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SCT (문장완성검사)

이장한 교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0
SCT(Sentence Completion Test: 문장완성검사 )
•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투사 검사, 실시와 해석이 매우 간단
• 수검자 스스로 작성하므로 평가자의 노력과 비용이 적은 검사
• 투사 검사이나, 로샤검사, TAT와 달리 의식적인 수준에서 인식하고
자각하고 있는 심리적 특성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아 투사 검사 범주에 넣는
것에 대해 논란 있음
• SCT는 지능, 교육수준, 문장력 등의 영향을 받음
•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에 가급적 성실하게
떠오르는 대로 솔직하게 반응하도록 권하는 것이 필요
• 수검자가 문장을 작성하면서 스스로 통찰을 얻을 수가 있고, 평가자도 면담
과정과 치료 과정에서 통찰력을 갖게끔 유도할 수 있는 좋은 도구
• 심리치료 과정에서 갈등의 원인을 탐색하는데 도움
SCT 역사적 배경

Galton Wundt, Cattell


Kraepelin, Jung
자유연상법 단어연상법
문장완성검사 토대 구축
(free association test) (word association)

Rapaport Cameron Rohde


단어연상법이 투사검사로 사고, 언어의 청년기 문제, 욕구,

발전 형식적 측면 탐색 내적갈등, 부적응 파악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SCT 제작 및 활용


SCT 발달 배경
¨ 개인의 태도와 성격과 함께 지능 측정 도구로 발달
• 미완성 문장에 답하게 함으로써 수검자의 정신능력을 측정하려고 시도했고, 여기서 반응이 복
Ebbinghaus
잡할수록 정신 능력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1897)

• Binet와 Simon의 지능검사에도 문장이 포함되었으나 검사의 표준화와 신뢰도의 문제를 이유


로 더 이상 지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효용 가치는 없어졌다.

• Jung의 단어 연상 검사에서도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Jung은 단어 연상 검사를 통해 무의식적


Jung 태도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1~2개 단어 제시보다 미완성 문장을 제시하는 것이 더 풍부한 반응
(1910)
을 이끌어 낸다는 견해를 중심으로 문장완성검사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

제2차 • 병사들에 대한 성격 평가와 배치를 위한 도구로 검사 배터리에 포함되어 사용되었다. 군대에


세계대전 서의 성공적인 적용을 바탕으로 일반인들의 검사 도구로 사용된 것은 Rotter와 Rafferty(1965)
의 미완성 문장 검사(Rotter Incomplete Sentence Blank : RISB)였다.

• 이후 검사 대상자에 따라 문장 내용이 조금씩 다르게 적용되면서 여러 가지 유형의 문장완성


검사가 제작되었다.
SCT 신뢰도와 타당도
• Rotter, Lah와 Rafferty(1992)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장완성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평가자간 채점
일치율은 대략 .91 ~ .96 이었고, 적응과 부적응 평가와 검사 점수
간의 상관 분석을 한 결과 .64 ~ .77 정도

• 그러나, 이후 연구자들은 다른 투사 검사와 마찬가지로


문장완성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진행은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보고
실 시
• 검사 소요 시간은 대략 20분 이내
• 문장완성검사는 개발자에 따라 40문항, 60문항 등 여러 유형이 있지만
성인은 50문항, 아동청소년의 경우 30~40문항 정도를 사용

• 표준 지시 내용
“다음에 기술된 문장은 뒷부분이 빠져 있습니다. 각 문장을 읽으면서 맨
먼저 떠오르는 생각으로 뒷부분을 이어 문장이 완성되도록 하십시오,
반드시 자기의 솔직한 마음을 그대로 나타내야 하며 빠뜨리지 말고
모두 써 넣으십시오.”
해 석
• 여러 종류의 문장완성검사. 대체로 객관적 수치를 제공하는 채점
방식보다는 문항 응답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
• 문장완성검사의 해석은 연구를 위한 것이 아니라면 성격의 정신 역동을
분석하는 데 초점
• 개별 문장 분석 방식: 각 반응 내용을 하나씩 검토. 반복되는 내용, 단서,
사고 과정을 찾아 개인의 행동에 관한 가설을 세움
• 영역별 해석 방식: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영역에 따라 성격, 태도,
행동을 의식적 수준에서 분석
• 평정 방식: 각 항목에 점수를 매겨 반응 해석. 임상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음 (Rotter의 채점 체계)
SCT 문항 예
• 나에게 이상한 일이 생겼을 때
• 내 생각에 가끔 아버지는
• 내가 저지른 가장 큰 잘못은
• 내가 믿고 있는 내 능력은
• 어리석게도 내가 두려워 하는 것은
• 내 생각에 참다운 친구는
• 다른 친구들이 모르는 나만의 두려움은
• 내가 정말 행복할 수 있으려면
• 나의 가장 큰 결점은
• 내가 다시 젊어진다면
MMPI (다면적 인성검사)

