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0

일러두기

✒ 이 책은 이렇게 만들었어요

① 초등학교 漢字 교육용 교재로서 漢字의 난이도와 학습


분량을 고려하여 점진적 4단계로 구성하였습니다.
② 단계별 漢字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漢字 900자의 범위
내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漢字 어휘를 중심으로 선정하
였습니다.
③ 단원별 주제와 관련된 漢字 어휘가 담긴 바탕글을 제시
하고, 어휘의 뜻과 함께 漢字의 자원과 활용 어휘를 안
내하였습니다.

✒ 이 책은 이렇게 짜여 있어요

⦁단원의 주제와 관련된 간단한 漢字 병기의 바탕


글을 제시하여 음독을 통해 漢字 어휘를 문장
漢字 살피기
속에서 살피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새로 배울 漢字를 음과 함께 제시하였습니다.

⦁漢字 어휘의 뜻과, 자원의 변천과정을 제시하여


漢字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습니다.
漢字 익히기 ⦁漢字의 활용 어휘를 제시하여 반복적으로 漢字를
눈으로 익힐 수 있도록 제시하였습니다.
⦁1, 2단계는 필순과 부수, 획수를 안내하였습니다.

✔ 이 책을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하루 한차례씩 손에 쥐고 5분 동안 工夫하면
여러분의 어휘 실력과 학습 실력이 쑤욱쑤욱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
漢字의 필순

위에서 아래로 씁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씁니다.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할 때는


가로획을 먼저 씁니다.

좌우의 모양이 같을 때는
가운데를 먼저 씁니다.

둘러싼 모양으로 된 자는
바깥을 먼저 씁니다.

가운데를 꿰뚫는 획은 나중에


씁니다.

오른쪽 위에 있는 점은 맨
나중에 찍습니다.
차 례

1단계(31자)

1. 수(1) 一二 三 四五 / 2
2. 수(2) 六七 八 九十 / 8
3. 요일 日月 火 水木 金 土 / 14
4. 자연 石山 川 牛馬 魚 鳥 / 22
5. 신체 身耳 目 口鼻 手 足 / 30

2단계(80자/40낱말)
1. 가족 家族 父 母兄 弟 祖孫 食 事 / 40
2. 학교 學校 文 字言 語 分明 實 力 / 46
3. 교실 敎室 後 門羊 毛 先生 自 己 / 52
4. 방향 方向 東 西南 北 中心 平 地 / 58
5. 위치 上下 左 右內 外 出入 本 末 / 64
6. 크기 大小 多 少高 低 長短 强 弱 / 70
7. 계절 春夏 秋 冬朝 夕 晝夜 花 草 / 76
8. 남녀 男子 女 人共 用 往來 見 聞 / 82
3단계(120자/60낱말)

1. 명절(名節) 名 節 寸數 衣 服恩 惠 歲拜 故 鄕 / 90
2. 친구(親舊) 親 舊 正直 讓 步善 意 競爭 友 愛 / 94
3. 독서(讀書) 讀 書 爲主 式 場風 俗 童詩 議 論 / 98
4. 탐구(探究) 製 造 探究 受 賞知 識 脫皮 驚 異 / 102
5. 예능(藝能) 現 代 展示 思 考作 品 興味 藝 能 / 106
6. 보전(保全) 連 休 溪谷 增 加保 全 參與 淸 潔 / 110
7. 농촌(農村) 農 村 田園 訪 問豊 年 協同 米 穀 / 114
8. 어촌(漁村) 遠 洋 漁船 賣 買活 氣 居住 海 流 / 118
9. 산촌(山村) 採 集 所得 不 便植 樹 世界 林 野 / 122
10. 여행(旅行) 姉 妹 觀光 旅 行乘 車 落葉 景 致 / 126

4단계(144자/72낱말)
1. 애국(愛國) 國 軍 忠誠 精 神推 仰 戰線 將 兵 / 132
2. 역사(歷史) 歷 史 最初 遺 産革 命 苦難 感 謝 / 136
3. 우주(宇宙) 表 面 着陸 宇 宙念 願 太陽 永 久 / 140
4. 영재(英才) 假 想 解決 妙 案英 才 養成 改 良 / 144
5. 특허(特許) 有 益 原料 權 利特 許 申請 開 閉 / 148
6. 방송(放送) 新 婚 夫婦 放 送對 談 美德 電 波 / 152
7. 정보(情報) 急 變 各種 情 報廣 告 過去 重 要 / 156
8. 통신(通信) 移 動 通信 勤 務效 果 取材 選 擧 / 160
9. 시민(市民) 勇 敢 市民 順 序禁 止 尊貴 存 在 / 164
10. 시간(時間) 應 試 始終 時 間打 鐘 課題 復 習 / 168
11. 소질(素質) 個 別 素質 適 性熱 烈 眞價 幸 福 / 172
12. 졸업(卒業) 卒 業 賀客 祝 歌進 路 希望 首 席 / 176
1 단계

1. 수(1) 一二三四五 / 2

2. 수(2) 六七八九十 / 8

3. 요일 日月火水木金土 / 14

4. 자연 石山川牛馬魚鳥 / 22

5. 신체 身耳目口鼻手足 / 30
1. 수(1)

漢字 살피기

수학 시간에 숫자 공부를 하였습니다.


수를 셀 때는 ‘하나, 둘, 셋, 넷, 다섯’이라고
하고, 수를 읽을 때는 ‘일(一), 이(二), 삼(三),
사(四), 오(五)’라고 합니다.

一 일. 二 이. 三 삼.
四 사. 五 오.
漢字 익히기 ①

一 壹


하나

수를 헤아리던 산가지의 하나를 본뜬 글자.

쓰기 一부 총1획

활용 一月(일월) 一日(일일) 금壹만원정

3
漢字 익히기 ②

二 貳



수를 헤아리던 산가지의 두 개를 본뜬 글자.

쓰기 二부 총2획

활용 二月(이월) 二日(이일) 금貳만원정

4
漢字 익히기 ③

三 參



수를 헤아리던 산가지의 세 개를 본뜬 글자.

쓰기 三부 총3획

활용 三年(삼년) 三寸(삼촌) 금參만원정

5
漢字 익히기 ④




본래 산가지 네 개를 본떴으나, 모양이 변한 글자.

쓰기 口부 총5획

활용 四日(사일) 四寸(사촌) 四大門(사대문)

6
漢字 익히기 ⑤



다섯

다섯 개의 산가지를 포개 놓은 것을 본뜬 글자.

쓰기 二부 총4획

활용 五月(오월) 五日(오일) 五人(오인)

7
2. 수(2)

漢字 살피기

수학 시간에 숫자 공부를 하였습니다.


수를 셀 때는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이
라고 하고, 수를 읽을 때는 ‘육(六), 칠(七),
팔(八), 구(九), 십(十)’이라고 합니다.

六 육. 七 칠. 八 팔.
九 구. 十 십.
漢字 익히기 ①


六 여섯
륙(육)

집의 모양을 본떠 ‘여섯’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八부 총4획

활용 六日(육일) 六學年(육학년) 五六島(오륙도)

9
漢字 익히기 ②



일곱

칼로 나무를 자르는 모양을 본떠 ‘일곱’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一부 총2획

활용 七月(칠월) 七日(칠일) 七夕(칠석)

10
漢字 익히기 ③



여덟

엄지손가락을 마주 세워 ‘여덟’을 표시한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八부 총2획

활용 八月(팔월) 八日(팔일) 八道(팔도)

11
漢字 익히기 ④



아홉

낚시 바늘의 모양을 본떠 ‘아홉’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乙부 총2획

활용 九月(구월) 九日(구일) 十中八九(십중팔구)

12
漢字 익히기 ⑤

十 拾



산가지를 세로로 놓은 모양을 본떠 ‘열’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乙부 총2획

활용 十日(십일) 十字(십자) 금參拾만원정

13
3. 요일

漢字 살피기

一주일은 七일입니다.
일(日), 월(月), 화(火), 수(水), 목(木), 금
(金), 토(土)요일입니다. 이번 土요일과 日요
일에 우리 가족은 여행을 다녀오기로 하였습
니다.

日 일. 月 월. 火 화.
水 수. 木 목. 金 금.
土 토.
漢字 익히기 ①




둥근 해 속에 금까마귀를 그려 넣은 글자.

쓰기 日부 총4획

활용 日月(일월) 生日(생일) 明日(명일)

15
漢字 익히기 ②




달이 기운 모양에 옥토끼를 표시하여 넣은 글자.

쓰기 月부 총4획

활용 月中(월중) 月末(월말) 每月(매월)

16
漢字 익히기 ③




나무에 불이 붙어 불꽃을 일으키며 타는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火부 총4획

활용 火山(화산) 火田(화전) 防火(방화)

17
漢字 익히기 ④




물결의 모양을 본떠 ‘물’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水부 총4획

활용 水門(수문) 水中(수중) 山水(산수)

18
漢字 익히기 ⑤



나무

잎이 떨어진 나무의 모습을 본 뜬 글자.

쓰기 木부 총4획

활용 木手(목수) 木材(목재) 土木(토목)

19
漢字 익히기 ⑥




이제 금(今 )+흙 토(土)의 형성자에 땅 속에 금덩이(‥)가


묻혀 있음을 더한 글자.

쓰기 八부 총4획

활용 金曜日(금요일) 白金(백금) 黃金(황금)

20
漢字 익히기 ⑦




밭을 갈아 흙덩이가 일어나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土부 총3획

활용 土地(토지) 土人(토인) 出土(출토)

21
4. 자연

漢字 살피기

우리나라의 산천(山川)은 아름답습니다.


기기묘묘한 모양의 돌이 많은 석산(石山)도
있고, 들판에는 새[鳥]들이 지저귀며 우마
(牛馬)가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습니다. 들판을
가로지르는 냇물에는 물고기[魚]들이 노닙
니다.

石 석. 山 산. 川 천.
牛 우. 馬 마. 魚 어.
鳥 조.
漢字 익히기 ①




벼랑에 바위가 부서져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石부 총5획

활용 石炭(석탄) 石器(석기) 水石(수석)

23
漢字 익히기 ②




멀리 보이는 산봉우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山부 총3획

활용 山中(산중) 山地(산지) 登山(등산)

24
漢字 익히기 ③




냇물이 구불구불하게 흘러가는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巛부 총3획

활용 山川(산천) 大川(대천) 河川(하천)

25
漢字 익히기 ④




소의 머리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牛부 총4획

활용 牛乳(우유) 韓牛(한우) 黃牛(황우)

26
漢字 익히기 ⑤




말의 모양을 본떠 세워 놓은 글자.

쓰기 馬부 총10획

활용 馬車(마차) 馬夫(마부) 落馬(낙마)

27
漢字 익히기 ⑥



고기

물고기의 옆모양을 세워서 본뜬 글자.

쓰기 魚부 총11획

활용 魚類(어류) 活魚(활어) 大魚(대어)

28
漢字 익히기 ⑦




꼬리가 긴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鳥부 총11획

활용 鳥類(조류) 白鳥(백조) 吉鳥(길조)

29
5. 신체

漢字 살피기

우리 몸은 소중합니다.
漢字 ‘身(신)’은 ‘몸’이란 뜻을 나타냅니다.
흔히 잘 생긴 사람을 보고 ‘이목구비(耳目口鼻)
가 반듯하다’는 말도 합니다. 그리고 사람은
수족(手足)을 부지런히 움직여 일을 해야 건
강에 좋습니다.

身 신. 耳 이. 目 목.
口 구. 鼻 비. 手 수.
足 족.
漢字 익히기 ①




아기를 가진 여자의 모습을 본뜬 글자.

쓰기 身부 총7획

활용 身分(신분) 身體(신체) 長身(장신)

31
漢字 익히기 ②




사람의 귀의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耳부 총6획

활용 耳目(이목) 中耳(중이) 馬耳東風(마이동풍)

32
漢字 익히기 ③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떠 세워 놓은 글자.

쓰기 目부 총5획

활용 目的(목적) 目次(목차) 面目(면목)

33
漢字 익히기 ④




사람의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口부 총3획

활용 人口(인구) 入口(입구) 出口(출구)

34
漢字 익히기 ⑤


+畀 鼻


사람의 코 모양을 본떠 ‘自’자를 쓰다가 뒤에 ‘自’가 자
기의 뜻으로 변하여, ‘畀(줄 비)’자를 합쳐서 ‘鼻(코 비)
의 형성자로 만든 글자.

쓰기 鼻부 총14획

활용 鼻炎(비염) 鼻音(비음) 耳目口鼻(이목구비)

35
漢字 익히기 ⑥




다섯 손가락을 편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手부 총4획

활용 手中(수중) 手話(수화) 失手(실수)

36
漢字 익히기 ⑦




허벅지에서부터 발가락까지의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足부 총7획

활용 足球(족구) 不足(부족) 滿足(만족)

37
2 단계

1. 가족 家族父母兄弟祖孫食事 / 40
2. 학교 學校文字言語分明實力 / 46
3. 교실 敎室後門羊毛先生自己 / 52
4. 방향 方向東西南北中心平地 / 58
5. 위치 上下左右內外出入本末 / 64
6. 크기 大小多少高低長短强弱 / 70
7. 계절 春夏秋冬朝夕晝夜花草 / 76
8. 남녀 男子女人共用往來見聞 / 82
1. 가족

漢字 살피기

우리 가족(家族)은 대가족입니다.
할아버지[祖父], 할머니[祖母], 부모(父
母)님, 우리 형제(兄弟)가 한 집에 살고 있습
니다. 추석에 우리 집은 조손(祖孫)이 함께
차례를 지내고, 차례 음식으로 식사(食事)를
했습니다.

家族 가족. 父母 부모.
兄弟 형제. 祖孫 조손.
食事 식사. 父兄 부형.
漢字 익히기 ①

家族(가족) 하나의 가정을 이루어 사는 사람들.




뱀이 많던 시대에 뱀만 보면 잡아먹는 돼지를 집 밑에
기르면 편안히 살 수 있으므로 집밑에 돼지(豕:돼지 시)
를 그려 ‘집’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宀부 총10획

활용 家內(가내) 家長(가장) 一家(일가)

族 겨레


표적으로 세워 놓은 깃발( :깃발 언) 아래 화살(矢)이
집중되는 뜻으로서, ‘겨레’, ‘민족’을 뜻한 글자.

쓰기 方부 총11획

활용 家族(가족) 親族(친족) 民族(민족)

41
漢字 익히기 ②

父母(부모) 아버지와 어머니.


아버지

자식을 꾸짖기 위해 아버지가 매를 든 상태를 본뜬 글


자.

쓰기 父부 총4획

활용 父女(부녀) 父子(부자) 父親(부친)

母 어머니


어머니 구실을 하려면 젖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자 가슴
의 두 점을 표시하여 만든 글자.

쓰기 母부 총5획

활용 母校(모교) 母女(모녀) 生母(생모)

42
漢字 익히기 ③

兄弟(형제) 형과 아우.



아우보다 머리가 큰 형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쓰기 儿부 총5획

활용 兄夫(형부) 親兄(친형) 學父兄(학부형)

弟 아우


화살대에 줄을 감을 때는 반드시 순서가 있어야 하므로
형 다음 아우처럼 순서에 따라 구별된다는 뜻에서 만든
글자.

쓰기 弓부 총7획

활용 弟子(제자) 師弟(사제) 子弟(자제)

43
漢字 익히기 ④

祖孫(조손) 할아버지와 손자.


조상

본래 ‘ ’의 자형으로서 조상의 신주를 모신 사당의 뜻
이었는데, 뒤에 神(귀신 신)의 뜻으로 ‘示(보일 시)’를
더한 글자. 다른 풀이도 있음.

쓰기 示부 총10획

활용 祖上(조상) 祖母(조모) 祖父(조부)

孫 손자


아들[子]에서 아들로 실처럼 이어지는[系:이을 계] 것
이 ‘손자’가 됨을 뜻하는 글자.

쓰기 子부 총10획

활용 孫子(손자) 孫女(손녀) 外孫(외손)

44
漢字 익히기 ⑤

食事(식사) 음식을 먹는 일.


먹을

밥그릇에 밥을 담고 뚜껑을 덮은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食부 총9획

활용 食器(식기) 食堂(식당) 飮食(음식)

事 일


깃발 아래서 손에( ) 간책(簡冊 :옛날 대쪽에 글씨
를 쓴 것)을 들고 어떤 일을 취급한다는 데에서 ‘일’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亅부 총8획

활용 事情(사정) 事故(사고) 工事(공사)

45
2. 학교

漢字 살피기

학교(學校)는 학생들의 배움터입니다.


학생들은 學校에서 문자(文字)를 터득하고
책을 읽기 시작합니다. 또한 바른 언어(言
語)를 사용하여 분명(分明)한 목소리로 발표
하며, 부지런히 공부하여 실력(實力)을 기릅
니다.

學校 학교. 文字 문자.
言語 언어. 分明 분명.
實力 실력. 學力 학력.
漢字 익히기 ①

學校(학교) 학생을 가르치는 기관.


배울

아이[子]가 책상[冖]에서 두 손[ → ]에 산가지


[爻]를 들고 셈을 배우는 것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16획

활용 學問(학문) 學生(학생) 文學(문학)

校 학교
(木) + (交)

‘木(나무 목)’+‘交(사귈 교)’의 자로, 본래는 형틀의 뜻
이었으나 뒤에 ‘학교’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쓰기 ⽊부 총10획

활용 校門(교문) 校名(교명) 學校(학교)

47
漢字 익히기 ②

文字(문자) 글자.


글월

가슴에 글자처럼 문신한 것에서 ‘글자’를 뜻하는 글자.

쓰기 ⽂부 총4획

활용 文學(문학) 文章(문장) 作文(작문)

字 글자


집 안에 아이가 있는 것을 본떴는데, 뒤에 ‘글자’의 뜻
으로 변한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字形(자형) 正字(정자) 漢字(한자)

48
漢字 익히기 ③

言語(언어)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과 글.


말씀

피리를 부는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말씀’으로 뜻이


변한 글자.

