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Aug 2, 2021

본 리포트는 해운시황 이해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것으로 법적 책임 소재 등에 대한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태풍은 가도 체선은 남아

증산, 운임에는 무효

美 동안 1만불 돌파

건화물선 거래 활발

카카오톡에서 ‘한국해양진흥공사’ 검색하고 채널 추가!


이렇게 편한걸 왜 아직도 안보시나요… 벌써 804명 구독 중

(pt.) USD Index & CNY (CNY) (%) US 10 Year Treasury & SHIBOR
105 8.0 4.0

100 7.5 3.0

95 7.0 2.0

90 6.5 1.0

USD Index USD/CNY (R)


US 10Y Treasury SHIBOR CNY 3M
85 6.0 0.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Bloomberg & Reuters Commodity Index (pt.) (pt.)


(pt.) (pt.) Dow Jones & Shanghai Composite Index
100 280 36,000 4,000
Bloomberg Reuters (R)
90 240 33,000
3,500
30,000
80 200
27,000 3,000
70 160
24,000
Dow Jones 2,500
60 120
21,000
SHA Comp (R)
50 80 18,000 2,00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1
(U$’000) (U$’000)
60
KOBC Drybulk Composite Index 80
Front-Haul
KDCI Cape Pmax Smax Handy Cape Pmax Smax (USG-JPN)
70
50
60
40
50
30 40
30
20
20
10
10
0 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U$’000) (U$’000)
Trans Atlantic Pacific Round Voyage
50 50
Cape Pmax Smax (USG-Cont) Cape Pmax Smax
40 40

30 30

20 20

10 10

0 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Cape Panamax Supramax


KDCI
평균 F/H T/A Pac RV 평균 F/H T/A Pac RV 평균 F/H T/A Pac RV
7/30 33,574 39,031 55,250 31,625 41,500 32,750 47,110 30,270 28,150 31,278 39,288 31,188 29,932
7/23 32,709 35,931 54,375 31,375 36,000 33,942 48,670 33,330 28,792 30,568 38,750 30,250 29,255
증감 ▲ 865 ▲ 3,100 ▲ 875 ▲ 250 ▲ 5,500 ▼ 1,192 ▼ 1,560 ▼ 3,060 ▼ 642 ▲ 710 ▲ 538 ▲ 938 ▲ 677

(CNY/t) Steel Price (China)


7,000
6,500
HRC Rebar
◦ 태풍 '인파'의 소멸 이후에도 양쯔강 유역 및 북중국 주요 항만들의 가동 차질이 이어지며 6,000
태평양 수역 내 선박 공급 부족을 초래 5,500
5,000
- 중국의 Cape 선박 체선은 7월 평균 163척에서 7월 말 200척으로 약 23% 증가(AIS) 4,500
◦ 중국의 철강 감산 정책이 거듭 강화되며 철광석 가격은 하락/철강 가격은 상승하는 추세 지속 4,000
3,500
- 중국 정부, 8월 1일부로 철강 수출세 환급 폐지 대상 확대 및 선철 수출세 인상을 단행하고, 3,000
상해, 중경 등 주요 지역에 금년 철강 생산량을 작년 수준으로 제한할 것을 추가 명령함 2,50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 철광석 가격 하락과 철강 가격 상승으로 제철소들의 철강 생산 마진은 다시 사상 최고 수준
으로 확대됨. 그러나 이번 제철마진 상승은 시장 수급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정부의 생산 (U$/t) Iron ore Price
통제에 따른 결과로 나타나고 있어, 철광석 물동량 증대로 곧바로 연결되지는 않음 300
FE 62% FE 65%
◦ 호주, 브라질 등 주요 철광석 수출국들의 공급 능력이 회복되고 제철 마진도 높게 형성되어, 250
중국의 수요 확대 시 철광석 물동량은 즉각 증가할 것
200
- 중국 철강 가격 강세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 및 이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응 방향 주시 요망
150

100

50
◦ 케이프와 달리 중국 태풍에 의한 체선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며 전반적인 하락세 지속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 중국의 파나막스 체선은 7월 평균 335척에서 7월 말 355척으로 약 6% 증가(AIS)
(U$/t) Steam Coal Price
◦ 브라질의 이모작 옥수수 생산량 감소 및 중국의 대두 수요 부진으로 남미 곡물 물동량 위축 140
- 중국의 돈육가격 약세에 따른 양돈마진 악화와 동물 사료 원료 중 대두박의 배합 비율이 120
낮아진 점이 대두 수요 부진을 초래. 중국의 올 상반기 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1% Indon 5900kcal ARA 6000kcal
100
증가하였으나, 같은 기간 대두 분쇄 가공량은 1.6% 증가에 그침
80
◦ 중국향 석탄 수요가 강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Pacific R/V, T/A 등 주요 항로 시황이 Smax
대비 낮게 형성되어, 선형간 조정에 따른 저점 확보 가능성이 엿보임 60