이장한 교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8
1. MMPI 소개
•566 문항에 대해, “ 예 / 아니오” 응답
•550문항 + 16문항 중복
•383문항
•진지하게 소개
•무응답이나 기계적인 응답이 없도록 주의
•검사시의 행동관찰
•검사시간 대략 1시간 ­ 1시간 30분
• 4가지 타당도 척도: 검사태도측정
•10가지 임상 척도: 비정상행동측정

9
10
- Starke Hathaway박사와 John Charnley McKinley박사에 의해 1943년
처음 출판 (한국판 1963년, 1989년 MMPI-2 표준화 한국판 2005년)
- 기존의 논리적 방법에 의해 개발된 성격검사들이 지닌 논리적 방법의 적
절성에 대한 의문제기에 따라 경험적 방법을 통해 기준집단과의 차이를
드러내는 문항 개발.
- 1000문항 취합 후 비교
- 경험적 검사제작 방식으로 제작된 가장 대표적인 검사
- trait가 아닌 state를 측정
- 타당성 척도: ?, L(Lie), F(Infrequency), K(Defensiveness)
- 임상척도: Hs(건강염려증), D(우울증), Hy(히스테리), Pd(반사회성),
Mf(남성/여성특성), Pa(편집증), Pt(강박증), Sc(정신분열증),
Ma(경조증), Si(내향성)
- 특수척도 11
2. MMPI의 목적과 특징
①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

② 정신과적 진단분류 (정상인의 행동 및 일반적 성격특성에 관한 유추


가능 )

③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
④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진전될 가능성을 찾아, 예방 및 지도책을 도모

⑤ 집단으로 실시할 수 있는 지필식 성격검사로서, 진단 명칭을 부여하는데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음

12
3. 개정된 MMPI-2
•- 1943년 이래 한번도 개정된 적 없었음
•- MMPI-2(1989년), 567문항, 한국판 2005년 출판
-- 기존 MMPI 550문항 중 90문항 삭제, 107문항 추가
- 원판 MMPI의 단어, 성차별적 단어, 신앙 등 부적절한 문항
문법, 맞춤법 어긋나는 문항들
- 전반적인 모집단을 적절히 대표할 수 있는 현대적인 규준집단 구성
규준집단의 지역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7개 검사지역 선정(e.g.,
미네소타, 노스캘롤라이나, 워싱턴 등)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특정 집단을 표본에 추가(e.g., 군인,
미국 원주민 등)
- MMPI-A(1992년), 청소년(초6 ~ 고3), 478문항: 한국판 2005년

13
MMPI와 MMPI-2 간단 비교

MMPI MMPI-2
문항수 566 문항 567 문항
규준집단 (미) 724명 (미) 남 1,138명 / 여 1,462명
(한) 남 585명/여 472명 (한) 남 651명 / 여 701명
타당도 척도 ?, L, F, K ?, VRIN, TRIN, F, F(B), F(P), FBS, L, K, S
임상 척도 10개 척도 (Hs, D, Hy, Pd, Mf, Pa, Pt, Sc, Ma, Si)
재구성 임상 척도 - 9개 척도 (RCd, RC1, RC2, RC3, RC4,
RC6, RC7, RC8, RC9)
척도 구성 타당도 척도 4개, 타당도 척도 10개,
임상 척도 10개, 임상 척도 10개, 임상 소척도 31개,
임상 소척도 28개, 재구성 임상척도 9개,
내용척도 13개, 성격병리 5요인 척도 5개,
보충척도 10개 내용 척도 15개, 내용 소척도 27개,
보충 척도 15개

14
MMPI-2 임상척도문항 변화

거의 변화 없음…
15
MMPI-2 타당도 척도 강화

보험, 법정 등 다양한 현장에서 MMPI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타당도 척도 강화!!!

