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7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09년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

(현 장 맞 춤 형 기 술 개 발 》
사업 최 종 보 고 서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친환경


다기 능성 멀칭 필름 개발

2010 년 10 월 일

(주 》
삼우티 씨 씨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양식가①-16, ②-16) (주관기관 川)

『(현 장 맞 춤 형 기술개발》
사업 J

최 종 보 고 서
1 1
주관기관 (주)삼우티씨씨 j 대표자 이순걸,남명송
I !
주 소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기미-2 시화공단 3가 101-1 한국생산기숨연구원 3동 205호
1 1 |
주관 소속/직위 부선연구소 성 명 김기영
책임자 전화번호 i O3卜8_ - 1 94〇 1
FAX 031-8041-1939

위탁기관 한국산업기술대計교 " _

참여인력 총 8 명(주관기관 5 명, 위탁기관 3 명)

. ᅫ : 추진단 ; 기업부담금
사업비 지원금 j 현 금 : 현 물
(천 원 》
100,000 67,500 10,000 ! 22,500
! 1

2009년도 반월시화산업_집적지 경쟁릭 강화사업 세부관리지침에 의


하여 최종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0 10 월 일

주 관기 관명 (주)삼우티 씨 씨 대 표 자 이 ir

주관책임자 김 기

반월시 화 단 지 혁 신 클 러 스 터 추진단장 귀하

첨부
I. 사업비 사용실적 보고서 1부
n. 컨소시엄 운영실적 보고서 1부.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출 문 ]

제 출 문

반 월 시 화 단 지 혁 신 클 러 스 터 추 진 단 장 귀하

본 보고서를 (2009)년도 (현 장 맞 춤 형 기 술 개 발 사 업 ) "생 분 해 성

고분자를 이 용 한 친환경 다기능 성 멀 칭 필 름 개발에 관 한 기술개

발 "(개 발 기 간 : 2009. 10. 1. 〜 2010. 9. 30.)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 년 10 월 일

주 관 기 관 : (기 업 명 ) (주 )삼 우 티 씨 씨 (대 표 자 ) 이 순 걸

위 탁 기 관 : (기 관 명 ) 한 국 산 업 기 술 대 학 교 (대 표 자 ) 최 준 영
간 - ^ 먹단

주 관 책 임 지 김 기 영
연 구 원: 이 순 걸
" : 마 혜 덕

" : 김 현 우
" : 김 도 연
위락책익사: 박 승 준
연 구 원: 천 나 연
" : 한 선 화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현장맞춤형 기술개빌; 이전기술사업화 지원)사업 최종보고서 초록(예)

관리번호
과 제 명 생 분 해 성 고 분 자 를 이 용 한 친환경 다 기 능 성 멀칭필름 개발

키 워 드 친 환 경 /멀 칭 필 름 /생 분 해 도 /유 해 물 질 /무 기 첨 가 제

개발목표 및 내용

1. 최종목표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소재에 나노소재를 blending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생분해시간
조절이 가능하며,생분해 후 비료화하여 화학비료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기능성 친환경
멀칭필름 개발

2. 개발내용 및 결과
가. 생분해성 수지 제조
- pilot plant 보완,vacuum system 전체적인 보우h booster 신설,신계넘 trap 설기1/시공
- PBS 합성에서 dicarboxylic uck\°A A A 와 diol인 DKGit 첨가한 PBSA 함성
- 적절한 촉매계 선정
- 공정변수 실험(반웅온도,agitation speed, 진공관란 변수 실험)
- AA 함량이 7%인 생분해성 수지 P13SA 합성
- M】
가 낮은 고분자 필요로하여 IJU 乂 탄삼간介이 blending 된 수지 pellet 제조

나. 무기물 첨가제
- 나노 재료와의 blending 기술 확립,상용화제 제작
- blending 기술 확보
- closite, 황토,목분, 패화석, 탄산칼슈 허가제 제조
- carbon black master batch 제조
- 분해속도 결정인자 확보 및 인장강도/인연강도/신장율 최적화
- 효소실험,토양매립실험,compost 실험 완료 : 생분해도 측정은 compost 실험이 우수
- 첨가제 함량에 따른 분해속도 측정
- casting 필름 제조를 통한 인장강도 최적화 십험
- 종이코팅 및 펄프 blending 시노

다. 필름성형
- 일신화학공업(주)(일신)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페키징 센터에서 Wowing 시험
- 일신에서는 PBSA01, PBSA02로 농업용 필름 성형, 성형에 어려움 많았음
- 패키징센터에서는 PBSA03으로 체계적인 필름 blowing 가능
- PBSA03, 황토, black, closite 첨가된 플름 성 형
- 30um까지 안정적으로 필름성형가능
- 필름 blowing 공정변수 확보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발목표 및 내용

라. 인장강도,신장을 측정
- 인장강도 30MPa 부근,신장율 500%이상 됨.
- 연구 목표 달성 가능한 결과 얻음

마. field test
- PBSA01, PBSA02 필름 바탕으로 field test 진행
- 텃밭친환경영농법인 김 진 수 시 하우스 임차하여 오이 멀칭 심시
- 시험 기간은 짧았으나 많은 개선점과 자료 확보

바. feed back
- PBSA03 합성 에 많은 영 향을 녀침
- 인장강도가 증가한 PBSA03十PLA十탄산간슘 blending
- 황토,closite, carbon black을 중심으로 침가제 제조

사. 필름성형 및 멀칭시험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천 페키징센터에서 5층 멀칭 필름 성형
- PBSA03, PBSA03十carbon, PBSA03十황토를 중심으로 필름 성형
- 성형 공성변수 확보
ᅮ 텃밭친환경영농법인 김 진 수 시 하우스 입차하여 멀칭 실시
- 계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아. 시험분석
- 기본물성 시험 :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시험 : 목표 달성
- 생분해성 수지시험 : 유해물질 시험, 생분해도 시험 의뢰
- 유해물질 시험 : 목표달성
- 생분해도 시험 : 시험의뢰 하여 시힘중

자. 개발목표 달성여부
- 기본물성

개발결과치
평가항목
단위 개발목표치 평가방법3
(주요성능 Spec0) 시료4
시료 1 시료2 시료3

1. 인장강도 MPa 30 28 27 30 KS M 3503


28
2. 신장율 % 115 291 308 249 224 KS M 3503

3. 인열강도 N/cm 550 1060 1190 1060 1080 KS M 3503

- 생분해 시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시험의뢰한 상태임
P liS A 이에 대한 생분해 시?! 완 i t
표준물질 대비 생분해도 :犯.7%로 목표치에 녀달하였음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발목표 및 내용

~유 해 물 질 시험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기 준치 시험방법


As mg/kg 건#안부! 沈이 하 KS M 0032:2009

Pb mg/kg 검출안됨 50이하 KS M 0032:2009


Cd mg/kg 겁출안 정 0.5 이 하 KS M 0032:2009

Hg irig/kg 꺼축안 뭐 0.5 이하 KS M 0032:2009

Cr mg/kg 23 150이 하 KS M 0032:2009

Cu mg/kg 14 200이하 KS M 0032:2009


Ni mg/kg 11 25이하 KS M 0032:2009
Zn mg/kg 7 500이하 KS M 0032:2009

3. 기대효과(기술적 및 경제적 효과)

가. 녹색기술 연구개발 투자 방향 및 녹색기술 발전 전략에 부홍


- 기존 환경오염의 원인인 먼칭필류(1丄)PK, LLDPI-, IIDPE) 에서 람피 가능
~ 노동력 절감 및 퇴비효과

- 환경오염을 줄여주면서 농업 생산성욜 향상 시킬 수 있는 친환경 제품


- 나노 첨가제 적용으로 생부내도 조질가능

나. 수입대체/수출
~ 농업 선진국인 EU나 일본,미국, 호주 등에서는 친환경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됨

- 가격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멀칭 필룸의 수출가능성은 국내 판메보다 더 유리한 조건임

- 생분해성 멀칭필름 수입대체 효과 및 가격 경쟁력, 기술 경쟁력 갖춘 제품 수출 가능.


- 유럽시장 공략욜 위하여 사전 준-비 작업윤 진행

다. 타분야 기술 과급 효과
~ 생분해성 수지의 적용 범위가 농업용으로 확대 기대
- 포장용. sheet용으로 확대 가능
- 친환경 농산물 정책에 기여

4. 적용분야
- 농업용 필름 분야 : 생분해도 조질 가능, 토양 안정화 가능
원예 용 포 트 ,지 지 대 , 작물 클립 등 디-론 원예용 소재에도 적용 가능
- 타 산업 적용 : 포장용 필름분야 석용 가능, 관봉부 적용, 스래기 봉투 적용 가능
sheet 적용 가능 :생분해성 sheet, 데코시트,벽지 등
- 생분해성 수지로써 사출용이나 방사용 직용 가능,foam 발포 적용 가능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목 차

제 1 장서론 ................................................................................................................ 14

제 1 절 기 술 개 발 의 개 요 ........................................................................................14

1. 개발대상 기술의 중요성 멀칭필름.......................................................................................... 14


가. 기존 멀 칭 필름의 문제 점 ...................................................................................................... 14
나. 생분해성 멀칭 필름의 필요성.............................................................................................15

2. 생분해성 멀칭 필름의 개발 방향.............................................................................................16

제 2 절 국내 • 외 관 련 기 술 현 황 ......................................................................16

1. 분해성 플라스틱........................................................................................................................... 17
가. 분해성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성......................................................................................... 17
나. 분해성 플라스틱의 업체 현황 .................................................................................................. 17
다. 분해성 플라스틱의 특허분석.................................................................................................18

2. 19

.
가. 국내 멀칭 필름 현황............................................................................................................ 19
나. 국외 멀칭 필름 현황.......... .................................................................................................. 20
다. 국내 유사과제 및 특허현황.................................................................................................. 20
1) 유사과제현황.........................................................................................................................20
2) 유사 특허 현황 ................................................................................................................... 20
가) 국내 특 허 현 황 ..................................................................................................................... 20

나) 국외 특허현황......................................................................................................................... 20

제 3 절 기 술 개 발 시 예 상 되 는 파 급 효 과 및 활 용 방 안 .............................. 22

1. 파국f j ::라.............................................................................................................................................. 22

2. 활용방안.........................................................................................................................................22

제 4 절 시 장 상 황 ...................................................................................................23

1. 국내 • 외 시장 규모 23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 국내 . 외 시 장 규 모 ................................................................................................................. 23
1) 국내 시장 규모................................................................................................................... 23
2) 국외 시장 규모.................................................................................................................... 23
3) 주요수요처............................................................................................................................ 23

나. 유사제품 및 경쟁사 현황......................................................................................................24


1) 유사제품 현황...................................................................................................................... 24
2) 경쟁사 현황............................................................................................................................ 24

제 2 장 기 술 개 발 내 용 및 방 법 ............................................................................"2 5

제 1 절 기 술 개 발 목 표 ........................................................................................... 25

1. 7H# 25

2. 기술개발 니I용 ...............................................................................................................................25

제 2 절 기 술 개 발 내 용 .......................................................................................... 25

1. 멀칭필름 제조를 위한 고분자 수지의 생산 최적화.............................................................. 25


가. 고분자량 수지 중합을 위한 촉매 및 모노머 비윤 조절....................................................25
나. 고분자" 수지의 생산 기술 확보........................................................................................... 25
다. Pilot 생산설비 운용 계획 ................................................................................................... 25

2. 멀칭필름의 분해속도 제어 및 기계직 물성 향상을 위한 blending 기술 확보 ...............25


가. 나노재 료와의 blending 기술 확보...................................................................................... 25
나. 분해속도/인장강도/인열강도/신장율 최적화.......................................................................26

3. 멀칭필름 제조기술의 최적화 및 field test을 통한 feed back.............................................26


가. 필름제조기술의 최적화.......................................................................................................... 26
나. field test를 통한 생분해 성 멀 칭¥ !# 의 최 석화 ................................................................ 26

4. 양산기술 확보 ............................................................................................................................... 26
가 농업용 멀칭 필름의 양산을 위한 기-左- 확보.....................................................................26
나. 각 단계별 설비 및 기술의 최적화 및 양산의 위한 기술 확보...................................... 26

5. 기-舍개발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 26


제 3 절 위 탁 기 술 개 발 내 용 .................................................................................. 27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개발 목표.....................................................................................................................................27
가. 멀칭 필름의 생분해속도 가속화 측정기술을 개밝.......................................................... 21
나.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물성 조전을 통한 생분해도 제어 기술 확보.............21
다. 필름제조를 위한 유변물성 최적화.....................................................................................Z?

2. 세 - 네 .......................................................................................................................................27
가. 나노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농작물의 생육기간에 맞춘 생분해성 멀칭필름 분해속도 제어기술 개
# ....................................................................................................................................................... 27
나. 생분해성 멀칭필름 분해속도 가속화 훅정방법 확립......................................................... 27
다. 멀칭필름 제조를 위한 고분자 수지의 진단점도 빛 신장점도 등의 유년물성 최적화…- 27

3. 기술개발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 27

제 3 장 결 과 ...................................................................................................................28

제 1 절 멀 칭 필 름 제 조 를 위 한 고 분 자 수 지 의 생 산 최 적 화 .................... 28

1. 고분자량 수지 중합을 위한 촉매 및 모노머 비율 조절 ....................................................... 28


가. PBS/PBSA 중합 .....................................................................................................................28
1) 중한반응 및 중합장치....................................................................................................... 28
2) 중합 반응 장치 구성 ........................................................................................................... 29
3) 분자량 측정’ 점도 측정 및 유빈물성 측 정 .....................................................................30
가) 분자량 측 정 ................................................................................................................... 30
나) 점도 측정 .......................................................................................................................30
다) 유변물성 측 정 ................................................................................................................. 31
나. PBS 중합 결과........................................................................................................................31
1) PBS 중 합 ............................................................................................................................. 31
다. PBSA 중함실험 .................................................................................................................... 32
1) dicarboxylic acid 침가제 변화............................................................................................ 31
2) diol 첨가제 변화...................................................................................................................33
라. 촉매 변화 실 힘 ....................................................................................................................... 33

2. 고분자 수지의 생산 기술 확보.................................................................................................. 34


가. 1차 반응 온도 변화................................................................................................................34
나. 2차 반응 온도 변화 ..............................................................................................................35
다. 감압 시작 온도 및 시간 ........................................................................................................ 35
라. agitation speed........................................................................................................................36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pilot 설비 운용...........................................................................................................................37
가. 중합 장치 최적화.................................................................................................... 37
1) 중함장치 보완...................................................................................................................... 37
가) 보완 컨셉........................................................................................................................ 37
나) booster 신설 ...................................................................................................... 38
다》trap system 개선...........................................................................................................39
나. 중합 및 품질 안정성 확보....................................................................................................40
1) trap 효과 .................................................................................................. 40
가》기존 trap........................................................................................................................ 40
나) 개선된 trap..................................................................................................................... 40
2) 중합,
결과 ........................................................................................................... 42
가) 중한반응 조건 및 반응 순서 ........................................................................................ 42
나) 중합반응 결과.................................................................................................................42

제 2 절 멀칭필름의 분 해 속 도 제어 및 기계적 물성 향 상 을 위 한 blending 기


술 확 보 ........................................................................................................................... 43

1. 나노 재료와의 blending 기술 확립............................................................................................ 43


가. 상용화제 제조......................................................................................................................... 43
나. PHS/ PIiSA/PLA blending - 상용화제 없이 blending......................................................44
다. 상용화제 blending ............................................................................................................... 45
라. 첨가제 직 접 첨가 blending.................................................................................................... 46

2. 분해속도/인장강도/인열강도/신장율 최적화............................................................................ 46
가. 분해속도 측 정 .........................................................................................................................46
\) Aspergillus niger를 이용한 생분해도 -’ 정....................................................................46
2) Cholesterol Esterase를 이용한 생분해도 즉 정 .............................................................. 47
3) 토양 매립시험.......................................................................................................................48
4) compost 실 험 .................................................................................................................... 49
5) casting 필름 제조 ................................................................................................................ 50
나. PBS 중합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생분해 속도 평가....................................... 50
1) compost 스) g ....................................................................................................................... 50
다. blending에 첨가되는 나노 재료의 학랑에 따른 생분해도 평가....................................51
1) Cholesterol Esterase 효소 시 헌 .......................................................................................... 51
2) compost 시 험 ........................................................................................................................ 53
라. 첨가제의 종류 및 비율에 따른 인장강도, 신장율의 변화.............................................. 54
1) 인장강도 측 정 ....................................................................................................................... 54
2) AA 함량별 인장강도 시험 ..................................................................................................54
3) 무기물(Clay) 함량별 인장강도 시 f ! ................................................................................. M
4) PBSA/PLA blending........................................................................................................... 55
5) 무기물 종류별 casting 필름 제조 ......................................................................................56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마. 종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필 許 - 중가평가에서 평 가의 위1r! 의 조언..............................56


1) 종이 blending.......................................................................................................................56
2) 종이 코팅.............................................................................................................................. 57

제 3 절 멀 칭 필 름 제 조 기술의 최 적 화 및 field test음 통 한 feed back -58

1. 필#제조기술의 최적화............................................................................................................... 58
가. 필름제조기술의 최적화를 위한 유빈물성 최적화.......................................................... 58
1) 유변물성 측 정 ...................................................................................................................... 58
2) PBS/ PLA, PBSA/PLA 유빈물성 측정 .............................................................................58
3) PBS/ PLA/ 무 기 첨가제 유 변물성 측 정..............................................................................60
나. 필름 두께에 따른 blowing 조건(온도, 토 #속 노 , air양 등) 확립................................. 61
1) blowing 필름 제조.............................*............................................................................. 61
가》 PBSA 필름 제조 - 1차 ...............................................................................................61
나) PBSA 필름 제조 - 2차 ...............................................................................................(52

