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등록특허 10-0397747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45) 공고일자 2003년09월13일
A61G 3/00 (11) 등록번호 10-0397747
(24) 등록일자 2003년08월29일

(21) 출원번호 10-1999-0057783 (65) 공개번호 특2000-0012623


(22) 출원일자 1999년12월15일 (43) 공개일자 2000년03월06일

(73) 특허권자 최운한


대구 북구 고성3가 36-1

(72) 발명자 최운한


대구 북구 고성3가 36-1

(74) 대리인 조정환

심사관 : 변종진

(54) 환자 운반카

요약

본 발명은 환자 운반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핸들로서 4바퀴(캐스터)의 동시 고정이 가능하게 하여 브


레이크 작동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극대화시키고, 베드(bed) 또한 전동식으로 승강 및 좌.우이송, 그리고 기울기까지
자유롭게 조작가능케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환자 수송 및 중환자 및 응급환자등을 타 베드로 손쉽게
이송운반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대표도

도1

색인어

환자 운반카, 브레이크 장치, 레바, 베드승강장치, 베드이송장치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E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F-F'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브레이크 장치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1-
등록특허 10-0397747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환자 운반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환자 운반카의 다리 하단에 설치된 4개의 바퀴(캐스터)를


레바로서 손쉽게 동시 고정할 수 있게 하고(즉, 바퀴에 설치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해제시킬때 레바로서 손쉽게
작 동시킬 수 있게 함.) 베드(bed) 또한 승강 및 좌.우이송, 그리고 기울기까지 전동식으로 구성하여 자유롭게 조작가
능케 하며, 상기 베드 작동에 따른 동력을 충전기에 의해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 운반카 이송시 전원을 공급
하기 위한 전선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고, 어떤장소에서든 환자 운반 및 이송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 운반카는 주로 병원이나 보건소 또는 소방소나 응급구조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응급환자나
중환자등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응급환자나 중환자들을 이송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환자 운반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
이 따랐다.
즉, 통상 환자 운반카에는 하부에 4개의 다리가 설치되고, 다리 저면에는 각각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한 캐스터가 설치
되어 있기 때문에, 응급환자등을 급히 이송 운반하는도중 잠시 멈추고자 할 때 4개의 캐스터에 개별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를 모두 발로 밟아 고정시켜야만 안정적으로 운반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통상 4개의 캐스터에 장착된 브
레이크를 모두 밟아 고정시키려면 시간소요와 함께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통상 운반카를 끌거나 밀고가는 사람들이
4개의 캐스터중 자신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쪽의 1또는 2개정도의 캐스터브레이크만을 발로 밟아 고정시켜주는 경우
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한두개 정도의 브레이크만 작동시켰을 경우는(4개의 캐스터 각각이 360°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지시 주위에서 조금만 밀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운반카가 회전 또는 전혀 예측하지
못한 부분으로 이송되어 간혹 환자들에게 충격을 주게 되는등의 위험한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 통상의 환자 운반카는 베드의 전.후부만이 조작에 의해 경사조절될 뿐 베드의 높낮이, 좌우측 경사조절 및 베드자
체의 이송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여, 중환자나 응급환자를 중환자실이나 수술실 또는 응급실등으로 운반한 후 다른
베드에 옮겨 실을때 환자를 직접들어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면서도 어렵고, 또 환자를 직접 들어 옮기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무리를 주기도 하여 병 또는 환자의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기도 하였던 것이다.
또한 수술실을 갖춘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 또는 개인병원의 실정을 보면, 수술환자를 실은 환자 운반카를 수술대기
실에서부터 수술실 회복실까지 그대로 이송시켜가면서 수술 및 회복을 시키는데, 이경우 수술실은 무균실이 되어야만
하는데도 불구하고 환자를 수술실용 베드위로 옮기기가 어려워 환자가 실려있는 운반카를 그대로 수술실로 이송하여
수술시키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이면서, 수술부위의 부작용 발생과 회복을 더디게 하는 중대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환자 운반카에 대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환자 운반카에 설치


