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전기기기 요점정리

■전기기계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어떻게하는가--규소강판사용


■변압기의 성층철심 강판 재료는 규소 함유량은 대략--4% (히,규,와,성)
■직류분권발전기의 전기자권선을 단중 중권으로 감으면--브러시수는 극수와 같다(a=p)
■전기자도체의 굵기, 권수가 모두 같을때 단중 중권에 비해 단중 파권의 이점은--전류는 적
어나 고전압이 이루어진다
■직류발전기의 전기자반작용을 설명, 그영향을 없애는데 가장 유효한 것은--보상권선
■직류기 정류작용에서 전압 정류의 역할 하는 것--보극
■직류 분권 발전기를 서서히 단락 상태로 하면은--소전류가 흐른다
■직류 분권 발전기를 병렬운전 하기 위해서는 발전기용량 P 와 정격전압 V 는--P 는임의, V
는 같아야 한다(병렬운전하려면 정격전압은 같아야 하지만 용량은 달라도 된다)
■직류 분권 발전기의 계자회로의 개폐기를 운전중 갑자기 열면은--계자권선에 고압을 유발
한다
■직류 직권 전동기의 발생 토크는 전기자 전류를 변화 시킬 때 어떻게 변하는가--전류의 제
곱에 비례한다
■직류기를 병렬운전 할 때 균압모선이 필요한 직류기는--직권발전기, 복권발전기
■직류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위험한 상태가 되지 않으려면 직권전동기는 (무부하) 상태로, 분
권전동기는 (무여자)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직류분권 전동기의 기동시에는 계자저항의 저항값을 어떻게 해두는가--0(영)으로 해둔다
■단상유도전동기에서 2 전동기설에 관한설명은--기동시 즉, s=1 에서 기동토크는 0 으로 기동
할 수 없다
■직류기의 전기자에 사용되는 권선법 중 가장 많이 사용은--2 층권
■권선법 중 직류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폐로권, 고상권, 이층권 (고,삐,리)
■계자권선이 전기자에 병렬로만 연결된 직류기는--분권기
■차동 복권 발전기를 분권기로 하려면 어떻게--직권계자를 단락 시킨다
■부하 변화에 대하여 속도 변동이 가장 작은 전동기는--차동복권
■직류 분권 전동기를 무부하로 운전중 계자 회로에 단선이 생겼다 옳은 것은--과속도로 되
어 위험하다
■부하가 변하면 현저하게 속도가 변하는 직류전동기는--직권전동기
■직류발전기의 계자철심에 잔류자기가 없어도 발전할수 있는 발전기는--타여자 발전기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에서 정출력 제어에 속하는 것은--계자 제어법
■교류직류 양용전동기 또는 만능전동기라고 하는전동기는--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
■직류기의 효율이 최대가 되는 경우--고정손(철손)=부하손(동손이지 전부하동손이 아님)
■직류발전기의 외부특성곡선에서 나타나는 관계는--부하전류와 단자전압
■철극형(돌극형) 발전기의 특징은--전기자 반작용 자속수가 역율의 영향을 받는다
■동기발전기의 권선을 분포형으로 하면은--파형이 좋아진다
.동기발전기의 전기자권선을 단절권으로 감는이유--고조파를 제거, 기전력의 파형을 좋게
.교류기에서 유기기전력의 특정 고조파분을 제거하고 또 권선을 절약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
하는 권선법은--단절권 전기기기 NO2
■동기발전기 분포권의 단점--분포권은 집중권에 비하여 합성 유기 기전력이 감소한다
■누설변압기 중 누설자속이 증가하면 2 차 유기 기전력이 감소한다
■누설변압기에 필요한 특성은--수하특성(정전류 특성이 필요하며, 전류가 증가하면 전압이
저하하는 수하특성이 필요하다)
■동기발전기의 단락시험(동기임피던스, 동기리액턴스), 무부하시험(철손, 기계손), 단락비 산
출에는 무부하(포화)시험과 단락(3 상)시험등이 필요
■변압기의 무부하시험(개방회로시험)은--무부하전류, 여자어드미턴스, 철손, 히스테리시스손,
와류손 단락시험은--동손, 임피던스 와트, 임피던스 전압
■동기기의 3 상 단락 곡선이 직선이 되는 이유는--전기자 반작용으로
■전압변동율이 작은 동기 발전기는--단락비가 크다(변동율이 작은발전기는 동기리액턴스가
작다)
■3 상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1.기전력의 크기(위상, 주파수, 파형)가 같을 것 5.상회
전의 방향이 같을 것 (주,위,파,크,상)
