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RS M 0005

자동차 램프용 핫멜트 접착제

RS M 0005 : 2002

신뢰성전문위원회 심의
2002년 10월 22일 제정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발행
신뢰성전문위원회 명단
성 명 소 속 직 위
(위원장) 이순복 한국과학기술원 교 수
(위 원) 기술표준원 기술표준기획부장 당연직
산업자원부 자본재산업총괄과장 당연직
고문수 자동차공업협동조합 전 무
권수호 (주)케이제이테크 대 표
권일수 수출보험공사 본부장
김재곤 한양대학교학연산클러스터사업단 교 수
김정규 한양대학교 교 수
김희진 (주)광명전기 상 무
박동호 한림대학교 교 수
서문호 건국대학교 교 수
유동수 삼성전자(주) 상 무
이덕근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 본부장
이종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센터장
이중휘 산업기술시험원 연구위원
최희천 EPRI 소 장
(간 사) 기술표준원 기술정보신뢰성과장 당연직

화학소재 기술위원회 명단
성 명 소 속 직 위
(위원장) 이낙영 충남대학교 교 수
(위 원) 산업자원부 생물화학산업과 당연직
산업자원부 기초소재산업과 당연직
기술표준원 신뢰성과 당연직
권영일 청주대학교 교 수
김현중 서울대학교 교 수
도제성 한국고무학회 회 장
이형만 (주)LG화학테크센터 센터장
임양수 현대․기아 연구개발본부 팀 장
조재영 서울대학교 교 수
주만수 한국정밀화학협회 이 사
(간 사) 최길영 한국화학연구원 센터장

제정자: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장
제 정:2002년 10월 22일 산업자원부 공고 제 2002-227호
원안작성협력자:한국화학연구원
심 의 위 원 회:신뢰성전문위원회
신 뢰 성 평 가 기 준 RS

자동차 램프용 핫멜트 접착제 M 0005


Hot-melt Adhesives for Automobile Lamps

서 문 이 기준은 자동차 램프용 핫멜트 접착제(이하 핫멜트 접착제라 함)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되도록 제정되었다.

1. 적용 범위
1.1 평가 대상 이 기준은 자동차 헤드램프(head lamp), 리어램프(rear lamp), 안개등(fog lamp),
측면방향 지시등(side reflector)용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표준화 된 사용환경 하에서의 내구 신
뢰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평가기준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핫멜트 접착제라 함은 자동차 램프 제
품 또는 부품의 조립에 사용되는 접착강도 8 MPa 이하의 비구조용 접착제를 의미한다. 일반적
으로 핫멜트 접착제는 에틸렌 공중합수지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고무
계, 반응형 수지계 핫멜트 접착제 등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기준에서는 자동차램
프용 핫멜트 접착제를 평가대상으로 한다.
1.2 평가 방법 이 기준에서 핫멜트 접착제의 내구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평가방
법은 접착제 자체의 기본물성 측정과 단일인자에 의한 가속노화 환경, 즉 온도, 수분, 하중 중
선택된 단일인자의 가속노화 환경 하에서의 접착제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방법, 그리고 이들 단일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가속노화 조건 하에서의 핫멜트 접착제의 내환경성 평가방법을 적
용하여 평가한다.
1.3 제외대상 이 기준은 핫멜트 접착제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것으로서 1.1에 정의한 평가대상
이외의 핫멜트 접착제는 평가에서 제외하며, 또한 본 기준에서 채택하고 있지 않은 피착재에 의
한 평가는 수행될 수 있지만 수행된 평가 결과는 신뢰성 인증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1.4 주의사항 이 기준은 핫멜트 접착제 사용과 관계된 모든 문제를 평가하지는 않으며, 특히
핫멜트 접착제의 사용상 작업성 및 인체 안전성 등과 생물학적 변질에 의한 내구 신뢰성에 대하
여는 규정하지 않는다.

2. 인용 규격
다음에 나타내는 규격은 이 기준에 인용됨으로써 이 기준의 규정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인용
규격은 그 최신판을 적용한다.
KS M 0024 적외선 분광 분석 방법 통칙
KS M 3048 플라스틱의 열중량 측정 방법
KS M 3705 접착제의 일반 시험 방법
KS M 3710 자동차용 접착제 시험 방법
KS M 3718 접착제의 접착강도 시험 방법 통칙
KS M 3730 접착제의 내수성 시험 방법
KS M 3734 접착제의 인장 전단 접착강도 시험 방법
ISO 9142 Adhesives - Guide to the Selection of Standard Laboratory Aging

- 1 -
Conditions for Testing Bonded Joints
ISO 10363 Hot-melt adhesives - Determination of Thermal Stability
ISO 13895 Adhesives - Guidelines for the Surface Preparation of Plastics
ASTM D 896 Standard Test Method for Resistance of Adhesive Bonds to
Chemical Regents
ASTM D 907 Standard Terminology of Adhesives
ASTM D 1002 Standard Test Method for Strength Properties of Adhesives in
Shear by Tension Loading(Metal-to-Metal)
ASTM D 1151 Standard Test Method for Effect of Moisture and Temperature on
Adhesive Bonds
ASTM D 1183 Standard Test Method for Resistance of Adhesives to Cyclic
Laboratory Aging Condition
ASTM D 2651 Standard Guide for Preparation of Metal Surfaces for Adhesive
Bonding R(1995)
ASTM D 2903 Standard Practice for Preparation of Surfaces of Plastics Prior to
Adhesive Bonds
ASTM D 4497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n Time of Hot Melt
Adhesives (Manual Method)
ASTM D 4498 Standard Test Method for Heat-Fail Temperature in Shear of Hot
Melt Adhesives
ASTM D 4499 Standard Test Method for Heat Stability of Hot-Melt Adhesives

3. 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으며, 아래에 설명되지 않은 용어는 KS M 3699
에 따른다.
a) 핫멜트 접착제 물과 용제를 전혀 함유하지 않고 실온에서 고체이며, 100 % 불휘발성의 열
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 접착성 수지를 말한다.
b) 오픈타임 접착제를 피착재에 도포하고 나서 접착할 때까지의 접착 가능 시간을 말한다.
c) 연화온도 접착제 시료를 규정된 시험조건 아래에서 가열했을 때, 시료가 연화되어 규정거리
까지 아래로 늘어질 때의 온도를 말한다.
d) 용융점도 용융상태에 있는 접착제의 점도를 말한다.
e) 인장전단 접착강도 인장 하중에 의하여 접착면에 전단응력을 가해 접착 접합부가 파단되었
을 때의 강도로 전단면적에 대한 최대 하중으로 표현된다.
f) 접착내구성 접착 결합의 노화 및 열화 작용에 대한 저항성의 정량적 또는 정성적 표현이다.
g) 표면처리 피착재 표면을 접착제 접합에 적합한 상태로 하기 위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
를 통칭한다.
h) 접착노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접착 접합부의 성능이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저하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 2 -
i) 균일도 시험 제조사에서 제출된 접착 시편의 접합 균일성에 대한 시험으로 주로 접착강도의
균일성에 대한 평가로서 수행된다.
j) 단위 기준을 기술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단위는 국제단위계(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인 SI 국제단위계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온도는 ℃ (degree Celsius), 힘은
N(newton)으로, 접착력은 MPa(mega pascal)의 SI 국제단위계를 사용한다.