- 다만 남미 곡물의 부진이 단기간 내 개선되지 않으며 큰 폭의 상승은 제한될 것 40


2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무더운 여름
(U₡/bu) Grain Price (U.S)
800
◦ 흑해, USG 등 북대서양 중심의 견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태평양도 역내 석탄 수요가 활발
하게 진행되며 상승세 유지 Corn Soybean (R) 1,550
700
◦ 중국 정부의 철강 생산 제한 정책에 따라 제철소들의 저품위 철광석 사용 비중이 증대됨 1,350
600
- 인디아산 철광석의 중국향 수출 증가로 인도양 시황 상승 및 선박 공급 부족 발생. 이는
지중해 동부 및 흑해의 선박 공급까지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해당 수역 시황 지지 500 1,150

◦ 중국은 태풍 및 홍수의 영향으로 자체 석탄 생산이 원활하지 않아 수입 수요 지속. 그러나 400 950


인도네시아의 생산 차질 및 내수 석탄 수요 증가로 물동량 공급은 넉넉치 않은 상황
◦ 주요 항로별 파나막스와의 격차에 따른 조정 가능성 있으나, 하계 전력 수요 강세에 따른 300 75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석탄 수요가 시황을 꾸준히 지지할 전망
※ 자료 : 한국해양진흥공사, Global Market Focus
2
Tanker & Bunker

(U$’000) Crude Tanker Spot Earning (U$’000) Product Tanker Spot Earning
300 160
LR2(MEG-JPN)
250
VLCC(MEG-CHN) 120 MR(KOR-SPORE)
200
SUEZ(WAF-CONTI) MR(WCI-JPN)
150 AFRA(MEG-SING)
80
100

50 40
0

-50 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VLCC (MEG-China) Suezmax (WAF-Cont.) Aframax (MEG-SGP) LR2 (MEG-JPN) MR (KOR-SGP) *


WS 31.45 ▼ 0.41 55.00 ▲ 0.45 94.44 ▲ 2.33 87.08 ▼ 2.09 7.41 ▲ 1.14
TCE(U$/day) -5,377 ▼ 895 156 ▼ 339 4,597 ▲ 404 4,491 ▼ 556 -81 ▲ 1,724
※ MR(KOR-SGP) 운임 : U$/mt
◦ VLCC: OPEC+ 증산에도 불구, 계속되는 선박 공급 압력에 시황 하락세 지속
- 해상 저장수요는 ’20년 말 대비 23% 감소(15척 수준), 해체는 상반기 6척에 불과. Floating Storage
(Mil. dwt)
유효 선복 증가와 아시아 지역 낮은 재고 유지(저장 경제성 감소)에 시황 회복 둔화 50

◦ Suezmax: 유럽의 낮은 정제가동률로 인해 유럽향 제품선 시황은 상승세 보이나, Aframax


서아프리카/유럽 구간 원유 물동량은 부진한 상태를 지속하며 약세 구현 40
Suezmax
◦ Aframax: 동남아시아 지역 화물 유입 증가 및 중국 기상 악화에 따른 체선 발생에
30 VLCC
시황 상승세로 전환. 약세 지속 중인 Suezmax의 일부 수요 흡수는 상승폭을 제한

◦ LR2: 유럽의 납사 부족 현상에 아시아향 차익거래 물량 급감하며 시황 약세 지속 20


- 유럽 내 자체 수요 증가, 낮은 정제가동률 및 휘발유 생산 증가 위한 수율 조정이
주요 원인. 기존 아시아로 공급되는 중동 및 미국 물량까지 흡수하는 상황 발생 10
◦ MR: 싱가폴 트레이딩 물량 증가로 시황 소폭 상승. 다만 중국 석유제품 수출 감소
(1차 수출 할당량 소진, 2차 할당량 미배정) 영향에 Spot TCE는 마이너스 구간 유지 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Crude & Product Price


