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2

ICT R&D 성과조사 및 입력 매뉴얼

2016. 12.
목 차

Ⅰ. 성과조사 개요 ······························································· 1

Ⅱ. 주요내용 ········································································· 3

Ⅲ. 연간 성과조사 일정 ···················································· 5

Ⅳ. 성과입력 ········································································· 6
논문 ···························································································
1. 10

2. 학술대회 ··················································································· 14
3. 특허 ··························································································· 18
4. 산업재산권 ··············································································· 26

5. 기술이전(기술료) ··································································· 29
6. 사업화 ······················································································· 32
7. 연수지원 ··················································································· 35

8. 인력양성 ··················································································· 36
9. 표준화 ······················································································· 37
10. 콘텐츠/SW ············································································· 40

11. 정성적 성과 ·········································································· 41

Ⅴ. 참고 (성과증빙 예시 ) ···················································· 48
Ⅰ 성과조사 개요

□ 성과의 정의

ㅇ 학문적 의미 연구과정에서 창출되어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게


( )

되는 모든 독창적이고 가치가 있는 지식 (Cohen & Levinthal, 1989)

ㅇ 법률적 의미 연구개발을 통하여 창출되는 특허․논문 등 과학


( )

기술적 성과와 그 밖에 유․무형의 경제․사회․문화적 성과


(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

□ 성과조사 목적

ㅇ 사업의 종합적인 조사·분석을 통해 추진 현황을 파악하고


ICT R&D ,

관련 정책 및 사업기획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
ㅇ 우수성과 발굴 후속 연구개발 지원 사업화 등을 통해 창출된
, ,

성과를 확산하여 선순환 체계 확립


R&D

- 1 -
□ 성과조사 대상

ㅇ 정부예산의 지원을 받은 모든 사업 ICT R&D

-조사대상 시기에 연구수행 중인 신규·계속과제


-최종평가 결과 성공 으로 판정된 종료과제 중 성과활용기간
‘ ’ *

중인 과제
※ 성과활용기간 종료 후 년간 성과활용조사 실시
: 5

※ 성과활용기간 중 성과활용현황보고서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참여제 ,

한 년의 제재를 받을 수 있음
1

□ 관련근거

ㅇ 성과조사실시 및 제출 등에 관한 규정
-「과학기술기본법」제 조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조사․분석․평가
12 ( )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제 조 연구개발 15 (

성과의 보고 제 조 연구개발성과의 공개
), 18 ( )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 조 사업 종료후 활용 44 (

보고 및 평가 )

ㅇ 성과 미제출 및 허위제출 등 성과 관련 연구부정행위에 따른


제재 규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제 조 참여제한 기간 27 (

및 사업비 환수 기준 )

-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 조 문제과제에 대한 48 (

참여제한 등 )

- 2 -
Ⅱ 주요내용

□ 조사항목

ㅇ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발생된 과학기술적 성과 및 그 밖의


유·무형 경제·사회·인프라 성과 등
【 주요 조사항목 】

구분 주요 조사 내용
과학·기술적 ▪국내외 논문게재 ▪특허 출원·등록
공통 성과 ▪학술대회 발표 ▪기타 산업재산권
항목 경제·사회적 ▪기술료 징수액 ▪연수지원
성과 ▪사업화 매출액 ▪인력양성
▪표준 제안/채택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기술적 ▪인증 취득/심사 ▪기술성숙도(TRL) 달성도
성과 ▪시제품 제작 ▪정부/민간 포상(수상)
고유 ▪SW/콘텐츠 등록
항목 ▪배출인력/기업체 채용인원 ▪정책지원/반영
사회·인프라 ▪교육수혜자
▪고용창출
현황 ▪산학협력/국제공동 연구
성과 ▪기업지원 ▪시설구축·운영 건수
▪시험·측정 지원 ▪수혜자 만족도
성과활용유형 ▪사업화/후속연구개발
기타 활용/미활용
추진/선행 및 기초연구 활용/
사업화 단계 ▪사업화 유형
(신제품 개발, 기존제품 개선, 신공정개발, 기존공정개선 등)
사업화 ▪사업화 성공/중단요인 ▪추가R&D투자액/소요기간
▪기술이전/유발매출/비용절감 ▪신규고용창출
성과활용 진행/중단 단계 /수입대체/기업규모증가 등
사업준비 단계 ▪사업화 준비정도/애로사항 등 ▪추가R&D투자액/소요기간
▪미시행 주요요인 ▪미활용기술 사업화 지원 사항
성과 미활용 ▪개발기술의 활용계획 ▪미활용기술 기술이전 희망
내용
인프라 활용 ▪구축장비 활용
▪유휴 불용장비 현황 ▪기업지원 효과
공통항목 정성적 성과 ▪연구개발 대표(우수)성과
※ 상기 항목은 시스템 변경을 통해 순차적으로 반영 예정(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3 -
□ 조사방법 및 체계

ㅇ 사업관리시스템
IITP 에 접속하여 성과실적을 입력하는
(SMART)

온라인 성과조사 실시
ㅇ 기본적으로 성과가 발생되는 시기에 시스템에 상시 입력하되 ,

해당과제별 주관기관에 분기별 성과입력 안내문 발송


【 사업성과관리시스템 성과 상시 입력체계 】

ㅇ 연구수행자가 상시 입력한 성과를 전담기관 성과담당자가 수시


검토 및 확인

- 4 -
Ⅲ 연간 성과조사 일정

□ 연간 성과조사 추진체계 및 일정

일 정 내 용

▪분기별 성과조사 실시
- 실시대상 : 기술개발/기반조성/인력양성/표준화사업 계속·
종료과제(해당분기에 발생된 성과)
분기별 - 조사항목 : 공통조사항목(NTIS 조사·분석 입력항목) 및
사업별 고유조사항목
▪분기마다 성과입력 안내메일을 발송하여 수시로 성과를
입력 하도록 독려

▪사업별 담당간사의 성과현황 수시 모니터링


연중 상시 - 성과입력 내용 및 증빙서류 확인
- 부족한 증빙자료 추가요구

▪성과입력 1차 마감
11월 말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분평 대응을 위한 1차 마감
※ 성과입력 2차 마감은 과제별 평가일정에 따름

▪NTIS 성과입력(국가연구개발사업 조분평 대응)


차년도 1월 초 - 당해연도 1∼12월에 발생하여 입력된 성과를 NTIS 시스템에
연계 입력
▪종료과제 성과활용항목 추가조사 실시

▪NTIS 성과정보 검증
차년도 2∼5월 - 논문, 특허 추가 증빙자료 확인 및 기여율 조정 실시
▪차년도 발생성과 상시 입력 시작(4월경)
- 전체 세부사업 계속/종료과제 대상
※ 상기 일정은 내부방침 및 시스템 변경사항 등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5 -
Ⅳ 성과입력