2. field test를 통한 생분해성 멀칭필름의 최적화...................................................................... 64


가. field test를 통한 분해속도 및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조사 및 전과 fcecl back… 64
1) field test................................................................................................................................64
나. feed back 결과를 반영하여 고분자 세조,취가세 빛 blendin요등에 확용....................66
1) 1차 멀칭의 문제점및 보안점...............................................................................................66
2) PBSA03 중합.................................................................................................................... 67
가) 케 ,
.................................................................................................................................. 67
나) PLA / 무기물 blending................................................................................................ 67
다) 무기 첨가제 blending.................................................................................................... 68
라) MI 측 정 ........................................................................................................................... 68

제 4 절 양 산 기 술 확 보 .......................................................................................... 69

1. 농업용 멀칭 필름의 양산을 위한 기술 확보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센터 blowing


가. 필름 성 형 ..............................................................................................................................69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폐키징세터 장비................................................................................. 69
2) PBSA 필름 성형.................................................................................................................. 69
3) 필름 두께 및 인장강도 측정.............................................................................................. 71
ᅪ. 빼 ........................................................................................................................................... 72
1) 멀칭 필름 선 정 ..................................................................................................................... 72
2) 2차 법칭 .................................................................................................................................72

2. 각 단계별 설비 및 기술의 최적화 및 양산의 위한 기술 확보............................................72


가. 필름성형시 필름 두께조절....................................................................................................72
나. 인장강도, 신장율,인열강도 측 정 ........................... 73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유해 물질 분석 ......................................................................................................................74
라. 생분해도 측 정 ....................................................................................................................... 75

부 록 ........................................................................................................................... 76

1. 인장강도,신장율, 인열강도 측정건과


- KATR1 산업환경연구센터

2. EL 724 생분해성 수지 제품
- 환경표지인증 기준

3. 유해물질 시험 결과
- KTR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4. 생분해도 측정결과
- KATRI 한국의류시험연구원
- KTR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시 f■(연기 공문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목차

< 그림 1> 기존 일반적인 멀칭 형 태 ................................................................................................ 14


<그림 2> 방치되거나 수거된 폐 필 름 .. .... .....................................................................................15
< 그림 3> 국내외 특 허 현 황 ................................................................................................................. 18
<그림 4> PBS(Polybutylene succinate) 중합 반 응 식 ......................................................... *■■…■… 28
< 그림 5> 반응장치 구성 사 진 ............................................................................................................ 29
<그림 6> GPC 분자량 촉 정 (한 국 산 업 기 술 대 학 교)..........................................................................30
〈그림 7> Brookfield viscometer - 점 도 측 정 ..................................................................................... 30
< 그림 8〉. 큐변물성 측정을 위한 픽스쳐(fixture) 형 태 ................................................................... 31
<그림 9〉 1차 반응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 과 .......................................................................... 34
< 그림 1(〉 2차 반음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 과 ........................................................................ 35
<그림 11> 감압 시작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 과 ........................................................................35
< 그림 감압 시간 변화에 따른 반응 결 과 ..................................................................................36
<그림 13> 1차 반응 교반속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 과 .................................................................. 36
< 그림 1차, 2차 반응 교반속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 과 .........................................................37
〈그림 15> 중합장치 보완 concept...................................................................................................... 38
<그림 16> vacuum pump system 보 완 ............................................................................................. 38
<그림 17> vacuum pump system 보완 전후 入누진 비 교 ............................................................... 39
<그림 18> vacuum trap system 보완 전후 사진 비 교 ..................................................................40
〈그림 19> 개선된 진공 trap 운영 결 과 ............................................................................................. 41
<그림 20> 수지 회수 및 냉각 .................................................................................................. 42
< 그림 21> 상용화제 제 조 ............................................................................................................ 44
〈그림 22> 상용화제 분 쇄 ............................................................................................................ 44
〈그림 23> blending 작업 사진, extruder 及 공냉식 cooling장 치 ...........................................44
〈그림 24> PBS/ PBSA/PLA blending SEM 사진 비 교 .............................................................45
< 그림 25> 상용화제 blending...................................................................................................... 45
< 그림26> 무기물 직접청가 blending.................................................................................................46
< 그림 27> PBS casting 필름의 Aspergillus niger으\ 생분해 入【
험 ........................................... 46
< 그림 28> Cholesterol Esterase를 이용한 생분해도 측 정 .................................................... 47
< 그림 29> Cholesterol Esterase풀 이용한 생분해도 측정 - 현미경사진 100배 ................. 47
〈그림 30> 토양 매 립 시 험 .............................................................................................................48
<그림 31> 토양 매립시험 - 현미경사진 1◦◦배 ...................................................................... 48
< 그림 32> compost 분해 시 험 ....................................................................................................49
< 그림 33>casting 필름 제 작 (순 서 별 )..................................................................................................50
<그 림 34〉 casting 필 롱 ................................................................................................................ 50
〈그림 35>AA 함량에 따른 casting 필름의 compost 분해 정 도 ..................................................... 51
< 그림 36> clay 함량에 따라 효소 분해 시험 결고K광학현미경 1◦◦배할영)......................52
〈그림 37> clay 함량에 따른 효소분해시험 결과 SBV1 사 진 ............................................... 52
<그림 38> AA 함량과 clay 함량에 따른 compost 매 립시 험 ................................................ 53
<그림 39> 인장강도 및 두 께 측 정 ...............................................................................................54
〈그림 40> 무기물 종류별 casting 필름 제 조 ...........................................................................56

11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1〉 펄프 blendig 시료 제 조 ...................................................................................................57


<그림 42> PLA에 함량에 따른 PBS/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 유변물성 ....................... 59
<그림 43> PLA에 함량에 따른 PBSA/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유변물성 .......................59
< 그림 44> PLA에 함량에 따른 PBS/ PBSA/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유변물성 .............. 59
< 그림 45> PLA에 함량에 따른 PBSA/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유변물성 ......................... 60
<그림 46> blowing 온도 조 절 .............................................................................................................61
<그림 47> blowing speed 조 절 .......................................................................................................... 61
<그림 48> 필름 blowing - 일 신 화 학 공 업(주)...................................................................................62
<그림 49> blowing 필름 - 일신화학공업(주) ................................................................................ 62
〈그림 50> blowing 온도 조절 -2 M .................................................................................................. 63
<그림 51> 필름 blowing - 일신화학공업(주) 2차 ...........................................................................63
<그림 52> blowing 필름 - 일신화학공업(주> 2차 ...........................................................................63
< 그림 53> field test용 멀 칭 필 름 - 텃 밭 ............................................................................................ 64
< 그림 54> 필름 멀칭 작업 - 텃 밭 ....................................................................................................&4
〈그림 55> 1차 점검(점검일시 - 2009년 8월 14일) - 텃 밭 ...................................................... 姑
< 그림 56> 최종 점검 - 텃 밭 .......................................................................................................... 65
<그림 57> 태풍의 영향으로 망가진 비 닐 하 우 스 ............................................................................ 66
<그림 58> 개선된 원 료 ........................................................................................................................67
<그림 59〉 carbon black & 무장 가!선.............................................................................................. 68
〈그림 60> 무기물 첨가제 blending 작 업 ........................................................................................ 68
<그림 6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센터 blowing 장 비 .......................................................... 賊
<그림 62〉 원료 투입 extruder 온도 조절 및 투입 속도 조 절 ................................................... 70
<그림 6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센터 blowing 작업 사 진 ................................................... 7〇
< 그림 64> 필름성형시 성형 불량 원 인 ............................................................................................71
<그림 65> 2 차 멀칭에 사용된 필 름 ................................................................................................. 72
< 그림 66> 2 차 가멀칭 실시 (실시일 : 2010. 10. 28).................................................................... 72

- 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목차

< 표 1> 영농 폐비닐 발 생 량 ...............................................................................................................15


< 표 2> 분해성 플라스틱의 장 . 단점 비교(필름을 중 심 으 로 )...................................................... 17
< 표 3> 분해성 플라스틱의 종류 및 업체 현 황 ................................................................................ 18
< 표 4> 국내 • 외 주요 출원인(소재 및 포장재중 심 으 로 )............................................................ 19
< 표 5> 국내 유사과제 현 황 ...............................................................................................................20
< 표 6> PBS/PBSA 중합반응 요 약 ....................................................................................................28
< 표 7> PBS 중합 결 과 ....................................................................................................................... 32
〈표 8> PBSA 중합결고卜 - dicarboxylic acid 변 화 ...........................................................................33
< 표 9> PBSA 중합결과 - diol 변 화 ................................................................................................. 33
< 표 1〇> PBSA 중합결과 - 촉매 변 화 ........................................................................................... 34
<표 11〉w的te가 진공라인을 막고 있는 사 진 ............................................................................ 41
<표 12> 반응기 중합 반응 결 과 ....................................................................................................... 43
<표 13> AA 함량별 인장강도 시 험 .................................................................................................. 54
〈표 14> clay 함량별 인장강도 시험 (PBSA AA 10%)......................................................................55
<표 15> AA 함량별 인장강도 시 험 .................................................................................................. 55
<표 16> 종이 종류별 PBSA coating .................................................................................................57
<S. 17〉 종이 두께벌 PBSA coating................................................................................................. 57
〈표 18> 반응기 중합 반응 결 과 ....................................................................................................... 67
<표 19> blowing 원료들의 Ml 측 정 값 .............................................................................................. 69
<표 20> 멀 칭 필름 두게/인장강도/ 신장율 측 정 .............................................................................71
<표 21> 각 extruder 별 feed weight.................................................................................................73
〈표 22> PBSA03+carb〇n에서 권취속도에 따른필름의 두게 및 폭 비 교 .................................. 73
〈표 23> 성형된 필름의 인장강도,신장율, 인열강도 측정 결 과 ............................................... 74
< 표 24> PBSA03 유해물질 분석 결 과 .............................................................................................74
<표 25> PBSA01 생분해도 분석 결고는.............................................................................................75

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1 장서론

제 1 절 기술개발의 개요

1. 개발대상 기술의 중요성 덜칭원름

가. 기존 멀칭필름의 문제점

l 토양
일반적으로 멀칭(mulching)은 농작문음 재비!학 때 칭지 토양의 표년윤 인어 주는 것으i」
침식빙-지, 토양수분유지, 지온조적, 잡초이제. 도양오업방지 등의 목석으로 신시하고 있는 농1리을
말한다. 이와 같은 멀칭에 사용되는 밀칭재표로는 초기에 볏짚, 보릿짚,복초등과 같은 친환경성
재료를 사용하였으나 수급의 어려움과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로 오늘날에는 작업이 간편하고
확보가 용이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제료를 사용하고 있다( < 그림 1〉 참조).

그러나 기존의 비분해성 비년 재료환은 노면에 노출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용 비닐과 단리 흙속


에 묻은 후에 수거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회수를 위한 작업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농촌인
력의 노령화로 인하여 완력으로 제거되기가 어렵고 대부분의 비분해성 멀칭필름이 흙속에 영구적
으로 남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처럼 제거되지 않는 비닐 빈칭워科이 해마다 더욱 늘어난다는데 더욱 큰 문제가 있다.


주로 폐비닐은 농촌지역의 경작지에서 발생하는데 하우스용 (로덴,PVC, EVA) 과 멀칭용(로덴,하
이덴)으로 구별되고 있는데 이중 약 연간 4만t 가량의 폐비닐이 그대로 땅 속에 파묻히고 있다고
추산되고 있다. 2002년 한국자원재생공사가 국회에 제 #한 국감자료普 보면, 20이년 현재 연간 폐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비닐 발생량 23만8 천톤 가운데 40% 인 14민.2 천톤이 불법소각되거나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더욱이 폐비닐 처리 사업소 60 곳 가운데 설반이 Y! 는 32 곳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해마다 2 만톤


이상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32 만7 천톤이 사업소 야적장에 쌓여져 있는 실정
이다. 홍성지역의 경우 Y M C A 의 설문조사결과 농민들의 절대다수인 81.5%가 비닐 사용 후 알아
서 태우거나 매립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오직 10.9%만이 적절한 방법으로 수거처리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폐비닐문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그림 2> 참조).

<그림 2> 방치되거나 수거된 폐 필름

영농 폐비닐의 발생량을 <표 1〉에 정리하였다. 또한 세계무역기구( W T O ) 의 자유무역협정


(F T A ) 에 따른 국가 간 무한경쟁에서 국내 농업기술은 기술경쟁력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되었으며
친환경농법에 대한 제도적인 규제가 강화되고 있디-.

<표 1>영농 폐비닐 발생량 (단위: 톤)

2004 2005 2006 2007


재질별
발생량 수거량 재활용량 발생량 수거량 재활용량 발생량 수거량 재활용량 발생량 수거량 재활용량
계 2여,改: 21明69 244,4001 ■SIW 213,723 242,715 357,307; 190,32^ 別 ,UD 예 CG8 175,173 次1,候

하우스용1TFE 쳤732 S ,班 i -i 3즈418i 36,710 H 30,578 bm 니 39,191 0

丄PE
멀칭용! 97,604 13明38 -) 124,07^ 12),17Q -i 137,5C6 ” _ ᅵ - 明孤 1改 1公1 -

l-DFE 117,323 461878 h 1於;傾i 와222 서 16明M 我472| - 144,532 69,cod -

기타 13,222 a田5 -i 〇
m 2,m — 다幻〒 I),cd 4 방443 c| -

나. 생분해성 멀칭 필름의 필요성

최근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듄은 고품질 안진농산물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 농산물에 비해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보다 안진한 농산물이라면 친환경 농산물음 선
택하는 방향으로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디-. 이와 같은 친환경농업욜 위해서는 농업용 비료의 친
환경뿐만 아니라 농업에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재11 자체의 친환경도 더불어 요구되고 있다. 따라
서 환 경 오 염문제와 수거에 따른 비용손실윤 원친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기존의 비분해성 비일이
나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은 생분해성 고분자롬 이용한 밀칭필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 1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이 분비하누 효소의 작용으로 플라스미 물진이 붕괴되고 저분자화
된 후에 (1 차 분해), 미생물이 이표 저 분 자 # 흡수하여 대사 작용을 하고 최종적으로 미생물 균체
와 이산화탄소,메탄가스 등을 생성하는 최종분해의 두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친환경 생분해
성 수지 중 현재 폴리에스터(Polyester) 계연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2. 생분해성 멀칭 필름의 개발 방향

당사에서는 생분해성 수지의 연구와 관련하여 부품 • 소재 신뢰성 기반기숨 확산사업으로 “PLA


와 를 혼합한 생분해성 수지의 신피성 향상” # 주과기관으로 2009VI 6월 30일까지 수행하였
으며, 산학협력중심대학 기술개발사업으로 "내연성괴• 기게 적 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개발”을 참여기업으로 기 수행하였다.

신뢰성 기반기술 확산사업은 제조된 생부해성 수지가 실제로 생-:i1■해가 되는지 생분해도가 표준
물질 대비 60%/45일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와 한성普 확인 시험하여 제조 공정을 안정화하고 그
결과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의 물성평가뷴 외부 신뢰성 평가기관에서 평가하는 사업이다. 사업결과
표준물질 대비 60%/45일의 기준에 만족하는 생분해성 수지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PBS
의 중합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생분해도 조질이 가능하며, blending 첨가제에 의해서도 생분해도
가 조질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디.

“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복리에스터 개발” 사업은 기존 생분해성 수지의 내
열성과 기계적 강도를 보안하는 고 분 자 # 연구하여 실험실에서 실 생산공정으로의 scale-up 과정
을 보안하고 실험실에서 만든 생분해성 고분자와 실생산공정과의 물성 확인을 통하여 같은 고분
자가 생산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물 하는 사업이었다. 사업결과 청가제의 춰가에 다른 유변물성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고온 사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침가제-블 조절하여 film 제조가 가
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 두 사업의 결과룩 바랑으로 생분해성 폭리에스터인 #리부틸렌수시네이트


(PBS)와 폴리부틸렌수시네이트아디피卜>U U PBSA )표 이용한 생분해성 벼칭핀봄을 개발하고자 한
다. 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터에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틱엑시드(PLA)와 블렌딩하여 멀칭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조절하고 생분해 후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여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나노 클레이 등의 나노소재를 취가하여 기존의 비분해성 비닐 멀칭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만족하면서, 생분해도를 더욱 제어한 생분해성 다기능성 범칭원름을 개밖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분해성 소재의 생분해 속도 제어 기술 및 기계직 물성 향상 기술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원예용 포트 등 다른 농업용 소재에도 적용 가능하여 여러 방면에서 친
환경 농업의 기반기술 활성화에 중요한 기여普 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밖된 고
분자 필름 제조용 수지의 유변물성 최지화 기숙유 생분해성 언칭워유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이 고
분자제조 공정에 적용 가능할 것이디-.

