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CHAPTER 05

QUALITY ASSURANCE AND CALIBRATION


METHODS

Copyright© 2009 by W. H. Freeman and Company


Quality assurance
• Quality assurance
is what we do to get the right answer for our purpose
• Need sufficient accuracy and precision to support subsequent
decision
• Standard addition, internal standard

Analytical chemistry
•Raw data: individual values of a measured quantity (peak areas,
volumes, etc)
•Treated data: concentration, amounts obtained by calibration procedure
of raw data
•Results: final report (mean, SD, confidence interval after applying
statistics to treated data)
Quality assurance
Use objectives
•Write or states clearly and concise use objectives for data and results
•Critical step in quality assurance
•Prevention of misuse of data and result

Specification
•Sampling requirements • Acceptable blank values
•Accuracy and precision • Calibration checks
•Rate of false results • Quality control samples
•Selectivity
•Sensitivity
Quality assurance ; Specification
• Quality assurance begins with sampling requirements

: 시료 채취 -> 분석물 손실 없어야 함

• False positive (가양성)

: 실제 농도는 허용치 미만이지만 농도가 허용치를 넘는 경우

• False negative (가음성)

: 실제 농도가 허용치 이상이지만, 농도가 허용치 미만

• Selective (선택성): 시료내의 다른 화학종과 분석물의 구별 능력

• Sensitivity (감도): 분석물의 농도변화에 대해 믿을 수 있고, 측정 가능하게


감응하는 정도

• 검출한계 (Detect limit)


Quality assurance ; Specification
• Method blank (방법 바탕): 분석물만 제외한 다른 모든 성분의 물질 분석

• Reagent blank (시약바탕)

• Field blank (현장바탕)

• Spike recovery (소량첨가 회수율) : 분석물이 다른 성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의 평가

• Calibration check (검정점검) : 아는 양의 분석물을 분석

• Performance test sample (성능시험시료) : 검정점검용 분석물을 아는


측정자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한 품질 관리

•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품질작업절차)


Quality assurance ; assessment
• Assessment (평가)

: 분석절차가 올바르게 수행되는가

: 최종결과가 사용목적에 부합하는가

• Protocol : 분석, 검출 및 기록을 지시하는 매뉴얼

• Control chart (관리도)

: 반복적 (장기간) 바탕, 검정점검, 소량첨가

등의 작업 수행 능력 평가
Validation of an Analytical Procedure
Validation of an Analytical Procedure
• Linearity (직선성)

: 검정곡선이 직선에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척도


Correlation coefficient

Acetaminophen의 Calibration curve


Area Conc.

y = 72048.65822 x – 10.37648
Validation of an Analytical Procedure
• Accuracy (정확도): 참값에 가까운 정도

1. 표준기준 물질을 사용

2. 두가지 다른 측정 방법으로 결과 비교 (예상 정밀도 내에서


일치해야 함)

3. 분석물 소량 첨가한 바탕 시료 분석

4. 분석대상 시료에 표준물 첨가하여 분석


Validation of an Analytical Procedure
• Precision (정밀도): 결과의 재현성

1. Instrument precision (기기정밀도) : 시험 기기의 정밀도

2. Intra-assay precision(분석내 정밀도): 측정기기에 대해서


균일 물질의 다수 측정에 따른 측정된 값의 정밀도

3. Intermediate precision : 다른 기기, 다른 시약 등에 따라


관찰된 결과의 정밀도

4. Inter-laboratory precision : 실험실간의 분석된 결과의


정밀도
Method validation: limits of detection & quantitation
• Detect limit (검출 한계): 분석물의 분석 가능한 최소량

Signal detection limit (신호검출한계)

Calibration line (검정선)

Detection limit
(검출한계)

Lower limit of quantitation

(정량 하한)
Method validation: limits of detection & quantitation
O
O
O
C CH2 O
5 n

166.30 173.86

182 181 180 179 178 177 176 175 174 173 172 171 170 169 168 167 166 165 182 180 178 176 174 172 170 168 166

182 178 174 170 166 182 178 174 170 166

O
O F3C S O H
H O S CF3 O O
O O C CH2 O
167.42 5 n
O 174.2
169.83

183 182 181 180 179 178 177 176 175 174 173 172 171 170 169 168 167 166 165
182 180 178 176 174 172 170 168 166

182 178 174 170 166 182 178 174 170 166
Standard addition
표준물 첨가: 미지 시료에 아는 양의 분석물 첨가 후,
원 미지시료보다 증가된 신호로부터 분석물의 분석 하는 방법
Standard addition
Internal Standard
Internal Standar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