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021학년도 겨울학기 예 술 사

성균관대학교 I-campus 3rd Day

헬레니즘 미술의 전파 / 로마의 정치와 미술

헬레니즘은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 이후 그리스 미술이 확대되고 변화를 겪게 되는 시


기의 미술을 의미한다. 원래 마케도니아 출신이었던 알렉산더 대왕은 범 그리스 정책을 펴서
그가 정복한 지중해 중심의 전 영역에 그리스 문화를 전파했으며, 그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범
그리스 문화를 일컫는 헬레니즘은 그리스 미술이 각 지역에 이식된 복합적인 양상을 띠는 것
이 특징이다. 특히 세속적이고 화려하며 감성적인 특성을 보이는 헬레니즘 시대 미술은 그리
스 말기 미술이자, 초기 로마미술로 연결되어 서양 미술의 역사적 흐름에 안착하게 된다.
로마 제국의 역사는 기원전 8세기 무렵부터 시작되는데 그리스에서 지중해를 건너 이주해
간 한 집단이 로마 테베레 강 근처에 정착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3000여 명
의 주민들이 모여 건설한 작은 도시국가 로마는 기원전 3세기, 지중해 패권을 두고 벌인 카르
타고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지중해 연안의 모든 지역을 지배했으며 북아프리카, 아시아까
지 확대, 북유럽과 영국까지 세력을 넓혀 거대한 제국을 건설하였다.
기원전 146년 로마가 그리스의 코린트 지역을 점령한 이후 지중해 지역은 사실상 로마의
영토가 되었고, 로마인들은 그리스 문화에 압도당해 그들의 문화와 예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
였다. 원래 호전적이었던 로마 민족은 그리스의 발달된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자
신들의 목적에 맞게 변형시켰다. 로마 제국은 그리스의 신전이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신과 영혼을 위한 건축보다 원형 경기장(콜로세움), 공회당(바실리카)과 같은 실용적인 공공
건축을 주로 건설하였으며, 이와 같은 건축에 그리스의 신전 건축 양식을 도입하는 한편, 아
치와 궁륭 등의 새로운 건축 양식을 개발하여 이후 서양 건축 양식의 원형을 마련하였다.
조각 역시 로마 초기 공화정기 동안에는 신상이 아닌 실제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는 초상조
각이 발달, 주로 이상적인 인물상을 제작했던 그리스 조각과는 차이를 보였으나 이후 공화정
에서 제정으로 정치 형태가 바뀌면서 점차 조각이 이상화되고 건축 역시 규모가 커지면서 정
치 선전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
로마시대 회화는 폼페이 벽화를 통해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벽면에 건축적 요소를 직
접 그려 넣어 깊이감과 양감을 나타내고, 마치 창문 너머의 광경이 보이는 것과 같은 장면을
연출하는 폼페이 벽화를 통해 초보적이기는 하나 르네상스 시대 원근법의 원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로마의 미술은 그리스 미술과 문화를 모방, 계승하면서도 정치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로마 특유의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미술을 발달시켰으며, 이와 같은 건축과 조각, 그리고
회화에서 나타나는 로마 미술의 전통은 이후 나타나는 유럽 미술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주요작품 : 라오콘 군상(Laocoön and His Sons), 밀로의 비너스(Aphrodite of Melos)


사모트라케의 니케(The Winged Victory of Samothrace)
페르가몬의 대제단(Great Altar of Zeus and Athena at Pergamon)
아우구스투스 황제상(Augustus of Prima Porta), 콜로세움 (Colosseum)
판테온(Pantheon), 콘스탄티누스 개선문(Arch of Constantine)
콘스탄티누스 황제상(Colossal Seated Statue of Constantine)

Key Word : 헬레니즘(Hellenism), 간다라 미술(Gandhara Art), 헬레니즘 조각의 4E‘s,


돔(dome), 아치(Arch), 원통형 궁륭 (Barrel vault), 교차 궁륭(Groin vault)
오푸스 세멘티쿰(opus caementicum), 바실리카(Basilica)
폼페이 벽화(Pompeii Fresco) 4대 양식, 모자이크(Mosaic)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