제 2 절 국내 • 외 관 련 기 술 현 황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분해성 플라스틱

가. 분해성플라스틱의 종류 및 특성

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기술은 크게 분류하년 플라스틱 자체를 분해하는 광분해,복합분해 기술


과 플라스틱과 전분, PCL, PLA 등 가공성 및 물성이 품라스릭과 유사한 물질욜 만드는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분해성 플라스틱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 표 2〉에 정리하였디-. 분해방식으로 나눈다
면 생분해, 광분해,복합분해로 나눌 수 있-0-며,그 중 본 과제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성 플
라스틱을 이용한다. 주로 친환경 농법으로 경작하는 곳에서는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퇴비,
액비나 미생물재제 등을 사용으로 미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표 2> 분해성 플라스틱의 장 . 단점 비교(필름을 중심으로)

營라스틱 생 S S H 광분해 복합분해 생광분해

g 화에 의한 의 미생i 문 Sr. 1 슝 히 문뇨 왕, 空. 그.‘v £ k 多/ 강 문 후 D 'a S ?5 fi


분해
Sb 문 해 기 간 300
S *?., i
년 이 상 - 〉 난문해
--------------------------------------- 1
1 라스르 起 S . 우C l , ^ . r ., P . 못 2 / 5 해자. S & ‘ .Ii . 3
슛 푼 5,
, S 5 h 1수나 .
원료
% I , 2라 스 £ S 라스킥

기계. 온도 의존 기계. 온도의즌? .기 ) 1 £ 도 오즌 '.S O i 〕. 겨 . 혼 도 i - 촌 성0 그계. e 도; ? - 空면 쭝으


상산성
30! 냥아. 우수 등으로 당슨 소+ Sr’ C K 우수 S T 간수준

3 Cj M多5 V M 재렇g 어려호 Y -• 관 ., ■근 호 상 노 '. 'h i% ,


、니} 至 수 재& 多 무 § )
재 업§ § 후 수거문 60% 스 - • 둔 가느 : i > 큰 70、 j V

0, ar
----------------------------------------- 1
문 5n -공 조 知 - i f 조건 6-' 1 - f e 1 -5r즈i : -광조건
기간 -Q rt 含* : 3 0 0 년 ! - o h l : i-e h -] h l 厂 5 0 ! -D h U ' i- S t i - O H ls : 현무 1、5년

-가려 경쟁력 - 문하谷! 우수 - :-2 l 경장2 -»6 r 기간 즈 S -가격 경장空.


S S
-성산성 우수 -인처 ¥6 r 우수 - •천느 各 &가 격 空!뇬려

- 난문해 성 - 내수玄 추公 - r 즈드 - 5 7 - 3 그 3-:' : • - I ' X M 手


근호
경호르몬 5 -그 가 S f ^ x- *.

- 저 : 조 원 가 저령 - 제조욘그 • 그 가 -하 즈쇼가 늁¥ : i : 욘 -h ± h :
-, & 부 상 * -계互:프). i 무' 강守
- 선산 d I S 저령 -沒 空 가 공 a 상쥰 - ■권산 c r §: g ? t 스己 - f e g . 3IS 5 - 任1公 3 . S 1 :무 상 送
경제성
- I h l f g 성 우수 - I H U S 公1 & S
> 유 _+
'■ - 그 6.
- 재 t -5〇 우 수

나. 분해성 플라스틱의 업체 현황

분해성 플라스틱을 만드는 국내 ■ 외 업체유 삼펴보면 < 표 3>과 社다. 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기술개발 및 특허 현황은 주로 전분, 식상체, 지방족폭리에스데브 관런 기유이고 원료 특성상 제
품 다양화에 한계가 있어 응용제품 개발 및 원료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2002년 7월 10일
특허청에 따르면 분해성 플라스틱 관련 특허출원은 93년부터 관련 기술에 대한 출원이 급격히 증
가하여서 99년 9월까지 총 184건이 存원되있고,이중 썬%에 해당하는 79긴이 내국인 출원-0•로 나
타나 이 분야에 대한 국내기업의 연Y / UV! 이 확밖한 것으로 나타났디-.

17 一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표 3> 분해성 플 라 스 틱 의 종류 및 업체 현황

구 S 전 분계 PLA PCL AP A lo /A li B io .P D O PU

s s a 방체I 安산 £ = 감타
가 5 토값추 入 이이. s r - APOi % r h x 1 표 * 광• 또 짓 & 저5 자와
私玉 & S &r * 가 ->고 은 , Ih 또
이 드 , 소: .卜3 八
치느 • i . 주,卜 s :* 았 *: > p f 〇p a a e (3i 〇} A P.? ? :
그압田 3 가T * 2 스로 ) 卜#,
l_________________ 1
S t *,
: 多. !;
" 스
A P 장항 ; St
조方로 S « .A P Z S 5 , s^ f /0 드 가드로학무 t ? :考 . 兵 ? i 른 ? 0 0 요 ?기한 AP
AT iil

Cfi앙, 노 바 S 트, 아 스 2 , 소화그
d l 이 ,혁스, 3 U C C :r0 슨 0 f.• 히 소 화 하스프. 0 려 3i
션산 & t i b ' B , SK
O l 'b S s 寒 -Tate & Lyle 5 X r, 지 장사인
2〇1 系컁 Z if 分 广 2 ? A f .7 £,

E
.
A t^ py, 않 空 헤 系그 •> 〇 、‘ ,
■ 그 ,,,
厂 드,
'• 운 냐 하 三 트 느, 즈자
적 S 方■ 꿋. 十.‘ = . At ^ s . g
A iH . 즈 寒 병 송g 산 i 근方 > £ 수
__________________ᄂ으丄____________
:사2 250나 明 안/론 2 的 서 的 한/무 4:
»0-55〇Lr/ ^ | 4 5 0 -4 8 0 三//〒 450* 5005;
/? 'i 00-45〇 L r/ ^ 4 的 、的 0 감/주

-P E , P P 유사 똔꾹프0 方0 , 각 유方 ) 3-
- P S 와 유사
% 5. •내 업 병 J t S . P L A Z h O P E i l 유사 ^ '£ $ 수 propanedtol Dr ft & 3 . i r S 우수
•경도 우수 ^ } : Ar ^ ?>£ AH
1 J0 - ) 3 0

5 8 ^ 3 우수. 중 그5 ^ 드
各 장£ 뿐 - V m r •귿 로 i ; 료국一 -r - 3
?4 중? 우
장호 저 r々 ,z 5 八 多 z> 수 프〜 至우 兵
今£
&프

그S 자 걍b z
투 0 슨1, 5 청가 T-〇 空 . : 생 3 우空 저 푠. 空 -3 £ . 가 곳 5 t-
강空 가공寒 너언玄 Z>t S 용I 느 %1 〇»
공 S 취약 冬안 V ,으
* 약

다. 분해성 플라스틱의 특허분석


소재 및 포장재를 중심으로 특허분서기간을 한국,일본,유럽특허는 197T 2007, 미국등록특허는
1976기007까지 정해서 분석한 결과 한국 특허는 증가추세에 있으며,한국과 미국은 比80년 중반부
터 급격한 상승세를 보인다. 국가별로 특허 접유유윤 살펴보면 미국(문복특허)이 977건에 32%로
가장 많고 한국이 的6건으로 31%표 차시하고 있P- 녀, 일본이 941긴으로 30%, 유 i i 이 227긴으로
7%의 순이었다. 이 내용을 정리하여 < 그림 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so r • +
한우 3-t6

76 79 82 85 88 91 94 97 00 G3 0£
동복연도

77 79 81 公3 6b 87 S9 91 93 公b 97 99 01 03 06 07
£?원 연 I

<그림 3> 국내외 특허현황

- 1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재 및 포장재 중심으로 국내외 주요 축원인을 살펴보면 특허출원(등록)의 활발한 연구주체는


일본 Mitsubishi, 이탈리아 Novamont, 스위스의 Tetra lava! Holdings & Finanse SA 등이며,국
가별로 출원건수가 많은 기술혁신 리더로는 한국은 엘지화학, 미국은 E. Khashoggi IND., 일본은
Mitsubishi, 유럽은 Novamont SPA가 】위로 나타났디-. 이 내 용 을 〈표 4〉에 정리하였다.

< 표 4> 국내 • 외 주요 출원인(소재 및 포장재 중심으로)

한국 0 국 일본 유럽

% 출원민 건수 출 %! 인 건수 출원인 건수 音원인 건수

E. iNHASnOGGi 네 TS U B iS rti vO\ A M O l jT S.Q.A


1 엘지 S 학 ( 찬 국 ) 24 41 89 5
iMDUST R; £S>
;: 국; 士분; .[〇 W&I Or)
*1 TO PPAh ^ h ^ \ i \ G { ,nS^n< 너玄s 分,
M ITSUBISHI( & 5 ) 14 ^ lT S U B l3 r i 호 른 . 20 56 4
일론〉 :n e ri-,c a i3 ife # ;

D o w G?〇Da/ Teen P iA S ^ Ir A i D A /iilp P O h D A iC E . CHEW \U 0


3 n .4 46 -4
(D, 국) P A C h A G l.G 、 : 개 ,: :기 IG (양 리 ,
얻s ;

31,가INNOVATIVE COUT.NE i .T m L 다ET


4 9 11 S U M lT O M O tfe S ; 25 f/IIT S U B iS h K & 5 ) 4
P R O P E R Ties( 미 국 ) T E C n. 국,
E 丄 DU PONT DE TE T fiA W A ‘ ^a K a m u ra , 카.enj
5 ^lEMOORS AN D 9 H C.DiflGS 三 = Kᄏ iCz w UITSU s& e ; 24
‘호? , 나
C O M PAN Y( 미 국 ) Sa 、 스느 스 ,
iJ iT S J I C 卜
lEMICALS T n E C O C n - C :^ iD E ' i;T S J Arr.co'* -ifeAiC*es
6 8 9 r 3
Ifc S j 문, =,
E*FROC-、 E【. l; 잎 * ; E . f 〇De,&; 3 ^ ?

7 B i i t 자동 차( 한 국 】 8 Gc»lEnA-_ :
' I ^ l S ] •운 : & S E rJS vK 임 론 : 19 MIPS L厂: 숀 본 , :
i

TETRA LA7AL
THE DOW CHEM ICAL in t^rn a iio n a i P ap^f NiPPO i i SODA
8 6 8 1자 HC-OdlGS S r.iw -iC E 3
(〇i 국 ) 국, (일본; 오사公우1스 ;
G:
C3 그 ,
分•厂 ee. _ - ^IP P Q I,
9 상法전 X l( 한 국 ) 6 7 10 2
군 =, E T R O O n E L U ^e ;
.心 ' ;• ᄀ
다乂‘며一 ᅳ
- n 三./ || ,C'
10 양원 s 公 9 SOVr 론, 2
0 W= JN

2. 멀칭필름

가. 국내 멀칭 필름 현황

국내 멀칭 필름 관련 제조사로는 C;사가 생산 판매하고 있으나 C;사의 경우 생분해성 소재를


100%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플라스틱 분해 촉진용 취가제-닳 배 이 스 #리 녀 (base polymer, 폴리에
틸렌 또는 폴리스틸렌 같은 합성수지퓨)에 혼합하여 압출한 휘#으로써 베이스폴리이도 생분해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이다. 따라서 base polymer의 생분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시 간뒤에는 생분
해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이러한 필름을 계속 사용시 분해되지 않고 납아있는
base polymer에 의한 토질이 나빠지고 삭물 생육에 악영향음 미칠 수 있디-.

현재 국내 S사의 경우 멀칭지로 종이소재에 복합기능을 부여한 소재를 재차 부착 시키는 기술


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종래 비닐의 문제점인 생분해성을 완전히 해결할 수 없다. 또한 UV(자외
선)에 의한 광분해에 치명적인 약점을 안고 있는 비 1rl을 기초농자재인 업칭지에 적용함으로써 보
관 장소와 보관 기간에 제약음 마으이,연신율에서 기존 편롬에 비해 현저히 워어지며, 비닐소재
와 종이소재가 동일한 기후조건에 대한 背리시 성건의 차이I습기에 대한 팽창여 차이)로 인하여
박리 또는 변형을 일으키는 등 농업용자재가 보유해야 할 보관성과 작업성에서 불만족스런 결과
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멀칭필름이 소량 사용되고 있으나 기계

1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적 강도가 약하고 생분해도 조질이 용이하지 않아 헌재 다양한 농작물음 대상으로 적용되고 있지

않다.

나. 국외 멀칭 필름 현황

멀칭 필름 관련하여 세계시장이 2007년노 기준으로 145만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중 중국이


88만4천톤 사 용 으 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농업용 면칭 필름의 사용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친환경 농업용 먹칭위퓨의 개량 관변 연구 및 시험은 입관,미국, 유러의 농
업선진국을 포함하여 동남아등 총 5개국 미만의 국가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과거 연구 성과와 시
험 관련 자료들이 매우 미미한 수준욜 보이고 있디-.

그러나 최 근 (2002년 이후)생분해성 합성수지 멀칭필류을 적용한 시히재매 및 연구결과들이 많이


밝표되고 있으며,생분해성 범 칭¥卜言의 우수성과 경제적 생산기술 밖?1에 따라 사용 확산음 예측
하는 기사 및 보고서 들이 발표되고 있다. 현재까지 신용직으로 제품화된 친환경 먼칭필름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나 세계직인 환경보호 및 건강을 위한 유기농산물 선호추세에 따라 수요가
급속히 확산될 전망을 보이고 있디-. 일본의 징우 단순히 종이만을 이용한 면칭지가 사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밝하고자 하는 고분자 불랜드 및 나노소재폭 이용한 생분해성 인칭필
름과 갑은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는 소새-::- 개 V!.되어 있지 않디-.

다. 국내 유사과제 및 특허현황

1) 유사과제현황
<표 국내 유사과제 현황

연구년도
과제 제목 소속기관 연구내용 차이점 비고
연구책임자
생분해 및 광 이 과제는 기능적으로 분해속도 조절이 가능한 것과
2001
분해기능에의 농업용 멀칭에 사용하는 필름이라는 점은 유사하나 사
해 분해속도 (재) 한국화학시 용되 는 수지 가 몰리 에 스테 르우레 탄/지 방족폴리 에 스테
조절이 가능 험연구원 르 공중합체라는 점과 분해방법을 샌분해와 광분해를
한 농업용멀 동시에 사용한다는 점, 나노컴포지트를 사용하지 않는 i
칭 필름개 발 박길종 다는 점에서 본 과제와 차이점이 있다.
생분해성 소
재를 이용한 2007 이 과제는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농업용 제품을 만
친환경 기능 든다는 점에서 유사하나 사용되는 생분해성 수지가
예공
성 원예용 부 PLA오卜 cotton이라는 점과 제품 형태가 부직포라는 점
직포 제품 개 이경연 에서 본 과제와 차이점이 있다.

이 과제는 생분 i l l 성 i 분자를 "5|용하여 농업용멀공필
수거가 필요 2008
름의 제조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나 사용되는 고분자가
없는 기능성
식물나라 PVA라는 점고1 PVA 필름제조 + 표면처리 + 전기방사
멀칭 필름 제
나노섬유 형태로 생물농약제제를 코팅하는 제조한다는
조 기술 개발 정경호 점에서 본과제와 차이점이 있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유사 특허 현황

가) 국내 특허현황

특허 1아 0436576호 ‘기계적강도 및 내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부틴렌 석시네이트의 용융블


렌드 조성물’는 자연상태에서 썩거나 분해되는 즉, 환경친화직이면서도 기계적강도 및 내연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IiS) S] 용융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인 폴리부히 레서시네이느 60 ' 90 중량부, 본모릴로나이트 2 ' 25 중
량부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2 - 25 중량부름 용융블렌드하여 구성되는 것욜 특징으로 한다. 이
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터인 P13S(poly- butylent? succinate)를 적용한 점에서 신청기술과 유사하나,
블렌딩 대상 고분자 물질이 에틸렌비1r:】 ':VA) 인 것은 폴리락틱산<PLA) 과 블렌딩하는
아세테이트(】
신청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특허 KR 0490791호‘홉수성 물질이 코팅된 분해성 멀칭필름’는 이앙 및 직파용 논 토양에 적용


가능하며, 특정한 크기의 롤 형태로 표준화시키 농입의 기계직 작업성, 범칭성 및 운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또한 면칭필름으로써 기판적인 잡초방제 효과와 지온상승 효과를 동시에 나
타낸 수 있고,종이를 사용하지 않아 생산난가와 제품의 무게普 낮축 수 있으미,번칭 후 수개원
이내에 자연 생분해됨으로써 수거작업이 필요 없고 환경오염이 없는 농업에 적합한 멀칭필름 빛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숨은 PBS 또는 PBSA 공중함체를 폴리에틴
렌글리콜(PEG)에 블렌딩하여 제조한 생분해성 며칭 ?!許에 관한 것으로 PliS 또는 PBSA 공중함
체와 폴리락틱산(PLA)과 블렌딩하는 신청기숨과-::- 차이가 있디-.

특허 KR 0531757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수


지 필름’는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의 낮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결정성과 높은 융
점을 갖는 폴리락트산(PLA) 수지를 이용학으로써 종례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시 단
점인 인열강도의 향상과,지방족/방향족 유미에스테크 수지普 이용하여 기계직 항성 빛 촉감옴 향
상시킨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지으로 한다. 이 기술은 지방족 폭리에스테르와 폴리락
틱산(PLA) 을 블렌딩하여 제조하는 생분해성 휘름에 관한 것이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PBS 또
는 PBSA가 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신청 기숨과 유사하니., 토질개선 및 분해속도 조절
을 위해 나노소재를 첨가한 점에서 신청기숨과 차이점이 있다.

나) 국외 특허현황

특히 JP 2005-139395호는 농업용 미칭 위학에 관한 것으로 디윤(clioU과 디카료복십산


(dicarboxylic acid)으로 되는 폴리머 및 욕시카츠1乂!-실산(uxycarboxylic acid)으로 되는 물리머 성
분에 탄산칼슘을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PBS 또는 PBSA와 PLA와의 블렌딩울
통한 멀칭필름의 제조 기술과 유사하나, 토질개선 및 분해속도 조절을 위해 나노소재를 첨가한 점
에서 본 과제와 차이점이 있다.

특허 JP 2008-285521 호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생분해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종래의 생분


해성 필름에서 나타나는 수증기 투과가 쉽고, 농업용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 토양이 건조해지는 문

- 21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점을 개선한 생분해성 필름이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딩을 특


징으로 한다, 이는 멀칭 필름 제조방범으로 생분해성 普리에스터인 PBS 또는 PBSA를 적용한 점
에서 신청기술과 유사하나,블렌딩 대상 고분자 표구!이 지방족 품리카보네이브인 것은 PLA과 블
렌딩하는 본 과제와는 차이가 있다.