16
4. 타당도 척도(MMPI)

척도 문항수 내 용

? 문항의 누락은 검사지시에 의해 많이 결정,


30문항 기준 T-70

L 15 자신을 좋게 보이려는 다소 고의적이면서 부정직하며 세련되지 못


한 태도.
상승:자신을 사회적으로 올바르다고 주장
하강: 일반적인 인간적 약점을 솔직히 고백

F 64 보통과는 다르거나 비전형적 행동


상승: 보통과는 다른 사고방식을 보이는 사람
하강: 보편적인 이상한 경험을 인정, 비교적 스트레스 느끼지 않음.

K 30 방어심 및 경계심. L척도보다 매우 은밀하고 세련된 사람 측정

17
70

- 삿갓형 : 신체적, 정서적 곤란 인정, 도움요청, 문제해결능력/자신감 결여


- V자형 : 문제 부인 또는 회피, 방어적 태도, 히스테리 환자, 건강염려증
53

- 정적기울기형 : 적절한 문제해결력, 정상인, 대학생의 이상적 형태


- 부적기울기형 : 순박, 덜 세련, 교육/사회경제적 수준 낮음 35

70
70
18

53
53
0
70
L F K

75
35 35
53

60

18
18
35
45

0
30
L F K 18 0
L F K

15

0
L F K 18
0
L F K
타당도 척도(MMPI-2)
범 주 척도명 측정내용

검사완료 ? (무응답) 빠짐없이 문항에 응답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VRIN (무선반응
비일관성)
일관성 문항을 잘 읽고 응답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TRIN (고정반응
비일관성)

F (비전형) 일반인들이 일반적으로 반응하지 않은(비전형)


F(B) (비전형-후반부) 방식으로 응답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과대보고
F(P) (비전형-정신병리) (의도적: 가장 or 과장,

FBS(부정왜곡 척도) 비의도적: 심한 정신병리 or 도움 요청)

자기 모습을 과도하게 긍정적으로 제시


L (부인)
혹은 방어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방어 K (교정)
(의도적: 부인,
S (과장된 자기제시)
비의도적: 자아의 방어, 사회적 바람직성)

19
타당도 척도 : 프로파일의 예
5. 임상 척도
10개 척도: Hs(건강염려증), D(우울증), Hy(히스테리), Pd(반사회성), Mf(남성특성/여성특성), Pa(편집증),
Pt(강박증), Sc(정신분열증),Ma(경조증), Si(내향성)

▶ 각 척도별 특징
상승 척도별 해석 : 2개척도 상승 형태분석, 3개척도 상승 형태분석
60 - 69T : 경향성, 70 - 75T : 경한 장애, 76 - 90T : 현저한 장애, 90T 이상 : 심한 장애
▶ 70T 이상의 척도가 셋 이상인 경우
2개의 상승척도쌍 해석에 그 다음으로 높은 상승척도들을 그 순서대로 하나씩 추가하여 해석.
a-b-c순: a-b, a-c, b-c로 해석
▶ 척도 5와 0의 문제
척도 5와 0을 상승척도쌍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8개의 임상척도들 중에서 상승척도쌍을 결정한 후
척도 5와 0의 특성을 이에 덧붙여 해석

* Kunce & Anderson 임상척도 해석


* 척도 4-5-6 형태 : Scarlett O’Hara V
* 성격척도: 3,4,5,6,9,0 - 증상척도: 1,2,7,8 21
1. 척도 1(건강염려증, Hs: Hypochondriasis)
• 신체기능에 관해 염려하는 경향 측정하는 32문항
• 신체증상 및 기능 이상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집착 및 불안
• 만성적인 모호한 신체증상, 불행감, 자기중심적, 애처로운 호소, 적대적

T점수 해석 성격

자기중심적, 삶에 대한 불만족
>80 극단적인 신체적 염려
신체증상에 대한 통찰 거부로 나쁜
예후
방어기제: 신체화
모호한 신체적 불편감,
60-80 Kunce & Anderson: 신중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증상 발현
- 신중성(조심스러움, 양심적)/
의존적

