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9

중국문학

제88집

ISSN : 1226-2943(Print)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김나래, 김석영, 박종한, 손남호, 신원철, 이미경, 이연숙

To cite this article : 김나래, 김석영, 박종한, 손남호, 신원철, 이미경, 이연숙 (2016)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중
국문학, 88, 131-158

① earticle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학술교육원은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
니다.

② earticle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
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www.earticle.net

Download by : 203.252.249.20 Accessed : Monday, May 16, 2022 3:36 AM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

김나래, 김석영, 박종한, 손남호, 신원철, 이미경, 이연숙**


2)

〈목 차〉

1. 들어가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2. 연구 대상과 방법
3. 주제 및 영역별 분포
4. 수준 및 교수대상별 분포
5. 나오며

1. 들어가며

이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인 교수매체의 하나인 서책형 교재(textbook)1)의 영역별⋅


www.earticle.net
*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5S1A5A2A03050117).
논문 심사 과정에서 한 익명 심사위원께서 원고 전체와 주요 논지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와
꼼꼼한 지적을 보내 주셨다. 본고는 이에 힘입은 바 적지 않음을 밝히며, 심사위원께서 보내
주신 학술적 열의와 본고에 대한 성의에 본 필진은 깊은 경의와 감사를 표하는 바이다.
** 김나래(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강사, 제1저자), 김석영(한국교원대 중국어교육과 조교수, 교신저
자), 박종한(가톨릭대 중국언어문화전공 교수), 손남호(서울대 언어교육원 선임연구원), 신원철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강사), 이미경(대구대 중국어중국학과 조교수), 이연숙(상명대 기초교양
대학 조교수).
1) ‘교수자료’, ‘교재’, ‘교과서’는 사용자와 사용 맥락에 따라 함의를 달리하는 경우가 많다. ‘교
재’를 ‘materials’의 대역어로 쓰는 경우 이는 넓은 의미에서 교육 자료(educational materials)와
상황(contexts) 및 활동(activities)을 모두 가리키며, 좁은 의미로는 이 가운데 교수학습에 직접
사용되는 교수 자료(instructional materials)만을 지칭하고, 교과서(textbook)는 거기에 속하는 유
형의 하나이다.(배두본 2008: 4-5) 그러나 ‘교과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찬된 국정⋅
검정⋅인정 교과서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교육과정의 제약과 관계없는 모든
종류의 ‘textbook’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 것이 ‘교재’이다. 본고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교재’를 후자의 개념, 즉 ‘textbook’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132 中國文學 第88輯

유형별 분포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어 교재 연구가 개별적 특성의 연구에


머무르지 않고 교재 범주 전체에 대한 시야를 바탕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무릇 연구는 개별 교재에 대한 분석이든 특정 유형의 범주에 대한 분석이든
전체적인 시야의 확보 여부에 따라 분석의 틀은 물론이고 분석 대상이 가지는 위상
이나 교수매체로서의 의의에 대한 해석의 깊이가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예컨대 새로 출간된 어린이용 교재를 평가하고 분석한다고 할 때, 현단계의 교
재 개발 현황 안에서 어린이용 교재는 어느 정도의 양적 비중을 차지하는지, 어린
이용 교재의 개발이 지금까지 주로 어떤 경향을 띠고 있었는지에 대한 이해 없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교재의 내적 구성과 기법에만 천착해서는 의미 있는 평가와 분석을 수행하기 어렵


다. 그런 점에서 교재의 분포 상황에 대한 인식은 교재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선행
되었어야 하는 작업임에도 그 동안의 교재 연구는 교재 분포에 관한 기초 조사 없
이 주로 개별 교재의 내적 구성이나 기법, 혹은 내용 요소 등에 대해서만 제한적으
로 수행되어온 측면이 있다.
교재는 본질적으로 그것이 사용되는 교수⋅학습 상황과 일정한 교수자⋅학습자
를 전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 주체나 발행 지역에 따른 입장⋅관점⋅방법⋅형
태의 차이가 엄연히 존재한다. 따라서 교재의 분포에 대한 연구는 교재가 생산⋅유
통되는 일정한 권역의 개념을 전제로 수행될 수밖에 없다. 본고는 여러 권역 가운
데 중국(PRC)에서 편찬⋅출간된 중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2)
교수매체를 “학습자에게 수업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리적 수단”(Reiser
www.earticle.net
2007: 18)으로 본다면 가장 전형적이고 전통적이면서 오늘날까지도 가장 보편적으
로 사용되는 매체는 서책형 교재일 것이다. 물론 교수 대상의 특성이나 교수법에
대한 교사의 입장에 따라서는 수업에서 서책형 교재가 배제되기도 하지만3), 대다수
의 언어 교수 상황에서 교재는 교사, 학생과 함께 필수불가결한 하나의 요소로 받
아들여진다. 이처럼 교수 대상이나 교수법적 입장에 따라 서책형 교재의 사용 여부
가 갈린다는 사실은 같은 이유로 서책형 교재의 사용을 전제로 하는 교수학습 상
황에서도 교사⋅학습자⋅교수목표⋅교수법 등의 변수에 따라 어떤 유형과 내용의
교재를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현존하는

2) 본고의 분석 대상을 중국(PRC)으로 한정한 것은 중국어 교육에서 중국의 성과가 가지는 대표


성을 감안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후 지역 차이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 등을 고려한 것이기도
하다. 본 필진은 앞으로 주요 지역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추가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3) 예컨대 교수 대상이 영유아인 경우에는 서책형 교재나 텍스트 매체가 사용되기 어려우며, 전
신반응법(TPR)이나 공동체언어학습법(CLL) 등의 교수법이 선택된 수업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하나의 교수요목에 입각한 교재를 사용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33

교재의 유형과 그 특징에 대한 전면적인 이해는 교육과 연구의 측면에서 공히 필


수불가결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어교육 분야의 교재와 매체에 대한 연구는 양적으로는 많은 진전을 이룬
것이 사실이지만, 가장 전통적인 매체인 교재만 놓고 보더라도 충분한 조사에 의한
유형화와 분류 및 분석이 이루어졌는지는 의문이다. 현재까지의 중국어 교재 연구
는 개별적이고 산발적인 기술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교재 분석이나 학습 오류 분석에 관한 것(成文 2014, 吕
文华 2010 등), 교수 항목 선정에 관한 것(박애양 2008, 손정애 2012 등), 교수 이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및 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것(박용진 2003, 박찬욱 2009 등), 둘 이상의 교재를 비교
한 것(刘晓岚 2008, 李宇飞 2013 등)이 있으나 교재의 분포 현황에 관한 글은 찾아
볼 수 없다. 학위 논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현행 교과서를 직⋅간접적으로 분
석한 것(변성연 2010, 이희갑 2012 등), 교재를 이용한 교수 방법에 관한 것(한혜선
2007, 양지영 2006 등),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문제에 관한 것(김선희
2006, 林美淑 2008 등), 중국어 교육의 교수 항목이나 교재의 설계에 관한 것(위수
광 2010, 吳迎玉 2014), 교재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교수매체에 관한 것(이지현 2002,
이하원 2008 등)이 있을 뿐, 선행되었어야 할 교재 분포 현황에 관한 연구는 충분
히 수행되지 않았다.
중국에서는 교재 분석이나 교재 비교 관련 논문 외에 교재의 분포에 관하여 趙
賢州(1988), 王順洪(1991), 李泉(2002), 齊沛(2003), 王弘宇(2003), 石汝傑(2004), 王若江
www.earticle.net
(2004), 胡曉慧(2007), 李曉琪(2007), 朱志平 등(2008), 韓萱(2009), 羅慶銘(2010), 範常
喜 등(2012), 吳佳、吳中偉(2016) 등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이 특정 시기의
교재 분포에 관한 것이거나 주요 출판사의 교재만을 대상으로 한 것, 싱가포르⋅일
본 등의 지역에 관한 것으로 중국에서 출간된 중국어 교재 전체에 대한 조사와 분
석은 아직 충분히 수행되지 못했다.
그런 점에서 본고는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중국에서 출간된 모든 교재에 대
한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유형화와 분류 시도라는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고의 분석을 통해 교재 분포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이 이루어진다면 교
재 분석과 평가의 준거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교재의 전체적 분포에 대한 조사는 또한 교수자의 교수설계 과정에도 매우 중
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교수설계는 ADDIE 모형4), Dick & Carey 모형,5) ASSURE