특허 JP 1997-191772호는 우수한 기계직 강도를 구비함과 동시에 육묘 기간 중은 대부분 분해


되지 않고 이식 후에는 거의 완전하게 분해되도록 제어된 분해 성능을 갖는 생분해성 육묘용 뿌
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i사. 신청기술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PBS또는 1JUV블 적
용한 멀칭필름의 제조 기술과 유사하나,토질개선 및 분해속도 조절을 위해 나노소재를 첨가한 점
에서 본 과제와 차이점이 있다.

제 3 절 기 술 개발 시 예 상 되 는 파 급 효 과 및 활 용 방안

1. 파급효과

구 분 내 용

• 생분해성 농업 소재의 기본이 될 수 있는 원재료를 발굴해 내고 그 물성을 지속


적으로 개량할 수 있게 되어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의 적용분야가 넓어짐
•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에스터 (PBS, PBSA) 및 PLA와 나노첨가제를 이용한 생분
기술적
해성 필름에 있어 제조기술 향상 및 친환경 신소재 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를
측면
기대할 수 있음
• 나노 입자의 분산을 통한 고분자 소재의 물성 제어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임

• 최근 농약에 의한 환경오염과 농산물 및 식품 등의 잔류 농약 문제로 소비자는 무공


해 양질미 및 무농약 유기농산물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어 생분해성 멀칭필름을 통한
농업 방법은 무농약 제초 농법뿐만 아니라 멀칭필름의 분해 후에 토질개선 효과로 친
환경 농업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생분해성 멀칭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파종시와 수확시의 노력비 이외에는 추가로 비용
경재 * 이 들지 않기 때문에 농업 생산에서의 재료비 및 인건비 등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음.
산업적 • 생분해성 친환경 멀칭필름 적용 시 비분해성 비닐 멀칭필름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촉면 월등한 수확증산을 올리는 등 환경문제를 제외하더라도 실제 농촌경제 활성화에 매우
바람직한 파급효과를 기대함
• 고급소재 개발에 의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신규 산업 진출로 인한 고용 창출 효과 증
대됨
• 기존에 수입에 의존하고있는 원료 시장에 새로운 원료를 개발하여 공급함으로써 수입
대체효과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춘 원료의 수줄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됨.

2. 활용방안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구 분 내 용

• 자연분해 및 비료화(토지개량)등으로 친환경농작이 가능해지고 정부시책부응으로


수거비용이 절감되고,수질,토양 및 대기 등의 환경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농촌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됨
• 생분해성 폴리에스터오ᅡ 천연고분자 혼합체로 만들어지므로 인지도가 높아질수록
활용방안 당해 년 5억이상의 매출발생 및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사 업 화 • 국내 멀칭필름의 수요는 2009년 기준 약 1045억원이며 국내 전체 수용의 10% 대
방안) 체시장율 예상하면 약 100억원의 매출이 가능하여 사업화전망이 매우 밝을 것으
로 기대되며 친환경 필름으로 대체시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PE 멀칭필름을 대체하면서 시장은 급속도로 커질 것으로 예상됨
• 또한 미국, 일본,유럽, 동남아 등으로의 기술이전에 따른 기술수출도 가능할 것으
로 예상됨

제 4 절 시장 상황

1. 국내 • 외 시장 규모

가. 국내 • 외 시장규모

현재의 시장규모 예상 시장규모


구 분 (20012 년)
( 2009 년 )
세계 시장 규모 2 조 900억 원 2 조 7800억 원

국내 시장 규모 1045억 원 1390억 원

1) 국내 시장 규모
농림부 통계 2006년 작물재배 년서 고년

미곡(논) 면적 : 99만5천ha, 밭 변적 : 61반8천ha


친환경 멀칭필름 대체 가능 농지 논의 5% 먼칭재비ᅵ, 밭의 m 멀칭재배 적용시

2만1천톤 물량

벌칭필름 LDPE, HDPI':


,LLDPK 가저 시용시 KM3이원
친환경 필름으로 대체시 시장은 빠나게 성장함 것으로 예상뒤

2) 국외 시장 규모
한국시장의 약 2〇베 (산업기숙동향_ 신자-V-, 산업기숨정책연구소)

향후 년간 10%이상 지속적으로 게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3) 주요수요처

채소, 특수작물 재비ᅵ, 논농사 농 농업분야 산반

23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유사제품 및 경쟁사 현황

1) 유사제품 현황

시장에서 경쟁 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존제품인 LDPK, I丄DPE, HDPE름 이용한 번칭 필#이 최대의
경쟁상대로 볼 수 있다. 기존 메이져 회사普은 원료普 남품받아 필름 bbwing을 통하여 두게와 폭과
길이가 조절된 필름을 양산하고 있디、보통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용도에 맞는 필름의 규격을 모두
생산하고 있으며,LDPE, LLDPE의 경우 20um 정도를 멀칭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HDPE의 경우는
K)um까치 만들 수는 있으나 보통 15um을 멀칭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유사제품으로는 국내 S사의 정우 고-!,1■자기- 아니 종이에 코팅을 한 버칭지# 만드는 회사와 시


장에서 경쟁 할 것으로 예상되나 농촌에서 사용하지 편리하기 때문에 품질 면에서나 가격 경쟁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경쟁사 현황

국내에서 농업용 멀칭 펌름으로 니)PR, LUWK, [IDPE특 이용한 언칭 필류을 생산하는 업체는 산
동산업(주)-낙타표,일산화학공업(주)-하표 뇬이 대형입체로 유밍하시만 아직 대형업체유 또한 생분해
성농업용 필름을 생산하지 않는디-.

국내에서 생분해성수지를 이용한 필름음 생산하는 업체는 ◦ 사가 있으나 완전 생분해성 수지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base polymer(PK 농)에 생분해성 원료普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디-. 따라서
완전 생분해성되지 앟고 토질을 나쁘게 한다. 안전생분해원료로 농업용 위하윤 만드는 회사는:- 아
직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생분해성 수지普 생산하는 업체는 에-닳그린(주), (주}이래화학,
(주)NPI 정도지만 아직 멀칭필름으로 생산하는 업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농업용 멀칭 필름의 경우 LDPE, IJ -DPK, 1IDPK 뇽으로 대표되는 기존 멀칭 워름에 비해 시장의 규


모가 비교적 작고 소량 다품종을 생산해야하는 V 朴이 있어 기존 농업용 필 #을 만드는 메이져 회사들
의 진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기존 농업용 필류회사듬은 필름 원료를 수급받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생분해성 원료를 수급받아 단 가 # 맞추기는 쉽지 않은 상황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당사는 생분해성 원료普 직진 생산 하 ^ 회사모써 기존 회사에 비해 유리한 단가 조건을 가져


갈 수 있으며,특히 일괄 생산할 경우 원iL특 납품받아 생산이 가능한 다른 업체에 비해 원가 경쟁력이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정부의 녹색성장에 부흥하는 친환경 재료 및 하환경 농범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되고, 노


동력 진감, 비료사용절감, 친환경농법가-V , 고부가가치의 친환징농산권- 등의 메리트# 제공해주고,농민
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다년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충분하기 때문에 시장
잠재력은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 2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2 장 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제 1 절 기술개발 목표

1. 기술 개발 목표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소재에 나노소재롬 blending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생분해시간 조


절이 가능하며, 생분해 후 비료화하여 화학비료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기능성 친환경 밀칭필
름 개발

2. 기술개발 내용

가. 멀칭필름 제조를 위한 고분자 수지의 생산 최적화


나. 나노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농작물의 생육기간에 맞춘 생분해성 멀칭필름 분해속도 제어기술
개발
다. 멀칭필름의 기계적 물성 향상을 위한 blending 기술 확보
라. field test을 통한 멀칭필류 제조기숨의 최적화
마. 양산기술 확보

제 2 절 기술개발 내용

1. 멀 칭 ?!름 제조를 위한 고분자 수지의 생산 최직회-

가. 고분자량 수지 중합을 위한 촉매 및 모노머 비율 조절


1) 춰가제의 종류 및 비율을 조질로 고분자의 물리적 성질 / 분해속도 조왼 최적화
2 ) 유해물질 미포함 촉매 최소 비유 위기-

나. 고분자 수지의 생산 기술 확보
1) 반응온도,압력 및 시간욜 조질하여 최적 조긴 확립 및 안정화

다. Pilot 생산설비 운용 계획 :
1) 현 중합장치를 보완하여 중합장치 최적화
2) 생산되는 고분자의 QC 조건 학쉬울 통한 품질 안정성 확보

2. 멀칭필류의 분해속도 제어 및 기계지 문성 향상유 위한 blending 기숙 확보

가. 나노재료와의 blending 기술 확보

1) 나노 재료 및 유 • 무기 원료의 선정 / 가공 기술 확립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PLA, PBS 등의 수지와 사용되는 복합재료의 blending 기술 확보

나. 분해속도/인장강도/인열강도/신장육 최서화

1) PBS 중합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생분해 속도 평가


2) blending에 첨가되는 나노 재료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생분해도 평가
3) 첨가제의 종류 및 비율에 따라 인장강노, 신장율 및 인열강도의 빈화 연구

3. 멀칭필름 제조기술의 최적화 및 field test을 통한 feed back

가. 필름제조기술의 최적화
1) 필름제조기술의 최적화륜 위한 유난꾼성 최적하
2) 필름 두께에 따른 Wowing 조건(온도,토 #속 도 , air양 등) 확립
3) 수지 및 필름 두께에 따른 분해속도 조절 기술 확립

나. field test를 통한 생분해성 먹칭뭐유의 최지화


1) field test를 통한 분해속도 및 삭표 생육에 미치는 영향 조사 및 견과 feed back
2) feed back 결과를 반영하여 고분자 제조, 첨가제 및 blending등에 활용

4. 양산기술 확보

가 농업용 멀칭 필름의 양산을 위한 기숨 확보

나. 각 단계별 설비 및 기술의 최적화 및 양산의 위한 기숨 확보

5. 기술개발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

평가항목 n 비중 세계최고 수준 연구개발전


단위 개발목표치 평가방법31
(주요성능 Spec11) (%) 1보유국/보유기업 1 국내 수준

25 20 30 KS M 3503
1. 인장강도 MPa 20 (일본/미스비시)
____________ |
120 115 KS M 3503
2. 신장율 % 20 100
(일본/미스비시)

550 KS M 3503
3. 인열강도 N/cm 20 490 550
(일본/미스비시)

4. 생분해도 %/45 일 70 60 68 KS M 3100-1


30 (이탈리아/노바몬트)

- 기준치이하 IPC/ Hg분석


5. 유해물질 10 (이탈리 이/노바몬틔 기준없음 기준치이하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절 위탁기술개발 내용

1. 개발 목표

가. 멀칭 필름의 생분해속도 가속화 측정기술을 개발

나.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물성 조쥐을 통한 생분해도 제어 기술 확보

다. 필름제조를 위한 유변물성 최적화

2. 세부목표
가. 나노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농작문의 생육기간에 맞춘 생분해성 변칭뤼류 분해속도 제어기술 개

나. 생분해성 멀칭필름 분해속도 가속화 측정방법 확립
다. 멀칭필름 제조를 위한 고분자 수지의 잔단점도 및 신장점도 등의 유번물성 최적화

3. 기 술개 발 평 가방법 및 평 가힘목

평가항목 비 중21 세계최고 수준 연구개발전


단위 개발목표치 평가방법31
(주요성능 Spec” ) (%) {보유국/보유기업) : 국내수준
70 기술표준원 고시
1. 생분해도 % 50 60 68
(이탈리아/노바몬트) 제 2002-1298호
1---------
기술표준원 고시
2. 생분해기간 개월 50 7 ! 8 7
제 2 0 0 2 - I298호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장 결과

제 1 절 멀 칭 필 름 제 조 를 위 한 고 분 자 수지 의 생 산 최 적 화

1. 고분자량 수지 중합을 위한 촉매 및 보노이 비육 조정-

가. PBS/PBSA 중합

1) 중합반응 및 중합장치

PBS는 주원료 diol/dicarboxylic acid개 반응으로 l / t- Butanedi이과 Succinic acid의 에스테


르화 반응으로 축합중합반응이 일어나 고분자가 형성이 된디-. 반응 특성상 d id 을 더 많은 볼수를
투입하여 반응 시킨다. 또한 평 형반응으로 생성 되는 물욜 제거해 줌으로써 정 방향의 반응을 촉진
시킬 수 있다( < 그림 4〉반응식 참조).

T H<> || *— n H 2〇
<1

Succinic acid Polybutylene s 니ccinate water

<그림 4> PBS(Polybutylene succinate) 중합 반응식

< 표 6> PBS/PBSA 중합반응 요약

구분 1차반응 - ES 반응 2차반응 - PC 반응 비고
Succinic acidt이 하 SA】
1,4-Butanediol(이하 BD) 1차반응 oligomer
원료 촉매 1 - 메탈알콕사이드 촉매 1 - AI계 촉매
촉매 2 - 시계 촉매 열 안정 제 - phosphate계
열안정제 - phosphate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온도 : 1901:' 210 V 온도 : 240 V
반응조건 압력 : 상압 압력 : (T r 3torr
시 간 : 1.5hr "~2.0hr 시간 : 3.0 hr
n

1
H 4 6 N E IIC X
W # CONDENSER
〇R,
WI I # CPHD«NSCA

장치 = 시 ■t B
_卜비:
COND6ISSSR

계략도
HEAT1N4
K lh T L * •
l i j S 0
RICEIVBR
«CeiVeR COLDTIUP
고진공반응을 위한 vacuum pump
중요장치 BD return을 위한 condenser
및 cold trap
oligomer polybutylene s 니ccinate
반응결과
condensated water waste t 미 반응물. oliQomer)
생성되는 water■는 배출하고, 같이 미반응물인 butanediol고ᅡ 반응생성
끓어나오는 butanedi이은 반응기로 물인 water를 배출하되 vacuum
기타
return 하기위한 BD condenser를 pump 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설치 운용하였다. cold trap 을 설치 하였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합반응은 두 단계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1차 반응은 dicarboxylic acid와 diol이 만나


ester 와 I-Ia〇쁠 만드는 과정이디-. 이 렇게 하이 보통은 3'5개의 monomer가 견함된 oligomer가 생
성된다. 이때 생성되는 H20 를 제기해주년서 온도普 올려주면 반응이 잘 일어난디-. 상압에서 실시
한다. 2차 반응은 1차 반응물인 oligomcrlf 유 더 반응시키 고분자寒 인--1U :
- 반옹이다. 상압에서
만들어지는 pdyester의 분자량이 oligomer 수준으로 낮기 때문에 감압(진공)하에서 생성되는 H-乂)
를 빨리 제거하여 p이y chain이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다 음 〈표 6〉에 각 반응의 특징음 정
리하였다.

이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주촉에보 메 밖악과사이 H 계 촉메 -6- T i게 촉매와 조촉매로


A 1계 촉매를 사용하였다. phosphate계열의 연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조금 더 고온에서 반응 가능
하도록 하였다.

2) 중합 반응 장치 구성

1차 반응기는 교반장치, butanediol 응축기, water 응축기 및 히팅 맨틀로 구성되어 있고, 2


차 축중함 반응을 위하여 고진공뛰프 및 cold trap으로 구성되어 있디、 1차 반응 장치와 2차 반응
장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진공 system이 있느냐 없-느나 이다. 물본 HvOU cundensation 시킨다논-
점에서 이를 한 반응기에서 1차,2차 반응윤 시킨 수 있으나 BD름 처리하는 차이로 나타나는 각
반응기의 특징을 고려 할 경우 두 반응기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5〉 참조).

2차 반응 장치 구성

< 그림 5> 반응장치 구성 사진

생분해성 폴리에스터의 중합에서는 분자방의 높은 PBS를 인기 위하여 원료 투입에서는


S A 와 BD의 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과 I 차 반응에서 BD를 H必와 분리하여 H必만 응축시키는
기술,그리고 2차 반응에서는 고진공을 유지하여 미반응물인 BD와 반응생성물인 1如0를 빨리 제
거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반응 후 반응기ᅵ.:- 그대-V- 두고 condenser와 trap 둥의 vacuum system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을 빠른 시간에 교체 연결하여 신험음 개속하였다. 온도조절은 내부에 온도개름 설치하고 내부은


도를 직접 자동으로 은도 조절이 되게 장치유 -/성하였다.

3) 분자량 측정, 점도 측정 및 유변물성 측정

가》분자량 측정

고분자의 분자량 측정은 GPC를 이용하였다. GPC는 산업기술대학교에서 보유한 Viscotex


사의 제품으로써 detector는 R1 Detector륨 사용한다. 전개용매는 클로로포름으로 사용하고
standard는 Polysytene의 분자링:(M w )이 27^300, 132900, 72450, 38640, 19640, 10210, 5120, 2590
인 것음 사용하였다(〈그림 於 참조).

a. 장치사진 b . standard 측정 c . 시료측정

<그림 6> GPC 분자량 측정(한국산업기술대학교)

나) 점도 측정

고분자의 점도측정은 Brookfield viscomutur(모덴빈호 600ff) 름 사용하였다( < 그림 7> 참


조). 점도 측정용 시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수지시료 7.00g 을 정확히 달아 100ml
비이커에 넣고 클로로포름 80.0ml을 가하여 와언히 녹인다. 완전히 녹은 후 측정해야 한디■. 점도
측정시 braokfield 점도계의 사용 스 ? LV2이이, 150rpm, 15초간 G회 촉정하여 평균값을 사용
하였다.

