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KOSEN Expert Review

관성 미세유체역학의 원리와 응용

염은섭 (부산대학교)

분석자 서문

관성 미세유체역학을 이용한 다양한 채널 디자인을 통하여 입자 및 유체의 농축, 분리에 대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유체역학에서 관성력은 무시되지만, Reynolds 수(Re)가
1 에서 100 까지의 중간 범위에는 Stokes 영역과 난류 영역 사이가 되어 관성 미세유체역학이 발
생하는 이론적 배경을 갖는다. 이러한 범위에서는 관성과 유체 점도가 모두 유한한 값을 가지게
되어 관성 이동, 2 차 유동 등의 관성 미세유체역학 장치의 원동력을 도출해낼 수 있게 된다. 고처
리 용량일수록 관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하고 저가의 장치지만 관성 미세유체역학
장치는 시료의 처리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분석문에서는 입자의 기초 역학에서 시
작하여 최근 발전된 관성 미세유체역학 개념에 대해 소개하며 응용에 대하여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미세장치 내부의 유체관성을 이용한 입자 제어에 대하여 논의한다[1].

Key words: Inertial microfluidics, Lift force, Drag Force, Inertial migration, Secondary flow, 관성 미세유
체역학, 양력, 항력, 관성 이동, 2 차 유동

음파 및 광학 레이저와 같은 외력을 이용하는


1. 서론
방법과 미세채널의 형상과 내부의 유체역학을
10~100µm 단위의 유체의 거동, 조절 및 이용한 수동적인 방법이 있다. 능동적 방법은
제작을 다루는 과학을 미세유체역학이라 한다 매우 정교하게 목표 입자를 조절할 수 있으나
[2]. 이러한 미세유체역학은 생체의학 및 화학 외력장이 유체역학적 힘을 이겨야 하기에 유
응용으로 랩온어칩(lab-on-a-chip; LOC) 또는 량이 제한된다. 이에 반해 수동적 방법은 간
µTAS(micro total analysis systems)로 불리고 있 단하고 빠른 작동이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높
다. 이러한 미세유체 기반의 기술들은 원심분 은 유량이 필요하다.
리기나 유동세포 분석장치와 같은 기존의 거 이러한 수동적 미세유체 기술 중 관성을
시적 규모의 플랫폼에 비해 많은 장점을 지닌 기반으로 한 미세유체 기술은 간단한 구조와
다(적은 샘플 양, 빠른 분석, 높은 민감도, 낮 높은 처리 효율로 인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은 가격, 휴대성 및 높은 자동화 가능성)[3]. 그런데 미세유체 시스템에서 관성력은 매우
생체입자의 제작, 분리 및 집속과 같은 낮다(Stokes 영역; Re→0 Re=ρfUH/μ[밀도·속도·
정교한 조작은 미세유체역학의 필수적인 능력 대표채널 길이/동점성]). 관성 미세유체역학은
이다. 예를 들어 3 차원적으로 미세입자를 집 Stokes 영역과 난류 영역(Re≈2000) 사이에서
속하고 정렬하는 것은 단일 세포의 분석과 검 작동을 한다. 관성력에 의해 관성 이동과 2 차
출에 필수적이다. 게다가 입자의 생물리학적 유동과 같은 유동이 발생한다. 처음 관측 후
특성에 따라 분리를 하는 응용에도 적용이 가 이것의 작동 방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계
능하다(예를 들어 혈액과 림프조직의 분리)[4]. 속 진행되었다. 그러나 미세유체 기술이 개발
미세유체 시스템 내부에서 입자를 제어 되기 전에는 마땅한 실용적 응용은 제안되지
하기 위해서 많은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러 못하였다.
한 조작 방법 중 능동적 방법은 전하, 자기, 관성 이동은 inlet 에서 무작위로 분포된

http://www.kosen21.org/ 페이지 1/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입자들이 직선 채널의 측면으로 이동하고 충 따라서 4 가지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8].


분히 먼 거리에서 평형 위치로 도달하는 현상
으로, 관측된 지가 50 년이 더 되었다[5]. 이러 (a) 10-4 < Re < 0.2
한 현상은 곡면 모양의 속도 분포로 의해 입 μv
f drag = 12 t
자를 채널의 중심부로부터 밀어내는 전단구배 a
유도양력(shear gradient lift force; FLS)과 입자와
벽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입자를 벽면으로부터 이 영역은 잘 알려져 있는 Stokes 항력이
밀어내는 벽면 유도 양력(wall lift force; FLW) 다. 여기서 vt 는 입자에 대한 유체의 상대속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두 양력의 도이다.
평형 위치는 일반적으로 원형 채널일 경우 채
널의 중심에서 대략 반지름의 0.6 배 위치이다. (b) 0.2 < Re < 500-1000
μv
2 차 유동은 굽은 채널이나 직선 채널에
f drag = 12 t (1 + 0.15Re 0.678 )
서 장애물이 있는 경우 발생한다[6, 7]. 굽은 a
채널의 곡률을 따라 중심과 벽면 근처에서 유
체의 운동량의 불일치가 발생하고, 이는 압력 (c) 500-1000 < Re < 2×105
차를 유발하여 2 차 유동이 유발된다. 채널의 f drag = 0.22 ρ f vt
2

중심에서는 채널 벽에 가까운 쪽에 비해 상대
적으로 높은 운동량을 가지며, 이로 인해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유선인 단와류 Khan 와 Richardson 은 실험적으로 Re 가
5
(Dean vortex)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와류는 추 10 까지 적절한 다음 식을 제안하였다[8].

