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일본의 안보환경 변화와 정보기구 동향

국가정보대학원 연 현 식

Ⅰ. 일본의 안보환경 변화

패전국 일본은 국가안보는 전적으로 미국에게 의지하고 모든 국가적인 총력을 경제부


흥 및 발전에 쏟아붓는 안보 경시․경제 중시의 국가전략을 한동안 유지하였다. 따라서
국가정보 가운데에서도 경제정보, 특히 해외경제정보가 중요시되고 군사, 안보와 관련된
전략정보는 거의 미국에 의존하는 체제가 정착하게 되었다. 안보면에서의 對美 무임승차
가 정보분야에서의 무임승차로도 연결된 것이다.
해외경제정보는 MITI로 더 알려진 퉁산성 (현재의 경제산업성 : METI)을 중심으로
전세계를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통산성은 특히 경단련과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면서
종합상사들을 적극 활용하였다. 다수의 종합상사들은 실제로는 산업정보의 첨병의 역할
을 수행해 주었다. 경제산업성은 또한 전세계 주요국가에 100여개의 사무소를 두고 광범
위하게 산업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일본무역진흥회(JETRO)를 지도․감독하고 있다.
戰後 일본사회에서는 反戰, 反軍의 평화사상의 무드가 확산되어 안보관련의 해외정보
수집의 체계는 국가의 전면적인 지원을 받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일본은 국내에 설치된
통신첩보시설을 주로 활용하여 지리적으로 인접한 주변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특
히 일본 각지 요소에 배치된 자위대의 통신소는 감청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였고 육
막 조사부 조사2과 별실 (통칭 調別)은 주변국의 전파 및 통신정보 수집을 주도하였다.1)
그러나 첨단의 영상정보 수단을 갖지 못한 일본은 계속적으로 미국에 의지할 수밖에 없
었고 그러한 對美 의존적인 정보체계는 일면 당연시되는 풍토가 존재하였다.
냉전의 종료와 동시에 벌어진 걸프전에서 일본의 위기관리 준비 부족은 큰 경제적 부
담을 치르게 하였고 이러한 기여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도 기대 이하였다. 일본은 미국
의 정보에 휘둘려졌고 그들의 황당한 요구에도 응할 수밖에 없었다. 1993년 북한의 노동
미사일 발사이 일본의 동해쪽 노도(能登)반도 전방에 떨어졌으나 일본정부는 미국으로부
터 자세한 정보를 전달 받고서야 그 전모를 파악하게 되었다. 그 이후에 있어서도 일본
정부는 노동미사일 발사가 갖는 국제정치적인 의미를 중시하였지, 북한의 과학기술적 나
아가 군사적인 능력을 검증할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아니 그러한 검증 능력을 갖고
있지 못했다.2)
냉전체제의 종료 이후 일본의 안보환경은 오히려 일련의 사태의 발생으로 복잡하고

1) ‘調別’은 1983년 대한항공기 격추사건 당시 감청자료를 공개함으로써 혹가이도 최북단에 위치하는 와카나이 통신소의
실체가 드러난바 있다. 그러나 ‘調別’은 분산된 정보기구의 통합이라는 정부의 시책에 따라 정보본부에 통합되어 그 중추
적 역할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
2) 大森義夫(오오모리요시오), 『日本インテリジエンス機關』(文藝春秋, 2005), pp. 148-9.