〈그림 7> Brookfield viscometer - 점도측정 (모델번호 600#)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유변물성 측정

고분자는 중합된 수지를 가공하여 원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고분자 제품
의 최종적인 물성은 중함된 고분자 수지의 물성뿐만 아니라 가공 공정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되는
데 고분자 가공 공정 조건을 설계하는 경우 고분자의 유번학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
기 때문에 고분자의 유 변 물 성 (rheological properties)을 측정하여 가공 조긴 설계 및 최종적인 고
분자 제품 물성 개질의 기본 물성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고분자의 유변물성 중에 점도와 점탄성(viscoelasticity) 특성이 전반적인 가공 특성을 결


정하게 된다. 점탄성 물성 중에서도 아래 그림과 같은 형대의 장치름 이용하여 선형점탄성 특정을
나타내는 저장 탄성을(smrage modulus), 손실 탄성율(loss modulus) 및 복소 점도(complex
viscosity)쁠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일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빈물성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고분자의 동


적 저장 탄성률과 동적 손실 탄성유은 T A 사의 IiM S -800을 이용하여 측성하였다. 고분자폭 핫프
레스(hot press)를 이용하여 직경이 25m m 인 원형 시편으로 제작하였후 이 시 편 을 〈그림 8〉과 같
은 RM S-800 장치의 패러랠 프 레 이 트(parallel plate) 픽 스 처 (fixture)를 이용하여, 시료의 두께
1m m , 변형율 10% 조건 하에서 주파수 스원(frequency sweep)을 하여 주어진 온도에서 0.1 ' 100
(rad/ sec)의 주파수 범위에서 저장 탄성름,손심 탄성률,및 복소 점도름 측정하였다.

< 그림 8>. 유변물성 측정을 위한 픽스쳐(fixture) 형태

나. PBS 중합 결과

1) PBS 중합
P B S 를 중합하는데 필요한 공정 변수중 SA/BD 몰비을과 촉매 비율에 대해 PBS를 중함
하고 분자량 및 점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건 과 # < 표 7〉에 나타내었디-.

SA / B D 의 몰비율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촉매비을 0.2%에서 몸수 비을이 높아질수록


분자량은 증 가하지만 점도와 수율은 1/1.08일 경우가 수율 79.9%, 점도 52.66cP로 가장 좋았다.
m .25의 경우 분자량은 높지만 미반응하는 B D 에 의해서 수율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는 과량으로 들어간 B D 가 반응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지므로 분자량은 증가하고, 반응에 참여 못

- 3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는 묘고는 waste로 빠져나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점도는 분자량이 증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표 7> PBS 중합 결과

SA/BD 몰비 촉매 비율 PBS 수율 PBS 분자량 점도 (CP)

1/1.04 0.2% 78.1% 74,000 27.78

1/1.04 0.4% 79.3% 77,000

1/1.04 0.6% 79.5% 81,000

1/1.08 0.2% 79.9% _ 52.66

1/1.25 0.2% 72.3% 87,000

1/1.25 0.4% 73.4% 88,000

촉매 비율에 따른 결과許 삼피比번 동인한 SA/ I.M) 몹비에서 촉메 비음이 높아직에 따라


수율 및 분자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있는데 SA/ I3D 의 몰비가 커지면 그 효과는 반감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이는 SA 대비하여 B D 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S A 의 대부분이 중합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중합된 PB S의 분자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B D 의 함량이 커지면 중합에 참여
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B D 의 함량 역시 증가하기 때문에 실제 pilot 공정에서는 최적비율로 실시
해야한다. 또한 촉매의 비율욜 증가시키민 생산마가가 증가하고, 에 잔-VI■되는 문제가 있기 때
문에 용도에 맞게 조절해야한다.

다. PBSA 중합실험

1) dicarboxylic acid 첨가제 변화

P B S A 는 PB S의 dica比oxylic acid름 … 중 일부를 Adipic acid 로 바꿔주어 함께 중함하


는 polyester이다. PBSA 는 PBS에 비하여 연신이 더 잘되는 경향윤 보이는 고분자이다 또한 생분
해되는 정도가 A A 함량에 따라 P13S 보다 빠크다. 본 연구에서는 물성 개선을 위하여 (미이로 사용
되는 BD의 일부를 diethylene glycoK이하 DEG')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이때 diol의 함량은 BD
8.76m이 :DEG 1.(行m이 비율이었다.

그리고 반응에 사용된 dicarboxylic acid/ diol의 비율은 위에서 좋은 비윤로 판정된 1/1.08로
하였다. 또한 물성개선을 위하여 dicarboxylic acid를 S A 중 일부를 Tetrahydrophthalicanhydride (이
하 THPA)로 치환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A A 의 함량이 늘어날수록 어느 정도 수율은 증가하지만 점도가 범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A A 와 T H P A 의 함량을 바꾸어서 실추!한 걸과도 짐도가 떨어지는 것을 1 수 있었다.

dicarboxylic acid 첨가제로는 SA 를 바탕으로 Adipic acid 와 Tetrahydrophthalic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anhydride를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A A # S A 대신 침가함으로써 함량 변화륜 5%에서 50%까지 변


화시켜 실험을 하게 되면 A A 함량이 10% 까지는 점도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며, 20% 이상이
되었을 때는 다시 증가하여 AA 함량이 50%일 때,점도가 가장 높다. 또한 점도가 증가할수록 끈
적인다. THPA 함량의 증가는 점도를 현격히 떨어뜨린다.

<표 PBSA 중합결과 - dicarboxylic acid 변화

Tetrahydrophth
Adipic Acid
구분 SA alicanhydride 수율 (%) 점도 (cP)
(이하 M )
(이하 THPA)

AA 5% 8.58 0.46 0.03 76.86 45.36

AA 8% 8.13 0.91 0.03 78.85 47.06

AA 20% 7.23 1.81 0.03 77.95 39.22

AA 40% 5.42 3.62 0.03 78.67 45.26

AA 50% 4.52 4.52 0.03 73.86 55.62

AA^THPA 8.27 0.03 0.77 77.62 27.53

2) di이 첨가제 변화

PBSA 중합시 BD중 일부름 L)KG로 바꾸어 물성 개선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


용된 dicarboxylic acid 함량은 SA 8.27mol, AA 0.77mol, THPA 0.03mo!'.L 하였다.

< 표 9> PBSA 중합결과 - diol 변화

ethylene glycol
구분 BD DEG 수율 (%) 점도 (cP)
(이하 티3)

DEG 5% 9.31 0.50 78.30 61.32


0
DEG 10% 8.74 1.07 0 78.85 47.06
___________
DEG 20% 7.85 1.96 0 78.47 37.09

DEG—EG 8.75 : 0 1.06 80.99 56.72

0.5 DEG, 0.5EG 8.75 0.53 0.53 79.49 54.69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 표 9〉 참조) DE◦의 함량을 늘리면 수율에는 많은 영향을 주지


않지만 점도는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DEC:
를 KG로 바꾸면 분자 구조상 carbtm chain 길이가
짧은 EG가 점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라. 촉매 변화 실험

33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olyester 중합 촉매 중 기존 연구에 사용되었던 촉매와 우리가 연구에 사용되었던 촉매


의 반응성을 비교하였다. 촉매는 dicarboxylie ad d 와 d id 의 비는 1:1,08이고, 촉매 전체사용량은
0.008m d 이었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표 10〉 참조) A 1계와 메탈알콕사이드 단독으로 사용한 반응보다


는 둘을 적절한 비율을 사용한 중합결과가 점도가 높았다. 따라서 같은 시간에 중합반응이 좀 더
많이 진행 됨을 알 수 있었다.

< 표 10> PBSA 중합결과 - 촉매 변화

Dicarboxylic Diol
구분 수율 (%) 점도 (cP)
acid (mol) (mol)

Ti 알콕사이드
1 08 78.93 43.32
+ 알루미늄계

알루미늄계 1.08 77.M 13.60

Ti 알콕사이드 1 ! 1.08 75.56 26.59

안티 모니 계 1.08 83.87 7.63

코발트계 1.08 79.36 19.46

2. 고분자 수지의 생산 기숨 확M

가. 1차 반응 온도 변화

중합시 1차 반응 온도를 i 9〇r , 2〇〇r , 2〇5V , 2m : 번화시키 중합한 후 수율과 점도와


RMS 점도측정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때 교반속노는 300rpm, 2차 반응 온노-::- 2351:
, 감압시간은
17분, 감압 시작 은도는 230T:
이었다.

결과를 살펴보면(〈그림 9〉 참조) 20TC가 수윤 79%, 점도 47cP로 가장 좋았으며, 205f 가 나


쁘게 나타났다.

1차 내부온도
必、 o
비고
내부온도 점도 (cP)

i9〇r 78.10 45.92

2001: 78.85 47.06

205°。 78.67 38.59

210°C 77.23 44.79 |

< 그림 9> 1차 반응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과

- 3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2차 반응 온도 변화

중합시 2차 반응 온도를 230T , 235T:


, 24(TC으로 변화시켜 중합한 후 수지름 분석하였다. 이
때 중합 조건은 위 실험에서 결정된 1차 반응 온도 200°C 로 하였으며 나머지 공정 변수는 교반속
도 300rpm, 감압시간 17분,감압온도 230°C이었다.

2차 내무은도
내부온도 수율 점 도 (cP) 비고

230 °C 74.48 43.16

2351' 78.85 47.06

240 r 74.00 52.09

<그림 10> 2 차 반응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과

결과( < 그림 10>)를 살펴보면 온도가 높을수록 점도가 좋았으며, 240°C일 때 52cP로 가장 좋
았다. 하지만 온 도 름 더 올려 실험 함 경우 고분자가 연분해 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향성
비교하는데 만족해야 했다.

다. 감압 시작 은도 및 시간

중함시 감압 시작 온도는 중함 공정에서 많은 영향普 이히다. 정f ! 시으-,


丄 너-Y- 이론온노에 중
합을 하게되면 oiigomer의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waste가 많아지고 취국 言-합반응에 악영향을 미
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감압 시작 온도를 210°C, 220"C , 230°C 로 변화시
켜 중합하였다. 이때 중합반응 조건은 교반속도 300rpm,1차온도 205°C, 2차온도 240°C, 감압시간
17분이었다.

감압시작온도 수율 점 도 (CP) 비고

21 or 湖. 18 39.03 1

220 r 78.54 27.53


I
230 °C 74.00 52.09

< 그림 11> 감압 시작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과

결과( < 그림 11〉)를 살펴보면 온도가 높을수록 점도가 좋았으며,230°C 가 점도 52로 가장 좋


았다. 이는 반응온도를 230C 까지 기다렸다가 감압을 실시함으로써 〇lig이ner 들의 반응 시간과 에

- 3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너지롤 어느 정도 확보해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waste로 넘어가는 oligomer의 양을 줄여줌으로 결


과적으로는 더 고분자량의 수지가 중합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었다고 사료된디-.

또한 감압시간도 같은 이유로 중한 반응에 영향윤 미치게 되는대 이의 최적화가 필요하었디-.


본 연구에서는 valve를 모두 개방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율 감압시간으토 정하였으며, 그 시간이
5분, 10분 17분 소요되게 하여 중합후 수지를 분석하였다. 반응조건은 교반속도 300rpm, 1차온도
2 0 5 2 차온도 235°C, 감압온도 2301:
로 하였다.

감압시간 ■•八- 〇
감압시간 점도 비고

5분 78.84 30.69

10 분 78.95 45.09

17 분 78.67 38.59

<그림 12> 감압 시간 변화에 따른 반응 결과

결과( < 그림 1요〉)룰 살펴보면 10분에서 접도가 로 max.값을 갖t 디. 이는 너무 많은 시간


을 허비한 경우 오히려 중합반응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질한 감압시간올 유
지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라. agitation speed

교반속도 또한 중요한 공정 변수 중 하나이다. 교반속도普 너무 느리게 할 경우 잘 석이지 않


아 분자간 충돌 확률을 낮추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느려질 것이고 너무 빡리 학 경우 역반응에 의
해 고분자가 잘라지는 현상이 일어 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
차 교반속도와 2차 교반속도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1차 교반속도 변화에 따
fms 실험의 조건은 2차 교반속도 300rpm, 1차 반응 온도 2況°〔, 2차 반응 온도 2況 °C, 감압시가
17-Pr, 감압온도 230°C 이었다.

1차교 반 수율 점도 (CP) 비고

190rpm 78.42 46.62 \

350rpm 78.85 47.06


I------------- _______
400 rpm 78.39 23.53

<그림 13> 1차 반응 교반속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과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결과(〈그림 13〉)를 살펴보변 3[30rpm이 4000rpm보다 좋았디•. 이는 1차 중함 반응시 너무 빨


리 교반하는 것은 역반응 때문에 그리 좋욘 방V H 아니라는 것욜 알 수 있있디-.

2차 중 반응에서의 교반속도 변화 실험은 1차 교반속도와 2차 교반속도를 같게 하여 측정하


였다. 190rpm에서 400rpm까지 변화 시켜가며 1차 반은 온도 2防 t , 2차 반응 온도 2351 , 감압시
간 17분, 감압온도 230°C 에서 실시하였디-.

1,2차 교반속도
1, 2차
수율 점도 (cP) 비고
교 반속도
190rpm 78.27 28.69
2 孤 rpm 71.10 27.46
300rpm 78.67 38.59 I_______
350_ 78.95 28.16
400rpm 79.34 25.53

< 그림 14> 1차, 2 차 반응 교반속도 변화에 따른 반응 결과

결과( < 그림 14〉)를 살펴보면 300ipm 에서 max.값을 갖는다. 따라서 위 실험 결과 1차 반응은


300i-pm 정도에서 2차 반응은 350rpm 정도에서 식시하는 것 바람직하다는 것을 압 수 있었다.

3. pilot 설비 운용

가. 중합 장치 최적화

1) 중합장치 보완

가) 보완 컨셉

중합장치를 실험실 반응장치와 비文-하게 보안하여 다시 제작하여 션치하였디-K그립 15〉


참조). 진공도 개선을 위하여 booster* 신설하고 기존의 vacuum system을 완전히 보완하여 새로
운 vacuum trap을 제작하였다. 본 과제 재료비로는 vacuum trap 제작을 위한 재료를 구매하였다.

- 3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선후
Boosterl :직결식 6700m3/hr
Booster2 큐체커 플링 2600m3/hr
진공펌프 dry screw 450m3/hr
L Trapl 순차적 냉각 CW
I ^ H |6 7 0 0 m V h r

■ t Trap2 | demister 2기 10Hp chiller


A J 2 6 0 0 m ^ /h r
- vacuum fume 을 순차적으로 cooling하여 waste 침착이 없음
D ry s c re w
- 격리식으로 설계되어 중간에 waste 청소가능
m it j z
- 6700m3/hr MBP를 설치하여 1m3 반응에 충분한 진공도 제
공 가능

< 그림 15> 중합장치 보완 concept

나) booster 신설

기존 booster인 2600m:Vhr(EDWARDS) # 6700m:


!/ hr(AER2EN)+2600m7 hr(EDWARDS)5- 한
단계 더 올려 용량을 높였다(< 그림 16>, < 그림 17〉 참조).

구분 수리전 수리후 비고
메이커 EDWARDS + 동방플렌텍 +EDWAROS+동방플랜텍 ;
TYPE : booster+dry screw TYPE :boosterl +booster2 +dry screw i
사양
용량 : 26 0 0 m 3/ hr + 4 5 0 m3/hr 용량 :6700 m 3/ hr신설 + 기존 |
■55C

# !
義 ^ 끼
r
,'AERZEN

사진
닿 !
. --•— , = 、



, •
^ 轉 나/
ᅭ- - » m나
♦, 1

♦•'* ' 11 ^ 표
•,
广i ’
, I
ᄎ i

< 그림 16> vacuum pump system 보완

vacuum pump system을 보완計으로써 진공도 상승으로 고진공에서 중밤반응이 가능하며,


고진공으로 인한 중함도 상승으로 고분자량의 수지를 얻을 수 있으며, 반응시간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관단하였다. 또한 중합량도 놀링 수 있어 batch size#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진
공도가 3.0torr 이하가 되어야 중함이 이루어 지미, l.Otorr 이하에서 위확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booster 보완은 필요한 조치로 사료타다.

필요한 vacuum 용량을 살펴보면 계산값 보다 실제 필요한 용량이 두배에서 네배 정도 된


다고 사료된다. 계산에 의해서 설계하면 2600m:i/ hr로 則찮지만 실제로는 이것의 네배까지 핀요하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vacuum 용량 개산시 충분한 안리계수를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 않읍 경
-b〇가 계속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충분한 용량이 vvlfdy하다고
우 본 과제처럼 축합중합에서는 ᅵ
할 수 있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완 전 보완 후

<그림 17〉 vacuum pump system 보완 전후 사진 비교

다) trap system 개선

기존 trap은 waste를 vacuum pump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는 잡아주어야 하지만 그렇


지 못해 vacuum pump룰 자주 청소해줘야 하거나 반웅중 vacuum pump가 엄춰버리는 현상이 나
타나기도 하였다. 이에 trap system을 완전히 새보운 concept으로 바꾸었다. demister# 도 1?i 하여
적용하게 되었으며,waste를 L차적으로 응축하이 아고 받은 wastuH 반응 중에라도 제거 함 수
있도록 하였으며,일잔 응축된 waste는 재증바하지 않도록 선계하였다K 그빈 m > 참조).

1차 반옹에서의 condenser와 2차 반응에서의 condenser가 전혀 다른 용도로 쓰이는데 ] 차


반응의 condenser는 2개가 있는데 첫 빈째 수직 condenser는 반응 중 생성되는 H?0(g j와 이와 휘-
께 끓어나오는 BD(g )를 분리한디-. 분리하는 방법 유 condenser# 지1?!: 때 II乂)아)는 상빈회-표 일으
키지 않고. BD(g ) 며 I3D ⑴로 응축시켜 반응기로 return 함으로써 반응에 참여한 BD/SA ratio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1차 반응의 두 빈째 condenser는 H:
-0 (g) ᅳ H:必(1)로 응축시켜
recdver tank에 받도록 해준다.

