxial Cable
③ STP(shielded twisted pair)
④ Optical Fiber Cable

179. 토큰링(Token-ring)형 근거리 통신망에 주로 사용되는 통신망은?

① UTP(unshielded twisted pair)


② Coaxial Cable
③ STP(shielded twisted pair)
④ Optical Fiber Cable

180.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 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Coaxial Cable)과 비교할 때


광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넓은 대역폭
② 작은 크기와 적은 무게
③ 보다 큰 감쇄도 및 넓은 리피터 설치 간격
④ 전자기적 격리
181. 정보 형태에 따른 정보 통신 서비스가 아닌 것은?

① 음성 통신
② 데이터 통신
③ 화상 통신
④ E-mail 서비스 통신

182. 정보통신 표준화 기구가 아닌 것은?

① ISO
② ITU-T
③ IEEE
④ ANCI

183.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Topology) 방식 중 성(Star)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보수와 관리가 용이하다.


② 전송제어 기능이 간단하다.
③ 각 단말의 전송속도에 차이를 줄 수 있다.
④ 통신망의 구성이 복잡하나 견고하다.

184.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Topology) 방식 중 링(Ring)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공평한 통신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② 통신회선이 장애가 날 때 융통성을 가질 수 있다.
③ 양방향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④ 전체적인 통신 처리량이 증가한다.

185.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Topology) 방식 중 링(Ring)형의 단점이 아닌 것은?

① 단말기 증가가 어렵다.


② 전체적인 통신처리량이 증가한다.
③ 하나의 단말고장이 전체의 통신망에 영향을 준다.
④ 통신망의 구성이 복잡하다.
186.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Topology) 방식 중 버스(Bus)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통신회선이 1개이므로 물리적 구조가 간단하다.


② 단말의 증가와 삭제가 용이하다.
③ 단말의 고장이 통신망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통신망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④ 방송모드이므로 경로 제어가 필요하다.

187.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Topology) 방식 중 버스(Bus)형의 단점이 아닌 것은?

① 기밀 보장이 어렵다.
② 노드수가 많아지면 망의 부하가 커져 성능이 저하한다.
③ 통신제어 기능을 가지므로 처리량이 증가한다.
④ 중앙 제어형에서는 우선순위 제어가 어렵다.

188. 정보 통신망 토폴리지(Topology) 방식 중 모든 데이터가 제어 노드를 중심으로


라우팅되므로 중개 과정이 간단한 정보 통신망은?

① 트리(Tree)형
② 그물(Mesh)형
③ 버스(Bus)형
④ 망(Ring)형

189. 정 보 통 신 망 토 폴 리 지 (Topology) 방 식 중 중 앙 호 스 트 에 문 제 가 발 생 하 면
전체 네트워크의 동작에 영향을 많이 주는 정보통신 방식은?

① 트리(Tree)형
② 그물(Mesh)형
③ 버스(Bus)형
④ 망(Ring)형

190. 정보통신망의 이용 분야가 아닌 것은?

① 정보 검색
② 금융 서비스
③ 고속 로밍 기능
④ E-mail
191. 통신망 아키텍쳐(Network Architecture)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집중된 컴퓨터나 단말간의 정보교환


② 컴퓨터 자원의 공동이용
③ 컴퓨터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
④ 분산처리에 따른 비용 성능비의 향상

192. 정보전송 기술에서 신호선과 공통접지선 4개로 구성된 통신회선은?

① 2선식
② 4선식
③ 6선식
④ 8선식

193. 통신회선의 접속 방식이 아닌 것은?

① 점-대-점 방식(Point-to-point)방식
② 단방향 전송(Simplex)방식
③ 집선(Concentration)방식
④ 다중화(Multiplexing)방식

194. 핸드폰, PDA, 노트북과 같은 정보기기들 간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전송거리는 10~100[m] 까지 가능한 것은?

① Bluetooth
② Zigbee
③ UWB
④ IrDA

195. UWB(Ultra Wide Band)의 기술적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고속 전송의 실현
② 극히 짧은 펄스를 이용한 송수신
③ Channel Capacity
④ 기존 협대역 시스템의 공유
196. 무선통신 기술에서 셀룰라 엔지니어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이동체가 교환기의 특정 단자에 수용되지 않으므로 경로 선택에 특별한 기능이 필요하다.


② 사용되는 주파수대가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③ 무선통신 방식이므로 페이딩을 극복하는 방식 및 제어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④ 회선을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하고 있고 또 이용자가 이동하고 있으므로 이동측의
호출 그리고 통화료 부과 등에 일반전화와 다른 기술이 필요하다.

197. 무선통신 기술에서 무선망과 인터넷이 통합되어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로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① UWB ② WiBro
③ Bluetooth ④ Zigbee

198. GPS 위성을 사용한 동기화 방식을 사용하는 비동기식은 위성을 이용하지 않고 기지국과
중계국간 동기화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은?

① IMT 2000 동기식 ② 뮤선 LAN


③ Bluetooth ④ Zigbee

199. WCDMA와 cdma2000으로 대별되는 3G 이동 통신과 4G 이동통신의 중간에 해당되는 기술은?

① LTE(Long Term Evolution)


② HAR(Home Location Register)
③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④ H-ARQ(Hybrid-ARQ)

200. 무선통신 기술에서 전송할 때 여러 개의 안테나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보내고


수신단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로 전송된 데이터를 통해 무선 채널 특성을 찾아내어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①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② LTE(Long Term Evolution)
③ HAR(Home Location Register)
④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금속·금속제품 제조업)

1. 다음 중 비철금속 원소가 아닌 것은?

① Mg
② Al
③ Fe
④ Cu

2. 다음 중 철강 재료가 아닌 것은?

① 순철
② 탄소강
③ 주철
④ 티타늄합금

3. 금속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① 열과 전기의 부도체이다.
② 금속적 무광택성을 가지고 있다.
③ 상온에서 고체이다.
④ 액체 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4. 금속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① 비중
② 경도
③ 자성
④ 부식성

5. 다음 중 금속의 결정구조가 아닌 것은?

① 조밀입방격자
② 조밀육방격자
③ 체심입방격자
④ 면심입방격자
6. 인장과 압축응력을 오랜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복 작용시켜서 일어나는 파단
현상은?

① 강도
② 경도
③ 인성
④ 피로

7. 강의 변태에서 ⍺고용체의 금속 조직학상 용어는?

① 페라이트(ferrite)
② 오스테나이트(austenite)
③ 펄라이트(pearlite)
④ 시멘타이트(cementite)

8. 다음 중 고상변태(고체에서 고상으로 변화)가 아닌 것은?

① 공정
② 공석
③ 포석
④ 편석

9. 2종 이상의 금속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본래의 성분 금속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는 독립된 결정격자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① 고용체합금
② 금속간화합물
③ 포정합금
④ 한율고용체

10. 금속의 강화기구 중 제2상이 분말야금이나 내부산화법에 의해 형성되는 강화현상은?

① 고용체강화
② 석출강화
③ 분산강화
④ 입자미세화강화
11. 금속의 소성변형을 응용한 소성가공법이 아닌 것은?

① 압연가공
② 단조가공
③ 프레스가공
④ 주조가공

12. 금속의 소성가공은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나누는데, 그 기준점은?

① 재결정온도
② 용융온도
③ 탄성변형온도
④ 응고온도

13. 다음 중 경금속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Al, V
② Cr, Zn
③ Fe, Mg
④ Al, Mg

14. 다음 중 인장강도 시험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① 연신율
② 경도
③ 용융점
④ 열전도도

15. Fe-C평형상태도에서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함유량은?

① 4.3%
② 2.0%
③ 0.8%
④ 0.025%
16. 다음 조직 중 탄소함유량이 가장 많은 조직은?

① 시멘타이트(cementite)
② 오스테나이트(austenite)
③ 펄라이트(pearlite)
④ 페라이트(ferrite)

17. 탄소강 중의 5대 원소가 아닌 것은?

① Al
② Si
③ Mn
④ P

18. 탄소강의 열처리에서 담금질을 하는 목적은?

① 조직의 표준화
② 내부 응력의 제거
③ 경도 향상
④ 탈탄 촉진

19. 다음 중 합금공구강의 용도가 아닌 것은?

① 내식용
② 절삭용
③ 내충격용
④ 열간가공용

20. Cr을 다량 첨가하여 내식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강은?

① 구조용 특수강
② 공구용 합금강
③ 스테인레스강
④ 고속도 공구강
21. 백주철의 조직으로 맞는 것은?

① 펼라이트+시멘타이트
② 펼라이트+시멘타이트+흑연
③ 펄라이트+흑연
④ 펄라이트+페라이트+흑연

22. 합금주철의 종류로서 부적당한 것은?

① 칠드주철
② 내마모성주철
③ 기계구조용 합금주철
④ 내열 및 내산주철

23. 주철의 주조성을 좌우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① 용탕의 산화도
② 유동성
③ 수축률
④ 흑연화

24. 황동(brass)의 합금성분은?

① Cu+Zn
② Cu+Sn
③ Cu+Ni
④ Cu+Fe

25. 황동 또는 청동에 비해 강도, 경도,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성질 및 내열성, 내식성이


우수하여 화학공업용 기기, 항공기, 자동차 등의 부품으로 적당한 재료는?

① 알루미늄청동
② 인청동
③ 연청동
④ 규소청동
26. 다음 알루미늄 합금 중 시효경화형 합금은?

① Al-Si
② Al-Cu
③ Al-Mn
④ Al-Mg

27. 알루미늄 합금에서 과포화 고용체를 만드는 용체화 처리 온도는 몇 도인가?

① 100℃
② 300℃
③ 500℃
④ 700℃

28. 미국 AA(Aluminum and Aluminum alloy)에서 분류한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의


식별부호 중 5000계열은?

① Al-Cu계 합금
② Al-Mn계 합금
③ Al-Si계 합금
④ Al-Mg계 합금

29. 니켈의 실용합금인 인바(invar), 엘린바(elinvar), 니켈로이(nickalloy) 등의 합금성분은?

① Ni-Fe 합금
② Ni-Cr 합금
③ Ni-Cu 합금
④ Ni-Al 합금

30. 베어링 합금은 주석계, 납계, 구리계, 아연계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구리계 베어링 합금의 명칭은?

① kelmet
② duralumin
③ babbit metal
④ monel metal
31. 18금(18K)의 순금 함유량은?

① 95%
② 85%
③ 75%
④ 65%

32. 섬유강화형 복합재료는 탄성률이 높은 섬유재로 모재금속을 강화시켜 금속재료


보다 비강도, 비탄성이 극히 높은 재료이다. 이 재료의 복합화 성형법으로 액상법이
아닌 것은?

① 고온압출법
② 용침법
③ 가압주조법
④ 진공주조법

33. 합금 중에 산화물 등의 내열입자를 분산시켜 대단히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기지는


금속이므로 세라믹보다 우수한 연성을 나타내어 내열성과 연성 양방향의 특성을
지닌 신금속재료는?

① 열전재료
② 핵융합로 구조재료
③ 입자분산 복합재료
④ 초내열합금

34. 다음 중 기능성 신금속재료가 아닌 것은?

① 자성재료
② 반도체재료
③ 비정질금속재료
④ 섬유강화금속재료

35. 금속재료가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특수한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는?

① 초탄성재료
② 초소성재료
③ 전극재료
④ 초강력강
36. 다음 중 안전보건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금지표지
② 경고표지
③ 지시표지
④ 도로표지

37.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탑승금지 표지인 것은?

38.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인화성물질경고 표지인 것은?

39. 다음 안전보건표지 중 응급구호 표지인 것은?

40. 재해발생시 응급처치 요령으로 잘못된 것은?

① 환자의 체온유지에 힘쓴다


② 구급차를 부른다
③ 환자에게 음료수를 준다
④ 변, 구토물 등의 증거품을 보존한다
41. 응급처치 구명 4단계가 아닌 것은?

① 지혈
② 기도유지
③ 보온유지
④ 운반준비

42. 안전색상 표시법으로 잘못된 것은?

① 적색-긴급정지누름단추, 소방시설
② 황색-압축기 공기파이프, 최소한의 안전표시
③ 황색과 흑색줄무늬-위험물, 장애물표시
④ 녹색과 백색줄무늬-방사선 장비구역표시

43. 드릴작업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동 후에 드릴이 올바르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② 장갑을 끼고 작업하지 않는다.
③ 드릴 회전 중에는 칩을 입으로 불지 않는다.
④ 전기드릴을 사용 할 때는 반드시 접지하도록 한다.

44. 연삭기 작업 안전수칙으로 올바른 것은?

① 연삭숫돌 교체시 시운전은 불필요한 동작이다.


② 연삭숫돌에 미세한 균열이 있어도 작업에는 지장이 없다.
③ 연삭숫돌 정면에서 150도 정도 옆으로 비켜서서 작업한다.
④ 가공물은 연삭숫돌에 급격하게 접촉시킨다.

45. 용접작업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접기 주변에 물을 뿌려서 먼지가 나지 않도록 한다.


② 용접기 어스선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③ 용접작업 중단시 전원을 차단시킨다.
④ 탱크 등 좁은 공간에서 용접작업시 물체에 기대지 않도록 주의한다.
46. 화학설비 해체작업시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① 화학설비 부속품을 세정할 때는 휘발성 세정액이 묻은 걸레를 사용하여야 한다.


② 화학설비 해체시 고압에 의한 유해물질의 분출이 없도록 내부 압력을 제거한다.
③ 화학설비 해체시 유해물질 비산에 대비하여 안전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④ 잔류물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 가스 또는 액체로 치환해 두어야 한다.

47. 위험장소 작업안전 수칙상 작업허가서가 필요하지 않는 작업은?

① 유해위험물질 취급작업
② 중량물이동 작업
③ 고소작업
④ 도금작업

48. 산업폐기물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폐기물에는 산업폐기물, 일반폐기물 및 방사성폐기물이 있으며, 산업폐기물은 19종으로 분류한다.


② 펄프제조업, 제지업, 종이 가공품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종이쓰레기라고 한다.
③ 의류, 기타 섬유제품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을 섬유쓰레기라고 한다.
④ 가축의 분뇨와 사체는 산업폐기물의 종류로 분류하지 않는다.

49. 각종 제조업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진흙 모양의 산업폐기물을 오니라고 하는데,


이의 처리 시 가장 적당한 함수율은 몇%입니까?

① 90%이하
② 85%이하
③ 80%이하
④ 75%이하

50. 산업폐기물 처리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폐산, 폐알칼리-매립 처분
②유기성오니-소각 처분
③고무쓰레기-용융가공 또는 소각처분
④폐플라스틱류-용융가공 또는 소각처분
51. 주형의 강도와 통기도 및 습기에 의한 결함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은?

① 건조
② 냉각
③ 체질
④ 혼련

52. 주형의 표면 건조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연소 도형제법
② 화염 건조법
③ 적외선 건조법
④ 건조로 건조법

53. 주형의 외부로부터 용탕을 주입하는 곳은?

① 주입컵(Pouring Cup)
② 탕구(Sprue)
③ 탕도(Runner)
④ 주입구(Gate)

54. 탕도에서 용탕이 주형에 들어가는 곳은?

① 탕구(Sprue)
② 주입컵(Pouring Cup)
③ 주입구(Gate)
④ 탕도(Runner)

55. 주형의 제품으로 되는 부분에 직접 주입구를 만드는 것은?

① 휠 주입구(Wheel gate)
② 직접 주입구(Direct gate)
③ 샤워 주입구(Shower gate)
④ 나이프 주입구(knife gate)
56. 탕구비라 함은 탕구, 탕도, 주입구의 단면적의 비를 말하는데 탕구가 25㎠,
탕도단면적이 50㎠, 주입구가 50㎠ 일 때 탕구비는 얼마인가?

① 1 : 1 : 1
② 2 : 2 : 2
③ 1 : 2 : 2
④ 2 : 2 : 1

57. 주물의 반지름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된 회전판을 일정한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켜
주형을 만드는 조형법은?

① 현형(Solid Pattern)
② 회전형(Sweep Pattern)
③ 골격형(Skeleton Pattern)
④ 부분형(Section Pattern)

58. 두 개의 플레이트의 한쪽에만 맞붙여서 상·하 주형을 각개의 조형기로 조형하는 것으로
매치플레이트의 경우보다 큰 대형, 중형을 제작하는 특수원형은?

① 마스터 패턴(Master Pattern)


② 매치플레이트(Match plate)
③ 패턴플레이트(Pattern Plate)
④ 부분형(Section Pattern)

59. 바닥에 주물사를 깔고 수평으로 만든 다음 다짐봉으로 다져서 여기에 원형을 수직으로


눌러서 만드는 조형법은?

① 개방 주형법(Open sand moulding)


② 주형 상자 주형법(Flask moulding)
③ 토간 주형법(Bed in moulding)
④ 표면 건조형법(Roast sand moulding)

60. 도형제가 구비해야 할 성질 중 틀린 것은?

① 도포성이 양호할 것
② 침투성이 양호할 것
③ 소착현상이 양호할 것
④ 열전도성이 낮을 것
61. 대기 중에서 용해하는 것에 비하여 전압이 낮고 용탕에 접하는 가스의 분압이
낮은 것이 특징인 주조법은?

① 마그네틱 주조법
② 자경성 주조법
③ 진공 주조법
④ CO₂ 주조법

62. 도가니 중에 가열 유지된 용탕 위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0.2 ~ 1.0 kg/㎠ 정도의


압력으로 압입시켜 도가니 안에 장치된 급탕관을 통하여 용탕을 중력과 반대 방향
으로 밀어 올려서 급탕관 상단에 설치된 주형에 주입하는 주조법은?

① 진공 주조법
② 저압 주조법
③ 고압응고 주조법
④ 원심 주조법

63. 주형 내에 주입된 금속에 용융 또는 반 용융 상태로부터 응고가 완료될 때까지


기계적인 고 압력을 가하면서 제품을 성형하는 주조방법은?

① 고압 응고 주조법
② 저압 응고 주조법
③ 원심 주조법
④ 정밀 주조법

64. 주형을 회전시켜 주입된 용탕에 원심력을 이용하여 품질이 좋은 주물을 값싸게 주조하는
주조법은?

① 금형 주조법
② 정밀 주조법
③ CO₂ 주조법
④ 원심 주조법

65. 원판상의 기어, 차륜, 풀리 등의 대칭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축의 둘레로 주형을


회전시키면서 회전축 중상의 탕구에 용탕을 주입시켜 주조품을 만드는 주조법은?

① 진원심주조(True centrifugal casting)


② 반원심주조(Semi centrifugal casting)
③ 원심가압주조(Centrifuged casting)
④ 인베스트먼트주조(Investment casting process)
66. 금속으로 만든 주형에 각종 합금의 용탕을 주입하여 제품을 만드는 주조법은?

① 마그네틱 주조법
② 시멘트계 주조법
③ 원심주조법
④ 금형주조법

67. 용융 금속에서 직접 압연과 동시에 빌릿(billet)을 연속적으로 작업하는 주조법은?

① 진공 주조법
② 연속 주조법
③ CO₂주조법
④ 석고 주조법

68. 건조 규사와 100 ~ 200 메시(mesh) 정도의 수지 점결제를 배합한 합성사를 200 ~ 300℃로
가열 경화시켜 얇은 조개 껍질상의 주형을 만드는 방법은?

① 셸몰드 주조법(Shell mould process)


② 다이캐스팅 주조법(Die casting machine)
③ 인베스트먼트 주조법(Investment casting process)
④ 풀몰드법(Full mould process)

69. 인베스트먼트 주조법에서 사용되는 원형의 재료는?

① 금속
② 왁스
③ 모래
④ 산화철

70. 소모성 원형인 발포성 폴리스티렌 원형을 사용하는 주조 방법은?

① 쇼 프로세스
② 석고 주형법
③ 풀몰드법
④ 칠주물 주조법
71. 코크스(coke)를 열원으로 하는 용해로는?

① 반사로
② 아크로
③ 유도로
④ 큐폴라

72. 주로 비철 금속 용해에 사용되는 용해로는?

① 도가니로
② 전기로
③ 반사로
④ 용광로

73. 용해로에서 1회에 용해할 수 있는 구리의 중량(kg)으로 규격을 표시하는 용해로는?

① 도가니로
② 용선로
③ 용광로
④ 전기로

74.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금속을 용해하는 로는?

① 용광로
② 도가니로
③ 전기로
④ 용선로

75.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광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온계는?

① 광 고온계
② 열전쌍 고온계
③ 복사 고온계
④ 풍압계
76. 주입용 기구로써 용융 금속을 주형에 주입하는 기구는?

① 레이들
② 중추
③ 송풍기
④ 고온계

77.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기 전에 Si, Fe-Si, Ca-Si 등을 첨가하여 주철의 재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① 탈황
② 접종
③ 탈산
④ 탈가스

78. 용탕에서 접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온도는 몇 ℃ 인가?

① 600℃ 이상
② 800℃ 이상
③ 1000℃ 이상
④ 1400℃ 이상

79. 주물 표면의 청정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펀치아웃머신(Punchout machine)
②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
③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④ 하이드로 블라스트(Hydro blast)

80. 기계 가공을 하지 않는 주물 표면에 나타나는 많은 주물 결함은 각종 충전재나


페이스트로 보수할 수 있고, 결함 장소에 경화되어 주물 내에 남을 수 있는 특수
소재를 메꾸어 넣는 방법의 보수법은?

① 용접에 의한 보수
② 충전재에 의한 보수
③ 침투법에 의한 보수
④ 메탈라이징에 의한 보수
81. 주형에 주입된 용탕은 주형 외벽으로부터 냉각, 응고되기 시작하여 점차 내부 또는
상부로 응고가 진행된다. 응고될 때 수축에 의해서 용탕이 부족해지고 최종 응고
부위에 공동(空洞)이 생기는 주물의 결함은?

① 균열(Crack)
② 개재물(Inclusion)
③ 미세공(Pinhole)
④ 수축공(Shrinkage cavity)

82. 주형 내에 용탕이 합류될 때 그 경계면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아 형태가 생기는 주물의


결함은?

① 소착(Sand burning)
② 파임(Scab)
③ 용탕경계(Cold shut)
④ 열간균열(Hot tear crack)

83. 주형과 용탕 간의 반응에 의해 주물사가 주물 표면에 융착되어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으로 주물사의 내화도가 낮거나 주형의 밀도가 낮을 경우에 발생하는 주물의
결함은?

① 기공(Blow hole) ② 파임(Scab)


③ 꾸김(Buckle) ④ 소착(Sand burning)

84. 용탕이 주형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응고된 주탕불량(misrun)의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① 탕구방안을 개선한다.
② 주입온도를 낮춘다.
③ 주입속도를 빠르게 한다.
④ 충분한 압탕을 준다.

85. 주물이 응고될 때 고온에서 응고 수축이 저지되어 발생되는 열간균열(Hot tear crack)의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① 합금의 함량을 조절한다.


② 주형은 열팽창계수가 높도록 한다.
③ 주물 두께의 급격한 변화가 없도록 주형을 설계한다.
④ 최종 응고 부위에 냉금(Chill metal)을 부착시켜 응력 발생을 방지한다.
86. 주물의 검사 중에서 외형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표면의 거칠기 검사
② 부분적 변형 검사
③ 합형의 틀림 검사
④ 길이 검사

87. 주물의 검사에서 치수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두께 검사
② 길이 검사
③ 기울기 검사
④ 화학 성분 검사

88. 주물의 내부 결함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자기 탐상 검사
② 초음파 탐상 검사
③ 기울기 검사
④ 방사선 투과 검사

89. X선이나 γ 선 등의 방사선을 주물에 투과시키면 검사 부위의 두께나 밀도,


재질 등에 따라서 투과 상태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주물 내의 결함 부위를
검사하는 방법은?

① 초음파 탐상 검사
② 방사선 투과 검사
③ 자기 탐상 검사
④ 형광 침투 탐상 검사

90. 원형 제작 시 주물의 재질, 모양을 고려하여 수축률을 결정하여 검사를 하는 방법은?

① 두께 검사
② 길이 검사
③ 기울기 검사
④ 중량 검사
91. 원형 제작 시 가공이 쉽고 가벼워서 원형용 재료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① 주철
② 주강
③ 석고
④ 목재

92. 원형재료로 목재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로서 틀린 것은?

① 금속에 비하여 재료비가 저렴하다.


② 합성수지에 비하여 가공비가 저렴하다.
③ 금속, 석고보다 가볍고 가공성이 좋다.
④ 대량 생산과 특별한 정밀도를 고려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93. 원형의 종류 중 구조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현형(Solid pattern)
② 회전형(Sweep pattern)
③ 풀몰드형(Full mould pattern)
④ 긁기형(Strickle pattern)

94. 용융 금속은 주형 속에서 냉각, 응고 시에 수축이 생겨 주물이 주형보다 작아지는


현상이 생기므로 실제 주물보다 크게 만들어 주는 것은?

① 가공 여유
② 수축 여유
③ 보정 여유
④ 빼기 기울기

95. 설계 도면에서 기계 절삭 가공을 위하여 미리 주물 표면에 그 만큼의 여유를


붙인 것은?

① 보정 여유
② 주물 여유
③ 가공 여유
④ 라운딩
96. 주형에서 수직인 면을 가진 원형을 빼낼 때 그 면이 클수록, 길이가 길수록 작업이
곤란하여 주형이 파손되기 쉬우므로 원형을 빼내는 방향에 구배를 주는 것은?

① 라운딩(Rounding)
② 가공 여유(Finishing allowance)
③ 수축 여유(Shrinkage allowance)
④ 빼기 기울기(Pattern draft)

97. 원형의 두께가 얇거나 파손되기 쉬운 부분에 설치해 주는 것은?

① 덧붙임
② 라운딩
③ 수축 여유
④ 주물 여유

98. 비중이 0.6인 목재로 원형을 제작하였더니 무게가 10kg이었다면 비중이 7.2인 주철
제품의 무게는 몇 kg인가?

① 100 kg
② 120 kg
③ 140 kg
④ 160 kg

99. 알루미늄으로 만든 원형의 무게가 40kg 일 때 주철 용탕의 무게는 몇 kg 준비하면


되는가? (단, Al 비중 2.7, 주철 비중 7.8, 계수는 0.3)

① 5 kg
② 15 kg
③ 25 kg
④ 35 kg

100. 목재의 건조 시 100㎜인 재료가 70㎜로 수축하였다면 수축률은 얼마인가?

① 10 %
② 20 %
③ 30 %
④ 40 %
101. 침탄 열처리(Carburization)를 하기 위한 기본 소재인 탄소강(Carbon steel)의 탄소
함유량은?

① 0.2% C 이하
② 0.4% C 이하
③ 0.6% C 이하
④ 0.8% C 이하

102. 탄소가 0.45% 함유된 탄소강(Carbon steel)을 화염담금질(Flame hardening)


하였을 때 표 면 경 도 (HRC)는 ?

① HRC 50
② HRC 55
③ HRC 60
④ HRC 65

103. 분위기열처리(Atmosphere Heat-Treatment)에서 변성로(Reforming furnace)나


참탄로(Carburizing furnace)내에 쌓인 그을음(Sooting)을 공기와 함께 연소시켜
제거하는 작업은?

① 노점(Dew point)
② 화염 커튼(Flame curtain)
③ 변성(Carrier)
④ 번 아웃(Burn out)

104. 고주파 담금질(Induction hardening)은 유도코일(Induction coil)과 가열할 물체 사이를


흐르는 고주파 전류(High frequency current)가 코일과 가열할 물체의 표면부에
집중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① 전류 효과(Electric current effect)


② 근접 효과(Proximity effect)
③ 표피 효과(Skin effect)
④ 고주파 효과(High frequency effect)

105. 탄소강(Carbon steel)을 담금질(Quenching)한 후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austenite)를


마텐자이트(Martensite)로 변태(Transformation)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은?