4. 핫멜트 접착제의 분류
4.1 분류기준 이 기준에서 핫멜트 접착제의 분류는 사용된 기본수지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기
준으로 분류한다.
4.2 분류표 이 기준에서 적용한 핫멜트 접착제의 주요 기본수지에 의한 분류표는 그림 1과 같
다.

폴리 프로필렌 (APP)

폴리올레핀 수지계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폴리 알파 올레핀 (APAO)

EVA계

에틸렌 공중합수지계 EEA계


그 외의 에틸렌폴리머
(EAA, EMA, EnBA, EMAA 등)
다이머산계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수지계
나일론계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알키드

고무 수지계 열가소성 고무 핫멜트

전자선 또는 자외선 가교

이온가교
반응형 수지계
가열가교형

습기경화형

수분산형

내열성
기타 특수형
생분해성

제습형

그림 1 핫멜트 접착제의 기본수지에 의한 분류

- 3 -
5. 평가신청 요건
5.1 공장심사 신뢰성 평가를 신청하고자 하는 핫멜트 접착제 제조사는 ISO 9000 시리즈 및 이
와 동등한 자격을 획득했거나 또는 이에 준하는 내부 품질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이를 공식적으
로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하여야 하며, 이와 관련된 심사규정 및 절차는 기술표준원고시 제
2001 - 460호의 부품․소재 신뢰성인증을 위한 공장심사 규정에 따른다. 따라서 신뢰성평가는
이러한 자격 요건을 인정받은 업체에서 생산된 핫멜트 접착제 제품으로 국한한다.
5.2 접착제 일반사항의 제공 신청자는 평가받고자 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제조일자, 제조 롯트
등과 함께 핫멜트 접착제 제조에 사용한 기본 바인더수지의 종류 및 사용량, 첨가제의 사용 유
무, 핫멜트 접착제의 용도 및 접착조건, 적용 피착재의 재질 및 표면처리 방법, 접착제의 유통기
간 및 보관방법, 기본적 물성 데이터 등의 심사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단, 평가
대상 접착제의 일부 조성 성분이 갖는 화학적 성분구조가 제조사의 핵심기술인 경우에는 해당
성분의 구조를 일반명으로 표시하여 제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인체에 위해한 성분이 포함된
경우에는 정확한 화학구조식과 화학명을 표시하여야 한다.

6. 특성분석
6.1 분석시료 및 자료제출 신청자는 평가용 접착시편 제출 시 시편 제조에 사용된 6개의 핫멜
트 접착제 롯트를 제출하여야 하고 동시에 일반 사양을 작성제출 하여야 한다. 평가자는 이중 한
롯트를 랜덤 샘플링 방법으로 샘플링하여 특성분석에 사용하며, 사용된 롯트는 분석결과에 표기
하여야 한다.
6.2 분석의 유효성 이 시험은 평가 대상 핫멜트 접착제의 특성을 분석하여 시편제작에 사용된
접착제의 검증을 위한 분석으로 핫멜트 접착제의 내구 신뢰성평가에 직접 평가항목으로 반영되
지는 않는다. 단 이 분석의 결과는 분석된 결과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접착제에 대해서만 신뢰성
평가의 결과가 유효하다는 입증 자료로 사용된다.
6.3 적외선 분광 분석 신청자가 제출한 핫멜트 접착제 중 선정된 한 롯트의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KS M 0024에 따라서 적외선 분광 분석을 실행한다.
6.4 열중량 분석 신청자가 제출한 핫멜트 접착제 중 선정된 한 롯트의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
여 KS M 3048에 따라서 열중량 분석을 실행한다. 이때 승온속도는 특정한 문제가 없는 경우
10 ℃/분의 승온속도를 사용하고 가스 분위기는 질소를 사용하여 800 ℃의 온도까지 승온하여
분석하며, 이외의 조건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된 조건과 사유를 명기하여야 한다.
6.5 동적 점탄성 분석 신청자가 제출한 핫멜트 접착제 중 선정된 한 롯트를 이용하여 다음에
규정한 방법으로 동적 점탄성 분석을 실행한다. 분석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25 mm의
지름을 가진 평행원판을 1 mm의 두께로 시료를 맞추어 10 %의 변형량, 10 Hz의 주파수 측정
조건으로 분석한다. 이때 승온속도는 특정한 문제가 없는 경우 3 ℃/분의 승온속도를 사용하고
가스 분위기는 질소를 사용하여 분석하며, 이외의 조건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된 조건
과 사유를 명기하여야 한다.
6.6 연화점(환구법) 신청자가 제출한 핫멜트 접착제 중 선정된 한 롯트를 이용하여 KS M 2250
에 따라서 연화점을 측정한다. 측정은 환, 강구, 환 받침대, 가열중탕, 온도계, 가열기로 이루어진
측정기가 필요하며, 시료를 주입한 2개의 환, 온도계, 구안내를 환받침대에 놓고, 가열 중탕내에
조립한다. 약 32 ℃의 글리세린을, 가열중탕에 (100 ~ 110) mm의 높이까지 채운 후 중탕온도
를 32 ℃로 15분간 유지한다. 미리 중탕온도로 한 강구를 핀셋으로 구안내의 중앙부에 놓고 가
열을 시작한다. 가열속도는 (5.0±0.5) ℃로 하며, 시료가 점차로 연화되어 밑바닥에 닿을 때의

- 4 -
온도계의 눈금을 읽고 이것을 기록한다. 온도계의 노출부에 대한 보정은 하지 않는다. 2개의 결
과의 차가 1 ℃를 넘을 경우 시험을 다시 한다. 2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0.5 ℃에 가까운 숫자
를 연화점으로 한다.
6.7 자료 보존 및 기간 분석 결과에 대한 자료 보존은 해당 신뢰성평가의 유효기간 동안 지속
되어야 한다. 유효기간이 별도로 정해지지 않는 경우 해당 자료의 보존기간은 평가 신청일로부터
5년으로 정한다. 보존 방법은 문서 자료의 보존 또는 문서자료의 해당 컴퓨터 파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자료 보존 범위는 신청자가 작성 제출한 핫멜트 접착제의 성분내용이 포함된 사양서
및 분석방법과 시료 내역이 표시된 분석 결과 등이다.
6.8 유효성 검증 특성분석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분석의 내용이 신청자가 제출한 성분사양과 상
이하게 다른 경우 평가자는 신청자의 평가신청 상의 시료 불분명을 사유로 평가를 반려 또는 유
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평가자는 신청자에게 이에 대한 의견 통지 및 이의 신청 기회를 제공하
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동일한 제품을 구입하여 평가에 제출한 샘플
과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의 분석 결과가 상이한 경우에도 평가자는 신청자의 평가신
청 상의 시료 불분명을 사유로 평가를 반려 또는 유보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평가자는 신청
자에게 이에 대한 의견 통지 및 이의 신청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비교분석에 의한
제출 접착제의 유효성 검증은 신뢰성평가가 완료되어 평가결과가 고지된 이후에도 유효하다. 즉
평가가 완료된 제품의 유효성 검증이 평가 이후에 이루어져 검증 결과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평가의 유효성은 취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평가자는 신청자에게 이에 대한 의견
통지 및 이의 신청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7. 핫멜트 접착제의 샘플링 및 시편의 제조


7.1 접착제 샘플링 신청자는 접착시편 제조를 위해 6개의 서로 다른 롯트로 제조된 핫멜트 접
착제를 랜덤 샘플링 한다. 샘플링은 제조일로부터 7일(1주)이상 경과하고, 49일(7주) 이내에
생산된 것을 생산일자(1주) 간격으로 나눈 후 표 1의 샘플링 작업군으로 부터 랜덤하게 샘플링
하는 방법으로 모두 6개의 롯트를 선택함을 원칙으로 한다. 같은 일자범위를 갖는 샘플링의 경
우에는 생산일자가 겹치지 않도록 고려하여 샘플링한다.