【 성과입력 시 고려사항 】

▶ 연구성과는 과제 수행기간 및 성과활용기간(과제종료 이후 5년)에 발생한


연구 결과물만 작성
※ 성과 보고 시에는 과제 수행연도(기준년도)와 성과물 발생연도 구분
▶ 연구성과는 게재·출원·등록·기고·채택 등 절차가 완료된 경우만 인정
▶ 연구성과는 해당과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만 인정
※ 논문(사사), 특허(서지정보) 등
▶ 기여율 : 논문, 특허 성과가 2개 이상의 사업(혹은 과제)에서 중복
발생한 경우 과제별 기여율 로 인정(중복성과활용 금지)
< 예시 >
논문 부처 과제명 연구책임자 기여율

A 미래부 a 홍길동 70
산업부 b 일지매 30
- 단, 과제별 기여율의 합은 100%를 넘어서는 안됨
▶ 개인명의 특허 : 정당한 사유 없이 연구개발성과인 지식재산권을
연구책임자나 연구원의 단독 또는 기관·개인 공동명의로 출원하거나
등록한 경우, 연구부정행위 사례로 보아 참여제한 1년의 제재조치를 받게 됨
※ 관련근거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27조,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48조
- 단, 개인기업의 경우 대표자 명의로 된 경우는 예외
▶ 연구책임자는 과제가 종료하더라도 종료 이후 5년간 발생한 성과를
입력해야 할 의무가 있음
- 정당한 사유 없이 성과조사에 응답하지 않거나 허위로 작성한 경우
참여제한 1년의 제재조치를 받게 됨
※ 관련근거 :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제48조
▶ 모든 연구성과는 증빙자료가 반드시 확인되어야 인정
- 6 -
□ 사업관리시스템(SMART) 로그인 및 회원 가입

ㅇ 홈페이지를 통한 접근
IITP

- IITP 홈페이지(http://www.iitp.kr)에서 “사업관리시스템” 바로


가기를 클릭하여 성과정보 입력
ㅇ 주관기관 총괄책임자 또는 참여기관 공동책임자 의 아이디로
‘ ’ ‘ ’

로그인하여 성과입력
사용 방법
☞ IITP 홈페이지(http://www.iitp.kr)에서 “사업관리시스템” 버튼을 클릭

- 7 -
ㅇ 사업관리시스템 로그인
- “사업관리시스템” 화면(http://msmart.iitp.kr)에서 로그인을 하여
사업관리시스템 초기화면으로 이동
사용 방법
☞ 사업관리시스템은 수행기관의 과제 수행관리, 결과 및 성과 등록, 사후
관리를 이용하기 위한 화면으로 회원 로그인을 통해 사용 가능
☞ ① ID / PW 입력 후 ② 로그인 버튼 클릭
③ 비회원의 경우, “회원가입”을 통해 회원 가입 후 사용

- 8 -
ㅇ사업관리시스템 회원가입
- 사업관리시스템 로그인을 위해서는 회원 가입이 필수이며,
“사업관리시스템” 화면(http://msmart.iitp.kr)에서 회원 가입

사용 방법
☞“사업관리시스템”화면의 회원가입 클릭 후 나타나는 회원가입 초기화면
☞ ①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체크박스 체크 필요)
② 휴대폰, 공인인증서, 안심체크 및 아이핀 인증을 통한 개인 인증 실시
③ 회원 가입을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표시는 필수입력)
④“회원가입”버튼을 클릭하면 회원가입 완료

- 9 -
□ 사업관리시스템(SMART) 성과입력 메인화면

ㅇ 사업관리시스템에서 결과/성과 > 성과 > 성과입력및조회 메뉴를


통해 성과입력 대상과제를 확인 후 성과입력 시작
ㅇ 입력할 성과항목은 논문, 학술대회, 특허, 산업재산권, 기술이전(기술료),
사업화, 연구지원, 인력양성, 표준화, 콘텐츠/SW, 정성적 성과
등 11개 조사항목으로 구성
사용 방법
☞ 결과/성과 > 성과 > 성과입력및조회 메뉴를 통해 해당과제에 대한 성과
입력 제출상태 확인 및 성과입력
☞ ① 결과/성과 > 성과 > 성과입력및조회 메뉴를 클릭하면, ② 성과입력
대상과제 목록 및 입력현황 조회
③ 해당과제의 입력상태란의“성과입력”버튼을 클릭하면, ④ 해당과제의
성과입력 현황 조회
⑤ 각 조사항목의 명칭을 클릭하면, 해당 조사항목의 성과입력 화면으로
이동

- 10 -
1. 논문 성과 입력
-논문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해당논문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논문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입력방법① 온라인검증입력 증빙자료 파일첨부 불필요


: ( )

- 온라인검증입력 클릭 검색 및 입력할 논문 선택 후 적용 클릭
‘ ’ , ‘ ’

※ 논문명 검색 시 공백 및 오탈자가 있는 경우 검색이 되지 않을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11 -
※ 온라인 검증기를 사용했으나 검색이 되지 않거나 등록에 실패한 경우 직접입력 후 증빙자료 첨부
,

- 12 -
- 입력방법②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기능
:

( 증빙자료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 입력방법③ 직접입력 증빙자료 파일 첨부 필요


: (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SCI(E)구분 O - SCI(E) 여부 선택
논문구분 O - 국내/국외학술지 선택
논문명 O -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명과 일치하도록 정식 명칭(Full Name)을 기재
주저자명(제1저 O - 참여연구원에서 선택 : 검색버튼 클릭, 검색팝업에서 주저자
자) 선택 후 선택완료 버튼 누르면 선택됨
- 13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 참여연구원에 저자가 없을 경우 : 해당 주저자명을 직접 입력
- 해당 논문의 주저자(First author)(공동제1저자 또는 단독저자)를
학술지에 실린 주저자명과 일치하게 제1저자명만 기재(영문명으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학술지에 한글명으로 등재된 경우 동일하게
한글명으로 기재)
(예) Gil-Dong Hong
- 참여연구원에서 선택 : 검색버튼 클릭, 검색팝업에서 공동저자
선택 후 선택완료 버튼 누르면 선택됨(다수선택 가능)
- 참여연구원에 저자가 없을 경우 : 해당 공동저자명을 직접 입력,
다수일 경우 ;로 구분하여 입력
공동저자명 X - 해당 논문의 제1저자(주저자)를 제외한 공동저자를 학술지에 실린
저자 순서, 저자명과 일치하게 기재(학술지에 영문명으로 등재된 경우
동일하게 영문명으로 기재)
-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 ; '으로 구분하여 기재
(예1) 공동저자가 1인인 경우 : 홍길동
(예2) 공동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 : 홍길동;강감찬;김유신
학술지명 O -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식 명칭(Full Name)을 기재
(예)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Volume(Number)을 정확하게 기재
볼륨번호 O (예1) 12(3)
(예2)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 N 또는 n 입력
학술지 출판일자 X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논문 시작페이지 O - 해당 논문의 시작페이지를 숫자 또는 문자열로 기재 가능
(예) 151, A-10, 가-10
  *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는 ‘0’으로 입력
- 해당 논문의 끝페이지를 숫자 또는 문자열로 기재 가능
논문 끝페이지 O (예) 151, A-10, 가-10
*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는 ‘0’으로 입력
 