① 오스템퍼링(Austempering)
② 심냉처리(Sub-zero treatment)
③ 질화처리(Nitriding)
④ 침탄처리(Carburizing)
106. 강을 담금질(Quenching) 열처리할 때 냉각의 3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비산(Splash) 단계
② 증기막(Vapour barrier) 단계
③ 비등((Boiling) 단계
④ 대류(Convection) 단계

107. 탄소를 0.8% 함유한 탄소강(Carbon steel)을 A1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한 후 물에


냉각하면 나타나는 조직은?

① 트루스타이트(Troostite)
② 마텐자이트(Martensite)
③ 소르바이트(Sorbite)
④ 펄라이트(Pearlite)

108. 구조용합금강(Structural alloy steel)인 SNC강(Ni-Cr강)을 열처리할 때 Cr 탄화물이


결정입계(Grain boundary)에 석출(Precipitation)하면 경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방지하는 열처리 방법은?

① 830~880℃에서 유냉(Oil quenching)한다.


② 650~700℃에서 풀림(Annealing)한다.
③ 550~650℃에서 뜨임(Tempering)한다.
④ 250~350℃에서 항온담금질(Isothermal quenching)한다.

109. 마레이징강(Maraging steel)의 열처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마레이징강은 재가열하여도 뜨임(Tempering)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② 마레이징강은 용체화처리(Solution heat treatment)나 시효(Aging)에 의해 강화시킨다.
③ 마레이징강의 기본적인 열처리는 850℃에서 1시간 용체화처리한 후 공냉 또는 수냉한다.
④ 마레이징강은 담금질은 잘 되지만 뜨임이 되지 않는다.

110. 탄소공구강(Carbon tool steel)의 열처리에서 구상화풀림(Spheroidizing annealing)은


어떤 조직을 구상화시켜 강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인가?

① Cementite
② Pearlite
③ Austenite
④ Ferrite
111. 고속도공구강(High speed steel)을 540~580℃로 뜨임처리(Tempering)를 하면 경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현상은?

① 자경성 효과(Self hardening effect)


② 제2차 경화 효과(Secondary hardening effect)
③ 질량 효과(Mass effect)
④ 열간 효과(Hot effect)

112. 구상흑연주철(Ductile cast iron)은 Mg에 의한 백선화(White cast iron) 작용에 의해


균열(Crack)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풀림처리(Annealing)를 해야 한다. 이때 풀림처리
온도는?

① 850~870℃
② 740~750℃
③ 520~550℃
④ 250~500℃

113. Al-Cu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은 용체화처리(Solution heat treatment) 후 수냉하여


150~180℃에서 5~10시간 유지하면 최대 경도를 얻을 수 있는데 이 열처리는?

① 뜨임(Tempering) ② 풀림(Annealing)
③ 불림(Normalizing) ④ 시효(Aging)

114. Cu-Be 합금(베릴륨 청동 : Beryllium bronze)을 경화(Hardening)시키기 위해 담금질


(Quenching)하고 뜨임처리(Tempering)를 하는데 뜨임처리 온도는?

① 310~330℃
② 460~520℃
③ 580~600℃
④ 760~780℃

115. 분위기 열처리로(Atmosphere Heat-Treatment Furnace)에서 노기 가스(Atmosphere gas)에


의한 폭발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노기 가스가 중단되었을 때는 즉시 가스 밸브를 닫는다.


② 노가 고장났을 경우 즉시 산소를 공급하여 산화시킨다.
③ 노가 고장났을 경우 안전범위 내에서 분위기 가스를 번아웃(Burn out)한다.
④ 노기 가스의 압력에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가스 밸브를 닫는다.
116. 시안화구리(Copper Cyanide) 도금(Plat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철강 재료에 직접 도금을 할 수 있다.


② 도금 상태는 황산구리(Cupric sulfate)보다 양호하다.
③ 석출(precipitation)되는 구리의 결정이 매우 작다.
④ 시안을 함유하기 때문에 독성이 크다.

117. 황산구리(Cupric sulfate) 도금(Plating)에 사용하는 황산구리의 조성은?

① 60~80 g/ℓ
② 40~100 g/ℓ
③ 150~250 g/ℓ
④ 250~350 g/ℓ

118. 광택 니켈 도금(Gloss nickel plating)에서 도금 용액의 성분이 아닌 것은?

① 황산니켈(Nickel sulfate)
② 염화암모늄(Ammonium Chloride)
③ 염화니켈(Nickel chloride)
④ 붕산(Boric acid)

119. 니켈 도금(Nickel plating)에서 도금 용액 중에 알루미늄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도금에 미치는 영향은?

① 거친 도금이 된다.
② 피복력이 불량하고 음극 효율이 저하한다.
③ 피복력이 불량하고 구름이 낀다.
④ 구름이 끼고 전류밀도가 높은 곳이 탄다.

120. 크롬 도금(Chromium plating)에서 크롬의 이론 석출량이 1Ah에서 0.323g이며,


전류효율이 15%이었다면 실제 석출량은?

① 0.0485g
② 0.485g
③ 4.85g
④ 48.5g
121. 크롬 도금(Chromium plating)에서 촉매 작용(Catalysis)을 하는 것은?

① 무수크롬산(Chromic acid)
② 3가 크롬(trivalent chromium)
③ 황산(Sulfuric acid)
④ 질산(Nitric acid)

122. 금도금(Gold plating)에서 산성 도금 용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전착물(Electrodeposit)이 치밀하다.
② 음극 분극이 크고 균일 전착성(Equal Electroless)이 좋다.
③ 핀홀(Pin hole)이 거의 없다.
④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이 좋은 평활한 도금(smooth plating)이 얻어진다.

123. 아연 도금(Zinc plating)의 방식 중에서 아연분말(Zinc dust)과 철을 접촉 가열시켜서


아연을 침투(Penetration)시키는 방법은?

① 용융도금법(Hot plating)
②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
③ 세라다이징(Sheradizing)
④ 크로마이징(Chromizing)

124. 베럴 도금(Barrel plating)에서 균일 전착성(Equal Electroless)이 가장 좋은 베럴(Barrel)의


회전수는??

① 15~20 rpm
② 12~15 rpm
③ 10~12 rpm
④ 6~8 rpm

125. 도금(Plating) 약품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응급처치(First aid)로 틀린 것은?

① 즉시 119에 신고를 한다.


② 도금액이 옷에 묻었을 경우 옷을 즉시 벗는다.
③ 황산구리가 피부에 묻었을 때 물로 충분히 씻는다.
④ 수산화칼슘이 피부에 묻었을 경우 염산으로 중화시킨다.
126. 금속이나 비금속 등을 부분 가열하여 용융(Melting) 또는 반용융(Semi melting) 상태에서
접합(Joining)하는 방법은?

① 용접(Welding)
② 합금(Alloy)
③ 프레스(Press)
④ 주조(Casting)

127. 다음 중 용접(Weld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재료가 절약된다.
② 결합 효율(Coupling efficiency)이 향상된다.
③ 기계적 결합(Mechnical coupling)보다 결합력이 우수하다.
④ 용접부(Weld zone)가 열영향(Heat influence)으로 모재(Base metal)의 재질이 변한다.

128. 접합되는 부분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간 상태(Cold state)에서 압력을 주어


접합하는 방법은?

① 융접(Fusion welding)
② 압접(Pressure welding)
③ 납땜(Soldering)
④ 주조(Casting)

129. 아크 전류(Arc current)가 100A, 아크 전압(Arc voltage)이 20V, 용접속도(Weld speed)가


20cm/min이었을 경우 용접입열(Welding heat)은?

① 2,000 J/cm
② 4,000 J/cm
③ 6,000 J/cm
④ 8,000 J/cm

130. 피복아크 용접봉(Coated electrode)의 작용이 아닌 것은?

① 아크(Arc)를 안정하게 한다.


② 용융점이 낮은 슬래그(Slag)를 형성한다.
③ 용접금속의 정련작용(Refining)을 한다.
④ 용접금속의 산화작용(Oxidation)을 한다.
131. 모재(Base metal)를 수평(Horizontal)으로 놓고 용접봉(Electrode)은 아래로 향하여
용접하는 자세는?

① 아래보기 자세
② 수평 자세
③ 수직 자세
④ 위보기 자세

132. 가스 용접(Gas welding)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혼합 가스(Mix gas)는?

① 산소 가스와 질소 가스
② 산소 가스와 아세틸렌 가스
③ 산소 가스와 아르곤 가스
④ 질소 가스와 LPG 가스

133. 가스 용접(Gas welding)에 사용하는 산소 가스를 내용적 40ℓ의 용기에 35℃에서


200기압으로 압축하여 충전하였을 때 용기 속의 산소량은??

① 2,000
② 4,000
③ 6,000
④ 8,000

134. 가스 용접(Gas welding)에 사용하는 산소 용기를 취급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산소 용기를 보관할 때는 눕혀서 보관한다.


② 산소 용기를 운반할 때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한다.
③ 산소 용기는 화기(불)로부터 멀리 두어야 한다.
④ 산소 용기는 직사광선을 피하여 그늘진 곳에 놓아야 한다.

135. 점용접(Spot welding)의 3가지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용접전류(Welding current)
② 가압력(Pressure)
③ 용접자세(Welding position)
④ 통전시간(Resistance time)
136. 용접재(Weld metal)를 세게 맞대고 여기에 대전류를 통하여 전류의 저항열
(Heat resistant)로 가열시켜 큰 압력을 눌러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맞대기 저항 용접
(Butt resistance welding)이라고도 하는 용접법은?

① 점 용접(Spot welding)
② 업셋 용접(Upset welding)
③ 시임 용접(Seam welding)
④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

137. 가스 절단(Arc cutting)에서 절단 속도(Cutting speed)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것은?

① 산소 압력 ② 산소 농도
③ 용기 용량 ④ 팁(Tip)의 형상

138. 슬래브(Slab) 등의 강괴(Ingot) 표면에 존재하는 흠 또는 개재물(Inclusion)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얇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은?

① 가우징(Gouging)
② 스카핑(Scarfing)
③ 그루빙(Grooving)
④ 아크 절단(Arc cutting)

139.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나 연성(Ductility)을 알기 위한 기계적 파괴 시(Mechnical breaking


test)이 아닌 것은?

① 방사선시험(Radiograph test)
② 인장시험(Tensile test)
③ 충격시험(Impact test)
④ 굽힘시험(Bending test)

140. 용접부 검사 방법 중에서 용접표면 결함을 검출하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① 초음파 검사
② 방사선 투과 검사
③ 매크로 검사
④ 침투 검사
141. 전로(Converter) 공장에서 제강(Steelmaking)이 완료된 용강(Molten iron)은 연속
주조(Continuous casting) 공장으로 오기 전에 정련(Refining) 과정을 거칩니다. 이때
실시하는 버블링(Bubbling) 작업에 사용하는 불활성 가스(Inert gas)는?

① 산소, 수소
② 아르곤, 질소
③ 질소, 산소
④ 아르곤, 산소

142.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작업 전에 실시하는 정련(Refining)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① 용강(Molten iron) 성분의 조정


② 용강의 청정화
③ 용강 온도 균일화
④ 용강량의 조정

143.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작업에서 용강(Molten Iron)이 주형(Mold)에 달라붙지 않도록


주형을 진동하는 작업은?

① 실링(Sealing)
② 오실레이션(Oscillation)
③ 버블링(Bubbling)
④ 몰딩(Molding)

144. 주형(Mold) 안에서 응고(Solidification)된 주편(Solidified piece)이 주형을 빠져나와


냉각수(Cooling water)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은?

① 간접 냉각(Indirect cooling)
② 기계 냉각(Machine cooling)
③ 직접 냉각(Direct cooling)
④ 공기 냉각(Air cooling)

145.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가 완료된 주편(Piece)을 절단한 후 바로 고온의 주편


표면에 존재하는 결함(Defect), 불순물(Impurity), 스케일(Scale) 등을 제거하는 작업은?

① 열간 스카핑(Hot scarfing)
② 냉간 스카핑(Cold scarfing)
③ 손 스카핑(Hand scarfing)
④ 뜨임 스카핑(Tempering scarfing)
146.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신기술 조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턴디시 교환 연연주(Tundish exchange endless casting)


② 림드강 연연주(Rimmed steel endless casting)
③ 이강종 연연주(Unlike steel endless casting)
④ 주조 중 폭가변 연연주(Wide exchange endless casting)

147.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작업이 개시될 때 주형(Mold)내에 용강(Molten iron)을


채울 수 있도록 주형 바닥을 막아주고, 응고된 주편(Piece)을 핀치롤(Pinch roll)까지
인발 유도하는 장치는?

① 레이들(Ladle)
② 터렛(Turret)
③ 턴디시(Tundish)
④ 더미바(Dummy bar)

148.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장치에서 턴디시(Tundish)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① 주형으로 용강의 공급량을 조정


② 주형별로 용강을 분배
③ 주형에 의한 1차 냉각
④ 개재물 등의 불순물 분리 제거

149.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조업에서 주조시간(Casting time)이 2시간, 준비시간


(Ready time)이 1시간, 대기시간(Waiting time)이 1시간이었다면 싸이클 타임(Cycle time)을
계산하면 몇 시간인가?

① 1시간
② 2시간
③ 3시간
④ 4시간

150. 연속주조(Continuous casting) 공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알아야할 안전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① 앞머리를 내놓고 작업모(Fatigue cap)를 착용하였다.


② 신발은 운동화를 벗고 안전화(Safety shoes)로 바꿔 신었다.
③ 용강이 외부로 뛰는 것에 대비해 작업복은 방염복(Heatproof clothes)으로 갈아입었다.
④ 높은 온도의 용강(Molten iron)과 분진(Dust)에 대비해 보안경(Protective goggle)을 착용하였다.
151. 고로(용광로) 제선용 주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① 자철광
② 적철광
③ 갈철광
④ 능철광

152. 슬래그(Slag)의 유동성을 좋게 하는 부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CaCO3는?

① 백운석
② 철광석
③ 석회석
④ 규사

153. 가루 철광석과 코크스(Coke)가루를 혼합한 다음 코크스를 연소시켜 철광석 가루를


덩어리로 만든 광석은?

① 선철(Pig Iron)
② 펠리트(Pellet)
③ 석회(Lime)
④ 소결광(Sinter Ore)

154. 고로(용광로)에서 많이 사용하는 코크스(Coke)의 역할로 적합한 것은?

① 열원
② 점결제
③ 산화제
④ 냉각제

155. 고로(용광로) 본체 중 용선(Molten Iron)과 슬래그(Slag)가 저장되어 있으며 출선구


(Tapping Hole)가 설치된 곳의 명칭은?

① 노구(Throat)
② 노흉(Shaft)
③ 노복(Belly)
④ 노상(Hearth)
156. 고로(용광로)에 장입되는 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① 코크스(Coke)
② 철광석(Iron Ore)
③ 석회석(Lime Stone)
④ 실리콘(Slicon)

157. 고로(용광로) 내의 불어넣는 열풍 중 코크스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연소용 가스(Gas)의


명칭은?

① 수소(H2) ② 규소(Si)
③ 산소(O2) ④ 알곤(Ar)

158. 고로(용광로) 내의 철광석이 코크스(Coke)와 반응하여 용선(Molten Iron)이 만들어지는


화학식은?

① C+O=CO
② FeO+C=Fe+CO
③ Mn+O=MnO
④ Si+O2=SiO2

159. 제철소에서 중요하게 관리하는 슬래그(Slag)의 염기도를 나타내는 식은?

① SiO2/CaO
② CaO/SiO2
③ MgO/Al2O3
④ Al2O3/MgO

160. 고로(용광로) 내에서 출선할 때 용선과 함께 나와 용선 위에 떠있는 물질로 주로


산화물로 되어 있는 찌꺼기는?

① 슬래그(Slag)
② 코크스(Coke)
③ 일산화탄소(CO)
④ 슬러지(Sludge)
161. 전로제강용으로 사용되는 주원료로 고로에서 생산하여 공급하며 주요성분이 Fe로
되어 있는 원료는?

① 용선(Molten Iron)
② 석회석(Lime Stone)
③ 고철(Scrap)
④ 형석(CaF2)

162. 전로조업을 할 때 용강 중에 탄소(C)가 목표치보다 낮을 경우 투입하는 부원료로 적합한 것은?

① 석회석(CaCO3)
② 고철(Scrap)
③ 코크스(Coke)
④ 철광석(Fe2O3)

163. 정련을 위하여 전로 내 용선에 산소를 불어넣는 장치의 명칭은?

① 호퍼(Hopper)
② 스키머(Skimmer)
③ 랜스(Lance)
④ 주형(Mold)

164. 전로 내에 장입(Charging)된 용선중의 불순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어넣는 산화


정련용 가스는?

① 수소(H2) ② 질소(N2)
③ 알곤(Ar) ④ 산소(O2)

165. 고로에서 가져온 용선중의 S, P 등의 불순물을 전로에 장입하기 전에 제거하는


작업은?

① 제선원료 사전처리
② 소결
③ 노외정련
④ 용선예비처리
166. 전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고철 중에 수분이 많으면 어떤 사고가 발생되는가?

① 용강온도 급증
② 가스 중독
③ 폭발
④ 레이들 파손

167. 전로 조업을 할 때 전로 내에 산소를 불어 넣는 이유는 용선 중의 어떤 불순물을


주로 제거하기 위함인가?

① S ② C
③ As ④ B

168. 전로 내 용선중의 5대 불순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제거되는 화학식으로 맞는 것은?

① Si + 2O = SiO2
② Mg + O = MgO
③ Ti + 2O = TiO2
④ 2Al + 3O= Al2O3

169. 전로조업 중 용강온도가 목표치보다 너무 높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① 고철 투입
② 코크스 투입
③ 산소 추가 투입
④ 조업 중단

170. 전로에 용선 90톤, 고철 10톤을 장입하여 용강 98톤과 슬래그 2톤을 생산하였다면


출강실수율은?

① 90%
② 92%
③ 96%
④ 98%
171. 전기로제강에서 철원이 되는 주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고철
② 용선
③ 냉선
④ 합금철

172. 강중 기공흠(Blow Hole)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탈산제중 산소와 친화력이


가장 큰 원소는?

① Si
② Al
③ Mn
④ Sn

173. 전기로의 주요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노용 변압기
② 집진설비
③ 용선 예비처리장치
④ 전극 승강장치

174. 전기로는 원료장입에 앞서 용손된 노 내화물을 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내화물은?

① 알루미나(Alumina)
② 실리카(Silica)
③ 지르콘(Zircon)
④ 돌로마이트(Dolomite)

175. 전기로에 고철을 장입할 때 노 바닥부분에 어떤 고철을 장입해야 하는가?

① 대형 고철
② 중간 중량고철
③ 중량고철
④ 경량고철
176. 전로제강법과 비교하여 전기로제강법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용강 온도조절이 쉽다.
② 생산성이 우수하다.
③ 특수강제조가 쉽다.
④ 사용원료 제약이 적다.

177. 전기로조업 중 전력 투입량을 최대로 해야 하는 조업단계는?

① 출탕기조업
② 산화기조업
③ 용해기조업
④ 환원기조업

178. 전기로 환원기조업 때 주로 제거되는 원소는?

① 황(S)
② 인(P)
③ 탄소(C)
④ 규소(Si)

179. 전기로조업의 주요공정은 용해기조업→ ( )조업→ 제재조업→ 환원기조업


순서로 이루어진다. ( )에 맞는 조업은?

① 산화기
② 중화기
③ 원료장입
④ 노보수

180. 전기로조업을 마치고 출강할 때 용강을 받는 용기의 명칭은?

① 주형(Mold)
② 레이들(Ladle)
③ 슬래그 포트(Slag Pot)
④ 슈트(Shute)
181. 용강 레이들(Ladle)내의 슬래그(Slag) 위에 3상 교류 전극 봉(Electrode Bar)을 담그고
아크(Arc)를 발생시키어 정련하는 특수정련법의 명칭은?

① AOD(Argon Oxgen Decarburization)법


② VOD(Vacuum Oxgen Decarburization)법
③ LF(Ladle Furnace)법
④ PI(Powder Injection)법

182. 특수정련법의 하나인 AOD(Argon Oxgen Decarburization)법의 효과로 부적합한


것은?

① 승온 ② 탈탄
③ 탈황 ④ 탈가스

183. 레이들(Ladle)내에 있는 용강 중에 불활성가스를 불어 넣어 용강을 교반(Stirring)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버블링(Bubbling) ② 슬로핑(Slopping)
③ 스피팅(Spitting) ④ 보일링(Boiling)

184. 레이들(Ladle) 위에 진공조(Vacuum Champer)를 설치하여 레이들내 용강을 진공조 내로


끌어올려 탈가스를 하는 특수정련 장치의 명칭은?

① AOD(Argon Oxgen Decarburization)법


② VOD(Vacuum Oxgen Decarburization)법
③ LF(Ladle Furnace)법
④ RH(Ruhrstahl Hereaus)법

185. VOD(Vacuum Oxgen Decarburization) 정련은 탈가스를 목적으로 한다. 다음 중


탈가스 대상이 아닌 가스는?

① CO
② H2
③ Ar
④ N2
186.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소재를 회전하는 2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하를 가하여 판재나 선재 등을 생산하는 가공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단조(Forging)
② 압연(Rolling)
③ 프레스(Press)
④ 주조(Casting)

187. 두께가 50~30mm, 폭이 350~2,000mm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판재 압연용


소재의 명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강괴(Ingot)
② 블룸(Bloom)
③ 슬래브(Slab)
④ 빌릿(Billet)

188. 열간압연용 소재인 슬래브(Slab)를 압연하기 전에 검사하는 항목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표면 ② 치수
③ 형상 ④ 편석

189. 열간압연을 위하여 압연소재를 가열하는 설비의 명칭은?

① 가열로
② 보온로
③ 열처리로
④ 소성로

190. 다음은 압연에 필요한 수식으로 무엇을 산출하기 위한 것인가?


⦁ △h = h0 - h1 (h0 : 압연 전 소재 두께, h1 : 압연 후 소재 두께)

① 연신율
② 팽창율
③ 압하율
④ 압하량
191. 열간 압연 시 가열로에서 나온 압연용 소재를 사상 압연(Finishing Mill)하기에
적합하도록 압연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조압연
② 권취압연
③ 다듬질압연
④ 보조압연

192. 압연용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슬래브(Slab)는 다음 중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 데


적합한가?

① 선재(Wire Rod)
② 후판(Plate)
③ 환봉(Bar)
④ 형강(Section)

193. 열간 압연 코일(Hot Rolled Coil)을 생산하는 열간 압연 공정에서 사상압연 다음의


공정으로 맞는 것은?

① 스케일 제거 ② 가열
③ 냉각 ④ 조압연

194. 열간 압연에서 압연을 마치면 코일형태로 감아 열연 코일(HR Coil)을 제조하는


설비의 명칭은?

① 전단기(Divider)
② 채우기(Filler)
③ 압연기(Roller)
④ 권취기(Coiler)

195. 냉간압연 소재인 열연코일(HR Coil)의 표면의 산화철(Scale)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화학처리제로 산세(Pickling)효과가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① 질산
② 인산
③ 초산
④ 염산
196. 냉간압연에 의해 생산된 냉간압연 코일(Cold Rolled Coil)의 용도로 적합한 것은?

① 가전제품용
② 조선용
③ 보일러용
④ 교량용

197. 냉간압연(Cold Rolling)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로 적합한 것은?

① 슬래브(Slab)
② 열연코일(HR Coil)
③ 후판(Plate)
④ 바(Bar)

198. 냉간압연을 마친 강판표면에 부착된 압연유, 기계유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정련(Refining)
② 도금(Coating)
③ 청정(Cleaning)
④ 산세(Pickling)

199. 냉간압연에 의해 발생된 내부응력으로 가공성이 떨어진 강판에 600~850℃로 열을


가하여 가공성을 부여하는 열처리방법은?

① 소둔(Annealing)
② 소입(Quenching)
③ 소려(Tempering)
④ 소준(Normalizing)

200. 냉간압연을 마친 강판의 기계적 성질개선과 표면 성상을 조정하기 위하여 압하율


0.3~3%정도로 압연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조압연(Rough Rolling)
② 조질압연(Skin Pass Rolling)
③ 사상압연(Finish Rolling)
④ 가압압연(Reduction Rolling)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기계·금형 제조업)

1. 다음 중 절삭가공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선반 작업(Turning) ② 밀링 작업(Milling)
③ 프레스 작업(Pressing) ④ 드릴링 작업(Drilling)

2. 다음 중 회전 공구에 의한 가공이 아닌 것은?

① 선삭(Turning) ② 밀링(Milling)
③ 보링(Boring) ④ 드릴링(Drilling)

3. 공작기계의 구비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높은 정밀도를 가질 것
② 가공능력이 클 것
③ 고장이 적고 효율이 좋을 것
④ 가격이 비싸고 운전비용이 저렴할 것

4. 다음 중 고정입자에 의한 가공은?

① 호닝(Honing) ② 래핑(Lapping)
③ 액체 호닝(Liquid honing) ④ 배럴 가공(Barrel working)

5. 아래 그림의 공작기계는 무엇인가?

① 선반(Lathe)
② 밀링머신(Milling machine)
③ 보링머신(Boring machine)
④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6. 아래 그림은 어떤 공작기계에서 사용되는 장치인가?

① 선반(Lathe)
② 밀링머신(Milling machine)
③ 보링머신(Boring machine)
④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7. 공작물과 절삭공구가 모두 직선운동을 하는 공작기계는?

① 선반(Lathe) ② 보링머신(Boring machine)


③ 호닝머신(Honing machine) ④ 플레이너(Planer)

8. 가공 시 칩(Chip)을 발생시키지 않는 공작기계는?

① 연삭기(Grinding machine) ② 호닝머신(Honing machine)


③ 밀링머신(Milling machine) ④ 프레스기(Press machine)

9. 절삭온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가공물의 경도가 높을수록 높아진다.


② 온도가 높아지면 공구수명이 단축된다.
③ 공구와 공작물의 마찰이 적을수록 높아진다.
④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으로 인해 치수변화가 발생된다.

10. 공작기계 안내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가공이 용이해야 한다.


② 정밀도 유지를 위해 틈새(clearance)를 가능한 적게 한다.
③ 내마모성이 크고 미끄럼(sliding)이 원활해야 한다.
④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풀림(annealing)을 실시한다.
11. 공작기계의 몸체(body)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②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이 있어야 된다.
③ 응력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담금질(quenching)을 한다.
④ 몸체의 재료는 주로 인장강도가 높은 고급 주철을 사용한다.

12. 공작기계의 기본운동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회전운동(rotation motion) ② 이송운동(feed motion)


③ 절삭운동(cutting motion) ④ 위치조정운동(positioning motion)

13. 아래 그림은 어떤 가공을 나타낸 것인가?

① 보링(boring)
② 밀링(milling)
③ 리밍(reaming)
④ 드릴링(drilling)

14. 선반,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등의 기계를 한 대로 조합하여 제작한 공작기계는?

① 범용 공작기계(general purpose machine)


② 전용 공작기계(special machine)
③ 만능 공작기계(universal purpose machine)
④ 표준 공작기계(standard machine)

15. 그림과 같은 가공을 할 수 있는 공작기계는?

① 선반(lathe)
② 밀링머신(milling machine)
③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④ 슈퍼피니싱(super finishing)
16. 절삭유(cutting fluids)의 사용 목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공구의 인선을 냉각시켜 공구의 경도저하를 방지한다.