60 내과 환자

건강에 대한 걱정이 없는 낙천적인


사람
<30
신체적 결함에 대한 강한 부인을
시사 22
2. 척도 2(우울증, D: Depression)
• 우울증상 평가를 위한 사기 저하, 희망 상실, 삶에 대한 전반적 불만족감을 측정(60문항)
• 척도 2의 단독 상승: 반응적 우울(가족의 죽음과 같은 상황적인 스트레스)
• 자신에 대한 과소평가(열등감), 심리적 고통, 무기력, 과민, 억제적, 죄의식

T점수 해석 성격
우울, 슬픔, 비관적
자살 사회적으로 위축된 생활방식
>70
느린 정신운동 속도 Kunce & Anderson: 평가
(현실적, 객관적/ 자아비판, 죄책감)
걱정의 부재
<40 효율적으로 기능 주의력 부족
자기과시적인 경향

주관적 우울감(D1) 불행감, 예민함, 의욕저하, 식욕부진


사회관계 회피,
정신운동지체(D2)
낮은점수: 자살에 대한 에너지가 충분함
신체적 기능장애(D3) 신체기능에 몰두, 메스꺼움 및 구토
인지적 쇠약
둔감성(D4)
(주의집중 곤란, 기억문제, 자신감 부족)
깊은 근심(D5) 반추, 잦은 분노, 불행감, 초조 23
3. 척도 3(히스테리, Hy: Hysteria)
• 스트레스 상황에서 히스테리 반응을 보이는 경향을 측정하는 60문항
• 히스테리 증상: 불수의적 기능상실, 기능장애
• naive, 유아적, 대인관계 쉽게 파국, 본인문제에 대한 낮은 통찰력, 자신의 심리과정에 관심 부족
• 문항구성: 구체적 신체적 불평, 심리적/정서적 문제 및 사회적 상황의 불편감에 대한 전반적 부인

T점수 해석 성격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적 연극적인 성격특성, 미성숙, 자기중심적
증상을 호소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 낮은 통찰력, 사회관계에서 의존적 요구
>80 방어기제: 억압, 부인
강하게 압도되는 느낌 자주 경험
Kunce & Anderson: 표현
- 감정 풍부, 예민/ 심신장애, 부인

사회적 불안의 부인(Hy1) 외향성, 사회적 탈억제

애정욕구(Hy2) 자신의 부정적 특성(타인에 대한 적대적 태도, 불신) 부인

권태-무기력(Hy3) 저조한 신체적, 정신적 기능 호소, 우울

신체증상호소(Hy4) 정서의 억압을 시사하는 신체증상

공격성의 억제(Hy5) 타인에게 동조, 폭력성 부인


24
4. 척도 4(반사회적 성격, Pd: Psychopathic Deviant)
• 반사회적, 비도덕적인 반사회성 성격을 측정하며 반항성을 반영하는 50문항
• 외향적, 사교적, 쾌락탐닉, 자기과시적, 불신, 범죄행위, 약물중독 등 반사회적 행동
• 문항 구성: 삶에 대한 불만족, 가족문제, 일탈, 성 문제, 권위와의 갈등

T점수 해석 성격
충동적, 제한적 좌절 감내 능력
사회의 기준을 받아들이는데
미성숙, 자기도취적
어려움
타인의 감정에 둔감, 착취적
>75 범죄 행동
방어기제: 행동화, 투사, 외향화
권위에 대한 반항
Kunce & Anderson: 주장
갈등 많은 가족관계
- 주장성, 모험적, 진취적/ 좌절 시 공격적 행동
지나치게 관습적, 공격성, 분노,
<40 주도성의 낮은 수준,
경쟁적인 상황을 회피