4) ADDIE 모형은 Friedman & Friedman(2001)이 고안한 모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 물적 자
원과 환경 등에 대한 분석(Analysis), 수행목표와 평가도구, 교수전략, 교수매체 등의 설계
134 中國文學 第88輯

모형6)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분석 → 선택 → 적용’의 과정이


며, 이 가운데에는 교수매체의 선택이 중요한 절차 중 하나이다. 문제는 여전히 교
수매체의 주류라 할 수 있는 교재의 선택 과정이 교수자의 경험에 의존하거나, 교
수자 개인이 파악할 수 있는 교재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데 있다. 개인적으
로 획득한 개별 정보에 의존하여 매체를 수업에 도입하는 경우 자료나 매체에 학
습자와 교수목표를 끼워 맞추는 이른바 ‘삭족적리(削足適履)’의 방식으로 교수설계
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데, 그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 수업이 성공적이기는 힘들
다. 폭넓은 범위에서 교수목표와 교수대상에 맞는 교재를 선택하려면 교재 전반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관한 정보가 교수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재 전반에 대한 일차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수자의 이러한 필요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에서 출간된 중국어 교재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 본고는 우선 중국 도서
관 분류법(中國圖書館分類法)을 바탕으로 조사 대상의 범위를 확정하고, 교재에 해
당되는 도서의 정보를 확보한 다음 교재의 속성에 대한 키워드 분석을 실시할 것
이다. 키워드 분석만으로 속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도서에 대해서는 추가
적인 정보 조사 또는 실물 도서에 대한 직접 분석을 통해 특징과 속성을 파악하게
되며, 이 분석의 내용은 최종적으로 주제⋅영역⋅수준⋅교수대상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그리고 분류의 결과가 보여주는 분포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
국에서 생산되는 중국어 교재들이 어떠한 경향성과 특징을 보이는지를 파악하게
될 것이다.
www.earticle.net

(Design), 교수자료의 개발(Development),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실행(Implementation), 교수자료와


매체의 적합성, 효율성, 지속성, 문제점과 수정사항 등에 대한 평가(Evaluation)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 교수설계의 한 모형이며, 현존하는 많은 교수설계 모형이 여기에서 파생되었다.
5) Dick & Carey 모형은 Dick & Carey(1978∼1996)에 의해 개발된 교수설계 모형으로 교수 목표
설정(identify instructional goals), 수업분석(conduct instructional analysis), 학습자 및 환경 분석
(analyze learners and contexts), 학습목표 진술(write performance objectives), 평가도구 개발
(develop assessment instruments), 교수전략 개발(develop instructional strategy), 교수자료 개발 및
선정(develop and select instructional materials), 형성평가(design and conduct formative evaluation
of instruction), 교수 프로그램 수정(revise instruction), 총괄평가(design and conduct summative
evaluation)의 열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ADDIE 모형을 세분화한 것이지만 ‘실행’ 단계가 없어
교수자보다는 교수설계자의 입장에 초점을 맞춘 모형으로 평가된다.
6) ASSURE 모형은 Heinich et. al.(1999)에 의해 제안된 교수설계 모형으로 학습자분석(Analyze
learners), 목표진술(State objectives), 교육방법, 미디어, 교수자료 선택(Select method, media, &
materilas), 미디어와 교수자료 활용(Utilize media & materials), 학습자 참여요구(Require learners
participation), 평가와 수정(Evaluate & revise)의 여섯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35

2. 연구 대상과 방법

2.1 연구 대상

본고는 중국어 교재 분포의 이해를 위한 현황 보고와 분석에 일차적인 목표를


두는 만큼 분포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와 교재 개발이 가장 활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한 중국(PRC) 지역을 첫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은


중국에서 이른바 ‘대외한어교학(對外漢語教學)’으로 통칭된다. 따라서 본고에서 분
석 대상으로 삼는 교재는 이른바 ‘대외한어교재(對外漢語教材)’이다.
중국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도서 분류 체계 혹은 그 변형 체계를 사용하지 않
고 중국 도서관 분류법(中國圖書館分類法,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이라는 중국
고유의 분류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 체계에 의하면 H(語言、文字) 〉H1(漢語) 〉
H19(漢語教學) 〉H195(對外漢語教學)라는 위계에 따라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분
야는 중국어 교육 범주의 하위 범주에 해당하며, 이는 다시 여섯 개의 세부 범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본고의 분석 대상은 H195.4(教材、課本), H195.5(讀物), H195.6
(習題、試題及題解)이다.7) 이들 범주에 해당되는 도서의 목록을 확보하기 위해 우선
중국 국가도서관(國家圖書館) 웹사이트(http://opac.nlc.cn)에서 목록을 추출하였는데,
www.earticle.net
각 범주에 해당되는 도서의 수량은 4334권, 1724권, 224권이었다. 목록상 세 범주의
총합은 6282권인데, 목록 정리 과정에서 214권의 중복 수록된 항목이 발견되어 이를
제거하였으며, 그 결과 교재, 읽기자료, 보조자료의 합은 6068권이 되었다.
H195.4에 해당하는 교재는 수업 또는 자습이 가능한 학습서이며 듣기, 읽기, 말
하기, 쓰기의 언어 기능이나 발음, 한자, 어휘, 문법, 문화 등을 학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서를 의미한다. H195.5의 읽기자료는 대체적으로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도서이지만 전형적인 교재나 학습서의 형태를 띠고 있
지 않기 때문에 교재에서 독립시켜 따로 범주를 설정한 것이다. 또 H195.6의 보충
교재에는 교재를 학습하거나 교수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워크북이나 교사
용 지침서, 음원이나 단어카드와 같은 학습자료, 그리고 일부 연구서와 공구서8)도

7) 교재가 아니어서 분석 대상에서 제외된 나머지 세 개 범주는 H195.1(教學理論), H195.2(教學計


劃、教學大綱), H195.3(教學法、教學工作)이다.
8) 공구서는 학습자나 교수자를 위한 사전류를 포함하는데, 여기에 포함된 사전류들은 모두 외국
어로서의 중국어 학습 및 교수와 관련된 사전류로 일반 사전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136 中國文學 第88輯

포함되어 있다.