가적인 점성 저항력을 입자에 주어 관성 평형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믹싱 영향으로 입자 (
f drag = 1.81Re −0.31 + 0.293Re 0.06 )
3.45
ρ f vt
2

가 평형 위치에 더 빨리 도달하게 도와준다[4].


본 분석문에서는 입자의 기초 역학에 대
관성 유체역학에서 점성 저항력은 유체
한 토론을 시작으로 하여 최근 발전된 관성
와 부유 입자 사이의 주유동 축 방향 속도의
미세유체역학 채널의 구조와 성능에 대하여
차이와 채널 곡률이나 교란 구조로 인한 2 차
포괄적으로 소개한다. 그리고 관성 미세유체
원 유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역학의 새로운 영역과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제
시하려 한다.
2.2. 확산

2. 채널 내 입자거동의 기본역학 브라우니안 운동(Brownian motion)은 유체

2.1. 점성 저항력 내 부유하는 입자가 유체의 원자나 분자와 충


돌을 하여 발생하는 무작위 운동이다. Einstein

유체와 물체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Smoluchowski 이론에 따르면 입자의 t 시간

존재할 때 항력이 발생한다. 구형 입자에 작 동안 입자가 확산되는 평균 제곱 거리는 다음

용하는 항력은 다음 식으로 표현이 된다. 과 같다[9].

Fdrag = S × f drag = πa 2 f drag / 4 r 2 = 6 Dt

여기서 S 는 움직이는 입자의 단면적을 여기서 D 는 확산 계수이다. Stokes–

말하며 a 는 입자의 직경, fdrag 는 항력 계수를 Einstein 식에 의해서는 확산 계수는 다음과

말한다. 이러한 항력 계수는 Reynolds 수에 같다.

http://www.kosen21.org/ 페이지 2/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 
FLR = πa 3 ρ f (u f − u p )× Ω
1  
kT 8
D=
3 πμa
Magnus 의 방향은 상대속도와 각속도 벡
-23 -1 
k 는 Boltzmann 상수(1.3806488×10 J·K ) 터 수직이 되며, 실제 ΩS 의 각속도로 회전하

이며, T 는 절대온도이다[9]. 만약 입자와 유동 는 구의 상대속도 Ω 는 다음과 같다.
시스템이 미세채널 내에서 움직인다면, 대류
  
에 의한 확산을 고려하기 위해 Péclet 수가 도 Ω = ΩS − 0.5∇ × u f
입된다[10].
Magnus 힘은 회전하는 입자의 비대칭적
LU 인 유선에 의한 압력 차의 결과이다. 이러한
Pe =
D 회전하는 물체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은 내부
유동에서 더욱 중요하다.
여기서 L 은 채널의 대표 길이이며, U 는
유체의 대표 속도이다. 큰 Péclet 수는 유동에 2.4. Saffman 힘
의한 입자의 움직임이 크다는 것이며, 작은
Péclet 수는 확산에 의한 입자의 움직임이 크 입자의 관성 이동은 포물선 속도 분포
다는 것이다. 관성 유체역학에서는 일반적으 속의 입자의 관성뿐만 아니라 벽의 존재에 의
로 확산은 무시가 가능하다. 해 발생한다. 채널 벽이 없는 경우 속도 분포
는 균일하여 속도구배가 없어 관성 이동이 발
2.3. Magnus 힘 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벽의 존재는 속도구배
와 전단유도 입자 회전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균일한 U 속도의 비점성 유동 조건에서 벽에 의한 추가적인 항력을 입자에 유발시킨
고정된 실린더가 등각속도(Ω)로 회전하고 실 다. 이러한 slip-shear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린더의 표면에서 slip 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측력을 Saffman 힘이라 한다. 입자 주변의 유
가정한다. Bernoulli 법칙에 따라 실린더 아래 동은 벽에 의해 교란이 발생하는데, 이는 무
의 압력은 위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한한 유동 속의 입자와 관성 영향이 다르다[11].
단위길이당 실린더의 양력 크기는 다음과 같 정합 점근 전개법(matched asymptotic expan-
아진다[11]. sion method)을 이용하여 Saffman 은 무한한 유
동 조건에서 입자의 측 양력을 계산하였다.
  