쓰기 ⾔부 총7획

활용 言行(언행) 名言(명언) 忠言(충언)

語 말씀


뜻을 나타내는 言[말]+음을 나타내는 吾(나 오)의 자로,
내가 하는 ‘말’을 뜻한 글자.

쓰기 ⾔부 총14획

활용 語順(어순) 語法(어법) 國語(국어)

49
漢字 익히기 ④

分明(분명) 틀림없고 확실함.


나눌

칼[刀]로 무엇을 나눈다[八]는 것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4획

활용 分明(분명) 分別(분별) 充分(충분)

日月 明 밝을
+

날 일(日)+달 월(月)의 글자로 해와 달이 환하게 비춰
‘밝다’는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明月(명월) 明年(명년) 解明(해명)

50
漢字 익히기 ⑤

實力(실력) 실제로 나타나는 힘.


열매

‘집 면(宀)’+ ‘꿸 관(貫)’의 자로, 집안에 조개[貝:조개
패→돈]를 꿰어 놓은 것이 가득하다로 풍부하다의 뜻
인데, 뒤에 ‘열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부 총14획

활용 果實(과실) 結實(결실) 充實(충실)

力 힘
력(역)

힘을 쓸 때 팔과 어깻죽지에 나타나는 힘살 모양을 본


뜬 글자.

쓰기 ⼒부 총2획

활용 力道(역도) 力士(역사) 風力(풍력)

51
3. 교실

漢字 살피기

새 학년이 된 첫날 아침입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교실(敎室) 후문(後門)을
살며시 열고 들어서자, 양모(羊毛)로 짠 스웨
터를 입으신 선생(先生)님께서 반갑게 맞아
주시며 자기(自己) 자리에 앉으라고 말씀하
셨습니다.

敎室 교실. 後門 후문.
羊毛 양모. 先生 선생.
自己 자기. 自生 자생.
漢字 익히기 ①

敎室(교실) 공부하는 방.


가르칠

‘산가지 효(爻)’+‘칠 복(攵)’의 자로, ‘어린아이가 셈을


배우도록 매를 대어 가르치다’의 뜻으로 만든 글자.

쓰기 ⽁부 총11획

활용 敎育(교육) 敎會(교회) 胎敎(태교)

室 집


집 안[宀:집 면]에서 머무는 곳[至:이를지]이 ‘방’이라
는 뜻으로 만든 글자.

쓰기 ⼧부 총9획

활용 室內(실내) 室外(실외) 居室(거실)

53
漢字 익히기 ②

後門(후문) 뒤쪽의 문.




작게(幺:작을 요) 천천히(夊:천천히 걸을 쇠) 걸어가니
(彳:조금 걸을 척) 뒤떨어진다는 데에서 ‘뒤’를 뜻하는
글자.

쓰기 ⼻부 총9획

활용 後記(후기) 午後(오후) 前後(전후)

門 문

쌍문의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門下生(문하생) 門前(문전) 家門(가문)

54
漢字 익히기 ③

羊毛(양모) 양의 털.



양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본뜬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羊皮(양피) 羊腸(양장) 山羊(산양)



본래 털이 빽빽이 나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부 총4획

활용 毛皮(모피) 純毛(순모) 脫毛(탈모)

55
漢字 익히기 ④

先生(선생)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


먼저

한 사람의 앞 쪽에 발자국을 그려서 전에 먼저 앞서


간 사람이 있었음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先頭(선두) 先金(선금) 先輩(선배)



새싹이 땅에서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生부 총5획

활용 生日(생일) 生活(생활) 人生(인생)

56
漢字 익히기 ⑤

自己(자기) 제 몸. 나.


스스로

중국인이 자기를 가리킬 때 코를 가리키는 습관이 있다는


데에서 어른 코 모양을 본뜬 자로 ‘자기’를 뜻하는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自白(자백) 自律(자율) 各自(각자)

己 몸


긴 끈의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자기의 '몸'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쓰기 ⼰부 총3획

활용 克己(극기) 利己(이기) 知己(지기)

57
4. 방향

漢字 살피기

오늘은 방향(方向)에 관한 공부를 했습니다.


우리나라 지도를 펼치고 동서남북(東西南北)
四方의 지형을 살펴보았습니다. 서울을 중심
(中心)으로 東쪽보다 西쪽, 北쪽보다 南쪽으
로 갈수록 평지(平地)가 많다는 것을 알았습
니다.

方向 방향. 東西 동서.
南北 남북. 中心 중심.
平地 평지. 南向 남향.
漢字 익히기 ①

方向(방향) 어떤 곳을 향한 쪽.



본래 쟁기의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모서리’ 등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

쓰기 ⽅부 총4획

활용 方法(방법) 方位(방위) 八方(팔방)

向 향할


‘집 면(宀)’+ ‘입 구(口)’의 자로, 남향 집의 북쪽에 환기
를 위하여 낸 창을 나타낸 모양에서 북향한 창의 뜻이
었는데, 뒤에 ‘향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向上(향상) 向方(향방) 南向(남향)

59
漢字 익히기 ②

東西(동서) 동쪽과 서쪽.


동녘

본래 자루에 물건을 담아 멜대를 꿰어 놓은 모양을 본


뜬 것인데, ‘동쪽’을 나타내는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東向(동향) 東京(동경) 南東(남동)

西 서녘


해가 서쪽으로 질 때 새들이 둥지로 들어가는 모양을
본뜬 것으로 ‘서쪽’을 나타내는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西洋(서양) 西海(서해) 北西風(북서풍)

60
漢字 익히기 ③

南北(남북) 남쪽과 북쪽.


남녘

남쪽으로 향한 천막의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부 총9획

활용 南海(남해) 南向(남향) 江南(강남)

北 북녘


두 사람이 등지고 서 있는 모습을 본떠 ‘등’을 뜻하며,
뒤에 ‘북쪽’의 뜻으로 변한 글자.

쓰기 ⼔부 총5획

활용 北方(북방) 北海(북해) 江北(강북)

61
漢字 익히기 ④

中心(중심) 가운데.


가운데

광장 한 가운데 깃발을 꽂아 놓은 것을 본떠 ‘가운데’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4획

활용 中央(중앙) 中間(중간) 空中(공중)

心 마음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떠 ‘마음’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心부 총4획

활용 心中(심중) 安心(안심) 內心(내심)

62
漢字 익히기 ⑤

平地(평지) 평평한 땅.


평평할

본래 ‘ , ’ 등의 자형으로, 말할 때 입김이 똑바로 나


감을 나타내어 ‘평평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부 총5획

활용 平安(평안) 平和(평화) 太平(태평)

地 땅


‘흙 토(土)’+ ‘뱀 사의 옛글자인 它(뱀 사:也)’의 자로,
옛날에는 개간되지 않은 땅에 뱀(也)이 많았기 때문에,
‘土’에 ‘也’를 합쳐 ‘땅’의 뜻이 된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地上(지상) 地球(지구) 天地(천지)

63
5. 위치

漢字 살피기

위치를 나타내는 낱말에는 상하(上下)와,


좌우(左右)가 있습니다. 上과 下, 左와 右는
서로 맞서는 뜻을 나타내는데 내외(內外)와
출입(出入), 본말(本末)도 그와 같은 경우로
서로 상대되는 뜻을 가진 낱자로 이루어진
낱말입니다.

上下 상하. 左右 좌우.
內外 내외. 出入 출입.
本末 본말. 外出 외출.
漢字 익히기 ①

上下(상하) 위와 아래.



어떤 사물의 위 부분을 가리켜 ‘위’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一부 총3획

활용 世上(세상) 水上(수상) 天上(천상)

下 아래


어떤 사물의 아래 부분을 가리켜 ‘아래’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一부 총3획

활용 下山(하산) 下流(하류) 地下(지하)

65
漢字 익히기 ②

左右(좌우) 왼쪽과 오른쪽.



무엇을 만들 때 왼손( )은 돕는 구실을 한다는 뜻에서


‘왼쪽’을 뜻하는 글자.

쓰기 工부 총5획

활용 左手(좌수) 左側(좌측) 左右(좌우)


오른쪽

음식을 먹으려고 입[口]에 오른손( )을 가져다 댄다


는 데에서 ‘오른쪽’을 뜻하는 글자.

쓰기 口부 총5획

활용 右手(우수) 右側(우측) 右邊(우변)

66
漢字 익히기 ③

內外(내외) 안과 밖.



집 안으로 들어가는 상태를 본떠 ‘안’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入부 총4획

활용 內部(내부) 內容(내용) 案內(안내)

外 바깥


갑골문에 ‘ ’의 형태로서 정해 놓은 경계선 밖으로 나간
것을 가리킨 것으로 뒤에 ‘外’의 자형으로 바뀐 글자.

쓰기 夕부 총5획

활용 外部(외부) 外交(외교) 屋外(옥외)

67
漢字 익히기 ④

出入(출입) 나가고 들어옴.



사람의 발이 문 또는 동굴 밖으로 향하여 나가는 모양


을 본뜬 글자.

쓰기 ⼐부 총5획

활용 出生(출생) 出身(출신) 支出(지출)

入 들

송곳의 형태를 본떠 ‘들어가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入부 총2획

활용 入門(입문) 入手(입수) 收入(수입)

68
漢字 익히기 ⑤

本末(본말) 근본과 끝.


근본

나무의 모양을 본뜨고, 뿌리가 되는 것을 부호로 가리


키어, 사물의 ‘근본’을 뜻하는 글자.

쓰기 ⽊부 총5획

활용 本來(본래) 敎本(교본) 根本(근본)

末 끝


나무의 모양을 본뜨고, 나무의 끝 부분을 부호로 가리
키어, 사물의 ‘끝’을 뜻하는 글자.

쓰기 ⽊부 총5획

활용 末日(말일) 年末(연말) 結末(결말)

69
6. 크기

漢字 살피기

크기를 나타내는 낱말인 대소(大小)는 ‘크


고 작음’을 뜻합니다. 다소(多少)는 ‘많고 적
음’을, 고저(高低)는 ‘높고 낮음’을 나타냅니
다. 또한 장단(長短)은 ‘길고 짧음’을, 강약
(强弱)은 ‘셈여림’을 나타내는 낱말입니다.

大小 대소. 多少 다소.
高低 고저. 長短 장단.
强弱 강약. 弱小 약소.
漢字 익히기 ①

大小(대소) 크고 작음.



본래 어른이 정면으로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것인데, 뒤


에 ‘크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大부 총3획

활용 大王(대왕) 大田(대전) 增大(증대)

小 작을


본래 빗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본뜬 것인데, 뒤에 ‘작다’
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小부 총3획

활용 小人(소인) 小數(소수) 最小(최소)

71
漢字 익히기 ②

多少(다소) 많고 적음.


많을

‘저녁 석(夕)’+‘저녁 석(夕)’의 글자로, 밤[夕]이 거듭되


면 지나온 세월이 거듭된다는 뜻에서 ‘많다’로 쓰인 글자.

쓰기 夕부 총6획

활용 多數(다수) 多大(다대) 最多(최다)

少 적을


‘작을 소(小)’+‘삐칠 별(丿)’의 자로, 작은[小] 것에서
다시 일부분을 덜어내어 양이 더 ‘적다’는 뜻의 글자.

쓰기 小부 총4획

활용 少年(소년) 少女(소녀) 年少(연소)

72
漢字 익히기 ③

高低(고저) 높고 낮음.


높을

높은 곳에 굴을 파고 지붕과 오르내리는 사다리를 그려


서 만든 글자.

쓰기 ⾼부 총10획

활용 高價(고가) 高度(고도) 最高(최고)

低 낮을
(人) + (氐)

‘사람 인(人)’+‘밑 저(氐)’의 자로, 사람이 땅을 향하여
굽혔을 때 키가 크지 않다는 데에서 나온 글자.

쓰기 ⼈부 총7획

활용 低價(저가) 低質(저질) 最低(최저)

73
漢字 익히기 ④

長短(장단) 길고 짧음.




머리털이 긴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가는 모습을 본떠
‘길다’, ‘어른’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長身(장신) 長刀(장도) 家長(가장)

短 짧을
(矢)+ (豆)

矢(화살 시)+豆(콩 두)의 자로, 작은 물건의 길이를 잴
때 쓰였던 화살보다 더 짧은 콩을 화살과 나란히 놓아
‘짧다’는 뜻의 글자.

쓰기 ⽮부 총12획

활용 短文(단문) 短刀(단도) 最短(최단)

74
漢字 익히기 ⑤

强弱(강약) 강하고 약함.


강할

‘넓을 홍(弘)’+‘벌레 충(虫)’의 자로, 본래 검은 색의 쌀


벌레의 뜻이지만, 뒤에 ‘강하다’의 뜻이 된 글자.

쓰기 ⼸부 총12획

활용 强力(강력) 强調(강조) 莫强(막강)

弱 약할


활[弓]이 휘도록 부드럽고, ‘彡(터럭 삼)’은 ‘약함’을
뜻하며, 약한 것을 두 개 겹쳐 더욱 ‘약하다’의 뜻을 나
타낸 글자.

쓰기 ⼸부 총10획

활용 弱小(약소) 弱者(약자) 病弱(병약)

75
7. 계절

漢字 살피기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합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을 한자어로 춘하추동
(春夏秋冬)이라고 합니다. 주야(晝夜)의 길
이가 같아지는 추분이 되면 조석(朝夕)으로
찬바람이 불고, 화초(花草)가 시들해집니다.

春夏 춘하. 秋冬 추동.
朝夕 조석. 晝夜 주야.
花草 화초. 秋夕 추석.
漢字 익히기 ①

春夏(춘하) 봄과 여름.



따뜻한 햇볕을 받아 풀싹이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쓰기 ⽇부 총9획

활용 春分(춘분) 春風(춘풍) 靑春(청춘)

夏 여름


본래 귀인의 모습을 본떠 ‘크다’의 뜻을 나타내었는데,
여름에 크게 자란다 해서 ‘여름’으로 뜻이 바뀐 글자.

쓰기 ⼢부 총10획

활용 夏至(하지) 夏季(하계) 立夏(입하)

77
漢字 익히기 ②

秋冬(추동) 가을과 겨울.


가을

메뚜기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나중에 메뚜기는 빠지고
‘벼화(禾)’자와 ‘불 화(火)’자가 합치어 ‘가을’을 뜻하게
된 글자.

쓰기 ⽲부 총9획

활용 秋分(추분) 秋夕(추석) 秋風(추풍)

冬 겨울


끈을 맺은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얼음을 뜻하는
‘冫(이수변)’이 더해져 ‘겨울’의 뜻으로 쓰이는 글자.

쓰기 ⼎부 총5획

활용 冬至(동지) 冬眠(동면) 冬服(동복)

78
漢字 익히기 ③

朝夕(조석) 아침과 저녁.


아침

해가 풀( )위로 떠오르는데 서쪽 하늘에는 달[月]이


아직 떠 있음을 ‘아침’이란 뜻으로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12획

활용 朝刊(조간) 朝食(조식) 王朝(왕조)

夕 저녁


초승달을 그려서 밤이 되기 전의 ‘저녁’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3획

활용 夕刊(석간) 夕陽(석양) 七夕(칠석)

79
漢字 익히기 ④

晝夜(주야) 낮과 밤.



‘그림 화(畫)’에서 한 획을 빼어 밤과 낮의 경계를 그린


다는 데에서 ‘晝’로 써서 ‘낮’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11획

활용 晝間(주간) 白晝(백주) 晝耕夜讀(주경야독)




‘또 역(亦)’에 ‘저녁 석(夕)’을 합하여, 달[ →夕]이 겨
드랑이[亦→腋(겨드랑이 액)의 본자] 밑에 있어 반만
보이면 어둡다는 데에서 ‘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夜間(야간) 夜光(야광) 晝夜(주야)

80
漢字 익히기 ⑤

花草(화초) 꽃이 피는 풀과 나무.




꽃 핀 모양( )과 于(우)의 소리를 더한 글자인데, 뒤에
빛나다의 뜻으로 쓰이게 되어, ‘花(꽃 화)’의 형태로 다
시 만든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花園(화원) 生花(생화) 造花(조화)

草 풀
(艸)+ (早)

‘艸’의 ‘艹’와 같이 쓰다가, ‘艹’에 ‘早(아침 조)’를 더하
여 ‘草’자가 된 것으로 ‘풀’을 뜻하는 글자.

쓰기 ⾋부 총10획

활용 草木(초목) 草原(초원) 藥草(약초)

81
8. 남녀

漢字 살피기

예로부터 남자(男子)와 여인(女人) 사이에


는 엄격한 구별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늘
날에는 男女 공용(共用)의 의복도 많고, 男女
간에 자유롭게 왕래(往來)하며, 학문을 닦고
견문(見聞)을 넓히는 일에 차별을 두지 않습
니다.

男子 남자. 女人 여인.
共用 공용. 往來 왕래.
見聞 견문. 男女 남녀.
漢字 익히기 ①

男子(남자) 남성으로 태어난 사람.


남자

본래 ‘밭(田:밭 전)’+‘쟁기( )’의 자인데, 뒤에 ‘ ’이 ‘力’
으로 변하여 밭에서 쟁기질하는 것이 ‘남자’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田부 총7획

활용 男女(남녀) 男性(남성) 美男(미남)

子 아들


포대기에 싸여서 두 팔만 흔들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본뜬 글자.

쓰기 子부 총3획

활용 子女(자녀) 女人(여인) 王子(왕자)

83
漢字 익히기 ②

女人(여인) 어른이 된 여자.

女 여자
녀(여)

두 손을 앞으로 모으고 얌전히 꿇어앉아 있는 여자의


모습을 본뜬 글자.

쓰기 女부 총3획

활용 女王(여왕) 王女(왕녀) 母女(모녀)

人 사람


본래 남자 어른의 옆모습을 본뜬 것인데, 뒤에 ‘사람’의
뜻으로 쓰인 글자.

쓰기 人부 총2획

활용 人生(인생) 人間(인간) 成人(성인)

84
漢字 익히기 ③

共用(공용) 함께 사용함.