(U$/mt) Crude & Bunker Price (U$/bbl) (U$/mt) Chemical Product Price (U$/mt)
1,500 600
Spread (LSFO-HSFO) HSFO Spread(Benzene-Naphtha,右)
800 80
LSFO WTI(右) Benzene
1,200
Toluene
600 60 Xylene 400
900

400 40 600
200
200 20 300

0 - 0 0
Jul-20 Oct-20 Jan-21 Apr-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WTI HSFO LSFO Spread Benzene Toluene Xylene

가격* 73.95 434.50 554.00 119.50 가격 1055 ▲ 5 765 ▲ 5 920 ▲ 20

증감 ▲1.88 ▲13.50 ▲8.00 ▼5.50 Spread* 357 ▼ 8 67 ▼ 8 222 ▲ 7


※ Bunker Price : Singapore 기준 ※ Spread : Naphtha 대비 편차

◦ 석유 공급 부족 전망 및 미국 원유 재고 감소에 WTI 주간 2.6% 상승 (Mil. bbl) US Crude Stocks & Rig Count (Unit)
- 백신 접종이 확대되며 델타변이로 인한 석유 수요 둔화 우려 감소. OPEC+ 600 1,200
감산 완화(매월 40만 b/d, 8~12월)에도 하반기 석유 공급 부족 전망 우세
- 미국 원유 생산은 1,120만 b/d, 시추기(가스 포함) 수는 488기로 팬데믹 이전인
’20.1월 평균 대비 각각 13.6%, 38.3% 낮은 수준 유지 400 800

◦ 미국 원유 재고는 정제가동률 하락(0.3%)에도 불구, 전주대비 409만 배럴 감소


- 휘발유와 중간유분(경유 등) 재고 역시 각각 225만 배럴, 309만 배럴 감소하며
200 400
뚜렷한 석유 소비 증가세 구현. 석유 제품 수입도 16만 배럴 증가
Crude Stock
◦ 원유가격 상승 및 중국 남부 태풍 영향(급유선 부족)에 연료유 시황 상승세 구현 Rig Count(右)
- 8월 아시아향 유럽과 북미의 차익거래 물량 유입 감소로 시황 강세 유지 전망 0 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 LSFO/HSFO Spread는 톤당 $119.5를 기록, 전주대비 4.4% 축소
※ 자료 : 한국해양진흥공사, KOBC 패널리스트, GMF 3
Container
(pt.) (pt.)
4,500
컨테이너선 운임지수 추이 (SCFI) 4,000 컨테이너선 용선지수 추이 (HRCI) 3,869
4,196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항로 금주 전주 +/- ’21평균 +/- 선형** 건조* 기간 $/Day +/- 성약 주차


美서안 5,518 5,388 ▲ 130 4,483 ▲ 1,035
피더 700 A 24개월 13,000 ▲ 2,500 7월1주
美동안 10,067 9,850 ▲ 217 6,591 ▲ 3,476
피더 1,100 B 36개월 19,800 ▲ 1,100 7월2주
유럽 7,395 7,127 ▲ 268 5,060 ▲ 2,335

지중해 6,991 6,961 ▲ 30 5,078 ▲ 1,913 피더 1,600 A 36개월 28,000 ▲ 3,000 7월2주
동남아 861 856 ▲ 5 920 ▼ 59
피더 2,200 A 37개월 31,000 ▲ 1,000 7월1주
중동 3,553 3,481 ▲ 72 2,311 ▲ 1,242

호주 3,406 3,168 ▲ 238 2,309 ▲ 1,097 피더 2,700 B 37개월 34,500 ▲ 1,500 7월2주
남미 9,720 9,498 ▲ 222 8,298 ▲ 1,422
내로우빔 5,000 B 36개월 52,000 ▲ 14,000 6월5주
日서안 277 282 ▼ 5 268 ▲ 9
日동안 277 280 ▼ 3 274 ▲ 3 와이드빔 5,500 B 60개월 45,000 ▲ 10,500 6월2주
한국 189 205 ▼ 16 273 ▼ 84
중형 7,000 B 60개월 46,500 ▲ 500 6월5주
동서Africa 8,102 8,036 ▲ 66 6,838 ▲ 1,264

남Africa 4,873 4,647 ▲ 226 3,590 ▲ 1,283 중형 9,000 A 40개월 42,500 ▼ 11,000 6월1주

*美서안, 美동안: $/FEU, 그 외: $/TEU 사용 *A : ’05년 이후 / B : ’01∼’05년 / C : ’01년 이전 **전주 성약내용 동일

