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초등 수학 내용 전문성 향상 과정 초1~2학년군]

7.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

목차
1. 덧셈과 뺄셈 단원의 학습 계열과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2.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의 지도법과 덧셈의 오류 유형에 따른 지도 방법
3.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지도법과 뺄셈의 오류 유형에 따른 지도 방법

1.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 단원의 학습 계열, 성취기준, 교수


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1)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 단원의 학습 계열
2학년의 ‘덧셈과 뺄셈’ 단원은 1학년과정에서 한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두자리
수의 범위에서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없는 덧셈과 뺄셈을 학습한 경험을 바탕
으로 받아올림이 있는 ‘두 자리 수+한 자리 수’,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덧셈
과, 받아내림이 있는 ‘두 자리 수-한 자리 수’,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뻴셈
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고 계산 형식과 관계를 익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
는 활동을 통하여 연산감각을 기르게 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상황을 덧셈식과
뺄셈식으로 나타내는 활동을 통하여 덧셈과 뺄셈의 관계를 이해하게 합니다. 학
생들에게 친근한 실생활 상황을 이용하여 덧셈과 뺄셈에 관련된 문제를 만들고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수학교과 핵심 역량인 문제 해
결 능력을 기르게 합니다.

[출처: 교육부(2018).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p.180.]

- 1 -
2)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 단원의 성취 기준과 교수 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① 성취기준
1~2학년군 ‘수와 연산’영역에서 배우는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덧
셈과 뺄셈 단원의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2수01-05] 덧셈과 뺄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을 통하여 덧셈과 뺄셈의 의


미를 이해한다.
§ [2수01-06]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의 계산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
산을 할 수 있다.
§ [2수01-07] 덧셈과 뺄셈의 관계를 이해한다.
§ [2수01-08]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세 수의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다.
§ [2수01-09] □가 사용된 덧셈식과 뺄셈식을 만들고,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②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1~2학년군의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 단원에서 다루는 덧
셈은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다루되, 합이 세 자리 수인 경우도 포함합니다.
그리고 덧셈, 뺄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는 활동을 통하여 연산감각
을 기르게 하고, 한 가지 상황을 덧셈식과 뺄셈식으로 나타내는 활동을 통
하여 덧셈과 뺄셈의 관계를 이해하게 합니다. 또한 □가 사용된 덧셈식과
뻴셈식은 □의 값을 직관적으로 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다루어야 합니다.
덧셈과 뺄셈 상황은 학생들에게 친근한 실생활 상황을 이용하여 덧셈과 뺄
셈과 관련된 문제를 만들고 해결하게 함으로써 문제해결역량을 키울 수 있
습니다. 수와 연산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해 볼 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1~2학년군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성취기준에서 달라진 점은 ‘덧셈과 뺄셈에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만들고 해결할 수 있다.’가 삭제되고, 대신 이 성취기준은 교
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에 ‘학생들에게 친근한 실생활 상황을 이용하여
덧셈과 뺄셈에 관련된 문제를 만들고 해결하게 한다’라고 제시함으로써 교
수학습 과정에서 유의하여 지도하도록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5 개정
1~2학년군 수와 연산 영역의 덧셈과 뺄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는
활동을 평가할 때에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계산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이를 지나치게 형식화하지 않도록 관찰, 면담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도
록 유의사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2 -
[참고 문헌]
교육부(2015a).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 수학과 교육과정.

2.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덧셈과 뺄셈 알고리즘


1)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 알고리즘의 이해를 통한 지도
수백 년 동안 계산 기능은 학생들에게 수학 교육의 필수적 요소로 간주되어 왔
습니다. 그러나 계산 지도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초등
수학에서 계산 지도의 목표가 단순히 계산력의 향상이 아닌 양적 사고의 강화
및 연산 감각의 신장이라는 측면(장혜원, 2014)에서 교사가 단순히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단지 순차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곧바로 보여 주는 대
신에 학생들이 스스로 계산 방법을 구성하고 계발하는 것이 더 강조되기 시작하
였습니다. 즉, 교사가 제시한 계산과정을 단순히 암기하기 보다는 학생 스스로가
문제해결 과정을 추론함으로써 계산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학생들이 대안적인 알고리즘을 탐구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계
산을 하는데 한 가지 이상의 방법에 대해 생각하고 여러 가지 방법을 경험한 학
생들이 좀 더 유연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장혜원(2014). 덧셈과 뺄셈의 대안적 계산방법 지도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4). 623-644.