한가지

본래 두 손( )으로 그릇( )을 들어 올리는 모양을


본떠 ‘함께’라는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쓰기 ⼋부 총6획

활용 共同(공동) 共生(공생) 共感(공감)

用 쓸


본래 종의 모양을 본 뜬 것인데, 뒤에 ‘쓰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쓰기 ⽤부 총5획

활용 用語(용어) 用法(용법) 使用(사용)

85
漢字 익히기 ④

往來(왕래) 가고 오고 함.




‘조금걸을 척(彳)’과 ‘임금 주(主)’로 만든 자이며, ‘主’는
곧 ‘그칠지(止)’와 ‘흙토(土)’의 자로 ‘땅위를 걷다’의 뜻
이므로 ‘가다’의 뜻이 된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往復(왕복) 往年(왕년) 來往(내왕)

來 올
래(내)

본래 보리의 모양을 그린 자인데, 봄에 뿌리가 말라죽지


않도록 밟아주고 와야 하기 때문에 ‘오다’의 뜻이 된 글자.

쓰기 ⼈부 총8획

활용 來日(내일) 來年(내년) 去來(거래)

86
漢字 익히기 ⑤

見聞(견문) 보고 들음.



바라보는 사람의 눈을 강조하여 본뜬 글자.

쓰기 ⾒부 총7획

활용 見學(견학) 意見(의견) 發見(발견)

聞 들을


귀(耳:귀 이)는 소리를 듣는 문(門:문 문)이라는 데에서
‘듣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쓰기 ⽿부 총14획

활용 新聞(신문) 所聞(소문) 聽聞會(청문회)

87
3 단계

1. 명절(名節) 名 節 寸數 衣 服 恩 惠 歲 拜 故 鄕 / 90
2. 친구(親舊) 親舊正直讓步善意競爭友愛 / 94
3. 독서(讀書) 讀 書 爲主 式 場 風 俗 童 詩 議 論 / 98
4. 탐구(探究) 製造探究受賞知識脫皮驚異 / 102
5. 예능(藝能) 現代展示思考作品興味藝能 / 106
6. 보전(保全) 連 休 溪谷 增 加 保 全 參 與 淸 潔 / 110
7. 농촌(農村) 農村田園訪問豊年協同米穀 / 114
8. 어촌(漁村) 遠洋漁船賣買活氣居住海流 / 118
9. 산촌(山村) 採 集 所得 不 便 植 樹 世 界 林 野 / 122
10. 여행(旅行) 姉 妹 觀 光 旅 行 乘 車 落 葉 景 致 / 126
1. 명절(名節)

漢字 살피기

오늘은 새해 첫 명절(名節)인 설날입니다.


할아버지께서는 집에 오신 친척들의 촌수
(寸數)를 알려 주셨습니다. 우리는 의복(衣
服)을 단정히 하고, 조상님의 은혜(恩惠)를
생각하며 차례를 지냈습니다. 세배(歲拜)가
끝나자, 어른들은 고향(故鄕) 이야기로 꽃을
피우셨습니다.

名節 명절. 寸數 촌수.
衣服 의복. 恩惠 은혜.
歲拜 세배. 故鄕 고향.
漢字 익히기 ①

名節(명절) 일정한 때 모여 즐기거나 쉬는 날.

名 어두운 저녁(夕:저녁 석)에는 볼 수 없으므로 입


(口:입 구)으로 부르는 것이 ‘이름’이라는 글자.

이름 명 활용 名物(명물) 名士(명사) 姓名(성명)

節 ‘대 죽(竹)’+‘나아갈 즉(卽)’의 자로, ‘대나무[竹]가


자라감[卽]에 따라 마디가 생긴다’를 뜻한 글자.

마디 절 활용 節電(절전) 節約(절약) 忠節(충절)

寸數(촌수) 친족 간의 멀고 가까운 관계.

‘손목에서 맥박이 뛰는 곳까지의 거리( )로 한

寸 치의 길이를 나타낸 것인데, 뒤에 마디의 뜻으로


쓰인 글자.

마디 촌 활용 寸評(촌평) 寸志(촌지) 三寸(삼촌)

본래 ‘끌 루(婁)’+ ‘칠 복(攴→攵)’의 자로 ‘셈하

數 다’의 뜻이다. ‘婁’는 ‘비다’의 뜻으로 마음속에


잡념이 없어야 정확히 셈할 수 있다는 뜻의 글자.

셈 수 활용 數學(수학) 數量(수량) 分數(분수)

91
漢字 익히기 ②

衣服(의복) 옷.

衣 저고리의 모양을 본떠 ‘옷’의 뜻을 나타낸 글자.

옷 의 활용 衣裳(의상) 上衣(상의) 下衣(하의)

본래 ‘배 주(舟)’에 ‘다스릴 복( )’을 합한 자로, 배

服 를 움직여 앞으로 나아가도록 다스리는 것을 뜻한


글자인데, 뒤에 ‘입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옷 복 활용 服裝(복장) 夏服(하복) 校服(교복)

恩惠(은혜) 자연이나 남에게서 받은 혜택.

恩 진실된 마음[心]으로 도와줌으로 인[因]해 보답


받게 된다는 데에서 ‘은혜’를 뜻하는 글자.

은혜 은 활용 恩功(은공) 恩人(은인) 報恩(보은)

惠 언행을 삼가하고 마음[心]을 어질게 베푼다는


데에서 ‘은혜’를 뜻하는 글자.

은혜 혜 활용 惠澤(혜택) 惠諒(혜량) 受惠(수혜)

92
漢字 익히기 ③

歲拜(세배) 정초에 새해를 맞아 하는 인사.

‘걸음 보(步)’+ ‘개 술(戌)’의 자(字)로, 한 해의

歲 처음을 나타내며 고유한 우리말의 ‘설, 살’과 ‘歲’


가 같은 어원의 글자.

해 세 활용 歲月(세월) 歲暮(세모) 年歲(연세)

拜 본래 손에 장대를 잡은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절하다’의 뜻으로 변한 글자.

절 배 활용 拜禮(배례) 禮拜(예배) 敬拜(경배)

故鄕(고향) 태어나서 자란 곳.

‘옛 고(古)’+‘칠 복(攵)’의 자(字)로, 옛일[古]의

故 그렇게 된 원인을 핍박[攵]하여 찾아낸다는 데


에서 ‘옛날’, ‘까닭’의 뜻이 된 글자.

옛 고 활용 故國(고국) 故事(고사) 故人(고인)

본래는 두 사람이 마주 보고 밥을 먹는 모습의

鄕 자(字)로, ‘대접하다’의 뜻으로 쓰이다가 뒤에


‘시골’의 뜻이 된 글자.

시골 향 활용 鄕土(향토) 鄕歌(향가) 他鄕(타향)

93
2. 친구(親舊)

漢字 살피기

누구에게나 친구(親舊)가 있습니다.


親舊와 사이좋게 지내려면 무엇보다 정직
(正直)한 태도와 서로 양보(讓步)하는 마음
이 필요합니다. 또한 친구끼리 선의(善意)의
경쟁(競爭)은 서로가 발전하고, 우애(友愛)
도 두터워지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親舊 친구. 正直 정직.
讓步 양보. 善意 선의.
競爭 경쟁. 友愛 우애.
漢字 익히기 ①

親舊(친구) 가깝게 오래 사귄 사람.

‘볼 견(見)’+‘쓸 신(辛)’의 자(字)로, 눈으로 본 곳

親 에 몸이 이르다[至]이었는데, 서로 접하면 친해
지므로 ‘친하다’의 뜻이 된 글자.

친할 친 활용 親家(친가) 親分(친분) 親知(친지)

머리에 털뿔이 나 있는 부엉이의 모양을 본뜬

舊 ‘萑’의 자형에 발음요소인 ‘臼(절구 구)’를 더한


자로, 뒤에 ‘오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예 구 활용 舊式(구식) 舊正(구정) 舊態(구태)

正直(정직) 바르고 곧음.

원래는 ’ 의 자형으로, 적의 성을 치러가는 것

正 을 나타낸 자(字)로, 적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에서 ‘바르다’로 쓰인 글자.

바를 정 활용 正門(정문) 正道(정도) 正答(정답)

갑골문(甲骨文)에 ‘ ’의 자형으로, 본래 눈의
直 시선이 똑 바로 보는 것을 나타낸 것인데, ‘곧다’
의 뜻이 된 글자.

곧을 직 활용 直角(직각) 直行(직행) 强直(강직)

95
漢字 익히기 ②

讓步(양보) 사양하여 남에게 미루어 줌.

‘말씀 언(言)’+‘도울 양(襄)’의 자(字)로, 원래는

讓 ‘말로 상대를 꾸짖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사양


하다’의 뜻이 된 글자.

사양할 양 활용 辭讓(사양) 分讓(분양) 讓渡(양도)

步 사람이 두 발로 걸어가는 것을 나타낸 글자. (‘步’


를‘ ’의 형태로 쓰면 안 됨.)

걸음 보 활용 步行(보행) 步道(보도) 初步(초보)

善意(선의) 좋은 뜻.

‘양 양(羊)’에 ‘다투어말할 경( )’을 합한 글자

善 로, 양처럼 따뜻하고 부드럽게 말하는 사람은


‘착하다’는 뜻의 글자.

착할 선 활용 善良(선량) 善行(선행) 最善(최선)

소리[音]를 듣고 마음[心]으로 뜻[意]을 안다고

意 해서 생긴 자(字)로, 마음[心]의 소리[音]가 곧


‘뜻[意]’이라고 생각하여 나타낸 글자.

뜻 의 활용 意圖(의도) 意志(의지) 好意(호의)

96
漢字 익히기 ③

競爭(경쟁) 이기거나 앞서려고 서로 겨룸.

2개의 ‘言’에 2개의 ‘人’이 합쳐진 자로, 본래 두

競 사람이 말다툼하는 것을 나타내어 ‘겨루다’로 쓰


인 글자.

다툴 경 활용 競技(경기) 競馬(경마) 競走(경주)

爭 두 사람이 물건을 서로 빼앗는 상태를 나타내어


‘다투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다툴 쟁 활용 爭取(쟁취) 言爭(언쟁) 戰爭(전쟁)

友愛(우애) 형제 사이 또는 친구 사이의 사랑.

友 원래 ‘ ’, ‘ ’ 등의 자형으로 볼 때, 손[又]을
맞잡고 있는 모습으로 ‘벗’을 뜻하는 글자.

벗 우 활용 友情(우정) 學友(학우) 級友(급우)

愛 다른 사람에게 마음[心]을 주는 것, 곧 은혜를


베푸는 것이 ‘사랑’이란 것을 뜻하는 글자.

사랑 애 활용 愛人(애인) 愛犬(애견) 母性愛(모성애)

97
3. 독서(讀書)

漢字 살피기

학교에서는 우리 독서(讀書) 동아리를 위


주(爲主)로 하여 전체 동아리 전시회를 개최
할 예정입니다. 전시회가 다가오자 모두들
식장(式場)을 꾸미느라 분주합니다. 우리는
풍속(風俗)을 주제로 동시(童詩)를 지어서
시화로 꾸민 작품을 전시하기로 의논(議論)
하였습니다.

讀書 독서. 爲主 위주.
式場 식장. 風俗 풍속.
童詩 동시. 議論 의논.
漢字 익히기 ①

讀書(독서) 글을 읽음.

‘말씀 언(言)’+‘팔 매(賣)’의 자로, 장사꾼이 물건

讀 을 팔기[賣] 위해서 외쳐대듯이 소리 내어[言]


책을 ‘읽다’의 뜻이 된 글자.

읽을 독 활용 讀後感(독후감) 讀者(독자) 多讀(다독)

‘붓 율(聿)’+ ‘가로 왈(曰)’의 자로, 말[曰]로 전

書 해져 내려오는 것을 붓[聿]으로 옮겨 쓴다는 데


서 ‘글’, ‘책’의 뜻이 된 글자. 다른 풀이도 있음.

글 서 활용 書堂(서당) 書庫(서고) 良書(양서)

爲主(위주) 으뜸으로 삼음, 주로 함.

본래 사람의 손으로 코끼리의 귀를 잡고 코끼리를

爲 부리는 뜻으로 ‘ , , ’의 형태로 그린 것인


데, ‘하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할 위 활용 行爲(행위) 所爲(소위) 當爲性(당위성)

主 본래 등잔불의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주인’


또는 ‘임금’의 뜻으로 쓰인 글자.

주인 주 활용 主人(주인) 主客(주객) 物主(물주)

99
漢字 익히기 ②

式場(식장) 식을 거행하는 장소.

‘弋(주살 익)’자는 본래 숫자를 표시한 산가지로

式 서, 만들 때는 자[工] 곧 법도의 표준을 따라 만


들기 때문에 ‘법’의 뜻을 나타낸 글자.

법 식 활용 式場(식장) 式順(식순) 儀式(의식)

‘흙 토(土)’+‘볕 양(昜)’의 자로, 햇빛[日]이 잘

場 들어오는 양지바른 땅[土]이란 데에서 ‘마당’을


뜻하는 글자.

마당 장 활용 場所(장소) 場面(장면) 市場(시장)

風俗(풍속) 옛날부터 전해 오는 생활 습관.

風 ‘凡(무릇 범)’+‘虫(벌레 충)’의 자로, 바람이 불면


벌레가 생긴다는 데에서 ‘바람’을 뜻하는 글자.

바람 풍 활용 風景(풍경) 風習(풍습) 美風(미풍)

‘사람 인(人)’+‘골 곡(谷)’의 자로, 한 고을[谷]에

俗 사는 사람[人]은 풍속이 같다하여 ‘풍속’을 뜻하


는 글자.

풍속 속 활용 俗談(속담) 俗說(속설) 民俗(민속)

100
漢字 익히기 ③

童詩(동시) 어린이를 위하여 지은 시.

‘辛’+‘重을 생략한 里’의 자로, 본래는 ‘죄로 인하

童 여 노예가 된 남자’로 쓰이다가, 뒤에 ‘아이’의 뜻


이 된 글자.

아이 동 활용 童心(동심) 童話(동화) 兒童(아동)

‘말씀 언(言)’+‘관청 시(寺)’의 자로, 마음에 있는

詩 뜻을 말[言]로 표현한 것이 ‘시’라는 뜻의 글자.


寺(관청 시)가 뒤에 寺(절 사)의 뜻으로도 쓰임.

시 시 활용 詩人(시인) 詩集(시집) 定型詩(정형시)

議論(의논) 의견을 주고받음.

議 ‘말씀 언(言)’+‘옳을 의(義)’의 자로, 사리의 옳음


[義]을 말[言]로써 ‘논하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의논 의 활용 議決(의결) 異議(이의) 會議(회의)

‘말씀 언(言)’+‘조리세울 륜(侖)’의 자로, 차례로

論 조리 있게 말한다[言]는 데에서 ‘의논하다’의 뜻


이 된 글자.

의논 론(논) 활용 論議(논의) 本論(본론) 結論(결론)

101
4. 탐구(探究)

漢字 살피기

여름방학동안 간이 물레방아를 고안하고


제조(製造)하여 과학 탐구(探究)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受賞)하였습니다. 探究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식(知識)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脫皮)하고 새롭게 알
게 된 사실에 대해 경이(驚異)로움을 느꼈습
니다.

製造 제조. 探究 탐구.
受賞 수상. 知識 지식.
脫皮 탈피. 驚異 경이.
漢字 익히기 ①

製造(제조) 만들어 냄.

‘지을 제(制)’+‘옷 의(衣)’의 자(字)로, 옷감을 치

製 수에 맞게 잘라서 옷[衣]을 만든다[制:지을 제]


는 데에서 ‘만들다’, ‘짓다’의 뜻이 된 글자.

지을 제 활용 製品(제품) 製作(제작) 製紙(제지)

‘쉬엄쉬엄갈 착(辶)’+‘알릴 고(告)’의 자로, 일을

造 이룬 것을 남에게 알리기[告] 위해 나간다[辶]


는 데에서 ‘짓다’, ‘만들다’의 뜻이 된 글자.

지을 조 활용 造成(조성) 改造(개조) 創造(창조)

探究(탐구) 진리를 깊이 파고들어 연구함.

探 ‘깊을 심( )’+ ‘손 수(扌)’의 자로, 손을 깊이 넣


어 끌어내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더듬을 탐 활용 探査(탐사) 探訪(탐방) 探險(탐험)

‘구멍 혈(穴)’+ ‘아홉 구(九)’의 자로, 굴(穴)의 밑

究 바닥까지 이르다에서 궁구(窮究)하다의 뜻을 나


타낸 글자.

연구할 구 활용 究明(구명) 硏究(연구) 學究的(학구적)

103
漢字 익히기 ②

受賞(수상) 상을 받음.

受 본래 제사를 지낼 때 제물을 담은 그릇을 서로


받들어 주고받는 모습을 그린 글자.

받을 수 활용 受講(수강) 受納(수납) 接受(접수)

‘조개 패(貝)’+‘오히려 상(尙)’의 자(字)로, 상을

賞 줄 때 돈[조개]을 주니까 패(貝)자를 취하여, ‘상


주다’의 뜻이 된 글자.

상줄 상 활용 賞金(상금) 賞品(상품) 施賞(시상)

知識(지식) 앎. 알아서 이해함.

知 어떤 일을 알리는 데에는 입[口]과 화살[矢]로


한다는 데에서 ‘알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알 지 활용 知人(지인) 知能(지능) 認知(인지)

‘말씀 언(言)’+‘戠’의 자(字)로, 어떤 일의 진위

識 여부를 알려면 마음의 소리[音]인 말[言]로써


안다는 데에서 ‘알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알 식 활용 識見(식견) 有識(유식) 學識(학식)

104
漢字 익히기 ③

脫皮(탈피) 가죽을 벗김. 어떤 처지에서 벗어남.

‘고기 육(月→肉)’+‘바꿀 태(兌)’의 자(字)로, 본

脫 래 뼈에서 살[肉]을 ‘벗기다’의 뜻이었는데, ‘벗


다’의 의미로 바뀐 글자.

벗을 탈 활용 脫衣(탈의) 脫水(탈수) 脫出(탈출)

皮 손[又]으로 뱀의 가죽을 벗기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

가죽 피 활용 皮膚(피부) 外皮(외피) 毛皮(모피)

驚異(경이) 놀랍고 신기하게 여김.

