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MINIMALIZE

02 별의 진화

MAGAZINE
김윤영의 초싸이언스
02 별의 진화

① 별의 탄생

빅뱅 후 처음 3분 동안에는 수소, 헬륨,


그리고 약간의 리튬 원자핵만이 만들어졌
고 나머지 무거운 원소들은 이후 별이 탄
생하면서 핵융합에 의해 만들어졌다.

탄생한 별은 여러 단계의 진화 과정을 거


치면서 결국 생을 마감한다.

별의 진화 과정은 별의 질량에 따라 큰
차이점을 갖는다.

∙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성운이 중력 수축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게 되고 원시별이 된다. 중력 수축이 계속되어 원시별
중심부의 온도가 1000만 K에 도달하면 수소 핵융합 반응이 시작되고 원시별은 수축을 멈추고 안정한 상태의 주계열성
이 탄생한다.

∙ 적색 거성

주계열성 중심부의 수소가 모두 헬륨으로 융합되면서 헬륨 핵은 계속 중력 수축하여


중심부의 온도를 높인다. 별의 바깥쪽에 분포하는 수소가 핵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핵융합을 시작하면서 별의 바깥층은 팽창한다. 팽창과 함께 표면 온도가 낮
아지므로 붉게 보이는 적색 거성이 된다.

적색 거성의 중심부에서 헬륨 핵의 온도가 1억 K에 이르면 헬륨 핵융합이 일어나 탄


소가 생성된다.
행성상 성운의 모습

∙ 적색 거성 이후의 진화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갖는 별 태양 질량의 10배 이상인 무거운 별

탄소 핵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중심부에서 계속 핵융합


헬륨 핵융합으로 만들어진 탄소 핵 이후에는 더 이상 이 일어나 더 무거운 원소를 생성한다. 탄소 핵의 수축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탄소 핵은 수축하여 밀도가 을 거치면서 별은 더욱 팽창하여 초거성으로 진화하며
매우 높은 백색 왜성이 되고, 팽창하는 바깥층의 물질 중심핵에서는 질소, 산소, 나트륨 등 점점 무거운 원소
은 우주로 방출되어 백색 왜성 주위를 둘러싼 행성상 들이 생성된다. 중심부 온도가 30억 K 이상이 되면 규
성운이 된다. 소가 핵융합하여 철이 만들어지고 더 이상의 핵융합은
일어나지 않는다.
초거성의 내부 모습

∙ 초신성의 중심부에서 더 이상 핵융합이 일어나지 않으면 수축이 계속 일어나다가 중심부가 더 이상 수축을 견딜 수 없


게 되면 강한 충격파가 발생하여 별의 바깥 부분이 급격하게 폭발하여 초신성이 된다. 초신성의 폭발 과정에서 구리,
금, 우라늄 등 철보다 무거운 원소들이 만들어진다.

∙ 초신성의 폭발 이후 별의 중심부는 압축되어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중성자별이 되며, 질량이 더 큰 별은 더욱 수축하여


빛조차도 빠져나갈 수 없는 블랙홀이 된다.

CHECK POINT #1
초신성의 잔해 적색 거성은 중심부 온도가 주계열성보다 훨씬 높으며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밝기도 밝아지지만 거대한
크기로 팽창하기 때문에 표면의 온도가 낮아져 붉게 보인다.

CHECK POINT #2
질량이 큰 별일수록 중력 수축으로 인한 에너지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무거운 원소를 생성할 수 있는 핵융합 임
계 온도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10
11

② 태양계의 형성

∙ 우리 은하에 위치한 거대한 성운이 분열하여 태양계 성운이 형성되었고 이로부터 태양과 행성이 형성되었다.

∙ 행성의 구분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 반지름과 질량이 작고 밀도가 크다. - 반지름과 질량이 크고 밀도가 작다.


- 단단한 암석 표면을 갖고 있으며 주로 규산염 물질로 - 단단한 암석 표면을 갖지 않으며, 주로 수소와 헬륨으
구성된다. 로 이루어져 있다.
- 태양계 형성 과정에서 태양 근처의 녹는점이 높고 무 - 태양계 형성 과정에서 태양에서 먼 곳의 녹는점이 낮
거운 고체 물질들이 지구형 행성을 형성하였다. 고 가벼운 수소, 헬륨 등이 목성형 행성을 형성하였다.