- 해당 학술지의 임팩트팩터(ImpactFactor, 영향지수)를 최대8자리, 소
ImpactFactor X 수점5자리로 기재
(예) 2.34
- 동일한 성과 한건을 여러 과제 성과로 입력 시, 과제 담당자간
기여율(%) O 협의를 통해 기여율 입력
(예) 논문(가) 한건을2개 부처 사업(A, B)에 중복 입력 시, 50:50 으로 입력
(기여도에 따라 40:60, 30:70 등 연구자간 자율조정)
- ISBN 또는 ISSN 번호를 양식에 맞게 둘 중 하나를 기재
ISBN 또는  O (예1) ISBN 입력 시 : 978-89-55
(예2) ISSN 입력 시 : 1254-3284
ISSN (예3)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 또는 ISSN이 없는 학술지인 경우 기본 값
입력 : 0000-0000
- 해당 논문의 DOI를 문자열 또는 숫자로 기재
(예) http://dx.doi.org/10.1006/jmbi.1995.0238
DOI(Digital Object X ※ DOI : 책이나 잡지 등에 매겨진 국제표준도서번호(ISBN)와 같이 모든 디지털
Identifier)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로 인터넷 주소가 바뀌어도 사용자가
그 문서의 새 주소로 찾아갈 수 있도록 웹 파일이나 인터넷 문서에 영구적으로 부여됨
- DOI가 없는 경우에도 반드시 ‘0’ 으로 입력
초록 X - 2500자 이내로 입력
X - 온라인 검증기를 통해 입력 시 생략
파일첨부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O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14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 증빙자료 : 특정한 양식은 없으나 논문명, 학술지명, 저자명,
권호수(볼륨번호), 발행년월일, 실제 게재된 페이지 수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는 자료
※ 증빙내용이 부족할 경우 성과 불인정
【 논문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Acknowledgement(사사)가 반드시 기재되어야 함


▸ 최종게재완료 및 발표일이 과제수행기간 및 ▸ Acknowledgement(사사)가 기재되지 않은 경우
성과활용기간중인경우에만해당연차성과로인정
▸ 당해연도의 Printed 논문만 성과로 인정됨 ▸ 학술대회 않고 단순발표만
및 학술지, 컨퍼런스에 게재하지
하는 경우
※ 당해연도 게재 여부 판단 기준 : 실제 논문이 책자로
발행된 일자
(단, Online 출판만 하는 저널의 경우, Online 발행 ▸ 접수(recei ved), 게재확정(accepted), 출판전
논문(Online First)은 불인정
연도가 기준) (단, Online 출판만 하는 저널의 경우는 예외)
▸ SCI논문은 SCI(E) 논문 DB인 WOS(Web Of ▸ SCI(E) 이외의 등재지(SSCI와 A&HCI)에 게재된
Science)에서 검색되는 논문만 인정 논문은 SCI논문 성과 불인정(비SCI논문 성과로 인정)
▸ 해당과제의 총괄책임자 혹은 참여연구원이
저자(주저자 또는 공동저자)이어야 함

- 15 -
2. 학술대회 성과 입력
-학술대회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해당 학술대회 논문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학술대회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학술대회 성과 국내외 전문학술지 외 학술대회 논문집 기타
: ,

논문집에 게재된 논문

- 입력방법①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기능


:

( 증빙자료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 16 -
- 입력방법② 직접입력 증빙자료 파일 첨부 필요
: (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학술대회 개최국 X - 국가명 검색하여 선택 입력


- 국외학술대회논문집 : 국외 또는 국제학술대회(Conference,
Symposium)에서 발표한 논문을 싣는 논문집(Proceeding)
- 국내학술대회논문집 : 국내학술대회(Conference, Symposium)에서
논문구분 O 발표한 논문을 싣는 논문집(Proceeding)
- 국외기타논문집 : 학술지 또는 학술대회 논문집 이외의 국외
논문집(예 : 기념논문집, 기관발간 논문집 등)
- 국내기타논문집 : 학술지 또는 학술대회 논문집 이외의 국내
논문집(예: 기념논문집, 기관발간 논문집 등)
논문명 O - 학술대회발표논문집의 정식 명칭(Full Name)을 기재
- 참여연구원에서 선택 : 검색버튼 클릭, 검색팝업에서 주저자
선택 후 선택완료 버튼 누르면 선택됨
- 참여연구원에 저자가 없을 경우 : 해당 주저자명을 직접 입력
주저자명(제1저자) O - 해당 논문의 주저자(First author)(공동제1저자 또는 단독저자)를
학술지에 실린 주저자명과 일치하게 제1저자명만 기재(영문명으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학술지에 한글명으로 등재된 경우 동일하게
한글명으로 기재)
(예) Gil-Dong Hong
- 참여연구원에서 선택 : 검색버튼 클릭, 검색팝업에서 공동저자
선택 후 선택완료 버튼 누르면 선택됨(다수선택 가능)
공동저자명 X - 참여연구원에 저자가 없을 경우 : 해당 공동저자명을 직접 입력,
다수일 경우 ;로 구분하여 입력
- 해당 논문의 제1저자(주저자)를 제외한 공동저자를 학술지에
실린 저자 순서, 저자명과 일치하게 기재(학술지에 영문명으로
- 17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등재된 경우 동일하게 영문명으로 기재)
-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 ; '으로 구분하여 기재
(예1) 공동저자가 1인인 경우 : 홍길동
(예2) 공동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 : 홍길동;강감찬;김유신
학술대회 논문집명 O - 학술대회발표논문집의 정식 명칭(Full Name)을 기재
-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Volume(Number)을 정확하게 기재
볼륨번호 O (예1) 12(3)
(예2)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 N 또는 n 입력
학술지 출판일자 X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논문 시작페이지 O - 해당 논문의 시작페이지를 숫자 또는 문자열로 기재 가능
(예) 151, A-10, 가-10
*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는 ‘0’으로 입력
- 해당 논문의 끝페이지를 숫자 또는 문자열로 기재 가능
논문 끝페이지 O (예) 151, A-10, 가-10
*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는 ‘0’으로 입력
- ISBN 또는 ISSN 번호를 양식에 맞게 둘 중 하나를 기재
(예1) ISBN 입력 시 : 978-89-55
ISBN 또는  ISSN O (예2) ISSN 입력 시 : 1254-3284
(예3)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 또는 ISSN이 없는 학술지인 경우 기본
값 입력 : 0000-0000
학술대회명 X - 학술대회발표 논문인 경우 학술대회명을 기재
학술대회 발표일 O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초록 X - 2500자 이내로 입력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파일첨부 O - 증빙자료 : 특정한 양식은 없으나 논문명, 학술지명, 저자명,
권호수(볼륨번호), 발행년월일, 실제 게재된 페이지 수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는 자료
※ 증빙내용이 부족할 경우 성과 불인정

