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1

인간 & 환경 & 건축

2
인간, 환경, 건축

◈ 환경의 개념
► 한자의 의미를 보면, 둘러 싸(環) 경계(境)를 이루는 것. 즉,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상
황조건이 환경인 것이다.

► 사전적 의미 : "인간을 둘러싼 그 생활과 행동에 여러 가지 영향을 주는 외적 조건의 총체"


"주위의 사물 또는 사정, 거주하는 주위의 외계, 생활체를 둘러싸고 그것과 일정한 접촉을 유
지하고 있는 외계"를 뜻하며, "공학에서는 장치나 구성 부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조
건, 조작조건, 기타조건의 집합"을 말한다.

► Environment : the external surroundings in which a plant or animal lives, which


influence its development and behavior

► 이상의 상황을 종합하여 볼 때, 환경이란 어떠한 주체의 외적인 것으로써 이 주체에 영향


을 맺는 모든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중요한 사항은 주체가 무엇인가이다. 주체가 사
람이면, 사람 주위에 있으면서 사람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 모든 것을 말할 수 있으며, 또 다
른 것을 주체로 하여도 마찬가지이다.

3
건축?

고인돌, 대한민국, BC 700~800 수혈식 주거, 신석기 및 청동기 스톤헨지, 영국 솔즈베리, BC 1700~1400

메소포타미아, 바벨탑, BC 600 쿠푸왕의 피라미드, 이집트, BC 2500

4
건축?

파르테논 신전, 그리스 아테네, BC 432 경복궁 근정전, 중건 1867, 1395

솔즈베리 대성당, 영국 월트셔주, 1258 성 소피아 성당, 터키 이스탄불, 537

5
건축?

출처 : 'goblin garage' in 네덜란드 /


http://www.a10.eu/materials/parking-palace.html?cat=215

고스트, 명동성당, 서울 명동, 1898

프랭크로이드라이트, 낙수장, 미국 펜실베니아, 1936 출처 : http://5osa.tistory.com/entry/Design-Blitz-One- 삼성물산, 부르즈 할리파, UAE 두바이, 2007
Workplace-Headquarters 출처 : http://blog.daum.net/philook/15720519
6
건축물의 형성 배경(인간, 환경, 건축)

건축의 기본 목적

인간을 위한 최적의 생존공간을 제


공하는 것

건축은 그 고유한 사용목적에 따라


인간이 최선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쾌적한 환경조건을 제공해야 한다.

<인간과 건축>

7
건축물의 형성 배경(인간, 환경, 건축)

건물
인체의 쾌적에 미치는
기후적 영향을 자연적인 방법으로 조절하
는 기후의 여과기 climatic filter

시시각각 변화하는 기후에 대해 열을 차


단하거나 취득함으로써 실외와 구분되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피난처로서의 건축>

8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인간생활에 부적절 외피구조, 에너지 사용 적절한 환경성능을


한 자연환경 갖도록 변화

<토속건축>

9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수혈식 주거
- 신석기 시대부터 많이 이용하게 됨.
- 평면형태 : 원형 또는 방형
- 크기 : 직경이 3.5~6m, 바닥의 깊이는 지면으로부터 0.6~1.2m 정도
- 바닥 중앙에 취사를 위한 화덕 설치
- 지붕은 중앙에 기둥을 세우고 서까래를 방사형으로 걸친 원추형 형태
-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깊이가 점점 낮아지고 벽체가 발생하게 됨.
- 진정한 의미의 건축으로서의 최초의 형식

10
기후조건에 따른 건축환경 조절 기능 대두(토속건축)

기후조건 어떤 디자인 요소보다도 건축의 형태나 구조, 재료 및 공법 등에 영향

▶ 에스키모 – 이글루 ▶ 고온건조지역 – 차양장치

▶ 고온다습 – 바람의 통풍 ▶ 온화한 기후 - 자유로움

11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온난한 지역의 토속건축

• 고온 다습, 한랭 건조
• 열용량이 큰 흙
• 처마길이 – 일조를 고려
여름철(차단)
겨울철(유입)
• 온돌과 대청마루가 공존
– 추운 겨울과 무더운 여름
교차

<구례 운조루>

12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한국건축 문화의 전래와 형성

: 크게 두 갈래의 문화가 전래

- 북방계 : 흙바닥의 사용 → 온돌문화


한랭건조한 추운 겨울 나기가 가장 큰 목적
구들장을 데우는 방식에서 온수 파이프를 통한 복사난방 방식으로 계승 발전

- 남방계 : 마루바닥의 사용 → 마루문화


고온다습한 여름철 나기 위함.
통풍을 유도한 고상식 마루구조에서 온돌을 활용한 온돌식 마루구조로 발전

13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난방 방식 비교

14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고온건조한 지역의 토속건축

15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고온건조한 지역의 토속건축

• 일사의 차단, 일교차 극복


• 자연효과에 의한 열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로 열용량이 큰 진흙으로 지은 중량 구조체
• 모래와 먼지를 동반한 바람 떄문에 개구부의 수도 적고, 크기도 작다
• 주 개구부가 중정을 향하는 중정형의 건물형태