가정불화(Pd1) 가족의 통제에 저항, 가족갈등, 투사


권위불화(Pd2) 부모 및 사회의 요구에 분노, 법적 문제
사회적 침착성(Pd3) 의존욕구에 대한 부인
사회적 소외(Pd4) 소외감, 이해받지 못한다는 느낌으로 분노
내적 소외(Pd5) 척도 4의 우울요소, 자기통합의 결여, 죄책감
25
5. 척도 5(남성성-여성성, Mf: Masculinity-Feminity)
• 본래 목적인 동성애 남성의 구별은 어려우며, 직업, 여가에 대한 관심, 걱정, 두려움, 지나친
민감성, 가족관계를 측정하는 56문항
• 높은 점수: 남성에게는 여성성, 여성에게는 남성성 시사. 자신의 성역할에서 벗어남
• 고학력일수록 높은 점수
• 낮은 점수는 성역할 고정적, 융통성 낮음

T점수 남성 여성
높은 교육수준
의존적 진취적인 성격
광범위한 취미 자기주장적, 경쟁적
예민, 탐미적, 수동적, 가족갈등, 자신감
>70 여성적
방어기제: 승화
Kunce & Anderson: 유연
- 역할 유연성, 광범위한 취미
전통적인 남성적 선호 매우 전통적인 여성, 양성적인 생활방식
<40
공격적, 모험적, 거침 수동적, 복종적, 호소적, 과민, 잔소리꾼

26
6. 척도 6(편집증, Pa: Paranoia)
• 편집증상(관계사고, 피해의식, 웅대한 자기개념, 의심성, 지나친 예민성, 경직된 태도)을 측정하는 40문항
• 피해의식, 예민, 의심, 적대적으로 따지기 좋아함
• 신뢰감 부족, 불신감 팽배
• 문항구성: 의심성, 관계사고, 피해망상, 웅대성, 예민성, 비사교적 행동

T점수 해석 성격
관계사고(부당한 대우를 당한다고 느낌, 타인 의심, 적대감, 분노
분노)
≥70 우울, 불안
나쁜 예후(법적 명령으로 인한 내원,
방어기제: 투사
라포 형성 어려움) Kunce & Anderson: 호기심
60-70 편집증적 경향 - 진취성/ 스트레스 상황에서 과민함

문제, 좌절, 실패의 책임을 외부로 돌림


피해의식(Pa1)
1) 학대, 2) 관계사고, 3) 조종 망상, 4) 피해망상

예민성(Pa2) 긴장, 예민

도덕적 미덕(Pa3) 순진함, 불신, 적대감 부인


27
7. 척도 7(강박증, Pt: Psychathenia)

• 통제 불가능한 생각, 불안, 반추와 초조, 걱정 등을 측정하는 48문항


→ 강박장애와 유사한 범주의 내용 반영
• 긴장, 불안, 강박적 사고에 집착, 공포, 융통성 결여
• 자기비난, 쉽게 죄의식에 빠짐, 열등감, 부족감

T점수 성격
통제력을 상실할 것 같은 두려움, 강박사고 및 행동, 반추
내성(자신의 내면 관찰),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80 방어기제: 주지화
Kunce & Anderson: 조직화
- 꼼꼼함, 질서정연/ 스트레스 상황에서 지나친 걱정, 집착, 우유부단

28
8. 척도 8(조현병, Sc: Schizophrenia)
• 지각적 이상경험, 피해망상, 환각, 사회적 소외, 빈약한 가족관계, 충동통제 곤란 등을 측정하는 78문항
• 현실 왜곡, 망상, 환각, 양가감정, 제한된 정서반응, 공격적 행동을 반영
• 현실검증 장애, 기괴한 지각장애, 망상, 환각
• 진짜 조현병은 경미한 높은 점수 보임, 매우 높은 상승은 일시적인 것일수도

T점수 해석 성격
분열성(schizoid) 생활방식
정신병적 집단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있다고 느낌, 은둔적)
(혼란, 와해, 망상, 환각)
불안, 주의집중 곤란, 자살, 분노
75내외 도움의 요청
Kunce & Anderson: 상상
물질남용, 뇌졸중, 간질 등의
- 상상력, 창조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비현실적,
가능성
기이한 사고, 행동
65내외 정신병적이지 않은 집단 외로움, 소외감, 이해받지 못한다는 느낌
50-55 대학생 집단