〈표 1〉 분류기준 및 도서 예

구분 도서 예
교재 新實用漢語課本4 (劉珣 2012)
읽기자료 金絲猴東東:生日 (陳琦 2015)
워크북 新實用漢語課本4: 綜合練習冊 (劉珣 2012)
교사용 지침서 新實用漢語課本4: 教師用書 (劉珣 2012)
보충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연구서 漢語報刊教學理論與方法 (李晟宇 외 2007)


교재
공구서 1700對近義詞語用法對比(楊寄洲、賈永芬 2005)
학습 자료 國際漢語教學通用掛圖: 拼音掛圖 (史跡 2013)

다만 이 가운데 ‘연구서’류는 H195.1(教學理論), H195.2(教學計劃、教學大綱),


H195.3(教學法、教學工作) 등으로 분류되어야 할 책들이 잘못 분류⋅수록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공구서도 학습용이기는 하지만 교재의 분포를 살
피고자 하는 본고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제외한다.
교재의 분포 현황 파악 및 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목록상의 도서들을 하나하나
살펴보아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2700여 건에 달하는 도서의 정보가 잘못 분류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컨대 H195.4에 읽기자료나 워크북류 도서들이 포함되어
있거나 H195.5에 일반 교재나 www.earticle.net
읽기자료가 포함되어 있었고 H195.6에도 마찬가지로
일반 교재가 뒤섞여 있었다. 이 도서들의 분류를 모두 조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2〉 연구 대상 도서 재분류

구분 권수 (백분율)
교재 4126권 (69.59%)
읽기자료 389권 (6.56%)
워크북 377권 (6.36%)
보충
교사용 지침서 182권 (3.07%) 1414권 (23.85%)
교재
학습 자료 855권 (14.42%)
합계 5929권 (100%)

본고는 이 가운데 ‘교재’에 해당되는 4126권을 대상으로 속성 분석을 수행할 것


이다.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37

2.2 연구 방법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용 교재 출판 현황에 대한 파악은 일차적으로 중국


국가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도서 목록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다만 본고는 도서 목
록 자체가 제공하는 정보만을 기계적으로 분석하여 현황을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
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중국어 교재 현황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표를 두었
기 때문에 외국어 교육에서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몇 가지 개념으로부터 분석의 단
초를 찾고자 하였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사회⋅경제⋅과학기술 관련 의사소통의 수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요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외국어 교육을 다각화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는 데 주목하였다. 예컨대 영어 교육 분야에서는 ‘외국어로서의 영어(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교육’이나 ‘제2언어로서의 영어(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SL) 교육’ 외에도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McDonough et al. 2013: 3-4)

(1) 어린이 영어(English for Young Learners, EYL) 교육 : 유아나 어린이를 대상으
로 한 영어 교육. 모국어에 추가하여 영어를 가르치는 경우이며, 일반적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함.
(2) 특수목적 영어(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교육 : 의술이나 비즈니스와
같은 특정 직업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영어 교육.
www.earticle.net
(3) 학문목적 영어(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EAP) 교육 :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하고자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영어 교육.
(4) 내용-언어 통합 학습(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CLIL) : 범 교
과(cross-curricular) 프로그램을 통해서 내용 수업과 언어 수업이 동시에 수행
되는 영어 교육.

이상의 개념들은 공히 중국어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어로


서의 중국어 교육의 역사적 경험이 중국에서도 30년 이상 축적되면서 여기에 해당
되는 형태의 교재와 교수모델이 이미 현실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고
는 이른바 어린이 중국어(CYL), 특수목적 중국어(CSP), 학문목적 중국어(CAP), 내용-
언어 통합 학습(CLIL)9)의 측면에서 볼 때 중국의 중국어 교재는 어느 정도로 다양

9) 내용-언어 통합 학습(CLIL)이라는 기준을 직접적으로 거론한 분석 내용은 본고에 포함되어 있


지 않으나, 이는 내용 학습에 언어 학습이 통합된 것을 의미하므로 문화 교재나 비즈니스 중
국어 교재, 전공 준비용 교재의 비율이나 현황에 관한 내용이 여기에 해당된다.
138 中國文學 第88輯

화되었는지를 중심으로 현재의 중국어 교재 분포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기초 자료가 되는 도서 목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국 국가도서관 웹사
이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였다. 검색어의 종류는 ‘中圖分類號’
로 설정하고 본고의 고찰 범위에 해당되는 ‘H195.4’, ‘H195.5’, ‘H195.6’을 각각 검색
하였으며, 검색 결과는 최대 1천 건까지만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색 결과가 1
천 건을 초과하지 않도록 검색 연도 범위를 분할하여 결과를 추출한 다음 최종적
으로 검색 결과 전체를 통합하여 1차 목록을 완성하였다. 중국 국가도서관 웹사이
트의 검색 결과는 카드 형식, MARC 형식, 필드명 형식, ALEPH 형식, OPAC 형식,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ISI ResearchSoft사의 출력 형식 등으로 저장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필드명 형식


을 활용하여 Excel 프로그램으로 목록을 처리하였다.10)
중국 국가도서관을 통해 확보한 목록에는 각 도서의 ‘도서명’, ‘자료유형’, ‘저자/
편자/역자’, ‘출판연도’, ‘주제 분류’, ‘형태 정보’ 등이 제공되고 있고, 일부 도서는
‘내용 제요’까지 제공되고 있지만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속성을 파악하여 태깅
(tagging)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정보의 제약이 많았다. 따라서 필자는 속성 파악을
위한 추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바이두 백과사전(百度百科)과 인터넷 서점이나 출
판사의 도서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였으며, 이러한 정보만으로도 충분한 파악이 어
려운 도서들의 경우에는 실물 도서를 직접 찾아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도서 정보
태깅 작업을 수행하였다.
예컨대 八仙過海學漢語1A(美国密西根州立大学孔子学院 2014)11)의 경우 국가도서
www.earticle.net
관 웹사이트에서 추출한 정보나 바이두 백과사전, 아마존 온라인 서점, 해당 출판
사 홈페이지 등에서 수집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이 교재의 속성을 전혀 파
악할 수 없었는데, 陳嘉儀(2011)의 서평과 國家開放大學對外漢語教學中心 웹사이트
에서 확인한 교재 설명12)으로부터 다음의 몇 가지 속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1) 성격 : 종합 교재 ← “形式多樣的聽、說、讀、寫各項練習”
(2) 교수대상 : 중고등학생 ← “一部寫給中學生的中國旅遊指南”

10) 초기 작업에서는 도서 정보 형식에서 널리 사용되는 MARC 형식의 데이터를 Excel 형식으로


전환하여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MARC 형식의 경우 불필요한 필드가 많아 작업 효율성이 저하
되는 단점이 컸다. 이에 MARC 형식 데이터를 모두 폐기하고 주요 항목을 빠르게 정리할 수
있는 필드명 형식의 출력 결과를 사용하여 목록을 정리하였다.
11) 일반 참고문헌이 아닌 분석 대상 교재를 본문에서 언급하는 경우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하지
않고 본문에서 직접 ‘서명(저자 연도)’의 방식으로 주요 정보를 제시하기로 한다.
12) http://www.myechinese.org/category.product/12-60.html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39

(3) 수준 : 초중급 ← “學習內容分級, 使不同級別、不同要求的學生都有收獲” (등급


의 구분이 있다고 하지만 현재 ‘1A’권만 나와 있고, 중고등학생용 교재
라는 점을 감안)
(4) 요소 : 문화 ← “給喜歡探索漢語和中國文化的學生提供了豐富的學習材料” (문화
요소도 함께 다루고 있음)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각 교재의 속성과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


은 범주 항목으로 정리하여 태깅 작업을 수행하였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1) 언어 기능 : 종합,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통합적 교수모델을 기반으로 한


경우에는 복수 정보 태깅)
(2) 언어 요소 : 발음, 한자, 문법, 어휘, 관용어, 성어, 문화 등
(3) 주제 : 종합일반교재, 말하기일반교재, 듣기일반교재, 쓰기일반교재, 읽기일반교
재, 읽기자료(讀物), 노래/게임, 통번역, HSK, YCT, BCT, 기타시험, 비즈
니스, 관광(여행), 의학, 과학기술, 신문, 기타 전문지식 등
(4) 유형 : 주교재, 워크북, 활동자료, 교사용지도서, 디지털 자료, 보충교재 등
(5) 대상 : 아동(어린이),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소수민족 등
(6) 수준 : 초급, 중급, 고급 등

이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본고는 주제, 영역, 수준, 교수대상별로 현재 시점까지


중국에서 출간된 중국어 교재의 분포 현황과 개발 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www.earticle.net
는 다음과 같다.