FLR = πa 2 ρ f U × Ω 이 힘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Magnus 양력이라 불리는 고정되어 있는 ( )


FS = K/ 4 Va 2 γυ −1
1/ 2

상태로 회전하는 구의 양력은 다음과 같이 구


할 수 있다. 여기서 K 는 수치 상수(K≈81.2)이며, γ 는
전단변형률 또는 ν 는 동점도(kinetic viscosity)
 1   이며, V 는 입자와 유체의 상대속도이다. 이
FLR = πa 3 ρ f U × Ω
8 값에서는 입자의 회전에 대하여 무관하게 힘
이 발생하나 실제는 회전에 대한 힘의 차이가
만약 구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고 발생하여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Saf-
 
있다면 구의 속도( u P )와 유체의 속도( u f )를 fman 힘의 방향은 항상 상대속도가 최대가
 
고려한 상대속도( u f − u P )를 입력해준다. 되는 방향이다.

http://www.kosen21.org/ 페이지 3/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2.5. 벽면 유도 양력 도는 상수가 된다.


그리고 d*>>1 일 경우 횡단 속도는 다음
벽면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속도구배 과 같다[13].
는 Magnus 힘과 Saffman 힘을 발생시켜 입자
가 횡 방향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vZ =
3
( )
Re s vs d * −2 + 2.21901 d * −5/2 + ...
벽면의 영향은 입자의 수평 수직의 움직임을 16
지연시키고 횡 방향 이동을 가한다. 채널의
크기에 비해 입자가 매우 작은 경우, 벽의 주 이는 큰 d*의 경우, d*가 무한대로 감에
역할은 입자의 속도를 줄이고 벽에서 멀어지 따라 횡 속도는 점차 감소하여 0 으로 수렴한
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채널과 입자의 크 다.
기가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는 입자의 움 게다가 횡 양력뿐만 아니라 벽면의 영향
직임을 심각하게 억제한다[11]. 도 양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a/2lw<<1<<1/
우선, 입자의 크기가 채널에 비해 매우 Res 일 때 벽에 의한 양력은 다음과 같다[14].
작은 경우 입자의 움직임의 방향은 벽에 평행
하거나 수직하다. 입자가 벽에 수직하게 움직  3 
9 a
일 경우 벽에 의해서 입자의 움직임이 억제된 Fd = 3 πμavS 1 + ReS + + ..
 8 32 lw 
다. Brenner 는 creeping 유동 속에서 벽 쪽으로
움직이는 작은 입자에 대한 항력 계수를 구하
였다[12]. 그리고 a/2lw<<1/Res<<1 일 때 벽에 의한
양력은 다음과 같다[13].
μvt
f a = 16 f
a  3 a 1 
3/2

Fd = 3 πμavS 1 + ReS − 0.095   + ..

n(n + 1)vt  8 lw  ReS  
f = sinhθW ∑
n =1 (2 n − 1)(2 n + 3)
결박 흐름 내에서 입자의 크기와 채널의
 2sinh (2 n + 1)θW + (2 n + 1)sinh (2θW ) 
×  크기가 같은 자릿수를 가진다면 주변의 입자
 4sinh [(n + 0.5)θW ] − (2 n − 1) sinh (θW )
2 2 2
는 채널의 중심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채널
이 막히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폐색률 δ(채널
여기서 θW=cosh (2/a)는 입자의 크기와
-1
의 직경과 입자의 직경 비)가 1 보다 작아야
벽과의 거리의 함수이며, lw 는 입자의 중심에 한다.
서 채널 벽까지의 거리이다. 이는 입자가 벽
에 가까워질수록 힘이 커짐을 보여준다. 2.6. 전단 유도 양력
만약 입자가 벽에 평행하게 움직인다면
입자를 벽에서 밀어내게 횡단력이 작용한다. 만약 교란되지 않은 유동의 곡률이 0 이
만약 d <<1 인 경우(d =ρf lwνs/μ), 횡단 속도는
* *
된다면, 간단한 전단 유동이 발생한다. 만약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2]. 입자가 유동에 비해 느리다면 압력은 벽 쪽에
서 높아 입자를 채널의 중심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Poiseuille 유동에서 상대적으로 느린
3  11 
vZ = Re s vs 1 − d * 2 + ... 입자의 전단 유동에 의해 발생된 Stokeslet 은
64  32 
속도 구배에 의해 발생된 반대 Stokeslet 에 의
해 평형을 찾는다. 속도 구배는 채널의 가운
여기서 VS 는 정지 상태에서 입자의 침전 데로 갈수록 평평하고 벽면에서 크기 때문에
속도이다. 구가 벽면 근처에 위치할 때 횡 속 입자가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전단 유도 항력

http://www.kosen21.org/ 페이지 4/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이 발생하여 입자를 벽면으로 밀게 된다. 점도이다[17].