- 1 -
어렵게 변화해 나갔다. 국내에서 발생한 한신 대지진과 북한의 핵 및 미사일문제의 부상,
페루 및 인도네시아 등지에서의 일본인 생명과 재산의 위협 등을 경험한 일본은 위기관
리 및 국가정보 능력의 미비를 더욱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또한 이때 유일한 동맹국인
미국은 일본에게 국제적인 안보 역할 확대를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에 일본은 이
를 외면할 수 없어 서서히 외교․안보의 틀을 바꿔 나가기 시작하였다. 대립의 냉전구도
가 붕괴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가 정보기구의 효율화와 축소를 추진하였지만 일본
은 반대로 군사력과 정보력의 질적․양적인 강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게 되었다. 그를
통해 성공적인 위기관리 태세를 조기에 구축, 확립하려는 노력이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게 되었다. 특히 일본정부는 해외정보 능력의 확충에 중점을 두고 독자적인 첩보
위성을 운용하는 등 다각적인 수집 능력 강화에 적극 나서게 되었다.
일본의 정보능력 강화에 불을 붙이는 역할을 한 중요한 외부적인 요소로 북한과 중국
을 거론할 수 있다. 특히 1998년,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는 일본열도를 경악하게 만
들었으며 역설적으로 일본인들이 안보문제에 대해 비로서 눈을 뜨게 해주는 계기를 만들
어 주었다. 이후 북한의 계속된 괴선박의 일본주변해 출몰과 북한핵 및 미사일문제의 재
부상 등은 일본정부로 하여금 자연히 효과적인 對北 정보수집 및 분석이 일본의 국가안
보와 관련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만들었다. 또한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기초한 국력증대는 對中정보 능력의 대폭적인 향상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특히 해군력
을 중심으로한 중국의 군사력 현대화 노력의 강화와 대만문제의 재부상은 미․일간의 동
맹 강화 및 확대의 필요성과 정보 협력 및 공유의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그 위에 미국에서의 9․11 테러 발생은 일본의 국가정보 역량의 확대에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對테러전과 대량살상무기(WMD)의 확산 저지가 국제사회의 공통적인 안
보적인 현안이 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일본의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지경이 되었다. 특히 對테러전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미․일간의 긴밀한 정보협력 및
공조체제의 구축이 힘을 얻어 진행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일본 국내에서의 유사법제의 정비와 9․11 테러 이후의 국제안보면에서의 일본
의 획기적인 역할 증대는 국가정보기관들의 기능 강화 및 확대로 연결되고 있다. 특히
미국이 주도하는 지구차원의 對테러전과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 구상(PSI)에 일본이 적
극 참여함에 따라 일본의 정보적차원에서의 기여가 기대되고 있으며 미․일간의 전략정
보의 공조도 강화일로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해상자위대와 항공자위대를 중
심으로 미군과의 정보공유 노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해상자위대의 이지스함은
일본열도 부근에서 美 제7함대와 일상적인 데이터 교신을 하고 있으며 테러특별조치법에
의해 인도양에 파견되어 미군과의 공조는 더욱 질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보력 강화를 위한 국내적인 관심과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도 강렬해지고 있
는 것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3) 정보 커뮤너티(IC)에 참가했던 인사들의 적극적인
발언과4) 정치인들의 인텔리전스에 관한 관심 증대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아

3) 외무성의 해외정보 강화 방안 발표 (2005. 9)와 「대외정보 기능 강화 간담회」구성 (2006. 4), 집권 자민당의 「국가정
보 기능 강화 검토 팀」 구성 (2006. 6), 일본판 NSC(국가안보회의) 운용 결정 등이 그 좋은 예이다.
4) 내조실장을 역임한 오오모리 요시오, 방위청 정보본부장을 역임한 오오타후미오, 외무성 정보분석관이었던 사토우 마사

- 2 -
베총리는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하면서도 일본의 독자적인 능력 강화 및 확대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일본이 능력이 있을 떄 비로서 미국도 일본을 중시하며 미일관계도 질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그는 생각하고 있다.5)

Ⅱ. 일본 주요 정보기구의 구성과 기능

일본을 둘러싼 안보환경의 변화는 국가정보와 관련한 일본인들의 기존인식에 서서히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촉진시키고 있는 중요한 외부변수로는 1) 국제적
인 테러 발생과 WMD 확산, 2) 세계 도처의 일본 재산과 일본인 안전 확보와 자원의 안
전적 공급, 3) 세계전략을 위해 일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미국의 강한 국가적인 의
도, 4)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기초로 군사강국 위상을 확보하려는 지역대국 중국의 부상,
5) 예측 불가능한 북한으로 부터의 안보적 위협의 실존 등을 거론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관련된 일본 내부적인 요소로는 1) 일본 특수론에서 벗어나 보통국가로 변화해 나가야한
다는 일반 여론의 변화, 2) 절대 치안 안전의 국가 이미지의 붕괴에 따른 사회 불안 및
동요 현상의 확산, 3) 대규모 재해 발생 빈도의 증가와 그에 대비한 구체적인 대응책 마
련의 필요성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주요국에 대한 해외정보, 특히
군사 및 안보관련 정보의 중요성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으며 국내 요소별 정보의 중요도
도 일본사회의 다원화와 불안감 증대에 따라 강화되고 있다. 또한 세계 제2위의 경제대
국의 지위를 확고히 유지하기 위한 고급의 경제정보, 과학기술정보에 대한 수요 및 요구
를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하는 커다란 과제를 일본정부는 안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정보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일본정부는 정보
조직의 대규모적인 확대 재․개편, 첨단 장비 및 시설의 적극적인 도입, 그리고 정보 수
집 및 분석 능력의 제고 방안을 추진중에 있다. 이러한 정보조직 재개편 작업의 대상이
되고 있는 주요기구로는 전반적인 국가정보를 다루는 내각정보조사실, 해외정보를 관장
하는 외무성, 국내정보를 주도하는 공안조사청, 군사정보를 주관하는 방위성, 방첩활동을
담당하는 경찰청 등이 거론되고 있다.6) 본 논문에서는 대외정보를 담당하는 내각정보조
사실, 외무성, 방위성에 주로 초점을 맞춰 살펴본다.

