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00:03

시카고의 한 고등학교는 졸업 하려면 일정 수의 과목을 통과해야 하는데 통과 못한 과목은 "아직" 이란 학점을 받는답
니다. 정말 멋진 일이죠. "낙제" 를 받은 학생은 스스로 형편없다고 느끼겠지만 낙제 대신 "아직" 이란 학점을 받은 학
생은 자신이 배우는 과정 중이란 걸 이해할 겁니다. 앞으로 나 있는 길을 보여 주는 것이지요.

00:32
"아직" 은 제 직업 진로의 초기에 한 중대한 사건에서 전환점이 되는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당시 저는 어린 아이들이
어려움과 도전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10살짜리 아이들에게 풀기에 아주 약간 어려운 문제들을 주
었습니다. 어떤 아이들은 충격적일 정도로 긍정적으로 반응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말했어요. "전 어려운 문제가 좋아
요." "이 문제가 저한테 유익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이 아이들은 자신의 능력이 개발될 수 있음을 알고 있었어
요. 제가 "성장의 사고방식"이라 부르는 사고방식을 갖고 있었죠. 하지만 다른 학생들은 비참하고 비극적인 기분에 빠
졌습니다. 좀 더 경직된 사고방식과 시각을 가진 이 아이들에게 이 상황은 자신의 지능이 시험받았고 거기에서 자신은
실패한 것이었습니다. "아직"의 힘에 취하며 즐기기보다는 그들은 "지금"의 폭정에 사로잡혔습니다.

01:47
그래서 어떻게 했을까요? 이 아이들이 어떻게 헀는지 말씀드리죠. 한 연구에서, 이 아이들은 자신이 어떤 시험에서 낙
제한다면 공부를 더 하기보다는 부정행위를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연구에서, 이 부류의 아이들은 실패 한 후 스스
로를 위안하기 위해서 자신보다 더 못한 아이들을 찾았습니다. 매 연구마다, 이런 아이들은 어려움에서 도피했습니다.
과학자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실수에 당면할 때 일어나는 뇌 안의 전기 활동을 측정했습니다. 왼쪽에 보시는 게 경직된
사고 방식의 학생들입니다. 뇌 내 활동이 거의 없죠. 이들은 자신의 실수에서 도피하려고 합니다. 실수를 살펴보고 생
각해보지 않는거죠. 오른쪽에 보시는 것이 성장의 사고방식을 가진 학생들이죠. 자신의 능력이 점점 발전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이요. 이들은 깊이 사고합니다. "아직"의 가능성으로 뇌가 활발해 지는 것이지요. 골똘히 생각하고 실수를 분석
합니다. 실수를 통해 배우고, 고칩니다.

03:01
우리는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키우고 있습니까? "아직"대신 "지금" 의 방식으로 키우고 있습니까? A 학점에 집착하는
아이들을 키우고 있나요? 큰 꿈은 꿀 줄 모르는 아이들로 키우고 있나요? 다음 시험에서 A를 받는 게 최고의 목표인
아이들을요. 이렇게 끊임없이 인정 받아야 되는 의존증이 어른이 되서도 남아 있을까요? 그럴지도 모릅니다. 회사의
고용인들이 제게 하는 말이 이미 현 시대 일터의 젊은이들은 매일 어떤 식으로라든 보상이 없으면 하루도 버티지 못한
다고 합니다.

03:50
그럼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아직"으로 향하는 다리를 어떻게 세울 수 있을까요?

03:57
몇가지 제안을 하지요. 가장 첫번째는 지혜로운 칭찬입니다. 지능이나 재능을 칭찬하는 방식은 이미 실패했습니다. 그
런 칭찬은 이제 하지 마세요. 대신 아이들이 거치는 과정을, 그들의 노력, 계획, 집중, 인내, 향상됨을 칭찬해 주세요.
이런 "과정 칭찬" 은 어려움에 쉽게 굴하지 않는 강인한 아이들을 길러냅니다.