② 가공물을 냉각시켜 열에 의한 정밀도 저하 방지한다.
③ 칩(chip)을 씻어주고 가공표면을 양호하게 한다.
④ 안내면(slide way)에 윤활작용을 한다.

17. 절삭유의 구비조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방청 및 방식성이 좋아야 한다.


② 인화점 및 발화점이 낮아야 한다.
③ 냉각성, 유동성, 윤활성이 우수해야 한다.
④ 인체에 해가 없고 악취가 나지 않아야 한다.

18. 물과 원액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점성이 낮고 냉각효과가 우수하여 고속절삭 및 연삭


가공액으로 많이 사용되는 절삭유는?

① 광유(mineral oil)
② 유화유(emulsion oil)
③ 수용성 절삭유(soluble oil)
④ 지방질유(fatty oil)

19. 다음 중 절삭온도 측정방법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① 칩(chip)의 색깔에 의한 측정
② 절삭유의 온도에 의한 측정
③ 칼로리메터(calorimeter)에 의한 측정
④ 열전대(thermo-couple)에 의한 측정

20. 아래 그림과 같이 기어(gear)를 가공하는 공작기계의 명칭은 무엇인가?

① 셰이퍼(shaping machine)
② 호빙머신(hobing machine)
③ 호닝머신(honing machine)
④ 브로우칭머신(broaching machine)
21. 선반에서 가공할 수 없는 작업은?

① 테이퍼(taper) 절삭
② 나사(thread) 절삭
③ 기어(gear) 절삭
④ 편심(eccentricity) 절삭

22. 보통선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틀린 것은?

① 베드(bed) 상의 스윙(swing)
② 왕복대 위의 스윙
③ 양 센터(center) 사이의 거리
④ 바닥에서 센터까지의 높이

23. 아래 그림에서 척(chuck)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연동척(universal chuck)이다
② 편심(eccentricity)가공을 할 수 있다
③ 1개의 조(jaw)를 돌리면 4개의 조가 동시에 움직인다.
④ 초보자도 쉽고 빠르게 가공물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24. 아래 그림의 공구(tool)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선반(lathe)에서 사용된다.
② 주로 내경가공에 사용된다.
③ 엔드밀이라고 한다.
④ 인서트 팁(insert tip)의 교환이 불가능하다.

25. 절삭속도(cutting speed)의 단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m/min ② mm/min
③ mm/rev ④ rpm
26. 선반에서 지름이 30mm인 탄소강을 1200rpm으로 가공할 때 절삭속도는?

① 113 m/min
② 113 mm/min
③ 1130 m/min
④ 1130 mm/min

27. 선반가공시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칩(chip)을 짧게 끊어지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은?

① 노즈(nose) 반경
② 여유각(clearance angle)
③ 치핑(chipping)
④ 칩 브레이커(chip breaker)

28. 사진 속 선반용 부속품에 관해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회전센터(live center)라고 한다.


② 센터의 자루(shank)는 모스테이퍼(morse taper)로 제작한다.
③ 길이가 긴 공작물을 지지할 때 사용된다.
④ 심압축(tail stock)에 꽂아서 사용한다.

29. 구성인선(built-up edge)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절삭 속도를 크게 한다.
② 절삭 깊이(depth of cut)를 크게 한다.
③ 공구의 날 끝을 예리하게 한다.
④ 공구의 윗면 경사각(rake angle)을 크게 한다.

30. 선반에서 가늘고 긴 공작물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부속장치는?

① 면판(face plate)
② 돌림판(driving plate)
③ 방진구(work rest)
④ 맨드릴(mandrel)
31. 선반에서 지름이 80mm인 공작물을 절삭속도 302m/min으로 가공하고 있다면 이때의
주축회전수는 얼마인가?

① 1000rpm ② 1200rpm
③ 1400rpm ④ 1600rpm

32. 그림은 선반에서 무슨 가공을 하는 것인가?

① 널링(knurling) 가공
② 테이퍼(taper) 가공
③ 릴리빙(relieving) 가공
④ 보링(boring) 가공

33. 선반의 내경절삭(borin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외경바이트에 비해 진동이 심하다.


② 바이트를 최대한 길게 고정한다.
③ 외경절삭에 비해 이송을 느리게 한다.
④ 생크(shank)는 가능한 굵은 것을 사용한다.

34. 심압대를 이용하여 아래 도면과 같은 가공물 테이퍼를 가공할 때의 편위량은?

① 5mm
② 6mm
③ 7mm
④ 8mm

35. 선반에서 테이퍼를 가공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복식 공구대(compound tool post)를 경사시키는 방법


② 심압대(tail stock)를 편위시키는 방법
③ 테이퍼 절삭장치(taper attachment)를 이용하는 방법
④ 왕복대(carriage)를 회전시키는 방법
36. 그림과 같이 편심(eccentricity)가공을 할 때 가공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연동척에서 가공할 수 있다.


② 이송을 천천히 하고 절삭속도를 느리게 한다.
③ 다이얼게이이지의 이동량은 편심량X2로 맞춘다.
④ 충격절삭이 이루어지므로 공작물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37. 선반에서 지름 50mm의 탄소강재를 회전수 1000rpm, 이송 0.2mm/rev, 길이 50mm를


1회 가공할 때 소요되는 시간은?

① 20초 ② 40초
③ 60초 ④ 80초

38. 다음 중 밀링머신의 몸체(body)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컬럼(column) ② 테이블(table)
③ 니(knee) ④ 왕복대(carriage)

39. 아래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선반(lathe)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② 회전테이블(circular table)이라 한다.
③ 원주분할, 기어가공 등을 할 수 있다.
④ 편심(eccentricity)가공을 할 수 있다.

40. 밀링머신에서 하향절삭(down cutting)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백 래시(back lash)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② 상향절삭(up cutting)에 비해 공구수명이 길다.
③ 가공면이 깨끗하고 고정밀 절삭이 가능하다.
④ 절삭가공시 마찰력은 적으나 큰 충격력이 발생된다.
41. 밀링가공시 절삭속도 선정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커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추천 절삭속도보다 약간 높게 설정한다.


② 공작물의 경도, 강도, 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고려한다.
③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 속도를 느리게, 이송 속도를 빠르게,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④ 커터의 날이 빠르게 마멸되거나 손상이 되면 절삭속도를 좀 더 낮게 한다.

42. 밀링작업에서 떨림(chattering)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공작물을 단단히 고정한다. ② 백 래시(back lash)를 최대한 줄인다.


③ 공구는 최대한 길게 고정시킨다 . ④ 절삭 깊이를 적게 한다.

43. 연삭가공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경화된 강과 같은 단단한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② 정밀도가 높고 표면거칠기가 우수한 다듬질면을 얻을 수 있다.
③ 절삭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④ 연삭점의 온도가 매우 높다.

44. 연삭숫돌의 3요소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입자(abrasive)-결합제(bond)-기공(pore)
② 입도(grain size)-결합도(grade)-기공(pore)
③ 입자(abrasive)-결합도(grade)-기공(pore)
④ 입도(grain size)-결합제(bond)-기공(pore)

45. 아래 그림과 같이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 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도록 가공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리밍(reaming)
② 보링(boring)
③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④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46. 드릴(drill)의 파손원인이 아닌 것은?

① 이송이 너무 커서 절삭저항이 증가할 때


② 구멍에 칩(chip)이 배출되지 못할 때
③ 드릴을 너무 짧게 고정시켰을 때
④ 절삭날이 규정된 각도와 형상으로 연삭되지 않았을 때

47. 줄(file) 작업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① 줄을 밀 때 체중을 몸에 가하여 민다.


② 눈은 항상 가공물을 바라본다.
③ 줄을 당길 때 가공물에 압력을 가한다.
④ 팔꿈치를 옆구리에 밀착시켜 줄과 수평이 되게 한다.

48. 탭핑(tapping)작업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암나사를 가공하는 작업이다.


② 탭이 경사지지 않게 가공한다.
③ 드릴의 지름은 수나사 지름에서 나사피치를 뺀 값과 같다.
④ 탭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최대한 긴 탭핸들을 사용한다.

49. M10 TAP을 가공하려 한다. 이 때 드릴지름은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피치(pitch)는 1.5mm이다.

① 7.5mm ② 8mm
③ 8.5mm ④ 9mm

50. 드릴(drill)의 표준 선단 각은 몇 도인가?

① 45° ② 98°
③ 118° ④ 128°
51. 다음의 CNC 공작기계의 종류와 사용처의 연결 중 잘못된 것은?

① CNC선반, 머시닝센터 : 절삭가공


② CNC 평면연삭기, CNC 원통연삭기 : 연삭가공
③ CNC 와이어컷 방전가공기 : 방전가공
④ CNC 초음파가공기, CNC 레이저가공기 : 전주가공

52. CNC 공작기계의 구비 조건 중 적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절삭 가공의 능률이 좋을 것
② 동력손실이 크고 치수 정밀도가 좋을 것
③ 조작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을 것
④ 기계의 강성이 높을 것

53. 수치제어 자동화 시스템의 발달 과정을 4단계로 분류한 것이다. 맞는 것은?

① NC → CNC → DNC → FMS


② DNC → NC → CNC → FMS
③ FMS → NC → CNC → DNC
④ NC → DNC → CNC → FMS

54. CNC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서보(SERVO)기구 중 위치검출 회로가 없는 방식은?

① 반폐쇄회로 방식 ② 폐쇄회로 방식
③ 개방회로 방식 ④ 하이브리드 서보 방식

55. 범용 공작기계에서 사람의 손, 발과 같은 기능이 CNC 공작 기계에서는 어느 부분


에서 이루어지는가?

① 컨트롤러 ② 볼 스크루
③ 리졸버 ④ 서보기구
56. CNC 공작기계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① 위치 결정 제어 ② 직선 절삭 제어
③ 평면 절삭 제어 ④ 윤곽 절삭 제어(연속절삭)

57. CNC 공작기계의 테이블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나사로 백 래쉬(Back lash)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부품은?

① 볼 나사 ② 톱니 나사
③ 사각 나사 ④ 사다리꼴 나사

58. CNC 공작기계의 서보기구 형식에서 모터축으로부터 위치검출과 속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신뢰도가 높아 대부분의 CNC 공작기계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① 개방회로 방식 ② 반폐쇄회로 방식
③ 폐쇄회로 방식 ④ 반개방회로 방식

59. 머시닝센터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원통형상의 공작물을 다른 CNC공작기계에 비해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② 밀링, 드릴링, 태핑, 보링 작업 등을 연속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다.
③ 윤곽절삭 및 곡면가공과 같이 어려운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④ ATC를 비롯하여 APC 장치, Robot 및 자동 창고장치를 갖추어 FMS의 실현을 가능
하게 한다.

60. 다음 중 CNC 공작기계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제품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②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③ 특수공구의 제작으로 공구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④ 범용 공작기계로 가공하기 어려운 형상을 쉽게 가공할 수 있다.
61. 머시닝센터의 모드스위치 종류와 설명의 연결로 잘못된 것은?

① EDIT(편집) : 프로그램을 등록, 수정, 삭제한다.


② AUTO(자동) : 등록된 프로그램을 자동 운전한다.
③ MDI(반자동) : 수동으로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입력하여 운전한다.
④ HANDLE(핸들) : 버튼을 눌러 각 축을 연속으로 고속 이송한다.

62. 기계작동 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하는 기능의 버튼으로 기계의 작동을 순간


적으로 멈추게 하는 조작판의 요소는?

① 드라이런 ② 싱글 블록
③ 급송이송 오버라이드 ④ 비상정지

63. 다음의 G-Code “G97 S100 M03"에서 1분당 회전수(rpm)는?

① 10
② 100
③ 200
④ 500

64. CNC 선반 작업시 발생하는 구성 인선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절삭속도를 고속으로 한다.


② 공구 상면 경사각을 작게 한다.
③ 절삭 깊이를 깊게 한다.
④ 마찰저항이 큰 공구를 사용한다.

65. 다음 중 CNC 프로그램의 어드레스(address)와 그 기능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준비기능 : G
② 이송기능 : F
③ 주축기능 : S
④ 휴지(dwell) : M
66. 머시닝센터에서 M8×1.25p의 탭공구를 사용하여 탭가공을 하려고 한다. 회전수는
1분당 100회전(100rpm)을 사용하려고 할 때 피드(Feed)값으로 맞는 것은?

① 100 ② 125
③ 150 ④ 200

67. CNC 선반에서 φ50 환봉을 외경 가공하려고 한다. 절삭속도가 가장 빠른 G 코드는?

① G96 S100
② G97 S100
③ G96 S150
④ G97 S150

68. 머시닝센터 프로그래밍에서 공구 교환을 지령하는 보조 기능은?

① M06
② M09
③ M30
④ M99

69. 재료 기호가 “STD 10"으로 표기되어 있을 경우 이 재료는 KS에서 무슨 재료일까?

① 기계 구조용 합금강
② 탄소 공구강
③ 기계 구조용 탄소강
④ 합금 공구강

70. 머시닝센터에서 공구를 자동으로 장착하고 교환하는 장치는?

① ATC
② APC
③ ATP
④ APT
71. 다음의 기계가공 방법 중 선반 작업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 위에 공구나 재료를 올려놓지 않는다.


② 이송을 걸은 채로 기계를 정지시키지 않는다.
③ 빠른 생산을 위해 기계 타력 회전을 손이나 공구로 멈추게 한다.
④ 가공물 절삭공구의 장착은 확실하게 한다.

72. 다음의 기계가공 방법 중 선반 작업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절삭공구의 장착은 짧게 하고 절삭성이 나쁘면 일찍 바꾼다.


② 칩의 비산 시 보안경을 착용하고 비산을 막는 차폐 막을 설치한다.
③ 절삭 또는 회전 중 공작물을 측정하지 않으며, 칩 제거 시는 브러시나 긁기봉을 사용한다.
④ 작업 중에는 안전을 위해 손에 장갑을 낀다.

73. 선반 작업시 안전 사항으로 틀린 내용은?

① 척이 회전하는 도중에 일감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확실히 고정한다.


② 항상 비상 정지 버튼의 위치를 확인하고 있어야 한다.
③ 기계에 공구나 가공물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기계 정지 후 한다.
④ 가공 칩은 반드시 기계 정지 후 손이나 측정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74. 밀링 작업을 시작하기 전 설비를 점검하여야 한다.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의 각 부분을 점검한다.


② 기계 주위와 사용 공구의 정리·정돈을 한다.
③ 전원 및 각종 스위치를 확인한다.
④ 작업의 편리를 위해 평소 복장으로 작업한다.

75. 밀링 작업 혹은 선반 작업 도중에는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회전부분에 절대 손대지 않아야 한다.


② 장갑을 끼고 작업하지 않아야 한다.
③ 선반 작동 중 자리를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④ 정전일 때는 다음 작업을 위해 전원을 켜놓는다.
76. 기계 가공 작업이 끝나면 작업자 안전 및 다음 작업 준비를 위해 후처리를 해야 한다.
다음 중 작업 완료 후 처리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사용한 모든 공구를 정리·정돈한다.


② 모든 전원 스위치는 차단하고 이송장치 등을 원위치 시킨다.
③ 칩 제거와 기계 주위청소 및 정리·정돈을 한다.
④ 기계수리, 측정 등은 기계가 완전히 멈추기 전이라도 빠른 시간에 해야 한다.

77. CNC 선반 작업시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가공물을 장착하거나 끄집어 낼 때는 반드시 스위치를 끄고 바이트를 충분히 연 다음 한다.


② 안전을 위해 심압대는 스핀들을 가능한 길게 내어 놓는다.
③ 가공물의 장착이 끝나면 척, 렌치류는 곧 벗겨 놓는다.
④ 무게가 편중된 가공물의 장착에는 균형추를 부착하며 장착물은 방진구에 사용커버를 씌운다.

78. 다음의 내용은 CNC 선반 작업시의 안전 사항이다. 제시한 사항 중 틀린 것은?

① CNC 선반 공작물은 무게중심을 맞춰야 안전하다.


② CNC 선반에서 나사가공시 Feed Override는 100%로 해야 한다.
③ 바이트의 자루는 가능한 굵고 짧은 것을 사용한다.
④ 드릴은 Chip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절삭속도를 크게 해야 한다.

79. 머시닝센터 작업시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용 전에 기계·기구를 점검하고 시운전해 본다.


② 일감은 테이블 또는 바이스에 안전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③ 커터의 제거 혹은 설치는 작업 중이더라도 빠르게 설치한다.
④ 회전하는 커터에 손을 대지 않는다.

80. CNC 공작기계에서 전원을 투입한 후 기계운전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첫 번째 조작은?

① 프로그램 편집 ② 공작물 좌표계 설정


③ 기계 원점복귀 ④ 수동 Mode로 주축 회전
81. CNC 공작기계의 운전을 위한 준비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다. 작업 준비사항으로 제시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작업시 안전을 위해 장갑을 낀다. ② 절삭가공 전 반드시 프로그램을 확인한다.


③ 공작물의 고정에 유의한다. ④ 공구경로에 유의한다.

82. CNC 공작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경우, 작업 도중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 일반


적인 안전 사항 중 잘못된 것은?

① 기계의 움직이는 테이블 위에는 공구나 기타 물건을 올려놓지 않는다.


② 작업 중 보안경 및 안전화를 착용한다.
③ 기계주위는 항상 밝게 하여 작업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④ 강전반, 조작반 등의 먼지나 칩은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83. CNC 방전기의 작업시 안전 수칙으로 잘못된 것은?

① 장시간 무인운전은 원칙적으로 피해야 한다.


② 가공액은 비용 절감을 위해 저렴한 것만을 가공액으로 사용해야 한다.
③ 점검 보수를 위하여 컨트롤러의 내부를 열 때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다.
④ 운전 중에 전극을 만지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함부로 만지지 않는다.

84. CNC 방전기는 작업 중 화재위험이 있다.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로 잘못 제시된 것은?

① 이상 방전이 전혀 없을 때
② 가공액이 가공탱크에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큰 출력으로 작업할 때
③ 가공부위에 인화성이 높은 물체가 있을 때
④ 졸음 등으로 작업자가 주의를 소홀히 할 때

85. CNC 방전가공기의 정기점검 항목으로 잘못된 것은?

① 윤활유(1일 1∼2회)와 그리스(월 1회)는 주기적으로 주입한다.


② 설비 각부의 볼트 조임 상태의 점검은 6개월마다 시행한다.
③ 가공액 여과기의 필터는 적절한 시기에 교환해야 한다.
④ 기계의 사용 후에는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청소한다.
86. 다음의 점검 사항은 머시닝센터의 일일 점검 사항이다. 다음 중 매년 점검사항으로도
충분한 항목은?

① 외관 점검 ② 유량 점검
③ 각부의 작동 점검 ④ 기계 본체의 레벨 점검 및 조정

87. CNC 공작기계의 유지 관리를 위한 점검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① 각종 버튼은 무리 없이 작동하는가?
② 소모부품은 적절한 시점에 교환되고 있는가?
③ 전기적인 부분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는가?
④ 장비의 분해는 장비 동작 중에도 잘 되는가?

88. CNC 공작기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경보인 “Emergency stop 스위치 ON”
경보 해제 방법은?

① 비상 정지 스위치 해제
② 습동유 보충
③ 이송축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
④ 공기압을 높인다.

89. CNC 공작기계에서 경보와 원인의 연결 중 잘못된 것은?

① Emergency L/S ON : 비상정지 리미트 스위치 작동


② TORQUE LIMIT ALARM : 충돌로 인한 안전핀 파손
③ AIR PRESSURE ALARM : 공기압 부족
④ Lubrication Tank Level Law Alarm : 습동유 과다

90. 다음의 CNC 공작기계 경보와 해제방법의 연결 중 잘못된 것은?

① Emergency L/S ON : 비상정지 리미트 스위치를 해제한다.


② SPINDLE ALARM : 비상정지 스위치를 누르고 전원을 끈다.
③ AIR PRESSURE ALARM : 공기압(5㎏/㎠)을 높인다.
④ Lubrication Tank Level Law Alarm : 습동유를 규격품으로 보충한다.
91. 기계 제도에 사용하는 선은 여러 종류가 있다. 이들 선은 사용처에 따른 명칭, 선의 모양에
따른 명칭이 각기 다르다. 다음 선의 종류중 선의 종류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가는 실선 ② 파선
③ 1점쇄선 ④ 절단선

92. 기계 도면에는 제품의 형상과 치수를 나타내기 위한 여러 가지 기입 요소들이 삽입된다.


다음 중 치수의 기입요소가 아닌 것은?

① 치수선 ② 치수 보조선
③ 화살표 ④ 치수 경계선

93. 기계도면과 건축도면은 각기 다른 투상법을 사용한다. 다음 중 기계제도에 사용되는


투상법으로 맞는 것은?

① 1각법 ② 2각법
③ 3각법 ④ 5각법

94. 기계도면의 치수를 표현할 때 치수선의 양 끝에 기호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호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다음 중 기계도면에
사용되는 끝부분 기호가 아닌 것은?

① 화살표 ② 기점기호
③ 사선 ④ 검정 동그라미

95. 기계도면의 치수 기입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기입하여야 하며, 동일한 법칙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음 중 치수 기입의 원칙으로 틀린 것은 ?

① 치수는 선에 겹치게 기입해서는 안 된다.


② 치수는 되도록 계산이 필요하게 기입한다.
③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④ 치수는 중복기입을 피한다.
96. 기준점, 선, 평면, 원통 등으로 관련 형체에 기하 공차를 지시할 때 그 공차 구역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돌출 공차역 ② 데이텀
③ 최대 실체 공차 방식 ④ 기준치수

97. 다음 중 치수공차의 용어와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형체 : 치수 공차방식·끼워맞춤 방식의 대상이 되는 기계부품의 부분


② 구멍 : 주로 원통형의 내측형체, 원형 단면이 아닌 내측 형체도 포함
③ 치수 : 형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
④ 허용 한계치수 : 형체의 실제 치수가 그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정한 2개의 극한 치수

98. 다음 기하 공차 중에서 자세 공차에 해당하는 것은?

① -: 진직도 공차
② ⊥ : 직각도 공차
③ ◎ : 동심도 공차
④ ↗ : 원주 흔들림 공차

99. 다음의 표면의 결 도시 방법 중 “제거 가공을 허락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은?

100. 다음 중 가공 방법과 약호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선반가공 : L
② 드릴가공 : D
③ 밀링가공 : M
④ 연삭가공 : GH
101. 도면에 도형을 실물과 같은 크기로 나타내는 척도는?

① 현척 ② 축척
③ 배척 ④ 후척

102. 국가에서 제정한 한국표준규격은?

① BS ② DIN
③ KS ④ ISO

103. 투상도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정투상도
② 등각투상도
③ 사투상도
④ 오투상도

104. 도면 치수의 표시 방법에서 치수기입 요소로 틀린 것은?

① 치수 보조선
② 참조선
③ 화살표
④ 지시선

105. 기하공차의 기호를 설명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은?


106. 가공방법의 기호로 틀린 것은?

① L : 선삭 ② D : 드릴링
③ M : 밀링 ④ G : 호닝

107. 아래 보기의 등각 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투상도는?

<보기>

① ② ③ ④

108. 치수 보조기호의 표시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 : 지름 ② R : 구의 반지름
③ S∅ : 구의 직경 ④ t : 판의 두께

109. 보기의 부품 ①의 형상 해석으로 옳은 것은?

110. 탄소강으로 도면과 같은 부품을 가공을 하였을 때 부품의 무게는?


(단, 탄소강의 비중량은 7.8이다.)

① 약 4㎏ ② 약 5㎏
③ 약 7㎏ ④ 약 10㎏
111. 프레스에서 사고의 불완전한 상태(물적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안전 방호 장치 결함
② 복장, 보호구의 결함
③ 기계의 잘못 사용 결함
④ 작업 환경의 결함

11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작업 복장의 일반적인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작업복 ② 작업모
③ 신발 ④ 양발

113. 유해물질로부터 인체의 전부나 일부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구가 아닌 것은?

① 구두
② 보안경
③ 안전 장갑
④ 안전대

114. 스트리퍼와 다이판에 고정되어 플레이트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금형 부품은?

① 밀핀
② 피어싱 펀치
③ 가이드 핀 부시
④ 블랭킹 펀치

115. 프레스에 금형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16. 금형의 탈,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줄여주기 위한 고정 장치는?

① 금형 급속 교환 장치 ② 금형 분해 장치
③ 금형 보관 장치 ④ 금형 이송 장치

117. 사출성형기에 대형 금형을 설치할 때 금형을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① 드라이버 ② 바이스
③ 호이스트 ④ 해머

118. 프레스의 금형설치에 있어서의 사전 점검을 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다이홀더와 펀치의 직각도


② 싱크홀과 펀치의 평행도
③ 펀치와 다이의 평행도
④ 다이와 볼스터의 평행도

119. 아래 그림은 금형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고정구이다. 고정구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① 클램프
② 바이스
③ 커터기
④ 벤진구

120. 금형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⓵번 부품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① 고정용 블록
② 고정 클램프
③ 이동용 블록
④ 이동 클램프
121. 산업사고의 형태 중 정지물에 부딪친 경우는?

① 추락
② 화재
③ 충돌
④ 낙하

122. 작업장에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점검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공구의 기능
② 전기장치
③ 작업장 출입문
④ 정리 정돈

123. 산업현장에서 통행을 할 때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① 뛰지 않는다.
② 통로가 아닌 곳은 걷지 않는다.
③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는다.
④ 운반자에게 통행을 양보한다.

124. 대형 금형을 운반할 때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① 운반차는 규정 속도를 지킨다.


② 운반시 시야를 가리지 않게 쌓는다.
③ 승용석이 없는 운반차에도 승차한다.
④ 빙판에서 운반시 미끄럼에 주의한다.

125. 금형제작실의 일반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① 긴 장신구를 착용한다.
② 안전화를 착용한다.
③ 작업복을 착용한다.
④ 보안경을 착용한다.
126. 금형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보호구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유해 위험요소에 대한 방호 성능이 충분하여야 한다.


② 보호 장구의 원재료 품질이 양호하여야 한다.
③ 겉모양과 표면이 섬세하고 외관상 좋아야 한다.
④ 착용이 불편하여야 한다.

127. 프레스의 안전 점검 중 틀린 것은?

① 정기점검
② 일상점검
③ 임시점검
④ 매분점검

128. 금형부품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작업을 할 때 안전점검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비상정지 장치 확인한다.
② 보호안경 준비 확인한다.
③ 공작물을 확실하게 고정한다.
④ 안전덮개를 제거한다.

129. 정리·정돈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떨어지거나 넘어질 우려가 있는 위험물을 방치한다.


② 놓을 장소와 방법을 미리 정해둔다.
③ 불필요한 물품은 빨리 회수, 처분한다.
④ 작업이 끝나면 전원이 참가하여 정리·정돈한다.

130. 일반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의 가동 시에는 자리를 비우지 말아야 한다.


② 기계의 가동 중에 정비, 청소를 해야한다.
③ 내용을 모르는 작업에 함부로 손대지 말아야 한다.
④ 모든 기계는 담당자 이외에 손대지 말아야 한다.
131. 금형 재료 중에서 주철과 주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주조성이 우수하다.
② 절삭가공이 어렵다.
③ 흑연이 윤활작용을 한다.
④ 부분적으로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132. 금형 재료 중에서 탄소공구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수냉으로 높은 경도를 얻을 수 있다.


② 가격이 싸고 가공성이 우수하다.
③ 단단하지만 부스러지는 특성이 있다.
④ 경도가 균일하고 균열 위험이 없다.