Ÿ 기본 연산에 대한 숙달은 1~2학년군의 목표이지만, 묶음 짓기와 수 세기와


같은 여러 다양한 경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을 다시
세면서 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략은 이후에 더 효율적인 수 세기
전략으로 바꾸기도 합니다. 이에 학생들이 덧셈을 어떻게 하는지 좀 더
살펴보면 다양한 어림셈과 계산 전략이 나타납니다. 한 예로 2학년 1학기
교과서 62쪽의 23+19에서,

학생들이 만들 수 있는 전략을 살펴보면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 3 -
ü 십의 자리끼리 더하고, 일의 자리끼리 더한 다음 합친다.
20+10은 30이고, 3+9는 12이므로, 30+12는 42이다.
ü 십의 자리부터 더한 다음 일의 자리를 더한다.
23+10은 33이고, 33+9는 42이다.
ü 몇 십을 만들기 위해 수를 옮긴다.
19를 20으로 만들기 위해 23에서 1을 가져온다. 19를 20으로 만들어서
22+20을 계산하면 42이다.
ü 최적수와 보수 전략을 사용한다.
23+19는 23+17=40을 먼저 계산한 후 19대신에 17을 더했으므로 2를
더 더해서 계산하면 42이다.

Ÿ 학생들이 만든 전략 중 표준 알고리즘에 가까운 방법은 십의 자리끼리,


일의 자리끼리 더한 다음 합치는 방법입니다. 세로셈을 계산할 때 일의
자리부터 더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십의 자리부터 더할 수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어림과 암산을 하는데 중요한 기초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표준 알고리즘을 학생들이 만들어 가려면 십의 자리를 먼저 더한
경우, 일의 자리에서 받아올림이 있을 때 다시 십의 자리 수를 고쳐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일의 자리부터 계산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것을
느껴서 표준 알고리즘을 학생들이 만들어 가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2)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 알고리즘의 이해를 통한 지도


덧셈과 마찬가지로 뺄셈은 기본 구구와 자릿값에 대한 선수 지식이 필요합니다.
교환하기나 받아내림의 경험은 일의 자리에 있는 10은 십의 자리 1과 교환할 수
잇다는 생각을 발달시키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2학년 1학기 교과서
72쪽의 42와 17의 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Ÿ 42가 십이 4와 일이 2, 혹은 십이 3과 일이 12, 혹은 십은 하나도 없고


일이 41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익숙해야 합니다.

- 4 -
Ÿ 즉, 수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받아내림이 있는 두 자리 수의
뺄셈 문제 상황에서 여러 가지 전략으로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제는 차를 구하는 뺄셈 상황이지만 학생들은 뺄셈보다는 먼저
자신들에게 보다 익숙한 수 세기 전략이나 덧셈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합니다.
ü 피감수 가까이까지 몇 십을 더하고, 일의 자리를 더한다.
42와 17의 차를 구하기 위해, 먼저 17에 20을 더하면 37이므로 아직
42보다 작다. 42가 되기 위해서는 37에 5를 더해야 한다. 따라서 42와
17의 차는 20+5를 하면 답은 25이다.
ü 피감수보다 많게 몇 십을 더하고, 많이 더한 만큼 뺀다.
42와 17의 차를 구하기 위해, 17에 30을 더하면 47이 되어 42보다 5가
더 크다. 47이 42가 되기 위해서는 30-5를 해서 답은 25이다.
ü 감수의 일의 자리가 10이 되도록 더한 다음 십의 자리 수, 일의 자리
수를 더한다.
42와 17의 차를 구하기 위해, 17을 20이 되도록 한 다음, 42-20을
계산하면 22이다. 17을 빼야 하는데 20을 뺐으므로 다시 3을 더해주면
22+3=25이므로 답은 25이다.
ü 십의 자리에서 몇 십을 뺀 다음 일의 자리 수를 뺀다.
42-17의 차를 구하기 위해, 먼저 십의 자리를 빼면, 40-10=30이고,
여기서 일의 자리 수 7을 또 빼면 30-7=23이 된다. 42의 일의 자리 수
2를 여기에 다시 더해 주면 23+2이므로 답은 25이다.
ü 십의 자리를 먼저 빼고 난 다음 일의 자리 수를 뺀다.
42-17의 차를 구하기 위해, 42-10을 먼저 계산하면, 32가 되고, 여기서
일의 자리 수 7을 때면, 32-2=30이 되고, 30-5=25가 되어, 답은
25이다.
Ÿ 실제로 학생들이 만든 이 전략들은 모두 유용한 것입니다. 이런 다양한
방법들을 학생들이 발견하도록 한 후 표준 알고리즘을 스스로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Ÿ 알고리즘을 이해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구체적 조작물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필산 알고리즘을 해결하는 과정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구체적 조작 자료와 기호
사이의 연결성에 집중하도록 하는 발문은 매우 중요합니다.