‘삼갈 경(敬)’+‘말 마(馬)’의 자(字)로, 말[馬]이

驚 경계[敬]를 한다는 데에서 ‘놀라다’의 뜻이 된


글자.

놀랄 경 활용 驚歎(경탄) 驚蟄(경칩) 警句(경구)

귀신 가면을 쓰고 춤을 추는 무당의 모습을 본뜬

異 글자로, ‘기이하다’의 의미에서 ‘다르다’의 뜻이


된 글자.

다를 이 활용 異意(이의) 異見(이견) 特異(특이)

105
5. 예능(藝能)

漢字 살피기

지난 주말에 아버지를 따라 현대(現代) 미


술전시(展示)회장에 갔습니다. 창의적인 사
고(思考)가 돋보이는 다양한 작품(作品)들은
나의 관심과 흥미(興味)를 끌었습니다. 미술
은 물론, 음악, 무용 등의 예능(藝能)은 우리
의 삶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가꾸어줍니다.

現代 현대. 展示 전시.
思考 사고. 作品 작품.
興味 흥미. 藝能 예능.
漢字 익히기 ①

現代(현대) 지금의 세대.

現 ‘구슬 옥(玉)’+ ‘볼 견(見)’의 자로, 본래 ‘옥빛’의


뜻이었는데, 뒤에 ‘나타나다’의 뜻으로 된 글자.

나타날 현 활용 現金(현금) 現在(현재) 出現(출현)

代 ‘사람 인(人)’+ ‘주살 익(弋)’의 자로, ‘앞뒤를 잇


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대신 대 활용 代身(대신) 年代(연대) 交代(교대)

展示(전시) 펼쳐 보임.

본래는 ‘尸(주검 시)’+‘ (가는 비단옷 전)의 생

展 략한 → 의 자로, ‘구르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펴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펼 전 활용 展開(전개) 展覽會(전람회) 發展(발전)

示 본래 제대를 세워 신(神)을 모신 형태( , )인


데, 뒤에 ‘ ’의 형태로 바뀐 글자.

보일 시 활용 示範(시범) 明示(명시) 指示(지시)

107
漢字 익히기 ②

思考(사고) 생각.

마음[心]먹은 바를 두뇌[囟]로 ‘생각한다’는 뜻

思 임. 지금은 ‘田’자의 형태로 쓰고 있으나, 본래는


‘囟’의 자형으로서 ‘정수리 신’을 뜻하는 글자.

생각 사 활용 思想(사상) 思春期(사춘기) 意思(의사)

‘耂’+ ‘ ’(巧의 古字)의 자로 ‘老(늙을 로)’와 통

考 하여 쓰이던 것이 뒤에 ‘살피다’의 뜻으로 변한


글자.

생각할 고 활용 考證(고증) 考慮(고려) 參考(참고)

作品(작품) 만든 물건.

본래 ‘ , ’의 형태로 옷을 만들다의 글자인데,

作 뒤에 ‘잠깐(乍:잠깐 사)’의 뜻으로 바뀌자, ‘亻’을


더하여 ‘作’으로 만든 글자.

지을 작 활용 作家(작가) 作曲(작곡) 名作(명작)

사람이 모여 말[口]하는 의견에 따라 좋고 나쁨

品 이 정해지는 물건이라는 데에서 ‘물건’을 뜻하는


글자.

물건 품 활용 賞品(상품) 食品(식품) 品目(품목)

108
漢字 익히기 ③

興味(흥미) 마음이 끌리는 느낌이나 관심.


본래 네 손으로 우물 틀을 드는 모양을 본뜬 상형
자( )인데, ‘일어나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일어날 흥 활용 興亡(흥망) 興行(흥행) 卽興(즉흥)

味 ‘입 구(口)’+‘아닐 미(未)’의 자(字)로, 사람이 입


[口]으로 맛을 알기 때문에 ‘맛’의 뜻이 된 글자.

맛 미 활용 味覺(미각) 口味(구미) 別味(별미)

藝能(예능) 재주와 기능. 예술과 관련된 능력.

‘풀 초(艹)’+‘심을 예(埶)’+‘이를 운(云)’의 자로,

藝 초목[艹]을 심을[埶]때는 기술이 필요하다[云]


는 데에서 ‘재주’의 뜻이 된 글자.

재주 예 활용 藝術(예술) 藝名(예명) 技藝(기예)

곰의 모양을 본뜬 글자( )로 곰이 재주를 잘 부

能 린다는 데에서 ‘능하다’, ‘잘하다’의 뜻으로 쓰이


는 글자.

능할 능 활용 能力(능력) 可能(가능) 本能(본능)

109
6. 보전(保全)

漢字 살피기

연휴(連休)를 맞아 많은 사람들이 산과 계
곡(溪谷)을 찾습니다. 날로 증가(增加)하는
등산객들이 버린 쓰레기로 산과 계곡이 몸살
을 앓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 환경을 보전(保
全)하는 운동에 적극 참여(參與)하여 자연을
보다 청결(淸潔)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나아
가면 좋겠습니다.

連休 연휴. 溪谷 계곡.
增加 증가. 保全 보전.
參與 참여. 淸潔 청결.
漢字 익히기 ①

連休(연휴) 계속하여 쉼.

連 수레[車]가 잇달아 줄지어 간다[辶]는 데에서


‘잇다르다’, ‘잇다’의 뜻이 된 글자.

이을 련(연) 활용 連結(연결) 連絡(연락) 連續(연속)

休 사람[人]이 나무[木] 그늘에서 쉰다는 데에서


‘쉬다’를 뜻하는 글자.

쉴 휴 활용 休日(휴일) 休校(휴교) 休業(휴업)

溪谷(계곡) 물이 흐르는 골짜기.

溪 ‘물 수(水)’+‘어찌 해(奚)’의 자(字)로, 산골짜기


를 흐르는 물, 곧 ‘시내’라는 뜻의 글자.

시내 계 활용 溪水(계수) 溪流(계류) 淸溪川(청계천)

谷 물[水]이 산과 산 사이의 어귀[口]로 지나가는


곳이라는 데에서 ‘골짜기’의 뜻이 된 글자.

골 곡 활용 谷風(곡풍) 谷泉(곡천) 大谷(대곡)

111
漢字 익히기 ②

增加(증가) 이전보다 더 늘어나거나 많아짐.

增 흙[土]을 거듭하여(曾:더할 증) 쌓아 올린다는


데에서 ‘더하다’의 뜻이 된 글자.

더할 증 활용 增産(증산) 增大(증대) 增進(증진)

‘힘 력(力)’+‘입 구(口)’의 자로, 말하는 입(口)으

加 로써 선악이 더해진다는 데서 ‘더하다’의 뜻이


된 글자.

더할 가 활용 加入(가입) 加算(가산) 追加(추가)

保全(보전) 온전하게 보호하여 유지함.

保 본래 ‘ ’의 자형으로 어른이 아기를 업고 보호한


다는 데서 ‘보전하다’의 뜻이 된 글자.

보전할 보 활용 保護(보호) 保溫(보온) 安保(안보)

‘入(들 입)’+‘구슬 옥(王→玉)’의 자로 옥(玉) 즉

全 보배는 잘 보관하여 손상되지 않게 해야 한다는


데에서 ‘온전’의 뜻으로 쓰인 글자.

온전 전 활용 全國(전국) 全身(전신) 安全(안전)

112
漢字 익히기 ③

參與(참여) 끼어들어 관계함.

본래 ‘ ’의 자형, 머리 위에 3개의 별을 그린 자
參 (字)로, 밝게 빛나는 별[晉星:진성]을 뜻하며 진
성은 세개의 별로 ‘셋’을 나타낸 글자.

참여할 참 활용 參席(참석) 參加(참가) 同參(동참)

與 서로 물건을 마주 드는[舁 : 마주들 여] 모습을


나타내어 ‘주다’, ‘더불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더불 여 활용 與論(여론) 與否(여부) 關與(관여)

淸潔(청결) 맑고 깨끗함.

‘물 수(水→氵)’+‘푸를 청(靑)’의 자(字)로, 푸르

淸 게 보이는 물이 맑고 깨끗하다는 데에서 ‘맑다’,


‘깨끗하다’를 뜻하는 글자.

맑을 청 활용 淸明(청명) 淸貧(청빈) 淸掃(청소)

‘물 수(氵)’+‘삼 한오리 결(絜)’의 자(字)로, 삼껍질

潔 묶음은 가지런하고 물로 씻어 깨끗해야 한다는


데에서 ‘깨끗하다’를 뜻하는 글자.

깨끗할 결 활용 潔白(결백) 純潔(순결) 簡潔(간결)

113
7. 농촌(農村)

漢字 살피기

농촌(農村)에서 전원(田園)생활을 하시는


삼촌댁을 방문(訪問)하였습니다. 올해는 농
사가 풍년(豊年)이라며 매우 좋아하셨습니
다. 농업 협동(協同) 조합에서는 농부들이 생
산한 미곡(米穀)을 제대로 판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農村 농촌. 田園 전원.
訪問 방문. 豊年 풍년.
協同 협동. 米穀 미곡.
漢字 익히기 ①

農村(농촌) 농사를 짓는 마을.

農 새벽 별[辰]을 보고, 들에 나가 일을 한다는 뜻으


로 밭에서 곡식을 가꾸는 ‘농사’를 뜻하는 글자.

농사 농 활용 農家(농가) 農土(농토) 歸農(귀농)

‘나무 목(木)’+‘마디 촌(寸)’의 자(字)이지만 본

村 래는 ‘ ’의 자형이며 ‘屯’(진칠 둔)+‘邑’(고을


읍)의 자(字)로 ‘시골집’, ‘마을’을 뜻하는 글자.

마을 촌 활용 村長(촌장) 村婦(촌부) 江村(강촌)

田園(전원) 논밭과 동산. 도시에서 떨어진 시골.

田 잘 정리된 밭을 위에서 본 모양을 본떠 ‘밭’의 뜻


이 된 글자.

밭 전 활용 田畓(전답) 油田(유전) 火田(화전)

園 과일이 주렁주렁 열린 나무들을 울타리로 둘러


싼 곳이라는 데에서 ‘동산’을 뜻하는 글자.

동산 원 활용 園藝(원예) 公園(공원) 庭園(정원)

115
漢字 익히기 ②

訪問(방문) 찾아가서 만나봄.

訪 ‘말씀 언(言)’+‘모서리 방(方)’의 자(字)로, 본뜻은


‘널리 꾀하다’인데, 뒤에 ‘찾아가다’의 뜻이 된 글자.

찾을 방 활용 訪問(방문) 探訪(탐방) 巡訪(순방)

問 ‘음을 나타내는 門(문 문)’+‘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의 자로 ‘묻다’의 뜻이 된 글자.

물을 문 활용 問題(문제) 問答(문답) 質問(질문)

豊年(풍년) 곡식이 잘 자라 수확이 많은 해.

본래 그릇[豆]에 수확물을 가득 담아 놓은 상태를

豊 가리킨 형태로 ‘풍성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정자는 ‘豐’임.

풍년 풍 활용 豊盛(풍성) 豊富(풍부) 大豊(대풍)

본래 ‘ ’의 자형으로 익은 벼를 지고 돌아오는

年 모습으로 풍년이 들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한


‘해’의 뜻으로 자형도 ‘年’으로 변한 글자.

해 년(연) 활용 年度(연도) 靑年(청년) 昨年(작년)

116
漢字 익히기 ③

協同(협동) 마음과 힘을 하나로 합함.

協 여러[十] 사람이 힘[力]을 모아 돕는다는 데에


서 ‘돕다’, ‘화합하다’의 뜻이 된 글자.

화합할 협 활용 協力(협력) 協心(협심) 妥協(타협)

‘凡[무릇 범]’+‘口[입 구]’의 자(字)로, ‘뜻을 하

同 나로 모으다’의 뜻에서 ‘한 가지’의 뜻으로 쓰인


글자.

한가지 동 활용 同一(동일) 同時(동시) 共同(공동)

米穀(미곡) 쌀. 쌀이나 여러 곡식.

낱알의 모양을 본떠 ‘ , ’와 같이 그린 것인

米 데, 뒤에 ‘米’의 모양이 되어 ‘쌀’의 뜻으로 쓰인


글자.

쌀 미 활용 米飮(미음) 白米(백미) 玄米(현미)

‘벼 화(禾)’+‘껍질 각( :발음요소)’의 자(字)로,

穀 곡물[禾]은 모두 껍질[ ]로 덮여 있다는 데에


서 ‘곡식’을 뜻하는 글자.

곡식 곡 활용 穀食(곡식) 穀類(곡류) 五穀(오곡)

117
8. 어촌(漁村)

漢字 살피기

먼 바다로 몇 달 동안 고기잡이를 나갔던


원양(遠洋) 어선(漁船)이 돌아오자, 근처 어
시장은 생선을 매매(賣買)하고 실어 나르는
사람들로 활기(活氣)가 넘칩니다. 漁村에 거
주(居住)하는 사람들은 날씨와 해류(海流)를
미리 알려 주는 일기예보를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遠洋 원양. 漁船 어선.
賣買 매매. 活氣 활기.
居住 거주. 海流 해류.
漢字 익히기 ①

遠洋(원양) 먼 바다.

‘쉬엄쉬엄 갈 착(辶)’에 ‘옷이 길 원(袁)’을 합한

遠 자(字)로, 걸어갈 길이 ‘멀다’는 뜻으로 쓰인 글


자.

멀 원 활용 遠大(원대) 遠近(원근) 永遠(영원)

洋 뜻을 나타내는 氵[물]와 음을 나타내는 羊(양)을


합해 ‘바다’를 뜻하는 글자.

바다 양 활용 太平洋(태평양) 大西洋(대서양)

漁船(어선) 고기잡이 배.

漁 ‘물 수(氵)’에 ‘물고기 어(魚)’를 합한 자(字)로,


‘물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쓰인 글자.

고기잡을 어 활용 漁業(어업) 漁場(어장) 漁夫(어부)

‘배 주(舟)’에 ‘산속 늪 연( )’을 합한 자(字)로,

船 물 흐름에 따라 다니는 ‘배’를 뜻하며, 舟보다 큰


배를 의미하는 글자.

배 선 활용 船員(선원) 船長(선장) 宇宙船(우주선)

119
漢字 익히기 ②

賣買(매매) 팔고 삼.

賣 본래는 ‘날 출(出)’+‘살 매(買)’의 자(字)로, ‘사


다’의 반대인 ‘팔다’를 뜻하는 글자.

팔 매 활용 賣出(매출) 販賣(판매) 急賣(급매)

‘그물 망(网→罒)’+‘조개 패(貝)의 자(字)로, ‘물

買 건을 망라하여 바꾸다’의 뜻을 나타내었는데, 뒤


에 ‘사다’의 뜻이 된 글자.

살 매 활용 買食(매식) 買入(매입) 不買(불매)

活氣(활기) 활발한 기운.

‘물 수(氵)’+‘혀 설(舌)’의 자(字)로, 본래는 ‘ ’

活 의 자형으로 물이 콸콸 흐르는 소리를 나타내며,


‘살다’의 뜻으로 쓰이는 글자.

살 활 활용 活動(활동) 活用(활용) 生活(생활)

원래 ‘ ’의 자형으로 손님에게 대접하는 ‘쌀’의

氣 뜻으로 만든 글자인데, 뒤에 ‘기운’의 뜻이 된 글


자.

기운 기 활용 氣力(기력) 氣運(기운) 感氣(감기)

120
漢字 익히기 ③

居住(거주) 머물러 삶.

사람이 구부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몸 시( →

居 尸)’+‘옛 고(古)’의 자(字)로, ‘다리를 펴고 앉는


다’는 데에서 ‘살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살 거 활용 居室(거실) 居處(거처) 同居(동거)

‘사람 인(亻)’+‘주인 주(主)’의 자(字)로, 등잔의

住 심지를 밝혀[主] 사람을 머물게 하는 것을 나타


내어 ‘머물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살 주 활용 住宅(주택) 住所(주소) 常住(상주)

海流(해류) 바닷물의 흐름.

‘물 수(氵)’+‘매양 매(每)’의 자(字)로, 모든[每]

海 강물[氵]이 다 모이는 곳이 ‘바다’라는 뜻으로


쓰인 글자.

바다 해 활용 海女(해녀) 海外(해외) 東海(동해)

流 ‘물 수(氵)’+‘깃발 류( )’의 자(字)로, 깃발이 날


리듯이 물[水]이 ‘흐르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흐를 류(유) 활용 流行(유행) 流出(유출) 上流(상류)

121
9. 산촌(山村)

漢字 살피기

산촌에서는 산에서 나는 약초를 채집(採


集)하고 버섯을 재배하여 소득(所得)을 올립
니다. 공기와 경치는 좋지만 생활이 불편(不
便)한 점도 있습니다. 원대리 자작나무숲은
꾸준히 식수(植樹)하고 가꾸어 지금은 세계
(世界)에서 손꼽히는 아름다운 임야(林野)가
되었습니다.

採集 채집. 所得 소득.
不便 불편. 植樹 식수.
世界 세계. 林野 임야.
漢字 익히기 ①

採集(채집) 캐거나 찾아서 모음.

손[扌]으로 나무뿌리[木]를 캔다는 뜻으로 ‘采

採 (캘 채)’를 만든 것인데, 뒤에 풍채, 빛깔 등의 뜻


으로 쓰이게 되어 扌(手:손 수)를 더한 글자.

캘 채 활용 採取(채취) 採擇(채택) 採用(채용)

集 나무[木] 위에 새[隹:새 추]가 떼 지어 앉아 있다


는 데에서 ‘모이다’, ‘모으다’를 뜻하는 글자.

모을 집 활용 集中(집중) 集合(집합) 收集(수집)

所得(소득) 일한 결과로 얻은 이익.

所 본래는 도끼로 나무를 베는 소리를 나타낸 글자


인데, 뒤에 처소의 뜻으로 쓰인 글자.