133. 금형 재료 중에서 일반구조용강과 기계구조용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가격이 비싸다.
② 구입이 용이하다.
③ 가공성이 양호하다.
④ 열처리하지 않고 사용한다.

134. 금형재료로 사용하는 탄소강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상온 및 고온에서 경도가 커야 한다.


② 내마모성이 커야 한다.
③ 가공이 용이하여야 한다.
④ 가격이 비싸야 한다.

135. 특수강에 첨가하는 원소가 금속성질을 개선하는 것을 설명한 것 중에서 옳은 것은?

① 기계적 성질을 감소시킨다.


② 담금질성을 감소시킨다.
③ 화학적 성질을 감소시킨다.
④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136. 구리가 다른 금속에 비하여 우수한 점을 설명한 중에 틀린 것은?

① 열의 전도성이 우수하다.
②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③ 부식하기가 쉽다.
④ 광택이 아름답다.

137. 대량생산용 금형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강은?

① STD
② Al
③ Zn
④ Cu

138. 열처리에 의한 변형이 크면 곤란하고, 정밀 ․ 복잡한 캐비티(Cavity) 제작에 사용하는 강은?

① 석출 경화강
② 내식강
③ 비자성강
④ 아연합금

139. 강의 내부응력 제거와 강도 ․ 인성을 증가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① 담금질
② 뜨임
③ 풀림
④ 노멀라이징(Nomalizing)

140. 아공석강의 담금질(quenching) 열처리 온도로 옳은 것은?

① A1 변태선 이상 30~50℃
② A2 변태선 이상 50~80℃
③ A3 변태선 이상 30~50℃
④ A4 변태선 이상 50~80℃
141. 대량생산용 펀치나 다이에 주로 사용하는 금형재료는?

① 합금공구강(STD 11)
② 연강(SM 15C)
③ 고속도강(SKH 57)
④ 탄소강(SM 55C)

142. 철강 주물에 비하여 가벼운 금속으로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사용하는 재료는?

① 주물
② 탄소강
③ 연강
④ 알루미늄

143. 합성수지(synthetic resine)의 성질 중 틀린 것은?

① 성형이 간단하다.
② 무겁고 약하다.
③ 내산성이 좋다
④ 열에 약하다.

144. 합성수지의 성형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압축성형
② 사출성형
③ 압출성형
④ 주물성형

145. 열을 가하여 성형한 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지(resin)는?

① 열경화성수지
② 열가소성수지
③ 내부변화성수지
④ 외부경화성수지
146. 스프링에 비해 탄성한도의 허용 폭이 크며, 안경테, 스프링, 와이어 등에 사용하는 재료는?

① 초소성 재료
② 초탄성 재료
③ 초전도 재료
④ 자성 재료

147. 구조용 신금속 재료 중에서 고강도강 재료로 틀린 것은?

① 초강력강
② 티타늄 합금
③ 시효 경화강
④ 연강

148. 금속 재료 기호 표기법에서 황동의 기호는?

① Al
② Bs
③ F
④ Pb

149.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이 요구하는 성질로 틀린 것은?

① 유동성이 좋아야 한다.


② 열간 취성이 커야 한다.
③ 응고 수축에 대한 용탕 보급률이 좋아야 한다.
④ 금형에 접착하지 않아야 한다.

150. 주철의 분류에서 특수주철에 해당하는 것은?

① 칠드주철
② 보통주철
③ 합금주철
④ 고급주철
151. 다음 중 정밀측정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절대측정법
② 직접측정법
③ 간접측정법
④ 비교측정법

152. 다음 중 측정오차의 정의로 맞는 것은?

① 측정오차 = 최대측정값 - 참값
② 측정오차 = 측정값 - 참값
③ 측정오차 = 최소측정값 - 참값
④ 측정오차 = 최대측정값 - 최소측정값

153. 다음 중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밀측정실의 표준 온도와 습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16℃, 54%
② 18℃, 56%
③ 20℃, 58%
④ 22℃, 60%

154. 다음 중 측정기의 분류에서 지시측정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버니어 캘리퍼스
② 마이크로미터
③ 다이얼 인디케이터
④ 공구현미경

155. 다음 중 정밀측정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오차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절대 오차
② 계통 오차
③ 우연 오차
④ 과실 오차
156. 다음 중 바깥지름, 안지름, 깊이 단차 등을 하나의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는?

① 외경 마이크로미터
② 버니어 캘리퍼스
③ 하이트 게이지
④ 다이얼 게이지

157. 버니어 캘리퍼스에서 어미자의 1눈금이 1㎜일 때 0.05㎜까지 측정하려면 아들자의


눈금은 어미자의 몇 ㎜를 몇 등분하여야 하는가?

① 아들자의 눈금은 어미자의 9㎜를 10등분


② 아들자의 눈금은 어미자의 19㎜를 10등분
③ 아들자의 눈금은 어미자의 19㎜를 20등분
④ 아들자의 눈금은 어미자의 49㎜를 50등분

158. 다음 중 높이를 측정하거나 금 긋기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는?

① 블록 게이지
② 피치 게이지
③ 와이어 게이지
④ 하이트 게이지

159.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나사의 어느 부위를 측정하는 측정기인가?

① 나사의 유효지름
② 나사의 바깥지름
③ 나사의 피치
④ 나사의 홈 지름

160. 다음 중 공작용으로 사용되는 블록게이지의 등급으로 맞는 것은?

① 1급 ② 2급
③ 0급 ④ 00급
161. 다음 중 열처리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경도 및 인장력 증가
② 내식성 개선
③ 조직 조대화 및 취성 부여
④ 점성과 인성 부여

162. 다음 중 열처리의 종류에서 표면경화 열처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침탄법
② 질화법
③ 화염 경화법
④ 담금질

163. 다음 중 열처리할 때 가열온도가 A, ,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한 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뜨임
② 담금질
③ 풀림
④ 불림

164. 다음 중 일반 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담금질
② 질화법
③ 뜨임
④ 풀림

165. 다음 중 항온 열처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마퀜칭
② 마템퍼링
③ 노말라이징
④ 오스템퍼링
166. 다음 중 냉각 속도가 가장 빠른 냉각 방법은?

① 공기 중 냉각
② 유중 냉각
③ 노중 냉각
④ 수중 냉각

167. 다음 중 강을 불림 열처리할 때 가열온도로 맞는 것은?

① A, , 변태점 또는 A㎝선보다 30 ~ 50℃ 이상으로 가열한다.


② A변태점 이하로 가열한다.
③ A, , 변태점보다 30 ~ 50℃ 이하로 가열한다.
④ A변태점보다 30 ~ 50℃ 이상으로 가열한다.

168. 다음 중 가공 경화된 재료를 연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열처리를 하여야 하는가?

① 담금질
② 풀림
③ 뜨임
④ 불림

169. 다음 중 뜨임의 목적으로 맞는 것은?

① 가공 경화된 재료의 연화
② 경도 증가
③ 담금질 후 강의 강인성 부여
④ 조직의 표준화

170. 다음 중 저온 뜨임을 실시할 때 적당한 온도로 맞는 것은?

① 550~600℃
② 350~400℃
③ 250~300℃
④ 150~200℃
171. 다음 중 담금질한 강을 400℃에서 뜨임하면 어떤 조직을 얻을 수 있는가?

① 트루스타이트
② 마텐자이트
③ 소르바이트
④ 퍼얼라이트

172. 다음 중 담금질한 강을 600℃에서 뜨임하면 어떤 조직을 얻을 수 있는가?

① 트루스타이트
② 소르바이트
③ 마텐자이트
④ 퍼얼라이트

173. 다음 중 담금질한 강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시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0℃ 이하의


저온에서 처리하는 것은?

① 시효 처리
② 석출경화 처리
③ 심냉 처리
④ 가공경화 처리

174. 다음 중 금형용 공구강(STD)의 담금질 온도와 냉각 방법은?

① 담금질 온도 : 750 ~ 800℃, 냉각 방법 : 공기 중 냉각


② 담금질 온도 : 850 ~ 900℃, 냉각 방법 : 공기 중 냉각
③ 담금질 온도 : 650 ~ 700℃, 냉각 방법 : 공기 중 냉각
④ 담금질 온도 : 1000 ~ 1050℃, 냉각 방법 : 공기 중 냉각

175. 다음 중 고속도강(SKH)의 담금질 냉각제로 가장 좋은 것은?

① 60 ~ 80℃의 기름
② 소금물
③ 공기
④ 비눗물
176. 다음 중 전기로에 사용되는 발열체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전기 저항이 커야 한다.
② 용융점이 낮아야 한다.
③ 고온 강도가 커야 한다.
④ 고온에서 산화 저항성이 커야 한다.

177. 전기로의 금속 발열체 중 사용온도가 가장 높은 발열체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몰리브덴
② 칸탈
③ 텅스텐
④ 철-크롬

178. 다음 중 열처리에 사용되는 접촉식 온도계가 아닌 것은?

① 전기 저항 온도계
② 열전대 온도계
③ 압력 온도계
④ 광고 온도계

179. 다음 중 전기 저항 온도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고온 측정이 가능하다.
② 가격이 비싸다.
③ 정화도가 우수하다.
④ 자동제어 및 기록이 가능하다.

180. 다음 중 열처리에 사용되는 온도계 중 비접촉식의 온도계는?

① 압력 온도계
② 방사 온도계
③ 열전대 온도계
④ 전기 저항 온도계
181. 다음 중 전기기계, 기구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① 설비 대형화
② 기계 자동화
③ 취급 부주의
④ 장갑 착용

182. 다음 중 장비가 위치한 실내의 환기에 가장 주의해야 하는 열처리로는?

① 유도로
② 수냉로
③ 균열로
④ 가스로

183. 다음 중 방진 마스크를 사용하여야 하는 작업은?

① 고체 침탄작업
② 초음파 탐상작업
③ 현미경 시험작업
④ 수세 작업

184. 다음 중 작업장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 신고 연락처는?

① 112
② 119
③ 114
④ 100

185. 다음 중 가열된 제품의 취급 및 작업에 대한 유의사항 중 틀린 것은?

① 안전화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② 신체의 노출 부위를 적게 해야 한다.
③ 안전장갑은 작업에 방해가 되므로 착용하지 말아야 한다.
④ 냉각시 냉각액이 튀지 않도록 해야 한다.
186. 인체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신경과 기관을 자극하거나 손상을 입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접지
② 와전류
③ 절연
④ 감전

187. 다음 중 작업장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고 원인은?

①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
② 작업 방법
③ 시설 및 장비 결함
④ 작업 환경

188. 다음 중 산업안전 표지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금지 표지
② 보고 표지
③ 경고 표지
④ 안내 표지

189. 다음 중 안전ㆍ보건표지에서 [금지]를 나타내는 색은?

① 파랑
② 녹색
③ 빨강
④ 파랑

190. 다음 중 산소병을 취급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맞는 것은?

① 산소병 표면온도는 40℃이상으로 관리한다.


② 겨울철에 산소병 용기가 40℃이하로 냉각되었을 때는 산소불로 녹인다.
③ 산소가 새는 것을 확인할 때는 불을 붙여본다.
④ 운반시 캡을 씌운 상태에서 운반한다.
191. 다음 중 전기로에서 열처리할 때 맞지 않는 것은?

① 제품을 가열할 때 빠른 속도로 가열하여 가열시간을 단축시킨다.


② 산화 및 탈탄 방지에 노력한다.
③ 젖은 손으로 전원 스위치를 조작해서는 안 된다.
④ 열처리할 때는 화상을 입지 않도록 유의한다.

192. 다음 중 안전 점검방법에서 수시점검 방법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작업 전
② 사고 발생 직후
③ 작업 중
④ 작업 후

193. 다음 중 일반적인 폐수처리 방법 중 화학적인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

① 환원
② 중화
③ 부상
④ 이온교환

194. 다음 중 안전ㆍ보건표지의 색이 파란색일 때 용도는?

① 안내
② 금지
③ 경고
④ 지시

195. 다음 중 열처리로의 안전장치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① 시간제어 장치
② 상한 및 하한 온도계
③ 연소 감시 장치
④ 각종 압력 이상에 대비한 압력 스위치
196. 다음 중 공압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무단변속이 가능하다.
② 공기의 압축성으로 효율이 좋다.
③ 작업속도가 빠르다.
④ 압축공기를 축적할 수 있다.

197. 다음 중 공압 작동기의 속도를 조절하려면 무엇을 조정하여야 하는가?

① 압력
② 온도
③ 유량
④ 습도

198. 다음 중 회전식 공기 압축기가 아닌 것은?

① 베인식
② 스크루식
③ 루트 블로어식
④ 다이어 프램식

199. 다음 중 유압장치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온도영향을 많이 받는다.
② 안전장치가 가능하다.
③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④ 속도제어가 용이하다.

200. 다음 중 기어펌프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고압시 베어링 하중이 크다.


② 가변 용량형으로 많이 사용된다.
③ 외접식과 내접식이 있다.
④ 윤활유, 절삭유, 화학액의 수송용으로 사용된다.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화학물·화학제품 제조업)

1. 유기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유기용제는 비수용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화합물이다.


② 대부분의 유기용제는 실온에서 휘발되기 어렵다.
③ 유기용제는 작업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한다.
④ 페인트 제거제, 부식제에 포함된 유기용제는 소량 노출되어도 위험하다.

2. 메탄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메탄올은 플라스틱과 필름 제조, 접착제와 잉크의 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② 메탄올에 중독되면 망막 세포가 손상되어 시력을 잃을 수 있다.
③ 메탄올이 불순물로 포함된 술은 마셔도 해가 없다.
④ 메탄올에 중독된 경우 독성을 줄이기 위하여 에탄올을 투여할 수 있다.

3. 화학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독성의 강도에 비례한다.


②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노출된 농도에 비례한다.
③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노출된 시간에 비례한다.
④ 화학물질의 위험성은 노출된 시간과 무관하다.

4.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위험물에는 위험성이 있는 화학 물질이 포함된다.


② 위험성이 있는 화학물질에서 파생된 제품이나 도구 역시 위험물에 포함된다.
③ 위험물은 인간의 생명, 신체, 재산 및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물질이다.
④ 위험물은 특별한 관리나 규제가 필요 없다.

5. 위험물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부분 화학적, 물리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이다.


② 물 또는 산소와 반응성이 좋다.
③ 반응에 따른 발열량이 매우 낮다.
④ 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다.
6. 위험물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부분의 위험물은 가연성 물질이므로 연소성이 있다.


② 방사성을 보이는 위험물은 세심하게 주의하지 않아도 된다.
③ 일부 위험물은 폭발성을 보이기도 한다.
④ 일부 위험물은 화학적으로 독성을 보이기도 한다.

7. 인화성 물질을 취급할 때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

① 담배를 피우면서 다루어도 무방하다.


② 불꽃과의 접근을 피한다.
③ 고온의 물체와 접근을 피한다.
④ 함부로 증기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8. 가연성 가스 및 이의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연성 가스는 폭발을 일으키면서 급격히 팽창하므로 위험하다.


② 가연성 가스의 폭발은 충격적인 열과 압력을 발생시킨다.
③ 가연성 가스는 산화에 의해 폭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④ 가연성 가스는 비활성 가스 용기에 저장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9. 위험물 안전관리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위험물을 취급하는 업체에서는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한다.


②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응급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③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화재 발생 후 소방서에 연락하지 않아도 된다.
④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위험물 취급에 대한 일지를 작성해야 한다.

10. 위험물의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위험물의 쓰레기와 찌꺼기는 안전한 장소에 폐기하거나 적당한 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
② 위험물을 저장할 때 이물질을 섞어도 무방하다.
③ 위험물을 용기에 저장할 때에는 파손, 부식, 균열이 없도록 주의한다.
④ 위험물이 남아 있는 설비를 수리할 때에는 안전한 장소에서 위험물을 완전히 제거
한 후 실시한다.
11. 위험물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위험물의 저장 용기를 겹쳐 쌓아 규정 높이를 초과해도 된다.


② 위험물과 위험물이 아닌 물질과의 거리는 1 m 이상 유지한다.
③ 위험물과 다른 종류의 위험물 사이의 거리는 1 m 이상 유지한다.
④ 위험물 저장소는 다른 건축물과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12. 유해 화학 물질의 노출 시 대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공장에서 화학물질에 노출될 경우를 대비하여 적절한 치료와 처치 방법을 미리 파악


해야 한다.
② 농약은 독성이 강한 화학물질이므로, 작업 중 노출될 경우 적절한 치료와 처리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
③ 공장에서 작업할 때 화학물질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법을 잘 지키지 않아도 된다.
④ 유해 화학 물질에 노출될 경우 응급 처치 후에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13. 위험물의 종류 및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한민국에서는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따라 위험물이 분류되어 있다.


② 인화성 물질에는 인화성 고체, 인화성 액체와 인화성 기체가 포함된다.
③ 인화성 액체는 초기 비점이 섭씨 35도 이하인 물질이다.
④ 대한민국에서는 위험물질의 위험 등급에 따라 위험물을 분류하지는 않는다.

14. 가스 상태의 유해물질을 고려할 때 이러한 유해물질의 유해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가스와 증기가 포함된다.


②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분진이 포함된다.
③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소음이 포함된다.
④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명칭이 포함된다.

15. 유해화학물질 중 자기반응성 물질(self-reactive substance) 취급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저장 용기의 파손 및 균열에 주의하고 누출을 방지한다.


② 직사광선을 피하고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③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장소에 저장한다.
④ 눈이나 피부에 접촉 시 중성세제나 다량의 물로 씻는다.
16. 위험물 중 특수가연물의 저장 기준에는“쌓는 부분의 바닥 면적이 50m2 이하가 되도록
할 것”이 있다. 바닥에 특수가연물을 쌓을 때 가로를 5m로 한다며, 세로는 얼마인가?

① 5m ② 12m
③ 15m ④ 5km

17. 화학물질의 위험성이 많고 적음은 <위험성=독성강도×노출농도×노출시간> 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독성의 강도가 1일 때 위험성이 가장 큰 경우는?

① 노출 농도가 1, 노출 시간이 1인 경우
② 노출 농도가 0.5, 노출 시간이 2인 경우
③ 노출 농도가 0.25, 노출 시간이 4인 경우
④ 노출 농도가 0.125, 노출 시간이 9인 경우

18. 위험물과 비위험물의 설명에 대해 틀린 것은?

① 위험물은 인간의 생명, 신체, 재산과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화학물질로 관리나


규제가 필요한 것이다.
②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하면 위험물은 인화성과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면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질이다.
③ 비위험물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적용받지 않는 유해화학 물질이다.
④ 비위험물을 다룰 때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다.

19.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하면 제 4류 위험물은 인화성 액체에 해당된다. 인화성 액체에


포함되지 않는 위험물은?

① 제 1 석유류 ② 알코올류
③ 동식물 유류 ④ 철분

20. 다음 그림은 ‘호흡기과민성, 발암성, 생식세포 변이원성, 생식독성, 특정표적장기독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그림이 있는 화학물질을 취급할 때, 주의할 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호흡기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냄새를 맡지 않는다.


② 발암성이 있으므로, 피부에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장기에 독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먹지 않는다.
④ 호흡기에만 유해한 물질이므로, 피부에 노출되어도 씻어낼 필요는 없다.
21. 작업장에 있는 어떤 화학물질에 다음 두 개의 그림문자가 붙어 있다. 이 화학물질은
무엇인가?

① 산화성 액체
② 산화성 고체
③ 산화성 가스
④ 독성 가스

22. 우라늄의 노출 기준(TWA)이 0.2 mg/m3 인 것과 관련하여 맞는 것은?

① 인체가 우라늄에 노출되어도 별 탈이 없음을 의미한다.


② 인체가 우라늄에 노출되면 무조건 사망하게 됨을 의미한다.
③ 어떤 곳에 0.2 mg/m3의 우라늄이 존재하면 사망함을 의미한다.
④ 1일 작업시간 동안 0.2 mg/m3 미만의 우라늄에 노출되면 거의 모든 근로자에게 건강상
나쁜 영향이 없음을 의미한다.

23. 페 닐 포 스 핀 의 노 출 기 준 은 0.025 m g/m 3 로 써 이것은 최고노출 기준으로 C값


이라고도 표기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인체가 페닐 포스핀에 노출되어도 별 탈이 없음을 의미한다.


② 인체가 페닐 포스핀에 노출되면 무조건 사망하게 됨을 의미한다.
③ 어떤 곳에 0.025 mg/m 3의 페닐 포스핀이 존재하면 사망함을 의미한다.
④ 1일 작업시간 동안 페닐 포스핀에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안되는 기준이 0.025 mg/m3
이라는 의미이다.

24. 유해 요인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간공학적 요인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화학적 유해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소음 및 진동 ② 가스와 증기 등 기체
③ 액체 ④ 고체

25. 유리 세척 용액에는 암모니아가 함유되어 있다. 실험실에서 이 세척 용액병을 사용


하던 중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려 깨졌다. 이러한 화학물질의 유출에 대한 대응으로
잘못된 것은?

① NaOH가 포함된 표백제로 닦아낸다.


② 누출된 암모니아 기체는 유독하므로, 마스크를 착용한다.
③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려서 주의하도록 한다.
④ 깨진 유리병은 위험하므로, 맨손으로 줍지 않는다.
26. 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산이란 물에 녹았을 때 수소 양이온(H+)을 방출하는 화합물이다.


② 산은 수소와 하나 이상의 비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③ 산은 신맛이 나고 금속을 녹일 수 있다.
④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산의 대표적인 예이다.

27. 산-염기의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산-염기의 반응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두 물질이 중화되는 반응이다.


② 산-염기 반응은 중화반응이라고도 부른다.
③ 산-염기 반응의 예로 제산제와 위산의 반응을 들 수 있다.
④ 산-염기 반응은 물과 염산을 형성한다.

28. 염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염기란 수용액에서 OH-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이다.


② 염기는 산과 반응하여 중화반응을 일으킨다.
③ 중화반응을 거쳐 물과 염기가 형성된다.
④ 염기는 쓴 맛이 나는 물질이 많다.

29. 연소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연소반응은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만드는 화학


반응이다.
② 연소반응에는 에너지가 출입하지 않는다.
③ 연소반응에는 열이 방출된다.
④ 연소반응에서 방출되는 열을 연소열이라 부른다.

30. 생성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생성열이란 어떤 화합물 1 mole이 성분 원소들로부터 만들어질 때 발생하거나 흡수


되는 열량이다.
② 표준 생성열이란 표준 상태에서의 반응물과 생성물을 가정할 때의 생성열이다.
③ 생성열은 반응열의 일종이다.
④ 생성열은 반응열과 중요한 관련성이 없다.
31. 연소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연소열이란 어떤 화합물 1 mole이 완전 연소할 때 얻어지는 열의 변화이다.


② 유기화합물은 연소에 의하여 대부분 탄산가스와 물이 얻어진다.
③ 연소열은 영양학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④ 연소 반응은 항상 흡열 반응이다.

32. 화학 반응의 반응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H2(g) + Cl2(g) --> 2HCl(g), △H = -44 kcal

① 1 mol의 염화수소가 생성될 때, 반응열은 - 22 kcal이다.


② 이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③ 이 반응의 생성물은 염화수소 수용액이다.
④ 이 반응의 반응물은 수소와 염소 기체이다.

33. 화학 반응에서 1 mole의 요오드화 수소에 대한 반응열은?

H2(g) + I2(g) --> 2HI(g), △H = 11.9 kcal

① 11.9 kcal
② 5.95 kcal
③ 23.8 kcal
④ -5.95 kcal

34. 다음은 섭씨 18도에서 화합물의 1 mole 당 반응열(kcal)이다. 이 중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은 몇 개인가?

CH4(g): -212.8, C2H6(g): -373.0, C2H4(g): -337.0, C2H2(g): -310.5

① 1 ② 2 ③ 3 ④ 4

35. 반응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화학 반응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을 공급해야할때, 흡열


반응이라 한다.
②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화학 반응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을 제거해야할 때, 발열
반응이라 한다.
③ 생성물의 엔탈피의 합이 반응물의 엔탈피의 합 보다 더 크면 흡열반응이라 한다.
④ 발열반응은 반응물의 엔탈피의 합이 생성물의 엔탈피의 합 보다 작은 경우이다.
36. 표준 연소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연소반응이 1 기압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


② 연소반응이 1 Pa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
③ 연소반응이 1 mmHg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
④ 연소반응이 76 mmHg에서 일어날 때의 반응열로 정의된다.

37. 반응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생성열과 연소열은 반응열에 포함되지 않는다.


② 생성열이란 생성반응에 수반되는 반응열이다.
③ 표준 생성반응이란 1 기압에서의 생성반응을 의미하며, 이때의 반응열이 표준생성
반응열이다.
④ 표준 생성반응에서 온도는 제약 조건이 아니다.

38. 어떤 반응이 다음과 같이 진행되며, 반응물(A)와 생성물(B)의 엔탈피가 아래와 같이


주어졌을 때, 반응열은 얼마인가?

A --> B, HA = 100 kcal, HB = 50 kcal

① -50 kcal ② -50 cal


③ 50 kcal ④ 50 cal

39. p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어떤 물질의 pH가 7 보다 높으면 염기성이다.


② 어떤 물질의 pH가 7 보다 낮으면 염기성이다.
③ pH는 -log[H+]로 정의된다.
④ pH가 7이면 중성이다.

40. 불산 수용액의 pH가 2 일때 수소 이온의 몰농도는 얼마인가?

① 0.01 M ② 0.001 M
③ 0.0001 M ④ 0.00001 M
41. 천연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메탄(CH4)이 주성분이다.
② 연료로 활용되며 화학공업의 주요한 원료로도 사용된다.
③ 액화천연가스(LNG)는 냉각과 팽창을 통해 천연 가스를 액화시킨 것이다.
④ 건성가스와 습성가스로 나뉘어진다.

42. 천연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한민국에서는 천연 가스가 울산에서 소량 산출된다.


② 천연 가스의 성분은 석유와 거의 비슷하다.
③ 천연 가스를 연료로 활용한 자동차가 생산되고 있다.
④ 천연 가스는 합성 가스의 주요한 원료이다.

43. 합성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합성 가스란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의 혼합물이다.


② 합성 가스는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으로 제조될 수 있다.
③ 합성 가스는 석탄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④ 합성 가스는 주로 연료로 활용된다.

44. 석유정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석유정제란 원유를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여 각종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② 석유정제를 위하여 증류에 의해 원유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끓는점의 차이에 따라
분류한다.
③ 보통 원유를 전처리 하지 않고 바로 증류한다.
④ 석유정제를 통해 휘발유를 얻을 수 있다.

45. 석유의 정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석유의 정제는 황성분, 고무 상태의 물질 등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② 석유를 정제할 때 품질이 나쁜 탄화수소는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③ 석유정제 과정에서 세척을 위해 활용하는 황산은 공해를 유발한다.
④ 석유정제는 증류를 거쳐 얻어진 생성물에 적용한다.
46. 천연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천연가스는 메탄이 주성분이며, 천연으로 산출되는 가스이다.


② 천연가스는 건성가스, 습성가스, 액화석유가스로 분류된다.
③ 건성가스는 압력을 가해도 상온에서 액화되기 어렵다.
④ 습성가스는 압력을 가하여 상온에서 액화된다.

47. 원유의 증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예전에는 연속식으로 증류하였으나, 현재는 회분식(batch)으로 증류한다.


② 석유를 증류할 때에는 증류탑을 활용할 수 있다.
③ 원유에는 염산염이나 황산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증류 전에 탈염을 거친다.
④ 증류탑에는 여러 개의 쟁반(tray)를 설치하여 효과를 높인다.

48. 석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석탄은 석유 보다 공업적으로 중요한 자원이다.