[참고 문헌]
교육부(2018). 수학 2-1 교과서. 서울:천재교육.
교육부(2018).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서울:천재교육.

- 5 -
3) 구체적 조작물의 예시
① 수 모형

[출처: http://www.i-screammall.co.kr/goods/view?no=75217&sso=ok]

② 퀴즈네어 막대

[출처: http://www.i-screammall.co.kr/goods/view?no=231035&sso=ok]

③ 연결큐브

[출처: http://www.i-screammall.co.kr/goods/view?no=231037&sso=ok]

3.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두 자리수 범위에서 덧셈과 뺄셈의 오류 유형과 지


도 방법

- 6 -
수업을 계획할 때, 부정확하고 미숙한 형태의 계산 유형을 찾기 위해 교사는 학
생들의 계산 방법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인지 과학적 접근을
통해 밝혀진 학습 이론과 관련된 사항 중의 하나는 대다수 학생이 수학적 오류
를 우연한 실수로 범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범한다고 합니다.
계산 오류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는 것은 초등학생들의 계산 기능 숙달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되며,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계산 과정에서 범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계산 오류를 미리 알고 대처
방안을 숙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생들의 오류 유형은 임의적인 것도 있지만,
대부분 어떠한 일관성을 보이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의 개별화된 학습 방법이 필
요하며, 실제로 오류 유형을 분석하고 지도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
적인 학습이 되게 하는 것이 교육 현장의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최진숙, 유현
주, 2006).

[참고 문헌]
최진숙, 유현주(2006). 덧셈∙뺄셈의 오류유형 분석 및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
으로 – 교과교육학연구, 10(2). 303-327.

1) 받아올림이 있는 두 자리수 범위에서 덧셈의 오류 유형과 지도 방법


먼저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받아올림이 있는 두 자리 수 + 두 자리 수의 계
산 과정에서 범하는 오류를 살펴보면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형태로 나타
납니다.

① 받아올림을 하지 않는 경우

[출처: 교육부(2018).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p.188.]

Ÿ 이 오류 유형은 덧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받아올림과 관련된 오류


유형으로서 세로셈에서 십의 자리로 받아올림해야 할 수를 받아올림하지
않는 경우로 위에 쓰지 않아 잊어버리거나 습관적으로 받아올림하지
않아서 생기는 오류입니다.

② 받아올림 할 수를 내려 쓰는 경우

[출처: 교육부(2018).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p.188.]

- 7 -
Ÿ 이 오류 유형은 세로셈에서 십의 자리로 받아올림해야 할 수를 위가
아닌 아래로 내려 쓰는 오류입니다. 이러한 오류는 받아올림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므로 구체물(수 모형, 연결큐브,
자릿값 판 등)을 이용하여 덧셈 상황에 관한 조작활동을 충분히 함으로써
받아올림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이러한 받아올림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형식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받아내림이 있는 두 자리수 범위에서 뺄셈의 오류 유형과 지도 방법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받아내림이 있는 두 자리 수 - 두 자리 수의 계산 과
정에서 범하는 오류를 살펴보면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① 받아내림하고 1을 빼지 않은 경우

[출처: 교육부(2018).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p.188.]

Ÿ 이 오류 유형은 뺄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받아내림과 관련된 오류


유형으로서 세로셈에서 십의 자리에서 받아내림을 하였지만 받아내림
이후의 십의 자리 수의 변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깁니다.
이러한 오류 유형도 구체물을 통한 조작활동으로 받아내림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하며 형식화 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들을 다시 한 번
익힐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② 0 처리 오류

[출처: 교육부(2018).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p.188.]

Ÿ 이 오류 유형은 뺄셈에서 0을 처리하는 세로셈에서 많이 발생하는


오류유형으로서 자신이 뺄 수 있는 것만 빼고 뺄 수 없는 것은 그냥 0을
써 버리는 경우입니다. 이와 비슷한 오류로 뺄 수 있는 것만 때고 뺄 수
없는 것은 피감수의 0이 아닌 감수의 일의 자리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 8 -
이러한 오류는 받아내림을 이해하지 못해서 생길 뿐만 아니라 자릿값 및
뺄셈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구체물(수 모형, 연결큐브, 자릿값 판 등)을 이용한 뺄셈 상황의 충분한
조작활동을 바탕으로 받아내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릿값 및
뺄셈의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오류를 줄여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문헌]
Baroody, A. J.(1999). Childrens Relational Knowledge of Addition and Subtrac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17(2), 137-175.
Fuson(2003). Developing Mathematical Power in Whole Number Operations. In J. Kilpatrick, W. G.
Martin, and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68-94.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Reys, R. E., Lindquist,M. M., Lamdin, D. V., & Smith,N. L.(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역(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

- 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