바 소 활용 所有(소유) 所信(소신) 場所(장소)

원래 ‘ ’의 자형으로, 사람이 찾아가서[彳:조금

得 걸을 척] 손[寸]으로 돈[貝(조개 패)→旦]을 줍


는 모습에서 ‘얻다’를 뜻한 글자.

얻을 득 활용 得失(득실) 利得(이득) 說得(설득)

123
漢字 익히기 ②

不便(불편) 편리하지 아니함.

不 새가 하늘[一] 높이 날아가 보이지 않다는 데에


서 ‘아니다’를 뜻하는 글자.

아닐 불(부) 활용 不幸(불행) 不孝(불효) 不正(부정)

便 사람[亻]은 불편한 점이 있으면 다시 고쳐서[更]


편리하게 한다는 데에서 ‘편하다’를 뜻하는 글자.

편할 편 활용 便安(편안) 便利(편리) 便宜店(편의점)

植樹(식수) 나무를 심음.

‘나무 목(木)’+‘곧을 직(直)’의 자(字)로, 본래는

植 대문을 잠그기 위하여 옆에 꽂아 세웠던 곧은 나


무의 뜻이었는데, 뒤에 ‘심다’의 뜻이 된 글자.

심을 식 활용 植木(식목) 植栽(식재) 植生(식생)

樹 나무를 심을 때는 반드시 세워서 심어야 한다는


데에서 ‘나무’를 뜻하는 글자.

나무 수 활용 樹木(수목) 樹液(수액) 果樹園(과수원)

124
漢字 익히기 ③

世界(세계) 세상의 모든 지역. 지구상의 모든 나라.

世 나무줄기에 잎이 많음을 본떠 한 세대의 뜻을 나


타낸다는 데에서 ‘대’, ‘세상’, ‘인간’을 뜻하는 글자.

인간 세 활용 世上(세상) 世俗(세속) 俗世(속세)

界 밭과 밭 사이에 끼어 있는 곳이 밭을 나누는 경계
라는 데에서 ‘지경’의 뜻을 나타낸 글자.

지경 계 활용 各界(각계) 境界(경계) 世界(세계)

林野(임야) 숲과 들.

林 나무[木]가 여러 그루 자라는 곳, ‘숲’을 나타낸


글자.

수풀 림(임) 활용 林業(임업) 山林(산림) 森林(삼림)

본래 ‘ ’의 형태로 나무를 취하는 곳이란 뜻임.

野 뒤에 ‘마을 리(里)’+‘줄 여(予)’로 변하여, ‘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들 야 활용 野生(야생) 野外(야외) 平野(평야)

125
10. 여행(旅行)

漢字 살피기

우리 자매(姊妹)는 강원도 설악산으로 관


광(觀光) 여행(旅行)을 떠났습니다. 고속버
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에 승차(乘車)
하여 한참을 달려 목적지에 도착하였습니다.
우리는 오솔길에 수북이 깔린 낙엽(落葉)을
밟으며 아름다운 가을 경치(景致)를 만끽하
였습니다.

姊妹 자매. 觀光 관광.
旅行 여행. 乘車 승차.
落葉 낙엽. 景致 경치.
漢字 익히기 ①

姊妹(자매) 언니와 여동생.

‘女’+‘ ’의 자(字)로, ‘ ’는 발음을 나타내며,

姊 ‘손윗누이’의 뜻으로 쓰인 글자.(‘姉’는 ‘姊’의 속


자임.)

손윗누이 자 활용 姊兄(자형) 兄弟姊妹(형제자매)

‘계집 녀(女)’+‘아닐 미(未)’의 자(字)로, 철이 나

妹 지 않은[未] 여자[女] 아이라는 데에서 ‘손아래


누이’의 뜻으로 쓰인 글자.

누이 매 활용 妹兄(매형) 妹夫(매부) 男妹(남매)

觀光(관광) 다른 곳의 풍경이나 문물을 구경함.

‘황새 관(雚)’+‘볼 견(見)’의 자(字)로, 황새[雚]가

觀 먹이를 찾아 자세히 본다[見]는 데에서 ‘보다’,


‘관찰하다’의 뜻이 된 글자.

볼 관 활용 觀衆(관중) 觀察(관찰) 壯觀(장관)

원래 여자가 聖火(성화)를 머리에 이고 가서 신

光 전에 바치는 모습을 본뜬 것인데, 뒤에 ‘빛’의 뜻


이 된 글자.

빛 광 활용 光明(광명) 光景(광경) 榮光(영광)

127
漢字 익히기 ②

旅行(여행) 다른 고장이나 외국에 감.

본래 ‘ ’의 자형으로 깃발( ) 밑에 사람들(

旅 → )이 행군하는 모습, 500명의 군집단을 뜻함.


뒤에 여행자를 뜻한 글자.

나그네 려(여) 활용 旅客(여객) 旅券(여권) 旅館(여관)

行 본래 ‘ ’의 자형으로 사람이 다니는 네거리를


본떠 ‘가다’, ‘다니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갈 행 활용 行動(행동) 行人(행인) 銀行(은행)

乘車(승차) 차에 탐.

본래 사람이 다리를 벌리고 나무 위에 있는 상태

乘 를 그리어 ‘ , , ’의 형태로 ‘오르다’의 뜻을


표시한 것인데, ‘乘’자로 변형된 글자.

탈 승 활용 乘客(승객) 乘馬(승마) 便乘(편승)

車 본래 수레의 두 바퀴 모양을 본뜬 것( )인데, 뒤


에 한 바퀴로 생략된 글자.

수레 거(차) 활용 車費(차비) 車道(차도) 自轉車(자전거)

128
漢字 익히기 ③

落葉(낙엽) 떨어진 나뭇잎.

‘풀 초(艹)’+‘물 락(洛)’의 자(字)로 본뜻은 나뭇

落 잎이 ‘시들다’ 였으나, 뒤에 ‘떨어지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떨어질 락(낙) 활용 落下(낙하) 當落(당락) 下落(하락)

葉 ‘풀 초(艹)’+‘엷은 엽( )’의 자(字)로 초목에 달


려 있는 ‘잎사귀’를 뜻하는 글자.

잎 엽 활용 葉綠素(엽록소) 葉茶(엽차) 枯葉(고엽)

景致(경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日’+‘京’의 자(字)로, 해가 나면 물체의 그림자

景 가 생기므로 본래는 ‘그림자’의 뜻이었는데, 뒤


에 ‘볕’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볕 경 활용 景觀(경관) 光景(광경) 夜景(야경)

致 목적에 도달하도록[至] 채찍질하여[攵] 성취하


게 한다는 데에서 ‘이르다’를 뜻하는 글자.

이를 치 활용 致命傷(치명상) 致死量(치사량) 一致(일치)

129
4 단계

1. 애국(愛國) 國 軍 忠誠 精 神 推 仰 戰 線 將 兵 / 132
2. 역사(歷史) 歷史最初遺産革命苦難感謝 / 136
3. 우주(宇宙) 表 面 着陸 宇 宙 念 願 太 陽 永 久 / 140
4. 영재(英才) 假 想 解決 妙 案 英 才 養 成 改 良 / 144
5. 특허(特許) 有益原料權利特許申請開閉 / 148
6. 방송(放送) 新 婚 夫婦 放 送 對 談 美 德 電 波 / 152
7. 정보(情報) 急變各種情報廣告過去重要 / 156
8. 통신(通信) 移 動 通信 勤 務 效 果 取 材 選 擧 / 160
9. 시민(市民) 勇敢市民順序禁止尊貴存在 / 164
10. 시간(時間) 應 試 始終 時 間 打 鐘 課 題 復 習 / 168
11. 소질(素質) 個 別 素質 適 性 熱 烈 眞 價 幸 福 / 172
12. 졸업(卒業) 卒 業 賀客 祝 歌 進 路 希 望 首 席 / 176
1. 애국(愛國)

漢字 살피기

10월 1일은 국군(國軍)의 날입니다. 이 날


은 전쟁터에서 목숨을 바친 용감한 군인들의
愛國心과 충성(忠誠)심 그리고 불굴의 전투
정신(精神)을 추앙(推仰)하는 날입니다. 불
철주야 전선(戰線)에서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애쓰는 장병(將兵)들의 노고를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國軍 국군. 忠誠 충성.
精神 정신. 推仰 추앙.
戰線 전선. 將兵 장병.
漢字 익히기 ①

國軍(국군) 나라의 군사.

본래 창( )으로 성(囗)을 지키는 것으로써 나라

國 의 뜻을 나타낸 글자( )인데, 뒤에 ‘國’의 자형


으로 바뀐 글자.

나라 국 활용 國家(국가) 國語(국어) 母國(모국)

‘집 면(宀)’+‘수레 거(車)’의 자로, 집[宀] 밑에

軍 병사와 수레가 머물고 있다는 데에서 ‘병영’, ‘군


사’를 뜻하는 글자.

군사 군 활용 軍歌(군가) 軍士(군사) 我軍(아군)

忠誠(충성) 마음에서 우러나는 정성.

忠 ‘가운데 중(中)’+‘마음 심(心)’의 자로, 편파되지


않은 정직한 마음, 곧 ‘충성’을 뜻하는 글자.

충성 충 활용 忠告(충고) 忠孝(충효) 忠臣(충신)

‘말씀 언(言)’+‘이룰 성(成)’의 자로, 말과 행동이

誠 일치하도록 이루어낸다는 데에서 ‘정성’을 뜻하


는 글자.

정성 성 활용 誠實(성실) 誠金(성금) 精誠(정성)

133
漢字 익히기 ②

精神(정신) 영혼이나 마음. 마음의 자세나 태도.

쌀[米]을 푸른[靑] 빛이 나도록 깨끗하게 찧어

精 ‘정미하다’의 의미로 ‘정하다, 깨끗하다’를 뜻하


는 글자.

정할 정 활용 精進(정진) 精氣(정기) 精讀(정독)

‘보일 시(示)’+‘펼 신(申)’의 자(字)로, ‘申’은 본래

神 ‘번개’ 모양이며 번개는 신의 조화로 보아 신을


뜻하는 시(示)를 더하여 ‘귀신’을 뜻하는 글자.

귀신 신 활용 神童(신동) 神聖(신성) 神仙(신선)

推仰(추앙) 높이 받들어 우러러 봄.

推 새가 날아가듯이 손으로 밀어서 사물을 옮긴다


는 데에서 ‘밀다’를 뜻하는 글자.

밀 추 활용 推理(추리) 推論(추론) 推進(추진)

仰 높은 사람[亻]을 무릎을 꿇고 쳐다본다[卬]는


데에서 ‘우러르다’를 뜻하는 글자.

우러를 앙 활용 仰望(앙망) 崇仰(숭앙) 信仰(신앙)

134
漢字 익히기 ③

戰線(전선) 전투가 벌어지는 지역을 연결한 선.

‘창 과(戈)’+‘홑 단(單)’의 자(字)로, 창을 들고 적과

戰 싸우다의 뜻. 單은 大(큰 대)의 뜻으로 곧 대형


무기로 ‘싸우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싸움 전 활용 戰爭(전쟁) 戰功(전공) 休戰(휴전)

線 깊은 산의 샘물[泉]이 실[糸:실 사]처럼 끊이지


않고 흘러간다는 데에서 ‘줄’의 뜻이 된 글자.

줄 선 활용 線分(선분) 光線(광선) 曲線(곡선)

將兵(장병) 장수와 병사.

‘寸’+ ‘ ’의 자로, ‘장수’를 뜻하며 ‘寸’은 곧 법도

將 로서 법도가 있은 뒤에 병졸을 통솔할 수 있다는


뜻을 가진 글자.

장수 장 활용 將軍(장군) 將星(장성) 大將(대장)

원래 ‘ ’의 형태로, 두 손으로 자귀(도끼와 비슷

兵 한 연장)를 잡은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병사’


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군사 병 활용 兵力(병력) 兵法(병법) 士兵(사병)

135
2. 역사(歷史)

漢字 살피기

오천년 기나긴 우리의 역사(歷史)를 되새


겨봅니다. 세계 최초(最初) 금속활자 발명,
한글 창제는 자랑스러운 민족의 유산(遺産)
입니다. 임진왜란, 동학 혁명(革命) 등 고난
(苦難) 속에서도 굳건히 나라를 지켜낸 조상
들에 대한 감사(感謝)의 마음에 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歷史 역사. 最初 최초.
遺産 유산. 革命 혁명.
苦難 고난. 感謝 감사.
漢字 익히기 ①

歷史(역사) 인류 사회의 변화 과정이나 기록.

歷 긴 세월에 걸쳐 사람들이 걸어온 발자취[止]를


기록한다는 데에서 ‘지내다’의 뜻이 된 글자.

지낼 력(역) 활용 陽曆(양력) 陰曆(음력) 來歷(내력)


‘가운데 중(中)’에 ‘오른손 우( →又)’를 합친 자

史 (字)로, 中은 ‘바름’을 나타내며 손[又]에 붓을


들어 사실을 바르게[中] ‘기록하는 사람’을 뜻하
는 글자.
사기 사 활용 史官(사관) 史記(사기) 國史(국사)

最初(최초) 가장 처음.

어려움을 무릅쓰고[ ;모자 모, 冒(무릅쓸 모)

最 를 생략한 것] 취(取)해야 최고가 된다는 뜻에서


뒤에 ‘가장’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가장 최 활용 最高(최고) 最上(최상) 最惡(최악)

천을 잘라[刀] 마름질하는 것이 옷[衤]을 만드

初 는 처음 작업이라는 데에서 ‘처음’을 뜻하는 글


자.

처음 초 활용 初期(초기) 始初(시초) 正初(정초)

137
漢字 익히기 ②

遺産(유산) 남겨진 재산.

‘쉬엄쉬엄 갈 착(辶)’+‘귀할 귀(貴)’의 자(字)로,

遺 본래 ‘망설이다’의 뜻이었는데, ‘남기다’의 뜻으


로 쓰이게 된 글자.

남길 유 활용 遺跡(유적) 遺物(유물) 遺作(유작)

産 ‘선비 언( )+‘날 생(生)’의 자(字)로, 아이를 ‘낳


다’를 뜻하는 글자.

낳을 산 활용 産母(산모) 出産(출산) 生産(생산)

革命(혁명) 나라의 법, 제도를 크게 고치는 일.

革 원래 ‘ ’의 자형으로, 짐승[ ]의 가죽을 벗겨 두


손[ ]으로 털을 뽑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

가죽 혁 활용 革新(혁신) 改革(개혁) 變革(변혁)

‘명령 령(令)’+‘입 구(口)’의 자(字)로, 문서로 내리

命 는 명령은 ‘令’, 구두 명령은 ‘命’이나, 지금은 같이


쓰이고, 나아가 ‘생명’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목숨 명 활용 命令(명령) 生命(생명) 短命(단명)

138
漢字 익히기 ③

苦難(고난) 괴로움과 어려움.

‘풀 초(艹)’+‘옛 고(古)’의 자(字)로, ‘대고(大苦)’

苦 라는 매우 쓴 약초의 이름인데, ‘쓰다’, ‘괴롭다’


를 뜻하는 글자.

쓸 고 활용 苦生(고생) 苦樂(고락) 刻苦(각고)

‘새 추(隹)’와 ‘탄식할 탄(嘆)’의 모양인 ‘ ’의 형

難 성자(形聲字)로, 원래 ‘금빛 날개의 새’의 뜻이었


는데, 뒤에 ‘어렵다’의 뜻이 된 글자.

어려울 난 활용 難易(난이) 國難(국난) 非難(비난)

感謝(감사) 고맙게 여김.

‘마음 심(心)’+‘같다 함(咸)’의 자(字)로, 남을 공

感 감하게 하려면 다 같이[咸] 마음[心]으로 느껴야


한다는 의미에서 ‘느끼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느낄 감 활용 感動(감동) 感情(감정) 五感(오감)

‘말씀 언(言)’+‘쏠 사(射)’의 자(字)로, 본래 화살

謝 이 줄을 떠나듯이 ‘이별을 고하고 떠나다’의 뜻


이었는데, 뒤에 ‘사례하다’의 뜻이 된 글자.

사례할 사 활용 謝過(사과) 謝絶(사절) 謝禮(사례)

139
3. 우주(宇宙)

漢字 살피기

아폴로 우주선이 최초로 달 표면(表面)에


착륙(着陸)한 일은 인류가 꿈꾸어온 우주(宇宙)
여행의 염원(念願)을 이루어줄 충격적이고
가슴 벅찬 소식이었습니다. 지금도 과학자들
은 태양(太陽)을 중심으로 영구(永久)적으로
돌고 있는 여러 행성들을 꾸준히 탐사하고
있습니다.

表面 표면. 着陸 착륙.
宇宙 우주. 念願 염원.
太陽 태양. 永久 영구.
漢字 익히기 ①

表面(표면) 겉으로 나타나는 부분이나 면.

表 털옷은 그 털이 겉으로 나왔다는 데에서 ‘겉’을


뜻하는 글자.

겉 표 활용 表情(표정) 表出(표출) 代表(대표)

面 본래 얼굴에 쓴 가면의 모양을 본 뜬 글자인데,


뒤에 ‘얼굴’의 뜻이 된 글자.

낯 면 활용 面目(면목) 面談(면담) 外面(외면)

着陸(착륙) 땅 위에 내림.

‘着’의 본자(本字)는 ‘著’이다. ‘풀 초(艹)’+‘놈 자

着 (者)’의 자(字)로, 본래 ‘밝다’는 뜻이었는데, 뒤


에 ‘붙다’, ‘닿다’의 뜻이 된 글자.

닿을 착 활용 着地(착지) 着手(착수) 到着(도착)

陸 ‘언덕 부(阝=阜)’와 ‘언덕 륙(坴)’의 형성자(形聲


字)로 높고 평평한 ‘땅’을 뜻하는 글자.

뭍 륙(육) 활용 陸地(육지) 陸上(육상) 內陸(내륙)

141
漢字 익히기 ②

宇宙(우주) 끝없는 시간과 공간 전체.

宇 ‘집 면(宀)’+‘어조사 우(于)’의 자(字)로, ‘공간의


집’을 뜻하는 글자.