② 석유를 증류하여 가솔린 등 연료를 얻을 수 있다.
③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석유가 생산되지 않는다.
④ 석유는 증류 후에 불순물을 제거하는 석유정제 과정을 거친다.

49. 천연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천연가스의 주성분은 부탄이다.


② 천연가스는 증류를 거쳐서 활용한다.
③ 천연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다.
④ 천연가스는 건성가스와 습성가스로 분류한다.

50. 석유정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석유정제란 증류를 거친 유분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② 석유정제를 거쳐 합성가스를 얻을 수 있다.
③ 석유정제는 천연가스의 순도를 높이는 과정이다.
④ 석유정제는 천연가스에 가압하여 액화하는 과정이다.
51.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의 정의로 맞는 것은?

① 도지사가 정하는 발화성 또는 인화성 등의 물질


② 소방서장이 정하는 폭발성 등의 물질
③ 대통령령이 정하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물질
④ 행정자치부장관관이 정하는 폭발성 등의 물질

52. 위험물의 지정수량이란?

① 군수, 시장이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


② 도지사가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
③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
④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정하는 수량을 말한다.

53. 위험물제조소 옥외에 있는 액체위험물을 취급하는 100  및 50  의 용량 2개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여야 할 방유제의 최소용량(  )은?

① 75 ② 50
③ 55 ④ 60

54. 품명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위험물을 동일한 장소에 저장할 경우 지정 수량의


환산은 어느 것인가?

① 저장하는 위험물 중 그 양에 가장 많은 것을 지정수량으로 한다.


② 저장하는 위험물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것이 지정수량 이상일 때이다.
③ 2품명의 위험물을 합하여 그 양이 지정수량 이상일 때이다.
④ 각 품명별로 저장하는 수량을 그 품명별 지정수량을 나누어 얻은 수의 합계가
1 이상일 때이다.

55. 제1류 위험물을 취급할 때 주의사항으로서 틀린 것은?

① 환기가 잘 되는 찬 곳에 저장한다.
②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한다.
③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한다.
④ 용기를 옮길 때는 개방용기를 사용한다.
56. 제1류 위험물 무기과산화물류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불연성 물질이다.
② 가열 또는 산화되기 쉬운 물질과 혼합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
③ 물과 반응하면 발열하고 수소를 발생하는 것도 있다.
④ 가열, 충격에 의해 폭발하는 것도 있다.

57. 2몰의 에틸알코올이 완전 연소할 때 생기는 CO2의 몰수는 ?

① 1몰
② 2몰
③ 3몰
④ 4몰

58. 제2류 위험물을 저장할 때에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① 환원제와의 접촉을 피한다.


② 가연물과 접촉을 피한다.
③ 금속분은 물 속에 저장한다.
④ 산화제와의 접촉 ·혼합을 피한다.

59. 제3류 위험물의 성질로서 적합한 것은?

① 산화력이 강하다.
②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 된다.
③ 전부 보호액 중에 보관해야 된다.
④ 전부 단체 금속이다.

60. 제3류 위험물의 화재예방상 공통된 성질로서 옳은 것은?

① 착화온도가 낮은 액체이다.
② 자연발화성 물질은 불티, 불꽃 또는 고온체의 접근, 과열 또는 공기와 접촉을 피한다.
③ 전부 가연성이지만 유기물과 접촉하면 산소를 발생한다.
④ 물과 접촉하면 산소를 발생하고 다른 물질을 산화시킨다.
61. 다음은 제4류 위험물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틀린 것은?

① 인화되기가 매우 쉽다.
②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
③ 착화온도가 낮은 것은 위험하다.
④ 증기와 공기가 약간 혼합되어 있어도 연소한다.

62. 공기의 평균 분자량을 29라고 했을 때 에탄올 증기의 표준상태에서 증기비중은?

① 1
② 1.2
③ 1.59
④ 2.3

63. T.N.T(Tri nitro toluene)의 분자량은? (단, H=1, C=12, O=16, N=14)

① 77
② 91
③ 227
④ 239

64. 벤젠의 화학식으로 맞는 것은?

① C6H6
② CH3OH
③ C2H5OH
④ C6H5OH

65. 등유나 경유는 어디에 속하는가?

① 제1석유류
② 제2석유류
③ 제3석유류
④ 제4석유류
66. 용량이 20,000L인 이동탱크저장소의 안전칸막이는 몇 개인가?

① 3개
② 4개
③ 5개
④ 6개

67. 2몰의 에틸알코올이 완전 연소할 때 생기는 CO2의 몰수는 ?

① 1몰
② 2몰
③ 3몰
④ 4몰

68. 벙커 C유는 어느 석유류에 속하는가?

① 제1석유류
② 제2석유류
③ 제3석유류
④ 제4석유류

69. 제5류 위험물의 취급상 옳지 않은 것은?

① 화기에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② 소화기는 할로겐화합물 소화기가 좋다.
③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④ 자연발화 하는 것이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70. 제6류 위험물 중 화재예방에 제일 주의해야 할 일은?

①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한다.


② 공기와의 접촉을 피한다.
③ 항상 냉각시켜 둔다.
④ 용기에 통풍구를 설치해 둔다.
71. 화장품의 분류가 맞지 않는 것은?

① 메이크업 화장품 : 파운데이션


② 바디케어 화장품 : 선크림
③ 스킨케어 화장품 : 화장수
④ 헤어케어 화장품 : 선오일

72. 메이크업 화장품이 아닌 것은?

① 파운데이션
② 화장수
③ 아이 섀도우
④ 네일 애나멜

73. 스킨케어 화장품이 아닌 것은?

① 화장수
② 팩
③ 모이스쳐 크림
④ 파운데이션

74. 에어로졸의 제조공정 순서가 맞는 것은?

① 재료검사- 원액충전량 검사- 가스충전 검사- 내압검사


② 재료검사- 가스충전 검사- 원액충전량 검사- 내압검사
③ 재료검사- 내압검사- 원액충전량 검사- 가스충전 검사
④ 재료검사- 내압검사- 가스충전 검사- 원액충전량 검사

75. 화장품 제조시 분쇄기를 사용하는 화장품 공정은?

① 유액 크림 제조공정
② 화장수 제조공정
③ 고형물체 제품 제조공정
④ 립스틱 제조공정
76. 화장품 생산시 주제조 설비가 아닌 것은?

① 분체혼합기
② 유화기
③ 충전기
④ 가열장치

77. 화장품 제조시 세척설비의 원칙이 아닌 것은?

① 위험성이 없는 용제(물이 최적)로 세척한다.


② 가능한 한 세제를 사용한다.
③ 증기 세척이 좋은 방법이다.
④ 분해할 수 있는 설비는 분해해서 세척한다.

78. 화장품의 반제품은 품질이 변하지 않도록 적당한 용기에 넣어 지정 된 장소에서 보


관해야 한다. 이때 용기에 표시사항이 아닌 것은?

① 명칭 또는 확인코드
② 제조번호
③ 완료된 공정명
④ 포장 설비명

79. 화장품 제조시 공정관리 및 작업 주의사항이 잘못된 것은 ?

① 모든 작업에 절차서를 작성하고 절차서에 따라 작업을 한다.


② 통상 발생하지 않는 작업과 처리에는 절차서를 작성하지 않는다.
③ 실행하지 않는 작업에는“실행하지 않는”것을 기재한 절차서가 필요하다.
④ 작업은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다.

80.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물(탈이온화(deionization), 증류 또는 역삼투압 처리 유무에


상관없이)에 대한 절차 중 틀린 것은?

① 오염의 위험과 물의 정체(stagnation)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청결과 위생관리가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해 물을
공급해야 한다.
③ 화학적, 물리적, 미생물학적 규격서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 시험은
하지 않아도 된다.
④ 물 처리 설비에 사용된 물질들은 물의 품질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
81. 중추신경계 작용약이 아닌 것은?

① 전신 마취제
② 최면제
③ 해열 진통제
④ 부정맥용약

82. 지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

① 비타민 A
② 비타민 D
③ 비타민 B
④ 비타민 E

83. 수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

① 비타민 B
② 비타민 B 
③ 비타민 B 
④ 비타민 B 

84. 의약외품이 아닌 것은?

① 구취제 또는 채취의 방지제


② 염색제
③ 치아 미백제
④ 연고제

85. Diastase, ediose 같은 가루로 된 약제는?

① 과립제
② 산제
③ 연고제
④ 정제
86. 생물학적 원료에 의해 생산되거나 생물학적 원료에서 추출된 생물학적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은?

① 생물유래의약품 ② 방사성의약품
③ 무균의약품 ④ 임상시험용의약품

87. 액제, 크림제 및 연고제 제조시 시설 및 설비가 틀린 것은 ?

① 제품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공정 및 이송 시에 밀폐식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제품이나 개봉된 깨끗한 용기가 노출되는 제조 작업구역은 여과된 공기로 효과적
으로 환기하여야 한다.
③ 제조에 사용하는 탱크, 용기, 배관 및 펌프는 쉽게 세척할 수 있고 필요시 소독 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설치되어야 한다.
④ 유리기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88. 밸리데이션(Validation) 정의에 맞는 것은?

① 설비 또는 부대 시스템이 적절히 설치되고 올바로 작동하며 예상되는 결과를 실제로


얻을 수 있음을 증명하고 문서화하는 행위를 말한다.
② 공정을 점검하거나 적절한 경우 공정을 조정 또는 중간체 또는 원료의약품이 규격에
적합한지 보증하기 위하여 생산 중에 수행되는 확인을 말한다.
③ 구체적인 공정, 방법 또는 시스템이 사전에 정해진 허용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고도로 보증하는 문서화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④ 물품 입고에서 원료의약품의 공정 및 포장에 이르는 원료의약품 조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말한다.

89. 무균의약품의 제조시 고위험 작업 지역은 몇 등급인가?

① A 등급 ② B 등급
③ C 등급 ④ D 등급

90. 무균 제품의 최종 공정에 대해서 틀린 것은 ?

① 반 밀전된 동결건조 바이알은 마개(stopper)를 완전히 삽입할 때까지 항상 B 등급


조건에서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
② 유리 또는 플라스틱 앰플과 같이 용융으로 닫는 용기는 100% 완전성 시험을 실시
하여야 한다.
③ 무균충전 바이알의 용기 마개 시스템은 알루미늄 캡을 씌워야 한다.
④ 바이알 캡핑은 멸균캡을 사용하는 무균공정으로 실시하거나 무균 핵심 지역밖에서
청정공정(clean process)으로 실시할 수 있다.
91. 중간 분쇄기에 속하는 것은?

① ball mill
② tube mill
③ edge runner
④ jaw 분쇄기

92. 한 분쇄기 내에서 큰 입자에서 작은 입자까지 분쇄가 되는 것은?

① 보올밀
② 튜브밀
③ 코오니컬 보올밀
④ 로드밀

93. 분쇄의 기본 작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압착
② 충격
③ 마찰
④ 용해

94. 아주 고운 가루를 얻는 분쇄의 원리는?

① 압착
② 충격
③ 마찰
④ 용해

95. 분진이 발화폭발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

① 가연성
② 미분상태
③ 지연성가스(공기)중에서의 교반과 유동
④ 건류가스
96. 분진폭발의 발생순서는?

① 공기 - 날림 - 분산 - 발화원의 발생 - 전면폭발 - 이차폭발


② 공기 - 분산 - 날림 - 발화원의 발생 - 전면폭발 - 이차폭발
③ 공기 - 날림 - 분산 - 발화원의 발생 - 이차폭발 - 전면폭발
④ 공기 - 날림 - 발화원의 발생 - 분산 - 전면폭발 – 이차폭발

97. 분진층의 온도가 250℃라면 분진운에서 발화 온도는 얼마인가?

① 250℃
② 300℃
③ 400℃
④ 500℃

98. 분쇄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열전도율 증가
② 성분의 분리
③ 반응속도의 촉진
④ 균일한 배합

99. 석탄 분진의 위험유해성에서 잠재적 건강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은?

① 피부접촉
② 흡입
③ 눈접촉
④ 섭취

100. 가연물이 고체일 때 덩어리보다 가루가 불타기 쉬운 이유는?

① 착화온도가 낮아지므로
② 발열량이 커지므로
③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④ 열전도율이 커지므로
101. 화합물은 어느 것인가?

① 공기
② 우유
③ 설탕물
④ 소금

102. 혼합물은 어느 것인가?

① 이산화탄소
② 공기
③ 염화수소
④ 암모니아

103. 고체가 기체로 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응고
② 용액
③ 승화
④ 액화

104. 결정성 고체의 순수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어느 것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① 녹는점
② 비중
③ 용해도
④ 색깔

105. 여러 가지 액체 혼합물로부터 각 성분을 순수하게 분리하고자 한다. 어떤 분리방


법이 적당한가?

① 분별증류
② 여과
③ 재결정
④ 증발
106. 에서 화학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① 증류
② 승화
③ 발효
④ 융해

107. 용액 중 용매가 물일 경우 어떤 용액이라 하는가?

① 분산액
② 현탁액
③ 수용액
④ 진용액

108. 5%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부터 18%의 수산화나트륨 농축액 5kg을 얻었다.


처음용액의 무 게 는 ?

① 20kg
② 10kg
③ 13kg
④ 18kg

109. 물의 온도를 30℃ 높이고자 한다. 몇 0F 높이는 것과 같은가?

① 440F
② 540F
③ 640F
④ 740F

110. 표준대기압 0℃, 1atm에서의 수은주 높이는 몇 mmHg인가?

① 720mmHg
② 740mmHg
③ 760mmHg
④ 780mmHg
111. NaOH 5kg을 증류수에 녹여서 2ℓ가 되게 하였다. NaOH의 질량농도는 몇 kg/ℓ인가?

① 5
② 2.5
③ 3
④ 3.5

112. 다음 폐수농도의 단위 표현 중 ppm이란 얼마의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가?

① 10만분의 1
② 100만분의 1
③ 1000만분의 1
④ 10억분의 1

113. 기준물질의 밀도에 대한 측정물질의 밀도의 비를 나타내는 것은?

① 비중
② 밀도
③ 비용
④ 비중량

114. 4℃ 물의 밀도 1.0g/cm3을 기준으로 하여 90℃의 물의 밀도가 0.9653g/cm3 이라면


물의 비중은?

① 1.0
② 0.9653
③ 1.0018
④ 0.9670

115. 폐기물 처리 방법 중 열적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탈수
② 열분해
③ 소각
④ 건류
116.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가장 경제적인 방법은?

① 소각
② 퇴비화
③ 재이용
④ 위생매립

117. 흡착법으로 잘 제거되는 산업폐수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SS의 농도가 크고 온도가 낮은 산업폐수이어야 한다.


② 유화현상(emulsion)이 있는 유해물질이어야 한다.
③ 용해성 고형물이 많이 존재하는 산업폐수이어야 한다.
④ 가벼운 기름의 농도가 높은 산업폐수이어야 한다.

118. 산업폐기물의 처리공정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폐산 ․ 폐알카리→중화→화학처리→방류
② 잔사 ․ 잡쓰레기→파쇄→소각→방류
③ 폐플라스틱→파쇄→소각→배기처리→매립
④ 폐유-저류분리→기름회수→소각→배기처리→방류

119. 자연환경의 오염방지를 위해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매립지 내에서 분해되어야 한다.
미래의 플라스틱 분해기술의 방향은 무엇인가?

① 광분해기술
② 열분해기술
③ 미생물 분해기술
④ 화학적 분해기술

120. 유해물질 연소시에 유발되는 대기오염 물질이다. 적절하지 않은 요소는?

① 분진
② 산성가스
③ 증기
④ 스모그
121. 쓰레기의 퇴비화에 주로 이용되지 않는 방법은?

①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분해
②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및 혐기성 분해
③ 미생물에 의한 혐기성 분해
④ 화학약품에 의한 유기물 분해

122. 도금폐액 중의 CN을 알카리 조건하에서 산화하는데 어떤 약품을 사용하는가?

① 황산
② 염소
③ 염산
④ 질산

123. 제약공업 폐기물에 관한 사항이다. 적절치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제약공업 폐기물의 처리는 연소에 의존하고 있다.


② 발효공정폐액의 토지 주입시에는 염분 농도와 NO3의 침출 문제가 있다.
③ 제약공업의 페기물에는 약품 및 유해물질 함유의 슬러지가 대부분이다.
④ 유기합성공정폐액은 산, 알카리, 용매, CN, SS등을 포함 한다

124. 다음 유해 액상폐기물 처리공정 중 전환공정(conversion process)이 아닌 것은?

① 수은-화학적 환원
② 시안-화학적 산화
③ 중금속-전기분해
④ 납-탄산염 침전

125. 다음 물질 중에서 건조제로 사용하는 물질은?

① 염화나트륨
② 질산은
③ 염화칼슘
④ 과망간산칼륨
126.다음 할로겐 원소 중 착이온을 가장 잘 만드는 원소는?

① 요오드
② 염소
③ 브롬
④ 플루오르

127. 우라늄이 붕괴되며 나오는 방사선이 아닌 것은?

① X-선
② α-선
③ β-선
④ γ-선

128. 다음 방사선의 특성 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

① 강력한 투과력을 가지고 있다


② 세포를 생성시키는 생리작용이 있다
③ 공기나 그 밖의 기체를 통과하면 그들이 이온화하여 전기를 전하게 하는 성질을 갖는다.
④ 인광물질에 닿으면 인광을 내게 한다.

129. 원자핵을 구성하는 물질을 핵자라고 한다. 핵자가 아닌 것은?

① 양성자
② 전자
③ 중성자
④ 중간자

130. 다음 불활성 기체중 방사선 원소가 α붕괴할 때 방출되는 것은?

① He
② Ne
③ Ar
④ Kr
131. 다음 단위 중 기본 단위가 아니며 유도 단위인 것은?

① 길이
② 밀도
③ 질량
④ 열량

132. 25wt% NaOH 수용액에서 H2O의 mole분율은 얼마인가? (NaOH 분자량: 40)

① 0.87
② 0.087
③ 8.7
④ 87

133. 표준상태에서 50m3의 용적을 가진 프로판(C3H8)가스를 액화하여 얻을 수 있는 액체


프로판의 무게는? (프로판(C3H8) 분자량:44)

① 110kg
② 98.2kg
③ 28.6kg
④ 49.1kg

134. 3m높이의 증류탑이 있다. 단위를 환산하면 몇 ft인가?

① 6.84ft
② 7.84ft
③ 8.84ft
④ 9.84ft

135. 표준상태에서 기체 1gr.mol이 차지하는 부피는 몇 ℓ인가?

① 0.224ℓ
② 2.24ℓ
③ 22.4ℓ
④ 224ℓ
136. 질량 1gr의 물체에 1cm/sec2의 가속도를 가질 때의 힘의 크기 단위는?

① 1 dyne
② 1 erg
③ 1 Newton
④ 1 poundal

137. 물은 4℃에서 밀도가 1.0g/cm3이다. 이를 환산하면 kg/m3인가?

① 0.001kg/m3
② 0.01kg/m3
③ 100kg/m3
④ 1000kg/m3

138. 유기화합물의 화학식 명명법에 있어서 수에 관한 접두어로 2개를 뜻하는 것은?

① 테트라
② 모노
③ 트리
④ 디

139. 탄화수소화합물의 명명법 중 펜텐(pentene)의 화학식은?

① C2H4
② C5H10
③ C4H8
④ C3H6

140. 탄소화합물(유기물)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는 것은?

① 유기화합물은 공유결합을 하며 녹는점이 높다.


② 유기용매에 녹는 것이 많다.
③ 구성 원소는 주로 C.H.O와 N.P.S 할로겐 원소로 되어 있다.
④ 유기물은 연소하여 CO2 와 H2O가 된다.
141. 포화탄화수소화합물중 액체 상태인 것의 탄소 수는?

① C1 ~ C4
② C5 ~ C16
③ C17 ~ C20
④ C20 ~ C30

142. 다음 물질 중 클로로포름은?

① CHCl3
② CH2Cl2
③ CH3Cl
④ CCl4

143. 벤젠의 유도체가 아닌 것은?

① 아닐린
② BHC
③ PVC
④ 피크린산

144. 다음 니트로화제 중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① 질산
② 황산
③ 질산+황산
④ 질산+초산

145. 어떤 용기 속에 염소(Cl2)35.5kg이 들어 있다. 만일 이 염소를 방출해서 표준


상태로 하면 염소가 차지하는 부피는 얼마인가? (Cl원자량: 35.5)

① 11.2m3
② 22.4m3
③ 32.5m3
④ 44.8m3
146. 4℃의 물을 기준으로 하여 90℃의 물의 비중을 나타내시오. 단 물의 4℃ 밀도
1.0g/cm3 , 물의 90℃밀도 0.9653g/cm3이다

① 1.0
② 1.0018
③ 0.9653
④ 0.9670

147. 고온 물체의 휘도와 표준용 전구의 휘도와 비교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는?

① 열전온도계
② 광고온계
③ 저항온도계
④ 압력식온도계

148. 다음 탄성 압력계 종류 중 탄성력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지 않는 압력계는?

① 브르동관식 압력계
② 벨로즈형 압력계
③ 격막식 압력계
④ 피스톤식 압력계

149. 어떤 공장의 폐수 중에서 독성 성분을 분석하였더니 3000ppm이었다 이를 %로 나타내면?

① 0.3%
② 3%
③ 30%
④ 0.03%

150. 질량으로 10%의 NaOH 용액 100kg을 농축하여 80%wt의 NaOH액을 얻었다. 증발된
수분의 양은?

① 8.75kg
② 87.5kg
③ 875kg
④ 0.875kg
151. 25℃를 화씨(°F)로 환산하면 얼마인가?

① 77°F
② 45°F
③ 13°F
④ -12.6°F

152. 밀도(density)의 단위(unit)로 맞는 것은?

① ㎝/sec
② g/㎤
③ g/㎝·sec
④ ㎤/sec

153. 부피의 단위가 아닌 것은?

① ㎥
② ℓ
③ ㎈
④ cc

154.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

① Pa
② atm
③ Torr
④ erg

155. 절대압이란 무엇인가?

① 대기압 + 게이지압
② 대기압 + 진공압
③ 대기압 * 게이지압
④ 게이지압 + 진공압
156. 유체의 흐름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관부속품(pipe fittings)이 아닌 것은?

① 엘보우(elbow)
② 카플링(coupling)
③ Y지관(Y branch)
④ 티(tee)

157. 화학공업에서 사용하는 열전달기구(Mechanism of heat transfer)가 아닌 것은?

① 전도(heat transfer)
② 대류(heat convection)
③ 투과(heat transmission)
④ 복사(heat radiation)

158. 화학공장에서 열교환기(Heat exchanger)를 이용한 설비가 아닌 것은?

① 열절약장치(boiler)
② 냉각기(cooler)
③ 응축기(condenser)
④ 추출기(extractor)

159. 물질의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가 가장 좋은 것은?

① 금속
② 물
③ 수소
④ 공기

160. 점도(viscosity)가 큰 물질끼리 또는 여기에 고체분말 등을 섞어 반죽하는 조작은?

① 혼합(mixing)
② 혼련(kneading)
③ 혼동(blending)
④ 교반(agitation)
161. 혼합의 목적(purpose of mixing)이 아닌 것은?

① 균질한 혼합물을 얻기 위하여


② 유탁액, 현탁액 등을 얻기 위하여
③ 화학적 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④ 물리적 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162. 교반기(agitator)의 회전속도 단위로 맞는 것은?

① mks
② fps
③ rmr
④ rpm

163. 회전용기형(revolution type) 혼합기에 속하지 않은 것은?

① 수직형
② 이중원추형
③ 입방체형
④ V자형

164. 교반기(agitator)의 회전날개(rotary fan)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로형(paddle)
② 리본형(ribbon)
③ 터빈형(turbine)
④ 프로펠러형(propeller)

165. 기계적 분리조작(mechanical separation)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체분리(sieving)
② 침강(sedimentation)
③ 건조(drying)
④ 여과(filtration)3
166. 체(sieve)나 스크린(screen)의 규격을 나타내는 것은?

① 밀도(density)
② 형상(shape)
③ 입자(grain)
④ 메쉬(mesh)

167. 건조방식에 의한 분류로 회분식(batch type)에 해당하는 것은?

① 상자형 건조기(compartment dryer)


② 선반형 건조기(tray dryer)
③ 쉬트 건조기(sheet dryer)
④ 터널 건조기(tunnel dryer)

168. 원료 10kg을 선반형 건조기에서 10시간 건조하였더니 9kg으로 감소하였다. 건조에


의해 모든 수분이 증발하였다면, 이 원료의 수분은 몇 %인가?

① 1%
② 10%
③ 9%
④ 90%

169. 산화되어서는 안 될 미생물제품의 건조에 해당하는 건조방식은?

① 적외선건조(infrared dryer)
② 고주파건조(high frequency dryer)
③ 동결건조(freeze dryer)
④ 과열증기건조(superheated steam dryer)

170. 점성(viscosity)이 큰 유체수송에 적합한 펌프는?

① 피스톤펌프(piston pump)
② 격막식펌프(diaphragm pump)
③ 터빈펌프(turbine pump)
④ 기어펌프(gear pump)
171. 기체 수송장치(gas conveyor)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터빈펌프(turbine pump)
② 원심압축기(turbo compressor)
③ 원심송풍기(turbo blower)
④ 환풍기(turbo fan)

172. 공기압축기에 10HP이 표기되어 있다. 동력으로 맞는 것은?

① 0.75KW
② 7.5KW
③ 75KW
④ 750KW

173. 콤프레샤(compressor)의 사용압력 조정범위(상한/하한압력)로 맞는 것은?

① 0.1㎏/㎠·G 이상
② 0.5㎏/㎠·G 이상
③ 1㎏/㎠·G 이상
④ 5㎏/㎠·G 이상

174. 화학물질 500g을 100메쉬 체로 분리하였다. 체를 통과한 것이 300g이면 체 잔류물


(over size)은 몇 %인가?

① 10%
② 20%
③ 30%
④ 40%

175. 체사분(siveing)공정 등 분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작업장에서 착용해야 할 보호구는?


176. 유류(경유)저장탱크에서 혼합기로 경유를 배송하고자 한다. 지켜야 할 안전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주입관의 선단은 혼합기 바닥에 닿도록 한다.


② 작업완료 후 혼합기에 경유가 남아 있으면 혼합기를 밀폐한다.
③ 배송속도를 1m/sec 이하로 한다.
④ 배관의 플랜지 이음매 양쪽을 전선으로 연결하고 접지를 한다.

177. 0℃는 절대온도가 얼마인가?

① 0°K
② 32°K
③ 273°K
④ 460°K

178. 화학제품제조공정에서 각종 설비의 점검에 관한사항이다. V-벨트를 가볍게 눌러


본다든가 전동기를 작동시켜 그 회전사항을 살펴보는 등 대상기기의 기능이 적당
한지를 점검하는 것은?

① 외관점검
② 작동점검
③ 종합점검
④ 기능점검

179. 화학설비를 점검하기 위하여 공정배관계장도(P&ID)를 보고 있다. 기호 중 게이트


밸브를 나타낸 것은?

180. 왕복식 압축기 가동 중 감시 및 확인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가스의 흡입, 토출압력 및 온도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② 회전벨트에 손을 대어 벨트의 떨림이 없는지 확인한다.
③ 밸브의 작동음, 활동부의 슬라이드 음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④ 가스누출이나 진동이 없는지 확인한다.
181. 유해작업환경 관리대책으로서 화학물질에 대한 작업환경 관리방법이 아닌 것은?

① 대치(substitution)
② 격리(isolation)
③ 분리(separation)
④ 환기(ventilation)

182. 환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국소배기와 전체 환기가 있다.