04:27
"아직" 을 보상하는 다른 방법들이 있어요. 저희는 최근 워싱턴 대학교의 게임 과학자들과 협력하여 "아직"을 보상하는
온라인 수학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이 게임에서 학생들은 노력, 계획, 향상으로 상을 받습니다. 평범한 수학 게임은 지
금 당장 맞는 답을 내었을 때 보상을 받지만 이 게임은 과정에 대해 상을 주고 있습니다. 이 게임에서 학생들은 더 많
이 노력하고 더 많은 전략을 세웠고, 더 능동적으로 더 오랜 시간 참여하고, 정말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때도 더 많은
끈기를 보여주었습니다.

05:13
"아직" 혹은 "아직은 아닌" 이란 말 자체만으로도 아이들은 더 많은 자신감을 얻었고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보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의 사고 방식을 바꾸는 것은 실제로 가능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 우리는 학생들
에게 그들이 무언가 새롭고 어려운 것을 배우기 위해 익숙하고 안락한 영역을 벗어나 탐구할 때 뇌 안의 신경 세포가
더 강한 새로운 연관 고리들을 만들면서 점점 더 똑똑해질 수 있다고 말해주었습니다.

05:52
이것만으로도 어떤 결과가 났는지 보여드리지요. 성장의 사고방식을 가르치지 않은 학생들은 학교가 바뀌면서 점점 성
적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장의 사고방식을 배운 아이들은 성적이 떨어져도 금방 회복했습니다. 수천 수만명의 학생
에게서 이같은 향상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특히 공부를 힘들게 느꼈던 학생들에게서요.

06:23
그럼 이제 평등에 대해 얘기해 볼까요. 미국에서는 특정 부류의 학생들이 만성적으로 낮은 학업 성취도를 보입니다. 예
를 들면 사회 문제가 많은 도심 지역, 혹은 원주민 거주 지역의 아이들이요. 이들은 너무 오랫동안 너무 뒤쳐져서 많은
이들이 불가피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직" 이 살아있는 성장의 사고방식의 교실에서는 평등이 이루어집니다. 몇가
지만 예를 들어보면 뉴욕시 할렘의 한 유치원은 1년 만에 전국 성취도 시험에서 상위 5 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이 중
많은 아이들이 학교에 처음 왔을 때 연필 쥐는 법도 몰랐습니다. 1년만에, 한참 뒤쳐져 있던 사우스 브롱스의 4학년들
이 뉴욕주 수학 시험에서 같은 학년 학급 중 주내 최고 점수를 받았습니다. 1년 혹은 1년 반만에 한 원주민 거주 지역
학교의 학생들은 학구의 꼴찌에서 일등으로 올라갔습니다. 같은 학구에는 시애틀의 부촌도 있었습니다. 원주민 아이들
이 마이크로소프트 직원 자녀들을 이겼죠.

08:12
이런 결과들은 "노력"과 "어려움"의 의미가 변화함으로 나타날 수 있었죠. 이전에는 노력과 어려움은 학생들 스스로 멍
청하다고 느끼게, 포기하고 싶게 했어요. 하지만 이제 노력과 어려움은 머릿속의 뇌세포가 새롭고 더 강한 연결 고리를
만드는 걸로 인식됩니다. 노력할 때, 문제가 어려울 때가 똑똑해지고 있는 때인거에요.

08:42
최근 한 13살짜리 남학생이 제게 이런 편지를 보냈습니다. "드웩 교수님께, 저는 교수님의 책이 철저한 과학적 연구 결
과라고 생각되어서 제 스스로 실행 해 보기로 했습니다. 저는 학교공부에, 가족들과의 관계에, 학교 친구들과의 관계에
더 많은 노력을 투여했고 이 모든 분야에서 상당히 향상했음을 경험했습니다. 저는 지금껏 제 인생 대부분을 낭비했다
는 걸 깨달았어요." (웃음)

09:29
더 이상 누구의 삶도 낭비하지 맙시다. 왜냐면 우리의 능력이 이렇게 성장할 수 있음을 깨닫고 나면 모든 아이들이 그
런 성장을 창조해주는 "아직" 으로 가득 찬 환경에서 자라는 것이 인간으로서 기본 권리라는 것을 알게 되기 때문입니
다.

10:03
감사합니다.

10:04
(박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