Chan 과 Leal 은 액적이나 버블이 벽면에
2.7. 순관성 양력 매우 가깝지 않을 경우 변형성에 의해 유도된
항력을 분석하였다[18].
직선의 Poiseuille 유동 내 중립 부력 강
체구는 유동 방향으로 항력 외 4 개의 횡 방
FL,deforµation = µ Ua(a/H ) d/H f ( λd )
2

향 힘을 받는다: Slip 회전으로 인한 Magnus


힘과 slip 전단으로 인한 Saffman 힘, 유동의 16 π
f ( λd ) =
교란으로 인한 벽면 유도 항력과 속도 구배로 (λd + 1)3
인한 전단 유도 항력. 이들 중 Magnus 힘과
Saffman 힘은 매우 작아서 무시가 가능하다.
전단 유도 항력은 입자를 벽 쪽으로 이동시키  (
 11 λd + 10
3 λd − λd + 8 +
3
)
3 19 λd + 16
λ +
( )
2 λd − λd − 1 
2

 140 14 3 d 2 
고 벽면 유도 항력은 채널의 중심으로 이동시
키려 한다. 이 두 힘이 평형을 이루는 곳에서
여기서 d 는 채널의 중심에서 액적의 거
입자는 위치하게 된다.
리이며, λd<1 또는 λd>10 인 경우 변형성 유도
Asmolov 는 정합 점근 전개법을 이용하
항력은 채널의 중심으로 작용하였다.
여 Poiseuille 유동 내에서 채널에 비해 매우
Di Carlo 에 의해서 입자가 채널의 중심에
작은 구형 입자에 대한 순관성 항력을 구하였
가까운 d/H<0.1 일 경우 관성양력 식이 유도
다[15].
되었다[16].

FL = f L ρ f U 2 a 4 /H 2
inertial = −10 Rp µ Ua (d/H )
FL,center

여기서 H 는 수력 직경이다(원형 관의 H=
만약 액적의 변형성과 관성력이 매우 작
D, 사각 채널의 H=2wh/(w+h); w: 폭, h: 높이).
다면(Ca<0.01, Rp<0.01), 순양력은 Stan 등에 의
fL 은 양력 계수이며 횡 위치 x 와 Re 의 함수
해 경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9].
이다.
유한한 입자(0.05≤a/H≤0.2)의 경우 입자
FL,empirical = C L m Ua(a/H ) (d/H )
3
에 의해 유동의 교란이 발생할 수 있다. Di
Carlo 는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관성
양력을 계산하였다[16].
여기서 CL 은 양력 계수로 실험적으로 구
해야 한다. CL ~31.25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2.8. 변형성 유도 양력
변형성 유도 양력은 말라리아가 걸린 적
혈구와 건강한 적혈구를 분리하거나 아니면
세포나 vesicles 과 같은 생체 입자는 채
암세포를 분리하는 데 적용된다[20, 21]. 그림
널 내에서 변형을 한다. 이러한 변형은 입자
1 에서 입자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보여준다.
에 추가적인 양력을 유도한다. 이러한 변형에
의한 양력은 입자 형상의 변화와 속도 매칭의
비선형성 그리고 입자 경계에서의 응력에 의
해 발생한다[17]. 이러한 변형성의 특성을 분
석하기 위해 액적 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3 가
지 무차원 수가 사용된다. Weber 수(We=ρfU2a/
σ), capillary 수(Ca=μUa/σh), 점성 계수비
(λd=μd/μ) σ 는 표면장력이며 μd 는 액적 내부의

http://www.kosen21.org/ 페이지 5/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그림 1. 관성 미세유체역학에서 입자 동역학 개요[1]

3. 최근 관성 미세유체역학 H 3 πμH 3
Lmin ≈ ×U =
2U L ρ f Ua 3
3.1. 직선 채널

원형 단면의 직선 채널에서 무작위로 분 여기서 UL 은 입자의 횡 이동 속도이며


포된 입자는 채널 중심에서 반경 0.6 배 위치 다음과 같다.
로 횡 방향 이동을 한다[5]. 그러나 사각의 채
널의 경우 좀 더 복잡하다. 정사각 채널의 경
FL ρ Ua 3
우 입자는 각 면의 중심에서 평형 위치를 이 UL = = f
3 πμa 6 πμH 3
룬다[22]. 낮은 종횡비(높이/폭≈0.5)의 경우 입
자는 채널 폭의 중심에 0.2H 정도 벽에서 떨
어져 위치한다[23]. 그리고 입자의 크기와 채널의 크기를 고
사각 채널 내에서 입자들이 관성 이동을 려한 Reynolds 수가 추가적으로 고려된다.
할 때 평형 위치로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최
소 길이(Lmin)는 Stokes 항력을 기반으로 유도 ρ f Ua 2
a2
하면 다음과 같다. RP = Re =
H2 μH

http://www.kosen21.org/ 페이지 6/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Squires 와 Quake 에 따르면 2 차 유동에서