② 효과적인 환기를 하려면 배기량과 급기량이 같아야 한다.
③ 작업장의 유해물질을 희석하거나 배출한다.
④ 작업장의 시설을 가능한 개방하여야 한다.

183. 화재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3가지 요소가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① 연쇄반응
② 가연물
③ 산소공급원
④ 점화원

184. 변압기나 전기콘센트에 과열로 불이 났을 경우 적절한 소화약제는?

① 물(water) 소화약제
② 탄산가스(CO₂) 소화약제
③ 포(foam) 소화약제
④ 강화액(loaded steam) 소화약제

185. 화재가 났을 경우 소화방법이 아닌 것은?

① 제거소화
② 질식소화
③ 폭풍소화
④ 냉각소화
186. 소화기의 설치 위치 및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바닥면에서 1.5m 이하의 지점에 설치한다.


② 통행, 피난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
③ 물 또는 소화약제가 변질할 염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④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보관 상자에 넣어둔다.

187. 소화기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소화기는 안전을 위해서 불에서 떨어진 곳에서 방사한다.


② 소화기는 바람을 등지고 방사한다.
③ 소화기는 화재초기에만 효과가 있다.
④ 소화기를 양옆으로 비로 쓸듯이 골고루 방사한다.

188. 보일러실의 유류탱크에 화재가 났을 때 물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① 물의 소화능력이 유류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② 기름이 물보다 가벼워 연소면(화재면)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③ 동절기에 물이 얼기 때문에 물을 준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④ 물을 사용하면 기름과 화학반응하기 때문이다.

189. 화재종류에 따라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소화기 표면에 백색으로


표기한 것은 어느 화재에 적응 가능한가?

① A급화재 ② B급화재
③ C급화재 ④ D급화재

190. 회사 내 작업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최초발견자의 상황전파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주변 동료에게 알린다.


② 비상벨 경보장치를 누른다.
③ 최초발견자가 119(소방관서)에 연락한다.
④ 관리자에게 사고를 알린다.
191. 화학물질을 취급하다가 화상을 입었다. 응급조치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② 의복을 느슨하게 한다.
③ 화학물질이 닿은 옷이나 장신구를 제거한다.
④ 따뜻한 물로 신속히 씻는다.

192. 눈에 화학물질이 들어간 경우 응급대처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눈에 박힌 화학물질을 비벼서 빼낸다.


② 흐르는 물에 10분 이상 씻는다.
③ 소독 안대를 하고 병원으로 후송한다.
④ 한쪽만 다쳤어도 양 눈을 다 가린다.

193. 화학물질을 삼켰을 경우 올바른 대처방법이 아닌 것은?

① 기도를 확인하여 깨끗이 한다.


② 강제 구토를 시켜 화학물질을 배출시킨다.
③ 의사의 지시 없이 물이나 우유를 먹여서는 안 된다.
④ 구토를 대비하여 쇼크체위로 눕힌다.

194. 고소작업(high place work)에 필요한 보호구가 아닌 것은?

① 안전모
② 안전화
③ 송기마스크
④ 안전벨트

195. 탱크나 산소결핍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보호구가 아닌 것은?

① 송기마스크
② 안전벨트
③ 구명줄
④ 귀마개
196. 화재발생시 비상벨을 눌러야 할 사람은?

① 환경안전담당자
② 생산과장
③ 현장반장
④ 최초발견자

197. 회사 내 화학물질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할 사람은?

① 안전관리자
② 사고발생자
③ 최초발견자
④ 사고현장 반장

198. 화학물질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안전관리자가 응급조치할 사항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사고 확산방지를 위하여 타 작업자를 대피시킨다.


② 사고보고서를 작성하여 공장장에게 보고한다.
③ 사고 발생한 화학물질을 파악한다.
④ 보호구를 착용하고 확산방지를 위하여 원인시설을 차단한다.

199. 생산현장에서 화학물질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작업자인 최초발견자는


누구에서 우선 알려야 하는가?

① 공장장
② 환경안전실장
③ 생산부장
④ 공무부장

200. 회사 내에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중대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대외 관계기관에


알려야 할 사람은?

① 공장장
② 최초발견자
③ 사고발생자
④ 환경안전담당자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음식료품 제조업)

1. 액체 상태의 물분자가 상호간에 이루는 결합은?

① 수소결합
② 염소결합
③ 탄소결합
④ 불소결합

2. 다음 중 포도당으로만 구성된 당은?

① 설탕 (sucrose)
② 유당 (lactose)
③ 맥아당 (maltose)
④ 과당 (fructose)

3. 다음 중 지질이 아닌 것은?

① 설탕
② 대두유
③ 옥수수유
④ 참기름

4. 다음 전분의 호화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① 수화 - gel의 형성 – 팽윤 – 전분입자의 붕괴
② 수화 – 팽윤 – gel의 형성 – 전분입자의 붕괴
③ 수화 – 전분입자의 붕괴 – 팽윤 –gel의 형성
④ 수화 – 팽윤 – 전분입자의 붕괴 – gel의 형성

5. 다음 중 식물성 단백질은 ?

① 육류 단백질
② 곡류 단백질
③ 달걀 단백질
④ 우유 단백질
6. 다음 중 아미노산이 아닌 것은 ?

① 메티오닌 (methionine)
② 글라이신 (glycine)
③ 히스티딘 (histidine)
④ 펙틴 (pectin)

7. 다음 중 동물성 다당류는 ?

① 이눌린 (inulin)
② 글라이코겐 (glycogen)
③ 셀룰로스 (cellulose)
④ 리그닌 (lignin)

8. 다음 중 6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당이 아닌 것은 ?

① 자일로스(xylose)
② 포도당(glucose)
③ 과당(fructose)
④ 갈락토스(galactose)

9. 매운 맛 성분인 차비신 (chavicine)과 이의 이성체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품은 ?

① 고추
② 후추
③ 생강
④ 감초

10. 다음 중 매운 맛 성분이 아닌 것은 ?

① 피퍼린 (peperine)
② 캡사이신 (capsaicin)
③ 진저롤 (gingerol)
④ 나린진 (naringin)
11. 다음 중 신맛을 내는 유기산이 아닌 것은 ?

① 구연산
② 사과산
③ 글루타민산
④ 호박산

12.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 성분인 안토시아닌 (anthocyanin)이 산성 pH에서 나타내는


색깔은 ?

① 파란색
② 빨간색
③ 녹색
④ 노란색

13. 녹색의 클로로필 성분을 산으로 처리하면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때 관여되는
금속 이온은 ?

① 나트륨
② 염소
③ 칼륨
④ 마그네슘

14. 일정한 온도에서의 상대습도와 평형수분함량 사이의 관계를 상대습도의 증감에 따라


표시한 곡선은?

① 상대습도곡선
② 등온흡습곡선
③ 상대온도곡선
④ 상온습도곡선

15. 에르고스테(ergosterol)은 자외선을 받으면 어떤 비타민으로 전환되는가?

① 비타민 A
② 비타민 B1
③ 비타민 C
④ 비타민 D
16. 다음 중 수용성 비타민은?

① 비타민 A
② 비타민 C
③ 비타민 D
④ 비타민 E

17. 콩에 부족한 제한아미노산은?

① 메티오닌 (methionine)
② 라이신 (lysine)
③ 히스티딘 (histidine)
④ 글라이신 (glycine)

18. 다음 중 녹는점이 가장 높은 지질은?

① 대두유
② 옥수수유
③ 팜유
④ 채종유

19. 어류 특유의 비린 냄새의 성분은?

① diallyl sulfide
② acetaldehyde
③ trimethylamine
④ methyl alcohol

20. 찹쌀의 아밀로펙틴(amylopectin)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① 찹쌀의 아밀로펙틴(amylopectin) 함량은 5% 정도로 낮다.


② 찹쌀은 아밀로펙틴(amylopectin)의 영향으로 점도가 낮다.
③ 찹쌀의 아밀로펙틴(amylopectin)은 분자량이 작다.
④ 찹쌀의 아밀로펙틴(amylopectin)은 단백질이다.
21. 아밀로스(amylose)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① 분자량이 아밀로펙틴(amylopectin) 보다 크다.


② 엑스레이 선 분석시 고도의 결정성을 보인다.
③ 물에 거의 녹지 않는다.
④ 요오드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낸다.

22. 다음 중 산성식품은?

① 당근
② 굴
③ 콩
④ 고구마

23. 당류를 가열하여 갈색의 가열분해물이 생기는 반응은?

① 마일라드 반응
② 캬라멜화 반응
③ 비타민 C 산화 반응
④ 폴리페놀 산화 반응

24. 식품 조리, 가공 또는 저장 중에 생성되는 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① 3,4 벤조피렌 (3,4-benzopyrene)


② 나이트로스아민류 (nitrosamine)
③ 알파 토코페롤 (α-tocopherol)
④ 라이시노알라닌 (lysinoalanine)

25. 다음 중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은 ?

① L-알라닌 (alanine)
② L-트립토판 (tryptophan)
③ L-루신 (leucine)
④ L-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26. 수분함량이 92%인 배추 5000kg의 고형분의 무게는?

① 100kg
② 200kg
③ 300kg
④ 400kg

27. 어떤 빵을 온도 20℃, 40% 상대습도에서 장시간 방치하여 무게가 변화 없는 평형


상태에 도달시켰을 경우, 이 때의 수분활성도는?

① 0.2
② 0.3
③ 0.4
④ 0.5

28. 수분 함량이 7%인 300g의 빵을 오븐에 넣어 수분 함량을 5%까지 건조하려 할 경우


증발시킬 수분의 무게는?

① 4g
② 6g
③ 8g
④ 10g

29. 식품 통조림에 Clostridium sporogenes ( D 121.1 = 2.0분 )의 포자가 오염되어 있어


121.1℃에서 가열 미생물수를 10대수 cycle 만큼 감소시키려 할 경우, 필요한 시간은
얼마입니까?

① 5분
② 10분
③ 20분
④ 30분


30. 121.1℃에서 균수를  로 사멸시키는 시간이 0.2분인 미생물을 121.1℃에서 열처리하여

10 대수 cycle로 줄이는 데 걸리는 시간은?

① 30초
② 60초
③ 90초
④ 120초
31. 다음 중 화학적 살균법인 것은 ?

① 건열살균법
② 자외선살균법
③ 방사선살균법
④ 가스살균법

32. 다음 중 소독제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

① 계면활성제
② 차아염소산
③ 포르말린
④ 과산화수소

33. 다음 중 건조 상태에서도 가장 잘 성장할 수 있는 미생물은 ?

① 일반세균
② 효모
③ 사상균
④ 내삼투압성 효모

34. 다음 중 유지의 산패 유형이 아닌 것은 ?

① 가수분해형 산패
② 케톤형 산패
③ 산화형 산패
④ 발효형 산패

35. 다음 중 식품위생의 개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① 식품 영양의 질적 향상
② 자동차 사고 방지
③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 위해의 방지
④ 국민보건의 향상
36. 다음 식품의 보존을 위해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방법 중 열에 의한 영양소 손실이
가장 적은 건조 방법은 ?

① 열풍건조
② 진공동결건조
③ 분무건조
④ 피막건조

37. 열대 또는 아열대성 과일의 냉장 저장시에 동결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생리적인


손상을 받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용해
② 병충해
③ 비등
④ 냉해

38. 식품을 동결 저장시 장점이 아닌 것은 ?

① 미생물번식 방지
② 자가소화작용 방지
③ 빙결 방지
④ 수분증발 방지

39. 수확 후 과실표피의 기공을 통한 수분증발로 과실 중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증산


이라고 하는데 이 증산속도를 낮추는 방법이 아닌 것은 ?

① 온도를 올린다.
② 습도를 높인다.
③ 공기흐름을 없앤다.
④ 표피에 왁스를 도포한다.

40. 다음 과일 중 수확 후 보관, 후숙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과일은 ?

① 바나나
② 복숭아
③ 사과
④ 수박
41. 포장재 내부의 공기 조성을 변경하여 식품을 저장하는 방법은 ?

① 저온저장
② MA(Modified atmosphere) 저장
③ 염장
④ 당액저장

42. 다음 중 채소를 보관하기 위한 냉각방법으로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

① 송풍냉각
② 염수냉각
③ 감압냉각
④ 냉수냉각

43. 다음 중 방사선 조사의 효과가 아닌 것은 ?

① 기생충, 곤충의 사멸
② 미생물의 발아촉진
③ 근채류의 발아억제
④ 과채류의 성숙도 조절

44. 다음 중 수소이온 농도를 변경시켜 식품을 보관하는 방법은 ?

① 산담금
② 염침
③ 당침
④ 건조

45. 식품의 보관 방법 중 유용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

① 건조
② 냉장
③ 당침
④ 발효
46. 공기가 없는 조건에서 발생하는 부패는?

① 호기성부패
② 염기성부패
③ 혐기성부패
④ 산성부패

47. 다음 중 일정 온도조건에서 호흡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숙현상을 보이는 과일은 ?

① 포도
② 레몬
③ 감귤류
④ 바나나

48. 다음 중 식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냉동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

① 해동 후의 식품품질을 위해서는 급속냉동이 적절하다.


② 동결점 이하의 온도로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③ 지방산패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④ 얼음결정핵이 생긴다.

49. 미생물이나 효소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를 통하여 낮추고자 하는 것은?

① pH
② 온도
③ 경도
④ 수분활성도

50. 다음 중 건염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

① 소금의 사용량에 비해 탈수량이 많다.


② 소금의 침투가 어려워 품질이 일정하지 않다.
③ 염장에 특별한 용기가 필요없다.
④ 염장이 잘못되었을 때 손실을 줄일 수 있다.
51. 다음 중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이 아닌 것은?

① 살모넬라
② 장염 비브리오
③ 보툴리누스
④ 병원성 대장균

52. 식품 중에서 세균이 증식할 때 생성하는 독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은?

① 감염형 식중독
② 독소형 식중독
③ 중간형 식중독
④ 엘러지 식중독

53. 인체 내에서 증식한 세균이 생성하는 독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은?

① 감염형 식중독
② 독소형 식중독
③ 중간형 식중독
④ 엘러지 식중독

54. 세균성 식중독 중 감염형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이 아닌 것은?

① 살모넬라
② 장염 비브리오
③ 병원성 대장균
④ 보툴리누스

55. 상처 부위의 화농성 염증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은?

① 포도상구균 식중독
② 보툴리누스 식중독
③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④ 살모넬라 식중독
56. 감자, 콩, 피마자, 버섯 등이 일으키는 식중독은?

① 동물성 식중독
② 곰팡이독 식중독
③ 화학성 식중독
④ 식물성 식중독

57. 복어독을 구성하는 성분은?

① tetrodotoxin
② muscarine
③ phallotoxin
④ cicutoxin

58. Mycotox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교적 열에 안정
② 만성독성
③ 고온다습할 때 발생
④ 세균의 대사산물

59. 아플라톡신 중 동물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① B1
② B2
③ G1
④ G2

60. 곰팡이독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식품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곰팡이 종류가 다를 수 있다.


② 온도, 습도와 관계가 있다.
③ 토양, 주변의 식물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④ 사람과 사람, 동물과 동물 간에 전파된다.
61. 메탄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중독 시 구토, 설사, 복통이 발생한다.


② 실명을 일으킬 수 있다.
③ 과실주에는 미량 존재할 수 있으나, 증류주에는 전혀 들어 있지 않다.
④ 식품위생법에서 메탄올 함량을 규제하고 있다.

62. 중국에서 분유를 오염시킨 물질로, 영 ․ 유아의 사망사건을 일으킨 물질은?

① 에탄올
② 멜라민
③ 인공색소
④ 보존료

63. 일본에서 발생한 미강유 중독의 원인 물질은?

① phenol
② 비소
③ PCB
④ polystyrene

64. 화학성 식중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고의 또는 오용에 의해 발생한다.
② 제조, 가공 중에 혼입된 유해물질에 의한 발생이다.
③ 기구, 용기, 포장재에 기인하는 오염물질이다.
④ 복어의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이 이에 해당한다.

65. 다음 중 화학적 식중독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은?

① 피마자
② 납
③ tetrodotoxin
④ 살모넬라
66. 경구감염병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병원체가 음식물, 손, 기구 등을 통해 경구적으로 체내에 침입한다.


② 세균에 의한 것은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콜레라 등이 있다.
③ 소아마비, 유행성 간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다.
④ 2차 감염은 발생하지 않는다.

67. 다음 중 세균에 의한 경구 감염병이 아닌 것은?

① 장티푸스
② 소아마비
③ 콜레라
④ 세균성 이질

68. 감염병 발생의 3대 요인이 아닌 것은?

① 감염원
② 감염경로
③ 감염증상
④ 감수성

69. 다음 중 제1군 감염병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① 콜레라
② B형 간염
③ 장티푸스
④ 파라티푸스

70. 다음 중 장티푸스와 관련이 있는 균은?

① Shigella dysenteriae
② Salmonella typhi
③ Vibrio cholerae
④ Salmonella paratyphi
71. 다음 중 인수공통 감염병이 아닌 것은?

① 탄저
② 광우병
③ 결핵
④ 바이러스성 간염

72.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인간과 척추동물 사이에 전파되는 질병


② 사람은 오염된 식품을 통해서만 감염된다.
③ 탄저, 브로셀라증, 결핵, 장출혈성 대장균과 관계있다.
④ 파충류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73. 다음 중 채소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이 아닌 것은?

① 회충
② 편충
③ 폐디스토마
④ 십이지장충

74. 다음 중 어패류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이 아닌 것은?

① 간디스토마
② 고래회충
③ 요코가와흡층
④ 회충

75. 다음 중 육류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이 아닌 것은?

① 선모충
② 유구조충
③ 고래회충
④ 무구조충
76. 주로 밤에 항문주위에서 산란하며, 산란한 곳에서 몹시 가려움을 느끼게 하는 기생충은?

① 요충
② 편충
③ 회충
④ 십이지장충

77. 다음 중 채소로부터 감염되는 기생충은?

① 간디스토마
② 십이지장충
③ 선모충
④ 고래회충

78. 다음 중 쥐의 발생이나 서식을 억제하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은?

① 약제를 이용한다.
② 천적을 이용한다.
③ 쥐덫을 이용한다.
④ 쥐의 서식처를 제거한다.

79. 바퀴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잡식성이다
②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잘 번식한다.
③ 집단생활을 한다.
④ 겨울철에도 발육 및 증식이 활발하다.

80. 파리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도시보다 농촌에 많고 쓰레기, 퇴비, 축사 등에 많이 발생한다.


② 병원균이나 기생충알을 전파할 수 있다.
③ 야행성으로 집단생활을 한다.
④ 파리는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강한 편이다.
81. 다음 중 식품취급자가 지켜야할 사항을 설명한 것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매니큐어는 발라도 되며 손톱은 짧게 자른다.


② 손은 항상 청결하게 관리한다.
③ 위생복을 입어야 한다.
④ 위생신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한다.

82. 다음 중 식품취급자가 지켜야할 사항을 설명한 것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식품제조업 종사자는 고용 전 건강진단을 받은 후 이상이 없는 경우에 한해 작업한다.


② 식품제조업 종사자는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을 필요는 없다.
③ 식품제조업 종사자가 감염병에 걸린 경우 완치될 때까지 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④ 시계, 팔찌, 반지를 끼고 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83. 다음 중 식품 오염시킬 수 있는 작업자의 비위생적인 행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작업 중 음식섭취
② 작업 중 껌을 씹는 행위
③ 작업 중 손을 소독하는 행위
④ 작업 중 담배를 피우는 행위

84. 다음 중 식품작업자가 지켜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작업장을 잠시 방문하는 경우 보호복이나 위생복을 입지 않을 수 있다.


② 작업장에서 장갑을 착용하더라도 손은 항상 깨끗해야 한다.
③ 화농성 질환이 있는 경우 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④ 위생복과 위생모를 착용하여야 한다.

85. 손의 위생관리를 설명한 것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손으로 식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손을 청결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② 비누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로 세척한다.
③ 손톱은 항상 짧게 관리하여야 한다.
④ 작업 중 손에 낀 반지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86. 식품공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 가장 이상적인 것은?

① 매립
② 소각
③ 해양투기
④ 퇴비화

87. 식품의 위생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① 원료가 위생적으로 안전해야 한다.


② 공장이 도시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③ 식품취급자의 위생관념이 중요하다.
④ 제조공정이 위생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88. 식품공장의 입지선정 시 위생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청결한 주위환경
② 저렴한 땅 가격
③ 물(용수)의 수질과 양
④ 폐기물 처리의 편리성

89. 다음 중 식품제조 시설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설명한 것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바닥은 청소하기 쉽고 물이 고여 있지 않아야 한다.


② 천정은 수증기가 응축되지 않아야 한다.
③ 작업 조건에 따라 적절한 조명을 설치하여야 한다.
④ 작업장 내부의 환기는 인공적인 환기보다는 자연적인 환기가 좋다.

90. 식품제조 시설의 위생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금이 간 용기와 기구는 금간 틈 사이에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다.


② 기구와 용기는 소독이나 세척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③ 식품용기나 기구의 재질은 위생과 무관한다.
④ 용기와 기구는 세척, 소독하여 보관한다.
91. 식품제조 시 사용되는 용기 및 기구를 만드는 데 가장 적절한 재료는?

① 목재
② 납
③ 수은
④ 스테인레스 스틸

92. 폐수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을 경우,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빗물
② 정수
③ 가정폐수
④ 산업폐수

93. 다음 중 식품제조 시설의 위생관리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작업장 바닥, 배수구, 기계, 기구는 매일 청소하여야 한다.


② 제조기계 및 기구는 늘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③ 청소용 도구는 청결구역과 오염구역 전용으로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④ 작업장 안에는 식품의 제조와 관련 없는 물건을 놓아서는 안 된다.

94. 다음 중 식품제조 시설의 위생관리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온도계, 습도계, 압력계 등의 계기류는 정기적으로 정확도를 점검한다.


② 냉장고, 창고는 정기적으로 청소를 한다.
③ 저수탱크는 정기적으로 내부청소를 진행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④ 청소도구는 사용 후 작업장 내부 적당한 곳에 보관한다.

95. 다음 중 식품제조 시설의 위생관리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당일 발생한 폐기물은 당일에 작업장 외부로 반출하여야 한다.


② 우물물, 자가수도는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③ 세척과 소독에 사용되는 세제와 약제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④ 수질검사 부적합인 물을 식품제조에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96. 다음 중 식품제조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 처리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① 활성오니법
② 매립
③ 소각
④ 증발법

97. 식품취급자가 반드시 손을 소독한 후에 제조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비오염구역에서 오염구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② 유해물질과 접촉한 경우
③ 작업 전
④ 용변 후

98. 다음 중 작업자가 식품 제조 작업에 투입될 수 있는 경우는?

① 감염병에 걸린 경우나 보유자인 경우


② 화농성 질환이 있거나 설사는 하는 경우
③ 미열이 있는 경우
④ 피부감염, 염증 등이 있는 경우

99. 폐수의 성분 중 자동 산화되어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질은?

① 유지
② 단백질
③ 탄수화물
④ 비타민

100. 다음 중 방충, 방서를 위해 고려할 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창에 방충망을 설치한다.
② 건물내부 벽은 바닥으로부터 1.5m 정도 높이까지 타일이나 시멘트를 입힌다.
③ 건물기초는 60cm 이상의 깊이로 한다.
④ 작업장 내외의 배수구에 금속망을 설치한다.
101. 식품 저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

① 수분
② 온도
③ 포장재
④ 가격

102. 식품 보관 방법 중 온도와 관련된 저장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냉동보관
② 냉장보관
③ 상온보관
④ 건조보관

103. 다음 중 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는 가공방법이 아닌 것은?

① 건조
② 살균
③ 멸균
④ 절단

104. 다음 중 건조 속도요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식품 표면적의 크기
② 식품의 두께
③ 지방의 함량
④ 식품의 가격

105. 식품의 색, 맛, 향, 물리적 성질을 거의 그대로 유지 가능하며, 조직의 복원성이


뛰어난 냉동건조 방법은?

① 드럼식건조
② 열풍건조
③ 동결건조
④ 입자건조
106. 섭씨 100℃ 이하에서 살균을 하며,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병원성 미생물,
효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 살균은 가능하지만 포자형성 미생물은 사멸하지 못하는 방법은?

① 멸균
② 고온살균
③ 저온살균
④ 진공건조

107. 다음 중 병조림 유리용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유리용기가 투명하여 내용물의 투시가 가능하다


② 유리용기가 식품과 반응하지 않아 유해성이 적다
③ Can 용기와는 다르게 중금속 이온 용출이 없다
④ 유리용기는 견고하여 가공 중이나 운반 중 파손 염려가 없다

108. 다음 중 Retort pouch 식품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통조림에 비하여 가열시간이 단축되어 품질 및 영양 손실이 적다


② 포장단위의 다양성이 높아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높일 수 있다
③ 휴대가 간편하며, 상온에서 보관 판매가 가능하다
④ 통조림보다 유통기한이 길다

109. 다음 중 저장 기간 동안에 기체 조성비가 변할 수 있으며, 호흡하지 않는 소포장의


가공식품에 적합한 포장 방법은?

① MAP 포장
② CAP 포장
③ 병조림 포장
④ 플라스틱 용기포장

110. 다음 중 저장 기간 동안 내용물의 호흡률을 고려하여 내부 기체 조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포장방법으로 선택 투과적 필름을 적용하는 저장방법은?

① MAP 포장
② CAP 포장
③ 병조림 포장
④ 플라스틱 용기포장
111. 식품포장의 기본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① 보호기능
② 멸균기능
③ 편리기능
④ 정보기능

112. 식품포장용 가공지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① 포장 재료로서 가격이 적당하고 구하기 쉬울 것


② 가공적성이 우수하여 가공기계에 적합할 것
③ 접착이나 인쇄 등의 가공이 어려울 것
④ 사용 후 폐기처리가 용이하고 recycle성이 우수할 것

113. 식품포장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상품의 내용물 보호
② 상품의 품질 안전성 약화
③ 소비자 취급의 편리성 증대
④ 인쇄, 디자인에 의한 상품가치 향상

114. 다음 중 금속용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액체, 기체, 빛의 차단성이 우수하다


② 열, 전기의 전도성이 낮다
③ 성형성이 우수하다
④ 재활용이 우수하다

115. 다음 중 식품 포장이 제공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

① 유통기한 표기
② 포장 취급시 주의사항
③ 제품의 사용법
④ 유통경로 정보
116. 당(sugar)을 가하여 미생물들을 이용, 수분을 감소시켜 저장하는 방법은?

① 당절임
② 염장
③ 냉동보관
④ 냉장보관

117. 식품 건조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아닌 것은?

① 수축현상
② 표면경화
③ 성분의 석출
④ 수분증가

118. 액체식품을 안개처럼 뿜어서 열풍으로 건조 시키는 방법은?

① 분무 건조법 ( spray drying )


② 진공건조법 ( vacuum drying )
③ 동결 건조법 ( freeze drying )
④ 배건법 ( roast drying )

119. 식품의 맛, 색, 향 등 물리적 성질은 그대로 유지하고, 조직의 복원성이 가장 좋은


건조법은?

① 진공 건조법
② 진공 동결 건조법
③ 천일 건조법
④ 열풍 건조법

120. 냉동식품을 해동하면 체액이 분리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드립
② 건조
③ 해동
④ 염장
121. 쌀의 길이가 6.0 ~7.0mm 정도이고, 아밀로스 함량이 높으며 인도, 중국, 태국이
원산지인 쌀의 품종은?