표 1 핫멜트 접착제의 샘플링 롯트 선정을 위한 생산일자별 작업군

샘플링 롯트 샘플링 1 샘플링 2 샘플링 3 샘플링 4 샘플링 5 샘플링 6


제조후
8 ~ 14 15 ~ 21 22 ~ 28 29 ~ 35 36 ~ 42 43 ~ 49
경과일

해당 작업군의 생산일자에서 샘플링할 수 있는 생산 롯트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군에 인접


한 전후의 작업군에서 샘플링 하되 해당 작업군에서 이미 샘플링 된 롯트와는 다른 생산일자를
갖는 생산 롯트의 것을 샘플링하여야 한다. 같은 종류의 핫멜트 접착제 생산일자가 49일 이내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소한 서로 다른 생산일자를 가지고 있는 6개의 핫멜트 접착제 롯트를
선정하되 가능한 한 생산일자가 분산되도록 조정하여 샘플링한다. 샘플링한 핫멜트 접착제는 한
롯트 당 24 ~ 32개 씩 총 144 ~ 190개의 접착시편 제조에 사용하고 남은 핫멜트 접착제를 각 롯
트 당 500 g 이상 씩 변질이 이루어지지 않는 용기에의 포장 방법으로 평가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이 핫멜트 접착제들은 표 1에서 샘플링 된 것과 동일한 것이어야 하며 평가용 시편 제작

- 5 -
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보관 용기에서 취한 것들이어야 한다. 모든 핫멜트 접착제 샘플은 제조
사명, 제조일자, 롯트 번호, 샘플링 일자, 제출일자, 보존 기간, 주의사항 등을 표기하여야 한다.
단, 생산공정 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샘플링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능한 샘플링 방
법을 사용하되 샘플링 방법과 그 사유를 명기하여야 한다.
7.2 시편의 제조
7.2.1 시편 상의 표시 제조된 시편에는 사용한 접착제의 롯트 번호와 제작 순서에 따라 일련
번호를 1-1, 1-2, …, 2-1, 2-2, …의 방법(롯트번호-제작일련번호)으로 명확히 표시하여야
한다. 각 롯트 번호별로 제조된 피착재는 시험항목별로 고르게 분배하여 각 평가에서 수행되는
접착강도 시험에 사용하여야 한다.
7.2.2 피착재 핫멜트 접착제의 평가에 사용되는 피착재는 표 2에서 규정된 재질을 사용한다.
이 때 피착재의 두께는 (3.2±0.2) mm로 규정한다. 단 유리섬유 천 기재 에폭시수지 적층판의
경우의 두께는 (2.0±0.05) mm로 사용한다.

표 2 피착재의 종류 및 해당규격

재 질 해당 규격 비 고

렌즈용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KS M 3152 108 - 030(내열용)


피착재 폴리카보네이트 KS M 3153 중점도품
탈크 30 %를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
하우징, 복합폴리프로필렌
ABS(acrylonitrile-butadiene
리플렉터용 KS M 3347 C종
-styrene)수지
피착재 유리섬유 천 기재
KS M 3337 EL-GEM
에폭시 수지 적층판

7.2.3 피착재의 표면처리 본 기준에서는 플라스틱 피착재를 이소프로필알콜(IPA)이 적셔진 깨


끗한 천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휘발 건조시켜 사용한다.
표면처리제나 커플링제 등의 전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청자의 요청에 의한 방법으로 사
용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자세한 사용 내역을 제출하여야 하며, 제출된 자료의 전처리제 사용
외의 인정되지 않은 피착재 전처리에 의한 접착시편의 제조가 확인된 경우에는 평가 결과를 취
소할 수 있다.
7.2.4 피착재의 보관 피착재는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표준상태에서 보관 처리하여야 한다.
7.3 접착시편(시편)의 제조 시편은 7.2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피착재를 평가기
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신청자는 그림 1과 같은 모양과 치수로, 평가할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롯트당 30개 또는 32개씩 총 182개의 시편을 제조한다. 이때 시편은 렌즈용 피착재와 하우징,
리플렉터용 피착재을 사용한 이종간의 접착으로 제조하며, 시편의 접착층 두께는 (0.1 ~ 5) mm
의 범위이내에서 균일하게 제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6 -
접착층 두께: (0.1 ~ 5) mm

그러나 이 경우에도 균일한 접착층 두께를 갖도록 접착제의 도포량과 고화 시의 고정 하중을 균


일하게 부여하여 제조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제작된 개별 시편의 접착층 두께는 0.01 mm의
단위로 측정하여 판정보고서에 모두 기재되어야 한다.
단위 : mm

97.0±0.25

3.2±0.2
72.0±0.25 25.0±0.25

접착제 25.0±0.25

(a)

97.0±0.25

3.2±0.2
72.0±0.25 25.0±0.25 12.5±0.25

φ8
접착제 25.0±0.25

(b)
그림 2 핫멜트 접착시편의 모양과 치수; (a) 물림형 시편, (b) 핀 고정형 시편

7.4 평가항목별 요약 핫멜트 접착제의 평가는 그림 3과 같은 흐름도로 평가가 진행되며, 또한


평가시험 항목을 크게 나누면, 핫멜트 접착제의 구성내용을 확인하고 신청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재질특성 분석과 핫멜트 접착제의 균질성을 판정하기 위한 균일도 평가, 핫멜트 접착제 최
소 요구 물성값을 측정하여 합부를 판정하기 위한 물성특성 평가, 핫멜트 접착제의 사용환경에
대한 내구신뢰성을 실험실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내구특성 평가로 나눈다. 각 롯트 번호 당 제조
된 시편에 대해서는 표 3에 따라서 핫멜트 접착제 평가에 수행되는 시험에 사용하여야 한다.
재질특성 평가는 신청된 핫멜트 접착제의 평가의 유효성 입증을 위한 시험으로 평가 신청 자체
의 유효성에만 관여할 뿐 평가결과의 등급 적용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물성특성 평
가는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되는 제품의 용도에 따른 최소한의 요구물성을 만족하는지를 합부 판
정으로 수행하는 시험항목들로 구성되며 모든 시험항목에서 기준치를 통과하여야 한다. 내구특
성 평가는 접착제의 사용환경을 온․습도 조건에 따라 단일인자 시험과 복합환경 시험으로 구분하
고 각각의 시험조건을 표준화된 실험실적 가속환경으로 모사하여 핫멜트 접착제의 내환경성을