집 우 활용 宇宙(우주) 宇宙船(우주선)

宙 ‘집 면(宀)’+‘말미암을 유(由)’의 자(字)로, ‘시간


의 집’을 뜻하는 글자.

집 주 활용 宇宙(우주) 宇宙人(우주인)

念願(염원) 간절히 생각하고 바람.

‘이제 금(今)’+‘마음 심(心)’의 자(字)로, 지금

念 [今] 마음[心]에 있다는 데에서 ‘생각하다’의 뜻


이 된 글자.

생각 념(염) 활용 念頭(염두) 信念(신념) 理念(이념)

‘머리 혈(頁)’+‘근원 원(原)’의 자(字)로, 소망하는

願 바가 있으면 높은 언덕[原]에 올라가 머리[頁]를


굽혀 빈다는 데에서 ‘원하다’의 뜻이 된 글자.

원할 원 활용 所願(소원) 志願(지원) 自願(자원)

142
漢字 익히기 ③

太陽(태양) 매우 밝은 빛을 내는 별. 해.

본래 사람의 발이 진흙물에 빠져있는 모습을 가

太 리킨 지사자( )로 미끄럽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크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클 태 활용 太洋(태양) 太初(태초) 太子(태자)

‘언덕 부(阜 =阝)’+‘볕 양(昜)’의 자(字)로, 햇빛

陽 [日]이 잘 비치는 산언덕[阝]이 ‘양지’란 뜻을


나타낸 글자.

볕 양 활용 陽地(양지) 夕陽(석양) 陰陽(음양)

永久(영구) 영원히 오래 지속됨.

원래 ‘ ’, ‘ , , ’ 등의 자형으로 사람이 헤

永 엄치는 것을 나타낸 회의자(會意字)로, 뒤에 물


줄기가 ‘길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길 영 활용 永生(영생) 永住(영주) 永遠(영원)

사람의 다리를 뒤에서 끈으로 잡아 당겨 앞으로

久 빨리 갈 수 없는 모양에서 시간이 오래 걸림을 가


리키어 ‘ ’와 같이 쓴 것인데, 뒤에 ‘久’가 된 글자.

오랠 구 활용 長久(장구) 恒久(항구) 持久力(지구력)

143
4. 영재(英才)

漢字 살피기

요즘 가상(假想) 공간에서의 정보 전쟁이


날로 극심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해
결(解決)의 묘안(妙案)을 이야기해 봅시다.
컴퓨터 관련 재능이 뛰어난 정보 영재(英才)
들을 전문가로 양성(養成)하여 컴퓨터의 성
능을 획기적으로 개량(改良)하는 방안은 어
떨까요?

假想 가상. 解決 해결.
妙案 묘안. 英才 영재.
養成 양성. 改良 개량.
漢字 익히기 ①

假想(가상) 사실이라고 가정하여 생각함.

‘사람 인(人)’+‘빌릴 가(叚)’의 자이나, 본래는

假 ‘叚(빌릴 가)’로서 빌린 것은 진짜 내 것이 아니
므로 ‘거짓’의 뜻으로 쓰인 글자.

거짓 가 활용 假面(가면) 假定(가정) 眞假(진가)

‘마음 심(心)’+‘서로 상(相)’의 자로, ‘相’에는 ‘자

想 세히 살펴보다’의 뜻이 있으므로 세어보고 ‘생각


하다’의 뜻이 된 글자.

생각 상 활용 思想(사상) 着想(착상) 回想(회상)

解決(해결) 풀어서 잘 처리함.

解 칼[刀]로 소[牛]의 뿔[角]을 빼고, 가죽을 벗긴


다는 데에서 ‘가르다’, ‘풀다’의 뜻이 된 글자.

풀 해 활용 解消(해소) 理解(이해) 和解(화해)

‘물 수(氵)’+‘결단할 쾌(夬)’의 자(字)로, 홍수의

決 범람을 막기 위해 상류 둑을 끊어 터놓는다는 데
에서 ‘끊다’, ‘결단하다’의 뜻이 된 글자.

결단할 결 활용 決心(결심) 決定(결정) 完決(완결)

145
漢字 익히기 ②

妙案(묘안) 뛰어나게 좋은 생각.

‘여자 녀(女)’+‘젊을 소(少)’의 자(字)로, 여자는

妙 젊어야 아름답고 ‘묘하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묘할 묘 활용 妙策(묘책) 妙味(묘미) 絶妙(절묘)

案 글을 쓰고 읽는 데 편안하도록[安] 나무[木]로
만든 물건이라는 데에서 ‘책상’을 뜻하는 글자.

책상 안 활용 法案(법안) 答案(답안) 敎案(교안)

英才(영재)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

‘풀 초(艹)’+‘가운데 앙(央)’의 자(字)로, 풀의 한

英 가운데[央]에 활짝 핀 ‘꽃송이’, ‘꽃부리’를 뜻하


는 글자.

꽃부리 영 활용 英雄(영웅) 英國(영국) 英語(영어)

원래 식물의 싹이 흙 속에서 처음 돋아나는 모양

才 을 나타낸 것인데, 뒤에 ‘재주’, ‘재능’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재주 재 활용 才能(재능) 才致(재치) 天才(천재)

146
漢字 익히기 ③

養成(양성) 길러서 무엇이 이루어지게 함.

‘양 양(羊)’+‘밥 식(食)’의 자(字)로, 기름진 음식

養 을 만들어 양처럼 유순하게 ‘봉양한다’를 뜻하는


글자.

기를 양 활용 養育(양육) 養分(양분) 入養(입양)

成 본래 도끼로 나무토막을 쪼개는 모양을 본뜬 것


인데, 뒤에 ‘이루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이룰 성 활용 成立(성립) 成功(성공) 達成(달성)

改良(개량) 고쳐서 좋게 함.

改 자기[己]의 잘못을 질책하여 바로잡는다는 데에


서 ‘고치다’를 뜻하는 글자.

고칠 개 활용 改善(개선) 改名(개명) 改造(개조)

‘量[헤아릴 량]’의 고자(古字)로서 도량형기의

良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어질다’의 뜻으로 쓰


이게 된 글자.

좋을 량(양) 활용 良心(양심) 不良(불량) 善良(선량)

147
5. 특허(特許)

漢字 살피기

아버지께서 근무하시는 회사에서 인체에


유익(有益)한 곰팡이를 원료(原料)로 약품을
개발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은 개발에 대한 권
리(權利)를 인정받기 위해 특허(特許)를 신
청(申請)하였습니다. 이웃 회사의 사장님도
자동 개폐(開閉)장치를 만들어 特許를 申請
하셨다고 합니다.

有益 유익. 原料 원료.
權利 권리. 特許 특허.
申請 신청. 開閉 개폐.
漢字 익히기 ①

有益(유익) 이익이 있음.

오른손 우[ → ]에 고기 육(肉)을 합한 자

有 (字)로, 고기를 손에 쥐고 있는 모습을 그려 ‘있


다’, ‘가지다’의 뜻이 된 글자.

있을 유 활용 有能(유능) 有力(유력) 有識(유식)

원래 그릇의 물이 넘쳐흐르는 것을 나타낸 자

益 (字)로, 뒤에 ‘더하다’, ‘이롭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더할 익 활용 公益(공익) 國益(국익) 利益(이익)

原料(원료) 바탕이 되는 재료.

原 바위 언덕을 나타낸 ‘厂(언덕 한)’에 ‘泉(샘 천)’


을 더한 것으로 ‘근원’과 ‘언덕’을 뜻하는 글자.

언덕 원 활용 原木(원목) 原則(원칙) 平原(평원)

‘쌀 미(米)’에 ‘말 두(斗)’를 합한 자(字)로, 화폐

料 가 없던 시대에 말[斗]을 가지고 쌀[米]을 센다


하여 ‘헤아리다’의 뜻이 된 글자.

헤아릴 료(요) 활용 料理(요리) 料金(요금) 材料(재료)

149
漢字 익히기 ②

權利(권리) 권세와 이익.

‘나무 목(木)’+‘황새 관(雚)’의 자(字)로, 본래 황

權 색 꽃이 피는 ‘나무’의 뜻이었는데, 뒤에 ‘저울


추’, ‘권세’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권세 권 활용 權威(권위) 權勢(권세) 人權(인권)

‘벼 화(禾)’+‘칼 도(刂)’의 자(字)로, 본래 날카로운

利 도구로 곡식[禾]을 ‘경작하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이롭다’, ‘날카롭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이로울 리(이) 활용 有利(유리) 勝利(승리) 利益(이익)

特許(특허) 권리를 갖도록 특별히 허락함.

‘소 우(牛)’+‘절 사(寺)’의 자(字)로, ‘寺(사)’는 본래

特 관청의 뜻으로 일반 집과는 다르듯이 소[牛]는 크


고 씩씩하다는 뜻에서 ‘특별하다’의 뜻이 된 글자.

특별할 특 활용 特徵(특징) 特別(특별) 獨特(독특)

‘말씀 언(言)’+‘낮 오(午)’의 자(字)로, ‘午’에는

許 관통의 뜻이 있어 피차의 뜻이 통한다는 데에서


취한 것으로, ‘허락하다’를 뜻하는 글자.

허락 허 활용 許容(허용) 許可(허가) 不許(불허)

150
漢字 익히기 ③

申請(신청) 신고하여 요청함.

본래 ‘ ’의 자형으로 구름과 구름 사이에 번개가

申 번쩍이는 것을 본뜬 글자인데, 뒤에 ‘펴다, 원숭


이 띠’의 뜻으로 쓰인 글자.

알릴 신 활용 申告(신고) 上申(상신) 甲申(갑신)

請 ‘말씀 언(言)’+‘푸를 청(靑)’의 자(字)로, 말로 ‘부


탁하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청할 청 활용 請求(청구) 招請(초청) 自請(자청)

開閉(개폐) 열고 닫음.

開 문(門) 안에서 빗장[一]을 두 손[廾]으로 밀어


문을 ‘열다’를 뜻하는 글자.

열 개 활용 開校(개교) 開學(개학) 開花(개화)

閉 문(門)에 빗장[才]을 걸었다는 데서 ‘닫다’를 뜻


하는 글자.

닫을 폐 활용 閉門(폐문) 閉業(폐업) 密閉(밀폐)

151
6. 방송(放送)

漢字 살피기

신혼(新婚) 부부(夫婦)와 이야기를 나누는


방송(放送) 프로그램을 보았습니다. 放送에
출연하여 대담(對談)을 나누는 부부들은 아
이를 출산한 후 아이 이름으로 생애 첫 기부
를 할 계획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이러한 미
덕(美德)은 전파(電波)를 타고 전국으로 퍼
져 나갔습니다.

新婚 신혼. 夫婦 부부.
放送 방송. 對談 대담.
美德 미덕. 電波 전파.
漢字 익히기 ①

新婚(신혼) 갓 결혼함.

나무[木]를 자귀[斤]로 잘라 땔나무를 취하다의

新 뜻이었는데, 뒤에 ‘새 것’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


자.

새 신 활용 新聞(신문) 新年(신년) 新式(신식)

‘여자 녀(女)’+‘저물 혼(昏)’의 자(字)로, 옛날에

婚 는 신랑이 신부[女]의 집으로 가서 저녁[昏] 무


렵에 결혼하다는 데에서 ‘혼인’의 뜻이 된 글자.

혼인 혼 활용 婚姻(혼인) 婚禮(혼례) 結婚(결혼)

夫婦(부부) 남편과 아내.

옛날 지아비(장부)가 20살이 되면 머리를 틀어 묶

夫 고 관을 썼던 모습을 본떠 ‘ , , ’와 같이 그
려, 뒤에 ‘夫’가 되었으며 ‘지아비’의 뜻이 된 글자.

지아비 부 활용 鑛夫(광부) 農夫(농부) 大丈夫(대장부)

‘여자 녀(女)’+‘비 추(帚)’의 자(字)로, 빗자루

婦 [帚]를 들고 집안을 청소하는 여자[女]가 ‘아


내’, ‘며느리’라는 뜻의 글자.

부인 부 활용 婦人(부인) 婦女子(부녀자) 新婦(신부)

153
漢字 익히기 ②

放送(방송) 음성, 영상을 전파로 내보내는 일.

‘칠 복(攵)’+‘모서리 방(方)’의 자(字)로, 옛날에

放 신하가 죄를 지으면 먼 지방[方]으로 ‘쫓아내다


[放逐]’의 뜻이었는데, ‘놓다’의 뜻으로도 쓰인
글자.
놓을 방 활용 放學(방학) 放心(방심) 開放(개방)

‘전송하다[ ]’에 ‘쉬엄쉬엄 갈 착(辶)’을 합한

送 글자로, 시집 갈 때 사람을 ‘따라 보내다’에서 ‘보


내다’의 뜻으로 쓰이게 된 글자.

보낼 송 활용 送出(송출) 送信(송신) 移送(이송)

對談(대담) 마주하고 이야기함.

본래 ‘ ’의 자형으로 손[ →寸]에 홀( : 業의

對 약자)을 들고 임금의 명을 받아 쓴데서 ‘대하다’


의 뜻이 된 글자.

대할 대 활용 對話(대화) 對外(대외) 反對(반대)

‘말씀 언(言)’+‘맑을 담(淡)의 氵를 생략’하여 합

談 친 형성자(形聲字)로, 물처럼 맑은 ‘말’이라는 뜻


의 글자.

말씀 담 활용 談笑(담소) 俗談(속담) 會談(회담)

154
漢字 익히기 ③

美德(미덕) 아름답고 갸륵한 덕행.

‘양 양(羊)’+‘큰 대(大)’의 자로, 양(羊)이 크면 살

美 지면서도 고기가 맛이 있다는 데에서 ‘달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아름답다’의 뜻이 된 글자.

아름다울 미 활용 美女(미녀) 美術(미술) 美容(미용)

본래는 ‘直(직)’+‘心(심)’의 ‘悳’자로 곧은 마음

德 에서 ‘덕’의 뜻을 나타낸 것인데, 뒤에 ‘彳(조금


걸을 척)’이 더해진 글자.

덕 덕 활용 德目(덕목) 德行(덕행) 人德(인덕)

電波(전파) 전류가 사방으로 퍼져가는 전기 흐름.

電 비(雨:비 우)가 올 때 번개( :번개 전)가 번쩍번


쩍 빛이 난다는 데에서 ‘번개’를 뜻하는 글자.

번개 전 활용 電氣(전기) 電力(전력) 電車(전차)

波 바람이 불어 물[氵] 표면[皮:가죽 피]에 물결이


이는 모습에서 ‘물결’의 뜻이 된 글자.

물결 파 활용 波長(파장) 波及(파급) 音波(음파)

155
7. 정보(情報)

漢字 살피기

급변(急變)하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각종


(各種) 정보(情報)의 홍수 속에 살고 있으며,
넘쳐나는 광고(廣告) 속에서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아무리 사회가 急變한다 해도
과거(過去) 우리 조상들이 지켜온 중요(重要)한
삶의 가치관은 흔들림 없이 잘 지켜가야 할
것입니다.

急變 급변. 各種 각종.
情報 정보. 廣告 광고.
過去 과거. 重要 중요.
漢字 익히기 ①

急變(급변) 갑자기 변함.

‘미칠 급( →及)’과 ‘마음 심(心)’의 형성자(形聲

急 字)로, 본래는 ‘작은 옷’의 뜻이었는데, 쫓기는[及]


마음[心]이라는 데에서 ‘급하다’의 뜻이 된 글자.

급할 급 활용 急求(급구) 急行(급행) 急造(급조)

‘말잇대일 련( )’과 ‘칠 복(攴)’의 형성자(形聲

變 字)로, ‘쳐서[攴] 이어지도록[ ]하다’의 뜻이


었는데, 뒤에 ‘고치다’, ‘변하다’의 뜻이 된 글자.

변할 변 활용 變化(변화) 變更(변경) 變數(변수)

各種(각종) 여러 종류.

各 사람들의 말이 나중에 온 사람과 먼저 온 사람이


서로 다르다는 의미에서 ‘각각’을 뜻하는 글자.

각각 각 활용 各各(각각) 各自(각자) 各國(각국)

‘벼 화(禾)’와 ‘무거울 중(重)’의 형성자(形聲字)로,

種 본래 먼저 심고 늦게 익는 벼의 일종을 가리킨 것
인데, ‘곡식의 씨앗을 심다, 종자’의 뜻이 된 글자.

씨 종 활용 種目(종목) 品種(품종) 人種(인종)

157
漢字 익히기 ②

情報(정보) 사정을 알림. 알아낸 자료.

‘마음 심(忄)’+‘푸를 청(靑)’의 자(字)로, 사람의

情 마음[心]에서 맑고 푸른[靑] 하늘처럼 선명하게


우러나오는 인간의 ‘본성’, ‘뜻’을 의미하는 글자.

뜻 정 활용 感情(감정) 母情(모정) 友情(우정)

‘놀랄 녑(羍)’+ ‘다스릴 복( )’의 자로, 곧 죄인을

報 처단한다는 뜻이었는데, 뒤에 ‘갚다’, ‘알리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갚을 보 활용 報道(보도) 報告(보고) 通報(통보)

廣告(광고) 사람들에게 널리 알림.

廣 ‘바윗집 엄(广)’+‘누를 황(黃)’의 자로, ‘집이 넓


다’를 뜻하는 글자.

넓을 광 활용 廣告(광고) 廣大(광대) 廣場(광장)

‘소 우(牛)’+‘입 구(口)’의 자로, 소는 비록 입으

告 로 말은 못하나, 뿔로 대신하여 의사를 전한다는


뜻에서 ‘알리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고할 고 활용 告白(고백) 公告(공고) 忠告(충고)

158
漢字 익히기 ③

過去(과거) 이미 지나간 때.

‘소용돌이 와( )’와 ‘쉬엄쉬엄 갈 착(辶)’의 형

過 성자(形聲字)로, ‘물을 건너다’에서 ‘지나다’를


뜻하며 ‘허물’의 뜻으로도 쓰이는 글자.