【 학술대회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Acknowledgement(사사)가 반드시 기재되어야 함
▸ 최종게재완료 및 발표일이 과제수행기간 및 ▸ Acknowledgement(사사)가 기재되지 않은 경우
성과활용기간중인경우에만해당연차성과로인정
▸ 당해연도의 Printed 논문만 성과로 인정됨 ▸ 학술대회 않고 단순발표만
및 학술지, 컨퍼런스에 게재하지
하는 경우
※ 당해연도 게재 여부 판단 기준 : 실제 논문이 책자로
발행된 일자
(단, Online 출판만 하는 저널의 경우, Online 발행 ▸ 접수(recei
논문(Onl i n
ved), 게재확정(accepted), 출판전
e First)은 불인정
연도가 기준) (단, Online 출판만 하는 저널의 경우는 예외)
▸ 해당과제의 총괄책임자 혹은 참여연구원이
저자(주저자 또는 공동저자)이어야 함

- 18 -
[참고] 논문 사사(Acknowledgement) 표기 표준(안)

o 단일 과제 성과
이 논문은 0000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국문표기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과제번호,과제명)

This work was supported by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영문표기 Technology Promotion(IIT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P)
(No.과제번호,과제명)

* (예제) 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0000000, OOOOO기술개발)
o 타부처 및 공동 과제 성과
이 논문은 0000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국문표기 지원(No.과제번호,과제명)과 0000년도 정부(OOO부)의 재원으로 OOOO관
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과제번호,과제명)

This work was partly supported by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IITP) grant funded by the Korea
영문표기 government(MSIP) (No.과제번호,과제명) and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KEIT)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OTIE) (No.과제번호,과제명)
* (예제) 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No.0000000, OOOOO기술개발)과 2015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0000000, OOOOO기술개발)

- 19 -
3. 특허 성과 입력
-특허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해당 특허를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특허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입력방법① 온라인검증입력 증빙자료 파일첨부 불필요


: ( )

※ 온라인검증입력은 국내특허 일 경우만 가능


‘ ’

- 온라인검증입력 클릭 검색 및 입력할 특허 선택 후 적용 클릭
‘ ’ , ‘ ’

- 20 -
※ 온라인 검증기를 사용했으나 검색이 되지 않거나 등록에 실패한 경우 직접입력 후 증빙자료 첨부
,

- 입력방법②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기능


:

증빙자료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

※ 해외특허는 모두 엑셀 업로드 및 직접입력 후 증빙자료를 첨부해야 함

- 21 -
- 입력방법③ 직접입력 증빙자료 파일 첨부 필요
: ( )

※ 해외특허는 모두 엑셀 업로드 및 직접입력 후 증빙자료를 첨부해야 함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출원(등록)국 O - 검색버튼을눌러 국가명 선택(PCT 출원인 경우 ‘국제’ 선택)
출원(등록)구분 O - 해당 특허의 출원/등록 구분
- 해당 특허의 출원 또는 등록번호를 기재
- 국내 특허의 경우 숫자 및 ‘-’ 문자를 포함하여 정확히
총 15자리의 번호를 입력
출원(등록)번호 O ※ 국가별 특허번호 입력 형식 제약조건은 표 하단의 별도 자료 참고
(예1) 특허출원 번호 입력 예: 10-2012-0000001
(예2) 특허출원 번호 오입력 예: 0000001
(예3) 특허등록 번호 입력 예: 10-0000001-0000
(예4) 특허등록 번호 오입력 예: 0000001
발명(고안,디자인)의 - 해당특허의출원(또는등록시) 「발명(고안, 디자인)의명칭」을 기재
명칭 O ※ 국내 특허의 경우 띄어쓰기 오류 및 오탈자로 인해 특허청에 사용한 정식
명칭과 다른 경우 검증이 실패되어 특허 정보를 등록할 수 없게 됨
- 해당 출원(등록)의 출원(등록)기관 기재(법인의 경우 법인명 기재)하되
사단법인인 경우 "(사)법인명", 재단법인인 경우 "(재)법인명",
대학인 경우 "OO대학(교)", 외국기관인 경우 영어(약어로
표기하지 말 것)로 작성
- 합법적인 개인명의 특허인 경우만 인물명을 기재(단, 반드시
출원(등록)기관 O 증빙자료 제출)
* 합법적인 개인명의 특허 : 출원(등록)기관이 개인사업자인 경우(사업자
등록증 제출), 연구개발 소유기관이 권리를 포기하는 경우(연구개발
소유기관의 공문 제출)
- 다수의 출원(등록)기관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구분자(;)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
(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를 포함하여 입력 (예: 123-45-67890)
출원(등록)기관의 - 다수의 사업자등록번호는 ; 로 구분하여 입력
사업자등록번호 O - ‘출원(등록)기관’과 ‘출원(등록)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의
입력정보 개수가 일치하여야 함(‘출원(등록)기관’을 두 개 입력한
경우, ‘출원(등록)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 입력값도 두 개 이어야 함)
출원(등록)일 O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 22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공개유무 O - 입력하는 특허 성과 관련 사항에 대하여 공개여부 선택
- 동일한 성과 한건을 여러 과제 성과로 입력 시, 과제
기여율(%) O 담당자간 협의를 통해 기여율 입력
(예) 특허(가) 한건을2개 부처 사업(A, B)에 중복 입력 시, 50:50 으로 입력
(기여도에 따라 40:60, 30:70 등 연구자간 자율조정)
활용형태 O - 특허 활용형태 선택
- 표준특허 여부 선택
표준특허여부 O ※ 표준특허 란? : 국내외 표준화기구에서 표준화를 추진 중인 기술이
국내외 특허로 등록되기 위하여 출원 중인 성과(표준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특허기술)
X - 표준특허가 아닌경우 입력생략
관련표준명 O - 관련 표준안/표준 문서명 기재
(예) ICT 표준
X - 표준특허가 아닌경우 입력생략
표준화기구명 O - 표준화 기구명 기재
(예) ISO/IEC JTC1
X - 표준특허가 아닌경우 입력생략
표준번호 - 표준화 추진 중에 제출 문서에 대해 표준화 기구에서
O 부여한 승인번호 기재
(예) ISO/IEC 12345
X - 표준특허가 아닌경우 입력생략
 IRP선언(확약)일자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O - 표준문서에표기된기술에대하여특허가있다는확약선언 날짜 기재
해당 표준기술이 X - 표준특허가 아닌경우 입력생략
포함된 특허 청구항번호 O - 특허 기술이 기고된 표준문서에 반영된 청구항
X - 온라인 검증기를 통해 입력 시 생략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증빙자료 : 출원(등록)국, 출원(등록)구분,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일, 발명의 명칭, 출원(등록)기관 등이 포함된
첨부파일 해당국 특허청의 공식 문서
(예) 특허공보, 출원확인서, 등록증 등(대리인의 공문이나 메일, 내부
O 문서 등은 불인정)
- 표준특허의경우표준화추진/완료문서및IPR 선언문서 추가 제출
- 정당한 사유 없이 개인명의 특허를 출원하거나 등록한 경우, 연구
부정행위 사례로 보아 참여제한 1년의 제재조치를 받게 됨
(단, 합법적 개인명의 특허의 경우 사업자등록증, 연구개발 소유기관의
권리 포기 관련 공문 등 제출)
※ 증빙내용이 부족할 경우 성과 불인정