3. 주제 및 영역별 분포

3.1 주제별 분포 현황

주제를 분석한다는 것은 어학 교재의 경우 일반적인 목적의 교재인지 특수 목


적 교재인지, 일반 학습서인지 수험서인지, 뉴스⋅문학작품⋅영화⋅노래와 같은 특
정 언어 소재를 중심으로 다룬 것인지 등을 구분한다는 의미이다. 도서분류상
H195.5(讀物), H195.6(習題、試題及題解)에 해당되는 책은 그 자체로 이미 일반 교
140 中國文學 第88輯

재와는 다른 주제 범주로 구분된 것이므로 별도의 태깅 작업에 의한 주제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므로 본 장에서 주제별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은
〈표 2〉의 ‘교재’에 속하는 4126권이다. 본고가 사용한 분류의 틀은 다음과 같다.

(1) 일반 교재 : 종합 (언어기능이나 언어요소별로 특화되지 않은 일반 교재)


: 언어기능중심 -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 언어요소중심 - 발음, 한자, 어휘, 문법, 문화(사회)
(2) 소재 특화 : 뉴스, 영화, 노래, 게임, 문학작품
(3) 목적서 : 통번역, 실무(비즈니스⋅무역 등), 관광, 전문분야(의학⋅과학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술 등)
(4) 수험서 : HSK, BCT, 기타 시험

이상의 구분법을 바탕으로 4126권의 교재에 대해 속성 구분과 태깅 작업을 수


행하였는데, 일부 교재는 그 성격상 두 가지 이상의 속성이 중첩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예컨대 漢語聽說基礎(萬瑩、周毕吉 2015) 같은 책은 ‘듣기, 말하기’의 복수
속성을 가진 교재이다. 다만 ‘듣기, 말하기’는 ‘언어기능’이라는 동일한 상위범주를
가진 속성으로서 상위범주의 구분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1권으로 계상하였
다. 뿐만 아니라 하위범주 구분에서도 ‘듣기’와 ‘말하기’ 범주로 복수 계상하지 않
고 ‘듣기-말하기’라는 하위범주를 따로 두어 계상하기로 하였다. 이처럼 통합적 교
수 원리에 입각하여 편찬된 교재가 별도 범주로 계상된 사례는 총 92건이었다.
www.earticle.net
이보다 문제가 된 것은 實用文化交際400句(倪明亮 1995)와 같이 둘 이상의 상위
범주가 중첩되는 경우였다. 이 책은 ‘말하기’라는 ‘언어기능’ 중심으로 편찬된 교재
이면서 동시에 ‘문화’라는 ‘언어요소’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위범주에
서부터 복수 계상을 피하기 어렵다. 그러나 교재의 속성과 특징을 이런 방식으로
섬세하게 검토할 경우 교재가 다루는 소재 자체의 복합적 성격으로 인한 중복 분
류의 오류를 피할 수 없다. 문화라는 속성은 넓게 보면 모든 종류의 교재에 내재해
있는 만큼 사실상 모든 교재가 문화 범주로 분류될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
러나 문화에 특별한 비중을 둔다 하더라도 문화적 소재를 활용하는 것과 문화 자
체를 직접 다루는 것은 차이가 있다. 가장 전형적인 문화 교재를 中國傳統文化與現
代生活: 留學生中級文化讀本Ⅰ(张英、金舒年 2003)이나 中國概況(王顺洪 2003)과 같
이 문화 자체를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둔 책으로 본다면, 책의 전편 목차가 문화 소
개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고, 문화 이외의 요소나 기능에 중점을 두면서 문화적
인 소재를 활용하는 차원의 기획, 즉 문화를 일차적 고려 요소로 두지 않는 기획에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41

의한 교재는 문화 교재로 분류하지 않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서 實用文


化交際400句(倪明亮 1995)와 같은 경우는 ‘말하기’ 범주에만 귀속된다.13)
이와 같은 작업의 결과로 집계된 상위범주의 분포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3〉 주제별 분포 현황 (대범주)

일반 교재
소재특화 목적서 수험서 계
종합 언어기능 언어요소
1266권 1287권 734권 89권 372권 378권 4126권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30.68% 31.19% 17.79% 2.16% 9.02% 9.16% 100%

〈표 3〉에 나타난 전체 분포 현황을 보면 우선 일반 교재가 79.66%를 차지하는


점이 가장 눈에 띈다. 이는 중국의 중국어 교재 개발이 범용(general purposes) 교재
에 편중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교재의 현황으로 미루어 볼 때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도 일반 목적의 수업 위주로 전개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편중된 비율은 수험서 분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표 4〉 수험서 분포 현황

HSK BCT 기타 어학시험 기타 시험14) 계


349권 7권 6권 16권 378권
92.33% 1.85%
www.earticle.net
1.59% 4.23% 100%

수험서의 분포는 일반 목적 시험인 HSK(漢語水平考試)15) 관련 서적이 90%를


상회하는 비율을 점하고 있는 데서 드러나듯 교재 분포보다도 훨씬 더 편중이 심
한 상황이다. 문제는 HSK가 대표적인 범용(general purposes) 표준화 검사라는 데 있

13) 마찬가지로 어떤 회화책이 문법 구문 중심의 편제를 가지고 있고 충실한 문법 설명을 제공한


다 하더라도 이 책을 ‘문법’과 ‘말하기’의 두 범주에 중복 분류하기보다는 ‘말하기’ 범주에만
귀속시키는 것이 본고의 교재 분류 취지에 맞을 것이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의 교
재는 복합적 성격을 가지는데, 교재 현황 파악을 위한 분류는 가장 일차적인 속성에 근거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의 분류는 교재의 일차적 속성을 위주로 한 분류라고
할 수 있다.
14) 외국인용 대입시험(高考) 교재, 중국어 국제교육 석사(漢語國際教育碩士) 시험 교재, 국제 중국
어 교사 자격(國際漢語教師證書) 시험 교재 등 어학시험(language test) 이외의 시험 관련 도서
를 말한다.
15) 新HSK(新漢語水平考試) 포함.
142 中國文學 第88輯

다. 특수 목적의 표준화 검사는 BCT(商務漢語考試), C.TEST(實用漢語水平認定考試)


등으로 개발 자체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데다 교재의 비중 역시 3.44%에 불과하
다. 즉, 일반 교재와 수험서 모두 범용의 교재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양자 가운데 수험서의 편중이 훨씬 심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는 중국에
서는 다양한 특수 목적 교재 개발이 미흡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중국의 교재 개발이 범용 교재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은 일반 교재 내에서 뉴스,
영화, 노래, 게임 등을 활용하는 소재 특화형 교재16)가 매우 적다는 데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된다. 〈표 3〉에 제시된 것처럼 소재 특화형 교재는 2.16%에 불과하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중국의 교재 개발 현황은 단순히 목적서나 수험서 비중이 낮을 뿐만 아니라 영화


나 노래와 같이 소재를 특화하려는 시도도 매우 적을 정도로 일반 교수⋅학습용의
전형적인 교재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재 특화형 교재의 세부
분포는 아래와 같다.

〈표 5〉 소재 특화형 일반 교재 분포 현황

뉴스 영화 노래⋅게임 문학작품 계
25권 30권 25권 9권 89권
28.09% 33.71% 28.09% 10.11% 100%

이처럼 교재의 분포가 범용 교재 일변도라는 것은 뒤집어서 표현하면 특수 목


www.earticle.net
적(specific purposes)의 교재, 즉 목적서 비중이 높지 않다는 의미이다.〈표 3〉에서 이
미 확인한 것처럼 목적서의 비율은 9.02%에 그치고 있는데, 그 세부 분포를 살펴보
면 아래와 같다.

