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

수신 수신자 참조
(경유)
제목 ‘2020년 블룸버그 혁신지수’아세안 4개국 순위 및 결과 분석
수 신 : 장관(아세안협력과장 ,국제에너지안보과장) ,과기술정통부장관(다자협력담당관)
사 본 : 동남아1과장 ,동남아2과장 ,정책기획위원회위원장(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위원
장) ,행정안전부장관(국제디지털협력과장) ,통계청장(국제협력담당관) ,주태
국대사 ,주싱가포르대사 ,주말레이시아대사 ,주베트남대사
발 신 :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대사

연 호 :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5223(2020 .06 .02) , 5117(20 .05 .28) , 3316(20 .03 .30)

1 . 올해 1월에 블룸버그가 발표한 ‘ 2020년 블룸버그 혁신지수(2020 B l oombe rg


I nnova t i on I ndex) ’ 에서 나타난 우리나라와 아세안 4개국(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태국 , 베트남)의 순위 및 부문별 평가결과를 비교 , 보고합니다 .

○ 블룸버그 혁신지수 개요

- 블룸버그 L .P .는 1981년 前뉴욕시장인 마이클 블룸버그에 의해 창립된 24시간 경제


전문 뉴스를 서비스하는 미디어 그룹으로 본사는 미국 뉴욕에 있음

- 블룸버그는 아래의 산출방식을 근거로 , 7개 중 최소 6개 분야 데이터가 확보되는


105개 국가에 대해 순위를 매기며 , 이중 60개국에 대한 혁신지수를 매년 발표함

- 데이터원 : B l oombe rg , I LO , I MF , WB , OECD , W I PO , UNESCO

- 산출방식 : 다음 7개 분야 통계수치를 지수화하여(각 분야별 가중치는 동일) 국가별


로 0~100점을 부여
① R&D 집중도: GDP 대비 R&D 지출(민간+공공) 비중

② 제조업 부가가치: GDP 대비 제조업 부가가치, 1인당 제조업 부가가치

③ 생산성: 15세 이상 노동인구당 GDP 규모(최근 3년간 개선 추이 포함)

④ 첨단기술 집중도: 국내 상장기업중 첨단기술 기업 비중, 전세계 첨단기술 기업 숫자 대비


해당국가의 첨단기술 기업 숫자

⑤ 교육 효율성: 고등학교 졸업자중 대학진학률, 노동인구중 대학 학위소지자 비율, 연간 대


학졸업자중 이공계 비중, 전체 노동인구중 이공계 대학전공자 비중

⑥ 연구 집중도: 인구 백만명당 연구개발 전문인력 숫자

⑦ 특허 활동: 인구 백만명당 특허숫자, GDP 1천억불당 특허 숫자, 전세계 특허중 해당국가


의 특허 숫자
○ 2020 블룸버그 혁신지수 순위(우리나라 및 아세안 4개국) 결과

전년 첨단기
제조 교육
대비 R&D 술 특허
국가명 업 부 효 연구
’20년 ’19년 순위 총점 집중 생산성 집 활
가가 율 집중도
변화 도 중 동
치 성

2위 1위 -1 한국 88. 16 2위 3위 29위 4위 16위 5위 11위

3 6 +3 싱가포르 87. 01 12 2 4 17 1 13 5

27 26 -1 말레이시아 68. 28 23 9 46 25 40 41 38

40 40 0 태국 60. 36 44 18 51 33 29 48 33

57 60 +3 베트남 47. 64 53 52 60 37 40 55 42

2 . 평가 및 분석

○ 우리나라와 싱가포르는 혁신주도국으로서의 입지하고 있으며 , 말레이시아와 태국


이 그 뒤를 따르고 , 베트남이 조금씩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 싱가포르
를 제외한 국가들 모두 생산성 제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추진이 필요해 보임

- (한국) 우리나라는 88 .16점으로 세계 2위를 차지하여 ’ 12년 이후 9년 연속 세계


Top 3 유지하고 있는데 , 전년에 이어 종합점수는 한국과 독일(1위)이 동반상승하
는 등 근소한 격차를 유지 중이나 , 어려운 대내외 여건에 따른 상대적 생산성 , 교
육 효율성의 하락 등으로 순위가 한 단계 하락
- (싱가포르) 전년 대비 3계단이나 상승하여 핀란드 , 스위스 , 스웨덴을 제치고 Top
3에 진입하였는데 , 제조업 부가가치 , 생산성 , 교육 효율성 , 특허활동 부분에서 강
점을 가지나 종합 순위 대비 R&D 및 첨단기술 , 연구 집중도에서 약점을 보임 →
싱가포르와 우리나라는 7개 분야에서 서로 장단점을 역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벤치마킹할 여지가 많음
- (말레이시아) 제조업에 강점을 가지고 국가인 만큼 제조업 부가가치 및 첨단기술
집중도에서 좋은 성과를 내었으나 연구개발 인력 교육 · 양성에 좀 더 노력을 기
울여야 지속적인 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태국) 제조업 부가가치 및 교육 효율성이 좋은 편이므로 공공 · 민간에서 연구개


발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전체적인 순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잠재
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베트남) 최근 외국인 투자의 증가로 인해 높은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으나 , 이런


성장원동력을 내재화하여 중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인력양성 · 연구개발 그리
고 기반/과학기술/정보통신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높여 고급제품을 제조 · 판매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한편 , 아세안 회원국들 중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태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경우에
는 통계산출 및 공표 체계가 미흡하여 주요 국가경쟁력 평가 시 제외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 아세안 차원에서 전자정부/통계시스템 구축 관련한 협력사업을 적극 추
진하여 아세안 각국이 통계기반의 정책을 기획-수행-평가-환류로 이루어지는 선순
환 정책체계를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유망할 것으로 판단됨

○ 우리 대표부는 아세안 회원국들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확보 · 연구하여 보고하도록 하겠음 . 끝 .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대사
수신자 아세안협력과장,국제에너지안보과장,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다자협력담당관),동남아1과장,동
남아2과장,주말레이시아대사,주베트남대사,주싱가포르대사,주태국대사,정책기획위원회위원장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위원장),행정안전부장관(국제디지털협력과장),통계청장(국제협력담당관)

전결2020.6.18.
과학관 공사참사관 공사
손석준 윤상욱 김창년

협조자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
시행 (2020. 6. 18.) 접수 다자협력담당관-1140 (2020. 6. 19.)
5588
Jl.Asia Afrika No.8, Gelora Bung Karno, Jakarta Pusat
우 10270 / http://asean.mofat.go.kr
Sentral Senayan II. 23F
(62) 21 5795 (62) 21 5795
전화번호 팩스번호 / / 대국민 공개
1830 182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