루 등이 인텔리전스 관련 저서들을 발표하면서 여론 형성을 주도하고 있다. 大森義夫, 『日本インテリジエンス機關』(文藝


春秋, 2005); 太田文雄, 『情報と國家戰略』(芙蓉書房, 2005); 佐藤優 外, 『インテリジエンス武器なき戰爭』(幻冬舍, 2007)
참조.
5) 安倍晋三, 『美しい國へ』(文藝春秋, 2006), pp. 109-144.
6) 일본의 인텔리전스 컴뮤너티(IC)를 망라하는 합동정보회의(JIC)가 격주로 사무담당 관방부장관의 주재하에 총리 관저
내에서 개최되어 의사소통의 장으로 일정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정보를 평가 결정하는 곳은 아니다. 이 회의에는 내각
위기관리감, 내각정보관, 공안조사청 차장, 방위청 방위국장, 외무성 국제정보통괄관, 경찰청 경비국장이 출석하고 있다.
大森義夫, p. 25. 합동정보회의의 상위기관으로서 내각정보회의가 있으나, 이는 年2회 관방장관 주재로 관계성청의 차관급
들이 모이는 회합체이나 큰 의미가 부여되고 있지 못하다.

- 3 -
1. 내각정보조사실 (Cabinet Intelligence and Research Office : CIRO)

일본 국가정보체계의 중추적인 기구인 내각정보조사실 (이하 내조실)은 총리를 보좌,


지원하는 내각관방(Cabinet Secretary)의 하나의 부서로서 기능하고 있다.7) 내조실의 주
요 기능은 내각의 중요정책과 관련한 정보의 수집, 분석과 기타 조사업무를 담당하는 것
이다. 내조실은 내각정보관을 수장으로 차장, 총무부문, 국내부문, 국제부문, 경제부문, 내
각정보집약센타, 그리고 내각위성정보센타로 구성되고 있다.8)
각 부서의 업무를 보면 총무부는 인사, 예산, 홍보 및 정보의 종합분석 등에 관련한
업무를 수행한다. 국내부는 내각의 중요정책 수립을 위한 국내정보 수집 및 분석을 담당
한다. 국제부는 내각의 해외정보 수집, 분석의 창구로서 세계경제조사회 등 외곽단체를
운용하는 해외정보 담당부서이다.9) 경제부는 국내외 경제 관련 정보를 수집, 연구 및 조
사를 담당한다. 내각정보집약센타는 대규모 재해 등 긴급사태시 정보 수집을 담당하며10)
내각위성정보센타는 국가안전 확보와 대규모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영상정보의 수집, 분
석업무를 관장한다.11)
그러나 내조실은 인원 및 장비의 부족으로 인해 독립적인 국가정보기관의 역할을 완
수하는데 적지않은 제한과 한계점을 안고 있다. 즉 일본의 내조실은 미국 등 정보강국의
국가정보기관들과 비교할 때 그 조직과 활동이 상당히 왜소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12) 또
한 국가정보기구로서 부문별 정보기관의 정보를 총괄, 조정하는 역할에 있어서도 많은
한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내조실은 정보를 정리하며 내외관계자
와의 정보교환을 주된 활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대외공작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볼 수
는 없다.
내조실은 주로 풍부한 자금을 기초로 주로 외곽의 민간 연구기관들을 활용하며 또한
공개자료를 중시하면서 국가정보활동을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조실은 특히
언론기관 등의 뉴스 메체에 대한 의존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일
부는 외국의 정보기관들과의 정보공유에 힘입어 획득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
히 군사정보에 관한 미국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과의 정보협력은 특기할 만하다.13) 일본
은 1947년 맺어진 미․영간 신호정보 공유 협정(UKUSA Accord)에 제3자적 지위로 참
여하고 있기도하다.14) 최근 일본은 미국이 프랑스 또는 이스라엘과 체결한 이상의 내용
을 갖는 ‘군사정보 일반 보전 협정 (GSOMIA : A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7) 내조실은 일본의 독립과 더불어 1952년 4월 30명 정도의 인원으로 출법하였다.


8) http://www.cas.go.jp/jp/gaiyou/jimu/jyouhoutyousa.html (2007. 5. 30 검색)
9) 국제부는 부장인 국제부주간하에 미주반, 한반도반 같은 지역담당반이 있고 군사반과 해외 우호기관과의 정보교환 업
무를 담당하는 교환반 등이 있다. (大森, p. 24)
10) 센타는 1995년 한신대지진 이후 경찰청, 소방청, 공안조사청, 방위청, 해상보안청 등이 파견한 5개반 20명으로 출범하
였다. 긴급 정보를 모아 총리 비서관에게 보고하는 업무를 수행할 뿐 판단, 지시의 권한이 없다. (大森, pp. 48-50.)
11) 정찰위성 보유를 위한 물밑 노력이 경주되었으나 결정적으로 도움을 준 것은 북한의 대포동 발사 사건이었으며 이 사
건 발생 후 즉시 각의에서 정보위성의 개발이 결정되었다. 위성센타는 2000년 큰 규모의 조직으로 탄생하였으며 실질적으
로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2) 오오모리 前실장은 내조실 소속의 본래의 직원은 80명 정도로 밝히고 있다. (大森, p. 24)
13) Andrew L Oros, "Japan's Growing Intelligence Cap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lligence and
Counterintelligence. Spring 2002. pp. 5-7, p. 11.
14) Robert D' A Henderson, (2002) Brassey's International Intelligence Yearbook, 2002 Edition.. Brassey's Inc. p. 94