Rp<<1 일 경우 입자는 점성에 의한 항력 속도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유추할 수 있다
을 주로 받는다. 그러나 Rp 가 1 과 비슷한 크 [27].
기를 가지면 관성 항력이 지배적이어서 유동
을 거슬러 입자가 움직이게 된다. U D≈ K 2 μ/ (Hρ )
이러한 직선 채널은 간단한 형상에 의해
다양한 응용에 사용되고 있다. Hur 등은 높은 그리고 근사적으로 UD 의 크기는 다음과
종횡비를 가지는 채널에서 쥐의 부신 소화액 같이 구할 수 있다[28].
에서 외피원종을 분리했다[24]. 그리고 Mach
과 Di Carlo 는 희석된 혈액에서 박테리아를 U D= 1.8 × 10 −4 × K 1.63
분리했다[25]. 대량 처리를 위해서 동일한 형
상의 직선 채널 40 개가 배열을 이루고 있다. 입자가 굽은 채널을 흐를 때는 관성 양
각 채널은 3 개의 다른 단면을 지닌 구간으로 력과 2 차 유동 항력을 동시에 받는다. 대부분
분리되어 입자를 분리하는 관성 양력을 조절 의 경우 입자의 밀도는 유체와 유사하기 때문
하였다. 저자들은 80%의 박테리아를 제거할 에 입자 원심력의 영향을 무시하는 것이 가능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후 Zhou 등은 2 단계 하다. 채널 곡률의 부호가 같을 때 채널은 나
로 채널이 낮은 종횡비를 가지게 형상을 변형 선 구조이며 2 차 유동의 방향은 일정하다. 입
하여 입자의 분리 효율을 증대시켰다[26]. 자의 평형 위치는 입자의 2 차 유동 항력과 연
일반적으로 직선 채널을 이용하는 것은 관이 있다. 이러한 항력은 대칭적으로 회전하
채널 형상이 간단하고 쉽게 작동할 수 있는 는 와류 내 전 입자에 작용한다. 이와 다르게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횡 방향 관성 양력은 입자를 특정 위치에 보내려고 한
양력을 제공하기 위해 채널의 단면의 형상이 다. 따라서 관성 양력과 Dean 항력 사이의 비
제한이 되며 유동 저항을 증가시킨다는 문제 (Rf=a3R/H4)가 입자의 거동을 결정한다.
점이 있다. Rf 가 0 으로 갈 때, Dean 항력이 입자에
주로 작용을 하여 2 차 유동이 계속 발생한다.
3.2. 나선형 채널 그리고 Rf 가 ∞로 갈 때 관성 양력이 지배적
이어서 2 차 유동과 무관하게 입자가 평형 위
유체가 굽은 채널을 흐를 때, 채널의 중 치에 위치한다[4]. 대부분의 경우 중간 정도의
심과 벽면 사이에 속도 차이로 인해 2 차 유 Rf 에서 관성 양력에 의한 평형 위치를 2 차
동이 발생한다. 채널 중심에는 큰 관성을 가 유동으로 조절한다.
지고 있으며 원심 효과로 인해 채널 단면에서 나선형 채널에서 입자의 정렬과 분리는
압력 구배가 발생하여 곡선 밖으로 흐르는 유 다양한 그룹에서 집중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동이 발생한다. 채널 중심에서의 압력 구배에 그중 관성 양력과 2 차 유동을 이용하여 입자
의해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있던 벽면 주변의 나 세포를 수동적으로 분리하거나 정렬하는
유체들이 내부에서 순환하게 되며 결국 2 개 것은 이러한 나선형 채널에서 자주 사용되고
의 대칭적인 와류를 형성한다[4]. 굽은 채널에 있다. Bhagat 등은 7.32μm 와 1.9μm 의 폴리스
서 2 차 유동은 Dean 수와 Reynolds 수에 의 틸렌 입자들을 완벽하게 분리하였고[29], Kun-
해 영향을 받는다. 사각 관의 수력 직경이 H taegowdanahalli 등은 10, 15 및 20μm beads 를
이고 곡률 반경이 R 일 때 Dean 수(K)는 다음 90% 효율로 분리하였다[30]. 게다가 이러한
과 같다[6]. 분리 능력은 세포의 특성과 세포분열과 연관
된 연구에 도움이 된다.
악성 종양으로 알려진 암세포는 우리 몸
K = (H/ 2 R ) Re
1/2

의 다른 조직에 침입하거나 급증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일차 종양 세포의 전이는 큰 사
http://www.kosen21.org/ 페이지 7/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망 원인이다[31]. 전이의 진행 과정 중 단단한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종양에서 암세포들이 나와 혈관에 들어가서 Guan 등은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새로
순환종양세포(CTC: circulating tumour cell)가 된 운 나선형 채널을 도입하여 이러한 채널이 단
다. 이러한 CTC 분석은 암의 치료와 진단에 순 사각 채널에 비해 높은 분리 효율을 지님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Hou 등은 혈액 을 보여줬다[34]. 그들은 사다리꼴 단면을 가
에서 CTC 를 분리하는 나선형 채널을 제안하 진 경우 입자의 크기와 유동에 더욱 민감하여
였다[32]. CTC 분리 장치는 비표지 및 막힘 측정 유량에서 입자에 크기에 따른 뚜렷한 변
없는 방법으로 CTC 의 이상이나 변형 없이 이 과정이 나타나는 것을 관측하였다. 그림
분리하는 성능을 보여줬다. 그림 2(a)는 Sun 2(b)는 이러한 사다리꼴 단면을 이용해 암세포
등이 제안한 수동적 2 중 나선형 채널을 보여 환자의 혈액 속에서 CTC 를 분리하는 것을
주고 있다. 이 장치는 희석된 혈액에서 암세 검증한 것이다[35]. 이 장치는 8 분 동안 7.5ml
7
포(MCF-7 와 HeLa 세포)를 3.33×10 cells per 의 혈액을 흘려주고 여기에 들어 있던 10 개
min 의 효율로 분리해냈다[33]. 이는 단일 나 의 CTC 를 모두 제거하는 효율을 보여줬다.
선형 채널과 비교하여 더 좋은 효율로 입자를

그림 2 (a) 혈액에서 순환종양세포(CTC) 분리를 위한 2 중 나선형 채널,


(b) 빠른 암세포 분리를 위한 사다리꼴 단면을 지닌 나선형 채널[1].