된 4개의 바퀴 상측에 각각 브레이크 작동링을 설치하고, 이들이 축과 연결간 및 레바와 연결설치되게 하여, 레바로서
, 4개의 바퀴를(바퀴의 방향이 어느쪽으로 향해있던 간에) 동시에 고정시킬수 있게끔 함으로써, 매우 신속.간편하게
브레이크를 걸거나 해제시킬수 있게 하고,
또, 베드가 감속모타와 타이밍벨트 및 풀리, 그리고 스크류우로 이루어진 전동구조물에 의해 승강 및 좌우 이송, 그리
고 경사조절까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중환자 및 응급환자를 이송운반할 때나, 무균처리된 수술실의 베
드나 중환자실의 다른 베드로 이송 운반할 때 환자에게 작용하는 충격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함으로
써, 매우 위생적이고도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지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하단부에 브레이크패드(13)을 가진 캐스터(12)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베드(3)를 설치하여 중환자 또는 응급환자나


입원환자등을 이송 운반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환자 운반카에 있어서,

환자 운반카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12) 상부에, 중앙상면에 내부가 비어있는 슬라이더(23)를 가진 " "형으로
형성된 두개의 연결관(15)(15')와 연결고정된 브레이크 작동링(14)을 설치하고,
환자 운반카(1)의 하부 횡프레임(1') 내부에 주축(19)을 설치하되, 주축(19) 양끝부분은 횡프레임(1') 양끝단에 형성
된 사각가이드(22)를 관통한 상태에서 유니버셜베어링(21)이 연결 설치되게 하며, 상기 사각가이드(22) 내부에 연결
간(15)(15')에 형성된 슬라이더(23)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각가이드(22)와 슬라이더(23)를 관통하여 하단에 나사가
형성된 2개의 안내핀(25)을 압축스프링(24)과 함께 삽입 설치하되, 사각가이드(22) 내부양측벽면에 안내핀(25)이 관
통되는 구멍을 가진 스프링 안착돌부(5)(5')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24)이 슬라이더(23)의 내 부 천정면과 스프링 안