16) 신문⋅잡지⋅뉴스 관련 교재는 특수한 직능을 염두에 둔 것이기보다는 일상 언어 생활의 한


부분으로서 미디어 언어를 다루는 것이므로 목적이 특수한 것이 아니라 소재가 특화되어 있는
것일 뿐이다. 또 영화⋅노래⋅게임 등으로 중국어를 교수⋅학습하는 교재 또한 소재나 방법에
차별성이 있을 뿐 일상 언어 능력의 습득이라는 범용(general purposes)의 속성을 가진 교재라
는 점에는 차이가 없다. 다만 일반 교재의 대다수는 이들처럼 소재나 방법을 특화하지 않은
전형적인 언어 교재이므로 소재의 특화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편의상 이들을 ‘소
재 특화’형 교재라 지칭하기로 한다.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43

〈표 6〉 목적서 분포 현황

실무 준비용 전공 준비용

비즈니스 관광 통번역 의료 과학기술 기타 전공17)
218 52 10 46권 23권 23권 372권
58.60% 13.98% 2.69% 12.37% 6.18% 6.18% 100%

〈표 6〉은 단순히 목적서가 아직 많지 않다는 점을 넘어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보여준다. 목적서 전체를 실무 준비용18)과 전공 준비용으로 양분하면 75.27% 대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24.73%로 실무 준비용 교재 비중이 현저히 높을 뿐만 아니라 그 가운데에서도 비즈


니스 중국어 교재가 목적서 전체의 6할에 가까운 높은 비율을 보인다. 그에 반해 학
문목적 중국어(CAP)에 해당하는 전공 준비용 교재는 우선 양적으로 매우 적을 뿐
아니라, 그 가운데에서도 의료 관련 중국어 교재와 과학기술 관련 중국어 교재를 제
외하면 개발 성과가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전공 준비용 교재의 절반
이 의료 관련 도서인 것은 중의(中醫)를 비롯한 관련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표 7〉 목적서 출판 현황 연도별 추이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실무 10 22 17 26 20 20 45 10 25 19 10 11
전공 2 1 4 11 4 14 13 9 9 1 7 2
합계 12 23 21 37 www.earticle.net
24 34 58 19 34 20 17 13

목적서의 한 해 출판 도서수가 두 자릿수를 넘어선 것은 2004년이다. 이는 일반


교재에 비해 목적서의 개발이 매우 늦게 싹텄음을 의미한다. 한 해에 출판되는 목
적서의 종류가 10종을 넘어선 지 이제 겨우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앞으로 목적서 개발이 갈수록 활발해질 가능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데, 연도별 추

17) 기타 전공에 해당되는 교재는 경제 관련 6권, 체육 관련 5권, 경찰⋅군사 관련 4권, 언어⋅문


학 관련 4권, 그리고 예과(대학진학 준비 과정), 법률, 철학, 항공운항 관련 중국어 교재가 각
각 1권이었다.
18) ‘비즈니스’, ‘관광’, ‘통번역’이라는 범주명만으로는 이들이 왜 전공 준비용 교재와 구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다. 이 범주에 속하는 교재들은 경영학, 관광학, 통번역학 전
공 지망생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해당 영역의 (예비)실무자를 위한 것이다. 그에 반해 전공 준비
용 교재는 제목이나 내용에서 전공 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중국어 학습용 교재이기 때문에 양
자는 모두 목적서이지만 성격이 비교적 분명하게 나뉜다고 할 수 있다.
144 中國文學 第88輯

이를 보면 해마다 부침이 커서 반드시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목적서


개발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추이를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3.2 영역별 분포 현황

이 절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기능 중심의 교재와 발음, 한


자, 어휘, 문법, 문화와 같은 언어요소 중심의 교재들이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펴본다. 주로 〈표 3〉에서 일반 교재로 분류했던 것 가운데 종합 교재를 제외한 교


재들의 분포를 살피는 작업이 되겠지만, 필요에 따라 목적서나 수험서 가운데 특정
언어기능을 중심으로 편찬된 교재도 함께 살펴볼 것이다.

〈표 8〉 언어기능 중심 교재 분포 현황

듣기 읽기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타19) 계
말하기 쓰기
169권 674권 293권 69권 43권 32권 7권 1287권
범용
13.13% 52.37% 22.77% 5.36% 3.34% 2.49% 0.54% 100%
2권 28권 15권 7권 2권 3권 0권 57권
실무
3.51% 49.12% 26.32% 12.28% 3.51% 5.26% 0.00% 100%
7권 16권 17권 0권 1권
www.earticle.net 2권 0권 43권
전공
16.28% 37.21% 39.53% 0.00% 2.33% 4.65% 0.00% 100%

외국어 교수⋅학습을 위해 개발된 모든 교재는 어떤 식으로든 언어의 네 가지


기능과 다양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다루게 마련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다양한
기능과 요소를 다루게 된다는 사실과 교재의 편찬이 특정한 언어기능이나 요소 중
심의 편제를 따른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우선 언어기능 중심의 편제에 따라
기능별로 편찬된 교재의 현황을 살펴보자.
범용 교재의 분포에서 눈에 띄는 것은 말하기 교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언어기능’ 중심의 교수⋅학습 이라는 프레임, 혹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
학습이라는 프레임이 교재의 개발을 말하기 쪽으로 유도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

19) 기타로 분류된 책은 聽力與閱讀(施寶義 1982)나 高級漢語閱讀與話題口語(付玉萍 2015)처럼 듣


기-읽기, 읽기-말하기의 통합적 교수를 지향하는 교재이다.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45

인다. 물론 ‘의사소통중심’이라는 개념이 결코 구어 소통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


다. 교재의 편찬이 ‘의사소통’ 개념의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교재 전체의 분
포로 볼 때 일반적으로 초급 교재가 중⋅고급 교재보다 많은 것과 같은 이유로 언
어기능 중심으로 교재를 개발할 때에도 가장 즉자적이고 일차적인 기능에 개발이
더 집중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범용 교재뿐 아니라 실무 준비, 전공 준비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경향
은 듣기보다는 말하기 교재의 비중이 높고, 쓰기보다는 읽기 교재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구어 영역에서는 산출 능력인 말하기에의 편중이, 문어 영역에서는 이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능력인 읽기에의 편중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실무 준비 교재와 전공 준비 교재만 비교하면 매우 상반된 양상이 나타난
다. 범용 교재와 비교할 때 실무 교재는 듣기 교재 비중은 더 낮고 쓰기 교재 비중
은 더 높은데, 이는 말하기⋅쓰기와 같은 산출 능력이 많이 요구되는 실무 현장의
특성이 잘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전공 준비 교재는 듣기의 비중이 다소 높고
쓰기는 아예 교재 자체가 전혀 없다. 그리고 말하기보다도 읽기 교재의 비중이 더
높은 것이 눈에 띈다. 전공 준비 교재의 특성상 수학 능력에서 중시될 수밖에 없는
읽기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러나 명실상부한 학문목적 중국어
(CAP) 교육이 되려면 학문적인 언어로 말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특히 학문적 글
쓰기 능력이 중시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런 점에서 학문목적의 글쓰기 교재가 아
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중국의 중국어 교재가 여전히 ‘범용’ 위주의 단
www.earticle.net
계에서 크게 벗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방증으로 볼 수 있다.