- 7 -
평가하는 시험항목이다. 접착제의 평가는 이와 같은 실험실적 가속환경 노출 후의 접착강도 저
하율과 수밀성으로 판정을 받게 되며, 따라서 핫멜트 접착제의 전체적인 시험항목은 표 4와 같
이 정리하였다.
표 3 롯트별 시편 제작 수 및 적용시험, 적용개수

내환경성
접착제 롯트 총 시편수 접착균일도 열물성 내구시험 예비시편
시험
1 30개 2개 (+2개) 1개 7개 5개 15

2 30개 2개 (+2개) 1개 7개 5개 15

3 30개 2개 (+2개) 1개 7개 5개 15

4 30개 2개 (+2개) 1개 7개 5개 15

5 30개 2개 (+2개) 1개 7개 5개 15

6 32개 2개 (+2개) 1개 7개 6개 16

합계 182개 12개 (+12개) 6개 42개 31개 91

- 8 -
접착시편용 피착재 제공
(진공포장, 364개 제공)

핫멜트접착제 생산롯트별
샘플링
(6개 롯트)
시편제조용 시편
제공후 15일 이내에 접착시편 제조
제출 ( 총 182개)

접착시편 제출
( 롯트표시,총 182개)

접착시편 conditioning
(항온항습기)

신청자 제출 후
접착 균일도 시험 평가거부/평가승인
15일 이내에
(롯트당 2개, 총 12개) (신청자 및 인증기관 통보)
균일도 시험 착수

열물성, 내구시험평가
내환경성(총 31개)
(롯트당 7개, 총 48개)

파단면 관측 및 수치 계산

인증 및 보고서 제출
판정 및 보고서 작성
(인증기관 통보)

그림 3 자동차 램프용 핫멜트 접착제의 신뢰성평가 절차

- 9 -
표 4 핫멜트 접착제의 평가항목별 요약

평가항목 시험조건 시편수 절 판정기준 판정

적외선 핫멜트
KS M 0024에 준함 6.3 - -
분광분석 접착제
핫멜트
열중량분석 KS M 3048에 준함 6.4 - -
접착제
10 % 변형량,10 Hz, 핫멜트
동적점탄성분석 6.5 - -
승온온도 3 ℃/min 접착제
핫멜트
연화점 KS M 2250에 준함 6.6 - -
접착제
평균접착강도 ±10 %이상인
균일도 (23±2) ℃/(50±5) %RH 12 8 합/부
편차시편수 1개 이하
핫멜트
열안정성 72시간노출, 200 ℃ 9.1 점도증감율 20 % 이하 합/부
접착제
(500±5) g의 추 부착,
열크립온도 6 9.2 열크립온도 60 ℃ 이상 합/부
승온온도 5 ℃/min
(80±2) ℃
내열성 6 9.3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504시간
(23±2) ℃ 증류수,
내수성 6 9.4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504시간
(40±2) ℃/(98±3) %RH,
내습성 6 9.5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504시간
(23±2) ℃/(50±5) %RH,
내피로성
30 Hz, 3 %하중, 일천만 6 9.6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동하중)
사이클
(23±2) ℃
내약품성 6 9.7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504시간
-40 ℃ 1 h, 80 ℃ 1 h
냉열성 6 9.8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84시간
-40 ℃ 1 h, 80 ℃ 1 h
냉열수밀성 84시간, 냉열노화 후 6 9.9 누수가 없을 것 합/부
수밀성 시험 실시
(80±2) ℃/4시간, (-30±2)
내환경성 시험 ℃/2시간, (40±2) 31 10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수명평가
℃/15시간, 50일

8. 균일도 시험
8.1 인장시험기 인장 하중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시험시의 최대하중이
그 능력의 (15 ~ 85) %의 범위의 것으로서 인장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전단
접착강도에 경우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분당 (0.8 ~ 1.0) kN의 속도, 또는 크로스헤드의 이
동 속도를 분당 (0.8 ~ 1.0) kN의 하중부여에 해당하는 속도로 하중을 부여하여 접착이 파괴될
때의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 10 -
8.2 시편의 선정 시편은 7.2의 방법대로 제조된 6개 롯트의 170개의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
도 측정용 시편중 각 롯트 당 2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12개의 시편을 사
용한다.
8.3 조작 시편은 신청자에게 제공된 날로부터 30일 이내, 또한 신청자가 시편을 제조하여 평가
기관에 제출된 날로부터 15일 이내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시편들은 접착강도 측정 전에 최소
한 24시간 동안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보관
처리되어야 한다. 처리된 시편은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을 수행한다. 시편의 양 물림 부분을 지지체와 함께 시험기의
물림구에 고정하고, 시편의 장축과 물림구 중심선이 일직선상에 있고, 하중이 올바르게 그 선 위
를 통과하도록 하여 하중(분당 (784 ~ 980) N/min의 인장속도)을 걸고 시편이 파괴될 때까지
의 최대 하중을 기록한다.
8.4 계산 인장전단 접착강도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계산된 전단 단위 면적 당 하중(Pa,
2
N/m )으로 표시한다.
최대하중  
인장전단접착강도    
측정전단면적  
전체 시편의 평균접착강도는 측정에 사용된 각 시편의 접착강도를 합한 값을 시편수로 나눈 값
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1 n
n ∑
x = x i
i= 1

여기서 n은 측정에 사용된 시편수로 접착균일도 시험의 시편 수는 12개이다.


χi는 개별 시편의 측정된 접착강도이다.
개별 시편의 접착강도편차는 개별 시편의 접착강도가 평균접착강도로부터 벗어나는 차이 값을
개별 접착시편의 접착강도로 나눈 값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c=
| x- x i | ×100
xi
여기서 
 는 균일도 시험에 사용된 전체 12개 시편의 전체 평균접착강도이다.
x i는 개별 시편의 측정된 접착강도이다.
표준편차는 개별 접착강도의 제곱합에서 평균 접착강도의 제곱을 뺀 다음 시편수와 시편수에서
하나를 뺀 값의 곱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 값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n n 2
2
n ∑ x i - ( ∑ x i)
i= 1 i= 1
표준편차 =
n( n- 1)
여기서 n은 측정에 사용된 시편수로 접착균일도 시험은 12개이다.
  는 개별 시편의 측정된 접착강도이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접착제의 파괴), 계면파괴(시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 박리),


피착재의 상태, 핫멜트 접착제 두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한다.
8.5 균일도 판정 12개의 시편에 대한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과 계산이 이루어지면 전체 시편
의 평균접착강도, 개별 시편의 접착강도 편차값을 기록하는 평가보고서를 작성한다. 접착 균일도
는 전체 시험에 사용된 12개 시편중 개별 시편의 접착강도 편차가 10 % 이상 벗어나는 시편 수
가 1개 이하인 경우에 승인된다. 만약 제출된 시편의 접착 균일도가 불합격되어 신청자가 균일

- 11 -
도 시험을 재신청하는 경우 제작된 시편 중 12개를 재선정하여 재시험 할 수 있으나 이는 1회에
한하며 시험결과는 이전에 수행된 접착 균일도 시험의 결과와 합산하여 판정한다. 즉 전체 시편
수는 24개로 처리되며 평균접착강도는 2회에 걸쳐 시험된 24개 시편의 전체 평균접착강도로 계
산한다. 또한 개별 시편의 접착강도 편차에 의한 균일도 판정은 개별 시편의 접착강도 편차가
10 % 이상 벗어나는 시편 수 2개 이하인 경우에 승인한다. 따라서 균일도 시험에서 3개 이상의
시편이 벗어나는 시험결과에 대한 재시험 신청은 수행하지 않는다.