’21년 30주(7.26∼7.30) SCFI 종합지수는 ‘4,196p’로 원양항로 강세가 계속되며 12주 연속 상승. 전 세계적인 경기 회복세와
함께 상반기 중국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 특히 상해(14.4%), 닝보(21.3%), 선젼(24.3%)에서 큰 폭의 증가를
기록. 6월 정시성은 39.5%로 전년대비 -38.2%p, 전월대비 +0.8%p 수준으로 전 세계에 걸친 공급망 정체가 계속되는 상황

美서안 5주 연속 상승, 동안 항로는 최초로 1만 달러를 돌파하며 양안 모두 최고치 경신. 항만과 내륙 정체, 성수기 물량 증가가
동반되며 강세 시황 지속. 최근 발표된 6월 정시성 지표는 서안 21.4%, 동안 26.5%로 부진이 계속되는 상황(전년대비 각
▼ 65.3%p, ▼60.5%p). 미서안을 통한 내륙 철송 중단을 발표했던 UP社는 27~28일부터 캘리포니아를 통한 운송 재개를
결정했지만 체화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처리량은 기존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 일주일간 제한된 내륙 운송 및 수요 강세의
여파로 LA/LB항 대기 선박은 7월 30일 기준 25척으로 전월 말 대비 대폭 증가(6/25, 10척)

유럽 항로 3주 연속, 지중해 항로 18주 연속 상승. 수요 강세, 선복 부족, 트러커 부족 등이 계속되며 운임 강세 지속. 로테르담
항은 상반기 총 760만 TEU를 처리하며 역대 반기 최대 물량을 달성했으며 하반기에도 강세는 지속 될 것으로 전망. 6월 정시성은
유럽항로 유럽 23.3%(전년대비 ▼68.3%p), 지중해 42.8%(전년대비 ▼43.7%p)를 기록하며 매우 부진한 상황. 공급망 정체에 따른 고운임
기조가 계속되며 중형선 위주의 완하이는 유럽 항로 재진출을 검토 중

중동, 브라질, 아프리카, 호주 등 장거리 항로는 공급 부족 및 공급망 혼란이 계속되며 동반 전고점 경신, 싱가포르 항로는 9주
연근해/기타 만에 소폭 반등, 6월 한국-동남아 간 교역량은 33.7만 TEU로 전월 대비 6% 증가한 반면, 태국은 최근 확진자 급증에 따라
강력한 통제에 돌입하며 6월 교역량 –2% 역성장을 기록. 올 상반기 물동량은 베트남(▲12%), 인니(▲6%)에서 큰 증가세를 보임

◦ 『세계 2위 MSC社, 추가 선복 확보를 위한 공격적인 행보 지속』 (로이드리스트_21.7.26)


- 최근 미국 사모펀드가 스위스 선사 MSC에게 ’05년 건조된 8,500 TEU 컨선 2척을 ’18년 매입가 대비 5배 높은 금액으로 판매. 독일 현지
브로커에 따르면 현재 해당 선형의 용선료는 하루당 10만불 수준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 중에 있음. 시장에서는 MSC가 큰 비용을
지불하며 중고선 매입을 계속하는 것은 현재의 가용 선복 부족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 판단했다고 평가

◦ 『태풍 ‘인파’의 영향, 中 주요 항만 운영 차질』 (로이드리스트_21.7.27)


- 태풍 ‘인파’의 영향으로 30주차 중국 상하이 항만의 컨테이너선 기항 횟수는 전주 대비 10% 수준으로 급감(29주차 436척, 30주차 41척).
상하이와 닝보항만은 23일까지 항만을 폐쇄했으며 터미널 운영사 또한 컨테이너 픽업 및 운송을 임시 중단, 현재는 작업이 정상 재개된 상황.
하루 처리량이 5만 TEU에 달하는 상해항에 큰 피해가 발생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

※ 자료 : 상해항운교역소, Howe Robinson, 주요 전문지 등 4


Sale & Purchase

◦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 지속
- CMB Leasing 16,000 TEU 2척 / Seaspan 7,000 TEU 10+5척 / Navios 5,300 TEU 4+2척 발주