- 4 -
Information Agreement)'을 체결하여 일정수준의 암호처리 방식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15)
왜소한 규모의 내조실은 전통적으로 경찰청의 영향하에 놓여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
다. 대체로 내조실의 수장은 경찰 출신들이 독점해오고 있다. 현재의 내각정보관도 물론
경찰출신이다.16) 또한 내조실 전체 인원의 약¼은 경찰청 출신들이 차지하고 있다. 경찰
청 다음으로 내조실에 영향력을 갖는 집단은 외무성이다. 외무성은 관례로 제1부실장을
배출하며 5명 안팎의 인원을 파견하고 있다. 그밖에 공안조사청, 방위성, 경제산업성, 재
무성 등도 나름대로의 인원을 내조실에 보내고 있다. 내조실과는 대조적으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공안조사청도 경찰 다음으로 다수의 직원을 파견하고 있다. 이와같이 경찰청
이 전통적으로 내조실의 요직을 담당하고 있어 내조실이 진정한 정보공동체의 수장 노릇
을 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일본 국내외에서의 불미스러운 사건 (예를들면, 오옴진리교의 사린가스 사건, 한신 대
지진, 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 북한의 노동․대포동 미사일 발사 사건) 발생때 일본
정부가 취한 위기관리태세의 미흡에 대한 언론을 중심으로한 대대적인 비난은 역으로 관
련 조직의 재편, 정보관련 장비․시설의 현대화․첨단화와 예산 증액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그 좋은 예로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한신 대지진 발생 이후 내조실의 새로운 조
직으로 1996년 ‘내각정보집약센타’가 만들어졌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2000년 ‘내각
위성정보센타’가 창설되었다. 집약센타는 국내 재해 발생 등 긴급사태시 신속하게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총리를 보좌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주로 국내정보와
관련된 활동을 하게 되어 경찰청의 업무와 중복되는 감이 있으나 취합․정리․직보의 기
능에서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17)
내조실은 부문 정보기관과의 정례적인 회합을 주도하고 있으나 주요 정책결정은 내각
회의에서 결정된다. 내조실에는 다양한 관련부서에서 파견 나온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어
각 성․청의 수집정보가 종합적으로 총괄될 수 있는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나 실질적으
로는 기대한 것 같이 효과적으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왜냐하면
중요한 정보는 관련 성․청이 먼저 총리에게 직보하여 시의성에서 내조실이 불리하며 또
한 파견나온 직원들도 내조실보다는 출신 성․청의 이익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18)
내조실은 다양한 외곽단체를 운영하여 왜소한 조직 및 인원의 불리함을 타개해 나가
고 있다. 외곽단체들은 예산을 내조실에 의해 지원받기 때문에 사실상의 예하기관으로
볼 수 있다. 내조실은 외곽단체를 지도․감독하고 있으며 외곽단체의 주요 책임자들은

15) 미국은 MD 공동개발 등에 따른 군사기밀 공유가 확대되면서 일본측의 보안조치 강화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이에따라 양국은 보호대상을 기존의 무기성능, 기술정보에서 작전, 훈련정보까지 확대하고 무기 및 부품조달 관련 민간업
체에도 비밀준수를 의무화하는 GSOMIA를 체결키로 2007년 5월 합의하였다.
16) 현재의 내각정보관인 미타니 히데시는 1951년생으로 1974년 경찰청에 입청 이후, 오카야마현 경찰본부장, 총리비서관,
경찰청장관 관방 국제부장, 경찰청 경비국 외사정보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http://www.cas.go.jp/jp/gaiyou/kanbu/index.html (2007. 5. 31 검색)
17) 내조실장은 주1회 30분 정도 중요사항을 자유롭게 총리에게 상황 설명하며 이때 경찰청 출신 총리 비서관이 기록을
위해 배석한다. (大森, pp. 41-42.)
18) 오오모리에 의하면 내조실장 4년 재임중 외무성의 公電을 본적이 없으며 경찰청으로부터도 중요정보를 받아본 적이
없다고 기술하고 있다. (大森, pp. 37-39)

- 5 -
내조실 출신의 인사들로 차여져있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세계정경조사회, 내외정세조사
회, 국제정세연구회, 동남아조사회, 일본해외뉴스센타, 민주주의연구회, 국민출판협회 등
이 거론되고 있다.
또한 내조실은 기업 등 민간단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정보활동을 전개하는 것으
로 알려지고 있다. 일본의 기업과 정부간의 정보협조는 제도적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政․官․財간의 긴밀한 협조관계 유지라는 일본의 특수한 상황하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개인적인 인맥 등을 통하여 진행되어진다.