표 5 접착 균일도 시험 판정 기준

분 류 10 % 이상 편차 시편 수 시험 시편 수
평가 승인 1개 12개
합산 시험 2개 24개 (재시험 시편 포함)
평가 보류 3개 이상 24개 (재시험 시편 포함)

9.물성평가
9.1 열안정성
9.1.1 열안정성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상온에서 300 ℃까지 조절이 가
능한 강제송풍식 열안정성 시험기로 온도의 오차는 ±2 ℃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300 ml의
스테인리스 또는 유리로 된 시험용기를 넣고 공기의 흐름이나 열의 순환이 자유로울 수 있는 내
용적을 갖아야 한다.
9.1.2 점도측정기 접착제의 용융점도를 측정하는 점도계는 Brookfield형 단일원통회전 점도계
및 이중원통회전 점도계로서 아날로그형 또는 디지털형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용융
시킬 수 있는 가열장치와 온도계가 부착되어야 하며, 200 Pa․s(200 000 cP)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9.1.3 조건 및 조작 열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우선 시험할 핫멜트 접착제의 적당한 양((300±5)
g을 열안정성 시험기에 넣고 고온 노출에 의한 열적 열화를 유도한다. 이 때 설정온도는 업체가
지정한 사용온도로 사용한다. 핫멜트 접착제의 열화는 용융점도 변화와 육안관찰에 의한 상태변
화를 관측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핫멜트 접착제를 처음 오븐에 넣어서 열적 평형상태에 도달하
는 하는 과정의 시간은 무시하며, 핫멜트 접착제 시료가 들어 있는 시험용기를 시험기에 넣은 시
간을 기준하여 고온 노출 시간을 계산한다. 이런 상태로 72시간을 노출시킨 후 꺼내서 9.1.2의
점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용융점도를 측정한다.
9.1.4 계산 및 기록 측정한 용융점도는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사용하여 점도 변화율로서 계산
하고 기록한다.

( V 72h - V 0h )×100
ΔV =
V 0h

여기서, V 0h
: 고온 열화 이전의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점도

V 72h
: 72시간 고온 열화 이후의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점도

이때 점도변화율은 V0h을 기준으로 하여 V72h를 백분율로 구한다. 또한, V72h에서 핫멜트 접착제의
상태변화,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표면의 스킨 형성, 연기 발생, 상분리 거동, 겔화 생성, 침전
작용, 색상변화 등을 기록한다.

- 12 -
9.2 열크립온도
9.2.1 열크립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상온에서 (300±2) ℃까지 조절이
가능한 챔버와 시편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이 고리는 시간과
온도 측정이 가능한 장치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9.2.2 시편 준비 시편은 7.3의 방법대로 제조된 핀 고정형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용 시편 중
각 롯트 당 1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6개의 시편을 사용한다.
9.2.3 조작 시편 보관 챔버에서 시편을 꺼내서 열크립 시험기에 매달고 시편의 끝에 (500±5)
g의 추를 부착시킨 후에 시험기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시험기의 초기온도는 핫멜트 접착제의 연
화점 온도보다 낮은 최소 (25 ~ 40) ℃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시험기의 승온속도는 수동인 경
우는 5 ℃/min, 프로그램이 가능한 경우는 30 ℃/hr로 시편의 접착이 파괴되어 두 피착재가 분리
될 때까지 지속한다. 시편에 매달린 추의 무게에 의하여 시편이 떨어지는 온도를 관측하여 기록
한다. 시편에 부여하는 하중은 일반적으로 (500±5) g으로 규정하나 특별한 용도를 염두에 둔
시험인 경우에는 그 외의 하중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평가보고서 상에 사용하중을 기
록하여야 한다.
9.2.4 계산 6개 시편의 개별 열크립 온도를 소숫점 첫째자리의 산술 평균으로 구한다.
9.3 내열성
9.3.1 인장시험기 인장 하중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시험시의 최대하중이
그 능력의 (15 ~ 85) %의 범위의 것으로서 인장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전단
접착강도에 경우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분당 (0.8 ~ 1.0) kN의 속도, 또는 크로스헤드의 이
동 속도를 분당 (0.8 ~ 1.0) kN의 하중부여에 해당하는 속도로 하중을 부여하여 접착이 파괴될
때의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9.3.2 열노화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50 ~ 250) ℃까지 조절이 가능한
강제 송풍식 열노화 시험기로 온도의 오차는 ±2 ℃를 유지할 수 있는 열노화 시험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 열노화 시험기는 6개의 시편이 각각 5 cm이상 분리된 상태로 공기의 흐름이나 열
의 순환이 자유로울 수 있는 내용적을 갖아야 한다.
9.3.3 시편의 선정 시편은 6.2의 방법대로 제조된 6개 롯트의 170개의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
도 측정용 시편 중 각 롯트 당 1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6개의 시편을 사
용한다.
9.3.4 조작 시편들은 노화시키기 전에 최소한 24시간 이상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챔버에서 보관한다. 시편을 시편 보관용 챔버에서 꺼내어 8.2.2의
열노화 시험기에서 80 ℃의 온도로 504시간 동안 노출시킨다. 시험기 내부에서 시험함에 있어
시편과 시편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편 사이를 2 cm 이상 유지하여 6 × 1 배열 방식으로
열노화 시험기의 모서리를 피하여 배치하고, 시편은 시험 중 수직하게 위치시키되 시편 자체 하
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시편의 위와 아래를 각각 고정하여 위치시키는 시편 거치대를
사용한다.
9.3.5 계산 노출 후 평균접착강도 및 표준편차 등은 8.4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6개 시편 전체에
대한 값으로부터 구한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핫멜트 접착제의 파괴), 계면파괴(시
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 박리), 피착재의 상태, 접착층 두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한다.
9.4 내수성(침수)
9.4.1 인장시험기 인장 하중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시험시의 최대하중이