사회적 소외(Sc1) 가족에 대한 반감, 심한 소외감


정서적 소외(Sc2) 음성증상(정서 둔마, 왜곡)
자아통합 결여, 인지적(Sc3) 인지과정을 통제하지 못함(혼란스러운 사고)
자아통합 결여, 동기적(Sc4) 무력감, 무쾌감
자아통합 결여, 억제부전(Sc5) 충동성, 분노로 인한 통제의 상실
기태적 감각 경험(Sc6) 이인증, 해리 29
9. 척도 9(경조증, Ma: Hypomania)
• 경조증(활동수준, 흥분성, 신경질, 웅대성), 가족관계, 도덕적 태도, 신체적 염려 등을 측정하는 46문항
• 경조증(hypomania): 고양된 기분, 말과 행동의 속도가 빨라짐, 분노, 단기 우울증
• 과장된 자기평가, 외향적, 충동적, 자유분방한 도덕관념, 정서장애

T점수 해석 성격
주의산만, 과다 활동
사고 비약, 과대망상(현실검증력 저하)
조증장애 및 삽화 낮은 좌절 감내력
>80 정신병적이지 않은 방어기제: 행동화, 부정
환자 Kunce & Anderson: 열의
- 열성적, 적극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피상적, 신뢰성
결여됨
50-60 청년층
<50 노년층

비도덕성(Ma1) 죄책감 부인, 공감능력 결여


심신운동항진(Ma2) 과잉 및 충동행동
냉정함(Ma3) 스트레스 상황에서 냉정함 유지
자아팽창(Ma4) 거만함, 권위에 저항
30
10. 척도 0(내향성, Si: Social Introversion)
• 사회적 접촉, 책임으로부터 물러서는 경향을 측정하는 69문항
• 문항구성: 사회적 참여의 정도, 신경증적 부적응 및 자기비하 양상

T점수 해석 성격

지나친 감정 통제, 걱정, 자신감 부족, 수동적 대인관계


내향적, 최소한의 방어기제: 회피, 철수
65내외
상호관계 유지 Kunce & Anderson: 자율
- 자율성, 독립적/ 거절에 민감, 부족한 자신감, 고립감

50-60 내향성과 외향성의 균형 유지

<40 외향적 자신감, 사회적 관계에 능숙, 피상적 관계

높은 Si 낮은 Si
내향성의 주관적 측면
수줍음/자의식 외향적, 사회적 접촉
(수줍음, 부적절감)
(Si1) 주도
임상장면(우울, 활력부족)
사회적 회피 내향성의 객관적 측면(사교 모임 회피)
사회적 접촉 주도
(Si2) 임상장면(우울, 불안, 신체증상, 강박사고 및 행동)
신경증적 요소
내적/외적 소외 높은 자존감, 여러
(개인적 부적절감, 냉소, 과민성, 겉도는 느낌)
(Si3) 활동에 관심
임상장면(우울, 슬픔, 무망감, 강박사고 및 행동) 31
Kunce & Anderson (1976,1984)

척도 핵심 긍정 부정
Hs 신중성 양심적, 사려 깊음, 진실, 신체적 변화에 민감 일시적으로 화를 잘 내고 의존적,
신체적 건강에 집착
D 평가 선과 악, 옳거나 그른 것을 가려내는 특성, 일시적으로 걱정과 불안,
현실적, 객관적, 사려 깊음 자기 행동에 비판적, 죄책감
Hy 표현 감정 풍부 예민, 정 많고, 낙관적 우호적, 심신장애, 부인 방어
솔직한 감정표현, 오호 분명
Pd 주장성 자기 주장적, 솔직, 모험, 진취적, 분노 표출
환경에 빠른 적응, 정력적, 선도적
Mf 역할유연성 다양한 취미, 참을성 많고, 통찰력 높고,
예민 호기심 많음
Pa 호기심 탐구적, 의문 많고, 통찰력, 판단력, 진취적, 의심성, 과민성, 왜곡된 지각
넓은 흥미 범위
Pt 조직화 조직능력, 시간 엄수, 질서정연 지나친 걱정, 우유부단,
사소한 일에 집착, 부적응 행동
Sc 상상력 자발적, 전위적, 창조적, 우수한 상상력 비현실적, 기태적인 행동