- 23 -
- 24 -
< 국가별 특허번호 입력 형식 제약조건 >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 출원(등록)구분
아래 지정된 형식 준수
※ 형식의 *는 숫자만 입력 가능
KR 대한민국 출원 10-20**-*******
등록 10-*******-0000
XI 국제 출원 PCT/KR20**/******
※ KR 부분에 다른 국가코드 입력이 허용됨
출원 **/******
US 미국 등록 ##*****
※ #은 숫자 또는 영문 입력 가능
20**-******
JP 일본 출원 PCT/KR20**/******
※ KR 부분에 다른 국가코드 입력이 허용됨
등록 *******
XU 유럽연합 출원 ********.*
등록 *******
출원 20**********.#
ZL20**********.#
CN 중국 ※ 공고된 특허의 출원번호 기입
공고(등록) ※ #은 숫자 또는 알파벳 대문자 X 입력 가능
※ 2003년 10월 이전 출원된 특허가 등록된 경우
ZL****00******.#
[연도4자리][번호6자리]
출원 ************.*
DE 독일
등록 ************
출원 *******.*
GB 영국
등록 *******
출원 *******
CA 캐나다
등록 *******
출원 *********
TW 대만 I******
등록 ※ I는 알파벳 I임
※ 위 표에 명시된 국가 이외의 국가(기타국가)를 입력하는 경우 출원/등록번호 입력 형식에 특별한 제약사항이 없음

- 25 -
[참고] 특허출원 시 R&D 과제출처 기입

o 기재항목 과제고유번호 연구사업명 연구과제명 부처명 연구관리기관


( ) *, , , , ,

주관기관 연구기간 기여율 총 개 항목


, , ( 8 )

* NTIS에서 부여하는 10자리 형태의 번호로, 과제관리기관이나 주관기관에서


부여되는 과제번호와 다름에 유의
o 기재방법 특허출원서 서식 중 국가연구개발사업 을 선택하여 기재
( ) ‘ ’

⇒ 방법 전자출원시스템 내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보 조회 기능을 활용


( 1) ‘ ’

⇒ 방법 보안과제 등의 사유로 과제검색이 안 될 경우 과제고유번호


( 2) ,

등 과제출처를 수기 입력 가능
<전자출원 시스템 내 과제출처 기입 화면 및 방법>

- 26 -
[참고] 개인명의 특허 관련 유의사항

v 개인명의 특허의 성과 인정 여부
ü 개인명의 특허는 원칙적으로 성과로 불인정
- 출원(등록)기관이 개인 단독명의, 법인+개인 공동명의인 경우 모두 실패 처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제20조제2항에 따라 연구개발결과물을
개발한 연구기관이 해당 지식재산권(특허)을 소유하도록 규정됨
ü 예외적으로 성과로 인정되는 개인명의 특허
- 출원(등록)기관이 개인사업자인 경우
※ 해당 연구기관이 특허 출원을 할 수 있는 법인격을 갖추지 못한 경우 대표자 명의로
특허 출원 가능
- 연구개발 소유기관이 권리를 포기한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제20조제5항에 따라 연구개발결과물
소유기관이 연구개발결과물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는 경우 연구책임자에게 무상으로
양여 가능
- 개인사업자에게 기술이전을 통해 특허를 양도한 경우
v 개인명의 특허의 적법성 관련 증빙자료
- 출원(등록)기관이 개인사업자인 경우
※ 출원(등록)기관의 사업자등록증
- 연구개발 소유기관이 권리를 포기한 경우
※ 연구개발 소유기관의 권리 포기 관련 공문, 해당 과제의 연구책임자임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 개인사업자에게 기술이전을 통해 특허를 양도한 경우
※ 기술이전계약서, 양도증, 양도받은 업체의 사업자 등록증
v 미국 및 PCT 특허 관련 유의사항
ü 선출원주의 관련 미국 개정 특허법 발효(’13.3월)에 따라 개인명의 특허
판단 기준 강화
- 연구개발 결과물 소유기관 명의로 특허출원을 진행하지 않고, 발명자
명의로 출원하였을 경우에는 반드시 소속 기관에 양도(assignment)하였음을
입증해야 함

- 27 -
【 특허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출원번호 발급완료 / 등록번호 발급완료된 특허


* 출원(등록)국, 출원(등록)구분, 출원(등록)번호, 발명의 명칭,
▸ 특허 출원 시 서지정보에 연구개발과제
출원(등록)기관, 출원(등록)일 등 정보를 정확하게 기입
출처 기재가 되지 않은 경우
▸ 국내 특허 출원 시, 서지정보에 연구개발 ▸ 특허 출원 중이거나 등록 중인 성과 불인정
과제 출처 기재가 반드시 되어야 함 (출원/등록신청, 중간사건처리, 출원/등록중 등 불인정)
▸ 해당과제의 총괄책임자 혹은 참여연구원이 ▸ 개인명의의 특허는 성과로 인정되지 않음
발명인이어야 함 (단, 합법적인 개인명의 특허인 경우 인물명을 기재
▸ 표준특허는 표준화 추진 중 + 특허 출원· ▸ 하고, 반드시 증빙자료를 제출해야만 성과로 인정)
등록 된 성과로 IPR 선언이 된 것만 인정 각국 특허청 DB에서 검색되지 않거나
증빙자료가 불충분한 경우 성과로 인정
- 해당특허가 출원된 과제의 성과로 인정 되지 않음
▸ 등록특허 입력 시, 출원 성과를 입력했던
연구과제의 성과로 입력해야 인정

- 28 -
4. 산업재산권 성과 입력
※ 특허 외에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기타 산업재산권 성과 입력
, , ,

- 산업재산권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 해당 산업재산권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산업재산권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입력방법① 온라인검증입력 증빙자료 파일첨부 불필요


: ( )

※ 온라인검증입력은 출원 등록 국이 대한민국 일 경우만 가능


( ) ‘ ’

- 온라인검증입력 클릭 검색 및 입력할 특허 선택 후 적용 클릭
‘ ’ , ‘ ’

※ 온라인 검증기를 사용했으나 검색이 되지 않거나 등록에 실패한 경우 직접입력 후 증빙자료 첨부 ,

- 29 -
- 입력방법②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기능
:

( 증빙자료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 입력방법③ 직접입력 증빙자료 파일첨부


: (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출원(등록)국 O - 검색버튼을눌러 국가명 선택


산업재산권 종류구분 O -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등 선택
출원(등록)구분 O -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등록 구분
-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또는 등록)번호를 기재
하되, 공백 없이 ‘-’를 포함하여 기재
- 국내 산업재산권의 경우 숫자 및 ‘-’ 문자를
출원(등록)번호 O 포함하여 정확히 총 15자리의 번호를 입력
(예1) 산업재산권출원 번호 입력 예: 10-2012-0000001
(예2) 산업재산권출원 번호 오입력 예: 0000001
(예3) 산업재산권등록 번호 입력 예: 10-0000001-0000
(예4) 산업재산권등록 번호 오입력 예: 0000001
발명(고안,디자인)의 명칭 O -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또는 등록시) 「발명
(고안, 디자인)의 명칭」을 기재  