3.3. 기둥 및 수축 확장 배열을 가지는 닌 채널을 이용하면 입자의 집속뿐만 아니라


직선 채널 여러 입자의 분리를 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림
3(a)는 이러한 CEA 채널을 이용하여 Dean 와
굽은 채널 말고도 직선 채널에 교란 장 류와 유사한 2 차 유동을 발생시켜 4μm 와 10
애물을 설치하여 대류적 2 차 유동을 발생시 μm 의 직경을 가지는 polystyrene bead 를 관
키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는 처음에는 믹싱 분리시키는 것을 보여준다[37]. 상대적으로 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안되었다. Park 기가 큰 입자는 이러한 관성 양력에 영향을
등은 직선 채널이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면 입 크게 받아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방향으로
자들을 3 차원적으로 단일 유선에 집속시킬 이동한다. 이에 반해 크기가 작은 입자는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36]. 수축 영역의 입구 Dean 항력을 많이 받아 반대 방향으로 이동
에서 원심력이 작용하여 2 개의 대칭적인 와 한다. 이러한 개념을 이용하면 크기가 다른
류가 채널 단면에 발생된다. 이러한 수축 확 입자나 세포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장 배열(CEA; contraction-expansion array)을 지

http://www.kosen21.org/ 페이지 8/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그림 3 (a) 수축 확장 배열을 이용한 관성 분리 채널, (b) 대칭적 수축 확장 배열을 이용한 관성 집속 채널,


(c) 원형 기둥을 이용한 관성 분리 채널[1].

이러한 CEA 은 대칭적으로 만들어도 2 키는 것 말고도 높은 유량 조건에서 수축 확


차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Park 등은 이러 장 챔버에 수평의 마이크로 와류를 발생시키
한 대칭적 CEA 을 이용하여 입자를 3 차원으 는 연구도 진행된다. Shelby 등은 다이아몬드
로 집속시키고 채널의 끝에 오리피스를 만들 형 cavity 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수평의 마이
어 2 차원으로 집속되는 것을 보여줬다(그림 크로 와류를 증명하였다[39]. 이러한 마이크로
3(b))[38]. 이러한 장치에서 입자의 집속 위치 와류의 회전 속도는 12 m s−1 정도로 매우 빠
는 입자 Reynolds 수 Rp 에 따라 변하는 것을 르며, 지름 가속도는 106g 의 크기를 가진다.
확인하였다. Rp 가 0.8 에서 2.3 정도의 범위에 이러한 빠른 가속은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시
있는 경우에는 입자들은 두 양 측면에 위치한 키는 데 효율적이다. 마이크로 와류를 발생시
다. 그러나 Rp 가 3.0 에서 3.5 의 범위에 있는 키기 위해 optical tweezer 를 사용하기도 한다.
경우는 채널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러한 집속 이후에 Di Carlo 그룹은 이러한 와류 trap-
특성은 수축과 확장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입 ping 과 관성 이동을 이용하여 centrifuge-on-a-
자와 유체의 이동 궤적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 chip 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목표 입자를 선
하는 관성 항력과 관성력에 의해 유발된다. 택적으로 분리하는 데 사용한다[40]. 이러한
이러한 장치를 MOFF(multiorifice flow fractiona- 칩은 직선 채널 부분과 대칭적인 CEA 를 지
tion)이라고 부른다. 이 MOFF 는 많은 장점을 니고 있으며, cavity 확장 구간을 만들어 마이
가지고 있지만, recovery yield 가 상대적으로 낮 크로 와류를 발생시킨다. 직선 채널에서 집속
은 단점을 지닌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된 입자들은 확장 영역에서 횡 이동을 하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이것을 개선하고 질병 마이크로 와류에서 순환한다. 여기서 더 발전
과 연관된 세포를 분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시켜 선택적으로 입자를 trapping 시킬 수 있
있다. 게 개발하고 이를 혈액 및 다른 생체 샘플에
이러한 채널 단면에 2 차 유동을 발생시 적용하여 CTC 나 다른 악성 세포를 분리하는

http://www.kosen21.org/ 페이지 9/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데 응용하고 있다. Dean 수 이상의 경우 집속이 교란이 되는 것