2차 반응의 수직 condenser온 반응에 참여하고 남는 lilX g )와 반응 중 생성된 Vh〇 (g ), 그


리고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고 넘어온 digomeKghft 응죽한다. vacuum trap이라고 하는 누 번째
condenser는 첫 번째 trap에서 응축되지 못한 waste름 응죽하여 하여 vacuum pump에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응축된 waste는 세 빈제 tank에 쌓이게 되고 세 빈째 녜 는 재증발을 아기 위하
여 chiller와 연결하여 충분히 냉각 시킨 수 있도파 석개되었으너, 두 번째 tank와 반응중에도 분
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완 전 보완 후

< 그림 18> vacuum trap system 보완 전후 사진 비교

나. 중합 및 품질 안정성 확보

1) trap 효과

가) 기존 trap

반응 중 발생되는 waste가 기존에는 2중 coil trap에 걸려 trap 하단부에 고체/액체로 쌓이


게 설계하여 운영하였다. 하지만 설계와는 다르게 2중coil trap에서 waste를 잡아주지 못하고 진공
line이나 valve 등에 waste가 조금씩 쌓이게 되고 쌓이는 waste가 늘어날수록 진공 line은 좁아지
게 되어 waste가 쌓이는 것이 더욱 증가 되는 악수휘:을 반복하게 된다( < 표 11〉 참조).

나) 개선된 trap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응 중 넘어오게 되는 waste 및 BD가 새로운 trap에서는 3단 column의 하단부에 쌓이 게


되었다. 반응 중 재증발을 막기 위하여 2차 반응 卜2(广2:00 경과후 중간 100A valve를 닫아 격리
시키고 waste를 회수한다. 회수된 waste의 양이 기존 trap에 비해 약50% 증가하였으며,기존 trnp
에 비해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11> waste가 진공라인을 막고 있는 사진

구분 사진 설명

텔 ■ 병 I 진공 line을 waste가 막고 있어 line이 좁아졌


진공 line 다. 좁아진 부분이 오리피스역할을 하여 진공
도가 떨어졌다.

waste가 진공 line의 valve를 막고 있어 valve


valve
룹 H 조작이 힘들고 진공도가 떨어졌다.

MBP 상단의 진공 line과 MBP 내부에 waste가


MBP
쌓인 모습이다. MBP 과부하의 원인이 되었다.

1V/P로 넘어오는 waste는 대부분 watei•로 밖으


■ ft■ 황 ^ 흙 S 향 ‘ ^ 병 행 ' 로 배출이 가능하지만 waste는 배출한계를 초
과하여 넘어오기 때문에 과부하의 원인이 되
V/P

-.-^ 5 V/P 상단에 있는 mesh망에 쌓인 waste 또한


;관찰되었다.
i

또한 demister trap에 걸린 waste는 반-§-중 회수가 불가능하고 고체이기 때문에 회수가


어려워 steam으로 청소를 한다. steam 청소전에 trap욕 분해하여 waste가 언마나 어떻게 질렸는
지 확인하였다. 확인결과 격막식 demister에 쒸린 것의 대부분은 고체로 격막과 trap 벽 부분에
붙어있었으며 그 양은 많지 않았다. demister에서는 fume이 민저 닿는 부분에 고체가 조급 있었
다( < 그림 19〉 참조).

(a) 격막식 trap (b) demister trap


〈그림 19〉 개선된 진공 trap 운영 결과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펌프쪽으로 넘어오는 waste가 있는지 확인차 펌프 상부와 하부를 뜬어 확인하였는데 펌프


쪽은 깨끗하여 waste가 거의 넘어오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2) 중합결과

가} 중합반응 조건 및 반응 순서

1차 반응을 위하여 SA, BD, 촉매, 안정제 등의 원료를 1차 반옹기 R-3 明에 투입한다. 반
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원료 투입 전 반응기름 미리 예열 heating한다. 1차 반응기는 연매체
름 예열해서 반응을 진행하면 반응기 내부의 온도가 점점 상승하여 140°C 부근에서 반응을 시작
하여 water■가 condensing되어 나오기 시작한다. I3D return column은 상승하여 중상부온도가 11
OtTlSOT:
까지 상승하며,condenser의 온도 또한 점점 높아져 99°C~104r 까지 상승한다. 반응기
내부 온도는 점점 올라가는데 2防 °C 이하로 유지하였다. 이때 반응종료시점은 condenser의 온도가
95t 로 떨어지는 시점을 택하였다.

2차 반응기로 이송 후 2차 축 • 중합 반普에서 반응기의 진공을 위한 vacuum pu_ 와 녀


반응물 및 축 • 중합 시 발생되는 oligomer 등을 응축시키기 위한 trap이 연결되어 있다. 축 • 중합
반응 진공도는 1.0 ~ 3.0torr이었다. 축 • 중한 반응에서는 발생한 증기름 스1속히 제거해 반응기의
진공도를 충분히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3.0torr 이상에서는 중합반응이 이루어지기는 하
나 발생한 water를 충분히 빨리 제거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해중함이 일어니- 견국 중함이
진행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며,반응 시간이 정괴- 함수록 고분자의 열분해 또한 심해져 고분자의
품질이 점점 나빠지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수지는 ampere meter값에 따라 M l값이 1如 ' 80g/200〇


C, 2.16kg으로 변동
폭을 조질 할 수 있다. 원하는 M I에 도닦되면 반응을 중지하고, 합성된 수지는 가압하여 하
부 배출을 통하여 쟁반으로 받아 냉각 후 회수하였다(< 그림 20〉 참조).

< 그림 20> 수지 회수 및 냉각

나) 중합반응 결과
중합 반응 결과를 < 표 12〉에 나타내었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12> 반응기 중 합 반응 결과

구분 PBSA01 PBSA02 비고

SA 45% 45%
주원료
BD 32%
_ ^ _ 一 ᅴ _________________
DEG 10% 10% 1
1
____________________ 1_________________
첨가제 AA 10% 10%

THPA 2% 2%

촉매 및 청가제 1% 1% I

1차 반응 195t 、 195°C !
반응
온도
2 차 반응 235 〇
C 235 °C

수율 (%) 73.46% 73.71%


Product i____________________
Ampere Meter 67 (MV :35) 72 (MV :35) 중합도 높임
i_
condensated water 60 kg 6〇kg |

PBSA01 수취시 쟁반에서 탈이著 쉽게하기 위하여 則止 필름을 사용하였으나 이 PLA가


필름 blowing시 이물질로 작용하는 것을 마기 위하여 쟁반에 직접 반아서 수취하였디-. 수취시 이
형제를 사용하였다.
필름 성형시 점도가 다소 낮다(M I가 높다.)는 현장작업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중합도를
높였다. 중합도를 높이기 위해 2차 반응 교반속도를 시간대별로 조절하였고,최종 Ampere Meter
가 MV 35에서 72를 나타내는 상태에서 반응을 종료 하였다. 진공도는 이전보다 다소 안정된 상
태륜 나타내었으며,평균압력 또한 양호하였디'.

제 2 절 멀칭필름의 분 해 속 도 제어 및 기계 적 물성 향 상 을 위 한 blending 기

술 확보

1. 나노 재료와의 blending 기술 확립

가. 상용화제 제조

무기물(황토, 폐화석, 목분, 탄산칼슈)3%, oiKcoconut oil) 12%를 90°C 에서 20분간 교반


후 PBS 85%를 170°C 로 가열하면서 1시간이상 표리적으로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 그림 21> 참
조). 이렇게 제조된 상용화제를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K 그림 22〉 참조). oil 때문에 분
산이 잘되긴 하지만 상용화제 자체에 오닐이 난게 되어 미끌거린디-.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그림 21> 상용화제 제조

나. PBS/ PBSA/PLA blending - 상용화제 없이 blending

PBS와 PBSA과 PLA을 혼합 함 성우 상용화제를 넣느냐 그렇지 않느냐로 나눌 수 있는


데 먼저 상용화제 없이 고분자 자체로 blending 한 경우 서로의 상용성을 비교하였다(〈그림 23>,
〈그림 24 > 참조). 결과를 살펴보면 갑은 계열인 PBS와 PBSA는 잘 섞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
었으며,PLA를 혼합할 경우 서로의 도메인이 생성림을 알 수 있었디•. 하지만 도메인 크기기- 작아
어느 정도 상용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UD = 36
screw 30mm

< 그림 23> blending 작업 사진, extruder & 공냉식 cooling 장치

- 4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BS, P B S A blending - 1000 배; 전체 비울에서 고르게 혼합됨


2:1 1:1 1:2
온도 rc)
120/140/140/110
교 반속도
15rpm

PBS, PLA blending - 1000배; 7:3이 PLA 비율이 많은데도 잘 혼합됨


9:1 8:2 7:3

온도 (°C ) ■ ■ ■
180/210/210/160
교 반속도
15rpm
■ ■
PBSA, PLA blending - 1000배; PLA 비율이 높아지면 도메인이 많아짐
9:1 ; 8:2 i 7:3
온도 (°C )
180/210/210/160
교 반속도
15rpm
■ ■ ■
PBS, PBSA..PLA biending - 도메인이 많아짐
4.5:
4.5:
1 4:4:2
온도 (°C )
1孤/210/210/160
교 반속도
15rpm
■ ■
< 그림 24〉 PBS/ PBSA/PLA blending SEM 사진 비교

다. 상용화제 blending - 온도( t ) 180/210/210/160, 교반속도 ~ 15rpm

무기물 첨가시 무기물 상용화제를 제조하여 침가하는 것괴- 직쥐 첨가하는 것의 차이름


비교하기 위하여 진체 무기물 비율 0.3%를 기준A 로하여 blending하여 SRM 사진으로 비교하였
다 (〈그림 25〉 참조).

황토 폐화석 탄산칼슘 목분

PBS:PLA:상용화제 = 63:27:10, 상용화제 10%, PBS:PLA=7:3, 전체에서 무기물 비율 0.3%


〈그림 25> 상용학제 blending

- 4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각 무기물에 대하여 상용화제를 사용하여 blending하였을 경우 도메인 크기가 작게 잘 섞


여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라. 첨가제 직 접첨가 blending

또한 황토 0.3%에 대하여 직접 첨가한 황토 0.3%에 대하여 상용화제와 비교하였을 경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상용화제를 어렵게 만들기보다는 고분자의 비율이 30%이하에서는 나노소
재도 상용화제처럼 분산에 사용되기 때문에 공정 하나 더 포함하는 상용화제 blending을 하지 않
아도 된다고 사료된다(< 그림 26〉 참조). 하지만 그 비율이 높아질 경우는 문헌에 의하면 상용화
제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BS:
PLA=7:
3 비율 유지, 황토 : 0.3%, 황토 :0.5%, 황토 :1.0% PBS:
PBSA=5:
5 비율,
황토 0.3% 온 도 ) 180/210/210/160, 교반속도 - 15rpm
< 그림 26> 무기물 직접첨가 blending

2. 분해속도/인장강도/인열강도/신장율 최적화

가. 분해속도 측정 - 분해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효소와 퇴비를 사용하였디-.

1) Aspergillus n/요er를 이용한 생분해도 측정

생분해성 고분자의 생분해도륨 조사하기 위하이 Aspergillus 미'이?厂로부터 제조된 효소복


합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효소복합체는 증류수 別mᅵ에 lm g/ lm l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PBS
casting 필름 3cm x 3cm 크기를 효소용액에 넣은 후 온도 40°C 의 incubator 내에서 45일 시간이
경과한 후 분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림 27〉 참조), 결과를 보면 시간에 따라 필름의 분해가 진
행이 되고 있지만 많은 부분이 분해되지는 않았유윤 알 수 있어 다른 효소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림 27> PBS casting 필름의 A sp e rg illu s n ig e r 의 생분해 시험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Cholesterol Esterase 틀; 이용한 생분해도 하정

6m m ><6mm 로 자른 45um PBS AO 1 필름음 Cholesterol Esterase from Pseudomonas sp.


효소와 0,4m d , pH 7.0 Phosphate buffer 용액 lmMl 2fr방의 효소가 f f 어있는 작은 유리병에 37°C
의 온도의 Incubator에 배양시켜 생분해도# 훅정하였디-. 타사의 생분해성 수지와 비교하기 위하
여 지엔씨코리아의 생분해성 멀칭 필롬과 함께 비교하였다(< 그림 28〉 참조).

평가 필름 : PBSA01 필름
타사제품(지앤 씨 코리아)

평가시작일 : 2010, 03. 19


인큐베이터 조건 : 37 V , 습도는 따로 조절하지 않음

〈그림 28> Cholesterol Esterase를 이용한 생분해도 측정

경과일 PBSA01 X|〇Hm |

ie b 隨 隨 滿 燃 幽 aa鐘議■
■ ■ 顯 圖 ™

0 일후

■ ■ 德 벌

5일 후


■■■■■■■■編천■■舊■

25일 후

< 그림 29> Cholesterol Esterase툴 이용한 생분해도 측정 - 현미경사진 100배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미생물에 의해 본해된 정도普 확인하기 위하여 경과일이 지나면 필름을 수거하여 표민을
광학 현미경 사용하여 100배 촬영하였다. 식/f ! 전 환영한 현미경 사진과 심f ! 후 환영한 헌비경
사진 비교 하여 < 그림 29〉에 나타내있디-. 츄정전과 25일 후에도 별다른 년화를 볼 수 없있디-. 따
라서 Cholesterol Esterase틀 이용한 생분해도 가속 측정은 불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토양 매 립시험

성형 필름의 생분해도 평가를 위하여 ]5m m x l5mm로 자른 69um고분자 필름을 토양에


매장시켜 2주 간격으로 분해정도룰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토양은 진문가용 혼합토(퍼찌트프
로(배양토} ; 부식토,질석,페라이트, 액비, 피트모스 고 구성됨)로 하였다. 부식토, 액비 등이 포
함되어 있어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충분한 환경이라고 사료되어 선베하였다. 또한 타사 생분해필
름을 비교군으로 하였다(< 그림 30〉,< 그럼 31> 참조).

평가 필름 : PBSA01 필름

타사제품 - 지앤씨코리아 멀칭필름


에콜바이오텍 필름
에코맨 롤봉투
CH트레이딩 롤봉투
니B클린 롤봉투

평가시작일 : 2010. 03. 11.

시험과정에서 37 t Incuvator에 별도의 습도 유지 없이


보관하였다.

< 그림 30> 토양 매립시험

기간
회사명
2주후 4주후 6주후 8주 후

m gm m gm
圖 _ ■
PBSA01

■ ■ r a n H n H H l H i

< 그림 31〉 토양 매립시험 - 현미경사진 100배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간
회사명
2주후 4주후 6주 후 8주 후

m m m sm

에콜성형
n H |
■ ■ ■ ji
■ b s h h h .

에코맨
i ■ , ■ 圖
1M w H h M
헬醫H i

m m m m m

CH 트레이닝 h h b h i
W H I
oBH H BH H

UB 클린
■ ■ ■ ■
<그림 31〉 토양 매립시험 ~ 현미경사진 100배

토양 떼립시험 결과 경과일에 따라 필류을 수거하여 광학현미경으로 100배 촬영하였으나


변화가 있는 것 처럼 보이지만 정학하게 rnquf하기 쉽지 않았다. 인큐베이터에서 3TC에서 今1험하
였으나 미생물이 좀 더 활성화되는 온도와 有노 조?I 윤 맛춰서 실위을 진행해야 함 것으로 사료
된다.

A) compost 실험

토양매립시험을 바탕으로 개선된 시헉방법을 석용하여 compost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림 32> compost 분해 시험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compost는 상병대학교 취 발 Vh 교수림에서 제조한 KS M 3100 시험에


사용되는 것이다. mmpost에 필름을 매립하고 lncuvator의 온도를 58°C 를 유지하고, 습도틀
5(广80%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보관하였다. 필 #은 1.5x l.5cm의 크기로 동일하게 잘라 매립하였고,
경과일이 지나면 compost에서 채취하여 카메라로 필 # 상태름 촬영하였다. 온도와 습도 유 지 #
잡하변 미생물의 활성도가 좋아져 워유 분해가 입어납 조건이 좋아지게 되어 평가에 유리하였다
(< 그림 32〉 참조).

5) casting 필름 제조

casting 필름 제조방법은 클로로포름 용액에 15%의 생분해성 수지륨 첨가하여 완전히 녹


인 후 필름 코팅기를 이용하여 OHP film 위에 제조하였다. 필름의 두께는 샘플의 농도 및 Bar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lOmm/ min의 속도로 캐스팅하여 70f 의 Dry o w n에서 10분간 긴조한 후
OI-IP J,
i】
ni과 분리하여 casting 필롭음 〒H :_다K : i 린 33〉, < : 丄빙 34> 침-조J.

필름 코틱기에 〇HP OHP 필름위에 코팅액 바코팅하여 수지용액


필름 장착 laoding 분산

<그림 33> casting 필름 제작(순서별)

<그림 34> casting 필름

나. PBS 중함 첨가제의 종류 및 한량에 따른 생분해 속도 평가

1) compost 시험

A A 의 함량이 생분해도에 많은 영향유 미치기 때문에 AA 학량에 따라 casting 필f r 을


제조하여 분해되는 정도를 비교하였디■. c이npost에 매쉬 후 인정 시가 후에 채취하여 분해 정도륜
살피보았다. 필름 촬영은 디지털카메라도 하었다(<그김 :接〉 하조乂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매 림 일 수 (주 》
M 함량


(%) 0 2 4 6 10

6
■ ■ In ■
10

■ ■ ■ 麗 ■ !