-2-
등록특허 10-0397747

착돌부(5)(5') 사이에 설치되게 하고, 또 사각가이드(22)와 슬라이더(23)를 관통하게 끔 주축 높이조절볼트(20)를 설


치하여 유니버셜 베어링(21)과 연결설치되게 하며, 사각가이드(22) 내측벽면에는 주축(19)의 높이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세로로 장공(6)을 형성하고, 주축(19) 양끝단 부분에는 레바(17)와 연결간 가압용 베어링(16)을 설치한
레바 연결구(18)를 설치하여 레바(17)를 돌리면 연결간 가압용 베어링(16)이 연결간(15)(15')에 작용하여 연결간(15)
(15')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패드(13)가 작용하게 되고, 레바(17)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압축스프링(
24)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간(15)(15')가 상승되어 브레이크패드(13)를 해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환자 운반카(1)의 베드(3)는 저면에 고정사각프레임(4)과 승강 사각프레임(5)을 설치하여, 승강사각프레임(5)이
고정사각프레임(4)을 기준으로 승강가능하게 하되,
상기 고정사각프레임(4) 내부에는 충전기(41)와 함께 내부중앙부분에 감속모타(61), 주동 및 종동타이밍풀리(62),(6
2') 그리고 상기 종동타이밍풀리(62')의 축(63)에 베벨기어(64)를 설치한 전동식 구동장치(60)를 설치하여, 상기 베벨
기어(64)가 스크류우(65) 하단의 베벨기어(64')와 맞물려 스크류우(6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수 있게 하고, 상기
스크류우(65)에는 상단이 승강사각 프레임(5)과 연결 설치되고,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는 승강관(67)
이 조립되어, 감속모타(61)가 정.역회전 하면 베드(3)를 지탱하는 승강사각프레임(5)이 승강하게 하고, 또 상기 승강
사각프레임(5)이 승강시 수직으로 안정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승강관(67) 양측부에 크고작은 관(68)(68')이 서로
끼워져서 구성된 승강안정유도부(69)를 설치하였다.
승강사각프레임(5)의 상단 좌우측에는 안내레일(51)(51')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레일(51)(51')에 베드(3) 저면이 연
결설치된 슬라이더(31)를 설치하고, 승강사각프레임(5)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전동식구동장치(60)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식 베드수평이동장치(60a)를 설치하여, 이 또한 스크류우(65a)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a')와 맞물려 스크류
우(65a)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5a)에는 베드(3)와 연결 설치된 이송관(67a)이 볼
슬라이드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게 하였으며, 베드(3) 양측 후미에는 베드(3)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전
동식 구동장치(60)나 전동식베드수평이동장치(60a)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식 베드 경사조절장치(60b)를 설치하고, 이
또한 스크류우(65b)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b')와 맞물려 스크류우(65b)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5b)에는 베드(3)와 연결 설치한 승강관(67b)이 설치되고 스크류우(65b) 하단에 슬라이더(31)와 연결
설치된 연결봉(31')에 힌지조립되어 베드(3)의 경사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환자 운반카(1)로 환자를 이송도중 잠시 세워 고정시킬때 레바(17)를 재껴주면 레바연결
구(18)가 회전하면서, 레바연결구(18)와 일체로 된 베어링(16)이 연결간(15)(15') 중앙부를 눌러 가압시키게 되고, 이
와 함께 연결간(15)(15') 양측단부에 고정설치된 브레이크 작동링(14)이 브레이크 패드(13)를 가압시킴으로써 캐스
터(12)가 요지부동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 레바(17)를 원위치시키면 연결간(15)(15')이 압축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되는 것이며, 오래도록 사용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패드(13)가 마모되면 연결간(15)(15')의 하강위치가 패
드(13)의 마모량만큼 더 하강하여야 안정적인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는 볼트(2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주축(19)을 지지하는 연결관 가압용 베어링(16)을 브레이크 패드(13) 마모량만큼 하강시켜 주면
됨으로써, 매우 안정적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 운반카(1)의 전.후방 어느쪽에서든 레바(17)로써 4개의 바퀴를 동시 고정시킬수 있고, 또 발의
답력보다는 손으로 느끼는 감각이 더욱 민감하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매우 신속 간편하게 작용 시킬 수 있게 되는 것
이며, 이에 따라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안정적이고도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질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자 운반카(1)의 베드(3)를 승강 및 전.후 이송, 그리고 기울기까지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수술실
이나 중환자실, 그리고 응급실에서 환자를 다른 베드로 옮기려 할때 매우 편리하고 손쉽게 이송 운반 할 수 있게 된다.
즉, 베드(3)을 승강시킬때는 전동식승강장치(60)를 작동시켜주면 되는데, 이는 감속모타(61)가 회전하면서 주동 및
종동 타이밍풀리(62)(62')를 회전시켜주고, 이어서 상기 종동타이밍풀리(62')가 베벨기어(64)를 회전시켜주게 되어
스크류우(65)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며, 이에 따라 승강관(67)이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하게 됨에 따라 승강사각프레임(5)과 베드(3)를 동시에 승강시켜주므로써 베드(3)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베드(3)를 수평이송시키고자 할 때는 전동식베드 수평이동장치(60a)를 작동시키면 되는데, 이 또한 설치위치만 다
를 뿐 전술한 전동식승강장치(60)와 작동원리가 동일하고, 단지 베드(3)가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끔 하기 위해 승강사
각프레임(5) 상단양측에 설치된 안내레일(51)(51')을 베드(3)와 연결 설치된 슬라이더(31)가 타고 이송되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 베드(3)의 경사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전동식베드 경사조절장치(60a)를 작동시키면 되며,
이 또한 설치위치만 다를 뿐 전술한 전동식승강장치(60)와 구동원리가 같다.
다만, 이 경우는 베드(3)가 경사조절될 때, 경사각도에 따라 스크류우(65b)및 승강관(67b)의 기울기가 달라지기 때문
에 스크류우(65b) 하단만 연결봉(31') 하단에 힌지고정된점만 차이가 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드의 승강조절, 경사조절, 수평이송조절을 리모콘으로 연결 조작하면 되고, 이 경우 리모콘 조작
방식이나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수단이므로 언급하지 않는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 운반카에 레바로 작동하는 브레이크장치와, 베드 승강 및 전후진, 그리고 기울