지날 과 활용 過大(과대) 過食(과식) 過失(과실)

去 ‘去’자는 원래 ‘ ’의 형태로, 사람이 문턱을 나가


는 상태를 본뜬 글자.

갈 거 활용 去來(거래) 收去(수거) 除去(제거)

重要(중요) 귀중하고 요긴함.

사람[ ]이 흙더미[土]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重 땅위에 있으면 땅이 두터움을 알게 되므로 ‘두텁


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무겁다’의 뜻이 된 글자.

무거울 중 활용 重大(중대) 重力(중력) 所重(소중)

원래 ‘ ’[깍지 낄 국]과 ‘ →交’의 자로, 두 손을

要 허리에 붙인 모양을 본떠 ‘허리’의 뜻을 나타낸


글자인데, 뒤에 ‘중요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요긴할 요 활용 要求(요구) 要所(요소) 必要(필요)

159
8. 통신(通信)

漢字 살피기

이동(移動) 통신(通信)의 발달은 근무(勤務)


의 형태를 바꾸어 놓고 있습니다. 회사에 출
근하는 대신 집에서 勤務하며 더 좋은 효과
(效果)를 내기도 하고, 발 빠른 취재(取材)로
실시간으로 선거(選擧) 결과를 방송하는 등
通信 분야 산업이 눈부시게 발달하고 있습니다.

移動 이동. 通信 통신.
勤務 근무. 效果 효과.
取材 취재. 選擧 선거.
漢字 익히기 ①

移動(이동) 옮겨 움직임.

‘벼 화(禾)’+‘많을 다(多)’의 자(字)로, 벼를 모자

移 리에서 옮기어야 더 많이(多) 수확한다는 뜻에서


‘옮기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옮길 이 활용 移動(이동) 移民(이민) 移住(이주)

‘무거울 중(重)’+‘힘 력(力)’의 자(字)로, 무거운

動 [重] 것을 들 때는 힘[力]을 다해야 움직일 수


있다는 데에서, ‘움직이다’를 뜻하는 글자.

움직일 동 활용 動力(동력) 動物(동물) 動作(동작)

通信(통신) 우편이나 전화로 의사를 전달함.

‘쉬엄쉬엄갈 착(辶)’+‘골목길 용(甬)’의 자(字)로,

通 ‘甬’은 ‘물이 거침없이 솟다’의 뜻으로 장애 없이


‘통행하다’의 뜻이 된 글자.

통할 통 활용 通達(통달) 通行(통행) 交通(교통)

‘사람 인(人)’+‘말씀 언(言)’의 자(字)로, 사람

信 [人]이 하는 말[言]은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에서 ‘믿다’의 뜻이 된 글자.

믿을 신 활용 信念(신념) 信用(신용) 交信(교신)

161
漢字 익히기 ②

勤務(근무) 부지런히 맡은 일을 함.

‘진흙 근(堇)’+‘힘 력(力)’의 자(字)로, 어려움을

勤 이겨내며 전력을 다하여 일을 한다는 데에서 ‘부


지런하다’의 뜻이 된 글자.

부지런할 근 활용 勤勉(근면) 缺勤(결근) 退勤(퇴근)

‘창 모(矛)’+‘굳셀 무( )’의 자(字)로, 창[矛]을

務 손에 들고[攵] 매우 힘[力]쓴다는 데에서 ‘힘쓰


다’의 뜻이 된 글자.

힘쓸 무 활용 公務(공무) 義務(의무) 責務(책무)

效果(효과) 보람이 있는 결과.

‘칠 복(攴)’+‘사귈 교(交)’의 자(字)로, 서로 비슷

效 하도록 치다[攴]에서 ‘모방’의 뜻임. ‘交’는 두 다


리를 꼬다에서 서로 합치다의 뜻으로 취한 글자.

본받을 효 활용 效果(효과) 效力(효력) 無效(무효)

‘木(나무 목)’에 열매를 표시한 ‘ ’의 부호를 더

果 하여 ‘ , ’와 같이 나타낸 것으로 ‘실과’의 뜻


이 된 글자.

실과 과 활용 果實(과실) 果肉(과육) 結果(결과)

162
漢字 익히기 ③

取材(취재) 필요한 자료를 조사하여 얻음.

‘귀 이(耳)’에 ‘또 우(又;본래 오른손의 상형자)’

取 를 합한 글자로, 죄인의 왼쪽 귀를 벤다는 뜻인


데, ‘거두다’, ‘가지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가질 취 활용 取得(취득) 取消(취소) 先取(선취)

材 ‘나무 목(木)’+‘재주 재(才)’의 자(字)로, ‘재목’의


뜻이 된 글자.

재목 재 활용 材料(재료) 材木(재목) 石材(석재)

選擧(선거) 대표를 투표 등의 방법으로 가려 뽑음.

‘쉬엄쉬엄 갈 착(辶)’+‘유순할 손(巽)’의 자(字)

選 로, 제사를 지낼 유순한 사람을 골라 ‘가리다’의


뜻이 된 글자.

가릴 선 활용 選定(선정) 選好(선호) 本選(본선)

‘더불 여(與)’+‘손 수(手)’의 자(字)로, 여럿이 더

擧 불어[與] 마음을 합하여 일제히 손[手]으로 ‘든


다’의 뜻이 된 글자.

들 거 활용 擧名(거명) 列擧(열거) 大擧(대거)

163
9. 시민(市民)

漢字 살피기

오늘 아침 뉴스에 용감(勇敢)한 시민(市民)


을 소개하는 순서(順序)가 있었습니다. 위험
한 현장 접근 금지(禁止)구역에 뛰어들어 사
경을 헤매던 아이를 구한 그 市民은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의 생명은 가장 존귀(尊貴)한
존재(存在)’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勇敢 용감. 市民 시민.
順序 순서. 禁止 금지.
尊貴 존귀. 存在 존재.
漢字 익히기 ①

勇敢(용감) 용기 있고 씩씩함.

‘물 솟을 용(甬)’+‘힘 력(力)’의 자(字)로, 힘[力]

勇 이 용솟음[甬] 쳐서 행동이 ‘날쌔고 용감하다’는


뜻이 된 글자.

날쌜 용 활용 勇士(용사) 勇氣(용기) 勇猛(용맹)

敢 남이 가진 무기나 물건을 쟁취함에 있어서 앞으


로 나아가 ‘용감하게 취하다’를 뜻하는 글자.

감히 감 활용 敢行(감행) 敢鬪(감투) 果敢(과감)

市民(시민) 그 시에 사는 사람.

교외에 울타리를 치고 물건을 사고파는 사람이

市 모이는 곳을 나타내어 ‘저자’ 곧 ‘시장’의 뜻이 된


글자.

저자 시 활용 市場(시장) 市內(시내) 都市(도시)

본래 풀싹의 모양을 그린 것인데, 뭇 백성이 임금

民 에 대하여 순종함을 풀싹들에 비유하여 ‘백성’이


란 뜻으로 쓰인 글자.

백성 민 활용 民主(민주) 民俗(민속) 國民(국민)

165
漢字 익히기 ②

順序(순서) 차례.

사람의 얼굴[頁:머리 혈]에 七情(칠정)이 물줄기

順 [川:내 천]가 흘러가듯이 잘 나타나기 때문에


‘순리’, ‘순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순할 순 활용 順理(순리) 順風(순풍) 溫順(온순)

‘집 엄(广)’+‘줄 여(予)’의 자(字)로, 안채와 사랑채

序 에 쌓은 담을 뜻한 것인데, 구별을 주어[予] 담[广]


을 순서대로 쌓는다는 데에서 ‘차례’의 뜻이 된 글자.

차례 서 활용 序列(서열) 序曲(서곡) 秩序(질서)

禁止(금지) 발길을 금함.

울창한 숲[林]에 귀신[示]을 모시는 곳으로, 이

禁 런 곳에 가기를 꺼린다는 뜻에서 ‘금지(禁止)한


다’는 뜻으로 쓰인 글자.

금할 금 활용 禁忌(금기) 禁食(금식) 嚴禁(엄금)

‘止’자는 원래 ‘ ’의 형태로, 땅위에 서 있는 발

止 의 모습을 본뜬 것인데, 뒤에 ‘그치다’의 뜻으로


바뀐 글자.

그칠 지 활용 止血(지혈) 防止(방지) 停止(정지)

166
漢字 익히기 ③

尊貴(존귀) 높고 귀함.

두 손으로 받쳐 드는 ‘술항아리’를 나타낸 자(字)로,

尊 신에게 바치는 술항아리를 들고 갈 때는 존경하는 마


음이 있어야 하므로 ‘높다, 존경하다’의 뜻이 된 글자.

높을 존 활용 尊敬(존경) 尊嚴(존엄) 尊重(존중)

‘蕢[풀그릇 귀]’의 고자(古字)인 ‘ ’와 ‘조개 패

貴 (貝)’의 형성자로, ‘물가가 비싸다’의 뜻이었는


데, 뒤에 ‘귀하다’의 뜻이 된 글자.

귀할 귀 활용 貴人(귀인) 貴重(귀중) 高貴(고귀)

存在(존재) 실제로 있음.

‘아들 자(子)’와 ‘재주 재(才)’의 본의는 풀싹의 뜻

存 으로 약한 풀싹과 아이는 잘 보살펴야 하므로 ‘위


문하다’의 뜻이었는데, 뒤에 ‘있다’의 뜻이 된 글자.

있을 존 활용 生存(생존) 共存(공존) 常存(상존)

재주 재[ →才:발음요소]에, 만물이 존재하는

在 곳이 흙이므로 흙 토(土)자를 더하여 ‘있다’의 뜻


이 된 글자.

있을 재 활용 在學(재학) 實在(실재) 現在(현재)

167
10. 시간(時間)

漢字 살피기

한국사 시험에 응시(應試)하여 주말에 시험


을 보았습니다. 시험 시종(始終) 시간(時間)이
매우 엄격하여 종료를 알리는 타종(打鐘)과
함께 답안지를 일제히 제출했습니다. 그동안
시험과 관련된 과제(課題)를 복습(復習)하면
서 한국사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應試 응시. 始終 시종.
時間 시간. 打鐘 타종.
課題 과제. 復習 복습.
漢字 익히기 ①

應試(응시) 시험에 응함.

‘마음 심(心)’+‘매 응( )’의 자(字)로, 매는 떼를

應 지어 사는 철새로서 날 때는 서로 질서를 지켜야


하므로 ‘응하다’의 뜻이 된 글자.

응할 응 활용 應答(응답) 反應(반응) 對應(대응)

試 ‘말씀 언(言)’+‘법 식(式)’의 자(字)로, 법도로써


‘시험하다’의 뜻이 된 글자.

시험 시 활용 試圖(시도) 試食(시식) 入試(입시)

始終(시종) 시작과 끝.

‘여자 녀(女)’+‘기쁠 이(怡)’의 ‘台’를 합한 자(字)

始 로, 생명체의 시작은 어머니[女]로서 만물의 ‘시


작’이 된다는 뜻의 글자.

비로소 시 활용 始作(시작) 始初(시초) 始動(시동)

본래는 끈의 끝을 맺은 것( )으로 어떤 일의 끝

終 남을 나타냈던 상형자인데, 뒤에 糸(실 사)를 더


하여 ‘終’의 자형으로 만든 글자.

마침 종 활용 終末(종말) 終點(종점) 終決(종결)

169
漢字 익히기 ③

時間(시간) 어떤 일을 하기로 정하여진 동안.

‘날 일(日)’+‘관청 시(寺)’의 자(字)로, 관청이 잘

時 드러나듯이 사계절의 변화도 잘 나타나므로 ‘사


계절’의 뜻에서 ‘때’의 뜻이 된 글자.

때 시 활용 時計(시계) 時速(시속) 日時(일시)

본래 ‘문 문(門)’에 ‘달 월(月)’을 합한 자(字)로, 문

間 (門) 틈으로 달빛[月]이 스며든다 하여 ‘사이’의 뜻


을 나타내었는데, 뒤에 ‘月’이 ‘日’자로 바뀐 글자.

사이 간 활용 間食(간식) 間奏(간주) 年間(연간)

打鐘(타종) 종을 침.

‘손 수(扌)’+‘못 정(丁)’의 자(字)로, 손으로 사물

打 을 치면 ‘뎡뎡’ 소리가 나기 때문에 발음요소 ‘丁’


을 취하여 ‘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칠 타 활용 打者(타자) 打席(타석) 强打(강타)

‘쇠 금(金)’+‘아이 동(童 : 발음요소)’의 자(字)로,

鐘 쳐서 ‘동동’ 소리를 내는 종으로 ‘쇠북’의 뜻을 나


타내는 글자.

쇠북 종 활용 鐘閣(종각) 銅鐘(동종) 招人鐘(초인종)

170
漢字 익히기 ③

課題(과제) 주어진 임무나 문제.

‘말씀 언(言)’+‘실과 과(果)’의 자(字)로, 물어서

課 [言] 그 실력을 ‘시험하다’와 세금을 ‘매기다, 부


과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매길 과 활용 課外(과외) 課題物(과제물) 放課(방과)

‘머리 혈(頁)’+‘바를 시(是)’의 자(字)로, 본래는

題 얼굴의 ‘이마[頁]’의 뜻이었는데, 뒤에 ‘제목’의


뜻이 된 글자.

제목 제 활용 題目(제목) 問題(문제) 宿題(숙제)

復習(복습) 다시 익힘.

‘조금걸을 척(彳)’+‘돌아갈 복(复)’의 자(字)로,

復 갔던[彳] 길을 돌아온다[复]로 ‘거듭’, ‘돌아오


다’를 뜻하는 글자.

돌아올 복 활용 反復(반복) 回復(회복) 往復(왕복)

본래 ‘깃 우(羽)’에 ‘날 일(日)’을 합한 자(字)로, 매

習 일 쉬지 않고 나는 것을 습득한다는 데에서 ‘익히다’


의 뜻을 나타내며, 뒤에 ‘日’이 ‘白’자로 변한 글자.

익힐 습 활용 習得(습득) 練習(연습) 自習(자습)

171
11. 소질(素質)

漢字 살피기

사람은 개별(個別)적으로 각각 특성이 다


릅니다. 저마다의 소질(素質)과 적성(適性)
에 알맞은 진로를 선택하면 더욱 열렬(熱烈)
하게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자신의
특기와 강점을 살려 그 진가(眞價)를 발휘하
면 보다 더 행복(幸福)한 삶을 살 수 있게
됩니다.

個別 개별. 素質 소질.
適性 적성. 熱烈 열렬.
眞價 진가. 幸福 행복.
漢字 익히기 ①

個別(개별) 하나씩 따로따로 나뉘어 있는 상태.

‘사람 인(人)’+‘굳을 고(固)’의 자(字)로, 사람이

個 가장 헤아리기 쉬우므로 양(量)을 헤아리는 단위


로 쓰인 글자.

낱 개 활용 個數(개수) 個性(개성) 別個(별개)

‘살바를 과( )’+‘칼 도(刂)’의 자(字)로, 칼[刂]

別 로 나누어 구별한다는 데에서 ‘나누다’ 또는 ‘다


르다’를 뜻하는 글자.

다를 별 활용 別名(별명) 特別(특별) 分別(분별)

素質(소질) 본래 가지고 있는 성질이나 능력.

‘실 사(糸)’+‘드리울 수(垂)’의 변형자로, 본래

素 ‘흰 색의 고운 비단’의 뜻이었는데, 뒤에 ‘바탕,


희다, 소박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본디 소 활용 素朴(소박) 平素(평소) 簡素(간소)

‘조개 패(貝)’+‘모탕 은(斦)’의 자(字)로, 재물

質 [貝]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바탕이 된다는 데에


서 ‘바탕’을 뜻하는 글자.

바탕 질 활용 質量(질량) 實質(실질) 體質(체질)

173
漢字 익히기 ②

適性(적성) 어떤 일에 알맞은 성질이나 능력.

適 ‘쉬엄쉬엄갈 착(辶)’+‘다만 시(啻)’의 형성자로,


‘가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알맞을 적 활용 適當(적당) 適合(적합) 適用(적용)

‘마음 심(心→忄)’+‘날 생(生)’의 자(字)로 사람

性 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마음이라는 데에


서 ‘성품’을 뜻하는 글자.

성품 성 활용 性格(성격) 性品(성품) 食性(식성)

熱烈(열렬) 어떤 일에 대한 애정이 뜨겁고 세참.

‘불 화(火→灬)’+‘심을 예(埶)’의 자(字)로, 열은

熱 모두 불로 인해 발생되고 땅에 심은 식물은 열로
생장하기 때문에 ‘덥다’의 뜻이 된 글자.

더울 열 활용 熱氣(열기) 熱帶(열대) 加熱(가열)

‘벌릴 렬(列)’+‘불 화(火→灬)’의 자(字)로, 불꽃

烈 이 많이 번져 불길이 세다는 데에서 ‘세차다, 맹


렬하다’의 뜻이 된 글자.

세찰 렬(열) 활용 烈士(열사) 强烈(강렬) 貞烈(정렬)

174
漢字 익히기 ③

眞價(진가) 참된 가치.

도를 닦아 신선으로 변하여 구름을 타고 하늘로

眞 올라간, 도를 깨우친 참된 사람이란 데에서 ‘참


되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참 진 활용 眞理(진리) 眞心(진심) 眞實(진실)

‘사람 인(亻)’+‘장사 고(賈)’의 자(字)로, 사람들

價 이 사고 팔 때 물건의 가치를 정하기 때문에 ‘값’


의 뜻이 된 글자.

값 가 활용 價格(가격) 價値(가치) 定價(정가)

幸福(행복) 흐뭇한 기분이나 상태.

‘ ’의 자형으로 ‘夭(일찍죽을 요)’+‘ (거스릴

幸 역)’의 자인데, ‘夭死(요사)’의 반대[ ]는 ‘다행’


이라는 뜻의 글자.

다행 행 활용 幸運(행운) 多幸(다행) 不幸(불행)

‘볼 시(示)’+‘찰 복( )’의 자(字)로, 술이 든 항아

福 리[ ]를 신[示]에게 바치며 소원을 빌어 바라


는 바를 얻는다는 데에서 ‘복’의 뜻이 된 글자.