- 30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공개유무 O - 입력하는 산업재산권 성과 관련 사항에 대하여


공개여부 기재
출원(등록)일 O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 해당 출원(등록)의 출원(등록)기관 기재(법인의 경우
법인명 기재)하되 사단법인인 경우 "(사)법인명",
재단법인인 경우 "(재)법인명", 대학인 경우
출원(등록)기관 O "OO대학(교)", 외국기관인 경우 영어(약어로 표기
하지 말 것)로 작성.
- 다수의 출원(등록)기관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구분자(;)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
(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해당 산업재산권 출원(등록)기관의 사업자등록
번호를 (-)를 포함하여 기재
(예1) 정상입력 예: 123-45-67890
출원(등록)기관의 (예2) 오입력 예: 1234567890
사업자등록번호 O - 출원(등록)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를 반드시
입력해야 하며,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외국기관의
경우 및 합법적인 개인명의 특허인 경우 디폴트 값
“000-00-00000”를 입력
X - 온라인 검증기를 통해 입력 시 생략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첨부파일 - 증빙자료 : 출원(등록)국, 출원(등록)구분, 출원
O (등록)번호, 출원(등록)일, 발명의 명칭, 출원(등록)
기관 등이 포함된 해당국 특허청의 공식 문서
(예) 특허공보, 출원확인서, 등록증 등(대리인의 공문이나
메일, 내부 문서 등은 불인정)
※ 증빙내용이 부족할 경우 성과 불인정

【 산업재산권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출원번호 발급완료 / 등록번호 발급완료된 특허 ▸ 실용신안 출원 시 서지정보에 연구개발과제


* 출원(등록)국, 출원(등록)구분, 출원(등록)번호, 발명의 명칭,
출원(등록)기관, 출원(등록)일 등 정보를 정확하게 기입 출처 기재가 되지 않은 경우
▸ 출원 중이거나 등록 중인 성과 불인정
▸ 실용신안 출원 시, 서지정보에 연구개발 (출원/등록신청, 중간사건처리, 출원/등록중 등 불인정)
과제 출처 기재가 반드시 되어야 함 ▸ 각국 특허청 DB에서 검색되지 않거나
▸ 해당과제의 총괄책임자 혹은 참여연구원이 증빙자료가 되지 않음
불충분한 경우 성과로 인정
발명인이어야 함

- 31 -
5. 기술이전 기술료 성과 입력
( )

※ 이전년도 기술실시계약 체결 건에서 당해년도에 기술료가 발생한 경우도 입력


- 기술이전 기술료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 )

- 해당 기술이전 기술료 건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 )

-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기술이전 기술료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

- 기술이전 기술료 성과 등록
( )

※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가능하며 이 경우 증빙자료 ,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32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기술실시 계약명 O - 기술실시 계약명 기재
최초기술실시 O - 최초 기술실시계약 체결년도를 선택하여 입력
계약연도
기술실시 대상국가 O - 검색버튼을 눌러 해당 국가명을 선택
- 당해연도 발생된 기술료를 원단위로 기입(징수금액, 납부
당해년도 징수액 O 금액 모두 기입)
- 당해년도 발생 기술료 없을 경우 ‘0’으로 기입
- 해당 기술이전 건에서 현재까지 발생한 기술료를 원단위로
기 징수액 X 기입(징수금액, 납부금액 모두 기입)
- 기 발생금액 없을 경우 ‘0’으로 기입
- 당해연도 발생 기술료 중 정부납부기술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기재
정부납부기술료 O - 정부납부기술료 란? :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정부출연금
지원으로 개발한 성과물 이용에 대한 대가로, 정부(전담기관)에
납부하는 금액(영리법인이 정부에 납부하는 기술료)
연구개발성과 -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유·무형적 결과물을
소유기관 O 소유한 기관의 유형 선택
(협약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주관·참여기관 단독 혹은 개발기관 공동소유)
기술료 납부방식 O - 협약 또는 실시계약에서 정한 기술료 납부방식 선택
- 직접(자가)실시 : 연구개발성과 소유기관에서 직접 실시
기술실시방식 O - 공동개발기관 실시 :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한 참여기관이
기술이전 받아 실시
- 제3자 실시 : 참여기업이 아닌 타 기관이 기술이전 받아 실시
기술료 계약 O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체결일자
기술실시 내용 O - 1300자 이내 입력
- 기술을 이전 받아 실시한 기관
기술실시 - 기술실시 기관명칭을 정식명칭(Full Name)으로 기재하되
대상기관명 O 사단법인인 경우 "(사)법인명", 재단법인인 경우 "(재)법인명",
대학인 경우 "OO대학(교)", 외국기관인 경우 영어(약어로
표기하지 말 것)로 작성
기술실시 - 기술실시가 이루어진 대상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재
대상기관 O 하되, 공백 없이 ‘-’를 포함하여 기재
사업자등록번호 (예1) 정상입력 예: 123-45-67890
(예2) 오입력 예: 1234567890
기술실시 O - ‘기술실시 대상기관’ 유형 선택
대상기관 유형
- 양도 : 매매 형태로 이루어지는 기술이전으로서 기술도입자가
대가를 지불하고 특허권 등의 권리를 명의이전 받음으로써
계약이 완료
- 전용실시 : 기술공급자와 기술도입자의 설정 계약으로 정한
기술이전 유형 X 일정한 범위 내에서 그 특허 발명이나 노하우를 독점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권리
- 통상실시 : 기술공급자와 기술도입자의 설정 계약으로 정한
일정한 범위 내에서 그 특허 발명이나 노하우를 실시할 수
있는 권리
- 기타 : M&A, OEM/ODM, 기술제휴 등
- 33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기술활용형태 O - 이전된 기술이 활용되는 형태


기술이전 형식 O - 이전되는 기술의 형식을 선택
- 기술이전 형식이 "특허 등 지식재산권 이전", "지식재산권 +
노하우 이전" 일 경우만 기입
관련지재권 O - 특허, 프록그램등관련지재권 등록번호(예:특허등록번호 '-'포함,
SW등록번호(저작권위원회)등) 기입
- 다수일 경우 ; 로 구분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증빙자료 : ①기술실시계약체결문서(기술실시계약서 등),
파일첨부 O ②전담기관에 납부한 기술료의 경우 기술료 납입통장 내역,
비영리기관이 실시기업으로 부터 징수한 경우 기술료 수입
내역 등으로 증빙
 * 당해년도에 기술실시계약만 체결되고 기술료 징수액은 없는 경우 ①만
제출, 이전년도에 체결된 계약에 의한 당해년도기술료 징수액이 있는
경우 ②만 제출