2. 방위성 정보본부 (Defense Intelligence Headquarters : DIH)

일본은 통합된 군사정보기관이 없었고 육상, 해상, 항공자위대 등 각 부대와 통합막료


회의 그리고 자위대 직속의 정보부대 등이 분산되어 정보활동을 전개해왔다. 각 정보기
구들은 독자적인 정보수집 업무를 수행했기 때문에 방위청(2007년 1월 방위성으로 승격)
전체로서의 정보수집, 분석작업은 비효율적이었고 결과적으로 각 정보기구들의 능력이
충분하게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노정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군
사정보의 통합의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것은 1995년 11월 발표된 방위계획대강의
개정시였다. 그 결과 1996년 5월, 성립된 ‘방위청설치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에 의해
정보본부의 설치가 인정되었고, 1997년 1월 20일, 새로운 통합된 軍정보기구로 정보본부
가 통합막료회의(2006년 3월 통합막료감부로 개편)의 하부조직으로서 탄생하였다. 이후
정보본부는 2006년 3월부터는 다시 방위청장관의 직할기관으로 변신하여 방위청의 중앙
정보기관으로서 역할 및 지위가 더욱 공고해졌다. 방위청․자위대가 2006년 3월부터 통
합운용체제로 이행되어 통합막료장이 자위대의 운용에 관해 군사전문적 관점에서 방위청
장관을 단독으로 보좌하게 됨에 따라 정보본부는 통합막료감부와 부대에 대해 부대운용
에 직접 필요한 정보지원을 제공하게 되었다.19)
정보본부의 주축이 된 기구는 육상막료감부(육군본부) 조사부 제2과의 ‘조사부별실’이
라는 조직이었다. ‘調別’라는 통칭으로 불리었던 조사부별실은 육상막료장의 지휘가 아닌
경찰청으로부터 파견된 실장이 지휘하면서 전파를 통해 얻은 극비 정보를 내조실에 직보
하였다. 同조직은 과거에 林彪사건(1971. 9). 毛澤東 사망(1976. 9), 대한항공기 격추사건
(1983. 9)의 정보를 조기에 파악한 실적이 있다.
신설된 정보본부는 냉전시대시 숨겨진 존재이었던 ‘調別’을 정식으로 방위청 지휘하의
조직으로 재편하고 통합막료회의와 육․해․공 3자위대 조사부의 해외정보 담당부문을
흡수통합하여 만들어졌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군사정보 수집의 일원화를 통하여 軍정
보기관의 역할과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의 표출인 것이다.
정보본부는 1) 정보본부가 공개정보, 전파정보, 영상정보 등으로 스스로 수집한 정보,
2) 방위성의 각 기관에서 제공되는 정보, 3) 타부서로 부터의 정보 등을 집약하고 종합적
으로 처리․분석하여 방위청과 자위대가 필요로 하는 전략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기본업

19) 日本 防衛廳, 『日本防衛白書(2006년)』, pp. 118-123.

- 6 -
무로 하고 있다. 그를 위해 정보본부는 통신정보(COMINT), 신호정보(SIGINT), 영상정
보(IMINT), 인간정보(HUMINT) 등의 모든 국방관련 정보를 중앙에서 통합, 조정, 분석
하여 관련 부대에 전파하고 방위청 내국 및 각 막료감부와 공유하며 내각에도 보고한다.
현재 정보본부에는 약2300명의 직원이 근무중이며 본부장, 부본부장 산하에 6개 부서와
6개 통신소를 운영중에 있다.20) 따라서 정보본부는 해외의 군사정보를 비롯한 각종 인텔
리전스를 담당하는 일본 최대의 정보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 본부장에는 현역 陸․海․
空將의 자위관이 임명되며 부본부장에는 민간의 사무관이 방위성 내부부국의 심의관 겸
무로 임명된다. 그 밑에 정보전문 스탭으로 4명의 정보관 (1명의 사무관과 3명의 자위관)
이 위치한다. 사무관은 주로 각국의 안보․국방정책에 관한 정보를, 3명의 자위관은 각각
일본주변지역, 타지역의 군사정세를 분담하고 있다. 6개의 부서는 총무부, 계획부, 분석
부, 통합정보부, 화상․지리부 그리고 전파부로 이뤄지고 있다.
총무부는 정보본부 직원의 인사, 급여, 교육훈련, 후생복리 등의 업무와 경비, 수입관
련 회계, 물품 취득, 행정재산 및 물품관리 업무와 비밀보전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고 있
다. 계획부는 정보수집․정리에 관한 계획, 관계부서와의 연락조정, 조직 및 정원, 경비
및 수입의 예결산, 행정재산의 취득, 업무계획, 정보관리에 관한 기획과 섭외에 관한 업
무를 담당하고 있다. 분석부는 정보의 종합적인 분석, 정보의 수집정리 및 조사․연구 개
선, 통합방위계획과 통합경비계획 작성에 필요한 정보 업무, 통합운용에 필요한 정보에
관한 업무와 자위대법에 의해 편성된 특별부대 운용과 관련한 정보업무를 관장하고 있
다. 통합정보부는 긴급으로 처리해야하는 정보와 외국군대 동태에 관한 정보 수집․정리
와 통합막료감부에 대해 자위대의 운용에 필요한 정보 제공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화상․지리부는 영상․지리정보에 관한 수집정리 및 조사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끝으로 전파부는 전파정보에 관한 수집정리 및 조사, 장비품의 기술연구 및 기술개
발 요구와 연구개선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21) 정보본부의 많은 인원이 전파부와
6개 통신소에 속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 언급한 방대한 업무에도 불구하고 정보본부는 비밀공작은 수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본부는 일본의 방위백서 2006년판에 의하면 2006년 6
월 현재 37개의 재외공관에 48명의 방위주재관(defense attaches : 무관)을 파견하고 있
으며 그들은 기본적으로 인간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
한 활동들은 향후 더욱 강화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22) 최근에는 방위주재관에 의한 정
보수집 및 분석태세 강화를 위해 이제까지 외무성을 경유하던 보고 채널을 방위청에의
직보를 가능토록 수정한바 있다.23)
한편 2000년 이치가야 방위청 신청사 통합 이주는 일본의 국방부문의 효율적인 관리
․운용을 촉진시켰다. 정보본부는 첨단건물의 독립적인 동을 갖추어 정보활동의 획기적
인 개선․발전의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24)