〈표 9〉 언어요소 중심 일반 교재 분포 현황

발음 한자 어휘
발음 한자 어휘 문법 문화 계
한자 어휘 문법
55권 161권 95권 68권 8권 1권 1권 345권 734권
7.49% 21.94% 12.94% 9.26% 1.09% 0.14% 0.14% 47.00% 100%

내용 중심 또는 기능 중심의 교수요목을 주로 사용하는 현대 언어교육의 특성


상 발음, 어휘, 문법과 같은 언어요소 중심의 편제를 따라 편찬된 교재는 언어기능
중심의 교재에 비해 많지 않다. 중국어 교육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고에서는 ‘문화’가 언어기능이 아니라는 이유로 언어요소에 포함시켜 집계하
였는데, 엄밀한 의미에서 이들 ‘요소’는 발음, 한자, 어휘, 문법과 같은 언어내적 요
146 中國文學 第88輯

소와 문화와 같은 언어외적 요소로 나뉜다.20)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문


화 내용을 다룬 교재가 ‘요소 중심’ 교재의 절반 가까이 되는데, 이를 언어내적⋅외
적 요소 프레임으로 재해석하면 언어내적 요소를 다룬 교재와 언어외적 요소를 다
른 교재가 거의 비슷한 비율로 개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언어내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교재들의 분포에서는 한자 교재의 비중이 가장
높은 점이 눈에 띈다. 이는 다른 외국어 교육과 구별되는 중국어 교육만의 특수성
이다. 한자라는 독특한 문자체계는 중국어가 가진 여러 가지 특수성의 원인이자 결
과이며, 동시에 학습자에게는 가장 큰 난관이기도 하다. 이런 점 때문에 외국인용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초급 교재에서는 광범위하게 한어병음이 활용될 뿐만 아니라 모어 학습자를 대상


으로 하는 중국의 초등교육에서도 ‘注音識字, 提前讀寫’ 실험을 통해 한자라는 난제
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한 바 있다.21) 이처럼 한자는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은 물론이고 제1언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에서도 중요한 과제인 만큼 문자 교재의
비중이 높은 것은 다른 외국어에 비해 두드러지는 점이기는 하지만 자연스러운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4. 수준 및 교수대상별 분포

4.1 수준별 분포 현황 www.earticle.net

분석 대상 교재의 수준 분포는 다른 속성 분석과 마찬가지로 제목, 제요, 소개


글, 서평 등과 같은 정보들을 기초로 분석한 것이기 때문에 교재 편찬자, 출판사,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의 주관적 편향이 개입할 소지가 다분히 존재한다. 교재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려면 어휘⋅구문⋅표현의 상용도나 난이도와 같은 지표
를 사용해야 하지만, 본고가 분석 대상으로 삼은 대량의 자료를 그와 같은 방식으

20) 본고에서 ‘문화’로 분류한 것은 中國文化常識(任启亮 2015), 中國概況教程(肖立 2009)과 같이


인지적 지식으로서의 문화 지식을 다루는 교재들이었기 때문이다.
21) ‘注音識字, 提前讀寫’ 실험은 헤이룽장성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어문 개혁 실험으로
‘순병음 → 한자에 주음 → 어려운 자에만 주음 → 순한자’의 순서로 어문 수업을 실시한 결
과 실험군인 1학년 학생들이 대조군인 3학년 학생들보다 더 높은 성취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기도 했다.(허철 2004, 丁義誠 등 1983)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47

로 분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교재의 객관적 수


준이 아니라 교재 편찬자와 사용자의 인식 속에서 해당 교재가 가지는 포지셔닝을
분석하는 것임을 분명히 해두고자 한다.
또한 분석 자체가 2차 정보에 의존한 것이므로 본고에서는 수준 구분을 상세화
하지 않고 초급⋅중급⋅고급의 삼분법을 사용하여 개략적인 현황 파악에 중점을
두기로 하였다. 먼저 분석 대상이 된 4126권 전체의 수준 분포와 종합 교재(일반
교재, 목적서, 수험서 포함)의 수준 분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종합

전체

www.earticle.net
〈표 10〉 교재 전체와 종합 교재의 수준별 분포 현황

초급 중급 고급 계
2146권 1136권 844권 4126권
전체
52.01% 27.53% 20.46% 100%
1103권 383권 179권 1665권
종합
66.25% 23.00% 10.75% 100%

일반적으로 외국어 교재는 입문 과정에 해당되는 초급 교재의 비중이 매우 높


고 고급 수준으로 올라갈수록 교재의 종류와 수량이 줄어든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래프에 나타나는 종합 교재의 기울기는 이를 잘 보여준다. 전체 교재
의 기울기가 더 완만한 것은 아래에서 살펴볼 언어기능별⋅요소별 교재의 수준 분
포에 나타나듯 전형적인 기울기와 다른 분포를 가진 영역들에 의해 다소 중화된
결과로 보인다.
148 中國文學 第88輯

그렇다면 듣기⋅말하기⋅읽기⋅쓰기 각 영역의 교재는 전체 교재 분포나 종합


교재 분포와 같이 우하향하는 전형적인 그래프와 어떻게 다른 분포를 보이는지 살
펴보자.

말하기

전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듣기

쓰기

읽기

〈표 11〉 언어기능 중심 교재의 수준별 분포 현황

초급 중급 고급 계
113권 118권 80권 311권
듣기 www.earticle.net
36.34% 37.94% 25.72% 100%
579권 198권 122권 899권
말하기
64.41% 22.02% 13.57% 100%
129권 305권 381권 815권
읽기
15.83% 37.42% 46.75% 100%
35권 55권 40권 130권
쓰기
26.92% 42.31% 30.77% 100%

각 언어기능별 교재의 분포는 그래프와 표에 나타난 것처럼 뚜렷한 경향성을


보여준다. 우선 말하기 교재만이 전체 교재의 기울기와 같은 패턴을 보이고 있는
데, 전체 교재의 경향성에 비해 말하기 교재는 초급 교재 비중이 훨씬 더 높고, 중
급과 고급 교재의 비중은 모두 전체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가장 상반
되는 패턴을 보이는 영역은 읽기이다. 읽기는 초-중-고급 교재의 분포가 완벽한 역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49

전 현상을 보이고 있다. 듣기와 쓰기는 모두 중급 교재가 가장 많은데, 양자 가운


데 쓰기 교재에서 이런 경향은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자
발음

전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어휘
문법

문화

〈표 12〉 언어요소 중심 교재의 수준별 분포 현황

초급 중급 고급 계
50권 9권 6권 65권
발음
76.92% 13.85% 9.23% 100%
148권 www.earticle.net
21권 10권 179권
한자
82.68% 11.73% 5.59% 100%
39권 65권 59권 163권
어휘
23.93% 39.88% 36.19% 100%
21권 39권 38권 98권
문법
21.43% 39.80% 38.77% 100%
32권 110권 262권 404권
문화
7.92% 27.23% 64.85% 100%

종합하면 언어기능 중심 교재의 수준 분포는 각각 상이한 분포를 보이는 말하


기, 듣기⋅쓰기, 읽기의 세 그룹으로 나뉘는 셈이다. 말하기는 구어-산출, 듣기는 구
어-이해, 쓰기는 문어-산출, 읽기는 문어-이해라는 속성22)을 가진다는 점으로 볼 때

22) 여기에서 말하는 구어와 문어의 구분은 문체/어체의 차원이 아니라 언어기능 차원의 구분이다.
교재에서 다루는 언어기능의 구분과 문체/어체의 구분은 다른 지평의 문제이다. 예컨대 읽기
150 中國文學 第88輯