① 장립종
② 중립종
③ 단립종
④ 마치종

122. 다음 미곡의 건조과정 중 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급격한 건조에 의한 동할미 발생


② 건조지연으로 인한 고수분 벼의 변질
③ 과도한 가열에 의한 열손상립 발생
④ 벼의 알맞은 수분 유지

123. 현미의 쌀겨층을 제거하여 소화와 빛깔을 좋게 하고 기호에 알맞게 하는 공정은?

① 도정
② 호정
③ 호화
④ 노화

124. 쌀겨의 배아에는 다량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이를 추출하여 정제한 기름은?

① 대두유
② 옥배유
③ 미강유
④ 해바라기유

125. 벼의 현미와 왕겨의 구성비(현미 : 왕겨)로 맞는 것은?

① 50 : 50
② 80 : 20
③ 70 : 30
④ 40 : 60
126. 7분도미의 도감률은?

① 6%
② 5%
③ 4%
④ 3%

127. 다음 중 곡류 가공품이 아닌 것은?

① 미숫가루
② 엿류
③ 떡류
④ 햄류

128. 다음 중 튀김, 제과, 비스켓 등의 용도로 쓰이는 밀가루는?

① 강력분
② 중력분
③ 박력분
④ 가루분

129. 다음 중 옥수수, 고구마 등 전분을 이용하여 만드는 면류 가공품은?

① 국수
② 당면
③ 스파게티면
④ 라면

130. 다음 중 소맥분과 식염수로 반죽하고 면대를 형성하여 기름에 튀겨 보존성을 향상


시킨 가공품은?

① 라면
② 당면
③ 국수
④ 냉면
131. 서류(감자, 고구마) 절단 가공과정 중 주의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절단 공정 중 작업 안전 사항에 주의한다.
② 작업 매뉴얼을 숙지한다.
③ 작업 전 설비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④ 급하게 빨리 작업한다.

132. 감자칩 튀김 공정 중 기름의 온도는?

① 17 ~ 190 ℃
② 50 ~ 70 ℃
③ 90 ~ 100℃
④ 80 ~ 90℃

133. 다음 중 전분이 생산되는 원료가 아닌 것은 ?

① 옥수수
② 고구마
③ 감자
④ 사탕수수

134. 다음 중 콩 가공식품인 것은 ?

① 국수
② 냉면
③ 두부
④ 라면

135. 다음 중 콩을 원료로 한 가공식품이 아닌 것은 ?

① 콩기름
② 두부
③ 된장
④ 물엿
136. 두부를 기름에 튀겨 가공한 식품은?

① 연두부
② 전두부
③ 유부
④ 경두부

137. 다음 중 콩을 이용한 제품 중 장류가 아닌 것은?

① 된장
② 청국장
③ 간장
④ 어장

138. 재래식 간장과 된장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① 메주
② 두부
③ 두유
④ 콩가루

139. 두류 가공 식품 제조 시 작업자가 지켜야 할 사항은?

① 작업모와 마스크를 착용한다.


② 귀걸이와 반지를 착용한다.
③ 평상복을 입은 채로 작업한다.
④ 손을 씻지 않는다.

140. 아미노산 간장과 양조간장을 혼합한 간장은?

① 재래식 간장
② 혼합간장
③ 양조간장
④ 무염간장
141. 다음 중 한국 전통식품이 아닌 것은?

① 두부
② 간장
③ 고추장
④ 콩고기

142. 다음 중 과실 수확 후 작용이 아닌 것은?

① 호흡작용
② 생장작용
③ 증산작용
④ 드립작용

143. 과실의 분류 중 각과(shell fruit)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호도
② 밤
③ 은행
④ 밀감

144. 다음 중 근채류가 아닌 것은?

① 무
② 당근
③ 우엉
④ 배추

145. 청과물의 표피를 통한 수분증발 작용은?

① 증산작용
② 호흡작용
③ 추숙작용
④ 산패작용
146. 과실퓨레(puree)를 20~50% 넣고 과즙 또는 물, 산, 당을 가해서 조미하여 만든 과실주스는?

① 천연과실주스 (natural fruit juice)


② 스쿼시 (squash)
③ 넥타 (nectar)
④ 시럽 (syrup)

147. 천연 과실주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기준이 아닌 것은?

① 과실 특유 향기성분 유무
② 비타민 C의 함량
③ 당과 산의 비율
④ 염도

148. 과일주스에 설탕을 첨가한 다음 가열 농축하여 젤라틴화(gelatinization) 되도록


가공한 것은?

① 젤리
② 과실주스
③ 넥타
④ 시럽

149. 감의 떫은 성분은?

① 카페인
② 탄닌
③ 펙틴
④ 포도당

150. 다음 중 침채류 가공식품이 아닌 것은?

① 김치 (kimchi)
② 피클 (pickles)
③ 사우어크라우트 (sauerkraut)
④ 스쿼시(squash)
151. 식품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안전성
② 영양성
③ 기호성
④ 확장성

152. 다음 중 체내에서 탄수화물의 주된 역할은?

① 지방을 합성하고 저장시킨다.


② 에너지를 발생한다.
③ 뼈의 성분이 되어 골격을 구성한다.
④ 세포의 분열과 성장을 촉진시킨다.

153. 지질의 화학적 구성 성분은?

① 지방과 아미노산
② 지방산과 글루코스
③ 지방산과 글리세린
④ 지방과 질소

154. 유지류와 함께 섭취하였을 때 흡수율이 증가하는 비타민은?

① 비타민 B2
② 비타민 B6
③ 비타민 C
④ 비타민 D

155. 다음 중 경화유를 설명한 것은?

① 유지를 열로 건조한 것이다.


② 불포화지방산에 수소를 첨가하여 고체화한 것이다.
③ 동물성 지방에 질소를 넣어 딱딱하게 만든 것이다.
④ 지방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는 것이다.
156. 다음 중 단맛이 가장 강한 당류는?

① 포도당(glucose)
② 과당(fructose)
③ 맥아당(maltose)
④ 젖당(lactose)

157. 어떤 식품 100g이 탄수화물이 50g, 지방 10g, 단백질 20g, 수분 20g으로 구성되었다면


이 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는 총열량은?

① 80Kcal
② 100Kcal
③ 320Kcal
④ 370Kcal

158. 식품 성분과 작용하는 효소를 연결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전분–아밀라아제(amylase)
② 지방-리파아제(lipase)
③ 젖당-말타아제(maltase)
④ 단백질-펩신(pepsin)

159. 비타민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신체의 구성물질로 사용되지 않는다.


② 대사작용 조절물질의 역할을 한다.
③ 지용성 비타민은 결핍증이 서서히 나타난다.
④ 대부분 체내에서 합성된다.

160.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무기질 중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① 마그네슘
② 칼슘
③ 요오드
④ 철
161. 식육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 가장 적은 것은?

① 탄수화물
② 지방
③ 수분
④ 단백질

162. 육가공을 위한 축육의 도살과 해체의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① 기절 → 방혈 → 박피 → 해체
② 박피 → 기절 → 해체 → 방혈
③ 기절 → 박피 → 방혈 → 해체
④ 박피 → 기절 → 방혈 → 해체

163. 돼지고기의 부위별 명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안심
② 등심
③ 갈비
④ 양지

164. 쇠고기가 선홍색으로 보이는 원인물질로 고기의 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성분은?

① 헤모시아닌
② 미오글로빈
③ 안토시아닌
④ 헤모글로빈

165. 축육 가공 시 육을 가열처리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② 조직감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③ 육의 효소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④ 단백질을 변성시켜 가공적성을 높인다.
166. 도살된 가축이 일정 시간이 지나 최고로 굳어져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해동단축
② 사후해경
③ 해당과정
④ 사후경직

167. 축산물의 가공 시 사용하는 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칼은 날카로우면 위험하므로 무디게 사용해야 한다.


② 칼날을 자주 갈아 작업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③ 칼 사용 시 보호장갑을 착용하여야 한다.
④ 칼을 위생작업복과 함께 보관하지 말고 별도 보관해야 한다.

168. 햄 가공 시 원료육에 소금을 첨가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유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한다.


② 지방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③ 육의 결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④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169. 축육 가공장에서 작업자의 낙상이나 미끄러짐을 예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기름이나 육이 바닥에 떨어지면 즉시 폐기하고 청결하게 한다.


② 무거운 물건은 위쪽에, 가벼운 물건은 아래쪽에 적재한다.
③ 미끄럼을 방지하고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위생화를 착용한다.
④ 바닥은 배수가 잘되게 하고 가급적 건조하게 한다.

170. 햄이나 베이컨을 만들기 위한 훈연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풍미의 증진
② 제품의 보존성 부여
③ 제품 표면의 수분 증가
④ 제품의 색 향상
171. 프레스 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햄과 소시지의 중간 형태이다.
② 눌러야 하기 때문에 제조기간이 길어 햄보다 값이 비싸다.
③ 결착력이 좋은 원료육을 사용하여야 한다.
④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172. 일반적인 소시지의 제조공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① 원료 → 건조 및 훈연 → 충전 → 세절 및 조미 → 삶기 및 냉각
② 원료 → 충전 → 세절 및 조미 → 건조 및 훈연 → 삶기 및 냉각
③ 원료 → 건조 및 훈연 → 세절 및 조미 → 충전 → 삶기 및 냉각
④ 원료 → 세절 및 조미 → 충전 → 건조 및 훈연 → 삶기 및 냉각

173. 소시지의 모양과 크기가 결정되는 공정은?

① 염지
② 세절
③ 건조
④ 충전

174. 우유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영양소의 조절과 다양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② 풍미, 색깔, 맛 등의 기호적 특성이 우수하다.
③ 소화 및 흡수율이 낮아 배탈이 나기 쉽다.
④ 멸균유는 발효유보다 오래 보관할 수 있다.

175. 우유의 크림을 분리하여 지방 입자를 모아 만든 제품은?

① 버터
② 탈지유
③ 발효유
④ 치즈
176.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만든 제품이 아닌 것은?

① 마가린
② 버터
③ 아이스크림
④ 탈지분유

177. 치즈는 우유 중의 ( ㉠ )이 ( ㉡ )에 의해 응고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이다.


여기에서 ㉠, ㉡에 각각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① ㉠ 카제인 ㉡ 알카리
② ㉠ 카페인 ㉡ 효소
③ ㉠ 카제인 ㉡ 효소
④ ㉠ 카페인 ㉡ 알카리

178. 다음 중 신선한 달걀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흔들었을 때 내용물이 많이 흔들리지 않는 것


② 껍질이 까칠까칠한 것
③ 물에 넣었을 때 물에 가라앉는 것
④ 달걀을 깨었을 때 난황이 넓게 펴지는 것

179. 난황의 직경이 3cm, 높이가 1.2cm인 달걀의 난황계수는?

① 0.4
② 1.2
③ 2.5
④ 3.6

180. 달걀노른자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 마요네즈를 제조할 때 유화제 역할을 하는 것은?

① 카로틴
② 레티놀
③ 레시틴
④ 알부민
181. 생선 비린내의 주요 성분은?

① 트리메틸아민
② 아질산나트륨
③ 암모니아
④ 부틸아민

182. 과자나 스파게티 등의 제조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오징어나 문어의 먹물 색소의


성분은 무엇인가?

① 멜라민
② 멜라닌
③ 멜라토닌
④ 엘라스틴

183. 다음 중 붉은 살 생선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

① 방어
② 멸치
③ 도미
④ 꽁치

184. 다음 중 신선한 어류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① 사후경직이 끝나 흐물거리는 것
② 아가미가 회녹색인 것
③ 눈의 색이 혼탁한 것
④ 비늘이 단단히 붙어있는 것

185. 조개로 국이나 탕을 끓였을 때 조개 특유의 시원한 맛을 내는 주성분은?

① 호박산
② 사과산
③ 주석산
④ 말릭산
186. 어패류에서 일어나는 자가소화의 주된 원인은?

① 어패류 내에 존재하는 산
② 어패류 내에 존재하는 알칼리
③ 어패류 내에 존재하는 효소
④ 공기 중의 산소와의 접촉

187. 어패류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꽃게, 새우, 조개는 갑각류이다.


② 붉은살 생선은 흰살 생선보다 지방이 많다.
③ 병어에는 테토로도톡신이라는 독이 있다.
④ 생선에는 트랜스지방이 많다.

188. 어패류 가공 방법 중 황태는 어떤 방법으로 만든 제품인가?

① 염건법
② 동건법
③ 소건법
④ 화건법

189. 통조림 제조 시 어패류를 관에 넣고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공정은?

① 탈기
② 탈수
③ 밀봉
④ 호기

190. 어패류를 소금으로 절인 후 쌀밥, 엿기름, 고춧가루 등 부재료 등과 혼합하고


절여 숙성, 발효시킨 한국의 전통 식품은?

① 장아찌
② 부각
③ 식초
④ 식해
191. 냉동 어류를 0~3℃ 정도의 물에 잠깐 담가 어체 표면에 얼음막을 입혀 공기 접촉과
산화를 방지하는 공정은?

① 해동
② 동결
③ 빙의
④ 해빙

192. 다음 중 어류의 자가소화를 이용한 수산가공품은?

① 건멸치
② 어유
③ 젓갈
④ 고등어통조림

193. 다음 중 수산 연제품이 아닌 것은?

① 맛살
② 어육 소시지
③ 어묵
④ 훈제 연어

194. 염장법 중 어체를 염수에 담가 염장하는 방법은?

① 마른간법
② 물간법
③ 건염법
④ 염수주사법

195. 어패류가 쉽게 부패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① 어패류가 수분이 많기 때문에


② 어패류는 사후에 대부분 알칼리성이 되기 때문에
③ 일반적으로 어패류는 축산물보다 근육조직이 강하기 때문에
④ 세균에 오염되기 쉽고 잘 발육하기 때문에
196. 통조림을 타관검사 하는 주된 목적은?

① 진공도 확인을 통한 부패관 선별


② 플랫사우어(Flat sour)관 확인
③ 통조림 뚜껑과 관의 밀봉상태 확인
④ 유통기한 표시의 적정성 여부 확인

197. 한천의 원료가 되는 해조류는?

① 김
② 우뭇가사리
③ 해파리
④ 다시마

198. 다음 중 다른 식품보다 다시마에 특히 많이 들어있는 성분은?

① 아세트산
② 단백질
③ 비타민 A
④ 요오드

199. 수산가공장의 안전조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연결중인 전기선이 끊어져 물에 닿은 경우 즉시 맨손으로 떼어내야 한다.


② 어체 절단기에 이물이 낀 경우 후속공정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제거해야 한다.
③ 청결 작업장 내에서는 안전을 위해 등산화를 신어야 한다.
④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귀마개를 해야 한다.

200. 연제품의 원료로 탄력이 강한 겔을 형성하는 어종은?

① 방어
② 조기
③ 꽁치
④ 정어리
특별한국어능력시험문제(섬유·의복 제조업)

1. ‘목화’라는 식물에서 채취해서 만든 섬유는?

① 양모 ② 마
③ 면 ④ 견

2. 밭에서 수확한 목화는 재배지에서 씨앗과 섬유를 분리한다. 이 작업은 무엇인가?

① 개면 ② 제표
③ 혼면 ④ 조면

3. 면섬유가 엉킨 작은 섬유 덩어리로 주로 미성숙하거나 불량한 면에 발생하며, 실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은?

① 넵(nep)
② 미셀(micell)
③ 중공(lumen)
④ 다래(cotton ball)

4. 면섬유의 천연꼬임으로 인해 나타나는 특징을 맞게 설명한 것은?

① 단면 형태가 원형이 된다.


② 중공에 있는 액즙 증발을 막는다.
③ 섬유를 잘 엉키게 하여 방적성을 좋게 한다.
④ 섬유를 유연하게 만든다.

5. 양모섬유를 구성하는 단백질이며, 탄소, 수소, 질소 및 황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① 케라틴(keratine)
② 플리스(fleece)
③ 세리신(sericin)
④ 피브로인(fibroin)
6. 천연섬유 중 유일하게 필라멘트 섬유인 것은?

① 면 ② 양모
③ 마 ④ 견

7. 견섬유를 구성하는 주성분 2가지는?

① 피브로인(fibroin), 케라틴(keratine)
② 세리신(sericin), 피브로인(fibroin)
③ 세리신(sericin), 플리스(fleece)
④ 크림프(crimp), 셀룰로오스(cellulose)

8. 비교적 끓는점이 낮은 방사 용매를 사용하여 방사원액을 사출한 후 뜨거운 공기로


건조시켜 섬유를 만드는 방사방법은?

① 습식방사
② 건식방사
③ 기격습식방사
④ 전기방사

9. 천연섬유 중 동물성 섬유인 것은?

① 면
② 아마
③ 석면
④ 견

10. 면섬유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세탁과 다림질이 쉽고 고온에 강하다.


② 인피섬유, 잎액섬유, 과실섬유로 나뉜다.
③ 화학구조는 글루코오스 단위가 길게 연결된 사슬분자이다.
④ 납작한 리본모양으로 꼬임을 갖게 한다.
11. 방적사의 원료인 길이가 짧은 섬유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스테이플 섬유
② 필라멘트 섬유
③ 셀룰로오스 섬유
④ 재생섬유

12. 실의 굵기 표현 방법 중 9,000m 길이의 섬유 무게를 그램(g)으로 나타낸 것은?

① 텍스(tex)
② 미터(meter)
③ 데니어(denier)
④ 리터(liter)

13. 연소에 의한 섬유 감별 시 불꽃에 닿는 면이 즉시 타며, 종이 타는 냄새가 나는 섬유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① 견섬유
② 나일론 섬유
③ 양모섬유
④ 면섬유

14. 면섬유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① 세리신(sericin)
② 셀룰로오스(cellulose)
③ 단백질
④ 아미노산(amino acid)

15. 섬유 표면에 비늘(scale)의 형상이 관찰되는 섬유는 무엇인가?

① 면섬유
② 양모섬유
③ 견섬유
④ 나일론 섬유
16. 면섬유의 화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내열성이 비교적 큰 섬유이다.


② 산에 대해 약하다.
③ 햇빛속의 자외선에 의해 강도가 높아진다.
④ 알칼리에 대해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17. 인조섬유는 크게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합성섬유로 구분된다. 다음 중 합성섬유가


아닌 것은?

① 스판덱스
② 나일론
③ 비스코스레이온
④ 폴리에스테르

18. 3대 합성섬유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① 스판덱스
② 비스코스레이온
③ 폴리에스테르
④ 폴리에틸렌

19. 나일론 섬유의 성질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일광견뢰도가 우수하다.
② 벌레나 곰팡이에 대해 안전하다.
③ 마찰강도가 크다.
④ 탄성회복률이 우수하다.

20. 마섬유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신도와 탄성이 좋다.


② 수분의 흡수와 발산이 빠르다.
③ 열의 전도성이 좋다.
④ 구김이 쉽게 생긴다.
21. 섬유 원료를 방적 공정이나 방사 공정 또는 제사 공정을 통하여 섬유 배열을 평행화
하고, 적당한 꼬임을 주어서 만든 길이가 긴 섬유다발은?

① 실 ② 연사
③ 합사 ④ 방적사

22. 무명이나 양털과 같이, 길이가 짧은 섬유를 나란히 간추려서 길게 배열한 다음


그것을 늘여 꼬아 만든 실로서, 표면에는 잔털이 있는 실은 무엇인가?

① 필라멘트사
② 장식사
③ 편연사
④ 방적사

23. 방적사의 굵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표준 무게당의 길이로써 실의 번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① 항장식 번수법
② 항중식 번수법
③ 데니어
④ 텍스

24. 450m의 필라멘트사가 5g이라 하면 이 실의 데니어 수는?

① 50 데니어
② 100 데니어
③ 150 데니어
④ 200 데니어

25. 방적의 방법 중 하나로 덩어리로 된 섬유를 풀어 헤쳐서, 그 속에 있는 잡물을


제거한 다음 섬유를 한 올씩 분리시키는 공정은?

① 드래프팅
② 권취
③ 가연
④ 개섬
26. 방적의 방법 중 하나로 잡아 늘인 로프 모양의 섬유 집합체에 꼬임을 주어, 섬유를
집속시킴으로써 실로서의 충분한 강력을 가지게 하는 작업은?

① 방사
② 개섬
③ 권취
④ 가연

27. 혼타면 공정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섬유 뭉치를 풀어 헤친다.
② 잡물을 제거한다.
③ 실을 만든다.
④ 원면을 혼합한다.

28. 소면기의 침포사이에 낀 단섬유를 제거해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마침
② 스트리핑(stripping)
③ 그라인딩(grinding)
④ 디태칭(detaching)

29. 조방공정에서 만들어진 굵은 형태의 실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슬라이버(sliver)
② 랩(lap)
③ 로빙(roving)
④ 톱(top)

30. 소면공정에서 이루어지는 일이 아닌 것은?

① 섬유 1올씩 분리
② 불순물 제거
③ 꼬임주기
④ 슬라이버 생산
31. 섬유를 이루는 사슬 분자의 배열과 배향을 잘 해주어서 인장 강도를 높이거나,
신장도를 조절해 주기 위하여 방사 노즐부로부터 압출, 고화된 상태의 섬유에 장력을
주어 끌어당기는 조작은?

① 연신(draw)
② 압출(pressing out)
③ 꼬임(twisting)
④ 카딩(carding)

32. 경사를 직기에 걸어서 여기에 위사를 직각으로 교착시켜 짜는 작업은?

① 편성 ② 제직
③ 정경 ④ 통경

33. 경사 준비공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정경
② 실감기
③ 풀먹이기(가호)
④ 검단

34. 경사 준비공정 중 제직 능력을 향상시키고 직물의 겉모양과 촉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날실에 풀액을 침투시켜 흡착하는 공정은?

① 풀먹이기(가호)
② 실감기
③ 틀걸기
④ 정경

35. 역직기의 종류 중 shuttle loom(북직기)에 속하는 것은?

① 에어젯 직기
② 그리퍼 직기
③ 면직기
④ 워터젯 직기
36. 가호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실의 잔털 발생 방지
② 실의 평활성 부여
③ 실의 강신도 증가
④ 실의 색상 부여

37. 가호 공정의 풀 재료에서 점착제 중 천연 풀 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밀가루
② 점토
③ 아교
④ 녹말

38. 일반 면직기에서 크랭크축이 1회전 하는 동안 보텀축의 회전수는?


①  회전

② 1회전
③ 2회전
④ 4회전

39. 일반 면직기에서 크랭크축이 4회전하는 동안 몇 올의 위사가 제직되는가?

① 2올
② 3올
③ 4올
④ 5올

40. 경사와 위사를 서로 교착시켜서 직물을 짜는데 필요한 기본적 운동인 직기의
주 운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권취운동
② 개구운동
③ 북침운동
④ 바디침운동
41. 직기의 운동 중 직기 위에 걸려 있는 경사를 위, 아래로 나누어 위사를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송출운동 ② 개구운동
③ 북침운동 ④ 권취운동

42. 개구 속에 가로 놓인 씨실을 클로스 펠(cloth fell)까지 밀어 쳐서 직물 조직을 완성


시키는 운동은?

① 개구운동(shedding motion)
② 바디침운동(beating motion)
③ 북침운동(picking motion)
④ 송출운동(let-off motion)

43. 직물 조직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쓰이는 일종의 모눈종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도화지(drawing paper)
② 원고지(manuscript paper)
③ 의장지(design paper)
④ 패턴지(pattern paper)

44. 3원 조직중 경사와 1올씩 서로 교대로 위와 아래로 교착하며 경사와 위사 각각


2올로 완전조직이 구성되는 것은?

① 평조직(plain weave)
② 사문조직(twill weave)
③ 주자조직(satin weave)
④ 변화조직

45. 사문조직은 경사와 위사를 각각 3올 이상으로 교착시켜 완전조직을 구성하며, 조직점이


빗금 방향으로 연속되어 나타나는 선이 생긴다. 이 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주자선(satin line) ② 능선(twill line)


③ 직선 ④ 곡선
46. 5매 주자조직의 뜀수는 몇 개인가?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47. 다음 중 뜀수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① 5매
② 6매
③ 7매
④ 8매

48. 직물의 폭이 100mm인 직물 견본에서 풀어 낸 위사의 길이가 107mm였다. 이 위사의


직축률(%)은 얼마인가?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① 6.0%
② 6.5%
③ 7.0%
④ 7.5%

49. 경사와 위사의 밀도 비가 2:1 경우에 사용하는 의장지에 해당되는 것은?

① 16×16
② 8×16
③ 4×8
④ 24×12

50. 직기의 보조 장치 중 직물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고 직물의 폭을 일정하게 잡아주는 장치는?

① 제동장치
② 템플장치
③ 기동장치
④ 경사보호장치
51. 다음 중에서 침염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염색액에 섬유를 넣어 같은 색깔로 착색하는 공정이다.


② 섬유에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를 넣는 공정이다.
③ 섬유의 종류에 따라 염색법이 다르다.
④ 염색액에 섬유를 넣어 일정한 시간동안 열을 가한다.

52. 침염에 사용되는 기계를 염색물의 형태에 따라 나눈 것이 아닌 것은?

① 톱 염색기
② 사 염색기
③ 의류 염색기
④ 빔 염색기

53. 다음 중에서 실을 염색하는 방법이 다른 하나는?

① 타래
② 치즈
③ 콘
④ 케이크

54. 원단을 감을 수 있는 2개의 롤러와 원단을 유도해 주는 몇 개의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어, 원단이 확포상태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염색하는 염색기는?

① 윈치 염색기
② 지거 염색기
③ 치즈 염색기
④ 액류 염색기

55. 다음 중에서 원단을 펼친 상태로 염색하는 염색기가 아닌 것은?

① 지거
② 윈치
③ 빔
④ 패드 롤
56. 다음 중에서 일반적으로 섬유와 용수의 액비가 가장 낮은 염색기는?

① 지거 ② 윈치
③ 빔 ④ 액류 염색기

57. 다음 중에서 연속염색이 가능한 염색기가 아닌 것은?

① 패드 스팀
② 서모솔
③ 지거
④ 패드 롤

58. 다음 중에서 반응성 염료에 의한 염색방법이 아닌 것은?

① 반응성 염료는 섬유와 이온결합 한다.


② 중성염 용액으로부터 섬유내부 표면에 물리적으로 흡착한다.
③ 알칼리 첨가에 의해 염료-섬유의 결합이 진행된다.
④ 반응성 염료의 화학구조는 발색기와 반응기로 나타낼 수 있다.

59. 다음 중에서 반응성 염료로 면(Cotton)을 염색할 때 사용하지 않는 것은?

① 망초
② 소다회
③ 소핑제
④ 환원제

60. 배트 염료는 셀룰로오스 섬유에 염색할 경우 매우 뛰어난 견뢰도를 나타낸다. 물에


녹지 않는 ( )형 구조인 배트 염료는 염색하기에 앞서 환원제와 알칼리를 첨가하여
물에 녹는 ( )염을 만든다. ( )안에 알맞은 것은?

① 분산 – 중성
② 아조 – 무기
③ 퀴논 – 류코
④ 금속 – 알칼리
61.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계 배트 염료의 염색방법 중 가장 낮은 온도에서 염색하는
방법은?

① 일반법(IN 법)
② 온염법(IW 법)
③ 냉염법(IK 법)
④ 특일반법(IN 특별법)

62. 반응성 염료로 면직물을 염색할 때 사용되는 조제와 사용방법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염소산나트륨 - 환원방지제
② 황산나트륨 - 흡착제
③ 탄산나트륨 - 고착제
④ 중크롬산칼륨 – 소핑제

63. 산성기와 염기성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처리액의 pH에 따라 음이온 또는


양이온으로 전리되는 섬유는?