- 13 -
그 능력의 (15 ~ 85) %의 범위의 것으로서 인장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전단
접착강도에 경우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분당 (0.8 ~ 1.0) kN의 속도, 또는 크로스헤드의 이
동 속도를 분당 (0.8 ~ 1.0) kN의 하중부여에 해당하는 속도로 하중을 부여하여 접착이 파괴될
때의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9.4.2 내수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3±2) ℃의 온도로 균일하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깊이 30 cm 이상의 침수시험용 항온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 항온조는 6개의 시편
이 각각 5 cm이상 분리된 상태로 열의 흐름이 자유로울 수 있는 내용적을 가져야 하며, 시편 전
체가 물 속에 침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수분의 증발에 의한 물높이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
해 항온조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이 달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항온조 내의 온도분포를
고르게 하기 위한 내부 순환 펌프를 장치하고 있는 시험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9.4.3 시편의 선정 시편은 7.2의 방법대로 제조된 6개 롯트의 170개의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
도 측정용 시편 중 각 롯트 당 1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6개의 시편을 사
용한다.
9.4.4 조건 및 조작 시편들은 노화시키기 전에 최소한 24시간 이상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챔버에서 보관한다. 시편을 시편 보관용 챔버에서 꺼
내어 9.4.2의 내수시험기에서 (23±2) ℃의 증류수(또는 탈이온수) 침수 환경 하에 504시간(21
일) 동안 노출시킨다. 이때 시편과 시편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편 사이를 2 cm 이상 유지하
여 6 × 1 배열 방식으로 각 시험기의 모서리를 피하여 배치하고, 시편은 시험 중 수직하게 위치
시키되 시편 자체 하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시편의 위와 아래를 각각 고정하여 위치시
키는 시편 거치대를 사용한다. 단 시편 거치대는 각 시험기 내부의 물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
및 칸막이를 가지고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한번 시험에 사용한 증류수는 다음 시
험에 재사용하지 않으며 매 시험마다 새로운 증류수를 사용한다. 침수 후의 시편은 물에서 꺼낸
즉시 (1시간 이내) 거즈 및 마른 수건으로 표면의 물기만을 닦은 후 즉시 8.3에서 규정한 방법
으로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 전에 접착면의 파괴 및 이상이 관
찰된 시편의 경우에는 접착파괴 상태, 시험기 내 위치, 기타 식별 가능한 변화를 모두 기록한다.
9.4.5 계산 노출 후 평균접착강도 및 표준편차 등은 8.4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6개 시편 전체에
대한 값으로부터 구한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핫멜트 접착제의 파괴), 계면파괴(시
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 박리), 피착재의 상태, 접착층 두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한다.
9.5 내습성
9.5.1 인장시험기 인장 하중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시험시의 최대하중이
그 능력의 (15 ~ 85) %의 범위의 것으로서 인장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전단
접착강도에 경우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분당 (0.8 ~ 1.0) kN의 속도, 또는 크로스헤드의 이
동 속도를 분당 (0.8 ~ 1.0) kN의 하중부여에 해당하는 속도로 하중을 부여하여 접착이 파괴될
때의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9.5.2 항온항습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5 ~ 90) ℃의 온도범위에서 (20 ~
98) %의 상대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 시험온도 범위에서 ±2 ℃의 온도 및 ±3 %의 상
대습도 조절 능력을 갖는 항온항습 시험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 항온항습 시험기는 6개의 시
편이 각각 2 cm이상 분리된 상태로 습기의 흐림이나 열의 순환이 자유로울 수 있는 내용적을
갖아야 한다.
9.5.3 시편의 선정 시편은 7.2의 방법대로 제조된 6개 롯트의 170개의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
도 측정용 시편중 각 롯트 당 1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6개의 시편을 사

- 14 -
용한다.
9.5.4 조건 및 조작 시편들은 노화시키기 전에 최소한 24시간 이상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챔버에서 보관한다. 시편을 시편 보관용 챔버에서 꺼내어
9.5.2의 항온항습 시험기에서 40 ℃, 98 % 상대습도의 고습 환경 하에 504시간(21일) 동안 노
출시킨다. 이때 시편과 시편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편 사이를 2 cm 이상 유지하여 6 × 1
배열 방식으로 항온항습 시험기의 모서리를 피하여 배치하고, 시편은 시험 중 수직하게 위치시키
되 시편 자체 하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시편의 양모서리를 고정하여 위치시키는 시편
거치대를 사용한다. 단 시편 거치대는 항온항습 시험기 내부의 공기 순환이나 열 흐름을 방해하
는 구조물 및 칸막이를 가지고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시험 후 시편은 24시간 동안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보관 처리한 후 8.3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 전에 접착면의 파괴 및
이상이 관찰된 시편의 경우에는 접착파괴 상태, 시험기 내 위치, 기타 식별 가능한 변화를 모두
기록한다.
9.5.5 계산 노출 후 평균접착강도 및 표준편차 등은 8.4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6개 시편 전체에
대한 값으로부터 구한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핫멜트 접착제의 파괴), 계면파괴(시
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 박리), 피착재의 상태, 접착층 두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한다.
9.6 내피로성
9.6.1 피로 시험기 최대 인장전단 접착강도의 (10 ~ 80) % 범위로 사인파 주기의 피로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피로시험기를 사용한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는 주파수를 30 Hz로 하며 이
외의 경우에도 최대 주파수가 60 Hz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시험기는 시편을 걸었을 때
피로하중 축의 정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시편에 하중이 걸리자마자 중앙에 정렬하
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시험기의 온․습도는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로 조절
될 수 있어야 한다.
9.6.2 시편의 선정 시편은 7.3의 방법대로 제조된 6개 롯트의 170개의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
도 측정용 시편 중 각 롯트 당 1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6개의 시편을 사
용한다.
9.6.3 조건 및 조작 시편은 시험하기 전에 최소한 24시간 이상 (23±2) ℃의 온도, (50±5) %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챔버에서 보관한다. 시편을 시편 보관용 챔버에서 꺼내 시험기의
지그에 시편을 팽팽하게 물리고 시편과 지그가 접착 면적의 중앙과 매달은 점을 통과하는 가상
의 수직선에 완벽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제조된 시편을 인장 하중 장치를 이용하여 접착 균일도
시험에서 측정된 평균접착강도의 30 %에 해당하는 하중을 최대하중으로 하고 평균접착강도의 3
%에 해당하는 하중을 최소하중으로 하는 인장-인장 하중에 의한 피로하중을 시편에 30 Hz로
적용하여 (23±2) ℃의 온도, (50±5) %의 습도 조건으로 일천만 사이클(약 4일) 동안 피로시
킨다. 시험 중 피로 파괴가 발생한 사이클을 명기하고 일천만 사이클에서도 피로파괴가 발생하지
않으면 시편을 피로시험기에서 떼어낸 후 시험을 종료하고 필요한 경우, 24시간 동안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보관 처리하여, 8.3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접착면의 파괴 및 이상이 관찰된 시편의 경우에는 접착
파괴 상태, 시험기 내 위치, 기타 식별 가능한 변화를 모두 기록한다.
9.6.4 계산 피로시험에 사용한 최대 피로하중, 최소 피로하중, 평균 피로하중, 피로 사이클, 피
로시험 중의 온, 습도 변화, 피로파괴가 일어난 사이클 수 등을 모두 명기한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핫멜트 접착제의 파괴), 계면파괴(시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 박리), 피착
재의 상태, 접착층 두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한다.