교재의 수준 분포는 구어⋅문어의 구분이나 이해⋅산출의 구분과 아무런 상관성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 흥미롭다.
언어요소 중심 교재의 수준 분포는 전체 교재의 분포를 중심으로 볼 때 한자⋅
발음, 어휘⋅문법, 문화의 세 그룹이 각각 상이한 경향성을 보인다. 한자와 발음 교
재는 초급 교재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중급과 고급은 평균을 크게 하회하고 있
다. 문자와 발음은 모두 입문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교수되는 요소라는 점에서 이는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결과이다. 이와 정반대의 패턴을 보이는 것은 어휘와
문법이다. 한자와 발음은 초급이 많고, 중급과 고급이 공히 적은 패턴을 보인 반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어휘와 문법은 초급이 적고, 중급과 고급이 비슷한 수준으로 많은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는 발음⋅한자⋅어휘⋅문법이라는 언어내적 요소들이 대체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교수⋅학습되도록 교재가 개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음 어휘

한자 문법

초급 중급  고급

문화 교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언어외적 요소를 다루고 있고, 인지적 지식을 주


www.earticle.net
요 내용으로 하기 때문에 초급보다는 중급과 고급으로 갈수록 많은 교재들이 개발
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흥미로운 점은 이와 같은 우상향의 패턴이 문화 교재
와 읽기 교재에서만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읽기 교재도 문화 교재와 마찬가
지로 인지적 지식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에서 이러한 우상향의 패턴은
인지적 지식 혹은 언어외적 지식의 중요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23)

교재가 구어체 텍스트를 다루었다 하더라도 이 교재를 사용한 교수⋅학습은 구어 학습(듣기


또는 말하기 학습)이 아니라 구어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문어 학습(읽기 또는 쓰기 학습)이
주가 된다는 의미에서 이를 ‘문어-이해’라는 속성으로 규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23)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장의 분석은 교재의 실제 수준에 대한 것이기 보다는 교재의 포지셔닝에
관한 것이다. 중국에서 개발되는 문화 교재는 중국어를 텍스트 언어로 사용하기 때문에 ‘테마
독해’ 혹은 ‘고급 독해’의 성격을 가지며, 읽기 교재(중37%-고47%)보다 문화 교재(중27%-고
65%)가 고급 수준에 더 많은 쏠림을 보이는 것은 이런 성격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51

4.2 교수대상별 분포 현황

대다수의 교재가 수준을 구분하거나 특정하여 개발되는 것과 달리 연령이나 학


년과 같은 대상 학습자의 집단은 명시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현재 중국에서 이루
어지고 있는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와 성격, 그리고 거기에 참여하는 학습자
집단의 특성으로 볼 때, 대상이 명시되지 않은 대부분의 교재는 대학생 이상의 성
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일반적인 교재들은
개발 과정에서 중고등학생이나 초등학생 학습자에 대한 배려를 특별히 하지 않는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다는 의미에서도 이들은 성인 학습자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즉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중국에서 실시되었던 중국어 교
육 프로그램에는 상당수의 중고등학생이 참여하였으나 여전히 이들에게도 당시의
일반적인 교재들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대상을 특정하지 않은 교재 전체를 배타
적인 의미에서 ‘성인 학습자용’으로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교수 대상을 명시하
고 있는 교재들은 모두 초⋅중⋅고등학생용이다. 이들과 대상이 명시되지 않은 교
재의 비중을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다.

〈표 13〉 교수대상별 교재 분포 현황

대상 명시
대상 비명시 계
초등학생 중고생 www.earticle.net
초⋅중고생
184권 121권 14권 3807권 4126권
4.46% 2.93% 0.34%
92.27% 100%
7.73% (319권)

〈표 13〉에 보이는 것처럼 대상을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으로 명시한 교재는


전체 교재의 7.73%에 그치고 있다. 여기에 해당되는 319권의 교재가 출간된 시기를
살펴보면 2000년 이전에 나온 것은 단 3권뿐이며, 그나마도 위구르족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24) 사실상 모두 2001년 이후에 등장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4) xensuche. 1-yilliqlar üchün [民語文獻] : 漢、新維吾爾文(1958), xenzu tili. 1-qisim [民語文獻] :
漢、新維吾爾文(1972), xenzu tili. 2-qisim [民語文獻] : 漢、新維吾爾文(1973).
152 中國文學 第88輯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이러한 사실로부터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중국의 중국어 교재 가운데 아


동이나 청소년 대상의 교재는 그 비중이 아직 크지 않을 뿐 아니라 최근 10여 년
사이에 약간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라는 사실이다.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 중국어(CYL) 교육으로 범위를 더 좁히
면 전체 교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겨우 4.46%에 그치고 있어 아직 미흡한 수준이
지만, 연도별 출간 수량을 보면 2001∼2005년에 16권, 2006∼2010년에 74권, 201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94권으로 비교적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www.earticle.net

5. 나오며

이상으로 중국(PRC) 지역에서 간행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CFL) 교육용 교재의


분포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황 분석을 위해 본고는 중국 국가 도서관을 통해 수집
된 도서 목록에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용 교재 4126권을 대상으로 주제별⋅
영역별⋅수준별⋅교수대상별 분포 현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제별 분석의 결과 언어기능(4 skills)과 언어요소 중심의 범용 교재가 79.67%로
압도적 다수를 점한 반면 뉴스 관련 교재, 영화 활용 교재, 노래나 게임 중심 교재
등의 소재 특화형 교재는 2.16%에 그치는 낮은 비중을 보였으며, 수험서는 대부분
이 HSK에 집중되어 있고 BCT, YCT, C.TEST 등 시험의 교재는 두 자릿수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비중을 보였다. 목적서 또한 372권으로 전체의 9.02%에 그치는 데다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53

대부분이 비즈니스 중국어 교재에 집중되어 있어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중국어


교육 30여 년의 역사에서 아직까지는 특수목적 중국어(CSP) 교재나 학문목적 중국
어(CAP) 교재의 개발은 미진한 것으로 이해된다.
영역별 분포에서는 대다수 교재가 말하기에 집중되어 있었고, 특히 쓰기 교재의
비중이 낮았는데, 실무 준비용 교재는 상대적으로 쓰기 비중이 높은 점, 전공 준비
용 교재는 읽기 교재의 비중이 가장 높은 점과 쓰기 교재가 따로 없다는 점이 두
드러진 특징이었다. 학술목적 중국어 교재 중 절반이 의료 관련 교재인 점도 눈에
띄었는데, 중의(中醫)를 비롯한 관련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보이며, 아직 다양한 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공 준비 교재가 나오지 않는 것은 중국의 CFL 교육이 아직까지 범용(general


purposes) 언어 교육에 치우쳐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수준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초급 교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중급과 고
급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우하향 패턴을 보이는데, 언어기능 중심 교재 중에서는 말
하기 교재가 우하향 패턴을 보인 반면, 읽기는 정반대로 중급과 고급으로 갈수록
수량이 늘어나는 우상향 패턴을 보인 점이 두드러졌다. 언어요소 중심 교재에서는
한자와 발음은 초급이 많고 중급과 고급이 공히 적은 반면, 어휘와 문법은 정반대
로 초급이 적고 중급과 고급이 공히 많았다. 언어외적 요소라 할 수 있는 문화 교
재는 읽기 교재와 마찬가지로 고급으로 갈수록 꾸준히 상승하는 우상향 패턴을 보
였다.
교수대상별 분포는 초중등학생에게 특화된 교재가 7.73%에 불과한 점이 두드러
www.earticle.net
지는데, 아동중국어(CYL) 교육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교재 개발이나 교수 모델 개발
이 저조한 편이며, 2001년 이후로 작은 폭이지만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이상의 분석을 종합하면 중국의 중국어 교재는 전반적으로 아직 CSP, CAP,
CYL 분야의 교재 개발이 저조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다만 2000년대 이후로는 이
영역의 교재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고, 작은 양이나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중국어 교재 연구가 이 점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154 中國文學 第88輯