■단상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1.각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2.권수비 및 2 차정격 전압이 같
을 것 3.배분율 임피던스 강하가 같으며, 저항과 리액턴스 비가 같을것
■병렬운전 중에 동기 발전기의 여자전류를 증가시키면 그 발전기는--역율이 나빠진다
.여자전류를 증가시키면--1.역율저하 2.전류증가 3.무효전력 증가 4.전력불변
■동기전동기의 공급전압, 주파수 및 부하가 일정할 때 여자전류를 변화 시키면 어떤 현상이
생기는가--전기자 전류와 역률이 변한다 (과여자:증가 앞선전류/부족여자:감소 뒤진전류)
■동기전동기의 전기자 전류가 최소일 때 역률은--1(일) 즉 위상특성곡선임(V 곡선)
■동기전동기에서 비례추이 할수 없는 것은--출력, 2 차동손, 효률
■동기전동기에서 여자를 강화하면--전기자전류의 위상이 진상이 된다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중 위상차가 생기면--유효횡류(동기화 전류)가 흐른다
.병렬운전을 하고있는 두 대의 3 상 동기발전기 사이에 무효순환전류가 흐르는 경우는--여자
전류의 변화(여자전류가 변하면 자속이 변하고, 따라서 유기기전력의 크기가 변한다)
■동기 발전기의 돌발 단락 전류로 주로 제한하는 것은--누설 리액턴스
.동기 발전기의 영구 단락 전류억제은--동기 리액턴스
.동기 리액턴스=누설 리액턴스+반작용 리액턴스
■3 상 동기기의 제동권선의 효용은--난조방지
■동기전동기의 기동법 중 자기동법에서 계자권선을 단락하는 이유는--고전압의 유도를 방지
■동기기에서 동기리액턴스가 커지면 동작특성은--전압변동율이 커지고 병렬운전시 동기화력
이 작아진다
■발전기의 단자 부근에서 단락이 일어 났다고 하면 단락 전류는--처음은 큰 전류이나 점차
로 감소한다
■발전기는 부하가 불평형이 되어 발전기의 회전자가 과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계전기는--역상 과전류 계전기
■발전기 권선의 층간 단락보호에 가장 적합한 계전기는 차동 계전기
■부흐홀쯔 계전기로 보호되는 기기는--변압기 전기기기 NO3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이란--정격전류가 흐를 때의 변압기 내의 전압강하
■변압기의 전일 효율을 최대로 하기위한 조건--전부하 시간이 짧을수록 무부하손을 적게
■변압기의 온도시험을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반환 부하법
■변압기의 기름 중 아크방전에 의하여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수소(57∼74%)
■변압기의 부하전류 및 전압은 일정하고, 주파수가 낮아 졌을때의 현상--철손이 증가
.변압기의 부하와 전압이 일정하고 주파수가 높아지면--철손감소
■변압기에서 역률 100%일 때의 전압변동율 ε 은 어떻게 표시되는가--%저항강하
■변압기에 콘서베이트를 __첿_狡+_설치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열화방지
■변압기의 누설 리액턴스를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권선을 분할하여 조립한다
■단상변압기를 병렬운전 하는 경우 각 변압기의 부하 분담이 변압기의 용량에 비례하려면
각각의 변압기의 %임피던스는 어느것인가--변압기 용량에 반비례한다
■3 상유도전동기의 원선도 작성에 필요한 시험--무부하시험, 구속시험, 저항측정
■3 상 유도전동기에서 동기 와트로 표시 되는 것은--토크
■3 상 유도전동기에서 2 차저항을 2 배로 하면 그 최대 토크는 몇 배로되는가--변하지않는다
(최대토크를 발생하는 슬립은 2 배로 된다)
■3 상유도전동기에서 2 차저항을 증가하면 기동 토크는--증가한다
■3 상유도전동기를 불평형 전압으로 운전하면 토크와 입력과의 관계--토크는 감소하고 입력
은 증가
■3 상 유도전동기에서 제 5 고조파에 의한 기자력의 회전방향 및 속도가 기본파 회전 자계에
대한 관계는--기본파와 역방향이고 1/5 배의 속도
■3 상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은 이 전동기에서 발생되는 회전자계의 회전 방향과 어떤관계인
가--회전 자계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회전자는 회전 자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3 상 전압 조정기의 원리는 어느것을 응용--3 상 유도 전동기
