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021학년도 겨울학기 예 술 사

성균관대학교 I-campus 5th Day

초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의 성립

우리는 흔히 르네상스 미술이라 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미켈란젤로와 같은 천재들의


유명한 회화나 조각 작품들을 떠올린다. 그러나 이들 천재들이 주로 활동했던 전성기 르네상
스는 시기적으로 16세기 전반으로, 이와 같은 천재들이 출현하고 수많은 예술 작품들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당시 그들이 예술적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배경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미술사에서 15세기 이탈리아 미술은 ‘콰트로첸토Quattrocento’라는 용어로 불린다. 숫자
‘400’을 뜻하는 이탈리아어인 콰트로첸토는 일반적으로 서양미술사의 시대 구분에서 1400년
대, 즉 15세기 르네상스를 꽃피운 이탈리아 미술을 일컬을 때 사용되며, 특히 피렌체와 로마,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한 초기 르네상스의 시대양식과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미술용어로 쓰인
다.
15세기 말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했던 이탈리아는 로마를 중심으로 피렌체, 베네치아, 밀라
노 등 여러 개의 도시 국가들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 도시 국가들은 상, 공업과 무역업, 은
행업 등을 통해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와 예술을 애호하는 시민세력이
성장, 예술에 대규모 후원을 하게 되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시작되었다.
당대 이탈리아인들은 중세시대 교회제도와 봉건제도를 비판하면서 고대 문화를 새롭게 인
식하였고, 인간성의 회복을 목표로 하는 인문주의에 열광했다. 이를 기반으로 미술 역시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변화했으며, 이전까지 도식적이고 초자연적인 종교의 묘사가 인간과
자연의 현세적 아름다움을 긍정하는 보다 사실적인 묘사로 변화하게 된다. 또한 그리스, 로마
전통에 대한 재발견으로 예술가들은 정확한 시각적 영상을 창조할 수 있었다. 고대 신화를 주
제로 한 그림이 각광받았으며, 과학적 법칙을 강조하는 인문주의적 미술이 발달, 원근법과 명
암법, 해부학 등을 토대로 한 사실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15세기 전반에 걸쳐 나타난 이와 같
은 새로운 미술의 법칙과 규범들은 16세기 천재들의 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주요작가 : 조토 디 본도네 (Giotto di Bondone, 1267?~1337)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Filippo Brunelleschi, 1377~1446)
로렌조 기베르티 (Lorenzo Ghiberti, 1378~1455)
도나텔로 (Donatello, 1386~1466)
파올로 우첼로 (Paolo Uccello, 1397 ~ 1475)
마사초 (Masaccio, 1401~1428)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Leon Battista Alberti, 1404 ~ 1472)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Piero della Francesca, 1416? ~ 1492)
안드레아 만테냐 (Andrea Mantegna, 1431 ~ 1506)
산드로 보티첼리 (Sandro Botticelli, 1445 ~ 1510)

Key Word : 르네상스(Renaissance), 콰트로첸토(Quattrocento), 르네상스 건축의 3R’s


선 원근법(Linear Perspective), 소실점(vanishing point)
단축법(Foreshortening Perspective), 스키아치아토(Schiacciat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