20
■■■ 圖 ■
40

■ 圖■ 완전분해

50
□ 완전분해

<그림 35〉AA 함량에 따른 cas가ng 필름의 compost 분해 정도

결과를 살펴보면 AA 함량에 따라 분해되는 정도가 함량이 높아질수록 빠르게 분해한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필름의 분해속도를 좌지우지하는 것은 A A 의 함량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 blending에 첨가되는 나노 재료의 함량에 따른 생분해도 평가

1) Cholesterol Esterase 효소 시험

효소의 농도를 증가시켜 분해속도를 높여 실험하였다. clay가 생분해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소 실험을 통하여 어느정도 경향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compost 시험
전 효소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효소의 농도는 효소 4mg에 buffer solution(potassium
phosphate, 농도 O.lmol, pH 7.0으로 제조) 1ml# 첨가한 buffer 용액이다. 이 buffer안에 casting
필름(수지 0.25g 에 클로로포름 10ml)을 넣고 인큐베이터 안에서 37°C에 보관하였다. 효소의 영향
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효소가 들어있는 buffer 용액과 효소가 들어있지 않은 buffer 용액
을 각각 나누어서 시험하였다. 사용된 필름은 casting 필름으로 두께가 30um였다.

16일 경과 후 필름을 채취하여 증류수로 세척 후 진공오븐(실온)에서 3시간 건조하여 광


학현미경을 사용하여 100배 촬영 하였다. 결과 clay 함량에 따라 효소에서 16일 경과후 시료에서
분해가 일어났음올 확인 할 수 있었다( < 그림 36〉 참조).

- 51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buffer 용 액 효 소 + buffer 용 액
Clay 함 량
0일 후 16일 후 ◦일 후 16 일 후
■었

0%
■ ^懸 顯
w m ■ R I B
asB _ a田,圖변禮禮
M M
1% ■■룰■ ! ■ M M

驅 ^■ ■ ■ !
ii■ 향

3%

■ _
< 그림 36> clay 함량에 따라 효소 분해 시험 결고K광학현미경 100배활영)

buffer용액에서는 거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효소가 들어있는 buffer 용액에서는 16


일 후 확실히 분해된 모습을 보였다. 이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 SEM을 촬영하였다( < 그림 37〉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참조). 결과를 살펴보면 buffer 에서도 필름은 일정정도의 가수분해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효
소에서는 효소에 의해 필름의 분해가 더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compost 시험

compost 매립시험은 AA 함량과 clay 함량을 번화시킨 casting 필署■(30um)을 제조하여


실시하였다. 인큐베이터의 온도는 58°C 이며 습도는 50%정0% 로 조절하였다. 매립일수에 따라 필름
을 채취하여 그 결과를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였다(< 그림 38 참조>).

Clay 매립일 |
AA 함량
함량 0주 2주 | 4^ 6주 1 10주
___________ I

■ □■ _
1 ^
0% 1 % v

[^―
I 、

1% ■■ ■
W— BH
■ 广 .
1 > _

■ ■
AA 6%

3%

■■圖
5%
1
■圖 ■ _

1
0%

-------1
i
!
I □ ■ ■ 1離 響 _ 1

■ 圖 rfl j □
1
1
i
1 1% j
1 i
AA 10% I i1
----------

_ ■■■
I ■ ■
I
i1 3%
1 I
1------------- 1 r

■ _ ■1
1 I 1
1
1 5% '1 : 완전분해
1
1

< 그림 38> AA 함량과 clay 항량에 따른 compost 매립시험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결과를 살펴보면 clay 함량이 증가 할수록 분해는 점점 더 잘 분해되는 경향을 보인다.


compost에서 필름을 채취하면서 필름이 쉽게 부서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시 미생물에 의해
필름이 분해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라. 첨가제의 종류 및 비율에 따른 인장강도, 신장율의 변화

U 인장강도 측정

인장강도 측정은 TA사 XT H us를 사용하였다. 시 험조건은 pretest speed O.lmm/ s, test
speed 0.5mm/ s, post speed O.lmm/ s이었으며 인장강도 측정 시편 모양(KS M 3503 - 2호형)을
따랐다(〈그림 40〉 참조).

시편 모양 시편절단 인장강도측정 두께측정

<그림 39> 인장강도 및 두께측정

2) AA 함량별 인장강도 시험

AA 함량에 따라 인장강도를 측정하면 AA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K 표 13〉 참조). 이는 AA 計랑이 낮으면 그만큼 인장 강도가 좋은 필름을 만들 수 있
다는 것이지만 AAM: 너무 줄일 경우 분해속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의 최적화가 필요하
다고 하겠다.

<표 13> AA 함량별 인장강도 시험

인장강도
주원료 M 함량 비고
(N/mrn2)

5% 21.85
PBSA
10% 19.02

3) 무기물(Clay) 함량별 인장강도 시험

무기물인 d a y 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casting 필름을 제조하고 이의 인장강도를 측정 하였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표 14〉 참조). PBSA(AA 5% )에 무기물 혀가시 무기물 함량이 1%에서 최대값을 보였으며,
인장강도가 7MPa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BSA(AAU)% )도 마찬가지로 일정량의 무기
물을 침가 할 경우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필름의 인장강도
를 높일려면 적절한 AA 함량조절과 무기물의 첨가로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잇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기물 함량이나 AA 함량은 또한 생분해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수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결론을 언을 수 있다,

< 표 14> clay 함량별 인장강도 시 험 (PBSA AA 10%)

Ciay 함량 인장강도
주원료 비고
(%) (N/ mrm?)

0 21.85

PBSA 28.82

(M 5%) 3 26.27

5 20.52

0 19.02
_ _ .

PBSA 1 I 19.03

(AA 10%) 3 16.92 !

5 17.22

4) PBSA/PLA blending

PBSA와 PLA의 blending을 통하여 인장강도의 변화정도를 측정하였다(< 표 15〉 하조).


측정결과 AA 함량에 따라 다른 거동을 보였다. AA 함량이 높을수록 PLA가 듬어가서 인장 강도
률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PLA가 인장 강도 증가에 역할을 합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 표 15> AA 함량별 인장강도 시험

AA 함량 PLA 함량 인장강도
주원료 비고
(%) (%) (N/mm2)

0 21.85
5
10 17.85
PBSA
19乂)2
10 °
1 1
24.65
10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5) 무기물 종류별 casting 필름 제조

황토,패화석, 목분,탄산칼슘의 인장강도 측정을 위하여 casting 워름을 제작하였으나 필


름이 잘 만들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필름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았으며, 갈라지는 양
상을 보인다(< 그림 40〉 참조). 캐스팅 핀름 성형이 어려우며 인장강도 촉정에 용이하지 않다. 이
는 무기물과 수지가 잘 안섞여 필름 형성시 무기물이 방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무기물이 포함
된 부분이 약해져서 그쪽 방향으로 균열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인디-.

목분 0.3% 탄산칼슘 0.3% 패화석 0.3°/。

황토 0.3% 황토 0.57。 황토 1.0%

<그림 40〉 무기물 종류별 casting 필름 제조

마. 종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필류 - 중간평가에서 평가의원님의 조언

1) 종이 blending

중간평가에서 평가의원님의 조언을 참조하여 종이틀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작하기


위하여 펄프를 잘게 부수어 수지와 blending하여 필름 blowing에 이용하려 하였다. 일단은 펄프를
잘게 부수기 위하여 펄프름 물에 풀고 이를 건조하여 blending에 이용하려 하였다. 하지만 물에
불리면 펄프가 풀어지기는 하지만 건조하면 다시 뭉치게되어 이를 인위적으로 잘게 만들기가 쉽
지 않았다. 펄프조각을 blending전에 수자와 섞어보았지만 섞이지도 않아 blending이 불가능 하였
다(< 그림 41〉 참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용화제 부분에서 목분을 사용하였디-.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1〉 펄프 blendLQ 시료 제조

2) 종이 코팅

종이에 필름을 coating하여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몇가지 종이에 PBSA(AA


10% )# coating 하였다. coating 방법은 casting 워름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c o a t i n g 종-
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나 인장강도 기계의 용량이 작아 코팅전의 결과는 측정 가능하였지만
coating 후의 결과는 측정하지 못하였다( < 표 16〉,< 표 17〉 참조). 결론적으로 인장강도가 늘어난
다는 것은 확인하는 선에서 종료하였다. 종이 coating은 인장강도름 늘려 줄 수 있으나 신장율을
늘릴 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표 16> 종이 종류별 PBSA coating

클래식물래스트 클래식코튼
구분 아라실크 150g
90g 백색 S.white90g
[

122um I 22um 124um


코팅 전
42.95 N/ mm2 38.80 N/ mm2 41.45 N/ mm 2

!36 um 125니m I 32um


코팅 후
Test Aborted. Underload

< 표 17〉 종이 두께별 PBSA coating

하모니 하모니 하모니


구분
H.WhitelOOg H.White128g H .White157g

39.67 N/ mm 2 Test Aborted. Underload


코팅 전 i
133um 162um ii 211um

Test Aborted. Underload


코팅 후
160um j 190mu j 240um

- 5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절 멀 칭 필 름 제 조 기술의 최 적 화 및 field test을 통 한 feed back

1. 필름제조기술의 최적화

가. 필름제조기술의 최적화를 위한 유변물성 최적화

1) 유변물성 측정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멀칭필름은 중합된 수지를 가공하여 제초되기 때문에 멀칭필
름의 최종적인 물성은 중합된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의 물성뿐만 아니라 필름 가공 공정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멀칭필름 가공 공정 조건을 결정할 때에 고분자의 유변학적 특성에 대한 고려
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고분자의 유번물성을 측정하여 가공 조건 설계 및 최종적인 고분자 제
품 물성 개질의 기본 물성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고분자의 유변물성 중에 점도와 점탄성 (viscoelasticity) 특성이 전반적인 가공 특성을 결


정하게 된다. 고분자 물질은 분자량이 매우 큰 사슬형태의 분자구조를 갖고,이 물질이 녹아 용융
상태에 있거나 또는 적당한 용제에 녹아 용액상태에 있을 경우 고분자 사슬을 이루고 있는 단량
체들이 공유결합을 축으로 하는 화전운동과 진동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므로 고분자 사슬 전
체의 형태는 계속해서 변하게 된디、 고분자 용융체나 용액의 물성은 고분자 사슬의 형태 즉 사슬
의 배좌(conformation)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완화시간은 상당히 길뿐만 아니라 단일한 시간으로
표현되지 못하고 분포를 이루게 된디-. 이러한 안화시간은 분자량이 증가한수목 길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실험범위에서 자극의 번화속도와 같은 규모의 완화속도름 가질 것이기 때문에 고부자
유체는 저분자 유체와는 담리 점성유체의 특징과 다성고체의 특징을 동시에 갖고 있는 점탄성을
보이는 실험범위가 매우 넓게 된디-. 이와 같은 고분자의 점탄성 특징은 고분자의 분자량 및 분자
량 분포에 따라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중한된 고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하는 C5PC와 함께 중합된
고분자의 물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디-.

점탄성 물성 중에서도 아래 그림과 같은 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선형점탄성 특정을 나


타내는 저장 탄성율(storage modulus), 손실 탄성율(loss modulus) 및 복소 점도(complex
viscosi切)를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장 탄성율은 고분자의 점탄성 특정 중
탄성 부분의 크기,손실 탄성율은 점성 부분의 크기를 나타내고,복소 점도는 일반적인 진단 점도
#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변물성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고분자의 동


적 저장 탄성률과 동적 손실 탄성륨은 T A 사의 RMS-8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고 분 자 # 핫프
레스(hot press)를 이용하여 직경이 2「
)m m 인 원형 시편으로 제작하였다. 이 시편을 그림과 같은
RM S-800 장치의 패러랠 프레이fUparallel plate) 픽스처(fixture)를 이용하여,시로의 두께 1mm,
변형율 10% 조건 하에서 주파수 스원(frequency sweep)을 하여 주어진 온도에서 0.1 ' 100
(rad/ sec)의 주파수 범위에서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및 복소 점도를 측정하였다.2

2) HBS/ PLA, PBSA/PLA 유변물성 측정

- 5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BS/ PLA, PBSA/PLA blending에 대하여 유변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PBS/ PBSA/PLA


blending에 대하여 유변물성을 측정하였디-. blending 기준은 1JBS 와 PBSA 블 같은 비율로 위가하
고 PLA 의 함량변화시켰다.

. PBSPLA=님
►PBb' ;

L만호iV 「,
J-

^requency <rad/s«c)

(b) 복소점도
<그림 42> PLA에 함량에 따른 PBS/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 유변물성

(a ) 저장 탄성률 (b) 복소점도


<그림 43> PLA에 함량에 따른 PBSA/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 유변물성

Frequency \iad/$ec)

(a) 저장 탄성률 (b) 복소점도


<그림 44> 라고에 함량에 따른 PBS/ PBSA/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 유변물성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42〉,< 그림 43〉,〈그림 44〉은 14CTC에서 PBS/ PLA, PBSA/PLA 블렌드에서


PBA와 PBSA의 비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PLA 함량을 변화시켰을 때 주파수에 따른 저장탄성
율과 복소점도를 나타낸다. PBS 와 PBSA 반의 이성분 볼렌드와 유사하거I 厂LA의 함량이 증가함
에 따라 저장탄성율이 증가하고 있고, P1-A 한량이 10, 20, 30%인 경우 모두 모두 주파수가 작아
짐에 따라 저장탄성율이 감소함을 볼 수 있디-. 그러나, PLA의 함량이 가장 작은 10% 불렌드의
경우 주파수 감소에 따른 저장 탄성율의 감소가 20%와 30%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나고 있고, 이
것은 측정된 주파수 영역에서 벌써 충분히 고분자가 완화되었음을 나타내다.

복소 점도의 경우 PBS 와 PHSA 만의 이성분 블렌드와 유사하게 PL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점도의 전단박화 현상은 PLA의 함량이 20%와 30%인 경우는 크게 나
타나고 있는 반면에 10%인 경우는 매우작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복소
점도는 필름으로 가공시 인장강도와 밀접한 관 계 # 갖는 물성으로 PLA가 30%인 경우에는 이 값
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고,또한 진단박화 현상도 크게 나타나고 있어 암 普 기 # 이용한 필북 가
공시 매우 유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PBS/ PLA/ 무기첨가제 유변물성 측정

PBS/PLA 7/3 blending에 대하여 여러 가지 무기 침가제을 玄-합한 수지의 유변물성을 측


정 하 였 디 무 기 첨 가 제 는 수지대비 0.3%이다.

Frequency ^ad/sec) Ffequency (rad/sect

(a) 저 장 탄성률 (b) 복소점도


< 그림 45〉 PLA어1 함량에 따른 PBSA/PLA 블렌드의 주파수에 따른 유변물성

< 그림 45>에 140T:


에서 블렌드불 대상으로 여러 가지 무기 첨가제를 혼합
한 수지의 유변물성올 나타낸다. 무기 취가제는 황토, 목분, 탄산칼슘 빛 폐화석을 사용하였다. 사
용한 4가지 무기 침가제 모두 침가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수지에 비하여 저장탄성음이 증가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장탄성을이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를 보년 청가제가 포함되어 있
지 않은 PBS/ PLA=7:3 블렌드에 비하여 무기 청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좀 더 완만한 기울
기를 보이고 있다. 무기 첨가제가 포함된 경우 고분자의 완화시간을 증지-시키기 때문에 낮은 주파
수 영역에서도 좀 더 큰 저장탄성율을 나타내고 있다. 4가지 무기 취가제 중에서 탄산칸-行을 사용
한 경우가 저장탄성율이 가장 크게 증가학을 볼 수 있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복소 점도의 경우도 무기 첨가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BS/ PLA=7:3 블렌드에 비하여 무기


첨가제를 사용한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점도의 전단박화 현상은 4가지 첨가제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가장 크게 복소점도가 증가한 탄산칼습의 경우가 좀 더 큰 전단박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
다.

나. 필름 두께에 따른 blowing 조건(온도, 토출속도,ait*양 등) 확립

1) blowing 필름 제조

가) PBSA 필름 제조 - 1차

중합한 PBSA01 를 분쇄하여 일신화학공업(주)의 도움을 받아 필 # blowing을 실시하였


다. blowingr] 의 사양은 smg】
e extruder type으로 L/ D 가 26이며 노즐크기는 70mm. blowing die는
240mm 였다.

일신화학공업(주)는 농업용 범칭 필름 전문 생산업체로써 연매출액 1200억 정도되는 중견


회사로써 우리나라 농업용 필름 회사 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회사이다. 경험이 풍부하고 연구의지
가 강한 연구직과 생산직 직원들의 도움으로 필름 성형 시험읍 할 수 있었다( < 그림 46〉, < 그림
47>, < 그림 48>, < 그림 49〉 참조).

① 온도조절 '

투입구 온도 : l i l t 、
extruder 요
one】 온도 : 】
2厂〔

extruder zone2 온도 : 121 °C
extruder 토출구 온도 : 80 °C
film blowing Die 온도 : K)4°C

<그림 46> blowing 온도 조절

② speed 조절

extruder speed를 조절하면서 feeding 양을


조절하였다.

〈그림 47> blowing speed 조절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③ blowing 사진

<그림 48> 필름 blowing - 일신화학공업(주)

© 필름 품질

<그림 49> blowina 필름 - 일신화학공업(주)

필름형성을 위하여 die에서 밀로 나오는 수지를 모아서 위로 올린다음 이곳에 air普 불어


버블을 형성시킨다. 버블이 잘 형성되면 수지 투입량과 권취속도를 조절하여 필름을 두께를 조절
할 수 잇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필름의 폭은 air의 양을 조절하여 폭을 일정하게 맞 # 수
있도록 하였다. 권취 속도가 즐가하면 필름은 얇아지지만 폭이 줄어들어 폭을 맞추면 필름이 조급
더 얇이지는 효과가 있다.