■기기중 입력전압과 위상이 다른 전압을 얻고자 할 때 쓰이는 기기는--3 상유도전압 조정기
■유도전동기에서 게르게스 현상이 생기는 슬립은 대략--0.5
■유도전동기의 1 차 전압 변화에 의한 속도 제어에서 SCR 을 사용하는 경우 변화시키는 것은
--위상각
■유도전동기의 슬립 s 의 범위는--1〉s〉0 (유도발전기: 0〉s //제동기: s〉1) (반대임)
■유도전동기의 여자전류는 극수가 많아지면 정격 전류에 대한 비율이 어떻게--커진다
■유도전동기의 2 차여자 제어법 속도제어용 저항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2 차 주파수 sf 와
같은 주파수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유도전동기와 직결된 전기동력계의 부하전류를 증가하면 유도전동기의 속도는--감소한다
(부하를 증가 시키면 역률은--좋아진다)
■유도전동기로 동기전동기를 기동하는 경우,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동기기의 극수보다 2 극
적은 것을 사용한다. 그이유는--같은 극수로는 유도기는 동기속도 보다 sNs 만큼 늦으므로
■단상 유도 전압 조정기의 단락 권선의 역할은--(누설리액턴스로 인한)전압강하 경감
■유도전동기의 2 차 회로에 2 차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로 적당한 크기와 위상전압을 외부에
가하는 속도 제어법은—2 차여자 제어
■유도전동기의 회전자에 슬립 주파수의 전압을 공급하여 속도제어 하는방법은--2 차여자법
■유도전동기를 유도발전기로 동작시켜 그 발생 전력을 전원에 반환하면서 제동하는 방법--
회생제동 전기기기 NO4
■단상유도전동기의 기동에 브러시를 필요로 하는 것은--반발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 중 기동 토크가 가장 큰 것은--반발기동형(순서:반발기동형, 콘덴서기동형,
분상기동형, 셰이딩 코일형의 순서임)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토크-속도 곡선이 비례추이 한다는 것은 그 곡선이 무엇에 비례해서
이동하는 것을 말하는가--2 차회로의 저항//권선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은--2 차 저항 기동법
■비례추이를 하는 전동기는--권선형 유도전동기
■권선형 유도전동기와 직류분권 전동기와의 유사한 점 두가지는--속도변동율이 적다. 저항
으로 속도 조정이 된다
■농형 유도전동기에 주로 사용되는 속도 제어법은--극수제어법
■VVVF 제어방식에 적당한 속도제어는--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직류전압을 직접 제어 하는 것은--초퍼(짧게 자른)형 인버터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기기는--인버터
■사이클로 컨버터를 바르게 설명--교류전력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장치이다
.사이클로 컨버터란--교류(AC)를 교류(AC)로 바꾸는 장치이다
■유도자형 동기발전기의 설명 옳은 것--계자극과 전기자가 고정되어 있다
■보통농형에 비하여 2 중 농형전동기의 특징은--기동토크가 크다
■동기조상기를 부족여자로 사용하면 다음 상수의 특징은--L(과여자는 콘덴서 C)
■동기조상기의 계자를 과여자로 운전시는--콘덴서로 작용하여 뒤진 전류를 보상한다
.동기조상기의 계자를 부족여자로 운전시는--리액터로 작용하여 앞선 전류를 보상한다
■병렬운전중의 A, B 두 발전기중, A 발전기의 여자를 B 보다 강하게 하면 A 발전기는--90
도 지상 전류가 흐른다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에서
.유기기전력이 높은 발전기(여자전류가 높은 경우) : 지상전류가 흘러 역률이 저하
.유기기전력이 낮은 발전기(여자전류가 낮은 경우) : 진상전류가 흘러 역률이 상승
■A, B 2 대의 동기발전기를 병렬운전할 때 B 발전기의 여자전류를 증가시키면—B 발전기의 역
률 저하
■유도기전력의 크기가 서로 같은 A, B 두대의 동기발전기를 병렬운전할 때 A 발전기의유기
기전력 위상이 B 보다 앞설 때 발생하는 현상은--동기화 전류가 흐른다//동기화력이 발생한다
//A 의 회전속도가 감소한다