이러한 확장 수축 챔버 외에도 미세기둥 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비대칭적인 경우
을 채널 내에 삽입하여 비가역성 뒤틀린 유동 평형 상태에 도달하는 위치는 1 개의 위치로
을 발생시켜준다. 그림 3(c)에 보이는 것과 같 되며 Dean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복잡하
이, 채널 내부에 연속된 기둥의 위치를 조절 게 변한다. 이들에 작용하는 힘은 관성 양력
하여 유동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Amini (FL)과 Dean 항력(FD)이며, 이들의 힘의 관계
등은 이러한 복잡한 형상을 이용하여 입자와 에 따라서 입자의 집속 위치가 달라진다. 만
유동을 효율적으로 분하였다[41]. Nunes 등은 약 FL<<FD 의 경우 입자 집속은 발생하지 않
이러한 기둥을 지닌 마이크로 채널을 이용하 는다. 그리고 FD<<FL 의 경우는 직선 채널과
여 비원형 입자를 제작하기도 하였다[42]. 유 유사한 입자의 집속이 관측된다. 두 힘의 관
동을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제작할 수 계는 다음과 같이 FL/FD=2R/H(a/H)3Ren(n<0)으
있기에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로 정의된다. 입자와 채널의 크기에 3 승에 비
례한다. 따라서 같은 Reynolds 수라고 하여도
3.4. 구불구불한 채널 크기가 작은 입자는 채널 길이와 상관없이 집
속되지 않으며, 큰 입자는 빨리 집속된다. 이
굽은 채널에서 곡률은 한 방향으로 이루 러한 개념을 기반으로 입자를 집속하기 위한
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 길이 후에는 다양한 채널들과 flow cytometry system 들이 제
2 차 유동이 정상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 안되었다. 그림 4 는 하이브리드 미세유체장치
나 구불구불한 채널의 경우는 곡률이 계속 변 로 관성 이동과 자기영동(magnetophoresis)을 동
하기 때문에 상황이 복잡해진다. 곡률이 변하 시에 이용하여 혈액에서 CTC 을 분리하는 장
는 경우 2 차 유동은 각각 회전을 한 후에 정 치를 제안한 것이다. 이 장치에서는 원형 기
상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비 둥 배열이 있어 크기가 제일 작은 적혈구들을
정상 상태의 축적은 예측할 수 없는 입자의 우선 분리하고 그 후에 구불구불한 채널을 백
거동을 유발할 수 있다. 혈구와 CTC 가 흐르게 하여 관성 이동으로
Di Carlo 등은 곡률이 변할 때 입자의 관 정렬시키고 최종 채널에서 강한 자기장을 걸
성 이동의 변화를 연구하였다[23]. 직선 채널 어 제가한다. 이를 위해 CTC 는 자기적으로
에 4 개의 평형 상태에 입자들이 위치하던 것 표지가 되어 있다.
이 2 개의 대칭적 위치로 변하였다. 임계

그림 4. 혈액에서 CTC 를 분리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미세유체 시스템(관성 이동, 자기영동)[1]

http://www.kosen21.org/ 페이지 10/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이러한 비대칭적 구불구불한 채널 외에 9. R. M. Mazo, Brownian motion: fluctuations,


도 대칭적인 채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집속 특 dynamics, and applications, Clarendon press Oxford,
성을 제안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이러한 채 2002.
널들은 mixing 효과뿐만 아니라 입자를 채널 10. R. Clift, J. R. Grace and M. E. Weber, Bubbles,
가운데에 집속시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고 drops, and particles, Courier Corporation, 2005.
처리 효율이 높다. 11. E. Michaelides, Particles, bubbles & drops: their
motion, heat and mass transfer, World Scientific,
Singapore, 2006.
4. 분석자 결론 및 전망 12. H. Brenner, Chem. Eng. Sci., 1961, 16, 242–251.
본 분석문에서는 처음에는 채널 내부에 13. R. Cox and S. Hsu, Int. J. Multiphase Flow,
서 입자에 작용하는 Magnus, Saffman, 전단 유 1977, 3, 201–222.
도 양력, 벽면 유도 양력, 변형성 유도 양력 14. P. Vasseur and R. G. Cox, J. Fluid Mech., 1977,
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입자 80, 561–591.
의 집속과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채널의 형상 15. E. S. Asmolov, J. Fluid Mech., 1999, 381, 63–87.
을 크게 4 가지로 분류를 하여 간략히 소개하 16. D. Di Carlo, J. F. Edd, K. J. Humphry, H. A.
였다. 이러한 기존의 장치들을 이용하여 다양 Stone and M. Toner, Phys. Rev. Lett., 2009, 102,
한 생화학적 중요 세포들을 분리하는 데 응용 94503.
이 가능하고 높은 효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17. H. Amini, W. Lee and D. Di Carlo, Lab Chip,
있었다. 그러나 상업적 제품으로 출시하기에 2014, 14, 2739–2761.
는 초기 단계의 연구에 그치며, 보다 다양한 18. P.-H. Chan and L. Leal, J. Fluid Mech., 1979, 92,
응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131–170.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9. C. A. Stan, A. K. Ellerbee, L. Guglielmini, H. A.
Stone and G. M. Whitesides, Lab Chip, 2013, 13,
365–376.
20. H. W. Hou, A. A. S. Bhagat, A. G. L. Chong, P.
Mao, K. S. W. Tan, J. Han and C. T. Lim, Lab Chip,
References
2010, 10, 2605–2613.
1. J. Zhang, S. Yan, D. Yuan, G. Alici, N. T. Nguyen, 21. S. C. Hur, N. K. Henderson-MacLennan, E. R.
M. E. Warkiani and W. H. Li, Lab Chip, 2016, 16, McCabe and D. Di Carlo, Lab Chip, 2011, 11, 912–
10-34. 920.
2. G. M. Whitesides, Nature, 2006, 442, 368–373. 22. Y.-S. Choi, K.-W. Seo and S.-J. Lee, Lab Chip,
3. A. A. S. Bhagat, H. Bow, H. W. Hou, S. J. Tan, J. 2011, 11, 460–465.
Han and C. T. Lim, Med. Biol. Eng. Comput., 2010, 23. D. Di Carlo, D. Irimia, R. G. Tompkins and M.
48, 999–1014. Toner, Proc. Natl. Acad. Sci. U. S. A., 2007, 104,
4. D. Di Carlo, Lab Chip, 2009, 9, 3038–3046. 18892–18897.
5. G. Segre, Nature, 1961, 189, 209–210. 24. S. C. Hur, T. Z. Brinckerhoff, C. M. Walthers, J.
6. S. Berger, L. Talbot and L. Yao, Annu. Rev. Fluid C. Dunn and D. Di Carlo, PLoS One, 2012, 7,
Mech., 1983, 15, 461–512. e46550.
7. J. Zhang, M. Li, W. Li and G. Alici, J. Micromech. 25. A. J. Mach and D. Di Carlo, Biotechnol. Bioeng.,
Microeng., 2013, 23, 085023. 2010, 107, 302–311.
8. J. F. Richardson, J. M. Coulson, J. Harker and J. 26. J. Zhou, P. V. Giridhar, S. Kasper and I.
Backhurst, Chemical Engineering: Particle Papautsky, Lab Chip, 2013, 13, 1919–1929.
technology and separation processes, Butterworth- 27. T. M. Squires and S. R. Quake, Rev. Mod. Phys.,
Heinemann, 2002. 2005, 77, 977.

