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Summary 오늘 학습한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1. 우리나라 전통색 의미
 전통색
 어떤 민족이 오랜 세월 동안 특정한 지역에서
사용 함으로써 그 민족이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색
 짧은 기간에 사용되는 유행색과 대조되는 색

 정색 또는 오방정색
 청, 적, 황, 백, 흑색

 오간색
 정색과 정색의 혼합으로 생기는 색

 생활 속의 오방색
 조선시대에 성행한 처용무
 색동옷, 까치두루마기
 오방낭자 주머니

1
Summary 오늘 학습한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2. 한국적인 색채의 표현
 전통배색의 특성
 전통 배색의 주요 원리 중의 하나는 자연과의 조화와 일체를
추구하는 것

 전통배색의 표현
 단청건축의 경우 빨강, 파랑, 노랑, 녹색과 같은
비교적 색감이 선명한 색을 사용하여 뚜렷한 색상대비를
보여줌
 단청
 단청은 붉을 단(丹)과 푸를 청(靑)으로 구성되어 있고,
음과 양의 혼합체이며 그것의 표현

 한복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의복으로 선의 흐름과
옷감 색채의 조화에서 아름다움을 찾아 볼 수 있음

 음식(김치)
 한국의 대표음식
 오색과 오미를 갖춘 음식

2
Summary 오늘 학습한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3. 생활 속 색채의 심리
 한국의 상징 태극기
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

 백의 민족
 조선시대의 흰옷은 무색, 소색(素色)의 이미지
 무색의 인간생활이 공수래 공수거(空手來 空手去)의 사상과
일치

 좋아하는 옷 색깔
 검은색(23.0%) > 흰색(16.0%) > 핑크색(8.6%) >
파란색(7.6%)

 세계 최악 한국의 간판 문화
 크게 외쳐야만 귀를 기울여주는 소통 문화
 '개인'보다는 가문•고향•학벌 등 '소속 집단'의 간판 파워로
개인을 평가하려는 집단주의 문화
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중시 여기는 과시주의 문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