20) 일본 방위백서 (2006년판), p. 123.


21) http://www.mod.go.jp/dih/busyo.html ( 2007. 5. 25 검색)
22) Andrew L Oros, op. cit., p. 11.
23) 『日本 防衛白書 (2004) 』, pp. 186-187.
24) 방위청 신청사는 여러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A동에는 내국, 통막, 육막, 해막, 공막이, B동에는 육해공 각 통신부대가,

- 7 -
3. 외무성 국제정보통괄관조직(Intelligence and Analysis Service)

일본 외무성은 2004년 8월, 능동적이며 전략적인 외교를 전개하기 위해 새로운 조직


개편을 단행하였다. 그 결과 정보수집 및 분석능력의 강화를 위해 이전의 국제정보국이
폐지되고 ‘국제정보통괄관조직(Intelligence and Analysis Service)’이 신설되었다. 따라서
同조직은 정보의 분석 및 평가를 전문으로 하는 외무성의 하나의 部局에 해당한다. 그
구체적인 업무는 위성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수집활동의 강화와 이러한 정보에
기초해 객관적․종합적인 관점에서 국제정세를 분석하고 정세판단을 내리는 것이다. 외
무성은 각지역국과 기능국을 기초로 정보수집 및 분석에 임하고 있으나 同조직은 일상의
안건처리나 정책판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중장기적 또는 횡단적 분석을 행해 정책담
당부서와는 상이한 각도에서 종합적인 정세판단을 내리려 하고 있다.
同조직은 1명의 정보통괄관하에 4명의 국제정보관, 사무관, 임기제 전문분석원들로
구성되고 있으며 총인원은 대략 100명 이하 정도이다.25) 제1국제정보관실은 정보수집의
총괄, 과학적 정보수집, 외국 및 국제기구 등에 관한 조사를, 제2국제정보관실은 정보분
석의 총괄, 국제테러․대량살상무기 확산문제․안보 등에 관한 정보 수집․분석․조사를,
제3정보관실은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대양주, 남서아시아지역에 관한 정보수집 및 분석
을, 제4정보관실은 유럽, 중앙아시아, 미주, 중동, 아프리카지역에 관한 정보수집 및 분석
을 담당하고 있다.26)
그러나 대부분 직원들은 외무성직원들과 똑같이 2-3년 주기로 本省과 재외공관으로
인사 이동되기 때문에 전문분석관의 자질을 갖추기가 어렵고 또한 분석관으로서의 자각
의 정도도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지식을 외부에서 충원하
기 위해 전문분석원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외무성의 구조적인 문제로서 同조직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낮아 타부서가 중요정
보를 공유하지 않는 등 省內 협력 부족도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同조직이 분
석, 평가한 것이 외무성의 최종 의견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외무성은 2005년 4월, 대외정보 기능의 강화를 위하여 인텔리전스 전문가들을 모아
「대외정보 기능 강화에 관한 간담회」를 구성하였다. 간담회는 同年 9월 보고서를 제출
하면서, 1) 재외공관을 통한 대외정보 수집체제의 강화와 위성정보의 활용 강화 등을 통
한 정보수집 기능의 강화, 2) 외부 연구․조사기관 및 전문가의 활용과 정보분석 능력의
향상, 3) 교육․훈련과 정보보전 조치의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27)
간담회의 제언을 기초로 외무성은 조직 개편 및 확대를 중장기적으로 착실히 추진해
나갈 예정이나28) 인간정보(Humint)를 담당할 요원을 육성하는 것과 외무성의 外局으로

C동에는 정보본부와 육해공 각 중앙자료대가, D동에는 계약본부, 기술연구본부, 방위시설청이, E동에는 각 자위대 지원부
대 등이 입주하고 있다.
25) 太田文雄, op. cit., p. 46.
26) http://www.mofa.go.jp/mofaj/annai/honsho/sosiki/koku_j.html (2007. 5. 31 검색)
27) 日本 外務省, 『外交靑書(2006년)』, pp. 254-6.