【 기술이전(기술료)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기술실시계약 체결일, 기술료 수입발생일


- 기술료는 정부(전담기관)에 납부한 기술료
(정부납부기술료) 및 비영리기관에서 기술실시
기업에서 징수한 기술료 모두 해당
▸ 기술실시 여부와 관계없이 당해연도에 발생된 ▸ 기술실시계약 체결 및 기술료 수입발생여부를
기술료가 있는 경우 당해연도 성과로 인정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가 불충분한 성과
* 2013년 기술실시계약 체결, 2014년 기술료 발생시 2014년
기술료 성과로 추가입력
▸ 기술실시계약 체결여부 , 기술료 수입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 제출해야 성과로 인정
* 기술실시 계약명과 최초 기술실시 계약연도, 기술실시 대상국가
(기술수출), 기 징수액(원), 당해연도 징수액(원)등

- 34 -
6. 사업화 성과 입력
※ 이전년도 사업화 건에서 당해년도에 매출액이 발생한 경우도 입력
- 사업화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 해당 사업화 건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사업화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사업화 성과 등록
※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가능하며 이 경우 증빙자료
,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35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사업화명 O - 사업화명을 기재 


사업화내용 O - 2000자 이내 입력
사업화 업체명 O - 기술을 실시하여 사업화를 추진한 업체
대표자명 O - 사업화업체의 대표자명
- 사업화 업체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재하되, 공백 없이
사업자등록번호 O ‘-’를 포함하여 기재
(예1) 정상입력 예: 123-45-67890
(예2) 오입력 예: 1234567890
고용창출인원수 O - 해당 기술의 사업화 추진단계에서 발생한 신규고용자 수
  (예) 연구인력, 생산인력, 기타인력 등
- 기술보유자의직접사업화_창업 : 과제를 수행한 연구책임자
혹은 참여연구원에 의한 직접 창업
- 기술보유자의직접사업화_기존업체-상품화 : 기술사업화를
목적으로 과제를 수행한 기존 업체에서 직접 상품화(제품의
개발·생산·판매 등)
- 기술보유자의직접사업화_기존업체-공정개선 : 기술사업화를
사업화형태 O 목적으로 과제를 수행한 기존 업체에서 공정개선(상품화
이외에 그 과정의 관련기술 향상)
- 기술이전_창업 : 기술이전에 의한 창업
- 기술이전_기존업체-상품화 : 기술을 이전받은 기존 업체
에서의 상품화(제품의 개발·생산·판매 등)
- 기술이전_기존업체-공정개선) : 기술을 이전받은 기존
업체에서의 공정개선(상품화 이외에 그 과정의 관련기술 향상)
기술실시계약 체결 O - 기술실시계약 체결여부 선택 입력
여부
기매출액(원) O - 단위(원)
- 기매출액 없을 경우 ‘0’으로 기입
- 단위(원)
당해년도 매출액 - 당해년도 매출액 없을 경우 ‘0’으로 기입
(원) O - 사업화형태가‘공정개선’일 경우, 공정개선에 따른 제품생산의
비용절감액 포함(매출액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비용절감액만 입력)
  * 비용절감액 계산법 : 생산수량 x 개발기술 적용 단위당 원가(前 – 後)
제품명 O - 사업화 결과로 나온 제품명을 기재
사업화연도 O - 사업화를 추진한 연도
기술실시계약명 X -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한 경우 입력 
기술실시 계약년도 X -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한 경우 입력

- 36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 단위(원)
- 수행과제로부터 얻어진 기술개발결과가 기존의 수입품을
수입대체액(원) X 대체할 경우, 수입대체액 작성(달러의 경우 평균환율 1,100원
적용하여 원 단위로 기입)
- 수입대체액 산출 예시 : 기존 수입된 제품/공정 판매금액
x 연도별 개발 제품/공정 판매량
기술기여도(%) O - 해당과제의 기술이 사업화에 기여한 정도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증빙자료 : ① 재무제표, 세금계산서, 부가세납입∙수출
실적증명원등 매출및 비용절감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파일첨부 O (해당자료 제출이 어려울 시, 실시기업∙과제수행기관 대표가 공동서명한
순매출액 상세 산정 기재한 공문서 첨부)
②건강보험공단 재직자 명부,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인사발령 내부서류 등 신규고용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고용창출인원이 ‘0’인 경우 생략)

【 사업화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개발기술을 활용하여 제품 매출액 또는


비용절감이 발생된 경우
▸ 최초 사업화년도와 관계없이 당해연도에
매출액 및 비용절감액이 발생한 경우 ▸ 매출액 및 비용절감액이 발생하지 않은
당해연도 성과로 인정 경우, 성과로 불인정
* 2013년에 제출으로 출시되어, 2014년에 매출액 발생시
2014년 사업화 성과로 추가입력 ▸ 매출액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증빙
▸ 매출액 및 비용절감액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불충분한 성과
증빙자료 제출해야 성과로 인정
▸ 고용창출 : 사업화를 추진하면서 기업에서
신규로 고용한 인원

- 37 -
7. 연수지원 성과 입력
-연수지원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해당 연수지원 건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연수지원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연수지원 성과 등록
※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가능하며 이 경우 증빙자료
,

파일 별도 첨부 필요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연수명 O  
연수지원금액 X - 단위(원)
논문건수 X - 연수 결과로 도출된 논문 건수 기재
학위취득건수_박사 X
학위취득건수_석사 X
- 38 -
학위취득건수_학사이하 X
연수대상인원수 X - 장기(2개월 이상), 단기(2개월 미만)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파일첨부 O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증빙자료 : 수료증, 확인증 등 연수지원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된 자료(별도 양식 없음)
【 연수지원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학술연수 : 학술 및 연구 목적(대학 및 출연연에서 연수파견)을 위한 경우 ▸ 단순한 학회참석은 불인정
▸ 기술연수 : 산업현장의 신기술 및 첨단기술 습득 등을 목적으로 한 경우

- 39 -
8. 인력양성 성과 입력 인력양성대상사업만 해당
( )

-인력양성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해당 인력양성 건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인력양성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인력양성 성과 등록
※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가능하며 이 경우 증빙자료
,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40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인력양성명 O - 인력양성명이 없는 경우 인력양성 성과를 낸 과제의 명칭을 기재
인력양성내용 O - 1300자 이내 입력
인력양성년도 O  
인력양성대상수(명) O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파일첨부 O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증빙자료 : 인력양성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된 자료(별도 양식 없음)
【 인력양성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 과제 참여연구원 및 과제수행을 통해 수혜를 받은 인력 등 학위취득자 배출기준이 아닌
학위과정 및 산업현장에 필요한 인력양성 지원을 포함
* 인력양성사업 참여연구원 : 연구계획서 상에 등록된 참여연구원이며, 인력양성의 실적에도 해당

- 41 -
9. 표준화 성과 입력
-표준화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해당 표준화 건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표준화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표준화 성과 등록
※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가능하며 이 경우 증빙자료
,