http://www.kosen21.org/ 페이지 11/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KOSEN Expert Review

28. A. A. S. Bhagat, S. S. Kuntaegowdanahalli, N.


Kaval, C. J. Seliskar and I. Papautsky, Biomed.
Microdevices, 2010, 12, 187–195.
29. A. A. S. Bhagat, S. S. Kuntaegowdanahalli and I.
Papautsky, Lab Chip, 2008, 8, 1906–1914.
30. S. S. Kuntaegowdanahalli, A. A. S. Bhagat, G.
Kumar and I. Papautsky, Lab Chip, 2009, 9, 2973–
2980.
31. W. Sheng, T. Chen, R. Kamath, X. Xiong, W.
Tan and Z. H. Fan, Anal. Chem., 2012, 84, 4199–
4206.
32. H. W. Hou, M. E. Warkiani, B. L. Khoo, Z. R.
Li, R. A. Soo, D. S.-W. Tan, W.-T. Lim, J. Han, A. A.
S. Bhagat and C. T. Lim, Sci. Rep., 2013, 3, 1259.
33. J. Sun, C. Liu, M. Li, J. Wang, Y. Xianyu, G. Hu
and X. Jiang, Biomicrofluidics, 2013, 7, 011802.
34. G. Guan, L. Wu, A. A. Bhagat, Z. Li, P. C. Chen,
S. Chao, C. J. Ong and J. Han, Sci. Rep., 2013, 3,
1475.
35. M. E. Warkiani, G. Guan, K. B. Luan, W. C. Lee,
A. A. S. Bhagat, P. K. Chaudhuri, D. S.-W. Tan, W.
T. Lim, S. C. Lee and P. C. Chen, Lab Chip, 2014,
14, 128–137.
36. M. G. Lee, S. Choi and J. K. Park, Lab Chip,
2009, 9, 3155–3160.
37. M. G. Lee, S. Choi, H. J. Kim, H. K. Lim, J. H.
Kim, N. Huh and J. K. Park, Appl. Phys. Lett., 2011,
98, 253702.
38. J. S. Park, S. H. Song and H. I. Jung, Lab Chip,
2009, 9, 939–948.
39. J. P. Shelby, D. S. Lim, J. S. Kuo and D. T. Chiu,
Nature, 2003, 425, 38–38.
40. A. J. Mach, J. H. Kim, A. Arshi, S. C. Hur and D.
Di Carlo, Lab Chip, 2011, 11, 2827–2834.
41 H. Amini, E. Sollier, M. Masaeli, Y. Xie, B.
Ganapathysubramanian, H. A. Stone and D. Di
Carlo, Nat. Commun., 2013, 4, 1826.
42 J. K. Nunes, C. Y. Wu, H. Amini, K. Owsley, D.
Di Carlo and H. A. Stone, Adv. Mater., 2014, 26,
3712–3717.

http://www.kosen21.org/ 페이지 12/12

Copyright ⓒ 2016 KOSEN21 All rights reserve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