- 8 -
새로운 대외정보기관을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하는 많은 난제를 남기고 있다.

4. 기 타

일본의 정보기구로 행정부서 레벨이지만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곳으로 법무성 공안조사


청(Public Security Investigation Agency : PSIA)과 경찰청 경비국을 꼽을 수 있다.
내조실이 정보의 분석․평가․조정의 기능을 관장하는 국가정보기관이라면 일선 현장
에서 직접 손과 발로 뛰는 활동기관이 공안조사청이다. 同청은 법무성의 외청으로 약
1,500명의 직원을 갖고 일본정보기구로는 특이하게 인간정보 수집에 적극 나서는 한편
독립적인 방첩활동 등을 주도하고 있다.
同청은 1952년 한국전쟁중에 일본내 좌익단체의 활동을 통제하기 위해 파괴활동방지
법 및 공안조사청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이렇게 공안조사청은 일본 공산당의 파괴활
동을 막기위해 창설되었지만 정보수집의 임무는 점차, 소련, 중국, 북한 등 공산권의 對
日 공작, 일본주재 기관들의 동향에 관한 정보수집을 주요 업무로 하였다. 그러한 연유로
중국 및 북한과 관련한 同청의 정보수집 능력은 높이 평가되었다. 同청은 미국의 FBI 또
는 영국의 MI5와 유사한 기관으로 주로 국내에서의 위협 요소 타파와 방첩업무를 담당
하고 있다.
냉전시 공안조사청의 활동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전개되었다. 일본내 좌익세력인 공산
당, 사회당, 일부 노조기구, 조총련 등이 활동의 주요 대상이었으며 다양한 극우세력들도
그 감시의 목표물이 되었다. 同청은 또한 공산권의 정세에 대해 정기 보고서를 발간해
해외정보기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더구나 同청은 경찰청과 함께 일본내 방첩을 책
임지는 기관이었다. 그러나 탈냉전시대의 도래에 따른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同청의
역할에 있어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전의 사회당과 좌익세력에 대한 감시 업무의 중요
도는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고 오옴 진리교같은 종교적 원리주의자, 마약, 국제테러같은 새
로운 위협 요소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체제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同청의 조직은 2001년의 조직 통폐합에 의해 본청, 연수소, 8개 지방공안조사국, 14개
지방사무소, 9개 출장소로 구성되고 있다. 본청은 총무부, 조사제1, 2부, 국제참사관실로
구성되며, 핵심부서는 조사제1, 2부이다. 조사제1부는 국내정보를 총괄하며 제1과는 종합
공안정보를, 제2과는 극좌과격파를, 제3과는 공산당을, 제4과는 우익을, 그리고 특별조사
본부는 오옴진리교 문제를 각각 담당하고 있다. 조사제2부는 해외정보를 총괄하며 제1과
는 한반도, 제2과는 중국 및 아시아, 제3과는 러시아 및 미국, 유럽지역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2개의 국제참사관실은 국제테러리즘과 해외정보기관과의 정보교환 업무를 각각 분
장하고 있다.29)
일본의 경찰은 사실 일본의 다수의 정보기관들 중에서 가장 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오
고 있는 기관이다. 경찰은 방대한 조직과 인원을 기초로 국내치안과 정보 분야에서 주도

28) 외무성은 재외공관 10개소 신설, 정원 312명 증원, ODA 전년도대비 12% 증가를 2007년도 예산 요구에서 주장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향후 10년에 걸쳐 정원 2000명 증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 2006. 9. 3)
29) 惠谷治, 『世界テロ戰爭』(東京 : 小學館, 2002), p. 109.

- 9 -
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출신자들이 또한 타정보기구에서 지도력을 발휘하고 있
다.30) 경찰은 정보활동중 주로 해외 각국의 스파이를 감시하는 방첩기관의 역할을 한다.
그 중심에 경비국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 휘하에 각지방 경찰본부마다 공안부가 조직되어
있다. 일본경찰의 검거 실적은 정평이 나있으나 스파이행위를 직접 처벌하는 법률이 정
비되지 않은 일본은 실질적으로는 스파이들이 활동하기 좋은 곳으로 평가되고 있다.