◦ 중국 및 그리스 선주의 건화물선 거래 활발. 컨테이너선은 매물 부족에 따른 거래 부진 지속

◦ 중국의 철강 수입 수요 증가 및 해체선 공급 부족으로 해체선가 상승세

Newbuilding & Resale Price

Newbuilding Resale
Type DWT
금주 +/- ’21평균 ’20평균 금주 +/- ’21평균 ’20평균
Cape 180K 57.76 - 52.02 48.24 53.65 ▲ 0.15 50.47 48.46
Kamsarmax 82K 31.88 ▲ 0.05 28.73 26.47 33.28 ▲ 0.06 30.55 28.84
Drybulk
Ultramax 64K 29.52 ▲ 0.03 26.63 24.66 31.12 ▲ 0.19 28.07 25.98
Handy 33K 26.25 ▲ 0.10 24.23 22.52 26.29 ▲ 0.15 23.19 21.43
VLCC 310K 97.14 ▲ 0.18 90.19 87.15 95.87 ▲ 0.08 91.58 94.44
Tanker Suezmax 160K 64.64 ▲ 0.21 59.35 57.03 65.74 ▲ 0.13 60.68 63.72
Aframax 105K 52.52 ▲ 0.44 48.36 46.26 53.72 ▲ 0.11 48.66 50.45
(U$ Mil.) (U$ Mil.)
35 Drybulk Newbuilding 60 70 Tanker Newbuilding 100
K'max U'max Handy Cape(R) Suez Afra VLCC(R) 95
65
55 90
30 60
85
50 55
80
25 50
45 75
45 70
20 40 40 65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Secondhand Price
5 Years Old 10 Years Old
Type DWT
금주 +/- ’21평균 ’20평균 금주 +/- ’21평균 ’20평균
Cape 180K 39.83 ▲ 0.21 34.45 28.78 28.88 ▲ 0.06 24.52 19.05
Kamsarmax 82K 28.43 ▲ 0.04 25.11 21.14 20.86 ▼ 0.01 17.27 13.16
Drybulk
Ultramax 64K 24.33 ▲ 0.15 20.54 17.96 17.81 ▲ 0.22 13.93 11.33
Handy 33K 18.83 ▲ 0.10 16.15 13.59 12.79 - 10.27 7.72
VLCC 310K 70.43 ▼ 0.03 66.79 70.58 47.85 ▼ 0.16 45.48 47.76
Tanker Suezmax 160K 47.50 ▲ 0.08 44.92 49.20 31.85 ▲ 0.06 29.87 33.42
Aframax 105K 39.59 ▲ 0.03 35.95 38.40 25.14 ▼ 0.03 23.08 26.29
(U$ Mil.) (U$ Mil.)
30 Drybulk Second-Hand(5Y) 50 70 Tanker Second-Hand(5Y)
Suez Afra VLCC(R) 80
K'max U'max Handy Cape(R)
60
25 70
40
50
60
20
40 50
30
15
30 40

10 20 20 3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Scrap Price (U$/LDT)


650 Scrap Price
India Bangladesh 600
550
금주 +/- ’21평균 ’20평균 금주 +/- ’21평균 ’20평균 500 Drybulk Tanker
450
Bulker 400
550 ▲ 10 467 335 590 ▲ 10 490 336
350
300
250
Tanker 570 ▲ 10 477 349 600 ▲ 10 500 350 Jul-19 Jan-20 Jul-20 Jan-21 Jul-21
※ 자료 : 한국해양진흥공사, GMS 5
KOBC Panelists

KOBC Drybulk Panelists

Jangsoo
Ildo Chartering Flaship Ascent Bulk
Shipping

Daesang Greatwall
Basim Chartering Max-Bridge
Shipping International

Optima
Ace Chartering Kaya Shipping Interlink International
Shanghai

M.I.T Chartering Good Turn Evershine Ocean Robin


& Agency Transportation Consulting Shipping

Howe Robinson
OHY Shipping BNS Shipping
Singapore

KOBC S&P Panelists

Pioneer
Forocean Hanwon
Gyro Maritime Shipbrokers
Shipbroking Maritime
(Vietnam)

Hanbada Wirana Shipping Harvest


Fides Corp.
Corporation Corporation Shipbrokers

Maxmart
Kims Maritime GMS Korea Shipping & SSY London
Trading

HIT Marine Reshamwala


Haidely Shipping STL Global
Company Shipbrokers

Seasure
Mcquilling
Shipbroking

KOBC Tanker Panelists

Presco Reshamwala
Neostar Maritime SSY London
International Shipbrokers

KOEL
Hans Shipping Nav Maritime Seoul Line
International

KOBC Container Panelists

Pactra Eunsan Shipping


Unico Logistics Euroline Global
International & Aircargo

Taewoong
Tradlinx
Logistic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