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2.

건축환경의
기후와 건축
조절

 자연형 조절(Passive Control)


- 건물의 형태, 구조, 공간구성, 외피구성 등 건축계획을 통하여 기계적 장치없이 실내환경조건을 조절하는 방법
- 각종 설계기법을 통하여 외부의 자연환경이 갖고 있는 이점을 최대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실내
환경을 조절
2.건축환경의
기후와 건축
조절

 설비형 조절(Active Control)


- 환경조절을 위하여 에너지를 소모하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 실내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통제
- 외부 환경조건과는 상관없이 실내환경을 쾌적하고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
-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함
2.건축환경의
기후와 건축
조절

 혼합형 조절(Hybrid Control)


- 가능하면 자연형 조절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야간이나 겨울철 등에는 인공조명이나 난방 등의 설비 사용이
불가피
- 자연형 조절과 설비형 조절을 조화시켜야 함

<고려사항>
자연형 조절과 설비형 조절은 각각 별개의 방법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조절방법
환경조절은 자연형 조절이 우선이고, 설비형 조절은 자연형 조절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보조수단이 되어야 함
2.건축환경의
기후와 건축
조절

 열환경 조절 방법(교재 그림 참조)


- 기후조건에 따라 변화의 폭이 큰 경우
→ 미시기후 조절 : 건물의 위치, 배치 조절(주변의 식재나 인공구조물과 같은 물리적 환경과 지표면의 상태 등)
→ 자연형 조절 : 기후요소 조절(기온, 습도, 일사, 강수, 바람, 일조시간 등)
→ 설비형 조절 : 실내 환경 조절
2.생체기후도를
기후와 건축 이요한 건축 환경설계

 생체기후도(Bioclimatic Chart)
- 1963년 V.Olgyay가 제안
- 온대기후에서 해발 1000ft이하, 간편한 복장으로 앉은 상태에서 경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
- 건구온도와 상대습도로서 쾌적영역을 설정

 A점 : 창문을 통해 햇빛을 도입하여 기온을


상승시켜 쾌적영역 만족(일사도입)

 B점 : 기류를 발생시켜 자연통풍에 의한


냉각효과 활용

C점 : 수증기를 가습시켜 쾌적감 향상


2.생체기후도(인체)
기후와 건축

 생체기후도를 이용한 자연형 조절방법의 설계기법


- 일사도입에 의한 자연태양열 난방(Passive Solar Heating)
- 증발냉각(Evaporative Cooling)
- 자연통풍(Natural Cooling)
- 축열체를 이용한 자연냉각(High Thermal Mass)
- 축열체를 이용한 자연냉각 + 야간통풍(Night Ventilation)
2.건물생체기후도(Building
기후와 건축 Bioclimatic Chart)

 건물생체기후도
- 1979년 미국의 Givoni와 Milne가 제안
- 자연형 조절과 설비형 조절을 포함한 환경설계기법을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로 나타낸 것
- 건물에너지 해석의 초기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기후자료 분석방법
- 건축물의 단열상태 및 결로상태 해석에 많이 사용됨
건물생체기후도(Building Bioclimatic Chart)
건물생체기후도를 이용한 환경설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