복 복 활용 祝福(축복) 五福(오복) 食福(식복)

175
12. 졸업(卒業)

漢字 살피기

내년 2월에 우리는 졸업(卒業)을 하게 됩니


다. 우리는 하객(賀客)들의 축하를 받으며 축
가(祝歌)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새로운 진로
(進路)를 향해 희망(希望)찬 새 출발을 하게
될 것입니다. 먼 훗날 대학 수석(首席) 졸업
을 목표로 더 열심히 공부할 것을 다짐해 봅
니다.

卒業 졸업. 賀客 하객.
祝歌 축가. 進路 진로.
希望 희망. 首席 수석.
漢字 익히기 ①

卒業(졸업) 교과 과정을 마침.

본래 ‘옷 의(衣)’+‘한 일(一)’의 자(字)로, 일반

卒 (一般) 옷과는 다른 염색한 옷이란 뜻인데, 염색


한 옷을 입은 죄인으로 노동하는 사람을 의미하
며, 뒤에 ‘병졸’의 뜻이 된 글자.
마칠 졸 활용 卒業(졸업) 兵卒(병졸)

본래 종이나 북을 매다는 틀을 본떠서 ‘ , ’의

業 형태로 그린 것인데, 그 일을 직업으로 한다는


뜻이 된 글자.

일 업 활용 業種(업종) 開業(개업) 同業(동업)

賀客(하객) 축하하러 온 손님.

‘조개 패(貝)’+‘더할 가(加)’의 자(字)로, 축하할

賀 때 돈(조개)을 주는 풍습에서, 조개 패(貝)자를


취하여, ‘하례’의 뜻이 된 글자.

하례 하 활용 賀禮(하례) 祝賀(축하) 致賀(치하)

‘집 면(宀)’+‘각각 각(各)’의 자(字)로, 걸어가서

客 (夂:뒤져서올 치) 남의 집에 의탁한 사람이라는


데에서 ‘손님’의 뜻이 된 글자.

손 객 활용 客席(객석) 客室(객실) 觀客(관객)

177
漢字 익히기 ②

祝歌(축가) 축하하는 노래.

‘볼 시(示)’, ‘입 구(口)’, ‘밑 사람 인(儿)’의 합체

祝 자로, 사람[儿]이 입[口]으로 신[示]에게 소원을


간절하게 빈다는 데에서 ‘빌다’의 뜻이 된 글자.

빌 축 활용 祝賀(축하) 祝電(축전) 慶祝(경축)

‘노래할 가(哥)’에 ‘하품 흠(欠)’을 더하여 입을

歌 벌리고[欠] 노래[哥]를 부른다는 데에서 ‘부르


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노래 가 활용 歌手(가수) 歌舞(가무) 校歌(교가)

進路(진로) 앞으로 나아갈 길.

새[隹 : 새 추]가 뛰어[辶: 쉬엄쉬엄갈 착] 가다

進 가 날아가는 것처럼 앞으로 나간다는 뜻에서 ‘올


라가다’, ‘나아가다’의 뜻이 된 글자.

나아갈 진 활용 進展(진전) 進行(진행) 進步(진보)

‘발 족(足)’+‘각각 각(各)’의 자(字)로, 사람들이

路 저마다[各] 발[足]로 밟고 다니는 ‘길’, ‘도로’를


뜻하는 글자.

길 로(노) 활용 路上(노상) 大路(대로) 道路(도로)

178
漢字 익히기 ③

希望(희망) 앞일을 바라고 기대함.

본래 베[巾 : 수건 건]의 올이 효(爻)라는 글자처

希 럼 드문드문이어서 ‘드물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다


가, 드물다는 것은 희소성으로 보아 사람들의 욕
구가 있다는 데에서 ‘바라다’의 뜻으로 쓰인 글자.
바랄 희 활용 希望者(희망자) 希願(희원) 希求(희구)

사람[人]이 언덕[土] 위에 서서 달[月]을 쳐다

望 보며 떠난 사람이 돌아오기를 ‘바라다’의 뜻으로,


발음요소인 ‘亡(망)’이 더하여진 글자.

바랄 망 활용 信望(신망) 名望(명망) 熱望(열망)

首席(수석) 등급이나 직위의 맨 윗자리.


얼굴과 머리털을 본떠 ‘ , , , ’와 같이
그린 것인데, 뒤에 ‘首’가 되어 ‘머리’를 뜻하는
글자.

머리 수 활용 首都(수도) 元首(원수) 部首(부수)

席 여러 사람이 앉을 수 있게 넓은 천을 깐다는 데에
서 ‘자리’를 뜻하는 글자.

자리 석 활용 客席(객석) 立席(입석) 出席(출석)

179
부록

1. 漢字 찾아보기 / 182

2. 낱말 찾아보기 / 190
漢字 찾아보기

假 거짓 가 145 界 지경 계 125
價 값가 175 告 고할 고 158
加 더할 가 112 故 옛고 93
家 집가 41 考 생각할 고 108
歌 노래 가 178 苦 쓸고 139
各 각각 각 157 高 높을 고 73
間 사이 간 170 穀 곡식 곡 117
感 느낄 감 139 谷 골곡 111
敢 감히 감 165 共 한가지 공 85
强 강할 강 75 果 실과 과 162
個 낱개 173 課 매길 과 171
改 고칠 개 147 過 지날 과 158
開 열개 151 觀 볼관 127
客 손객 177 光 빛광 127
去 갈거 159 廣 넓을 광 158
居 살거 121 敎 가르칠 교 53
擧 들거 163 校 학교 교 47
車 수레 거(차) 128 久 오랠 구 143
見 볼견 87 九 아홉 구 12
決 결단할 결 145 口 입구 34
潔 깨끗할 결 113 究 연구할 구 103
景 볕경 129 舊 예구 95
競 다툴 경 97 國 나라 국 133
驚 놀랄 경 105 軍 군사 군 133
溪 시내 계 111 權 권세 권 150

182
貴 귀할 귀 167 動 움직일 동 161
勤 부지런할 근 162 同 한가지 동 117
禁 금할 금 166 東 동녘 동 60
急 급할 급 157 童 아이 동 101
己 몸기 57 得 얻을 득 123
氣 기운 기 120 落 떨어질 락(낙) 129
金 쇠금 20 來 올 래(내) 86
難 어려울 난 139 良 좋을 량(양) 147
南 남녘 남 61 旅 나그네 려(여) 128
男 남자 남 83 力 힘 력(역) 51
內 안내 67 歷 지낼 력(역) 137
女 여자 녀(여) 84 連 이을 련(연) 111
年 해 년(연) 116 烈 세찰 렬(열) 174
念 생각 념(염) 142 路 길 로(노) 178
農 농사 농 115 論 의논 론(논) 101
能 능할 능 109 料 헤아릴 료(요) 149
多 많을 다 72 流 흐를 류(유) 121
短 짧을 단 74 陸 뭍 륙(육) 141
談 말씀 담 154 六 여섯 륙(육) 9
代 대신 대 107 利 이로울 리(이) 150
大 큰대 71 林 수풀 림(임) 125
對 대할 대 154 馬 말마 27
德 덕덕 155 末 끝말 69
讀 읽을 독 99 望 바랄 망 179
冬 겨울 동 78 妹 누이 매 127

183
買 살매 120 別 다를 별 173
賣 팔매 120 兵 군사 병 135
面 낯면 141 保 보전할 보 112
名 이름 명 91 報 갚을 보 158
命 목숨 명 138 步 걸음 보 96
明 밝을 명 50 復 돌아올 복 171
母 어머니 모 42 服 옷복 92
毛 털모 55 福 복복 175
木 나무 목 19 本 근본 본 69
目 눈목 33 夫 지아비 부 153
妙 묘할 묘 146 婦 부인 부 153
務 힘쓸 무 162 父 아버지 부 42
問 물을 문 116 北 북녘 북 61
文 글월 문 48 分 나눌 분 50
聞 들을 문 87 不 아닐 불(부) 124
門 문문 54 鼻 코비 35
味 맛미 109 事 일사 45
米 쌀미 117 史 사기 사 137
美 아름다울 미 155 四 넉사 6
民 백성 민 165 思 생각 사 108
放 놓을 방 154 謝 사례할 사 139
方 모방 59 山 산산 24
訪 찾을 방 116 産 낳을 산 138
拜 절배 93 三 석삼 5
變 변할 변 157 上 위상 65

184
想 생각 상 145 受 받을 수 104
賞 상줄 상 104 手 손수 36
生 날생 56 數 셈수 91
序 차례 서 166 樹 나무 수 124
書 글서 99 水 물수 18
西 서녘 서 60 首 머리 수 179
夕 저녁 석 79 順 순할 순 166
席 자리 석 179 習 익힐 습 171
石 돌석 23 乘 탈승 128
先 먼저 선 56 始 비로소 시 169
善 착할 선 96 市 저자 시 165
線 줄선 135 時 때시 170
船 배선 119 示 볼시 107
選 가릴 선 163 試 시험 시 169
性 성품 성 174 詩 시시 101
成 이룰 성 147 式 법식 100
誠 정성 성 133 植 심을 식 124
世 인간 세 125 識 알식 104
歲 해세 93 食 먹을 식 45
小 작을 소 71 信 믿을 신 161
少 적을 소 72 新 새신 153
所 바소 123 申 알릴 신 151
素 본디 소 173 神 귀신 신 134
俗 풍속 속 100 身 몸신 31
孫 손자 손 44 室 집실 53

185
實 열매 실 51 送 보낼 송 154
心 마음 심 62 五 다섯 오 7
十 열십 13 往 갈왕 86
案 책상 안 146 外 바깥 외 67
仰 우러를 앙 134 要 요긴할 요 159
愛 사랑 애 97 勇 날쌜 용 165
夜 밤야 80 用 쓸용 85
野 들야 125 友 벗우 97
弱 약할 약 75 右 오른쪽 우 66
洋 바다 양 119 宇 집우 142
羊 양양 55 牛 소우 26
讓 사양할 양 96 原 언덕 원 149
陽 볕양 143 園 동산 원 115
養 기를 양 147 遠 멀원 119
漁 고기잡을 어 119 願 원할 원 142
語 말씀 어 49 月 달월 16
魚 고기 어 28 爲 할위 99
言 말씀 언 49 有 있을 유 149
業 일업 177 遺 남길 유 138
與 더불 여 113 恩 은혜 은 92
熱 더울 열 174 應 응할 응 169
葉 잎엽 129 意 뜻의 96
永 길영 143 衣 옷의 92
英 꽃부리 영 146 議 의논 의 101
藝 재주 예 109 二 두이 4

186
異 다를 이 105 田 밭전 115
移 옮길 이 161 電 번개 전 155
耳 귀이 32 節 마디 절 91
益 더할 익 149 情 뜻정 158
人 사람 인 84 正 바를 정 95
一 하나 일 3 精 정할 정 134
日 날일 15 弟 아우 제 43
入 들입 68 製 지을 제 103
姊 손윗누이 자 127 題 제목 제 171
子 아들 자 83 朝 아침 조 79
字 글자 자 48 祖 조상 조 44
自 스스로 자 57 造 지을 조 103
作 지을 작 108 鳥 새조 29
場 마당 장 100 族 겨레 족 41
將 장수 장 135 足 발족 37
長 긴장 74 存 있을 존 167
在 있을 재 167 尊 높을 존 167
才 재주 재 146 卒 마칠 졸 177
材 재목 재 163 種 씨종 157
爭 다툴 쟁 97 終 마침 종 169
低 낮을 저 73 鐘 쇠북 종 170
適 알맞을 적 174 左 왼좌 66
全 온전 전 112 主 주인 주 99
展 펼전 107 住 살주 121
戰 싸움 전 136 宙 집주 142

187
晝 낮주 80 祝 빌축 178
中 가운데 중 62 春 봄춘 77
重 무거울 중 159 出 날출 68
增 더할 증 112 忠 충성 충 133
地 땅지 63 取 가질 취 163
止 그칠 지 166 致 이룰 치 129
知 알지 104 親 친할 친 95
直 곧을 직 95 七 일곱 칠 10
眞 참진 173 打 칠타 170
進 나아갈 진 178 脫 벗을 탈 105
質 바탕 질 174 探 더듬을 탐 103
集 모을 집 123 太 클태 143
着 닿을 착 141 土 흙토 21
參 참여할 참 113 通 통할 통 161
採 캘채 123 特 특별할 특 150
川 내천 25 波 물결 파 155
淸 맑을 청 113 八 여덟 팔 11
請 청할 청 151 便 편할 편 124
初 처음 초 137 平 평평할 평 63
草 풀초 81 閉 닫을 폐 151
寸 마디 촌 91 表 겉표 141
村 마을 촌 115 品 물건 품 108
最 가장 최 137 豊 풍년 풍 116
推 밀추 134 風 바람 풍 100
秋 가을 추 78 皮 가죽 피 105

188
下 아래 하 65
夏 여름 하 77
賀 하례 하 177
學 배울 학 47
海 바다 해 121
解 풀해 145
幸 다행 행 175
行 갈행 128
向 향할 향 59
鄕 시골 향 93
許 허락 허 150
革 가죽 혁 138
現 나타날 현 107
協 화합할 협 117
兄 형형 43
惠 은혜 혜 92
婚 혼인 혼 153
火 불화 17
花 꽃화 81
活 살활 120
效 본받을 효 162
後 뒤후 54
休 쉴휴 111
興 일어날 흥 109
希 바랄 희 179

189
낱말 찾아보기

假想 가상 145 勤務 근무 162
家族 가족 41 禁止 금지 166
各種 각종 157 急變 급변 157
感謝 감사 139 落葉 낙엽 129
强弱 강약 75 南北 남북 61
改良 개량 147 男子 남자 83
個別 개별 173 內外 내외 67
開閉 개폐 151 農村 농촌 115
居住 거주 121 多少 다소 72
見聞 견문 87 對談 대담 154
驚異 경이 105 大小 대소 71
競爭 경쟁 97 讀書 독서 99
景致 경치 129 東西 동서 60
溪谷 계곡 111 童詩 동시 101
苦難 고난 139 賣買 매매 120
高低 고저 73 名節 명절 91
故鄕 고향 93 妙案 묘안 146
共用 공용 85 文字 문자 48
過去 과거 159 米穀 미곡 117
課題 과제 171 美德 미덕 155
觀光 관광 127 訪問 방문 116
廣告 광고 158 放送 방송 154
敎室 교실 53 方向 방향 59
國軍 국군 133 保全 보전 112
權利 권리 150 復習 복습 171

190
本末 본말 69 新婚 신혼 153
父母 부모 42 實力 실력 51
夫婦 부부 153 羊毛 양모 55
分明 분명 50 讓步 양보 96
不便 불편 124 養成 양성 147
思考 사고 108 漁船 어선 119
上下 상하 65 言語 언어 49
選擧 선거 163 女人 여인 84
先生 선생 56 旅行 여행 128
善意 선의 96 歷史 역사 137
世界 세계 125 連休 연휴 111
歲拜 세배 93 熱烈 열렬 174
所得 소득 123 念願 염원 142
素質 소질 173 永久 영구 143
受賞 수상 104 英才 영재 146
首席 수석 179 藝能 예능 109
順序 순서 166 往來 왕래 86
乘車 승차 128 勇敢 용감 165
時間 시간 170 友愛 우애 97
市民 시민 165 宇宙 우주 142
始終 시종 169 原料 원료 149
食事 식사 45 遠洋 원양 119
植樹 식수 124 爲主 위주 99
式場 식장 100 遺産 유산 138
申請 신청 151 有益 유익 149

191
恩惠 은혜 92 左右 좌우 66
應試 응시 169 晝夜 주야 80
議論 의논 101 中心 중심 62
衣服 의복 92 重要 중요 159
移動 이동 161 增加 증가 112
林野 임야 125 知識 지식 104
自己 자기 57 眞價 진가 175
姉妹 자매 127 進路 진로 178
作品 작품 108 着陸 착륙 141
長短 장단 74 參與 참여 113
將兵 장병 135 採集 채집 123
適性 적성 174 淸潔 청결 113
戰線 전선 135 寸數 촌수 91
展示 전시 107 最初 최초 137
田園 전원 115 秋冬 추동 78
電波 전파 155 推仰 추앙 134
情報 정보 158 祝歌 축가 178
精神 정신 134 春夏 춘하 77
正直 정직 95 出入 출입 68
製造 제조 103 忠誠 충성 133
朝夕 조석 79 取材 취재 163
祖孫 조손 44 親舊 친구 95
尊貴 존귀 167 打鐘 타종 170
存在 존재 167 脫皮 탈피 105
卒業 졸업 177 探究 탐구 103

192
太陽 태양 143
通信 통신 161
特許 특허 150
平地 평지 63
表面 표면 141
豊年 풍년 116
風俗 풍속 100
賀客 하객 177
學校 학교 47
解決 해결 145
海流 해류 121
幸福 행복 175
革命 혁명 138
現代 현대 107
協同 협동 117
兄弟 형제 43
花草 화초 81
活氣 활기 120
效果 효과 162
後門 후문 54
興味 흥미 109
希望 희망 179

193
✒ 지도
이병호(李柄好)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정익교(鄭翼敎)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과장

✒ 연구
김재환(金在煥)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관
송영미(宋英美)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함혜성(咸慧星)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배영직(裵榮稷)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

✒ 기획 제작
김윤숙(金允淑) 서울송원초등학교 교장
김연옥(金蓮玉) 서울대모초등학교 교사
진철용(陳哲鏞) 서울송화초등학교 교사
남수극(南守極) 서울정덕초등학교 교사

✒ 자원 집필
진태하(陳泰夏) 인제대학교 석좌교수

✒ 검토
전한준(全漢俊) 한국한자한문교육연구회 회장
추성범(秋聲範) 서울길음초등학교 교장

✒ 편집
이은희(李銀熙) 서울원광초등학교 교사

한 손에 쏘~옥~,

행복한 漢字공부
발행일 : 2013년 12월
발행인 : 문용린
발행처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48
☎ 3999-1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