Ma 열의 열성적, 적극적, 말이 많고 다재다능, 다정함 피상적, 신뢰성 결여, 일의 끝 맺지 못함

Si 자율성 독립적, 자기 지향적 대인관계 기피


32
6. 해석과정

1) 신상자료(demographic data) 고려
2) 의뢰사유 확인
3) 검사태도
4) 검사시 행동 관찰
5) 답안지 검토
6) 타당도와 임상척도 각각의 점수 검토
7) 척도끼리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8) 상승척도에 대한 분석
9) 매우 낮은 임상척도에 대한 분석
10) 타당도 및 임상척도의 형태적 분석
11) 전체 프로파일에 대한 형태적 분석

33
1. 신상자료 고려

1) 연령
- 한 척도 상의 같은 점수라고 해도 연령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
- 젊은 피검자: 비동조성, 반항성, 소외, 정체감, 정력수준
- 나이든 피검자: 건강에 대한 관심, 내향성, 우울
⇒ 젊은 피검자가 척도 Hs, D에서 노인 피검자와 같은 점수를 얻었다면 더 병리적일 가능성

2) 성별
- 한 문항에 대한 남녀간 반응비율이 다르므로 같은 T점수라도 다른 특성

3) 교육수준
- 교육수준이 높을 수록 일탈 되지 않게 응답하는 경향
(개인효율 높음, 정서적 어려움 적음)
- 교육수준이 높을 수록: 척도 F와 0 낮아짐, 척도 K높음, 척도 5상승

2. 의뢰사유 확인
- 심리검사를 통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 목적에 맞는 심리검사를 실시해야 초점 있는 해석가능

34
3. 검사태도
- 검사소요시간: 통상 60-90분
- 긴 시간: 강박적 세심함, 우유부단, 우울증 관련 정신운동기능 지체
검사에 대한 수동적 저항, 비협조, 주의집중력 떨어지고 혼란
- 짧은 시간: 충동적, 충분히 생각하지 않음, 문장을 잘 읽지 않음

4. 검사 시 행동
- 긴장, 불안, 안절부절 못함, 몹시 수줍어함, 분노에 가득참, 공격적임에 대한 관찰은 해석에
도움이 됨. 예) 분노에 가득찬 청소년

5. 답안지 검토
- 빠뜨린 문항, “예”, “아니오” 모두에 응답, 답안지의 깨끗함 등을 확인
예) 수정이 많거나 답에 대한 보충, 의문점을 기록하는 경우: 신중하고 강박적이고 우유부단

6. 타당도와 임상척도
- 점수가 정상범위인가? 아닌가?
예) 난폭하고 괴팍한 범죄자가 정상 범주: 성격, 치료적 행동변화 가능성

7. 척도끼리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 특정 척도 점수를 근거로 다른 척도에서 기대되는 점수 예측
예) ① L척도의 상승: 일반적으로 임상척도 낮을 가능성 많음, 척도 1과 3, 척도 9의 상승 동반
35
② F척도의 상승: 임상척도 높아짐, 척도 6,8.
8. 상승척도에 대한 분석
- Two Code: T점수 70이상 중 가장 높은 2개 척도를 묶어 해석
- 단독상승: 단지 한 임상척도만이 70T이상 상승, 2개 이상 임상척도들이 70T 이상 상승했을
때 제일 높은 척도 점수와 다른 척도 점수들 차가 20T 이상일 경우
- 상승척도 쌍 해석시 유의사항: 2개 척도 순서에서 해석상 차이 여부(34코드, 43코드 다름),
척도의 상승정도 고려
- 70T 이상 척도가 셋 이상

9. 매우 낮은 임상척도에 대한 분석
- 일반적으로 40T이하의 척도 점수들은 상승척도의 임상적 의미보완, 수정
- 피검자가 방어하고 보이지 않으려는 행동을 알게 해줌

10. 타당도 및 임상척도의 형태적 분석


- L, F, K 세 척도 묶음, 혹은 1,2,3 묶음

11. 전체 프로파일에 대한 형태적 분석


- 상승도: 높을수록 고통 심함, 자아배타적 혹은 자아비수용
- 기울기
① 정적 기울기: 정신병 척도가 신경증 척도보다 더 높게 상승, 충동억제력 약화, 현실검증력
손상, 지남력 상실, 심한 심리적 혼란
② 부적 기울기: 신경증 척도가 정신병 척도보다 더 상승, 불안, 우울, 신체 증상. 왜곡은 없음.
- 굴곡(plasticity): 평평한 프로파일, 톱니 형태
36
7. MMPI의 중요 해석
1. 자기보고 수준
- 자신을 좋게 보이려는 피검자: L, K > F
- 자신 문제에 대해 도움을 구하는 피검자: F>L,K / L,K<50T
- 자신이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을 전하고자 하는 피검자: D, Pt ↑