■전압제어는--워어드 레너드 제어, 초퍼 제어, 일그너 제어 (워,일,초)
■단상 반발 전동기는--아트킨손형 전동기, 톰슨전동기, 데리전동기 (아톰데가리는 단,발)
■3 상 전원에서 2 상 전압을 얻고자 할때의 결선은--메이어, 우드브릿지, 스코트 (메,우,스)
■단상 반발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려면--브러시의 위치 조정을 한다
■직류발전기에서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정류가 힘드는 이유는--리액턴스 전압이 커진다
■교류발전기의 동기임피던스는 철심이 포화하면 어떻게 되는가--감소한다
■반작용전동기(반동전동기)의 설명은--전기자에 뒤진 전류가 흐르면 전기자 반작용은 증자
작용을 한다
■3 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는--동위상과 역위상일 때 토크가 발생하지않는다 전기기기 NO5
■자여식 인버터의 출력 전압의 제어법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펄스폭 변조방식
■인가전압과 여자가 일정한 동기전동기에서 전기자저항과 동기리액턴스가 같으면 최대출력
을 내는 부하각은 몇도인가--45 도
■수은정류기에서 역호현상의 큰 원인은--과부하전류(과전류)
■정류기에 있어 출력측 전압의 리플(맥동)을 줄이기 위한방법--커패시터를 병렬로 접속한다
■정격전류 이하로 전류를 제어 해주면 과전압에 의해 서는 파괴되지 않는 반도체소자는
--TRIAC
■전력용 반도체 중에서 가장 높은 전압용으로 개발되어 사용되는 반도체는--GTO
■광스위치, 릴레이, 카운터 회로 등에 사용되는 감광 역저지 3 단자 사이리스터는--LASCR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다이오드는--제너다이오드(정전압 회로용소자)
■반도체 사이리스터에 의한 제어는 어느 것을 변화시키는 것인가--위상각
■반도체의 정류기 중에서 역방향 내전압이 가장 큰 것은--실리콘 정류기
■사이리스터에서는 게이트전류가 흐르면 순방향의 저지상태에서 (온)상태로된다. _h_?@P___게이트전류
를 가하여 도통 완료까지의 시간을 (턴온)시간이라고 하나 이 시간이 길면 (스위칭)시의 (전
력손실)이 많고 사이리스터 소자가 파괴되는 수가 있다
■정류회로에서 과전압 방지로는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하고, 과전류 방지로 다이오드를 병
렬로 추가한다
■사이리스터 단상 전파정류 파형에서의 저항 부하시 맥동률은--48%
.(121, 48, 17, 4) ←단상반파, 단상전파, 삼상반파, 삼상전파 순서임
■단상반파의 정류효률은--40.5%
■사이리스터의 래칭전류에 관한 설명--사이리스터가 턴온하기 시작하는 전류
■똑 같은 두 권선을 주권선과 보조권선으로 사용한 분상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를 운전하려
고 할 때 전원공급장치에 사용할 변압기의 결선방법은--T 결선
■직류전동기는 전차,기중기등의 부하 변동이 심하고 큰 기동토크가 요구되는 기기에 사용함
■3 상직권정류자 전동기에서 중간변압기를 사용이유--정류에 알맞은 회전자 전압을 선택//전
동기의 특성을 조정//경부하에서는 속도상승을 제한 할 수있다 (조,선,제)
.혹은 전압을 정류작용에 맞는 값으로 선정//권수비를 바꾸어서 전동기의 특성을 조정//속도
의 상승을 억제 (조,선,제)
■분권 직류전동기에서 부하의 변동이 심할 때 광범위하고 안정되게 속도제어하는 가장 적당
한 방식--일그너방식
■3 상 서보 전동기에 평행 2 상전압을 가하여 동작시킬 때 속도-토크 특성곡선에서 최대토크
가 발생하는 슬립 s 의 범위--0.2<s<0.8
■동기전동기에서 감자작용을 할 때는 언떤 경우인가--공급전압보다 앞선전류가 흘르때
.발전기와 전동기의 전기자반작용은 서로 반대이다
분류 동기발전기 동기전동기
전압과동상 교차자화작용 교차자화작용
진상전류 증자작용 감자작용
지상전류 감자작용 증자작용
■전기자반작용에 대한 설명 중 주자속이 감소 전기기기 NO6
■3 상분권 정류자 전동기인 슈라게 전동기의 특성--1 차권선을 회전자에 둔 3 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
■보극이없는 직류기에서 브러시를 부하에 따라 이동 이유--정류작용을 잘 되게 하기 위하여
■인견공장에서 사용되는 포터 모터의 속도제어는--주파수변화에 의한제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