<고온건조한 지역의 건축형태> <Wind Tower>

16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고온다습한 지역의 토속건축


• 고상건축 – 통풍효과를 극대화
• 다습으로 인해 증발로 인한 냉각효과가 없음
• 건물사이의 간격이 크다.
• 목재, 큰 창과 높은 천장

<고온다습한 지역의 건축형태> <열대우림 지역의 건축형태>

17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한랭지역의 토속건축
• 열손실 최소
• 반구형의 밀집한 형태로 외피면적을 최소화
• 이글루 – 용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을 최소화
• 강풍에 대비 – 최소한의 개구부

<한랭기후의 건축형태>

18
토속건축의 환경조절 특성

기후별 저층주거의 전통적인 지붕형태


 한랭기후 : 두꺼운 외벽, 완만한 지붕(눈의 단열효과)
 온난기후 : 단열벽체, 적당한 경사지붕
 건조기후 : 열용량이 큰 두꺼운 벽, 평지붕
(빗물저장소-복사 열손실 조절, 증발에 의한 냉각효과)
 열대기후 : 고상(바람의 흐름 유용), 뾰족한 지붕

<한랭기후> <온난기후>

<건조기후> <열대기후>

19
건축 형태의 변화

기후 특성에 맞는 건축형태의 발전 양상에서 변화가 일어남

피신처 기후 특성 고려 자연친화적인 환경조절 방법 사용

산업혁명(Q&A)

자유로운 건축형태 지역성 붕괴 인위적인 환경조절 시스템에 의존

20
산업혁명을 통한 건축기술의 변화

산업 혁명

 신재료 등장 : 유리, 철

 산업화로 인한 재료의 대량생산

 건물의 경량화

 건물의 고층화(Q&A)

 거대한 건축설비시스템 필요(인위적인 건축환경조절시스템 등장)

 에너지 소비적 건물

 국제주의적 양식의 건물

 수직 이동 수단 필요(Q&A)

21
건축활동의 변모 경향

고층건축물의 등장

 건축의 규모가 커지고, 건축의 내용도 복잡화하고 고도화

 19세기 말부터 마천루 건축 등장

 의미 : 하늘에 닿을 듯한 집이란 의미, 아주 높은 초고층 건물

시카고를 배경으로 발전

 등장배경

-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가능해짐.

- 석조 건물에서 주철과 연철로 된 철골구조물이 가능해짐.

- 유리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해짐.

- 커튼 월 공법이 대두되면서 건물이 경량화(외벽이 칸막이 구조) 되었음.


22
마천루 건축

23
마천루 건축

24
마천루 건축

25
건축 기술의 발달을 통한 문제점 대두

고층화로 인한 문제점

 에너지 소비적 건물

 1973년 제1차 에너지 유류파동

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

- 유엔총회(1982)

-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 처음으로 제시(1987)

1990년대(지구환경문
제에 대한 관심)

 자연형 건축설계를 통한 기존 건물의 에너지 절약이 중요한 사회적 목표가 됨

26
건축 기술의 발달을 통한 문제점 대두

현대 건축의 문제점

 고층화, 고밀화됨에 따라 인근 환경과 건축행위를 둘러싼 마찰 증가

: 분쟁조정위원회의 활동이 많아짐.

 건축활동은 적법하나, 이웃에 있어서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 생겨남

: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쾌적영역이 점차 줄어들고, 자기 중심적이 되어감.

예) 공사차량, 소음, 진동, 분진, 지반침하, 교통저해, 일조, 통풍, 프라이버시,

전파장애, 장례식장, 쓰레기 소각장, 러브호텔 등

27
건축의 화두

Q : 현대 및 미래 건축이 추구하는 방향은?

A :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B : 환경 친화형 건축물

C : 제로 하우스

28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1.지구환경문제

► 지구환경 문제의 근본적인 원


1) 선진국의 풍요로운 생활과 경


제활동 유지를 위한 자원, 에너지
의 대량 소비

2) 개발도상국의 급격한 인구증


가, 경제발전에 의한 난개발

공급과 성장지향의 개발정책보다는 산업사회건설의 부산물인 자연파괴를 치유하고, 자연과의 조화속에


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관의 정립이 요구됨

29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2. 자연환경의 진단

► 1) 대기문제
① 대기오염 : 우리나라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988~1997년까지 매년 9.6%씩 증가
아황산가스는 90년대 초반까지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저황유 등 저공해연료의
공급확대로 감소
이산화질소 배출량은 계속 증가하여 1988년 98만톤에서 1997년128만톤
② 오존층 파괴 : 오존은 지상 약 10~50km 사이에 있는 성측권 내 오존층과 지표로부터
10km 이내의 대류권에 각각 존재. 문제가 되는 것은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
오존층은 태양광선 중 생물체에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구상의 인간과
동식물의 생명을 보호. 이러한 오존층 파괴는 프레온가스가 주 원인.