파일 별도 첨부 필요
< 국내 >

- 42 -
< 국제>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국내/국제구분 O - 국내 표준, 국제 표준 선택
- 국내 표준일 경우 선택 입력
구분 - 표준화/기술인증 중 선택
(기술인증 : 제품 등과 같은 평가대상이 정해진 표준이나 기술규정 등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심사하는 기준을 제정한 경우)
종류 - 국내 표준, 구분이 ‘표준화’일 경우 선택 입력
문서명 O - 해당 문서명 기재
표준화기구 O - 국제 표준일 경우 표준화기구명 선택 입력
(국내표준일 경우 표준화기구명 직접 인력)
표준화기구명 O - 국내표준일 경우 혹은 국제표준 중 표준화기구명 ‘기타’
선택 시 기재
- 국제 표준일 경우 세부 표준화 단계 선택 입력
- ITU, ISO, IEC, ISO/IEC JTC1의 경우에서 해당 표준화기구의
세부 표준화 단계 O 표준화 단계 선택
(표준 외 결과물인 경우 : TR, TS, AMD, COR, 기타 선택 가능)
- OMA, IEEE, IETF 등 사실표준화기구의 경우, 제개정 구분이
‘정책기고’일 경우 ‘기타’ 선택
표준화회의명 O - 표준화기구의 기술분과 등 회의명 기재
단계 O - 해당 표준화 단계 선택 입력
분류 - - 해당 표준화 단계 선택 시 자동입력됨
- 국내표준 : 제정/개정 중 선택 입력
제개정구분 O - 국제표준 : 제정/개정/기술반영/정책기고 중 선택 입력
(정책기고 : 표준화 정책 또는 환경 등을 구축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에
제출되는 기고서)

- 43 -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자기주도여부 O - 국제표준일 경우 자기주도 여부 선택 입력
제안기관 O - 해당 성과를 제안한 기관명 기재
제안자 O - 해당 성과를 기고한 기고자명 기재
- 국내표준 : 표준화과제채택/표준번호 중 선택 기재
- 국제표준 : 해당 문서 제출 후 표준화기구에서 문서를 승인한
승인번호 O 고유번호 기재
- 해당 표준화 단계가 ‘표준제안서 제출’이고 별도의 승인번호가
부여되지 않는 경우 ‘-’(공란) 기재
- 국내표준 : 표준화과제채택일/표준채택일 중 선택 기재
승인날짜 O - 국제표준 : 해당 문서 제출 후 표준화기구에서 문서를 승인한
날짜 기재
- 해당 표준화 단계가 ‘표준제안서 제출’일 경우 제출날짜 기재
기술요약 O - 표준기술 내용 요약
활용분야 O - 해당 표준 성과가 활용되는 분야 기재
기여율(%) O - 표준에 대한 제안기관의 기여도를 비율로 기재(최대100%)
비고 X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파일첨부 O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증빙자료 : 표준화기구 발급문서 사본, 홈페이지 게재 사본 등

【 표준화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표준화 단계 별 절차가 완료되어야 하며, 해당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가 첨부되어야 함
<국내표준 단계별 구분>
표준화과정 표준화단계 분류 (예)TTAS 번호형식
표준제안서 제출 표준제안서 제출 기고 2013-P123
표준제안서 승인
표준제안서 검토 표준제안서 승인 채택 2013-123
표준심의전 ▸ 표준화기구의 발급문서
표준 채택 및 공고 표준 채택 반영 TTAK.KO-01.1234 사본 등으로 확인 가능
기술보고서(Technical Report) 등 표준 외 결과물 - TTAR-01.1234 하여야 함
<국제표준 단계별 구분>
표준화과정 표준화단계 분류 (예) 번호형식
표준제안서 제출 표준제안서 제출 기고 표준화기구별
표준제안서 승인 표준제안서 승인
표준제안서 수정·검토 표준수정제안서 승인 채택 표준화기구별
표준 채택 및 공고 표준 채택 반영 표준화기구별
표준 외 결과물 표준 외 결과물 - 표준화기구별
기타 정책기고 승인 - 표준화기구별

- 44 -
10. 콘텐츠 성과 입력
/S W

- 콘텐츠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SW

- 해당 콘텐츠 건을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SW

-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콘텐츠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SW

- 콘텐츠 /SW 성과 등록
※ 양식 다운로드를 통한 엑셀 입력 후 업로드 가능하며 이 경우 증빙자료 ,

파일 별도 첨부 필요

항목 필수여부 입력항목 설명
구분 O
등록기관 O  
등록번호 O - 숫자 / 텍스트 기재 가능
(예) SW등록(한국저작권위원회) : C-xxxx-xxxxxx
  (예) SW자산뱅크 등록(정보통신산업진흥원) :  ASSET_0000123
등록명칭 O - SW등록 : 프로그램 명칭
- SW자산뱅크  : 제품 혹은 기술 명칭
등록인(기관명) O
등록일자 O - 달력모양 클릭 후 날짜선택, 직접입력 가능
- 해당성과의 증빙자료 제출
파일첨부 O - 파일첨부를 누르고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전송
- 증빙자료 : 프로그램등록증 등

- 45 -
【 콘텐츠/SW 성과 인정기준 】
인정기준 불인정
▸ 한국저작권위원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에 등록 완료된 콘텐츠 및 SW ▸ 연구성과 등록·기탁기관에
- 한국저작권위원회 : SW연구성과 기탁 및 SW저작권 보호·관리 등록되지 않은 성과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연구성과등록및정보의품질관리, 활용촉진    (콘텐츠 등록 제외)

- 46 -
11. 정성적 성과 입력
- 정성적 성과 등록 리스트 확인
- 해당 정성적 성과를 클릭하여 상세내용 수정 및 파일첨부 추가 가능
- 엑셀 다운로드 기능으로 등록한 정성적 성과에 대한 엑셀파일 저장

- 정성적 성과란 ?

· 논문 특허 기술료 등 정량적 성과 외 세계최초기술개발 해외수출


, , , ,

대외포상 등 연구과제에서 발생된 우수한 연구결과가 정성적으로


기술된 성과
· 등록된 정성적성과는 우수 성과집 발간 국가연구개발사업 , ‘

우수성과 선 등 대내외 우수성과 포상 시 수상자 선정


100 ’ ,

성과홍보 등에 활용
- 입력항목 설명
① 정성성과유형 선택 정성성과 요약내용 기입
,

② 상세내용은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작성하고 증빙자료와 함께


파일로 업로드

- 47 -
Ⅴ 참고 (성과 증빙자료 예시)

□ 논문

( 불인정 사례 증빙자료에
) Online First, Published Online, Article in

press, Article first published online 등이 기재된 논문

- 48 -
□ 특허

- 49 -
- 50 -
< 해외특허 증빙자료 예시 >

- 51 -
- 52 -
- 53 -
- 54 -
- 55 -
- 56 -
- 57 -
- 58 -
- 59 -
- 60 -
- 61 -
- 62 -
- 63 -
- 64 -
- 65 -
- 66 -
- 67 -
- 68 -
□ 기술이전

- 69 -
□ 매출액

- 7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