Ⅲ. 일본 정보력 평가와 전망

일본의 대표적인 전략가인 오카자키는 그의 저서에서 일본의 전통적인 정보와 전략경


시는 섬나라 일본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의 문제라고 단정하고 있다. 즉 유럽국가들이 파
워정치를 경험한 것과는 달리 절해의 고도에 위치한 일본은 거센 국제정치의 파도에 휩
싸여 국가의 대전략을 모색할 만한 기회가 별로 없었고 따라서 일반국민들의 사고방식도
이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일본의 정보전략은 기존의 체계를 손
질하는 정도가 아닌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강한 인식하에서 시작되어야한다고 주
장하였다.31) 이러한 일본의 정보 무능력을 극복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일은 예산과 정
원과 관련한 하드웨어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과 지도자가 사물를 보는 사고방식을 바꾸는
일이라고 오카자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정보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일본정부는 정보
조직의 대규모적인 확대 개편,32) 첨단 장비 및 시설의 적극적인 도입, 그리고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의 제고 방안을 추진중에 있다. 우선 내조실을 중심으로 각 부서에 분산되
어있는 정보조직을 통합․확대하여 최종적으로는 약 1000명 이상의 새로운 정보기관을
창설하여 미국의 CIA나 이스라엘의 모사드와 같은 규모있고 효율적인 조직으로 변모시
키겠다는 것이다. 한편 일본 외무성도 대대적인 조직 개편에 나서는 한편 새로운 일본외
교의 중점적인 외교정책으로 1) 국민을 수호하는 외교, 2) 선두에 서는 외교, 3) 주장하
는 일본외교, 4)저력있는 외교를 내세우면서 외교전략의 근간으로서 정보기능의 강화를
주창하고 있다. 그를 위해 영상정보 및 인간정보의 강화와 분석관의 전문성 제고를 통한
분석능력의 제고를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33)
외무성이 영상정보와 더불어 다시 인간정보를 강조하고 나선 것은 하이테크를 활용한
정보의 수집은 적의 능력을 파악하는데는 유용하지만 그 의도까지 감시의 대상으로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정보에 기초하는 스파이의 중요한 역할은 시대의 변화
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보기구에 의해 계속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본이 戰前같이 본격적인 인간정보 활동에 나서기에는 많은 제
약, 특히 국내적인 장벽들이 존재하고 있어 향후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또한 현재 진

30) 내조실의 최고책임자인 실장은 경찰출신이 맡고 있으며, 경찰은 그 외에도 방위청, 공안조사청, 외무성 등의 주요 보
직에 경찰 출신들을 파견하고 있다.
31) 岡崎久彦, 『戰略的思考とは何か』(中公新書, 1987). pp. 212-234.
32) 우선 인텔리전스 커뮤너티(IC)로 부터의 정보를 집약․분석하는 내각정보분석관과 일본판 NSC(국가안보회의)를 2008
년 4월 발족시킬 예정이다.
33) 일본 외무성, 『外交靑書』(2006), pp. 252-255.

- 10 -
행중인 정보기구의 재편․확대 작업도 시간을 두고 그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특
히 전통적인 각 부서간의 상호경쟁, 견제의 성향들이 어떻게 조정, 해소될 것인지 깊은
관심을 갖고 주시해 볼 필요가 있다.34)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것은 일본정부의 정보
역량 강화를 위한 의지 및 노력은 매우 확고하다는 것이다. 북한 및 중국 등 주변의 위
협국가들의 존재, 미․일동맹의 질적 강화 진행, 미․중관계의 질적 발전에 대한 대비,
그리고 일본 국내에서의 유사대비 체제 정비, 戰後체제로 부터의 탈피와 일본다운 독자
성을 강조하는 아베총리의 구상35) 등은 국내외 인텔리젼스에 대한 관심과 수요를 증대시
킬 것이 확실하고 그는 일본의 국가정보기구들의 재정비 및 효율적인 운용과 역할 확대
를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36)

34) 省廳간의 정보 공유의 어려움은 쉽게 불식될 수 없기 때문에 기구의 재편 및 개혁보다도 이러한 ‘省益’의 벽을 어떻게
허무느냐는 과제가 보다더 시급한 과제로 남아있다. 佐藤優, op. cit., pp. 185-189.
35) 아베총리는 결코 반미주의자는 아니나 일본다움, 독자성 발휘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일본인 스스로에 의한
신헌법 채택, 애국교육의 장려, 국제안보분야에서의 적극적인 역할 담당을 꾀하고 있다. Richard Katz and Peter Ennis,
"How Able Is Abe?" Foreign Affairs (Jan./Feb. 2007) 참조.
36) 인텔리전스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인텔리전스혁명(RIA)이 거대한 기존의 정보조직을 갖고 있는 국가보다도 왜소하고
유연한 조직을 갖고 있는 일본같은 국가에게 유리할 수도 있다. RIA 현상에 관해서는 다음 논문을 참조. William J.
Lahneman, "Is a Revolution in Intelligence Affairs Occur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lligence and
CounterIntelligence (Spring 2007), pp. 7-14.

- 1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