① 면
② 나일론
③ 아크릴
④ 양모

64. 견(silk)섬유의 염색에 대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산성염료의 견섬유에 대한 친화력은 양모(wool)에 비해 높다.


② 세탁견뢰도는 양모에 비해 낮은 편이다.
③ 고온에서 염색하면 광택이 나빠진다.
④ 산성 염료와 이온결합 한다.

65. 나일론(Nylon)섬유 염색 시 염료의 염색성과 사용하는 pH가 맞게 연결된 것은?

① 1:2 금속 착염 염료 - 약산성
② 밀링형 산성 염료 – 중성
③ 균염성 산성 염료 - 약알칼리성
④ 반균염성 산성 염료 – 산성
66. 균염성 산성염료는 염료가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이동하는 성질이 좋아서 나일론 염색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나?

① 블로킹(blocking)
② 커버링(covering)
③ 엔딩(ending)
④ 리스팅(listing)

67. 나일론 직물 100g을 산성염료를 이용하여 1.5 % o.w.f 의 농도로 액비 1 : 20인


2리터(L)의 물에서 염색하고자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산성염료의 양은 얼마인가?

① 30g ② 3g
③ 1.5g ④ 15g

68.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분산염료로 염색한다.
② 고온고압에서 염색된다.
③ 환원세정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④ 서모솔 염색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법이 아니다.

69. 섬유염색법 중에서 주로 고온고압에서 염색하므로 화상 또는 압력에 의한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염색시 가장 주의해야 되는 섬유는?

① 면(cotton)
② 나일론(nylon)
③ 양모(wool))
④ 폴리에스테르(polyester)

70. 흰색 또는 옅은 색으로 염색된 원단 위에 직접 날염하는 방법은?

① 본염
② 발염
③ 방염
④ 방발염
71. 염색된 원단에 날염풀을 이용하여 무늬를 찍으면, 무늬가 찍힌 부분의 바탕색이
빠져나가면서 무늬를 나타내는 날염법은?

① 직접 날염
② 발염 날염
③ 방염 날염
④ 착색 방염

72. 다음은 기계식 날염 방법이다. 이중에서 날염방식이 다른 것은?

① 롤러 날염
② 평판 자동 스크린 날염
③ 로터리 스크린 날염
④ 전사 날염

73. 다음 중 날염공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제도-날인-제판-증열-수세-건조-검사
② 제도-제판-증열-날인-건조-수세-검사
③ 제도-제판-날인-증열-수세-건조-검사
④ 제도-날인-증열-제판-건조-수세-검사

74. 다음 중 제판공정에서 스크린 막을 만들 때 사용되는 약제가 아닌 것은?

① 젤라틴
② 카세인
③ PVA
④ 중크롬산염

75. 다음은 제판공정 중 노광(exposure)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① 감광액을 도포한 스크린을 빛에 노출시키는 작업이다.


② 광원은 청색광이 좋다.
③ 무늬가 많은 경우 노광시간은 짧아야 한다.
④ 빛에 노출된 감광액은 불용화 된다.
76. 제판공정에서 조막제로 사용되는 약제 중 현상 작업시에 미고착된 감광액의 수세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PVA
② 젤라틴
③ 밀크 카세인
④ 디아조 수지

77. 날염용 풀감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알맞은 끈기와 굳기를 가지고 있으며, 염료나 조제와의 혼합이 잘 되어야 한다.
② 섬유에 화학변화를 일으키고, 가공 중에 균열이 생기기 않아야 한다.
③ 염료를 섬유에 잘 옮겨주고, 무늬가 번지지 않아야 한다.
④ 물로 씻으면 쉽게 제거되고 풀 자국이 뻣뻣하지 않아야 한다.

78. 다음 중 날염용 색풀에 사용되는 조제와 그 역할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 풀감
② 요소(urea) - 흡습제
③ 폴리글리콜(polyglycol) - 염료 용해제
④ 롱가리트(ronglite-c) - 산화제

79. 다음 중 날염풀을 만들 때 주의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가열과 냉각은 천천히 하여 풀의 물성변화를 방지해야 한다.


② 날염풀의 점도가 높으면 풀감이 스크린의 눈을 막는다.
③ 알긴산나트륨은 60℃ 이상으로 가열하면 점성이 올라간다.
④ 염료의 용해가 불충분하면 작은 반점이 나타난다.

80. 로터리 스크린 날염기에 사용하는 스퀴즈가 아닌 것은?

① 블레이드 스퀴즈
② 반원형 단면 스퀴즈
③ 에어플로 스퀴즈
④ 롤러 스퀴즈
81. 다음의 스크린 인날 방식 중 풀감과 염료가 절감되며, 안료 날염시에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수 있고 생산속도가 증가되는 스퀴즈 방식은?

① 블레이드 스퀴즈 ② 거품 날인 스퀴즈


③ 에어플로 스퀴즈 ④ 롤러 스퀴즈

82. 다른 날염 방식에 비해 섬세한 무늬의 사실적인 날염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날염방법은?

① 롤라 날염
② 평판 스크린 날염
③ 로타리 스크린 날염
④ 전사 날염

83. 잉크젯 플로터를 이용하여 원단위에 무늬를 나타내는 날염법은?

① 디지털 날염
② 전사 날염
③ 로터리 스크린 날염
④ 평판 스크린 날염

84. 날염설비에 대한 설명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① 평판 스크린 날염 – 승강운동을 하는 스크린틀과 직물을 부착하는 앤드리스 벨트가 있다.


② 로터리 스크린 날염 – 원통모양의 스크린을 회전시켜 날인한다.
③ 전사 날염 – 종이에 미리 인쇄하여 다시 섬유로 염료 또는 안료를 옮긴다.
④ 디지털 날염 – 고화질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으나, 너무 느려 생산에 사용할 수 없다.

85. 반응성 염료에 의한 면섬유의 직접 날염법이다. 이 중에서 방식이 다른 것은?

① 증열법
② 플래시 에이지법
③ 알칼리 쇼크법
④ 콜드 픽스법
86. 직접염료에 의한 면직물의 발염에서 발염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롱가리트-C ② 아연가루
③ 나프톨 AS ④ 주석염

87. 아조익 염료에 의한 방염에서 방염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염화제일주석
② 타르타르산
③ 요소
④ 황산알루미늄

88.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직접 날염에서 염료 고착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증열법
② 환원세정법
③ 건열고착법
④ 캐리어법

89.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온 증열용 날염 풀의 처방에 사용되는 조제와 그 용도가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유기산 – pH 조절제
② 알긴산나트륨 – 환원 방지제
③ 에틸렌글리콜 – 번짐 방지제
④ 요소 – 흡습제

90. P.V.I(Printing viscosity index)가 0.7인 알긴산나트륨 40 파트와 P.V.I가 0.6인 구아검
60 파트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한 호의 P.V.I 값은?

① 0.54
② 0.62
③ 0.64
④ 0.67
91. 탈수공정은 건조공정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보조 공정으로 꼭 필요한
공정이다. 탈수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원심 탈수 ② 압착 탈수
③ 진공 탈수 ④ 플라즈마 탈수

92. 다음 중에서 직물의 폭을 고정시키는 폭출의 기능을 가진 열풍식 건조기는?

① 실린더 건조기 ② 텐터
③ 네트 건조기 ④ 텀블러 건조기

93. 건조할 때 장력이 걸리지 않아 직물의 볼륨감을 살려주는 장점이 있어서 만짐새
개선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건조기는? (단점으로 주름이나 털이 일어나기도 한다)

① 편면 실린더 건조기
② 가스식 텐터
③ 네트 건조기
④ 텀블러 건조기

94. 면직물은 세탁하면 줄어드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무벨트나
부직포 펠트를 이용하여 경사방향으로 강제로 압축시켜, 면직물의 수축을 최대한
제거하는 가공방법은?

① 산포라이징 가공(Sanforizing 가공)


② 머서화 가공(Mercerized 가공)
③ 모소 가공(Mossing 가공)
④ 듀어러블 프레스 가공(Durable press 가공)

95. 면의 방염가공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인산암모늄
② 붕산
③ 수산화나트륨
④ THPC
96. 원단의 표면에 침포를 이용하여 긁어 일으킴으로써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보온성을
좋게 하는 가공 방법은?

① 기모 가공 ② 브러쉬 가공
③ 샌드 가공 ④ 전모 가공

97. 합성섬유는 열 고정을 통해 섬유의 미세구조에 변화를 주게 된다. 열 고정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치수안정성의 향상
② 형태의 고정
③ 광택의 부여
④ 겉모양의 향상

98. 흡습성이 낮은 합성섬유의 친수성을 향상시켜 섬유표면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가공 방법은?

① 형태 안정 가공
② 대전 방지 가공
③ 유연 가공
④ 방축 가공

99.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유연제를 사용하는데, 다음 중 유연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① 오일
② 계면활성제
③ 실리콘 수지
④ 우레탄 수지

100. 폴리에스테르 섬유 192g의 완전분해에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양은 80g이다.


이론적으로 원단 1kg을 20% 감량하는데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양은 얼마인가?

① 83.3g
② 8.3g
③ 17.3g
④ 173.6g
101. 다음 중 가장 튼튼한 바느질 방법은?

① 가름솔 ② 홑솔
③ 쌈솔 ④ 뉨솔

102. 재봉기 바늘 중 바늘의 굵기가 가는 것부터 굵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14호 → 11호 → 9호 → 8호
② 8호 → 9호 → 11호 → 14호
③ 14호 → 9호 → 11호 → 8호
④ 9호 → 11호 → 14호 → 8호

103. 제도에서 사용되는 부호 중 다음 그림의 명칭은?

① 기초선
② 완성선
③ 안단선
④ 꺾임선

104. 재봉기의 구조 중 옷감을 미끄럼판 위에 고정시키고 톱니의 움직임에 따라 옷감이


함께 움직일 수 있을 만큼의 압력으로 옷감을 눌러 주는 것은?

① 실가이드
② 노루발
③ 바늘
④ 북과 북집

105. 밑실이 끊어지는 원인은?

① 북에 결함이 있다.
② 보내기 기구에 결함이 있다.
③ 실 안내에 결함이 있다.
④ 실채기 스프링에 결함이 있다.
106. 시접을 예쁘게 장식할 때 사용되며 겉으로 실이 나타나지 않게 하는 바느질 방법은?

① 새발뜨기
② 공그르기
③ 휘감치기
④ 반박음질

107. 옷을 만들 때 필요한 치수로 유두를 지나 가슴의 수평으로 재는 것은 무엇인가?

① 허리둘레
② 엉덩이둘레
③ 가슴둘레
④ 바지길이

108. 재봉기 윗실을 걸 때 마지막에 실을 끼우는 곳은?

① 실채기
② 바늘
③ 북
④ 실조절기

109. 바느질할 때 천의 종류에 따라 강약의 압력을 주는 것은?

① 바늘
② 압력조절기
③ 노루발
④ 바늘대

110. 재봉틀 임시 분해 청소에 관해 맞는 것은?

① 1주 1회
② 매일
③ 15일에 1회
④ 1개월에 1회
111. 기계의 회전음이 요란하거나 사용이 무거운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기름이 없을 때
② 북가마에 먼지가 끼었을 때
③ 나사가 헐거울 때
④ 바늘보다 실이 가늘 때

112. 재봉틀 바늘이 잘 부러지는 원인은?

① 침판의 침통이 너무 넓다.


② 윗실이 너무 강하다.
③ 천에 풀기가 너무 세다.
④ 바늘대가 휘었거나 북통을 잘못 끼웠다.

113. 바늘이 부러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옷감이 두꺼울 때
② 바늘이 나쁘거나 굽었을 때
③ 감을 무리하게 당길 때
④ 바늘의 호수가 맞을 때

114. 재봉바늘의 호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무엇인가?

① 숫자가 클수록 바늘이 굵어진다.


② 숫자가 클수록 바늘이 가늘어진다.
③ 숫자가 작을수록 바늘이 굵어진다.
④ 숫자와 상관없다.

115. 바늘을 점검하려고 한다. 가장 적당한 것은?

① 끝이 무디고 휘어지지 않았는지 살펴본다.


② 바늘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살펴본다.
③ 천이 박혀지는 바늘인가 살펴본다.
④ 바늘의 상표를 살펴본다.
116. 두꺼운 겨울 동복지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재봉바늘 호수는?

① 7번
② 9번
③ 11번
④ 14번

117. 시접분량이 가장 적은 것은?

① 목둘레
② 옆선
③ 어깨
④ 스커트단

118. 시침바느질에 사용하는 실은?

① 면사
② 견사
③ 나일론사
④ 폴리에스테르사

119. 옷감을 봉제할 때 가장 적절한 재봉기는?

① 지그재그봉
② 본봉
③ 이중환봉
④ 편평봉

120. 스커트 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① 엉덩이둘레
② 허리둘레
③ 스커트길이
④ 엉덩이길이
121. 그레이딩(grading) 정의를 맞게 설명한 것은 무엇인가?

① 디자인 종류를 부분별로 구별하는 작업


② 재단작업에서 봉제작업으로 이동하는 작업
③ 심플화, 불량품을 분리하는 작업
④ 사이즈별 치수를 조절하는 작업

122. 다음 중 옷을 만드는 일반적인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① 치수설정
② 의복설계
③ 패턴제작
④ 재단

123. 재봉기에서 주어진 땀 길이에 맞게 천을 앞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① 노루발
② 침판
③ 톱니
④ 실채기

124. 다음 재봉기 바늘 중 가장 굵은 것은?

① 9번
② 11번
③ 12번
④ 14번

125. 다음 중에서 스커트 제도에 가장 필요 없는 치수는?

① 허리둘레
② 엉덩이둘레
③ 엉덩이길이
④ 밑위길이
126. 올의 풀림을 방지하고 어깨와 소매를 이을 때 완전하게 감침질되는 능률적인 재봉기는?

① 인터로크
② 단추달이
③ 본봉
④ 두줄스티치

127. 재봉바늘 호수는 무엇을 뜻하는가?

① 바늘 강도
② 길이
③ 바늘 굵기
④ 바늘 종류

128. 재봉틀을 사용하여 두 장의 천을 합하는 방법은?

① 마킹
② 연단
③ 재단
④ 봉제

129. 패턴 배치 방법 중 맞는 것은?

① 패턴은 작은 것부터 배치한다.


② 옷감의 겉면이 밖으로 되도록 반 접는다.
③ 짧은 털이 있는 옷감은 털의 결방향이 위로 가게 한다.
④ 긴 털이 있는 옷감은 털의 결방향이 위로 가게 한다.

130. 다음 그림은 손바느질 방법 중 어떤 것인가?

① 감침질
② 박음질
③ 홈질
④ 새발뜨기
131. 실크블라우스를 재봉할 때 알맞은 바늘호수는?

① 9번
② 14번
③ 16번
④ 18번

132. 흰색의 면직물로 블라우스를 재단할 때 어떤 방법의 표시가 가장 좋은가?

① 실표 뜨기 표시
② 뼈인두 표시
③ 초크 표시
④ 룰렛표시

133. 소매산이 높을 때 소매통의 변화는?

① 소매산에 관계없이 소매통은 항상 일정하다.


② 소매통은 좁아진다.
③ 소매통은 넓어진다.
④ 소매길이가 짧아진다.

134. 블라우스의 소매산이 높으면 어떻게 되는가?

① 활동하기에 불편하다.
② 바느질하기가 불편하다.
③ 소매가 길어진다.
④ 활동하기 편하다.

135. 바느질 모양이 다음 그림처럼 나타나는 것은?

① 감침질
② 박음질
③ 홈질
④ 새발뜨기
136. 시침실을 사용하며 두 장의 직물에 패턴의 완성선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손바느질 방법은?

① 휘감치기
② 실표 뜨기
③ 새발뜨기
④ 어슷시침

137. 손으로 하는 대표적인 바느질법으로 두 장을 잇거나 주름을 만들 때 많이 사용되는


손바느질 방법은?

① 홈질
② 박음질
③ 감침질
④ 실표 뜨기

138. 다음은 재봉기에서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표면이 미끄럽게 되어 있어 옷감이 노루발 밑으로 쉽게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는


역할을 하며, 북과 북집을 넣을 수 있도록 열리고 닫히는 입구가 있다

① 노루발
② 톱니
③ 압력조절기
④ 미끄럼판

139. 두꺼운 옷감 시접 솔기 처리방법은?

① 가름솔
② 통솔
③ 쌈솔
④ 뉨솔

140. 옷을 만들 때 필요한 치수로 허리의 가장 가는 곳을 줄자로 재는 것은?

① 허리둘레 ② 엉덩이둘레
③ 가슴둘레 ④ 바지 길이
141. 천을 평평하게 가지런히 펼쳐 포개어 주는 것으로 재단하기 전에 하는 작업은?

① 마킹
② 연단
③ 재단
④ 봉제

142. 천이나 마커종이에 재단선을 표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마킹
② 연단
③ 재단
④ 봉제

143. 재단선을 따라 천을 자르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마킹
② 연단
③ 재단
④ 봉제

144. 옷을 만들 때 필요한 치수로 줄자를 이용해서 엉덩이의 제일 굵은 부분을 수평


으로 재는 것은 무엇인가?

① 허리둘레
② 엉덩이둘레
③ 가슴둘레
④ 바지 길이

145. 바지길이 90cm인 긴바지를 만들려고 한다. 110cm폭 원단의 옷감은 얼마나 필요한가?

① 100~110cm
② 150~160cm
③ 200~220cm
④ 250~260cm
146. 손바느질할 때 쉬폰과 같이 아주 얇은 견(실크)은 바늘의 굵기를 나타내는 호수는?

① 2,3호 ② 4,5호
③ 6호 ④ 8호

147. 손바느질할 때 아주 두꺼운 골덴, 개버딘 옷감에 사용하는 바늘의 호수는?

① 2,3호 ② 4,5호
③ 6호 ④ 8호

148. 다음 그림은 패턴을 원단에 표시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무엇인가?

① 초크(chalk)
② 다리미
③ 재단주걱
④ 룰렛

149. 다음 그림은 재단 용구로 천을 재단할 때 사용하며, 종이를 자르는 제도용 가위와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무엇인가?

① 재단가위
② 핑킹가위
③ 쪽가위
④ 래퍼

150. 다음 그림은 계측용구 중 피부의 표면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둘레나 길이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무엇인가?

① 줄자
② 곡자
③ 축도자
④ 방안자
151.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보통 130도의 고온고압에서 염색을 진행한다. 다음 중 폴리
에스테르 섬유의 염색온도를 100도 정도로 낮추는 역할을 하는 조제는 어느 것인가?

① 분산제 ② 캐리어
③ 균염제 ④ 촉염제

152. 면섬유를 산화제에 의해 표백할 때 경도가 높은 용수를 사용하면 발생하는 문제는


어느 것인가?

① 노랗게 변색된다.
② 광택이 난다.
③ 구멍이 발생한다.
④ 강도가 향상된다.

153. 옷을 만들 때 필요한 치수로써 줄자를 이용해서 허리 옆 둘레선에서부터 발목


까지 재는 것은?

① 허리둘레
② 엉덩이둘레
③ 바지길이
④ 가슴둘레

154. 다음의 경편성 제품의 조직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① 트리코트(Tricot)
② 밀라네스(Milanese)
③ 자카드(Jacquard)
④ 랏셀(Raschel)

155. 편성물의 분해에서 조사하여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① 편포의 판매가
② 편포의 조직
③ 편포의 종류
④ 편포의 무게와 폭
156. 편성물은 고리(loop)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 중 편성물에서 고리의 1인치 내의 개수를
나타내는 용어는?

① 코(wale)
② 터크(tuck)
③ 도목(stich length)
④ 밀도(stich density)

157. 어느 편성물의 고리(loop)구조에서 풀어낸 실의 길이는 100cm이다. 이 편성물의 코는 20,


단은 25일 때 이 편성물의 편환장은 얼마인가?

① 5
② 50
③ 4
④ 40

158. 동일한 원사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의 조직 중에서 편환장이 가장 긴 것은?

① 평편(plain)
② 1×1 리브편(rib)
③ 2×2 리브편(rib)
④ 양면편( interrock)

159. 다음 중 편성기가 아닌 것은?

① 환편기
② 수직기
③ 라셀기
④ 양두기

160. 다음 중 가장 높은 밀도의 조직을 편성할 수 있는 편기는?

① 12 게이지 ② 18 게이지
③ 24 게이지 ④ 32 게이지
161. 다음에서 24게이지 편기보다 2배 치밀한 조직을 편성할 수 있는 게이지는?

① 12 게이지
② 32 게이지
③ 48 게이지
④ 60 게이지

162. 100피더를 가진 편성기가 1초 당 0.5의 회전으로 편성한다고 할 때 이 조건에서


해당 편기의 생산효율은 얼마인가?

① 50
② 3,000
③ 2,000
④ 200

163. 편기에는 여러 가지의 바늘이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늘구조는 어느 것인가?

① 비어드 편침
② 복합 편침
③ 양두 편침
④ 래치 편침

164. 편성물은 다음 어느 조직의 연속구조로 이루어지는가?

① 사각형구조
② 벌집형구조
③ 고리형구조
④ 원형구조

165. 편성물에 사용하는 원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굵기나 꼬임수가 균일하다.


② 수축 특성이 작다.
③ 강도와 신도가 크다.
④ 표면에 잔털이 많다.
166. 다음 중 일반적인 편성물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잘 늘어나지 않는다.
② 함기성이 크다.
③ 유연하다.
④ 신축성이 있다.

167. 다음 중 일반적인 편성물의 단점은?

① 감촉이 좋다.
② 구김이 없다.
③ 올이 잘 풀어진다.
④ 보온성이 좋다.

168. 편성물의 길이방향의 조직을 무엇이라고 하나?

① 단(course)
② 경사(warp)
③ 코(wale)
④ 위사(weft)

169. 위편성물 기본조직 중 앞면과 뒷면 조직의 표면상태가 가장 다른 것은?

① 평편(plain)
② 펄편(purl)
③ 리브편(rib)
④ 스카시편(skashi)

170. 편성물을 착용 후 물세탁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강하게 비벼 빨지 않는다.
② 햇빛에서 빨리 건조한다.
③ 기계탈수는 저속에서 한다.
④ 가급적 손세탁을 한다.
171. 다음 중 정경공정이 필요 없는 편성물은 어느 것인가?

① 환편물
② 트리코트편물
③ 라셀편물
④ 밀라니스편물

172. 편성공정에서 편침이 가장 높은 위치에 올라가 고리를 구성하는 편성위치를 무엇이라고 하나?

① 턱(tuck)
② 가이드(guide)
③ 미스(miss)
④ 니트(knit)

173. 편성 제품 중에서 특정한 어느 조직에서는 가장자리가 휘감기는 성질이 있어


염색가공 및 봉제 공정에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curl-up ② drape
③ run ④ sang

174. 염색은 염료나 안료 등을 사용하여 섬유 등의 피염물을 착색시키는 공정이다.


다음 중 실용적인 염색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착색이 균일한 것
② 착색의 색상이 다양한 것
③ 착색이 용이할 것
④ 착색이 견고할 것

175. 염색공정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3가지 색상의 혼합에 의해 색을 발현시킨다. 다음


중 3가지 색상이 아닌 것은?

① 화이트(white)
② 마젠타(magenta)
③ 시안(cyan)
④ 노랑(yellow)
176. 시안(cyan)과 노랑(yellow)을 혼합하면 무슨 색상이 되는가?

① 주황(orange)
② 녹색(green)
③ 보라(pupple)
④ 분홍(pink)

177. 빨강, 노랑, 파랑 등으로 구분하며, 색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명도(value)
② 채도(chroma)
③ 보색(complementary color)
④ 색상(hue)

178. 다음 중 염색용수로 부적합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탁도가 0.3ppm 이하인 것


② pH가 7.0인 것
③ 경도가 20ppm 인 것
④ Fe, Mg가 10ppm인 것

179. 섬유제품 정련공정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섬유 중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② 염색공정에서 색의 선명도를 향상시킨다.
③ 섬유를 하얗게 한다.
④ 염색공정에서 얼룩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180. 섬유제품 표백공정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백색제품으로의 가치를 높인다.


② 원단의 촉감을 부드럽게 한다.
③ 선명한 색상으로 염색하기 위해 착색물질을 제거한다.
④ 정련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한다.
181. 섬유제품의 전처리 공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정련공정
② 표백공정
③ 풀빼기공정
④ 기모공정

182. 다음의 섬유 중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별도의 표백공정이 필요 없는 것은?

① 면
② 양모
③ 마
④ 폴리에스테르

183. 다음의 면섬유의 전처리 공정의 조합에서 실용적으로 조합이 이루어진 것은?

① 풀빼기-표백-정련
② 풀빼기-정련-표백
③ 정련-풀빼기-표백
④ 정련-표백-풀빼기

184. 다음 중 pH 9.0 미만의 약한 알칼리에서 제거되는 호제는 어느 것인가?

① 전분호제
② CMC호제
③ 아크릴호제
④ PES호제

185. 면섬유의 표백에 사용하는 약품으로 실용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백제는?

① 과산화수소(H2O2)
②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③ 아염소산트륨(NaclO2)
④ 가성소다(NaOH)
186. 면섬유의 풀빼기 공정에 사용하는 산화호발제가 아닌 것은?

① 아밀라제
② 과산화수소
③ 아브론산염
④ 과황산염

187. 효소정련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친환경적인 처리방법이다.
② 비교적 고온에서 처리한다.
③ 수축, 구김 등의 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④ 산이나 알칼리에 약한 원사에 효율적이다.

188. 섬유제품의 표백방법이 아닌 것은?

① 산화표백
② 환원표백
③ 이온표백
④ 형광표백

189. 섬유제품의 정련표백 설비 중 염색기로는 활용할 수 없는 것은?

① 윈치(winch)
② J-Box
③ 고압액류기
④ 지거(jugger)

190. 섬유제품의 정련표백 설비 중 연속설비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균일한 품질
② 양호한 재현성
③ 생산능률의 향상
④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에 적합
191. 섬유제품의 정련표백 공정 중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가장 적은 것은?

① 처리설비 담당자
② 사용하는 약품의 종류와 수량
③ 처리 온도와 처리 시간
④ 처리 설비

192. 면섬유의 정련표백 설비 중 비연속식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설비는?

① CPB
② High Rotary Washer
③ 윈치(winch)
④ 고압액류정련기

193. 고온, 고압의 정련기가 필요한 섬유는?

① 면
② 폴리에스테르
③ 아크릴
④ 레이온

194. 다음의 염료 중 물에 녹는 염료가 아닌 것은?

① 직접염료
② 분산염료
③ 반응성염료
④ 산성염료

195. 다음의 원사소재-염료 쌍 중에서 가장 낮은 온도에서 진행하는 것은?

① 면-직접염료
② 나일론-산성염료
③ 면-반응성염료
④ 아크릴-양이온염료
196. 다음 중 면섬유의 염색에 사용되지 않는 염료는?

① 반응성염료
② 배트염료
③ 산성염료
④ 직접염료

197.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여 면섬유에 염색하고자 할 때 염료의 구비요건이 아닌 것은 ?

① 알칼리에 안정적일 것
② 고착율이 높을 것
③ 견뢰도가 양호할 것
④ 열에 대한 예민성이 클 것

198.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지 않는 섬유는?

① 폴리에스터 섬유
② 아세테이트 섬유
③ 누에고치 섬유
④ 트리아세테이트 섬유

199. 산성염료를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연한 상아색(ivory)으로 염색하려 한다. 적합한


염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고에너지 type
② 밀링(millimg) type
③ 하프밀링(half milling) type
④ 레벨링(levelling) type

200. 염색공정에서 조제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용해성
② 유화성
③ 흡착성
④ 안/알칼리 안정성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