기까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 운반시 매우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고, 또 중환자나 응급환자등
을 타 베드로 이송운반할 때 매우 편리하며, (수술실이나 회복실, 중환자실에서는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3-
등록특허 10-0397747

있음) 이에 따라 신뢰성을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종합병원, 소방서, 보건소등등에서 응급환자 또는 중환자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환자 운반카를 구성함에 있어서,
환자 운반카(1)의 하부에 레바로 4바퀴 동시 고정이 이루어지게한 통상의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고, 상부의 베드에
는 승강 및 전후진, 그리고 기울기 조절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카.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1항에 있어서;
환자 운반카(1)이 상부베드에 승강 및 전후진, 그리고 기울기 조절장치를 구성하는데, 이는 베드(3)의 하부에 고정사
각프레임(4)과 승강사각프레임(5)을 설치하여 승강사각프레임(5)이 고정사각프레임(4)을 기준으로 승강하게 하고,
상기 고정사각프레임(4) 내부에는 충전기(41)와 함께 내부 중앙부분에 감속모타(61), 주동 및 종동타이밍풀리(62)(6
2'), 그리고 상기 종동타이밍풀리(62')의 축(65)에 베벨기어(64)를 설치한 전동식구동장치(60)를 설치하여, 상기 베벨
기어(64)가 스크류우(65) 하단의 베벨기어(64')와 맞물려 스크류우(6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스크류우(65)에는 상단이 승강사각프레임(5)과 연결설치되고,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는 승강관(67)이
조립되어, 감속모타(61)가 정.역회전하면 베드(3)을 지탱하는 승강사각프레임(5)이 승강하게 하고, 또 상기 승강사각
프레임(5)이 승강시 수직으로 안정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승강관(67) 양측부에 크고작은 관(68)(68')이 서로 끼워
져서 구성된 승강안정유도부(69)를 설치 구성하여 베드(3)의 승강작용이 이루어지게 한 구성과;
승강사각프레임(5)의 상단좌우측에 안내레일(51)(51')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레일(51)(51')에 베드(3) 저면이 연결설
치된 슬라이더(31)를 설치하고, 승강사각프레임(5)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전동식구동장치(60)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
식 베드 수평이동장치(60a)를 설치하여 이 또한 스크류우(65a)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a')와 맞물려 스크류우(65
a)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5a)에 베드(3)와 연결설치된 이송관(67a)이 볼슬라이드
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게 하여 베드(3)의 수평이송이 이루어지게 한 구성과;
베드(3) 양측 후미에는, 전술한 전동식 구동장치(60)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식 베드 경사조절장치(60b)를 설치하고,
이 또한 스크류우(65b)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b')와 맞물려 스크류우(65b)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4b)에 베드(3)와 연결설치된 승강관(67b)이 설치되고, 스크류우(65b) 하단이 슬라이더(31)와 연결설치된
연결봉(31')에 힌지 조립되어 베드의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카.

도면

-4-
등록특허 10-0397747

도면1

-5-
등록특허 10-0397747

도면2

도면3

-6-
등록특허 10-0397747

도면4

도면5

-7-
등록특허 10-0397747

도면6

-8-
등록특허 10-0397747

도면7

도면8

-9-
등록특허 10-0397747

도면9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