2. 방어기제
- 척도 3 T80이상: 히스테리성 전환반응, T60이상: 부정과 억압
- 척도 4 : 행동화, 합리화, 주지화
- 척도 5 : 승화, but 극단적인 상승 : 불완전한 동일시
- 척도 6 : 의심 많고, 망상 등 편집증적 증상, 투사
- 척도 9 : 부정, 주의분산, 행동화, 변덕스럽고 공격적 폭발
- 척도 0 : 회피와 철수
- 척도 K : 경계심, 심리적 약점을 감추려 함, 억제와 억압, 합리화
- 척도 L : 초보적인 형태의 억압, 경직된 부인
- 척도 F : 효과적인 방어기능의 결함, 낮은 F점수 : 억압과 부정
37
3. 불안조절
- 척도 2 상승 : 방어기제 무너짐, 척도 7과 동반 상승: 마술적 사고, 반추
- 척도 8 상승 : 방어가 심히 왜곡, 인지적 혼란
- 척도 8,0> 9 : 냉담과 철수가 동반된 사회적, 정서적 고립

4. 공격성과 적대감의 조절
- 척도 4 상승 : 적대감, 척도 9와 동반상승 : 공격적 충동의 외현적 표현
- 척도 6 상승 : 특정인에 대한 분노
- 척도 4,6 상승 : 충동적, 폭발적 경향
- 척도 4,6,9 상승 : 타인에 대한 직접적 행동화 가능성, 매우 위험
- 척도 3,1,2 상승 :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을 처벌하기 위해 신체적 증상 사용
- 척도 3,6 상승 : 자신이 표현하는 분노를 의식하지 못함
- 척도 3>4 : 내면적으로 은밀하게 분노 표현 (수동 공격적)
- 척도 4>3 : 과잉통제하는 가운데 폭력적인 행동 보임
- 척도 2 상승 : 내재화된 공격성이 자기처벌적이고 자기패배적인 행동 표출
- 척도 2,7 : 자살 가능성, 충동통제(4,9)나 현실판단력장애(8): 위험극대
38
5. 현실접촉의 안정성
- 척도 F : 현실접촉의 심각한 장애
- 척도 6,8과 6,9 상승 : 만개한(full bloom) 정신병 환자
- 척도 6,0 : 정신병적 편집증 시사
- 척도 0,8 : 극단적 사회적 철수와 소외
- 척도 8,9 : 상당한 혼란과 당황감을 보이는 정신병적 괴팍한 사람
- 척도 3,8 : 일시적인 정신병적 일화, 히스테리성 정신병
- 척도 2,8 : 정신병적 우울증, 정신분열병

6. 대상관계
- 척도 F,8 : 불안정적인 자아체계, 정체감 혼란
- 척도 1,2 : 힘있는 강한 대상과 밀착된 관계를 맺기 원함
- 척도 3,9 : 모든 타인으로 부터 지지를 얻고자 하는 미묘한 노력
- 척도 4 : 타인을 무자비하게 이용, 타인을 평가절하
- 척도 6 : 특정인에게 집중된 분노를 강하게 표현

39
7. 병리의 수준
- 가장 높은 수준의 방어 : 억압(신경증)
- 중간 수준의 방어 : 행동표출(성격장애)
- 가장 낮은 수준의 방어 : 부인이나 현실왜곡의 원시적 기제 (정신병적 수준)
- 정적 기울기 : 정신병적 경향
- 부적 기울기 : 신경증적 경향
- 척도 4,5,6 상승 : 성격적인 병리
- 척도 K, 3,5 : 행동표출이나 정신병적 행동 가능성 줄임
- 척도 4 상승 : 성격병리의 분명한 지표
- 척도 6의 동반 상승 : 행동표출이 아주 높게 나타남, 다른 척도의 병리를 심화

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