- 성층권의 오존이 약 1% 감소하면 지표면의


자외선 양이 약 2% 증가한다
- 이에 따라 피부암의 발생률은 약 4%, 백내장은
0.6%가 각각 증가
- 전세계적으로 일년에 약 10만명 이상이 시력을
잃거나 피부암에 걸리는 것으로 추정

30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 자외선의 종류
- 햇빛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으로 분류
-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A, 자외선B, 자외선C로 나뉜다.

■ 자외선 C(UVC/200~290nm)
- 세포와 세균을 파괴하는 힘이 매우 강함
- 파장이 짧아 오존층과 성층권에서 대부분 흡수.
- 다만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손상되면 파괴력이 강한 UVC가 지상까지 도달
- 피부 노화는 물론 피부암을 유발시킬 수 있음.
■ 자외선 B(UVB/290~320nm)
- 자외선 중 광생물학적으로 인체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고 피부에 광손상을 일으키는 주원인
- 피부의 핵산, 단백질 등의 합성을 억제, 화상을 입히며 새로운 색소를 만들어 색소침착을 유발
- 비타민D를 합성시키고 면역학적 기능을 저하시켜 세균감염 및 암을 유발
- 유리창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실내에서는 안전하며 10시에서 오후 3시까지 외출을 삼가
■ 자외선 A(UVA/320~400nm)
- 도달하는 빛의 양은 UVB의 100배 정도 많음
- UVB와 마찬가지로 피부 홍반과 색소 침착을 유발

31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③ 산성비
- 대기 중에 방출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화학물질이 빗물에 녹아 산성화된 비
- 일반적으로 순수한 물은 중성(pH 7.0)이며, 대기 중의 비는 이산화탄소 등으로 산도(pH)가 5.6 정도
- 산성비란 산도가 5.6 이하인 비를 말한다.
④ 지구온난화
- 지구 평균기온은 지난 100년 동안 0.6 ~1℃ 상승한 것으로 분석
-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산업활동에 사용되는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 메탄
(CH) 등 온실가스가 주범으로 지목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영향으로는 강수량과 수분 증발량이


변하여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지구 수림대가 줄어들며,
사막화가 진행

기후변화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은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 시스템의 위험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온실가스 농도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32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2) 물 문제
- 세계적으로 물 부족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인구는 약 5억명으로 전세계 인구의 약 10%가 식수난
- 이러한 추세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심각해져 2025년경에는 세계인구의 약 30~40%가 물부족 예측.
- 우리나라의 경우 연평균 강우량은 1,274mm로 세계평균보다 1.3배 많으나 연도, 계절별 편차가 심해
관리의 어려움이 있음.

3) 식량 문제
- 세계식량의 수요와 공급문제에 대해서는 비관적인 견해와 낙관적인 견해가 공존.
- 우리나라는 식량 자급률이 30% 정도인데, 이것도 쌀을 제외하면 5% 이하.

4) 열대림의 파괴
- 열대림 감소는 온실가스에 대한 지구 자정능력의 상실, 삼림자원의 감소, 생태계의 파괴에 따른 동,식물
서식지 감소 등 심각한 환경문제 발생
- 특히 동남아시아, 남미 및 아프리카 지역은 위험하리만큼 삼림이 부족
- 이 지역에는 벌목속도가 식목속도보다 빠르며, 상업용으로 벌채되는 나무 29그루당 1그루의 비율

33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열섬(Heat Island) 현상

도시 지역의 건물이 고층화되고 지표가 대부분 콘크리트로 피복되어 있어 도심에서 방출된 열과 각종


오염 물질이 기후에 영향을 주어 도심부가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고온지대가 형성되는 현상

34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열섬(Heat Island) 현상

<서울 지역의 열섬현상 사례>

35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온실(Greenhouse Effect) 효과

- 대기는 태양에서 복사되는 단파장을 지구 지표면에 도달시킴


- 지표면에서는 파장이 긴 장파가 복사되어 대기 중의 수증기, 이산화탄소, 오존 등에 흡수되거나
다시 열로 지표면으로 방출됨
- 그러나,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가 우주 공간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는 에너지 순환 과정이
반복되면 대기는 지표면을 보온하는 역할을 함
-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서 온도가 증가하는 현상

36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엘리뇨(Elnino) 현상

37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고민 – 친환경 건축이 필요한 이유

라니냐(La Nina) 현상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짐에 따라 적도 해상의 바닷물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현상


동남아시아(장마), 페루(가뭄), 극지방(추위)

38
미래 건축의 지향점

지속가능한 건축
(Sustainable Architecture)

 친환경 건축

 저에너지 건축

 그린빌딩 건축

 생태건축

 녹색건축 등

39
자연환경 & 도시환경 & 건축환경 & 실내환경

사회환경

◈ 환경계획 : 인간의 생활공간에서 유해한 환경은 제어하고, 유익한 환경은


받아 들이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제어와 조성)

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