【參考文獻】

박애양(2008), 〈중국 언어문화 교수 항목 선정에 대한 소고: 문화변용의 관점에


서〉, 《중국연구》 제43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박찬욱(2009), 〈인접쌍 개념을 이용한 중국어 말하기교재 분석: “칭찬-반응” 구조
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제13권; 2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손정애(2012), 〈의사소통 기반의 중국어교재에서 문법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성인 학습자용 초급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제42집, 한국


중국언어학회.
양지영(2006), 〈중국어 청취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고등학교 〈중국어
I〉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위수광(2010),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교육문법요목 설계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
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지현(200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국어 교육방안〉,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이하원(2008), 〈중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의 효율적 활용방안〉,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이희갑(2008), 〈중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의 한어병음 표기법 연구〉, 공주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www.earticle.net
한혜선(2007), 〈고등학교 중국어 듣기 보충교재 편찬 및 지도 방안〉,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허철(2004), 〈중국 한자교육의 역사와 내용에 대하여〉, 《한문교육연구》 제23권,
한국한문교육학회.
羅慶銘(2010), 〈新加坡小學漢語教材的沿革〉, 許嘉璐主編, 《第九屆國際漢語教學研
討會論文選》, 北京: 高等教育出版社.
範常喜⋅楊崢琳⋅陳楠⋅盧達威(2012), 〈國際漢語教材發展概況考察——基於 “全球
漢語教材庫”的統計分析〉, 《國際漢語》 第2輯, 北京语言大学.
徐家禎(1996), 〈從海外使用者的角度評論大陸編寫的初級漢語課本〉, 編輯委員會編,
《第五屆國際漢語教學討論會論文選》,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石汝傑(2004), 〈日本的漢語教科書及其出版情況介紹〉, 《世界漢語教學》 第2期, 北京
语言学院(世界汉语教学学会会刊).
成文(2014), 〈“只有……才……”的使用情況調查分析及教學建議〉, 《首都師范大學學報》
(社會科學版) 第S1期, 首都師范大學.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55

呂文華(2010), 〈“了”的教學三題〉, 《世界漢語教學》, 第4期, 北京语言学院(世界汉语教


学学会会刊).
劉曉嵐(2008), 〈《經貿洽談ABC》與 《商務漢語》比較研究〉, 四川大學碩士學位論文.
吳佳⋅吳中偉(2016), 〈2004∼2014年對外漢語教材出版情況述評〉, 《雲南師範大學學
報》(對外漢語教學與研究版) 第2期, 雲南師範大學.
王若江(2004), 〈對法國漢語教材的再認識〉, 《漢語學習》 第6期, 延边大学.
王順洪(1991), 〈近十幾年來日本的漢語教科書〉, 《語言教學與研究》 第3期, 北京语言
大学.
王弘宇(2003), 〈中國大陸漢語教材出版的成就與不足〉, 《世界漢語教學》 第1期, 北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语言学院(世界汉语教学学会会刊.
李泉(2002), 〈近20年對外漢語教材編寫和研究的基本情況述評〉, 《語言文字應用》 第3
期, 教育部语言文字应用研究所.
李曉琪(2007), 〈漢語國際推廣事業中的教材建設〉, 《世界漢語教學》 第3期, 北京语言
学院(世界汉语教学学会会刊).
李宇飛.(2013), 〈《輕松學漢語》、《跟我學漢語》和 《你好》三套漢語教材詞匯對比分析〉,
中山大學碩士學位論文.
林美淑(2008), 〈對韓漢語教學離合詞研究〉, 山東大學博士學位論文.
丁義誠⋅李楠⋅包全恩(1983), 〈“注音識字, 提前讀寫”實驗報告〉, 《教育研究》 第11
期, 中国教育科学研究院.
齊沛(2003), 〈對外漢語教材再評述〉, 《語言教學與研究》 第1期, 北京语言大学.
朱志平⋅江麗莉⋅馬思宇(2008), 〈1998-2008十年對外漢語教材評述〉, 《北京師範大學
www.earticle.net
學報》(社會科學版) 第5期, 北京師範大學.
趙賢州(1988), 〈建國以來對外漢語教材研究報告〉, 第二屆國際漢語教學討論會組織委
員會編, 《第二屆國際漢語教學討論會論文選, 北京: 北京語言學院出版社.
陳嘉儀(2011), 〈《八仙過海學漢語》教材評價〉, 《世界漢語教學學會通訊》 第5期, 總第
13期, 世界汉语教学学会.
韓萱(2009), 〈全球視閾下的對外漢語教材評述〉, 《雲南師範大學學報》(對外漢語教學與
研究版) 第4期, 雲南師範大學.
胡曉慧(2007), 〈在漢語熱中走出去——近年來國內對外漢語教材出版評述〉, 《中國出版》
第12期, 中国新闻出版传媒集团.
Dick, W., Carey, L.(1996),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4th ed.).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Dick, W., Carey, L., James, O.(2005)[1978],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6th ed.), Allyn Bacon.
Friedman, H., Friedman, L.(2001), Crises in education: Online learning as a solution,
156 中國文學 第88輯

Creative Education 2(3).


Heinich, R., Molenda, M., Russell, J.D., Smaldino, S.(1999),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6th ed.), Englewood Cliffs, NJ: Merrill/Prentice Hall.
McDonough, J., Shaw, C. & Masuhara, H.(2013), Materials and methods in ELT : A
teacher’s guide (3rd Ed.), Chichester, West Sussex: Wiley-Blackwell.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www.earticle.net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157

【 ABSTRACT】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FL) published in China (PRC)

Kim, Narae, Kim, Sokyong, Park, Jonghan, Sohn, Namho, Shin, Wonchul , Lee, Mikyoung, Yi, Yeonsook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This study aims to report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structional materials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FL) that have been published in China (PRC). The
authors analyzed 4126 CFL textbooks searched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As for the purposes of the materials, a lack of development is observed in the
textbooks for interpretation/translation, news-based materials, materials based on
songs/games and the test preparation materials for non-HSK exams. The entire
proportion of Chinese for Specific Purposes (CSP) materials, of which Chinese for
Business Purposes (CBP) is the majority, is also only 9.02%, which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CSP or Chinese for Academic Purpose (CAP) has not
been active during the 30-year history of CFL education since the ‘Reforms and
www.earticle.net
Opening up’.
Regarding the skills covered, the proportion of writing materials was particularly low
and no writing textbook was ever identified for CSP or CAP, which indicates that the
CFL education in China has centered on the teaching of Chinese for General Purposes
(CGP).
In terms of the levels, more than half of the overall materials were intended for
beginners. Specifically, materials for speaking, Chinese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follow this right-skewed distribution but those for reading, vocabulary/grammar and
cultural topics show the opposite, i.e., left-skewed distribution. This means that the focus
of CFL instruction shifts from speaking,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to reading,
vocabulary/grammar and culture in the more advanced levels. Another notable point is
that the materials aimed at elementary to middle school students only account for
7.73%, which implies the lack of activity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or
158 中國文學 第88輯

instructional models for Chinese for Young Learners (CYL). However, future trend is
worth noting because a slight but steady increase in CYL materials is detected since the
2000’s.
To sum up, among the CFL instructional materials released in China to date, CSP,
CAP or CYL materials have been underdeveloped. As the publication of these materials,
however, has been on a small but continuous increase since the 2000’s, it seems to
deserve more atten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CFL textbooks.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03.252.249.20 at Monday, May 16, 2022 3:36 AM

Keywords: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 Chinese for Specific Purposes,


Chinese for Academic Purpose, Chinese for Young Learners

투 고 일 : 2016. 07. 21.


심 사 일 : 2016. 07. 22. ∼08. 07.
게재확정일 : 2016. 08. 19.

www.earticle.net

You might also like