- 15 -
9.7 내약품성
9.7.1 인장시험기 인장 하중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시험시의 최대하중이
그 능력의 (15 ~ 85) %의 범위의 것으로서 인장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전단
접착강도에 경우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분당 (0.8 ~ 1.0) kN의 속도, 또는 크로스헤드의 이
동 속도를 분당 (0.8 ~ 1.0) kN의 하중부여에 해당하는 속도로 하중을 부여하여 접착이 파괴될
때의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9.7.2 내약품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3±2) ℃의 온도로 균일하게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깊이 30 cm 이상의 내약품성 시험용 항온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 항온조는 6개
의 시편이 각각 5 cm이상 분리된 상태로 열의 흐름이 자유로울 수 있는 내용적을 가져야 하며,
시편 전체가 사용하는 약품 속에 침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약품의 증발에 의한 높이의 변
화를 억제하기 위해 항온조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이 달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항온조
내의 온도분포를 고르게 하기 위한 내부 순환 펌프를 장치하고 있는 시험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
다.
9.7.3 화학약품의 선정 내약품성 시험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은 한국산업규격에 규정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 종류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에 사용한 화학약품은 평가보고서 상에 상
세하게 기재한다.

표 6 내약품성 시험용 화학약품

종류 해당규격 비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류,
세제류 KS M 2821
시판중인 제품을 사용

9.7.4 시편의 선정 시편은 8.4.1의 방법대로 제조된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용 시편 중
각 롯트 당 1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6개의 시편을 사용한다.
9.7.5 조건 및 조작 시편들은 노화시키기 전에 최소한 24시간 이상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챔버에서 보관한다. 시편을 시편 보관용 챔버에서 꺼내어
9.7.2의 내약품성 시험기에 넣고 온도를 (23±2) ℃를 유지하면서 504 시간 동안 노출시킨다.
이때 시편과 시편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편 사이를 2 cm 이상 유지하여 6 × 1 배열 방식
으로 각 시험기의 모서리를 피하여 배치하고, 시편은 시험 중 수직하게 위치시키되 시편 자체 하
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시편의 위와 아래를 각각 고정하여 위치시키는 시편 거치대를
사용한다. 단 시편 거치대는 각 시험기 내부의 약품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 및 칸막이를 가지
고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한번 시험에 사용한 화학약품은 다음 시험에 재사용하지
않으며 매 시험마다 새로운 화학약품 사용한다.
노출 후의 시편은 깨끗한 천으로 닦은 후에 즉시 8.3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 전에 접착면의 파괴 및 이상이 관찰된 시편의 경우에는 접착
파괴 상태, 시험기 내 위치, 기타 식별 가능한 변화를 모두 기록한다.
9.7.6 계산 노출 후의 평균접착강도 및 표준편차 등은 8.4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6개씩의 시편에
대한 산술평균 값으로부터 구한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핫멜트 접착제의 파괴), 계
면파괴(시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 박리), 피착재의 상태, 접착제 두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
한다.
9.8 냉열순환(냉열성)
9.8.1 인장시험기 시험기는 8.1의 인장시험기를 사용한다.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분당 (0.8 ~

- 16 -
0.1) kN의 속도, 또는 크로스헤드의 이동 속도를 분당 (0.8 ~ 1.0) kN의 하중부여에 해당하는
속도로 하중을 부여하여 접착이 파괴될 때의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9.8.2 열충격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40 ~ 80) ℃로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방식의 열충격 시험기를 사용한다. 온도 오차는 전 시험온도 구간에서 ±2 ℃ 이내에
서 유지되어야 한다.
9.8.3 시편의 선정 시편은 7.3의 방법대로 제조된 6개 롯트의 170개의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
도 측정용 시편중 각 롯트 당 1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6개의 시편을 사
용한다.
9.8.4 조건 및 조작 시편들은 노화시키기 전에 최소한 24시간 이상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챔버에서 보관한다. 시편을 시편 보관용 챔버에서 꺼내어
9.1.2의 열충격 시험기에서 다음과 같이 -40 ℃ 및 80 ℃의 온도사이클 환경 하에 84시간 (42
사이클) 동안 노출시킨다. 이때 시편과 시편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편 사이를 2 cm 이상 유
지하여 6 × 1 배열 방식으로 열충격 시험기의 모서리를 피하여 배치하고, 시편은 시험 중 수직
하게 위치시키되 시편 자체 하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시편의 위와 아래를 각각 고정하
여 위치시키는 시편 거치대를 사용한다. 단 시편 거치대는 열충격 시험기 내부의 공기 순환이나
열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 및 칸막이를 가지고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냉열순환 시험조건
은 그림 4의 온도 사이클에 준한 조건을 수행한다. (단 80 ℃에서의 상대습도는 60 %를 넘지
않는 환경에서 수행한다.) 시험 후 시편은 24시간 동안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보관 처리한 후 8.3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 전에 접착면의 파괴 및 이상이 관찰된 시편의 경우에는 접착
파괴 상태, 시험기 내 위치, 기타 식별 가능한 변화를 모두 기록한다.

상대습도 60 % 이하
온 80

(℃)

0
1 2
시간 (h)

1h 1h
-40

그림 4 냉열순환 시험을 위한 온도변화 사이클

9.8.5 계산 노출 후 평균접착강도와 접착강도의 표준편차는 8.4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6개 시편


전체에 대한 산술평균 값으로부터 구한다. 단, 노출 중 접착면이 파괴된 시편이 있는 경우에는

- 17 -
해당 시편의 접착강도를 0 MPa의 값으로 처리한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핫멜트 접착제의 파괴), 계면파괴(시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
제 박리), 피착재의 상태, 접착제 두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한다.
9.9 냉열수밀성
9.9.1 시편제조 두께 3 mm, 폭 100 mm, 길이 100 mm의 폴리프로필렌(PP)와 폴리카보네이트
(PC)로 제조한 지지판과 두께 3 mm,폭 10 mm, 길이 100 mm와 80 mm의 스페이서 3개를 이
용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폴리프로필렌(PP)지지판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 할 부분을 그림 5와
같이 표시한 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도포 한 후 고화 시의 고정 하중을 균일하게 부여하여
6개의 시편을 제조하다. 시편은 폴리프로필렌(PP)와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조한 지지판을 이
종간으로 접착한다.

단위 : mm

스페이서
핫멜트접착제
착색수
60
100

40

80
100

그림 5 수밀성 시험 시편의 치수와 규격

9.9.2 열충격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40 ~ 80) ℃로 조절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방식의 열충격 시험기를 사용한다. 온도 오차는 전 시험온도 구간에서 ±2 ℃ 이내에
서 유지되어야 한다.
9.9.3 냉열수밀성 조건 및 조작 시험시편을 노화시키기 전에 25 ℃, 50 %RH에서 24시간동안
수밀성 시험을 실시한다. 수밀성 시험을 통과한 시편 6개를 25℃, 진공건조기에서 24시간을 건
조한 후 열충격 시험기에서 다음과 같이 -40 ℃ 및 80 ℃의 온도사이클 환경 하에 84시간 (42
사이클) 동안 노출시킨다. 이때 시편과 시편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편 사이를 2 cm 이상 유
지하여 6 × 1 배열 방식으로 열충격 시험기의 모서리를 피하여 배치하고, 시편은 시험 중 수직
하게 위치시키되 시편 자체 하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시편의 위와 아래를 각각 고정하
여 위치시키는 시편 거치대를 사용한다. 단 시편 거치대는 열충격 시험기 내부의 공기 순환이나
열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 및 칸막이를 가지고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냉열순환 시험조건
은 그림 4의 온도 사이클에 준한 조건을 수행한다. (단 80 ℃에서의 상대습도는 60 %를 넘지
않는 환경에서 수행한다.) 시험 후 시편은 24시간 동안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보관 처리한 후 수밀성 시험을 실행한다.

