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NFS 서버 설치와 운영

00. 개요

 내용 구성
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설치하
고 사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2
01 NFS 설치와 운영
01. NFS 설치와 운영

 NFS의 기본 개념
 NFS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
 NFS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NFS 서버 측에서 디스크를 공유

실습을 위해 리눅스시스템2가 필요
(linux2)

4
01. NFS 설치와 운영

 Ubuntu 20 에서는 NFS 버전 3과 4를 지원

NFS 버전 3 (NFSv3)
•안전한 비동기 쓰기를 지원하며 이전 NFSv2보다 오류 처리시 더 강력하다.
•클라이언트가 2GB 이상의 파일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64 비트 파일 크기 및 오프셋을
지원한다.

NFS 버전 4 (NFSv4)
• 방화벽과 인터넷을 통해 작동
• 더 이상 rpcbind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다.
• 액세스 제어 목록 (ACL) 지원
• 상태 저장 작업을 활용한다.

5
01. NFS 설치와 운영

 NFS 패키지 설치 확인하기


 linux2가 NFS 서버 역할
 NFS 서버에는 nfs-kernel-server 패키지를 설치

sudo apt install nfs-kernel-server

 nfs-server 활성화 및 상태 확인

systemctl enable --now nfs-server


service nfs-server status

6
01. NFS 설치와 운영

 서버 설정하기
 익스포팅: NFS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터리를 공유하는 작업
 설정 파일: /etc/exports

7
01. NFS 설치와 운영

 NFS를 설정 예
• 공유할 디렉터리 생성

• /etc/exports 파일 설정

클라이언트 주소는 실습 환경에 따라


설정

8
01. NFS 설치와 운영

 NFS 서버가 공유한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 exportfs

9
01. NFS 설치와 운영
 linux2가 공유한 것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

 방화벽 허용모드로 변경
sudo ufw allow 2049
 NFS 서버 재시작

10
01. NFS 설치와 운영

 NFS 클라이언트 설정하기


 NFS 클라이언트는 nfs-common 패키지만 설치

 mount 명령을 사용하여 NFS 서버가 공유한 디렉터리를 연결

 df 명령으로 확인해보면 NFS로 마운트 확인

11
01. NFS 설치와 운영

 두 시스템 간 파일 공유 확인
 linux2의 /home/share에 파일을 하나 생성
 클라이언트에서 확인

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하고 서버(linux2)에서 확인

12
01. NFS 설치와 운영

 /etc/fstab 파일에 NFS 파일 시스템 마운트 설정하기


 리눅스를 부팅할 때 NFS 서버의 디렉터리를 계속 마운트하려면 /etc/fstab 파일에 설정

 설정 예:
13
01. NFS 설치와 운영

 NFS 서버의 공유 내용 확인하기

14
NFS 서버 구현

 Linux(Unix) 컴퓨터끼리 저장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이


NFS(Network File System)
 NFS 서버 구현의 개요도

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