제작된 필름의 평균 두께는 〇.50um 였으며, 두찌운 농업용 원름으로는 사용이 가능하겠지
만 더 얇은 필름을 만들 수는 없었다. 필름을 얇게하기 위하여 권취 speed름 높이면 필름에 구멍
이 생겨 필름이 불어지지 않았다. 필름 중간 중간에 녹지않은 수지가 남아있어 이것이 필륜 품질
을 낮추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이는 쟁반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PLA 필름이 기존 PBSA와 잘
혼함되지 않고 남아있어 잘 안녹는 따아을 형성하여 필름두께 조질이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작업
자듬의 조언에 의하면 점도가 조금은 모자라는 느낌으로 조금 더 수지의 중합도를 높여야한다.
M l를 최대한 낮추어야 한다. M I가 높으면 버블 형성시 수지가 흘러내려 버블이 잘 형성되지 않아
필름 성형 자체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나) PBSA 필름 제조 - 2차

- 6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합한 PBSA02를 분쇄하여 일신화학공업(주)의 도움을 받아 필름 blowing을 실시하였다


(< 그림 50〉, < 그림 51>,〈그림 52> 참조). blowingrl의 사양은 single extruder type으로 L/ D가
26이며 노즐크기는 70mm. blowing die는 240m m 였다.

① 온도조절

< 그 림 51〉 필 름 b lo w in g - 일신하■학공업(주) 2 차

③ 필 름 품질

< 그 림 52> b lo w in p 필 름 - 일 신 화 학 공 업 (주 ) 2 차

온도를 처음 blowing 보다 낮추었다. 이유는 더 낮은 온도에서 수지가 흐르지 않도복 하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 필름을 성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필름이 너무 쉬게 흘러내렸다. 1차에 비해 조급 더 흑러내


려 쉽게 버블형성이 되지 않았다. Ampere meter 수치는 1차 blowing 보다 높았지만 쉽게 버블
형성이 되지 않아 필름을 많이 성형하지는 못했다. 성형된 필름의 인장강도는 7.6MPa이었다. 일부
필름 형성된 것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2. field test를 통한 생분해성 멀칭필름의 최적화

가. field test를 통한 분해속도 및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조사 및 결과 feed back

1) field test

field test는 일신화학공업(주)에서 성형한 필름 3종과 당사에서 예전 연구용으로 성형해


놓은 필름 2종을 포함하여 시험하였다( < 그림 53〉 참조).

① 에콜성형 ② 에콜성형02 (3 ) 삼동성형 必 일신성형01 ⑤ 일신성형02

<그림 53〉field test용 멀칭필름- 텃발

(D 에콜성형 ② 에콜성형02 ③ 삼동성형 ④ 일신성형01 ⑤ 일신성형02

멀칭작업 - 텃밭친환경영농조합
오이 비닐하우스

멀칭일시 - 2009년 7월 31일

① 에콜성형
② 에콜성형02
(3 ) 삼동성형
④ 일신성형01
⑤ 일신성형02

<그림 54> 필름 멀칭 작업 - 텃 밭

- 6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멀칭은 비닐하우스(텃밭친환경영농조합 김 진 수 Y] 소유)에서 실시하였으며, 작물은 오


이에 적용하였다. 멀칭 시작일은 7/3】일이였으며, 8/]4일에 중간점검을 9/11에 최종점검하였다. 멀
칭 일수가 적었던 이유는 태풍(곤파스)의 영향으로 비닐하우스가 부서지는 사고로 인하여 작물을
오래 키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분해되는 모습을 관찰하여 사진으로 남겼다K 그립 55>,
< 그림 56> 참조).

<그림 55> 1차 점검 I 점검일시 - 2009년 8월 14일) - 텃밭

① 에콜성형 ② 에콜성형02 必 삼동성형 妙 일신성형⑴ 〔


5) 일신성형02
최종 점검 ~ 텃밭친환경영농조합
오이 비닐하무스

점검일시 - 2009 년 9월 11일

必 에콜성형
② 에콜성형02
效 상동성형
④ 일신성형01
⑤ 일신성형02

<그림 56> 최종 점검 - 텃말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태풍 곤과스의 영향으로 비닐하우스는 찌그러지거나 엉망이 되어 손질하고 있는 상태였


으며 오이 비닐하우스는 그나마 덜 망가졌으나 오이가 바람에 많이 흔들려서 더 이상 오이름 수
확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영향을 반았다( < 그린 57〉 참-子-). 주인인 김 진 수 씨는 다른 작물 지1
배 # 위하여 비닐하우스를 수리중에 있으며, 오이도 곧 건어 다른 작물윤 심는다고 하셨디、 따리-
서 이번 멀칭 시험은 이 정도에서 중지하고 다음 법칭을 준비하기로 하였다.

< 그림 57> 태풍의 영 향 으 로 망가진 비 닐 하 우 스

나. feed back 결과를 반영하여 고분자 제조,위가제 및 blending둥에 활용

1) 1차 멀칭의 문제점 및 보완점

1차 멀칭 시험시 주인인 김 진 수 씨와 학께 작업하였는데 인장강도가 일반 PE 필름과는


많은 차이가 있어 현재 상태로는 멀칭 필름으로써의 가치가 거의 없다고 하셨다. 멀칭 작업을 함
수 있을 정도로 인장강도를 보강하고,다른 기능성이 있으면 좋겠지만 입단은 작업자 중심에서 고
려할 경우 작업의 편리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셨다.

따라서 인장강도 보강이 최우선시 되어야 하겠으며, 또한 필름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야 농민들에게 팔 수 있는 상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 사이 농업용 밀칭 필름을 많이 사용하
는 농민들을 상대로 fie 】
d test룰 거처야 현장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고 더 나은 상품을 만돐 수
있다고 사료된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PBSA03 중합

인장강도를 늘리기 위하여 일단은 중함도름 최대한 높일 필요가 있다. 인장강도普 높이기
위하여 AA 함량을 조절하였으며 PLA를 blending 하였다. 여기에 무기물을 첨가하는 방향으로 진
행하였다.
가) 중합
< 표 18> 반응기 중합 반응 결과

구분 PBSA03 비고

SA 48%
주원료
BD 35% ;

DEG 7% ;

청가제 AA 7%

THPA 2%

촉매 및 청가제 1%

반응 1차 반 응 i 9〇r
온도 2 차 반응 245°C _ ,
238 °C i
I________________________ j______________________
수 율 (%) 71.58% I
Product
Ampere Meter 70 (MV :35) 중 합 도 높임

condensated water 60kg

중함반응시 쇼쇼의 함량을 10%에서 7%로 줄인 PBSA를 함성하였다( < 표 18〉 참조). AA
함량을 5%로 줄이면 생분해도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7%로 조절 하였디-. 그리고 중 함 도 # 높이기
위하여 중합반응을 평소보다 20분 오래 하였으며 이때 35rpm에서 ampere meter가 70이었디-. 중
합도를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agitation speed# 직경!하게 조절하였다.

나) PLA / 무기물 blending

PLA를 5%정도와 탄산칼슘 5 % # PBSA03과 blending하였다. blending하여 pellet 형대로


제조하여 건조 후 내습 밀봉 포장하였다(< 그림 58〉,< 그림 59> 참조).

PBSA03 PLA12002D) pellet

< 그림 明 > 개선된 원료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carbonblack color master batch 내습밀봉포장

<그림 59> carbon black & 포장 개선

다) 무기 첨가제 blending

무기첨가제를 blending한 시 표 # 10%침가하면 전체직으로 0.3%,0.5%, 1.0%가 되도4 하


었디-. 무기첨가제로는 closite(0.3%,0.5%, 1.0%), 황토(0.3%, 0.5%, 1.0%), 패화석(0.3%), 복부
(0.3%), 탄산칼슘(0.3%) 등이며 PVA하 따로 준비하었다. PVA는 중간평가시 의워님은 조언에 따
른 것이다.

< 그림 60〉 무기물 청가제 blending 작업

라) M I 측정

PBSA03 및 기타 원료에 대해 M I# 측정하였다. ■ 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천 페키징


센터의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190°C , 2.1(ikg의 추하 사용하였다(〈표 19〉 참조). Ml 측정건.과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BSA03이 3정도로 필름 성형에 아주 좋은 M l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 표 19> blowing 원료들의 Ml 측정값

구분 Ml 비고 구분 Ml 비고

PBSA03 3.2 closite 0.3% 6.2

PVA 1.4 closite 0.5% 7.0

황토 0.3% 8.7 closite 1.07。 7.5

황토 0.5% 9.5 탄산칼슘 0.3% 5.0

황토 1.0% 10.4 i
목분 0.3% 7.6
1__________ __________________ _

패화석 〇.3% 16.6 I


! !
제 4 절 양 산 기 술 확보

1. 농업용 멀칭 필름의 양산을 위한 기술 확보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페키징센터 blowing

기-. 필름 성형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센터 장비

부천에 있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장비는 5층 blowing 필름을 제작할 수 있는 장치이


다. 사양은 다이스 폭 - 200必,필름 폭 600mm까지 가능하며 압출기는 30mm 4set, 40mm Iset
으로 압출기 5set 모두 수지를 채워야 필름 성형 가능한 system으로 되어 있다( < 그림 61> 참조).

< 그림 6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센터 blowina 장비

2) PBSA 필름 성형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준비한 PBSA03 blending은 미리 제습기에 넣어 제습한 후 사용하였다. 제습 온도-卜 6


5°C 였다. 필름 성형에 필요한 온도 조건은 < 그림 62>과 같다.

< 그림 62> 원료 투입 extruder 온도 조절 및 투입 속도 조절

초기에는 LDPE로 필름을 성형하면서 점차 준비한 원 료 # 투입하고 원료가 다 나오길 기


다린 다음 본격적으로 필름을 생산하였다. < 그림 63〉 은 필름 성형작업을 촬영한 것이다. 원료의
M I에 따라서 extruder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였으며, carbon black이나 기타 황토, closite 등
은 중간층인 extruder 3을 통하여 공급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림 6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센터 blowina 작업 사진

준비한 첨가제 중 M I가 비교적 높은 페화석, 목분은 성형하지 못하였으며,PVA와 탄산


칼슘은 bbw ing 중 구멍이 생성된다든지 하는 문제가 있어 필름 성형이 불가능하였다(< 그림 分!

참조). closite의 경우는 0.5%만 성형을 실시하였고 성형시 carbon black와 함께 성형하였다.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성형시 구멍이 생김 PVA의 경우 필름에 악영향 미침

< 그림 64> 필름성형시 성형 불량 원인

3) 필름 두께 및 인장강도 측정

각 필름의 두께와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여 < 표 20〉에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인


장강도는 30MPa 이며 신장율은 650%이다. 권취 속도를 높이면 필름은 얇아진다. 안정적으로
30um 까지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표 20> 멀칭 필 름 두게/인 장강도/ 신 장율 측정

구분 두께 (um) 인장강도 (MPa) 신장율 (%) 비고

PBSA03 - 01 33.7 33.7 575

PBSA03 - 02 45.2 33.2 746


------------------------------------------------ 1
PBSA03 - 03 54.5 33.4 763

PBSA03+황토03 39.2 29.6 720

PBSA03+황토05 39.1 28.2 729

PBSA03+황토 10 43.4 27.1 702

PBSA03+carbon _ 01 38.5 29.5 743 11

PBSA03+carbon - 02 37.3 31.1 698 13

PBSA03+carbon - 03 28.7 33.1 576 15


1-----------------------------
PBSA03+carb〇n+closite 05 40.1 30.1 6明 13

- 7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벌칭

1) 멀칭 필름 선정

성형된 필름 중 PBSA03, PBSA03 +황토, PBSA03+Ccirbon black욜 선정하였다(〈그림 況〉


참조). 각각 반투명필름과 황토필봄,carbon 필 #으 로 대표될 수 있는 원름을 선정하였으머 폭은
한타하여 1000mm 이상이 되게 하였다.

© PBSA03+황토 (b) PBSA03 © PBSA03+carbon black


<그림 65> 2차 멀칭에 사용된 필름

2) 2차 밀칭

2차 멀칭 또한 1차와 마찬가지로 미생물 생육이 비교적 안정적인 비닐하우스에서 실시하


였으며 이번에도 텃밭친환경조합법인 김 진 수 씨 비1d 하우스를 업차하여 사용하였다. 가멀칭 개
시일은 2010년 10월 28일이다(〈그림 66> 하조). 기-민칭 후 땅이 인-정되VI 작물을 심되 필#에 구
1상을 뚫고 심을 예정이다 필름의 고정은 고정V!(친 사 J# 이용하고 심普 사표은 쌈채소이다. 쌈채
소 정식 과정에서 본멀칭 시험을 예정하고 있다. 쌈체소 밀칭은 일반 U〕PI’: black을 사용한다.
black의 경우 풀이 자라지 못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투병에 비해 지온을 빨리 올리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PBSA03+황토 © PBSA03 © PBSA03+carbon black


< 그림 66> 2차 가멀칭 실시 (실시일 : 2010. 10. 28)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각 단계별 설비 및 기술의 최적화 및 양산의 위한 기술 확보

가. 필름성형시 필름 두께조절

필름두께는 필름을 얼마나 빠르게 권취하느냐와 원료를 얼마만큼 투입하느냐에 따라 조


절된다. 먼저 원료 투입속도에 대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 PBSA03의 각 extruder에서 원 료 # 공급
하는 양을 < 표 21〉로 나타냈다.

< 표 21> 각 extruder 별 feed weight

모터 rpm 비고
extruder
30 50 70 85 max rpm

1 320 520 740 880 82


________________ |
2 140 240 400 86
■ _ ᅵ 1______ _______
3 120 200 320 380 86

4 140 240 340 420 86

5 120 160 280 340 86

필름 권취 속도에 따른 필름 두께 변화 및 인장강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22〉 참조X


권취 속도가 빠르면 필름두께는 얇아지고, 필름의 폭도 좁아지게 된다. 필름 폭을 넓히기 위하여
air를 좀 더 세게 불어주어 폭을 조질하변 된다. 권취 속도에 따른 폭의 빈동은 그리 크지 않아
폭이 조금 넓어진다고하여 두께가 많이 얇아지는 것은 아니다.

< 표 22〉 PBSA03+carbon에서 권취속도에 따른 필름의 두게 및 폭 비교

권취속도 필룸두께 너비
비고
(m/ min) (um) (mm)
7 70 556

9 60 535
___________________
11 45 570

13 35 553

15 23 552

나.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측정

본 연구에서 성형한 필름이 본연구에서 목표로 세운 인장강도/신장을에 근접하거나 숴있


기 때문에 이의 공인증을 위하여 필류의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틀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
뢰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와 본 과제에서 세운 목표치를 학께 < 표 23〉에 나타내었다. 측정전과
인장강도에서 30MPa을 나타내는 필름을 제조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시료는 각각 시료 1 : PBSA, 시료 2 : PBSA/ PLA/ 황토3, 시료 3 : PBSA/ PLA, 시료 4 :


PBSA/ PLA/carbon black 이었다.

<표 23> 성형된 필름의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측정 결과


측정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개발결과치
평가항목
단위 개발목표치 평 가 방 법 3)
(주요성능 Sp的 ” ) 시료 1 시료2 시료3 시 료4

U 인장강도 MPa 30 28 28 27 30 KS M 3503

2. 신 장 율 % 115 291 308 249 224 KS M 3503


1________________
3. 인 열 강 도 N /c m 550 1060 1190 1060 1080 KS M 3503

인장강도의 경우 세계적인 수준이 25M 1성 수준이나 솨- 과제에서는 계}MPa까지 높어 욕표


를 설정하였다. 다소 무리가 있는 목표였지반 목표치를 담성 할 수 있 있 디 신 장 율 과 인연강도의
경우 2배 이상 초과 달성하는 필름을 성형하였다.

다. 유해 물질 분석

수지의 유해물질은 보통 원료에서 기인하게 된다. 원료를 공업용 원료보다는 식품첨가물


우너 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립 직하다. 유해물질 분석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훅성하
였다. 시험항목과 시험기준 및 결 과 를 〈표 24>에 나타내었다. 기준은 환경표지인증 KL 724 생분
해성 수자제품 기준에 따랐다.

<표 24> PBSA03 유해물질 분석 결과


측정:한 국 화 학 융 합 시 험 연 구 원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기준치 시험방법

As mg/kg 검출안된 25이하 KS M 0032:2009

Pb mg/kg 검출안 뭐 50이하 KS M 0032:2009

Cd mg/kg 건출안 됨 0.5 이하 KS M 0032:2009

Hg mg/kg 겁 출안 됨 0.5 이하 KS M 0032:


2009

Cr mg/kg 23 150이 하 KS M 0032:2009

Cu mg/kg 14 200이 하 KS M 0032:2009


1________ __________
Ni mg/kg H 25이하 KS M 0032:2009

Zn mg/kg 7 500이 하 KS M 0032:2009

- 7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 생분해도 측정

수지의 생분해도 측정은 H iS A O l 과 H 섟 A 03(1G3(X)00)으로 나누어 의뢰되었다. PBSA 01


는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되어 그 션가-닳 < 표 25〉에 나타내었디-. 질과기- 香-지 않아 한나화학
융합시험연구원에 PBSA 03(IG 30000)을 의뢰하여 시험중에 있다. 의뢰를 9월 8일에 하였으나 한국
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퇴비 문제로 시험이 늦어지고 있다. 시험 결과가 나오는데로 침부함 예정
이다.

< 표 25> PBSA01 생분해도 분석 결과


측정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이산화탄소 방출량에 의해 시험기간


구분 관찰사항
계산된 평균 생분해도 (%) (일)

접종원의 함수율, 색깝,


시험물질 30.8 45
냄새 등 특이사항 없음

표준물질
84 .D 45
(셀 률 로 오 스 )

표준물질 대비 시험물질의 생분해도


36.7
(%)

- 7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