∙ 지구의 형성 과정

미행성체의 충돌에 의한
태양계의 형성 과정에서 액체 마그마 상태인 지구는 지표면이 냉각되어 원시
열과 온실 효과로 인해
만들어진 미행성체의 철과 같이 무거운 물질이 지각을 형성하고, 대기 중
원시 지구의 표면이 녹아
충돌에 의해 원시 지구가 중력에 의해 중심으로 수증기가 응결하여 비가
마그마로 덮인 상태가
형성되었고 원시 지구가 가라앉고, 가벼운 규산염 되어 내렸으며 이들이 낮은
되었고 이후 완전히 녹아
생긴 후에도 미행성체의 물질들은 표면으로 떠올라 곳으로 모여 바다를
액체 상태의 마그마가
충돌은 계속되었다. 핵과 맨틀이 형성되었다. 형성하였다.
되었다.

∙ 지구를 구성하는 원소

지구 표면의 암석은 다양한 광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원소는 산소, 규소, 알루미늄, 철,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등이다. 지구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원소는 철이지만 주로 핵을 구성하기 때문에 지표면에는 양이 많지 않다. 지구를
구성하는 원소들은 모두 우주와 별의 진화 과정을 통해 생성되었다.

CHECK POINT #1
태양계의 행성들은 태양이 형성되면서 동시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태양이 자전 방향과 행성들의 공전 방향이 일치하며,
공전 궤도면 역시 거의 일치한다!

CHECK POINT #2
마그마는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대류에 의해 밀도가 큰 물질은 중심 쪽으로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은 표면으로 떠
오르면서 지구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였다.

02 별의 진화
02 별의 진화 네 가지 핵심 문항

01 무거운 원소의 생성 02 별의 진화 - 주계열성

무거운 원소의 생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그림 (가)와 (나)는 어느 별의 서로 다른 진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것은?

보기

ㄱ. 별의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되는 원소의 종류는 별의 질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ㄴ. 별의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가장 무거운 원
소는 철이다.
ㄷ.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ㄱ ② ㄷ ③ ㄱ, ㄴ 보기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ㄱ. 별은 (가)에서 (나)로 진화한다.
ㄴ. 별의 평균 밀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ㄷ. 별의 표면 온도는 (가)가 (나)보다 높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 지구의 형성 과정 04 태양계 행성의 구분

그림은 원시 지구의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태양계 행성을 (가), (나) 두 집단으로 나눈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보기
ㄱ. A→B→C로 가면서 단위 시간당 미행성체의 충돌 횟수가 증가하였다.
ㄴ. B 과정에서 지구 중심부의 밀도는 높아졌다.
ㄱ. 반지름은 물리량 A의 예이다.
ㄷ. C 과정에서 지구에는 기권이 존재하지 않았다.
ㄴ. (가)는 (나)보다 구성 물질의 녹는점이 높다.
ㄷ. (가)는 (나)보다 높은 온도 환경에서 형성되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12
13

01 2019학년도 6월 고1 통합과학 2번 02 2019학년도 9월 고1 통합과학 9번

그림 (가), (나)는 질량이 다른 두 별의 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어떤 별의 진화 과정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별의 질량은 A가 B보다 크다.


ㄴ. 태양은 (가) 과정으로 진화한다. 보기

ㄷ.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나)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ㄱ. ㉠ 단계에서 별의 질량은 태양보다 작다.
ㄴ. 철보다 무거운 원소들은 초신성 폭발로 생성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ㄷ. 초신성 폭발로 방출된 물질들의 일부는 새로운 별의 재료가 된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 2019학년도 11월 고1 통합과학 6번 04 2019학년도 3월 고2 지구과학1 1번

그림은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의 진화 과정의 일부를, 표는 (가)~(다) 단 그림은 태양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계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태양계가 형성된 순서로 옳은 것은?

보기 ① (가)→(나)→(라)→(다)
② (나)→(가)→(다)→(라)
ㄱ. 태양은 현재 (가)에 해당한다. ③ (나)→(다)→(라)→(가)
ㄴ. 중심부의 온도는 (나)가 (가)보다 높다. ④ (다)→(가)→(나)→(라)
ㄷ. (다)에서는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생성된다. ⑤ (다)→(나)→(가)→(라)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참고 학력 평가 기출 02 별의 진화
02 별의 진화 서답형 도전!

탐구 활동 & 서답형 도전 과제 질량 차이에 따른 별의 진화 과정

•다음은 질량에 따른 별의 진화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탐구 분석 및 물음

•별의 진화 과정은 크게 (가)와 (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처럼 별의 진화 과정을 구분할 때 별의 질량이 중요한 구분 기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주어진 별의 진화 과정에서 A는 무엇인지 밝히고, 별의 진화 단계에서 A가 아닌 초신성으로의 진화는 지구의 형성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14
15

Courage is going from failure to failure without losing enthusiasm.

Winston Churchill

02 별의 진화
MEMO

네 가지 핵심 문항 정답

1 ) ④
2 ) ⑤
3 ) ②
4 ) ①

MINIMALIZE 참고 학력 평가 기출

1 ) ④
2 ) ④
3 ) ④
4 ) 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