- 18 -
9.9.4 수밀성 조건 및 조작 수밀성 시험시편에 착색수를 상부 10 mm까지 넣은 후 25 ℃, 50
%RH에서 24시간을 방치한 뒤 육안으로 관찰한다. 착색수는 적색잉크를 이용한 증류수를 이용한
다.
9.9.5 기록 누수의 경우 고장으로 기록한다.

10.내환경성 시험
10.1 평가장비
10.1.1 인장시험기 인장 하중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시험시의 최대하중
이 그 능력의 (15 ~ 85) %의 범위의 것으로서 인장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전단접착강도에 경우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분당 (0.8 ~ 1.0) kN의 속도, 또는 크로스헤드
의 이동 속도를 분당 (0.8 ~ 1.0) kN의 하중부여에 해당하는 속도로 하중을 부여하여 접착이
파괴될 때의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10.1.2 항온항습 시험기 이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시험기는 (-60 ~ 80) ℃ 범위의 온도 조
절이 가능하며, 습도는 25 %에서 95 %사이의 상대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시험범위 내
에서의 온도의 승온 및 냉각 속도는 각 3 ℃/분 이상이어야 하고, 습도의 오차는 3 % 이내, 온
도의 오차는 ±2 ℃ 이내에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 항온항습 시험기는 6개의 시편이
각각 2 cm이상 분리된 상태로 습기의 흐름이나 열의 순환이 자유로울 수 있는 내용적을 갖아야
한다.
10.2 시편의 선정 시편은 7.3의 방법대로 제조된 6개 롯트로 제작된 170개의 물림형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용 시편 중 각 롯트 당 5개 또는 6개씩의 시편을 랜덤으로 샘플링하여 선정한 총
31개의 시편을 사용한다.
10.3 조건 및 조작 시편들은 노화시키기 전에 최소한 24시간 이상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챔버에서 보관한다. 시편을 시편 보관용 챔버에서 꺼내어 시편
과 시편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편 사이를 2 cm 이상 유지하여 6 × 1 배열 방식으로 각 시
험기의 모서리를 피하여 배치하고, 시편은 시험 중 수직하게 위치시키되 시편 자체 하중에 의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시편의 위와 아래를 각각 고정하여 위치시키는 시편 거치대를 사용한다.
단 시편 거치대는 각 시험기 내부의 공기 순환이나 습기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 및 칸막이를
가지고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시편 거치대에 시편을 고정시킨 후 10.1.2의 항온항습 시
험기에 시편이 수직하게 위치시키고 다음과 같은 복합 환경시험 사이클 조건(ISO 9142의 D3 사
이클)으로 1회 주기가 24시간이 되도록 하여 50일(50 사이클)동안 수행한다. 사이클 변화 중의
온도변화 속도는 냉각 및 승온 조건 모두 1.0 ℃/분으로 한다.

- 19 -
4h
온 80
상대습도
도 (50±3) %
(℃)
상대습도 (90±3) %, 15h
40
0.5h

0
6 12 18 24
시간 (h)
2h
-30
1h 1.5h

그림 6 내환경성 온․습도 사이클

항온항습 시험기에서 꺼낸 시편은 24시간 동안 (23±2) ℃의 온도, (50±5)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에서 보관 처리한 후 8.3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인장전단 접착강도를 측정한
다. 인장전단 접착강도 측정 전에 접착면의 파괴 및 이상이 관찰된 시편의 경우에는 접착파괴 상
태, 시험기 내 위치, 기타 식별 가능한 변화를 모두 기록한다.
10.4 계산 시험 후 평균접착강도 및 표준편차등을 구한다. 이외에 파괴의 상태, 즉 응집파괴(핫
멜트 접착제의 파괴), 계면파괴(시편으로부터의 핫멜트 접착제 박리), 피착재의 상태, 접착제 두
께도 함께 관찰하여 기록한다.

표 7 내구신뢰성 평가의 판정기준

평가항목 판정기준 판정

열안정성 점도증감율 20 % 이하 합/부

열크립온도 열크립온도 60 ℃ 이상 합/부


평균접착강도 10 % 이상
균일도 합/부
편차시편수 1개 이하
내열성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내수성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내습성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내피로성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동하중)
내약품성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냉열성 평균접착강도 잔류율 70 % 이상 합/부

냉열수밀성 누수가 없을 것 합/부

내환경성 시험 평균접착강도 잔류율70 % 이상 수명평가

- 20 -
11. 핫멜트 접착제의 수명예측
11.1 제품의 인증범위 핫멜트 접착제의 인증은 10의 내환경성시험(ISO 9142의 D3 사이클)에
서 31개의 시편의 잔류접착강도가 70 %를 넘을 경우, 신뢰수준 90 %의 B10 수명 60개월(5년)
을 보증한다.
11.2 인증 적용범위의 단서조항 여기서 핫멜트 접착제의 고장시간은 환경노화에 의한 초기 인
장전단 접착강도를 기준으로 30 %이상 저하될 때까지의 사용시간을 기준 한 것이다. 이와 같
은 고장시간 예측은 해당 자동차의 운행환경을 일반적인 복합 환경시험 사이클 (ISO 9142의 D3
사이클)으로 일반화하여 예측한 결과이므로, 극서의 열대지역이나 고온 다습한 아열대지역 및 극
한의 냉대지역에서 운행되는 자동차를 위한 핫멜트 접착제의 고장시간 예측에는 큰 오류를 나타
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착제의 장기 환경노화는 정상적인 사용환경 하의 점진적인 노화
과정에 의한 접착의 노화만을 고려한 것이며, 차량의 충돌이나, 엔진 이상과열, 화재, 침수, 오일
및 약품에 의한 과도한 오염 등의 사고에 의한 심각한 핫멜트 접착제의 침해 상황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침해 환경을 경험한 접착제의 고장시간 예측에는 사용될 수 없다.
11.3 평가 보고서의 작성 평가보고서는 평가 대상 핫멜트 접착제의 생산업체 현황, 제품의 특
성, 접착시편의 제조사항, 균일도 시험의 결과, 단일 가속인자의 시험결과, 복합 가속인자의 시험
결과, 수명보증의 결과자료 등을 순서적으로 자세히 기술하여 작성한다. 시험 완료 후 평가보고
서가 작성되면 작성된 평가보고서는 즉시 신뢰성인증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 21 -
신뢰성평가기준 자동차 램프용 핫멜트 접착제

2002년 10월 22일 발행

편 집 겸
발 행 인
기술표준원장
발 행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427-010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2
☎ (02) 509-7232~4
Fax (02) 509-7415
http://www.ats.go.kr

인쇄․제본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이 기준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한국화학연구원 신뢰성센터(☎ 042-860-7733)로 연락


하여 주십시오. 또한 신뢰성 평가기준은 부품․소재전문기업등의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
제25조의 규정에 따라 신뢰성전문위원회에서 심의되어 확인, 개정 또는 폐지됩니다.
RS M 0005:2002

Hot-melt Adhesives
for Automobile Lamps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